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230B1 - 발열구 - Google Patents

발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230B1
KR101648230B1 KR1020117008767A KR20117008767A KR101648230B1 KR 101648230 B1 KR101648230 B1 KR 101648230B1 KR 1020117008767 A KR1020117008767 A KR 1020117008767A KR 20117008767 A KR20117008767 A KR 20117008767A KR 101648230 B1 KR101648230 B1 KR 101648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generating
generating portion
agent
mass
percutane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1850A (ko
Inventor
히데시 오다
히데토시 다이마
슈지 이시카와
야스토 사이타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30957A external-priority patent/JP57881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30938A external-priority patent/JP5548420B2/ja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1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16Materials undergoing chemical reactions when u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Abstract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가 수용체 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발열구를 개시한다. 상기 발열부에 경피 흡수성 약제와 그것을 용해시키는 용해제가 함유되어 있다. 상기 용해제가 25 ℃ 에서 액상의 다가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부가 추가로 25 ℃ 에서 액상의 유제로 이루어지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용해제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부가 추가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다가 알코올이 폴리에틸렌글리콜인 것도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발열구{HEAT GENERATING IMPLEMENT}
본 발명은 인체에 적용하여 온감을 부여하는 발열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먼저, 피산화성 금속 및 전해질 수용액을 함유시켜 이루어지고, 또한 공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발열 가능한 발열 시트와, 적어도 일부가 통기성을 갖고 또한 그 발열 시트를 수용하는 수용체를 구비하고, 그 수용체를 통해서 온열 스팀이 외부에 방출되는 습열 시트를 제안하였다 (특허문헌 1 참조). 이 습열 시트를 인체에 장착시키면, 적용 부위의 표면 온도뿐만 아니라, 인체의 심부 온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전신의 혈류량이 증가하고, 적용 부위의 온도가 상승될뿐만 아니라, 손가락끝 등의 말초 온도도 상승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습열 시트는, 인체의 장착 지점의 피부 온도를 40 도 전후로 높이는 것이기 때문에, 혹서감 (酷暑感) 이 있어 여름철 사용을 삼가하는 경우도 있다.
이 습열 시트와는 별도로, 본 출원인은 금속 가루, 염류 및 물로 이루어지고, 금속 가루의 산화에 수반되어 수증기를 방출하는 수증기 발생 조성물을 갖는 수증기 발생체를 제안하였다 (특허문헌 2 참조). 이 수증기 발생 조성물 중에는 화장료 성분 또는 약제 성분이 분산되어 있다. 이 수증기 발생체에 의하면, 온열 수증기와 함께 화장료 성분 또는 약제 성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화장료 성분이나 약제 성분으로는, 정유 (精油) 류, 멘톨 등의 향 성분, 식물 진액류 등이 사용된다. 이들 성분은, 그것이 수불용성인 경우, 그 성분을 계면활성제 등의 분산제와 함께 물에 분산시키고 유화시켜 수증기 발생 조성물 중에 첨가된다.
US2007/0110790A1 JP2001-187727A
그러나 단순히 계면활성제 등의 분산제로 분산시킨 것만으로는, 상기의 성분에 의한 효과의 발현에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또, 그 효과도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가 수용체 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발열구로서,
상기 발열부에, 경피 흡수성 약제와 그것을 용해시키는 용해제가 함유되어 있는 발열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발열구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으로서,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경피 흡수성 약제를 용해제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여 발열부를 얻는 발열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열부의 발열에서 기인하는 경피 흡수성 약제로부터 피부에 대한 방출성이 현저하게 양호해져, 그 약제의 생리 작용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발열 온도를 발열부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발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경피 흡수성 약제가 피부에 냉감을 부여하는 냉감제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청량감을 지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부 온도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온열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발열구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증기 온열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의 (a) 및 (b) 는 각각, 도 1 에 나타내는 증기 온열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증기 온열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접합 수단에 의한 2 장의 시트의 접합 부위와, 발열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의 (a) 는 도 4 에 있어서의 Va-Va 선 단면도이고, 도 5 의 (b) 는 도 4 에 있어서의 Vb-Vb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증기 온열구에 있어서의 발열체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7 은 약제 방출량 측정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8 은 실시예 12 및 비교예 2 에서 얻어진 발열구를 피험자에게 첩부 (貼付) 했을 때의 피부 온도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보다 약제 성분의 효과가 더욱 발휘되기 쉬운 발열구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발열구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증기 온열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증기 온열구 (1) 는, 크게 나누어 팩체 (10) 와 발열체 (20) 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에서는 2 개의 증기 온열구가 연결되어 있다. 발열체 (20) 는 팩체 (10) 내에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증기 온열구 (1) 는, 도 2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를 연결한 상태에서, 또는 도 2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를 떼어내어 따로따로 착용자의 신체에 직접 첩부하여 사용된다. 증기 온열구 (1) 는, 그것에 포함되는 발열부로부터 발생된 소정 온도로 가열된 수증기 및 경피 흡수성 약제를, 착용자의 착용 부위에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증기 온열구 (1) 에 있어서는, 2 개의 증기 온열구 (1) 가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고, 그것들이 연결된 위치에는 발열체 (20) 가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당해 위치를 절곡선으로 하여 용이하게 둘로 접을 수 있다. 요컨대, 당해 위치에서 내외의 어느 쪽으로도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다. 따라서 증기 온열구 (1) 를, 팔꿈치나 무릎 등의 관절의 내측·외측에 관계없이 장착할 수 있다. 이 이점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팩체 (10) 에 있어서의 세로 중심선 L 을 따라서 직선 형상의 절입 (슬릿)(15)(도 1 참조) 이나, 절취선 (도시 생략)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입 (15) 또는 절취선에 의하여, 2 개의 발열체 (20) 사이가 용이하게 이간되기 때문에, 관절의 굽힘과 폄에 증기 온열구 (1) 가 원활하게 추종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증기 온열구 (1) 는, 특히 비틀림 동작에 대한 추종성이 특히 양호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직선 형상의 절입 (15) 은, 복수의 짧은 절입을 연속된 일렬로 한 형태여도 되고, 혹은 연속된 절입의 열을 복수 열 형성한 형태여도 된다. 또, 1 혹은 2 이상의 마름모꼴형, 직사각형 또는 타원 형상 등의 가늘고 긴 구멍 형태여도 된다.
도 3 에는 도 1 의 증기 온열구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팩체 (10) 는, 착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제 1 시트 (11) 와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제 2 시트 (12) 를 갖고 있다. 2 장의 시트 (11, 12) 는 동일한 형이고, 장변 및 단변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2 장의 시트 (11, 12) 는 그것들을 중첩하고, 그것들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접합 수단 (13) 에 의하여 접합함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갖는 팩체 (10) 가 만들어진다. 접합 수단 (13) 으로는, 예를 들어 핫멜트 점착제 등의 각종 접착제,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등이 사용된다. 시트 (11, 12) 로는 통기성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신축성을 갖고 있으면 그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특히 제 1 시트 (11) 는, 착용자의 신체에 직접 닿는 것이기 때문에 질감이 양호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PE (폴리에틸렌), PP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등의 합성 섬유 ; 셀룰로오스, 실크, 코튼, 울 등의 천연 섬유 ; 또는 그것들을 복합한 섬유 등을 원료로 하는 섬유 시트를 들 수 있다. 특히 탄성 섬유를 포함하는 에어 스루 부직포나 스팬 본드 부직포 등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시트 (11, 12) 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11, 12) 가 일 방향으로만 신축성을 갖는 경우, 그 방향은 대략 직사각형의 팩체 (10) 에 있어서의 장변 방향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11, 12) 가 서로 직교하는 2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경우, 그 방향은 대략 직사각형의 팩체 (10) 에 있어서의 장변 방향 및 그것에 직교하는 단변 방향과 각각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신축성 시트란 신장성 및 신장 회복성 (수축성) 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의 성질을 갖는 시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시트 (11, 12) 의 적어도 일방이 일 방향으로 신장성을 갖는 것이면 된다. 시트 (11, 12) 의 일방이 신장성을 갖고, 타방이 신장성 및 신장 회복성을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형태로서 시트 (11, 12) 는, 서로 직교하는 2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신장성 및 신장 회복성의 쌍방을 갖는다. 도 3 에 있어서 부호 13 으로 나타내어지는 도트 형상의 영역은, 2 장의 시트 (11, 12) 가 접합되는 부위를 나타내고 있다.
발열체 (20) 는 그 발열체 (20) 에 포함되는 발열부 (21) 로부터 발생된 소정 온도로 가열된 수증기를, 팩체 (10) 를 통해서 착용자의 신체에 적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발열체 (20) 는 대략 정방 형상의 것이다. 발열체 (20) 는 상기 서술한 팩체 (10) 에 있어서의 공간에 수용되어 있다. 이 경우, 발열체 (20) 는 그 각 변이 팩체 (10) 에 있어서의 장변 및 단변의 방향을 향하도록 팩체 (10)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팩체 (10) 의 치수는 발열체 (20) 의 치수보다 크다. 팩체 (10) 를 구성하는 2 장의 시트 (11, 12) 는, 발열체 (20) 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대략 직사각형의 팩체 (10) 에 대략 정방형의 발열체 (20) 가 수용되어 있다. 팩체 (10) 및 발열체 (20) 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양자는 유사 형상이어도 된다. 또, 이것들은, 예를 들어 원 형상, 타원 형상, 직사각 형상, 대략 마름모꼴 형상, 콩 형상 등 여러 가지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온열구 (1) 의 팩체 (10) 에 있어서의 제 1 시트 (11) 의 면 상에는, 증기 온열구 (1) 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 (2) 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수단 (2) 은, 제 1 시트 (11) 의 4 변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전역에 소정의 폭을 갖고 존재한다. 고정 수단 (2) 으로는, 예를 들어 핫멜트 점착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 그리고 도 5 의 (a) 및 (b) 에는, 접합 수단 (13) 에 의한 2 장의 시트 (11, 12) 의 접합 부위와, 발열체 (20) 의 위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 수단 (13) 은 2 장의 시트 (11, 12) 의 4 변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전역에 소정의 폭을 갖고 존재한다. 발열체 (20) 에 관해서는, 도 4 및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변부 및 하변부만이 접합 수단 (13) 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발열체 (20) 는, 그 상변부 및 하변부만이 접합 수단 (13) 과 접합되어 있고, 도 5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열체 (20) 에 있어서의 그 이외의 부위는 2 장의 시트 (11, 12) 와 비접합 상태로 되어 있다.
팩체 (10) 가 신축성을 갖는 경우, 발열체 (20) 는 팩체 (10) 의 신축성이 손상되지 않는 양태로 팩체 (10) 의 내면에 고정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서술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열체 (20) 는 그 상변부 및 하변부에 있어서 팩체 (10) 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증기 온열구 (1) 의 운반 도중이나, 증기 온열구 (1) 를 착용자의 신체에 부착하고 있는 동안에, 팩체 (10) 의 내부에서 발열체 (20) 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발열체 (20) 는 수증기를 쏘이고자 하는 부위에 고정되게 된다. 팩체 (10) 의 신축성이 손상되지 않는 이상, 팩체 (10) 와 발열체 (20) 의 고정 위치는 도 4 에 나타내는 형태에 특별한 제한을 받지 않는다. 증기 온열구 (1) 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팩체 (10) 와 발열체 (20) 가 겹친 부위에 있어서, 팩체 (10) 가 신축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것이, 팩체 (10) 의 신장 대역을 크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6 에는, 팩체 (10) 에 수용되는 발열체 (20) 를 일부 절결한 상태의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발열체 (20) 는 발열부 (21) 및 그 발열부 (21) 를 수용하는 수용체 (22) 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체 (22) 는 평평한 것으로서, 발열체 (20) 의 윤곽을 이루고 있다. 수용체 (22) 는 복수의 시트재가 함께 부착됨으로써, 발열부 (21) 가 수용되는 팩 형상의 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평평한 형상을 갖는 수용체 (22) 는, 착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제 1 면 (23), 및 그것과 반대측이고,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제 2 면 (24) 을 갖고 있다.
발열부 (21) 는 피산화성 금속이 산소와 접촉하는 것에 의한 산화 반응으로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소정 온도로 가열된 수증기를 발생시킴과 함께, 경피 흡수성 약제가 방출되는 부위이다. 발열부 (21) 는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열부 (21) 는 추가로 경피 흡수성 약제 및 그 약제의 용해제를 함유한다. 이들 성분에 부가하여, 발열부 (21) 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각각의 제 (劑), 형태, 제조 방법 및 그 밖의 구성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피산화성 금속에 대하여》
피산화성 금속으로는, 산화 작용을 받아 발열하는 금속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아연, 망간, 마그네슘, 칼슘 등의 분말이나 섬유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취급성, 안전성, 제조 비용 등의 관점에서 철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피산화성 금속이 분말인 경우, 그 입경은 0.1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입경이 0.1 ∼ 150 ㎛ 인 것을 전체 피산화성 금속 중에서 50 질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산화성 금속이, 발열부 (21)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0 ∼ 8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7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 65 질량% 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으면, 충분한 발열량이 확보되어 바람직하다.
《반응 촉진제에 대하여》
반응 촉진제란 피산화성 금속에 대한 산소 유지/공급제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이다. 특히 반응 촉진제로서, 수분 유지제로서 작용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활성탄 (야자 껍질탄, 목탄 가루, 역청탄, 이탄 (泥炭), 아탄 (亞炭), 카본블랙, 아세틸렌블랙, 흑연,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보수능, 산소 공급능, 촉매능을 갖는 점에서 활성탄이 바람직하다.
반응 촉진제의 입경은, 피산화성 금속과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점에서 0.1 ∼ 5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입경이 0.1 ∼ 200 ㎛ 인 것을 전체 반응 촉진제 중에서 50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촉진제가 발열부 (21)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 2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5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 ∼ 10 질량% 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으면, 그 반응 촉진 작용을 충분히 발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물에 대하여》
물은 발열부 (21)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 ∼ 50 질량%, 바람직하게는 15 ∼ 4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35 질량% 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이 양호하게 촉진될 뿐만 아니라, 충분한 수증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전해질에 대하여》
전해질이란 물에 용해되어 전해액이 되는 것이다. 특히,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을 더욱 촉진시키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취급성, 안전성, 제조 비용 등의 관점에서 염화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전해질은 발열부 (21)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 1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14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12 질량% 의 비율로 함유된다. 전해질이 이 비율로 함유되어 있으면, 발열 온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전해질의 존재하에서도,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에서 기인되는 경피 흡수성 약제의 발열 조성물 중에서의 유화·분산성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피 흡수성 약제에 대하여》
경피 흡수성 약제란 발열구의 발열에 의하여 방출되고, 피부에서 흡수되어 국소 및 전신에 대한 생리 활성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화장품용·의약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피 흡수성 약제이다. 구체적으로는, 캠퍼, 리모넨, 게라니올, 세드롤, 시트로넬롤 등의 향료류, 박하유, 페퍼민트유, 라벤더유, 유칼리유, 생강유 등의 정유 (精油) 류, l-멘톨 및 dl-멘톨과 같은 멘톨, 멘톨 유도체 (예를 들어, 락트산멘틸) 등의 냉감제, 고추팅크, 노닐산바닐릴아미드, 캅사이신 등의 온감제, 아세트산토코페롤, 니코틴산토코페롤, 니코틴산벤질 등의 혈행 촉진제, 알부틴, 누룩산, L-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등의 미백제, 레티놀 등의 항주름제, 리도카인, 테트라카인 등의 국소 마취제,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글리콜, 인도메타신, 디클로페낙나트륨, 펠비낙, 케토프로펜 등의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 염산에페리손 등의 골격근 이완약, 미코나졸, 클로트리마졸 등의 항진균류제, 에스트라디올이나 테스토스테론 등의 호르몬제, 클로니딘 등의 강압제, 니트로글리세린이나 질산이소소르비드 등의 혈관 확장제, 니코틴 등의 금연 보조제, 툴로부테롤 등의 기관지 확장제, 스코폴라민 등의 경련 진정제, 펜타닐 등의 암성동통용 약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멘톨, 멘톨 유도체, 캠퍼, 리모넨 및 게라니올, 시트로넬롤 등의 모노테르펜이나, 세드롤 등의 세스퀴테르펜,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박하유 및 페퍼민트유 등의 정유, 또는 살리실산메틸 및 살리실산글리콜 등의 살리실산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약제는 경피 흡수의 배리어층인 각층 내에서의 확산성이 높은 점에서, 경피 흡수가 촉진되므로 특히 효과적이다.
경피 흡수성 약제는, 바람직하게는, 화합물의 소수성·친수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분배 계수 (1-옥탄올/물), 즉, logPow 가 바람직하게는 0.5 ∼ 13,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5 이다. logPow 가 이 범위이면, 발열부 (21) 의 발열에서 기인되는 경피 흡수성 약제의 피부에 대한 방출성이 양호해져, 그 약제의 생리 작용을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약제의 친유성이 높으면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 (21) 로부터의 약제 방출성이 더욱 높아짐과 함께, 피부의 배리어층인 각층에 대한 투과성이 충분히 달성된다. 그 결과, 온열에 의한 경피 흡수 촉진 작용이 양호해져, 약제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경피 흡수성 약제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 ∼ 1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500 이다. 분자량이 이 범위이면, 경피 흡수성 약제가 발열 조성물 중에 더욱 균일하게 널리 퍼지는 것과 함께, 발열부 (21) 의 발열에서 기인하는 경피 흡수성 약제의 피부에 대한 방출성이 양호해진다. 또, 온열에 의한 경피 흡수 촉진 효과가 양호해지고, 충분히 약제의 효과가 발휘되어, 그 약제의 생리 작용을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각종 경피 흡수성 약제 중에서, 멘톨, 멘톨 유도체, 박하유, 페퍼민트유, 캠퍼, 아세트산토코페롤, 니코틴산토코페롤, 니코틴산벤질, 캅사이신, 고추팅크 등의 혈행 촉진 작용을 갖는 약제는 온열에 의한 혈행 촉진 효과가 더해짐으로써, 그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도, 온열에 의한 진통 효과와 함께 더욱더 동통 완화에 대하여 효과적이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경피 흡수성 약제로서 냉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감제는 착용자의 피부에 작용하여 착용자에게 청량감을 주는 것이다. 따라서, 냉감제를 함유하는 증기 온열구 (1) 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냉감제에서 유래하는 청량감을 지각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온열의 작용에 의하여 피부 온도가 높아진다. 이와 같이, 인체에 대한 온열 효과 (따뜻한 자극) 와 청량감을 동시에 착용자에게 줄 수 있다. 그 결과, 특히 여름철 등의 더운 시기에 증기 온열구 (1) 를 사용한 경우에 발생되기 쉬운 혹서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냉감제는, 화장품용·의약용으로 사용되는 냉감제로서 예를 들어, l-멘톨 및 dl-멘톨과 같은 멘톨, 이소풀레골, 멘틸아세테이트, 시네올, 보르네올, 티몰 등, 또 이들 유도체가 포함된다. 또, 락트산멘틸, 3-l-멘톡시프로판디올, N-에틸-3-p-멘탄카르복시아미드나, 박하유, 페퍼민트유 등의 멘톨을 함유한 정유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냉감제를 사용하면, 혈행 촉진 효과, 진통 효과, 근이완 작용 등의 온열 효과를 가진 상태에서 피부에 청량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 특히 l-멘톨 및 dl-멘톨과 같은 멘톨, 멘톨 유도체, 박하유, 페퍼민트유 등을 사용하면, 혈행 촉진 효과, 진통 효과, 근이완 작용 등의 온열 효과를 갖는 상태에서, 피부에 청량감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혹서감이 억제됨으로써, 여름철 등의 혹서감을 느끼기 쉬운 환경하에서도 사용성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다. l-멘톨이나 dl-멘톨은 TRPM8 수용체를 활성화시킬 뿐만 아니라, 혈행의 촉진 작용도 갖고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이, TRPM8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RPM8 수용체는 감각 신경에 존재하는 수용체로서, 약 25 ∼ 28 ℃ 이하의 냉자극에 의하여 활성화된다. TRPM8 수용체는 온도 이외에, 화학 물질에 의한 자극에 의해서도 활성화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각종 경피 흡수성 약제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착용자의 신체에 적당한 생리적인 작용을 줄 수 있는 점에서, 경피 흡수성 약제는 그 합계량으로, 발열부 (21)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1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3 질량% 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다.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일종으로서 멘톨, 멘톨 유도체, 박하유 및 페퍼민트유를 사용하는 것이 약제의 경피 흡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온열에 의한 경피 흡수 촉진 효과와 함께 더욱더 효과적이다.
《용해제에 대하여》
경피 흡수성 약제를 발열부 (21) 에 혼합하기 위하여는, 경피 흡수성 약제가 고체, 반고체 및 액체의 어느 것이어도, 용해제와 함께 발열부 (21) 에 첨가함으로써 혼합할 수 있다. 특히, 경피 흡수성 약제를 용해제와 함께 발열부 (21) 에 첨가함으로써 경피 흡수성 약제를 소량 사용한 경우에도, 경피 흡수성 약제를 발열부 (21) 전체에 균일하게 널리 퍼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용해제는, 경피 흡수성 약제와의 상용성이나 용해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추가로, 발열부 (21) 는 화학 반응에 의하여 발열시키는 것이고 또한 물을 첨가하고 있기 때문에, 용해제는 물과의 상용성이 좋은 유기 용제인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물과의 상용성이 좋은 용해제를 사용함으로써, 발열부 (21) 중에 용해제를 균일하게 널리 퍼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용제로는, 25 ℃ 에서 액상 물질의 알코올류로서,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이나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등의 다가 알코올류, 또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 특히 25 ℃ 에서 액상 물질의 다가 알코올이 다량의 경피 흡수성 약제를 방출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경피 흡수성 약제의 약효를 효과적으로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다가 알코올 중에서도 특히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화학 반응에 의한 발열을 수반하는 점에서, 용해제도 사용 중에 냄새가 적은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들 중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용해제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발열부 (21) 전체에 균일하게 널리 퍼지게 하도록 첨가하고, 추가로 발열 특성에 대한 영향을 줄이는 관점에서, 용해제는 발열부 (21)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2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1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5 질량% 의 농도로 사용한다. 또, 용해제와 경피 흡수성 약제의 합계 질량을 100 으로 했을 때, 용해제를 바람직하게는 5 ∼ 99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93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90 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 80 질량%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경피 흡수성 약제를 발열부 (21) 에 함유시키기 위하여는, 예를 들어 경피 흡수성 약제를 용해제에 미리 용해시킨 용액을 준비하고,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에 그 용액을 첨가하면 된다. 첨가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분무, 도포, 침지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은, 증기 온열구 (1) 의 제조 방법과 함께 후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특히 용해제로서, 이하의 2 종류의 용해제 (제 1 용해제 및 제 2 용해제) 를 조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용해제 및 제 2 용해제를 병용함으로써, 발열구의 발열시에 경피 흡수성 약제를 양호하게 방출시킬 수 있다.
·A)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1 가의 알코올, 지방산, 실리콘유 및 글리세라이드, 그리고 이것들을 적어도 일부에 함유하는 천연 식물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25 ℃ 에서 액상의 유제로 이루어지는 제 1 용해제
·B)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제 2 용해제
제 1 용해제는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1 가의 알코올, 지방산, 실리콘유 및 글리세라이드, 그리고 이것들을 적어도 일부에 함유하는 천연 식물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25 ℃ 에서 액상의 유제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탄화수소유,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등의 에스테르유, 2-헥실데칸올, 2-옥틸도데칸올, 2-데실테트라데칸올, 이소스테아르알코올 등의 1 가의 알코올,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의 지방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시클로메티콘 등의 고리형 또는 직사슬형의 실리콘유, 디올레산디글리세라이드 등의 디글리세라이드, 디에틸헥실모노글리세라이드 등의 모노글리세라이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 (카프릴산·카프르산) 글리세린 등의 트리글리세라이드, 호호바유, 메커데이미아 너트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등의 천연 식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 특히 탄소수 16 ∼ 22 의 1 가의 고급 알코올은 경피 흡수성 약제와의 상용성이 높기 때문에, 보다 소량으로 경피 흡수성 약제를 발열 조성물 중에 균일하게 배합할 수 있다. 이것에서 기인하여, 발열에 대한 영향이 적어지고, 또 증기 온열구 (1) 의 발열시에 이취 (異臭) 등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 1 용해제가 발열부 (21)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3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 1 질량% 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으면, 충분한 발열량이 확보되므로 바람직하다. 제 1 용해제와 경피 흡수성 약제의 질량비 (제 1 용해제/경피 흡수성 약제) 는 바람직하게는 0.01 ∼ 2,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1, 한층 바람직하게는 0.1 ∼ 0.5 이다.
제 2 용해제로서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이나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폴리에틸렌글리콜은, 경피 흡수성 약제의 방출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계면활성제에 의한 경피 흡수성 약제의 유화 분산성을 유지하는 의미에서도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제 2 용해제가, 발열부 (21)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3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 2 질량% 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으면, 충분한 발열량이 확보됨과 함께, 발열부로부터의 약제 방출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 2 용해제와 경피 흡수성 약제의 질량비 (=제 2 용해제/경피 흡수성 약제) 는, 바람직하게는 0.1 ∼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3,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 ∼ 2 이다.
양 용해제를 이 비율로 함유시킴으로써, 발열의 저해가 최소한으로 억제되고, 발열부 (21) 의 발열에서 기인되는 경피 흡수성 약제의 양호한 방출이 달성되어, 경피 흡수성 약제가 본래 갖는 생리적인 작용이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제 1 및 제 2 용해제의 조합은, 경피 흡수성 약제와 물의 상용성, 또는 후술하는 계면활성제와 물의 친화성에 대한 영향도를 고려하여 선택된다. 제 1 용해제와 제 2 용해제의 바람직한 조합은, 제 1 용해제로서 1 가의 고급 알코올을 사용하고, 제 2 용해제로서 다가 알코올을 사용하는 조합이다. 이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발열부 (21) 의 발열시에 경피 흡수성 약제의 양호한 방출이 달성되어, 경피 흡수성 약제가 본래 갖는 생리적인 작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게다가, 이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경피 흡수성 약제와 발열부 (21) 중의 물과의 유화가,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더욱더 일관되게 행해져 발열의 저해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용해제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은 2-옥틸도데칸올, 2-헥실데칸올 등이다. 한편, 제 2 용해제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특히 분자량이 200 ∼ 600 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이다. 또한 용해제는, 경피 흡수성 약제의 용해가 가능한 물질이며, 또한 신체에 해가 없는 유기 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자들이, 발열부 (21) 에 있어서의 경피 흡수 약제의 유화·분산성 및 그 방출성에 대하여 예의 검토한 바, 경피 흡수성 약제를 전술한 특정한 2 종류의 용해제 (제 1 용해제 및 제 2 용해제) 및 계면활성제와 함께 발열부에 첨가하면, 경피 흡수성 약제의 유화·분산성이 양호해지고, 경피 흡수성 약제가 발열 조성물 중에 더욱더 균일하게 확산되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 경피 흡수성 약제나 용해제에 의한 발열의 저해가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발열 온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이 경피 흡수성 약제의 유화 상태는, 발열구 사용시에 적당히 불안정화하기 때문에, 경피 흡수성 약제의 양호한 방출이 달성되는 것도 알아내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로는, 화장품, 의약품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의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 이유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발열부 (21) 에 포함되는 전해질 수용액과 경피 흡수성 약제의 유화를 일관되게 행할 수 있어 유화 안정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 발열부 (21) 의 발열에 의하여 경피 흡수성 약제를 양호하게 방출시킬 수가 있고, 또한 발열부 (21) 의 발열을 저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알킬알칸올아미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 중에서,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등은, 제 2 용해제와 상호작용을 갖고, 계면활성제의 물과의 친화력에 작용하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HLB 가 바람직하게는 10 ∼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 18,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3 ∼ 17 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특히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HLB 값은 Griffin 의 식 (J. Soc. Cosmet. Chem., 1,311 (1949)) 에 따라서 구한 것이다.
발열부 (21) 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발열부 (21)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1 ∼ 5 질량%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3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 2 질량% 이다. 이와 같은 함유량이면, 경피 흡수성 약제 및 용해제의 발열 조성물 중에서의 분산이 더욱 양호해지기 때문에, 발열 조성물 중에 있어서 경피 흡수성 약제를 더욱 균일하게 배합할 수 있다. 또, 발열부 (21) 의 발열에 의하여 경피 흡수성 약제를 양호하게 방출시킬 수 있고, 나아가 발열에 대한 영향도 적어진다. 특히, 제 2 용해제의 함유량과의 관계에서, 제 2 용해제/계면활성제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0.1 ∼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2 이다. 제 2 용해제와 계면활성제의 비율이 이 범위 내이면, 발열부 (21) 의 발열이 더욱 저해되기 어려워진다. 나아가, 경피 흡수성 약제와 발열부 (21) 에 포함되는 물과의 유화 안정성이 더욱 높아지고, 또한 경피 흡수성 약제의 양호한 방출이 달성된다.
《형태에 대하여》
발열부 (21) 는, 예를 들어 발열 시트 또는 발열 분체 등의 형태를 나타낸다. 발열부 (21) 가 발열 시트인 경우에는, 발열 시트는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및 섬유 형상물을 함유하는 성형 시트에, 경피 흡수성 약제, 그 경피 흡수성 약제의 용해제,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는 경피 흡수성 약제 함유 전해액을 주입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섬유 형상물로는, 코튼, 케이폭, 목재 펄프, 비목재 펄프 등의 천연 섬유, 또는 예를 들어 레이온, 비스코스 레이온, 큐프라 등의 반합성 섬유나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고분자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섬유 형상물은, 발열 시트의 강도 확보 및 섬유 형상물의 수분산성의 관점에서, 그 평균 섬유 길이가 바람직하게는 0.1 ∼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20 ㎜ 이다. 발열 시트로는, 습식 초조 (抄造) 에 의하여 얻어진 시트 형상물이나, 발열 분체를 종이 등으로 협지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그러한 발열 시트는, 예를 들어 US2005/0000827 A1 에 기재된 습식 초조법이나, 다이 코터를 사용한 익스트루전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문서를,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시킨다.
한편, 발열부 (21) 가 발열 분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발열 분체는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보수제, 경피 흡수성 약제, 그 경피 흡수성 약제의 용해제,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기 온열구 (1) 가 첩부되어 사용되는 것인 경우에는, 발열 시트 및 발열 분체 중에서, 어떠한 자세에서도 수증기를 균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점에서 발열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발열 시트는, 발열 분체와 비교하여 발열의 온도 분포를 균일화하기가 용이하고, 나아가 피산화성 금속의 담지 능력이 우수하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경피 흡수성 약제 및 용해제는, 발열부 (21) 에 함유되어 있는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를 약간 방해하는 경향이 있다. 이 점에 기인하여, 발열부 (21) 의 발열 특성이나 수증기 발생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발열부 (21) 의 조성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 관점에서, 발열부 (21) 가 발열 시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및 섬유 형상물의 합계 질량에 대하여 60 ∼ 90 질량% 의 피산화성 금속, 5 ∼ 25 질량% 의 반응 촉진제 및 5 ∼ 35 질량% 의 섬유 형상물을 포함하는 성형 시트에, 그 성형 시트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 15 질량% 의 전해질을 함유하는 전해질 수용액을 25 ∼ 80 질량부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열부 (21) 가 발열 분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및 보수제의 합계 질량에 대하여, 20 ∼ 60 질량%, 특히 25 ∼ 55 질량% 의 피산화성 금속, 1.5 ∼ 25 질량%, 특히 2 ∼ 20 질량% 의 반응 촉진제 및 3 ∼ 40 질량%, 특히 5 ∼ 20 질량% 의 보수제를 함유하는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0.3 ∼ 15 질량%, 특히 3 ∼ 10 질량% 의 전해질을 함유하는 전해질 수용액을 20 ∼ 70 질량부, 특히 30 ∼ 60 질량부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 시트나 발열 분체를 구성하는 각종 재료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US2005/0000827 A1 에 기재된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문서를,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시킨다.
≪수용체에 대하여≫
발열체 (20) 를 구성하는 수용체 (22) 에 있어서의 제 1 면 (23) 은 공기 및 수증기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통기성을 갖고 있다. 한편, 제 2 면 (24) 은, 공기 및 수증기의 투과 정도가 제 1 면 (23) 보다 낮게 되어 있다. 즉 제 2 면 (24) 은 제 1 면 (23) 보다 난통기성이거나 또는 비통기성이다. 제 2 면 (24) 이 난통기성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비통기성인지는 증기 온열구 (1) 의 구체적인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된다.
발열체 (20) 는, 그 제 1 면 (23) 측이 착용자의 피부 측을 향하고, 제 2 면 (24) 측이 의류측 (외측) 을 향하도록 사용된다. 발열부 (21) 의 발열에 의하여 발생된 수증기 및 경피 흡수성 약제의 방출 성분은, 수용체 (22) 및 팩체 (10) 를 통하여, 대상물인 착용자의 피부에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발열체 (20) 에 있어서의 제 1 면 (23) 및 제 2 면 (24) 은 모두 시트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발열체 (20) 의 수용체 (22) 는 그 둘레 가장자리에, 제 1 면 (23) 및 제 2 면 (24) 을 각각 구성하는 시트재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서로 접합하여 형성된 닫힌 형상의 둘레 가장자리 접합부 (25) 를 갖고 있다. 둘레 가장자리 접합부 (25) 는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체 (22) 는, 둘레 가장자리 접합부 (25) 보다 내측 부분에 있어서 제 1 면 (23) 과 제 2 면 (24) 이 비접합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써 수용체 (22) 에는, 발열부 (21) 를 수용하는 단일한 팩 형상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열부 (21) 는 수용체 (22) 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의 거의 전역을 차지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즉 수용체 (22) 내에는 단일한 발열부 (21) 가 수용되어 있고, 또 그 발열부 (21) 는 둘레 가장자리 접합부 (25) 를 제외한 수용체 (22) 의 거의 전역을 차지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도 5 의 (a) 및 (b) 에서는 발열부 (21) 는 수용체 (22) 의 팩 형상 공간에 단순히 수용되어 있지만, 발열부 (21) 가 발열 시트인 경우, 수용체 (22) 내면의 일부와 발열부 (21) 를, 발열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접착제 등의 접합 수단을 사용하여 고정시켜도 된다.
발열체 (20) 에 있어서는, 제 1 면 (23) 및 제 2 면 (24) 의 통기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제 1 면 (23) 을 통하여 수증기가 우선적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면의 통기도는 제 1 면의 통기도보다 크다. 여기서, 통기도는 JIS P 8117 에 의하여 측정된 값으로서, 일정한 압력 하에서 100 ㎖ 의 공기가 6.45 ㎠ 의 면적을 통과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통기도가 큰 것은 공기의 통과에 시간이 걸리는 것, 즉 통기성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통기도가 작은 것은 통기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통기도의 대소와 통기성의 고저는 역관계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면 (23) 및 제 2 면 (24) 의 통기성을 비교하면, 제 1 면 (23) 이 제 2 면 (24) 보다 높게 되어 있다. 즉,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 2 면 (24) 은 비통기성이거나, 또는 난통기성 (즉, 통기성을 갖지만, 제 1 면 (23) 보다 낮은 통기성을 갖는다) 이다.
수용체 (22) 는, 통기면인 제 1 면 (23) 과, 그것에 대향하는 비통기면인 제 2 면 (24) 을 갖는 평평한 형태를 하고 있고, 통기면인 제 1 면 (23) 을 통하여 증기 온열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혹은, 수용체 (22) 는, 통기면인 제 1 면 (23) 과, 그것에 대향하는 난통기면인 제 2 면 (24) 을 갖는 평평한 형태를 하고 있고, 통기면인 제 1 면 (23) 을 통하여 증기 온열이 발생하도록 되고 있다. 제 2 면 (24) 이 난통기성인 경우, 제 1 면 (23) 과 제 2 면 (24) 의 통기도를 균형있게 함으로써, 공기는 제 2 면 (24) 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수용체 (22) 내에 유입됨과 함께, 수증기는 제 1 면 (23) 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방출된다.
제 2 면 (24) 이 난통기성인 경우, 그 제 2 면 (24) 을 통한 공기의 유입을 확보하면서, 그 면 (24) 을 통한 수증기의 방출을 억제하게 하는 관점에서, 제 2 면 (24) 의 통기도를, 제 1 면 (23) 의 통기도의 1.5 배 이상, 특히 2 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제 1 면 (23) 의 통기도와 제 2 면 (24) 의 통기도의 비 (제 1 면/제 2 면) 를 0.7 이하, 특히 0.4 이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 2 면 (24) 을 통한 수증기의 방출을 더욱 줄이게 할 수 있고, 또 제 1 면 (23) 을 통한 수증기의 방출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제 2 면 (24) 이 비통기성인 경우, 수용체 (22) 내로의 공기의 유입, 및 수증기의 발생은 오로지 제 1 면 (23) 을 통하여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발열체 (20) 의 발열부 (21) 에 경피 흡수성 약제 및 그 용해제가 함유되어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계면활성제도 발열부 (21) 에 포함되어 있다. 이들 제는, 발열부 (21) 에 함유되어 있는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를 약간 방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발열부 (21) 의 발열 특성이나 수증기 발생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면 (23) 의 통기도를, 종래의 증기 온열구에 비하여 약간 높게 하여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 관점에서, 제 1 면 (23) 의 통기도를, 바람직하게는 5000 ∼ 25000 초/(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0 ∼ 22000 초/(100 ㎖), 한층 바람직하게는 10000 ∼ 20000 초/(100 ㎖) 로 한다. 한편, 제 2 면 (24) 에 관해서는, 이것이 난통기성인 경우, 그 면 (24) 의 통기도를 30000 초/(100 ㎖) 이상, 특히 40000 초/(10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체 (20) 에 있어서의 제 1 면 (23) 및 제 2 면 (24) 은 모두 시트재로 구성되어 있다. 통기도를 지배하고 또 분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시트재로는, 멜트 블로운 부직포나 투습성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투습성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 및 그 수지와 상용성이 없는 유기 또는 무기의 필러의 용융 혼련물을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고, 1 축 또는 2 축 연신하여 얻어진 것으로서, 미세한 다공질 구조로 되어 있다. 다양한 통기도 및 투습도를 갖는 시트재를 조합하여 적층 시트를 구성함으로써, 제 1 면 (23) 및 제 2 면 (24) 의 통기도를 원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자유도가 증대된다.
≪포장재에 대하여≫
증기 온열구 (1) 는, 그 사용 전에는, 그 전체가 산소 배리어성을 갖는 포장재 (도시 생략) 에 의하여 포장되고, 발열부 (21) 가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산소 배리어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그 산소 투과 계수 (ASTM D 3985) 가 10 ㎤·㎜/(㎡·day·㎫) 이하, 특히 2 ㎤·㎜/(㎡·day·㎫)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나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필름, 또는 그러한 필름에 세라믹 혹은 알루미늄 등을 증착한 필름이나 알루미늄 라미네이팅 필름을 들 수 있다.
≪제조 방법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본 실시 형태의 증기 온열구 (1) 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먼저, 발열부 (21) 는,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경피 흡수성 약제가 용해제에 용해되어 이루어지는 용액을 균일하게 첨가하여 얻어진다. 이 발열부 (21) 를, 수용체 (22) 내에 수용함으로써 발열체 (20) 가 얻어진다. 여기서, 발열부 (21) 가 분체 조성물인 경우에는, 피산화성 금속 및 반응 촉진제 등의 발열부 (21) 를 구성하는 고형분을 혼합하고, 이것에 전해질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경피 흡수성 약제를 용해시킨 용해제를 첨가함으로써 발열부 (21) 를 얻을 수 있고, 이것을 수용체 (22) 에 수납함으로써 발열체 (20) 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발열부 (21) 가 성형 시트인 경우,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및 섬유 형상물을 함유하는 성형 시트를 제작하고, 이어서 그 성형 시트에 전해질 수용액, 경피 흡수성 약제를 용해제에 용해하여 이루어지는 용액을 이 순서대로 첨가함으로써 발열부 (21) 를 얻을 수 있고, 이것을 수용체 (22) 에 수납함으로써 발열체 (20) 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발열체 (20) 를 제조함으로써, 경피 흡수성 약제를 발열부 (21) 의 전역에 균일하게 널리 퍼지게 할 수 있다. 얻어진 발열체 (20) 는, 이것을 팩체 (10) 내에 수용함으로써 증기 온열구 (1) 가 제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증기 온열구 (1) 는, 예를 들어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발열부 (21) 가 분체 조성물인 경우에는, 발열부 (21) 를 구성하는 모든 성분을 혼합하면 되는데, 바람직한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미리, 피산화성 금속 및 반응 촉진제 등의 발열부 (21) 를 구성하는 고형분을 혼합한다. 한편으로, 전해질을 물에 용해시킨 수용액에 대하여, 경피 흡수성 약제, 용해제 및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교반 유화 (300 rpm·10분) 한 경피 흡수성 약제 함유 전해액을 조제해 놓는다. 그 고형분에 그 경피 흡수성 약제 함유 전해액을 첨가 혼합함으로써 발열부 (21) 를 얻을 수 있고, 이것을 수용체 (22) 에 수납함으로써 발열체 (20) 가 제조된다.
한편, 발열부 (21) 가 성형 시트인 경우,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및 섬유 형상물을 함유하는 성형 시트를 제작하고, 이어서 그 성형 시트에, 미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제해 놓은 경피 흡수성 약제 함유 전해액을 주입함으로써 발열부 (21) 가 얻어진다. 얻어진 발열부 (21) 를 수용체 (22) 에 수납함으로써 발열체 (20) 가 제조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발열체 (20) 를 제조함으로써, 경피 흡수성 약제를 발열부 (21) 의 전역에 균일하게 널리 퍼지게 할 수 있다. 얻어진 발열체 (20) 는, 이것을 팩체 (10) 내에 수용함으로써 증기 온열구 (1) 가 제조된다. 이들 방법에 의하여 증기 온열구 (1) 를 제조하면, 용해제, 경피 흡수성 약제 및 전해질 함유 수용액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가 발열 조성물 중에 동시에 첨가되게 되기 때문에, 경피 흡수성 약제가 발열 조성물 중에 균일하게 널리 퍼지고, 발열도 더욱 안정화된다. 특히 발열부 (21) 가 성형 시트인 경우,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용해제, 경피 흡수성 약제 및 전해질 함유 수용액의 성형 시트에 대한 침투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어, 경피 흡수성 약제의 발열 조성물 중에서의 균일성이 개선된다. 또, 발열을 더욱 안정화시킬 수도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이상,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발열구를 증기 온열구에 적용한 예이지만, 본 발명은 증기 온열구 이외의 발열구, 예를 들어 일회용 회로 (懷爐) 로서 알려져 있는, 수증기의 외부에 대한 투과량이 현저하게 적은 발열구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온열에 의하여 피부 혈류가 항진하기 때문에, 약제의 피하 조직에 대한 이행성이 높아져 경피 흡수 촉진 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경피 흡수성 약제가 착용자에게 생리적으로 작용하는 정도는, 증기 온열의 발생을 수반하는 상기 실시형태의 발열구 쪽이 높다. 그 이유는, 수증기에 의하여 배리어층인 피부 각층이 팽윤되고, 약제가 피부에 더욱 침투해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경피 흡수성 약제로서 냉감제를 사용한 경우, 그 냉감제의 작용에 의한 청량감의 증강 효과는, 증기 온열의 발생을 수반하는 상기 실시형태의 발열구 쪽이 높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발열체 (20) 가 신축성을 갖는 팩체 (10) 에 수용되어도 되는 것으로 되어 있었으나, 이 팩체로서 신축성을 갖지 않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증기 온열구 (1) 는, 이것을 착용자의 신체에 첩부하여 사용하는 것이었으나, 이것 대신에 증기 온열구 (1) 를 의류에 첩부하여 사용하거나 마스크나 아이 마스크로서 사용하거나, 손으로 신체에 대어 사용할 수도있다. 증기 온열구 (1) 를 의류에 첩부하는 경우에는, 팩체 (10) 에 있어서의 제 2 시트 (12) 의 표면에 점착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수단을 형성하면 된다.
실시예
이하에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및「부」는 각각「질량%」및「질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증기 온열구 (1) 를 이하의 순서로 제작하였다.
(1) 시트 형상 발열부 (21) 의 제작
<성형 시트의 원료 조성물 배합>
·피산화성 금속 : 철분, 도와 광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RKH」: 83 %
·섬유 형상물 : 펄프 섬유 (플레차 차렌지 카나다사 제조, 상품명 NBKP「Mackenzi (CSF 200 ㎖ 로 조정)」) : 8 %
·반응 촉진제 : 활성탄 (닛폰 엔바이로케미칼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카르보라핀」, 평균 입경 45 ㎛) 9 %
상기 원료 조성물의 고형분 (피산화성 금속, 섬유 형상물 및 활성탄의 합계) 100 부에 대하여, 카티온계 응집제인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세이코 PMC (주) 제, 상품명「WS4020」) 0.7 부 및 아니온계 응집제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 제조, 상품명「HE1500F」0.18 부를 첨가하였다. 추가로, 물 (공업 용수) 을, 고형분 농도가 12 % 가 될 때까지 첨가하여 슬러리를 얻었다.
<초조 조건>
상기 슬러리를 사용하고, 이것을 초지 헤드의 직전에서 0.3 % 로 물로 희석하고, 경사형 단망 초지기에 의하여, 라인 속도 15 m/분에서 초지하여 습윤 상태의 성형 시트를 제작하였다.
<건조 조건>
성형 시트를 펠트 사이에 끼워 가압 탈수하고, 그 상태에서 140 ℃ 의 가열 롤 사이로 통과시켜, 함수율이 5 % 이하로 될 때까지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평량 (坪量) 은 450 g/㎡, 두께는 0.45 ㎜ 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성형 시트의 조성을 열중량 측정 장치 (세이코 인스트루먼트사 제조, TG/DTA6200) 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철 83 %, 활성탄 9 %, 펄프 8 % 였다.
<성형 시트에 대한 경피 흡수성 약제 함유 전해액 주입>
얻어진 성형 시트를 49 ㎜ ×49 ㎜ 로 잘라내어 3 장을 중첩시키고, 그 성형 시트 100 부에 대하여 이하의 표 1 에 나타내는 조성에 의하여 조제한 멘톨 함유 전해액을 45 부 주입하였다. 발열부 (21) 전체 질량에 대한 멘톨의 비율은 0.9 %, 2-옥틸도데칸올의 비율은 0.2 %,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비율은 1.4 %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 E.O.)(HLB 14.0) 의 비율은 0.9 % 이었다. 모관 현상을 이용하여 이것들을 성형 시트 전체에 침투시켜, 직사각형의 시트 형상 발열부 (21) 를 얻었다.
Figure 112011028448619-pct00001
(2) 발열체 (20) 의 제작
수용체 (22) 에 있어서의 제 1 면 (23) 및 제 2 면 (24) 을, 이하의 필름으로 구성하여 발열체 (20) 를 얻었다. 이 발열체 (20) 를, 이하의 신축성 시트 (11, 12) 로 이루어지는 팩체 (10) 내에 수용하였다. 시트 (11, 12) 및 발열체 (20) 의 고정에는 SIS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핫멜트 점착제를 사용하였다. 또한, 제 1 신축성 시트 (11) 의 표면에, SIS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핫멜트 점착제의 고정 수단 (2) 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증기 온열구 (1) 를 얻었다.
수용체 (22) 에 있어서의 제 1 면 (23) 은 통기도 15000 초/100 ㎖ 의 폴리에틸렌제 투습 필름으로 구성되고, 제 2 면 (24) 은 통기도 60000 초/100 ㎖ 의 폴리에틸렌제 투습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팩체 (10) 에 있어서의 신축성 시트 (11) 는 평량 38 g/㎡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로 구성되고, 신축성 시트 (12) 는 평량 50 g/㎡ 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비교예 1〕
이하의 표 2 에 나타내는 조성에 의하여 멘톨 함유 전해액을 조제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기 온열구를 제작하였다.
Figure 112011028448619-pct00002
〔평가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증기 온열구에 대하여, 이하의 약제 방출량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발열에 수반하여 시트로부터 방출되는 멘톨량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용해제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함유하는 실시예 1 의 증기 온열구에서는 2 시간에 1.9 ㎎ 의 멘톨이 회수된 것에 대하여, 비교예 1 의 증기 온열구에서는 1.0 ㎎ 의 멘톨이 회수되었다. 표 3 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기 온열구는 높은 멘톨 방출성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11028448619-pct00003
〔방출량 측정 장치〕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5 ℃ 로 가온한 핫 플레이트 (30) 상에,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 의 증기 온열구 (1) 를, 불화비닐 수지의 팩체 (예를 들어, 테들러 백)(31) 에 봉입하였다. 불화비닐 수지의 팩체 (31) 에는 2 개의 관 (32, 33) 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관 (32) 의 타단은, 유량계 (34) 를 개재하여 공기의 공급원 (도시 생략) 에 접속되어 있다. 관 (33) 의 타단의 단부는, 에탄올을 넣은 용기 (35) 내에 침지되어 있다. 불화비닐 수지의 팩체 (31) 는, 그 전체를 폴리프로필렌제의 부직포 (36) 로 덮어서 단열한다. 또, 부직포 (36) 상에 추 (37) 를 얹고, 불화비닐 수지의 팩체 (31) 내에 공기를 유입시켰을 때에 증기 온열구 (1) 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였다. 공기의 공급원 (도시 생략) 으로부터 관 (32) 를 개재하여 불화비닐 수지의 팩체 (31) 내에 공기를 유입 (100 ㎖/분) 시키면서, 발열에 수반하여 방출되는 기체를, 관 (33) 을 개재하여 에탄올 중에 배출함으로써 멘톨을 에탄올 중에 회수하였다. 2 시간 후의 회수량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Agilent Technologies 사」의「6890N Network GC system」) 로 정량하였다. 또한, 불화비닐 수지의 팩체 (31) 내에 봉입된 증기 온열구 (1) 는, 도 1 에 나타내는 2 개가 연결된 증기 온열구 (1) 를 분리시킨 일방의 것이다.
〔평가 2〕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증기 온열구를 사용하여, 좌우 어깨에 있어서의 첩부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 10 명의, 좌우의 어느 한 쪽 어깨에, 실시예 1 의 증기 온열구, 나머지 한 쪽의 어깨에 비교예 1 의 증기 온열구를 6 시간 첩부한 후의 청량감의 속도 및 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표 4 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의 증기 온열구는, 멘톨의 높은 방출성에 의하여, 멘톨에서 유래하는 현저히 높은 청량감을 가졌다.
Figure 112011028448619-pct00004
〔실시예 2 ∼ 11〕
발열부를 구성하는 성분의 비율을, 이하의 표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증기 온열구를 얻었다. 얻어진 증기 온열구를 5 명의 패널리스트의 어깨에 첩부하였다. 첩부된 상태에서의 청량감, 냄새 (멘톨향기 이외의 이취) 및 종합 평가를, 이하의 기준에 의하여 패널리스트에게 평가하게 하였다. 가장 사람 수가 많은 평가를 선택하여 표 5 에 나타낸다. 또한, 동 표에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평가 결과도 아울러 기재하였다.
〔청량감〕
6 : 매우 강하게 바람직한 청량감을 느낀다.
5 : 매우 바람직한 청량감을 느낀다.
4 : 적당한 청량감을 느낀다.
3 : 청량감이 약간 약하다.
2 : 청량감이 지나치게 약하다.
1 : 청량감을 느끼지 못한다.
〔냄새가 난다〕
◎ : 이취를 느끼지 못한다.
○ : 약한 이취를 느낀다.
× : 강한 이취를 느낀다.
〔종합 평가〕
◎ : 혹서 환경에서 매우 쾌적.
○ : 혹서 환경에서 쾌적.
△ : 혹서 환경에서 그다지 쾌적하지 않다.
× : 혹서 환경에서 쾌적하지 않다.
Figure 112011028448619-pct00005
표 5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의 증기 온열구는, 청량감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는 것이고, 게다가 이취의 발생이 억제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 의 증기 온열구는, 이취의 발생은 없으나, 사용자에 청량감을 주는 효과가 매우 낮은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2 그리고 비교예 2 및 3〕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성형 시트와 동일한 성형 시트 100 부에 대하여, 전해액량 (5 % 식염수) 이 45 부가 되도록 전해액을 주입하였다. 또, 성형 시트 100 부에 대하여 멘톨 용액 (l-멘톨 20 부,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을 80 부) 이 6.8 부가 되도록 그 멘톨 용액을 주입하였다. 발열부 (21) 전체 질량에 대한 멘톨의 농도는 0.90 %,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의 농도는 3.6 % 이다. 모관 현상을 이용하여 이것들을 성형 시트 전체에 침투시켜, 직사각형의 시트 형상 발열부 (21) 를 얻었다. 단, 비교예 2 에서는 멘톨 용액을 주입하지 않았다. 또, 비교예 3 에서는 용해제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를 첨가하지 않고, 실시예 12 와 동량의 l-멘톨만을 발열부에 함유시켰다. 이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증기 온열구 (1) 를 얻었다. 증기 온열구 (1) 의 구성을 정리하여 표 6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28448619-pct00006
실시예 12 및 비교예 3 에서 얻어진 증기 온열구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평가 1 을 실시하였다. 또, 이하의 평가 3 및 평가 4 를 실시하였다.
〔평가 1〕
발열에 수반하여 시트로부터 방출되는 멘톨량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표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해제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를 함유하는 실시예 12 의 증기 온열구에서는 2 시간에 1.7 ㎎ 의 멘톨이 회수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용해제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3 의 증기 온열구로부터는 0.15 ㎎ 의 멘톨이 회수되었다. 동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기 온열구는 높은 멘톨 방출성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11028448619-pct00007
〔평가 3〕
실온 31.5 ℃ 의 혹서 환경하에서, 여성 피험자 1 명에 대하여 실시예 12 에서 얻어진 발열구를 양 어깨에 장착하고, 폴리그래프 (Task force Monitor 3040i 닛폰 광전) 에 의한 자율 신경 활동을 측정하였다. 동일 피험자에 의한 다른 실험에 있어서, 비교예 2 의 증기 온열구를 동일하게 양 어깨에 장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l-멘톨을 배합하지 않는 비교예 2 의 증기 온열구에서는 교감 신경 활동이 항진한 것에 대하여, l-멘톨을 배합한 실시예 12 의 증기 온열구에서는 교감 신경 활동이 억제되고 부교감 신경 활동이 우위로 되었다. 피험자의 자각 신고에 있어서도, 비교예 2 의 증기 온열구에서는, 실험중에 전신의 혹서감을 강하게 느꼈다고 말한 것에 대하여, 실시예 12 의 증기 온열구에서는 더위를 느끼기 어렵고 쾌적하였다고 말했다.
〔평가 4〕
25 ℃ 의 환경하에서, 남성 피험자 10 명에 대하여 양 어깨에 실시예 12 및 비교예 2 의 증기 온열구를 별개로 6 시간 첩부하여 감각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2 의 증기 온열구 모두를 장착했을 때의 피부 온도는 약 40 ℃ 로 동일 (도 8) 하였다. 평가 결과, 비교예 2 의 증기 온열구에서는「온감보다 냉감이 강하다」고 신고한 피험자가 없었던 것에 대하여, 실시예 12 의 증기 온열구에서는 10 명중 5 명이「온감보다 냉감이 강하다」고 신고하였다. 또, 비교예 2 의 증기 온열구에서는 10 명중 7 명이「여름철은 쾌적하게 사용할 수 없다」고 신고한 것에 대하여, 실시예 12 의 증기 온열구에서는 10 명중 9 명의 피험자가「여름철에도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신고하였다. 또한, 도 8 의 측정에는 Gram Corporation 제조의 데이터 수집형 핸디 타입 온도계 LT-8 을 사용하여 발열부가 닿아 있는 중심부의 피부 온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3 ∼ 20〕
경피 흡수성 약제 및 용해제의 종류 및 양을 표 8 에 나타내는 값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증기 온열구를 얻었다. 얻어진 증기 온열구를 5 명의 패널리스트의 어깨에 첩부하였다. 첩부된 상태에서의 청량감, 냄새 (멘톨 향기 이외의 이취) 및 종합 평가를, 앞서 기술한 기준에 의하여 패널리스트에게 평가하게 하였다다. 가장 사람 수가 많은 평가를 선택하여 표 8 에 나타낸다. 또한, 동일 표에는, 실시예 12 그리고 비교예 2 및 3 의 평가 결과도 아울러 기재하였다.
Figure 112011028448619-pct00008
표 8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의 증기 온열구는, 청량감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는 것이고, 게다가 이취가 억제된 것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각 비교예의 증기 온열구는, 이취의 발생은 없으나, 사용자에 청량감을 거의 주지 못하는 것인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4)

  1.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경피 흡수성 약제, 그 약제의 용해제, 계면 활성제,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를 갖는 발열구로서,
    상기 용해제가,
    A)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1 가의 알코올, 지방산, 실리콘유, 글리세라이드 및 식물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25 ℃ 에서 액상의 유제로 이루어지는 제 1 의 용해제, 및
    B)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제 2 의 용해제
    를 함유하고,
    제 1 의 용해제가 상기 발열부 중에 0.01 ∼ 5 질량% 함유되고, 제 2 의 용해제가 상기 발열부 중에 0.01 ∼ 5 질량% 가 되는 발열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이 폴리에틸렌글리콜인 발열구.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용해제와 상기 경피 흡수성 약제의 질량비 (상기 제 1 의 용해제/상기 경피 흡수성 약제) 가 0.01 ∼ 2 인 발열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용해제와 상기 경피 흡수성 약제의 질량비 (상기 제 2 의 용해제/상기 경피 흡수성 약제) 가 0.1 ∼ 5 인 발열구.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발열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피 흡수성 약제가, 피부에 냉감을 부여하는 냉감제인 발열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에 있어서의 상기 냉감제의 농도가, 상기 발열부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1 ∼ 10 질량% 인 발열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감제가, l-멘톨 및 dl-멘톨, 그것들의 유도체, 박하유 그리고 페퍼민트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및 2 종 이상인 발열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가, 상기 피산화성 금속, 상기 반응 촉진제, 상기 전해질, 섬유 형상물 및 상기 물을 함유하는 시트 형상물인 발열구.
  14. 제 1 항에 기재된 발열구의 제조 방법으로서,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경피 흡수성 약제를 용해제에 용해시킨 용액 및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여 발열부를 얻는 발열구의 제조 방법.
KR1020117008767A 2008-12-10 2009-12-04 발열구 KR101648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14424 2008-12-10
JP2008314424 2008-12-10
JPJP-P-2009-146987 2009-06-19
JP2009146987 2009-06-19
JP2009230957A JP5788135B2 (ja) 2008-12-10 2009-10-02 発熱具
JPJP-P-2009-230938 2009-10-02
JPJP-P-2009-230957 2009-10-02
JP2009230938A JP5548420B2 (ja) 2009-06-19 2009-10-02 発熱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850A KR20110091850A (ko) 2011-08-16
KR101648230B1 true KR101648230B1 (ko) 2016-08-12

Family

ID=4427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767A KR101648230B1 (ko) 2008-12-10 2009-12-04 발열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45072B2 (ko)
EP (1) EP2356958B1 (ko)
KR (1) KR101648230B1 (ko)
CN (1) CN102227198B (ko)
WO (1) WO20100677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81065B1 (en) * 2010-06-09 2019-12-25 Kao Corporation Water-vapor-generating heating tool
US20120071955A1 (en) * 2010-09-16 2012-03-22 Yockel Paula B Thermal pack holding device and method for relief of breast pain or discomfort
CA2830152A1 (en) * 2011-04-12 2012-10-18 Mycoal Co., Ltd. Heat generating body
JP2013060393A (ja) * 2011-09-13 2013-04-04 Nitto Denko Corp 経皮吸収促進用組成物および貼付製剤
JP5820207B2 (ja) 2011-09-13 2015-11-24 日東電工株式会社 経皮吸収促進用組成物および貼付製剤
JP5820206B2 (ja) 2011-09-13 2015-11-24 日東電工株式会社 経皮吸収促進用組成物および貼付製剤
CN103370061B (zh) * 2011-10-17 2016-04-13 帕拉芬国际有限责任公司 皮肤治疗系统
CN104010599B (zh) 2011-12-21 2015-09-30 花王株式会社 蒸气温热器具
JP2014008288A (ja) * 2012-06-29 2014-01-20 Kiribai Kagaku Kk 発熱具
CA2888981A1 (en) * 2012-10-19 2014-04-24 Rechargeable Battery Corporation Electrolyte formulations for oxygen activated portable heater
RU2665146C2 (ru) * 2013-06-10 2018-08-28 Као Корпорейшн Согревающе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JP6273481B2 (ja) * 2014-10-20 2018-02-07 フェリック株式会社 温度制御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発熱組成物、包材及び温熱材
EP3791835A1 (en) * 2015-06-10 2021-03-17 Kao Corporation Steam heating mask
JP6715104B2 (ja) * 2015-07-21 2020-07-01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JP6721300B2 (ja) 2015-07-21 2020-07-15 花王株式会社 発熱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47478A (ja) * 2016-01-12 2016-04-07 花王株式会社 発熱具
CN107029275A (zh) * 2016-02-04 2017-08-11 王芷尧 湿式敷料
CN105726196B (zh) * 2016-03-18 2019-01-08 泰州梅兰日用品有限公司 带多个子内袋的暖宝宝
WO2017191682A1 (ja) 2016-05-02 2017-11-09 小林製薬株式会社 発熱具
WO2017191680A1 (ja) 2016-05-02 2017-11-09 小林製薬株式会社 発熱具
CN106798611A (zh) * 2016-12-01 2017-06-06 湖北硅金凝节能减排科技有限公司 热敷填充组合物及其制备方法、热敷眼罩及其制备方法
CN106580551A (zh) * 2016-12-06 2017-04-26 诺斯贝尔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能促进护肤品吸收的蒸汽眼罩
CN110505855A (zh) * 2017-04-04 2019-11-26 花王株式会社 温热器具
EP3607934A4 (en) * 2017-04-04 2020-12-09 Kao Corporation COSMETIC PRODUCT FOR THE BODY
CN111031973A (zh) * 2017-08-23 2020-04-17 花王株式会社 温热器具
JP2021517024A (ja) * 2018-03-07 2021-07-15 ソーヴ ラボ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熱線維の刺激からの改善された疼痛緩和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8743027B (zh) * 2018-05-15 2019-11-01 威莱(广州)日用品有限公司 一种蒸汽眼罩及其制作方法
CN109249653A (zh) * 2018-10-30 2019-01-22 天津富勤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立体热敷眼罩及制备工艺
WO2020129408A1 (ja) * 2018-12-19 2020-06-25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USD917711S1 (en) * 2019-01-11 2021-04-27 KOBAYASHI Healthcare International Inc. Warmer
USD899611S1 (en) * 2019-01-11 2020-10-20 KOBAYASHI Healthcare International Inc. Warm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727A (ja) * 1999-12-28 2001-07-10 Kao Corp 水蒸気発生体
JP2003210509A (ja) * 2002-01-17 2003-07-29 Lion Corp 温熱シート
JP2003327527A (ja) 2002-05-13 2003-11-19 Teikoku Seiyaku Co Ltd 発熱体積層経皮投与製剤
JP2005199051A (ja) 2003-12-16 2005-07-28 Kao Corp 湿熱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5347B1 (en) * 1995-07-28 2001-06-12 Zar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administration of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AU6076200A (en) * 1999-07-08 2001-01-3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Exothermic bandage
JP2001224621A (ja) 2000-02-17 2001-08-21 Lion Corp 発熱性シート剤
JP2003102761A (ja) 2001-09-28 2003-04-08 Kao Corp 発熱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3116902A (ja) 2001-10-19 2003-04-22 Ooshin Seiyaku Kk 機能性シート
JP2003129041A (ja) * 2001-10-25 2003-05-08 Maikooru Kk 発熱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発熱体並びにこの発熱体の製造方法
CN1829487B (zh) * 2003-07-31 2010-05-05 花王株式会社 片状加温用具
EP1695679B1 (en) * 2003-12-16 2019-01-23 Kao Corporation Steam warmer
JP2007186626A (ja) * 2006-01-13 2007-07-26 Mycoal Products Corp 成形性含余剰水発熱組成物、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36725A (ja) 2006-03-10 2007-09-20 Ooshin Mlp:Kk 香気、鎮痒、消炎、鎮痛、消臭、抗酸化、抗菌又は殺菌成分を内包するマイクロカプセルを具備する発熱構造物
CN200987729Y (zh) * 2006-12-31 2007-12-12 蔡军峰 一种水电热敷药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727A (ja) * 1999-12-28 2001-07-10 Kao Corp 水蒸気発生体
JP2003210509A (ja) * 2002-01-17 2003-07-29 Lion Corp 温熱シート
JP2003327527A (ja) 2002-05-13 2003-11-19 Teikoku Seiyaku Co Ltd 発熱体積層経皮投与製剤
JP2005199051A (ja) 2003-12-16 2005-07-28 Kao Corp 湿熱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27198B (zh) 2015-10-14
EP2356958A1 (en) 2011-08-17
WO2010067761A1 (ja) 2010-06-17
KR20110091850A (ko) 2011-08-16
EP2356958B1 (en) 2019-05-15
EP2356958A4 (en) 2016-12-28
US8945072B2 (en) 2015-02-03
US20110190714A1 (en) 2011-08-04
CN102227198A (zh)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230B1 (ko) 발열구
JP5857098B2 (ja) 発熱具
JP5797465B2 (ja) 水蒸気発生温熱具
US8409154B2 (en) Method of delivering a skin benefit
WO2012140875A1 (ja) 発熱体
JP5593083B2 (ja) 発熱具
WO2014003096A1 (ja) 発熱具
JP5548420B2 (ja) 発熱具
JP6162599B2 (ja) 温熱具
JP6263027B2 (ja) 温熱具
KR102655921B1 (ko) 신체 화장료
WO2019039497A1 (ja) 温熱具
JP5806505B2 (ja) 発熱具
JP2007186626A (ja) 成形性含余剰水発熱組成物、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191682A1 (ja) 発熱具
JP2009084299A (ja) 成形性含余剰水発熱組成物及び発熱体
JPWO2017042947A1 (ja) 発熱具
US20210338712A1 (en) Adhesive sheet for affixation to body, housed in container
JP2018177776A (ja) 身体化粧料
JP2015100544A (ja) 発熱具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