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160B1 - α겔 중간체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α겔 중간체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160B1
KR101840160B1 KR1020167029606A KR20167029606A KR101840160B1 KR 101840160 B1 KR101840160 B1 KR 101840160B1 KR 1020167029606 A KR1020167029606 A KR 1020167029606A KR 20167029606 A KR20167029606 A KR 20167029606A KR 101840160 B1 KR101840160 B1 KR 101840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el
mass
oi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831A (ko
Inventor
레이지 미야하라
데츠로 요네자와
마키요 미야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70009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052Preparation of gels
    • B01J13/0065Preparation of gels containing an organic ph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8Micro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Abstract

본 발명은 점도의 경시변화가 매우 적고, 유화안정성이 우수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를, 비용면과 환경면에서의 부담이 큰 냉각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중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 1종 또는 2종 이상과, HLB 값이 7~1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3:2~5:1의 몰비로 혼합된 혼합물, 20~80 질량%, 및 (B) IOB 값이 1.5~3.5인 수용성 용매 1종 또는 2종 이상과, 물이 4:6~8:2의 질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20~80 질량%로 이루어지고, 50~80℃에서는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또는 라멜라 액정이 분산된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으로 이루어진 액체이고, 실온에서는 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겔 중간체 조성물.

Description

α겔 중간체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α-GEL-INTERMEDIATE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FOR α-GEL-CONTAINING O/W EMULSION COSMETIC USING SAID COMPOSITION}
본 발명은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한 중간체 조성물, 및 상기 중간체 조성물을 사용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화화장료의 제조에 있어서, 에멀전의 안정화는 매우 중요한 과제로, 상기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예로서, 비특허문헌 1 및 2). 예를 들어, O/W(=수중유형) 에멀전의 경우, 유화입자의 주위에 액정이나 α겔의 층을 형성시키면 유화입자의 응집·합일이 물리적으로 억제되므로, 유화안정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1 및 2).
α겔이라는 것은,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상 고급 알콜 또는 미중화의 지방산과 친수성 계면활성제가, 물과의 공존하에서 형성하는 라멜라상의 2분자막으로 이루어진 회합체인 것이다(비특허문헌 3). 상기 고급 알콜과 계면활성제는 상기 2분자막 내에서 3:1의 분자비로 규칙적으로 배치(구체적으로는 고급 알콜의 친수기가 육각형의 모서리에, 계면활성제의 친수기가 육각형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육방정계를 형성하고 있다(비특허문헌 3, 제81~82페이지). 라멜라 액정과 구조적으로 닮아 있지만, 라멜라 액정보다도 알킬사슬의 패킹이 높으므로 폐색성이 높고, 보수성도 우수하므로, α겔을 이용한 상기 안정화 기술은 O/W 유화화장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예로서, 특허문헌 1).
그러나, α겔을 외상에 포함하는 O/W 유화화장료(본원에서는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라고 부름)는 점도의 경시안정성이 낮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점도가 상승하는(즉, 제품이 점차 단단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그 제조공정에서는 유화물의 냉각공정이 용이하지 않은데, 냉각속도가 매우 느리면 외상중에 α겔이 다량으로 형성되어 지나치게 단단한 화장료가 되고, 냉각속도가 너무 빠르면 고급 알콜의 결정이 석출되어 응집덩어리를 생성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상기 공정은 통상 냉각기(온레터(onlator) 등)를 사용하여 냉각속도를 조절하면서 실시되지만, 많은 에너지를 요하는 데다가 냉각기의 세정공정에서 다량의 폐수를 발생시키므로, 비용면과 환경면에서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제조방법에서는 유화입자직경이 작은 에멀전(구체적으로는 입자직경 1㎛ 이하)의 제조이 어려운 것도 알려져 있었다.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가 안고 있는 상기 문제점 중 유화입자직경에 대해서는, 본 발명자에 의해 최초로 W/O 에멀전을 제조하고, 그 후 O/W에멀전으로 전상(轉相)시킴으로써, 1㎛ 이하의 유화입자직경을 갖는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그리고, 상기 비용면과 환경면에서의 부담에 대해서는, 고농도의 중간체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이를 경감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본 발명자에 의해 α겔을 형성할 수 있는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 비이온 계면활성제, 유분을 포함하는 유상과, 수상의 일부만을 70℃ 이상에서 유화하여 고농도 유화 파트를 제조하고, 상기 고농도 유화파트를 실온 부근의 잔부의 수상으로 희석함으로써, 냉각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서는, 고농도의 수용성 용매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70℃ 부근에서 가열 용해한 수상에, 가열한 유상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미세한 오일겔(오일겔 유화파트)을 제조하고, 상기 오일겔을 수상중에 분산시킴으로써 O/W 유화화장료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특히, 특허문헌 4의 실시예 3 참조).
그러나,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최대의 문제점인 점도의 경시 변화에 대해서는, 이를 억제할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중간체 조성물(고농도 유화파트 및 오일겔 유화파트)는 열 역학적으로 비평형인 상태의 조성물이므로, 안정적이고 보존 가능한 중간체 조성물에 대한 요구도 있었다.
일본 특허 제3829048호 공보 일본 특허 제5047369호 공보 일본 특허 제4709320호 공보 일본 특허공고 1990-51665호 공보
약학 잡지, 제104권, 제9호, 제986~989페이지, 1894년 스즈키 도시유키, 쇼키지, 제44권, 제2호, 제103~117페이지, 2010년 후쿠시마 쇼지 저, 「세틸알콜의 물리화학」, 프레그런스저널사 출판, 제79~83페이지, 1992년 아베 마사히코, 스즈키 도시유키, 후쿠이 히로시 저, 「최신·화장품의 기능창제·소재개발·응용기술」, 기술교육출판사 출판, 2007년 후지타 아츠시, 아카즈카 마사미 저, 「계통적 유기정정분석(혼합물편)」, 교리츠 슛판 가부시키가이샤 출판, 1974년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안고 있는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점도의 경시변화가 매우 적고, 유화안정성이 우수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를, 냉각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지금까지의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에 착안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의 방법에서는, 친수성 계면활성제와 그 밖의 수성 성분을 물에 용해하여 70℃ 부근으로 가온한 수상에, 유분과 고급 알콜을 70℃ 부근에서 가열 용해한 유상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유화를 실시하고, 얻어진 유화물을 냉각기 내에서 교반하면서 35℃ 부근에까지 냉각함으로써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를 제조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즉, α겔의 구성성분(친수성 계면활성제,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상 고급 알콜, 및 물) 중, 친수성의 계면활성제는 수상에, 친유성의 고급 알콜은 유상에 각각 용해시켜 두고, 두 상을 혼합하여 유화를 실시한 후에, 상기 유화입자의 내부로부터 고급 알콜이 수상으로 침출(浸出)함으로써, 유화입자의 주위에 효율 좋게 α겔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친수성이 높은 성분을 수상에, 친유성이 높은 성분을 유상에 용해하는 것은 지극히 상식적인 방법으로,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는 모두 이 상식에 따르고 있다. 또한, α겔로 덮인 유화입자를 얻는 데에는 겔의 구성성분이 유화입자의 계면막상에서 고르게 되도록 디자인된 상기 제조방법이 매우 효율적이고 또한 목적에 부합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자는 이들 상식에 감히 반함으로써,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을 모색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α겔의 구성성분이 모두 용해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α겔을 생성하지 않는 액상으로, 또한 특정의 조작에 의해 α겔 형성이 용이하게 유발되는 액상을 만들어 낼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했다. 또한, 본원에서는 "액상(즉, 액체 상태의 상)"과, "액체"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시행착오 끝에, IOB 값이 1.5~3.5의 수용성 용매와 물을 4:6~8:2의 질량비로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하면,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과 친수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α겔을 형성하기 쉬운 혼합비(3:2~5:1)로 용해시켜도 50-80℃의 범위에서 α겔을 포함하지 않는 저점도의 액상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했다. 상기 저점도의 액상은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또는 라멜라 액정이 분산된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상에 실온 정도의 물을 첨가하여 혼합하면 용이하게 α겔이 생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저점도의 액상에, 80℃ 이하의 유분과 실온 정도의 물을 차례로 첨가하여 혼합하면, 점도의 경시안정성이 매우 높고 유화안정성이 우수한 α겔 함유 O/W 유화물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상기 저점도의 액상은 실온에서는 왁스형상의 고체가 되고, 그 상태에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것도 발견되었다.
즉, 본 발명에 의해,
(A)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 1종 또는 2종 이상과, HLB 값이 7~1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3:2~5:1의 몰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20~80 질량%, 및
(B) IOB 값이 1.5~3.5인 수용성 용매 1종 또는 2종 이상과, 물이 4:6~8:2의 질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20~80 질량%,
로 이루어지고,
50-80℃에서는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또는 라멜라 액정이 분산된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으로 이루어진 액체이며,
실온에서는 고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α겔 중간체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A)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및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의 IOB 값이 1.5~3.5인 수용성 용매로서는,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및 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하기 공정 (ⅰ)~(ⅲ);
(ⅰ) 하기 성분 (A)와 (B)를 50-80℃에서 교반 혼합하고,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또는 라멜라 액정이 분산된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으로 이루어진 α겔 중간체 조성물을 얻는 공정;
(A)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 1종 또는 2종 이상과, HLB 값이 7~1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3:2~5:1의 몰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20~80 질량%, 및
(B) IOB 값이 1.5~3.5인 수용성 용매 1종 또는 2종 이상과, 물이 4:6~8:2의 질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20~80 질량%,
(ⅱ) 공정 (ⅰ)에서 얻은 α겔 중간체 조성물에, 상기 조성물을 50-80℃에서 교반하면서 80℃ 이하의 유분을 첨가하는 공정; 및
(ⅲ) 공정 (ⅱ)에서 얻은 α겔 중간체 조성물과 유분의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상기 혼합물의 3~50 질량배의 30℃ 이하의 물을 첨가하는 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공정 (ⅰ)에서 얻어진 α겔 중간체 조성물은 실온에서 보존한 후에 상기 공정 (ⅱ)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해, 점도의 경시안정성이 매우 높고, 유화안정성이 우수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를, 비용면과 환경면에서의 부담이 큰 냉각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중간체 조성물, 및 상기 중간체 조성물을 사용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α겔 중간체 조성물은 50-80℃로 가열하여 저점도의 액상으로 한 후에 물을 첨가하면, 용이하게 α겔을 생성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상기 저점도의 액상에 가열한 유분을 첨가하고, 계속해서 실온 정도의 물(또는 수성 성분을 용해시킨 물)을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간편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α겔 함유 O/W 유화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α겔 중간체 조성물은 실온에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세토스테아릴알콜: POE(15)올레일에테르=3:1(몰비)의 혼합물을 50 질량%, 디프로필렌글리콜/물의 혼합물(질량비는 종축에 기재)을 50 질량% 포함하는 조성물이, 여러 온도에서 얻어질 수 있는 상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관한 α겔 중간체 조성물, 및 그 구성성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서의 PEG, POE, POP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의 약칭으로, 상기 약칭한 하이폰 뒤의 숫자는 각각의 평균 부가몰수를 나타낸다. 또한, DPG는 디프로필렌글리콜의 약칭이다.
·α겔 중간체 조성물
본 발명에 관한 α겔 중간체 조성물은
(A)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 1종 또는 2종 이상과, HLB 값이 7~1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3:2~5:1의 몰비로 혼합된 혼합물과,
(B) IOB 값이 1.5~3.5인 수용성 용매 1종 또는 2종 이상과, 물이 4:6~8:2의 질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
(A):(B) = 20:80~ 80:20의 질량비로 혼합된 조성물이고 50-80℃에서는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또는 라멜라 액정이 분산된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이후, 본원에서는 라멜라 액정 분산상이라고 부름)으로 이루어진 저점도의 액체이고, 실온에서는 왁스형상의 고체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체의 상태에서는 실온에서의 장기 보존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IOB 값(Inorganic Organic Balance)이라는 것은 후지타 아츠시의 유기개념도에 의해 산출되는 무기성 값과 유기성 값의 비에 관한 것으로, 유기화합물의 극성의 지표가 되는 값이다(비특허문헌 5). 유기화합물의 IOB 값이 높을수록, 상기 화합물의 극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α겔 중간체 조성물은 50-80℃로 가열한 상태에서, 80℃ 이하의 유분과 30℃ 이하의 물을 차례로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유상(즉, 유화입자)의 주위가 α겔로 덮인 O/W 유화화장료를 용이하게 생성하므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중간체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α겔"이라는 것은,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상 고급 알콜과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3:1의 분자비로 형성하는 육방정계를 기본 단위로 하는 라멜라 형상의 2분자막 회합체(비특허문헌 3, 제81-82페이지 참조)를 의미한다. X선 회절을 실시하면, α겔은 회절각 약 10° 이하의 소각 영역에, 수십~수백 Å 수준의 장면(長面) 간격에 대응하는 뾰족한 피크를 나타내고, 회절각 약 10° 이상의 광각영역에, 상기 육방정계의 육각형(즉, 단면(短面) 간격)에 대응하는 뾰족한 단일 피크(4.15Å 부근)를 나타낸다. 라멜라 액정과 비교하면, 소각 영역의 패턴으로 양자를 구별기는 어렵지만, 광각영역의 패턴이 명백히 다르므로(라멜라 액정에서는 4.5Å 부근에 halo, 즉 브로드한 단일 피크가 얻어진다), 양자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비특허문헌 4, 제238-241페이지 참조).
따라서, 본원에서는 X선 회절에서 소각영역에 장면간격에 대응하는 복수의 피크가 얻어지고, 또한 광각 영역에 뾰족한 단일 피크가 얻어진 경우에, α겔 함유 조성물로 판정하기로 했다.
본 발명에 관한 α겔 중간체 조성물이 50-80℃에서 얻을 수 있는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이라는 것은,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과 HLB 값이 7~1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서로의 친수기끼리 (또는 친유기끼리)가 근접하도록 배향하여 형성되는 2분자막 상의 무한 회합체로 이루어진, 열 역학적으로 평형인 1상 상태의 액상이다. 상술한 α겔과는 달리, 상기 무한회합체의 막 평면방향에서의 고급 알콜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치에 규칙성은 없고, 계 전체로서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나타낸다. 80℃ 부근에서는 무색투명이 되므로, 친수성 색소·소수성 색소를 첨가하면 두 색소 모두 계 전체에 확산되는 것이 관찰되고, 이에 의해 두 연속상인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α겔 중간체 조성물이 50-80℃에서 얻을 수 있는 "라멜라 액정 분산상"이라는 것은, 상기 무한회합체의 일부가 국소적으로 액정화함으로써, 상기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에 라멜라 액정이 분산된 상태의 액상이다. 상기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과 동일하게, 80℃ 부근에서는 무색투명이 되고 친수성 및 소수성 색소의 계 전체로의 확산이 관찰되지만, 라멜라 액정을 포함하므로 광학적으로는 이방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라멜라 액정 분산상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은 저속으로 원심(예로서, 히타치 고키 가부시키가이샤제 himacCF7D2형 원심분리기를 사용한 2000rpm 정도의 저속 원심)하면, 광학등방성의 상층(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과 광학이방성의 하층(라멜라 액정이 농축된 상)으로 분리되므로, 상기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과는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상기 하층의 비율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약 5 체적% 이하인 것을 "라멜라 액정 분산상"이라고 정의한다.
본원에서는 상기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및 라멜라 액정분산상으로 이루어진 액상(액체)을 "저점도의 액상(액체)"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상기 "저점도"라는 것은 α겔 및 라멜라 액정상이 매우 고점도(거의 고체에 가까운)인 것과 대비하여 사용한 용어이다.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
본 발명의 (A)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함께 수중에서 α겔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화장품, 의약품, 의약부외품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예로서는 세틸알콜, 세토스테아릴알콜, 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바틸알콜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24의 직쇄상 고급 알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24의 직쇄상 포화 고급 알콜이다. 또한, 본원에서의 고급 알콜에는 글리세린모노지방산에테르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A)성분으로서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HLB 값이 7~1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A)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알콜과 함께 수중에서 α겔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화장품, 의약품, 의약부외품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친수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면 좋다. HLB 값은 7~17, 특히 8~17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HLB 값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 특히 바람직한 예로서 POE(10)베헤닐에테르 (HLB=10.0, 예로서 닉콜BB-10, 닛코케미카르즈 가부시키가이샤제), POE(20)베헤닐에테르 (HLB=16.5, 예로서 닉콜BB-20, 닛코케미카르즈 가부시키가이샤제), POE(15)올레일에테르 (HLB=16.0, 예로서 에마렉스515, 닛폰에마르존 가부시키가이샤제), 소르비탄야자지방산에스테르 (HLB=8.6), POE(30) 경화피마자유 (HLB=11.0, 예로서 닉콜 HCO-30, 닛코케미카르즈 가부시키가이샤제), POE(60) 경화피마자유 (HLB=14.0, 예로서 닉콜 HCO-60, 닛코케미카르즈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A)성분으로서 배합되는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과 HLB 값이 7~1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몰비는, 3:2~5:1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1이다. 상기 고급 알콜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몰비가 3:2~5:1의 범위 내이면, α겔이 효율 좋게 형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몰비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O/W 유화화장료의 오일방울의 주위에 α겔이 충분하게는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고급 알콜의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고급 알콜의 결정이 유화화장료 중에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IOB 값 1.5~3.5의 수용성 용매
본 발명의 (B)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IOB 값 1.5~3.5의 수용성 용매로서는,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디프로필렌글리콜(IOB=1.80), 이소프렌글리콜(IOB=2.20), 1,3-부탄디올(IOB=2.50), 1,4-부탄디올(IOB=2.50), 평균분자량 300 이하의 폴리에틸렌글리콜(예로서, IOB=2.92의 PEG-200), 프로필렌글리콜(IOB=3.33)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 중,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1,3-부탄디올, 프로필렌글리콜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프로필렌글리콜이다.
본 발명에서는, (B)성분으로서 IOB 값 1.5~3.5의 수용성 용매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α겔 중간체 조성물에서의 상기 (A) 및 (B)성분의 배합 비율은, 질량비로 (A):(B) = 20:80~ 80:20이 바람직하다. (A)가 20 질량%보다 적으면 O/W 유화화장료의 사용감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80 질량%보다 많으면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또는 라멜라 액정 분산상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유분 및 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들은 상기 α겔 중간체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내상 및 외상이 되는 성분이다.
·유분
본 발명에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에 내상으로서 배합할 수 있는 유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액체 유지, 고체 유지, 왁스류,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합성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및 일부의 고급 알콜(본원 (A)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분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에 대해서 1~50 질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밖에서는 사용감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액체 유지로서, 예를 들어, 아보카도유, 동백나무유, 터틀유, 마카데미아너츠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난황유, 참기름, 살구씨유(persic oil), 소맥배아유, 산다화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샤플라워유, 면실유, 들기름, 대두유, 낙화생유, 티오일, 비자나무유, 중국오동유, 일본오동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고체 유지로서는, 예를 들어, 카카오지, 야자유, 마지, 경화 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우지, 팜핵유, 돈지, 우골지, 목랍핵유, 경화유, 우각지, 목랍, 경화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왁스류로서는, 예를 들어, 밀랍, 칸데릴라 왁스, 면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 백랍, 고래 왁스, 몬탄 왁스, 쌀겨 왁스, 라놀린, 케이폭 왁스, 아세트산 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르산 헥실, 환원 라놀린, 호호바 왁스, 경질 라놀린, 셸락 왁스, POE 라놀린 알콜 에테르, POE 라놀린알콜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 첨가 라놀린알콜에테르, 팔미트산 세틸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예를 들어, 유동파라핀, 지랍, 스쿠알란, 프리스테인,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렌, 바세린, 미세결정질왁스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운데실렌산, 톨루산(toluic acid), 이소스테아르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에스테르유로서는, 예를 들어 옥탄산 세틸, 미리스트산 미리스틸,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톨, 숙신산디옥틸, 디네오펜탄산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서는, 예를 들어, 사슬형 폴리실록산(예를 들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페닐폴리실록산 등); 고리형 폴리실록산(예를 들어,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 3차원 그물눈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각종 변성 폴리실록산(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알킬 변성 폴리실록산, 불소 변성 폴리실록산 등), 아크릴실리콘류 등을 들 수 있다.
·물
본 발명에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외상으로서 α겔 중간체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물은, 실온 부근의 것이 바람직하고, 상한 온도는 30℃ 정도, 하한온도는 15℃ 정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실온"이라는 것은, 섭씨 15-30℃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이하에 예시하는 임의 성분 중, 수용성 성분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임의 성분
본 발명에 관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에는 상기 필수성분 외에, 통상, 화장품, 의약품 등에 사용되는 성분을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임의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분말성분, 양성(兩性)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보습제, 증점제, 피막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이온 봉쇄제, pH 조정제, 피부 영양제, 비타민, 산화방지제, 산화방지조제,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임의성분은 유용성(油溶性)인 것은 상기 80℃ 이하로 가열한 유분에, 수용성인 것은 상기 30℃ 이하의 물에 각각 용해시킴으로써,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의성분으로서 상기 (B)성분과 동일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분말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 분말(예를 들면, 탈크, 카올린,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흑운모, 퍼미큘라이트,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라포나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 황산 칼슘(소(燒) 석고), 인산칼슘, 불소아파타이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예를 들면, 미리스트산 아연, 팔미트산 칼슘, 스테아르산 알루미늄), 질화붕소 등); 유기분말(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사불화에틸렌 분말, 셀룰로스 분말 등); 무기 백색 안료(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 무기 적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철(벵가라), 티탄산철 등); 무기 갈색계 안료(예를 들어, γ-산화철 등); 무기 황색계 안료(예를 들어, 황산화철, 황토 등); 무기 흑색계 안료(예를 들어, 흑산화철, 저차산화티탄 등); 무기 자색계 안료(예를 들면, 망고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 무기 녹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 무기 청색계 안료(예를 들면, 군청, 감청 등); 펄 안료(예를 들면, 산화티탄 코팅 마이카, 산화티탄 코팅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코팅 탈크, 착색 산화티탄 코팅 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생선 비늘박 등); 금속 분말 안료(예를 들면, 알루미늄 파우더, 구리 파우더 등);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예를 들면,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오렌지색 203호, 오렌지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및 청색 404호 등의 유기 안료,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오렌지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및 청색 1호 등); 천연 색소(예를 들면, 클로로필, β-카로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미다졸린계 양성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옥시2나트륨염 등);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 아세트산 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설포베타인 등) 등을 들 수 있다.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산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산산 디글리세롤소르비탄 등); 글리세린폴리글리세린 지방산류(예를 들면, 모노 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루크산 글리세린, 세스퀴올레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α,α’-올레산 피로글루탐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말산 등);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등);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등); POE-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소르비톨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톨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톨펜타올레에이트, POE-소르비톨모노스테아레이트 등);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모노올레에이트 등); POE-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에이트, 디스테아르산 에틸렌글리콜 등); POE-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탄올에테르 등); 플루로닉형류(예를 들면, 플루로닉 등); POE·POP-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POE·POP-세틸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모노부틸에테르, POE·POP-수첨 라놀린, POE·POP-글리세린에테르 등); 테트라 POE·테트라 POP-에틸렌디아민 축합물류(예를 들면, 테트로닉 등); POE-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예를 들면, POE-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탐산 모노이소스테아르산디에스테르, POE-경화 피마자유 말레산 등); POE-밀랍·라놀린 유도체(예를 들면, POE-소르비톨 밀랍 등); 알칸올아미드(예를 들면,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 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 POE-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POE-알킬아민; POE-지방산 아미드;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시드; 트리올레일인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증점제로서 천연·반합성·합성 고분자 화합물을 배합할 수 있다.
천연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갈락탄, 구아검, 캬로브검, 카라야검, 로커스트빈검, 타마린드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시드(마르멜로), 조류콜로이드(갈조류 엑기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글리시리진산); 미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잔탄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플루란 등); 동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반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전분계 고분자(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 셀룰로스계 고분자(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셀룰로스황산나트륨, 디알킬디메틸암모늄황산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스, 셀룰로스 분말, 및 이들 고분자의 소수변성화합물<예: 일부를 스테아록시 변성> 및 이들 고분자의 양이온 변성 화합물 등); 아르긴산계 고분자(예를 들면, 아르긴산 나트륨, 아르긴산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 펙틴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40,000, 60,00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폴리(디메틸디알릴암모늄할라이드)형 양이온성 고분자(예를 들어, 마코토 100(Merquat 100) 미국 메르크사제); 디메틸디알릴암모늄할라이드와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형 양이온성 폴리머(예를 들어, 마코토 550(Merquat 550) 미국 메르크사제); 아크릴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규산 AlMg(비검)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파라아미노벤조산(이하, 간단히 PABA라고 함), PABA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에틸에스테르 등);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 3-(4’-메틸벤질리덴)-d,l-캠퍼, 3-벤질리덴-d,l-캠퍼;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르닐리덴)-3-펜탄-2-온 등);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어, 2-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2-히드록시-3-트리데실옥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로서는, 예를 들면,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사나트륨염, 에데트산 이나트륨, 에데트산 삼나트륨, 에데트산 사나트륨, 시트르산 나트륨, 폴리인산 나트륨, 메타인산 나트륨, 글루콘산, 인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숙신산, 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삼아세트산 삼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어 락트산-락트산 나트륨, 시트르산-시트르산 나트륨, 숙신산-숙신산 나트륨 등의 완충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로서는, 예를 들어 비타민 A, B1, B2, B6, C, E 및 그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토코페롤류,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산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조제로서는, 예를 들어 인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말레산, 말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케파린, 헥사메타포스페이트, 피트산,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배합 가능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방부제(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1,2-알칸디올, 페녹시에탄올, 메틸클로로이소티오졸리논 등); 소염제(예를 들면, 글리시리진산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녹티올, 산화아연, 알란토인 등); 미백제(예를 들면, 범의귀 추출물, 알부틴 등); 각종 추출물(예를 들어, 황벽나무 껍질, 황련, 자근, 작약, 월년초, 자작나무, 세이지, 비파나무, 인삼, 알로에, 당아욱, 아이리스, 포도, 율무, 수세미, 백합, 샤프란, 천궁, 생강, 고추나물, 오노니스, 마늘, 고추, 진피, 당귀, 해조 등), 부활제(예를 들면, 로얄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등); 혈행 촉진제(예를 들면,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니코틴산 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 징게론, 칸타리스 팅크, 이크타몰,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 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트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오리자놀 등); 항지루제(예를 들어, 유황, 티안톨 등); 항염증제(예를 들어, 트라넥삼산,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 등); 방향족 알콜(벤질알콜, 벤질옥시에탄올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밖에, 향료, 스크럽제 등도,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는, 예를 들어 피부, 두발 등 신체에 적용할 수 있는 피부화장료, 두발세정료, 피부세정료, 정발료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α겔 중간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 α겔 중간체 조성물을 50-80℃로 가열하여,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또는 라멜라 액정 분산상으로 이루어진 저점도의 액상으로 한다. 상기 액상을 교반하면서 80℃ 이하로 가열한 유분을 첨가하고, 계속해서 30℃ 이하의 물을 실온하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를 실시하고, 실온이 될 때까지 계속 교반함으로써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조공정에 특별한 장치는 필요없고, 상기 교반에는 O/W 유화화장료의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교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30℃ 이하의 물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의 온도가 적절하게 내려가므로, 냉각장치를 사용하여 냉각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30℃ 이하의 물의 첨가량은 상기 α겔 중간체 조성물에 대하여 3~50 질량배 정도가 적절하고, 바람직하게는 5~25 질량배 정도이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배합량은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질량%이다.
실시예 1: α겔의 구성성분이 α겔을 형성하지 않고 용해된 액상의 제조
세토스테아릴알콜(평균분자량 259.3)과 POE(15)올레일에테르(분자량 929.5)를 몰비 3:1로 혼합한 혼합물은, 물의 존재하에서 용이하게 α겔을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상기 혼합물을 용해시키는 물에 여러가지 물질을 첨가하여 α겔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바, 디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한 경우에 α겔 형성이 효율좋게 억제되어 α겔을 포함하지 않는 저점도의 액상이 얻어졌다.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 나타내는 처방의 시험조성물 1을 하기 제법에 따라서 제조하고, 시차주사열량측정을 실시하여 상전이/융해가 일어나는 온도를 해석했다. 결과를 도 1의 백색원으로서 나타낸다. 또한, 상기 측정에서 관찰된 숄더피크를 흑색원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기준에 따라서 각 조건하에서의 상 상태의 판정도 실시했다.
<시험조성물 1의 처방·제법>
하기 (A)를 50 질량%, (B)를 50 질량%가 되도록 혼합하고, 80℃로 가열하여 교반 혼합했다.
(A) 세토스테아릴알콜(세토스테아릴알콜, 고큐 아르코르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POE(15)올레일에테르(에마렉스515, 니혼에마르존 가부시키가이샤제)=3:1(몰비)의 혼합물
(B) 디프로필렌글리콜:물=1:0~0:1(질량비)의 혼합물
<상 상태의 판정>
고체에 대해서는, 육안으로 왁스상 고체(표 중에서는 W 상 고체로 간단히 기재)로 판정된 것 이외에 대해서는 편광현미경 관찰 및/또는 X선 회절을 실시하여, 액정 또는 α겔의 유무를 판정했다.
액상에 대해서는, 육안으로 상 분리의 유무를 판정하고, 상 분리되어 있지 않다고 인정된 조성물에 대해서 다음의 판정을 실시했다.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친수성 색소 및 소수성 색소를 첨가하면 두 색소 모두 조성물 전체에 확산되고, 또한 직교닉콜 하의 편광현미경 관찰에서 광학이방성을 나타내지 않았던 것을,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으로 판정했다.
·라멜라 액정 분산상, 라멜라 액정상, 및 α겔을 포함하는 액상
친수성 색소 및 소수성 색소를 첨가하면 두 색소 모두 조성물 전체에 확산되고, 또한 직교 닉콜하의 편광 현미경 관찰에서 광학이방성을 나타낸 것에 대해서, 더욱 저속에서의 원심 분리(히타치코키 가부시키가이샤제 himacCF7D2형 원심분리기를 사용한 2000rpm 정도의 저속원심)을 실시하고, 광학이방성을 나타내지 않는 상층과 광학이방성을 나타내는 하층으로 분리시켰다. 상기 하층에 대하여 X선 회절을 실시하고, 액정 및/또는 α겔의 유무를 판정했다. 상기 하층이 주로 라멜라 액정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하층의 조성물 전체에 차지하는 비율이 약 5 체적% 이하의 것을 "라멜라 액정분산상", 상기 하층의 비율이 약 5 체적%보다 많은 것을 "라멜라 액정상"으로 판정했다. 그리고, 상기 하층이 주로 α겔로 이루어진 것을, "α겔을 포함하는 액상"으로 판정했다.
도 1에서 세토스테아릴알콜과 POE(15)올레일에테르를 몰비 3:1로 혼합한 혼합물은, 물에 용해시킨 경우에는 약 20~43℃의 넓은 온도조건하에서 α겔을 형성하고, 약 43~55℃에서는 라멜라 액정상, 약 55℃보다 고온에서는 백탁한 2상 액체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도 2에서 디프로필렌글리콜 농도=0%인 종축). 이에 대하여, 상기 혼합물을 용해시키는 물에 디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하면, 디프로필렌글리콜 농도가 약 36 질량% 부근에서 백탁 2상 액체가 아니라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이 형성되었다. 상기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으로 이루어진 액체는, 디프로필렌글리콜 농도가 약 36~100 질량%에서 50℃ 이상이라는 넓은 조건하에서 형성되고, 상기 농도의 상승에 따라 보다 저온에서도 관찰되었다.
그러나, 80 질량% 이상의 디프로필렌글리콜 농도에서 얻어지는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은, 냉각하면 β결정이 분산된 고체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β 결정이 분산된 고체를 사용하여 유화를 실시하면, 고급알콜의 결정이 생성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약 40~80 질량%의 디프로필렌글리콜 농도에서 얻어지는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은, 냉각하면 약 40℃ 이하에서 왁스상의 고체가 되고, 그 상태에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1 중의 검은색 원은 X선 회절의 결과, 세토스테아릴알콜의 결정화에 유래하는 열 변화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세토스테아릴알콜과 POE(15) 올레일에테르는, 디프로필렌글리콜을 40-80 질량%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는, 50℃ 이상에서 α겔을 형성하지 않고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으로 이루어진 저점도의 액상이 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실시예 2: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으로부터의 α겔 형성의 유발
다음에, 실시예 1에서 얻어진 α겔을 포함하지 않는 저점도의 액상에 대하여, α겔 형성을 유발하는 조건을 검토했다.
도 1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조성물(즉, (B)디프로필렌글리콜:물=7:3(질량비)를 사용하여 제조한 시험조성물 1)은, 실온에서는 왁스상의 고체가 된다. 상기 조성물을 실온에서 수주간 보존한 후, 80℃로 가열하여 액상으로 되돌렸다. 상기 액상은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으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α겔의 존재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 액상에 대하여 8 질량배분의 실온의 이온교환수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한 후, X선 회절을 실시하여 α겔의 유무를 판정했다. 그 결과, 소각영역에 장면(長面) 간격에 대응하는 복수의 피크, 광각영역에 단면(短面) 간격에 대응하는 뾰족한 단일 피크가 검출되고, 상기 조성물 중에 α겔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세토스테아릴알콜과 POE(15)올레일에테르가 디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 중에서 형성되는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을 실온의 물로 희석하면, α겔 형성이 용이하게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상기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으로 이루어진 저점도의 액상은, 실온정도의 물로 희석함으로써 α겔을 생성하는 "α겔 중간체 조성물"인 것, 또한 상기 α겔 중간체 조성물은 실온에서는 고체로서 안정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원에서는 다른 수용성 용매를 사용한 경우에 얻어지는 라멜라 액정 분산상으로 이루어진 액상에 대해서도, 실온 정도의 물로 희석함으로써 α겔을 생성하는 "α겔 중간체 조성물"인 것을 확인하고 있다(예로서, 본원 시험예 11-15).
실시예 3: 수용성 용매의 종류의 검토
계속해서, 상기 물에 첨가하는 물질의 종류의 검토를 실시했다. 디프로필렌글리콜과 구조상 유연성(類緣性)이 있고, 또한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수용성 용매 8종류를 사용하여 하기 시험 조성물 2를 제조하고, 상기 기준에 따라서 80℃와 실온에서의 상 상태를 판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표(표 1-9)에서는 80℃에서의 상 상태를 하기 기호로 나타냈다.
◎: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 라멜라 액정분산상
×: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또는 라멜라 액정분산상 이외의 상
<시험조성물 2의 처방·제법>
하기 (A)를 50 질량%, (B)를 50 질량%가 되도록 혼합하고, 80℃로 가열하여 교반 혼합했다.
(A) 세토스테아릴알콜:POE(15)올레일에테르=3:1(몰비)의 혼합물
(B) 시험예 1-8의 수용성 용매:물=7:3(질량비)의 혼합물
Figure 112016103032178-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용성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3-메톡시-1-부탄올,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한 경우에는 80℃에서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또는 라멜라 액정분산상으로 이루어진 액상이 얻어졌지만(시험예 1~7), 글리세린을 사용한 경우에는, 고체와 액체로 분리되는 결과가 되었다(시험예 8). 시험예 1~7의 수용성 용매와 시험예 8의 수용성 용매의 차이를 검토한 바, 많은 성질(예를 들어, 점도 등)에서는 구별하기 어렵지만, 극성에 주목하면 상기 2군으로 구별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IOB 값이 1.00~3.33인 수용성 용매(시험예 1~7)을 사용한 경우에는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또는 라멜라 액정분산상이 형성되고, IOB가 5.00인 글리세린을 사용한 경우에는 고체와 액체로 분리된 것이 된다(시험예 8).
따라서, 상기 결과에서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과 친수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의한 α겔 형성을 저해하여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또는 라멜라 액정분산상을 형성시키는 데에는 용매의 극성을 어느 범위 내에 유지하는 것이 유효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또한, 상기 시험 조성물 2를 실온에까지 냉각하여 상태를 조사한 바, IOB 값이 1.80~3.33인 수용성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조성물은 백색의 왁스상 고체가 되었지만(시험예 3~7), IOB 값이 상기 범위보다 낮은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IOB 값=1.00) 또는 3-메톡시-1-부탄올(IOB 값=1.20)을 사용하여 제조한 조성물은 1상 투명액체 그대로였다(시험예 1, 2).
따라서, 실온에서 장기간 보존 가능한 α겔 중간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에는, α겔 형성에 적합한 몰비(구체적으로는 3:2~5:1)의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과 HLB 값이 7~1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IOB 값이 1.5~3.5인 수용성 용매(예를 들어,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수용액에 용해시키면 좋은 것이 명백해졌다.
실시예 4: α겔 함유 유화화장료의 유화안정성의 검토
또한,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시험조성물 2를 사용하여 O/W 유화화장료를 제조하고, 상기 화장료의 유화안정성을 평가했다.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시험조성물 2(10g)를 80℃로 가열하고 호모지나이저로 교반하면서, 80℃에서 가열 용해한 유동파라핀(10g)을 첨가했다. 그 후, 상기 혼합물을 호노지나이저로 교반하면서 실온의 이온교환수(80g)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를 실시하고, O/W 유화화장료를 얻었다.
<유화안정성>
상기 유화화장료를 25℃의 항온조 중에서 1주간 보존한 후, 하기에 대해서 육안으로 판정했다.
○: 크리밍, 응집, 상 분리 중 어느 것도 확인되지 않았다.
×: 크리밍, 응집, 상 분리 중 어느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16103032178-pc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을 사용하여 제조한 시험조성물 2에, 가열한 유분과 실온의 물을 차례로 첨가하여 교반 혼합을 실시하면, 유화안정성이 우수한 O/W 유화화장료가 얻어졌다(시험예 3~7). 이에 대하여,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또는 3-메톡시-1-부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제조한 시험조성물 2로부터는 O/W 유화화장료는 얻어졌지만, 상기 유화안정성은 충분하지는 않았다(시험예 1, 2). 또한, 2상 분리되어 있던 시험예 8의 시험조성물 2로부터는 유화물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시험예 3~7의 유화화장료에 대하여 X선 회절을 실시한 결과, α겔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α겔 형성에 적합한 몰비(구체적으로는 3:2~5:1)의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과 HLB 값이 7~1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IOB 값이 1.5~3.5인 수용성 용매(예를 들어,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수용액으로 구성되고, 고온하(예를 들어 50~80℃)에서는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또는 라멜라 액정상으로 이루어진 액체가 되고, 실온에서는 고체가 되는 조성물(즉, 본 발명에 관한 α겔 중간체 조성물)은 유화안정성이 우수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한 중간체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도시되었다.
실시예 5: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종류의 검토
다음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변경하여 검토하기로 했다. 상술한 시험조성물 2에서, POE(15)올레일에테르 대신 POE(20)베헤닐에테르를 사용하여 시험조성물을 제조하고, 동일한 해석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103032178-pct00003
표 3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POE(20)베헤닐에테르를 사용한 경우에도, IOB 값이 1.5~3.5인 수용성 용매의 70 질량% 수용액을 용매로 함으로써, 고온하에서는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또는 라멜라 액정분산상으로 이루어진 액체가 되고, 실온에서는 고체가 되는 α겔 중간체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이 개시되었다(시험예 11~15). 또한, 상기 중간체 조성물에 가열한 유분과 실온의 물을 차례로 첨가하여 교반 혼합함으로써, 유화안정성이 우수한 α겔 함유 O/W형 유화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시험예 11~15).
실시예 6: 수용성 용매의 농도의 검토
상기 실시예 2-5에서는 수용성 용매의 농도를 70 질량%로 고정하고 있었으므로, 그 이외의 농도(구체적으로는 40-80 질량%)에서의 검토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4-8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103032178-pct00004
Figure 112016103032178-pct00005
Figure 112016103032178-pct00006
Figure 112016103032178-pct00007
Figure 112016103032178-pct00008
표 4 내지 표 8(시험예 25~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소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은 40-80 질량% 수용액의 범위에서,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과 HLB 값이 7~1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용해하여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또는 액정분산상으로 이루어진 저점도의 액상이 될 수 있는 것, 및 상기 저점도의 액상은 실온에서는 장기 보존 가능한 고체가 되는 것이 개시되었다. 그리고, 상기 저점도의 액상에, 가열한 유분과 실온의 수상을 차례로 첨가하여 교반 혼합함으로써, 유화안정성이 우수한 α겔 함유 O/W 에멀전이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지금까지의 시험조성물 2에서는 (A)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과 HLB 값이 7~1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3:1의 몰비로 포함하는 혼합물과, (B) IOB 값이 1.80~3.33인 수용성 용매와 물을 5:5의 질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의 혼합비를, (A):(B)=50:50(질량비)으로 고정하고 있었지만, (A):(B) = 20:80~ 80:20의 폭넓은 혼합비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지고 있다.
이상에서, IOB 값이 1.5~3.5인 수용성 용매와 물이 4:6~8:2의 질량비로 혼합된 혼합액을 용매로 하면,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과 HLB 값이 7~1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α겔을 형성하기 쉬운 몰비로 혼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α겔이 아니라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또는 액정분산상을 형성하여 저점도의 액체가 될 수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그리고, 상기 액상에 80℃ 이하의 유분을 첨가하고, 계속해서 실온의 물로 희석함으로써 유상의 주위가 α겔로 덮여 유화안정성이 우수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가 안정적으로 얻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α겔 중간체 조성물은 가열한 유분을 첨가하여, 실온의 물로 희석함으로써, 유화안정성이 우수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는 중간체 조성물이다.
실시예 7: 점도 안정성의 검토
상술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의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는 경시에서 점도가 서서히 상승하는 것이 큰 문제였다. 그래서, 본 발명에 관한 방법으로 제조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점도 안정성에 대해서, 동일 처방이지만 종래법으로 제조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와 비교하는 것으로 했다.
<처방>
성분 배합량(질량%)
베헤닐알콜 3.3
스테아릴알콜 0.9
유동파라핀 6.0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4.0
POE(20)베헤닐에테르 4.0
디프로필렌글리콜 6.5
글리세린 9.0
1,3-부틸렌글리콜 5.0
페녹시에탄올 0.5
시트르산 0.02
시트르산나트륨 0.08
이온교환수 60.7
<시험예 55: 본 발명의 제조방법>
하기 (1)α겔 중간체 조성물의 전성분을 80℃에서 용해하고, 무색 투명한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으로 이루어진 액상을 얻었다. 상기 액상을 호모지나이저로 교반하면서, 80℃에서 가열 용해한 하기 (2) 유분 및 유성 성분(즉, 유상)을 첨가하고, 계속해서 실온에서 혼합해 둔 하기 (3) 물 및 수성 성분(즉, 주(主)수상)을 조금씩 첨가했다. 첨가 종료후에 탈기를 실시하고 O/W 유화크림을 얻었다.
(1) α겔 중간체 조성물
성분 배합량(질량%)
베헤닐알콜 3.3
스테아릴알콜 0.9
POE(20)베헤닐에테르 4.0
디프로필렌글리콜 6.5
이온교환수 1.5
(2) 유분 및 유성 성분(유상)
유동파라핀 6.0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4.0
(3) 물 및 수성 성분(주수상)
글리세린 9.0
1,3-부틸렌글리콜 5.0
페녹시에탄올 0.5
시트르산 0.02
시트르산나트륨 0.08
이온교환수 59.2
<시험예 56: 종래의 제조방법(비교예)>
70℃에서 가열 용해한 하기 (2) 물 및 수성 성분(즉, 수상)에, 상기 수상을 호모지나이저로 교반하면서, 70℃에서 용해한 하기 (1) 유분 및 유성 성분(즉, 유상)을 첨가하여 유화했다. 유화 후, 바로 빙욕에서 교반하면서 25℃가 될 때까지 냉각했다. 그 후, 탈기를 실시하여, O/W 유화 크림을 얻었다.
(1) 유분 및 유성 성분(유상)
성분 배합량(질량%)
베헤닐알콜 3.3
스테아릴알콜 0.9
유동파라핀 6.0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4.0
POE(20)베헤닐에테르 4.0
(2) 물 및 수성 성분(수상)
디프로필렌글리콜 6.5
글리세린 9.0
1,3-부틸렌글리콜 5.0
페녹시에탄올 0.5
시트르산 0.02
시트르산나트륨 0.08
이온교환수 60.7
<점도 안정성 시험>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2종류의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를 0℃, 25℃, 37℃, 또는 50℃에서 2개월간 보존했다. 제조 직후, 1개월 후, 2개월 후에 각 화장료의 일부를 채취하고, 30℃에서 30분간 보온한 후, B형 회전점도계(비스메트론 점도계, 시바우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하여 점도를 측정했다(로터 NO.3, 0.3rpm 또는 0.6rpm, 5분).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103032178-pct00009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법으로 제조한 크림은 0~50℃ 중 어느 온도에서 보존한 경우에도, 1개월 후에는 약 2.1~3.0배, 2개월 후에는 약 2.8~4.6배로 점도가 대폭 상승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관한 방법으로 제조한 크림은 0~50℃ 중 어느 온도하에서도 점도의 상승이 거의 인정되지 않고, 가장 높은 경우에 15.4% 증가(25℃에서 2개월 보존)였다. 이는 α겔 함유 O/W형 유화화장료에 대한 종래의 상식으로부터는 생각할 수 없을 정도의 높은 점도안정성이다.
그래서, 그 이유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제조 직후의 점도를 비교하면, 본 발명에 관한 방법으로 제조한 크림은 동일 처방임에도 불구하고, 종래법으로 제조한 크림의 약 3.6배의 점도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방법으로 제조하면, 유화물 제조시에 α겔 형성반응이 거의 완료되어 있고, 그 후 새롭게 α겔 형성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따라서 점도가 높아지지 않을) 가능성이 생각된다.
또한, 상기 크림의 제조 직후의 유화입자 직경을 측정한 바, 실시예 55의 크림의 평균 유화입자 직경이 약 500㎚이었던 것에 비하여, 실시예 56의 크림의 평균유화입자 직경은 약 3㎛였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방법으로 제조하면, 유화입자 직경이 매우 작은 에멀전이 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방법으로 제조한 모든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에서, 응집덩어리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에서, (A)탄소수 16 이상의 고급알콜과 HLB 값이 7~1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몰비로 3:2~5:1)과, (B)IOB 값이 1.5~3.5인 수용성 용매와 물의 혼합물(질량비로 4:6~8:2)을, 50~80℃에서 가열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또는 액정분산상으로 이루어진 저점도의 액체(즉, 본 발명에 관한 α겔 중간체 조성물)는, 유화안정성과 점도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중간체 조성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사용방법은 상기 중간체 조성물을 50~80℃로 가열하여 교반하면서 80℃ 이하로 가열한 유분을 첨가하고, 계속해서 30℃ 이하의 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3~50질량배 정도로 희석한다는 매우 간편한 방법이다. 종래법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만큼 간편한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본 방법으로 제조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는 유화안정성이 매우 높고,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점도 상승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지금까지 없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추가로 들어 본 발명에 대해서 더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8: 유액
성분 배합량(질량%)
(1) POE(60)경화피마자유(HLB=14.0) 1.3
(2) 베헤닐알콜 1.1
(3) 스테아릴알콜 0.3
(4) 디프로필렌글리콜 5.0
(5) 이온교환수 3.0
(6) 향료 0.1
(7)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톨 2.0
(8) α올레핀올리고머 3.0
(9) 디메틸폴리실록산 2.0
(KF-96A-6cs, 신에츠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10) 정제 바세린 1.0
(11) 1,3-부틸렌글리콜 2.0
(12) 페녹시에탄올 0.5
(13) 글리세린 4.0
(14)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3
(15) 수산화칼륨 0.01
(16) 트라넥삼산 0.1
(17) 시트르산 0.02
(18) 시트르산 나트륨 0.08
(19)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성분 (1)~(5)를 80℃에서 교반 혼합하여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을 얻은 후, 미리 80℃에서 용해해 둔 (6)~(10)의 유분 및 유성 성분을 호모지나이저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했다. 상기 혼합액에, 실온에서 혼합해 둔 (11)~(19)의 물 및 수성 성분을 교반하면서 천천히 주입하여 유액을 얻었다. 얻어진 유액은 종래법(70℃에서 가열 용해한 물 및 수성 성분(=(1), (4), (5)와 (11)~(19))에, 70℃에서 가열 용해한 유분 및 유성 성분(=(2), (3), (6)~(10))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한 후, 온레터를 사용하여 25℃로 냉각)으로 제조한 유액에 비하여, 점도 안정성이 매우 양호했다.
실시예 9: 유액
성분 배합량(질량%)
(1) POE(20)베헤닐에테르(HLB=16.5) 0.6
(2) 베헤닐알콜 0.7
(3) 1,3-부틸렌글리콜 6.0
(4) 이온교환수 2.0
(5) 향료 0.05
(6) 디메틸폴리실록산 7.4
(KF-96A-6cs, 신에츠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7) 스쿠알란 4.0
(8) 이소스테아르산 세틸 0.6
(9) 글리세린 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0
(11) 수산화칼륨 0.3
(12) 카모마일 추출액 0.1
(13)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성분 (1)~(4)를 80℃에서 교반 혼합하여 라멜라 액정 분산액을 얻은 후, 미리 80℃에서 가열 용해한 (5)~(8)의 유분 및 유성 성분을 호모지나이저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했다. 상기 혼합액에, 실온에서 혼합해 둔 (9)~(13)의 물 및 수성 성분을 교반하면서 천천히 주입하여 유액을 얻었다. 얻어진 유액은 종래법(70℃에서 가열 용해한 물 및 수성 성분(=(1), (3), (4)와, (9)~(13))에, 70℃에서 가열 용해한 유분 및 유성 성분(=(2), (5)~(8))을 첨가하여 유화한 후, 온레터를 사용하여 25℃로 냉각)으로 제조한 유액에 비하여, 점도안정성이 매우 양호했다.
실시예 10: 유액
성분 배합량(질량%)
(1) POE(15)올레일에테르(HLB=16.0) 1.2
(2) 세토스테아릴알콜 0.8
(3) 이소프렌글리콜 4.5
(4) 1,4-부탄디올 1.5
(5) 이온교환수 1.5
(6) 향료 0.09
(7) 트리스테아르산글리세릴 2.5
(8) 스쿠알란 4.5
(9) 디메틸폴리실록산 1.0
(KF-96A-6cs, 신에츠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10) 디프로필렌글리콜 7.0
(11) 에리스리톨 1.3
(12) 글리세린 6.0
(13) 페녹시에탄올 0.3
(14) 잔탄검 0.5
(15) 헥사메타인산소다 0.03
(16)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성분 (1)~(5)를 80℃에서 교반 혼합하여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을 얻은 후, 미리 50℃에서 혼합한 (6)~(9)의 유분 및 유성 성분을 호모지나이저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했다. 상기 혼합액에, 실온에서 혼합해 둔 (10)~(16)의 물 및 수성 성분을 교반하면서 천천히 주입하여 유액을 얻었다. 얻어진 유액은 종래법(70℃에서 가열 용해한 물 및 수성 성분(=(1), (3)~(5)와 (10)~(16))에, 70℃에서 가열 용해한 유분 및 유성 성분(=(2), (6)~(9))을 첨가하여 유화한 후, 온레터를 사용하여 25℃로 냉각)으로 제조한 유액에 비하여, 점도안정성이 극히 양호했다.
실시예 11: 선스크린 크림
성분 배합량(질량%)
(1) POE(30)경화피마자유(HLB=11.0) 2.2
(2) 베헤닐알콜 3.5
(3) 스테아릴알콜 0.9
(4) 디프로필렌글리콜 6.0
(5) 이온교환수 2.0
(6) 향료 0.08
(7)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0
(8) 숙신산디-2에틸헥실 3.0
(9) p-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5.0
(10) 아보벤존 3.0
(11)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1.0
(12) 1,3-부틸렌글리콜 5.0
(13) 페녹시에탄올 0.5
(14) 글리세린 9.0
(15) EDTA-3나트륨염 0.1
(16) 에리스리톨 0.1
(17) 시트르산 0.02
(18) 시트르산나트륨 0.08
(19)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성분 (1)~(5)을 80℃에서 교반 혼합하여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을 얻은 후, 미리 70℃에서 혼합한 (6)~(11)의 유분 및 유성 성분을 호모지나이저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했다. 상기 혼합액에, 실온에서 혼합해 둔 (12)~(19)의 물 및 수성 성분을 교반하면서 천천히 주입하여 선스크린 크림을 얻었다. 얻어진 선스크린 크림은 오일, 종래법 (70℃에서 가열 용해한 물 및 수성 성분(=(1), (4), (5)와 (12)~(19))에, 70℃에서 가열 용해한 유분 및 유성 성분(=(2), (3), (6)~(11))을 첨가하여 유화한 후, 온레터를 사용하여 25℃로 냉각)으로 제조한 선스크린 크림에 비하여, 점도 안정성이 매우 양호했다.
실시예 12: 크림
성분 배합량(질량%)
(1) 소르비탄야자지방산에스테르(HLB=8.6) 1.5
(2) 베헤닐알콜 2.0
(3) 1,3-부틸렌글리콜 6.5
(4) 이온교환수 1.5
(5) 향료 0.05
(6) 디메틸폴리실록산 7.4
(KF-96A-6cs, 신에츠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7) 스쿠알란 4.0
(8) 베헤닐알콜 0.6
(9) 정제 바세린 1.0
(10) 디프로필렌글리콜 5.0
(11) 페녹시에탄올 0.5
(12) 글리세린 7.0
(13) EDTA-3나트륨염 0.1
(14) 카모마일 엑기스 0.1
(15) 시트르산 0.02
(16) 시트르산 나트륨 0.08
(17)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성분 (1)~(4)를 80℃에서 교반 혼합하여 라멜라 액정분산액을 얻은 후, 미리 80℃에서 혼합한 (5)~(9)의 유분 및 유성 성분을 호모지나이저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했다. 상기 혼합액에, 실온에서 혼합해 둔 (10)~(17)의 물 및 수성 성분을 교반하면서 천천히 주입하여 크림을 얻었다. 얻어진 크림은 종래법(70℃에서 가열 용해한 물 및 수성 성분(=(1), (3), (4)와 (10)~(17))에, 70℃에서 가열 용해한 유분 및 유성 성분(=(2), (5)~(9))를 첨가하여 유화한 후, 온레터를 사용하여 25℃로 냉각)으로 제조한 크림에 비하여, 점도 안정성이 매우 양호했다.
실시예 13: 유액
성분 배합량(질량%)
(1)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10E.0, HLB=11) 1.2
(2) 베헤닐알콜 0.8
(3) 1,3-부틸렌글리콜 6.0
(4) 이온교환수 2.0
(5) 스테아르산칼륨 0.2
(6) 베헨산칼륨 0.3
(7) 이소스테아르산칼륨 0.3
(8) α-올레핀올리고머 3.0
(9)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3.0
(10) 디메틸폴리실록산 2.0
(KF-96A-6cs, 신에츠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11) 페녹시에탄올 0.5
(12) 글리세린 7.0
(13) EDTA-2나트륨염 0.01
(14)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2
(15)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성분 (1)~(4)를 80℃에서 교반 혼합하여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을 얻은 후, 미리 70℃에서 혼합한 (5)~(10)의 유분 및 유성 성분을 차례로 호모지나이저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했다. 상기 혼합액에, 실온에서 혼합해 둔 (11)~(15)의 물 및 수성 성분을 교반하면서 천천히 주입하여 유액을 얻었다.
본 발명에 관한 α겔 중간체 조성물은 가열한 상기 조성물에, 가열한 유분을 첨가하고, 그 후 실온의 물로 희석하는 것만으로, 유화안정성과 점도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제조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간체 조성물은 실온에서는 왁스형상의 고체로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존할 수 있으므로, 대량 조정에 의한 비용절감이나 중간체 조성물로서의 제품화 등, 산업상의 이용가치가 매우 높은 것이다.

Claims (5)

  1. (A)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 1종 또는 2종 이상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및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HLB 값이 7~1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3:2~5:1의 몰비로 혼합된 혼합물 20~80 질량%, 및
    (B) IOB(Inorganic Organic Balance) 값이 1.5~3.5인 수용성 용매 1종 또는 2종 이상과, 물이 4:6~8:2의 질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20~80 질량%로 이루어지고,
    50-80℃에서는,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또는 라멜라 액정이 분산된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으로 이루어진 액체이며, 실온에서는 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겔 중간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IOB 값이 1.5~3.5인 수용성 용매가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및 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α겔 중간체 조성물.
  3.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으로서,
    하기 공정 (ⅰ)~(ⅲ)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
    (ⅰ) 하기 성분 (A)와 (B)를 50-80℃에서 교반 혼합하여,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 또는 라멜라 액정이 분산된 두 연속 마이크로에멀전상으로 이루어진 α겔 중간체 조성물을 얻는 공정;
    (A)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알콜 1종 또는 2종 이상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및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HLB 값이 7~1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3:2~5:1의 몰비로 혼합된 혼합물 20~80 질량%, 및
    (B) IOB 값이 1.5~3.5인 수용성 용매 1종 또는 2종 이상과, 물이 4:6~8:2의 질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20~80 질량%,
    (ⅱ) 공정(ⅰ)에서 얻은 α겔 중간체 조성물에, 상기 조성물을 50-80℃에서 교반하면서 80℃ 이하의 유분을 첨가하는 공정; 및
    (ⅲ) 공정 (ⅱ)에서 얻은 α겔 중간체 조성물과 유분의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상기 α겔 중간체 조성물의 3~50 질량배인 30℃ 이하의 물을 서서히 첨가하는 공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ⅰ)에서 얻은 α겔 중간체 조성물을, 실온에서 보존한 후에 상기 공정(ⅱ)를 실시하는,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67029606A 2014-06-13 2015-05-28 α겔 중간체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1840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22251 2014-06-13
JP2014122251 2014-06-13
PCT/JP2015/065434 WO2015190305A1 (ja) 2014-06-13 2015-05-28 αゲル中間体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αゲル含有O/W乳化化粧料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831A KR20170009831A (ko) 2017-01-25
KR101840160B1 true KR101840160B1 (ko) 2018-03-19

Family

ID=5483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606A KR101840160B1 (ko) 2014-06-13 2015-05-28 α겔 중간체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35460B2 (ko)
EP (1) EP3156043B1 (ko)
JP (1) JP5889468B2 (ko)
KR (1) KR101840160B1 (ko)
CN (1) CN106794134B (ko)
ES (1) ES2724463T3 (ko)
TW (1) TWI590833B (ko)
WO (1) WO20151903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0050B2 (ja) * 2014-09-12 2018-03-07 株式会社シャネル化粧品技術開発研究所 両連続構造を有する外相中に油相が分散されてなる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7340796B2 (ja) * 2016-04-19 2023-09-08 御木本製薬株式会社 化粧料
JP6883312B2 (ja) * 2016-09-05 2021-06-09 株式会社東洋新薬 乳化物
JP7428999B2 (ja) * 2016-09-13 2024-02-07 御木本製薬株式会社 化粧料
CN110678168A (zh) * 2017-05-31 2020-01-10 株式会社资生堂 化妆品
JPWO2020230617A1 (ko) * 2019-05-10 2020-11-19
JP7242578B2 (ja) * 2020-01-08 2023-03-20 旭化成ワッカーシリコーン株式会社 液晶乳化方法および液晶乳化物
CN111449977A (zh) * 2020-03-20 2020-07-28 上海臻臣化妆品有限公司 一种水溶性的凡士林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5400041B (zh) * 2022-06-17 2023-09-29 诺斯贝尔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α凝胶结构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7582377A (zh) * 2023-11-01 2024-02-23 完美(广东)日用品有限公司 一种可形成稳定α-凝胶的乳化剂组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811B1 (ko) * 2009-01-14 2013-12-06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9320Y1 (ko) 1968-08-08 1972-04-08
JPS5946123A (ja) * 1982-09-05 1984-03-15 Pola Chem Ind Inc ゲル状エマルシヨン及び水中油型エマルシヨンの製造法
SE461388B (sv) 1988-06-30 1990-02-12 Sab Nife Ab Taetningsarrangemang, saerskilt foer en spelrumsefterstaellningsapparat hos ett jaernvaegsfordon
JP3258678B2 (ja) 1991-08-20 2002-02-18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
EP1116483B1 (en) * 1999-07-27 2010-12-08 Shiseido Company Limited 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JP3829048B2 (ja) 2000-06-05 2006-10-04 株式会社資生堂 水中油型乳化組成物
US8012495B2 (en) 2002-05-07 2011-09-06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Lotion-treated tissue and towel
US8349301B2 (en) * 2002-06-04 2013-01-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mpoo containing a gel network
US8361448B2 (en) * 2002-06-04 2013-0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mpoo containing a gel network
JP5137439B2 (ja) 2007-03-29 2013-02-06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101705922B1 (ko) * 2009-05-19 2017-02-1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화장료
KR20120060833A (ko) 2009-09-04 2012-06-12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O/w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140012695A (ko) * 2011-03-01 2014-02-03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O/w 유화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13249463A (ja) 2012-05-01 2013-12-12 Seiko Epson Corp インク組成物および記録装置
JP2014105164A (ja) * 2012-11-26 2014-06-09 Kao Corp 香料放出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811B1 (ko) * 2009-01-14 2013-12-06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56043A1 (en) 2017-04-19
EP3156043A4 (en) 2017-11-01
JP5889468B2 (ja) 2016-03-22
KR20170009831A (ko) 2017-01-25
US10835460B2 (en) 2020-11-17
EP3156043B1 (en) 2019-04-03
WO2015190305A1 (ja) 2015-12-17
TW201625199A (zh) 2016-07-16
CN106794134B (zh) 2018-07-10
US20170135914A1 (en) 2017-05-18
ES2724463T3 (es) 2019-09-11
CN106794134A (zh) 2017-05-31
TWI590833B (zh) 2017-07-11
JP2016014012A (ja)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160B1 (ko) α겔 중간체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1811167B1 (ko) α겔 중간체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α겔 함유 O/W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
RU2607088C1 (ru) Микрогелевый эмульгатор типа &#34;ядро-оболочка&#34; и эмульсионная композиция типа &#34;масло в воде&#34;
JP3664734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水中油型乳化剤
TWI593429B (zh) 化妝料用原料
TWI693945B (zh) 油中水型乳化固形化妝料
JP5047369B2 (ja) O/w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の製造方法
CN108472230B (zh) α凝胶形成用组合物、以及使用其的皮肤外用组合物和α凝胶组合物
KR20160116877A (ko)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다중 에멀전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JP2010254624A (ja) 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
KR20190057352A (ko)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WO2010086948A1 (ja) 液状化粧料
CN102665672B (zh) 聚合物泡囊及制造方法
JPH11279021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WO2023042688A1 (ja) 水中油型組成物
WO2024075548A1 (ja) ゲル組成物及び水中油型組成物
JP2023048020A (ja) W/o型乳化化粧料又は外用剤
WO2022210144A1 (ja) 水中油型化粧料
JP2008044921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