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206B1 - 은폐 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은폐 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206B1
KR101843206B1 KR1020127019962A KR20127019962A KR101843206B1 KR 101843206 B1 KR101843206 B1 KR 101843206B1 KR 1020127019962 A KR1020127019962 A KR 1020127019962A KR 20127019962 A KR20127019962 A KR 20127019962A KR 101843206 B1 KR101843206 B1 KR 101843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ulate material
coating
delete delete
film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0938A (ko
Inventor
제임스 닐 프라이어
드미트리우스 미초스
Original Assignee
더블유.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filed Critical 더블유.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Publication of KR20120120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29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r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polyvinylmethyl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피부 관리 제품(예를 들면, 피부 크림)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이 개시된다. 피부 관리 제품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의 제조 및 사용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은폐 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COMPOSITIONS FOR FORMING OBSCURATION FILM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용 관리 제품(예를 들면, 스킨 크림)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장용 관리 제품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의 제조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름 및 그 밖의 피부 결함을 감출 수 있는 화장 크림이 널리 사용된다. 어떤 크림은 물리적으로 피부의 함몰된 부분을 채워 매끄러운 피부로 보이게 함으로써 이 일을 달성한다. 주름 및 그 밖의 피부 결함을 감추는 추가의 방법은 피부 표면에 막을 만드는 것으로, 이는 광 확산을 통해 결함을 가릴 수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막에 있는 입자들은 빛을 산란시켜 밑에 있는 피부에서 확산 외양을 보이게 한다. 이런 확산 외양으로 인해, 매끄러운 피부라고 인식하게 되고, 원치 않는 피부 결함이 감춰진다.
광 확산 안료를 화장품에 사용하는 것은 문헌[Quantification of the Soft Focus Effect, Cosmetics & Toiletries, (Ralf Emmert), vol. 111 , pp. 57-61 (1996)](이하, "에머트 논문")에 기술되어 있다. 에머트 논문에서, 광 확산 화장품 내 실리카의 사용은 실리카의 굴절률(RI = 1.46)이 화장 오일의 굴절률(RI = 1.45-1.60)과 유사하다는 것 때문에 권장되지 않았다. 목적하는 광학 효과(즉, 최대 광 산란)를 얻기 위해 비히클(vehicle)과 입자간에 굴절률의 차이가 커야한다는 통상적인 생각은 에머트 논문과 일치했다.
게다가, 광 확산 안료의 사용에 대한 통상적인 생각은 막 내 광 산란을 극대화하기 위해 광 확산 안료를 조성물에 담지시키는 것이었다. 도 1에서 이러한 원리를 도시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시적인 막(10)은 광 확산 안료/입자(12)가 내부에 분산된 비히클 매트릭스(11)를 포함한다. 빛(13)이 상부 표면(14)을 통해 막(10)으로 입사되면, 광 확산 안료/입자가 화살표(15)와 같이 빛(13)을 산란시킨다. 상부 표면(14)의 표면이 매끄러운 경우, 예시적인 막(10) 내에서 일어나는 막 내 광 산란의 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광 산란이 상부 표면(14)에서 일어난다.
주름 및 그 밖의 피부 결함을 감추기 위한 새로운 방법들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막이나 코팅 두께와 관계없이 목적하는 은폐 특성을 갖는 막과 코팅을 제조하기 위해 쉽게 제형화되는 은폐 조성물을 개발하려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주름 및 그 밖의 피부 결함을 감출 수 있는 화장용 관리 제품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의 발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으나, 특히 주름 및 그 밖의 결함을 가릴 수 있는 화장 관리 제품(즉, 피부 및 케라틴성 기질에 도포되는 조성물)으로서 유용하다.
개시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성분 및 하나 이상의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 이내의 미립자 물질(예를 들면, 금속 산화물 입자, 중합체 입자, 등)을 포함한다. 기질(예를 들면, 피부 또는 케라틴성)에 도포되는 경우, 개시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기질 안의 주름 및 그 밖의 결함을 은폐할 수 있는 연속적이고 투명한 막을 형성하면서 상기 막을 통해 자연스러운 기질 톤(예를 들면, 자연스러운 피부 톤)을 보이게 한다. 또한, 연속적이고 투명한 막은 거친 최외곽 표면을 가짐으로써 막 표면에서의 광 산란을 가능하게 하고 막 내 광 산란에 의존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코팅은 투명하여, 바람직한 은폐 효과를 여전히 제공하면서 기질이 가시적이다.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의 사용은, 상기 코팅 조성물이,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소정 %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광학 성능비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최대 광학 성능비의 30% 이내의 범위의 광학 성능비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생성한다.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의 사용은, 상기 코팅 조성물이,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소정 %의 미립자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코팅이 약 4.0 이상의 광학 성능비를 갖는 것으로 또한 밝혀졌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생성한다.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의 사용은, 상기 코팅 조성물이,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소정 중량%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다공도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다공도보다 30% 적거나 큰 범위의 다공도를 갖는 것으로 또한 밝혀졌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생성한다.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의 사용은, 상기 코팅 조성물이,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중량%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L 값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L 값보다 20% 적거나 큰 범위의 L 값을 갖는 것으로 또한 밝혀졌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생성한다.
여러가지 미립자 물질이 본 발명의 은폐 조성물과 막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조성물/막에 존재하는 비-휘발성 성분의 굴절률과 비슷한 굴절률을 가지는 입자의 사용이 생성 막에서 개선된 은폐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막 내 입자는 광 산란제로서 실질적으로 비효과적이다. 하지만, 적당한 양의 비-휘발성 물질이 막 내로 혼입될 때, 생성 막은 막의 평탄하지 않은(즉, 거친) 최외곽 표면의 결과로서 투과광을 산란시키기 때문에 목적하는 은폐 특성을 가진다. 막의 최외곽 표면으로 광 산란을 제한함으로써, 막의 은폐 특성은 막 두께와 관계가 없다. 따라서, 피부에 도포되는 막은, 막 두께가 특히 균일하지 않더라도, 바람직하게는 은폐 및 반사율 모두에 있어서 피부에 매우 균일한 외양을 제공한다.
막 내 광 산란에 대해 막의 최외곽 표면에서의 광 산란에서 얻어지는 추가의 이익은, 거친 막의 은폐 특성이 막 내 광 산란이 지배적인 메커니즘인 막에 비해 막 조성물 내 입자의 농도에 덜 의존적이라는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성물/막 포뮬레이터를 더 자유롭게 만들어 (1) 주어진 조성물내의 미립자 물질의 양을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 그 밖의 성분들(예를 들면, 완화제, 향수, 가용성 중합체 등)을 주어진 조성물 내에 혼입할 수 있게 한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양태는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코팅은,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광학 성능비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최대 광학 성능비의 30% 이내의 범위의 광학 성능비를 갖도록 하는 %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한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코팅을 생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은폐 코팅 조성물은 다양한 기질, 예컨대 피부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 생물 및 무생물 기질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는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코팅이 4.0 이상의 광학 성능비를 갖도록 하는 %의 미립자 물질을 포함한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코팅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예시적 실시양태는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코팅은,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다공도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다공도보다 30% 적거나 큰 범위의 다공도를 갖도록 하는 중량%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탈이온수, 습윤제, 완화제, 향수, 가용성 중합체, 고체화된 중합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는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코팅은,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L 값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L 값보다 20% 적거나 큰 범위의 L 값을 갖도록 하는 중량%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표면 결함을 은폐할 수 있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코팅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상기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광학 성능비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최대 광학 성능비의 30% 이내의 범위의 광학 성능비를 갖도록 하는 %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한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코팅을 생성한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코팅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코팅이 4.0 이상의 광학 성능비를 갖도록 하는 %의 미립자 물질을 포함한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코팅을 생성한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코팅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상기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다공도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다공도보다 30% 적거나 큰 범위의 다공도를 갖도록 하는 중량%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탈이온수, 습윤제, 완화제, 향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성분을 혼합물에 혼입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코팅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상기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L 값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L 값보다 20% 적거나 큰 범위의 L 값을 갖도록 하는 중량%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탈이온수, 습윤제, 완화제, 향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성분을 혼합물에 혼입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기질, 및 상기 기질 외면 상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층 제품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층 제품은 피부 외면을 갖는 피부; 및 상기 피부 외면 상의 본원에 개시된 은폐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과 장점 및 다른 특징과 장점은, 개시된 실시양태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를 검토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막 내 광 산란을 최대화하기 위한 예시적인 통상의 광 확산 안료/입자 담지 막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입자 또는 미립자 물질 담지 막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상이한 미립자 물질 담지율을 갖는 코팅 또는 막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입자 또는 미립자 물질 담지 막에 대한 광학 성능비 측정치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입자 또는 미립자 물질 담지 막에 대한 광학 성능비 측정치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입자 또는 미립자 물질 담지 막에 대한 다공도 측정치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입자 또는 미립자 물질 담지 막에 대한 L 값 측정치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대한 설명이 뒤따르고, 특정 용어를 사용하여 특정 실시양태를 설명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용어의 사용이 본 발명의 범주를 임의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논의되는 본 발명의 원리의 변경, 추가의 개조 및 추가의 적용은 당분야의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원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사용된 단수형 표현은 문맥에서 명확하게 다르게 기재되지 않는 한 복수의 대상물을 포함함에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예컨대 단수형 "산화물"에 관한 것은 복수의 산화물을 포함하고, "산화물"에 관한 것은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하나 이상의 산화물 및 이의 균등물 등에 관한 것을 포함한다.
본원의 실시양태를 기재하는 데 사용된, 예컨대 조성물 중의 성분의 양, 농도, 부피, 가공 온도, 가공 시간, 회수율 또는 수율, 유속 및 유사한 값, 및 이들의 범위를 수식하는 "약"은, 예컨대 전형적 측정 및 조작 절차; 이러한 절차에서의 우연적 오차;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된 성분상의 차이; 및 유사한 근사적 고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수량에서의 변이를 의미한다. 용어 "약"은 또한 특정 초기 농도 또는 혼합물을 갖는 제형의 시효에 의해 차이나는 양, 및 특정 초기 농도 또는 혼합물을 갖는 제형의 혼합 또는 가공에 의해 차이나는 양을 포함한다. 용어 "약"에 의해 수식되든지 안 되든지, 본원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이들 양에 대한 균등 범위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막 다공도"는 유리 상에 형성된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막의 내부 다공도를 의미하며, ASTM D6583-04에 의해 측정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유체"는 기체, 액체 및 초임계 유체를 의미하며, 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인 유체를 포함하며, 천연 및 합성인 것이다. 예로는, 오일, 용매, 물, 중합체, 왁스, 글리세린, 기타 액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L 값"은 본원에 정의된 막 또는 코팅의 불투명도의 척도를 의미한다. 투명 막의 L 값은 불투명 막의 L 값보다 낮을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금속 산화물"은 금속이 양이온이고 산화물이 음이온인 2원 산소 화합물로 정의된다. 또한 금속은 준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은 주기율표상의 붕소로부터 폴로늄으로 그어지는 사선의 좌측에 있는 원소들을 포함한다. 준금속 또는 반금속은 상기 사선 우측에 존재하는 원소들을 포함한다. 금속 산화물의 예는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광학 성능비"는 총 반사도에 대한 확산 투과율의 비를 의미하고, 물질 또는 코팅의 은폐력 및 투명도의 척도이다.
본원에 사용된 "유기" 물질은, 탄소 함량을 포함한 화합물이나 물질을 포함하고 천연이나 합성일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는 천연 및/또는 합성 중합체일 수 있고, 생체중합체, 불소중합체, 폴리터펜, 페놀계 수지, 폴리무수물, 폴리에스터, 폴리올레핀, 고무, 실리콘, 고흡수성 중합체, 비닐중합체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 물질의 예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마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은폐"는 막 또는 코팅을 사용하여 비평탄한 또는 불완전한 기질 표면 형태를 가리는 것을 의미하고,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미립자 물질"은 예컨대 콜로이드성 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용액 중합 공정, 예컨대 융합 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 화염 가수분해 기법, 예컨대 겔화 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겔화 기법 및 예컨대 침전 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침전 기법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공지의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다공성 또는 비-다공성 입자를 의미한다. 입자는 유기 및/또는 무기 물질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입자는 금속 산화물, 설파이드, 하이드록사이드, 카보네이트, 실리케이트, 포스페이트 등의 무기 물질로 구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금속 산화물이다. 입자는 사슬, 봉 또는 래쓰(lath) 모양을 비롯한 다양한 상이한 대칭, 비대칭 또는 불규칙한 모양일 수 있다. 입자는 비정질 또는 결정질 등을 비롯한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입자는 상이한 조성, 크기, 모양 또는 물리적 구조를 비롯한 입자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는 상이한 표면 처리를 제외하고는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속 산화물 입자는 비정질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다공성 입자"는, 질소 다공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시 유의한 내부 다공도, 즉 약 0.05 cc/g보다 큰 다공도를 가지는 입자를 말하고, "비-다공성"이란 용어는 내부 다공도를 거의 갖지 않거나 아예 없는, 즉 0.05 cc/g 미만의 내부 다공도를 가지는 입자를 의미한다. 다공성 입자의 예는 실리카 겔, 침전 실리카, 발연 실리카, 베마이트 알루미나 등을 포함하고, 비-다공성 입자의 예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광 산란" 또는 그 밖의 전자기 복사선은 전파 매질 또는 표면이나 두 매질 사이의 계면의 불규칙성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 광선이 편향되는 것을 의미한다. 표면이나 계면으로부터의 산란은 또한 난반사로도 불릴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실질적으로"는 적정한 양 이내를 의미하나, 절대값의 약 0% 내지 약 50%, 약 0% 내지 약 40%, 약 0% 내지 약 30%, 약 0% 내지 약 20% 또는 약 0% 내지 약 10%의 다양한 양을 포함한다.
개시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성분 및 하나 이상의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 이내의 미립자 물질(예를 들면, 실리카 입자)을 포함한다. 기질(예를 들면, 피부 또는 케라틴성)에 도포되는 경우, 개시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기질 안의 주름 및 그 밖의 결함을 은폐할 수 있는 연속적이고 투명한 막을 형성하면서 상기 막을 통해 자연스러운 기질 톤(예를 들면, 자연스러운 피부 톤)을 보이게 한다. 또한, 연속적이고 투명한 막은 거친 최외곽 표면을 가짐으로써 막 표면에서의 광 산란을 가능하게 하고 막 내 광 산란에 의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i) 미립자 물질, 및 (ii)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i) 미립자 물질, 및 (ii)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기질 상에 코팅 또는 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코팅 또는 막은 (i) 미립자 물질, 및 (ii)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코팅 또는 막, 코팅된 기질, 및 기질 예컨대 피부 상의 개시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층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코팅에 관한 기술에서 이전에 다루지 않았던 하나 이상의 이익 및/또는 기술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개시된 조성물 및 생성 코팅은 (i) 미립자 물질, 및 (ii)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1) 목적하는 정도의 막 다공도, (2) 목적하는 정도의 투명도 및 (3) 목적하는 정도의 은폐 특성을 갖는 코팅 및 막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양으로 사용한다.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의 사용은, 상기 코팅 조성물이,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소정 %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광학 성능비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최대 광학 성능비의 30%(또는 25%, 20%, 15%, 10%, 또는 심지어 5%) 이내의 범위의 광학 성능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밝혀졌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생성한다.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의 사용은, 상기 코팅 조성물이,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소정 %의 미립자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팅이 4.0(또는 4.5, 5.0, 5.5 또는 심지어 6.0) 이상의 광학 성능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밝혀졌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생성한다.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사용은, 상기 코팅 조성물이,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소정 중량%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다공도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다공도보다 30%(또는 25%, 20%, 15%, 10%, 또는 심지어 5%) 적거나 큰 범위의 다공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또한 밝혀졌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생성한다.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사용은, 상기 코팅 조성물이,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소정 중량%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L 값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L 값보다 20%(또는 15%, 10%, 또는 심지어 5%) 적거나 큰 범위의 L 값을 갖는 것으로 또한 밝혀졌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생성한다.
예시적 조성물 및 조성물 성분이 후술된다.
I.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많은 개별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 성분 및 개별 성분들의 조합이 후술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조성물의 유형이 또한 후술된다.
A. 조성물 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 성분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 미립자 물질
본 발명의 조성물은 0 초과의 입자간 및/또는 입자내 다공도 값을 갖는 미립자 물질을 포함한다. 0 초과의 입자간 및/또는 입자내 다공도 값을 갖는 적합한 미립자 물질은 알루미나, 질화붕소, 나일론, 실리카, 실리카/티타니아 복합체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미립자 물질은 다공성이거나 비-다공성이고, 수성 및 비-수성 유체를 포함하는 분말 또는 슬러리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미립자 물질은, 예를 들면 입자 조성, 입자 다공도의 정도 및 입자 응집도에 따라 0 초과의 입자간 및/또는 입자내 다공도 값을 갖는다. 예를 들면, 입자가 유의한 다공도를 갖지 않는 경우(예컨대 금속 산화물 콜로이드 입자), 상기 미립자 물질은 바람직한 막 다공도를 부여하기 위해 측정가능한 입자간다공도를 가질 수 있다. 다공성 입자가 사용되는 실시양태에서, 막 이내의 다공도는 입자간 및 입자내 다공도로부터 생성되고, (1) 내부 입자 다공도 및 (2) 입자가 괴상체를 형성하는 경향에 의존하여 변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금속 산화물 미립자 물질은 침전 금속 산화물(예를 들면,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등), 금속 산화물 겔 또는 발연 금속 산화물과 같은 다공성 물질을 포함한다. 당해 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더 큰 입자로 자랄 수 있는 1차 입자의 씨드(seed)를 먼저 형성하고, 뒤이어 응집이 일어나고, 그 후 이러한 응집물의 괴상화를 통하여, 물유리와 산 간의 반응에서 침전 실리카가 형성된다. 반응 조건에 따라, 이 괴상체는 소위 '보강재'에 의해 더욱더 크게 자랄 수 있다. 특정 괴상체 크기 및 농도에서, 수성 실리카는 반응 슬러리에서 침전물로 가라앉기 시작한다. 함수 실리카를 슬러리로부터 분리하고 조질 실리카로부터 반응 전해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침전물을 슬러리로부터 여과하고 세척한다. 그 후 생성 필터케이크(filtercake)를 당해 분야에 알려진 건조 장비를 이용하여 건조한다. 건조 방법과 정도에 따라, 실리카 구조체는 비가역적인 Si-O-Si-결합이 초기 실라놀 기로부터 형성되는 건조 단계 동안 강화될 것이다. 침전 금속 산화물의 제조 방법은 그 전체의 발명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제 7,037,475 B1 호; 제 5,030,286 호 및 제 4,157,920 호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콜로이드성 금속 산화물 입자는 1차 입자, 성장 입자, 응집된 입자, 괴상 입자 또는 위에서 서술된 일반적인 금속 산화물 침전 과정의 필터케이크로부터 유래된다.
무기 산화물 겔의 제조 방법은 당해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그 전체의 발명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제 6,380,265 호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실리카 겔은 알칼리 금속 규산염(예를 들면, 규산 나트륨) 수용액을 질산이나 황산과 같은 강산과 약 반 시간 미만 내에 하이드로겔(즉, 매크로겔)로 되는 투명 실리카 졸을 형성하기 위한 적합한 교반 조건하에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그 후 생성 겔을 세척한다. 하이드로겔로 형성되는 무기 산화물, 즉 Si02의 농도는 주로 약 10 내지 약 50 중량% 범위이고, 이때 상기 겔의 pH는 약 1 내지 약 9, 바람직하게 1 내지 약 4이다. 넓은 범위의 혼합 온도가 사용될 수 있고, 이 범위는 전형적으로 약 20 내지 약 50℃이다. 새로 형성된 하이드로겔은 원하지 않는 염을 침출시키는 연속적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에 담금으로써 간단히 세척되고, 이는 약 99.5 중량% 또는 더 순수한 무기 산화물을 남긴다. 세척수의 pH, 온도, 지속시간은 실리카의 물리적 특성, 예를 들어 표면적(SA)과 기공 부피(PV)에 영향을 줄 수 있다. 65 내지 90℃ 및 pH 8 내지 9에서 15 내지 36 시간 동안 세척된 실리카 겔은 주로 250 내지 400의 SA를 갖게 되고 1.4 내지 1.7 cc/g의 PV를 갖는 에어로겔을 형성한다. 50 내지 65℃ 및 pH 3 내지 5에서 15 내지 25시간 동안 세척된 실리카 겔은 주로 700 내지 850의 SA를 갖게 되고 0.6 내지 1.3 cc/g의 PV를 갖는 에어로겔을 형성한다. 이러한 측정은 N2 다공도 분석에 의해 얻어진다. 알루미나와 같은 무기 산화물 겔 및 실리카/알루미나 코겔(cogel)과 같은 혼합된 무기 산화물 겔의 제조 방법은 또한 당해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겔의 제조 방법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제 4,226,743 호에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나 겔은 알칼리 금속 알루미네이트와 황산 알루미늄을 혼합하여 만들어진다. 코겔은 두 금속 산화물을 함께 겔화시키고 상기 겔들을 함께 합성시켜 제조된다. 예를 들면, 실리카 알루미나 코겔은 알칼리 금속 규산염을 산 또는 산 염과 함께 겔화하고, 그 후 알칼리 금속 알루미네이트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시효시킨 후에 황산 알루미늄을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 후 겔은 통상적인 기술을 이용하여 세척된다.
미립자 물질이 다공성 입자를 포함하는 실시양태에서, 일반적으로 미립자 물질은 일반적으로 입자를 바람직한 제형 성분으로 만드는 기공 부피를 가지며 생성 막에 바람직한 다공도를 제공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다공성 입자는 질소 다공도 측정기로 측정시 적어도 약 0.20 cc/g, 그리고 더 전형적으로, 0.30 cc/g의 기공 부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다공성 입자는 질소 다공도 측정기로 측정시 적어도 약 0.30 cc/g의 기공 부피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다공성 입자는 질소 다공도 측정기로 측정시 약 0.30 내지 약 0.85 cc/g의 기공 부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공성 미립자 물질은 또한 BET(Brunauer Emmet Teller) 방법으로 측정시 적어도 약 110 m2/g의 표면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공성 입자는 약 150 m2/g 내지 약 220 m2/g의 BET 표면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공성 입자는 적어도 약 172 m2/g의 BET 표면적을 가진다.
기공 부피 및 표면적은, 예를 들면, 플로리다주 보인턴 비치 소재 퀀타크롬 인스트루먼트(Quantachrome Instruments)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오토솔브(Autosorb) 6-B 유닛을 이용해서 측정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다공성 분말의 기공 부피 및 표면적은 약 150℃에서 건조되고, 진공(예를 들면, 50 밀리토르)하에 150℃에서 약 3 시간 동안 가스를 제거하고 나서 측정된다.
상기 미립자 물질은 전형적으로 약 0.1 내지 약 35 마이크론(㎛) 범위 이내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진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평균 입자 크기"는 한 세트의 입자내 각 입자의 가장 큰 크기의 평균을 의미한다.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미립자 물질은 약 1 내지 약 20 ㎛ 범위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다. 더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미립자 물질은 약 2 내지 약 10 ㎛(예를 들면, 약 10, 9, 8, 7, 6, 5, 4, 3, 2, 1 마이크론 이하,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또는 100 나노미터를 비롯한 1 마이크론 미만, 및 심지어 약 100 나노미터 미만의 임의의 크기) 범위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다.
상기 미립자 물질은 전형적으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wt%) 초과 약 80 중량% 이하의 양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존재한다.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미립자 물질을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더 전형적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20 중량%, 그리고 더욱 더 전형적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크림 제형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전형적으로 상기 제형 내에 존재하는 미립자 물질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초과 약 20 중량% 이하, 더 전형적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그리고 더욱더 전형적으로 약 2 중량% 내지 약 8 중량%일 수 있다. 분말 제형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전형적으로 상기 제형 내에 존재하는 미립자 물질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약 80 중량%, 약 3 중량% 내지 약 70 중량%, 약 5 중량% 내지 약 60 중량%, 또는 심지어 약 10 중량% 내지 약 55 중량%일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유체 상 내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들의 굴절률과 같거나 비교적 비슷한 굴절률(RI)을 가지는 미립자 물질(들)을 선택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하기에 논의됨). 전형적으로, 미립자 물질(들)은 약 1.2 내지 약 1.8 범위의 굴절률(RI)을 가진다.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미립자 물질은 약 1.4 내지 약 1.6의 굴절률을 가지는 실리카 입자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상기 미립자 물질은 물질의 표면 성질을 바꾸기 위해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립자 물질의 표면은 예를 들어 다양한 유기 물질(예를 들면, 실란, 실록산 등)로 처리함으로써 소수성이 되도록 처리될 수 있다. 특정 금속 산화물의 표면이 매우 친수성(예를 들면, 실리카)이기 때문에, 상기 미립자 물질은 응집되거나 더 큰 미립자 물질로 괴상화되는 경향이 있다. 만약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표면이 소수성 물질로 처리되면, 상기 미립자는 응집되지 않고, 그로 인해 별개의 안정한 입자로 남게 된다. 이러한 소수성 물질은 실란, 에스터, 알코올 등과 같은 다양한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고, 친수성 금속 산화물을 소수성으로 만드는 예는 그 전체의 발명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 2,786,042 호 및 제 2,801,185 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전체의 발명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 6,344,240 호; 제 6,197,384 호; 제 3,924,032 호; 및 제 3,657,680 호; 그리고 유럽 특허 제 0 658 523 호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미립자 물질의 표면 처리방법을 설명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미립자 물질은 상이한 크기, 모양, 다공도, 조성, 굴절률 등을 가지는 입자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미립자 물질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2. 유체 상 물질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 상은 서로 섞일 수 있는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 모두를 갖는 단일 유체 생성물, 또는 조합되어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즉, 별개의 상들)을 제공하는 둘 이상의 유체 생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상은 전형적으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초과 약 60.0 중량% 이하의 양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존재한다.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0 중량% 내지 약 98.0 중량% , 더 전형적으로 약 25.0 중량% 내지 약 80.0 중량%, 그리고 더욱더 전형적으로 약 35.0 중량% 내지 약 65.0 중량% 범위의 유체 상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은, 목적하는 R 값이 조합물에서 얻어지기만 하면,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임의의 양으로도 존재할 수 있다.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유체 상은 유체 상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60.0 중량%의 비-휘발성 성분, 및 약 99.0 내지 약 40.0 중량%의 휘발성 성분을 포함한다.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유체 상은 유체 상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40.0 중량%의 비-휘발성 성분 및 약 99.0 내지 약 60.0 중량%의 휘발성 성분을 포함한다. 그 밖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유체 상은 유체 상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6 내지 약 16.0 중량%의 비-휘발성 성분 및 약 98.4 내지 약 84.0 중량%의 휘발성 성분을 포함한다.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미립자 물질의 굴절률과 같거나 비교적 비슷한 굴절률(RI)을 갖는 하나 이상의 유체를 선택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적합한 유체는 약 1.2 내지 약 1.8 범위의 굴절률(RI)을 갖는다.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유체는 약 1.4 내지 약 1.6 범위의 굴절률을 갖는다.
적합한 비-휘발성 성분들은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 오일 등과 같은 오일; 폴리에틸렌 왁스 등과 같은 왁스; 글리세린; 가용성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휘발성 성분을 제공하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여러 제품들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고,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Dow Corning, Corporation (미시건주 미드랜드))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상표명이 다우 코닝(DOW CORNING®) 1501, 다우 코닝 5329 및 다우 코닝 5200인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유체; 크로다 인코포레이티드(Croda Inc.)로부터 이용가능한 크로다몰(Crodamol) CP, 크로다몰 DIBA, 크로다몰 MM, 크로다몰 GTCC, 크로다몰 ICS; 코그니스 코포레이션(Cognis Corporation)로부터 이용가능한 세티올(Cetiol) J-600, 세티올 A, 세티올 868, 세티올 CC, 세티올 LDO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휘발성 성분들은 다우 코닝 245 유체와 같은 휘발성 실리콘; 물; 에탄올과 같은 용제; 휘발성 향수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3. 추가적인 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성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추가적인 성분들은 탈이온수, 습윤제, 계면활성제, 완화제, 향수, 중합체(2차 입자를 형성할 수 있는 비가용성 중합체 또는 가용성 중합체를 포함)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탈이온수를 포함한다. 존재하는 경우, 탈이온수는 주어진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탈이온수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60 중량% 내지 약 80 중량%, 더 전형적으로 약 70 중량% 내지 약 76 중량%, 그리고 더욱 더 전형적으로 약 72 중량% 내지 약 74 중량% 범위의 양으로 주어진 조성물 내에 존재한다. 그러나, 탈이온수의 양은, 존재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탈이온수 이외의 각각의 추가적인 성분(예를 들면, 습윤제, 완화제, 또는 향수)은 주어진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초과 내지 약 3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B. 조성물 형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하기의 형태들을 가질 수 있다.
1. 현탁액 또는 분산액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점성 액체 매트릭스(예를 들면, 유체 상) 및 상기 점성 액체 매트릭스 내에 현탁된 미립자 물질을 갖는 현탁액 또는 분산액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양태는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상기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광학 성능비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최대 광학 성능비의 30%(또는 25%, 20%, 15%, 10%, 또는 심지어 5%) 이내의 범위의 광학 성능비를 갖도록 하는 %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한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는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코팅이 4.0(또는 4.5, 5.0, 5.5 또는 6.0) 이상의 광학 성능비를 갖도록 하는 %의 미립자 물질을 포함한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예시적 실시양태는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상기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다공도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다공도보다 30%(또는 25%, 20%, 15%, 10%, 또는 심지어 5%) 적거나 큰 범위의 다공도를 갖도록 하는 중량%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한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탈이온수, 습윤제, 완화제, 향수, 가용성 중합체, 고체화된 중합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예시적 실시양태는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상기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L 값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L 값보다 20%(또는 15%, 10%, 또는 심지어 5%) 적거나 큰 범위의 L 값을 갖도록 하는 중량%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한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생성한다.
2. 막 또는 코팅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피부와 같은 기질 상에서 막 또는 코팅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본 발명의 조성물이 막 형태로 도포되는 경우, 휘발성 성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조성물로부터 증발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막을 남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시적인 막(20)은 미립자 물질(22)이 내부에 분산된 비히클 매트릭스(21)(예를 들면, 유체 상)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막(20)은 또한 상부 표면(24)에서 상당한 양의 광 산란을 야기하는 거친 상부 표면(24)을 가진다. 전형적으로, 예시적인 막(20)은 상부 표면(24)의 주어진 표면 형태에서 (있더라도) 극히 적은 막 내 광 산란을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표면(24)은 상기 거친 최외곽 표면(즉, 상부 표면 (24))을 따라 하나 이상의 하부 표면 지점(26) 및 상기 거친 최외곽 표면(즉, 상부 표면(24))을 따라 하나 이상의 상부 표면 지점(27)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 표면 지점(26)은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 표면 지점(27)으로부터 z 방향(즉, 예시적인 막(20)이 놓인 기질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약 0.1μm, 전형적으로 약 0.1 내지 70μm의 간격 d를 두고 떨어져 있다. 또한, 둘 이상의 하부 표면 지점들(26) 사이로 연장되는 상부 표면(24) 부분은 약 45° 초과(또는 약 90°초과, 또는 약 135°초과) 및 약 180°이상의 크기의 원호각을 가지는 원호 형태를 띨 수 있다. 하부 표면 지점(26a)과 하부 표면 지점(26b) 사이에 보이는 상부 표면 부분(28)과 같은 이러한 상부 표면 부분은 하부 표면 지점(26a)과 하부 표면 지점(26b) 사이의 x 방향으로 뻗은 거리(l) 이내에서 180°이상의 원호각을 나타낸다. 전형적으로, 거리(l)는 약 20μm 미만이고, 전형적으로 약 20 내지 약 1μm 범위 내이다.
도 3a에서, 막(34)은 내부 다공도를 포함하지 않는다(즉, 기공 및 입자간 공극이 유체로 충전됨). 유체 상 또는 매트릭스(31)의 휘발성 성분이 증발한 후, 막의 다공도는 증가하지만, 결국 평형에 도달한다. 도 3b는 보다 높은 안료 또는 입자 담지율의 결과로서 거칠어진 표면(33)을 도시한다. 모든 휘발성 성분이 증발하면, 공극 부분(37)은 일정하게 되는데, 이는 유체 상의 비-휘발성 성분이 막(34) 내에 남아 있기 때문이다. 도 3c는 막(34)이 불투명하게 될 정도로 내부 다공도를 가져서 막의 투명도에 상당한 손상을 주는 막을 도시한다.
본원에 개시된 코팅의 은폐 효과는 코팅 제형에 사용된 미립자 물질의 양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 코팅 제형 이내의 다양한 성분들에 의해 영향을 받음이 본 출원인에 의해 밝혀졌다. 이후, 이는 특정 코팅 또는 막 특성, 예컨대 다공도, L 값, 광학 성능비, 등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본원에 개시된 은폐 막의 성질은 전술된 특성을 측정하는 능력을 저해한다. 예를 들면, 화장품 제품에서 본 발명의 특정 코팅 제형 중의 막 형성 중합체는 전형적으로 건조 또는 고정되지 않아서 이러한 측정을 가능케 하는 막을 제공한다(예를 들면, 이는 연질, 고도의 가소성, 왁스질, 수지성, 점성 등을 가진 채로 남아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고정되어 경질 막 또는 코팅(예를 들면, 강성, 내스크래치성 등)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은폐 코팅 내에 막 형성 중합체를 사용하였고, 이는 전술된 특성의 정확한 측정을 가능케 한다. 이런 제형은 실시예 1 내지 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양태는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코팅은,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광학 성능비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최대 광학 성능비의 30%(또는 25%, 20%, 15%, 10%, 또는 심지어 5%) 이내의 범위의 광학 성능비를 갖도록 하는 %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한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코팅을 생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은폐 코팅 조성물은 다양한 기질, 예컨대 피부를 포함하나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 생물 및 무생물 기질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측정되고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막 광학 성능비(OPR) 값이 그래프 상에서 상이한 입자 또는 안료 담지율로 플로팅되어 있고, 여기서 y 축은 광학 성능비 값이고, x 축은 입자 담지율 중량%이다. 커브(curve)는 베스트 핏 5차 다항식(best fit 5th order polynomial)을 이용한 광학 성능비 값 데이터(OPR5)를 통해 생성된다. 목적하는 광학 성능비 값 범위는, 커브의 최대 값(OPR5)에 대해 60% 이상이 되도록 결정된다. 즉, X최소 및 X최대 는 OPR5 = 0.6 x OPR5인 X 값이다. 이 예에서,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X최소는 16.6 중량% 미립자 물질이고 X최대는 55.7 중량%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는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의 용도로서;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코팅이 4.0(또는 4.5, 5.0, 5.5 또는 6.0) 이상의 광학 성능비를 갖도록 하는 %의 미립자 물질을 포함한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코팅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측정되고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막 광학 성능비(OPR) 값이 그래프 상에서 상이한 입자 또는 안료 담지율로 플로팅되어 있고, 여기서 y 축은 광학 성능비 값이고, x 축은 입자 담지율 중량%이다. 커브는 베스트 핏 5차 다항식을 이용한 광학 성능비 값 데이터(OPR5)를 통해 생성된다. 목적하는 광학 성능비 값 범위는, 4.0 이상이 되도록 결정된다. 이 예에서,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X최소는 17.2 중량% 미립자 물질이고 X최대는 55.1 중량%이다. 5차 다항식이 데이터의 커브 피팅에 사용되지만,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문헌[SAS User's Guide, 1979 Edition]에 개시된 것들을 비롯한 임의의 다항식, 사인 또는 코사인 함수, 감마 함수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임의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커브 피팅 소프트웨어, 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워싱턴주 레드몬드 소재)의 엑셀(EXCEL) 추가 제공 툴로서 이용가능한 솔버(SOLVER)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예시적 실시양태는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코팅은,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다공도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다공도보다 30%(또는 25%, 20%, 15%, 10%, 또는 심지어 5%) 적거나 큰 범위의 다공도를 갖도록 하는 중량%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탈이온수, 습윤제, 완화제, 향수, 가용성 중합체, 고체화된 중합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측정되고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다공도 값이 그래프 상에서 상이한 입자 또는 안료 담지율로 플로팅되어 있고, 여기서 y 축은 다공도 값이고, x 축은 입자 담지율 중량%이다. 커브는 베스트 핏 5차 다항식을 이용한 다공도 값 데이터(FP5)를 통해 생성된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커브는 안정기를 통해 진행하고, 안정기의 중간점(PV)은 커브의 1차 도함수(dFP5/dX)의 최소치에서의 다공도 값(FP) 및 입자 담지율(X)을 측정함에 의해 확인된다. 목적하는 다공도 값 범위는, PV보다 30% 적거나 크게 되도록 결정된다. 즉, X최소는 FP5 = 0.7 x PV인 X 값이고, X최대 는 FP5 = 1.3 x PV인 X 값이다. 이 예에서,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X최소는 9.3 중량% 미립자 물질이고 X최대는 51.1 중량%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예시적 실시양태는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코팅은,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L 값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L 값보다 20%(15%, 10%, 또는 심지어 5%) 적거나 큰 범위의 L 값을 갖도록 하는 중량%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측정되고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다공도 값이 그래프 상에서 상이한 입자 또는 안료 담지율로 플로팅되어 있고, 여기서 y 축은 L 값이고, x 축은 입자 담지율 중량%이다. 커브는 베스트 핏 5차 다항식을 이용한 L 값 데이터(L5)를 통해 생성된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커브는 안정기를 통해 진행하고, 안정기의 중간점(PV)은 커브의 1차 도함수(d L 5/dX)의 최소치에서의 L 값(L) 및 입자 담지율(X)을 측정함에 의해 확인된다. 목적하는 L 값 범위는, PV보다 20% 적거나 크게 되도록 결정된다. 즉, X최소는 L 5 = 0.8 x PV인 X 값이고, X최대 는 L 5 = 1.2 x PV인 X 값이다. 이 예에서,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X최소는 13.8 중량% 미립자 물질이고 X최대는 51.5 중량%이다.
전술된 상부 표면(24)의 표면 형태로 인해, 예시적인 막(20)은 전형적으로 표면 광 산란에 비해 매우 적은 막 내 광 산란을 나타낸다.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예시적인 막(20)은 예시적인 막(20)의 총 광 산란량을 기준으로 약 50% 미만의 막 내 광 산란 및 약 50% 초과의 표면 광 산란을 나타낸다. 그 밖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예시적인 막(20)은 예시적인 막(20)의 총 광 산란량을 기준으로 약 30% 미만(또는 약 25% 미만, 또는 약 20% 미만, 또는 약 15% 미만, 또는 약 10% 미만, 또는 약 5% 미만, 또는 약 4% 미만, 또는 약 3% 미만, 또는 약 2% 미만, 또는 심지어 약 1% 미만)의 막 내 광 산란 및 약 70% 초과(또는 약 75% 초과, 또는 약 80% 초과, 또는 약 85% 초과, 또는 약 90% 초과, 또는 약 95% 초과, 또는 약 99% 초과)의 표면 광 산란을 나타낸다.
상기 언급된 표면 거칠기를 가질 뿐만 아니라, 예시적인 막(20)은 목적하는 정도의 투명도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예시적인 막(20)은, 심지어 예시적인 막(20)이 약 200μm이하의 막 두께를 가질 때도, 예시적인 막(20) 밑에 위치한 기질 표면(예를 들면, 피부 표면)의 색과 톤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목적하는 정도의 투명도를 가진다. 예를 들면, 예시적인 막(20)이 약 100μm 이하의 코팅 두께로 피부 상에 코팅되면, 예시적인 막(20)의 투명도는 예시적인 막(20)을 통해 피부 색과 톤을 육안으로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예시적인 막(20)의 투명도와 조성은 예시적인 막(20)을 통한 피부의 외양을 바꾸지 못한다(즉, 예시적인 막(20)으로 코팅되거나 처리된 피부는 처리되지 않은 피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보인다).
상기 언급된 표면 거칠기로 인해, 예시적인 막(20)은, 심지어 예시적인 막(20)이 약 1μm 만큼 작은 막 두께를 가질 때도 예시적인 막(20) 밑에 위치한 기질 표면(예를 들면, 피부 표면) 이내의 표면 결함을 감추는 목적하는 정도의 은폐 능력을 또한 가질 수 있다. 개시된 막의 탁월한 은폐 특성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막 내 광 산란 대신 예시적인 막(20)의 상당한 표면 광 산란의 결과로 여겨진다.
II. 조성물, 코팅, 및 코팅된 기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또한 표면 결함을 은폐할 수 있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코팅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상기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광학 성능비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최대 광학 성능비의 30%(또는 25%, 20%, 15%, 10%, 또는 심지어 5%) 이내의 범위의 광학 성능비를 갖도록 하는 %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한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코팅을 생성한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코팅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코팅이 4.0(또는 4.5, 5.0, 5.5 또는 심지어 6.0) 이상의 광학 성능비를 갖도록 하는 %의 미립자 물질을 포함한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코팅을 생성한다.
추가의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코팅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상기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다공도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다공도보다 30%(또는 25%, 20%, 15%, 10%, 또는 심지어 5%) 적거나 큰 범위의 다공도를 갖도록 하는 중량%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탈이온수, 습윤제, 완화제, 향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성분을 혼합물에 혼입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코팅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L 값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L 값보다 20%(또는 1 %, 10%, 또는 심지어 5%) 적거나 큰 L 값을 갖도록 하는 중량%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탈이온수, 습윤제, 완화제, 향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성분을 혼합물에 혼입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추가로 하나 이상의 상기 언급된 추가적인 성분들을 혼합물에 혼입시키는 단계; 미립자 물질, 유체 상 및 어떤 임의의 추가적인 성분들을 상온에서 혼합하는 단계; 유체 상을 (예를 들면, 100℃ 미만의 온도까지) 가열하면서 상기 유체 상에 하나 이상의 성분들을 추가하는 단계; 생성 조성물을 밀봉가능한 용기(예를 들면, 밀봉가능한 병, 플라스틱 병, 또는 재밀봉가능한 백) 안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기 위해 특별히 제형화된 피부 관리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코팅을 형성하는 방법과, 코팅된 기질과 다층 제품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코팅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이때 상기 방법은 기질 상에 전술된 임의의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생성된 코팅된 기질은 위에서 서술된 현탁액 또는 막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된 기질을 포함한다. 코팅을 형성하는 방법은 추가로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에 기질을 애벌처리(priming)(예를 들면,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코팅된 기질이나 다층 제품을 형성하는 방법은 추가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공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추가적인 공정 단계는 도말가능한/코팅가능한 조성물을 용기로부터 제거하고, 약 200μm 미만의 목적하는 막 두께를 가지는 조성물의 막을 형성하기 위해 조성물을 기질 상에 도말하고, 상기 언급한 임의의 단계들을 반복하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II. 적용/용도
위에서 논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질 상에 코팅을 형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적합한 기질은 기질 표면의 결점이나 결함이 바람직하게 감추어지지만 여전히 기질 표면의 색과 톤의 관찰을 필요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질은 피부의 기질(예를 들면, 피부), 케라틴성 기질(예를 들면, 머리카락, 손톱, 등), 그리고 심지어 무생물의 기질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람 피부 상에 화장 처리를 형성하여 피부 결함을 감추면서도, 결과적인 화장 처리를 통해서 자연스러운 피부 색과 톤을 보이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일상적인 피부 처리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 방법은 기질 상에 코팅을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방법은 기질의 적어도 일부를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상기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광학 성능비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최대 광학 성능비의 30%(또는 25%, 20%, 15%, 10%, 또는 심지어 5%) 이내의 범위의 광학 성능비를 갖도록 하는 %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한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코팅을 생성한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 방법은 기질 상에 코팅을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방법은 기질의 적어도 일부를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코팅이 4.0(또는 4.5, 5.0, 5.5, 또는 심지어 6.0) 이상의 광학 성능비를 갖도록 하는 %의 미립자 물질을 포함한다. 이런 예시적 실시양태는 기질(예를 들면, 피부) 상에 막으로 도포될 때, 목적하는 정도의 최외곽 표면 거칠기 및 투명도뿐만 아니라 탁월한 은폐 특성을 갖는 코팅을 생성한다.
추가의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 방법은 기질 상에 코팅을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방법은 기질의 적어도 일부를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상기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다공도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다공도보다 30%(또는 25%, 20%, 15%, 10%, 또는 심지어 5%) 적거나 큰 범위의 다공도를 갖도록 하는 중량%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한다. 상기 기질은 피부를 포함하나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 다양한 생물 및 무생물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 방법은 기질 상에 코팅을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방법은 기질의 적어도 일부를 미립자 물질, 및 비-휘발성 성분 및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 상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질 상에서 건조되어 코팅을 형성한 후, 상기 코팅이, 상이한 미립자 물질 농도에서 코팅의 L 값 측정치에 대해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L 값보다 20%(또는 15%, 10%, 또는 심지어 5%) 적거나 큰 범위의 L 값을 갖도록 하는 중량%의 미립자 물질(상기 비-휘발성 성분 및 상기 미립자 물질의 중량% 기준)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탈이온수, 습윤제, 완화제, 향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성분을 상기 조성물에 혼입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기질, 및 상기 기질 외면 상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층 제품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층 제품은 피부 외면을 갖는 피부; 및 상기 피부 외면 상의 본원에 개시된 은폐 조성물을 포함한다. 분산액은 목적하는 제품에 따라 다양한 기타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고/있거나 다른 제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성물이 코팅 제형에서의 사용을 의도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분말, 분산액 또는 페이스트로서 제형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제형, 예컨대 크림, 분말 또는 페이스트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되지만, 이들 실시예가 여하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반대로, 본 명세서를 읽은 후, 본 발명의 진의 및/또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그 자체로서 제안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실시양태, 개조물 및 이들의 균등물도 포함되는 것으로 명확히 이해되어야 한다.
시험 방법
하기의 시험 방법들이 아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다.
비-휘발성 함량 측정
주어진 유체에 대해서, 유체의 무게를 측정하고, 그 후 1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한다. 비-휘발성 함량 퍼센트(% NVC)는 하기 식을 사용해 계산하였다:
% NVC = [(W0 - Wf) x 100]/Wo
상기 식에서, W0는 유체의 초기 중량을 나타내고, Wf는 가열 단계 후 유체의 최종 중량을 나타낸다.
코팅 다공도의 측정
유리 기질 상에 침착된 막의 다공도를 ASTM D6583-04에 따라 측정한다.
코팅 광학 특성의 측정
유리 슬라이드 상에 형성된 막의 광학 특성을, 적분구를 갖춘 시마드주(Shimadzu) UV-2401PC UV-VIS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550 nm에서 측정하였다. 전체 값에 대한 확산 투과율(%)은 식 100X(확산 투과율/총 투과율)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광학 성능비(OPR) = 확산 투과율/총 반사도. 보다 높은 OPR 값은 높은 은폐력을 갖지만 하부 기질 색상이 보이도록 하는 부가 능력을 갖는 막 또는 코팅을 가리킨다. 낮은 OPR 값은 낮은 안료 또는 미립자 물질 담지율에서는 낮은 은폐력을 가지며 높은 안료 또는 미립자 물질 담지율에서는 과도한 불투명도를 갖는 막 또는 코팅을 가리킨다.
코팅의 광택도 측정
주어진 코팅은 코팅의 상부 표면에 대한 수직각으로부터 대략 60°에서 육안으로 관찰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거친"은 낮은 반사도와 같고, 이에 반해 "번들거리는"이란 용어는 높은 반사도(즉, 광택성)와 같다.
코팅의 불투명도 측정
주어진 코팅은 코팅의 상부 표면에 대한 수직각으로부터 대략 0°에서 육안으로 관찰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불투명한"은 피부를 실질적으로 감추는 것과 같으며, 이에 반해 "투명한"은 피부 색/톤이 코팅에 의해 본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막의 불투명도를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코팅된 유리 슬라이드를 레네타(Leneta) 캄파니의 플레인 블랙 차트의 상부 상에 위치시켰다. 이 차트의 흑색은 코니카 미놀타 분광 광도계 CM-2600d에 의해 측정 시 0.09의 L 값(L*a*b* 색계 기준)을 가졌다. 그 후, 차트의 L 값을 코팅된 유리 슬라이드를 통해 측정하였다. 막의 불투명도를 측정된 L 값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투명 막의 L 값은 불투명 막보다 낮을 것이다.
코팅의 은폐력 측정
주어진 코팅은 코팅의 상부 표면에 대한 수직각으로부터 대략 0°에서 육안으로 관찰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은폐"는 코팅되지 않은 피부에 비해 밑에 있는 피부 특징부(예를 들면, 작은 주름, 검은 점 기미 등)가 낮은 해상도를 갖는 것과 동일하다.
코팅의 해상도의 측정
리트 영숫자 해상도 시험 물체(Rit Alphanumeric Resolution Test Object)인 RT-4-74(그래픽 아츠 리서치 센터)의 상부 상에 코팅된 유리 슬라이드를 위치시킴에 의해 막의 해상도를 평가하였다. 이 차트는 상이한 크기로 인쇄된 문자를 가진다. 각 크기는 숫자에 의해 확인된다. 보다 높은 숫자는 보다 낮은 인쇄 크기에 상응한다. 막은, 시험 막을 통해 인쇄된 문자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관찰자의 능력에 따라 등급화된다. 첫번째의 구별불가한 문자 선에 대한 상응하는 확인 번호가 보고된다. 막과 차트 사이의 거리는 4.8mm이었다.
코팅 표면 거칠기의 측정
막의 표면 거칠기(Ra)를 자이고 뉴뷰(Zygo NewView) 5000 광학 조면계로 측정하였다. Ra 값이 더 높을수록 더 거친 표면을 가리킨다.
다양한 유체에 대한 비-휘발성 함량의 측정
전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비-휘발성 함량(% NVC)의 중량 퍼센트는 여러 유체로부터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2060316890-pct00001
실시예 1 - 중합체 결합제를 사용한 코팅 제형의 성능
하기 표 2에 기재된 샘플 제형의 성능은, 소량의 주어진 코팅 조성물을 유리 기질 상에 도포하고, 코팅 제형을 건조시키고, 그 후 생성 코팅을 평가함으로써 평가되었다. 코팅 또는 막의 특성은 전술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i) 다공도, (ii) 불투명도, (iii) 광학 성능비, (iv) 막 표면 거칠기 및 (v) 해상도에 관해서 평가되었다.
실리카 겔은, 미국 특허 제 6,380,265 호에서 개시된 과정에 따라, 약 반 시간 미만 내에 하이드로겔(즉, 매크로겔)이 되는 투명 실리카 졸을 형성하도록 적합한 교반 조건하에서 알칼리 금속 규산염(예를 들면, 규산 나트륨) 수용액을 질산이나 황산과 같은 강산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그 후 생성 겔이 세척된다. 하이드로겔에서 형성되는 무기 산화물, 즉 Si02의 농도는 주로 약 10 내지 약 50 중량% 범위 내에 있고, 이때 상기 겔의 pH는 약 1 내지 약 9, 바람직하게 1 내지 약 4이다. 넓은 범위의 혼합 온도가 사용될 수 있고, 이 범위는 전형적으로 약 20 내지 약 50℃이다. 새로 형성된 하이드로겔은 원하지 않는 염을 침출시키는 연속적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에 담금으로써 간단히 세척되었고, 이는 약 99.5 중량% 또는 더 순수한 무기 산화물을 남겼다. 세척수의 pH, 온도 및 지속시간은 실리카의 물리적인 특성, 예를 들어 표면적(SA)과 기공 부피(PV)에 영향을 줄 것이다. 65 내지 90℃ 및 pH 8 내지 9에서 15 내지 36시간 동안 세척된 실리카 겔은 주로 250 내지 400의 SA를 갖게 되고 1.4 내지 1.7 cc/g의 PV를 가진 에어로겔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50 내지 65℃ 및 pH 3 내지 5에서 15 내지 25시간 동안 세척된 실리카 겔은 주로 700 내지 850의 SA를 갖게 되고 0.6 내지 1.3 cc/g의 PV를 가진 에어로겔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실리카 겔은 6.4 마이크론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안료 또는 미립자 물질을 물에 분산시키고, 목적하는 안료/미립자 물질 대 결합제 비(중량 기준)를 수득하기 위해 적절한 양의 PVOH 결합제(셀라니즈 케미칼즈로부터 이용가능한 셀볼(Celvol)-502, 물 중 35% 용액)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제형 이내의 총 고체(미립자 물질 및 결합제)는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이었다. 그 후 상기 코팅 제형을 와이어가 감긴 봉으로 50 마이크론 습윤 막 두께로 유리 슬라이드 상에 적용하고, 따뜻한 공기의 온화한 스트림 하에 건조시킨 후, 80℃에서 10분 동안 추가 건조시켰다. 실리카의 양은 최종 막 또는 코팅의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75 중량%로 변한다.
[표 2]
샘플 코팅 제형
Figure 112012060316890-pct00002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샘플 1은 첨가된 소량의 미립자 물질을 함유하였다. 생성된 막은 낮은 광학 성능비(OPR), 및 낮은 L 값을 가졌고, 이는 목적하는 정도의 감소된 해상도를 제공하지 않았다.
샘플 2 내지 6은 증가량의 미립자 물질을 갖는 샘플 제형을 제공하며, 이는 증가된 OPR을 제공하였다. 이 범위 이내의 OPR의 경우, 생성된 막은, 모든 바람직한 특성, 즉 목적하는 정도의 은폐력을 제공하는 거친 투명 외양을 보였다.
샘플 7 및 8은 증가량의 미립자 물질을 갖는 샘플 제형을 제공하며, 이는 감소된 OPR 및 증가된 L 값을 제공하였다. 이 범위 이내의 L 값의 경우, 생성된 막은 과도한 불투명도를 보였다.
실시예 2 - 중합체 결합제를 사용한 코팅 제형의 성능
하기 표 3에 기재된 샘플 제형의 성능은, 소량의 주어진 코팅 조성물을 유리 기질 상에 도포하고, 코팅 제형을 건조시키고, 그 후 생성 코팅을 평가함으로써 평가되었다. 코팅 또는 막의 특성은 전술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i) 다공도, (ii) 불투명도, (iii) 광학 성능비, (iv) 막 표면 거칠기 및 (v) 해상도에 관해서 평가되었다.
안료 또는 미립자 물질을 물에 분산시키고, 목적하는 안료/미립자 물질 대 결합제 비(중량 기준)를 수득하기 위해 적절한 양의 PVOH 결합제(셀라니즈 케미칼즈로부터 이용가능한 셀볼(Celvol)-502, 물 중 35% 용액)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제형 이내의 총 고체(미립자 물질 및 결합제)는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이었다. 그 후 상기 코팅 제형을 와이어가 감긴 봉으로 50 마이크론 습윤 막 두께로 유리 슬라이드 상에 적용하고, 따뜻한 공기의 온화한 스트림 하에 건조시킨 후, 80℃에서 10분 동안 추가 건조시켰다. 이들 샘플 제형에서 사용된 안료는 2.7 마이크론의 입자 크기를 갖는 실리카 겔이고, 실시예 1에 개시된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실리카의 양은 최종 막 또는 코팅의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75 중량%로 변한다.
[표 3]
샘플 코팅 제형
Figure 112012060316890-pct00003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샘플 9 및 10은 첨가된 소량의 미립자 물질을 함유하였다. 생성된 막은 낮은 광학 성능비(OPR), 및 낮은 L 값을 가졌고, 이는 목적하는 정도의 감소된 해상도를 제공하지 않았다.
샘플 11 내지 13은 증가량의 미립자 물질을 갖는 샘플 제형을 제공하며, 이는 증가된 OPR을 제공하였다. 이 범위 이내의 OPR의 경우, 생성된 막은, 모든 바람직한 특성, 즉 목적하는 정도의 은폐력을 제공하는 거친 투명 외양을 보였다.
샘플 14 내지 16은 증가량의 미립자 물질을 갖는 샘플 제형을 제공하며, 이는 감소된 OPR 및 증가된 L 값을 제공하였다. 이 범위 이내의 L 값의 경우, 생성된 막은 바람직하지 않은 불투명도를 보였다.
실시예 3 - 중합체 결합제를 사용한 코팅 제형의 성능
하기 표 4에 기재된 샘플 제형의 성능은, 소량의 주어진 코팅 조성물을 유리 기질 상에 도포하고, 코팅 제형을 건조시키고, 그 후 생성 코팅을 평가함으로써 평가되었다. 코팅 또는 막의 특성은 전술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i) 확산 투과율, (ii) 총 투과율, 및 (iii) 총 투과율에 대한 확산 투과율(%)에 관해서 평가되었다.
안료 또는 미립자 물질을 물에 분산시키고, 목적하는 안료/미립자 물질 대 결합제 비(중량 기준)를 수득하기 위해 1.49 내지 1.53의 굴절률을 갖는 적절한 양의 PVOH 결합제(셀라니즈 케미칼즈로부터 이용가능한 셀볼(Celvol)-502, 물 중 35% 용액)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2개의 미립자 물질인 실리카(1.46의 굴절률) 및 티타니아(2.5의 굴절률)을 평가하였다. 제형 이내의 총 고체(미립자 물질 및 결합제)는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이었다. 그 후 상기 코팅 제형을 와이어가 감긴 봉으로 50 마이크론 습윤 막 두께로 유리 슬라이드 상에 적용하고, 따뜻한 공기의 온화한 스트림 하에 건조시킨 후, 80℃에서 10분 동안 추가 건조시켰다. 이들 샘플 제형 17 내지 22에서 사용된 안료는 6.4 마이크론의 입자 크기를 갖는 실리카 겔이고, 실시예 1에 개시된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이들 샘플 제형 23 내지 29에서 사용된 안료는 0.4 마이크론의 입자 크기를 갖는 아나타제 형태의 티타니아이고, 시그마 알드리치로부터 입수가능하다.
[표 4]
샘플 코팅 제형
Figure 112012060316890-pct00004
실리카와 PVOH 사이의 RI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막 내 산란은 최소인 것으로 예상된다. 큰 RI 불일치가 막 간 산란을 초래하는 아나타제 함유 막에 대해서는 상기와 반대되는 것이 맞다.
상당한 막 내 산란(입자와 결합제 사이의 큰 RI 차)을 갖는 이런 시스템에 대한 광학 분석은 막 두께의 증가와 함께 총 투과율에서 상당한 감소(및 관련된 불투명도의 증가)를 보였다. 반대로, 첫번째 경우는 실리카 겔 입자(RI = 1.46)를 사용하여 유사하게 제조된 샘플에 대한 결과를 보였다. 이 경우에서, 최소의 막 간 산란(입자와 결합제 RI간의 차이가 매우 적음)이 존재하지만, 이의 거칠기에 기인한, 막 표면에서의 상당한 산란(전체 값에 대한 % 확산 투과율로 표현됨)이 존재한다. 이 막은 총 투과율 및 전체 값에 대한 % 확산 투과율 모두에서 최소의 막 두께 변이의 바람직한 특성을 가졌다. 이와 같이, 이런 유형의 생성물은, 비록 도포 두께가 특히 균일하지 않더라도,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대해 (은폐력과 반사율 모두에서) 매우 균일한 외양을 제공한다.
실시예 4 - 다양한 농도의 미립자 물질을 함유하는 코팅 제형의 성능
아래의 표 5에 나타낸 샘플 제형의 성능은, 소량의 주어진 코팅 조성물을 피부 상에 도포하고, 상기 코팅 조성물을 15분의 건조 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그 후 생성된 코팅을 평가함으로써 평가되었다. 처리된 피부 면의 외양은 전술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i) 광택도, (ii) 불투명도, 및 (iii) 은폐력에 관해서 평가되었다.
실시예 1로부터의 실리카는, 균질기를 사용하여 72.5 g의 탈이온수(DI)에 분산된다. 그 후, 유체 상이 탈이온수/실리카 혼합물에 첨가되고 2 내지 3분간 균질화되고, 이어서 세피젤(SEPIGEL™) 305(서던 소우퍼스(Southern Soapers)(버지니아주 햄프턴)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이 첨가되었다.
각각의 유체 상은, 다우 코닝(DOW CORNING®) 245 유체, 미네랄 오일(화이트 헤비(White Heavy)), 다우 코닝 5329 및 다우 코닝 5200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되었다. 각각의 혼합물 내 실리카의 총 농도는 변함없이 유지되었다. 유체 상의 중량은 일정하게 유지하였지만 비-휘발성 성분(NVC)의 농도를 변화시켜 NVC가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표 5]
샘플 코팅 제형
Figure 112012060316890-pct00005
미립자 물질 및 NVC의 총 중량의 %로서 소량의 미립자 물질을 포함하는 샘플 30은 거칠고 불투명한 막을 생성하였다.
샘플 31 내지 33은 증가량의 NVC를 가진 샘플 제형을 제공하였다. 생성 막은 15분 후에 화장 크림의 모든 바람직한 특징, 즉 아래에 존재하는 피부 특징부를 은폐시키는 거칠고 투명한 외양을 보였다.
샘플 34는 증가량의 NVC를 가진 샘플 제형을 제공하였고, 이는 15분 후에 바람직하지 않는 광택도를 보였다.
본 발명은 한정된 개수의 실시양태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양태는, 달리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고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검토하면, 부가적인 개조 및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및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의 모든 부 및 백분율은, 다르게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추가로, 예를 들어 구체적인 일련의 특성, 측정 단위, 조건, 물리적 상태 또는 백분율을 나타내는 본 명세서 또는 청구의 범위에서 언급한 임의의 범위의 숫자들은, 문자 그대로 본원에 참고로 명백히 포함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인용된 임의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수치들의 하위세트를 포함하는 이러한 범위 내에 속하는 임의의 숫자를 포함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하한치(RL) 및 상한치(RU)의 수치 범위가 개시되는 경우에는 언제나, 이 범위 내에 속하는 임의의 수치 R이 구체적으로 개시된 것이다. 특히, 상기 범위 이내의 수치 R도 구체적으로 R=RL+k(RU-RL)(상기 식에서, k는 1%씩 증가하는 1% 내지 100%의 범위의 수치이고, 예를 들어 k는 1%, 2%, 3%, 4%, 5%, ... 50%, 51%, 52%, ... 95%, 96%, 97%, 98%, 99% 또는 100%이다)로 개시된 것이다. 게다가, 전술한 식에서와 같이 임의의 2개의 R값으로 표현되는 임의의 수치 범위도 구체적으로 개시된 것이다. 본원에서 나타내거나 설명한 것 이외에 발명의 임의의 개조는 전술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개조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공개문헌을 그 전체로 본원에 인용한다.

Claims (43)

  1. 하기 단계 a) 내지 h)를 포함하는, 막에 은폐 특성을 제공하는 미립자 물질의 농도 결정 방법:
    a) 각각의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의 총 고체 함량을 제공하는 양으로 PVOH 결합제를 포함하는 수성 현탁액 중의 미립자 물질인, 8개 이상의 일련의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각각의 코팅 조성물을 투명 기질 상에 적용하여 50 마이크론의 습윤 막 두께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코팅 조성물을 건조하여, 건조된 코팅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75 중량%의 범위인 상이한 미립자 물질의 농도를 갖는 8개 이상의 코팅을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코팅을 평가하여 다공도 값을 결정하는 단계;
    e) 상기 다공도 값(Y-축) 대 각각의 건조된 막 내의 미립자 물질의 농도(X-축)를 플로팅하여(plot) 8개 이상의 데이터 지점을 수득하는 단계;
    f) 상기 데이터 지점을 통해 5차 다항식 커브(5th order polynomial curve)를 피팅하는(fit) 단계;
    g) 상기 5차 다항식 커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와 연관된 다공도 값(Y-축)을 결정하는 단계; 및
    h) 상기 5차 다항식 커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로부터 결정되는 다공도보다 30% 적은 다공도 내지 30% 큰 다공도를 제공하는 미립자 물질의 농도를 수득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수득된 미립자 물질의 농도가,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다공도보다 25% 적거나 큰 범위의 다공도를 갖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수득된 미립자 물질의 농도가,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다공도보다 20% 적거나 큰 범위의 다공도를 갖는, 방법.
  4. 하기 단계 a) 내지 h)를 포함하는, 막에 은폐 특성을 제공하는 미립자 물질의 농도 결정 방법:
    a) 각각의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의 총 고체 함량을 제공하는 양으로 PVOH 결합제를 포함하는 수성 현탁액 중의 미립자 물질인, 8개 이상의 일련의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각각의 코팅 조성물을 투명 기질 상에 적용하여 50 마이크론의 습윤 막 두께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코팅 조성물을 건조하여, 건조된 코팅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미립자 물질이 5 내지 75 중량%의 범위인 상이한 미립자 물질의 농도를 갖는 코팅을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막을 평가하여 L 값을 결정하는 단계;
    e) 상기 L 값(Y-축) 대 건조된 막 내의 미립자 물질의 농도(X-축)를 플로팅하여 8개 이상의 데이터 지점을 수득하는 단계;
    f) 상기 데이터 지점을 통해 5차 다항식 커브를 피팅하는 단계;
    g) 상기 5차 다항식 커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와 연관된 L 값(Y-축)을 결정하는 단계; 및
    h) 상기 5차 다항식 커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로부터 결정되는 L 값보다 20% 적은 L 값 내지 20% 큰 L 값을 제공하는 미립자 물질의 농도를 수득하는 단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수득된 미립자 물질의 농도가,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L 값보다 15% 적은 L 값 내지 15% 큰 L 값을 갖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수득된 미립자 물질의 농도가, 상이한 미립자 물질의 농도에서 커브 피팅할 때의 1차 도함수의 최소치를 취함에 의해 결정되는 L 값보다 10% 적은 L 값 내지 10% 큰 L 값을 갖는, 방법.
  7. 하기 단계 a) 내지 h)를 포함하는, 막에 은폐 특성을 제공하는 미립자 물질의 농도 결정 방법:
    a) 각각의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의 총 고체 함량을 제공하는 양으로 PVOH 결합제를 포함하는 수성 현탁액 중의 미립자 물질인, 8개 이상의 일련의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코팅 조성물을 투명 기질 상에 적용하여 50 마이크론의 습윤 막 두께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코팅 조성물을 건조하여, 건조된 코팅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미립자 물질이 5 내지 75 중량%의 범위인 상이한 미립자 물질의 농도를 갖는 코팅을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코팅을 평가하여 광학 성능비를 결정하는 단계;
    e) 상기 광학 성능비(Y-축) 대 건조된 막 내의 미립자 물질의 농도(X-축)를 플로팅하여 8개 이상의 데이터 지점을 수득하는 단계;
    f) 상기 데이터 지점을 통해 5차 다항식 커브를 피팅하는 단계;
    g) 상기 5차 다항식 커브의 최대 광학 성능비를 결정하는 단계; 및
    h) 상기 최대 광학 성능비의 30% 이내의 광학 성능비를 제공하는 미립자 물질의 농도를 수득하는 단계.
  8. 제 7 항에 있어서,
    수득된 미립자 물질의 농도가, 최대 광학 성능비의 20% 이내의 광학 성능비를 제공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KR1020127019962A 2009-12-29 2010-12-14 은폐 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KR101843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9077209P 2009-12-29 2009-12-29
US61/290,772 2009-12-29
US31658710P 2010-03-23 2010-03-23
US61/316,587 2010-03-23
PCT/US2010/060206 WO2011081905A1 (en) 2009-12-29 2010-12-14 Compositions for forming obscuration film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127A Division KR20170134772A (ko) 2009-12-29 2010-12-14 은폐 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938A KR20120120938A (ko) 2012-11-02
KR101843206B1 true KR101843206B1 (ko) 2018-03-28

Family

ID=442267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962A KR101843206B1 (ko) 2009-12-29 2010-12-14 은폐 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KR1020177034127A KR20170134772A (ko) 2009-12-29 2010-12-14 은폐 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127A KR20170134772A (ko) 2009-12-29 2010-12-14 은폐 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525290B2 (ko)
EP (1) EP2519221A4 (ko)
JP (4) JP6101080B2 (ko)
KR (2) KR101843206B1 (ko)
CN (1) CN102844018B (ko)
AU (1) AU2010337087B2 (ko)
BR (1) BR112012016333A2 (ko)
IN (1) IN2012DN05894A (ko)
MX (1) MX360382B (ko)
WO (1) WO2011081905A1 (ko)
ZA (1) ZA2012047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46755A4 (en) * 2017-06-29 2020-05-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HEET,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9839A (ja) * 2000-01-18 2001-07-24 Pola Chem Ind Inc 傾斜粉体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組成物
JP2007523198A (ja) * 2004-02-26 2007-08-1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固体油中水型エマルションメークアップ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6042A (en) 1951-11-23 1957-03-19 Du Pont Process for preparing sols of colloidal particles of reacted amorphous silica and products thereof
US2801185A (en) 1952-05-16 1957-07-30 Du Pont Silica hydrosol powder
US3657680A (en) 1969-12-29 1972-04-18 Robertshaw Controls Co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controller and method therefor or the like
US3924032A (en) 1974-01-28 1975-12-02 Corning Glass Works Surface modification of silica particles
AU505536B2 (en) 1975-03-12 1979-11-22 J.M. Huber Corp. Methods for production and use of siliceous products
US5069897A (en) * 1987-10-16 1991-12-03 The Proctor & Gamble Company Antiperspirant creams
US5030286A (en) 1988-09-22 1991-07-09 Ppg Industries, Inc. High solids aqueous silica slurry
FR2673372B1 (fr) * 1991-02-28 1993-10-0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apable d'estomper les defauts de la peau.
EP0658523B1 (de) 1993-12-14 1998-03-25 FERRO (ITALIA) s.r.l. Hydrophobe, fliessfähige Aufbaugranulat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JPH07316488A (ja) * 1994-05-25 1995-12-05 Health Kk 皮膚及び器物の塗彩に使用する組成物
JP3508032B2 (ja) * 1994-08-18 2004-03-22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
US5762911A (en) 1996-03-05 1998-06-09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nti-caries oral compositions
DE69906480T2 (de) 1998-01-15 2004-02-12 Cabot Corp., Bosto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ydrophober kieselsäure
DE19828364A1 (de) 1998-06-25 1999-12-30 Degussa Hydrophobe Fällungskieselsäure
US6380265B1 (en) 1998-07-09 2002-04-30 W. R. Grace & Co.-Conn. Dispersion of fine porous inorganic oxide particl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FR2784026B1 (fr) * 1998-10-06 2000-11-24 Oreal Utilisation d'une phase particulaire specifique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notamment de maquillage, et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e telle phase particulaire
US6436370B1 (en) 1999-06-23 2002-08-20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Dental anti-hypersensitivity composition and method
US6461626B1 (en) * 1999-08-18 2002-10-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 resistant topical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feel
FR2800989B1 (fr) * 1999-11-12 2003-05-30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e substance fluorescente et une charge particuliere, utilisations
JP4521111B2 (ja) * 2000-12-07 2010-08-11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拡散透過層を有する扁平粉体
EP1215170A1 (en) 2000-12-14 2002-06-19 Akzo Nobel N.V. Precipitated silica particles for cat litter
US6511672B2 (en) * 2001-01-17 2003-01-28 Color Access, Inc. Compositions containing optical diffusing pigments
US6673863B2 (en) * 2001-12-17 2004-01-06 Avon Products, Inc. Gel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US20030131536A1 (en) * 2001-12-21 2003-07-17 Kostinko John A. Precipitated silica
US7306809B2 (en) * 2002-09-13 2007-12-11 Lipo Chemicals, Inc. Optically activated particles for use in cosmetic compositions
WO2004045524A2 (en) * 2002-11-15 2004-06-03 Color Access, Inc. Transparent concealing cosmetic compositions
US20050031658A1 (en) * 2003-08-01 2005-02-10 L'oreal Cosmetic skin treatment process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uch a process
JP4789409B2 (ja) 2003-11-07 2011-10-12 ロレアル 着色無機顔料内包粒子及び無機顔料を含有するメークアップ化粧料
US7695726B2 (en) * 2004-01-23 2010-04-13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Pigmented cosmetic composition exhibiting radiance with soft focus
EP1602351A1 (en) * 2004-05-24 2005-1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igh coverage cosmetic foundation
US20060210513A1 (en) * 2005-03-21 2006-09-21 Joseph Luizzi Method of using skin compositions including tensioning polymers
FR2891455A1 (fr) * 2005-09-30 2007-04-06 Fabre Pierre Dermo Cosmetique Particules diffusantes a base de fibres de xerogel d'organogelifiant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dans des formulations cosmetiques.
DE102006039273A1 (de) * 2006-08-22 2008-02-28 Evonik Degussa Gmbh Pyrogenes Siliciumdioxid zur Verwendung als Hilfsstoff in pharmazeutischen und kosmetischen Zusammensetzungen
US8603505B2 (en) * 2006-12-21 2013-12-10 Avon Products, Inc.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ovel fractal particle based gels having improved optical properties
TWI468185B (zh) * 2007-12-27 2015-01-11 Avon Prod Inc 適合用於化妝品組合物之凝膠技術
US9056053B2 (en) * 2008-01-08 2015-06-16 Avon Products, Inc Nanoparticle compositions providing enhanced color for cosmetic formulations
WO2009100267A1 (en) 2008-02-08 2009-08-13 Colgate-Palmolive Company Methods for salt production
BR112012015653B1 (pt) * 2009-12-29 2023-09-26 W.R. Grace & Co. -Conn. Composição que compreende um material de sílica particulado poroso e película transparente que compreende a mesm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9839A (ja) * 2000-01-18 2001-07-24 Pola Chem Ind Inc 傾斜粉体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組成物
JP2007523198A (ja) * 2004-02-26 2007-08-1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固体油中水型エマルションメークアップ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2012DN05894A (ko) 2015-09-18
CN102844018A (zh) 2012-12-26
EP2519221A1 (en) 2012-11-07
JP6101080B2 (ja) 2017-03-22
JP2017071613A (ja) 2017-04-13
KR20170134772A (ko) 2017-12-06
JP6974262B2 (ja) 2021-12-01
MX2012007604A (es) 2012-07-30
ZA201204775B (en) 2013-09-25
US20120288545A1 (en) 2012-11-15
JP2018172406A (ja) 2018-11-08
AU2010337087A1 (en) 2012-07-12
AU2010337087B2 (en) 2016-09-22
US10525290B2 (en) 2020-01-07
WO2011081905A1 (en) 2011-07-07
CN102844018B (zh) 2021-03-23
JP2013515774A (ja) 2013-05-09
EP2519221A4 (en) 2016-01-13
KR20120120938A (ko) 2012-11-02
JP6577929B2 (ja) 2019-09-18
MX360382B (es) 2018-10-31
BR112012016333A2 (pt) 2016-10-04
JP2022017506A (ja)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9107B2 (en) Nail varnish with a velvety feel
Wang et al. Emulsions stabilized by highly hydrophilic TiO2 nanoparticles via van der Waals attraction
KR101843207B1 (ko) 원하는 정도의 은폐력을 갖는 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WO2016152872A1 (ja) 化粧料用添加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80289600A1 (en) Silicon oxide-coated zinc oxid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omposition containing silicon oxide-coated zinc oxide, and cosmetic material
KR101843206B1 (ko) 은폐 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JP2004043291A (ja) 鱗片状粒子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塗料組成物、樹脂組成物およびインキ組成物
JP2014214128A (ja) 皮膚化粧料
KR20090032629A (ko) 실리콘계 수지로 코팅된 이산화티탄 코팅 분체 및 이의제조방법
JP2004067500A (ja) 多孔質金属酸化物薄片、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塗料組成物、樹脂組成物、インキ組成物および紙
Fabjan et al. Protection of organic pigments against photocatalysis by encapsulation
JP2013515774A5 (ko)
JP2018083759A (ja) 化粧料
JP7042302B2 (ja) 粒子含有組成物
US20120015013A1 (en) Matrix containing metal oxide particles and use of same in cosmetic compositions
JP4777872B2 (ja) 化粧料
JP5830349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20120058795A (ko) 나노 기공을 갖는 이산화티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0200250A (ja) 大気有害物質付着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