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726B1 -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726B1
KR101856726B1 KR1020150144202A KR20150144202A KR101856726B1 KR 101856726 B1 KR101856726 B1 KR 101856726B1 KR 1020150144202 A KR1020150144202 A KR 1020150144202A KR 20150144202 A KR20150144202 A KR 20150144202A KR 101856726 B1 KR101856726 B1 KR 101856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solar cell
perovskite compound
electrode
hybrid perovsk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460A (ko
Inventor
박은석
홍성길
전성호
유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5867780.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56408B1/en
Priority to US15/323,664 priority patent/US20170154735A1/en
Priority to CN201580039095.0A priority patent/CN106536531B/zh
Priority to PCT/KR2015/011034 priority patent/WO2016093485A1/ko
Priority to JP2017509036A priority patent/JP6418469B2/ja
Priority to TW104135006A priority patent/TWI584509B/zh
Publication of KR20160069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System
    • C07F7/24Lead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04Light-sensitiv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e.g. comprising an organic electrolyte
    • H01G9/2009Solid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System
    • C07F7/003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System without C-Metal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09/68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from amin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amino groups, e.g. reduction of unsaturated amines, aromatisation, or substitution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6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7C211/63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having quaternised nitrogen atom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System
    • C07F7/22Ti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System
    • C07F7/28Titanium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50Organic perovskites; Hybrid organic-inorganic perovskites [HOIP], e.g. CH3NH3PbI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10K2102/102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comprising tin oxides, e.g. fluorine-doped SnO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1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heterojunctions between organic semiconductors and inorganic semiconductors
    • H10K30/15Sensitised wide-bandgap semiconductor devices, e.g. dye-sensitised TiO2
    • H10K30/151Sensitised wide-bandgap semiconductor devices, e.g. dye-sensitised TiO2 the wide bandgap semiconductor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은, Zero point energy를 낮추고, 이를 통하여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의 화학적 안정성을 높여 태양전지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은, 태양전지의 광흡수체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Organic/inorganic hybrid perovskite compound, preparing method thereof, and solar cel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중수소를 가지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에너지의 고갈과 이의 사용에 의한 지구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태양 에너지, 풍력, 수력과 같은 재생 가능하며, 청정한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중, 태양광으로부터 직접 전기적 에너지를 변화시키는 태양전지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태양전지란, 태양광으로부터 광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자와 정공을 발생시키는 광기전 효과를 이용하여 전류-전압을 생성하는 전지를 의미한다.
현재 광에너지 변환효율이 20%가 넘는 n-p 다이오드형 실리콘(Si) 단결정 기반 태양전지의 제조가 가능하여 실제 태양광 발전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보다 더 변환효율이 우수한 갈륨아세나이드(GaAs)와 같은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태양전지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기 반도체 기반의 태양전지는 고효율화를 위하여 매우 고순도로 정제한 소재가 필요하므로 원소재의 정제에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고, 또한 원소재를 이용하여 단결정 또는 박막화하는 과정에 고가의 공정 장비가 요구되어 태양전지의 제조 비용을 낮게 하는데 한계가 있어 대규모적인 활용에 걸림돌이 되어 왔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를 저가로 제조하기 위해서 태양전지의 핵심 소재 또는 제조 공정의 비용을 대폭 감소시킬 필요가 있으며, 무기 반도체 기반 태양전지의 대안으로 저가의 소재와 공정으로 제조 가능한 염료감응태양전지와 유기태양전지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염료감응태양전지(DSSC; dye-sensitized solar cell)는 1991년 스위스 로잔공대(EPFL)의 미카엘 그라첼(Michael Gratzel) 교수가 처음 개발에 성공하여 네이쳐지(Vol. 353, p. 737)에 소개되었다.
초기의 염료감응태양전지 구조는 빛과 전기가 통하는 투명전극필름 위에 다공성 광음극(photoanode)에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흡착한 후, 또 다른 전도성 유리 기판을 상부에 위치시키고 액체 전해질을 채운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염료감응태양전지의 작동 원리는, 다공성 광음극 표면에 화학적으로 흡착된 염료 분자가 태양광을 흡수하면 염료 분자가 전자-홀 쌍을 생성하며, 전자는 다공성 광음극으로 사용된 반도체 산화물의 전도띠로 주입되어 투명 전도성 막으로 전달되어 전류가 발생한다. 염료 분자에 남아 있는 홀은 액체 또는 고체형 전해질의 산화-환원 반응에 의한 홀전도 또는 홀전도성 고분자에 의하여 광양극(photocathode)으로 전달되는 형태로 완전한 태양전지 회로를 구성하여 외부에 일(work)을 하게 된다.
이러한 염료감응태양전지 구성에서 투명전도성 막은 FTO(Fluorine doped Tin Oxide) 또는 ITO(Indium doped Tin Oxide)가 주로 사용되며, 다공성 광음극으로는 밴드갭이 넓은 나노입자가 사용되고 있다. 염료로는 특별히 광흡수가 잘되고 광음극 재료의 전도대(condiction band) 에너지 준위보다 염료의 LUMO(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너지 준위가 높아 광에 의하여 생성된 엑시톤 분리가 용이하여 태양전지 효율을 올릴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현재까지 보고된 액체형 염료감응태양전지의 최고 효율은 약 20년 동안 11-12%에 머물고 있다. 액체형 염료감응태양전지의 효율은 상대적으로 높아 상용화 가능성이 있으나, 휘발성 액체 전해질에 의한 시간에 따른 안정성 문제와 고가의 루테늄(Ru)계 염료 사용에 의한 저가화에도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휘발성 액체 전해질 대신에 이온성 용매를 이용한 비휘발성 전해질 사용, 고분자 젤형 전해질 사용 및 저가의 순수 유기물 염료 사용 등이 연구되고 있으나, 휘발성 액체 전해질과 루테늄계 염료를 이용한 염료감응태양전지에 비하여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한편, 1990년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유기 태양전지(OPV; organic photovoltaic)는 전자주개(electron donor, D 또는 종종 hole acceptor로 불림) 특성과 전자 받개(electron acceptor, A) 특성을 갖는 유기물들로 구성된다. 유기 분자로 이루어진 태양전지가 빛을 흡수하면 전자와 홀이 형성되는데 이것을 엑시톤(exiton)이라 한다. 엑시톤은 D-A 계면으로 이동하여 전하가 분리되고 전자는 억셉터(electron acceptor)로, 홀은 도너(electron donor)로 이동하여 광전류가 발생한다.
전자 공여체에서 발생한 엑시톤이 통상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10 nm 안팎으로 매우 짧기 때문에 광할성 유기 물질을 두껍게 쌓을 수 없어 광흡수도가 낮아 효율이 낮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계면에서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소위 BHJ(bulk heterojuction) 개념의 도입과 넓은 범위의 태양광 흡수에 용이한 밴드갭이 작은 전자 공여체(donor) 유기물의 개발과 함께 효율이 크게 증가하여, 8%가 넘는 효율을 가진 유기 태양전지가 보고되고 있다(Advanced Materials, 23 (2011) 4636).
유기 태양전지는 유기 재료의 손쉬운 가공성과 다양성, 낮은 단가로 인하여 기존 태양전지와 비교하여 소자의 제작 과정이 간단하고, 따라서 기존의 태양전지에 비하여 저가 제조 단가의 실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유기 태양전지는 BHJ의 구조가 공기 중의 수분이나, 산소에 의해 열화되어 그 효율이 빠르게 저하되는, 즉 태양전지의 안정성에 큰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완전한 실링 기술을 도입하여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가격이 올라가는 문제가 있다.
액체 전해질에 의한 염료감응태양전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염료감응태양전지의 발명자인 스위스 로잔공대 화학과의 미카엘 그라첼 교수는 1998년 네이처지에 액체 전해질 대신에 고체형 홀전도성 유기물인 Spiro-OMeTAD(2,2',7,7'-tetrakis(N,N-di-p-methoxyphenylamine)-9,9'-spirobifluorine)을 사용하여 효율이 0.74%인 전고체상 염료감응태양전지를 보고하였다. 이후 구조의 최적화, 계면 특성, 홀전도성 개선 등에 의하여 효율이 최대 약 6%까지 증가되었다. 또한 루테늄계 염료를 저가의 순수 유기물 염료와 홀전도체로 P3HT, PEDOT 등을 사용한 태양전지가 제조되었으나, 그 효율은 2-7%로 여전히 낮다.
또한, 광흡수체로 양자점 나노입자를 염료 대신 사용하고, 액체 전해질 대신 홀전도성 무기물 또는 유기물을 사용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양자점으로 CdSe, PbS 등을 사용하고 홀전도성 유기물로서 Spiro-OMeTAD 또는 P3HT와 같은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한 태양전지가 다수 보고되었으나, 그 효율이 아직 5% 이하로 매우 낮다. 또한 광흡수 무기물로 Sb2S3와 홀전도성 무기물로 PCPDTBT를 사용한 태양전지에서 약 6%의 효율이 보고되었으나(Nano Letters, 11 (2011) 4789), 더 이상의 효율 향상은 보고되지 않고 있다.
이외에 순수한 무기물로 된 양자점이 아닌,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진 물질을 염료감응태양전지의 염료 대신 사용하여 약 9%의 효율이 보고된 바 있고(Scientific Reports 2, 591), 현재는 약 20%의 효율까지 보고될 정도로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외에도 페로브스카이트를 이용한 태양전지를 발표하고 있지만 신규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에 대해서는 보고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태양전지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의 구조를 변경하는 연구를 수행하던 중,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내에 중수소가 치환되는 경우 Zero point energy가 낮아져 화학적으로 안정화되어 태양전지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중수소가 치환된 신규한 구조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AMX3
[화학식 2]
A2MX4
상기 식에서,
A는 CD3- aHaN+D3- bHb이고, 여기서 a는 0 내지 3의 실수이고, b는 0 내지 3의 실수이고, 단, a가 3이고 b가 3이거나, a가 3이고 b가 0이거나, 또는 a가 0이고 b가 3인 경우는 제외하고,
M은 2가의 금속 이온이고,
X는 할로겐 이온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란, 러시아 광물학자 Lev Perovski의 이름을 딴 것으로, 상기 화학식 1 및 2와 같이 양이온(A 및 M)과 음이온(X)이 AMX3 또는 A2MX4의 화학식으로 구성되며, 최초의 페로브스카이트형 물질인 Ural 산에서 발견된 CaTiO3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과 같이 태양전지에 사용되는 페로브스카이트의 경우 A에 해당하는 양이온으로 통상 1가의 암모늄염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무기 하이브리드"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종래 태양전지에 사용되는 페로브스카이트는 메틸암모늄염을 사용한 CH3NH3PbI3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상기의 물질은 밴드갭이 높아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의 화학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소 대신에 중수소를 치환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A에 해당하는 염은 CD3- aHaN+D3- bHb이고, 여기서 a는 0 내지 3의 실수이고, b는 0 내지 3의 실수이고, a와 b가 모두 3인 경우는 제외되므로, A는 적어도 하나의 중수소를 가지게 된다. 특히, 질소에 직접 치환되어 있는 수소 중 적어도 하나는 중수소라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수소만 가지고 있던 페로브스카이트에 비하여 Zero point energy가 낮아져 화학적으로 보다 안정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a 및 b는 0이다. 이 경우 A에 해당하는 염의 수소는 모두 중수소로 치환된 구조(CD3N+D3)를 가지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M은 Pb2 +, Sn2 +, Ti2 +, Nb2 +, Zr2+ 또는 Ce2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b2 +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X는 Cl-, Br- 또는 I-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중수소가 치환된 상기 화학식 1 및 2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드 화합물은, 종래 사용되던 CH3NH3PbI3에 비하여 태양전지의 안정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수소를 중수소로 치환된 것에 기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드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하기와 같이 제공한다:
1)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2) 상기 혼합물을 열처리하는 단계:
[화학식 3]
AX
[화학식 4]
MX2
상기 식에서, A, M 및 X의 정의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몰비는 약 1:1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드 화합물은 태양광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므로, 태양전지에서 광 흡수층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드 화합물을 사용하는 태양전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전도성 투명 기판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되고, 상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 흡수층;
상기 광 흡수층이 형성된 제1 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층.
또한, 상기 태양전지는 하기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1) 전도성 투명 기판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상에 상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드 화합물을 흡착 후 열처리하여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광 흡수층이 형성된 제1 전극에 대향하여 제2전극을 배치하는 단계; 및
3)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액을 주입하여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드 화합물을 흡착은, 스핀-코팅, 딥코팅, 스크린코팅, 스프레이코팅, 전기방사 등으로 10초 내지 5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드 화합물을 분산시키는 용매로는 페로브스카이트가 용해되기 쉬운 용매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감마-부티로락톤, DMF 등이 바람직하다. 흡착 후 열처리 온도는, 40 내지 300℃가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투명 기판은 Ti, In, Ga 및 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로 도핑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으로는, ITO, FTO, ZnO-Ga2O3, ZnO-Al2O3 및 주석계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에, Pt, Au, Ni, Cu, Ag, In, Ru, Pd, Rh, Ir, Os, C, 및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도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해액으로는 요오드와 첨가제를 용매에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며, 예를 들면 우레아(urea), 티오우레아(thiourea), 부틸피리딘(tert-butylpyridine) 및 구아니딘 사이오시아네이트(guanidium thiotianat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에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닐, 톨루엔 및 메톡시프로피오니트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은, 중수소를 치환함으로써 Zero point energy를 낮추고, 이를 통하여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의 화학적 안정성을 높여 태양전지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은, 태양전지의 광흡수체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태양전지에 대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측정된 발전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x축은 시간(hour)을 의미한다.
이하,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Methyl ammonium iodide-d 5 의 제조
진공 상태인 2L 플라스크에 Methyl amine-d5 가스를 주입하여 채웠다. 플라스크를 -78℃(Dry ice 및 acetone bath)에서 가스가 응축되어 액체로 될 때까지 약 15분 동안 유지하였다. Methanol-d4 5 g을 플라스크에 주사기로 주입하고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0℃로 온도를 올렸다. Hydriodic acid(HI 57 wt%)(22.66 mL, 0.17 mol)을 주입하고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Rotary evaporator로 용매를 제거하고, diethyl ether로 세척한 후 여과하고 진공건조하여 Methyl ammonium iodide-d5를 얻었다(10.98 g, 80.4%)
2H NMR (spinning rate = 18 kHz) (600 MHz, ppm): 1.1 (3, s) 5.2 (2, s)
1H NMR (D2O(700 MHz), ppm): 4.28 (1, s)
제조예 2: Methyl ammonium bromide-d 5 의 제조
제조예 1에서 Hydriodic acid(HI 57 wt%) 대신 Hydrobromic acid(HBr 48 wt%)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Methyl ammonium bromide-d5을 제조하였다.
2H NMR (spinning rate = 18 kHz) (600 MHz, ppm): 1.2 (3, s) 5.3 (2, s)
1H NMR (D2O(700 MHz), ppm): 4.30 (1, s)
제조예 3: Methyl ammonium chloride-d 5 의 제조
제조예 1에서 Hydriodic acid(HI 57 wt%) 대신 Hydrochloric acid(HCl 37 wt%)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Methyl ammonium chloride-d5을 제조하였다.
2H NMR (spinning rate = 18 kHz) (600 MHz, ppm): 1.2 (3, s) 5.4 (2, s)
1H NMR (D2O(700 MHz), ppm): 4.31 (1, s)
제조예 4: Methyl ammonium fluoride-d 5 의 제조
제조예 1에서 Hydriodic acid(HI 57 wt%) 대신 Hydrofluoric acid(HF 48 wt%)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Methyl ammonium fluoride-d5을 제조하였다.
2H NMR (spinning rate = 18 kHz) (600 MHz, ppm): 1.2 (3, s) 5.5 (2, s)
1H NMR (D2O(700 MHz), ppm): 4.32 (1, s)
제조예 5: Methyl ammonium iodide-d 6 의 제조
제조예 1에서 Hydriodic acid(HI 57 wt%) 대신 Deuterium iodide(DI 57 wt%)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Methyl ammonium iodide-d6을 제조하였다.
2H NMR (spinning rate = 18 kHz) (600 MHz, ppm): 1.1 (3, s) 5.2 (3, s)
제조예 6: Methyl ammonium bromide-d 6 의 제조
제조예 2에서 Hydrobromic acid(HBr 48 wt%) 대신 Deuterium bromide(DBr 47 wt%)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Methyl ammonium bromide-d6을 제조하였다.
2H NMR (spinning rate = 18 kHz) (600 MHz, ppm): 1.2 (3, s) 5.3 (3, s)
제조예 7: Methyl ammonium chloride-d 6 의 제조
제조예 3에서 Hydrochloric acid(HCl 37 wt%) 대신 Deuterium chloride(DCl 35 wt%)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Methyl ammonium chloride-d6을 제조하였다.
2H NMR (spinning rate = 18 kHz) (600 MHz, ppm): 1.2 (3, s) 5.4 (3, s)
실시예 1: Methyl ammonium lead iodide-d 5 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Methyl ammonium iodide-d5와 lead iodide(II)를 1:1의 몰비로 1-methyl-2-pyrrolidone에 용해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40 wt%의 Methyl ammonium lead iodide-d5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Methyl ammonium lead bromide-d 5 의 제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Methyl ammonium bromide-d5와 lead bromide(II)를 1:1의 몰비로 1-methyl-2-pyrrolidone에 용해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40 wt%의 Methyl ammonium lead bromide-d5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Methyl ammonium lead chloride-d 5 의 제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Methyl ammonium chloride-d5와 lead chloride(II)를 1:1의 몰비로 1-methyl-2-pyrrolidone에 용해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40 wt%의 Methyl ammonium lead chloride-d5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Methyl ammonium lead fluoride-d 5 의 제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Methyl ammonium fluoride-d5와 lead fluoride(II)를 1:1의 몰비로 1-methyl-2-pyrrolidone에 용해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40 wt%의 Methyl ammonium lead fluoride-d5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Methyl ammonium lead iodide-d 6 의 제조
제조예 5에서 제조한 Methyl ammonium iodide-d6와 lead iodide(II)를 1:1의 몰비로 1-methyl-2-pyrrolidone에 용해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40 wt%의 Methyl ammonium lead iodide-d6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Methyl ammonium lead bromide-d 6 의 제조
제조예 6에서 제조한 Methyl ammonium bromide-d6와 lead bromide(II)를 1:1의 몰비로 1-methyl-2-pyrrolidone에 용해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40 wt%의 Methyl ammonium lead bromide-d6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Methyl ammonium lead iodide bromide-d 6 의 제조
제조예 5에서 제조한 Methyl ammonium iodide-d6, 제조예 6에서 제조한 Methyl ammonium bromide-d6, lead iodide(II) 및 lead bromide(II)를 9:1:9:1의 몰비로 1-methyl-2-pyrrolidone에 용해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40 wt%의 Methyl ammonium lead iodide bromide-d6 용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Methyl ammonium lead iodide의 제조
250 mL 플라스크에 Methylamine 용액(40 wt% in methanol)(30 mL)를 넣고 Ice bath에서 0℃로 냉각하였다. Hydriodic acid(HI 57 wt%)(32.3 mL)를 주입하고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Rotatory evaporator로 용매를 제거하고, diethyl ether로 세척하고 여과하고 진공 건조하여 Methyl ammonium iodide를 얻었다(수율: 80.4%).
상기 제조한 Methyl ammonium iodide와 lead iodide(II)를 1:1 몰비로 1-methyl-2-pyrrolidone에 용해시킨 후,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40 wt%의 Methyl ammonium lead iodide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FTO 글라스(Pikington, TEC-7, 7 Ω/sq)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에탄올에서 40분 동안 세척하였다. FTO 기판을 0.1 M Titanium(IV) bis(ethyl acetoacetato)diisopropoxide/1-부탄올 용액을 사용하여 스핀 코팅법으로 코팅하였다(제1 전극 제조). 500℃에서 15분 동안 열처리한 후 1 g TiO2 페이스트를 10 mL 에탄올에 희석시킨 용액을 스핀 코팅법으로 TiO2 페이스트 코팅하였다. 두께는 TiO2 페이스트 농도와 스핀 속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이어, 50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각의 용액을 TiO2 필름이 코팅된 FTO 글라스 위에 떨어뜨리고(2.5 x 2.5 cm2), 스핀 코팅법으로 코팅시킨 후 끝나기 10초 전에 비용매로 톨루엔을 떨어뜨렸다. 100℃에서 10분 동안 핫 플레이트 위에서 열처리하였다. 이어, 60 mM Spiro-OMeTAD/Li-TFSI/tert-butylpyridine/클로로벤젠(Aldrich)을 스핀코팅법으로 코팅하여 정공전달층을 제조하였다. 가로 2.5 cm, 세로 0.5 cm 크기로 anode를 긁어내고, 마스크를 놓고 Au를 증착하여 전극(제2 전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태양전지 효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측정시 습도는 20%로 유지하였다. 하기 표 1은 최초 측정시의 측정 결과이며, 도 1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측정된 발전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단락전류밀도
(mA/cm2)
개방전압
(V)
성능지수
(%)
발전효율
(%)
비교예 19.42 1.079 0.73 15.30
실시예 1 20.77 1.075 0.71 15.88
실시예 2 19.97 1.100 0.73 16.32
상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의 경우 최초 측정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반면, 실시예의 경우 장시간 동안 발전효율이 높은 수치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은, 중수소를 치환함으로써 Zero point energy가 낮아져 화학적 안정성이 높아졌으며, 이를 통하여 태양전지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화학식 1]
    AMX3
    [화학식 2]
    A2MX4
    상기 식에서,
    A는 CD3-aHaN+D3-bHb이고,
    a는 0이고, b는 1이고,
    M은 2가의 금속 이온이고,
    X는 할로겐 이온이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M은 Pb2 +, Sn2 +, Ti2 +, Nb2 +, Zr2 + 또는 Ce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X는 Cl-, Br- 또는 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5.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1)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2) 상기 혼합물을 열처리하는 단계:
    [화학식 3]
    AX
    [화학식 4]
    MX2
    상기 식에서, A, M 및 X의 정의는 제1항의 정의와 같다.
  6.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하기의 구조를 가지는, 태양전지:
    전도성 투명 기판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되고,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 흡수층;
    상기 광 흡수층이 형성된 제1 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층.
KR1020150144202A 2014-12-08 2015-10-15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R101856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867780.7A EP3156408B1 (en) 2014-12-08 2015-10-19 Organic-inorganic hybrid perovskite compound,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solar cell comprising same
US15/323,664 US20170154735A1 (en) 2014-12-08 2015-10-19 Organic-inorganic hybrid perovskite compound, its preparation method and solar cell comprising the same
CN201580039095.0A CN106536531B (zh) 2014-12-08 2015-10-19 有机-无机混合钙钛矿化合物、其制备方法及包含其的太阳能电池
PCT/KR2015/011034 WO2016093485A1 (ko) 2014-12-08 2015-10-19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JP2017509036A JP6418469B2 (ja) 2014-12-08 2015-10-19 太陽電池
TW104135006A TWI584509B (zh) 2014-12-08 2015-10-26 有機/非有機混合鈣鈦礦化合物、其製備方法及含有該化合物的太陽電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979 2014-12-08
KR20140174979 2014-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460A KR20160069460A (ko) 2016-06-16
KR101856726B1 true KR101856726B1 (ko) 2018-05-10

Family

ID=5635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202A KR101856726B1 (ko) 2014-12-08 2015-10-15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154735A1 (ko)
EP (1) EP3156408B1 (ko)
JP (1) JP6418469B2 (ko)
KR (1) KR101856726B1 (ko)
CN (1) CN106536531B (ko)
TW (1) TWI5845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110B1 (ko) * 2015-12-04 2019-1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무기 혼합 페로브스카이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JP6853382B2 (ja) * 2016-12-29 2021-03-31 ジョイント ストック カンパニー クラスノヤルスク ハイドロパワー プラント(ジェイエスシー クラスノヤルスク エイチピーピー) ペロブスカイト構造を有する光吸収材料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れを実施するための可変組成の液体ポリハロゲン化物
KR101941783B1 (ko) * 2017-09-12 2019-01-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요오드화은비스무스를 포함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CN109819680B (zh) * 2017-09-20 2020-03-10 花王株式会社 光吸收层及其制造方法、分散液、光电转换元件和中间带型太阳能电池
KR102081848B1 (ko) 2017-12-19 2020-02-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할로겐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입자 제조방법 및 금속 할로겐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입자 분산액
CN110112258A (zh) * 2019-05-23 2019-08-09 电子科技大学 钙钛矿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
CN110323521A (zh) * 2019-06-17 2019-10-11 北京大学 一种钙钛矿半导体的光电化学池
KR102540686B1 (ko) 2020-12-03 2023-06-0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분말의 제조방법
TWI803049B (zh) * 2021-11-11 2023-05-21 國立雲林科技大學 奈米結構修飾之有機元件製造方法及其結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1517A1 (en) 2012-05-18 2013-11-21 Isis Innovation Limited Optoelectronic devices with organometal perovskites with mixed anions
KR101462025B1 (ko) 2013-11-29 2014-11-19 한국화학연구원 무―유기 하이브리드 광흡수체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711988A (en) * 2004-04-07 2007-04-01 Techpowder Sa Ultrafine metal oxide production
EP1796107A4 (en) * 2004-08-13 2011-10-26 Kanagawa Kagaku Gijutsu Akad TRANSPARENT LADDER, TRANSPARENT ELECTRODE, SOLAR CELL, LUMINESCENT ELEMENT AND DISPLAY PANEL
US8427030B2 (en) * 2008-04-28 2013-04-23 Basf Se Thermomagnetic generator
JP5817327B2 (ja) * 2010-09-29 2015-11-18 東ソー株式会社 酸化物焼結体、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酸化物透明導電膜及び太陽電池
KR101298483B1 (ko) * 2011-04-01 2013-08-21 덕산하이메탈(주)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전자장치
US20130252808A1 (en) * 2012-03-23 2013-09-26 Yoshihiro Yamazaki Catalysts for thermochemical fuel production and method of producing fuel using thermochemical fuel production
KR20140007045A (ko) * 2012-07-05 2014-01-16 한국화학연구원 나노구조 유-무기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EP2693503A1 (en) * 2012-08-03 2014-02-05 E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 (EPFL) Organo metal halide perovskite heterojunction solar cell and fabrication thereof
TWI485154B (zh) * 2013-05-09 2015-05-21 Univ Nat Cheng Kung 具鈣鈦礦結構吸光材料之有機混成太陽能電池及其製造方法
KR101561284B1 (ko) * 2014-04-17 2015-10-16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1517A1 (en) 2012-05-18 2013-11-21 Isis Innovation Limited Optoelectronic devices with organometal perovskites with mixed anions
KR101462025B1 (ko) 2013-11-29 2014-11-19 한국화학연구원 무―유기 하이브리드 광흡수체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noscale(2014) 저널의 vol.6, p6679-6683 (2014.04.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24784A (zh) 2016-07-01
TWI584509B (zh) 2017-05-21
EP3156408A4 (en) 2017-11-22
JP2017530549A (ja) 2017-10-12
CN106536531B (zh) 2019-04-09
EP3156408A1 (en) 2017-04-19
CN106536531A (zh) 2017-03-22
EP3156408B1 (en) 2018-12-12
KR20160069460A (ko) 2016-06-16
US20170154735A1 (en) 2017-06-01
JP6418469B2 (ja)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726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R101740654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R101906017B1 (ko) 혼합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R102046110B1 (ko) 유무기 혼합 페로브스카이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Murugadoss et al. Fabrication of CH3NH3PbI3 perovskite-based solar cells: Developing various new solvents for CuSCN hole transport material
EP3648187B1 (en) Perovskite solar cell
KR102079941B1 (ko) 스피로비플루오렌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KR102102461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074489B2 (en) Solid state hole transport material
KR101703569B1 (ko) 정공전달 물질, 이를 이용한 무-유기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51074B1 (ko) 피리딘계 첨가제가 함유된 장기안정성 고체상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976115B1 (ko) 흡수체로서 아크릴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WO2016093485A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R102167415B1 (ko) 금속칼코지나이드 화합물로 개질된 n형 반도체를 갖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로 부터 수득되는 태양전지
KR102022688B1 (ko) 흡수체로서 3-피콜리뉴밀암모늄을 포함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WO2017095196A1 (ko) 유무기 혼합 페보브스카이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R20170047673A (ko) 알킬렌디암모늄을 가지는 화합물을 흡수체로 포함하는 태양 전지
KR20160141541A (ko) 정공 전달 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