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069B1 - 로터 - Google Patents
로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3069B1 KR101843069B1 KR1020160077049A KR20160077049A KR101843069B1 KR 101843069 B1 KR101843069 B1 KR 101843069B1 KR 1020160077049 A KR1020160077049 A KR 1020160077049A KR 20160077049 A KR20160077049 A KR 20160077049A KR 101843069 B1 KR101843069 B1 KR 1018430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ler
- rotor core
- end plate
- rotor
- inj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02K1/272—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4—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53—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the rotor consisting of magnets or groups of magnets arranged with alternating polarity
- H02K1/276—Magnets embedded in the magnetic core, e.g. interior permanent magnets [IPM]
- H02K1/2766—Magnets embedded in the magnetic core, e.g. interior permanent magnets [IPM] having a flux concentration effec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2—Impregnating, heating or drying of windings, stators, rotors or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로터는 로터 코어; 로터 코어의 단면에 개구부를 갖는 수납 구멍에 배치된 자석;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수납 구멍에 주입된 충전재 및; 상기 단면에 고정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충전재의 주입부와 대향되는 부위에 오목부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로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석을 로터 코어에 수지 몰드로 고정하는 회전 전기기기의 로터에 관한 것이다.
회전 전기기기는 스테이터와 로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로터로서, 외주부에 자석이 매립된 자석 매립형의 로터가 있다. 이 자석 매립형의 로터에는, 로터 코어의 단면에 개구하여, 로터 코어 내에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수납 구멍에 자석을 삽입하고, 이 수납 구멍의 내주면과 자석과의 사이에 수지를 충전한 후에, 로터 코어의 단면에 엔드 플레이트를 고정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7-236019호 참조).
이러한 로터에서는, 수지 충전 후에 있어서, 수지를 수납 구멍에 주입한 주입부에 수지가 잔류하여 몰드 플래쉬(mold flash)가 되고, 로터의 단면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몰드 플래쉬를 제거하지 않고 로터 코어의 단면에 엔드 플레이트를 고정하려고 하면, 몰드 플래쉬가 로터 코어의 단면과 엔드 플레이트와의 밀착의 방해가 된다. 이 때문에, 몰드 플래쉬를 제거하는 플래쉬 제거 작업을 행하여 몰드 플래쉬를 제거하고 나서, 로터 코어의 단면에 엔드 플레이트를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몰드 플래쉬 제거 작업을 행하면 제조 비용의 증가가 될 수 있다. 또한, 로터 코어의 단면과 엔드 플레이트를 밀착한 상태로 하는 방법으로서, 엔드 플레이트에 주입구를 설치하여, 로터 코어에 엔드 플레이트를 고정한 후에, 몰드형에 세트하여 충전재를 주입하는 제조 방법도 알려져 있다. 이 제조 방법에서는, 엔드 플레이트가 몰드 성형시의 하중이나 가열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엔드 플레이트의 판두께를, 하중이나 가열에 견딜 수 있도록 두껍게 할 필요가 있지만, 판두께를 두껍게 하면 철손실이 되고 회전 전기기기로서의 효율이 저하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플래쉬 제거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로터 코어와 엔드 플레이트와의 밀착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로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있는 태양에 따른 로터는, 로터 코어의 단면에 개구부를 갖는 수납 구멍에 자석이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수납 구멍에 주입된 충전재가 상기 수납 구멍에서 경화한 후에, 상기 단면에 엔드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로터로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충전재의 주입부와 대향되는 부위에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로터에서는, 주입부에 몰드 플래쉬가 있었다고 해도, 엔드 플레이트를 고정할 때에, 엔드 플레이트의 오목부에 몰드 플래쉬가 인입되기 때문에, 로터 코어와 엔드 플레이트와의 밀착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안쪽 치수는, 상기 주입부에 형성되는 충전재 플래쉬의 바깥쪽 치수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충전재 플래쉬의 부풀어오른 높이보다도 깊어도 된다. 이러한 로터에서는, 몰드 플래쉬 전체가 엔드 플레이트의 오목부에 확실하게 인입되기 때문에, 로터 코어와 엔드 플레이트를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안쪽 치수는, 상기 개구부의 안쪽 치수보다 작아도 된다. 이러한 로터에서는, 개구부에서 엔드 플레이트가 로터 코어의 단면과 접하는 개소가 있기 때문에, 수납 구멍 내의 자석·충전재가 로터 축방향으로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로터는, 로터 코어의 단면에 개구부를 갖는 수납 구멍에 자석이 삽입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수납 구멍에 주입된 충전재가 상기 수납 구멍에서 경화한 후에, 상기 단면에 엔드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로터로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충전재의 주입부와 대향되는 부위에 관통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로터에서는, 주입부에 몰드 플래쉬가 있었다고 해도, 엔드 플레이트를 고정할 때에, 엔드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에 몰드 플래쉬가 인입되기 때문에, 로터 코어와 엔드 플레이트와의 밀착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엔드 플레이트가 얇다는 등의 이유로, 엔드 플레이트에 충분한 깊이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해도, 로터 코어와 엔드 플레이트와의 밀착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 구멍의 안쪽 치수는, 상기 주입부에 형성되는 충전재 플래쉬의 바깥쪽 치수보다 커도 된다. 이러한 로터에서는, 몰드 플래쉬 전체가 엔드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에 확실하게 인입되기 때문에, 로터 코어와 엔드 플레이트를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 구멍의 안쪽 치수는, 상기 개구부의 안쪽 치수보다 작아도 된다. 이러한 로터에서는, 개구부에서 엔드 플레이트가 로터 코어의 단면과 접하는 개소가 있기 때문에, 수납 구멍 내의 자석·충전재가 로터 축방향으로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태양에 의하면, 플래쉬 제거 작업에 따른 비용의 증가를 억제함과 함께, 로터 코어와 엔드 플레이트와의 밀착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회전 전기기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로터 코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로터 코어의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엔드 플레이트의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단면이며, 주입구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충전재의 주입을 설명하는 몰드형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로터 코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주입구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은, 회전 전기기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로터 코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로터 코어의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엔드 플레이트의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단면이며, 주입구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충전재의 주입을 설명하는 몰드형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로터 코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주입구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회전 전기기기(1)는,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등에 탑재되는 모터 제너레이터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전기기기(1)는, 원고리 형상의 스테이터(10)와, 그 내부에 배치되는 로터(20)를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10)의 내주면과 로터(2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소정량의 갭이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터(10)는, 통 형상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코어(11)와, 이 스테이터 코어(11)의 내주부에 돌출 설치되어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티스(teeth)의 주위에 권장(卷裝)된 스테이터 코일(12)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 코어(11)는, 각각 대략 원고리 형상으로 펀칭 가공된 다수매의 전자(電磁) 강판을 축방향으로 적층하고 일체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터 코일(12)은, 스테이터 코어(11)의 축방향 단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코일 엔드(12a ,12b)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20)는, 회전축(21)과, 이 회전축(21)의 외주에 고정된 통 형상의 로터 코어(22)와, 로터 코어(2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매설된 복수의 자극(23)과, 로터 코어(22)의 양단면에 고정된 엔드 플레이트(24)를 구비하고 있다. 엔드 플레이트(24)는, 로터 코어(22)의 일단면에 고정된 엔드 플레이트(24a)와, 로터 코어(22)의 타단면에 고정된 엔드 플레이트(24b)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 코어(22)는, 각각 원고리 형상으로 펀칭 가공된 다수매의 전자 강판을 축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다. 로터 코어(22)를 구성하는 각 전자 강판은, 일괄적으로 코킹, 접착,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코어(22)에는, 8세트의 자극(23)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자극(23)은 동일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 하나의 자극(23)에 대해서 설명한다. 자극(23)은, 로터 코어(22)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영구 자석(31)과, 이 영구 자석(31)의 양측에, 영구 자석(31)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영구 자석(32, 33)을 구비하고 있다. 영구 자석(32, 33)은, 로터 코어(22)의 외주측을 향하여 대략 V자 형상으로 확대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
영구 자석(31, 32, 33)은, 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축방향으로 긴 평판 형상이며, 로터 코어(22)의 축방향의 길이보다도 근소하게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영구 자석(31, 32, 33)은, 각각 동(同) 형상, 동일한 크기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터 코어(22)의 사양 등에 의거하여 영구 자석(31, 32, 33)의 형상, 크기를 각각 상이한 것으로 해도 된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1개의 자극(23)이 배치된 로터 코어(22)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코어(22)에는, 영구 자석(31, 32, 33)을 삽입하는 수납 구멍(41, 42, 43)이 설치되어 있다. 수납 구멍(41, 42, 43)은, 로터 코어(22)의 단면에 개구부를 갖고, 로터 코어(22)의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우선, 수납 구멍(41)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납 구멍(41)은, 영구 자석(31)을 유지하는 자석 유지부(41a)와, 이 자석 유지부(41a)의 양단에 연통하는 포켓부(4lb, 41c)를 구비하고 있다. 자석 유지부(41a)는, 영구 자석(31)의 횡단면과 대략 상사형(相似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포켓부(4lb, 41c)는, 자석 유지부(41a)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대칭의 형상이다. 포켓부(4lb, 41c)의 자석 유지부(41a)와의 연통부는, 자석 유지부(41a)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되어 포켓부(4lb, 41c)에 영구 자석(31)이 인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수납 구멍(42, 43)은, 수납 구멍(42, 43)의 중앙을 지나는 중앙선에 대하여 선대칭의 형상이기 때문에, 수납 구멍(42)에 대해서 설명하고, 수납 구멍(43)에는 대응되는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수납 구멍(42)은, 영구 자석(32)을 유지하는 자석 유지부(42a)와, 이 자석 유지부(42a)에 연통하는 포켓부(42b, 42c)를 구비하고 있다. 자석 유지부(42a)는, 영구 자석(32)의 횡단면과 대략 상사형이고, 또한, 조금 큰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자석 유지부(42a)의 로터 코어(22)에 있어서의 내측 및 외측에는, 자석 유지부(42a)에 연통하여 자석 유지부(42a)로부터 로터 코어(2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의 포켓부(42b) 및 외측의 포켓부(42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양측 포켓부(42b, 42c)의 자석 유지부(42a)와의 연통부는, 자석 유지부(42a)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되어 포켓부(42b, 42c)에 영구 자석(32)이 인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내측의 포켓부(42b)는, 외측의 포켓부(42c)보다도 큰 단면적을 갖고 있다.
도 3의 A-A단면도인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석 유지부(41a)에는, 이 자석 유지부(41a) 내에 영구 자석(31)을 고정하기 위한 충전재(50)가 충전되어 있다. 충전재(50)에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열경화성인 수지재료가 이용된다. 충전재(50)는, 포켓부(41b, 41c)에도 충전되어 있다. 충전 후의 충전재(50)가 경화됨으로써, 영구 자석(31)이 자석 유지부(41a)에 고정된다. 즉, 수납 구멍(41) 내에 충전된 충전재(50)가 경화됨으로써, 영구 자석(31)은 수납 구멍(41)에 수지 몰드되어 고정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재(50)는, 도시하지 않는 수지 공급 장치로부터 몰드형(60)의 주입구(61)에 공급되고, 이 주입구(61)로부터 자석 유지부(41a)에 주입된다. 자석 유지부(41a)의 충전재(50)가 주입되는 부위가 주입부(51)가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원 형상의 주입부(51)(도면 중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다)는, 영구 자석(31) 및 자석 유지부(41a)의 대략 중앙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몰드형(60)에 의한 충전재(50)의 주입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수납 구멍(42)의 자석 유지부(42a), 포켓부(42b), 수납 구멍(43)의 자석 유지부(43a), 포켓부(43b)에도 동일하게, 몰드형(60)의 주입구(61)로부터 충전재(50)가 주입되어 경화됨으로써, 자석 유지부(42a, 43a)에 영구 자석(32, 33)이 각각 고정된다. 영구 자석(32, 33)도 수납 구멍(42, 43)에 수지 몰드되어 각각 고정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구멍(42)에는, 영구 자석(32) 및 자석 유지부(42a)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주입부(52a)와, 포켓부(42b)의 단부에 위치하는 주입부(52b)와의 주입부(52)에 의해 충전재(50)가 주입된다. 주입부(52a)로부터 자석 유지부(42a)에 충전재(50)가 주입되고, 주입부(52b)로부터 포켓부(42b)에 충전재(50)가 주입된다.
마찬가지로, 수납 구멍(43)에는, 영구 자석(33) 및 자석 유지부(43a)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주입부(53a)와, 포켓부(43b)의 단부에 위치하는 주입부(53b)와의 주입부(53)에 의해 충전재(50)가 주입된다. 주입부(53a)로부터 자석 유지부(43a)에 충전재(50)가 주입되고, 주입부(53b)로부터 포켓부(43b)에 충전재(50)가 주입된다.
충전재(50)는 열경화성 수지이기 때문에, 포켓부(41b, 41c, 42b, 42c, 43b, 43c)에 충전재(50)가 충전됨으로써, 포켓부(41b, 41c, 42b, 42c, 43b, 43c)는, 로터 코어(22)에 있어서 전자 강판의 부분보다도 투자율이 낮은 영역이 된다. 이 저투자율 영역을 설치함으로써, 영구 자석(31, 32, 33)의 둘레 방향 단부에 있어서의 표리면 사이에서의 자속의 누설이나 단락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충전재(50)의 경화 후, 로터 코어(22)의 양단면에는, 엔드 플레이트(24a, 24b)가 각각 고정된다. 엔드 플레이트(24a, 24b)는, 로터 코어(22)의 축방향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원환상이며,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SUS)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엔드 플레이트(24a, 24b)는, 그 외주에 있어서의 등간격의 복수 개소에 있어서, 로터 코어(22)에 각각 용접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입부(51)에는, 충전재(50)의 충전 후, 근소하게 충전재(50)가 잔류하여, 자석 유지부(41a)의 표면으로부터 부풀어오르는 충전재 플래쉬로서의 몰드 플래쉬(55)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드 플레이트(24a)의 로터 코어(22)로의 고정면에 있어서, 주입부(51)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이 주입부(51)에 형성되는 몰드 플래쉬(55)와의 간섭을 피하는 오목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25)는 주입부(5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장원형(長圓形)이다.
도 4,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25)의 안쪽 치수는, 주입부(51)에 형성되는 몰드 플래쉬(55)의 바깥쪽 치수보다도 크고, 자석 유지부(41a)의 개구의 안쪽 치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25)의 깊이는, 주입부(51)의 부풀어오름 높이, 즉 몰드 플래쉬(55)의 높이보다도 깊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오목부(25)는 몰드 플래쉬(55)에 간섭하지 않도록 덮여 있다.
또한, 엔드 플레이트(24a)에는, 주입부(52, 53)에 대응하여, 오목부(26, 2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26)는, 주입부(52a, 52b)에 대응하여, 오목부(26a, 26b)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27)는, 주입부(53a, 53b)에 대응하여, 오목부(27a, 27b)를 구비하고 있다. 엔드 플레이트(24b)도, 엔드 플레이트(24a)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 7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로터(20)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로터(20)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단계 S10에 있어서, 고리형으로 펀칭 가공된 다수의 전자 강판을 축방향으로 적층하고, 이들 전자 강판을 코킹,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일체화하여 전자 강판 적층체로서 로터 코어(22)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단계 S20에 있어서, 로터 코어(22)의 수납 구멍(41, 42, 43)에 영구 자석(31, 32, 33)을 삽입한다.
단계 S30에 있어서, 영구 자석(31, 32, 33)이 삽입된 로터 코어(22)를 몰드형(60)에 장착한다. 몰드형(60)은 로터 코어(22)을 상하로부터 끼워 넣는다.
단계 S40에 있어서, 몰드형(60)의 주입구(61) 등으로부터 로터 코어(22)의 자석 유지부(41a, 42a, 43a)의 주입부(51, 52a, 53a) 및 포켓부(42b, 43b)의 주입부(52b, 53b)에 충전재(50)를 주입한다. 충전재(50)의 주입에 의해, 자석 유지부(41a, 42a, 43a) 및 포켓부(41b, 41c, 42b, 42c, 43b, 43c)에 충전재(50)가 충전되어 충전재(50)로 채워진다. 이 충전재(50)의 충전은, 각 자극(23)마다 행해도 되고, 8세트의 자극(23) 모두 동시에 행해도 된다.
그리고, 단계 S50에 있어서, 로터 코어(22)를 가열함으로써 충전재(50)를 경화시켜, 영구 자석(31, 32, 33)을 로터 코어(22)의 수납 구멍(41, 42, 43)에 고정한다.
그 후, 단계 S60에 있어서, 로터 코어(22)를 몰드형(60)으로부터 취출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몰드형(60)을 떼어냈을 때에, 자석 유지부(41a)의 충전재(50)의 주입부(51)에 근소하게 충전재(50)가 잔류하여, 자석 유지부(41a)의 표면이 부풀어올라 몰드 플래쉬(55)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몰드 플래쉬(55)의 크기나 부풀어오른 높이는 실험 등에 의해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엔드 플레이트(24a)의 오목부(25)의 크기 및 깊이를, 어느 정도의 크기 및 깊이로 설정하면, 몰드 플래쉬(55)와 간섭하지 않도록 할지는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주입부(52, 53)에 대한 몰드 플래쉬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주입부(52, 53)에도 주입부(51)와 동일하게 몰드 플래쉬가 형성된다.
몰드 플래쉬(55)를 제거하고 있지 않은 로터 코어(22)에 회전축(21)을 고정한다. 그리고, 엔드 플레이트(24a)의 오목부(25)를 몰드 플래쉬(55)에 대향시켜, 엔드 플레이트(24a)를 로터 코어(22)에 고정한다. 동일하게 엔드 플레이트(24b)도 로터 코어(22)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로터(20)의 제조가 완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몰드 플래쉬(55)를 제거하는 플래쉬 제거 작업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이 작업에 따른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엔드 플레이트(24a)의 오목부(25)를 주입부(51)(몰드 플래쉬(55))보다도 큰 치수 및 깊이로 함으로써, 엔드 플레이트(24a)를 로터 코어(22)의 단면에 고정했을 때에, 충전재(50)의 주입부(51)(몰드 플래쉬(55))와 엔드 플레이트(24a)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고, 엔드 플레이트(24a)를 로터 코어(22)의 단면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24b)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오목부(25)의 안쪽 치수는, 자석 유지부(41a)의 개구의 안쪽 치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에서 엔드 플레이트(24a)가 로터 코어(22)의 단면과 접하는 개소가 있기 때문에, 수납 구멍(41, 42, 43) 내의 영구 자석(31, 32, 33)이나 충전재(50)가 로터(20)의 축방향으로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플래쉬 제거 작업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 몰드 플래쉬(55)가 탈락할 가능성이 있으며, 가령 탈락되면, 회전 전기기기(1)의 내부에 있어서 이물이 되어, 회전 부분에 부착되면 회전 전기기기(1)의 동작에 지장이 발생하고, 또한, 회전 전기기기(1)의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유나 윤활유의 유로가 막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몰드 플래쉬(55)는, 엔드 플레이트(24a)의 오목부(25)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가령, 몰드 플래쉬(55)가 탈락해도, 회전 전기기기(1)의 내부로 비산하지 않아, 회전 전기기기(1)의 내부에 있어서의 이물이 되는 경우는 없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25) 대신에 관통 구멍(70)을 설치하고 있다. 특히, 엔드 플레이트(24)의 두께가 얇고, 오목부(25)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관통 구멍(7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재(50)의 충전 후, 주입부(51)에는, 근소하게 충전재(50)가 잔류하여 자석 유지부(41a)의 표면으로부터 부풀어오르는 몰드 플래쉬(55)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엔드 플레이트(24a)에 있어서, 주입부(51)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이 주입부(51)에 형성되는 몰드 플래쉬(55)와의 간섭을 피하는 원형의 관통 구멍(70)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70)의 안쪽 치수는, 주입부(51)에 형성되는 몰드 플래쉬(55)의 바깥쪽 치수보다도 크고, 자석 유지부(41a)의 개구부의 안쪽 치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70)의 형상을 원형으로 했지만, 몰드 플래쉬(55)의 형상에 따라서, 직사각형, 정방형, 장원형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가공성의 관점에서는 원형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관통 구멍(70)이 설치된 엔드 플레이트(24a)를 로터 코어(22)의 단면에 고정했을 때에, 충전재(50)의 주입부(51)(몰드 플래쉬(55))와 엔드 플레이트(24a)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고, 엔드 플레이트(24a)를 로터 코어(22)의 단면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엔드 플레이트(24a)로서 두께가 얇은 것을 채용하는 등,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오목부(25)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라도, 엔드 플레이트(24a)를 로터 코어(22)의 단면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70)의 지름을 조정하는 것만으로, 몰드 플래쉬(55)와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엔드 플레이트(24a)로의 가공이 간단해지고, 가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70)의 안쪽 치수는, 자석 유지부(41a)의 개구부의 안쪽 치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에서 엔드 플레이트(24a)가 로터 코어(22)의 단면과 접하는 개소가 있기 때문에, 수납 구멍(41, 42, 43) 내의 영구 자석(31, 32, 33)이나, 충전재(50)가 로터(20)의 축방향으로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6)
- 로터(20)에 있어서,
로터 코어(22);
로터 코어(22)의 단면에 개구부를 갖는 수납 구멍에 배치된 자석(31, 32, 33);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수납 구멍에 주입된 충전재(50); 및
상기 단면에 고정되는 엔드 플레이트(24)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24)는, 몰드형(60)의 주입구를 통한 충전재(50)의 주입에 따라, 상기 충전재(50)의 주입부(51, 52, 53)에 형성되는 충전재 플래쉬(55)와 대향되는 부위에 오목부(25, 26, 27)를 갖는 로터(2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25, 26, 27)의 안쪽 치수는, 상기 충전재 플래쉬(55)의 바깥쪽 치수보다도 크고,
상기 오목부(25, 26, 27)의 깊이는, 상기 충전재 플래쉬(55)의 부풀어오른 높이보다도 깊은 로터(20).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25, 26, 27)의 안쪽 치수는, 상기 개구부의 안쪽 치수보다 작은 로터(20). - 로터(20)에 있어서,
로터 코어(22);
로터 코어(22)의 단면에 개구부를 갖는 수납 구멍에 배치된 자석(31, 32, 33);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수납 구멍에 주입된 충전재(50); 및
상기 단면에 고정되는 엔드 플레이트(24)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24)는, 몰드형(60)의 주입구를 통한 충전재(50)의 주입에 따라, 상기 충전재(50)의 주입부(51, 52, 53)에 형성되는 충전재 플래쉬(55)와 대향되는 부위에 관통 구멍(70)을 갖는 로터(20).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70)의 안쪽 치수는, 상기 충전재 플래쉬(55)의 바깥쪽 치수보다 큰 로터(20).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70)의 안쪽 치수는, 상기 개구부의 안쪽 치수보다 작은 로터(2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125495A JP6233355B2 (ja) | 2015-06-23 | 2015-06-23 | ロータ |
JPJP-P-2015-125495 | 2015-06-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0345A KR20170000345A (ko) | 2017-01-02 |
KR101843069B1 true KR101843069B1 (ko) | 2018-03-28 |
Family
ID=5753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7049A KR101843069B1 (ko) | 2015-06-23 | 2016-06-21 | 로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199891B2 (ko) |
JP (1) | JP6233355B2 (ko) |
KR (1) | KR101843069B1 (ko) |
CN (1) | CN106300740A (ko) |
DE (1) | DE10201621041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33355B2 (ja) * | 2015-06-23 | 2017-11-2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ロータ |
JP6385588B2 (ja) * | 2015-10-09 | 2018-09-05 | 三菱電機株式会社 | 回転子および回転電機 |
DE112015007074T5 (de) * | 2015-10-30 | 2018-07-19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Motor, Rotor, Kompressor und Kühl- und Klimagerät |
JP6627784B2 (ja) * | 2017-01-11 | 2020-01-0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回転電機ロータ |
CN107370266B (zh) * | 2017-08-01 | 2023-10-13 |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 电机转子、电机及电机转子的制作方法 |
JP7089162B2 (ja) * | 2018-03-30 | 2022-06-22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回転電気機械及び圧縮機 |
JP7187287B2 (ja) * | 2018-11-30 | 2022-12-12 |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 積層鉄心製品の製造方法 |
JP7310141B2 (ja) * | 2019-01-08 | 2023-07-19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回転電機のロータ |
JP7356307B2 (ja) * | 2019-09-18 | 2023-10-04 |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 鉄心製品の製造方法及び鉄心製品 |
DE102021206835A1 (de) * | 2021-06-30 | 2023-01-05 | Valeo Eautomotive Germany Gmbh | Rotor mit einer Endplatte mit einer Vertiefung |
DE102021126750B4 (de) * | 2021-10-15 | 2023-06-22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otors einer elektrischen Maschine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85661B2 (ja) | 2006-02-27 | 2011-05-1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ロ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動車両 |
JP4856990B2 (ja) * | 2006-03-13 | 2012-01-1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ロ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動車両 |
JP4414417B2 (ja) * | 2006-08-22 | 2010-02-10 |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 回転子積層鉄心の樹脂封止方法 |
JP2008245405A (ja) * | 2007-03-27 | 2008-10-09 | Aisin Seiki Co Ltd | ロ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4605481B2 (ja) * | 2008-07-07 | 2011-01-0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永久磁石式回転子 |
KR101220381B1 (ko) | 2010-12-01 | 2013-01-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매입형 영구자석모터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
JP5614501B2 (ja) * | 2011-06-09 | 2014-10-2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回転電機用ロータ、回転電機、および、回転電機用ロータの製造方法 |
CN202374067U (zh) * | 2011-11-21 | 2012-08-08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永磁转子及永磁电机 |
CN104136532B (zh) * | 2012-03-01 | 2016-05-18 | 住友电木株式会社 | 转子固定用树脂组合物、转子和汽车 |
JP5626267B2 (ja) * | 2012-06-13 | 2014-11-19 | 株式会社デンソー | 回転電機の回転子 |
JP2015042028A (ja) | 2013-08-20 | 2015-03-0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ロータ磁石のモールド方法及びロータ |
JP6153826B2 (ja) * | 2013-09-05 | 2017-06-28 |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 永久磁石付き回転子及びその製造方法 |
CN203691097U (zh) * | 2014-01-20 | 2014-07-02 | 东明机电(深圳)有限公司 | 用于小型或微型电机上的转子组件 |
US10291090B2 (en) * | 2014-06-05 | 2019-05-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tor assembly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
JP6233355B2 (ja) * | 2015-06-23 | 2017-11-2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ロータ |
-
2015
- 2015-06-23 JP JP2015125495A patent/JP6233355B2/ja active Active
-
2016
- 2016-06-13 DE DE102016210417.9A patent/DE102016210417A1/de active Pending
- 2016-06-16 US US15/184,579 patent/US10199891B2/en active Active
- 2016-06-21 CN CN201610453476.XA patent/CN106300740A/zh active Pending
- 2016-06-21 KR KR1020160077049A patent/KR101843069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6300740A (zh) | 2017-01-04 |
JP6233355B2 (ja) | 2017-11-22 |
DE102016210417A1 (de) | 2016-12-29 |
US10199891B2 (en) | 2019-02-05 |
JP2017011891A (ja) | 2017-01-12 |
US20160380493A1 (en) | 2016-12-29 |
KR20170000345A (ko) | 2017-0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3069B1 (ko) | 로터 | |
EP2696470B1 (en) | Rotor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rotor | |
EP3468005B1 (en) | Rotor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US20160365779A1 (en) | Rotor,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otor | |
JP5141749B2 (ja) | エンドプレ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回転電機のロータ | |
EP2980962B1 (en) | Electric machine | |
JP5382012B2 (ja) | 回転電機用回転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EP2892128A2 (en) | Rotor and motor including the same | |
CN108781017B (zh) | 轴向间隙型旋转电机及其制造方法 | |
CN106059140A (zh) | 层叠式转子及其制造方法 | |
JP6525331B2 (ja) | 回転電機、および回転電機のロータの製造方法 | |
JP2011182603A (ja) | ロータ、ロータの製造方法及びモータ | |
JP2007159223A (ja) | ロータ、回転電機およびロータの製造方法 | |
JP2019213431A (ja) | 回転電機用ロータ | |
JP6898370B2 (ja) | ロータコアの製造装置及びロータコアの製造方法 | |
JP2011217449A (ja) | 回転電気機械及び回転電気機械のロータの製造方法 | |
CN111525756A (zh) | 转子芯的制造装置和转子芯的制造方法、以及转子构造 | |
KR101247685B1 (ko) | 로터, 이를 구비한 모터 및 로터 제조방법 | |
JP2016184991A (ja) | 磁石埋込型ロータ及び磁石埋込型ロータの製造方法 | |
KR102175934B1 (ko) |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 |
JP5800075B2 (ja) | ロータ、ロータの製造方法及びモータ | |
JP2014121179A (ja) | 回転電機のロータ | |
JP6805712B2 (ja) | ロータの製造方法 | |
CN112583162A (zh) | 保持架、转子、马达以及转子的制造方法 | |
EP3468002B1 (en) | Ipm motor rotor, ipm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pm motor ro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