KR101879609B1 -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609B1
KR101879609B1 KR1020137013394A KR20137013394A KR101879609B1 KR 101879609 B1 KR101879609 B1 KR 101879609B1 KR 1020137013394 A KR1020137013394 A KR 1020137013394A KR 20137013394 A KR20137013394 A KR 20137013394A KR 101879609 B1 KR101879609 B1 KR 101879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ster film
longitudinal direction
stretching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1551A (ko
Inventor
이사오 마나베
테루야 타나카
코조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4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6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02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8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29C55/14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first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eed and then transversely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permeability or siz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permeability or size
    • H01M50/133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permeability or size
    • H01M50/136Flexibility or fold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4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5/00Use of 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as reinforcement
    • B29K2305/02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29L2009/00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0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81Next to polyester, polyamide or polyimide [e.g., alkyd, glue, or nylon,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Abstract

전지 외장용, 특히 전해질(고체, 액체)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딥 드로잉 형상에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지 외장 용도, 여러 가지 형상에 대응 가능한 의약 포장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25℃에 있어서의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5% 신장시 응력(F5값) 및 10% 신장시 응력(F10값)이 각각 하기 (Ⅰ), (Ⅱ)식을 만족시키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1.5≥F10MD/F5MD≥1 …(Ⅰ) 1.5≥F10℃D/F5TD≥1 …(Ⅱ)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POLYESTER FILM AND LAMINATE USING SAME}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지 외장용, 의약 포장용 등 금속박에 라미네이팅한 후에 성형이 실시되는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리튬 전지란 리튬 2차 전지라고도 칭해지고, 액상, 겔상 고분자, 고체 고분자, 폴리머 전해질 등을 갖고, 리튬 이온의 이동으로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지로서, 정극·부극 활성 물질이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리튬 2차 전지의 구성으로서는 정극 집전재(알루미늄, 니켈)/정극 활성 물질층(금속 산화물, 카본 블랙, 금속 황화물, 전해액,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고분자 정극 재료)/전해질층(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탄산 디메틸, 에틸렌메틸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계 전해액, 리튬염으로 이루어지는 무기 고체 전해질, 겔 전해질)/부극 활성 물질층(리튬 금속, 합금, 카본, 전해액,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고분자 부극 재료)/부극 집전재(구리, 니켈, 스테인레스) 및 그들을 포장하는 외장체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리튬 전지는 그 높은 체적 효율, 중량 효율로부터 다방면에 걸쳐서 사용되어 있고, 컴퓨터, 휴대 단말 장치(휴대 전화, PDA 등), 비디오 카메라,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에 소형 대용량 전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리튬 전지의 외장체로서는 금속을 프레스 가공하여 원통상 또는 직육면체상으로 용기화한 금속제 캔 또는 최외층/알루미늄/실란트층으로 구성되는 다층 필름을 주머니상으로 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금속제 캔에 있어서는 용기 외벽이 강직하기 때문에 전지 자체의 형상이 결정되어 버리고, 하드웨어측을 전지에 맞추어 설계하기 때문에 상기 전지를 사용하는 하드웨어의 치수가 전지에 의해 결정되어 버리는 등 디자인에 제약이 생겨버린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다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주머니상의 외장체가 선호되고 있다. 리튬 전지의 외장체로서 요구되는 물성·기능으로서는 방습성, 내내용물성(내용물로서 사용하는 전해액 등의 화합물에 대한 내성), 성형성 등이지만, 이들을 만족시키는 필름 소재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필름 등이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폴리아미드 필름은 방습성, 내내용물성이 충분하지 않고, 가공 시에 내용물이 부착되었을 때에 폴리아미드 필름이 열화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검토도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제안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성형성이 반드시 충분하지는 않고, 딥 드로잉 성형으로의 대응은 어려웠다. 또한, 이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폴리아미드 필름의 적층 구성 필름도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그러나 이 구성으로는 공정이 번잡하게 되고, 또한 성형성에 관해서도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또한, 의약 포장에 대해서도 내용물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알루미늄을 비롯한 금속박을 갖는 포장 형태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고, 내용물의 형상에 맞춰서 금속박의 성형성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6-23693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4-36295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8-53133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에 있다. 즉, 가공 공정으로서 금형에 의한 드로잉 가공을 수반하는 포장 재료에 있어서 뛰어난 성형성, 고강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포함한다.
(1) 25℃에 있어서의 필름의 길이 방향(MD) 및 폭 방향(TD)의 5% 신장시 응력(F5값) 및 10% 신장시 응력(F10값)이 각각 하기 (Ⅰ), (Ⅱ)식을 만족시키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5≥F10MD/F5MD≥1 …(Ⅰ)
1.5≥F10TD/F5TD≥1 …(Ⅱ)
(2) (1)에 있어서, 25℃에 있어서의 필름의 길이 방향(MD) 및 폭 방향(TD)의 10% 신장시 응력(F10값)은 각각 하기 (Ⅲ), (Ⅳ)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F10MD≥120MPa …(Ⅲ)
F10TD≥120MPa …(Ⅳ)
(3) (1) 또는 (2)에 있어서, 글리콜 단위의 95몰% 이상은 에틸렌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이며, 또한 디카르복실산 단위의 95몰% 이상은 테레프탈산 유래의 구조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25℃에 있어서의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0% 신장시 응력은 각각 하기 (Ⅴ)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2≥F10MD/F10TD≥0.8 …(Ⅴ)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200℃에 있어서의 열 수축률은 길이 방향, 폭 방향 모두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편면의 동마찰 계수(μd)는 0.3~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형 용도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금속박 라미네이트용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지 외장용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의약 포장용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편측에 두께 10㎛ 이상 60㎛ 이하의 알루미늄박을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2) (11)에 있어서, 전지 외장용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3) (11)에 있어서, 의약 포장용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25℃에 있어서의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5% 신장시 응력(F5값) 및 10% 신장시 응력(F10값)이 특정 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알루미늄박을 적층한 후의 성형 추종성이 양호하며, 딥 드로잉 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용량화 대응의 전지 외장용 구성체, 여러 가지 형상에 대응 가능한 의약 포장용 구성체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란 주쇄에 있어서의 주요한 결합을 에스테르 결합으로 하는 고분자 화합물의 총칭이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통상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와 글리콜 또는 그 유도체를 중축합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박을 적층한 후의 성형 추종성, 내열성, 치수 안정성, 내전해액성, 비용의 점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글리콜 단위의 60몰% 이상이 에틸렌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이며, 디카르복실산 단위의 60몰% 이상이 테레프탈산 유래의 구조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디카르복실산 단위(구조 단위) 또는 디올 단위(구조 단위)란 중축합에 의해 제거되는 부분을 제외한 2가의 유기기를 의미하며, 이하의 일반식으로 나타내어진다.
디카르복실산 단위(구조 단위): -CO-R-CO-
디올 단위(구조 단위): -O-R'-O-
(여기서 R, R'은 2가의 유기기. R과 R'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또한, 트리멜리트산 단위나 글리세린 단위 등 3가 이상의 카르복실산 또는 알코올 및 그들의 유도체에 관한 단위(구조 단위)의 의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를 부여하는 글리콜 또는 그 유도체로서는 에틸렌글리콜 이외에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지방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스피로글리콜 등의 지환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등의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그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를 부여하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외에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디페닐술폰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5-나트륨술폰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옥살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다이머산, 말레산, 푸말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파라옥시벤조산 등의 옥시카르복실산 및 그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디카르복실산의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디메틸, 테레프탈산 디에틸, 테레프탈산 2-히드록시에틸메틸에스테르,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메틸, 이소프탈산 디메틸, 아디프산 디메틸, 말레산 디에틸, 다이머산 디메틸 등의 에스테르화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알루미늄박을 적층 후의 성형 추종성의 점으로부터 25℃에 있어서의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5% 신장시 응력(F5값) 및 10% 신장시 응력(F10값)이 각각 하기 (Ⅰ), (Ⅱ)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1.5≥F10MD/F5MD≥1 …(Ⅰ)
1.5≥F10TD/F5TD≥1 …(Ⅱ)
여기서 F10MD, F5MD, F10TD, F5TD란 시험 길이 50mm의 직사각형으로 잘라낸 필름 샘플을 25℃, 63%Rh의 조건 하에서 300mm/분의 변형 속도로 인장 시험을 행했을 때의 각각 길이 방향의 10% 신장시의 응력, 5% 신장시의 응력 및 폭 방향의 10% 신장시의 응력, 5% 신장시의 응력을 나타내고, 단위는 각각 MPa이다. 또한, 여기서 필름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은 필름의 임의의 한 방향(0°), 상기 방향으로부터 15°, 30°, 45°, 60°, 75°, 90°, 105°, 120°, 135°, 150°, 165°의 방향의 굴절률을 측정해서 가장 굴절률이 높았던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고, 폭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밖의 물성에 대해서도 길이 방향, 폭 방향은 상기와 같이 정의한다.
(Ⅰ), (Ⅱ)식을 만족시킨다는 것은 변형 초기의 단계에서 응력이 도중에 크게 강하되지 않는, 즉 명확한 항복점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이와 같은 물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분자쇄의 배향이 균일하게 고도로 진행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고, 이와 같은 구조를 형성시킴으로써 필름을 신장시킬 때에 연성 변형이나 불균일한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워져서 명확한 항복점을 나타내지 않는 필름이 된다.
본 발명자들은 변형 초기의 단계에서 명확한 항복점을 나타내지 않음으로써 알루미늄박이라는 금속박을 적층 후에 성형시켰을 때의 성형 추종성이 각별히 향상되는 것을 발견했다. 이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해명되어있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이 추정하고 있다. 알루미늄박은 원래 매우 변형되기 어려운 재료이기 때문에 필름에 추종해서 변형되지만, 필름 변형시에 명확한 항복점이 있는, 즉 응력이 크게 변화되는 변곡점이 있으면 알루미늄박이 그 응력 변화에 추종할 수 없이 파단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Ⅰ), (Ⅱ)식을 만족시키고, 변형 초기의 단계에서 명확한 항복점을 나타내지 않음으로써 알루미늄박이 필름의 변형에 따라 추종 변형될 수 있는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F10MD/F5MD, F10TD/F5TD가 1 미만인 경우에는 알루미늄박을 적층한 후의 성형 추종성이 뒤떨어져 버리는 한편, F10MD/F5MD, F10TD/F5TD를 1.5보다 크게 하고자 하면 분자쇄의 배향을 매우 고도로 진행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약간의 이물, 결점이 있어도 제막 중에 필름이 찢어져 버려서 현저하게 제막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알루미늄박을 적층 후의 성형 추종성 및 제막성의 점으로부터 25℃에 있어서의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5% 신장시 응력(F5값) 및 10% 신장시 응력(F10값)이 각각 하기 (Ⅰ)', (Ⅱ)'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Ⅰ)", (Ⅱ)"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1.2≥F10MD/F5MD≥1.05 …(Ⅰ)'
1.2≥F10TD/F5TD≥1.05 …(Ⅱ)'
1.2≥F10MD/F5MD≥1.1 …(Ⅰ)"
1.2≥F10TD/F5TD≥1.1 …(Ⅱ)"
일반 공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변형 초기의 단계에서 응력이 도중에 크게 강하되는 항복 현상이 보여지고, 예를 들면 일반적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F10MD/F5MD, F10TD/F5TD는 0.95~0.98을 나타내고, 공중합 성분을 포함해가면 더 낮아지는 경향이 된다. 수치만을 비교하면 (Ⅰ), (Ⅱ)식을 만족시키는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일반적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물성 차는 크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명확한 항복 현상이 보이는지의 여부에서 실제의 필름의 구조, 물성이 크게 다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Ⅰ), (Ⅱ)식을 만족시키는 방법으로서는 글리콜 단위의 90몰% 이상이 에틸렌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이다. 또한, 디카르복실산 단위의 90몰% 이상이 테레프탈산 유래의 구조 단위 또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95몰%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생산성, 비용의 관점으로부터는 디카르복실산 단위의 90몰% 이상이 테레프탈산 유래의 구조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95몰%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는 글리콜 단위의 95몰% 이상이 에틸렌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이며, 또한 디카르복실산 단위의 95몰% 이상이 테레프탈산 유래의 구조 단위이다. 상기와 같은 조성으로 함으로써 호모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가까운 조성이 되기 때문에 분자쇄의 균일 배향을 저해하는 성분이 적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을 제막하는 공정에 있어서 T 다이로부터 냉각 드럼 상에 시트상으로 토출, 압출함으로써 미연신 시트를 얻지만, 그 때 와이어상 전극, 테이프상 전극 또는 침상 전극을 사용해서 정전 인가하여 냉각 드럼에 밀착하는 방법, 냉각 드럼과 압출한 폴리머 시트 사이에 수막을 형성한 캐스트법 또는 이들 방법을 복수 조합시킨 방법에 의해 시트상 폴리머를 냉각 드럼에 밀착시켜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이 캐스트 공정에 있어서 (Ⅰ), (Ⅱ)식을 달성하기 위해서 냉각 드럼의 온도를 저온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캐스트 온도를 0~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금으로부터 압출된 시트와의 밀착성, 평면성의 관점으로부터 냉각 드럼의 표면 거칠기(최대 높이)는 0.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 재질은 하드 크롬 도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성, 생산성의 관점으로부터 시트의 냉각 드럼의 통과 속도는 5~30m/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시트의 냉각 드럼과의 접촉 길이는 1~3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전 인가해서 냉각 드럼에 밀착시키는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전압은 10kV~20kV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kV~18kV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구금 립과 냉각 드럼 사이는 30mm~5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스트 공정에서 상기와 같은 조건을 채용함으로써 미연신 필름 중에 질서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캐스트 공정 이후의 연신 공정에 있어서 분자쇄가 보다 균일하게, 보다 고도로 배향할 수 있기 때문에 (Ⅰ), (Ⅱ)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캐스트 공정에서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연신한 후 폭 방향으로 연신하거나 또는 폭 방향으로 연신한 후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는 축차 2축 연신 방법에 의해 또는 필름의 길이 방향, 폭 방향을 거의 동시에 연신해가는 동시 2축 연신 방법 등에 의해 연신을 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지만, 이러한 연신 방법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로서는 각각의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3.5~4.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3.6~4.2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3.7~4배가 채용된다. 또한, 연신 온도는 연신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저온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길이 방향으로 연신한 후에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축차 2축 연신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길이 방향의 예열 온도는 50~60℃, 연신 온도는 80~9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폭 방향의 예열 온도는 70~80℃, 연신 온도는 90~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은 각 방향에 대하여 복수회 행해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이 연신 공정에 있어서 생산성의 관점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가열 롤을 사용하여 롤의 속도차를 이용해서 연신한 후 텐터식 횡연신기로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축차 2축 연신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Ⅰ), (Ⅱ)식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길이 방향의 연신을 행할 때 예열 온도는 50~60℃로 저온으로 하고, 연신 온도는 80~90℃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연신 후에 냉각 롤을 사용하여 급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냉각 롤의 온도는 저온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0~15℃,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냉각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냉각 롤은 롤 지름 150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70mm 이상의 롤을 6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8개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 효율의 관점으로부터 냉각 롤의 표면 거칠기(최대 높이)는 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 재질은 하드 크롬 도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성, 생산성의 관점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신 후에 냉각 롤을 통과하는 속도는 20~150m/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냉각 롤과의 접촉 길이는 3~5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닙 롤을 사용해도 좋다. 상기 방법을 사용해서 길이 방향으로의 연신 후에 단숨에 급랭을 행함으로써 배향 결정화되어 있지 않은 비정부의 질서 구조 형성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길이 방향 연신 후의 폭 방향 연신 시에 보다 분자쇄의 배향이 균일하게 고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Ⅰ), (Ⅱ)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Ⅰ), (Ⅱ)식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폭 방향의 연신을 행할 때 예열 온도는 70~80℃로 저온으로 하고, 연신 온도는 90~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분자쇄의 배향을 균일하게 진행시키기 위해서 텐터 내의 예열 공정, 연신 공정의 각 공정의 구획 수를 늘리고, 온도를 균일하게 제어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열 공정에서 3실 이상, 연신 공정에서 3실 이상으로 하고, 각각의 구획마다 차폐판 및 열풍을 차단하는 팬을 부착해서 구획마다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또한, 1구획의 길이는 4000mm 길이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텐터를 사용하여 폭 방향의 연신을 행함으로써 분자쇄의 배향이 균일하게, 또한 고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Ⅰ), (Ⅱ)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폭 방향으로 연신 후에 필름의 열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처리는 오븐 중, 가열한 롤 상 등 종래 공지의 임의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열 처리는 180℃~24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 처리 시간은 특성을 악화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60초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0초간 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열 처리는 필름을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이완시켜서 행해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알루미늄박 적층 후의 성형 추종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25℃에 있어서의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0% 신장시 응력(F10값)이 각각 하기 (Ⅲ), (Ⅳ)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F10MD≥120MPa …(Ⅲ)
F10TD≥120MPa …(Ⅳ)
(Ⅲ), (Ⅳ)식을 만족시킨다는 것은 필름 변형 초기 단계에서의 강도가 매우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이와 같은 물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특히 비정쇄의 긴장도가 매우 높은 것이 중요하고, 이 비정 긴장도를 높게 함으로써 필름을 성형시킬 때에 탄성 변형으로부터 소성 변형으로 이행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매우 높은 강도를 나타내는 필름이 된다. 필름이 소성 변형을 개시하면 넥킹이 발생하기 때문에 알루미늄박을 적층 후에 성형할 때에 알루미늄박이 추종 변형할 수 있었다고 한들 작은 핀홀(이하 PH)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Ⅲ), (Ⅳ)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또한, (Ⅲ), (Ⅳ)식을 만족시킴으로써 전지 외장용 구성체, 의약 포장 구성체에 적용되었을 때의 내충격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알루미늄박 적층체의 성형 후의 PH 발생을 억제시키기 위해서 25℃에 있어서의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0% 신장시 응력(F10값)이 각각 하기 (Ⅲ)', (Ⅳ)'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F10MD≥125MPa …(Ⅲ)'
F10TD≥125MPa …(Ⅳ)'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Ⅲ), (Ⅳ)식을 만족시키는 방법으로서는 (Ⅰ), (Ⅱ)식을 만족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특히, 비정 긴장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폭 방향의 연신 공정 전까지 가능한 한 결정 전구체와 같은 비정부의 질서 구조의 형성을 억제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캐스트 온도를 0~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 방향의 연신 후에 냉각 롤을 사용하여 급랭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의 냉각 롤의 온도를 0~15℃,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로 하고, 또한 냉각 롤은 롤 지름 150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70mm 이상의 롤을 6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8개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길이 방향, 폭 방향의 연신 배율로서는 각각의 방향으로 3.6~4.2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3.7~4배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을 동시에 만족시킴으로써 (Ⅲ), (Ⅳ)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고배율 연신된 고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보다, 특히 비정 긴장도를 높게 하기 때문에 (Ⅲ), (Ⅳ)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알루미늄박 적층 후의 성형 추종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25℃에 있어서의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0% 신장시 응력(F10값)이 각각 하기 (Ⅲ), (Ⅳ)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막성의 관점으로부터 F10MD, F10TD의 상한값은 20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비용의 관점으로부터 17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생산성의 관점으로부터 150MPa 이하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균일 형상 성형성의 관점으로부터 25℃에 있어서의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0% 신장시 응력이 각각 하기 (Ⅴ)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2≥F10MD/F10TD≥0.8 …(Ⅴ)
(Ⅴ)식을 만족시킨다는 것은 필름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강도가 밸런스화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강도가 밸런스화됨으로써 성형할 때에 균일한 형상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Ⅴ)식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을 근접하게 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의 차의 절대값(|길이 방향 연신 배율-폭 방향 연신 배율|)은 0 이상 0.2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0 이상 0.1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열성의 관점으로부터 200℃에 있어서의 열 수축률이 길이 방향, 폭 방향 모두 -5~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전지 외장용 구성체, 의약 포장용 구성체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알루미늄박/실란트 필름이라는 구성체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열해서 실란트 필름 부분을 히트 실링할 때 및 전지 제품이 된 후의 고온 환경 하에서의 내열성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200℃에 있어서의 열 수축률이 길이 방향, 폭 방향 모두 -5~5%로 함으로써 히트 실링 시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수축이 낮기 때문에 구성체로서의 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지 제품이 된 후에 고온 환경 하에 노출되었을 경우에도 필름의 수축 기인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알루미늄박 사이에서의 박리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에 있어서의 열 수축률이 길이 방향, 폭 방향 모두 -1~4%인 것이 바람직하고, 0~3%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200℃에 있어서의 열 수축률을 길이 방향, 폭 방향 모두 -5~5%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2축 연신 후의 필름의 열 처리 조건을 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내열성, 필름의 품위의 관점으로부터 2축 연신 후의 열 처리 온도는 200℃~240℃이면 바람직하고, 210℃~230℃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열 처리 온도는 시차 주사형 열량계(DSC)에 있어서 질소 분위기 하, 20℃/분의 승온 속도에서 측정했을 때의 DSC 곡선에 열 이력에 기인하는 미소 흡열 피크로부터 구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열 처리 시간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0~60초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0초간 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열 처리는 필름을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이완시켜서 행해도 좋다. 또한, 열 처리는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이완시키면서 행함으로써 열 수축률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열 처리 시의 바람직한 이완율(릴랙스율)은 3% 이상이고, 치수 안정성, 생산성의 관점으로부터는 3% 이상 10% 이하이면 바람직하며, 3% 이상 5% 이하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2단계 이상의 조건에서 열 처리하는 방법도 매우 바람직하다. 200℃~240℃의 고온에서의 열 처리 후에 열 처리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이완시키면서 열 처리함으로써 열 수축률을 더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의 2단계째의 열 처리 온도는 120℃~180℃이면 바람직하고, 150℃~180℃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Ⅰ), (Ⅱ)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분자쇄가 균일하게 고도로 배향하고 있기 때문에 열 수축률은 통상의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비교해서 높아지는 경향이 된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열 수축률을 저감시키는 방법에 추가해서 2축 연신 후와 열 처리 사이에 연신 온도 동등의 온도에서 한번 이완시킨 후에 고온에서 열 처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때의 이완율(릴랙스율)은 분자쇄의 배향이 저감되지 않는 범위이면 특별히 문제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0.5%~3%,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성형성의 관점으로부터 동마찰 계수(μd)가 0.3~0.8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전지 외장용 또는 의약 포장용으로서 사용했을 경우 이들의 구성체는 암수형의 프레스 성형에 의해 성형되지만, 동마찰 계수(μd)를 0.3~0.8로 함으로써 프레스형과의 슬라이딩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스무스하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7이고, 0.3~0.6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란 필름의 임의의 면과, 그 면과 반대측의 면의 동마찰 계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동마찰 계수(μd)를 0.3~0.8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필름 중에 입자를 함유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함유시키는 입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평균 입자 지름 0.01~5㎛의 내부 입자, 무기 입자 또는 유기 입자를 들 수 있고, 0.01~1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입자의 평균 입자 지름은 0.05~3㎛이면 바람직하고, 0.1~2㎛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내부 입자의 석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소 48-6155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51-128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53-4135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54-90397호 공보 등에 기재된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고 소 55-20496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소 59-204617호 공보 등의 다른 입자를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무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습식 및 건식 실리카, 콜로이드 실리카, 규산 알루미늄, 산화티탄, 탄산 칼슘, 인산 칼슘, 황산 바륨, 산화알루미늄, 마이카, 카올린, 클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입자로서는 스티렌, 실리콘, 아크릴산류, 메타크릴산류, 폴리에스테르류, 디비닐 화합물 등을 구성 성분으로 하는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습식 및 건식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무기 입자 및 스티렌, 실리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폴리에스테르, 디비닐벤젠 등을 구성 성분으로 하는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내부 입자, 무기 입자 및 유기 입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알루미늄박과의 밀착성의 관점으로부터 적어도 편면에 이접착층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뛰어난 밀착성이나 접착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접착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수지를 필름 표면에 피복(복합 용융 압출법, 핫 멜트 코팅법, 물 이외의 용매, 수용성 및/또는 수분산성 수지로부터의 인라인, 오프라인 코팅법 등)하는 방법이나 마찬가지의 조성 또는 그 브렌드품의 표면 적층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배향 결정화가 완료되기 전의 필름의 한쪽 면에 피막 도제를 도포하고, 적어도 한방향으로 연신하여 열 처리해서 배향 결정화를 완료시키는 인라인 코팅법이 균일한 피막 형성이나 공업상 바람직하다. 또한, 코팅에 의해 이접착층을 형성할 경우 이접착성을 부여하는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비닐계 수지, 염소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각종 그래프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수지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밀착성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수계 도액으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사용되지만, 이와 같은 수용성화 또는 수분산화를 위해서는 술폰산염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나 카르복실산염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 수지를 수성 도액으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물에 용해 또는 분산된 상태로 할 필요가 있고, 유화제로서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폴리에테르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접착층에는 접착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수지에 각종 가교제를 병용할 수 있다. 가교제 수지로서는 멜라민계, 에폭시계, 옥사졸린계 수지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접착층에 함유되는 입자로서는 무기계 입자나 유기계 입자를 들 수 있지만, 이활성이나 내블록킹성이 향상되므로 무기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무기 입자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카올린, 탈크, 마이카, 탄산 칼슘, 티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알루미늄박 적층 후의 성형 추종성, PH 발생 억제,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두께는 12㎛ 이상 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6㎛ 이상 38㎛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20㎛ 이상 30㎛ 이하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적어도 편면에 두께 10㎛ 이상 100㎛ 이하의 금속박을 적층해서 적층체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금속박은 두께 10㎛ 이상 60㎛ 이하이다. 그 중에서도 가스 배리어성, 성형성, 비용의 관점으로부터 두께 10㎛ 이상 60㎛ 이하의 알루미늄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알루미늄박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순 알루미늄계 또는 알루미늄-철계 합금재를 사용할 수 있다. 알루미늄박의 두께를 10㎛ 이상 60㎛ 이하로 함으로써 성형 추종성과 산소나 수분의 배리어성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두께 20㎛ 이상 50㎛ 이하이며, 25㎛ 이상 45㎛ 이하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박은 라미네이트의 접착 성능을 향상시키는 목적에서 실란 커플링제, 티탄 커플링제 등의 언더코팅 또는 코로나 방전 처리 등의 사전 처리를 행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이접착층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이접착층측에 알루미늄박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알루미늄박을 적층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밀착성의 관점으로부터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사용하는 접착제로서는 열 경화 타입이어도 좋고, 열 가소 타입이어도 상관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열 경화 타입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클로로프렌, 폴리부타디엔 등의 고무계 수지,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부타디엔 또는 이들 수지의 카르복실 변성물, 에폭시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유도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계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아크릴계 수지, 리그닌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폴리올레핀 필름의 밀착성의 점으로부터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알루미늄박 상에 실란트 필름을 더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트 필름으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수지, 호모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계 수지의 단체 내지 혼합물 등을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박과 실란트 필름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알루미늄박과 실란트 필름 사이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개재시키는 방법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여기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란 폴리올레핀 수지의 편말단, 양말단 및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한 개 이상의 극성기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가리킨다. 여기서 극성기란 산소 원자, 질소 원자 등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이며, 구체적으로는 아미드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실기 등의 관능기 및 그들 관능기를 포함하는 치환기이다.
이러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에 의한 변성 또는 수지의 산화 분해에 의해 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에 의해 변성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해서 중합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메틸펜텐 폴리머, 기타 α-올레핀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 말레산, 푸말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으로 변성시킨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인 것이 폴리에스테르층(A층)과의 층간 밀착성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무수 말레산이 특히 바람직하고, 즉 폴리올레핀 수지를 무수 말레산으로 변성시킨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에 의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제 "유멕스", Mitsui Chemicals, Inc.제 "애드마",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제 "모딕", Arkema Inc.제 "오레백", "로타더", Toyo Kasei Co., Ltd.제 "토요택" 등의 각종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수지의 산화 분해에 의해 변성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제 "비스콜", "선왁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성형 용도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25℃에 있어서의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5% 신장시 응력(F5값) 및 10% 신장시 응력(F10값)이 특정 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명확한 항복점을 나타내지 않고, 특히 알루미늄박이라는 금속박을 적층한 후에 성형되는 용도에 적용했을 경우, 성형 추종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형상으로의 대응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와 같이 알루미늄박이라는 금속박을 적층한 후의 딥 드로잉 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용량화 대응의 전지 외장용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전지 외장에는 전지 성능 유지 때문에 수증기의 진입을 방지하는 수증기 배리어성, 전해액에서 팽윤하지 않는 내전해액성, 고용량화로의 요구에 대응하는 딥 드로잉 성형성이 요구된다. 고도의 수증기 배리어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금속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증기 배리어성, 성형성, 비용의 관점으로부터 두께 10㎛ 이상 60㎛ 이하의 알루미늄박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알루미늄박에 적층한 후의 딥 드로잉 성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전지 외장 용도에 적용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전지 외장용 적층체, 또한 구성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의약 포장 용도에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의약 포장은 내용물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가스 배리어성, 수증기 배리어성이 필요하며, 인쇄를 실시하는 방법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인쇄 적성이 요구된다. 또한, 여러 가지 형상의 내용물에 대응할 수 있는 딥 드로잉 성형성으로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고도인 가스 배리어성, 수증기 배리어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금속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증기 배리어성, 성형성, 비용의 관점으로부터 두께 10㎛ 이상 60㎛ 이하의 알루미늄박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알루미늄박에 적층한 후의 딥 드로잉 성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의약 포장 용도에 적용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의약 포장용 적층체, 또한 구성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의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평가를 행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전지 외장 용도 및 의약 포장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전지의 고용량화 대응, 여러 가지 형상의 내용물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알루미늄박을 적층한 후의 성형 추종성이 중요한 특성이다.
(1) 폴리에스테르의 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필름을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FIP)에 용해하고, 1H-NMR 및 13C-NMR을 사용하여 각 모노머 잔기나 부생 디에틸렌글리콜에 대해서 함유량을 정량했다.
(2) 필름 두께
필름 전체의 두께를 측정할 때에는 다이얼 게이지를 사용하여 필름을 200mm×300mm로 잘라내고, 각각의 시료의 임의의 장소 5개소의 두께를 측정하여 평균해서 구했다.
(3) 굴절률
나트륨 D선(파장 589nm)을 광원으로 하고, 아베 굴절계를 사용하여 필름의 굴절률을 측정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름의 임의의 한 방향(0°), 상기 방향으로부터 15°, 30°, 45°, 60°, 75°, 90°, 105°, 120°, 135°, 150°, 165°의 방향의 굴절률을 측정하여 가장 굴절률이 높았던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고, 폭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했다.
(4) F10MD, F5MD, F10TD, F5TD, F10MD/F5MD, F10TD/F5TD
25℃, 63%Rh의 조건 하에서 필름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길이 150mm×폭 10mm의 사각형으로 잘라내서 샘플로 했다. 인장 시험기(Orientec Co., Ltd.제 텐실론 UCT-100)를 사용하여 크로스헤드 스피드 300mm/분, 폭 10mm, 시료 길이 50mm로 해서 필름의 길이 방향, 폭 방향에 대해서 인장 시험을 행하고, 길이 방향의 10% 신장시의 응력을 F10MD, 5% 신장시의 응력을 F5MD, 또한 폭 방향의 10% 신장시의 응력을 F10TD, 5% 신장시의 응력을 F5TD로 했다. 각 측정은 각각 5회씩 행하여 그 평균을 사용했다.
(5) 200℃에 있어서의 열 수축률
필름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길이 150mm×폭 10mm의 직사각형으로 잘라내서 샘플로 했다. 샘플에 100mm의 간격으로 표선을 그리고, 3g의 추를 매달아서 200℃로 가열한 열풍 오븐 내에 10분간 설치해서 가열 처리를 행했다. 열 처리 후의 표선간 거리를 측정하고, 가열 전후의 표선간 거리의 변화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열 수축률을 산출했다. 측정은 각 필름 모두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5샘플 실시해서 평균값으로 평가를 행했다.
열 수축률(%)={(가열 처리 전의 표선간 거리)-(가열 처리 후의 표선간 거리)}/(가열 처리 전의 표선간 거리)×100
(6) 동마찰 계수(μd)
JIS K7125(1999년)에 따라 슬립 테스터를 사용하여 하기 조건에서 동마찰 계수(μd)를 측정했다. 또한, 측정은 필름의 임의의 면과, 그 면과 반대측의 면을 접촉시켜서 측정을 행했다.
시료 사이즈: 75mm(폭)×100mm(길이)
슬라이딩 속도: 150mm/분
하중: 1.96N
(7) 제막성
각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막했을 때 안정 제막
○: 1000m 이상, 전혀 찢어짐이 발생하지 않고 제막할 수 있었다
△: 600m 이상 1000m 미만에서 찢어짐이 발생했다
×: 600m 미만에서 찢어짐이 발생했다.
(8) 구성체의 성형 추종성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알루미늄박(두께 40㎛)을 우레탄계의 접착제(Toyo-Morton, Ltd.제, AD-502, CATl0L, 아세트산 에틸을 15:1.5:25(질량비))를 사용해서 상법에 의해 드라이 라미네이팅해서 적층체를 작성했다. 또한, 알루미늄박 상에 실란트로서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폴리프로필렌을 공압출한 2층 공압출 필름(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층: 15㎛, 폴리프로필렌 수지층: 30㎛)을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층이 알루미늄박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가열 압착(120℃, 0.3MPa, 2m/min)시킴으로써 적층시켜서 구성체를 작성했다. 얻어진 구성체를 200mm×200mm 크기로 잘라내고, 150mm×150mm의 직사각형상의 웅형(雄型)(R: 2mm)과 이 웅형과의 클리어런스가 0.5mm인 자형(雌型)(R: 2mm)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을 사용하여 웅형측에 실란트측이 오도록 자형 상에 구성체를 세팅하고, 프레스 성형(가압: 0.1MPa)을 행하여 하기의 기준에서 평가를 행했다.
◎: 10mm 이상에서 성형할 수 있었다(파손 없음)
○: 7m 이상 10mm 미만에서 파손이 발생
△: 5mm 이상 7mm 미만에서 파손이 발생
×: 5mm 미만에서 파손이 발생
(9) 구성체 성형 후의 발생 PH
(8)의 성형성 추종성 평가에서 파손되지 않고 성형된 높이에 있어서 성형 테스트를 30회 실시하고, 각 성형체에 대해서 암실에서 Funatech Co., Ltd.제 투과 광 검사 램프를 사용하여 PH의 발생 상황을 육안으로 판정하고, 성형체 30개 중 PH가 발생해 있던 성형체의 개수를 카운팅했다.
(10) 구성체의 컬성
(8)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얻어진 구성체를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가열 압착(200℃, 0.3MPa, 2m/min)시켜 수평한 받침대에 둔 후의 컬성에 대해서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를 행했다.
◎: 부상 높이가 1cm 미만인 것
○: 부상 높이가 1cm 이상 2cm 미만인 것
△: 부상 높이가 2cm 이상 3cm 미만인 것
×: 부상 높이가 3cm 이상인 것
이하에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구체적 제조예를 기재한다.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제막에 제공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이하와 같이 준비했다.
(폴리에스테르 A)
테레프탈산 디메틸 100질량부, 에틸렌글리콜 70질량부의 혼합물에 아세트산 망간 0.04질량부를 첨가하여 서서히 승온시키고, 최종적으로는 220℃에서 메탄올을 유출시키면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행했다. 이어서 인산 85% 수용액 0.025질량부, 이산화게르마늄 0.02질량부를 첨가하여 290℃, 1hPa의 감압 하에서 중축합 반응을 행하고, 고유 점도가 0.65, 부생한 디에틸렌글리콜 1몰% 공중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B)
테레프탈산 디메틸 90질량부, 이소프탈산 디메틸 10질량부 및 에틸렌글리콜 70질량부의 혼합물에 0.09질량부의 아세트산 마그네슘과 0.03질량부의 삼산화안티몬을 첨가하여 서서히 승온시키고, 최종적으로는 220℃에서 메탄올을 유출시키면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행했다. 이어서 상기 에스테르 교환 반응 생성물에 0.020질량부의 인산 85% 수용액을 첨가한 후 중축합 반응부에 이행했다. 중합부 내에서 가열 승온하면서 반응계를 서서히 감압해서 1hPa의 감압 하, 287℃에서 중축합 반응을 행하고, 고유 점도 0.7, 부생한 디에틸렌글리콜이 1몰% 공중합된 이소프탈산 10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얻었다.
(입자 마스터)
폴리에스테르 A 중에 평균 입자 지름 2.2㎛의 응집 실리카 입자를 입자 농도 2질량%로 함유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입자 마스터(고유 점도 0.65).
(도제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N-메틸롤아크릴아미드=63/35/1/1중량%의 공중합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수지: 3.00질량%
·멜라민 가교제: 0.75질량%
·콜로이달실리카 입자(평균 입경: 80nm): 0.15질량%
·헥산올: 0.26질량%
·부틸셀로솔브: 0.18질량%
·물: 95.66질량%
(도제 B)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트리멜리트산/세바스산/에틸렌글리콜/네오펜틸글리콜/1,4-부탄디올=28/9/10/3/15/18/17몰%의 공중합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6.0질량%
·멜라민 가교제: 0.3질량%
·콜로이드 실리카 입자(평균 입경:80nm): 0.06질량%
·부틸셀로솔브: 1.36질량%
·물: 92.28질량%
(실시예 1)
각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진공 건조기에서 180℃ 4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충분하게 제거한 후 단축 압출기에 표에 나타낸 조성으로 공급, 280℃에서 용융하고, 필터, 기어 펌프를 통해 이물의 제거, 압출량의 균정화를 행한 후 T 다이로부터 4℃로 온도 제어한 냉각 드럼(최대 높이 0.2㎛의 하드 크롬 도금) 상에 시트상으로 토출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그 때 T 다이의 립과 냉각 드럼 사이의 거리는 35mm로 설정하고, 지름 0.1mm의 와이어상 전극을 사용해서 14kV의 전압에서 정전 인가시켜서 냉각 드럼에 밀착을 시켰다. 또한, 시트의 냉각 드럼의 통과 속도는 25m/분, 시트의 냉각 드럼과의 접촉 길이는 2.5m로 했다.
이어서 길이 방향으로의 연신 전에 가열 롤에서 필름 온도를 상승시키고, 예열 온도를 60℃, 연신 온도를 85℃에서 길이 방향으로 3.9배 연신하고, 곧바로 롤 표면 온도를 6℃로 설정한 8개의 냉각 롤(각각 롤 지름은 180mm, 최대 높이 0.2㎛의 하드 크롬 도금)을 사용하여 급냉각을 행했다. 이 때 냉각 롤의 통과 속도는 90m/분, 1축 연신 필름의 냉각 롤과의 접촉 길이는 4m로 했다. 이 1축 연신 필름에 공기 중에서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고, 그 처리면에 이접착층으로서 이하의 도제 A를 초음파 분산시키면서 혼합하여 #4 메탈링 바로 균일하게 도포했다.
이어서 텐터식 횡연신기에서 구간 온도 75℃로 설정한 3구간(각각 2500mm 길이)에서 예열을 행하고, 구간 온도 95℃로 설정한 3구간(각각 3000mm 길이)에서 폭 방향으로 3.8배 연신하고, 그 다음 1구간(3000mm 길이)에서 폭 방향으로 2%의 릴랙스를 가했다. 또한, 220℃로 설정한 5구간(각각 3000mm 길이)에서 5초간의 열 처리를 행하고, 그 후에 170℃로 설정한 3구간(각각 2500mm 길이)에서 폭 방향으로 5%의 릴랙스를 가하여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냉각 드럼 온도를 7℃로 온도 제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냉각 드럼 온도를 15℃로 온도 제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길이 방향으로 연신한 후의 냉각 공정에 있어서 냉각 롤의 개수를 6개(1축 연신 필름의 냉각 롤과의 접촉 길이는 3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5)
길이 방향으로 연신한 후의 냉각 공정에 있어서 냉각 롤의 개수를 4개(1축 연신 필름의 냉각 롤과의 접촉 길이는 2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Figure 112013046134668-pct00001
(실시예 6)
폭 방향의 연신 공정에 있어서 예열 구간을 2구간(각각 2500mm 길이)에서 예열을 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7)
폭 방향의 연신 공정에 있어서 연신 구간을 2구간(각각 3000mm 길이)에서 예열을 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8)
폭 방향의 연신 후의 열 처리 공정에 있어서 220℃로 설정한 5구간(각각 3000mm 길이)에서 5초간의 열 처리를 행하고, 그 후에 170℃로 설정한 3구간(각각 2500mm 길이)에서 폭 방향으로 2%의 릴랙스를 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9)
폭 방향의 연신 후의 열 처리 공정에 있어서 200℃로 설정한 5구간(각각 3000mm 길이)에서 5초간의 열 처리를 행하고, 그 후에 170℃로 설정한 3구간(각각 2500mm 길이)에서 폭 방향으로 2%의 릴랙스를 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0)
폭 방향의 연신 후에 그 다음 1구간(3000mm 길이)에서 폭 방향에서는 릴랙스를 가하지 않고, 열 처리 공정에 있어서 200℃로 설정한 5구간(각각 3000mm 길이)에서 5초간의 열 처리를 행하고, 그 후에 170℃로 설정한 3구간(각각 2500mm 길이)에서 폭 방향으로 2%의 릴랙스를 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200℃의 열 수축률이 높았기 때문에 구성체로 했을 때에 컬성이 발생했지만,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의 실용 특성으로서는 문제 없었다.
Figure 112013046134668-pct00002
(실시예 11)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을 4.1배,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을 4.2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2)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을 3.6배,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을 3.6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3)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을 3.5배,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을 3.5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4)
조성을 표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5)
조성을 표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Figure 112013046134668-pct00003
(실시예 16)
조성을 표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기계 특성은 양호했지만, 마찰 계수가 약간 높았으므로 성형 추종성이 약간 저하되었다.
(실시예 17)
도제를 B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8)
길이 방향으로 1축 연신 후에 이접착층을 도포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기계 특성은 양호했지만, 이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성형 추종성이 약간 저하되었다.
(실시예 19)
냉각 드럼 온도를 10℃로 온도 제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0)
길이 방향으로 연신한 후의 냉각 공정에 있어서 냉각 롤의 개수를 7개(1축 연신 필름의 냉각 롤과의 접촉 길이는 3.5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Figure 112013046134668-pct00004
(실시예 21)
냉각 드럼 온도를 15℃로 온도 제어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신한 후의 냉각 공정에 있어서 냉각 롤의 개수를 6개(1축 연신 필름의 냉각 롤과의 접촉 길이는 3m)로 하고,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을 3.5배,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을 3.5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2)
냉각 드럼 온도를 15℃로 온도 제어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신한 후의 냉각 공정에 있어서 냉각 롤의 개수를 4개(1축 연신 필름의 냉각 롤과의 접촉 길이는 2m)로 하고,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을 3.5배,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을 3.7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3)
냉각 드럼 온도를 15℃로 온도 제어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신한 후의 냉각 공정에 있어서 냉각 롤의 개수를 4개(1축 연신 필름의 냉각 롤과의 접촉 길이는 2m)로 하고,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을 3.7배,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을 3.5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4)
필름 두께를 19㎛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5)
필름 두께를 1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Figure 112013046134668-pct00005
(비교예 1)
냉각 드럼 온도를 15℃, 정전 인가 전압을 10kV로 하고, 길이 방향의 예열 온도를 65℃, 연신 온도를 95℃, 연신 후의 냉각을 냉각 롤 온도를 15℃로 설정한 5개(1축 연신 필름의 냉각 롤과의 접촉 길이는 2.5m)의 냉각 롤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길이 방향의 예열 온도를 65℃, 연신 온도를 95℃, 연신 후의 냉각을 냉각 롤 온도를 15℃로 설정한 5개(1축 연신 필름의 냉각 롤과의 접촉 길이는 2.5m)의 냉각 롤을 사용하여 행하고, 폭 방향의 예열 온도를 90℃, 연신 온도를 11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폭 방향의 연신 공정에 있어서 구간 온도 90℃로 설정한 1구간(각각 5000mm 길이)에서 예열을 행하고, 구간 온도 110℃로 설정한 3구간(각각 6000mm 길이)에서 폭 방향으로 3.8배 연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을 3.4배,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을 3.4배로 연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25㎛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5)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을 4.3배,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을 4.6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제막을 행한 결과 찢어짐이 다발해서 만족스러운 필름을 얻을 수 없었다.
Figure 112013046134668-pct00006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25℃에 있어서의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5% 신장시 응력(F5값) 및 10% 신장시 응력(F10값)이 특정 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알루미늄박을 적층한 후의 성형 추종성이 양호하고, 딥 드로잉 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용량화 대응의 전지 외장용 구성체, 여러 가지 형상에 대응 가능한 의약 포장용 구성체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25℃에 있어서의 필름의 길이 방향(MD) 및 폭 방향(TD)의 5% 신장시 응력(F5값) 및 10% 신장시 응력(F10값)은 각각 하기 (Ⅰ), (Ⅱ)식을 만족시키고,
    25℃에 있어서의 필름의 길이 방향(MD) 및 폭 방향(TD)의 10% 신장시 응력(F10값)은 각각 하기 (Ⅲ), (Ⅳ)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5≥F10MD/F5MD≥1 …(Ⅰ)
    1.5≥F10TD/F5TD≥1 …(Ⅱ)
    F10MD≥120MPa …(Ⅲ)
    F10TD≥120MPa …(Ⅳ)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글리콜 단위의 95몰% 이상은 에틸렌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이며, 또한 디카르복실산 단위의 95몰% 이상은 테레프탈산 유래의 구조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25℃에 있어서의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0% 신장시 응력은 각각 하기 (Ⅴ)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2≥F10MD/F10TD≥0.8 …(Ⅴ)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200℃에 있어서의 열 수축률은 길이 방향, 폭 방향 모두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편면의 동마찰 계수(μd)는 0.3~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성형 용도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금속박 라미네이트용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전지 외장용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의약 포장용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두께 10㎛ 이상 60㎛ 이하의 알루미늄박을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전지 외장용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의약 포장용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KR1020137013394A 2010-12-24 2011-12-15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KR101879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87139 2010-12-24
JP2010287139 2010-12-24
PCT/JP2011/078990 WO2012086501A1 (ja) 2010-12-24 2011-12-15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551A KR20130141551A (ko) 2013-12-26
KR101879609B1 true KR101879609B1 (ko) 2018-07-18

Family

ID=46313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394A KR101879609B1 (ko) 2010-12-24 2011-12-15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492987B2 (ko)
EP (1) EP2657003B1 (ko)
JP (1) JP5891792B2 (ko)
KR (1) KR101879609B1 (ko)
CN (1) CN103282185B (ko)
HU (1) HUE037546T2 (ko)
PL (1) PL2657003T3 (ko)
TW (1) TWI574838B (ko)
WO (1) WO20120865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371A (ko) * 2019-05-08 2020-11-1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18243B (zh) * 2012-10-31 2018-03-13 东丽株式会社 聚酯膜、使用了该膜的层合体、及含有该层合体和密封层的构造体
JPWO2015125806A1 (ja) * 2014-02-18 2017-03-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用包装材料
EP3121864B1 (en) * 2014-04-24 2019-03-06 Toppan Printing Co., Ltd. Storage battery device outer-package material and storage battery device using same
KR20220136501A (ko) 2014-08-28 2022-10-07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전지용 포장 재료
JP6003956B2 (ja) * 2014-09-26 2016-10-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用包装材料
JP6003953B2 (ja) * 2014-08-28 2016-10-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用包装材料
CN114696014A (zh) * 2015-03-03 2022-07-01 凸版印刷株式会社 蓄电装置用封装材料、及使用其的蓄电装置
WO2017047634A1 (ja) * 2015-09-16 2017-03-23 凸版印刷株式会社 蓄電装置用外装材及び蓄電装置用外装材の製造方法
JP7240081B2 (ja) * 2016-04-12 2023-03-15 凸版印刷株式会社 蓄電装置用外装材及び蓄電装置用外装材の製造方法
KR20180052630A (ko) 2015-09-16 2018-05-18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축전 장치용 외장재 및 축전 장치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
JP7377417B2 (ja) * 2016-04-12 2023-11-10 Toppan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蓄電装置用外装材及び蓄電装置用外装材の製造方法
CN109415520B (zh) * 2016-07-01 2023-01-13 三菱化学株式会社 热收缩性膜、箱状包装材料及电池单元
EP3266606A1 (en) 2016-07-04 2018-01-10 Amcor Flexibles Rorschach AG Deep-drawable film
JP6245328B2 (ja) * 2016-09-07 2017-12-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用包装材料
JP6319387B2 (ja) * 2016-09-07 2018-05-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用包装材料
KR102459146B1 (ko) * 2017-04-07 2022-10-27 시오 인코퍼레이티드 고전압 리튬 이온 전지용 디에스테르-계 폴리머 전해질
US10367228B2 (en) 2017-04-07 2019-07-30 Seeo, Inc. Diester-based polymer electrolytes for high voltage lithium ion batteries
US11739182B2 (en) * 2018-01-31 2023-08-29 Toyobo Co., Ltd. Polyester composition, polyester film,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JP6627908B2 (ja) * 2018-04-05 2020-01-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用包装材料
PL3584275T3 (pl) * 2018-06-20 2021-10-25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rzezroczysta, termoformowalna, dwuosiowo orientowana folia poliestrowa, sposób jej wytwarzania i jej zastosowanie
JP7010183B2 (ja) * 2018-09-11 2022-01-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帯状電極板の製造方法、電池の製造方法及び電極板製造装置
JP7352131B2 (ja) * 2019-03-26 2023-09-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積層体、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及び蓄電デバイス
US11630239B2 (en) * 2019-10-28 2023-04-18 Skc Co., Ltd. Polyester film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TWI727646B (zh) * 2020-02-07 2021-05-1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雷射壓紋用聚酯膜及其製造方法
JP7444178B2 (ja) 2020-10-07 2024-03-06 東洋紡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積層体
JP7444177B2 (ja) 2020-10-07 2024-03-06 東洋紡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積層体
EP4316836A1 (en) 2021-03-24 2024-02-07 Toyobo Co., Ltd. Biaxially-oriented polyester film and layered body
WO2023195472A1 (ja) * 2022-04-06 2023-10-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その製造方法、及び蓄電デバイス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3002A (ja) * 1998-04-08 1999-10-26 Teijin Ltd 金属板貼合せ成形加工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0123800A (ja) * 1998-10-15 2000-04-28 Showa Alum Corp 電池ケース用包材
JP2009515786A (ja) * 2005-11-17 2009-04-16 アルカン テヒノロギー ウント メーニッジメント リミテッド ブリスター基底部品用の冷間成形可能なラミネ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1556A (ko) 1971-12-04 1973-08-29
JPS5112860A (ja) 1974-07-23 1976-01-31 Unitika Ltd Seidenseihoriesuterueeterusoseibutsu
JPS5341355A (en) 1976-09-29 1978-04-14 Toray Ind Inc Biaxilialy streched polyester film
JPS6050208B2 (ja) 1977-12-28 1985-11-07 ダイアホイル株式会社 フイルム成形用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BE869173A (nl) 1978-07-20 1978-11-16 Esso N V Sa Werkwijze en toestel voor het controleren van de ijking van een op een onder druk staand reservoir gemonteerde inwendige veiligheidsklep
US4238443A (en) * 1979-08-09 1980-12-0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transversely stretch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JPH0713134B2 (ja) 1983-05-06 1995-02-15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2519066B2 (ja) * 1987-08-31 1996-07-3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H0639128B2 (ja) * 1988-04-18 1994-05-25 東洋紡績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003144B2 (ja) * 1989-11-29 2000-01-24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樹脂積層フィルム
JP2827453B2 (ja) * 1990-05-23 1998-11-25 東レ株式会社 塗布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US5292471A (en) * 1990-12-13 1994-03-08 Toray Industries, Inc. Process for forming a polyester film
EP0734851B1 (en) * 1995-03-31 2004-04-2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Laminate of liquid crystal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ilm and metallic foil, and printed-wiring board using the same
US6270869B1 (en) * 1998-12-02 2001-08-07 Alusuisse Technology & Management Ltd. Cold formable laminate films
CN100353584C (zh) * 1999-04-08 2007-12-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电池用包装材料、电池包装用袋体及其制造方法
CA2698723C (en) * 1999-12-17 2013-01-22 Dai Nippon Printing Co., Ltd. Packaging material for polymer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2052604A (ja) * 2000-08-09 2002-02-19 Teijin Ltd 化粧金属板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815662B2 (ja) * 2000-10-16 2011-11-16 東レ株式会社 成形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692976B2 (ja) * 2001-07-11 2005-09-07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3851153B2 (ja) * 2001-11-30 2006-11-29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46034A (ja) * 2002-02-25 2003-09-02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金属板貼合せ成形加工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1468817A1 (de) * 2003-04-16 2004-10-20 Alcan Technology & Management Ltd. Deckfolie für Blisterverpackungen
JP4543626B2 (ja) 2003-06-05 2010-09-15 東レ株式会社 リチウム電池包装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481765B2 (ja) 2005-02-28 2014-04-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用包装材
US7964265B2 (en) * 2005-03-28 2011-06-21 Toray Industries, Inc.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metallic laminated film
GB0522766D0 (en) * 2005-11-08 2005-12-14 Dupont Teijin Films Us Ltd Polymeric film packaging
CN101426646B (zh) * 2006-04-19 2013-10-09 东丽株式会社 成型部件用双轴取向聚酯膜
JP5266628B2 (ja) 2006-08-28 2013-08-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用包装材
JP4882919B2 (ja) * 2006-08-30 2012-02-22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包装体
JP5101906B2 (ja) * 2007-03-06 2012-12-19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電池ケース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WO2009078304A1 (ja) * 2007-12-14 2009-06-25 Toray Industries, Inc.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696360B2 (ja) * 2008-09-30 2015-04-08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349076B2 (ja) * 2009-02-23 2013-11-20 新日鉄住金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容器用樹脂被覆ステンレス鋼箔
CN102449040B (zh) * 2009-06-05 2014-11-19 东丽株式会社 聚酯膜、层合膜及使用其的太阳能电池背板、太阳能电池
JP5803147B2 (ja) * 2010-03-04 2015-11-04 東レ株式会社 電池外装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電池外装用構成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3002A (ja) * 1998-04-08 1999-10-26 Teijin Ltd 金属板貼合せ成形加工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0123800A (ja) * 1998-10-15 2000-04-28 Showa Alum Corp 電池ケース用包材
JP2009515786A (ja) * 2005-11-17 2009-04-16 アルカン テヒノロギー ウント メーニッジメント リミテッド ブリスター基底部品用の冷間成形可能なラミネー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플라스틱 필름 레진 재료 편람 2008 *
플라스틱 필름 레진 재료총람 2008, 일본, 가공기술연구회(2008.01.3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371A (ko) * 2019-05-08 2020-11-1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3083B1 (ko) 2019-05-08 2021-07-0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57003A4 (en) 2016-08-17
PL2657003T3 (pl) 2018-07-31
EP2657003A1 (en) 2013-10-30
JP5891792B2 (ja) 2016-03-23
US20130295377A1 (en) 2013-11-07
HUE037546T2 (hu) 2018-09-28
KR20130141551A (ko) 2013-12-26
TW201236869A (en) 2012-09-16
JPWO2012086501A1 (ja) 2014-05-22
WO2012086501A1 (ja) 2012-06-28
US9492987B2 (en) 2016-11-15
TWI574838B (zh) 2017-03-21
EP2657003B1 (en) 2018-02-07
CN103282185B (zh) 2016-09-07
CN103282185A (zh)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609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JP6206195B2 (ja) 複合体、複合体にシーラント層を積層した構成体。
JP6260314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9777110B2 (en) Polyester film, laminate including the film, and laminated assembly including the laminate and sealant layer
JP5966611B2 (ja) 積層体
JP5803147B2 (ja) 電池外装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電池外装用構成体
WO2017170333A1 (ja) 電池包装用積層体
JP6205868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7177412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該フィルムと金属箔、シーラント層を含むラミネート材。
JP2012238491A (ja) 電池外装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電池外装用積層体および構成体
CN114364534A (zh) 燃料电池用层叠体
JP7352131B2 (ja) 積層体、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及び蓄電デバイス
JP7088434B1 (ja)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その製造方法、及び蓄電デバイス
JP2014229526A (ja) 電池外装用積層フィルム
JP2022056851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23195472A1 (ja)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その製造方法、及び蓄電デバイス
WO2022071548A1 (ja)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その製造方法、及び蓄電デバイス
JP6147088B2 (ja) 電池外装用積層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