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645B1 - 적층 코몬 모드 필터 - Google Patents

적층 코몬 모드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645B1
KR101878645B1 KR1020160121273A KR20160121273A KR101878645B1 KR 101878645 B1 KR101878645 B1 KR 101878645B1 KR 1020160121273 A KR1020160121273 A KR 1020160121273A KR 20160121273 A KR20160121273 A KR 20160121273A KR 101878645 B1 KR101878645 B1 KR 101878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oil
terminal electrode
common mode
groun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8670A (ko
Inventor
유마 이시가와
다쿠오 하토리
마코토 요시노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8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27Electromagnetic interstage coupling
    • H01P1/20336Comb or interdigital filters
    • H01P1/20345Multilayer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66Printed inductances with a magnetic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2017/0093Common mode chok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09Printed windings on stacked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제 2 코일은 제 1 방향에서 제 1 코일과 대향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코일은 제 1 방향에서 제 1 도체와 제 2 도체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도체는 제 1 방향에서 제 1 코일과 이웃하고 있는 동시에,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코일의 일부와 중첩되어 있다. 제 2 도체는 제 1 방향에서 제 2 코일과 이웃하고 있는 동시에,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2 코일의 일부와 중첩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도체는 선상으로 연신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및 제 2 코일의 내측 영역은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및 제 2 도체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적층 코몬 모드 필터{A STACKED COMMON MODE FILTER}
본 발명은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109326호에 개시되어 있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는, 비자성 재료를 함유하는 비자성체부와, 자성 재료를 함유하고, 또한, 비자성체부를 사이에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는 한쌍의 자성체부를 가지고 있는 소체와, 비자성체부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한쌍의 자성체부가 대향하고 있는 제 1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는 제 1 및 제 2 코일과, 소체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제 1 및 제 2 도체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코일은, 제 1 방향에서 제 1 도체와 제 2 도체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서는, 제 1 코일과 제 2 도체 사이, 및, 제 2 코일과 제 2 도체 사이에 부유 용량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코몬 모드 노이즈에 대한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있어서의 감쇠 피크(감쇠극)가 고주파측으로 시프트하는 동시에, 그 깊이가 크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109326호에 기재된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서는, 제 1 및 제 2 도체는 제 1 방향에서 볼 때 베타상 또는 환상이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제 1 및 제 2 도체가 베타상이고,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및 제 2 코일의 내측 영역이 제 1 및 제 2 도체로 피복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코일에 의해 발생한 자속이, 제 1 및 제 2 도체에 의해 저해되기 때문에, 적층 코몬 필터에서는, 인덕턴스가 저하되는 동시에, 코몬 모드 임피던스가 저하된다.
제 1 및 제 2 도체가 환상인 경우, 제 1 및 제 2 코일에 의해 발생한 자속이 제 1 및 제 2 도체를 통과하면, 제 1 및 제 2 도체에 역기전력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제 1 및 제 2 도체에는, 제 1 및 제 2 코일에 의해 발생한 자속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자속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서는, 인덕턴스가 저하되는 동시에, 코몬 모드 임피던스가 저하된다.
코몬 모드 임피던스가 저하되면, 원하는 감쇠 특성이 얻어지는 주파수 대역이 좁아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의 목적은, 코몬 모드 노이즈에 대한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있어서의 감쇠 피크가 고주파수측으로 시프트하는 동시에 상기 감쇠 피크의 깊이가 크고, 또한, 코몬 모드 임피던스의 저하가 억제되어 있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는, 비자성 재료를 함유하는 비자성체부와, 자성 재료를 함유하고, 또한, 비자성체부를 사이에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는 한쌍의 자성체부를 가지고 있는 소체와, 소체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단자 전극, 제 2 단자 전극, 제 3 단자 전극, 제 4 단자 전극,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 및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과, 비자성체부에 배치되고, 제 1 단자 전극과 제 3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 1 코일과, 비자성체부에 배치되고, 제 2 단자 전극과 제 4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 2 코일과, 비자성체부에 배치되고,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과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도체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코일은 한쌍의 자성체부가 대향하고 있는 제 1 방향에서 제 1 코일과 대향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도체는, 선상으로 연신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및 제 2 코일은, 제 1 방향에서 제 1 도체와 제 2 도체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도체는 제 1 방향에서 제 1 코일과 이웃하고 있는 동시에,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코일의 일부와 중첩되어 있다. 제 2 도체는, 제 1 방향에서 제 2 코일과 이웃하고 있는 동시에,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2 코일의 일부와 중첩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코일의 내측 영역은,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및 제 2 도체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일 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서는, 제 1 방향에서 제 1 코일과 이웃하고 있는 제 1 도체가,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코일의 일부와 중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1 도체와 제 1 코일 사이에 부유 용량이 발생한다. 제 1 방향에서 제 2 코일과 이웃하고 있는 제 2 도체가,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2 코일의 일부와 중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2 도체와 제 1 코일 사이에 부유 용량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일 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서는, 코몬 모드 노이즈에 대한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있어서의 감쇠 피크(감쇠극)가 고주파수측으로 시프트하는 동시에, 그 깊이가 크다.
제 1 도체와 제 2 도체는, 선상으로 연신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코일에 의해 발생한 자속이, 제 1 및 제 2 도체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제 1 및 제 2 도체에는 역기전력이 발생하기 어렵다. 제 1 및 제 2 코일의 내측 영역은, 대향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및 제 2 도체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코일에 의해 발생한 자속이, 제 1 및 제 2 도체에 의해 저해되기 어렵다. 이들에 의해, 상기 일 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서는, 코몬 모드 임피던스의 저하가 억제되어 있다.
상기 일 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서는, 제 1 및 제 2 도체는, 직선상으로 연신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본 형태의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서는, 제 1 및 제 2 도체가 직선상으로 연신된 형상 이외의 형상(예를 들면, 사행(蛇行)상으로 연신된 형상 또는 크랭크 형상 등)인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 비해, 제 1 및 제 2 도체의 기생 인덕턴스가 적다. 이 결과, 감쇠 피크의 깊이가 보다 한층 크다.
상기 일 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서는, 제 1 및 제 2 도체의 폭은, 제 1 및 제 2 코일의 내측 영역의 폭보다도 작아도 좋다. 본 형태의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서는, 제 1 및 제 2 도체가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및 제 2 코일의 내측 영역과 중첩되어 있는 경우라도, 제 1 및 제 2 코일의 내측 영역은,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및 제 2 도체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확실하게 포함한다.
상기 일 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서는, 제 1 및 제 2 도체는,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제 1 도체 부분과,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제 2 도체 부분과, 제 1 도체 부분과 제 2 도체 부분을 접속하는 제 3 도체 부분을 각각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3 도체 부분의 폭이, 제 1 및 제 2 도체 부분의 폭보다도 크다. 제 1 도체 부분과 제 3 도체 부분의 경계와, 제 2 도체 부분과 제 3 도체 부분의 경계가,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및 제 2 코일과 중첩되어 있다.
제 1 도체 부분의 비자성체부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단(端) 전체가,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으로 피복되어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 1 도체 부분의 폭은,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의 폭보다도 작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제 2 도체 부분의 비자성체부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단 전체가,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으로 피복되어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 2 도체 부분의 폭은,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의 폭보다도 작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제 1 도체의 폭이 클수록, 제 1 도체와 제 1 코일 사이에 발생하는 부유 용량에 있어서의 잔류 인덕턴스가 작아진다. 제 2 도체의 폭이 클수록, 제 2 도체와 제 2 코일 사이에 발생하는 부유 용량에 있어서의 잔류 인덕턴스가 작아진다. 잔류 인덕턴스가 작을수록, 상기 감쇠 피크의 깊이가 커진다. 제 1 도체 부분과 제 3 도체 부분의 경계와, 제 2 도체 부분과 제 3 도체 부분의 경계가,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및 제 2 코일과 중첩되어 있는 경우, 제 3 도체 부분이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및 제 2 코일과 확실하게 중첩된다.
이러한 점에서, 제 3 도체 부분의 폭이 제 1 및 제 2 도체 부분의 폭보다도 큰, 즉, 제 1 및 제 2 도체 부분의 폭이 제 3 도체 부분의 폭보다도 작은 경우, 제 1 도체 부분과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의 접속성, 및, 제 2 도체 부분과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의 접속성이 확보되어 있는 동시에, 감쇠 피크의 깊이가 크다.
제 1 도체 부분과 제 3 도체 부분의 경계와, 제 2 도체 부분과 제 3 도체 부분의 경계가,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및 제 2 코일과 중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코일과 제 1 도체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제 1 도체와 제 1 코일 사이에 발생하는 부유 용량이 불균일하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제 2 코일과 제 2 도체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제 2 도체와 제 2 코일 사이에 발생하는 부유 용량이 불균일하기 어렵다. 따라서, 적층 코몬 모드 필터의 특성의 불균일이 억제된다.
제 1 코일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소용돌이상의 제 1 및 제 2 코일 도체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제 2 코일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소용돌이상의 제 3 및 제 4 코일 도체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코일 도체와 제 3 코일 도체는, 제 1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고, 제 2 코일 도체와 제 4 코일 도체는, 제 1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고 있다. 제 3 코일 도체는 제 1 방향에서 제 1 코일 도체와 제 2 코일 도체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형태의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서는, 제 1 코일과 제 2 코일의 자기 결합이 높다.
상기 일 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는, 소체 내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이간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의 어느 한쪽이,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과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형태의 적층 코몬 모드 필터는, ESD(Elector-Static Discharge)를 흡수하는 ESD 흡수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은, 아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및 오로지 예시로서 주어지고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하는 첨부 도면들로부터 더 완벽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 범주는 아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당업자들에게는 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예들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지만, 오로지 예시로서 주어짐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소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소체의,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 및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을 포함하는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소체의, 제 1 갭부 및 제 3 갭부를 포함하는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소체의, 제 2 갭부 및 제 4 갭부를 포함하는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제 1 코일 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6의 B는 제 2 코일 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의 A는 제 3 코일 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7의 B는 제 4 코일 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 1 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제 2 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 1 갭부, 제 2 갭부, 제 3 갭부, 및 제 4 갭부를 포함하는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코몬 모드 임피던스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12는 코몬 모드 노이즈에 대한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13은 제 1 도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 2 도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소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소체의, 제 1 및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을 포함하는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소체의, 제 1 및 제 3 갭부를 포함하는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소체의, 제 2 및 제 4 갭부를 포함하는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체(1), 제 1 단자 전극(11), 제 2 단자 전극(12), 제 3 단자 전극(13), 제 4 단자 전극(14),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 및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단자 전극(11), 제 2 단자 전극(12), 제 3 단자 전극(13), 제 4 단자 전극(14),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 및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은, 소체(1)의 외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는 전자 기기(예를 들면, 회로 기판 또는 전자 부품 등)에 실장된다. 제 1 단자 전극(11), 제 2 단자 전극(12), 제 3 단자 전극(13), 및 제 4 단자 전극(14)이 각각 신호 라인에 접속된다.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 및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이 각각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소체(1)는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소체(1)는 그 외표면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장방 형상의 제 1 주면(1a) 및 제 2 주면(1b)과, 서로 대향하는 제 1 측면(1c) 및 제 2 측면(1d)과, 서로 대향하는 제 3 측면(1e) 및 제 4 측면(1f)을 가지고 있다. 소체(1)의 길이 방향은, 제 3 측면(1e)과 제 4 측면(1f)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이다. 소체(1)의 폭 방향은, 제 1 측면(1c)과 제 2 측면(1d)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이다. 소체(1)의 높이 방향은, 제 1 주면(1a)과 제 2 주면(1b)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이다. 직방체 형상은 모서리부 및 능선부가 모서리 깍기되어 있는 직방체의 형상, 및, 모서리부 및 능선부가 둥글어져 있는 직방체의 형상을 포함한다.
제 1 측면(1c) 및 제 2 측면(1d)은, 제 1 주면(1a)과 제 2 주면(1b)을 연결하도록 소체(1)의 높이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제 1 측면(1c) 및 제 2 측면(1d)은 소체(1)의 높이 방향(제 1 주면(1a) 및 제 2 주면(1b)의 장변 방향)으로도 연신되어 있다. 제 3 측면(1e) 및 제 4 측면(1f)은, 제 1 주면(1a)과 제 2 주면(1b)을 연결하도록 소체(1)의 높이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제 3 측면(1e) 및 제 4 측면(1f)은 소체(1)의 폭 방향(제 1 주면(1a) 및 제 2 주면(1b)의 단변 방향)으로도 연신되어 있다.
소체(1)는 3개의 비자성체부(3A, 3B, 3C)와, 소체(1)의 높이 방향에서 각 비자성체부(3A, 3B, 3C)를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된 4개의 자성체부(5A, 5B, 5C, 5D)를 가지고 있다. 3개의 비자성체부(3A, 3B, 3C)와 4개의 자성체부(5A, 5B, 5C, 5D)는, 소체(1)의 높이 방향에서, 자성체부(5C), 비자성체부(3B), 자성체부(5A), 비자성체부(3A), 자성체부(5B), 비자성체부(3C), 자성체부(5D)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자성체부(5A, 5B)는 비자성체부(3A)를 사이에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다. 한쌍의 자성체부(5A, 5C)는 비자성체부(3B)를 사이에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다. 한쌍의 자성체부(5B, 5D)는 비자성체부(3C)를 사이에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다. 소체(1)는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절연체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비자성체부(3A, 3B, 3C)에서는, 절연체층으로서, 복수의 비자성체층(4)이 적층되어 있다. 각 비자성체부(3A, 3B, 3C)는, 적층된 복수의 비자성체층(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자성체부(5A, 5B, 5C, 5D)에서는, 절연체층으로서, 복수의 자성체층(6)이 적층되어 있다. 각 자성체부(5A, 5B, 5C, 5D)는, 적층된 복수의 자성체층(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절연체층은, 복수의 비자성체층(4) 및 복수의 자성체층(6)을 포함하고 있다. 도 2에서는, 구조의 명확화를 위해, 복수의 비자성체층(4) 중 몇개의 비자성체층(4)의 도시가 생략되고, 복수의 자성체층(6) 중 몇개의 자성체층(6)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각 비자성체층(4)은, 예를 들면 비자성 재료(Cu-Zn계 페라이트 재료, 유전체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재료 등)를 함유하는 세라믹 그린 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각 자성체층(6)은, 예를 들면 자성 재료(Ni-Cu-Zn계 페라이트 재료, Ni-Cu-Zn-Mg계 페라이트 재료, 또는 Ni-Cu계 페라이트 재료 등)를 함유하는 세라믹 그린 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실제 소체(1)에서는, 각 비자성체층(4) 및 각 자성체층(6)은, 층간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소체(1)의 높이 방향, 즉 제 1 주면(1a)과 제 2 주면(1b)이 대항하고 있는 방향은, 복수의 절연체층, 즉, 각각 복수의 비자성체층(4) 및 자성체층(6)이 적층되어 있는 방향(이하, 간단히「적층 방향」이라고 칭한다)과 일치한다. 한쌍의 자성체층(5A, 5B)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도, 적층 방향과 일치한다.
제 1 단자 전극(11) 및 제 3 단자 전극(13)은, 소체(1)의 제 1 측면(1c)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단자 전극(11) 및 제 3 단자 전극(13)은, 제 1 측면(1c)의 일부가 소체(1)의 높이 방향을 따라 피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주면(1a)의 일부와 제 2 주면(1b)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 전극(11)은, 제 3 측면(1e) 가까이에 위치하고, 제 3 단자 전극(13)은, 제 4 측면(1f)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단자 전극(12) 및 제 4 단자 전극(14)은, 소체(1)의 제 2 측면(1d)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단자 전극(12) 및 제 4 단자 전극(14)은, 제 2 측면(1d)의 일부가 소체(1)의 높이 방향을 따라 피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주면(1a)의 일부와 제 2 주면(1b)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 전극(12)은 제 3 측면(1e) 가까이에 위치하고, 제 4 단자 전극(14)은, 제 4 측면(1f)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은, 소체(1)의 제 3 측면(1e)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은, 제 3 측면(1e)의 일부가 소체(1)의 높이 방향을 따라 피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주면(1a)의 일부와 제 2 주면(1b)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은 소체(1)의 제 4 측면(1f)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은 제 4 측면(1f)의 일부가 소체(1)의 높이 방향을 따라 피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주면(1a)의 일부와 제 2 주면(1b)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 전극(11 내지 16)은 도전재(예를 들면, Ag 또는 Pd 등)를 함유하고 있다. 각 단자 전극(11 내지 16)은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Ag 분말 또는 Pd 분말 등)를 함유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각 단자 전극(11 내지 16)의 표면에는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다. 도금층은, 예를 들면 전기 도금에 의해 형성된다. 도금층은 Cu 도금층, Ni 도금층, 및 Sn 도금층으로 이루어지는 층 구조, 또는, Ni 도금층 및 Sn 도금층으로 이루어지는 층 구조 등을 가진다.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3 코일 도체(23), 제 4 코일 도체(24), 제 1 접속 도체(31), 제 2 접속 도체(32), 제 3 접속 도체(33), 제 4 접속 도체(34), 제 1 도체(25), 제 2 도체(28)를, 비자성체부(3A)에 구비하고 있다. 각 도체(21 내지 24, 31 내지 34) 및 각 도체(25, 28)는, 도전재(예를 들면, Ag 또는 Pd 등)를 함유하고 있다. 각 도체(21 내지 24, 31 내지 34) 및 각 도체(25, 28)는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Ag 분말 또는 Pd 분말 등)를 함유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제 1 코일 도체(21)는, 도 6의 A에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용돌이상이며, 적층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쌍의 비자성체층(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코일 도체(21)의 일단부(외측 단부)(21a)는, 제 1 코일 도체(21)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 1 접속 도체(31)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접속 도체(31)는 단부가 제 1 측면(1c)에 노출되어 있다. 제 1 접속 도체(31)는 제 1 측면(1c)에 노출되어 있는 단부에서 제 1 단자 전극(11)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코일 도체(21)의 타단부(내측 단부)(21b)는, 제 1 코일 도체(21)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패드 도체(41)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코일 도체(21), 제 1 접속 도체(31), 및 패드 도체(41)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코일 도체(22)는, 도 6의 B에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용돌이상이며, 적층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쌍의 비자성체층(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코일 도체(22)의 일단부(외측 단부)(22a)는, 제 2 코일 도체(22)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도체(32)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접속 도체(32)는, 단부가 제 2 측면(1d)에 노출되어 있다. 제 2 접속 도체(32)는, 제 2 측면(1d)에 노출되어 있는 단부에서 제 2 단자 전극(12)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코일 도체(22)의 타단부(내측 단부)(22b)는, 제 2 코일 도체(22)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패드 도체(42)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코일 도체(22), 제 2 접속 도체(32), 및 패드 도체(42)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코일 도체(23)는, 도 7의 A에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용돌이상이며, 적층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쌍의 비자성체층(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코일 도체(23)의 일단부(외측 단부)(23a)는, 제 3 코일 도체(23)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 3 접속 도체(33)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접속 도체(33)는 단부가 제 1 측면(1c)에 노출되어 있다. 제 3 접속 도체(33)는 제 1 측면(1c)에 노출되어 있는 단부에서 제 3 단자 전극(13)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코일 도체(23)의 타단부(내측 단부)(23b)는, 제 3 코일 도체(23)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패드 도체(43)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코일 도체(23), 제 3 접속 도체(33), 및 패드 도체(43)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4 코일 도체(24)는, 도 7의 B에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용돌이상이며, 적층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쌍의 비자성체층(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4 코일 도체(24)의 일단부(외측 단부)(24a)는, 제 4 코일 도체(24)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 4 접속 도체(34)에 접속되어 있다. 제 4 접속 도체(34)는, 단부가 제 2 측면(1d)에 노출되어 있다. 제 4 접속 도체(34)는, 제 2 측면(1d)에 노출되어 있는 단부에서 제 4 단자 전극(14)에 접속되어 있다. 제 4 코일 도체(24)의 타단부(내측 단부)(24b)는, 제 4 코일 도체(24)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패드 도체(44)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4 코일 도체(24), 제 4 접속 도체(34), 및 패드 도체(44)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코일 도체(21)와 제 3 코일 도체(23)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고, 제 2 코일 도체(22)와 제 4 코일 도체(24)가 비자성체층(4)을 개재하여 적층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고 있다. 적층 방향에서 제 3 코일 도체(23)가 제 1 코일 도체(21)와 제 2 코일 도체(2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코일 도체(21, 22, 23, 24)는, 적층 방향에 있어서, 제 1 코일 도체(21), 제 3 코일 도체(23), 제 2 코일 도체(22), 제 4 코일 도체(24)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코일 도체(21, 22, 23, 24)는, 적층 방향에서 볼 때, 동일한 방향으로 권회되어 있는 동시에 서로 중첩되어 있다.
패드 도체(41)와 패드 도체(42)는,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서로 중첩되어 있다. 패드 도체(41)와 패드 도체(42) 사이에는, 제 3 코일 도체(23)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패드 도체(45)가 배치되어 있다. 패드 도체(45)는 적층 방향에서 볼 때, 패드 도체(41, 42)와 서로 중첩되어 있다. 패드 도체(41)와 패드 도체(45)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고, 패드 도체(45)와 패드 도체(42)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고 있다.
패드 도체(41)와 패드 도체(45)와 패드 도체(42)는, 각각 스루홀 도체(51)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51)는, 패드 도체(41)와 패드 도체(45) 사이에 위치하는 비자성체층(4)과, 패드 도체(45)와 패드 도체(42) 사이에 위치하는 비자성체층(4)을 관통하고 있다.
패드 도체(43)와 패드 도체(44)는,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서로 중첩되어 있다. 패드 도체(43)와 패드 도체(44) 사이에는, 제 2 코일 도체(22)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패드 도체(46)가 배치되어 있다. 패드 도체(46)는, 적층 방향에서 볼 때, 패드 도체(43, 44)와 서로 중첩되어 있다. 패드 도체(43)와 패드 도체(46)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고, 패드 도체(46)와 패드 도체(44)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고 있다.
패드 도체(43)와 패드 도체(46)와 패드 도체(44)는, 각각 스루홀 도체(52)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52)는 패드 도체(43)와 패드 도체(46) 사이에 위치하는 비자성체층(4)과, 패드 도체(46)와 패드 도체(44) 사이에 위치하는 비자성체층(4)을 관통하고 있다.
제 1 코일 도체(21)와 제 2 코일 도체(22)는, 패드 도체(41), 패드 도체(45), 패드 도체(42), 및 스루홀 도체(51)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코일 도체(21)와 제 2 코일 도체(22)는, 제 1 코일(C1)을 구성하고 있다. 제 3 코일 도체(23)와 제 4 코일 도체(24)는, 패드 도체(43), 패드 도체(46), 패드 도체(44), 및 스루홀 도체(52)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3 코일 도체(23)와 제 4 코일 도체(24)는, 제 2 코일(C2)을 구성하고 있다.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는, 소체(1) 내에, 제 1 코일(C1)과 제 2 코일(C2)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코일(C12)과 제 2 코일(C2)은, 제 1 코일 도체(21)와 제 3 코일 도체(23)가 적층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동시에 제 2 코일 도체(22)와 제 4 코일 도체(24)가 적층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고, 또한, 적층 방향에서 제 3 코일 도체(23)가 제 1 코일 도체(21)와 제 2 코일 도체(22) 사이에 위치하도록, 비자성체부(3A)에 배치되어 있다.
패드 도체(41, 42, 43, 44, 45, 46) 및 스루홀 도체(51, 52)는, 도전재(예를 들면, Ag 또는 Pd 등)를 함유하고 있다. 패드 도체(41, 42, 43, 44, 45, 46) 및 스루홀 도체(51, 52)는,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Ag 분말 또는 Pd 분말 등)를 함유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스루홀 도체(51, 52)는, 대응하는 비자성체층(4)을 형성하기 위한 세라믹 그린 시트에 형성된 관통공에 충전된 도전성 페이스트가 소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제 1 도체(25)와 제 2 도체(28)는, 비자성체부(3A)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은, 적층 방향에서 제 1 도체(25)와 제 2 도체(28)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도체(25)는 적층 방향에서 제 1 코일(C1)(제 1 코일 도체(21))과 이웃하고 있다. 제 1 도체(25)는 적층 방향에서 제 1 코일(C1)(제 1 코일 도체(21))과 자성체부(5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도체(28)는 적층 방향에서 제 2 코일(C2)(제 4 코일 도체(24))과 이웃하고 있다. 제 2 도체(28)는 적층 방향에서, 제 2 코일(C2)(제 4 코일 도체(24))과 자성체부(5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도체(25)는, 도 8에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도체 부분(25a)과, 제 2 도체 부분(25b)과, 제 3 도체 부분(25c)을 가지고 있다. 제 1 도체(25)는 선상으로 연신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도체(25)는 직선상으로 연신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도체 부분(25a)과, 제 2 도체 부분(25b)과, 제 3 도체 부분(25c)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도체 부분(25a)은, 제 3 측면(1e)에 노출되어 있는 일단을 가지고 있다. 제 1 도체 부분(25a)의 일단은,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도체 부분(25b)은 제 4 측면(1f)에 노출되어 있는 일단을 가지고 있다. 제 2 도체 부분(25b)의 일단은,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도체 부분(25c)은, 제 1 도체 부분(25a)과 제 2 도체 부분(25b)을 접속하고 있다. 제 3 도체 부분(25c)은, 제 1 도체 부분(25a)의 타단에 접속되는 일단과, 제 2 도체 부분(25b)의 타단에 접속되는 타단을 가지고 있다.
제 1 도체(25)는,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과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과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은, 제 1 도체 부분(25a), 제 3 도체 부분(25c), 및 제 2 도체 부분(25b)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3 도체 부분(25c)의 폭(W25c)은, 제 1 도체 부분(25a)의 폭(W25a) 및 제 2 도체 부분(25b)의 폭(W25b)보다도 크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W25a)과 폭(W25b)은 동등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폭이란, 제 1 측면(1c)과 제 2 측면(1d)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소체(1)의 폭 방향)에서의 길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등은, 반드시, 값이 일치하고 있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미리 설정한 범위에서의 미소한 차이, 또는, 제조 오차 등이 값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도, 값이 동등하다고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값이, 상기 복수의 값의 평균값의 ±5%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값은 동등하다고 규정된다.
제 1 도체(25)는,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코일(C1)의 일부, 즉 제 1 코일 도체(21)의 일부와 중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도체 부분(25a)의 타단측의 영역, 제 2 도체 부분(25b)의 타단측의 영역, 제 3 도체 부분(25c)의 일단측의 영역, 및 제 3 도체 부분(25c)의 타단측의 영역이,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각각 제 1 코일 도체(21)와 중첩되어 있다.
제 1 도체 부분(25a)과 제 3 도체 부분(25c)의 경계와, 제 2 도체 부분(25b)과 제 3 도체 부분(25c)의 경계는,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코일(C1)과 중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도체 부분(25a)과 제 3 도체 부분(25c)의 경계와, 제 2 도체 부분(25b)과 제 3 도체 부분(25c)의 경계는,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코일 도체(21)에 있어서의 소용돌이상의 도체 부분이 전체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환상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도체(28)는, 도 9에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도체 부분(28a)과, 제 2 도체 부분(28b)과, 제 3 도체 부분(28c)을 가지고 있다. 제 2 도체(28)는 선상으로 연신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도체(28)는 직선상으로 연신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도체 부분(28a)과, 제 2 도체 부분(28b)과, 제 3 도체 부분(28c)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도체 부분(28a)은, 제 3 측면(1e)에 노출되어 있는 일단을 가지고 있다. 제 1 도체 부분(28a)의 일단은,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도체 부분(28b)은, 제 4 측면(1f)에 노출되어 있는 일단을 가지고 있다. 제 2 도체 부분(28b)의 일단은,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도체 부분(28c)은 제 1 도체 부분(28a)과 제 2 도체 부분(28b)을 접속하고 있다. 제 3 도체 부분(28c)은, 제 1 도체 부분(28a)의 타단에 접속되는 일단과, 제 2 도체 부분(28b)의 타단에 접속되는 타단을 가지고 있다.
제 2 도체(28)는,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과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과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은, 제 1 도체 부분(28a), 제 3 도체 부분(28c), 및 제 2 도체 부분(28b)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3 도체 부분(28c)의 폭(W28c)은, 제 1 도체 부분(28a)의 폭(W28a) 및 제 2 도체 부분(28b)의 폭(W28b)보다도 크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W28a)과 폭(W28b)은, 동등하다. 폭(W28a) 및 폭(W28b)은 폭(W25a) 및 폭(W25b)과 동등하다.
제 2 도체(28)는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2 코일(C2)의 일부, 즉 제 4 코일 도체(24)의 일부와 중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도체 부분(28a)의 타단측의 영역, 제 2 도체 부분(28b)의 타단측의 영역, 제 3 도체 부분(28c)의 일단측의 영역, 및 제 3 도체 부분(28c)의 타단측의 영역이,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각각 제 4 코일 도체(24)와 중첩되어 있다.
제 1 도체 부분(28a)과 제 3 도체 부분(28c)의 경계와, 제 2 도체 부분(28b)과 제 3 도체 부분(28c)의 경계는,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2 코일(C2)과 중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도체 부분(28a)과 제 3 도체 부분(28c)의 경계와, 제 2 도체 부분(28b)과 제 3 도체 부분(28c)의 경계는,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4 코일 도체(24)에 있어서의 소용돌이상의 도체 부분이 전체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환상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코일(C1)의 내측 영역(R1) 및 제 2 코일(C2)의 내측 영역(R2)은,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도체(25)의 제 3 도체 부분(25c)과 제 2 도체(28)의 제 3 도체 부분(28c)은, 적층 방향에서 볼 때, 각 내측 영역(R1, R2)과 중첩되어 있다. 제 3 도체 부분(25c)의 폭(W25c) 및 제 3 도체 부분(28c)의 폭(W28c)은, 각 내측 영역(R1, R2)의 폭(WR1, WR2)보다도 작다. 각 내측 영역(R1, R2)은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측면(1c)과 제 2 측면(1d)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에서의 각 제 3 도체 부분(25c, 28c)의 양측에, 제 1 도체(25)(제 3 도체 부분(25c)) 및 제 2 도체(28)(제 3 도체 부분(28c))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내측 영역(R1)은, 도 6에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제 1 코일 도체(21) 및 제 2 코일 도체(22)에 있어서의 소용돌이상의 각 도체 부분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영역이다. 내측 영역(R2)은, 도 7에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제 3 코일 도체(23) 및 제 4 코일 도체(24)에 있어서의 소용돌이상의 각 도체 부분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영역이다.
제 1 도체(25)와 제 1 코일(C1)(제 1 코일 도체(21))이 중첩되는 면적과, 제 2 도체(28)와 제 2 코일(C2)(제 4 코일 도체(24))이 중첩되는 면적은 동등하다.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의 각 두께(TH1)는,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3 코일 도체(23), 및 제 4 코일 도체(24)의 각 두께 TH2보다도 작다.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3 코일 도체(23), 및 제 4 코일 도체(24)의 각 두께(TH2)는, 예를 들면, 9 내지 11㎛이다. 각 도체(25, 28)의 두께(TH1)는, 예를 들면, 4 내지 6㎛이다.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는, 도 4, 도 5, 및 도 10에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방전 전극(60, 62, 64, 66, 68), 및 방전 유발부(70 내지 73)를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방전 전극(60, 68)과 방전 유발부(70)는, ESD 흡수 성능을 갖는 ESD 서프레서로서 기능한다. 한쌍의 방전 전극(62, 68)과 방전 유발부(71)는, ESD 흡수 성능을 갖는 ESD 서프레서로서 기능한다. 한쌍의 방전 전극(64, 68)과 방전 유발부(72)는, ESD 흡수 성능을 갖는 ESD 서프레서로서 기능한다. 한쌍의 방전 전극(66, 68)과 방전 유발부(73)는, ESD 흡수 성능을 갖는 ESD 서프레서로서 기능한다. 각 ESD 서프레서는 비자성체부(3B)에 배치되어 있다.
방전 전극(60)은, 소체(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 4 측면(1f)보다도 제 3 측면(1e)에 가까운 위치에서, 또한, 소체(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측면(1d)보다도 제 1 측면(1c)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방전 전극(60)은 제 1 접속부(60a) 및 제 1 대향부(60b)를 가지고 있다. 제 1 접속부(60a)와 제 1 대향부(60b)는, 서로 상이한 비자성체층(4)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접속부(60a)는 소체(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제 1 접속부(60a)의 일단(60c)은, 소체(1)의 제 1 측면(1c)에 노출되어 있고, 제 1 단자 전극(11)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대향부(60b)는 소체(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제 1 대향부(60b)의 일단(60d)은, 스루홀 도체(61)를 통해 제 1 접속부(60a)의 타단(60e)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대향부(60b)는 스루홀 도체(61) 및 제 1 접속부(60a)를 통해, 제 1 단자 전극(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방전 전극(62)은, 소체(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 3 측면(1e)보다도 제 4 측면(1f)에 가까운 위치에서, 또한, 소체(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측면(1d)보다도 제 1 측면(1c)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방전 전극(62)은 제 1 접속부(62a) 및 제 1 대향부(62b)를 가지고 있다. 제 1 접속부(62a)는 제 1 접속부(60a)가 배치되어 있는 비자성체층(4)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대향부(62b)와 제 1 대향부(60b)는 서로 상이한 비자성체층(4)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접속부(62a)는 소체(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제 1 접속부(62a)의 일단(62c)은, 소체(1)의 제 1 측면(1c)에 노출되어 있고, 제 3 단자 전극(13)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대향부(62b)는 소체(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제 1 대향부(62b)의 일단(62d)은, 스루홀 도체(63)를 통해 제 1 접속부(62a)의 타단(62e)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대향부(62b)는 스루홀 도체(63) 및 제 1 접속부(62a)를 통해, 제 3 단자 전극(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방전 전극(64)은, 소체(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 4 측면(1f)보다도 제 3 측면(1e)에 가까운 위치에서, 또한, 소체(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측면(1c)보다도 제 2 측면(1d)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방전 전극(64)은 제 1 접속부(64a) 및 제 1 대향부(64b)를 가지고 있다. 제 1 접속부(64a)는 제 1 접속부(60a, 62a)가 배치되어 있는 비자성체층(4)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대향부(64b)는, 제 1 대향부(60b, 62b)가 배치되어 있는 비자성체층(4)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접속부(64a)와 제 1 대향부(64b)는, 서로 상이한 비자성체층(4)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접속부(64a)는 소체(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제 1 접속부(64a)의 일단(64c)은, 소체(1)의 제 2 측면(1d)에 노출되어 있고, 제 2 단자 전극(12)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대향부(64b)는 소체(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제 1 대향부(64b)의 일단(64d)은, 스루홀 도체(65)를 통해 제 1 접속부(64a)의 타단(64e)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대향부(64b)는 스루홀 도체(65) 및 제 1 접속부(64a)를 통해, 제 2 단자 전극(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방전 전극(66)은, 소체(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 3 측면(1e)보다도 제 4 측면(1f)에 가까운 위치에서, 또한, 소체(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측면(1c)보다도 제 2 측면(1d)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방전 전극(66)은, 제 1 접속부(66a) 및 제 1 대향부(66b)를 가지고 있다. 제 1 접속부(66a)는 제 1 접속부(60a, 62a, 65a)가 배치되어 있는 비자성체층(4)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대향부(66b)는, 제 1 대향부(60b, 62b, 64b)가 배치되어 있는 비자성체층(4)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접속부(66a)와 제 1 대향부(66b)는 서로 상이한 비자성체층(4)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접속부(66a)는 소체(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제 1 접속부(66a)의 일단(66c)은, 소체(1)의 제 2 측면(1d)에 노출되어 있고, 제 4 단자 전극(14)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대향부(66b)는 소체(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제 1 대향부(66b)의 일단(66d)은, 스루홀 도체(67)를 통해 제 1 접속부(66a)의 타단(66e)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대향부(66b)는 스루홀 도체(67) 및 제 1 접속부(66a)를 통해, 제 4 단자 전극(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방전 전극(68)은 제 2 접속부(68a), 제 2 대향부(68b), 및 제 2 대향부(68c)를 가지고 있다. 제 2 접속부(68a)는 제 1 접속부(60a, 62a, 64a, 66a)가 배치되어 있는 비자성체층(4)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대향부(68b, 68c)는 제 1 대향부(60b, 62b, 64b, 66b)가 배치되어 있는 비자성체층(4)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접속부(68a)와 제 2 대향부(68b, 68c)는, 서로 상이한 비자성체층(4)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접속부(68a)는, 소체(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접속부(68a)는 소체(1)의 길이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제 2 접속부(68a)의 일단(68e)은, 소체(1)의 제 3 측면(1e)에 노출되어 있고,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접속부(68a)의 타단(68f)은, 소체(1)의 제 4 측면(1f)에 노출되어 있고,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대향부(68b)와 제 2 대향부(68c)는,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소체(1)의 폭 방향으로 이간되어 있다. 제 2 대향부(68b, 68c)는 소체(1)의 길이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제 2 대향부(68b)와 제 2 대향부(68c)는, 접속부(68d)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68d)의 일단은, 제 2 대향부(68b)에 있어서의 소체(1)의 길이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68d)의 타단은, 제 2 대향부(68c)에 있어서의 소체(1)의 길이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대향부(68b, 68c)와 접속부(68d)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68d)는 소체(1)의 폭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접속부(68d)는 스루홀 도체(69)를 통해 제 2 접속부(68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대향부(68b, 68c)는 접속부(68d), 스루홀 도체(69), 및 제 2 접속부(68a)를 통해,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 및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접속부(68a)는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과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체층으로서 기능한다.
제 2 대향부(68b)는 제 1 대향부(60b, 62b)와 소체(1)의 폭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제 2 대향부(68b)와 제 1 대향부(60b, 62b)는, 소체(1)의 폭 방향에서 이간되어 있다. 제 1 대향부(60b, 62b)와 제 2 대향부(68b)는 두께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제 1 대향부(60b, 62b)의 측면과 제 2 대향부(68b)의 측면이 대향된다.
제 1 대향부(60b)와 제 2 대향부(68b) 사이에, 제 1 갭부(GP1)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제 1 대향부(62b)와 제 2 대향부(68b) 사이에, 제 2 갭부(GP2)가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 및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과 제 1 단자 전극(11) 사이에 소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1 갭부(GP1)에서 방전이 발생한다. 제 3 단자 전극(13)과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 및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 사이에 소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2 갭부(GP2)에서 방전이 발생한다. 각 갭부(GP1, GP2)의 폭은, 원하는 방전 특성이 얻어지도록, 소정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 2 대향부(68c)는 제 1 대향부(64b, 66b)와 소체(1)의 폭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제 2 대향부(68c)와 제 1 대향부(64b, 66b)는, 소체(1)의 폭 방향에서 이간되어 있다. 제 1 대향부(64b, 66b)와 제 2 대향부(68c)는 두께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제 1 대향부(64b, 66b)의 측면과 제 2 대향부(68c)의 측면이 대향한다.
제 1 대향부(64b)와 제 2 대향부(68c) 사이에, 제 3 갭부(GP3)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제 1 대향부(66b)와 제 2 대향부(68c) 사이에, 제 4 갭부(GP4)가 형성된다(도 5 참조).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 및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과 제 2 단자 전극(12) 사이에 소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3 갭부(GP3)에서 방전이 발생한다. 제 4 단자 전극(14)과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 및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 사이에 소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4 갭부(GP4)에서 방전이 발생한다. 각 갭부(GP3, GP4)의 폭은, 원하는 방전 특성이 얻어지도록, 소정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방전 전극(60, 62, 64, 66, 68), 및 스루홀 도체(61, 63, 65, 67, 69)는, 도전재(예를 들면, Ag, Pd, Au, Pt, Cu, Ni, Al, Mo, 또는 W 등)를 함유하고 있다. 각 방전 전극(60, 62, 64, 66, 68) 및 각 스루홀 도체(61, 63, 65, 67, 69)는,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Ag 분말, Pd 분말, Au 분말, Pt 분말, Cu 분말, Ni 분말, Al 분말, Mo 분말, 또는 W 분말 등)를 함유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스루홀 도체(61, 63, 65, 67, 69)는, 대응하는 비자성체층(4)을 형성하기 위한 세라믹 그린 시트에 형성된 관통공에 충전된 도전성 페이스트가 소결됨으로써 형성된다.
방전 유발부(70)는 제 1 대향부(60b)와 제 2 대향부(68b)가 접속되도록, 제 1 대향부(60b)와 제 2 대향부(68b)에 접하고 있다. 방전 유발부(70)는 제 1 갭부(GP1)에서의 방전을 발생하기 쉽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방전 유발부(71)는 제 1 대향부(62b)와 제 2 대향부(68b)가 접속되도록, 제 1 대향부(62b)와 제 2 대향부(68b)에 접하고 있다. 방전 유발부(71)는 제 2 갭부(GP2)에서의 방전을 발생하기 쉽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방전 유발부(72)는 제 1 대향부(64b)와 제 2 대향부(68c)가 접속되도록, 제 1 대향부(64b)와 제 2 대향부(68c)에 접하고 있다. 방전 유발부(72)는 제 3 갭부(GP3)에서의 방전을 발생하기 쉽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방전 유발부(73)는 제 1 대향부(66b)와 제 2 대향부(68c)가 접속되도록, 제 1 대향부(66b)와 제 2 대향부(68c)에 접하고 있다. 방전 유발부(73)는 제 4 갭부(GP4)에서의 방전을 발생하기 쉽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방전 유발부(70 내지 73)는, Fe2O3, NiO, CuO, ZnO, MgO, SiO2, TiO2, Mn2O3, SrO, CaO, BaO, SnO2, K2O, Al2O3, ZrO2, 및 B2O3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재료를 함유하여 구성된다. 방전 유발부(70 내지 73)는 상기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류 이상의 재료를 함유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방전 유발부(70 내지 73)에는, Ag, Pd, Au, Pt, Ag/Pd 합금, Ag/Cu 합금, Ag/Au 합금, 또는 Ag/Pt 합금 등의 금속 입자가 함유되어 있다. 방전 유발부(70 내지 73)에는, RuO2 등의 반도체 입자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방전 유발부(70 내지 73)에는, 유리 또는 산화주석(SnO 또는 SnO2)이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소체(1)는 공동부(74 내지 77)를 가지고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공동부(74)를 구획형성하는 면은, 제 1 대향부(60b) 및 제 2 대향부(68b), 및, 방전 유발부(70)(제 1 대향부(60b) 및 제 2 대향부(68b)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의 각 표면과, 상기 각 표면과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고 있다. 공동부(74)는 제 1 대향부(60b) 및 제 2 대향부(68b)와, 방전 유발부(70)(제 1 대향부(60b) 및 제 2 대향부(68b)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에 접하고 있다. 공동부(74)는 방전시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60b), 제 2 대향부(68b), 비자성체층(4) 및 방전 유발부(70)의 열팽창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진다.
공동부(75)를 구획형성하는 면은, 제 1 대향부(62b) 및 제 2 대향부(68b), 및 방전 유발부(71)(제 1 대향부(62b) 및 제 2 대향부(68b)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의 각 표면과, 상기 각 표면과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고 있다. 공동부(75)는 제 1 대향부(62b) 및 제 2 대향부(68b)와, 방전 유발부(71)(제 1 대향부(62b) 및 제 2 대향부(68b)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에 접하고 있다. 공동부(76)는 방전시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62b), 제 2 대향부(68b), 비자성체층(4) 및 방전 유발부(71)의 열팽창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진다.
공동부(76)를 구획형성하는 면은, 제 1 대향부(64b) 및 제 2 대향부(68c), 및, 방전 유발부(72)(제 1 대향부(64b) 및 제 2 대향부(68c)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의 각 표면과, 상기 각 표면과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고 있다. 공동부(76)는 제 1 대향부(64b) 및 제 2 대향부(68c)와, 방전 유발부(72)(제 1 대향부(64b) 및 제 2 대향부(68c)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에 접하고 있다. 공동부(76)는 방전시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64b), 제 2 대향부(68c), 비자성체층(4) 및 방전 유발부(72)의 열팽창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진다.
공동부(77)를 구획형성하는 면은, 제 1 대향부(66b) 및 제 2 대향부(68c), 및, 방전 유발부(73)(제 1 대향부(66b) 및 제 2 대향부(68c))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의 각 표면과, 상기 각 표면과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고 있다. 공동부(77)는 제 1 대향부(66b) 및 제 2 대향부(68c)와, 방전 유발부(73)(제 1 대향부(66b) 및 제 2 대향부(68c)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에 접하고 있다. 공동부(77)는 방전시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66b), 제 2 대향부(68c), 비자성체층(4) 및 방전 유발부(73)의 열팽창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진다.
비자성체부(3C)에는, 제 1 코일(C1)과 제 2 코일(C2)이 배치되어 있는 비자성체부(3A) 및 ESD 서프레서가 배치되어 있는 비자성체부(3B)와 상이하게, 도체 등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비자성체부(3C)는 3개의 비자성체부(3A, 3B, 3C)의 관계에 있어서, 비자성체부(3A)를 사이에 개재하여 비자성체부(3B)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비자성체부(3C)는 소성시에 소체(1)에 발생하는 내부 응력을 완화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도체(25)와 제 2 도체(28)는,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과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는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 및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을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적층 방향(한쌍의 자성체부(5A, 5B)가 대향하고 있는 방향)에서 제 1 코일(C1)(제 1 코일 도체(21))과 이웃하고 있는 제 1 도체(25)가,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코일(C1)(제 1 코일 도체(21))의 일부와 중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1 도체(25)와 제 1 코일(C12) 사이에 부유 용량이 발생한다. 적층 방향에서 제 2 코일(C2)(제 4 코일 도체(24))과 이웃하고 있는 제 2 도체(28)가,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2 코일(C2)(제 4 코일 도체(24))의 일부와 중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2 도체(28)와 제 2 코일(C2) 사이에 부유 용량이 발생한다. 따라서,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에서는, 코몬 모드 노이즈에 대한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있어서의 감쇠 피크(감쇠극)가 고주파측으로 시프트하는 동시에, 그 깊이가 크다.
제 1 도체(25)와 제 2 도체(28)는, 선상으로 연신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에 의해 발생한 자속이,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를 통과하는 경우라도,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에는 역기전력이 발생하기 어렵다.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의 각 내측 영역(R1, R2)은,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에 의해 발생한 자속이,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에 의해 저하되기 어렵다. 이들에 의해,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에서는, 코몬 모드 임피던스의 저하가 억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는, 직선상으로 연신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가 직선상으로 연신된 형상 이외의 형상(예를 들면, 사행상으로 연신된 형상 또는 크랭크 형상 등)인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 비해,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에서는,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의 기생 인덕턴스가 적다. 이 결과, 감쇠 피크의 깊이가 보다 한층 크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의 각 폭(W25a, W25b, W25c, W28a, W28b, W28c)은,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의 각 내측 영역(R1, R2)의 폭(WR1, WR2)보다도 작다. 이것에 의해,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가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의 각 내측 영역(R1, R2)과 중첩되어 있는 경우라도,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의 각 내측 영역(R1, R2)은,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확실하게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도체(25)는, 제 1 도체 부분(25a)과, 제 2 도체 부분(25b)과, 제 3 도체 부분(25c)을 가지며, 제 2 도체(28)는 제 1 도체 부분(28a)과, 제 2 도체 부분(28b)과, 제 3 도체 부분(28c)을 가지고 있다. 제 3 도체 부분(25c, 28c)의 폭(W25c, W28c)은, 제 1 도체 부분(25a, 28a) 폭(W25a, W28a) 및 제 2 도체 부분(25b, 28b)의 폭(W25b, W28b)보다도 크다. 제 1 도체 부분(25a)과 제 3 도체 부분(25c)의 경계, 및, 제 2 도체 부분(25b)과 제 3 도체 부분(25c)의 경계는,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과 중첩되어 있다. 제 1 도체 부분(28a)과 제 3 도체 부분(28c)의 경계, 및, 제 2 도체 부분(25b, 28b)과 제 3 도체 부분(25c, 28c)의 경계도,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과 중첩되어 있다.
제 1 도체 부분(25a, 28a)의 일단은, 비자성체부(3A)의 표면(제 1 측면(1c))에 노출되어 있고,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에 접속된다. 이로 인해, 제 1 도체 부분(25a, 28a)의 일단은,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으로 피복되어 있을 필요가 있고, 폭(W25a, W28a)은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의 폭보다도 작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제 2 도체 부분(25b, 28b)의 일단은, 비자성체부(3A)의 표면(제 2 측면(1d))에 노출되어 있고,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에 접속된다. 이로 인해, 제 2 도체 부분(25b, 28b)의 일단은,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으로 피복되어 있을 필요가 있고, 폭(W25b, W28b)은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의 폭보다도 작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제 1 도체(25)의 폭이 클수록, 제 1 도체(25)와 제 1 코일(C1) 사이에 발생하는 부유 용량에 있어서의 잔류 인덕턴스가 작아진다. 제 2 도체(28)의 폭이 클수록, 제 2 도체(28)와 제 2 코일(C2) 사이에 발생하는 부유 용량에 있어서의 잔류 인덕턴스가 작아진다. 잔류 인덕턴스가 작아지면, 상기 감쇠 피크의 깊이가 커진다.
제 1 도체 부분(25a)과 제 3 도체 부분(25c)의 경계와, 제 2 도체 부분(25b)과 제 3 도체 부분(25c)의 경계가,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코일(C1)과 중첩되어 있는 경우, 제 1 도체 부분(25a) 및 제 2 도체 부분(25b)보다도 폭이 넓은 제 3 도체 부분(25c)은,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코일(C1)과 확실하게 중첩된다. 제 1 도체 부분(28a)과 제 3 도체 부분(28c)의 경계와, 제 2 도체 부분(28b)과 제 3 도체 부분(28c)의 경계가,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2 코일(C2)과 중첩되어 있는 경우, 제 1 도체 부분(28a) 및 제 2 도체 부분(28b)보다도 폭이 넓은 제 3 도체 부분(28c)은,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2 코일(C2)과 확실하게 중첩된다.
폭(W25c, W28c)이 폭(W25a, W25b, W28a, W28b)보다도 큰, 즉, 폭(W25a, W25b, W28a, W28b)이 폭(W25c, W28c)보다도 작은 경우, 제 1 도체 부분(25a, 28a)과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의 접속성, 및, 제 2 도체 부분(25b, 28b)과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의 접속성이 확보되어 있는 동시에, 감쇠 피크의 깊이가 크다.
제 1 도체 부분(25a)과 제 3 도체 부분(25c)의 경계와, 제 2 도체 부분(25b)과 제 3 도체 부분(25c)의 경계가,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코일(C1)과 중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코일(C1)과 제 1 도체(25)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제 1 도체(25)와 제 1 코일(C1) 사이에 발생하는 부유 용량이 불균일하기 어렵다. 상기 위치 어긋남이, 제 3 측면(1e)과 제 4 측면(1f)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에서의 위치 어긋남인 경우, 제 1 도체(25)와 제 1 코일(C1) 사이에 발생하는 부유 용량의 불균일은, 매우 발생하기 어렵다.
제 1 도체 부분(28a)과 제 3 도체 부분(28c)의 경계와, 제 2 도체 부분(28b)과 제 3 도체 부분(28c)의 경계가,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2 코일(C1)과 중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2 코일(C2)과 제 2 도체(28)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제 2 도체(28)와 제 2 코일(C2) 사이에 발생한은 부유 용량이 불균일하기 어렵다. 상기 위치 어긋남이 제 3 측면(1e)과 제 4 측면(1f)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에서의 위치 어긋남인 경우, 제 2 도체(28)와 제 2 코일(C2) 사이에 발생하는 부유 용량의 불균일은, 매우 발생하기 어렵다.
이상의 점에서,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의 특성의 불균일이 억제된다.
제 1 도체(25)와 제 1 코일(C1)(제 1 코일 도체(21))이 중첩되는 면적과, 제 2 도체(28)와 제 2 코일(C2)(제 4 코일 도체(24))이 중첩되는 면적은 동등하다. 따라서, 제 1 코일(C1)의 일단, 즉 제 1 단자 전극(11)으로부터 신호가 들어오는 경우와, 제 1 코일(C1)의 타단, 즉 제 2 단자 전극(12)으로부터 신호가 들어오는 경우에, 특성 임피던스의 변화가 작다, 동일하게, 제 2 코일(C2)의 일단, 즉 제 4 단자 전극(14)으로부터 신호가 들어오는 경우와, 제 2 코일(C2)의 타단, 즉 제 3 단자 전극(13)으로부터 신호가 들어오는 경우에, 특성 임피던스의 변화가 작다. 이러한 결과,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를 실장할 때의 방향성을 없앨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코일(C1)은 소용돌이상의 제 1 코일 도체(21) 및 제 2 코일 도체(22)를 가지고 있으며, 제 1 코일 도체(21)와 제 2 코일 도체(2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코일(C2)은 소용돌이상의 제 3 코일 도체(23) 및 제 4 코일 도체(24)를 가지고 있으며, 제 3 코일 도체(23)와 제 4 코일 도체(2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코일 도체(21)와 제 3 코일 도체(23)는, 적층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고, 제 2 코일 도체(22)와 제 4 코일 도체(24)는, 적층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고, 제 3 코일 도체(23)는 적층 방향에서 제 1 코일 도체(21)와 제 2 코일 도체(2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에서는, 제 1 코일(C1)과 제 2 코일(C2)의 자기 결합이 높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는, 적층 방향에서 제 1 코일(C1)과 제 2 코일(C2) 사이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가 제 1 코일(C1)과 제 2 코일(C2)의 자기 결합을 저해하는 경우는 없다.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는,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과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 경우,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과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이,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 및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을 형성할 때에, 전기 도금을 가할 수 있다.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에서는, 방전 전극(60, 62, 64, 66)(제 1 대향부(60b, 62b, 64b, 66b))과 방전 전극(68)(제 2 대향부(68b))이, 서로 이간되어 있다. 방전 전극(68)이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 및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에 접속되어 있다. 즉, 방전 전극(68)은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5) 및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16)을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따라서,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는, ESD 흡수 기능을 가진다.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에서는, 정전기를 놓아주는 그라운드와,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가 접속되는 그라운드의 공통화가 도모되고 있기 때문에, 구성의 복잡화가 억제되어 있다.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에서는,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의 각 두께(TH1)는,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3 코일 도체(23), 및 제 4 코일 도체(24)의 각 두께(TH2)보다도 작기 때문에, 두께(TH1)가 두께(TH2) 이상인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 비해, 적층 방향에서의 한쌍의 자성체부(5A, 5B)의 간격이 작다. 이로 인해,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에서는 인덕턴스의 저하가 억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와, 비교예의 적층 코몬 모드 필터의, 코몬 모드 임피던스의 주파수 특성과 코몬 모드 노이즈에 대한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하는 시험이 행해졌다. 코몬 모드 임피던스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한 시험 결과가 도 11에 도시되고,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한 시험 결과가 도 12에 도시된다.
비교예 1의 적층 코몬 모드 필터는,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와 상이하다. 비교예 2의 적층 코몬 모드 필터는,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의 형상이, 특허문헌 1의 도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환상을 나타내고 있는 점에서,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와 상이하다. 비교예 3의 적층 코몬 모드 필터는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의 형상이, 특허문헌 1의 도 6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타상인 점에서,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와 상이하다. 비교예 1 내지 3의 각 적층 코몬 모드 필터와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는, 상기한 차이점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하다.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가 베타상이란,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가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 뿐만아니라,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의 각 내측 영역(R1, R2)도 피복하고 있는 형상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시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는, 비교예 2 및 3의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 비해, 코몬 모드 임피던스의 저하가 매우 적다. 즉, 비교예 2 및 3의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서는, 제 1 및 제 2 도체층에 발생하는 역기전력(와전류)의 영향에 의해, 코몬 모드 임피던스가 크게 저하되어 있다. 도 11에 있어서, 특성 I1은,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의 코몬 모드 임피던스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특성 I2 내지 I4는, 각각 비교예 1 내지 3의 코몬 모드 임피던스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시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는, 비교예 1의 적층 코몬 모드 필터에 비해, 코몬 모드 노이즈에 대한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있어서의 감쇠 피크의 깊이가 크고, 또한, 감쇠 피크의 위치가 고주파수측으로 시프트하고 있다. 비교예 2 및 3의 적층 코몬 모드 필터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에 대해, 급격한 감쇠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는, 비교예 2 및 3의 적층 코몬 모드 필터는, 원하는 감쇠 특성이 얻어지는 주파수 대역이 넓다. 도 12에 있어서, 특성 L1은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의 감쇠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특성 L2 내지 L4는 각각 비교예 1 내지 3의 감쇠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의 형상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의 각 내측 영역(R1, R2)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의 형상에 따라 굴곡진 형상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는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을 차단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의 인덕턴스의 저하가 보다 한층 억제된다.
폭(W25c, W28c)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폭(W25a, W28a) 및 폭(W25b, W28b)과 동등해도 좋다.
각 내측 영역(R1, R2)은,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측면(1c)과 제 2 측면(1d)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에서의 각 제 3 도체 부분(25c, 28c)의 양측에,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각 내측 영역(R1, R2)은, 적층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측면(1c)과 제 2 측면(1d)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에서의 각 제 3 도체 부분(25c, 28c)의 한쪽측에만, 제 1 도체(25) 및 제 2 도체(28)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코일(C1)은, 소용돌이상의 제 1 코일 도체(21) 및 제 2 코일 도체(22)를 가지고 있으며, 제 1 코일 도체(21)와 제 2 코일 도체(2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코일(C2)은 소용돌이상의 제 3 코일 도체(23) 및 제 4 코일 도체(24)를 가지고 있으며, 제 3 코일 도체(23)와 제 4 코일 도체(2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코일 도체(21)와 제 2 코일 도체(22)가 적층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고, 제 3 코일 도체(23)와 제 4 코일 도체(24)가 적층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고, 제 2 코일 도체(22)와 제 3 코일 도체(23)가 적층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고 있어도 좋다. 제 1 코일(C1)은 1개의 소용돌이상의 코일 도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제 2 코일(C2)도 1개의 소용돌이상의 코일 도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는 방전 전극(60, 62, 64, 66, 68), 및 방전 유발부(70 내지 73)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즉, 적층 코몬 모드 필터(CF)는, ESD 흡수 성능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좋다.

Claims (6)

  1. 적층 코몬 모드 필터로서,
    비자성 재료를 함유하는 비자성체부와, 자성 재료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비자성체부를 사이에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는 한쌍의 자성체부를 가지고 있는 소체와,
    상기 소체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단자 전극, 제 2 단자 전극, 제 3 단자 전극, 제 4 단자 전극,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 및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과,
    상기 비자성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단자 전극과 상기 제 3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 1 코일과,
    상기 비자성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단자 전극과 상기 제 4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 2 코일로서, 상기 한쌍의 자성체부가 대향하고 있는 제 1 방향에서 상기 제 1 코일과 대향하고 있는, 상기 제 2 코일과,
    상기 비자성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과 상기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도체로서, 선상으로 연신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상기 제 1 및 제 2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제 1 도체와 상기 제 2 도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체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제 1 코일과 이웃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상기 제 1 코일의 일부와 중첩되어 있고,
    상기 제 2 도체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제 2 코일과 이웃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상기 제 2 코일의 일부와 중첩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의 내측 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상기 제 1 및 제 2 도체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체는 직선상으로 연신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체의 폭은,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의 상기 내측 영역의 폭보다도 작은, 적층 코몬 모드 필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체는, 상기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제 1 도체 부분과, 상기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제 2 도체 부분과, 상기 제 1 도체 부분과 상기 제 2 도체 부분을 접속하는 제 3 도체 부분을 각각 갖고,
    상기 제 3 도체 부분의 폭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도체 부분의 폭보다도 크고,
    상기 제 1 도체 부분과 상기 제 3 도체 부분의 경계와, 상기 제 2 도체 부분과 상기 제 3 도체 부분의 경계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에,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과 중첩되어 있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소용돌이상의 제 1 및 제 2 코일 도체를 갖고,
    상기 제 2 코일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소용돌이상의 제 3 및 제 4 코일 도체를 갖고,
    상기 제 1 코일 도체와 상기 제 3 코일 도체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고,
    상기 제 2 코일 도체와 상기 제 4 코일 도체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고,
    상기 제 3 코일 도체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제 1 코일 도체와 상기 제 2 코일 도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 내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이간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 중 어느 한쪽이, 상기 제 1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과 상기 제 2 그라운드용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적층 코몬 모드 필터.
KR1020160121273A 2015-09-30 2016-09-22 적층 코몬 모드 필터 KR101878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93801A JP6565555B2 (ja) 2015-09-30 2015-09-30 積層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JP-P-2015-193801 2015-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670A KR20170038670A (ko) 2017-04-07
KR101878645B1 true KR101878645B1 (ko) 2018-07-16

Family

ID=5840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273A KR101878645B1 (ko) 2015-09-30 2016-09-22 적층 코몬 모드 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15515B2 (ko)
JP (1) JP6565555B2 (ko)
KR (1) KR101878645B1 (ko)
CN (1) CN1068162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695B1 (ko) * 2016-05-16 2018-02-05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회로 보호 소자
CN109661776B (zh) * 2016-09-09 2023-03-1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子部件
US10574736B2 (en) * 2017-01-09 2020-0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cal microservice development for remote deployment
WO2019188215A1 (ja) * 2018-03-28 2019-10-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WO2019235510A1 (ja) * 2018-06-08 2019-12-12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84066B1 (ko) * 2018-06-12 2020-03-04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적층형 소자
JP7099178B2 (ja) * 2018-08-27 2022-07-12 Tdk株式会社 積層コイル部品
JP6981389B2 (ja) 2018-10-05 2021-12-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Dc−dcコンバータ用積層型コイルアレイおよびdc−dcコンバータ
JP6977694B2 (ja) * 2018-10-05 2021-12-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コイルアレイ
JP7493321B2 (ja) 2019-11-07 2024-05-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7099434B2 (ja) * 2019-11-29 2022-07-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1784A (ko) * 2005-05-11 2007-06-1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KR20090009743A (ko) * 2007-07-20 2009-01-23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형 복합 전자부품
JP2012129665A (ja) * 2010-12-14 2012-07-05 Panasonic Corp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US20150035621A1 (en) * 2013-07-30 2015-02-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KR20150076080A (ko) * 2013-12-26 2015-07-06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정전기 보호 부품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7851B2 (ja) * 1991-02-28 1998-0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磁干渉フィルタ
JP2600127Y2 (ja) * 1993-01-14 1999-10-04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チップemi除去フィルタ
JP2604139Y2 (ja) * 1993-03-18 2000-04-17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チップ部品
JP3780414B2 (ja) * 2001-04-19 2006-05-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バラントランス
JP4370838B2 (ja) * 2002-08-21 2009-11-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ノイズフィルタ
JP2006286934A (ja) * 2005-03-31 2006-10-19 Taiyo Yuden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2007180321A (ja) * 2005-12-28 2007-07-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電子部品
JP2010028695A (ja) * 2008-07-24 2010-02-04 Murata Mfg Co Ltd ノイズフィルタ部品及びコイル部品
JP4985617B2 (ja) 2008-11-07 2012-07-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複合電子部品
JP2012109326A (ja) 2010-11-16 2012-06-07 Panasonic Corp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5961813B2 (ja) * 2011-10-31 2016-08-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KR101445741B1 (ko) * 2013-05-24 2014-10-07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회로 보호 소자
JP6678292B2 (ja) * 2015-02-19 2020-04-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6414529B2 (ja) * 2015-09-25 2018-10-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1784A (ko) * 2005-05-11 2007-06-1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KR20090009743A (ko) * 2007-07-20 2009-01-23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형 복합 전자부품
JP2012129665A (ja) * 2010-12-14 2012-07-05 Panasonic Corp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US20150035621A1 (en) * 2013-07-30 2015-02-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KR20150076080A (ko) * 2013-12-26 2015-07-06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정전기 보호 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16257B (zh) 2019-05-10
US20170092414A1 (en) 2017-03-30
JP2017069408A (ja) 2017-04-06
KR20170038670A (ko) 2017-04-07
US10115515B2 (en) 2018-10-30
JP6565555B2 (ja) 2019-08-28
CN106816257A (zh)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645B1 (ko) 적층 코몬 모드 필터
KR101859830B1 (ko) 전자 부품
JP3850398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5176989B2 (ja)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及びその実装構造
US10340070B2 (en) Multilayer common mode filter
JP6515353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US8390417B2 (en) Laminated electronic component
JPWO2014171140A1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62194B2 (ja) 積層型貫通コンデンサアレイ
JP5961813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2016187005A (ja) 積層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6720945B2 (ja) コイル部品
JP6693080B2 (ja) 積層型フィルタ
JP2016225394A (ja) 積層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6642544B2 (ja) コイル部品
JP2020035795A (ja) 積層コイル部品
JP2006173790A (ja) 積層型lc複合部品
US11551846B2 (en) Multilayer coil component
CN111261366B (zh) 层叠线圈部件
JP4293118B2 (ja) 非可逆回路素子および通信装置
JP5966423B2 (ja) 積層型電子部品
JP5966424B2 (ja) 積層型電子部品
JP2024022254A (ja) 電子部品
JP2013251374A (ja) 積層コンデンサ
JP2023111075A (ja) 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