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659B1 -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물류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물류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659B1
KR101703659B1 KR1020150085396A KR20150085396A KR101703659B1 KR 101703659 B1 KR101703659 B1 KR 101703659B1 KR 1020150085396 A KR1020150085396 A KR 1020150085396A KR 20150085396 A KR20150085396 A KR 20150085396A KR 101703659 B1 KR101703659 B1 KR 101703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transfer
unit
diverter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706A (ko
Inventor
박준서
권용장
양근율
이영호
김학성
방연근
한성호
박재현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50145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7/00Loading or unloading devices combined with vehicles, e.g. loading platforms, doors convertible into loading and unloading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20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forwarding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은 상기 차량의 전방 단부 주변에 위치하며, 화물이 출입하는 전방 출입구, 상기 차량의 후방 단부 주변에 위치하며, 화물이 출입하는 후방 출입구, 상기 전방 출입구에 대응되는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화물을 이송하는 전방 디버터, 상기 후방 출입구에 대응되는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화물을 이송하는 후방 디버터,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디버터 및 후방 디버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화물을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화물 이송부 및 상기 전방 디버터, 후방 디버터 및 화물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차량 내에서 화물의 이송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물류 처리 시스템{RAILVEHICLE FOR TRANSFORTING FREIGHT AND LOGISTICS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및 물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물류 처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항공기, 트럭 외에 화물의 운송 수단으로서 철도 차량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특히, 고속 열차의 발달에 따라 화물 열차에 대해서도 고속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속 화물 열차에 대한 필요성에 따라 고속 환경에서 이동하는 화물 열차 내에서 화물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이를 자동으로 체결 또는 고정 해제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한, 기존 육상 운송 수단 대비 물류 처리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화물 열차 주변의 물류 처리 인프라에 대한 선진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기존의 화물 열차와는 달리 자동화된 물류 처리 인프라를 구축하여 화물의 상하역을 용이하게 수행하게 함으로써, 화물 운송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화물 이송에 적합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을 제공하고, 물류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물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 등록특허 제 5562374 호 (발명의 명칭: Container system for one-level and two-level freight cars and double-deck coaches, especially for high-speed trains)는 고속 열차 화물에 적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 고정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컨테이너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컨테이너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착 수단, 실링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컨테이너가 고속 화물 열차에 결합되어 있을 때는, 외부 표면, 컨테이너 및 결착 수단이 모두 하나의 표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화물 이송에 적합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의 물류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물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은 상기 차량의 전방 단부 주변에 위치하며, 화물이 출입하는 전방 출입구, 상기 차량의 후방 단부 주변에 위치하며, 화물이 출입하는 후방 출입구, 상기 전방 출입구에 대응되는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화물을 이송하는 전방 디버터, 상기 후방 출입구에 대응되는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화물을 이송하는 후방 디버터,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디버터 및 후방 디버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화물을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화물 이송부 및 상기 전방 디버터, 후방 디버터 및 화물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차량 내에서 화물의 이송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은 상기 차량의 일측 중앙부에 위치하며, 화물이 출입하는 제1 출입구; 상기 제1 출입구와 상기 차량의 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화물을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전방 화물 이송부; 상기 제1 출입구와 상기 차량의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화물을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후방 화물 이송부; 상기 제1 출입구에 대응되는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화물 이송부와 연결되는 전방 디버터; 상기 제1 출입구에 대응되는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 화물 이송부와 연결되는 후방 디버터; 및 상기 전방 디버터, 후방 디버터, 전방 화물 이송부 및 후방 화물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차량 내에서 화물의 이송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물 처리를 위한 물류 처리 시스템은 화물의 출입을 위한 전방 출입구 및 후방 출입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에 대한 화물 상하역을 위해 열차 플랫폼 상에 구비되는 화물 상하역 시스템 및화물의 적재를 위한 화물 적재공간과 상기 화물 상하역 시스템을 연결하고, 상기 화물 적재공간과 상기 화물 상하역 시스템 사이의 화물 이송을 수행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화물 상하역 시스템은 상기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의 전방 출입구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전방 디버터, 상기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의 후방 출입구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후방 디버터 및 상기 전방 디버터 및 후방 디버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화물을 상기 철도 차량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화물 이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물 처리를 위한 물류 처리 시스템은, 화물의 출입을 위한 제1 출입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에 대한 화물 상하역을 위해 열차 플랫폼 상에 구비되는 화물 상하역 시스템 및 화물의 적재를 위한 화물 적재공간과 상기 화물 상하역 시스템을 연결하고, 상기 화물 적재공간과 상기 화물 상하역 시스템 사이의 화물 이송을 수행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화물 상하역 시스템은 상기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의 제1 출입구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전방 디버터와 후방 디버터; 상기 전방 디버터와 연결되고, 상기 화물을 상기 철도 차량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전방 화물 이송부; 및 상기 후방 디버터와 연결되고, 상기 화물을 상기 철도 차량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후방 화물 이송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의 구성과 물류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화물 이송 경로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화물 상하역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의 정차 중에는 물론이고, 운행 중에도 화물의 배치 상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목적지에 따라 화물의 배치 상태를 미리 조절하여 도착역에서의 화물 상하역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추가로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및 주변의 물류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및 물류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을 이용한 물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및 물류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을 이용한 물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수단과 승하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수단과 승하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철도 차량과 화물 상하역 시스템 사이의 연결성 향상을 위한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철도 차량(100)과 화물 상하역 시스템 사이의 연결성 향상을 위한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과 도 3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일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쉽게 발명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및 주변의 물류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과 이에 대하여 물류 처리를 수행하는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을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 내부에는 화물의 이송, 화물의 배치 상태 조절, 화물의 고정을 위한 체결 수단 등이 구비되고,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에는 화물의 이송과 화물의 방향 전환을 위한 수단 등이 구비된다.
도면 상에는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에 화물을 상하역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추후 설명할 연결 수단이나 승강장치를 활용하여 화물 적재 공간(미도시 됨)과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 간의 물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물류 처리 대상이 되는 화물은 ULD(Unit load device) 형태의 컨테이너에 이송 대상 화물이 적재된 상태이거나, 팔레트 단위로 패키징된 화물일 수 있다.
또한, 화물 적재 공간은 화물 처리를 위하여 화물을 임시 보관하는 화물 터미널 또는 레일포트(railport)와 같은 공간을 의미한다. 타 이송 수단을 이용하여 화물 적재 공간에 이송된 화물은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으로 전달되어 외부 지역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을 통해 화물 적재 공간에 이송된 화물은 타 교통 수단을 통해 외부 지역으로 이송될 수 있다. 화물 적재 공간에는 이러한 다양한 물류 처리 작업을 위한 중앙 관제 시스템, 물류 처리 장치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및 물류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은 차량의 전방 단부 주변에 위치하며 화물이 출입하는 전방 출입구(140), 차량의 후방 단부 주변에 위치하며, 화물이 출입하는 후방 출입구(150), 전방 출입구(140)에 대응되는 바닥면에 배치되고, 화물을 이송하는 전방 디버터(110), 후방 출입구(150)에 대응되는 바닥면에 배치되고, 화물을 이송하는 후방 디버터(130), 차량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전방 디버터(110) 및 후방 디버터(130) 사이에 배치되며, 화물을 차량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화물 이송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화물 이송부(120)를 따라 배치되며, 화물의 이송 방향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1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화물 이송부(120)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위치 도달한 화물을 고정시키는 화물 체결부(미도시 됨)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화물 체결부는 사람에 의하여 수동으로 체결하는 구성이거나, 자동으로 화물을 체결하는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전방 디버터(110), 후방 디버터(130) 및 화물 이송부(120), 화물 체결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 내에서 화물의 이송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부는 각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출입구(140)와 철도 차량(100)의 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된 전방 버퍼 공간(160), 후방 출입구(150)와 철도 차량(100)의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된 후방 버퍼 공간(170)이 추가될 수 있으며, 전방 버퍼 공간(160)에는 전방 버퍼 이송부(162)가 배치되고, 후방 버퍼 공간(170)에는 후방 버퍼 이송부(172)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물류 처리 시스템은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과 연결 수단(300)을 포함하며, 추가로 승하강 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은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의 전방 출입구(140)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전방 디버터(210),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의 후방 출입구(150)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후방 디버터(230) 및 전방 디버터(210) 및 후방 디버터(230) 사이에 배치되며, 화물을 철도 차량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화물 이송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수단(300)은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이 통행하는 철로의 상부 공간 또는 하부 공간에 철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연결 수단(300)에 화물 이송 수단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전방 디버터(210), 후방 디버터(230) 및 화물 이송부(220), 연결 수단(300) 또는 승하강 장치(4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부는 플랫폼 주변 또는 중앙 관제 센터 등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물류 처리 시스템의 제어부와 각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의 제어부가 동기되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과 물류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연계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화물 차량 별로 복수의 출입구(140, 150)를 배치하고, 각 출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화물의 이송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디버터(110, 130, 210, 220)를 각각 배치하고, 각 디버터(110, 130, 210, 220) 사이에 화물 이송부(120, 220)를 배치하여, 다양한 형태의 화물 이송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에 배치되는 화물 이송부(120)와 화물 상하역 시스템의 화물 이송부(220)는 특정한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을 수행하는 컨베이어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원기둥 형상의 복수의 롤러를 배치하여 화물 이송부(220)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 수단이나 롤러 수단에 구동 모터를 결합하여, 능동 구동 방식으로 화물을 이송함으로써 자동화 방식의 화물 이송부(120)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이송부(120, 220) 전체가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화물을 이송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이송부(120, 220)의 일부는 전진 방향으로 화물을 이송하도록 제어하고, 화물 이송부(120, 220)의 나머지 일부는 후진 방향으로 화물을 이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화물 이송부(120)를 통해 화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 수단 또는 롤러 수단의 구동방향과는 상이하게 화물이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바로 잡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가이드부(180)를 배치할 수 있다. 즉,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의 외곽 차체와 화물 이송부(120) 사이에 가이드부(180)를 배치하여, 화물의 이송시에 차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화물 이송부(120) 내에서 화물의 직진성을 보장하도록 한다.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에 배치되는 디버터(110, 130)와 화물 상하역 시스템에 배치되는 디버터(210, 230)는 서로 동일한 기구적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화물의 이송 방향을 다양한 형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버터(110, 130)는 제 1 방향으로 화물을 이송하는 제 1 이송 수단을 포함하고,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화물을 이송하는 제 2 이송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제 1 방향을 따라 화물이 디버터(110, 130)로 진입하면, 제 1 이송 수단을 구동하여 화물이 디버터(110, 13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후에는 제 1 이송 수단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제 2 이송 수단을 구동하여 화물이 제 2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디버터(110, 130)의 이송 수단으로는 롤러, 볼베어링 또는 컨베이어 등 다양한 이송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버터(210, 230)로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10-0116921 호(발명의 명칭: 4방향 물류 리프터) 또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1-0038326호(발명의 명칭: 무구동 롤러를 부착한 업-다운 디버터) 등에 개시된 통상적인 구성의 디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버퍼 공간에 각각 배치된 전방 버퍼 이송부(162) 및 후방 버퍼 이송부(172)로는 앞서 설명한 화물 이송부(120)와 같은 일방향 이송수단이 사용되거나 디버터(110, 130)와 같은 방향 전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과 물류 처리를 위한 플랫폼 사이에 순환형 화물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형태로 화물을 처리하거나, 보다 신속한 화물의 이송 처리가 가능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및 물류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 달리,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내에 2 열의 화물 이송 흐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화물 이송부(120)는 각각 화물을 이송하며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제 1 화물 이송부(121) 및 제 2 화물 이송부(122)를 포함한다.
또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전방 디버터(110)는 제 1 화물 이송부(121)와 연결되는 제 1 전방 디버터(112) 및 제 2 화물 이송부(122)와 연결되는 제 2 전방 디버터(114)를 포함하고,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후방 디버터(130)는 제 1 화물 이송부(121)와 연결되는 제 1 후방 디버터(132) 및 제 2 화물 이송부(122)와 연결되는 제 2 후방 디버터(134)를 포함한다.
또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전방 버퍼 이송부(162)는 제 1 전방 디버터(112)와 연결되는 제 1 전방 버퍼 이송부(164) 및 제 2 전방 디버터(114)와 연결되는 제2 전방 버퍼 이송부(166)를 포함한다. 또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후방 버퍼 이송부(172)는 제 1 후방 디버터(132)와 연결되는 제 1 후방 버퍼 이송부(174) 및 제 2 후방 디버터(134)와 연결되는 제 2 후방 버퍼 이송부(176)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및 물류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실시예는 도 3의 실시예의 구성에 철도 차량(100)의 디버터와 버퍼 이송부 사이에 화물 이송부를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철도 차량(100)은 제 1 전방 디버터(112)와 제 1 전방 버퍼 이송부(164) 사이에 연결되는 제 3 화물 이송부(123), 제 2 전방 디버터(114)와 제 2 전방 버퍼 이송부(166) 사이에 연결되는 제 4 화물 이송부(124), 제 1 후방 디버터(132)와 제 1후방 버퍼 이송부(174) 사이에 연결되는 제 5 화물 이송부(125) 및 제 2 후방 디버터(134)와 제 2 후방 버퍼 이송부(176) 사이에 연결되는 제 6 화물 이송부(126)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내에서도 순환형 화물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형태로 화물을 처리하거나, 보다 신속한 화물의 이송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도 2의 실시예의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내에 1열의 화물 이송 흐름이 제공되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도 3의 실시예의 화물 이송 철도 차량 내에 2열의 화물 이송 흐름이 제공되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및 도 4의 실시예의 화물 이송 철도 차량 내에 디버터와 버퍼 이송부 사이에 화물이송부가 추가된 화물 이송 철도 차량이 혼합 편성되는 화물 열차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은 화물이 출입하는 출입구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전방 출입구(140)는 차량(100)의 일측 전방 단부 주변에 위치하는 제 1 전방 출입구(141) 및 차량(100)의 타측 전방 단부 주변에 위치하는 제2 전방출입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후방 출입구(150)는 차량(100)의 일측 후방 단부 주변에 위치하는 제1 후방 출입구(151) 및 차량(100)의 타측 후방 단부 주변에 위치하는 제2 후방 출입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과 물류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물류 처리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을 이용한 물류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과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사이에 다양한 형태로 화물 상하역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에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으로 투입되는 화물의 처리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전방 디버터(110)의 구동을 통해 전방 출입구(140)로 투입된 화물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화물 이송부(120)로 이송시키고, 화물 이송부(120)를 구동하여, 투입된 화물을 화물 이송부내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S611, S609). 또한, 제어부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후방 디버터(130)의 구동을 통해 후방 출입구(150)로 투입된 화물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화물 이송부(120)로 이송시키고, 화물 이송부(120)를 구동하여, 투입된 화물을 화물 이송부(120)내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S605, S607).
다음으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에서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으로 화물을 배출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는 화물 이송부(120)를 구동하여 화물 이송부(120) 상에 위치한 화물을 전방 디버터(110) 상에 위치시키고, 전방 디버터(110)를 구동하여 화물을 전방 출입구(140)를 통해 플랫폼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S609, S611). 또한, 제어부는 화물 이송부(120)를 구동하여 화물 이송부(120) 상에 위치한 화물을 후방 디버터(130) 상에 위치시키고, 후방 디버터(130)를 구동하여 화물을 후방 출입구(140)를 통해 플랫폼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S607, S605).
다음으로, 전방 버퍼 공간(160) 또는 후방 버퍼 공간(170)과 화물 이송부(120) 사이의 화물 처리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는 화물 이송부(120)를 구동하여 화물 이송부(120) 상에 위치한 화물을 전방 디버터(110)상에 위치시키고, 전방 디버터(110)를 구동하여 화물을 전방 버퍼부(160)에 배치시킬 수 있다(S609, S619). 또한, 제어부는 화물 이송부(120)를 구동하여 화물 이송부(120) 상에 위치한 화물을 후방 디버터(130)상에 위치시키고, 후방 디버터(130)를 구동하여 화물을 후방 버퍼부(170)에 배치시킬 수 있다(S607, S617). 또한, 제어부는 전방 버퍼 이송부(162)를 구동하여 전방 버퍼부(160)에 위치한 화물을 전방 디버터(110) 상에 위치시키고, 전방 디버터(110)를 구동하여 화물을 화물 이송부(120)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S619, S609). 또한, 제어부는 후방 버퍼 이송부(172)를 구동하여 후방 버퍼부(170)에 위치한 화물을 후방 디버터(130) 상에 위치시키고, 후방 디버터(130)를 구동하여 화물을 화물 이송부(120)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전방 버퍼 공간(160) 또는 후방 버퍼 공간(170)과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간의 화물 처리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는 전방 디버터(110)를 구동하여 전방 출입구(140)로 투입된 화물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화물을 전방 버퍼부(160)에 배치시킬 수 있다(S613, S615, S611, S619). 또한, 제어부는 후방 디버터(130)를 구동하여 후방 출입구(150)로 투입된 화물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화물을 후방 버퍼부(170)에 배치시킬 수 있다(S601, S603, S605, S617), 또한, 제어부는 전방 버퍼 이송부(162)를 구동하여 전방 버퍼부(160)에 위치한 화물을 전방 디버터(110) 상에 위치시키고, 전방 디버터(110)를 구동하여 화물을 전방 출입구(140)를 통해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S619, S611, S613, S615). 또한, 제어부는 후방 버퍼 이송부(172)를 구동하여 후방 버퍼부(170)에 위치한 화물을 후방 디버터(130) 상에 위치시키고, 후방 디버터(130)를 구동하여 화물을 후방 출입구(150)를 통해 화물을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S617, S605, S601, S603).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과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간에 폐루프 형태의 화물 이송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내에서 화물의 배치 상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과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 사이에서 동일한 시점에 서로 상이한 방향의 화물 이송 경로(S630, S632)를 생성할 수 있어, 화물 상하역 시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즉,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에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으로 화물을 투입하는 경우, 제 1 화물 이송 경로(S630) 및 제 2 화물 이송 경로(S632)를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반대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에서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으로 화물을 배출하는 경우, 제 1 화물 이송 경로(S630) 및 제 2 화물 이송 경로(S632)를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을 이용한 물류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양측면에는 각각 전방 출입구(140)와 후방 출입구(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양측에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이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양측은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일 수 있다.
물류 처리 시스템의 제어부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양측에 위치한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을 제어하여,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에 화물을 상하역할 수 있다.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일측에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이 위치하여 화물을 상하역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술하였으며,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양측에 위치한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은 각각 동일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을 이용한 물류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와 달리,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내에 2 열의 화물 이송 흐름을 제공하기 때문에 더욱 다양한 형태의 화물 이송 경로의 제공이 가능하다.
즉, 도 7를 통해 설명한 화물 이송 경로 외에, 제 1 전방 디버터(112) 및 제 2 전방 디버터(114)간의 화물 이송 경로(S717)와 제 1 후방 디버터(132) 및 제 2 후방 디버터(134)간의 화물 이송 경로(S707)가 추가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방 버퍼 이송부(164), 제 2 전방 버퍼 이송부(166), 제 1 후방 버퍼 이송부(174) 및 제 2 후방 버퍼 이송부(176)가 각각 디버터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전방 버퍼 이송부(164)와 제 2 전방 버퍼 이송부(166)간의 화물 이송 경로(S733) 및 제1 후방 버퍼 이송부(174)와 제 2 후방 버퍼 이송부(176)간의 화물 이송 경로(S735)가 추가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내에서도 폐루프 형태의 화물 이송 경로(S740)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을 이용한 물류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양측면에는 각각 전방 출입구(140)와 후방 출입구(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양측에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이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양측은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일 수 있다.
물류 처리 시스템의 제어부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양측에 위치한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을 제어하여,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에 화물을 상하역할 수 있다.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일측에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이 위치하여 화물을 상하역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술하였으며,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양측에 위치한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은 각각 동일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을 이용한 물류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실시예는 도 3의 실시예의 구성에 철도 차량(100)의 디버터와 버퍼 이송부 사이에 화물이송부를 더 포함한다.
도 14를 통해 설명한 화물 이송 경로 외에, 제 5 화물 이송부(125)와 제 1 전방 디버터(112) 및 제 1 전방 버퍼 이송부(164) 간이 화물 이송 경로(S835, S837), 제 6 화물 이송부(126)와 제 2 전방 디버터(114) 및 제 2 전방 버퍼 이송부(166) 간이 화물 이송 경로(S841, S843), 제 7 화물 이송부(127)와 제 1 후방 디버터(132) 및 제 1 후방 버퍼 이송부(174) 간이 화물 이송 경로(S825, S827), 제 8 화물 이송부(128)와 제 2 후방 디버터(134) 및 제 2 후방 버퍼 이송부(166) 간이 화물 이송 경로(S831, S833)가 추가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내에서도 폐루프 형태의 화물 이송 경로(S857, S859)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을 이용한 물류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양측면에는 각각 전방 출입구(140)와 후방 출입구(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양측에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이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양측은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일 수 있다.
물류 처리 시스템의 제어부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양측에 위치한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을 제어하여,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에 화물을 상하역할 수 있다.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일측에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이 위치하여 화물을 상하역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술하였으며,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양측에 위치한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은 각각 동일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 및 물류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은 차량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화물이 출입하는 제1 출입구(2150), 제1 출입구(2150)와 차량의 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화물을 차량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전방 화물 이송부(2130), 제1 출입구(2150)와 차량의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화물을 차량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후방 화물 이송부(2140), 제1 출입구(2150)에 대응되는 바닥면에 배치되고, 화물을 이송하는 디버터(2110,2120)를 포함한다.
또한, 전방 화물 이송부(2130) 및 후방 화물 이송부(2140)를 따라 배치되며, 화물의 이송 방향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21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방 화물 이송부(2130) 및 후방 화물 이송부(2140)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한 화물을 고정시키는 화물 체결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화물 체결부는 사람에 의하여 수동으로 체결하는 구성이거나, 자동으로 화물을 체결하는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디버터(2110,2120), 전방 화물 이송부(2130), 후방 화물 이송부(2140), 및 화물 체결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 내에서 화물의 이송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부는 각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버터(2110,2120)는 전방 화물 이송부(2130)와 연결되는 전방 디버터(2110) 및 후방 화물 이송부(2140)와 연결되는 후방 디버터(2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방 화물 이송부(2130)와 철도 차량의 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된 전방 버퍼 공간(2160) 및 후방 화물 이송부(2140)와 철도 차량의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된 후방 버퍼 공간(217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 버퍼 공간(2160)에는 전방 버퍼 이송부(2162)가 배치되고, 후방 버퍼 공간(2170)에는 후방 버퍼 이송부(2172)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 별로 출입구(2150)를 배치하고, 각 출입구(2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화물의 이송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전방 디버터(2110) 및 후방 디버터(2120)를 각각 배치하고, 전방 디버터(2110)를 통해 전방 화물 이송부(2130)로 화물을 이송시키고, 후방 디버터(2120)를 통해 후방 화물 이송부(2140)로 화물을 이송시켜, 화물을 적재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제1 출입구(2150)의 너비는 전방 디버터(2110) 및 후방 디버터(2120)의 너비를 합산한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1 출입구(2150)는 전방 디버터(2110) 또는 후방 디버터(2120)로 화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2열 출입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물류 처리 시스템은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과 연결 수단(300)을 포함하며, 추가로 승하강 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은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제1 출입구(2150)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디버터(2210, 2220) 및 화물을 철도 차량(2100)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화물 이송부(2230, 2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의 화물 이송부(2230, 2240)는 전방 화물 이송부(2230) 및 후방 화물 이송부(2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버터(2210, 2220)는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의 전방 화물 이송부(2230)와 연결되고,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전방 디버터(2110)로 화물을 이송시키는 전방 디버터(2210) 및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의 후방 화물 이송부(2240)와 연결되고,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후방 디버터(2120)로 화물을 이송시키는 후방 디버터(2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수단(300)은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이 통행하는 철로의 상부 공간 또는 하부 공간에 철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연결 수단(300)에 화물 이송 수단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물류 처리 시스템은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의 전방 디버터(2210), 후방 디버터(2220) 및 화물 이송부(2230,2240), 및 연결 수단(300) 또는 승하강 장치(4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부는 플랫폼 주변 또는 중앙 관제 센터 등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물류 처리 시스템의 제어부와 각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제어부가 동기되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과 물류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연계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9를 참조하면, 화물 이용 철도 차량(2100) 내에 2열의 화물 이송 흐름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전방 화물 이송부(2130)는 각각 화물을 이송하며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제1 전방 화물 이송부(2132) 및 제2 전방 화물 이송부(2134)를 포함하고, 후방 화물 이송부(2140)는 각각 화물을 이송하며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제1 후방 화물 이송부(2142) 및 제2 후방 화물 이송부(21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전방 디버터(2110)는 제1 전방 화물 이송부(2132)와 연결되는 제 1 전방 디버터(2112) 및 제2 전방 화물 이송부(2134)와 연결되는 제2 전방 디버터(2114)를 포함하고, 후방 디버터(2120)는 제1 후방 화물 이송부(2142)와 연결되는 제 1 후방 디버터(2122) 및 제2 후방 화물 이송부(2144)와 연결되는 제2 후방 디버터(21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버퍼 이송부(2162)는 제1 전방 화물 이송부(2132)와 연결되는 제1 전방 버퍼 이송부(2164) 및 제2 전방 화물 이송부(2134)와 연결되는 제2 전방 버퍼 이송부(216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버퍼 이송부(2172)는 제1 후방 화물 이송부(2142)와 연결되는 제1 후방 버퍼 이송부(2174) 및 제2 후방 화물 이송부(2144)와 연결되는 제2 후방 버퍼 이송부(217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화물 이송 철도 차량(2100) 내에서도 순환형 화물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화물을 처리하거나, 보다 신속한 화물의 이송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도 18의 실시예의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내에 1열의 화물 이송 흐름이 제공되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과 도 19의 실시예의 화물 이송 철도 차량 내에 2열의 화물 이송 흐름이 제공되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이 혼합 편성되는 화물 열차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은 양측부에 각각 출입구(2150, 2190)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은 일측 중앙부에 위치하고, 화물이 출입하는 제1 출입구(2150) 및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타측 중앙부에 제1 출입구(2150)에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화물이 출입하는 제2 출입구(219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양측은 화물 이송 철도 챠량(2100)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화물 이송 철도 차량(2100) 내로 제1 출입구(2150) 및 제 2 출입구(2190)를 통해 화물을 적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화물을 처리하거나, 보다 신속한 화물의 이송 처리가 가능해진다.
이때, 물류 처리 시스템의 제어부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의 양측에 위치한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2201)을 제어하여,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에 화물을 상하역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을 이용한 물류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과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 사이에 다양한 형태로 화물 상하역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에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으로 투입되는 화물의 처리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물류 처리 시스템의 제어부는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의 전방 화물 이송부(2230)를 구동하여, 전방 화물 이송부(2230)에 위치한 화물을 전방 디버터(2210)로 이송시키고, 전방 디버터(2210)를 구동하여 화물을 제1 출입구(2150)를 통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 내로 투입시킬 수 있다(S2601, S2605). 또한, 전방 디버터(2210)는 화물을 후방 디버터(2220)로 이송시키고, 후방 디버터(2220)를 구동하여 화물을 제1 출입구(2150)를 통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 내로 투입시킬 수 있다(S2603, S2611).
또한, 물류 처리 시스템의 제어부는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의 후방 화물 이송부(2240)를 구동하여, 후방 화물 이송부(2240)에 위치한 화물을 후방 디버터(2220)로 이송시키고, 후방 디버터(2220)를 구동하여 화물을 제1 출입구(2150)를 통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 내로 투입시킬 수 있다(S2609, S2611). 또한, 후방 디버터(2220)는 화물을 전방 디버터(2210)로 이송시키고, 전방 디버터(2210)를 구동하여 화물을 제1 출입구(2150)를 통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 내로 투입시킬 수 있다(S2603, S2605).
이때,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의 전방 디버터(2210)는 화물을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전방 디버터(2110)로 이송시키고(S605),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의 후방 디버터(2220)는 화물을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후방 디버터(2120)로 이송시킬 수 있다(S2611).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제어부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전방 디버터(2110)의 구동을 통해 제1 출입구(2150)로 투입된 화물의 이송방향을 전환하여, 전방 화물 이송부(2130)로 이송시키고, 전방 화물 이송부(2130)를 구동하여, 투입된 화물을 전방 화물 이송부(2130) 내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S2605, S2607). 또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제어부는 전방 디버터(2110)의 구동을 통해 제1 출입구(2150)로 투입된 화물의 이송방향을 전환하여, 후방 디버터(2120)로 이송시키고, 후방 디버터(2120)를 구동하여 투입된 화물을 후방 화물 이송부(2140) 내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S2605, S2615, S2613).
또한, 제어부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후방디버터(2120)의 구동을 통해 제1 출입구(2150)로 투입된 화물의 이송방향을 전환하여 후방 화물 이송부(2140)로 이송시키고, 후방 화물 이송부(2140)를 구동하여, 투입된 화물을 후방 화물 이송부(2140) 내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S2611, S2613). 또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제어부는 후방 디버터(2120)의 구동을 통해 제1 출입구(2150)로 투입된 화물의 이송방향을 전환하여, 전방 디버터(2110)로 이송시키고, 전방 디버터(2110)를 구동하여 투입된 화물을 전방 화물 이송부(2130) 내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S2611, S2615, S2607).
다음으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에서 화물 상하역 시스템으로 화물을 배출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제어부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전방 화물 이송부(2130)를 구동하여 전방 화물 이송부(2130) 상에 위치한 화물을 전방 디버터(2110) 상에 위치시키고, 전방 디버터(2110)의 구동을 통해 화물의 이송방향을 전환하여 제1 출입구(2150)를 통해 화물을 플랫폼으로 배출 시킬 수 있다(S2607, S2605). 또한, 제어부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전방 화물 이송부(2130)를 구동하여 전방 화물 이송부(2130) 상에 위치한 화물을 전방 디버터(2110) 로 이동시키고, 전방 디버터(2110)를 구동하여 후방 디버터(2120) 상에 위치시키고, 후방 디버터(2120)의 구동을 통해 화물의 이송방향을 전환하여 화물을 플랫폼으로 배출 시킬 수 있다(S2607, S2615, S2611).
또한, 제어부는 후방 화물 이송부(2140)를 구동하여 후방 화물 이송부(2140) 상에 위치한 화물을 후방 디버터(2120) 상에 위치시키고, 후방 디버터(2120)를 구동하여 화물을 제1 출입구(2150)를 통해 플랫폼으로 배출 시킬 수 있다(S2613, S2611).
또한, 제어부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후방 화물 이송부(2140)를 구동하여 후방 화물 이송부(2140) 상에 위치한 화물을 후방 디버터(2120) 로 이동시키고, 후방 디버터(2120)를 구동하여 전방 디버터(2110) 상에 위치시키고, 전방 디버터(2110)의 구동을 통해 화물의 이송방향을 전환하여 화물을 플램폼으로 배출 시킬 수 있다(S2613, S2615, S2605).
물류 처리 시스템의 제어부는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의 전방 디버터(2210)를 구동하여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 내에서 배출된 화물을 전방 화물 이송부(2230)로 전달하거나(S2605, S2601), 후방 디버터(2220)를 구동하여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 내에서 배출된 화물을 전방 디버터(2210) 로 전달할 수 있다(S2611, S2603). 또한, 물류처리 시스템의 제어부는 전방 화물 이송부(2230), 후방 화물 이송부(2240), 전방 디버터(2210) 또는 후방 디버터(2220)를 구동하여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에서 배출된 화물 또는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에 위치한 화물을 연결 수단(300)으로 이송하거나, 연결 수단(300)으로부터 이송된 화물을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에 위치시키거나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 내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전방 버퍼 공간(2160) 또는 후방 버퍼공간(2170)과 화물 이송부(2130,2140) 사이의 화물 처리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제어부는 전방 디버터(2110)를 구동하여 전방 디버터(2100) 상에 위치한 화물을 전방 화물 이송부(2130) 상에 위치시키고, 전방 화물 이송부(2130)를 구동하여 화물을 전방 버퍼 공간(160)에 배치시킬 수 있다(S2607, S2617). 또한, 제어부는 후방 디버터(2120)를 구동하여 후방 디버터(2120) 상에 위치한 화물을 후방 화물 이송부(2140) 상에 위치시키고, 후방 화물 이송부(2140)를 구동하여 화물을 후방 버퍼 공간(2170)에 배치시킬 수 있다(S2613, S2619).
또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제어부는 전방 버퍼 이송부(2162)를 구동하여 전방 버퍼 공간(2160)에 위치한 화물을 전방 화물 이송부(2130) 상에 위치시키고, 전방 화물 이송부(2130)를 구동하여 화물을 전방 디버터(2110)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S2617, S2607). 또한, 제어부는 후방 버퍼 이송부(2172)를 구동하여 후방 버퍼 공간(2170)에 위치한 화물을 후방 화물 이송부(2140) 상에 위치시키고, 후방 화물 이송부(2140)를 구동하여 화물을 후방 디버터(2120)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S2619, S2613).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을 이용한 물류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도 21의 실시예와 달리,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 내에 2열의 화물 이송 흐름을 제공하기 때문에 더욱 다양한 형태의 화물 이송 경로의 제공이 가능하다.
즉, 도 22를 통해 설명한 화물 이송 경로 외에, 제 1 전방 디버터(2112) 및 제 2 전방 디버터(2114) 간의 화물 이송경로(S2709)와 제 1 후방 디버터(2122) 및 제 2 후방 디버터(2124) 간의 화물 이송경로(S2719)가 추가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방 버퍼 이송부(2164), 제2 전방 버퍼 이송부(2166), 제1 후방 버퍼 이송부(2174), 및 제2 후방 버퍼 이송부(2176)가 각각 디버터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전방 버퍼 이송부(2164)와 제2 전방 버퍼 이송부(2166) 간의 화물 이송경로(S2731) 및 제1 후방 버퍼 이송부(2174)와 제2 후방 버퍼 이송부(2176)간의 화물 이송 경로(S2737)가 추가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내에서도 폐루프 형태의 화물 이송경로(S2740, S2742)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어부는 제 1 전방 화물 이송부(2132), 제 2 전방 화물 이송부(2134), 제 1 전방 디버터(2112), 제 2 전방 디버터(2114), 제 1 전방 버퍼 이송부(2164) 및 상기 제 2 전방 버퍼 이송부(2166)의 구동을 통해 철도 차량(2100) 내에서 폐루프 형태의 화물 이송 흐름(S2742)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1 후방 화물 이송부(2142), 제 2 후방 화물 이송부(2144), 제 1 후방 디버터(2122), 제 2 후방 디버터(2124), 제 1 후방 버퍼 이송부(2174) 및 제 2 후방 버퍼 이송부(2176)의 구동을 통해 철도 차량(2100) 내에서 폐루프 형태의 화물 이송 흐름(S2740)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 전방 디버터(2112), 제2 전방 디버터(2114), 제1 후방 디버터(2122), 및 제2 후방 디버터(2124)의 구동을 통해 철도 차량(2100) 내에서 폐루프 형태의 화물 이송 흐름(S2744)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을 이용한 물류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양측면에는 각각 제1 출입구(2150)와 제2 출입구(219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양측에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2201)이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양측은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일 수 있다.
물류 처리 시스템의 제어부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의 양측에 위치한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2201)을 제어하여,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100)에 화물을 상하역할 수 있다.
즉, 물류 처리 시스템의 제어부는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의 전방 디버터(2210)를 구동하여, 전방 디버터(2210)에 위치한 화물을 제2 전방 디버터(2114)로 이송시키고(S2705), 후방 디버터(2220)를 구동하여, 후방 디버터(2220)에 위치한 화물을 제2 후방 디버터(2124)로 이송시켜(S2715) 제1 출입구(2150)를 통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 내로 화물을 투입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상술한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0)과 대응되게 위치하는 화물 상하역 시스템(2201)의 전방 디버터(2250)를 구동하여, 전방 디버터(2250)에 위치한 화물을 제1 전방 디버터(2112)로 이송시키고(S2741), 후방 디버터(2260)를 구동하여, 후방 디버터(2260)에 위치한 화물을 제2 후방 디버터(2122)로 이송시켜(S2745) 제2 출입구(2190)를 통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 내로 화물을 투입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내에서도 폐루프 형태의 화물 이송경로(S2750, S2752, S2754)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내에서 화물의 배치 상태를 더욱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물을 철도 차량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철도 차량 내부에서 목적지가 같은 화물 별로 화물을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향후 화물 상하역시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는, 화물 열차 내에서 화물 무게의 밸런싱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 화물 컨테이너의 무게에 따라 화물의 배치 상태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각 화물 화물에는 RFID 태그 또는 바코드 등의 태그 수단이 부착될 수 있고, 해당 태그 수단에는 화물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화물에 대한 식별 정보는 화물의 ID 정보, 화물의 내용물 정보, 화물의 무게 정보, 화물의 발송인과 수령인에 대한 정보, 화물의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정보 등 각종 화물 운송과 관련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각종 태그 리더기를 화물 차량에 각각 배치하여, 화물의 무게 정보를 독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화물의 배치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정차역에서 새롭게 투입된 화물을 배치할 곳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다. 즉, 폐루프 형태의 화물 이송 경로를 통해 화물을 순환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화물을 새롭게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버퍼부 및 후방 버퍼부를 활용하여, 화물의 배치 순서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폐루프 형태의 화물 이송 경로를 통해 화물을 순환시킨 상태에서, 특정 화물을 전방 버퍼부 또는 후방 버퍼부로 적재시킨 후,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해당 화물을 재투입하여 화물의 배치 순서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6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수단과 승하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7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수단과 승하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수단(300)은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이 통행하는 철로의 상부 공간을 통해 화물 적재 공간과 연결하는 브릿지(310)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브릿지(310)에 롤러 또는 컨베이어와 같은 화물 이송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방향 전환이 필요한 지점에 디버터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과 연결 수단(310)이 연결되는 지점에 배치되고, 연결 수단(310)과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 사이의 화물 이송을 위한 승하강 장치(400)가 추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승하강 장치(400)에 디버터가 배치되어 화물이 이송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수단(300)은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이 통행하는 철로의 하부 공간을 통해 화물 적재 공간과 연결하는 터널(320)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널(320)에 롤러 또는 컨베이어와 같은 화물 이송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방향 전환이 필요한 지점에 디버터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과 연결 수단(320)이 연결되는 지점에 배치되고, 연결 수단(320)과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 사이의 화물 이송을 위한 승하강 장치(400)가 추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구성과 물류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화물 이송 경로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화물 상하역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정차 중에는 물론이고, 운행 중에도 화물의 배치 상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목적지에 따라 화물의 배치 상태를 미리 조절하여 도착역에서의 화물 상하역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추가로 절감할 수 있다.
한편,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과 화물 철도 차량(100)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간격이 발생하기 때문에, 원활한 화물 이송을 위해서는 이러한 간격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과 화물 철도 차량(100)의 바닥면 사이에 높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높이 차이는 정차역 별로 상이하여, 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도 28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철도 차량과 화물 상하역 시스템 사이의 연결성 향상을 위한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 차량(100)의 출입구에 배치된 차량 디버터(110)와 플랫폼 디버터(210) 사이에 연결부(500)를 배치하여, 철도 차량(100)과 플랫폼 또는 철도 차량(100)과 화물 상하역 시스템(20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 한다.
이때, 차량 디버터(110)는 앞서 소개한 전방 디버터(110) 또는 후방 디버터(130)이며, 플랫폼 디버터(210)는 전방 디버터(210) 또는 후방 디버터(230)이다.
연결부(500)는 차량 디버터(110) 또는 플랫폼 디버터(210)의 높이에 상응하는 지름을 가진 하나 이상의 롤러를 포함한다. 이때, 롤러는 원기둥 형상을 가진 것으로, 철도 차량(100)과 플랫폼 사이의 화물 출입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원기둥 형상의 롤러 외에도 철도 차량(100)과 플랫폼 사이의 화물 출입방향으로 회전하는 볼베어링 또는 컨베이어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부(500)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500)는 플랫폼에 결합되거나, 플랫폼 디버터(210)에 결합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차량 디버터(110)에 결합되어, 철도 차량(100)이 정차 시에 플랫폼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9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철도 차량(100)과 화물 상하역 시스템 사이의 연결성 향상을 위한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디버터(110)와 플랫폼 디버터(210)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510)를 이용하여, 각 디버터의 높이에 의한 단차를 해소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510)는 차량 디버터(110)의 단부 또는 플랫폼 디버터(210)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이를 위한 체결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0과 도 3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10)는 체결부(514)에 의해 철도 차량(100) 또는 플랫폼에 연결되고, 철도 차량(100)과 플랫폼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은 원기둥 형상의 롤러(512)를 서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롤러는 철도 차량(100)과 플랫폼 사이의 화물 출입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체결부(514)와 가장 멀리 이격되도록 배치된 롤러(512)는 플랫폼 디버터(210) 또는 차량 디버터(11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에 근접하는 지름을 갖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10)가 차량 디버터(110)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경우, 플랫폼 디버터(210)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롤러(512)는 플랫폼 디버터(210)의 높이에 상응하는 지름을 갖도록 한다. 또한, 차량 디버터(110)의 상부면 방향으로 접철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연결부(510)가 플랫폼 디버터(210)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경우, 차량 디버터(110)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롤러(512)는 차량 디버터(110)의 높이에 상응하는 지름을 갖도록 한다. 또한, 각 롤러(512)의 지름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차량과 플랫폼 사이에 높이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그 단차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플랫폼 보다 높게 위치하여, 높이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연결부(510)의 바닥면에 의하여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단차에 의한 충격을 최대한 완화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차량이 플랫폼 보다 낮게 위치하여, 높이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연결부(510)의 바닥면에 의하여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단차에 의한 충격을 최대한 완화할 수 있다. 특히, 디버터의 높이에 상응하는 지름을 가진 롤러를 배치함에 따라 그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철도 차량(100)에 배치된 차량 디버터(110)와 플랫폼에 배치되는 플랫폼 디버터(2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제 1 방향으로 화물을 이송하는 제 1 이송 수단을 포함하고,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화물을 이송하는 제 2 이송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롤러, 볼베어링 또는 컨베이어 형태로 구동하는 제 2 이송 수단의 경우 디버터(110, 120)구성에 따라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하여 이송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실시예에 따라 그 높이도 단계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상태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사용하여, 차량 디버터(110) 또는 플랫폼 디버터(210)에 각각 마주하는 디버터의 높이를 감지하는 수단을 결합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각 디버터의 상승 높이를 조절하여, 철도 차량(100)과 플랫폼 간의 높이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도 차량(100)의 바닥면이 플랫폼의 높이 보다 높게 위치한 경우, 플랫폼 디버터(210)는 감지 수단을 통해 차량 디버터(110)의 높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높이에 따라 플랫폼 디버터(210)의 상승 높이를 최대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디버터(110)는 상승 높이가 최소가 되도록 동작한다.
또한, 철도 차량(100)의 바닥면과 플랫폼의 높이차가 크지 않은 경우, 플랫폼 디버터(210)는 감지 수단을 통해 차량 디버터(110)의 높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높이에 따라 플랫폼 디버터(210)의 상승 높이를 최소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 수단으로는 적외선 센서 기타 각종 영상 센서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에 도착하는 철도 차량(100)의 규격이 동일한 경우에는 그 높이 차이도 균일하므로, 이 값을 미리 설정하여, 각 디버터의 상승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디버터의 상승 높이 조절 동작은 각 디버터의 제어부를 통해 개별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거나, 차량 디버터를 제어하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제어부와 플랫폼 디버터를 제어하는 물류 처리 시스템의 제어부가 각각 개별적으로 높이 조절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물류 처리 시스템의 제어부와 각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의 제어부가 동기되어,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100)과 물류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연계하여 각 디버터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110: 전방 디버터
120: 화물 이송부 130: 후방 디버터
140: 전방 출입구 150: 후방 출입구
160: 전방 버퍼 공간 170: 후방 버퍼 공간
200: 화물 상하역 시스템 210: 전방 디버터
220: 화물 이송부 230: 후방 디버터
300: 연결 수단 400: 승하강 장치

Claims (42)

  1.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방 단부 주변에 위치하며, 화물이 출입하는 전방 출입구,
    상기 차량의 후방 단부 주변에 위치하며, 화물이 출입하는 후방 출입구,
    상기 전방 출입구에 대응되는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화물을 이송하는 전방 디버터,
    상기 후방 출입구에 대응되는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화물을 이송하는 후방 디버터,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디버터 및 후방 디버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화물을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화물 이송부,
    상기 전방 디버터, 후방 디버터 및 화물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차량 내에서 화물의 이송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방 출입구와 상기 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된 전방 버퍼 공간,
    상기 후방 출입구와 상기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된 후방 버퍼 공간,
    상기 전방 버퍼 공간에 배치된 전방 버퍼 이송부, 및
    상기 후방 버퍼 공간에 배치된 후방 버퍼 이송부을 포함하고,
    상기 화물 이송부는 각각 화물을 이송하며,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제 1 화물 이송부 및 제 2 화물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디버터는 상기 제 1 화물 이송부와 연결되는 제 1 전방 디버터 및 상기 제 2 화물 이송부와 연결되는 제 2 전방 디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디버터는 상기 제 1 화물 이송부와 연결되는 제 1 후방 디버터 및 상기 제 2 화물 이송부와 연결되는 제 2 후방 디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버퍼 이송부는 상기 제 1 전방 디버터와 연결되는 제 1 전방 버퍼 이송부 및 상기 제 2 전방 디버터와 연결되는 제 2 전방 버퍼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버퍼 이송부는 상기 제 1 후방 디버터와 연결되는 제 1 후방 버퍼 이송부 및 상기 제 2 후방 디버터와 연결되는 제 2 후방 버퍼 이송부를 포함하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방 디버터와 제 1 전방 버퍼 이송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 3 화물 이송부,
    상기 제 2 전방 디버터와 제 2 전방 버퍼 이송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 4 화물 이송부,
    상기 제 1 후방 디버터와 제 1후방 버퍼 이송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 5 화물 이송부 및
    상기 제 2 후방 디버터와 제 2 후방 버퍼 이송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 6 화물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방 버퍼 이송부, 제 2 전방 버퍼 이송부, 제 1 후방 버퍼 이송부 및 제 2 후방 버퍼 이송부 중 하나 이상은 디버터로 구성된 것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이송부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한 화물을 고정시키는 화물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이송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화물의 이송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전방 출입구로 투입된 화물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화물 이송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화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투입된 화물을 상기 화물 이송부내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후방 출입구로 투입된 화물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화물 이송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화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투입된 화물을 상기 화물 이송부내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키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화물 이송부 상에 위치한 화물을 상기 전방 디버터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화물을 상기 전방 출입구를 통해 플랫폼으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화물 이송부 상에 위치한 화물을 상기 후방 디버터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화물을 상기 후방 출입구를 통해 플랫폼으로 배출시키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화물 이송부 상에 위치한 화물을 상기 전방 디버터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화물을 상기 전방 버퍼 공간에 배치시키거나,
    상기 화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화물 이송부 상에 위치한 화물을 상기 후방 디버터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화물을 상기 후방 버퍼 공간에 배치시키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버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전방 버퍼 공간에 위치한 화물을 상기 전방 디버터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화물을 상기 화물 이송부 상에 배치시키거나,
    상기 후방 버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후방 버퍼 공간에 위치한 화물을 상기 후방 디버터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화물을 상기 화물 이송부 상에 배치시키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전방 출입구로 투입된 화물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화물을 상기 전방 버퍼 공간에 배치시키거나,
    상기 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후방 출입구로 투입된 화물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화물을 상기 후방 버퍼 공간에 배치시키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버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전방 버퍼 공간에 위치한 화물을 상기 전방 디버터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화물을 상기 전방 출입구를 통해 플랫폼으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방 버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후방 버퍼 공간에 위치한 화물을 상기 후방 디버터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화물을 상기 후방 출입구를 통해 플랫폼으로 배출시키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화물 이송부, 제 2 화물 이송부, 상기 제 1 전방 디버터, 상기 제 2 전방 디버터, 상기 제 1 후방 디버터 및 상기 제 2 후방 디버터의 구동을 통해 상기 차량 내에서 폐루프 형태의 화물 이송 흐름을 생성하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출입구는
    상기 차량의 일측 전방 단부 주변에 위치하는 제1 전방 출입구 및
    상기 차량의 타측 전방 단부 주변에 위치하는 제2 전방출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출입구는
    상기 차량의 일측 후방 단부 주변에 위치하는 제1 후방 출입구 및
    상기 차량의 타측 후방 단부 주변에 위치하는 제2 후방 출입구를 포함하는 것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17.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일측 중앙부에 위치하며, 화물이 출입하는 제1 출입구;
    상기 제1 출입구와 상기 차량의 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화물을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전방 화물 이송부;
    상기 제1 출입구와 상기 차량의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화물을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후방 화물 이송부;
    상기 제1 출입구에 대응되는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화물 이송부와 연결되는 전방 디버터;
    상기 제1 출입구에 대응되는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 화물 이송부와 연결되는 후방 디버터;
    상기 전방 디버터, 후방 디버터, 전방 화물 이송부 및 후방 화물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차량 내에서 화물의 이송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방 화물 이송부와 상기 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된 전방 버퍼 공간;
    상기 후방 화물 이송부와 상기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된 후방 버퍼 공간;
    상기 전방 버퍼 공간에 배치된 전방 버퍼 이송부; 및
    상기 후방 버퍼 공간에 배치된 후방 버퍼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화물 이송부는 각각 화물을 이송하며,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제1 전방 화물 이송부 및 제2 전방 화물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화물 이송부는 각각 화물을 이송하며,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제1 후방 화물 이송부 및 제2 후방 화물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디버터는 상기 제1 전방 화물 이송부와 연결되는 제 1 전방 디버터 및 상기 제2 전방 화물 이송부와 연결되는 제2 전방 디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디버터는 상기 제1 후방 화물 이송부와 연결되는 제 1 후방 디버터 및 상기 제2 후방 화물 이송부와 연결되는 제2 후방 디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버퍼 이송부는 상기 제1 전방 화물 이송부와 연결되는 제1 전방 버퍼 이송부 및 상기 제2 전방 화물 이송부와 연결되는 제2 전방 버퍼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버퍼 이송부는 상기 제1 후방 화물 이송부와 연결되는 제1 후방 버퍼 이송부 및 상기 제2 후방 화물 이송부와 연결되는 제2 후방 버퍼 이송부를 포함하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입구의 너비는 상기 전방 디버터 및 후방 디버터의 너비를 합산한 값보다 큰 것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방 버퍼 이송부, 제 2 전방 버퍼 이송부, 제 1 후방 버퍼 이송부 및 제 2 후방 버퍼 이송부 중 하나 이상은 디버터로 구성된 것인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화물 이송부 또는 후방 화물 이송부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한 화물을 고정시키는 화물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화물 이송부 및 후방 화물 이송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화물의 이송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출입구로 투입된 화물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전방 화물 이송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전방 화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투입된 화물을 상기 전방 화물 이송부 내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출입구로 투입된 화물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후방 화물 이송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후방 화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투입된 화물을 상기 후방 화물 이송부 내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키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화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전방 화물 이송부 상에 위치한 화물을 상기 전방 디버터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화물을 상기 제1 출입구를 통해 플랫폼으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후방 화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후방 화물 이송부 상에 위치한 화물을 상기 후방 디버터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화물을 상기 제1 출입구를 통해 플랫폼으로 배출시키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출입구로 투입된 화물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전방 화물 이송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전방 화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투입된 화물을 상기 전방 버퍼 공간에 배치시키거나,
    상기 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출입구로 투입된 화물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후방 화물 이송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후방 화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투입된 화물을 상기 후방 버퍼 공간에 배치시키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버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전방 버퍼 공간에 위치한 화물을 상기 전방 화물 이송부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방 화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화물을 상기 전방 디버터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화물을 상기 제1 출입구를 통해 플랫폼으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후방 버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후방 버퍼 공간에 위치한 화물을 상기 후방 화물 이송부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후방 화물 이송부를 구동하여 상기 화물을 상기 후방 디버터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후방 디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화물을 상기 제1 출입구를 통해 플랫폼으로 배출시키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2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방 화물 이송부, 상기 제 2 전방 화물 이송부, 상기 제 1 전방 디버터, 상기 제 2 전방 디버터, 상기 제 1 전방 버퍼 이송부 및 상기 제 2 전방 버퍼 이송부의 구동을 통해 상기 차량 내에서 폐루프 형태의 화물 이송 흐름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후방 화물 이송부, 상기 제 2 후방 화물 이송부, 상기 제 1 후방 디버터, 상기 제 2 후방 디버터, 상기 제 1 후방 버퍼 이송부 및 상기 제 2 후방 버퍼 이송부의 구동을 통해 상기 차량 내에서 폐루프 형태의 화물 이송 흐름을 생성하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방 디버터, 상기 제2 전방 디버터, 상기 제1 후방 디버터, 및 상기 제2 후방 디버터의 구동을 통해 상기 차량 내에서 폐루프 형태의 화물 이송 흐름을 생성하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3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타측 중앙부에 상기 제1 출입구와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제2 출입구를 더 포함하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32. 제1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디버터 또는 후방 디버터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차량의 정차 시에 상기 차량이 정차하는 플랫폼을 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차량의 출입구와 상기 차량이 정차하는 플랫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KR1020150085396A 2014-06-19 2015-06-16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물류 처리 시스템 KR101703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5186 2014-06-19
KR1020140075186 2014-06-19
KR1020140075185 2014-06-19
KR20140075185 2014-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706A KR20150145706A (ko) 2015-12-30
KR101703659B1 true KR101703659B1 (ko) 2017-02-08

Family

ID=5508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396A KR101703659B1 (ko) 2014-06-19 2015-06-16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물류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142B1 (ko) 2016-09-09 2018-04-23 정경호 전철 화물 배송 시스템
KR101856596B1 (ko) * 2016-10-24 2018-06-2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을 이용한 승용차 운송 시스템 및 방법
CN110254448B (zh) * 2019-05-10 2020-05-08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运输大型装备的铁路货运车厢
CN110091886A (zh) * 2019-05-31 2019-08-06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agv叉车的高铁物流站台货物装卸系统
CN112874549A (zh) * 2021-02-26 2021-06-01 中车齐齐哈尔车辆有限公司 地板、车厢以及铁路棚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5275A (ja) 2002-02-20 2005-08-25 ポルタ,グイド 鉄道輸送の方法と列車への積込み、積卸し装置
JP2005263045A (ja) 2004-03-18 2005-09-29 Showa Kogyo Kk 貨物車両の荷物循環装置、荷物循環方法及び貨物車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968B2 (ja) * 1993-04-20 2000-05-22 神鋼電機株式会社 荷役作業車輌における積荷プラットフォームのストッパ兼ガイドレール装置
KR20040019757A (ko) * 2002-08-29 2004-03-06 주식회사 태양중공업 철도 유개화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5275A (ja) 2002-02-20 2005-08-25 ポルタ,グイド 鉄道輸送の方法と列車への積込み、積卸し装置
JP2005263045A (ja) 2004-03-18 2005-09-29 Showa Kogyo Kk 貨物車両の荷物循環装置、荷物循環方法及び貨物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706A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659B1 (ko)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물류 처리 시스템
KR101664238B1 (ko) 반송 시스템 및 반송 시스템에서의 물품의 일시 보관 방법
KR100678596B1 (ko) 천정 반송차 시스템
CN110015225B (zh) 接收、储存和重新发放运送物的运送物柜
KR101851142B1 (ko) 전철 화물 배송 시스템
AU2014234575B2 (en) Apparatus for handling goods to be sorted
WO2016178347A1 (ja) 自動倉庫及び懸垂式スタッカクレーン
US9387986B2 (en) Cargo area of an airport
KR20200003104A (ko) 층간 반송 시스템 및 층간 반송 방법
CN101711213B (zh) 特别用于航空器货舱中行李的传送装置
KR101884232B1 (ko)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WO2019192327A1 (zh) 集装箱检查系统、转运方法及港口设施
EP1843940B1 (en) Cargo handling arrangement and system on a cargo ship
JP5447937B2 (ja) 物品搬送設備
JP3966033B2 (ja) 物流設備
JP2010052878A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JPH08155761A (ja) 生産設備
JP2007217116A (ja) 倉庫システム
CN110342164B (zh) 出库设备及出库方法
KR102026077B1 (ko) 스마트 무인화물이동수단
JP4003494B2 (ja) 搬送システム
CN112024418B (zh) 分拣装车系统及方法
CN116002269A (zh) 一种用于装卸车辆与仓库的对接设备及其使用方法
KR20230118462A (ko) 드론이 도킹되는 화물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물류시스템 제어 방법
KR20230122809A (ko) 순환식 수직이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