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827B1 - 수증기 발생 온열구 - Google Patents

수증기 발생 온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827B1
KR101857827B1 KR1020127027577A KR20127027577A KR101857827B1 KR 101857827 B1 KR101857827 B1 KR 101857827B1 KR 1020127027577 A KR1020127027577 A KR 1020127027577A KR 20127027577 A KR20127027577 A KR 20127027577A KR 101857827 B1 KR101857827 B1 KR 101857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thol
sheet
capsaicin
heat
steam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0429A (ko
Inventor
교우코 다가미
가츠토시 하라
이치로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9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 A61F2007/00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of gas
    • A61F2007/0062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of gas the gas being steam or water vap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6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adhesive, self-st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61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medic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에 의한 발열에 수반하여 수증기를 방출하는 수증기 발생부 (30) 를 갖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이다.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는 캡사이신 유연체 및 멘톨류를 함유한다. 캡사이신 유연체와 멘톨류의 질량비 (캡사이신 유연체/멘톨류) 를 1/300 ∼ 1/20000 으로 하였다. 캡사이신 유연체를 수증기 발생 온열구의 부재 중,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하는 부재에 존재시키고, 또한 멘톨류를 수증기 발생 온열구의 부재 중, 사용자의 피부에 닿지 않는 부재에 존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수증기 발생 온열구 {WATER-VAPOR-GENERATING HEATING TOOL}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수증기 및 온열을 부여할 수 있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에 관한 것이다.
철분의 산화에 의한 발열을 이용한 온열구에 있어서, 캡사이신이나 멘톨을 함유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공기와 접하여 발열하는 발열재가 봉입된 통기성 주머니체의 피부와의 접촉면에 고약 (膏藥) 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고약층을 형성한 온열 용구에 있어서, 고약의 유효 성분으로서 고추 엑기스나 l-멘톨을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점착층 및 발열 물질을 포함하는 발열층을 갖고, 점착층이 다가 알코올류와 그 다가 알코올류에 용해 또는 팽윤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온열겔을 함유하는 온열 시트에 있어서, 그 온열겔에 캡사이신 및 l-멘톨을 함유시켜도 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온열구의 기술 분야는 아니지만, 도포 외용제나 첩부제 (貼付劑) 로서 사용되는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4-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기를 함유하는 온감 성분과 캡사이신 등의 바닐아미드를 함유하는 온감 성분을 함유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3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360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1050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50829호
그러나, 종래의 온열구에서는 캡사이신의 온감을 지속시키는 기술이나, 캡사이신의 온감 발현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키는 기술에 대해서는 검토의 여지가 있고, 추가적인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온감 자극 성분인 캡사이신 유연체 (類緣體) 에 대해 과잉량의 멘톨류와 수증기 온열을 특정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캡사이신 유연체 특유의 자극감이 완화되고, 적당한 온감이 얻어질 뿐만 아니라, 예상 밖으로 적당한 온감의 지속성이 향상되고, 또한 수증기 발생 온열구가 발열하기 시작하고 나서 온감 발현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에 의한 발열에 수반하여 수증기를 방출하는 수증기 발생부를 갖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로서,
캡사이신 유연체 및 멘톨류를 함유하고,
캡사이신 유연체와 멘톨류의 질량비 (캡사이신 유연체/멘톨류) 를 1/300 ∼ 1/20000 으로 한 수증기 발생 온열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당한 온감의 장시간 지속이 가능하고, 또한 수증기 발생 온열구를 신체에 적용하고 나서 온감 발현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수증기 발생 온열구가 적용된 부위뿐만 아니라, 수증기 발생 온열구가 적용되지 않은 부위에 대해서도, 피부 온도가 상승하거나 동통이 개선되거나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수증기 발생 온열구의 일 실시형태를 신체측 시트의 측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1(b) 는, 도 1(a) 에 있어서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a) 및 도 1(b) 에 나타내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의 일 사용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 에서 얻어진 수증기 발생 온열구를 적용하지 않은 쪽의 어깨 통증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 에서 얻어진 수증기 발생 온열구를 적용하지 않은 쪽의 어깨에 있어서의 적용 전후에서의 피부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온열구의 온감에 대하여, 추가적인 개량을 더한 수증기 발생 온열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증기 발생 온열구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수증기의 발생을 수반하는 수증기 발생 온열을 부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의 수증기 발생 온열구는 수증기 발생부를 갖고 있다. 이 수증기 발생부는 피산화성 금속 및 물을 포함하고 있고, 그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에 의한 발열에 수반하여 수증기를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증기 발생 온열구는 캡사이신 유연체, 멘톨류, 수증기 및 온열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점에 특징 중 하나를 갖고 있다. 캡사이신 유연체란, 캡사이신 및 그 유사체를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캡사이신 이외에, 디하이드로캡사이신, 노르디하이드로캡사이신, 호모디하이드로캡사이신, 호모캡사이신, 비스호모캡사이신, 트리스호모캡사이신, 노르노르캡사이신, 노르캡사이신, 캡사이시놀, 노닐산바닐아미드, 데실산바닐아미드 등을 말하고, 이들은 사용자에게 온감의 부여가 가능한 물질로서 알려져 있다. 특히 바람직한 캡사이신 유연체는 캡사이신 및 디하이드로캡사이신이다. 본 발명자들은 온감 자극 성분인 캡사이신 유연체에 대해 과잉량의 멘톨류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적당한 온감이 얻어질 뿐만 아니라, 놀랍게도 신체에 적용하고 나서 온감 발현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또한 적당한 온감의 지속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아냈다. 또, 수증기 발생 온열구가 적용된 부위뿐만 아니라, 수증기 발생 온열구가 적용되지 않은 부위에 대해서도, 피부 온도가 상승하거나 동통이 개선되거나 하는 효과가 발현되는 것도 알아냈다. 또한, 멘톨류란, l-멘톨 및 dl-멘톨 등을 말한다. 특히 바람직한 멘톨류는 l-멘톨이다. 캡사이신 유연체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멘톨류도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86220016-pct00001

상기 서술한 효과를 현저하게 하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수증기 발생 온열구에 있어서는 캡사이신 유연체와 멘톨류의 질량비 (캡사이신 유연체/멘톨류) 를 1/300 ∼ 1/20000 으로 설정하고 있다. 캡사이신 유연체/멘톨류의 비율이 이 범위이면, 캡사이신 유연체의 온감에, 고휘발성의 멘톨류의 자극과 증기 온열이 작용하고, 그 결과 온감이 신속하게 발현되고, 또한 적당한 온감의 지속도 길어지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하다. 이들의 관점에서, 상기 질량비는 1/500 ∼ 1/1500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000 ∼ 1/7000 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증기 발생 온열구에 있어서, 캡사이신 유연체 및 멘톨류는 양자를 혼합한 상태에서 존재시켜도 되지만, 캡사이신 유연체 및 멘톨류를 수증기 발생 온열구에 있어서의 각각의 부위로 나누어 존재시키면 상기 서술한 효과를 현저하게 하는 관점이나 보존 안정성의 관점 등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캡사이신 유연체에 관해서는 직접 접촉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로 이행할 수 있는 부위,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수증기 발생 온열구의 부재 중,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하는 부재에 존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멘톨류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수증기 발생 온열구의 부재 중, 사용자의 피부에 닿지 않는 부재에 존재시켜 두는 편이 좋다. 본 발명의 수증기 발생 온열구는 수증기의 발생을 수반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떨어진 부재에 멘톨류를 존재시켜 두어도, 멘톨류는 그 휘발에 의해 수증기의 흐름에 수반하여, 순조롭게 사용자의 피부까지 도달한다. 특히, 멘톨류는 수증기 발생부 (이후, 발열부라고도 한다) 중에 존재시키면 된다. 그 이유는 후술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수증기 발생 온열구의 일 실시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는 편평한 것으로, 포재 (包材) (20) 와 그 포재 (20) 내에 밀봉 수용된 발열부 (30) 를 구비하고 있다. 포재 (20) 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평평한 형상을 하고 있다. 포재 (20) 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의 사용시에 사용자의 피부측을 향하는 피부 대향면과 사용시에 외측을 향하는 외면을 갖고 있다. 피부 대향면은 신체측 시트 (21) 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외면은 외측 시트 (22) 로 구성되어 있다. 신체측 시트 (21) 과 외측 시트 (22) 는 대략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고, 양 시트 (21, 22) 의 둘레 가장자리역 (23) 이 소정 수단에 의해 밀봉 접합되어 있다.
발열부 (30) 는 적어도 일부에 투기성을 갖는 시트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발열부 (30) 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의 사용시에 사용자의 피부측을 향하는 제 1 시트 (31) 와, 사용시에 외측을 향하는 제 2 시트 (32) 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제 1 시트 (31) 및/또는 제 2 시트 (32) 는 적어도 일부에 투기성을 갖고 있다. 제 1 시트 (31) 와 제 2 시트 (32) 는 대략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고, 양 시트 (31, 32) 의 둘레 가장자리부 (도시 생략) 가 소정 수단에 의해 밀봉 접합되어 있다. 발열부 (30) 에 포함되는 피산화성 금속은 시트 (31) 및/또는 시트 (32) 에 있어서의 투기성을 갖는 부위를 통해서 투과하여 온 산소와 접촉함으로써, 산화 발열을 일으킨다. 또, 제 1 시트 (31) 와 제 2 시트 (32) 의 투기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제 1 시트 (31) 를 통해서 수증기가 우선적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시트 (32) 의 투기도는 제 1 시트 (31) 의 투기도보다 크다. 여기서, 투기도는 JIS P 8117 에 의해 측정되는 값으로, 일정한 압력하에서 100 ㎖ 의 공기가 6.42 ㎠ 의 면적을 통과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투기도가 큰 것이 공기의 통과에 시간이 걸리는 것, 즉 투기성이 낮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반대로, 투기도가 작은 것은 투기성이 높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와 같이, 투기도의 대소와 투기성의 고저는 반대의 관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시트 (31) 및 제 2 시트 (32) 의 투기성을 비교하면, 제 1 시트 (31) 가 제 2 시트 (32) 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높아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시트 (31) 의 투기도는 100 ∼ 30000 초/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 20000 초/10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000 ∼ 10000 초/10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시트 (32) 는 투기성이 있는 것, 혹은 투기성이 없는 것이 사용되고, 투기성이 있는 경우에는 제 1 시트 (31) 의 투기도와 동등하거나 그것보다 수치가 높고, 8000 ∼ 100000 초/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0 ∼ 90000 초/10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000 ∼ 80000 초/10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의 포재 (20) 에 있어서의 신체측 시트 (21) 의 표면에는 점착제 (24) 가 형성되어 있다. 점착제 (24) 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점착제 (24) 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의 평면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 발열부 (30) 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 (24) 는 신체측 시트 (21) 의 둘레 가장자리역의 위치에, 발열부 (30) 를 둘러싸도록 연속적으로 혹은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점착제 (24) 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체측 시트 (21) 과 외측 시트 (22) 가 그들의 둘레 가장자리역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는 접합 영역 내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점착제 (24) 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과 신체측 시트 (21) 및 외측 시트 (22) 가 접합되어 있는 접합 영역이 대략 동일해도 된다.
점착제의 종류로는 사용 중에 박리되지 않고 시트를 유지할 수 있고, 특히 둘레 가장자리역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발열부 (30) 를 둘러싸도록 연속하여 형성된 경우에, 발열부 (30) 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를 외부로 누설시키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종래 공지된 천연 또는 합성 고무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실리콘계, 우레탄계 등의 핫멜트 점착제로부터 선정된다. 이들 수지는 비전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적인 점착제에 첨가되고 있는 점착 부여제, 연화제, 무기 충전제, 노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안료 등이 첨가되어도 된다.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의 포재 (20) 를 구성하는 시트 중, 적어도 신체측 시트 (21) 는 투기성을 갖고 있어 수증기의 방출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한 재료로는 섬유 시트, 다공성 필름, 천공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신체측 시트 (21) 가 사용자의 피부에 닿는 부재인 것을 고려하면, 그 시트 (21) 는 질감이 양호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적어도 그 일부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지는 합성 섬유나, 셀룰로오스, 코튼, 울, 실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천연 섬유, 또는 이들을 복합한 섬유 등을 사용하여, 에어스루법, 스판본드법, 니들 펀치법, 멜트 블로운법, 카드법, 열융착법, 수류 교락법, 용제 접착법 등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 6 이나, 폴리아미드 66 등의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락트산계 섬유 등의 소수성 섬유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사용하면, 발열부 (30) 로부터 발생한 증기가 효과적으로 피부에 부여되어, 본 발명의 온감 발현 단축 효과나 적당한 온감의 지속성 향상 효과를 바람직하게 발휘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외측 시트 (22) 에 관해서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의 구체적인 용도에 따라, 투기성을 갖고 있어도 되고, 혹은 갖지 않아도 된다. 외측 시트 (22) 의 재질에 관해서는 그것이 투기성인지의 여부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하면 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에 있어서는 그 사용시에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하는 부재인 신체측 시트 (21) 의 적어도 접촉면인 표면에 캡사이신 유연체가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의 사용 중에, 캡사이신 유연체를 사용자의 피부에 순조롭게 이행시키는 것을 고려하면, 캡사이신 유연체는 신체측 시트 (21) 에 있어서의 점착제 (24) 의 부존재 부위, 즉 신체측 시트 (21) 에 있어서의 중앙역에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캡사이신 유연체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를 평면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 발열부 (30) 와 겹치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것이 적당한 온감 발현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신체측 시트 (21) 에 캡사이신 유연체를 유지시키는 수단으로는 신체측 시트 (21) 의 재질에 따라 적절한 수단을 채용하면 된다. 신체측 시트 (21) 가, 예를 들어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부직포를 제조할 때에 섬유 사이에 캡사이신 유연체를 분산시켜 담지시켜 두거나 부직포의 표면에 캡사이신 유연체를 분산 배합한 액제를 도공하거나 부직포를 함침하거나 함으로써, 캡사이신 유연체를 순조롭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신체측 시트 (21) 의 적어도 일부가, 예를 들어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부직포를 제조할 때에 섬유 사이에 캡사이신 유연체를 분산시켜 담지시켜 두거나 부직포의 표면에 캡사이신 유연체를 분산 배합한 액제를 도공하거나 부직포를 함침하거나 함으로써, 캡사이신 유연체를 순조롭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신체측 시트 (21) 에 유지시키는 캡사이신 유연체의 양은 캡사이신 유연체에서 기인하는 온감의 강도가 바람직한 정도가 되도록 하는 관점에서, 캡사이신 유연체를 처리한 부위의 면적에 기초하여, 0.05 ∼ 5.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8 ∼ 3.0 ㎍/㎠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멘톨류의 존재 위치에 관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캡사이신 유연체와 마찬가지로 신체측 시트 (21) 에 유지시켜도 되고, 혹은 그 이외의 부재, 예를 들어 발열부 (30), 시트 (31) 나 시트 (32), 또는 외측 시트 (22) 에 유지시켜도 된다.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의 보존 중에 있어서의 멘톨류의 안정성이나, 멘톨류의 유지 용이성을 고려하면, 발열부 (30) 에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에 유지시키는 멘톨류의 양은 캡사이신 유연체와 멘톨류의 질량비가 상기 서술한 범위를 만족시키는 양으로서, 또한 0.05 ∼ 1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 5.0 ㎎/㎠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멘톨류를 발열부 (30) 에 유지시키는 경우에는 그 발열부 (30) 에 대한 멘톨류의 비율을 0.02 ∼ 5.0 질량%, 특히 0.04 ∼ 2.5 질량%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멘톨류를 발열부 (30) 에 유지시키는 경우에는, 멘톨류를 이것을 용해하는 용해제와 함께 발열부 (30) 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멘톨류를 용해제 중에 용해한 용액 상태하에 발열부 (30) 에 첨가함으로써, 멘톨류를 발열부 (30) 의 전체에 균일하게 널리 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멘톨류는 일반적으로 유성 물질이라는 점에서, 용해제는 유성 물질의 용해가 가능한 물질이고, 또한 신체에 해가 없는 유기 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열부 (30) 는 화학 반응으로 발열시키는 것으로서 물을 첨가하고 있기 때문에, 용해제는 물과의 상용성이 양호한 유기 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과의 상용성이 양호한 용해제를 사용함으로써, 발열부 (30) 중에 용해제를 균일하게 널리 퍼지게 할 수 있다. 그러한 유기 용제로는 25 ℃ 에서 액상 물질의 알코올류로서,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이나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등의 다가 알코올류, 또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특히 25 ℃ 에서 액상 물질의 다가 알코올이 다량의 멘톨류를 방출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화학 반응에 의한 발열을 수반한다는 점에서, 용해제도 사용 중에 냄새가 적은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이 멘톨류의 방출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용해제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멘톨류를 충분히 용해시켜, 발열부 (30) 의 전체에 균일하게 널리 퍼지도록 첨가하고, 나아가서는 발열 특성에 대한 영향을 줄이는 관점에서, 용해제는 발열부 (30) 의 전체 중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 2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1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5 질량% 의 농도로 사용한다. 또, 멘톨류를 충분히 용해시키는 관점에서, 용해제와 멘톨류의 합계 질량을 100 으로 했을 때에, 용해제를 바람직하게는 5 ∼ 99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93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90 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 80 질량% 사용한다.
멘톨류를 발열부 (30) 에 함유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멘톨류를 용해제에 미리 용해시킨 용액을 준비하고, 발열부 (30) 를 조제한 후에 그 용액을 첨가하면 된다. 첨가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분무, 도포, 침지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멘톨류를, 발열부 (30) 에 유지시키는 경우의 별법으로서, 멘톨류를 이것을 용해하는 용해제 및 계면 활성제와 함께 발열부 (30) 에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용해제로서 이하의 A 및 B 의 조합을 사용하면 발열부 (30) 로부터의 멘톨류의 방출성이 현저하게 양호해진다는 유리한 효과가 나타난다.
·A)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1 가의 알코올, 지방산, 실리콘유, 글리세라이드 및 식물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25 ℃ 에서 액상의 유제로 이루어지는 제 1 용해제
·B)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제 2 용해제
제 1 용해제로는,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탄화수소유,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등의 에스테르유, 2-헥실데칸올, 2-옥틸도데칸올, 2-데실테트라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등의 1 가의 알코올,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의 지방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시클로메티콘 등의 고리형 또는 직사슬형의 실리콘유, 디올레인산디글리세라이드 등의 모노글리세라이드, 디에틸헥실모노글리세라이드 등의 디글리세라이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 등의 트리글리세라이드, 호호바유, 마카다미아 너트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등의 식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특히 탄소수 16 ∼ 22 의 1 가의 고급 알코올은 멘톨류와의 상용성이 높기 때문에, 보다 소량으로 멘톨류를 발열부 (30) 중에 균일하게 배합 가능하다. 그 때문에, 발열에 대한 영향이 적어져, 더욱 발열시에 이취 등의 발생이 관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제 1 용해제가, 발열부 (30) 중에 바람직하게는 0.01 ∼ 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3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 1 질량% 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으면, 충분한 발열량이 확보되어 바람직하다. 제 1 용해제와 멘톨류의 질량비 (제 1 용해제/멘톨류) 는 바람직하게는 0.01 ∼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0.5 이다.
제 2 용해제로서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이나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폴리에틸렌글리콜은 계면 활성제에 의한 멘톨류의 유화 분산성을 유지하면서 멘톨류의 방출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제 2 용해제가, 발열부 (30) 중에 바람직하게는 0.01 ∼ 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3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 2 질량% 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으면, 충분한 발열량이 확보됨과 함께, 발열부 (30) 로부터의 멘톨류의 방출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 2 용해제와 멘톨류의 질량비 (= 제 2 용해제/멘톨류) 는 바람직하게는 0.1 ∼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3,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 이다. 양자를 이 비율로 함유시킴으로써, 발열의 저해가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발열부 (30) 의 발열에서 기인하는 멘톨류의 양호한 방출이 달성된다.
용해제의 조합은 멘톨류와 물의 상용성이나, 계면 활성제와 물의 친화성에 대한 영향도를 고려하여 선택된다. 즉, 제 1 용해제와 제 2 용해제의 바람직한 조합은 제 1 용해제로서 1 가의 고급 알코올을 사용하고, 제 2 용해제로서 다가 알코올을 사용하는 조합이다. 이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멘톨류와 발열부 (30) 중의 물의 유화가 한층 순조롭게 실시되어 발열의 저해가 최소한으로 억제되고, 또한 발열시에 멘톨류의 양호한 방출이 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용해제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은 2-옥틸도데칸올, 2-헥실데칸올 등이다. 한편, 제 2 용해제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특히 분자량이 200 ∼ 600 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이다.
멘톨류 및 상기 서술한 용해제와 함께 사용되는 계면 활성제로는 화장품, 의약품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양이온 계면 활성제, 음이온 계면 활성제, 비이온 계면 활성제 및 양성 계면 활성제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발열부 (30) 에 포함되는 전해질 수용액과 멘톨류의 유화를 순조롭게 실시할 수 있어 유화 안정성이 높고, 또한 발열부 (30) 의 발열에 의해 멘톨류를 양호하게 방출시킬 수 있고, 또한 발열부 (30) 의 발열을 저해하기 어렵다고 하는 관점에서,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알킬 알칸올아미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계면 활성제 중,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등은 제 2 용해제와 상호 작용을 나타내어 계면 활성제의 물과의 친화력에 작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HLB 가 바람직하게는 10 ∼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 18,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 17 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특히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HLB 값은 Griffin 의 식 (J. Soc. Cosmet. Chem., 1,311 (1949)) 으로부터 구한 것이다.
발열부 (30) 중의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0.01 ∼ 5 질량%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3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 2 질량% 이다. 이와 같은 함유량이면, 멘톨류 및 용해제의 발열부 (30) 중에서의 분산이 더욱 양호해지기 때문에, 발열부 (30) 중에 있어서 멘톨류를 더욱 균일하게 배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발열부 (30) 의 발열에 의해 멘톨류를 양호하게 방출시킬 수 있어 더욱 발열에 대한 영향도 적어지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제 2 용해제의 함유량과의 관계에서, 제 2 용해제/계면 활성제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0.1 ∼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2 이다. 계면 활성제의 사용량이 이 범위 내의 비율이면, 발열부 (30) 의 발열이 더욱 저해되기 어려워지고, 또한 멘톨류와 발열부 (30) 에 포함되는 물의 유화 안정성이 더욱 높아지고, 또한 멘톨류의 양호한 방출을 달성된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에 있어서는 신체측 시트 (21) 의 중앙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둘레 가장자리역에 점착제 (24) 가 형성되어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점착제층이, 중앙역을 둘러싸도록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점착제층에 의해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를 사용자의 피부에 첩부시키면, 신체측 시트 (21) 의 중앙역이 둘레 가장자리역에 존재하는 점착제층에 의해 밀폐된다. 즉, 사용자의 피부와 신체측 시트 (21) 의 중앙역과 둘레 가장자리역에 존재하는 점착제층에 의해 밀폐부가 구획 형성된다. 이 밀폐부에 발열부 (30) 로부터 생긴 수증기가 충만함과 함께, 휘발된 멘톨류도 충만하고, 이에 더하여 캡사이신 유연체도 신체측 시트 (21) 의 중앙역으로부터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에 의해 이행되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적당한 온감의 지속 시간이 길어진다는 효과나, 온감을 지각할 때까지의 상승 시간이 짧다는 효과가 더욱 현저한 것이 된다.
캡사이신 유연체의 온감 상승 향상 효과나 적당한 온감의 지속 효과를 더욱 현저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는 그 수증기의 발생량이 충분한 것도 중요하다. 이 관점에서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는 신체에 적용하고 나서 5 시간까지의 동안, 단위 면적당 60 분 동안에 발생하여 피부에 부여되는 수증기량이 5 ∼ 50 ㎎/(㎠·60 min), 특히 6 ∼ 40 ㎎/(㎠·60 min), 특히 8 ∼ 35 ㎎/(㎠·60 m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의 발생량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된다. 용적 4.2 리터, 습도 1 RH% 이하로 하고, 밀폐계 내에 2.1리터/min 의 건조 공기를 공급 가능한 시험기를 준비하고, 그 내부에 수증기가 증산 가능하도록 소정 치수의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를 가만히 정지시켜 발열시킨다. 그리고, 상기 밀폐계 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습도계로 측정하고, 하기 식 (1) 을 사용하여 발열 개시 후에 발생하는 수증기의 양을 구해 단위 시간당의 수증기량으로 한다. 그리고, 60 분간의 누적된 수증기량을 구해 단위 면적당으로 환산한다. 여기서, e 는 수증기압 (Pa), es 는 포화 수증기압 (Pa:JIS Z 8806 에서 인용), T 는 온도 (℃:건구 온도), s 는 샘플링 주기 (초) 이다.
상대 습도 U (%RH) = (e/es) × 100
절대 습도 D (g/㎥) = (0.794 × 10-2 × e)/(1 + 0.00366T)
= (0.794 × 10-2 × U × es)/[100 × (1 + 0.00366T)]
단위 공기 용적 P (리터) = (2.1 × s)/60
단위 시간당 수증기의 발생량 A (g) = (P × D) /1000 … (1)
또한, 여기서 말하는 수증기 발생량이란, 제 1 시트 (31) 및 그 외측에 위치하는 신체측 시트 (21) 를 투과하여 피부에 부여되는 수증기량을 말한다. 제 1 시트 (31) 와 제 2 시트 (32) 의 투기성이 상이한 경우에는 양자 투기도의 비에 의한 가중을 적용하여, 피부에 부여되는 수증기의 발생량을 산출한다.
상기 서술한 수증기 발생량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발열부 (30) 를 피복하는 제 1 시트 (31) 및 제 2 시트 (32) 의 투기도 (JIS P 8117) 를 적절히 밸런스를 맞추면 된다. 예를 들어 제 1 시트 (31) 및 제 2 시트 (32) 의 투기도를 비교하면, 착용자의 신체에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는 시트인 제 1 시트 (31) 의 투기도보다, 제 2 시트의 투기도를 높게 함으로써, 제 1 시트 (31) 를 통해서 수증기가 우선적으로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캡사이신 유연체의 온감 상승 향상 효과나 적당한 온감의 지속 효과를 더욱 현저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는 그 수증기의 발생량이 충분한 것에 더하여, 발열 온도도 충분한 것이 유리하다. 이 관점에서,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는 이것을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맞닿게 한 상태에 있어서, 피부 표면 온도를 1 ∼ 5 시간에 걸쳐 38 ∼ 43 ℃ 로 유지시키는 발열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 표면 온도는 피험자의 신체 (예를 들어 목의 배면부나 어깨부) 에 장착한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에 있어서의 발열부 바로 아래의 위치에서 측정한다. 발열부 바로 아래의 피부 표면 온도의 측정에는, 예를 들어 체온 모니터 (코어 템프 CM-210:테루모 주식회사 제조, 체표 온도 프로브:PDK161) 를 사용한다.
상기 서술한 수증기량이나 발열 온도의 특성을 갖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를 얻기 위해서는 주로 발열부 (30) 에 포함되는 피산화성 금속 및 물의 함유량이나, 발열부 (30) 를 피복하는 시트 (31) 의 투기도 등의 값을 컨트롤하면 된다.
발열부 (30) 에 포함되는 피산화성 금속으로는 철분을 비롯하여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발열부 (30) 를 구성하는 성분은 발열부 (30) 의 구조에 따라 적절한 것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발열부 (30) 로는, 예를 들어 피산화성 금속이나 반응 촉진제 등을 함유하는 성형체에,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는 전해액을 주입하여 구성된 발열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전해질 및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발열 분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해질 및 물의 함유량은 피산화성 금속이나 반응 촉진제 등을 함유하는 성형체, 혹은 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7 중량% 의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해질 수용액이 20 ∼ 80 중량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는,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첩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는 종래의 온열구와 비교하여, 온감의 상승이 빠르고, 적당한 온감의 지속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작은 사이즈로 하여 국소적인 가온을 실시할 수 있다. 작은 사이즈의 온열구 (10) 는 그만큼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이 적기 때문에, 총 발열량은 큰 사이즈인 것에 비해 작아지는 경향이 있고, 그 결과,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온감을 얻을 수 없다는 염려가 있다. 그러나, 그러한 작은 사이즈의 온열구 (10) 라도, 캡사이신 유연체 및 멘톨류의 병용에 의해 적당한 온감이 지속되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온열구 (10) 는 발열부 (30) 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면적이 작은 경우,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1.0 ∼ 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20 ㎠ 의 작은 면적을 갖는 경우에, 그 특징이 현저하게 발휘된다.
이상,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개변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의 형상은 도 1 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그들의 조합 등, 여러 가지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의 적용 부위는 도 2 에 나타내는 부위에 한정되지 않고, 신체의 여러 가지 부위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및 「부」는 각각 「질량%」및 「질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도 2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를, 이하의 순서로 제작하였다.
(1) 시트상 발열부 (30) 의 제작
<원료 조성물 배합>
·피산화성 금속:철분, 도와 광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RKH」:83 %
·섬유상물:펄프 섬유 (플레처 챌린지 캐나다사 제조, 상품명 NBKP 「Mackenzi (CSF 200 ㎖ 로 조정)」) :8 %
·반응 촉진제:활성탄 (닛폰 엔바이로 케미칼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카르보라핀」, 평균 입경 45 ㎛) 9 %
상기 원료 조성물의 고형분 (피산화성 금속, 섬유상물 및 활성탄의 합계) 100 부에 대하여, 카티온계 응집제인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하이드린 수지 (세이코우 PMC (주) 제조, 상품명 「WS4020」) 0.7 부 및 아니온계 응집제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 제조, 상품명 「HE1500F」0.18 부를 첨가하였다. 또한, 물 (공업용수) 을 고형분 농도가 12 % 가 될 때까지 첨가하여 슬러리를 얻었다.
<초조 조건>
상기 슬러리를 사용하여, 이것을 초지 헤드의 직전에 0.3 % 로 물로 희석시키고, 경사형 단망 초지기에 의해, 라인 속도 15 m/분으로 초지하여 습윤 상태의 성형 시트를 제작하였다.
<건조 조건>
성형 시트를 펠트로 협지하여 가압 탈수하고, 그대로 140 ℃ 의 가열 롤 사이에 통과시켜, 함수율이 5 %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평량은 450 g/㎡, 두께는 0.45 ㎜ 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성형 시트의 조성을 열중량 측정 장치 (세이코 인스트루먼트사 제조, TG/DTA6200) 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철 83 %, 활성탄 9 %, 펄프 8 % 였다.
<시트상 발열부 (30) 의 제작>
얻어진 성형 시트를 25 ㎜ × 25 ㎜ 로 잘라내고, 4 장을 중첩시키고, 그 성형 시트 100 부에 대해 표 1 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조제한 멘톨류 함유 전해액을 40 부 주입하였다. 발열부 (30) 의 전체 질량에 대한 멘톨의 비율은 0.9 %, 2-옥틸도데칸올의 비율은 0.2 %,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의 비율은 1.4 %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E.O.) (HLB 14.0) 의 비율은 0.9 % 였다. 모관 현상을 이용하여 이들을 성형 시트 전체에 침투시켜, 사각형의 시트상 발열부 (30) (치수 25 ㎜ × 25 ㎜) 를 얻었다. 이 때의 시트상 발열부 (30) 중의 멘톨량은 2.18 ㎎/㎠ 였다. 이 시트상 발열부 (30) 의 전체를, 폴리에틸렌제 투기 필름으로 쌌다. 이 투기 필름은 피부 대향면측과 외측에서 통기도가 상이한 것을 사용하였다. 피부 대향면측의 투기 필름 (31) 의 투기도 (JIS P 8117) 는 2500 초/100 ㎖ 이며, 외측의 투기 필름 (32) 의 투기도 (JIS P 8117) 는 30000 초/100 ㎖ 였다.
Figure 112012086220016-pct00002
(2)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의 제작
포재 (20) 에 있어서의 신체측 시트 (21) 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이루어지는 니들 펀치 부직포 (평량 40 g/㎡) 를 사용하였다. 외측 시트 (22) 로서 평량 50 g/㎡ 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이들 시트로 이루어지는 포재 (20) 내에, 상기 서술한 폴리에틸렌제 투기 필름 (31, 32) 으로 싸인 발열부 (30) 를 수용하였다. 신체측 시트 (21) 의 중앙역에는 캡사이신 유연체 (캡사이신 및 디하이드로캡사이신 등) 를 0.032 g/100 ㎖ 포함하는 고추 틴크를, 휘발 용매인 에탄올에 혼합하여 균일 분산시키고, 그 용액을 부직포에 도포하고, 그 후 건조시키는 방법에 의해 유지시켰다. 유지량은 0.54 ㎍/㎠, 유지 면적은 7.5 ㎠ 로 하였다. 또, 신체측 시트 (21) 의 둘레 가장자리역에는 SIS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핫멜트 점착제를 연속하여 도공하였다. 도공 면적은 15 ㎠ 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목적으로 하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를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멘톨의 유지량을 0.24 ㎎/㎠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를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멘톨의 유지량을 0.53 ㎎/㎠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를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 에 있어서 멘톨의 유지량을 3.90 ㎎/㎠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를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 에 있어서, 캡사이신 유연체와 마찬가지로, 멘톨도 신체측 시트 (21) 에 유지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를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 에 있어서, 캡사이신 유연체의 유지량을 1.3 ㎍/㎠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를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 에 있어서, 캡사이신 유연체의 유지량을 0.13 ㎍/㎠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를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 에 있어서, 제 1 시트 (31) 의 투기도를 10000 초/100 ㎖, 제 2 시트 (32) 의 투기도를 10000 초/100 ㎖ 와 같이 변경하고, 수증기 발생량을 7.3 ㎎/(㎠·60 min)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를 얻었다.
[비교예 1]
본 비교예는 건열의 온열구의 예이다. 실시예 1 에 있어서, 발열부 (30) 를 제조할 때에, 성형 시트 100 부에 대해 전해액량 (5.0 % 식염수) 이 40 부가 되도록 전해액을 주입하였다. 이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건열의 온열구를 얻었다.
[비교예 2]
본 비교예는 멘톨류를 사용하지 않는 예이다. 실시예 1 에 있어서 멘톨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증기 발생 온열구를 얻었다.
[비교예 3]
본 비교예는 멘톨류를 초대 과잉으로 사용한 예이다. 멘톨을 초대 과잉으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수증기 발생 온열구를 얻었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온열구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에 의해 온감 발현의 빠르기, 적당한 온감의 지속성, 피부 자극감 강도를 평가하였다. 또, 상기 서술한 방법에 의해 수증기의 발생량 및 피부 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이하의 표 2 에 나타낸다.
[온감 발현의 빠르기]
전문 패널리스트 3 명에 의한 온감 발현의 빠르기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수증기 발생 온열구 및 건열의 온열구를 어깨부에 3 시간 적용했을 때의 온감 강도를 「0:느끼지 않는다」 「1:약하게 느낀다」 「2:약간 약하게 느낀다」 「3:적당하게 느낀다」 「4:약간 강하게 느낀다」 「5:강하게 느낀다」의 6 단계로 평가하고, 온감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검토하였다. 온감 발현의 빠르기는 온열구를 어깨부에 적용하고 나서 온감을 「1:약하게 느낀다」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적당한 온감의 지속성 (온감 지속 시간)]
전문 패널리스트 3 명에 의한 적당한 온감의 지속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수증기 발생 온열구 및 건열의 온열구를 어깨부에 3 시간 적용했을 때의 온감의 강도를 「0:느끼지 않는다」 「1:약하게 느낀다」 「2:약간 약하게 느낀다」 「3:적당하게 느낀다」 「4:약간 강하게 느낀다」 「5:강하게 느낀다」의 6 단계로 평가하고, 온감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검토하였다. 적당한 온감의 지속성은 온감의 강도가 「2:약간 약하게 느낀다」부터 「4:약간 강하게 느낀다」의 사이에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피부 자극감 강도]
전문 패널리스트 3 명에 의한 피부 자극감 강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수증기 발생 온열구 및 건열의 온열구를 어깨부에 3 시간 적용했을 때의 피부 자극감 강도를, 「0:느끼지 않는다」 「1:약하게 느낀다, 너무 약하다」 「2:약간 약하게 느낀다」 「3:적당하게 느낀다」 「4:약간 강하게 느낀다」 「5:강하게 느낀다, 너무 강하다」의 6 단계로 평가하고, 평균값을 구하였다.
Figure 112012086220016-pct00003
표 2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의 수증기 발생 온열구에 의하면, 불쾌한 자극감을 주지 않고 적당한 온감 강도가 얻어짐과 함께, 온감 발현이 빠르고, 또한 적당한 온감의 지속성이 긴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수증기의 발생을 수반하지 않는 건열의 온열구 (비교예 1) 에서는 충분한 온감이 얻어지지 않는다. 멘톨류를 사용하지 않은 온열구 (비교예 2) 에서는 온감은 있지만, 그 발현은 늦고, 또한 불쾌한 자극감도 강해진다. 또, 멘톨류를 초대 과잉으로 사용한 온열구 (비교예 3) 에서는 적당한 온감이 지속되지 않았다.
상기 각 평가와는 별도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2 에서 얻어진 수증기 발생 온열구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에 의해 어깨 통증 변화 및 피부의 온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다.
[어깨 통증 변화]
양 어깨부에 통증을 호소하는 대상자 10 명에 대하여, 편방의 어깨에 당해 온열구를 3 시간 적용하고, 당해 온열구를 적용하지 않은 다른 일방의 어깨 (비적용 어깨) 의 통증 레벨의 적용 전후에서의 변화를, 지각·통각 정량 분석 장치 (Pain Vision PS-2100, (주) 오사치사 제조) 를 사용하여 하기 1) ∼ 5) 의 순서로 평가하고, 결과를 도 3 에 나타냈다.
1) 지각 임계값 측정
먼저, 미리 대상자의 지각 임계값을 측정하였다. 좌측 전완 내측에 2 개의 전극 패드를 2 ㎝ 떨어뜨려 장착시켜 전류를 흘렸다. 전류값을 서서히 높여 가, 대상자가 좌측 전완 내측에 어떠한 피부 감각을 느낀 시점에서 신고시키고, 그 때의 전류값을 「전류 지각 임계값」으로 하였다.
2) 비적용 어깨 통증도 (적용 전) 산출
다음으로, 증기 발생 온열구 적용 전의 대상자의 어깨 통증의 레벨을 측정하였다. 어깨 통증은 「어깨를 누른다」「어깨를 돌린다」등의 외부 자극에 의해 생기기 때문에, 푸시풀 게이지 (아이코 엔지니어링 (주) 사 제조) 로 어깨부에 있어서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하는 포인트를 일정 압력 (4.5 ㎏/15 ㎜φ) 으로 가압하여 통증을 발생시킨 다음, 좌측 전완 내측에 1) 과 마찬가지로 2 개의 전극 패드를 2 ㎝ 떨어뜨려 장착시켜 전류를 흘리고, 전류값을 서서히 높여 가, 전류에 의한 자극이 어깨 통증과 동일한 정도가 된 시점에서 신고시키고, 그 때의 전류값을 「비적용 어깨 통증 대응 전류값 (적용 전)」으로 하였다. 그리고 하기 식 (1) 에 따라 통증도를 산출하고, 이 값을 「비적용 어깨 통증도 (적용 전)」으로 하였다.
비적용 어깨 통증도 (적용 전) = [ (비적용 어깨 통증도 대응 전류값 (적용 전) - 전류 지각 임계값)/전류 지각 임계값] × 100 … (1)
3) 우측 전완부 통증도 (적용 전) 산출
또한, 우측 전완부를 푸시풀 게이지 (아이코 엔지니어링 (주) 사 제조) 로 일정 압력 (4.5 ㎏/15 ㎜φ) 으로 가압하여 통증을 발생시킨 다음, 좌측 전완 내측에 1) 과 마찬가지로 2 개의 전극 패드를 2 ㎝ 떨어뜨려 장착시켜 전류를 흘리고, 전류값를 서서히 높여 가, 전류에 의한 자극이 우측 전완부의 통증과 동일한 정도가 된 시점에서 신고시키고, 그 때의 전류값을 「우측 전완부 통증 대응 전류값 (적용 전)」으로 하였다. 그리고 하기 식 (2) 에 따라 통증도를 산출하고, 이 값을 「우측 전완부 통증도 (적용 전)」으로 하였다.
우측 전완부 통증도 (적용 전) = [(우측 전완부 통증 대응 전류값 (적용 전) - 전류 지각 임계값)/전류 지각 임계값] × 100 … (2)
4) 비적용 어깨 상대 통증도 (적용 전) 산출
이들 2) 및 3) 으로부터 얻어진 「비적용 어깨 통증도 (적용 전)」 및 「우측 전완부 통증도 (적용 전)」으로부터, 하기 식 (3) 에 따라 비적용 어깨 상대 통증도 (적용 전) 를 산출하였다.
비적용 어깨 상대 통증도 (적용 전) = (비적용 어깨 통증도 (적용 전) /우측 전완부 통증도 (적용 전)) × 100 … (3)
5) 비적용 어깨 상대 통증도 (적용 후) 산출
편방의 어깨에 당해 온열구를 3 시간 적용한 후, 2) ∼ 4) 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당해 온열구를 적용시키지 않은 다른 일방의 어깨 (비적용 어깨) 의 「비적용 어깨 통증도 (적용 후)」 및 「우측 전완부 통증도 (적용 후)」를 측정하여, 비적용 어깨 상대 통증도 (적용 후) 를 산출하였다.
[피부의 온도 변화]
양 어깨부에 통증을 호소하는 대상자 10 명에 대하여, 편방의 어깨에 당해 온열구를 3 시간 적용하고, 증기 발생 온열구를 적용시키지 않은 다른 한쪽의 어깨 (비적용 어깨) 의 피부 온도 (3 분간의 평균값) 의 적용 전후에서의 변화를, 온도 로거 (LT-8, 그램 (주) 사 제조) 를 사용하여 평가하고, 결과를 도 4 에 나타냈다.
도 3 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수증기 발생 온열구를 피험자의 일방의 어깨에 적용했을 경우, 예상 밖으로 수증기 발생 온열구를 적용하지 않은 쪽의 어깨에 대해서도 통증의 개선에 대해 유의 차가 확인된다. 이것에 반하여, 비교예 2 에서 얻어진 수증기 발생 온열구를 피험자의 일방의 어깨에 적용했을 경우, 수증기 발생 온열구를 적용하지 않은 쪽의 어깨에 대하여 통증의 개선에 대해 유의 차는 확인되지 않는다.
또, 도 4 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수증기 발생 온열구를 피험자의 일방의 어깨에 적용했을 경우, 예상 밖으로 수증기 발생 온열구를 적용하지 않은 쪽의 어깨에 대해서도 피부 온도의 상승에 대해 유의 차가 확인된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2 에서 얻어진 수증기 발생 온열구를 피험자의 일방의 어깨에 적용했을 경우, 수증기 발생 온열구를 적용하지 않은 쪽의 어깨에 대하여 피부 온도의 상승에 대해 유의 차는 확인되지 않는다.

Claims (11)

  1.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에 의한 발열에 수반하여 수증기를 방출하는 수증기 발생부를 갖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로서,
    캡사이신 유연체 및 멘톨류를 함유하고,
    캡사이신 유연체와 멘톨류의 질량비 (캡사이신 유연체/멘톨류) 를 1/300 ∼ 1/20000 으로 하고,
    포재와 그 포재 내에 밀봉 수용된 수증기 발생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포재가 사용시에 사용자의 피부측을 향하는 피부 대향면과, 외측을 향하는 외면을 갖고,
    피부 대향면이 신체측 시트로 구성되어 있고, 그 신체측 시트에 캡사이신 유연체가 유지되어 있고,
    신체측 시트에 유지시키는 캡사이신 유연체의 양이, 캡사이신 유연체를 처리한 부위의 면적에 기초하여 0.05 ∼ 5.0 ㎍/㎠ 인,
    수증기 발생부 중에 멘톨류가 존재하고 있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 60 분 동안에 발생하는 수증기량이 5 ∼ 50 ㎎/(㎠·60 min) 인 수증기 발생 온열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신체측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캡사이신 유연체가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것인 수증기 발생 온열구.
    Figure 112017113930414-pct00008
  8. 제 1 항에 있어서,
    멘톨류가 l-멘톨 및/또는 dl-멘톨인 수증기 발생 온열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수증기 발생부의 면적이, 평면에서 봤을 때 1.0 ∼ 30 ㎠ 인 수증기 발생 온열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수증기 발생부가, 적어도 일부에 투기성을 갖는 시트에 의해 피복되어 있고, 그 시트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의 사용시에 사용자의 피부측을 향하는 제 1 시트와 사용시에 외측을 향하는 제 2 시트를 갖고 있고, 제 1 시트의 투기도보다 제 2 시트의 투기도가 큰 수증기 발생 온열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피부 표면 온도를 1 ∼ 5 시간에 걸쳐 38 ∼ 43 ℃ 로 유지시키는 발열 특성을 갖고 있는 수증기 발생 온열구.
KR1020127027577A 2010-06-09 2011-06-08 수증기 발생 온열구 KR101857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32499 2010-06-09
JPJP-P-2010-132499 2010-06-09
PCT/JP2011/063175 WO2011155542A1 (ja) 2010-06-09 2011-06-08 水蒸気発生温熱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429A KR20130080429A (ko) 2013-07-12
KR101857827B1 true KR101857827B1 (ko) 2018-05-14

Family

ID=4509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577A KR101857827B1 (ko) 2010-06-09 2011-06-08 수증기 발생 온열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31241B2 (ko)
EP (1) EP2581065B1 (ko)
JP (1) JP5797465B2 (ko)
KR (1) KR101857827B1 (ko)
CN (1) CN102869326B (ko)
RU (1) RU2582454C2 (ko)
WO (1) WO20111555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0587B2 (ja) * 2012-09-27 2016-01-06 株式会社マンダム 温冷感の評価方法
JP6095364B2 (ja) * 2012-12-28 2017-03-15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CN104207930A (zh) * 2013-05-31 2014-12-17 天津富勤科技有限公司 一种蒸汽热敷面膜及其生产工艺
JP6377421B2 (ja) 2013-06-10 2018-08-22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EP3791835A1 (en) * 2015-06-10 2021-03-17 Kao Corporation Steam heating mask
JP6998206B2 (ja) * 2015-09-11 2022-01-18 小林製薬株式会社 発熱具
WO2018109873A1 (ja) * 2016-12-14 2018-06-21 花王株式会社 含水ゲルシート
CN111031973A (zh) * 2017-08-23 2020-04-17 花王株式会社 温热器具
JP6765356B2 (ja) * 2017-09-01 2020-10-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温感物品
JP7303813B2 (ja) * 2018-01-30 2023-07-05 ブレインセプト アーゲー 加熱および/または冷却パッ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5923A1 (en) * 2000-08-23 2002-04-18 Kao Corporation Steam generator
JP2004208921A (ja) * 2002-12-27 2004-07-29 Kao Corp 水蒸気発生体
US20060093656A1 (en) * 2002-11-27 2006-05-04 Hisamitu Pharmaceutical Co., Inc. Warming patch
WO2007126430A1 (en) * 2005-12-23 2007-11-08 Cadbury Adams Usa Llc Compositions providing a heating sensation for oral or dermal delivery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790400A3 (en) * 1991-06-19 1993-01-23 Иhhobaциohhoe Пpeдпpияtиe "Hиba" Device for accumulation and transfer of heat
JP3777392B2 (ja) 1994-09-12 2006-05-24 大正製薬株式会社 消炎鎮痛膏体
PL186769B1 (pl) * 1995-09-07 2004-02-27 Oreal Zastosowanie wyciągu z Iridaceae i kompozycja zawierająca taki wyciąg
JP4677063B2 (ja) * 1997-07-18 2011-04-27 帝國製薬株式会社 オランダカラシエキス配合外用製剤
JP3049707B2 (ja) 1998-04-03 2000-06-05 花王株式会社 水蒸気発生体
US20020015726A1 (en) * 2000-06-30 2002-02-07 Scamilla Aledo Maria Aparecida De Carvalho Dressings and bandages comprising same
JP2002029993A (ja) * 1999-08-05 2002-01-29 Taisho Pharmaceut Co Ltd 貼付剤
DE60108917T2 (de) * 2000-04-18 2006-01-12 Kao Corp. Dampferzeugungsvorrichtung, Maske bzw. Augenkissen, die es beinhalten und Verwendung desselben
JP3565151B2 (ja) * 2000-09-06 2004-09-15 花王株式会社 水蒸気発生体
JP2003250829A (ja) 2001-12-27 2003-09-09 Lion Corp 外用剤組成物
JP2003210509A (ja) 2002-01-17 2003-07-29 Lion Corp 温熱シート
JP2003327527A (ja) * 2002-05-13 2003-11-19 Teikoku Seiyaku Co Ltd 発熱体積層経皮投与製剤
CA2497771C (en) * 2002-09-05 2015-11-03 Neurogesx, Inc. Polyethylene glycol cleansers useful for removing irritating compounds from bodily surfaces
DE10260873A1 (de) 2002-12-23 2004-07-15 Beiersdorf Ag Selbstklebende Polymermatrix mit einem Gehalt an Meeresalgenextrakt und Glycerin
CA2517493C (en) * 2003-04-14 2011-05-31 Walter Mueller Therapeutic patch with polysiloxane matrix comprising capsaicin
JP4458869B2 (ja) 2003-08-08 2010-04-28 花王株式会社 発熱シート
US8256412B2 (en) 2003-07-31 2012-09-04 Kao Corporation Warming tool in a sheet form
JP4589050B2 (ja) * 2003-12-22 2010-12-01 日本精化株式会社 ジエステル及び油剤、並びに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JP4563079B2 (ja) * 2004-05-31 2010-10-13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メントール誘導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冷感剤組成物
JP2006117606A (ja) * 2004-10-22 2006-05-11 Shiseido Co Ltd 毛髪化粧料
US20060198806A1 (en) * 2005-03-04 2006-09-07 Reilly Christopher A Capsaicinoid decontamin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WO2006105481A1 (en) * 2005-03-30 2006-10-05 Neurogesx, Inc. Low-concentration capsaicin patch and methods for treating neuropathic pain
US7300409B2 (en) * 2005-05-12 2007-11-27 S.C. Johnson & Son, Inc. Therapy patch
US7972635B2 (en) * 2005-07-08 2011-07-05 Seabrook Jr Samuel G Polymer coatings containing phytochemical agent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KR101411673B1 (ko) 2005-09-20 2014-06-25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첩부제
JP2007136053A (ja) 2005-11-22 2007-06-07 Cosmo Enterprise:Kk 膏薬温熱用具
US20070233211A1 (en) * 2006-04-04 2007-10-04 Galer Bradley 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non-neuropathic pain
US7943666B2 (en) 2006-07-24 2011-05-17 Trinity Laboratories, Inc. Esters of capsaicin for treating pain
US7645767B2 (en) * 2006-08-31 2010-01-12 Trinity Laboratorie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eating chronic pain and pain associated with neuropathy
CN101578081B (zh) 2007-02-16 2011-04-20 花王株式会社 发热器
WO2008099770A1 (ja) 2007-02-16 2008-08-21 Kao Corporation 発熱具
US20100120780A1 (en) * 2007-04-19 2010-05-13 Chandra Ulagaraj Singh Treatments for premature ejaculation in humans
JP5692560B2 (ja) * 2007-07-12 2015-04-01 百々 寿浩 発熱体の製造方法及び発熱体
JP5074126B2 (ja) * 2007-08-10 2012-11-14 花王株式会社 蒸気温熱具
CN101878053B (zh) * 2007-10-30 2014-04-09 麦克内尔-Ppc股份有限公司 具有感觉提示的微电流装置
BRPI0906467C1 (pt) * 2008-01-25 2021-05-25 Gruenenthal Gmbh forma de dosagem farmacêutica com formato exterior modificado resistente à ruptura e com liberação controlada
US20090191249A1 (en) * 2008-01-30 2009-07-30 Olufemi Adelakun Sheet substrates impregnated with aromatic releasing compositions and a method of delivery of aromatic releasing compositions
CA2721586A1 (en) * 2008-04-15 2009-10-22 Mallinckrodt Inc. Compositions containing antiviral compound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100099766A1 (en) * 2008-10-16 2010-04-22 Novartis Ag Topical NSAID compositions having sensate component
JP5548420B2 (ja) * 2009-06-19 2014-07-16 花王株式会社 発熱具
JP5788135B2 (ja) 2008-12-10 2015-09-30 花王株式会社 発熱具
CN102227198B (zh) * 2008-12-10 2015-10-14 花王株式会社 发热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5923A1 (en) * 2000-08-23 2002-04-18 Kao Corporation Steam generator
US20060093656A1 (en) * 2002-11-27 2006-05-04 Hisamitu Pharmaceutical Co., Inc. Warming patch
JP2004208921A (ja) * 2002-12-27 2004-07-29 Kao Corp 水蒸気発生体
WO2007126430A1 (en) * 2005-12-23 2007-11-08 Cadbury Adams Usa Llc Compositions providing a heating sensation for oral or dermal deli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31241B2 (en) 2018-04-03
KR20130080429A (ko) 2013-07-12
RU2582454C2 (ru) 2016-04-27
EP2581065A4 (en) 2017-04-19
EP2581065A1 (en) 2013-04-17
CN102869326B (zh) 2017-04-05
CN102869326A (zh) 2013-01-09
WO2011155542A1 (ja) 2011-12-15
JP2012016587A (ja) 2012-01-26
US20130079851A1 (en) 2013-03-28
RU2012157763A (ru) 2014-07-20
JP5797465B2 (ja) 2015-10-21
EP2581065B1 (en) 2019-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827B1 (ko) 수증기 발생 온열구
US8945072B2 (en) Heat generating device
WO2014003096A1 (ja) 発熱具
BRPI0910382B1 (pt) Artigo para aplicar um ingrediente ativo, veículo de aplicação para transferência de micropartículas a um substrato, micropartícula para liberar um ingrediente ativo e método para liberar um ingrediente ativo
EP2698133A1 (en) Heat generator
JP5945166B2 (ja) 温熱具
WO2019131956A1 (ja) 吸収性物品、吸収性物品用の温感部材、及び温感部材の吸収性物品に貼付しての使用
JP2011160885A (ja) 発熱具
JP2014205072A (ja) 発熱具
KR100976418B1 (ko) 수분 투과에 대하여 방향성을 지닌 시트를 이용한 마스크팩
JP5548420B2 (ja) 発熱具
US10993833B2 (en) Heat generator
CN205548793U (zh) 一种精油贴
KR102587270B1 (ko) 신체 화장료
JP6836389B2 (ja) 吸収性物品
JP2008067785A (ja) 貼着型の芳香シート
TWI711436B (zh) 溫感物品
EA036870B1 (ru) Лист, вызывающий ощущение тепла
JP2007297353A (ja) 貼着型の芳香シート
JP6481175B2 (ja) 炭酸シート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