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596B1 -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596B1
KR101856596B1 KR1020160138666A KR20160138666A KR101856596B1 KR 101856596 B1 KR101856596 B1 KR 101856596B1 KR 1020160138666 A KR1020160138666 A KR 1020160138666A KR 20160138666 A KR20160138666 A KR 20160138666A KR 101856596 B1 KR101856596 B1 KR 101856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car
car
railway
railway vehicle
g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111A (ko
Inventor
서승일
문형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3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596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18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00Carriages for ordinary railway passenger traffic
    • B61D1/06Carriages for ordinary railway passenger traffic with multiple deck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4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swin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7/00Loading or unloading devices combined with vehicles, e.g. loading platforms, doors convertible into loading and unloading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차체 내부에 다수의 승용차들을 자동으로 상차 및 하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행객들이 승용차와 철도차량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Vehicle Transport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차체 내부에 다수의 승용차들을 자동으로 상차 및 하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행객들이 승용차와 철도차량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반적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주말, 휴일 등을 이용하여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여행객들은 일반적으로 승용차 또는 열차 등을 이용하게 되는데, 승용차를 이용하는 경우, 여행 도중 이동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으나 여행객들이 몰리는 지역의 경우 교통량의 증가에 따른 교통체증으로 인해 원하는 시간에 목적지에 도착하지 못하게 되고, 운전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열차를 이용하는 경우 정해진 시간에 목적지까지 도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열차가 운행하는 지역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열차만으로는 원하는 목적지에 정확히 도달하기 어렵게 되고, 승용차를 이용할 수 없으므로 여행지에서의 이동에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하나 이상의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방식 즉, 정체 현상이 없고 접근성이 용이한 열차와 같은 이종의 교통수단에 승용차와 같은 차량을 적재하여 이동시키는 인터모달 방식의 차량 이동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인터모달 방식의 차량 이동 시스템은 이종의 교통 수단을 융합하여 시스템이 구현되므로 차량의 적재하는 과정의 불편함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차량을 열차 내부로 적재함에 있어, 제한된 출구를 통해 적재가 이루어지므로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정 위치에의 차량 적재가 수행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7851호에는 차량을 상기 출발지의 플랫폼 상에 형성된 주차구역에 주차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차량을 상기 적재공간에 승차시키는 제2 단계; 및 상기 차량을 상기 목적지의 플랫폼 상에 형성된 주차구역에 하차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열차를 이용하여 차량을 운송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차량의 승,하차에 열차의 한쪽면 만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차량의 승차 및 하차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체가 상부에 고정되고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부가 차체에 형성된 인입공간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열차가 정위치에 정차하지 못하는 경우 차량을 승,하차 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7851호(2016. 01. 25.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의 차체 내부에 다수의 승용차들을 자동으로 상차 및 하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행객들이 승용차와 철도차량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용차의 적재와 하차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루어지므로, 철도차량이 정거장에 정차하는 시간 내에 승용차의 하차 및 적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용차의 적재와 하차를 위한 플랫폼을 철도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철도차량이 정위치에 정확히 정차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승용차의 적재 및 하차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승용차가 적재되는 안치부가 형성된 철도차량과, 상기 철도차량이 정차하는 정거장에 레일의 양 측면으로 구비되는 제1 및 제2플랫폼과, 상기 제1플랫폼의 상부에 설치되어 철도차량에 적재할 승용차를 대기시키는 대기부와, 상기 제2플랫폼의 상부에 설치되어 철도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승용차를 안치시키는 하차부 및 상기 제1 및 제2플랫폼에 각각 설치되어 대기부와 하차부를 철도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철도차량은 탑승객들을 위한 좌석이 구비된 상층과, 상기 안치부가 형성되는 하층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층의 양 측면에는 외측 방향으로의 상향 회동에 의해 개방되는 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기부는 제1플랫폼의 상부에 안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일측 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동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구동플레이트의 타측 단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제1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치부의 양측 단부에는 안치부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2승강수단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기부와, 하차부 및 안치부에는 상부에 안치된 승용차의 전륜과 후륜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내지 제3고정수단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대기부와 하차부의 레일 방향 단부에는 차체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방법은,
철도차량에 적재시키기 위한 승용차를 제1플랫폼 상의 대기부에 대기시키는 승용차 대기단계와; 제1플랫폼과 제2플랫폼의 사이에 설치된 레일을 통해 승용차를 적재 및 하차시킬 철도차량이 진입하여 정차하는 철도차량 정차단계와; 정차된 철도차량의 안치부에 안치된 승용차를 제2플랫폼에 구비된 하차부로 하차시키는 승용차 하차단계; 및 대기부에 대기중이던 승용차를 철도차량의 안치부로 적재시키는 승용차 적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철도차량 정차단계는, 철도차량의 정위치 정차 여부를 확인하는 정차위치 확인단계와, 철도차량이 정위치에 정차하지 않은 경우 제1 및 제2플랫폼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이동수단을 이용하여 대기부와 하차부의 위치를 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이동수단 구동단계와, 대기부와 하차부가 정위치에 위치되면 철도차량의 양측에 설치된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개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용차 하차단계는, 대기부와 하차부에 각각 구비된 연결플레이트를 구동시켜 대기부 및 하차부와 철도차량의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플레이트 연결단계와, 철도차량 안치부 상에 적재된 승용차의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는 제3고정수단을 해제하는 제3고정수단 해제단계와, 철도차량의 안치부에 구비된 제2승강수단을 구동하여 안치부 상의 승용차를 개방된 도어를 통해 제2플랫폼 상의 하차부로 이동시키는 제2승강수단 구동단계와, 상기 하차부에 구비된 제2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하차된 승용차의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는 제2고정수단 구동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승용차 적재단계는, 대기부에 대기 중인 승용차의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는 제1고정수단을 해제시키는 제1고정수단 해제단계와, 대기부에 구비된 제1승강수단을 구동하여 개방된 도어를 통해 승용차를 철도차량의 안치부로 적재시키는 제1승강수단 구동단계와, 상기 안치부에 구비된 제3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적재된 승용차의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는 제3고정수단 구동단계와, 상기 대기부와 하차부에 각각 설치된 연결플레이트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연결플레이트 복귀단계 및 철도차량의 양측에 설치된 도어를 폐쇄시키는 도어폐쇄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단순한 구성에 의해 철도차량에 승용차가 적재되거나 하차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승용차의 적재와 하차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루어지므로 철도차량이 정거장에 정차하는 시간 내에 승용차의 하차 및 적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랫폼에 설치되는 대기부와 하차부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철도차량이 정위치에 정확하게 정차하지 못하더라도 승용차의 적재 및 하차가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의 (a),(b)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대기부의 작동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중 제1 및 제2이동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을 이용한 승용차의 하차 및 적재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의 (a),(b)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대기부의 작동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중 제1 및 제2이동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을 이용한 승용차의 하차 및 적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차체 내부에 다수의 승용차들을 자동으로 상차 및 하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행객들이 승용차와 철도차량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철도차량(100), 제1 및 제2플랫폼(200,300), 대기부(210), 하차부(310), 제1 및 제2이동수단(220,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철도차량(100)은 승용차(10)를 목적지까지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승용차(10b)가 적재되어 지지되는 안치부(110)가 형성되고, 철도차량(100)의 양 측면에는 승용차(10a,10b)의 출입을 위한 도어(1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철도차량(100)은 승용차(10b)와 승객을 모두 적재 및 탑승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하층에는 승용차(10b)들이 적재되어 지지되는 안치부(110)가 형성되고, 상층에는 탑승객들을 위한 좌석이 구비되어 탑승객들을 위한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승용차(10a,10b)의 출입을 위한 도어(120)는 철도차량(100)의 하층 양 측면에 설치되는데 외측 방향으로의 상향 회동에 의해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도어(12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상층에 탑승한 탑승객들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도어(120)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개폐되는 경우, 도어(120)의 개방에 의해 상층에 탑승한 탑승객들의 시야를 방해하게 되거나 탑승객들의 승,하차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도어(120)의 상단부가 차체에 힌지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어(120)의 하단부가 외측 또는 내측방향으로 회동하는 방식에 의해 도어(120)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탑승객들의 불편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승용차(10a,10b)의 상,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 상기 제1 및 제2플랫폼(200,300)은 철도차량(100)의 정거장에 구비되는 것으로, 철도차량(100)이 주행하는 레일(2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즉, 레일(20)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플랫폼(200)은 철도차량(100)의 하층에 구비된 안치부(110)로 적재시키기 위한 승용차(10a)가 대기하기 위한 공간으로 구성되고, 타측에 위치되는 제2플랫폼(300)은 철도차량(100)의 안치부(110)에 적재된 승용차(10b)를 하차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철도차량(100)으로의 승용차(10a,10b)의 적재와 하차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승용차(10a,10b)의 적재와 하차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기존의 정거장 정차시간을 연장시키지 않고서도 승용차(10a,10b)의 적재 및 하차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 상기 대기부(210)는 제1플랫폼(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철도차량(100)으로 적재시키기 위한 승용차(10a)를 대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대기부(210)는 지지플레이트(212), 구동플레이트(214) 및 제1승강수단(2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플레이트(212)는 제1플랫폼(200)의 상부에 안치되어 대기부(2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구동플레이트(214)는 지지플레이트(212)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상면에 승용차(10a)가 적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승강수단(216)은 지지플레이트(212)와 구동플레이트(214)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구동플레이트(214)의 기울기를 변화시킴으로써 구동플레이트(214)의 상부에 적재된 승용차(10a)가 자동으로 철도차량(100)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구동플레이트(214)의 일측 단부, 즉 레일(20) 방향 단부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플레이트(212)의 일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지지플레이트(212)와 구동플레이트(214)의 타측 단부 사이에는 피스톤 형태의 제1승강수단(216)이 연결 설치되어 제1승강수단(216)의 승강 구동에 의해 구동플레이트(214)의 타측 단부가 승강 구동하게 되어 구동플레이트(214)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승강수단(216)은 승용차(10a)가 안치된 상태의 구동플레이트(214)를 승강시켜야 하는 것이므로 하중 지지를 위해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기부(210)에는 제1고정수단(215)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1고정수단(215)은 대기부(210) 상에 안치된 승용차(10a)의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여 승용차(10a)가 대기부(210) 상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대기부(210)의 구동플레이트(214)에는 승용차(10a)의 전륜과 후륜이 위치되는 네 부분에 제1고정수단(215)이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대기부(210) 상에서 승용차(10a)가 대기 중인 경우에는 제1고정수단(215)이 구동플레이트(214)로부터 돌출되어 승용차(10a)의 전륜의 전방과 후륜의 후방을 지지함으로써 승용차(10a)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대기부(210) 상에서 대기 중인 승용차(10a)가 철도차량(100)의 안치부(110)로 적재되는 경우에는 전륜을 지지하고 있던 제1고정수단(215)이 구동플레이트(214)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승용차(10a)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 상기 하차부(310)는 제2플랫폼(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철도차량(100)으로부터 하차된 승용차(10c)가 안치되어 대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차부(310) 상에는 승용차(10c)의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315)이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제2고정수단(315)의 구성 및 작용관계는 전술한 제1고정수단(215)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대기부(210)와 하차부(310)의 외측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대기부(210)로의 승용차(10a)의 적재와 하차부(310)로부터의 승용차(10c)의 하차시 승용차(10a,10c)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대기부(210)와 하차부(310)의 일측 단부, 즉 레일(20) 방향 단부에는 연결플레이트(217,317)가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데, 상기 연결플레이트(217,317)는 대기부(210)와 철도차량(100)의 차체 사이 및 하차부(310)와 철도차량(100) 차체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승용차(10a,10b)가 대기부(210)로부터 철도차량(100)의 안치부(110)로 적재되거나 철도차량(100)의 안치부(110)로부터 하차부(310)로 하차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철도차량(100)의 하층에 구비된 안치부(110)에는 제2승강수단(112)과 제3고정수단(114)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2승강수단(112)은 안치부(110)의 하부 즉, 철도차량(100) 차체의 바닥면과 안치부(1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안치부(11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제1승강수단(216)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승강수단(112)은 대기부(210) 방향 안치부(110)의 단부에 구비되어 승강구동에 의해 안치부(110)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안치부(110)에 적재된 승용차(10b)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도어(120)를 통해 제2플랫폼(300) 상에 설치된 하차부(31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승강수단(112)은 안치부(110)의 양측 단부, 즉 대기부(210) 방향 단부와 하차부(310) 방향 단부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는데, 하차부(310) 방향 단부에 설치되는 제2승강수단(112)은 안치부(110) 상에 안치된 승용차(10b)를 다시 대기부(210)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하차부(310) 방향에 설치된 철도차량(100)의 도어(120)에 고장 또는 이상이 발생되어 하차부(310) 방향으로 승용차(10b)를 하차시키지 못하는 경우나 대기부(210)로부터 안치부(110)로 이동된 승용차(10b)를 다시 대기부(210)로 돌려보내야 하는 경우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대기부(210) 방향에 설치된 제2승강수단(112)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하차부(310) 방향에 설치된 제2승강수단(112)을 상승시킴으로써 안치부(110) 상에 안치된 승용차(10b)를 대기부(21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3고정수단(114)은 안치부(110) 상에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안치된 승용차(10b)의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여 승용차(10b)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3고정수단(114)의 구성 및 작용관계 또한 전술한 제1고정수단(215)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제1 및 제2이동수단(220,320)은 제1 및 제2플랫폼(200,300)에 각각 설치되어 대기부(210)와 하차부(310)를 철도차량(1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철도차량(100)이 정거장에 정차하는 경우 정위치에 정확히 정차되지 않으면 대기부(210)와 하차부(310)의 위치와 철도차량(100)의 도어(120)의 위치가 일치되지 않게 되어 철도차량(100)으로의 승용차(10)의 상,하차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제1 및 제2이동수단(220,320)을 이용하여 대기부(210)와 하차부(310)를 이동시킴으로써 철도차량(100)의 도어(120)와 대기부(210) 및 하차부(310)의 위치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철도차량(100)의 정위치 정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역무원이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여 제1 및 제2플랫폼(200,300)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장치(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제1 및 제2이동수단(220,320)이 구동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철도차량(100)의 양측 도어(120)와 그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1 및 제2플랫폼(200,300) 또는 대기부(210) 및 하차부(310)에 각각 위치검지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위치검지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위치 정보가 정확히 일치하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이동수단(220,320)이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이동수단(220,320)으로는 도 3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 방식이나 기어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먼저 컨베이어 방식은 제1 및 제2플랫폼(200,300)에 위치되도록 하여 대기부(210)와 하차부(31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222,322)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22,32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 벨트(222,322)는 그 상면이 제1 및 제2플랫폼(200,300)의 상단과 일치되도록 하여 제1 및 제2플랫폼(200,300)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222,322)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는 컨베이어 벨트(222,32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가 연결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정,역 구동에 의한 컨베이어 벨트(222,322)의 회전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222,322)의 상부에 설치되는 대기부(210)와 하차부(310)가 철도차량(1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 상기 기어 방식은 기어 구동에 의해 대기부(210)와 하차부(310)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대기부(210)와 하차부(310)가 설치되는 제1 및 제2플랫폼(200,300)의 상단에 피니언 기어(226,326) 및 피니언 기어(226,326)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매설하고, 대기부(210)와 하차부(310)의 하부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226,326)와 맞물리는 랙기어(228,328)를 설치함으로써 구동모터의 정,역 구동에 의한 피니언 기어(226,326)의 회전에 의해 대기부(210)와 하차부(310)가 철도차량(1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컨베이어 방식이나 기어 방식 이외에도 대기부(210)와 하차부(310)를 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법이 제1 및 제2이동수단(220,320)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방법은 전술한 운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승용차(10)를 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승용차 대기단계(S10), 철도차량 정차단계(S20), 승용차 하차단계(S30) 및 승용차 적재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승용차 대기단계(S10)는 철도차량(100)으로 적재시키기 위한 승용차(10a)를 제1플랫폼(200) 상의 대기부(210)에 대기시키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도차량(100)이 정거장에 도착하기 전에 철도차량(100)에 적재시키기 위한 승용차(10a)를 제1플랫폼(200) 상의 대기부(21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대기부(210)에 구비된 제1고정수단(215)을 구동시켜 대기부(210) 상에 안치된 승용차(10a)의 전륜과 후륜을 지지함으로써 승용차(10a)가 대기부(210)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상기 철도차량 정차단계(S20)는 철도차량(100)이 탑승객 및 승용차(10)를 상,하차시키기 위한 정거장으로 진입하여 정차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철도차량(100)은 탑승객들을 위한 좌석이 구비된 상층과, 승용차(10b)들이 적재되어 지지되는 안치부(110)가 형성된 하층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승용차(10a,10b)의 적재와 하차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철도차량(100)이 정차하는 레일(20)의 양측에 제1 및 제2플랫폼(200,30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철도차량 정차단계(S20)는 정차위치 확인단계(S21), 제1 및 제2이동수단 구동단계(S22), 도어개방단계(S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먼저 상기 정차위치 확인단계(S21)는 정거장으로 진입하여 제1 및 제2플랫폼(200,300)의 사이에 정차하는 철도차량(100)의 정위치 정차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단계에 관한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철도차량(100)이 정위치에 정확히 정차되지 않는 경우 대기부(210) 및 하차부(310)의 위치와 철도차량(100)의 양측에 구비된 도어(120)의 위치가 일치되지 않게 되어 철도차량(100)으로의 승용차(10a,10b)의 승,하차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역무원의 육안이나 철도차량(100)의 양측 도어(120)와 그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1 및 제2플랫폼(200,300) 또는 대기부(210) 및 하차부(310)에 각각 설치되는 위치검지센서에 의해 철도차량(100)의 정위치 정차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이동수단 구동단계(S22)는 제1 및 제2플랫폼(200,300)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이동수단(220,320)을 구동하여 제1플랫폼(200) 상에 설치되는 대기부(210)와 제2플랫폼(300) 상에 설치되는 하차부(31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정차위치 확인단계(S21)에서의 확인 결과 철도차량(100)이 정위치에 정차하지 못한 경우에만 본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즉, 정차위치 확인단계(S21)에서의 확인 결과 철도차량(100)이 정위치에 정차되지 못한 경우에는 제1 및 제2플랫폼(200,300)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이동수단(220,320)을 구동하여 대기부(210)와 하차부(310)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철도차량(100)의 양 측면에 설치된 도어(120)와 대기부(210) 및 하차부(310)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개방단계(S23)는 정차위치 확인단계(S21)에서의 확인 결과 철도차량(100)이 정위치에 정차되거나, 제1 및 제2이동수단(220,320)의 구동에 의해 대기부(210) 및 하차부(310)가 정위치로 이동된 경우 철도차량(100)의 양측에 설치된 도어(120)를 개방하여 승용차(10b,10a)의 하차 및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다.
이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어(120)는 외측 방향으로의 상향 회동에 의해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도어(12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상층에 탑승한 탑승객들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승객들의 승,하차에 불편을 끼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승용차 하차단계(S30)는 개방된 철도차량(100)의 도어(120)를 통해 철도차량(100)의 안치부(110) 상에 안치된 승용차(10b), 즉 목적지에 도착한 승용차(10b)를 제2플랫폼(300) 상에 설치된 하차부(310)로 하차시키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연결플레이트 연결단계(S31), 제3고정수단 해제단계(S32), 제2승강수단 구동단계(S33) 및 제2고정수단 구동단계(S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플레이트 연결단계(S31)는 대기부(210)와 하차부(310)에 각각 구비된 연결플레이트(217,317)의 구동에 의해 대기부(210) 및 하차부(310)와 철도차량(100) 차체의 사이를 연결시키는 단계에 관한 것이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기부(210)와 하차부(310)의 상단부, 즉 레일(20) 방향 상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연결플레이트(217,317)를 모터 등의 구동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철도차량(100)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대기부(210)와 철도차량(100)의 차체 사이 및 하차부(310)와 철도차량(100) 차체 사이가 연결되도록 하여 대기부(210)에 대기중이던 승용차(10a)가 철도차량(100)의 안치부(110)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철도차량(100)의 안치부(110)에 적재되어 있던 승용차(10b)가 보다 안전하게 제2플랫폼(300) 상의 하차부(310)로 하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고정수단 해제단계(S32)는 철도차량(100)의 안치부(110) 상에 설치된 제3고정수단(114)을 해제하여 안치부(110) 상에 안치된 승용차(10b)가 전방 즉, 제2플랫폼(300)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치부(110) 상으로 돌출되어 승용차(10b)의 전륜의 전방과 후륜의 후방을 각가 지지하고 있던 제3고정수단(114)을 모터 등의 구동에 의해 하강시킴으로써 승용차(10b)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수단 구동단계(S33)는 철도차량(100)의 안치부(110)에 구비된 제2승강수단(112)을 구동하여 안치부(110) 상의 승용차(10b)가 개방된 도어(120)를 통해 제2플랫폼(300) 상의 하차부(310)로 하차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치부(110)의 대기부(210) 방향 단부에 구비된 제2승강수단(112)을 구동하면 안치부(110)의 대기부(210) 방향 단부가 들어올려지게 되어 안치부(110)가 하차부(310)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게 되고, 그에 따라 안치부(110) 상에 안치된 승용차(10b)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연결플레이트(317)를 통해 하차부(310) 상에 안치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수단 구동단계(S34)는 하차부(310)에 구비된 제2고정수단(315)을 구동하여 하차부(310) 상에 안치된 승용차(10c)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승강수단 구동단계(S33)에서 철도차량(100)의 안치부(110)로부터 하차부(310)로 하차된 승용차(10c)의 전륜과 후륜을 하차부(310) 상에 설치된 제2고정수단(315)을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하차부(310) 상에서 승용차(10c)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철도차량(100)으로부터 하차한 승용차(10c)가 바로 제2플랫폼(300)을 이탈하게 되면 철도차량(100)으로부터 하차한 승객들 또는 다른 승용차(10c)들과의 혼선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철도차량(100)으로부터 하차한 승용차(10c)를 제2플랫폼(300) 상의 하차부(310)에 우선 고정 지지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철도차량(100)이 출발하여 정거장을 빠져나간 후 제2고정수단(315)을 해제하여 승용차(10c)가 보다 안전하게 제2플랫폼(300)을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용차(10c)의 전륜을 지지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315)은 철도차량(100)으로부터 승용차(10b)가 하차하는 경우 미리 하차부(310) 상으로 돌출되어 철도차량(100)으로부터 하차된 승용차(10c)가 하차부(310)를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하고, 하차된 승용차(10c)의 전륜이 미리 돌출된 제2고정수단(315)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확인되면 승용차(10c)의 하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승용차(10c)의 후륜을 지지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315)이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승용차 적재단계(S40)는 철도차량(100)의 안치부(110)에 적재되어 있된 승용차(10b)의 하차가 완료된 후, 대기부(210)에 대기 중인 승용차(10a)를 연결플레이트(217) 및 개방된 도어(120)를 통해 철도차량(100)의 안치부(110)로 적재시키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제1고정수단 해제단계(S41), 제1승강수단 구동단계(S42), 제3고정수단 구동단계(S43), 연결플레이트 복귀단계(S44) 및 도어폐쇄단계(S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고정수단 해제단계(S41)는 대기부(210) 상에 설치된 제1고정수단(215)을 해제하여 대기부(210) 상에 안치된 승용차(10a)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대기부(210) 상으로 돌출되어 승용차(10a)의 전륜의 전방을 지지하고 있던 제1고정수단(215)을 모터 등의 구동에 의해 하강시킴으로써 승용차(10a)가 전방, 즉 철도차량(100)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고정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수단(215)의 해제에 의해 대기부(210) 상의 승용차(10a)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기부(210) 상에 안치된 승용차(10a)의 후륜의 후방을 지지하는 제1고정수단(215)은 대기부(210) 상으로 돌출되어 승용차(10a)의 후륜을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제1승강수단 구동단계(S42)는 대기부(210)에 구비된 제1승강수단(216)을 구동하여 대기부(210) 상의 승용차(10a)가 철도차량(100)의 개방된 도어(120)를 통해 철도차량(100)의 안치부(110)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기부(210)의 외측 단부에 구비된 제1승강수단(216)을 구동하면 대기부(210)의 구동플레이트(214) 외측 단부가 들어올려지게 되어 구동플레이트(214)가 철도차량(100)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게 되고, 그에 따라 구동플레이트(214) 상에 안치된 승용차(10a)는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연결플레이트(217)를 통해 철도차량(100)의 안치부(110) 상에 안치된다.
다음, 상기 제3고정수단 구동단계(S43)는 철도차량(100)의 안치부(110) 상에 구비된 제3고정수단(114)을 이용하여 안치부(110) 상에 안치된 승용차(10b)를 고정 지지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다.
즉,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승강수단 구동단계(S42)에 의해 대기부(210) 상의 승용차(10a)가 철도차량(100)의 안치부(110)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3고정수단(114) 중 승용차(10b)의 전륜을 지지하기 위한 전방 제3고정수단(114)을 먼저 돌출시켜 승용차(10b)가 안치부(110)를 이탈하지 않도록 승용차(10b)의 전륜을 지지하고, 승용차의 전륜이 전방 제3고정수단(114)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확인되면 승용차(10b)의 적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용차(10b)의 후륜을 지지하기 위한 후방 제3고정수단(114)이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승용차(10b)를 안치부(110) 상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연결플레이트 복귀단계(S44)는 대기부(210)와 하차부(310)에 각각 설치된 연결플레이트(217,317)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고정수단(114)에 의한 승용차(10b)의 고정이 완료된 경우 대기부(210)와 철도차량(100)의 차체 사이 및 하차부(310)와 철도차량(100) 차체 사이를 연결하고 있던 연결플레이트(217,317)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다음, 상기 도어폐쇄단계(S45)는 철도차량(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도어(120)를 폐쇄시키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217,317)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개방되어 있던 도어(120)를 내측 방향으로의 하향 회동에 의해 폐쇄시킴으로써 승용차(10)의 하차 및 적재 과정을 마무리하고, 다음 정거장을 향해 철도차량(100)을 출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비교적 단순한 구성에 의해 철도차량(100)에 승용차(10)가 적재되거나 하차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승용차(10)의 적재와 하차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루어지므로 철도차량(100)이 정거장에 정차하는 시간 내에 승용차(10)의 하차 및 적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랫폼에 설치되는 대기부(210)와 하차부(31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철도차량(100)이 정위치에 정확하게 정차하지 못하더라도 승용차(10)의 적재 및 하차가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승용차(10)의 적재 및 하차 과정이 승용차(10)의 내부에 운전자 또는 승객이 탑승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차체 내부에 다수의 승용차들을 자동으로 상차 및 하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행객들이 승용차와 철도차량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10, 10a, 10b, 10c : 승용차 20 : 레일
100 : 철도차량 110 : 안치부
112 : 제2승강수단 114 : 제3고정수단
120 : 도어 200 : 제1플랫폼
210 : 대기부 212 : 지지플레이트
214 : 구동플레이트 215 : 제1고정수단
216 : 제1승강수단 217, 317 : 연결플레이트
220 : 제1이동수단 222, 322 : 컨베이어 벨트
226, 326 : 피니언 기어 228, 328 : 랙기어
300 : 제2플랫폼 310 : 하차부
315 : 제2고정수단 320 : 제2이동수단
S10 : 승용차 대기단계 S20 : 철도차량 정차단계
S21 : 정차위치 확인단계 S22 : 제1 및 제2이동수단 구동단계
S23 : 도어 개방단계 S30 : 승용차 하차단계
S31 : 연결플레이트 연결단계 S32 : 제3고정수단 해제단계
S33 : 제2승강수단 구동단계 S34 : 제2고정수단 구동단계
S40 : 승용차 적재단계 S41 : 제1고정수단 해제단계
S42 : 제1승강수단 구동단계 S43 : 제3고정수단 구동단계
S44 : 연결플레이트 복귀단계 S45 : 도어 폐쇄단계

Claims (10)

  1. 내부에 승용차가 적재되는 안치부가 형성된 철도차량과,
    상기 철도차량이 정차하는 정거장에 레일의 양 측면으로 구비되는 제1 및 제2플랫폼과,
    상기 제1플랫폼의 상부에 설치되어 철도차량에 적재시킬 승용차를 대기시키는 대기부와,
    상기 제2플랫폼의 상부에 설치되어 철도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승용차를 안치시키는 하차부 및
    상기 제1 및 제2플랫폼에 각각 설치되어 대기부와 하차부를 철도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대기부는 제1플랫폼의 상부에 안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일측 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동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구동플레이트의 타측 단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제1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차량은 탑승객들을 위한 좌석이 구비된 상층과, 상기 안치부가 형성되는 하층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층의 양 측면에는 외측 방향으로의 상향 회동에 의해 개방되는 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부의 양측 단부에는 안치부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2승강수단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부와, 하차부 및 안치부에는 상부에 안치된 승용차의 전륜과 후륜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내지 제3고정수단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부와 하차부의 레일 방향 단부에는 차체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2항 및 제 4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방법에 있어서,
    철도차량에 적재시키기 위한 승용차를 제1플랫폼 상의 대기부에 대기시키는 승용차 대기단계와;
    제1플랫폼과 제2플랫폼의 사이에 설치된 레일을 통해 승용차를 적재 및 하차시킬 철도차량이 진입하여 정차하는 철도차량 정차단계와;
    정차된 철도차량의 안치부에 안치된 승용차를 제2플랫폼에 구비된 하차부로 하차시키는 승용차 하차단계; 및
    대기부에 대기중이던 승용차를 철도차량의 안치부로 적재시키는 승용차 적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차량 정차단계는,
    철도차량의 정위치 정차 여부를 확인하는 정차위치 확인단계와,
    철도차량이 정위치에 정차하지 않은 경우 제1 및 제2플랫폼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이동수단을 이용하여 대기부와 하차부의 위치를 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이동수단 구동단계와,
    대기부와 하차부가 정위치에 위치되면 철도차량의 양측에 설치된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개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승용차 하차단계는,
    대기부와 하차부에 각각 구비된 연결플레이트를 구동시켜 대기부 및 하차부와 철도차량의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플레이트 연결단계와,
    철도차량 안치부 상에 적재된 승용차의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는 제3고정수단을 해제하는 제3고정수단 해제단계와,
    철도차량의 안치부에 구비된 제2승강수단을 구동하여 안치부 상의 승용차를 개방된 도어를 통해 제2플랫폼 상의 하차부로 이동시키는 제2승강수단 구동단계와,
    상기 하차부에 구비된 제2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하차된 승용차의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는 제2고정수단 구동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승용차 적재단계는,
    대기부에 대기 중인 승용차의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는 제1고정수단을 해제시키는 제1고정수단 해제단계와,
    대기부에 구비된 제1승강수단을 구동하여 개방된 도어를 통해 승용차를 철도차량의 안치부로 적재시키는 제1승강수단 구동단계와,
    상기 안치부에 구비된 제3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적재된 승용차의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는 제3고정수단 구동단계와,
    상기 대기부와 하차부에 각각 설치된 연결플레이트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연결플레이트 복귀단계 및
    철도차량의 양측에 설치된 도어를 폐쇄시키는 도어폐쇄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방법.
KR1020160138666A 2016-10-24 2016-10-24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856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666A KR101856596B1 (ko) 2016-10-24 2016-10-24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666A KR101856596B1 (ko) 2016-10-24 2016-10-24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111A KR20180045111A (ko) 2018-05-04
KR101856596B1 true KR101856596B1 (ko) 2018-06-26

Family

ID=6219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666A KR101856596B1 (ko) 2016-10-24 2016-10-24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5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9508B2 (en) 2020-05-15 2024-06-04 Roy Eliason Airplane passenger transpor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3021A (ja) * 2000-12-05 2002-06-18 Maeda Corp 鉄道車輌及びこれを用いた輸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871A (ko) * 2003-12-24 2005-06-2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화물 유동 방지 장치
KR101587851B1 (ko) 2014-05-09 2016-01-2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이동부를 포함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
KR101703659B1 (ko) * 2014-06-19 2017-02-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물류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3021A (ja) * 2000-12-05 2002-06-18 Maeda Corp 鉄道車輌及びこれを用いた輸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111A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0841B2 (ja) 自動車などの組立て用搬送装置
KR100775853B1 (ko) 원형주차타워
JP5150299B2 (ja) 駐車装置
KR101856596B1 (ko)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
JP4979292B2 (ja) 立体駐車装置
JP5351671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5025516B2 (ja) 立体駐車装置
JP5528996B2 (ja) 地上式と地下式の混合型駐車装置とその入出庫方法
JP3458064B2 (ja) フォーク式立体駐車装置
JP3047090B2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JP2572274B2 (ja) 垂直循環式駐車設備
JP3216922U (ja) 車両
KR100291054B1 (ko) 자동차용 승하차발판 자동승강장치
JP3426978B2 (ja) フォーク式立体駐車装置
JP4028119B2 (ja) フォーク式立体駐車装置
JP4311518B2 (ja) バース付き機械式駐車装置及びその入出庫方法
JP4369823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552095Y2 (ja) 機械式駐車場における乗降装置
JP3679217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016223085A (ja) 駐車装置
JP3712149B2 (ja) 3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JP2022150115A (ja) 懸垂式モノレール車両、懸垂式モノレール輸送システム、運行管理サーバ及び運行管理方法
JP3458067B2 (ja) 連塔型駐車設備
JP2005200850A (ja) 自走連立型エレベータ式駐車設備
JP2003176635A (ja) 機械式駐車装置の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