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353B1 - 화상 형성장치,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장치,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353B1
KR101839353B1 KR1020150053639A KR20150053639A KR101839353B1 KR 101839353 B1 KR101839353 B1 KR 101839353B1 KR 1020150053639 A KR1020150053639 A KR 1020150053639A KR 20150053639 A KR20150053639 A KR 20150053639A KR 101839353 B1 KR101839353 B1 KR 101839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old value
user
recording material
unit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5574A (ko
Inventor
카주타카 시나가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5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0831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7Indicating status, e.g. of a jo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2Recording use, e.g. counting number of pages cop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62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 H04N1/00973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from a remote device, e.g. receiving via the internet instructions input to a comput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46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a detected condition or state of the reproducing device, e.g. temperature or ink qua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76Inhibiting or interrupting a particular operation or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9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for displaying or indicating, e.g. a condition or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카트리지가 소정의 카트리지인 경우에,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을 허가한다. 한편, 카트리지가 소정의 카트리지가 아닌 경우에는,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을 금지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장치,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본 발명은, 화상 형성장치,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장치는, 토너 등의 기록재를 사용하여, 시이트에 화상 형성을 행한다. 일반적으로, 기록재는, 카트리지 등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다. 화상 형성장치 중에는, 수용부에 남아 있는 기록재의 잔량을 검출하고, 그 값을 유저 인터페이스(UI) 등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있다.
일본국 특개 2006-343621호 공보에는, 화상 형성을 행할 때에, 래스터 데이터의 도트 카운트 값에 근거하여 토너 잔량의 예측값을 산출한 후, 그 값을 토너 잔량의 커런트 값으로서 표시하는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토너 잔량이 적은 토너 LOW 상태에서는, 토너 LOW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카트리지의 준비를 유저에게 촉구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일이 있다. 일본국 특개 2002-318508호 공보에는, 이 토너 LOW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값, 즉 토너 LOW 임계값을 유저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토너 LOW의 임계값을 항상 변경 가능하게 하여 버리면, 이하의 같은 경우에 특히 문제가 된다.
도트 카운트에 근거하여 토너 잔량을 예측하는 경우에는, 도트 카운트 값에, 1 도트당의 토너 소비량을 표시하는 토너 소비 계수를 적산함으로써, 토너 소비량을 산출하게 된다. 이 토너 소비 계수로서는, 소정의 토너를 포함하는 소정의 카트리지를 사용해서 인쇄를 행한 경우를 상정하여, 미리 적절한 값이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그렇게 상정된 카트리지와는 다른 카트리지를 사용해서 인쇄를 행하여 버리면, 미리 설정된 토너 소비 계수와는 다른 비율로 토너의 소비가 진행해 버려, 토너 예측의 정밀도가 낮아져 버리는 일이 많다.
이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는, 토너 LOW의 임계값을 변경 가능한 것이 그다지 의미가 없다. 유저가 토너 LOW의 검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싶기 때문에, 유저가 토너 LOW의 임계값을 변경하는 경우가 많다. 애당초 전술한 상황에서 토너 예측의 정밀도가 낮으면, 토너 LOW의 임계값을 변경하는 것이 토너 LOW의 검지의 정밀도를 충분히 향상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은,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의 가부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화상 형성장치는, 기록재를 사용해서 화상 형성을 행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부와, 상기 기록재의 잔량이 임계값에 이르렀을 때에, 유저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부와,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임계값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변경부와, 상기 기록재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소정의 수용부인 경우에, 상기 변경부가 상기 임계값을 변경하도록 허가하고, 상기 기록재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상기 소정의 수용부가 아닌 경우에, 상기 변경부가 상기 임계값을 변경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의 가부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화상 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콘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프린트 엔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토너의 잔량 검지의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전반)이다.
도 5는 토너의 잔량 검지의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후반)이다.
도 6은 토너 잔량 경고를 발생하는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의 가부를 판단하는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을 행하기 위한 설정 화면의 예이다.
도 9는 토너 잔량의 커런트 값의 추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은, 화상 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데이터 처리장치(101)(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PC))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형성장치(102)에 송신한다.
화상 형성장치(102)(예를 들면, 레이저 프린터)는, 데이터 처리장치(10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시이트에 화상 형성을 행한다. 또한, 화상 형성장치(102)는, 팩시밀리 장치(미도시)로부터 팩시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팩시밀리 데이터에 근거하여 시이트에 화상 형성을 행한다. 화상 형성장치(102)는, 스캐너 기능을 갖는 복합기이어도 된다.
유저 인터페이스 UI(301)은, 유저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부와, 유저로부터 다양한 조작을 수신하는 조작부를 갖는다. 표시부는, 토너 잔량의 커런트 값(후술한다)을 표시한다. 토너 잔량의 커런트 값은, 외부 인터페이스(I/F)를 거쳐 데이터 처리장치(101) 등의 외부 장치에 송신한 후, 데이터 처리장치(101) 등의 외부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해도 된다.
콘트롤러(302)는, 페이지 기술 언어(page description language: PDL) 데이터에 근거하여 비트맵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트맵 데이터를 프린트 엔진(303)에 송신한다. 콘트롤러(302)에 대해서는 도 2를 사용해서 상세히 후술한다.
프린트 엔진(303)은, 콘트롤러(302)로부터 수신한 비트맵 데이터에 근거하여, 전자사진 방식으로 토너를 사용해서 시이트에 화상 형성을 행한다. 이때, 화상 형성의 방식은, 전자사진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잉크젯 방식 등에서도 된다. 전자사진 방식은 기록재로서 토너를 사용하지만, 잉크젯 방식은 기록재로서 잉크를 사용한다.
팩시밀리(FAX)(304)는, 전화 회선을 거쳐 압축 화상 데이터의 팩스 수신을 행하고 압축 화상 데이터를 콘트롤러(302)로 전송한다. 또한, FAX(304)는, 콘트롤러(302)로부터 전송된 압축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화 회선을 거쳐 압축 화상 데이터의 팩스 송신을 행한다. 이때, 기종에 따라서는, 팩시밀리 기능이 하드웨어적으로 제공되지 않거나, 제공되지만 액티베이트되어 있지 않아 실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콘트롤러(302), 프린트 엔진(303) 및 팩시밀리(304)는 별개의 유닛이지만, 이들이 한 개의 유닛으로 일체로 구성되어도 된다.
도 2는, 콘트롤러(30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중앙처리장치(CPU)(401)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402)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403)에 로드하고,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화상 형성장치(102)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CPU(401)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도트 카운트부(409)에서 카운트되는 도트 카운트를 환산하여 얻어진 토너 소비량의 예측값과, 프린트 엔진(303)으로부터 제공되는 토너 잔량의 센서값에 근거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CPU(401)은, 산출한 토너 잔량을 패널 I/F(405)를 거쳐 UI(301)에 표시하고, 외부 I/F(404)를 거쳐 데이터 처리장치(101)에 통지한다. 더구나, CPU(401)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토너 LOW 조건의 변경 기능의 제공 유무도 선택한다.
ROM(402)은, CPU(401)이 실행하는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RAM(403)은, ROM(402)로부터 로드된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또한, RAM(403)은, PDL 데이터, PDL 데이터를 해석해서 생성되는 중간 데이터, 중간 데이터를 렌더링해서 생성되는 비트맵 데이터, 팩시밀리 데이터, 그 밖의 처리에 필요한 각종 처리 스테이터스와 로그 정보 등의 일시적인 데이터도 기억한다.
외부 I/F(404)는, 데이터 처리장치(101)와 콘트롤러(302)를 서로 접속하고, 쌍방간의 데이터 통신 즉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중계한다.
패널 I/F(405)는, UI(301)과 콘트롤러(302)를 서로 접속하고, 쌍방간의 데이터 통신 즉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중계한다.
엔진 I/F(406)는, 프린트 엔진(303)과 콘트롤러(302)를 서로 접속하고, 쌍방간의 데이터 통신 즉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중계한다.
직접 메모리 액세스 콘트롤러(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MAC)(407)는, CPU(401)로부터 명령을 받고, RAM(403)에 대해 데이터 액세스, 즉 RAM(403)에 대해 데이터의 기록과 판독을 행한다.
렌더링부(408)는, 중간 데이터를 비트맵 데이터로 래스터라이즈한다.
도트 카운트부(409)는, 비트맵 데이터에 포함되는 도트 중에서 화상 형성을 행하는 동안 토너를 소비하는 도트의 수를 카운트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이트 이외의 색의 도트수가 카운트된다. 예를 들면, 모노크롬 인쇄의 경우에는, K(흑)에 대응하는 도트수가 카운트된다. 컬러 인쇄의 경우에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및 흑(K)의 어느 한개에 대응하는 도트 수가 카운트된다. 이와 달리, 도트수의 카운트를 CPU(401)나 렌더링부(408)가 행해도 된다. 일부의 기종은 도트 카운트 기능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토너 잔량 예측을 할 수 없다. 다른 기종은 도트 카운트 대신에 페이지 카운트에 근거하여 토너 잔량 예측을 행한다.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EEPROM)(410)는, 화상 형성장치(102)의 설정 정보 등을 기억한다.
버스(411)는, 콘트롤러(302) 내부의 각 구성을 서로 접속한다.
팩시밀리 I/F(412)는, FAX(304)과 콘트롤러(302)를 서로 접속하고, 쌍방간의 데이터 통신 즉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중계한다.
도 3은, 프린트 엔진(303)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CPU(501)은, ROM(502)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RAM(503)에 로드하고,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프린트 엔진(303)의 제어를 행한다.
ROM(502)은, CPU(501)이 실행하는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RAM(503)은, ROM(502)로부터 로드된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토너 잔량 센서(504)는, 카트리지(509)에 포함되는 토너 잔량을 계측한다. 센서가 토너 잔량을 검지하는 방식으로서는, 투자율 검지방식, 마그넷 방식, 압전 진동 방식, 투과광 방식 등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토너 잔량이 20%, 0% 등의 소정값에 이르렀을 경우에, 토너 잔량 센서(504)는 이들 값을 센서값으로서 검지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토너 잔량이 100% 내지 21%일 때는 센서값이 100%, 토너 잔량이 20% 내지 1%일 때는 20%, 토너 잔량이 0%일 때는 0%이다. 이때, 센서는, 카트리지(509) 내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구동 제어부(505)는, 화상 형성부(508)가 화상 형성을 행할 때에 필요한 각종 모터를 구동시킨다.
스테이터스 변화 검지부(506)는, 화상 형성장치(102)에 있어서의 잼이나 커버 오픈 등의 스테이터스 변화를 검지한다. 또한, 스테이터스 변화 검지부(506)는, 카트리지(509)의 교환도 검지한다. 이와 달리, 스테이터스 변화의 검지를 CPU(501)이 행하여도 된다.
콘트롤러 I/F(507)는, 콘트롤러(302)와 프린트 엔진(303)을 서로 접속하고, 쌍방간의 데이터 통신 즉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중계한다.
화상 형성부(508)는, 콘트롤러(302)로부터 수신한 비트맵 데이터에 근거하여, 전자사진 방식으로 토너를 사용해서 시이트에 화상 형성을 행한다.
카트리지(509)는, 토너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의 기능을 한다. 카트리지(509)는, 화상 형성장치(102)에 장착가능한 소위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다. 카트리지(509)는, 화상 형성부(508)가 화상 형성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토너 등을 격납한다. 카트리지(509)는, 비휘발성의 기억매체를 갖고, 그 내부에는 카트리지 정보가 기억된다. 카트리지 정보에는, 카트리지(509)가 신품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 카트리지(509)의 색을 나타내는 색 정보, 카트리지(509) 내부의 현재의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토너 잔량 정보와, 카트리지의 제조원 정보 등이 포함된다. 카트리지(509)는 버스(510)에 접속되어 있지만, 전용선을 거쳐 CPU(501)와 접속되어도 된다.
버스(510)는, 프린트 엔진(303) 내부의 각 구성을 서로 접속한다.
도 4 및 도 5는, 토너의 잔량 검지의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다.
좌측의 흐름도에 나타낸 제어는, 콘트롤러(302)에 있어서, CPU 401이 ROM 402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 403에 로드해서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우측의 흐름도에 나타낸 제어는, 프린트 엔진(303)에 있어서, CPU 501이 ROM 502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 503에 로드해서 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스텝 S201에서, CPU 501은, 카트리지(509)가 교환되었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CPU 501은, 화상 형성장치(102)에 카트리지(509)가 새로운 카트리지(509)가 장착되었는지 판단함으로써 이 판단을 행한다. 스테이터스 변화 검지부(506)가 새로운 카트리지(509)가 장착된 것을 검지하여 CPU(501)에 카트리지(509)의 장착을 통지함으로써, CPU 501이 카트리지(509)가 장착된 것을 인식한다. 카트리지(509)의 장착은, 카트리지(509)를 교환하기 위해서 설치된 커버를 개폐할 때 검지해도 되고, 카트리지(509)가 착탈될 때마다 하드웨어적으로 온/오프 상태를 변화하는 버튼이나 스위치 등을 사용하여 검지해도 된다. 카트리지(509)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201에서 YES), 스텝 S202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카트리지(509)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201에서 NO), 카트리지(509)가 교환될 때까지 처리를 대기한다.
스텝 S202에서, CPU 501은, 카트리지(509)가 교환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카트리지 교환 통지를, 콘트롤러 I/F(507)를 거쳐 콘트롤러(302)에 송신한다.
스텝 S101에서, CPU 401은, 카트리지 교환 통지를 엔진 I/F(406)를 거쳐 프린트 엔진(303)으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통지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101에서 YES), 스텝 S102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통지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101에서 NO), 통지가 수신될 때까지 처리를 대기한다.
스텝 S102에서, CPU 401은, 카트리지(509)의 카트리지 정보를 요구하는 카트리지 정보 요구를, 엔진 I/F(406)를 거쳐 프린트 엔진(303)에 송신한다.
스텝 S203에서, CPU 501은, 카트리지 정보 요구를, 콘트롤러 I/F(507)를 거쳐 콘트롤러(302)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요구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203에서 YES), 스텝 S204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요구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203에서 NO), 요구가 수신될 때까지 처리를 대기한다.
스텝 S204에서, CPU 501은, 카트리지(509)의 카트리지 정보를, 콘트롤러 I/F(507)를 거쳐 콘트롤러(302)에 송신한다.
스텝 S103에서, CPU 401은, 카트리지 정보를, 엔진 I/F(406)를 거쳐 프린트 엔진(303)으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카트리지 정보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103에서 YES), 스텝 S104로 처리를 진행한다. 카트리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103에서 NO), 카트리지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처리를 대기한다.
스텝 S104에서, CPU 401은, 카트리지 정보에 근거하여, 토너 잔량의 커런트 값의 초기화를 행한다. 토너 잔량의 커런트 값이란, 콘트롤러(302)가 카트리지(509)의 토너 잔량으로서 인식하고 있는 값으로, UI(301)을 거쳐 유저에게 표시되는 값이다. 구체적으로는, 토너 잔량의 커런트 값의 초기화에 있어서는, CPU 401이 카트리지 정보를 참조하여, 카트리지(509)가 신품인 것으로 판단되면, CPU 401은 토너 잔량의 커런트 값을 100%로 설정한다. 카트리지(509)가 신품인 것으로 판단될 수 없으면, CPU 401은 토너 잔량의 커런트 값을 전술한 카트리지 정보에 포함되는 토너 잔량 정보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한다. 토너 잔량의 커런트 값은, RAM 403 등에 유지된다.
스텝 S116에서, CPU 401은, 카트리지 정보에 근거하여, 카트리지의 제조원 정보를 보존한다. 카트리지의 제조원 정보는 토너 잔량 정보를 정확하게 취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 정보는 카트리지(509)가 소정의 카트리지인 것을 표시하는 문자열, 또는 문자열 정보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카트리지의 제조원 정보는, RAM(403) 등에 유지된다.
스텝 S105에서, CPU 401은, 화상 형성의 실행을 필요로 하는 잡(job)이 외부 I/F(404)를 거쳐 데이터 처리장치(101)로부터 입력되었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여기에서, 잡으로서는, 예를 들어, PDL 인쇄 잡, 카피 잡, 팩시밀리 수신 및 인쇄 잡 등을 들 수 있다. 잡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105에서 YES), 스텝 S10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잡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105에서 NO), 스텝 S111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106에서, CPU 401은, 잡에 근거하여, 화상 형성에 필요한 화상처리를 실행한다. 화상처리는, CPU 401이 렌더링부(408)를 제어하여 인쇄 데이터를 래스터라이즈하여 래스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스텝 107에서, CPU 401은, 화상처리에 의해 생성된 래스터 데이터를, 엔진 I/F(406)를 거쳐 프린트 엔진(303)에 송신한다.
스텝 108에서, CPU 401은, 도트 카운트부(409)로부터, 래스터 데이터의 생성시에 계측된 도트 카운트 값을 취득한다. 이때, 도트 카운트 값은, 페이지 단위로 취득해도 되고, 잡 단위로 취득해도 된다.
스텝 S109에서, CPU 401은, 스텝 S108에서 취득한 도트 카운트 값에 근거하여, 토너 잔량의 예측값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CPU 401은 우선, (현재의 잡 또는 페이지의 인쇄 실행시에 있어서의 도트 카운트 값[dot])×(도트마다의 토너 소비량[g/dot])=(현재의 잡 실행에 의한 토너 소비량[g])이라고 하는 계산을 행한다. 도트마다의 토너 소비량은, ROM 402나 ROM 502에 미리 격납되어 있어도 되고, 스텝 S103에서 수신한 카트리지 정보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에, CPU 401은 (현재의 토너 잔량[g])-(현재의 잡 실행에 의한 토너 소비량[g])=(갱신된 토너 잔량[g])이라고 하는 계산을 행한다. 다음에, CPU 401은 (갱신된 토너 잔량[g])/(미사용 카트리지에 있어서의 토너 잔량[g])=(갱신된 토너 잔량의 예측값[%])이라고 하는 계산을 행한다. 미사용 카트리지(509)에 있어서의 토너 잔량은, ROM 402나 ROM 502에 미리 격납되어 있어도 되고, 스텝 S103에서 수신한 카트리지 정보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스텝 S110에서, CPU 401은, 스텝 S109에서 산출한 예측값에 근거하여, 토너 잔량의 커런트 값에 대해 갱신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09에서 산출한 예측값이 다음에 제공되는 센서값 이하인 경우에는, CPU 401은 센서값이 제공될 때까지 예측값에 근거한 토너 잔량의 커런트 값의 갱신 처리를 스톱한다.
한편, 스텝 S205에서, CPU 501은, 래스터 데이터를, 콘트롤러 I/F(507)를 거쳐 콘트롤러(302)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래스터 데이터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205에서 YES), 스텝 S20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래스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205에서 NO), 스텝 S208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06에서, CPU 501은, 화상 형성부(508)를 제어함으로써, 래스터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 형성을 실행한다.
스텝 S207에서, CPU 501은, 토너 잔량 센서(504)로부터, 토너 잔량의 센서값을 취득한다(스텝 S207). 센서값은, 페이지 단위로 화상 형성이 완료한 타이밍에 취득해도 되고, 잡 단위로 화상 형성이 완료한 타이밍에 취득해도 된다. 또한, 센서값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취득해도 된다.
스텝 S208에서, CPU 501은, 이번 취득한 센서값이 전회 취득한 센서값으로부터 변화하였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이번 취득한 센서값이 변화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208에서 YES), 스텝 S209로 처리를 진행한다. 이번 취득한 센서값이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208에서 NO), 스텝 S205로 처리를 되돌린다.
스텝 S209에서, CPU 501은, 센서값이 변화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는 센서값 변화 통지를, 콘트롤러 I/F(507)를 거쳐 콘트롤러(302)에 송신한다.
스텝 S111에서, CPU 401은, 센서값 변화 통지를, 엔진 I/F(406)를 거쳐 프린트 엔진(303)으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통지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111에서 YES), 스텝 S112로 처리를 진행한다. 통지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111에서 NO), 스텝 S105로 처리를 되돌린다.
스텝 S112에서, CPU 401은, 센서값을 요구하는 센서값 요구를, 엔진 I/F(406)를 거쳐 프린트 엔진(303)에 송신한다.
스텝 S210에서, CPU 501은, 센서값 요구를, 콘트롤러 I/F(507)를 거쳐 콘트롤러(302)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요구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210에서 YES), 스텝 S211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요구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210에서 NO), 요구가 수신될 때까지 처리를 대기한다.
스텝 S211에서, CPU 501은, 센서값을, 콘트롤러 I/F(507)를 거쳐 콘트롤러(302)에 송신한다.
스텝 S113에서, CPU 401은, 센서값을, 엔진 I/F(406)를 거쳐 프린트 엔진(303)으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센서값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113에서 YES), 스텝 S114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센서값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113에서 NO), 센서값이 수신될 때까지 처리를 대기한다.
스텝 S114에서, CPU 401은, 스텝 S113에서 수신한 센서값에 근거하여, 토너 잔량의 커런트 값을 갱신한다. 이때, CPU 401은 이번 취득한 센서값을 RAM(403) 등에 유지한다. 전회 취득한 센서값이 유지되어 있으면, CPU 401은 그것을 이번 취득한 센서값으로 갱신한다.
스텝 S115에서, CPU 401은, 토너 잔량의 커런트 값을 참조하여, 토너 잔량이 제로가 되었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토너 잔량이 제로가 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115에서 YES),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토너 잔량이 제로가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115에서 NO), 스텝 S105로 처리를 되돌린다.
한편, 스텝 S212에서, CPU 501은, 토너 잔량의 센서값을 참조하여, 토너 잔량이 제로가 되었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토너 잔량이 제로가 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212에서 YES),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토너 잔량이 제로가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212에서 NO), 스텝 S205로 처리를 되돌린다.
도 6은, 토너 잔량 경고를 발생하는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다.
이 흐름도에 나타낸 제어는, CPU 401이 ROM 402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 403에 로드해서 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이 흐름도에 나타낸 제어는, 도 4 및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 제어와 독립적으로 병행하여 실행되는 것이다. 이 흐름도에 도시된 제어는, 주로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또는 소정 수의 잡을 실행할 때마다, 또는 소정 수의 페이지의 인쇄를 실행할 때마다가 행해져도 된다. 이 제어는 이와 다른 타이밍에 행해져도 된다.
스텝 S301에서, CPU 401은, RAM 403에 유지된 커런트 값이, 토너 OUT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토너 OUT 조건은, 토너 잔량이, 예를 들면, 0% 등, 인쇄 동작을 계속할 수 없다고 간주되는 값 이하일 때 만족된다. 커런트 값이 토너 OUT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301에서 YES), 스텝 S302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커런트 값이 토너 OUT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301에서 NO), 스텝 S30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302에서, CPU 401은, RAM 403에 유지된 센서값이, 토너 OUT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센서값이 토너 OUT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302에서 YES), 스텝 S305로 처리를 진행한다. 센서값이 토너 OUT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302에서 NO), 스텝 S30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303에서, CPU 401은, RAM 403에 유지된 커런트 값이, 토너 LOW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토너 LOW 조건은, 토너 잔량이, 예를 들면, 40% 등, 잠시후에 인쇄 동작을 계속할 수 없게 된다고 간주되는 임계값 이하일 때 만족된다. 이 토너 LOW의 임계값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유저가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커런트 값이 토너 LOW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303에서 YES), 스텝 S304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커런트 값이 토너 LOW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303에서 NO),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304에서, CPU 401은, 토너 LOW의 경고 처리를 행한다. 토너 LOW의 경고 처리란, 화상 형성 동작을 일시 정지하지 않고, 토너 잔량이 적어진 것을 표시하는 정보나, 유저에게 카트리지의 준비를 촉구하는 정보를, UI(301)에 표시한 후, 이들 정보를 데이터 처리장치(101)에 송신하는 것이다. 토너 LOW의 경고 처리를 행할 때에, 새로운 카트리지의 발주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스텝 S305에서, CPU 401은, 토너 OUT의 경고 처리를 행한다). 토너 OUT의 경고 처리란, 화상 형성 동작을 일시 정지하고, 토너 잔량이 제로에 이른 것을 표시하는 정보나, 유저에게 카트리지의 교환을 촉구하는 정보를, UI(301)에 표시한 후, 이들 정보를 데이터 처리장치(101)에 송신하는 것이다.
도 7은,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의 가부를 판단하는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다.
이 흐름도에 나타낸 제어는, CPU 401이 ROM 402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 403에 로드해서 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이 흐름도에 나타낸 제어는, 도 4, 도 5 및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 제어와 독립적으로 병행하여 실행되는 것이다. 이 흐름도에 도시된 제어는, 주로 기동시나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의 복귀시에 행해져도 된다. 또한, 이 제어는 이와 다른 타이밍에 행해져도 된다.
스텝 S401에서, CPU 401은, 토너 잔량 예측이 가능한지 아닌지 판단한다. 일부 기종에는 도트 카운트 기능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토너 잔량 예측을 할 수 없다. 다른 기종은 도트 카운트 대신에 페이지 카운트에 근거하여 토너 잔량 예측을 행한다. 이와 같은 기종에서는,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을 금지한다. 토너 잔량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401에서 YES), 스텝 S402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토너 잔량 예측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401에서 NO), 스텝 S405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402에서, CPU 401은, 팩시밀리 기능이 유효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일부 기종에서는, 팩시밀리 기능이 하드웨어적으로 제공되지 않거나, 제공되지만 액티베이트되어 있지 않아 실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기종에서는,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을 금지한다. 팩시밀리 기능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402에서 YES), 스텝 S405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팩시밀리 기능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402에서 NO), 스텝 S40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403에서, CPU 401은, 토너 카트리지가 소정의 종류인지 아닌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CPU 401은, 엔진 I/F(406)를 거쳐 카트리지 정보(토너 카트리지의 종류와 제조원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그 취득한 정보에 특정한 기호나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취득한 정보에 특정한 기호나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스텝 S403에서 YES), 스텝 S404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취득한 정보에 특정한 기호나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403에서 NO), 스텝 S405로 처리를 진행한다.
취득한 정보에 특정한 기호나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403에서 YES), 스텝 S404에서, CPU 401은,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을 허가한다. 구체적으로는, CPU 401은 도 8에 나타낸 설정 화면을 표시하여, 해당 설정 화면을 거쳐 유저로부터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을 수신할 수 있게 한다. 도 6의 스텝 S303에서, CPU 401은, 도 8에 나타낸 설정 화면을 거쳐 수신한 값을 임계값으로 사용하여 커런트 값이 토너 LOW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한편, 토너 잔량 예측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스텝 S401에서 NO), 팩시밀리 기능이 유효한 경우(스텝 S402에서 YES), 또는 카트리지가 소정의 종류가 아닌 경우(스텝 S403에서 NO), 스텝 S405에서, CPU 401은,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을 금지 또는 제한한다. 구체적으로는, CPU 401은, 도 8에 나타낸 설정 화면을 표시하지 않거나, 설정 화면을 표시해도 해당 설정 화면을 거쳐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을 유저로부터 수신 불가로 한다. 도 6의 스텝 S303에서, CPU 401은, 디폴트의 값을 임계값으로 사용하여 커런트 값이 토너 LOW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을 행한다.
도 8은,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을 행하기 위한 설정 화면의 예이다.
이 설정 화면은, CPU 401의 제어하에서, UI(301)에 표시된다.
설정 화면은 토너 LOW의 임계값(801)을 나타낸다. 이 값은, UI(301)의 키보드 또는 상하 버튼 등에 의해 변경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 LOW의 임계값(801)의 디폴트 값이 20%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 값은 다른 값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설정 화면은 토너 LOW의 임계값(801)의 설정 범위(802)를 더 표시한다. 토너 LOW의 임계값(801)이 디폴트로는 1% 내지 99%의 범위 내에서 설정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상한 및 하한을 관리자 등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의 스텝 S303에서는, CPU 401이 전술한 설정 화면을 거쳐 유저로부터 수신한 값을 임계값으로 사용하여, 커런트 값이 토너 LOW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한다.
도 9는, 토너 잔량의 커런트 값의 추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라인 501은, 센서값으로서 취득가능한 값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00%, 20%, 0%의 값이 센서값으로서 취득가능하다.
라인 502는, 현실의 토너 잔량의 추이를 나타낸다, 현실의 토너 잔량이란, 실제로 카트리지(509)에 남아 있는 토너 잔량의 정확한 값을 말한다. 예를 들어, 센서가 전체 영역에 걸쳐 매우 정밀도가 좋은 것이 아닌 한, 정확한 값을 직접적으로 취득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라인 503은, 커런트 값의 추이를 나타낸 것이다.
라인 504는, 토너 LOW 조건의 임계값의 디폴트 값을 나타낸다. 이 값은 센서값들 중에서 한 개다.
라인 505는, 토너 LOW의 임계값의 설정가능한 상한이다. 이 값은, 디폴트로 결정해도 되고, 관리자 등이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해도 된다.
라인 506은, 토너 LOW의 임계값의 설정가능한 하한이다. 이 값도, 디폴트로 결정해도 되고, 관리자 등이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해도 된다.
라인 506은, 토너 LOW 조건을 변경한 경우의 토너 LOW 임계값을 나타낸다.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을 허가하는 경우에는, 라인 505 및 506 사이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 임계값에 토너 잔량이 이르렀을 때에, CPU 401이 토너 LOW의 경고를 행한다.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을 금지하는 경우에는, 토너 잔량이 디폴트의 토너 LOW 임계값(라인 504)에 이르렀을 때에, 토너 LOW의 경고를 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CPU 401은 카트리지가 소정의 것인 경우에,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을 허가하고, 카트리지가 소정의 것이 아닌 경우에는,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을 금지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너 LOW의 임계값의 변경의 가부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도 실현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억매체를 거쳐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MPU) 등)가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하는 처리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17)

  1. 기록재를 사용해서 화상 형성을 행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부와,
    상기 기록재의 잔량이 감소하여 임계값에 이르면, 유저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부와,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임계값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부와,
    상기 기록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로부터 적어도 2개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용부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가, 상기 수용부가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유저로부터의 상기 지시에 따라 상기 설정부가 상기 임계값을 설정하도록 허가하고, 상기 판단부가, 상기 수용부가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다고 판단하면,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임계값을, 화상 형성장치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임계값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로부터 취득된 상기 적어도 2개의 정보는 적어도 상기 수용부의 제조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로부터 취득된 적어도 2개의 정보는 적어도 상기 수용부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을 설정하기 위한 지시를 유저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지시에 근거하여 유저 설정 임계값을 기억하도록 구성된 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유저 설정 임계값에 따라, 상기 임계값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 가능한 상기 임계값의 범위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를 거쳐 상기 유저로부터의 상기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임계값의 설정 가능한 상한 및 설정 가능한 하한은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 형성장치.
  8. 제 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기록재의 잔량이 0에 이르렀을 때, 유저에게 통지를 더 행하는 화상 형성장치.
  9. 제 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의 잔량을 예측하도록 구성된 예측부를 더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10. 제 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의 잔량을 검지하도록 구성된 검지부를 더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11. 기록재를 사용해서 화상 형성을 행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기록재의 잔량이 감소하여 임계값에 이르면, 유저에게 통지하는 통지 단계와,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임계값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기록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로부터 적어도 2개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용부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수용부가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유저로부터의 상기 지시에 따라 상기 임계값의 설정을 허가하고,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수용부가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다고 판단하면, 상기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임계값을, 화상 형성장치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임계값으로 고정시키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2. 컴퓨터에 로드되었을 때, 컴퓨터가 청구항 11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13. 제 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카트리지인 화상 형성장치.
  1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가, 상기 수용부가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통지부는, 상기 기록재의 잔량이 감소하여 상기 임계값에 이르면 상기 유저에게 통지하고,
    상기 판단부가, 상기 수용부가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통지부는, 상기 임계값이 상기 유저 설정 임계값에 따라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더라도, 상기 기록재의 잔량이 감소하여 상기 유저로부터의 상기 지시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소정의 임계값에 이르면 상기 유저에게 통지하는 화상 형성장치.
  15. 기록재를 사용해서 화상 형성을 행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부와,
    상기 기록재의 잔량이 감소하여 임계값에 이르면, 유저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부와,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임계값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부는 상기 기록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소정의 제조원에 의해 제조되면, 상기 기록재의 잔량이 감소하여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임계값에 이른 것에 따라 유저에게 통지하고,
    상기 통지부는 상기 기록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소정의 제조원에 의해 제조되지 않으면,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임계값에 관계없이, 상기 기록재의 잔량이 감소하여 상기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설정되지 않는 소정의 임계값에 이른 것에 따라 상기 유저에게 통지하는 화상 형성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를 거쳐 상기 유저로부터의 상기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임계값의 설정 가능한 상한 및 설정 가능한 하한은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 형성장치.
  17. 기록재를 사용해서 화상 형성을 행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기록재의 잔량이 감소하여 임계값에 이르면, 통지부에 의해 유저에게 통지하는 단계와,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설정부에 의해 임계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부는 상기 기록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소정의 제조원에 의해 제조되면, 상기 기록재의 잔량이 감소하여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임계값에 이른 것에 따라 유저에게 통지하고,
    상기 통지부는 상기 기록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소정의 제조원에 의해 제조되지 않으면,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임계값에 관계없이, 상기 기록재의 잔량이 감소하여 상기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설정되지 않는 소정의 임계값에 이른 것에 따라 상기 유저에게 통지하는,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053639A 2014-04-30 2015-04-16 화상 형성장치,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KR101839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93603A JP5989028B2 (ja) 2014-04-30 2014-04-30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4-093603 2014-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574A KR20150125574A (ko) 2015-11-09
KR101839353B1 true KR101839353B1 (ko) 2018-03-16

Family

ID=5305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639A KR101839353B1 (ko) 2014-04-30 2015-04-16 화상 형성장치,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60817B2 (ko)
EP (1) EP2940980B1 (ko)
JP (1) JP5989028B2 (ko)
KR (1) KR101839353B1 (ko)
CN (2) CN105022242B (ko)
SG (1) SG10201502971X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5756B2 (ja) * 2016-02-17 2020-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156135B2 (ja) * 2019-03-28 2022-10-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7243378B2 (ja) 2019-03-28 2023-03-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によって実行される方法
US10719044B1 (en) 2019-09-10 2020-07-21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323862B2 (ja) 2019-09-18 2023-08-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管理装置、および、管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8508A (ja) * 2001-04-24 2002-10-31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該装置におけるトナー残量警告方法
JP2008135900A (ja) * 2006-11-28 2008-06-12 Fuji Xerox Co Ltd 消耗品管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076810A (ja) * 2011-09-30 2013-04-25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システム、プリンタドライバ、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7372A (en) * 1991-03-29 1993-08-17 Fujitsu Limited Toner quantity detecting system for an image recording apparatus, a method of detecting the quantity of toner and a developing device for the image recording apparatus
JPH10133529A (ja) * 1996-11-05 1998-05-22 Omron Corp 交換部品使用状態記録装置及び液体容器
JP3501762B2 (ja) 2000-02-14 2004-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3233479A (ja) * 2002-02-07 2003-08-22 Canon Inc 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印刷方法
JP2005148143A (ja) * 2003-11-11 2005-06-09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169939A (ja) * 2003-12-12 2005-06-30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プリンタに接続して印刷を行わせるコンピュータ、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JP4140545B2 (ja) * 2004-04-07 2008-08-27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50393B2 (ja) * 2004-09-09 2011-08-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549934B2 (ja) 2005-06-10 2010-09-22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US20070177439A1 (en) * 2006-01-31 2007-08-02 Yuka Saito Displaying supply informa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5201309B2 (ja) * 2006-11-30 2013-06-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970295B2 (en) 2008-01-28 2011-06-28 Xerox Corporation Documen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adjustable print consumable refill level
JP2009288274A (ja) * 2008-05-27 2009-12-10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5128372B2 (ja) * 2008-05-30 2013-01-23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5225121B2 (ja) 2009-01-27 2013-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在庫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そ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64926B2 (ja) 2010-12-28 2015-08-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消耗品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8508A (ja) * 2001-04-24 2002-10-31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該装置におけるトナー残量警告方法
JP2008135900A (ja) * 2006-11-28 2008-06-12 Fuji Xerox Co Ltd 消耗品管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076810A (ja) * 2011-09-30 2013-04-25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システム、プリンタドライバ、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22242B (zh) 2021-10-22
EP2940980B1 (en) 2020-12-23
EP2940980A2 (en) 2015-11-04
CN105022242A (zh) 2015-11-04
CN113867111A (zh) 2021-12-31
US20150316884A1 (en) 2015-11-05
SG10201502971XA (en) 2015-11-27
JP2015208971A (ja) 2015-11-24
US9360817B2 (en) 2016-06-07
KR20150125574A (ko) 2015-11-09
EP2940980A3 (en) 2016-04-06
JP5989028B2 (ja)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353B1 (ko) 화상 형성장치,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US997738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displays a remaining amount of recording material,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a remaining amount of recording material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94112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figured to set an initial value of an amount of recording material remaining in a containing unit, associated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5884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6391224B2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5369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914878B2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5769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determining a remaining amount of recording material
JP6312756B2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08980A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8574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08664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5084045A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