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494B1 - 컨택트 렌즈 또는 안내 렌즈를 제조하는 성형 금형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택트 렌즈 또는 안내 렌즈를 제조하는 성형 금형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494B1
KR101854494B1 KR1020147000098A KR20147000098A KR101854494B1 KR 101854494 B1 KR101854494 B1 KR 101854494B1 KR 1020147000098 A KR1020147000098 A KR 1020147000098A KR 20147000098 A KR20147000098 A KR 20147000098A KR 101854494 B1 KR101854494 B1 KR 101854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old
cavity
central
bearing
forming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1780A (ko
Inventor
에메렌티우스 마리아 조세프스 안토니우스 반 디즈크
조에리 조하네스 신켈담
Original Assignee
이노발렌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발렌스 비.브이. filed Critical 이노발렌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40081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3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centering mould parts or halves, e.g. during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40Plastics, e.g. foam or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8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of objects with parts connected by a thin section, e.g. hinge, tear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7Exerting after-pressure on the moulding material
    • B29C45/572Exerting after-pressure on the moulding material using movable mould wall or runne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5Moulds for lenses having means for aligning the front and back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567Moulds for lenses wherein the mould forms part of the final package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2Artificial eyes from organic plastic material
    • B29D11/023Implants for natural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528Consisting of two mould halves joined by an annular gas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16Lenses
    • B29L2011/0041Contact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02B1/043Contact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rosthes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 렌즈 및 안내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금형은 중앙부와, 베어링과, 중앙부와 베어링 사이에 마련된 플렉시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형 금형을 제작하기 위한 주입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성형 금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입 금형은 내부로 주입된 플라스틱이 경화되는 동안 발생하는 수축을 보완하기 위해 플런저와 플런저를 주입 금형으로 압력을 가하는 스프링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형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된 컨택트 렌즈 및 안내렌즈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택트 렌즈 또는 안내 렌즈를 제조하는 성형 금형 및 방법{CAST MOU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CT OR INTRAOCULAR LENSES}
본 발명은 컨택트 렌즈 또는 안내렌즈(intraocular lens)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금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형 금형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형 금형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주입 금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형 금형을 이용한 컨택즈 렌즈 또는 안내렌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컨택트 렌즈 또는 안내렌즈에 관한 것이다.
컨택트 렌즈 또는 안내렌즈의 제조를 위한 성형 금형은 NL1033905C, EP-A-0 367 513 및 US 2009/0166507 A1에 개시되어 있다. NL1033905C에 개시된 성형 금형은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을 갖는 제1 성형 금형부 및 제1 위치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공지의 성형 금형은 제2 성형 금형부를 더 포함한다. 제2 성형 금형부는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을 갖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를 둘러싸며 제2 위치조절 수단이 구비된 베어링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2 위치조절 수단은 상기 제1 위치 조절수단과 결합되어 제1 성형 금형부와 제2 성형부가 서로 포개지는 닫힌 위치로 정렬되게 한다.
컨택트 렌즈 또는 안내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모노머 조성물이 제1 성형 금형부 또는 제2 성형 금형부의 내부로 주입된다. 이후에 제2 성형 금형부는 제1 성형 금형부 위에 놓여지게 되며, 모노머 조성물은 중합된다.
여기서, NL1033905C에 개시된 위치조절수단은 제2 성형 금형부를 제1 성형 금형부 위에 고정시키며, 사용 중에 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NL1033905C 및 EP-A-0 367 513에는 상기 제1, 제2 성형 금형부를 렌즈가 판매상태에 놓일 때 쓰여지는 패키지 중 일부로 이용함이 개시되어 있다.
플라스틱 성형 금형부의 제작방식에 관한 것은 앞서 언급한 선행문헌에는 개시된 바 없다. 이와 관련해서는 US-5,540,410를 참고할 수 있다. 특히, US-5,540,410의 도 5 및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의 10단 38째줄~14단 3째줄에 개시되며, 상기 문헌에 개시된 참고문헌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US 2006/145370는 성형 금형을 제조하기 위한 주입 금형과 그 제조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주입 금형은 주입 금형의 구비된 구성요소에 착탈 가능한 광학적 공구 인서트를 포함한다. FR-1.355.774는 주입 금형 내부에서 플라스틱이 경화할 때, 버블 발생 및 캐비티 수축에 관한 문제점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FR-1.355.774는 기구적으로 또는 수압으로 가동되는 피스톤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경화시 주입 금형에 압력을 가하여 수축을 보완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NL1033905C에 개시된 위치조절 수단은 별도의 외부 메커니즘 없이 위치조절수단을 이용해 제1, 제2 성형 금형부를 서로 포개어 가압을 통해 고정시키는 간편한 방식을 사용하는데 있어 특히 유용하다. 다만, 여전히 상기 성형 금형을 이용하여 생산된 컨택트 렌즈나 안내렌즈의 광학 표면에서도 정확도가 문제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광학 표면의 정확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컨택트 렌즈 또는 안내렌즈의 제작을 위한 성형 금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 금형은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과, 제1 위치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제1 성형 금형부 및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을 갖는 중앙부와, 상기 제1 위치조절수단과 결합되는 제2 위치조절 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중앙부를 둘러싸게 마련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제2 성형 금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위치조절 수단은 상기 제1 위치조절 수단과 결합되어 상기 제2 성형 금형부의 중심축이 상기 베어링이 연장된 평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베어링의 중앙과 교차되도록 상기 제1 성형 금형부와 상기 제2 성형 금형부가 서로 포개지는 닫힌 위치로 성형 금형을 유지시키며, 상기 제2 성형 금형부는 상기 베어링과 상기 중앙부 사이에 연장되어 상기 중앙부를 상기 베어링에 연결시키는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의 두께는 중심축이 위치한 상기 중앙부 두께의 0.2배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중심축이 위치한 상기 중앙부 두께의 0.1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의 두께가 제2 성형 금형부의 중심축이 위치한 상기 중앙부의 두께와 관련있을 때, 일 실시예로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의 두께는 중심축이 위치한 상기 중앙부 두께의 0.2배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중심축이 위치한 상기 중앙부 두께의 0.1배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 금형의 제2 성형 금형부를 제조하는 방법은 제1 주입 금형부, 제2 주입 금형부, 상기 제1 주입 금형부와 상기 제2 주입 금형부가 서로 결합되는 닫힌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 주입 금형부 사이에 마련되며, 중앙부 캐비티와 상기 중앙부 캐비티를 둘러싸는 베어링 캐비티와 상기 중앙부 캐비티를 상기 베어링 캐비티에 연결하는 연결 캐비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 금형 캐비티,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를 마주하면서 상기 중앙부 캐비티의 경계를 이루는 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주입 금형부에 중심축 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런저 및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에 마련되며, 상기 플런저를 상기 중앙부 캐비티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하는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는 주입 금형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주입 금형부와 상기 제2 주입 금형부를 상기 닫힌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플런저가 상기 스프링 수단에 의해 압력을 받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주입 압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입 금형 캐비티에 플라스틱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증앙부 캐비티에 주입된 상기 플라스틱의 수축을 보완하도록 상기 스프링 수단이 상기 플런저를 상기 중앙부 캐비티 방향으로 압력을 지속적으로 가하면서 상기 플라스틱 주입을 마치고 상기 플라스틱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주입 금형을 이용해 플라스틱으로 성형 금형을 제조하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제2 성형 금형부는 까다로운 부분이다. 제2 성형 금형부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 금형에는 주입 금형 캐비티가 구비된다. 주입 금형 캐비티는 중앙부 캐비티, 베어링 캐비티 및 상기 중앙부 캐비티를 상기 베어링 캐비티에 연결하는 연결부 캐비티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 캐비티에서 제2 성형 금형부의 베어링과 중앙부를 연결하는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가 형성된다. 주입 주조하는 동안 주입된 플라스틱은 중앙부 캐비티에 도달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부 캐비티를 지나야 한다. 연결부 캐비티는 매우 평편하고 내부에 비교적 넓은 표면적을 가진다. 따라서, 연결부 캐비티 내에서 플라스틱의 경화는 매우 빠르게 일어난다. 그 결과, 압출기가 플라스틱에 압력을 가하더라도 중앙부 캐비티로 플라스틱을 재주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주입 금형 내부의 플라스틱에 수축이 일어나면 주입 금형의 광학적으로 정확하게 한정된 표면으로부터의 플라스틱 분출이 발생되고, 진공을 통해 버블이 제2 성형 금형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현상은 정확도가 낮은 광학 표면을 제2 주형 금형부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성형 금형부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 금형은 제1 주입 금형부와, 제2 주입 금형부와, 상기 제1 주입 금형부와 상기 제2 주입 금형부가 서로 결합되는 닫힌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 주입 금형부 사이에 마련되며, 중앙부 캐비티와 상기 중앙부 캐비티를 둘러싸는 베어링 캐비티와 상기 중앙부 캐비티를 상기 베어링 캐비티에 연결하는 연결 캐비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 금형 캐비티와,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를 마주하면서 상기 중앙부 캐비티의 경계를 이루는 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주입 금형부에 중심축 방향(A)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런저 및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에 마련되며, 상기 플런저를 상기 중앙부 캐비티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하는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 또는 안내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제1 성형 금형부를 제공하는 단계, 주입 금형으로 제2 성형 금형부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성형 금형부에 플라스틱을 충진하는 단계, 제2 위치조절 수단이 제1 위치조절 수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성형 금형부를 상기 제1 성형 금형부에 위치시켜 상기 제1 성형 금형부와 상기 제2 성형 금형부를 서로 포개는 단계, 상기 플라스틱을 경화시켜 렌즈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성형 금형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렌즈가 포함된 패키지를 상기 제1 성형 금형부로터 형성시키기 위해 밀봉재로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밀봉재로 밀봉하기 이전에 액체를 상기 제1 성형 금형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소프트 렌즈를 제조함에 있어 렌즈를 탄력있게 만들고 이를 유지하기 위해 패키지 내부를 습기있는 조건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 또는 안내렌즈는 상기 성형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성형 금형의 광학 표면의 높은 정확 정확성을 통해 컨택트 렌즈 및 안내렌즈는 종래보다 개선된 광학적 품질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 금형은 중앙부가 견고한 구조로서 렌즈가 제조되는 동안 광학적으로 정확하게 한정된 표면에 어떠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는 위치조절수단에 의해 발생된 물질 응력이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을 갖는 중앙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와 중앙부의 두께 비 조절을 통해 위치조절 수단에 의한 결합력으로 발생되는 중앙부의 변형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각각의 주입 금형 캐비티에 구비되는 플런저와 스프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의 제조방법과 주입 금형은 컨택트 렌즈와 안내렌즈 제작을 위한 제2 성형 금형부를 제조시 발생하는 플라스틱 수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성형 금형부는 중앙부와 베어링을 연결하는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를 포함한다. 연결부 캐비티 내부의 플라스틱이 경화되고 중앙부 캐비티 내부의 플라스틱은 여전히 액체 상태로 수축이 발생된 후에, 중앙부 캐비티의 부피는 플라스틱의 경화에 따른 부피 감소에 대응되게 플런저와 스프링 수단에 의해 점차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은 주입 금형 표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진공에 따른 버블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제2 성형 금형부의 광학적으로 정밀하게 한정된 표면이 정확히 가공되며 흠없는 표면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 금형의 높은 광학 정확도를 통해 높은 품질의 컨택트 렌즈와 안내렌즈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렌즈는 제1 성형 금형부 내에서 바로 패키징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렌즈의 조작을 통한 손상이나 오염의 위험성이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봉 이전에 제1 성형 금형부로 액체를 공급하여 패키지 내부를 습기있는 조건으로 만들어 렌즈에 탄력성을 부여하고 이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 제조를 위한 성형 금형의 제1 시점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성형 금형의 제2 시점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성형 금형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성형 금형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안내렌즈 제조를 위한 성형 금형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성형 금형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 금형 제조를 위한 주입 금형의 제1 시점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주입 금형의 제2 시점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의 주입 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ⅩⅢ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ⅩⅣ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 제조를 위한 성형 금형(10)을 나타낸다. 성형 금형(10)은 제1 성형 금형부(12)를 포함한다. 제1 성형 금형부(12)는 광학적으로 정밀하게 한정된 표면(14) 및 제1 위치조절 수단(16~18)이 마련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위치조절 수단(16~18)은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14)을 둘러싸는 원형 지지 리브(17), 원형 지지 리브(17)에 마련된 리세스(16), 원형 지지 리브(17)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 원형의 결합 에지(18)를 포함한다. 원형의 결합 에지(18)는 외부 에지(19)의 내측에 마련된다. 결합 에지(18)의 양면은 방사상으로 바깥으로 연장되어 원형의 표면적(18a, 18b)이 증가될 수 있다. 결합 에지(18)는 외부 에지(19)의 내측에 마련되며, 제1 성형 금형부(12)의 중앙에 제2 성형 금형부(20)가 놓이게 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 제1 위치조절 수단(16~18)은 돌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성형 금형(10)은 제2 성형 금형부(20)를 포함한다. 제2 성형 금형부(20)는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24)을 갖는 중앙부(22)가 마련된다. 제2 성형 금형부(20)는 상기 중앙부(22)의 둘레를 감싸게 형성되며, 제2 위치조절 수단(26)이 구비된 베어링(28)을 포함한다. 제2 위치조절 수단(26)은 닫힌 상태에서 제1 위치조절 수단(16~18)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닫힌 상태는 제1 성형 금형부(12)와 제2 성형 금형부(20)가 상하로 서로 포개져 놓여진 것을 말한다. 제1 위치조절 수단(16~18)과 제2 위치조절 수단(26)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성형 금형부(20)를 제1 성형 금형부(12)로 위에서 누르는 결합력을 발생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위치조절 수단(26)은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레그 형태일 수 있다. 결합력은 리세스(16)의 방사상으로 마련된 내측 부분에 위치시킨 레그(26)의 구부림에 의해 발생한다. 레그(26)를 구부림으로써 레그(26)가 결합 에지(18)의 방사상의 바깥 단면에 의해 결속된다. 위치조절 수단(16~18)은 제1, 제2 성형 금형부(12, 20)를 서로에 대해 중앙 정렬 및 결합시키며, 제1, 제2 성형 금형부(12, 20)의 상대적인 회전 위치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성형 금형부(20)의 중심축(L)은 베어링(28)이 연장된 평면과 수직을 이룬다. 또한, 중심축(L)은 베어링(28)의 중앙과 교차한다. 제2 성형 금형부(20)는 박벽(thin-walled) 플렉시블 연결부(30)를 포함한다.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는 베어링(28)과 중앙부(22) 사이에 연장되어 중앙부(22)를 베어링(28)와 연결시킨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성형 금형부(20)의 플렉시블 연결부(30)는 원형의 플라스틱 필름(30a)일 수 있다. 플렉시블 연결부(30)는 바깥 테두리가 베어링(28)에 연결되며, 안쪽 테두리가 상기 중앙부(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 형태의 연결부는 높은 유연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베어링(28)에 대한 중앙부(22)의 상대적 움직임이 가능하다. 이는 제2 성형 금형부(20)를 제1 성형 금형부(12) 위에 위치시킬 때 물질 응력이 제2 성형 금형부(20)의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24)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원형의 플라스틱 필름(30a)을 사용함은 상당한 관통 유동 표면적을 제공한다. 이는 제조 공정 동안 주입 금형(50)의 베어링 캐비티에서 중앙부 캐비티로 플라스틱을 공급하는데 중요하다. 더욱이, 중앙부(22) 둘레 전체에서 베어링(28)으로 전해지는 힘은 일정하여 렌즈 제조 공정 동안 중앙부(22)의 변형을 최소화한다.
즉, 종래의 광학 표면의 부정확 문제는 위치 조절수단들이 서로 맞물리는 위치에 놓일 때 조성물에서 발생하는 물질 응력의 결과로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이 변형되어 발생된다. 편향된 힘이나 결합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위치조절 수단은 변형 조건에 놓여져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은 위치조절 수단에 한정될 뿐만 아니라 광학적으로 정확하게 한정된 표면에 대해서도 계속적으로 영향을 미쳤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성형 금형부(20)의 플렉시블 연결부(30)는 복수개의 스포크(30b)일 수 있다. 각각의 스포크(30b)는 중앙부(22)에 연결되는 제1 단부와, 베어링(28)에 연결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한다. 스포크(30b)는 중앙부(22)에서 베어링(28)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로 스포크(30b)는 접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에로,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의 두께는 베어링(28) 두께의 0.2배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베어링(28) 두께의 0.1배 이하 일 수 있다.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 30a, 30b)의 두께를 제2 성형 금형부(20)의 중심축이 위치한 상기 중앙부(22)의 두께와 관련시켜 보면,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의 두께는 중심축이 위치한 상기 중앙부(22) 두께의 0.2배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중심축이 위치한 상기 중앙부(22) 두께의 0.1배 이하일 수 있다.
제2 성형 금형부(20)의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24)의 반대면에는 제2 메인 표면(32)이 마련된다. 제2 메인 표면(32)은 제2 성형 금형부(20)의 중심축(L)과 수직하게 연장된다. 또한, 중앙부(22)의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24)과 제2 메인 표면(32) 사이에 연장된 테두리 표면(34)이 마련된다. 테두리 표면(34)은 중심축(L)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중앙부(22)의 직경이 제2 메인 표면(32)에서 중앙부(22)의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24)으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 표면(34) 형태가 아닌 종래의 제2 메인 표면(32)에 수직하게 연장된 테두리 표면(34)은 제2 성형 금형(10)의 제조시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24) 주위에 편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편차는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24) 주위의 냉각에 의해 발생한다. 편차는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표면(34)의 가공된 형상을 통해 줄일 수 있다. 중심축(L)과 모서리 가공된 테두리 표면(34)이 이루는 각도범위는 15 ~ 45도 범위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성형 금형(10)이다.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안내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금형(10)을 포함한다. 제2실시예의 성형 금형(10)에 의해 제조된 렌즈는 두 개의 볼록한 광학 표면을 갖는다. 반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는 오목한 광학 표면과 이와 반대면에 볼록한 광학 표면을 갖는다.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추가적인 차이점으로,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성형 금형(10)의 환형 플라스틱 필름(21)이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14)을 갖는 중앙부(22)를 바깥에 위치한 구성요소와 연결시킨다. 여기서, 바깥에 위치한 구성요소는 지지 리브(17)와 외부 에지(19)를 포함한다. 환형 플라스틱 필름(21)은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21)를 이룬다. 앞에서 제2 성형 금형부(20)의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성형 금형부(12)의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21)의 두께는 이를 둘러싸는 주변 벽부 두께의 0.2배 보다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0.1배 보다 작다. 일 예로 상기 주변 벽부는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14)을 갖는 중앙부(22)를 들 수 있다. 일 예로 주변 벽부는 또한 지지 리브(17)와 외부 에지(19)를 포함하는 바깥 부분을 들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컨택트 렌즈 또는 안내렌즈의 제조를 위한 성형 금형(10)의 제작하는데 이용되는 주입 금형(50)이다. 도 10 및 도 11은 서로 다른 주입 금형(5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조립되어 닫힌 상태에서의 주입 금형(5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는 이후에 서로 회귀하는 다른 조건에서의 주입 금형(50)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주입 금형(50)은 제1 주입 금형부(52)와 제2 주입 금형부(54)를 포함한다. 주입 금형(50)은 제2 성형 금형부(20)를 제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입 금형 캐비티(56)를 포함한다. 두 개의 주입 금형부(52, 54)가 서로 결합되는 닫힌 상태에서 주입 금형 캐비티(56)가 마련된다. 두 개의 주입 금형부(52, 54)의 상대적 이동을 통한 결합은 제2 주입 금형부(54)에 구비된 가이드 핀(84)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주입 금형부(52)에는 가이드 핀(8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홀(86)이 마련된다. 다만, 제1, 제2 주입 금형부(54)가 결합하기 위한 상대적 이동의 하나의 예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주입 금형 캐비티(56)에는 플라스틱 공급 채널(88)이 연통된다. 압출기의 배출구는 주입 금형(50)의 공급구(90)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주입 금형 캐비티(56)는 중앙부 캐비티(58)와, 베어링 캐비티(60)와, 중앙부 캐비티(58)를 베어링 캐비티(60)에 연결하는 연결 캐비티(62)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주입 금형(50)은 두 개의 주입 금형 캐비티(56)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주입 금형(50)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주입 금형 캐비티(56)를 포함할 수 도 있다.
주입 금형(50)에는 각각의 주입 금형 캐비티(56)에 결합되는 플런저(64)가 구비된다. 플런저(64)의 중심축(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1 주입 금형부(52)에 플런저(64)가 결합될 수 있다. 플런저(64)는 주입 금형 캐비티(56)를 마주하면서 중앙부 캐비티(58)의 경계를 이루는 단면(66)을 포함한다. 또한, 플런저(64)를 중앙부 캐비티(58)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하는 스프링 수단(68)이 각각의 주입 금형 캐비티(56)에 마련된다. 각각의 주입 금형 캐비티(56)에는 플런저(64)와 스프링 수단(68)이 구비되어 각각의 주입 금형 캐비티(56)에서 개별적으로 발생되는 수축을 플런저(64)가 보완할 수 있다. 이러한 주입 금형 캐비티(56) 각각에서의 독립적인 수축 보완을 통해, 주입 금형 캐비티(56) 내부에서 액체상태나 경화된 상태의 플라스틱과 플런저(64) 사이에 지속적인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축으로 인한 진공 버블이나 정밀함이 저하되는 현상 없이 정교하게 가공된 광학 표면을 갖는 제2 성형 금형부(20)를 얻을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일 실시예로 주입 금형(50)에는 각각의 주입 금형 캐비티(56)에 구비된 제1 멈추개(70)를 포함한다. 제1 멈추개(70)는 스프링 수단(68)에 의해 가압된 위치로 플런저(64)의 이동범위 경계를 한정한다(도 13 참조). 여기서 가압된 위치는 스프링 수단(68)에 의해 플런저(64)가 중앙부 캐비티(58) 방향으로 전방 이동한 상태를 말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1 멈추개(70)는 제1 주입 금형부(52)에 구비되는 제1 부시(72)에 마련될 수 있다. 플런저(64)는 단턱진 테두리 외곽부를 포함한다. 플런저(64)가 가압된 위치에서 테두리 외곽부의 단턱(74)은 제1 멈추개(70)와 맞닿아 있다. 도 13은 플런저(64)가 가압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1 부시(72)없이 테두리 외곽부의 단턱(74)이 제1 주입 금형부(5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부시(72)는 제조의 기술적인 관점에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제1 부시(72)의 교체로 인해, 제1 주입 금형부(52)의 직경이 변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64)의 외측 직경과, 제2 성형 금형부(20)의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24)의 직경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주입 금형 캐비티(56)에 각각 구비된 제2 멈추개(74)를 포함하는 주입 금형(50)을 나타낸다. 제2 멈추개(74)는 가압 위치로부터 주입 금형 캐비티(56)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중지 위치까지 플런저(64)의 이동 범위를 한정한다. 도 14는 중지 위치에 위치한 플런저(64)를 나타낸다. 제2 멈추개(74)는 제1 부시(72) 내측에 위치한 제2 부시(76)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부시(72) 내측에는 플런저(64), 제2 부시(76) 및 스프링 수단(68)이 위치한다. 따라서, 제1 부시(72)는 밀봉 덮개(78)로 밀폐된다. 밀봉 덮개(78)와 제1 부시(72)간의 연결은 베이어닛 걸쇠(bayonet catch)나 나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제1 부시(72)가 생략될 때, 밀봉 덮개(78)와 제1 주입 금형부(52) 사이의 연결에서도 마찬가지다. 밀봉 덮개(78)의 착탈 가능한 구조는 플런저(64)와 스프링 수단(68)의 간편한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플런저(64)의 교체는 다른 형태로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24)을 얻고자 할 때 바람직하다. 스프링 수단(68)의 교체는 다른 스프링 계수가 바람직하거나 스프링 수단(68)이 파손 또는 느슨하게 된 경우에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 스프링 수단(68)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접시 스프링(68a)일 수 있다. 또한, 접시 스프링(68a)은 DIN 2093 규격에 따른 스프링이다. 접시 스프링(68a)은 크기가 작으며 높은 스프링 계수를 갖는 장점이 있다. DIN 2093에 따른 접시 스프링(68a)은 외측 직경이 15㎜이고 두께가 0.8㎜ 일 때 사용된다. 이때, 같은 방향으로 13개 접시 스프링(68a)이 상하로 적층된 경우 0.4 ㎜의 압축을 위해서는 16000 N 이상의 힘이 필요하다. 플런저(64)의 단면(66)이 실제로 1.1㎠의 면적을 갖는 경우, 13개의 접시 스프링(68a)이 완전히 압축되는 중지 위치로 플런저(64)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1450 bar의 주입 금형 캐비티(56) 내에 필요하다. 상기 압력은 일반적인 주입 주조 기계에 있어서 알맞은 방식으로 실행하기에 충분한 압력이다. 상기 압력을 통해 주입 금형 캐비티(56) 내에 빠른 충전이 가능하다. 이는 주입 금형 캐비티(56) 내에 완벽히 충진되기 전에 연결 캐비티(62)에서 플라스틱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함에 있어 중요하다.
추가적으로 접시 스프링(68a)의 장점은 접시 스프링(68a) 개수 조절을 통해 스프링의 이동길이와 스프링 계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두 개의 접시 스프링(68a)을 같은 방향으로 상하로 적층한 경우, 스프링을 완벽히 압축하기 위해 필요한 힘은 하나인 경우보다 두 배가 된다. 스프링 이동길이는 하나의 접시 스프링(68a)의 경우와 동일하다. 두 개의 접시 스프링(68a)이 반대 방향으로 서로 적층된 경우, 접시 스프링(68a)을 완벽히 압축하기 위해 필요한 힘은 하나의 접시 스프링(68a)의 압축할 때와 동일하다. 그러나, 스프링 이동길이는 두 배가 된다. 따라서, 접시 스프링(68a)의 적층을 통해 알맞은 스프링 이동길이와 압축력의 조합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스프링 수단(68)은 코일 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전술한 테두리 표면(34)을 갖는 제2 성형 금형부(20)를 제조하기 위해, 주입 금형(50)의 일 실시예로 중앙부 캐비티(58)의 일면은 플런저(64)의 단면(66)과 접하며, 중앙부 캐비티(58)의 반대면은 제2 주입 금형부(54)의 벽부(80)와 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플런저(64)의 중심축(A) 길이방향에서 보았을 때 플런저(64)에서 제2 주입 금형부(54)로 갈수록 중앙부 캐비티(58)의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중앙부 캐비티(58)를 감싸는 테두리 벽(8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성형 금형부(20)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입 금형(50)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제1 주입 금형부(52)와 제2 주입 금형부(54)를 닫힌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플런저(64)가 상기 스프링 수단(68)에 의해 압력을 받는 위치(가압위치)까지 이동하는 주입 압력으로 적어도 하나의 주입 금형 캐비티(56)에 플라스틱을 주입한다. 다음으로, 중앙부 캐비티(58)에 주입된 플라스틱의 수축을 보완하도록 스프링 수단(68)이 플런저(64)를 중앙부 캐비티(58) 방향으로 압력을 지속적으로 가하면서 플라스틱 주입을 마치고 플라스틱을 경화시킨다.
일 실시예로 주입 금형(50)은 각각의 주입 금형 캐비티(56)에 구비된 제2 멈추개(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멈추개(74)는 가압 위치로부터 주입 금형 캐비티(56)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중지 위치까지 플런저(64)의 이동 범위를 한정한다. 이때, 플라스틱 주입 압력은 플런저(64)가 스프링 수단(68)에 의해 압력을 받으면서 제2 멈추개(7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압력이다. 주입 금형 캐비티(56)에 플라스틱을 충분히 충진하여 주입 금형 캐비티(56)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축을 보완할 수 있다.
성형 금형(10)을 통해 컨택트 렌즈와 안내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성형 금형부(12)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주입 금형(50)으로 제2 성형 금형부(20)를 제작한다. 다음으로, 제1 성형 금형부(12)에 플라스틱을 충진한다. 다음으로, 제2 위치조절 수단(26)이 제1 위치조절 수단(16~18)에 결합되도록 제2 성형 금형부(20)를 제1 성형 금형부(12)에 위치시켜 제1 성형 금형부(12)와 제2 성형 금형부(20)를 서로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플라스틱을 경화시켜 렌즈를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제2 성형 금형부(20)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렌즈가 포함된 패키지를 제1 성형 금형부(12)로터 형성시키기 위해 밀봉재(36)로 밀봉한다.
예를 들어, 밀봉재(36)는 호일(foil)로 이루어져 제1 성형 금형부(12)의 외부 에지(19)를 밀봉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밀봉재(36)는 제1 성형 금형부(12)에 마련된 베이어닛(bayonet) 형태나 나사 형태에 대응되게 결합되는 베이어닛(bayonet) 형태나 나사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밀봉재(36)로 밀봉하기 전에 액체가 제1 성형 금형부(12)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앞에서 제2 성형 금형부(20) 제작을 위한 주입 금형(50)에 관한 주입 주조에 관해 서술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성형 금형부(12)를 제작하기 위해 플런저(64), 스프링 수단(68)이 각각 주입 금형 캐비티(56)에 구비되어 캐비티 내부의 수축을 보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도면과 상세한 설명은 하나의 예시이다. 즉,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속 청구항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청구항의 도면 부호는 청구항 한정의 의미로 사용된 것이 아닌 명확히 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10 : 성형 금형 12 : 제1 성형 금형부
16~18 : 제1 위치조절 수단 20 : 제2 성형 금형부
22 : 중앙부 26 : 제2 위치조절 수단
28 : 베어링 30 : 플렉시블 연결부
36 : 밀봉재 50 : 주입 금형
52 : 제1 주입 금형부 54 : 제2 주입 금형부
56 : 주입 금형 캐비티 64 : 플런저
68 : 스프링 수단

Claims (15)

  1. 컨택트 렌즈 또는 안내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금형(10)으로,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14)과, 제1 위치조절수단(16~18)을 포함하는 제1 성형 금형부(12); 및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14)을 갖는 중앙부(22)와, 상기 제1 위치조절수단(16~18)과 결합되는 제2 위치조절수단(26)이 구비되며 상기 중앙부(22)를 둘러싸게 마련되는 베어링(28)을 포함하는 제2 성형 금형부(20);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위치조절수단(26)은 상기 제1 위치조절수단(16~18)과 결합되어 상기 제1 성형 금형부(12)와 상기 제2 성형 금형부(20)가 서로 포개지는 닫힌 위치로 성형 금형(10)을 유지시키며, 상기 제2 성형 금형부(20)의 중심축(L)은 상기 베어링(28)이 연장된 평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베어링(28)의 중앙과 교차되고,
    상기 제2 성형 금형부(20)는,
    상기 베어링(28)과 상기 중앙부(22) 사이에 연장되어 상기 중앙부(22)를 상기 베어링(28)에 연결시키는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 30a, 30b)의 두께는 중심축(L)이 위치한 상기 중앙부(22) 두께의 0.2배 이하이고,
    상기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 30a, 30b)의 두께는 상기 베어링(28)의 두께의 0.2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금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는,
    바깥 테두리가 상기 베어링(28)에 연결되며, 안쪽 테두리가 상기 중앙부(22)에 연결된 환형의 플라스틱 필름(30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금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는,
    상기 중앙부(22)에 연결되는 제1단부와, 상기 베어링(28)에 연결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스포크(3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금형.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 30a, 30b)의 두께는 중심축(L)이 위치한 상기 중앙부(22) 두께의 0.1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금형.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24)이 마련된 상기 중앙부(22)의 반대면에는 제2 메인 표면(32)이 마련되며, 상기 제2 메인 표면(32)은 상기 제2 성형 금형부(20)의 중심축(L)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중앙부(22)에는 상기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24)과 상기 제2 메인 표면(32) 사이에 연장된 테두리 표면(34)이 마련되며, 상기 테두리 표면(34)은 상기 중앙부(22)의 직경이 상기 중심축(L)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메인 표면(32)에서 상기 중앙부(22)의 상기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24)으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금형.
  6. 제1 항에 따른 성형 금형(10)의 제2 성형 금형부(20)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성형 금형부(20)는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14)을 갖는 중앙부(22)와, 상기 중앙부(22)를 둘러싸게 마련되는 베어링(28)과, 상기 베어링(28) 및 상기 중앙부(22)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중앙부(22)와 상기 베어링(28)을 연결하는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a, 30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성형 금형부(20)의 중심축(L)은 상기 베어링(28)이 연장된 평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베어링(28)의 중앙과 교차되고,
    상기 방법은,
    제1 주입 금형부(52),
    제2 주입 금형부(54)
    가 마련된 주입 금형(50)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입 금형부(52)와 상기 제2 주입 금형부(54)는, 서로 결합되는 닫힌 위치에서, 상기 제2 성형 금형부(20)를 제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입 금형 캐비티(56)를 정의하고,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56) 각각은,
    상기 중앙부(22)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중앙부 캐비티(58),
    상기 중앙부 캐비티(58)를 둘러싸고 상기 중앙부(22)를 둘러싸는 상기 베어링(28)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베어링 캐비티(60),
    상기 중앙부 캐비티(58)를 상기 베어링 캐비티(60)에 연결하는 연결 캐비티(6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캐비티(62)는 상기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a, 30b)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앙부 캐비티(58), 상기 베어링 캐비티(60) 및 상기 연결 캐비티(62)는 상기 성형 금형(10)의 제조된 결과적인 상기 제2 성형 금형부(20)의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a, 30b)의 두께가 상기 중심축(L)이 위치한 상기 중앙부(22) 두께의 0.2배 이하이고, 상기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a, 30b)의 두께는 상기 베어링(28)의 두께의 0.2배 이하가 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56) 각각을 위한 상기 주입 금형(50)에는,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56)에 결합되고 중심축 방향(A)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주입 금형부(52)에 장착되는 플런저(64) - 상기 플런저(64)에는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56)를 마주하면서 상기 중앙부 캐비티(58)의 경계를 이루는 단면(66)이 마련됨 -, 및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56)에 마련되며, 그 스프링 작용이 눌러진 위치 쪽으로 상기 플런저(64)를 상기 중앙부 캐비티(58)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하는 스프링 수단(68)
    이 마련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주입 금형부(52)와 상기 제2 주입 금형부(54)를 상기 닫힌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플런저(64)가 스프링 작용에 대해 눌러진 위치로부터 이동되도록 하는 압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입 금형 캐비티(56)에 플라스틱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부 캐비티(58)에 주입된 상기 플라스틱의 수축을 보완하도록 상기 스프링 수단(68)이 상기 플런저(64)를 상기 중앙부 캐비티(58) 방향으로 압력을 지속적으로 가하도록 하면서 상기 플라스틱의 주입을 마치고 상기 플라스틱을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성형 금형부를 제조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금형(50)은,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56) 각각에 대해, 해당 주입 금형 캐비티(56)와 연계되는 제2 멈추개(74) - 상기 눌러진 위치로부터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56)로부터 이격된 중지 위치까지의 상기 플런저(64)의 이동에 대한 경계를 형성함 -가 마련되며,
    상기 플라스틱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입 금형 캐비티(56)에 주입되는 압력은 상기 플런저(64)를 상기 스프링 수단(68)의 스프링 작용에 대하여 상기 제2 멈추개(74)에 대해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성형 금형부를 제조하는 방법.
  8. 제6 항에 따른 방법에서의 상기 성형 금형(10)의 상기 제2 성형 금형부(20)를 형성함에 있어서의 사용을 위한 주입 금형(50)에 있어서,
    상기 제2 성형 금형부(20)는 광학적으로 한정된 표면(14)을 갖는 중앙부(22)와, 상기 중앙부(22)를 둘러싸게 마련되는 베어링(28)과, 상기 베어링(28) 및 상기 중앙부(22)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중앙부(22)와 상기 베어링(28)을 연결하는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a, 30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성형 금형부(20)의 중심축(L)은 상기 베어링(28)이 연장된 평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베어링(28)의 중앙과 교차되고,
    상기 주입 금형(50)에는,
    제1 주입 금형부(52);
    제2 주입 금형부(54);
    상기 제1 주입 금형부(52)와 상기 제2 주입 금형부(54)가 서로 결합되는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캐비티가 형성되는, 상기 제2 성형 금형부(20)를 제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입 금형 캐비티(56)
    가 마련되고,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56) 각각은,
    상기 중앙부(22)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중앙부 캐비티(58),
    상기 중앙부 캐비티(58)를 둘러싸고 상기 중앙부(22)를 둘러싸는 상기 베어링(28)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베어링 캐비티(60),
    상기 중앙부 캐비티(58)를 상기 베어링 캐비티(60)에 연결하는 연결 캐비티(6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캐비티(62)는 상기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a, 30b)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앙부 캐비티(58), 상기 베어링 캐비티(60) 및 상기 연결 캐비티(62)는 상기 성형 금형(10)의 제조된 결과적인 상기 제2 성형 금형부(20)의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a, 30b)의 두께가 상기 중심축(L)이 위치한 상기 중앙부(22) 두께의 0.2배 이하이고, 상기 박벽 플렉시블 연결부(30a, 30b)의 두께는 상기 베어링(28)의 두께의 0.2배 이하가 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56) 각각을 위한 상기 주입 금형(50)에는,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56)에 결합되고 중심축 방향(A)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주입 금형부(52)에 장착되는 플런저(64) - 상기 플런저(64)에는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56)를 마주하면서 상기 중앙부 캐비티(58)의 경계를 이루는 단면(66)이 마련됨 -, 및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56)에 마련되며, 그 스프링 작용이 눌러진 위치 쪽으로 상기 플런저(64)를 상기 중앙부 캐비티(58)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하는 스프링 수단(68)
    이 마련되는, 주입 금형.
  9. 제8 항에 있어서,
    주입 금형 캐비티(56) 각각에 대해, 해당 주입 금형 캐비티(56)와 연계되는 제1 멈추개(70) - 상기 눌러진 위치쪽으로의 상기 플런저(64)의 이동에 대한 경계를 형성함 -를 포함하는, 주입 금형.
  10.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56) 각각에 대해, 해당 주입 금형 캐비티(56)와 연계되는 제2 멈추개(74) - 상기 눌러진 위치로부터 상기 주입 금형 캐비티(56)로부터 이격된 중지 위치까지의 상기 플런저(64)의 이동에 대한 경계를 형성함 -를 포함하는, 주입 금형.
  11.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68)은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접시 스프링(68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금형.
  12.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 캐비티(58)의 일면은 상기 플런저(64)의 단면(66)과 접하며, 상기 중앙부 캐비티(58)의 반대면은 상기 제2 주입 금형부(54)의 벽부(80)와 접하고,
    상기 플런저(64)의 중심축(A) 길이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플런저(64)에서 상기 제2 주입 금형부(54)로 갈수록 상기 중앙부 캐비티(58)의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상기 중앙부 캐비티(58)의 테두리 벽(8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금형.
  13. 제1 항에 따른 성형 금형(10)의 제1 성형 금형부(12)를 제공하는 단계;
    제8 항에 따른 주입 금형(50)을 사용하고, 제6 항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성형 금형(10)의 제2 성형 금형부(20)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성형 금형부(12)에 플라스틱을 충진하는 단계;
    제2 위치조절 수단(26)이 제1 위치조절 수단(16~18)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성형 금형부(20)를 상기 제1 성형 금형부(12)에 위치시켜 상기 제1 성형 금형부(12)와 상기 제2 성형 금형부(20)를 서로 포개는 단계;
    상기 성형 금형(10) 내에서 상기 플라스틱을 경화시켜 렌즈(92)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성형 금형부(20)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성형 금형부(12) 및 밀봉재(36)로부터 상기 렌즈(92)가 포함된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밀봉재(36)로 상기 렌즈(92)가 위치되는 상기 제1 성형 금형부(12)를 밀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및 안내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36)로 밀봉하기 이전에 액체를 상기 제1 성형 금형부(12) 내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및 안내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15. 삭제
KR1020147000098A 2011-06-09 2012-06-11 컨택트 렌즈 또는 안내 렌즈를 제조하는 성형 금형 및 방법 KR101854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06921A NL2006921C2 (nl) 2011-06-09 2011-06-09 Gietmal voor het vervaardigen van contactlenzen of intra-oculaire lenzen.
NL2006921 2011-06-09
PCT/NL2012/050404 WO2012169894A1 (en) 2011-06-09 2012-06-11 Cast mou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ct or intraocular len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780A KR20140081780A (ko) 2014-07-01
KR101854494B1 true KR101854494B1 (ko) 2018-05-03

Family

ID=4639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098A KR101854494B1 (ko) 2011-06-09 2012-06-11 컨택트 렌즈 또는 안내 렌즈를 제조하는 성형 금형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919485B2 (ko)
EP (1) EP2718092B1 (ko)
JP (1) JP5981536B2 (ko)
KR (1) KR101854494B1 (ko)
CN (1) CN103796820B (ko)
CA (1) CA2838580C (ko)
NL (1) NL2006921C2 (ko)
WO (1) WO20121698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5017111A2 (pt) * 2013-02-01 2017-07-11 Lenswista Ag lente intraocular revestida e sua fabricação
US9352493B2 (en) 2013-02-08 2016-05-3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asting cup assembly for forming an ophthalmic device
NL2010675C2 (en) * 2013-04-19 2014-10-21 Innovalens B V Intraocular lens package and method for packaging an iol.
CN113507879A (zh) * 2018-10-13 2021-10-15 普瑞文塔医疗公司 用于改善眼部诊断、疾病管理和手术的照明接触镜和系统
CN115816767A (zh) * 2022-11-10 2023-03-21 浙江赛豪实业有限公司 一种注塑模具的保压收缩补偿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3732A (ja) 2001-03-19 2002-09-25 Menicon Co Ltd コンタクトレンズ用成形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8526547A (ja) * 2004-12-30 2008-07-24 ボシュ・アンド・ロ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集成光学成形型
NL1033905C2 (nl) * 2007-05-29 2008-12-02 Otb Groep B 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contactlenzen, gietmal voor gebruik in een dergelijke inrichting, contactlensverpakking en contactlens vervaardigd met een dergelijke werkwijze.
KR101033905B1 (ko) * 2010-09-10 2011-05-11 (주) 삼지매트 인조잔디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55774A (fr) * 1963-02-08 1964-03-20 Perfectionnements aux moules de fabrication par injection d'articles épais en matière plastique
US3806079A (en) * 1969-07-15 1974-04-23 Beattie Dev Co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molding a plurality of plastic lenses
US4095772A (en) * 1977-05-13 1978-06-20 Weber Hermann P Casting apparatus for plastic lenses
JPS5953858B2 (ja) * 1978-05-13 1984-12-27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度付レンズの成形方法
GB2050928A (en) 1979-05-23 1981-01-14 Omnite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ophthalmic lenses without spoilation
US4681295A (en) * 1983-05-26 1987-07-21 International Hydron Corporation Tricurve optical metal master mold and method of making
GB8508247D0 (en) * 1985-03-29 1985-05-09 Sola Int Holdings Contact lenses
JPS63160813A (ja) 1986-12-25 1988-07-04 Olympus Optical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ES2096846T3 (es) * 1988-11-02 1997-03-16 British Tech Group Moldeo y envase de lentes de contacto.
US5114334A (en) * 1988-12-02 1992-05-19 Borislav Boskovic Spring plunger
US5254000A (en) * 1992-04-23 1993-10-19 Corning Incorporated Organic polymer lens mold
CA2145683C (en) * 1992-09-29 1999-03-30 William J. Appleton Method of making plastic molds and process for cast molding contact lenses
US5352398A (en) * 1993-05-06 1994-10-04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a cap to a mold core
US5545366A (en) * 1994-06-10 1996-08-13 Lust; Victor Molding arrangement to achieve short mold cycle time and method of molding
US5540410A (en) 1994-06-10 1996-07-30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Mold halves and molding assembly for making contact lenses
US5620720A (en) * 1994-11-29 1997-04-15 Allergan Cast molding of intraocular lenses
US5716540A (en) * 1996-02-09 1998-02-10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enter gated lens molds for contact lens manufacture
ATE287328T1 (de) 1999-03-31 2005-02-15 Novartis Pharma Gmbh Giessform zur herstellung von kontaktlinsen
DE60035666T2 (de) * 1999-09-01 2008-05-21 Tomey Corp., Nagoya Verfahren und gerät zum herstellen von kontaktlinsenteilen und dafür benutzte spritzgussform
US6368522B1 (en) * 2000-01-03 2002-04-0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old for forming a contact lens and method of preventing formation of small strands of contact lens material during contact lens manufacture
US6808381B2 (en) * 2001-02-20 2004-10-26 Q2100, Inc. Apparatus for preparing an eyeglass lens having a controller
JP2003071874A (ja) 2001-08-31 2003-03-12 Menicon Co Ltd 略円環板状乃至は略円板状の薄肉部を備えた樹脂製品の射出成形用金型と射出成形方法
US7585167B2 (en) * 2004-12-30 2009-09-08 Bausch + Lomb Incorporated Core locking assembly and method for orientation of asymmetric tooling
US7731873B2 (en) 2005-08-09 2010-06-08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Contact lens mold assembli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US7320515B2 (en) 2005-11-18 2008-01-22 Tony Optical Enterprise Co., Ltd. Polarized optical lens
KR100874387B1 (ko) 2006-06-13 2008-1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둘 이상의 작동 전압을 제공하는 중첩식 이차전지
CN101380802B (zh) 2007-09-06 2012-03-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注塑模具
US8070475B2 (en) * 2007-12-31 2011-12-06 Bausch & Lomb Incorporated Casting mold for forming a biomedical device including an ophthalmic device
US8313675B2 (en) * 2009-08-31 2012-11-20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Demolding of ophthalmic lenses during the manufacture thereof
CN101791864B (zh) 2010-03-16 2013-04-03 江苏海伦隐形眼镜有限公司 一种软性隐形眼镜镜片的成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3732A (ja) 2001-03-19 2002-09-25 Menicon Co Ltd コンタクトレンズ用成形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8526547A (ja) * 2004-12-30 2008-07-24 ボシュ・アンド・ロ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集成光学成形型
NL1033905C2 (nl) * 2007-05-29 2008-12-02 Otb Groep B 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contactlenzen, gietmal voor gebruik in een dergelijke inrichting, contactlensverpakking en contactlens vervaardigd met een dergelijke werkwijze.
KR101033905B1 (ko) * 2010-09-10 2011-05-11 (주) 삼지매트 인조잔디 구조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8-526547호(2008.07.24.)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8092A1 (en) 2014-04-16
KR20140081780A (ko) 2014-07-01
CA2838580A1 (en) 2012-12-13
US10889036B2 (en) 2021-01-12
JP2014516003A (ja) 2014-07-07
WO2012169894A1 (en) 2012-12-13
NL2006921C2 (nl) 2012-12-11
CN103796820A (zh) 2014-05-14
US20180162080A1 (en) 2018-06-14
US9919485B2 (en) 2018-03-20
CN103796820B (zh) 2016-08-17
JP5981536B2 (ja) 2016-08-31
EP2718092B1 (en) 2018-12-05
CA2838580C (en) 2019-01-29
US20140252667A1 (en) 201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494B1 (ko) 컨택트 렌즈 또는 안내 렌즈를 제조하는 성형 금형 및 방법
JP4335811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成形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CN109922947B (zh) 制造具有嵌入箔的透镜的方法
TW20113064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lens and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machine
US9186831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of a form part
JPS6012203B2 (ja) フラツシユレス金型装置
KR20110115391A (ko) 플라스틱 렌즈, 렌즈 모듈, 및 렌즈 사출 금형
TWI503580B (zh) 成形模具、薄片狀透鏡以及光學透鏡之製造方法
WO2010050290A1 (ja) ウエハ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ウエハレンズ
KR20110108915A (ko) 캐비티를 형성하는 무빙 코어를 갖는 사출압축성형용 금형
JP5479704B2 (ja) 2色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MXPA01005387A (es) Manufactura de lentes oftalmicas de aumento positivo.
EP289271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insert for an injection mold for manufacturing an ophthalmic device
WO2013145754A1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光学レンズ成形用型の製造方法
JP2003071874A (ja) 略円環板状乃至は略円板状の薄肉部を備えた樹脂製品の射出成形用金型と射出成形方法
JP2009248442A (ja) 成形金型
CN211440840U (zh) 接触透镜模压成型模具
JP4936935B2 (ja) プラスチック製光学素子の樹脂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方法
CN116079990A (zh) 光固化模具及注塑成型方法
JP2023056889A (ja) 金属樹脂複合体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金型セット、および方法
EP2505333A1 (en) Injection molding die and resin molded product
JP2005131834A (ja) 射出成形用金型装置と射出成形方法
JPH03162924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成形法と成形用金型
JPH0392316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とその製造方法
JP2017015818A (ja) 光学部材の成形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