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070B1 -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 - Google Patents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070B1
KR101829070B1 KR1020120016767A KR20120016767A KR101829070B1 KR 101829070 B1 KR101829070 B1 KR 101829070B1 KR 1020120016767 A KR1020120016767 A KR 1020120016767A KR 20120016767 A KR20120016767 A KR 20120016767A KR 101829070 B1 KR101829070 B1 KR 101829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ealing
filling
liquid material
stop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5936A (ko
Inventor
아키오 야마네
Original Assignee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5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65B43/465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f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간헐이송되는 봉지 내의 액상물이 봉지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이나 봉지의 밀봉 불량 발생을 방지하고, 포장처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퍼(4)가 제1 접근위치에 위치하고, 봉지입구(10)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이 된 상태로 이송되어 온 봉지(6)를 정지시키고, 봉지(6)에 노즐(40)을 통하여 액상물(36)을 충전한다. 액상물(36)의 충전 중, 특히 충전 종료 직전 또는 충전 종료 후에 노즐(40)의 이동의 장해가 되지 않는 타이밍 및 범위에서 좌우의 그리퍼(4)가 서로 더욱 접근하여, 제2 접근 위치에 위치한다. 봉지입구(10)가 평면에서 보아 봉지(6)의 폭방향이 단축이 되는 대략 타원형이 되고, 각각의 측면 밀봉 경계부(12)를 끼우고 좌우 부분이 큰 둔각(θ)를 이루어 거의 평탄하다고 해도 좋을정도의 형상이 된다. 봉지(6)는 봉지입구(10)가 대락 타원형인 상태 그대로, 봉지(6)의 긴장 공정을 실행하는 다음 정지위치로 대략 봉지의 폭방향으로 이송된다.

Description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INTERMITTENT TRANSFER TYPE VERTICAL BAG FILLING AND PACKAGING METHOD}
본 발명은 수평면 내에서의 소정의 궤도(예를 들어, 원, 직선, 레이스트랙 등)를 따라서 간헐 이동하는, 개폐 자유로운 끼움부를 각각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그리퍼로, 봉지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끼워 상기 봉지를 매단 상태로 유지하고, 대략 봉지의 폭방향으로 소정 거리씩 이동하여 차례로 소정의 정지 위치에 정지시키면서 소정 범위 이송하고, 또한 그 이송 과정에서 소정의 포장처리를 실시하는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물을 포함하는 피포장물을 대상으로 하는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헐이송식의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의 하나로 액상물을 포함하는 피포장물의 충전이 있다. 도 1 및 도 2를 사용하여 종래의 이러한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 피포장물을 충전하기 위해 봉지(106)의 양측 가장자리부(108)를 파지하는 그리퍼(104)를 서로 접근시켜 봉지입구(110)가 대략 원형이 되도록 개구시키고 있는데, 도 1은 봉지 입구(110)를 개구시킨 상태의 봉지(106)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액상물(136) 충전 후의 이송 개시시, (b)는 다음의 정지위치에서의 이송 정지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봉지입구(110)를 개구시킨 상태의 봉지(106)의 이송 정지시에서의 평면도(도 1의 (b)에 대응)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중 좌측의 화살표는 봉지(106)의 이송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에서는 봉지(106)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면서 소정의 포장처리를 수행하므로, 이송시(특히 간헐이송 개시시 및 간헐이송 정지시)에 봉지 내에 충전된 액상물(136)이 관성에 의해 크게 흔들려 봉지입구(110)의 가장자리부(108)에서 크게 솟아오른다(도 1 참조). 그 결과, 봉지입구(110)의 내면의 밀봉 예정부에 액상물(136)이 부착되고, 그것이 원인이 되어 이후의 밀봉 공정에서 밀봉(맞물림 밀봉) 불량이 발생한다. 또한, 흔들림이 너무 큰 경우에는, 액상물(136)이 봉지 입구(110)로부터 봉지 밖으로 튀어나오는 문제도 발생한다(도 1(b), 도 2 참조).
종래 이와 같은 문제의 대응책으로서, 액상물(136)의 충전 후, 봉지입구(110)의 밀봉에 앞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그리퍼(104)를 이반시켜 봉지입구(110)의 하측에서 봉지(106)를 긴장시키는 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도 3은 긴장시킨 상태의 봉지(106)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a)가 이송 개시시, (b)가 이송 정지시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액상물(136)이 봉지입구(110)로부터 봉지 밖으로 튀어나오는 문제는 방지할 수 있지만, 봉지 내에서의 액상물(136)의 흔들림과, 그에 수반되는 봉지(106)의 가장자리부(108)에서의 솟아오름 그 자체를 억제할 수는 없다. 그리고, 흔들림에 의해 액상물(136)이 봉지 내의 긴장부(118)의 바로 아래에 심하게 충돌하면, 봉지 입구(110) 근처가 긴장되어 있어도, 액상물(136)이 봉지 입구(110)의 내면의 작은 틈으로 침투하고, 그 결과 밀봉 예정부에 부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액상물(136)을 충전하는 공정과 봉지입구(110)를 밀봉하는 공정 사이에, 예를 들어 탈기(脫氣) 공정과 같은 간헐 정지 위치가 설정되는 경우, 액상물 충전 후부터 봉지입구(110)의 밀봉이 실시될 때까지 동안 간헐이송의 개시 및 정지가 복수회 반복된다. 즉, 액상물 충전 후, 다음 공정으로의 간헐이송의 개시 및 정지에 의해 액상물(136)이 크게 흔들리고, 그 흔들림이 가라앉기 전에 다음 공정으로의 간헐이송의 개시 및 정지가 실시된다. 이에 의해 액상물(136)의 흔들림이 누적되어 커지고, 봉지입구(110)의 밀봉 시에 상술한 밀봉 불량의 문제가 현저해진다.
또한, 가령 액상물(136)이 밀봉 예정부에 도달하지 않아도 후공정에서 프레스 탈기 공정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프레스 탈기에서 봉지 내로부터 밀어내어지는 공기에 의해 긴장부(118)에 침입한 액상물(136)이 밀봉 예정부까지 밀려 올라가고, 그 결과 밀봉 불량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봉지입구(110) 근처를 긴장시키는 방법에서는 상기 밀봉 불량의 발생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는 없으므로, 종전에는 포장처리의 속도를 낮추어 액상물(136)의 흔들림을 극히 억제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었지만, 속도의 억제에 의한 생산성의 저하를 피할 수 없었다.
그런데,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에서의 충전물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발명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88810호(특허문헌 1)에 기재된 횡방향 흔들림 방지 장치가 있다. 본 장치에서는, 클램프로 매단 상태로 유지한 각 봉지를 개별적으로 한 쌍의 횡방향 흔들림 방지판에 끼움으로써, 간헐 이송중에 발생하는 봉지의 횡방향 흔들림을 방지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봉지를 직접 판에 끼움으로써 봉지 자체의 흔들림을 억제하므로 일정한 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만, 피포장물의 흔들림 그 자체를 감소시킬 수는 없다. 특히, 피포장물이 액상물인 경우 그 액상 충전물의 흔들림은 거의 억제할 수 없고, 이러한 구성을 이용해도 밀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포장 처리의 속도를 억제하지 않을 수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08881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1320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247851호
또한,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직접 관계되는 것은 아니지만, 후술하는 본원 발명의 구성의 일부인, 봉지에 끼우는 좌우 한 쌍의 그리퍼를 일반적인 위치보다도 더욱 접근시킨 위치로 설정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문헌에 기재된 발명과 본원 발명에서는 그리퍼를 접근시키는 타이밍이 다르고, 발명의 해결 과제 및 효과도 다르다.
본원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헐 이송되는 봉지 내의 액상물이 봉지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이나 봉지의 밀봉 불량의 발생을 방지하고, 포장처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그런데, 상기 액상물의 흔들림이 간헐이송에 따른 관성력에 기인하는 것은 명백하지만, 그 이외에 액상물의 흔들림을 조장시키는 다른 요인이 있다면 그것을 제거함으로써 액상물의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액상물의 튀어나옴이나 밀봉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탈기 상태의 안정화, 생산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그래서, 발명자는 상기 발상에 기초하여 여러가지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액상물의 흔들림을 조장시키는 요인으로서, 봉지의 이송방향과 평면에서 본 봉지입구의 개구형상이 크게 관계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통상 봉지의 개구형상은 호퍼, 액상물 충전 노즐의 삽입을 고려하여, 좌우의 그리퍼를 접근시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이 되도록 하고 있다(도 1, 도 2 참조). 이 경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봉지(106)는 평면에서 보면 측면 밀봉(side seal) 경계부(112)에서 각도 θ로 뾰족하고 폭방향 중앙측을 향하여 넓은 형태가 되고 있고, 지면 및 봉지(106)의 폭방향에 대해서 직각인 단면에서 본 경우, 봉지(106)의 폭방향의 가장자리부(108)에 접근할수록 단면적은 작아지고 있다. 상기 개구상태에서 봉지(106)를 그 폭방향으로 이송하고, 예를 들어 정지시킨 경우를 보면, 관성에 의해 봉지 내의 액상물(136) 전체가 도 1의 (b), 도 2에서 우측의 측면 밀봉 경계부(112)를 향하여 밀려나서,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솟아오르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지(106)를 긴장시킨 경우에도, 그 긴장부(118)보다 하측의 피포장물이 충전되어 있는 범위에서는, 도 1의 경우만큼은 아니지만, 봉지(106)의 가장자리부(108)의 밀봉 경계부(112)에서 뾰족하고 중앙부를 향하여 개방된 형태로 되어 있고, 가장자리부(108)에 가까운 쪽이 단면적은 작다. 따라서, 봉지(106)를 그 폭방향으로 이송, 정지시킨 경우 동일한 현상이 일어난다.
본원 발명은 상기의 견지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정의 궤도를 따라서 간헐 이송되는 좌우 한 쌍의 끼움 부재로 봉지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매단 상태로 파지하고, 상기 봉지를 대략 봉지의 폭방향으로 소정 거리씩 이동시켜 소정의 정지 위치에 차례로 정지시키면서 소정 범위 이송하고, 상기 정지 위치에 정지되는 동안 또는 상기 정지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 각종 포장처리를 실시하는, 액상물을 포함하는 피포장물을 포장하는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에서, 상기 포장 방법은 이반 위치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끼움 부재에 빈 봉지를 공급하여 파지하는 봉지공급공정과, 상기 한 쌍의 끼움 부재를 제1 접근 위치까지 접근시켜서 상기 봉지의 봉지 입구를 개구시키는 개구 공정과, 상기 개구된 봉지 입구로부터 액상물을 상기 봉지 내에 충전하는 액상물 충전 공정과, 상기 끼움 부재를 서로 이반시켜 상기 봉지를 긴장시키는 긴장 공정과, 상기 봉지의 봉지 입구를 밀봉하는 밀봉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포장 방법은 또한, 상기 액상물 충전 공정의 종료 직전 또는 종료 후에 상기 한 쌍의 끼움 부재를 상기 제1 접근 위치보다 간격이 좁은 제2 접근 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봉지 입구를 평면에서 보아 상기 봉지의 폭방향이 단축이 되는 대략 타원형으로 하는 최접근 공정과, 상기 봉지 입구가 상기 대략 타원형인 상태 그대로 상기 봉지를 다음의 상기 소정의 정지 위치 중 하나인 개구이송 정지위치로 이송시키는 개구 이송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긴장 공정과 밀봉 공정은 상기 최접근 공정과 개구 이송 공정이 실행된 후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에서는, 끼움 부재의 접근 위치를 2단계로 설정하는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간헐 이송되는 봉지 내의 액상물의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어, 액상물이 봉지 밖으로 튀어 나오는 것이나 봉지의 밀봉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액상물 충전 공정은 소정의 정지 위치 중 하나인 충전용 정지위치에서 실행되고, 상기 최접근 공정은 상기 충전용 정지 위치에서 실시되며, 이어서 상기 개구 이송 공정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 방법에서는 액상물 충전 후, 봉지를 다음의 정지위치로 이송하기 전에 좌우 한 쌍의 끼움 부재를 제2 접근 위치까지 더욱 접근시키므로, 봉지 내에서의 액상물의 흔들림을 확실히 작게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액상물 충전 공정은 상기 소정의 정지위치 중 하나인 충전용 정지위치에서 실행되고, 상기 최접근 공정은 상기 액상물 충전 공정이 종료되고 상기 봉지가 다음 정지위치를 향하여 이송되는 중에 실시되며, 상기 개구 이송 공정은 상기 최접근 공정 종료 후의 상기 봉지의 상기 다음 정지위치로의 이송으로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 방법에서는, 충전용 정지위치에서의 정지시간을 끼움 부재의 제2 접근 위치로의 이동에 필요한 시간만큼 단축시킬 수 있어, 포장처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긴장 공정은 상기 봉지가 상기 개구이송 정지위치에 정지되는 동안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은, 또한 상기 긴장 공정과 상기 밀봉 공정 사이에서 실행되는, 한 쌍의 프레스 부재로 상기 봉지를 양측에서 눌러 봉지 내의 기체를 봉지 밖으로 밀어내는 탈기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피포장물인 액상물의 흔들림의 크기를 종래에 비해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봉지 내의 액상물이 봉지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이나 봉지의 밀봉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포장 처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장 방법의 이송시에서의 봉지 입구를 개구시킨 상태의 봉지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액상물을 충전 후의 이송 개시시, (b)는 다음의 정지위치에서의 이송 정지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포장 방법의 이송시에서의 봉지입구를 개구시킨 상태의 봉지의 이송 정지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포장 방법의 이송시에서의 봉지입구 부근을 긴장시킨 상태의 봉지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이송 개시시, (b)는 이송 정지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에 관한 포장 방법을 실시하는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봉지입구를 개구시킨 상태의 봉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a)는 그리퍼를 제1 접근위치를 접근시킨 상태, (b)는 제2 접근위치에 접근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그리퍼를 제2 접근위치에 접근시킨 상태의 봉지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이송 개시시, (b)는 이송 정지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봉지입구 근처가 긴장된 상태의 봉지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이송 개시시, (b)는 이송 정지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4를 이용하여 본원 발명의 전체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원 발명에 관한 포장 방법을 실시하는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기(이하 단순히 포장기)(1)의 개략 구성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형물(34)과 액상물(36) 모두를 봉지(6)에 충전하지만, 액상물(36)만이 충전되는 경우이어도 좋다.
포장기(1)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회전테이블(2)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테이블(2)에는, 끼움부재인 개폐 자유로운 좌우 한 쌍의 그리퍼(4)가 소정 간격으로 복수조 배치되고, 회전테이블(2)의 회전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퍼(4)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포장물(34, 36)이 충전되는 봉지(6)를 그 양측 가장자리부(측면밀봉부)(8)에서 매단 상태로 파지하고, 회전테이블(2)의 회전에 따라 봉지(6)를 이송한다. 그리퍼(4)는 봉지(6)의 폭방향으로 접근·이반 자유로운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포장 처리의 각 공정에 맞추어 포장기(1)의 구성을 설명한다.
부호 "Ⅰ"은 빈 봉지 공급 공정으로, 상기 정지위치에는 본 공정에 대응하여 공지의 컨베이어 매거진(20)이 설치되어 있다. 컨베이어 매거진(20)에서는, 조출(繰出) 롤러(22)에 의해 봉지(6)를 1매씩 차례로 내보내고, 한 쌍의 봉지 취출 흡입반(24)에서 봉지(6)를 취출하여 도면 중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상태로 하여, 본 공정에서 정지하여 대기하고 있는 그리퍼(4)에 인도한다.
다음에, 그리퍼(4)로 파지된 봉지(6)는 인자 공정 Ⅱ로 이송되고, 인자장치(26)에 의해 제조일 등의 정보가 인자된다. 공정 Ⅲ은 봉지입구 개구 공정으로, 상기 정지위치에 설치된 한 쌍의 개구 흡착반(28)으로 봉지(6)의 봉지입구(10) 근처에서 봉지면(16)을 양측으로부터 흡착한 후, 상기 한 쌍의 개구 흡착반(28)을 이반시키면서 좌우의 그리퍼(4)를 봉지(6)의 폭방향에서 접근시켜, 봉지입구(10)를 대략 원형으로 개구시킨다. 이 때의 좌우 그리퍼(4)의 위치를 제1 접근 위치로 한다. 상기 개구 상태는 추종식 개구가이드(30)에 의해 다음 공정 Ⅳ까지 유지된다.
공정 Ⅳ는 고형물 충전공정으로, 개구 가이드(30)에 의해 개구 상태가 유지된 봉지(6)에 호퍼(38)를 통하여 고형물(34)이 충전된다. 공정 Ⅴ는 액상물 충전 및 그리퍼 최접근 공정이고, 노즐(40)을 통하여 봉지(6)에 액상물(36)(도 5, 도 6, 도 7 참조)을 충전하고, 그 충전 중(특히 종료기) 또는 충전 후에 좌우 한 쌍의 그리퍼(4)를 상기 제1 접근위치로부터 더욱 접근시켜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 때의 좌우의 그리퍼(4)의 위치를 제2 접근 위치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액상물(36)의 충전이 회전테이블(2)의 정지중에 실시되지만, 회전 테이블(2)의 회전중에 실시되도록 해도 좋다.
봉지(6)는 상기와 같이 봉지 입구(10)가 개방된 상태 그대로 공정 Ⅵ을 실행하는 정지 위치로 이송된다. 공정 Ⅵ는 봉지입구 긴장 및 프레스 탈기 공정으로, 봉지(6)가 공정 Ⅵ를 실행하는 정지위치에 정지되면, 우선 공정 Ⅴ에서 제2 접근 위치에 위치한 좌우 그리퍼(4)를 봉지(6)에 일정한 텐션이 가해지는 곳까지 이반시키고, 봉지(6)의 피포장물(고형물(34) 및 액상물(36))보다 상방의 위치에 긴장부(18)(도 7 참조)를 형성한다. 그 후, 한 쌍의 봉 형상의 프레스 부재(42)에 의해 봉지(6)의 봉지면(16)을 양측으로부터 눌러 봉지 내의 기체를 봉지밖으로 밀어냄으로써 탈기가 실시된다. 또한, 프레스 부재(42)는 봉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판 형상의 것을 사용해도 좋다. 공정 Ⅵ을 실행하기 위해 회전테이블(2)이 정지했을 때 후술한 바와 같이 봉지 내의 액상물(36)의 흔들림은 대폭 억제되고 있으므로, 프레스 탈기를 안정된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다.
공정 Ⅶ 및 공정 Ⅷ은 각각의 정지 위치에서 실행되는 봉지입구 제1 밀봉 공정 및 봉지입구 제2 밀봉 공정이고, 각각 한 쌍의 제1 열판(44), 제2 열판(46)을 사용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봉지입구(10)를 밀봉한다. 공정 Ⅸ는 밀봉부 냉각 및 제품 방출 공정이고, 공정 Ⅶ 및 공정 Ⅷ에서 밀봉한 부분을 한 쌍의 냉각판(48)으로 냉각하여 포장을 완료한다. 완료 후, 완성품으로서 봉지(6)를 슈트(chute)(50)를 따라서 배출한다. 공정 Ⅹ은 불량봉지 배출 공정이다.
다음에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공정 Ⅴ부터 Ⅵ, Ⅵ부터 Ⅶ로 공정을 실시해 갈 때의 각각의 정지위치 사이에서의 봉지(6)의 이송 및 그에 수반되는 그리퍼(4)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공정 Ⅴ에서의 그리퍼(4)의 동작 및 봉지입구(10)의 형상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공정 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액상물(36)을 충전하는 공정이고, 좌우 그리퍼(4)가 전술한 제1 접근위치에 위치하고, 봉지(6)는 그 봉지입구(10)가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이 된 상태에서, 한 공정 전의 공정 Ⅳ가 실행되는 정지위치로부터 이송되어 그 정지위치에 정지한다. 그리고, 노즐(40)이 봉지입구(10)로 삽입되고, 액상물(36)이 충전된다. 이어서 액상물(36)의 충전 중, 특히 충전 종료 직전 또는 충전 종료 후에 좌우의 그리퍼(4)가 다시 서로 접근 이동하고,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제2 접근 위치에 위치한다. 이 때, 봉지(6)의 양측 가장자리부(8)는 봉지입구(10)측에서 노즐(40) 이동에 장해가 되지 않는 타이밍 및 범위에서 서로 더욱 접근하고, 각각의 봉지면(16)은 도 5의 (b)에서 상하로 볼록 형상으로 변형되고, 각각의 측면 밀봉 경계부(12)를 끼우고 좌우(도 5에서 상하)의 부분은 큰 둔각(θ)를 이루어 거의 평평하다고 해도 좋을 정도의 형상이 된다. 즉, 봉지입구(10)가 평면에서 보아 봉지(6)의 폭방향이 단축이 되는 대략 타원형이 된다.
도 6은 봉지입구(10)가 상술한 상태 그대로 공정 Ⅴ를 실행하는 정지위치로부터 다음의 공정 Ⅵ을 실행하는 정지위치로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이송 개시시, (b)는 정지시를 도시하고 있다(여기에서, 봉지입구(10)가 대략 타원형으로 개방된 채로 봉지(6)를 다음 정지위치로 이송하는 공정을 개구 이송 공정이라고 부르고, 그 개구된 채 이송되는 봉지(6)가 정지되는 정지위치를 개구이송 정지위치라고 부름). 봉지(6)의 이송방향은 대략 봉지의 폭방향이므로 종래예와 동일하게 액상물(36)의 폭방향에서의 흔들림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봉지(6)는 그 폭방향이 단축이 되는 대략 타원형을 하고 있고, 장축을 따른 2개의 면은 대략 평행이라고 할 수 있는 상태이며, 그 사이의 간격은 장축방향을 따라서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봉지 내에서 도 6의 (a)에서는 좌측으로, 도 6의 (b)에서는 우측으로 밀려나간 액상물(36)이 도 5의 (b)에서 본 경우에 장축 방향을 따라서 거의 균등하게 밀려, 종래예와 같이 측면 밀봉 경계부(12) 부근에 집중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 솟아오르는 높이는 훨씬 낮아진다.
여기에서 액상물(36)의 솟아오름을 억제하는 요인이 또 하나 있다. 즉 봉지(6)의 가장자리부(8)측의 경사의 정도이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봉지(6)의 가장자리부(8) 측은 봉지입구(10) 측이 봉지(6)의 폭방향 중앙측으로 많이 접근하여 종래예에 비하여 그 경사가 크고, 액상물(36)의 상측을 덮는 상태가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액상물(36)이 봉지 내면을 따라서 솟아오르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상물(36)은 그리퍼(4)로 파지된 위치보다 충분히 아래의 위치까지밖에 솟아오르지 않아, 그리퍼(4)에 의해 긴장되는 긴장부(18)(도 7 참조)에 도달하는 일은 없다. 상기 공정 Ⅵ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퍼(4)를 멀어지게 하여 밀봉 예정부보다 하방의 부위(긴장부(18))에서 봉지(6)를 긴장시키고 그 후 프레스 탈기를 실시하지만, 상기와 같이 봉지(6)의 정지시에서의 액상물(36)의 흔들림, 솟아오름이 낮게 억제되어 있으므로, 프레스 탈기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또한 프레스 탈기를 실시함으로써 액상물(36)이 밀봉 예정부로 이동 부착되는 일도 없다.
도 7은 공정 Ⅵ를 실행하는 정지 위치(개구이송 정지 위치)로부터 공정 Ⅶ를 실행하는 정지위치로의 봉지(6)의 이송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이송 개시시, (b)는 정지시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정 Ⅵ의 실행위치에서의 정지시에서 액상물(36)의 흔들림이 낮게 억제되고, 또한 공정 Ⅵ의 실행위치에 정지되어 있을 때 그 흔들림은 더욱 가라앉아 있다. 따라서, 공정 Ⅵ 내지 공정 Ⅶ로의 이송시에 흔들림이 발생해도, 전에 발생한 흔들림과 중첩되어 큰 흔들림이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밀봉 예정부에 액상물(36)이 부착되어, 상기 공정 Ⅶ에서 실시되는 밀봉 작업에서 밀봉 불량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포장기(1)에서는 특별한 부품 추가 없이, 좌우 한 쌍의 그리퍼(4)의 접근 위치를 2단계로 설정하는 매우 간단한 구성만으로 밀봉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포장 처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리퍼(4)의 제2 접근위치로의 이동(그리퍼 최접근 공정)의 타이밍을 봉지(6)로의 피포장물의 충전 중 또는 충전 후로 설정하고 있지만, 이것에는 액상물 충전 공정 실행 정지위치로부터 다음 공정 실행 정지위치로의 봉지(6)의 이송 중도 또한 포함된다. 봉지(6)를 다음 공정을 향하여 이송하기 전에 그리퍼 최접근 공정을 설정하면, 봉지 내의 액상물(36)의 흔들림을 확실히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간헐이송 개시시에서의 액상물(36)의 흔들림이 허용 범위 내이고 포장처리의 생산성이 우선되는 경우에는, 다음 공정으로의 봉지(6)의 이송 중에 그리퍼 최접근 공정을 설정함으로써, 그리퍼(4)의 제2 접근위치로의 이동에 필요한 시간만큼 간헐정지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포장 처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스 탈기 공정을 봉지입구 긴장 공정과 동일한 간헐 정지 위치에서 실행하도록 설정했지만, 봉지입구(10)의 밀봉 공정(본 실시형태에서는 봉지입구 제1 밀봉 공정 Ⅶ)에서의 간헐 정지 위치에서 봉지입구(10)의 밀봉 전에 실시하도록 설정해도 좋다.
1: 포장기 4: 그리퍼
6: 봉지 8: 가장자리부
10: 봉지입구 12: 측면 밀봉 경계부
16: 봉지면 18: 긴장부
36: 액상물 42: 프레스 부재
θ: 개구 각도

Claims (6)

  1. 소정의 궤도를 따라서 간헐 이송되는 좌우 한 쌍의 끼움 부재로 봉지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매단 상태로 파지하고, 상기 봉지를 대략 봉지의 폭방향으로 소정 거리씩 이동시켜 소정의 정지위치에 차례로 정지시키면서 소정 범위 이송하고, 상기 정지위치에 정지하는 동안, 또는 상기 정지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중에 각종 포장처리를 실시하는, 액상물을 포함하는 피포장물을 포장하는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장 방법은,
    이반 위치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끼움 부재로 빈 봉지를 공급하여 파지하는 봉지 공급 공정,
    상기 한 쌍의 끼움 부재를 제1 접근 위치까지 접근시키고 상기 봉지의 봉지 입구를 개구시키는 개구 공정,
    상기 개구된 봉지입구로부터 액상물을 상기 봉지 내로 충전하는 액상물 충전 공정,
    상기 끼움 부재를 서로 이반시켜 상기 봉지를 긴장시키는 긴장 공정, 및
    상기 봉지의 봉지입구를 밀봉하는 밀봉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포장 방법은 또한,
    상기 액상물 충전 공정의 종료 직전 또는 종료 후에 상기 한 쌍의 끼움 부재를 상기 제1 접근 위치보다 간격이 좁은 제2 접근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봉지입구를 평면에서 보아 상기 봉지의 폭방향이 단축이 되는 대략 타원형으로 하는 최접근 공정과,
    상기 봉지입구가 상기 대략 타원형인 상태 그대로 상기 봉지를 다음의, 상기 소정의 정지위치 중 하나인, 개구이송 정지위치로 이송시키는 개구 이송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긴장 공정과 밀봉 공정은 상기 최접근 공정과 개구 이송 공정이 실행된 후에 실행되는,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물 충전 공정은 상기 소정의 정지위치 중 하나인 충전용 정지위치에서 실행되고, 상기 최접근 공정은 상기 충전용 정지위치에서 실시되며, 이어서 상기 개구 이송 공정이 실행되는,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물 충전 공정은 상기 소정의 정지위치 중 하나인 충전용 정지위치에서 실행되고, 상기 최접근 공정은 상기 액상물 충전 공정이 종료되고 상기 봉지가 다음 정지위치를 향하여 이송되는 중에 실시되며, 상기 개구 이송 공정은 상기 최접근 공정 종료 후의 상기 봉지의 상기 다음 정지위치로의 이송으로서 실행되는,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 공정은 상기 봉지가 상기 개구이송 정지위치에 정지되어 있는 동안 실행되는,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은, 상기 긴장 공정과 상기 밀봉 공정 사이에서 실행되는, 한 쌍의 프레스 부재로 상기 봉지를 양측으로부터 눌러 봉지 내의 기체를 봉지 밖으로 밀어내는 탈기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는,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은, 상기 긴장 공정과 상기 밀봉 공정 사이에서 실행되는, 한 쌍의 프레스 부재로 상기 봉지를 양측으로부터 눌러 봉지 내의 기체를 봉지 밖으로 밀어내는 탈기 공정을 더 구비하는,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
KR1020120016767A 2011-04-11 2012-02-20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 KR101829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87305A JP5563511B2 (ja) 2011-04-11 2011-04-11 間欠移送式縦型袋詰め包装方法
JPJP-P-2011-087305 2011-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936A KR20120115936A (ko) 2012-10-19
KR101829070B1 true KR101829070B1 (ko) 2018-02-13

Family

ID=4698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767A KR101829070B1 (ko) 2011-04-11 2012-02-20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63511B2 (ko)
KR (1) KR101829070B1 (ko)
CN (1) CN1027302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4005B (zh) * 2014-04-29 2016-09-14 浙江五芳斋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粽子自动化灌装设备及工艺
CN105480918B (zh) * 2014-10-17 2018-03-16 广州齐丰文化发展有限公司 一种面膜自动灌装装置
JP6557552B2 (ja) * 2015-08-28 2019-08-07 不双産業株式会社 包装装置
CN106742131B (zh) * 2017-04-10 2019-01-18 徐州恒伟纸制品包装有限公司 一种日化用品打包装置及其使用方法
JP6983715B2 (ja) * 2018-04-20 2021-12-17 Pacraft株式会社 袋詰め包装機及び袋詰め包装方法
CN109319182B (zh) * 2018-11-27 2020-07-10 安徽金牧饲料有限公司 一种安全稳定的环保猪饲料生产设备
JP2021054459A (ja) * 2019-09-30 2021-04-08 ゼネラルパッカー株式会社 給袋包装機における包装方法および給袋包装機
JP7442808B2 (ja) 2020-06-15 2024-03-05 株式会社古川製作所 包装機用のクランプ機構
CN112722344B (zh) * 2020-12-15 2023-10-10 蚌埠市万科硅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品质白炭黑定量自动包装机
JP2023017613A (ja) * 2021-07-26 2023-02-07 Pacraft株式会社 袋処理システム
CN117585252B (zh) * 2024-01-19 2024-04-26 朗锐包装技术(沧州)有限公司 一种三方向运动的取袋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8810A (ja) 1999-09-20 2001-04-03 Shinsei:Kk 高速連続充填包装機における包装袋の横揺れ防止装置
JP2009132001A (ja) 2007-11-29 2009-06-18 Toyo Jidoki Co Ltd スパウト付き袋の製造方法
JP2010247851A (ja) 2009-04-14 2010-11-04 Toyo Jidoki Co Ltd 袋詰め包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2546B1 (ko) * 1969-12-22 1976-11-16
JPH01167023A (ja) * 1987-08-12 1989-06-30 Toyo Jidoki Kk 給袋式自動包装装置
JPH01267140A (ja) * 1988-04-13 1989-10-25 Toyo Jidoki Kk インバーターを用いた包装機の駆動制御方法
JP2779937B2 (ja) * 1988-06-20 1998-07-23 大和製衡株式会社 重量式計量充填包装機
JP2574122Y2 (ja) * 1991-11-28 1998-06-11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自動包装機の脱気シール装置
JPH0664611A (ja) * 1992-08-12 1994-03-08 Toyo Jidoki Co Ltd 自動充填包装機
JP3732400B2 (ja) * 2000-12-01 2006-01-05 株式会社古川製作所 立体包装体の形成方法及びその装置
JP4530873B2 (ja) * 2005-02-18 2010-08-25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スパウト付き袋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7126208A (ja) * 2005-10-03 2007-05-24 Toyo Jidoki Co Ltd 袋詰め包装機
JP5336412B2 (ja) * 2010-04-01 2013-11-06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袋詰め包装機における被包装物充填装置及び充填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8810A (ja) 1999-09-20 2001-04-03 Shinsei:Kk 高速連続充填包装機における包装袋の横揺れ防止装置
JP2009132001A (ja) 2007-11-29 2009-06-18 Toyo Jidoki Co Ltd スパウト付き袋の製造方法
JP2010247851A (ja) 2009-04-14 2010-11-04 Toyo Jidoki Co Ltd 袋詰め包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936A (ko) 2012-10-19
JP2012218783A (ja) 2012-11-12
CN102730235A (zh) 2012-10-17
JP5563511B2 (ja) 2014-07-30
CN102730235B (zh)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070B1 (ko) 간헐이송식 세로형 봉지 충전 포장 방법
KR101805208B1 (ko) 봉지입구의 개구방법 및 개구장치
US20130152516A1 (en) Apparatus for making, handling, and filling pouches
US201400830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pout-Equipped Bags
US9139314B2 (en) Packaging bag feeder in packaging machine
JP5290032B2 (ja) 袋詰め包装方法
WO2013145113A1 (ja) 包装機およびその包装方法
US7500338B2 (en) Method and unit for heat-shrinking overwrappings of heat-shrink plastic material of a succession of products
KR20160051526A (ko) 포장기
EP2282943B1 (en) Method and machine for forming a sealed wrapping about an article
JP2017124858A (ja) 袋異常検知装置及び袋異常検知方法
US6925782B2 (en) Vibrating pill packag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EP1882630A1 (en) Unit and method of feeding containers arranged in a number of superimposed rows
JP6133171B2 (ja) 袋詰め包装方法及び袋詰め包装機
US20190344912A1 (en) Packaging machine
KR101784223B1 (ko) 봉지의 탈기, 밀봉방법 및 장치
CN105438545A (zh) 包装一体机
KR101913231B1 (ko) 포장방법 및 포장 시스템
JP2012180106A (ja) 間欠移送式充填包装装置及び方法
US20210300610A1 (en) Packaging machine with bottom-supporting device
JP2017039518A (ja) 袋詰め包装機
CN205998249U (zh) 筒纱包装自动缝口装置
KR101733282B1 (ko) 로터리형 자동포장기
EP1326776B1 (en) A method of handling a temporary disturbance in a packaging machine
KR20160115698A (ko) 2연속 자루를 사용한 배깅포장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