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845B1 -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845B1
KR101819845B1 KR1020167019518A KR20167019518A KR101819845B1 KR 101819845 B1 KR101819845 B1 KR 101819845B1 KR 1020167019518 A KR1020167019518 A KR 1020167019518A KR 20167019518 A KR20167019518 A KR 20167019518A KR 101819845 B1 KR101819845 B1 KR 101819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pport insert
plug connector
contact support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9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116A (ko
Inventor
크리스티앙 자우렉
Original Assignee
코스탈 콘탁트 치스테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탈 콘탁트 치스테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코스탈 콘탁트 치스테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0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플러그 접촉 요소(3)가 위치되는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및 제2 플러그 접촉 요소(4)가 위치되는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으로 구성된 전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은 힘-증폭 수단(7)에 의해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접촉 지지 인서트(6)와 보호 하우징(5)으로 구성되며, 접촉 지지 인서트(6)는 제2 플러그 접촉 요소(4)를 수용하기 위해 리셉터클 구멍(8)을 가지고, 제1 및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2)은 각각 하나 이상의 하우징 벽(9, 10)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벽(9, 10)들은 제1 및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2)이 서로 연결될 때 서로에 대해 평행한 섹션들을 가지고, 상기 섹션들 사이에 밀봉부(11)가 배열되며, 상기 밀봉부(11)는 제1 및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들의 하나 이상의 하우징 벽(9, 10)에 끼워맞춤되고, 제2 플러그 접촉 요소(4)는 접촉 지지 인서트(6)에 대해 정지상태로 배열되고, 접촉 지지 인서트(6)는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에 래칭 연결될 수 있으며, 보호 하우징(5)은 힘-증폭 수단(7)의 회전 또는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접촉 지지 인서트(6)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PLUG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제1 플러그 접촉 요소가 위치되는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플러그 접촉 요소가 위치되는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으로 구성된 전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힘-증폭 수단에 의해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접촉 지지 인서트와 보호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접촉 지지 인서트는 제2 플러그 접촉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리셉터클 구멍을 가지고, 제1 및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각각 하나 이상의 하우징 벽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벽들은 제1 및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연결될 때 서로에 대해 평행한 섹션들을 가지고, 상기 섹션들 사이에 밀봉부가 배열되며, 상기 밀봉부는 제1 및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들의 하나 이상의 하우징 벽에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는 독일 특허 DE 10 2008 012 925 A1에 공지되어 있다.
플러그-인 커넥터(plug-in connector)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야 하는 결합력(joining force)은 복수의 요소들로 구성된다. 제공되어야 하는 제1 접촉력(contact force)은 처음에 제1 및 제2 전기 플러그 접촉 요소들 사이에 위치되는데, 적어도 플러그 접촉 요소들은 스프링 압력(spring pressure)으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견고한 전기 연결을 형성하고, 그리고, 두 번째로는, 우수한 밀봉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압축되어야 하는 밀봉부(seal) 위의 하우징 부분들에 제공되는 압력 힘(pressure force)들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에 삽입된다. 게다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들 사이에서 기계적으로 형성되는 마찰력(friction force)은 하우징 부분들의 작은 허용 디자인 오차(tolerance design)만큼 작게 유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밑에서는 상세하게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에서 연결되어야 하는 플러그 접촉 요소의 개수가 커질 때 접촉력들의 합(sum)이 증가하기 때문에, 특히, 4-막대(pole) 플러그-인 커넥터에서, 힘 증폭(force amplification)을 위한 기계적 수단이 제공된다. 이는, 예를 들어, DE 101 28 183 B4에서 4-막대 플러그 커넥터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한 레버 메커니즘에 의해 예시된다. 플러그 접촉 요소들은 밀봉부가 압축될 때와 동시에 연결되기 때문에, 결합 공정 동안 제공되는 힘(force)들은 상당하며, 따라서, 편안한 취급(comfortable handling)을 위해 가능한 가장 긴 레버 암(lever arm) 길이가 필요하고,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크고 번잡스러운 레버 메커니즘이 야기된다.
대안으로, 가령, 독일 특허 DE 10 2005 040 952 A1에 기재된 것과 같이, 소위, 제로-힘(zero-force) 플러그 커넥터가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커넥터에서, 전기 접촉력은, 암의 접촉부(female contact) 상에서 클램핑 슬리브(clamping sleeve)를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결합 공정의 최종 단계에서만 생성되며, 이에 따라 결합 공정의 부분들에는 어떠한 접촉력들도 제공되지 않는다.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결합을 통해 밀봉부의 반경방향 압축(radial compression)이 발생하며 이는 클램핑 슬리브가 슬라이딩 되는 단계와 일치하며, 따라서 상기 최종 결합 단계는 상당한 작동력(actuation force)을 필요로 하지만, 이는 4-막대 플러그-인 커넥터에서는 특히 어렵다. 또 다른 가능성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결합하는 제1 단계에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압축하는 공정, 및, 그 뒤, 제2 결합 단계에서, 제로-힘 플러그 커넥터의 클램핑 슬리브를 작동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그 후, 전기 접촉 요소들의 접촉력 및 밀봉력(sealing force)이 순차적으로 제공되어(applied sequentially), 서로 분리된다(decoupled). 이러한 플러그-인 커넥터는 힘-증폭 슬라이더에 의해 클램핑 슬리브 메커니즘이 작동될 수 있는 독일 특허 DE 10 2008 012 925 B4에서 이미 논의되었다.
DE 10 2005 040 952 A1 및 DE 10 2008 012 925 B4에서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소위, 제로-힘 플러그 커넥터를 사용해야만 한다. 하지만, 제로-힘 플러그 커넥터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클램핑 메커니즘으로 인해, 상당히 비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될 수 있는 밀봉력과 접촉력을 형성하여, 특히 간단하고 비용-효율적인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되는데, 본 발명은, 제2 플러그 접촉 요소가 접촉 지지 인서트에 대해 정지상태로 배열되고,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는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래칭 연결될 수 있으며(latched), 접촉 지지 인서트에 대해 힘-증폭 수단의 회전 또는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보호 하우징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밀봉부의 압축은 오직 전기 플러그 접촉 요소들이 결합되고 난 후에만 구현되는데, 이러한 전기 플러그 접촉 요소들은 제로-힘 플러그 커넥터와 같이 제작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비용-효율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는 연결되어야 하는 전기 플러그 접촉 요소의 개수가 너무 크지 않을 때 구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일 특허 DE 10 2008 012 925 B4에 기술된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접촉 지지 인서트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이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 견고하게 연결되고 보호 하우징이 조립체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고정되고 난 뒤에, 연결된다. 따라서, 보호 하우징은 힘-증폭 수단이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이동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 보호 하우징 사이에 배열된 밀봉부는 함께 압축된다.
여기서, 밀봉부는 축방향 압축(axial compression)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 방향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넓어지고,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벽에 대해 압축되며, 습기가 침투하지 않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밀봉이 구현된다.
피벗회전 레버로서 구성될 수 있는 힘-증폭 수단을 통해, 상대적으로 작은 힘이 제공되어, 밀봉부가 상당하게 압축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대안으로, 이러한 힘-증폭 수단은, DE 10 2008 012 925 B4에 기술된 것과 같이, 가이드 베벨(guide bevel)을 사용하여, 삽입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더(slider)로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보호 하우징에 결합된 가이드 저널(guide journal)이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가이드 베벨에서 이동되는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밑에서,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한 실시예가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조립된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도면;
도 2는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도;
도 3 내지 9는 다양한 조립 단계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개별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2개의 서로 연결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2)을 도시하는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은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에 의해 가려져 있어서, 오직 개별 요소, 가령, 디텐트(13) 및 로킹 후크(18) 만을 볼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세부 사항들은 도 2의 분해도에 예시된다.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는 제1 및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2)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2) 사이에 위치된 밀봉부(11)로 구성되는데, 밀봉부(11)는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안에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과 2에는 전기 플러그 접촉 요소(3, 4)는 도시되지 않지만, 전기 플러그 접촉 요소(3, 4)는 도 3과 4의 단면도에서는 볼 수 있으며 도 5에서는 부분적으로 도시된다. 여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은 전기 접촉 핀(3)을 가지며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은 암의 전기 접촉부(4)를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배열은 단지 대표적인 것이며, 반대로도 배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은 외주방향으로 밀폐된 외측 표면(25)을 가지는데, 디텐트(13)가 상기 외측 표면(25)의 외측면(outer side) 위에 일체형으로 몰딩된다(integrally molded).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의 전방면(front side)은 삽입 구멍(24)을 가진다.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2)과 연결되고 난 뒤, 하우징의 외주 에지(21) 위에 환형 밀봉부(11)가 위치된다.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은 3개의 하우징 부분들로 구성되며 접촉 지지 인서트(6), 보호 하우징(5), 및 피벗회전 레버(7)를 포함한다. 접촉 지지 인서트(6) 위에, 암의 접촉부(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될 수 있는 흡입 구멍(8)이 배열된다. 게다가, 로킹 레버(12)가 접촉 지지 인서트(6) 위에 일체형으로 몰딩되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2)이 디텐트(13)와 연결된 후에,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상에 래칭 연결(latching connection)을 형성한다. 또한, 2개의 서로 정렬된 베어링 핀(16)이 접촉 지지 인서트(16) 위에 일체형으로 몰딩된다.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을 사전조립하기(preassemble) 위하여, 보호 하우징(5)은 접촉 지지 인서트(6) 위에서 슬라이딩되며, 그 후에, 접촉 지지 인서트(6)의 베어링 핀(16)이 보호 하우징(5)의 개구(22)로부터 돌출된다. 그 뒤, 활(bow) 형태의 피벗회전 레버(7)가 베어링 핀(16)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이드웨이(17)가 피벗회전 레버(7)의 측표면(side surface)에 대해 평행하게 일체형으로 몰딩되는데, 일체형으로 몰딩된 안내 핀(15)들이 보호 하우징(5) 위에서 상기 가이드웨이(17) 내에 삽입된다. 피벗회전 레버(7)가 베어링 핀(16) 주위로 피벗회전되면, 안내 핀(15)들은 가이드웨이(17)을 따라 이동하며(move along), 접촉 지지 인서트(6)와 보호 하우징(5)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된다.
환형 밀봉부(11)가 접촉 지지 인서트(6)의 하우징 섀시(housing chassis) 위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며, 그 뒤, 접촉 지지 인서트(6)의 끼워맞춤된 섹션(fitted section)(26)에 의해 정지되며(rest), 밀봉부(11)는 상기 끼워맞춤된 섹션(26)으로의 전이 영역(transition region) 내의 에지(28) 위에서 지지된다.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을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에 연결하기 위하여, 접촉 지지 인서트(6)는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의 삽입 구멍(24)에 삽입된다. 도 5는 상기 조립 단계의 순간 상태를 도시한다. 이 단면도에서, 접촉 지지 인서트(6)가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내에 삽입된 것을 볼 수 있지만, 베이스 플레이트(27)에는 아직 도달하지 않아서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에 속한 플러그 접촉 요소(3)의 한 부분만이 도시된다. 보호 하우징(5)은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의 외측 표면(25)의 한 부분을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의 내측 표면으로 중첩한다(overlap). 상기 밀봉부(11)는 보호 하우징(5)의 내측면 상에서도 볼 수 있다.
제1 및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2)의 결합 단계 동안, 접촉 지지 인서트(6)의 하측 전방 표면은 결국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의 베이스 플레이트(27)에 도달하고, 도 6에 도시된 조립 상태가 구현된다. 상기 단계에서, 접촉 지지 인서트(6)에 연결된 스프링-장착된(spring loaded) 로킹 레버(12)는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의 디텐트(13)에 래칭 연결되고(latch), 이제 접촉 지지 인서트(6)는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 단계 동안, 스프링-장착된 로킹 레버(12)를 피벗회전시키기 위한 작은 을 제외하고는, 제1 및 제2 플러그 접촉 요소(3, 4)의 접촉력(contact force)만이 제공되어야 한다. 플러그 접촉 요소(3, 4)는 도 3 및 4에 연속으로 도시된다. 여기서, 도 3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똑같은 조립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단면도이다.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에 상응하는 플러그 접촉 요소(3)는 도 3에서 접촉 핀들로 도시되며,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에 상응하는 플러그 접촉 요소(4)는, 각각, 커넥터 라인(19)에 연결된 암의 접촉부를 형성한다. 고무 밀봉부(20)가 리셉터클 구멍(8)에서 커넥터 라인(19) 주위에 배열되며, 상기 고무 밀봉부(20)는 접촉 지지 인서트(6)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내에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접촉 지지 인서트(6)가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내에 삽입되면, 밀봉부(11)에는 어떠한 결합력도 제공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상기 결합 단계에서 밀봉부(11)가, 도 5,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히, 도 3에서 명확하게 도시된 것과 같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2)에 의해 압축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밀봉부(11)는 접촉 지지 인서트(6) 위에 배열되고 보호 하우징(5)의 표면 섹션(surface section) 위에 배열되는데, 상기 결합 단계에서, 상기 부분들 사이에서는 어떠한 상대 운동(relative motion)도 발생되지 않아서, 밀봉부(11) 상에 결합력을 생성할 수 있는 어떠한 마찰력도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두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2) 및 밀봉부(11)에 연결된 플러그 접촉 요소가 삽입되고 난 뒤, 밀봉부(11)에는 일정 힘이 제공된다(loading). 이는 피벗회전 레버(7)를 뒤로 기울임으로써(tilting back) 구현되는데, 이들은 도 7 내지 9에서 상이한 지점들이 순서대로 도시된다.
보호 하우징(5)은 피벗회전 레버(7)의 가이드웨이(17)에서 보호 하우징(5)에 일체형으로 몰딩된 안내 핀(15)들의 운동에 의해 접촉 지지 인서트(6)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된다. 디텐트(13)와 로킹 레버(12)에 의해, 접촉 지지 인서트(6)를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에 고정되기 때문에, 보호 하우징(5)은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에 의해 슬라이딩 되며, 밀봉부(11)는 축방향으로 압축되는데, 이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2)의 연결 방향으로는 압축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와 동시에, 축방향 압축되면 밀봉부(11)의 반경방향 오프셋(radial offset)이 형성되며, 밀봉부(11)는 두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2)의 내측 하우징 벽(9, 10)에 대해 견고하게 압축된다(pressed firmly).
이는 도 4에서 특히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도 3과 비교해 보면, 보호 하우징(5)은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밀봉부(11)는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의 하우징 캡(housing cap)에 대향하여 배열되고(lie against), 보호 하우징(5)의 하나 이상의 내측 하우징 벽(9)과 접촉 지지 인서트(6)의 하나 이상의 외측 하우징 벽(10)에는 압력이 제공된다.
피벗회전 레버(7)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된 작동력(actuation force)은, 우수한 밀봉력을 구현하기 위하여, 힘-증폭 효과(force-amplifying effect)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압력으로 변환되어 밀봉부(11)에 제공된다. 게다가, 상기 경로(path)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2)과 결합되는 공정들로부터 분리되어(decoupled) 플러그 접촉력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벗회전 레버(7)가 뒤로 기울어진 후에, 피벗회전 레버(7)의 작동 섹션(actuating section)(14)은 로킹 후크(18)에 타이트하게 고정되고, 밀봉부(11)에 제공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2)의 힘 영향(force influence)은 피벗회전 레버 운동을 통해 변경되지 않는다.
도 7 내지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호 하우징(5)에 속한 칼라(29)가 내측면(inner side)에 사출성형된 돌출부(30)를 가지며, 도 9에 도시된 보호 하우징(5)의 최종 위치에서, 상기 칼라(29)는 디텐트(13)와 로킹 레버(12) 사이의 래칭 연결이 의도치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접경 영역(A) 참조). 이와 동시에, 로킹 후크(18)와 결합된 피벗회전 레버(7)의 작동 섹션(14)은 로킹 레버(12)의 핸들 섹션(31)을 차단한다(block)(접경 영역(B) 참조). 이렇게 2중의 로킹 레버(12)의 로킹 작용에 의해, 플러그-인 커넥터(plug-in connector)가 의도치 않게 릴리스되는(release) 것이 안전하게 방지된다.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2)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로킹 후크(18)는, 우선, 피벗회전 레버(7)의 작동 섹션(14)으로부터 릴리스되어야 한다. 피벗회전 레버(7)를 뒤로 선회운동시켜서(swing back) 보호 하우징(5)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난 후에야, 돌출부(30)는 디텐트(13)와 로킹 레버(12)로 구성된 래칭 연결을 릴리스 하는데, 이는 로킹 레버(12)의 핸들 섹션(31)에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triggered).
1 :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2 :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3 : 제1 플러그 접촉 요소 4 : 제2 플러그 접촉 요소
5 : 보호 하우징 6 : 접촉 지지 인서트
7 : 피벗회전 레버(힘-증폭 수단) 8 : 리셉터클 구멍
9 : 하우징 벽 10: 하우징 벽
11: 밀봉부 12: 로킹 레버
13: 디텐트 14: 작동 섹션
15: 안내 핀 16: 베어링 핀
17: 가이드웨이 18: 로킹 후크
19: 커넥터 라인 20: 고무 밀봉부
21: 하우징 캡 22: 개구
23: 개구 24: 삽입 구멍
25: 외측 표면 26: 섹션
27: 베이스 플레이트 28: 에지
29: 칼라 30: 돌출부
31: 핸들 섹션
A, B: 영역

Claims (12)

  1. 제1 플러그 접촉 요소(3)가 배열되는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을 포함하고,
    보호 하우징(5), 제2 플러그 접촉 요소(4)가 고정된 상태로 배열되는 접촉 지지 인서트(6) 및,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에 대해 피벗 회전하기 위해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와 피벗 회전하도록 연결되고 활 형태를 가진 피벗 회전 레버(7)를 포함하는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하우징(5)과 접촉 지지 인서트(6)는 서로에 대해 이동하며,
    상기 보호 하우징(5)위에 안내 핀(15)이 배열되고, 상기 피벗 회전 레버(7)에 대해 가이드웨이(17)가 일체로 몰딩되며, 상기 안내 핀(15)이 상기 가이드웨이(17)내에 수용되고, 상기 피벗 회전 레버(7)가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에 대해 피벗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안내 핀(15)은 상기 가이드웨이(17)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보호 하우징(5)이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에 대해 이동하며,
    밀봉부(11)를 포함하고,
    서로 결합된 제1 플러그 접촉 요소(3)와 제2 플러그 접촉 요소(4)에 의해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가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에 연결될 때, 상기 보호 하우징(5)과 접촉 지지 인서트(6)는 서로 이동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피벗회전 레버(7)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피벗 회전 레버(7)가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에 대해 피벗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보호 하우징(5)은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을 향하며 접촉 지지 인서트(6)에 대해 이동하여 상기 밀봉부(11)는 상기 보호 하우징(5),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 및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가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과 연결될 때 상기 제1 및 제2 플러그 접촉요소(3,4)들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는 로킹 레버(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은 디텐트(13)를 포함하며,
    상기 디텐트(13)에 연결된 로킹 레버(12)에 의해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는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하우징(5)은 한 개이상의 하우징 벽(9)을 가지고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는 한 개이상의 하우징 벽(10)을 가지며,
    상기 밀봉부(11)는 상기 보호 하우징(5)과 접촉 지지 인서트(6)의 하우징 벽(9,10)들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가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과 연결되고 상기 보호 하우징(5)이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을 향하여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에 대해 이동할 때 상기 밀봉부(11)는 상기 보호 하우징(5)과 접촉 지지 인서트(6)의 하우징 벽(9,10)들 및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6. 제1 플러그 접촉 요소(3)가 배열되는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을 포함하고,
    보호 하우징(5), 제2 플러그 접촉 요소(4)가 고정된 상태로 배열되는 접촉 지지 인서트(6) 및, 힘-증폭 수단을 포함하는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하우징(5)과 접촉 지지 인서트(6)는 서로에 대해 이동하며,
    상기 보호 하우징(5)은 한 개이상의 하우징 벽(9)을 가지고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는 한 개이상의 하우징 벽(10)을 가지고,
    상기 보호 하우징(5)과 접촉 지지 인서트(6)의 상기 하우징 벽(9,10)들의 섹션들사이에 배열된 밀봉부(11)를 포함하며,
    서로 결합된 제1 플러그 접촉 요소(3)와 제2 플러그 접촉 요소(4)에 의해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가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에 연결될 때, 상기 힘- 증폭 수단이 작동하는 동안 상기 보호 하우징(5)은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을 향하여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에 대해 이동하여 상기 보호 하우징(5),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 및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사이에서 상기 밀봉부(11)를 압축하고,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가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과 연결되고 상기 보호 하우징(5)이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을 향하며 접촉 지지 인서트(6)에 대해 이동할 때 상기 밀봉부(11)는 상기 보호 하우징(5)과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의 하우징 벽들 및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사이에서 압축되며,
    상기 보호 하우징(5)이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을 향하며 접촉 지지 인서트(6)에 대해 이동할 때 상기 밀봉부(11)는 축 방향으로 압축되어 반경방향으로 넓어지고 상기 보호 하우징(5)과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의 하우징 벽들에 대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힘-증폭 수단의 작동은 상기 힘- 증폭 수단의 회전작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8. 제1 플러그 접촉 요소(3)가 배열되는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을 포함하고,
    제2 플러그 접촉 요소(4)가 고정된 상태로 배열되는 흡입구멍(8)을 가진 접촉 지지 인서트(6),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상에서 연장되는 보호 하우징(5) 및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에 대해 피벗 회전하도록 연결되고 활 형태를 가진 피벗 회전 레버(7)를 포함하는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하우징(5)과 접촉 지지 인서트(6)는 서로에 대해 이동하며,
    상기 보호 하우징(5)은 한 개이상의 하우징 벽(9)을 가지며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는 한 개이상의 하우징 벽(10)을 가지고,
    접촉 지지 인서트(6)의 일부분 주위에서 연장되며 상기 보호 하우징(5)과 접촉 지지 인서트(6)의 하우징 벽(9,10)들사이에 배열된 밀봉부(11)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가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속으로 삽입되고 서로 결합된 제1 및 제2 플러그 접촉 요소(3,4)들에 의해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과 연결되며 상기 피벗 회전 레버(7)가 피벗회전하는 동안 상기 보호 하우징(5)은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위에서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을 향해 추가로 이동하여 상기 밀봉부(11)를 상기 보호 하우징(5), 접촉 지지 인서트(6) 및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사이에서 압축하고,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가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과 연결되고 상기 보호 하우징(5)이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을 향하여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에 대해 이동할 때 상기 밀봉부(11)는 상기 보호 하우징(5)과 접촉 지지 인서트(6)의 하우징 벽(9,10)들 및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사이에서 압축되며,
    상기 보호 하우징(5)이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을 향하여 접촉 지지 인서트(6)상에서 추가로 이동할 때 상기 밀봉부(11)는 축 방향으로 압축되어 반경 방향으로 넓어지고 상기 보호 하우징(5)과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의 하우징 벽들에 대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가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과 연결될 때 상기 제1 및 제2 플러그 접촉요소(3,4)들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는 로킹 레버(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은 디텐트(13)를 포함하며,
    상기 디텐트(13)에 연결된 로킹 레버(12)에 의해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는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하우징(5)은 안내 핀(15)을 포함하고 상기 피벗 회전 레버(7)는 가이드웨이(17)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하우징(5)의 안내핀(15)이 상기 피벗 회전 레버(7)의 가이드웨이(17)내에 수용되고,
    상기 피벗회전 레버(7)가 피벗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안내핀(15)이 상기 가이드웨이(17)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보호 하우징(5)은 상기 접촉 지지 인서트(6)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접촉요소(3)는 수 및 암의 전기 접촉부들 중 하나이고, 제2 플러그 접촉요소(4)는 수 및 암의 전기 접촉부들 중 다른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KR1020167019518A 2013-12-20 2014-12-18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KR101819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022011.4A DE102013022011A1 (de) 2013-12-20 2013-12-20 Steckverbinderanordnung
DE102013022011.4 2013-12-20
PCT/EP2014/078482 WO2015091809A1 (de) 2013-12-20 2014-12-18 Steckverbinder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116A KR20160101116A (ko) 2016-08-24
KR101819845B1 true KR101819845B1 (ko) 2018-01-17

Family

ID=52146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518A KR101819845B1 (ko) 2013-12-20 2014-12-18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692179B2 (ko)
EP (1) EP3084896B1 (ko)
JP (1) JP6282351B2 (ko)
KR (1) KR101819845B1 (ko)
CN (1) CN105830285B (ko)
DE (1) DE102013022011A1 (ko)
ES (1) ES2688467T3 (ko)
MX (1) MX361956B (ko)
WO (1) WO2015091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5529B2 (ja) * 2015-05-26 2019-07-17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DE202017102334U1 (de) * 2016-08-25 2017-11-29 Alfred Von Schuckmann Vorrichtung zum Inhalieren pulverförmiger Substanzen
JP6920164B2 (ja) * 2017-10-05 2021-08-1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KR20200095867A (ko) * 2019-02-01 2020-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13708153B (zh) * 2021-09-08 2024-04-12 张贻涛 一种大电流插头插座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96402A (en) * 1982-04-14 1985-11-05 Amp Incorporated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H667164A5 (de) * 1985-03-06 1988-09-15 Sulzer Ag Bajonettartige 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hohlzylindrischer teile.
JPH0326065A (ja) * 1989-06-22 1991-02-04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
JPH0326065U (ko) * 1989-07-21 1991-03-18
US4944688A (en) * 1989-09-25 1990-07-31 Amp Incorporated Programmable sealed connector
DE20013285U1 (de) * 2000-08-02 2001-12-13 Bosch Gmbh Robert Mehrpolige elektrische Steckvorrichtung
JP3493628B2 (ja) 2001-01-18 2004-02-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2005222816A (ja) * 2004-02-05 2005-08-18 Jst Mfg Co Ltd 防水コネクタ
SG127773A1 (en) * 2005-06-01 2006-12-29 Mea Technologies Pte Ltd Waterproof connector
DE102005040970A1 (de) * 2005-08-30 2007-03-08 Kostal Kontakt Systeme Gmbh Elektrisches Steckverbinderteil
DE102005040952A1 (de) 2005-08-30 2007-03-08 Kostal Kontakt Systeme Gmbh Elektrischer Nullkraftsteckverbinder
JP4622930B2 (ja) * 2006-04-20 2011-02-02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DE102006058680A1 (de) * 2006-12-13 2008-06-19 Kostal Kontakt Systeme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02008012925B4 (de) 2008-03-06 2012-11-29 Kostal Kontakt Systeme Gmbh Elektrischer Nullkraftsteckverb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6008056A (es) 2017-02-27
EP3084896B1 (de) 2018-07-04
US20170025790A1 (en) 2017-01-26
KR20160101116A (ko) 2016-08-24
CN105830285B (zh) 2018-06-01
DE102013022011A1 (de) 2015-06-25
MX361956B (es) 2018-12-19
JP6282351B2 (ja) 2018-02-21
WO2015091809A1 (de) 2015-06-25
JP2017500707A (ja) 2017-01-05
CN105830285A (zh) 2016-08-03
EP3084896A1 (de) 2016-10-26
ES2688467T3 (es) 2018-11-02
US9692179B2 (en)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845B1 (ko)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CN107863649B (zh) 杆式连接器
JP5423233B2 (ja) コネクタ
JP4510086B2 (ja) 結合装置
JP4986970B2 (ja) コネクタ
US7922504B2 (en) Lever-type connector
US10164371B2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er for terminal
JP2007149420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7386523B2 (ja) コネクタロック機構
JP7183264B2 (ja) 電気的接続部を接続しかつ接続を切るための装置
US7104819B2 (en) Connector with easily mountable and efficiently operable lever
US9570829B2 (en) Plug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CN111328436A (zh) 电气的列车连接装置
JP3938669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824636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housing movable relative to a carrier and a lever latching on the housing with a latching sound
JP202002778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11165200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with closing aid
WO2016060131A1 (ja) コネクタ
JP6875599B2 (ja) 係止要素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部品
KR20130127501A (ko) 커넥터
KR100978778B1 (ko) 분리 방지용 콘넥터
JP5631126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2009104945A (ja) ロ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
WO2023171283A1 (ja) コネクタ
JP714595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