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817B1 - 어류의 기생충 구제제 및 구제 방법 - Google Patents

어류의 기생충 구제제 및 구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817B1
KR101817817B1 KR1020137001778A KR20137001778A KR101817817B1 KR 101817817 B1 KR101817817 B1 KR 101817817B1 KR 1020137001778 A KR1020137001778 A KR 1020137001778A KR 20137001778 A KR20137001778 A KR 20137001778A KR 101817817 B1 KR101817817 B1 KR 101817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test
agent
parasite
parasi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1130A (ko
Inventor
노리타카 히라자와
후미 가와노
가즈오 가와카미
사토시 하세가와
나오미 가츠마타
Original Assignee
닛폰 스이산 가부시키가이샤
교리츠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스이산 가부시키가이샤, 교리츠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스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0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61K31/609Amides, e.g. salicylam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10Anthelmin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어류에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기생충 구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생충 구제 방법은 특히 단생충 또는 흡충에 속하는 기생충에 유효하다.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로는, 옥시클로자니드, 라폭사니드 또는 클로산텔이 바람직하다. 농어목, 가자미목, 복어목, 잉어목, 뱀장어목, 메기목의 어류에 유효하다.

Description

어류의 기생충 구제제 및 구제 방법 {FISH PARASITE EXTERMINATION AGENT AND EXTERMINATION METHOD}
본 발명은 어류 (특히, 양식어) 의 기생충의 구제제 및 기생충 구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피부 기생충, 아가미 기생충으로 불리는 단생충 및 흡충의 기생을 경구 투여에 의해 구제하는 약제 및 구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류 양식에 있어서 기생충증은 안정적인 생산의 방해가 되기 때문에, 매우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기생충증 중에서도 특히 편형 동물문 단생강에 속하는 단생충이나 편형 동물문 흡충강에 속하는 흡충 감염증은 많은 양식어에서 발생하여 가장 큰 문제의 하나로 여겨지는 감염증이다. 단생충에서는 일반적으로 피부 기생충으로 불리고 있는 것과 아가미 기생충으로 불리고 있는 것이 있다. 피부 기생충으로 불리고 있는 기생충은, 단후 (單後) 흡반류 카프사라과 네오베네데니아 (Neobenedenia girellae) 나 베네데니아 (Benedenia seriolae) 등이고, 잿방어, 방어, 부시리, 긴지느러미 잿방어 등의 방어류나, 흑점줄 전갱이, 농어, 참돔, 옐로우탱, 붉바리, 자바리, 넙치, 자주복, 날새기 등 많은 어종에 기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기생충이 발생한 현장에서의 증상으로는, 복부의 표피 발적이나 지느러미의 벗겨짐, 안구의 백탁 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폐사 외에, 다량의 기생을 받은 물고기에서는, 점액의 대량 분비에 의해 체표가 백탁되어 보이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생갈대망에 몸을 비비는 이상 (異常) 유영이 빈번하게 보여지는 경우도 있다. 생갈대망 등에 몸을 비비기 때문에 증상이 악화되어, 기생 부위로부터 병원균의 감염 기회가 증가하기 때문에, 피해가 확대되는 경우도 있다. 본충 (本蟲) 의 기생이 확인된 경우에는, 수온에 주의하면서 1∼3 분간 정도의 담수욕 혹은 과산화수소수욕을 실시함으로써 구충할 수 있다. 그러나, 물고기의 장소 이동 등 처리에 요하는 노동력 및 물고기에게 주는 스트레스가 크기 때문에, 경구 투여할 수 있는 약제에 의한 치료가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아가미 기생충으로 불리고 있는 단생충은 방어류에 기생하는 편형 동물문 다후 흡반류 헤테라키시네과 헤테라키시네 (Heteraxine heterocerca), 제우크사프타 (Zeuxapta japonica), 참돔에 기생하는 동 미크로코치레과 비바기나 (Bivagina tai), 조피볼락에 기생하는 동 미크로코치레과 미크로코치레 (Microcotyle sebastis), 쏨뱅이에 기생하는 동과 미크로코치레 (Microcotyle sebastisci), 자주복에 기생하는 동 디크리드포라과 헤테로보트륨 (Heterobothrium okamotoi), 넙치에 기생하는 동과 네오헤테로보트륨 (Neoheterobothrium hirame), 잉어나 금붕어에 기생하는 단후 흡반류 닥티로자이루스과 닥티로자이루스 (Dactylogyrus extensus, Dactylogyrus vastator), 뱀장어에 기생하는 동과 슈드 닥티로자이루스 (Pseudodactylogyrus bine, Pseudodactylogyrus anguillae) 등이다. 또, 그 밖의 단생충으로 양식상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단후 흡반류 지로닥티루스과에 속하는 지로닥티루스 (Gyrodactylus) 가 있어, 많은 어류로부터 500 을 초과하는 종이 확인되고 있다. 현장에서의 증상으로는, 아가미의 퇴색, 물고기의 빈혈, 비만도의 저하 등을 들 수 있다. 또, 생갈대망에 몸을 비비는 이상 유영이 빈번하게 보여지는 경우도 있다. 생갈대망 등에 몸을 비비므로 체표의 마찰 부위로부터 병원균의 감염 기회가 증가하기 때문에, 피해가 확대되는 경우도 있다. 본충의 기생이 확인된 경우에는, 수온에 주의하면서 3 분간 정도의 과산화수소수욕을 실시함으로써 구충할 수 있다. 그러나, 물고기의 장소 이동 등 처리에 요하는 노동력 및 물고기에게 주는 스트레스가 크기 때문에, 경구 투여할 수 있는 약제에 의한 치료가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흡충은 잿방어에 기생하는 생귀니콜라과 파라데온타실릭스 (Paradeontacylix grandispinus, Paradeontacylix kampachi), 다랑어속의 물고기에 기생하는 카르디콜라 (Cardicola sp .) 등이 있다. 잿방어 이외의 방어류에도 생귀니콜라과라고 생각되는 흡충이 기생하지만 미동정이다. 흡충은 혈관 내에 기생한다. 현장에서의 증상으로는, 혈행 장해에 의한 산소 결핍을 들 수 있다. 본충의 구충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아, 물고기가 산소 결핍이 되기 쉽기 때문에 먹이를 주는 것을 삼가하거나, 선별을 삼가하는 등, 본충이 수명에 의해 죽을 때까지 기다리는 것 이외의 대처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약제에 의한 치료가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피부 기생충에 경구 투여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약제로는, 일반명 프라지콴텔 (이소퀴놀린·피라진 유도체) 이 농어목 어류의 체표에 기생하는 피부 기생충의 구제용으로 바이엘 메디칼 주식회사와 쿄와 발효 공업 주식회사로부터 판매되고 있다. 아가미 기생충에 경구 투여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약제로는, 일반명 페반텔 (벤즈이미다졸 화합물) 이 복어목 어류의 아가미에 기생하는 헤테로보트륨의 구제용으로 메이지 제과 주식회사로부터 판매되고 있다. 이들은 양식어용의 사료에 혼합하여 투여하여 사용된다.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는, 가축용 약제로서, 내 (內) 기생 생물 (특히, Fasciola hepatica, 및 선충 (예를 들어, Haemonchus 종)) 의 제어를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살리실아닐리드옥시클로자니드 (옥시클로자니드) 는 소의 장으로 이동하고 있는 성체 간장 흡충류 (Fasciola hepatica) 및 미성숙 Paramphistone, 그리고 유위 및 제 2 위에 있어서의 어린 흡충류에 대해 유효하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옥시클로자니드 (옥시클로자니드) 는 물에 매우 불용성이므로 동물에 대해서는 수성 현탁 처방물로서 경구 투여된다.
비특허문헌 1 에는, 옥시클로자니드가 어류에 기생하는 원충 스쿠티카 (Philasterides dicentrarchi) 에 대해 구충 효과가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단순히, 옥시클로자니드를 용해시킨 해수에서 배양하여 효과 판정된 것으로, 실제로 어류에 기생한 원충에 대해 효과를 본 것은 아니다.
특허문헌 1 에는, 옥시클로자니드를 가축의 간 흡충에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그 밖의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를 동물의 간 흡충에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에는, 그 밖의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를 온혈 동물의 흡충, 선충에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4 에는, 비치오놀을 어류의 기생충 구제에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3976784호 미국 특허 제3914418호 미국 특허 제3927071호 국제 공개 WO2008/013235
본 발명은 어류 (특히, 양식어) 에 있어서의 단생충 및 흡충의 경구 투여 약제에 의한 구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발명자들은 잿방어, 마래미 등의 방어류의 양식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는 단생충이나 흡충에 유효한 경구 투여 약제를 찾아, 기존의 동물용 각종 항기생충약이나 천연물 유래 물질 등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동물용 항흡충약으로서 판매되고 있는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에 효과가 확인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은 이하의 (1)∼(4) 의 어류의 기생충 구제제를 요지로 한다.
(1)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어류의 기생충 구제제.
(2) 기생충이 단생충 또는 흡충에 속하는 기생충인 (1) 에 기재된 기생충 구제제.
(3)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가 옥시클로자니드, 라폭사니드 또는 클로산텔인 (1) 또는 (2) 에 기재된 기생충 구제제.
(4) 어류가 농어목, 가자미목, 복어목, 청어목, 뱀장어목, 잉어목, 또는 메기목의 어류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생충 구제제.
또, 본 발명은 (5)∼(9) 의 기생충 구제 방법을 요지로 한다.
(5) 어류에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기생충 구제 방법.
(6) 기생충이 단생충 또는 흡충에 속하는 기생충인 (5) 에 기재된 기생충 구제 방법.
(7)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가 옥시클로자니드, 라폭사니드 또는 클로산텔인 (5) 또는 (6) 에 기재된 기생충 구제 방법.
(8) 어류가 농어목, 가자미목, 청어목, 복어목, 잉어목, 뱀장어목, 또는 메기목의 어류인 (5)∼(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생충 구제 방법.
(9) 1 일당,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를 1∼1000 ㎎/㎏ 어체중 (魚體重) 경구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생충 구제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양식어, 특히 잿방어, 마래미 등의 방어류나 다랑어류의 양식어에 기생하여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는 단생충 및 흡충을 경구 투여에 의해 효과적으로 구제할 수 있다.
도 1 은 옥시클로자니드 100 ㎎ 투여의 4 시간 후부터 사육 수중에 관찰된 숙주로부터 탈락된 네오베네데니아 성충 (좌측) 및 정상적인 성충 (우측) 의 사진이다. 정상적인 성충과 비교하여, 탈락된 성충에서는 몸 전체의 위축 및 고착반의 위축이 확인되었다.
도 2 는 실시예 6 에 있어서, 옥시클로자니드 투여에 의해 탈락된 기생충 제우크사프타·야포니카 (좌측) 및 대조어구의 제우크사프타·야포니카 (우측) 의 사진이다. 대조어구의 것과 비교하여, 탈락된 것은 몸의 일부의 위축 및 흡착반의 위축이 확인되었다.
도 3 은 실시예 8 에 있어서, 옥시클로자니드 용액에 의해 위축된 제우크사프타·야포니카, 닥티로자이루스 sp. 의 사진이다. 시험 개시 10 분 후의 옥시클로자니드 5 ppm 처리구의 사진 (좌측 상단) 에 있어서, 닥티로자이루스 sp. 는 순식간에 아가미로부터 탈락되어 위축되어 운동이 정지되었다. 시험 개시 10 분 후의 옥시클로자니드 1 ppm 처리구의 사진 (좌측 하단) 에 있어서 닥티로자이루스 sp. 는 몸 전체가 위축되어 있고, 시험 개시 5∼10 분 후에 아가미 상에서 위축되어, 시험 개시 15 분 후에 운동을 정지하였다. 시험 개시 60 분 후의 대조구의 닥티로자이루스 sp. 는 신축을 반복하였다 (우측 상단, 우측 하단).
도 4 는 실시예 8 에 있어서, 옥시클로자니드 용액에 의해 위축된 카르디콜라 sp. 의 사진이다. 시험 개시 5 분 후의 옥시클로자니드 5 ppm 처리구의 사진 (좌측) 에 있어서, 카르디콜라 sp. 는 순식간에 위축되어 운동이 정지되었다. 시험 개시 10 분 후의 대조구의 카르디콜라 sp. 는 신축을 반복하였다 (우측).
도 5 는 실시예 8 에 있어서, 옥시클로자니드 용액에 의해 탈락된 칼리구스 sp. 의 사진이다. 시험 개시 60 분 후의 옥시클로자니드 1 ppm 처리구의 사진 (좌측) 에 있어서, 칼리구스 sp. 는 아가미활로부터 탈락되어 운동이 정지되었다. 시험 개시 60 분 후의 대조구의 칼리구스 sp. 는 아가미활에 기생한 상태를 유지하여 운동을 반복하였다 (우측).
본 발명에 있어서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란, 살리실아닐리드를 기본 골격으로서 갖는 약제로서, 브로목사니드 (bromoxanide), 브로티아니드 (brotianide), 클리옥사나이드, 클로산텔 (closantel, 5'-클로로-4'-(4-클로로-α-시아노벤질)-3,5-디요오도살리실-o-톨루이디드), 옥시클로자니드 (oxyclozanide, 3,3',5,5',6-펜타클로로-2'-하이드록시살리실아닐리드), 라폭사니드 (rafoxanide, 3'-클로로-4'-(4-클로로페녹시)-3,5-디요오도살리실아닐리드), 니클로사미드 (niclosamide, 2',5-디클로로-4'-니트로살리실아닐리드) 및 디브로모살란 및 트리브로모살란 (tribromosalan) 등이 예시된다.
옥시클로자니드는 화학명 2,3,5-트리클로로-N-(3,5-디클로로-2-하이드록시 페닐)-6-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별명 자니록스, 사우실아닐리드 등으로도 불리는 화합물이다. 유럽 등에서 소, 양 등의 흡충약으로서 판매되고 있다.
본 발명의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의 항기생충 효과가 인정되는 기생충으로는, 어류의 편형 동물문 단생강에 속하는 단생충 (일반적으로 피부 기생충이나 아가미 기생충으로 불린다) 이나 편형 동물문 흡충강에 속하는 흡충 등을 들 수 있다. 피부 기생충으로 불리는 기생충은 단생충류 베네데니아 아과 등의 해수어에 기생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베네데니아 아과로는, 예를 들어 베네데니아·세리올레 (Benedenia seriolae), 베네데니아·에피네펠리 (Benedenia epinepheli), 베네데니아·호시나이 (benedeniahoshinai), 베네데니아·세키이 (Benedenia sekii) 등의 베네데니아 (Benedenia) 및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 (Neobenedeniagirellae), 네오베네데니아·콘게리 (Neobenedenia congeri) 등의 네오베네데니아 (Neobenedenia) 를 들 수 있다. 아가미 기생충으로 불리고 있는 단생충은 다후 흡반류에 속하는 헤테라키시네과 헤테라키시네 (Heteraxine heterocerca), 제우크사프타 (Zeuxaptajaponica), 미크로코치레과 비바기나 (Bivagina tai), 미크로코치레 (Microcotylesebastis, Microcotyle sebastisci), 디크리드포라과 헤테로보트륨 (Heterobothriumokamotoi), 네오헤테로보트륨 (Neoheterobothrium hirame), 단후 흡반류 닥티로자이루스과 닥티로자이루스 (Dactylogyrusextensus, Dactylogyrus vastator), 슈드닥티로자이루스 (Pseudodactylogyrusbine, Pseudodactylogyrus anguillae) 등이다. 또, 그 밖의 단생충에서 양식상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단후 흡반류 지로닥티루스과에 속하는 지로닥티루스 (Gyrodactylus) 를 들 수 있다. 흡충은 생귀니콜라과 파라데온타실릭스 (Paradeontacylixgrandispinus, Paradeontacylix kampachi), 카르디콜라 (Cardicola sp .)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네오베네데니아, 베네데니아 등에 유효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류에는, 해산어, 담수어의 어느 어종도 포함된다. 실용상으로는 기생충을 구제할 필요가 발생하는 양식어나 관상어로서 취급되고 있는 어종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산업상 중요한 것은 양식어로, 예를 들어, 복어목 복어과의 자주복, 농어목 바리과의 바리, 농어목 시클리드과의 틸라피아, 메기목 메기과 혹은 잉어목 메기과의 메기 등, 피부 기생충이나 아가미 기생충, 흡충 등의 어류 기생충의 기생이 알려져 있는 어종, 혹은 어류 기생충의 기생의 가능성이 있는 어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약제를 예방적 혹은 치료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어종에는, 담수 및 해수 중에서 생존하고 있는 모든 연령의 양식어, 수족관이나 상업의 감상어가 포함된다. 특히, 양식어에서는, 농어목, 가자미목, 복어목, 청어목, 뱀장어목, 잉어목, 메기목의 어류이며, 방어류, 바리류, 도미류, 넙치류, 복어류, 연어류, 뱀장어류, 잉어류, 메기류의 물고기이다. 구체적으로는, 잿방어, 긴지느러미 잿방어, 방어 (마래미), 부시리, 전갱이, 흑점줄 전갱이, 고등어, 농어, 참돔, 돌돔, 강담돔, 틸라피아, 날새기, 붉바리, 자바리, 능성어, 갈색 둥근바리, 흉기 흑점바리, 험프백 그루퍼, 무늬바리, 대왕바리, 쏨뱅이, 참다랑어, 남방 참다랑어, 눈다랑어, 황다랑어, 날개다랑어, 넙치, 노랑 가자미, 범가자미, 터봇, 핼리벗, 자주복, 쥐치, 옐로우탱, 말쥐치, 무지개 송어, 대서양 연어, 은연어, 홍연어, 은어, 일본 뱀장어, 유럽 뱀장어, 잉어, 얼룩 메기, 사바히 (Milkfish) 등이 예시된다. 특히 잿방어, 방어, 바리류, 날새기, 스내퍼, 배러먼디, 틸라피아, 농어 등에서 피부 기생충의 피해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생충 구제제는 경구 투여에 의해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또, 약제를 용해시킨 액에 물고기를 담그는 약욕 (藥浴) 에 의한 투여나 주사에 의한 투여도 가능하다.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를 기생충 구제를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의 투여량은, 예를 들어, 어느 물고기에 있어서도 1 일당 어체중 1 ㎏ 에 대해 1 ㎎∼1 g, 바람직하게는 50∼200 ㎎ 의 범위에서 경구 투여한다. 경구 투여인 경우의 투여량의 하한으로는, 예를 들어, 1 일당 어체중 1 ㎏ 에 대해 1 ㎎, 5 ㎎, 10 ㎎, 25 ㎎, 50 ㎎, 75 ㎎, 100 ㎎ 등을 들 수 있다. 경구 투여인 경우의 투여량의 상한으로는, 예를 들어, 1 일당 어체중 1 ㎏ 에 대해 1000 ㎎, 750 ㎎, 500 ㎎, 400 ㎎, 및 300 ㎎ 등을 들 수 있다. 투여 기간은 1∼10 일간, 바람직하게는 1∼3 일간으로 한다.
또, 사육수 (飼育水) 에 구제제를 용해시키고, 이것에 어체를 침지시켜, 직접 접촉시킬 수도 있고, 그 경우, 유효 성분의 농도가 0.5∼500 ppm, 바람직하게는 0.5∼10 ppm 이 되도록 용해시킨 사육수에, 대상어를 1 분간∼1 일간, 바람직하게는 30 분간∼6시간 침지시킨다. 주사의 경우에는, 1 회에 0.01∼100 ㎎/㎏, 바람직하게는 0.5∼10 ㎎/㎏ 을 투여한다. 또한, 이 경우의 투여 기간은 1∼6 일간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기생충 구제제는, 유효 성분인 상기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외에, 필요에 따라 다른 물질, 예를 들어 담체, 안정제, 용매, 부형제, 희석제등의 보조적 성분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형태도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등, 통상 이들 화합물에 사용되고 있는 형태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화합물의 맛이나 냄새에 민감한 물고기인 경우에는, 코팅 등의 방법에 의해, 사료의 기호성의 저하를 방지하고, 화합물이 잘 누출되기 않도록 할 수 있다.
어류의 경우, 경구 투여의 약제는 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본 발명의 기생충 구제제를 사료에 첨가하는 경우, 각각의 어종용에 필요로 하는 영양 성분이나 물성이 고려된 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어분, 조강 (糟糠) 류, 전분, 미네랄, 비타민, 어유 등을 혼합하여 펠릿상으로 한 것, 혹은, 정어리 등의 냉동어와 어분에 비타민 등을 첨가한 분말 사료 (매시) 를 혼합하여 펠릿상으로 한 것 등이 사용되고 있다. 물고기의 종류, 사이즈에 따라, 1 일의 섭이량은 거의 정해져 있으므로, 상기의 용법 용량이 되도록 환산한 양의 본 기생충 구제제를 사료에 첨가한다. 본 기생충 구제는 1 일량을 1 회로 투여해도 되고, 수 회로 나누어 투여해도 상관없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피부 기생충 (네오베네데니아, Neobenedenia girellae) 은 범가자미를 숙주로서 사육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성충으로부터 산란 된 알을 회수하고 배양하여, 얻어진 부화 유생 (幼生) 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옥시클로자니드는 제제화되어 있지 않은 원말 (原末) 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잿방어의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 기생에 대한 옥시클로자니드 경구 투여의 구충 효과-1>
시험 방법:
평균 어체중 약 150 g 의 잿방어 30 마리를 500 리터 수조에서 약 7 일간 사육하고, 25 ℃ 의 수온에 순치 (馴致) 시켰다. 그 동안의 급이 (給餌) 는 시판 사료를 주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3 % 로 하였다. 주수 (注水) 는 4.8 리터/분으로 하였다. 물고기에 대한 본 기생충의 폭로를 시험 개시시 (제 1 회 폭로) 와 개시 4 일째 (제 2 회 폭로) 의 2 회 실시하였다. 본 기생충의 폭로는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 부화 유생 약 6000 개체를 500 리터 수조에 투입하고, 1 시간 지수 (止水) 로 함으로써 실시하였다. 시험 개시 4 일째의 본 기생충 폭로 후, 10 마리씩 200 리터 수조 3 기 (基) 에 수용하였다. 사육 기간 중의 주수는 2.4 리터/분으로 하였다. 시험 개시부터 6 일간은 시판 사료를 급이하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3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7 일째는 약제를 함유하지 않는 모이스트 사료를 급이하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8∼10 일째에 각 구 시험 사료 (모이스트 사료) 를 급이하였다. 시험 사료의 급이율은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11 일째에 시판 사료를 급이하고, 각 구의 식욕을 관찰하였다. 시험 개시 12 일째에 모든 물고기를 샘플링하여, 체표에 기생하고 있는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를 세었다.
시험구:시험 개시 8 일째부터 100 ㎎, 200 ㎎/㎏ 어체중/일로 3 일간 옥시클로자니드를 경구 투여하는 2 구 및 약제 무첨가 사료를 급이하는 대조구 (0 ㎎) 의 합계 3 구를 설정하였다.
시험 사료:소정량의 약제를 첨가한 모이스트 사료를 사용하였다.
효과의 판정:식욕 추이, 기생 수를 비교함으로써 실시하였다.
결과와 고찰
시험 사료 급이 개시시에 기생하고 있는 본충의 크기와 스테이지는 제 1 회 폭로의 것이 2.5 ㎜ 전후의 성충, 제 2 회 폭로의 것이 0.6 ㎜ 전후의 유충이었다. 시험 종료시의 대조구의 본충의 크기는 제 1 회 폭로의 것이 3.80±0.24 ㎜, 제 2 회 폭로의 것이 2.12±0.22 ㎜ 로,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옥시클로자니드 투여구의 섭이 활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동등하여, 본 제를 첨가한 사료는 물고기의 식욕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기생 수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옥시클로자니드 100 ㎎ 투여구의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 기생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적어 (P<0.01, t-검정), 그 구충률은 유충에서 78 %, 성충에서 90 % 였다. 또한 200 ㎎ 투여구에서는 본충의 기생은 확인되지 않아, 구충률은 100 % 였다. 또, 투여 4 시간 후부터 사육 배수 중에 위축된 본충이 다수 관찰되었다 (도 1).
이상의 결과로부터 옥시클로자니드는 피부 기생충에 대해, 구충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3006508759-pct00001
실시예 2
<잿방어의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 기생에 대한 옥시클로자니드 경구 투여의 구충 효과-2>
시험 방법:평균 어체중 약 210 g 의 잿방어 73 마리를 500 리터 수조에서 약 7 일간 사육하고, 25 ℃ 의 수온에 순치시켰다. 그 동안의 급이는 시판 사료를 주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3 % 로 하였다. 주수는 4.8 리터/분으로 하였다. 물고기에 대한 본 기생충의 폭로를 시험 개시시 (제 1 회 폭로) 와 개시 4 일째 (제 2 회 폭로) 의 2 회 실시하였다. 본 기생충의 폭로는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 부화 유생 약 14000 개체를 500 리터 수조에 투입하고, 1 시간 지수로 함으로써 실시하였다. 시험 개시 4 일째의 본충 폭로 후, 10 마리씩 200 리터 수조 7 기에 수용하였다. 또, 약제 투여 개시시의 기생충 몸 길이를 조사하기 위해서, 나머지 3 마리를 200 리터 수조에 수용하였다. 사육 기간 중의 주수는 2.4 리터/분으로 하였다. 시험 개시부터 6 일간은 시판 사료를 급이하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2.5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7 일째는 약제를 함유하지 않는 모이스트 사료를 급이하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8∼10 일째에 각 구 시험 사료 (모이스트 사료) 를 급이하였다. 시험 사료의 급이율은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11 일째에 모든 물고기를 샘플링하여, 체표에 기생하고 있는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를 세었다.
시험구:시험 개시 8 일째에 25 ㎎, 50 ㎎, 75 ㎎, 100 ㎎, 150 ㎎/㎏ 어체중/일로 옥시클로자니드를 단회 경구 투여하는 5 구, 시험 개시 8 일째부터 150 ㎎/㎏ 어체중/일로 프라지콴텔 (시판되고 있는 방어류용 항피부 기생충제) 을 3 일간 경구 투여하는 양성 대조구, 및 약제 무첨가 사료를 급이하는 대조구 (0 ㎎) 의 합계 7 구를 설정하였다. 또한 투여구와는 별도로, 약제 첨가 사료 투여시의 기생충의 크기와 스테이지를 파악하는 구를 설정하였다 (200 리터 수조에 3 마리 수용).
시험 사료:소정량의 약제를 첨가한 모이스트 사료를 사용하였다.
효과의 판정:기생 수를 비교함으로써 실시하였다.
결과와 고찰
시험 사료 급이 개시시에 기생하고 있던 본충의 몸 길이과 스테이지는 제 1 회 폭로의 것이 2.42±0.28 ㎜ 로 성충, 제 2 회 폭로의 것이 0.89±0.09 ㎜ 로 유충이었다. 시험 종료시의 대조구의 본충의 몸 길이는 제 1 회 폭로의 것이 3.45±0.27 ㎜, 제 2 회 폭로의 것이 1.76±0.17 ㎜ 로 유충으로,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옥시클로자니드 투여구의 섭이 활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동등하였다. 한편, 양성 대조구인 프라지콴텔 투여구의 섭이 활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2 일째부터 분명하게 저하되었다.
기생 수의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옥시클로자니드 투여구의 기생 수는 투여량 의존적으로 적어져, 옥시클로자니드 75 ㎎/㎏ 어체중 투여 이상의 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t-검정) 감소하였다. 옥시클로자니드 투여구의 구충률은 75 ㎎ 투여구에서 약 29 %, 100 ㎎ 투여구에서 약 63 %, 150 ㎎ 투여구에서 84.4 % 였다. 한편, 양성 대조구인 프라지콴텔 투여구의 구충률은 약 45 % 로, 그 구충률은 3 일간 연속 투여임에도 불구하고, 옥시클로자니드 100 ㎎, 150 ㎎ 단회 투여구보다 낮은 값이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옥시클로자니드는 피부 기생충에 대해, 경구 투여에 의해 구충 효과를 발휘하는 것, 경구 투여량 의존적으로 구충 효과를 발휘하는 것, 그 효과는 시판되고 있는 프라지콴텔보다 우수한 것 등이 나타났다.
Figure 112013006508759-pct00002
실시예 3
<잿방어의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 기생에 대한 옥시클로자니드 경구 투여의 구충 효과-3>
시험 방법:
평균 어체중 약 328 g 의 잿방어 37 마리를 500 리터 수조에서 약 7 일간 사육하고, 25 ℃ 의 수온에 순치시켰다. 그 동안의 급이는 시판 사료를 주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주수는 4.8 리터/분으로 하였다. 물고기에 대한 본 기생충의 폭로를 시험 개시시에 실시하였다. 본 기생충의 폭로는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 부화 유생 약 7400 개체를 500 리터 수조에 투입하고, 1 시간 지수로 함으로써 실시하였다. 본충 폭로 후, 5 마리씩 200 리터 수조 7 기에 수용하였다. 또, 약제 투여 개시시의 기생충 몸 길이를 조사하기 위해서, 나머지 2 마리를 500 리터 수조에 남겨 사육하였다. 사육 기간 중의 주수는 2.4 리터/분으로 하였다. 시험 개시부터 6 일간은 시판 사료를 급이하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7 일째는 약제를 함유하지 않는 모이스트 사료를 급이하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8∼10 일째에 각 구 시험 사료 (모이스트 사료) 를 급이하였다. 시험 사료의 급이율은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11 일째는 각 구의 식욕을 조사하기 위해, 약제를 함유하지 않는 모이스트 사료를 급이하였다. 시험 개시 12 일째에 모든 물고기를 샘플링하여, 체표에 기생하고 있는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를 세었다.
시험구:시험 개시 8 일째부터 100 ㎎, 150 ㎎, 200 ㎎, 300 ㎎, 400 ㎎/㎏ 어체중/일로 3 일간 옥시클로자니드를 경구 투여하는 5 구, 시험 개시 8 일째부터 150 ㎎/㎏ 어체중/일로 프라지콴텔 (시판되고 있는 방어류용 항피부 기생충제) 을 3 일간 경구 투여하는 양성 대조구, 및 약제 무첨가 사료를 급이하는 대조구 (0 ㎎) 의 합계 7 구를 설정하였다. 또한 투여구와는 별도로, 약제 첨가 사료 투여시의 기생충의 크기와 스테이지를 파악하는 구를 설정하였다 (500 리터 수조에 2 마리 수용).
시험 사료:소정량의 약제를 첨가한 모이스트 사료를 사용하였다.
효과의 판정:기생 수를 비교함으로써 실시하였다.
결과와 고찰
시험 사료 급이 개시시에 기생하고 있던 본충의 몸 길이과 스테이지는 2.73±0.20 ㎜ 로 성충이었다. 시험 종료시의 대조구의 본충의 몸 길이는 4.08±0.22 ㎜ 로,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옥시클로자니드 투여구의 섭이 활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동등하였다. 한편, 양성 대조구인 프라지콴텔 투여구의 섭이 활성은 3 일째의 투여시에 소정량의 사료를 먹는 데에 대조구의 10 배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기생 수의 결과를 표 3 에 나타내었다. 모든 옥시클로자니드 투여구에서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 기생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적어 (P<0.01, t-검정), 그 구충률은 100 ㎎ 투여구가 93.7 %, 150 ㎎ 투여구가 99.3 %, 200 ㎎이상의 투여구에서는 모두 100 % 였다. 한편, 양성 대조구인 프라지콴텔 투여구의 구충률은 52.4 % 였다. 따라서, 옥시클로자니드는 네오베네데니아에 대해, 경구 투여에 의해 구충 효과를 발휘하는 것, 그 효과는 시판되고 있는 프라지콴텔보다 우수한 것 등이 재현되었다.
Figure 112013006508759-pct00003
실시예 4
<잿방어의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 기생에 대한 옥시클로자니드 경구 투여의 구충 효과-4>
시험 방법:
물고기의 사육은 사육수를 정화하는 여과조와 사육수를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기를 구비한 육상 순환식 수조에서 실시하였다. 평균 어체중 약 321 g 의 잿방어 30 마리를 200 리터 수조에 각 5 마리 수용하고, 7 일간 사육하여 30 ℃ 의 수온에 순치시켰다. 그 동안의 급이는 시판 사료를 주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주수는 12 리터/분으로 하였다. 물고기에 대한 본 기생충의 폭로를 시험 개시시에 실시하였다. 본 기생충의 폭로는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 부화 유생 1000 개체를 각 200 리터 수조에 투입하고, 30 분 지수로 함으로써 실시하였다. 시험 개시부터 5 일간은 시판 사료를 급이하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6 일째는 약제를 함유하지 않는 모이스트 사료를 급이하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7∼9 일째에 각 구 시험 사료 (모이스트 사료) 를 급이하였다. 시험 사료의 급이율은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10 일째는 각 구의 식욕을 조사하기 위해, 약제를 함유하지 않는 모이스트 사료를 급이하였다. 시험 개시 11 일째에 모든 물고기를 샘플링하여, 체표에 기생하고 있는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를 세었다.
시험구:시험 개시 7 일째부터 75 ㎎, 100 ㎎, 200 ㎎, 250 ㎎, 300 ㎎/㎏ 어체중/일로 3 일간 옥시클로자니드를 경구 투여하는 5 구, 및 약제 무첨가 사료를 급이하는 대조구 (0 ㎎) 의 합계 6 구를 설정하였다.
시험 사료:소정량의 약제를 첨가한 모이스트 사료를 사용하였다.
효과의 판정:기생 수를 비교함으로써 실시하였다.
결과와 고찰
시험 사료 급이 개시시에 기생하고 있던 본충의 몸 길이를 조사하기 위해, 옥시클로자니드 투여구의 잿방어로부터 탈락된 충 (蟲) 을 회수하여 몸 길이를 측정하였다. 시험 사료 급이 개시시에 기생하고 있던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의 몸 길이는 2.97±0.25 ㎜ 로 성충이었다. 시험 종료시의 대조구의 본충의 몸 길이는 4.91±0.23 ㎜ 로,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옥시클로자니드 투여구의 섭이 활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동등하였다.
기생 수의 결과를 표 4 에 나타내었다. 모든 옥시클로자니드 투여구에서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 기생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적어 (P<0.01, t-검정), 그 구충률은 75 ㎎ 투여구가 57.9 %, 100 ㎎ 투여구가 92.6 %, 200 ㎎ 이상의 투여구에서는 모두 100 % 였다. 따라서, 30 ℃ 에서의 고수온시에 있어서도 옥시클로자니드는 피부 기생충에 대해 경구 투여에 의해 구충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잿방어의 피부 기생충 구충법은 담수욕이나 과산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약제에서의 약욕이다. 그러나, 이들 처리는, 여름철의 고수온시에 아가미에 장해를 주기 때문에, 약욕 중에 물고기를 사망시키거나, 물고기 상태를 나쁘게 하여 몇 일간 식욕을 저하시키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옥시클로자니드의 투여는 고수온에서도 이와 같은 악영향이 관찰되지 않고, 게다가 어류 기생충에 대해 높은 구충 효과를 발휘하므로, 매우 우수한 화합물이다.
Figure 112013006508759-pct00004
실시예 5
<잿방어의 베네데니아·세리올레 기생에 대한 옥시클로자니드 경구 투여의 구충 효과>
시험 방법:
평균 어체중 약 420 g 의 잿방어 25 마리를 500 리터 수조에서 약 7 일간 사육하고, 25 ℃ 의 수온에 순치시켰다. 그 동안의 급이는 시판 사료를 주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주수는 4.8 리터/분으로 하였다. 물고기에 대한 본 기생충의 폭로를 시험 개시시에 실시하였다. 본 기생충의 폭로는 베네데니아·세리올레 부화 유생 약 5300 개체를 500 리터 수조에 투입하고, 1 시간 지수로 함으로써 실시하였다. 본충 폭로 후, 5 마리씩 200 리터 수조 5 기에 수용하였다. 사육 기간 중의 주수는 2.4 리터/분으로 하였다. 시험 개시부터 6 일간은 시판 사료를 급이하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7 일째는 약제를 함유하지 않는 모이스트 사료를 급이하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8∼10 일째에 각 구 시험 사료 (모이스트 사료) 를 급이하였다. 시험 사료의 급이율은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11 일째는 각 구의 식욕을 조사하기 위해, 약제를 함유하지 않는 모이스트 사료를 급이하였다. 시험 개시 12 일째에 모든 물고기를 샘플링하여, 체표에 기생하고 있는 베네데니아·세리올레를 세었다.
시험구:시험 개시 8 일째부터 75 ㎎, 100 ㎎, 150 ㎎, 200 ㎎/㎏ 어체중/일로 3 일간 옥시클로자니드를 경구 투여하는 4 구, 및 약제 무첨가 사료를 급이하는 대조구 (0 ㎎) 의 합계 5 구를 설정하였다.
효과의 판정:기생 수를 비교함으로써 실시하였다.
결과와 고찰
시험 사료 급이 개시시에 기생하고 있던 본충의 몸 길이를 조사하기 위해, 옥시클로자니드 투여구의 잿방어로부터 탈락된 충을 회수하여 몸 길이를 측정하였다. 시험 사료 급이 개시시에 기생하고 있던 네오베네데니아의 몸 길이는 2.08±0.15 ㎜ 로, 유충과 성충이 혼재되어 있었다. 시험 종료시의 대조구의 본충의 몸 길이는 4.66±0.42 ㎜ 로,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옥시클로자니드 투여구의 섭이 활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동등하였다.
기생 수의 결과를 표 5 에 나타내었다. 모든 옥시클로자니드 투여구에서 베네데니아·세리올레 기생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적어 (P<0.01, t-검정), 그 구충률은 75 ㎎ 투여구가 31.1 %, 100 ㎎ 투여구가 89.8 %, 150 ㎎ 투여구가 99.8 %, 200 ㎎ 투여구가 100 % 였다. 따라서, 옥시클로자니드는 베네데니아·세리올레에 대해 구충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옥시클로자니드는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와 베네데니아·세리올레 양방에 높은 구충 효과를 발휘하므로, 피부 기생충 전반에 대해, 경구 투여에 의해 구충 효과를 안정적으로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Figure 112013006508759-pct00005
실시예 6
<잿방어의 제우크사프타·야포니카 기생에 대한 옥시클로자니드 경구 투여의 구충 효과>
시험 방법:
평균 어체중 약 314 g 의 잿방어 27 마리를 500 리터 수조에서 약 7 일간 사육하고, 25 ℃ 의 수온에 순치시켰다. 그 동안의 급이는 시판 사료를 주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주수는 4.8 리터/분으로 하였다. 물고기에 대한 본 기생충의 폭로는 제우크사프타·야포니카 부화 유생을 500 리터 수조에 11 일간 투입함으로써 실시하였다. 최초의 본충 폭로로부터 26 일 후에, 5 마리씩 200 리터 수조 5 기에 수용하였다. 또, 약제 투여 개시시의 기생충 몸 길이를 조사하기 위해서, 나머지 2 마리를 500 리터 수조에 남겨 사육하였다. 사육 기간 중의 주수는 2.4 리터/분으로 하였다. 시험 개시부터 2 일간은 약제를 함유하지 않는 모이스트 사료를 급이하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3∼5 일째에 각 구 시험 사료 (모이스트 사료) 를 급이하였다. 시험 사료의 급이율은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6 일째는 각 구의 식욕을 조사하기 위해, 약제를 함유하지 않는 모이스트 사료를 급이하였다. 시험 개시 7 일째에 모든 물고기를 샘플링하여, 아가미에 기생하고 있는 제우크사프타·야포니카를 세었다.
시험구:시험 개시 3 일째부터 50 ㎎, 75 ㎎, 100 ㎎, 150 ㎎/㎏ 어체중/일로 3 일간 옥시클로자니드를 경구 투여하는 4 구, 및 약제 무첨가 사료를 급이하는 대조구 (0 ㎎) 의 합계 5 구를 설정하였다. 또한 투여구와는 별도로, 약제 첨가 사료 투여시의 기생충의 크기와 스테이지를 파악하는 구를 설정하였다 (500 리터 수조에 2 마리 수용).
효과의 판정:기생 수를 비교함으로써 실시하였다.
결과와 고찰
시험 사료 급이 개시시에 기생하고 있던 제우크사프타·야포니카의 몸 길이는 3∼4.5 ㎜ 로, 유충과 성충이 혼재되어 있었다.
옥시클로자니드 투여구의 섭이 활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동등하였다.
기생 수의 결과를 표 6 에 나타내었다. 모든 옥시클로자니드 투여구에서 제우크사프타·야포니카 기생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적어 (P<0.01, t-검정), 그 구충률은 50 ㎎ 투여구가 79.2 % 이고, 75 ㎎ 이상의 투여구에서는 모두 100 % 였다. 또한 투여 후에 본 제 (劑) 투여구의 사육 배수를 메시에 통과시켜 탈락된 본충을 회수하여 조사한 결과, 인두부의 붕괴와 소화관이 있는 인두측의 몸이 위축되어 있었다 (도 2). 이들 결과는 옥시클로자니드가 아가미 기생충에 대해 경구 투여에 의해 구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옥시클로자니드는 피부 기생충이나 아가미 기생충 등의 단생충에 대해, 경구 투여에 의해 구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분명해졌다. 또, 옥시클로자니드의 구충 효과를 발휘하는 투여량은 기생충의 종류나 기생 부위에 따라서도 약간 상이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Figure 112013006508759-pct00006
실시예 7
<방어의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 기생에 대한 옥시클로자니드 경구 투여의 구충 효과>
평균 어체중 약 82 g 의 방어 22 마리를 500 리터 수조에서 약 7 일간 사육하여, 25 ℃ 의 수온에 순치시켰다. 그 동안의 급이는 시판 사료를 주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4 % 로 하였다. 주수는 4.8 리터/분으로 하였다. 물고기에 대한 본 기생충의 폭로를 시험 개시시에 실시하였다. 본 기생충의 폭로는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 부화 유생 약 5600 개체를 500 리터 수조에 투입하고, 1 시간 지수로 함으로써 실시하였다. 본충 폭로 후, 10 마리씩 200 리터 수조 2 기에 수용하였다. 또, 약제 투여 개시시의 기생충 몸 길이를 조사하기 위해서, 나머지 2 마리를 200 리터 수조에 수용하였다. 사육 기간 중의 주수는 2.4 리터/분으로 하였다. 시험 개시부터 6 일간은 시판 사료를 급이하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7 일째는 약제를 함유하지 않는 모이스트 사료를 급이하고, 급이율을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8 일째에 각 구 시험 사료 (모이스트 사료) 를 급이하였다. 시험 사료의 급이율은 어체중의 2 % 로 하였다. 시험 개시 9 일째에 모든 물고기를 샘플링하여, 체표에 기생하고 있는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를 세었다.
시험구:시험 개시 8 일째에 100 ㎎/㎏ 어체중/일로 옥시클로자니드를 단회 경구 투여하는 구, 및 약제 무첨가 사료를 급이하는 대조구 (0 ㎎) 의 합계 2 구를 설정하였다. 추가로 투여구와는 별도로, 약제 첨가 사료 투여시의 기생충의 크기와 스테이지를 파악하는 구를 설정하였다 (200 리터 수조에 2 마리 수용).
시험 사료:소정량의 약제를 첨가한 모이스트 사료를 사용하였다.
효과의 판정:기생 수를 비교함으로써 실시하였다.
결과와 고찰
시험 사료 급이시에 기생하고 있던 본충의 몸 길이는 2.19±0.20 ㎜ 로, 유충과 성충이 혼재되어 있었다.
옥시클로자니드 투여구의 섭이 활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동등하였다.
기생 수의 결과를 표 7 에 나타내었다. 옥시클로자니드 투여구의 기생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적은 결과가 되었다 (P<0.05, t-검정). 방어에 있어서도 본 제의 투여 효과가 인정되었으므로, 어느 어종에 있어서도 본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피부 기생충이나 아가미 기생충 등의 어류 기생충에 대해 구충 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3006508759-pct00007
실시예 8
<옥시클로자니드를 함유하는 할로겐화 살리실아닐리드 화합물의 어류 기생충에 미치는 영향>
공시 (供試) 한 어류 기생충:시험에는, 피부 기생충 2 종 (베네데니아·세리올레 Benedenia seriolae,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 Neobenedenia girellae) 과 아가미 기생충 3 종 (헤테라키시네·헤테로세르카 Heteraxine heterocerca, 제우크사프타·야포니카 Zeuxapta japonica, 닥티로자이루스에 속하는 기생충 Dactylogylus sp.), 혈관 내 흡충 1 종 (카르디콜라에 속하는 기생충 Cardicola sp.), 갑각류 1 종 (칼리구스에 속하는 기생충 Caligus sp.) 의 합계 7 종류의 어류 기생충을 공시하였다. 기생충의 채취는 베네데니아·세리올레 (Benedenia seriolae) 가 잿방어의 체표,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가 범가자미의 체표, 헤테라키시네·헤테로세르카가 방어의 아가미, 제우크사프타·야포니카가 잿방어의 아가미, 닥티로자이루스 sp. 가 금붕어의 아가미, 카르디콜라 sp. 가 참다랑어의 심장, 칼리구스 sp.가 방어의 아가미활로부터 실시하였다.
할로겐화살리실아닐리드 화합물:시험에는, 옥시클로자니드, 라폭사니드, 클로산텔의 합계 3 약제를 사용하였다.
평가 시험:각 할로겐화 살리실아닐리드 화합물의 1 ppm 및 5 ppm 용액을 준비하였다. 해산어에 기생하고 있던 기생충의 시험에는, 이들 화합물을 해수에 용해시키고, 담수어에 기생하고 있던 기생충의 시험에는 담수에 용해시켜 용액을 조정하였다. 채취한 기생충 10 개체를 각 용액에 넣어 3 시간 충을 관찰하였다. 대조구로서, 이들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해수, 혹은 담수에 기생충을 넣어 관찰하였다. 또한, 제우크사프타·야포니카와 닥티로자이루스 sp., 카르디콜라 sp., 칼리구스 sp. 는 채취할 수 있는 기생충의 수가 적어, 옥시클로자니드 용액에서만 실시하였다.
효과의 판정:대조구의 기생충과 비교하여 화합물 용액구의 기생충이 위축되거나, 공시한 기생충 전체 개체가 위축될 때까지의 시간을 판정 기준으로 하였다. 또한, 칼리구스는 옥시클로자니드 용액의 영향을 받아 완전하게 움직임이 멈출 때까지의 시간을 판정 기준으로 하였다.
결과와 고찰
결과를 표 8 에 나타내었다. 할로겐화살리실아닐리드 화합물은 베네데니아·세리올레, 네오베네데니아·지렐레, 헤테라키시네·헤테로세르카에 대해 위축 효과를 발휘하였다. 이들 결과는 옥시클로자니드를 함유하는 할로겐화 살리실아닐리드 화합물이 어류 기생충에 대해 구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옥시클로자니드는 제우크사프타·야포니카, 닥티로자이루스 sp. (도 3), 카르디콜라 sp. (도 4) 에 대해 위축 효과를, 칼리구스 sp. (도 5) 에 대해 운동을 정지시켜 숙주 아가미활로부터 탈락시키는 효과를 발휘하였다. 옥시클로자니드는 단생충인 피부 기생충이나 아가미 기생충만이 아니라, 어류의 흡충이나 어류의 기생성 갑각류에도 구충 효과를 발휘하므로, 어류 기생충 전반에 대해 구충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화합물을 물고기에 투여함으로써 이들 기생충을 구충할 수 있다.
Figure 112013006508759-pct00008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해, 양식어 등의 기생충, 특히 단생충 또는 흡충을 경구 투여에 의해 구제할 수 있는 항기생충약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어류의 기생충 구제제로서, 기생충이 베네데니아 아과, 헤테라키시네과, 미크로코치레과, 디크리드포라과, 닥티로자이루스과, 지로닥티루스과, 생귀니콜라과 중 하나에 속하는 기생충이며,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가 브로목사니드, 브로티아니드, 클리옥사나이드, 클로산텔, 옥시클로자니드, 라폭사니드, 니클로사미드, 디브로모살란 또는 트리브로모살란 중 하나인 기생충 구제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가 옥시클로자니드, 라폭사니드 또는 클로산텔인 기생충 구제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어류가 농어목, 가자미목, 복어목, 청어목, 뱀장어목, 잉어목, 또는 메기목의 어류인 기생충 구제제.
  5. 어류에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기생충 구제 방법으로서, 기생충이 베네데니아 아과, 헤테라키시네과, 미크로코치레과, 디크리드포라과, 닥티로자이루스과, 지로닥티루스과, 생귀니콜라과 중 하나에 속하는 기생충이며,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가 브로목사니드, 브로티아니드, 클리옥사나이드, 클로산텔, 옥시클로자니드, 라폭사니드, 니클로사미드, 디브로모살란 또는 트리브로모살란 중 하나인 기생충 구제 방법.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가 옥시클로자니드, 라폭사니드 또는 클로산텔인 기생충 구제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어류가 농어목, 가자미목, 청어목, 복어목, 잉어목, 뱀장어목, 또는 메기목의 어류인 기생충 구제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1 일당, 살리실아닐리드계 약제를 1∼1000 ㎎/㎏ 어체중 (魚體重) 경구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충 구제 방법.
KR1020137001778A 2010-06-28 2011-06-28 어류의 기생충 구제제 및 구제 방법 KR101817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46072 2010-06-28
JP2010146072 2010-06-28
PCT/JP2011/064795 WO2012002379A1 (ja) 2010-06-28 2011-06-28 魚類の寄生虫駆除剤及び駆除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130A KR20130041130A (ko) 2013-04-24
KR101817817B1 true KR101817817B1 (ko) 2018-01-11

Family

ID=45402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778A KR101817817B1 (ko) 2010-06-28 2011-06-28 어류의 기생충 구제제 및 구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71203B2 (ko)
KR (1) KR101817817B1 (ko)
CN (1) CN103037866B (ko)
MY (1) MY170097A (ko)
WO (1) WO20120023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3441B (zh) * 2012-08-15 2013-12-04 广东恒兴饲料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工厂化养殖石斑鱼的方法
CN104546797B (zh) * 2014-12-05 2017-10-27 中国农业科学院兰州畜牧与兽药研究所 一种五氯柳胺纳米囊及其制备方法
CN107708703A (zh) * 2016-03-17 2018-02-16 不二制油集团控股株式会社 鱼类寄生虫病防除剂和饲料
JP6343796B2 (ja) * 2016-03-31 2018-06-20 林兼産業株式会社 魚介類の微胞子虫の防除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魚介類の微胞子虫の防除方法
CN108770741A (zh) * 2018-05-23 2018-11-09 海南晨海水产有限公司 一种东星斑的孵化方法
JP7424983B2 (ja) * 2018-09-06 2024-01-30 株式会社ニッスイ サケ目魚類の筋肉の融解を防ぐ方法
CN110537504B (zh) * 2019-09-20 2021-11-02 山东龙昌动物保健品有限公司 一种多苞桉桉树精油及其复合菌剂在制备用于海水鱼类的驱虫剂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1568A (ja) * 1999-03-30 2000-10-10 Nichiwa Sangyo Co Ltd 寄生虫症予防治療剤
CN1375287A (zh) * 2001-03-16 2002-10-23 王玉万 含氯氰碘柳胺或其钠盐的兽用混悬注射剂
JP2002338538A (ja) * 2001-05-21 2002-11-27 Takeda Schering-Plough Animal Health Kk 新規スルホンアミド誘導体およびそれを含む魚類用抗寄生虫薬
JP2006061107A (ja) * 2004-08-27 2006-03-09 Higashimaru Co Ltd 寄生虫症抑制剤、海産養殖魚類用飼料、および海産養殖魚類の寄生虫症の予防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ulletin of pure and applied scineces, section A., 2006., Vol.25A., No.1., pp 13-18
Dis Aquat Organ. 2002.06., Vol.49, No.3., pp191-197*
Japanese Journal of Parasitology., 1992., Vol.41, No.6., pp 473-48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2002379A1 (ja) 2013-08-29
WO2012002379A9 (ja) 2012-03-08
CN103037866B (zh) 2015-11-25
JP5771203B2 (ja) 2015-08-26
KR20130041130A (ko) 2013-04-24
WO2012002379A1 (ja) 2012-01-05
CN103037866A (zh) 2013-04-10
MY170097A (en)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817B1 (ko) 어류의 기생충 구제제 및 구제 방법
EP2983496B1 (en) Supplemented fish feed
JP5806708B2 (ja) 魚の真菌症の治療のための殺真菌剤の使用
JP6489727B2 (ja) 海産魚類に寄生する微胞子虫及び粘液胞子虫による疾患の治療剤
TWI343807B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improving shellfish health, immunity and growth
JP2020096599A (ja) 低濃度過酸化水素水による魚類外部寄生虫駆除方法
KR100632881B1 (ko) 어류병에 유효한 천연 생리활성물질 및 그것을 함유하는 어류용 사료
WO2011101367A1 (en) Product for removing sea lice
JP2000281568A (ja) 寄生虫症予防治療剤
EP3422856B1 (en) Preparation containing sea water and an added potassium compound
Abbas et al. Parasites of Fish and Aquaculture and their Control
JP2006061107A (ja) 寄生虫症抑制剤、海産養殖魚類用飼料、および海産養殖魚類の寄生虫症の予防方法
WO2008013235A1 (fr) Procédé de suppression de parasites sur la surface corporelle de poissons
EP4037698B1 (en) A probiotic composition comprising probiotic bacteria for use in a method of treating and/or preventing a parasitic infection in a teleost
JP3510906B2 (ja) 水産動物に寄生する寄生虫および水生菌の防除方法及び防除剤
Liao et al. The use of chemicals in aquaculture in Taiwan, Province of China
KR100358084B1 (ko) 프라지콴텔과 시메티딘 합제를 이용한 어류의아가미흡충증 치료방법
JP4695766B2 (ja) 魚類寄生虫の駆除剤及び駆除方法
KR101877845B1 (ko) 돼지감자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류 기생충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669908B2 (ja) 魚類の表皮保護剤
JP5584890B2 (ja) 魚類の住血吸虫の駆除剤および魚類の住血吸虫の駆除方法
KR100563273B1 (ko) 염산 터비나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양식어류의 스쿠티카병 예방치료제
Das et al. Fish health management in aquaculture.
Bright Singh et al. Ornamental fish diseases and their management measures
Bright Singh et al. Ornamental fish diseases and their management measures-Winter School on Recent Advances in Breeding and Larviculture of Marine Finfish and Shellfi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