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273B1 - 염산 터비나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양식어류의 스쿠티카병 예방치료제 - Google Patents

염산 터비나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양식어류의 스쿠티카병 예방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273B1
KR100563273B1 KR1020030079882A KR20030079882A KR100563273B1 KR 100563273 B1 KR100563273 B1 KR 100563273B1 KR 1020030079882 A KR1020030079882 A KR 1020030079882A KR 20030079882 A KR20030079882 A KR 20030079882A KR 100563273 B1 KR100563273 B1 KR 100563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fish
antibiotics
scutika
hydro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714A (ko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대한뉴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뉴팜(주) filed Critical 대한뉴팜(주)
Priority to KR1020030079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273B1/ko
Publication of KR20050045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7Arylalkylamines, e.g. amphetamine, epinephrine, salbutamol, ephedrine or metha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어류의 스쿠티카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한 신규약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산 터비나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쿠티카병의 예방치료제를 개시한다.
스쿠티카, 터비나핀, 양식어류

Description

염산 터비나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양식어류의 스쿠티카병 예방치료제{Drug Containing Terbinafine HCl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cuticociliates Infestation in Cultured Fishes}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양식어류의 질병 예방치료제를 이용하여 스쿠티카병에 야외감염된 넙치를 대상으로 제제의 유효성을 실험한 결과그래프(봉명리)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양식어류의 질병 예방치료제를 이용하여 스쿠티카병에 야외감염된 넙치를 대상으로 제제의 유효성을 실험한 결과그래프(대야리)
본 발명은 양식어류의 스쿠티카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한 신규약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산 터비나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스쿠티카병의 예방치료제를 개시한다.
어류의 스쿠티카병은 해산양식어류의 체표, 아가미, 외부기관, 근육 및 뇌조직에 스쿠티카충이 침입하여 기생하는 기생충(원충)성 질병으로 넙치, 농어, 돔, 조피볼락 등 어류에 막대한 피해를 주어 양식산업에 커다란 경제적 손실을 주고 있다.
스쿠티카충은 원생동물의 섬모충류인 scuticociliates로 충체내부에 스쿠티카 장치를 가지고 있고 이는 육안으로 관찰이 불가능하며 1백배 현미경하에서 오이씨 또는 방추형 모양의 섬모를 가지고 있다. 크기는 20∼40㎛로 매우 다양하며 최근 구조관찰을 통하여 유로네마 마리넘(Uronema marinum)으로 밝혀졌으며 어류에 기생한 상태에서는 영양체가 2분열로 증식하지만 해수중에는 자충으로 방출되어 자유생활을 한다. 이 자충이 다시 어류에 기생하게 되며 다시 영양체로 성숙하여 2분열법에 의해 분열하게 된다. 이 기생충은 수온 4∼35℃, 염분 5∼40%에서 생존이 가능하며 증식은 6∼28℃, 염분농도 10∼35%에서 가능하다.
주 발병시기는 수온이 낮아지는 가을에서 이른봄에 걸쳐 유행한다. 이 기생충은 육상 수조식 또는 축제식에서 양식하는 돔류, 조피볼락, 부세 및 농어 등의 체표와 지느러미에 기생하여 지느러미를 붕괴시키고 체표를 거칠게 하여 2차적으로 비브리오균이나 활주세균에 의한 감염으로 폐사에 이르게 한다. 또한, 넙치에는 수온에 상관없이 연중 발생하여 2차적으로 비브리오균, 에드와드균, 연쇄구균과 복합감염되어 대량폐사에 이르게 한다.
이와같은 스쿠티카충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해서 포르말린, 황산구리, 과산화수소, 키토산, 각종합성항균제, 항진균제, 구충제 등이 시험되었으나 뚜렷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효과가 있는 것은 독성이 강하여 어체에까지 부작용을 나타내거나 심지어는 폐사를 일으키는 등 실제 사용에는 문제가 많았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어류 스쿠티카충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제가 없어 이에 대한 신규약제를 연구하여 오던 중 인체 의약품으로 무좀 등 진균성 피부병에 사용되는 제제중 안전성이 높은 약제를 선발하여 그 중 염산 터비나핀이 어체에 안전하며 효과적으로 스쿠티카충을 구제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류의 스쿠티카병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예방 및 치료효과가 우수한 신규한 약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염산터비나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양식어류의 질병예방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염산터비나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양식어류의 스쿠티카병 예방치료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염산터비나핀을 스쿠티카에 감염된 양식어류에 어체중 kg당 5mg∼80mg을 투여하여 스쿠티카병을 예방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염산 터비나핀은 현재 인체의 진균치료제로서 널리 사용되는 유용한 약제로 알려져 있으며 안전성도 타 진균제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산 터비나핀은 진균세포막성분인 엘고스테롤의 합성을 억제하며 또한 스쿠알렌 모노옥시게나제(Squalene 2,3-epoxidase)의 작용을 차단하여 스쿠알렌에서 스테롤(특히 엘고스테롤)로의 전환을 억제함으로써 스쿠알렌의 축적의 원인이 되며 이 두작용이 항진균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염산터비나핀은 양식어류의 질병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쿠티카병의 치료를 위해 단독으로 또는 β-락탐계 항생물질, 마크로라이드계 항생물질 및 아미노글리코싸이드계 항생물질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산터비나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양식어류의 질병예방치료제는 염산터비나핀은 전체 약제조성물에 대하여 1∼90중량%를 첨가하여 주는 것이 항스쿠티카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식어류의 질병예방치료제는 상기 염산터비나핀과 혼합되어지는 β락탐계 항생물질, 마크로라이드계 항생물질, 아미노글리코싸이드계 항생물질, 퀴놀론계 항균물질, 설파제 및 항진균제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물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들 물질은 전체 약제 조성물에 대하여 1∼75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특별히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류의 종류에 따라 첨가량은 조절하여 사용될 수 있다.
β락탐계 항생물질로는 페니실린계의 페니실린, 암피실린, 아목사실린 등이 있으며, 세파로스포린계로 세파렉신, 세파로틴, 세파졸린 등이 있다. 상기 페니실린계 항생제는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 중 헤모필러스, 네이세리아(Neisseria)에 저지작용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파로스포린계는 방선균류의 배양액에서 얻은 항생물질로 그람양성균 및 그람음성균의 발육을 저지하는 것으로 알 려져 있다.
마크로라이드계 항생물질로는 에리트로마이신, 스피라마이신, 조사마이신, 키타사마이신 및 타이로신 등이 있으며 세균의 단백질합성을 억제하여 항균력을 나타낸다.
아미노글리코싸이드계 항생물질로는 스트렙토마이신, 디하이드로스트렙토마이신, 가나마이신, 네오마이신 및 겐타마이신 등이 있으며 역시 세균의 리보소옴에 작용하여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항균작용을 발휘한다.
퀴놀론계 항균물질로는 엔로플록사신, 시플로플록사신, 노플로플록사신, 페플록사신, 옥소린산 등이 있으며 세균의 DNA Gyrase에 작용하여 항균력을 나타낸다.
설파제는 설파디메톡신, 설파모노에톡신, 설파메톡사졸, 설파치아졸, 설파메타진 등이 있으며 이는 세균의 PABA(Para-amino benzoic acid)대사를 억제하여 항균효과를 나타낸다.
항진균제로는 클로트리마졸, 케토코나졸, 암포테리신B, 나이스타틴 등이 있으며 이들 역시 다양한 작용기전으로 항진균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β락탐계 항생물질, 마크로라이드계 항생물질 또는 아미노글리코싸이드계 항생물질, 퀴놀론계 항균물질, 설파제 및 항진균제 등은 본 발명에서 염산터비나핀을 단독으로 처리할 때 야기될 수 있는 단점, 즉 어류의 스쿠티카병과 동시에 혹은 2차적으로 감염되는 세균성 질병의 원인이 되는 병원체의 염산터비나핀에 대한 저항성이 1단계 과정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첨가사용 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염산터비나핀이 함유된 양식어류의 질병예방치료제는 산제, 과립제, 정제 및 액제의 형태로 제형화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투여방법은 사료에 흡착시켜 경구투여 하는 방법과 액상으로 만들어 물에 희석한 뒤 물고기를 넣어 약욕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때 약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피처리 어류의 상황에 따라서 적당하게 변화하여 사용하여도 좋지만 바람직하기로는 어류체중kg당 염산터비나핀의 함량이 5∼80mg을 사료에 흡착시켜 경구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1> 제제의 실험실내 유효성 실험
염산터비나핀의 어류 질병에 대한 항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임상실험 이전에 먼저 실험실내 실험을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하에 실시하였다.
실험실내 실험 1
염산터비나핀를 이용하여 각각 5, 10, 20, 40 및 80ppm의 약욕수조를 만들어 스쿠티카병에 감염된 넙치를 5분간 담궈(약욕) 체표에 기생하는 충체의 살충여부를 검사한 결과 5ppm 약욕수조에서는 80%, 10ppm, 20ppm, 40ppm 및 80ppm 약욕수조에서는 모두 100%의 살충율을 보였다 <표 1참조>
<표 1> 염산 터비나핀의 실험실내 스쿠티카 살충농도
약제농도(ppm) 살충시간(분) 살충율(%)
5 5 80
10 5 100
20 5 100
40 5 100
80 5 100
실험실 실험 2
염산터비나핀을 이용하여 스쿠티카병에 감염된 넙치를 각각 100미씩 무작위 채취하여 공기주입기, 순환여과장치, 주수 및 배수시설, 형광등이 설치된 물고기 배양수조에 수온 22±2℃, pH 6.8∼8.2, 용존산소량 4.3∼6.2, 암모니아농도 20ppm이하, 환수율 10∼20%/시간의 조건으로 시험사육하였다. 약물투여는 하기 표 2의 용량으로 사료에 흡착시켜 7일간 경구투여 하였으며, 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2> 염산터비나핀의 스쿠티카병 감염어(넙치)에 대한 유효성(7일간 투여)
투여용량(mg/체중kg) 시험미수 폐사미수 생존율(%) 부작용
5 100 21 79 없음
10 100 7 93 없음
20 100 5 95 없음
40 100 8 92 없음
80 100 28 72 없음
<실시예 2> 제제의 스쿠티카병 야외감염 넙치에 대한 유효성
시험 Ⅰ
1. 시험장소: 전남 완도군 봉명리
2. 수온: 20∼21℃
3. 먹이 투여량: 1일 30kg(정상의 1/2량)
4. 시험어: 전장 12∼15cm, 체중 30g 내외 넙치 50,000미
5. 투약량: 어체중 톤당 9g(9mg/체중kg당)
6. 시험결과(도 1참조)
본 제제 투여전 1일 600미 이상이 폐사 및 감염증세를 나타내었으나 본 제제 투여후 약간의 복수증상을 보이는 어체와 심한 감염증상을 보인 어체 20,000미를 제외하고는 폐사가 중단되었으며 약제를 투여하지 않은 감염구(30,000미)에서는 계속 대량폐사가 진행되었다.
시험 Ⅱ
1. 시험장소: 전남 완도군 대야리
2. 수온: 18∼19℃
3. 먹이 투여량: 1일 4∼5kg(정상의 1/2량)
4. 시험어: 전장 8∼9cm, 체중 7∼9g, 넙치 20,000미
5. 투약량: 어체중 톤당 24g(24mg/체중kg당, 정상투여량의 4배)
6. 시험결과(도 2)
본 제제 투여전 면역증강제 및 영양제 등을 투여하였으나 별 효과가 없어 대량폐사가 계속되었다 (탱크별 10미 이상씩). 반면에 본 발명의 제제를 투여한 경우 투여일 후 5일부터 폐사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더 이상 감염이 확산되지 않았다.
<실시예 3> 본 제제의 안전성 시험
시험과정
양식중인 넙치 전장 8∼9cm(체중 7∼9g) 및 12∼15cm(체중 30g 내외)의 건강한 넙치치어를 각각 60미씩 구하여 10미씩 6개 군으로 나누어 각 군별로 체중 kg당 6mg, 12mg, 18mg, 24mg, 30mg, 36mg씩 사료에 흡착시켜 투여하였다.
시험결과
<표 3> 전장 8∼9cm(체중 7∼9g) 넙치 치어
약제투여량 (체중kg당) 6mg 12mg 18mg 24mg 30mg 36mg
폐사미수/시험미수 0/10 0/10 0/10 0/10 0/10 0/10
폐사율 0 0 0 0 0 0
<표 4> 전장 12∼15cm(체중 30g 내외) 넙치 치어
약제투여량 (체중kg당) 6mg 12mg 18mg 24mg 30mg 36mg
폐사미수/시험미수 0/10 0/10 0/10 0/10 0/10 0/10
폐사율 0 0 0 0 0 0
투여결과 시험어에서 폐사는 추천용량에서부터 추천용량의 6배까지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외부증상 등 어떤 이상도 발견할 수 없었고, 모두 건강하였다.
<참고> 염산터비나핀의 설치류에 대한 LD50(반수치사량)
실험동물 경구투여 정맥내투여
쥐 4,000mg/kg 393mg/kg
생쥐 4,000mg/kg 213mg/kg
Ganzinger, Merck Index 13th ed.
<실시예 4> 제제별 안전성
1. 산제, 과립제 및 정제
실험과정
염산 터비나핀을 적절한 부형제를 사용하여 0.3%산제, 과립제 및 정제를 만들어 실온에서 보관하면서 시험개시시 3개월, 6개월, 12개월, 24개월 경과시의 각각 함량검사를 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표 5에서와 같이 상당기간 경과후에도 유효성분의 함량이 일정한 수준으로 지속적으로 유지됨이 확인되었다.
<표 5> 산제 및 과립제의 안전성
구분 함량(%) 비고
시험개시시 3개월 6개월 12개월 24개월
산제 100.5% 100.5% 100.4% 100.4% 100.3% 성상변화없음
과립제 100.4% 100.4% 100.3% 100.2% 100.2% 성상변화없음
정제 100.4% 100.3% 100.3% 100.2% 100.2% 성상변화없음
2. 액제
시험과정
염산터비나핀을 적절한 부형제를 사용하여 0.3%액을 만들어 실온에서 보관하면서 시험개시시 3개월, 6개월, 12개월, 24개월 경과시의 각각 함량검사를 하였다.
시험결과
하기 표 6에서와 같이 상당기간 경과후에도 유효성분의 함량이 일정한 수준으로 지속적으로 유지됨이 확인되었다.
<표 6> 산제 및 과립제의 안전성
구분 함량(%) 비고
시험개시시 3개월 6개월 12개월 24개월
액제 100.6% 100.5% 100.5% 100.3% 100.4% 성상변화없음
본 발명에 의하면 염산터비나핀은 양식어류의 스쿠티카 병에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폐사율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됨으로써 어류양식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Claims (5)

  1. 염산터비나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돔류, 조피볼락, 부세, 농어, 넙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양식어류의 스쿠티카병 예방치료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방치료제는 산제, 과립제, 정제 및 액제의 제형으로 되는 스쿠티카병 예방치료제.
  4. 염산터비나핀을 스쿠티카에 감염된 돔류, 조피볼락, 부세, 농어, 넙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양식어류에 어체중 kg당 5mg∼80mg을 투여하여 스쿠티카병을 예방치료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β락탐계 항생물질, 마크로라이드계 항생물질,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물질, 퀴놀론계 항균물질, 설파제 및 항진균제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물질이 더 포함되어지는 스쿠티카병 예방치료제.
KR1020030079882A 2003-11-12 2003-11-12 염산 터비나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양식어류의 스쿠티카병 예방치료제 KR100563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882A KR100563273B1 (ko) 2003-11-12 2003-11-12 염산 터비나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양식어류의 스쿠티카병 예방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882A KR100563273B1 (ko) 2003-11-12 2003-11-12 염산 터비나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양식어류의 스쿠티카병 예방치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714A KR20050045714A (ko) 2005-05-17
KR100563273B1 true KR100563273B1 (ko) 2006-03-27

Family

ID=37245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882A KR100563273B1 (ko) 2003-11-12 2003-11-12 염산 터비나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양식어류의 스쿠티카병 예방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2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714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6708B2 (ja) 魚の真菌症の治療のための殺真菌剤の使用
JP3882939B1 (ja) 魚のスクーチカ症治療方法及び予防方法
KR101817817B1 (ko) 어류의 기생충 구제제 및 구제 방법
KR101434553B1 (ko) 어류의 스쿠티카충 및 병원성 세균 구제용 조성물 및 이들의 구제방법
Speare et al. Quinine hydrochloride treatment delays xenoma formation and dissolution in rainbow trout challenged with Loma salmonae
CN107260751A (zh) 天维菌素用于控制人或动物寄生虫的用途
KR101544049B1 (ko) 넙치 양식 어류 스쿠치카병 방제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379026B1 (ko) 양식 넙치의 스쿠티카충 구제방법
KR100563273B1 (ko) 염산 터비나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양식어류의 스쿠티카병 예방치료제
KR20030046491A (ko) 돼지와 가금의 질병 및 감염 치료 및 예방
CZ276893A3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treating gramm-positive disease even of water animals
KR101850697B1 (ko)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사료
Coop et al. The use of macrocyclic lactones to control parasites of sheep and goats.
RU2808576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пчелосемей, пораженных ассоциативной инфекцией варроозом, американским и европейским гнильцом
DE2432393B2 (de) Arzneipräparat zur Behandlung von bösartigen Neubildungen
JPWO2008013235A1 (ja) 魚類の体表寄生虫駆除方法
Liao et al. The use of chemicals in aquaculture in Taiwan, Province of China
RU2813112C1 (ru)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кокцидиозом у птицы
CN108992448B (zh) 一种观赏鱼用含盐除菌片剂及其制备方法
KR101257493B1 (ko) 브로모페놀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세균 및 항원충 조성물
KR100451906B1 (ko) 키토산 올리고당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류 양식장에서 어병의 림포바이러스증 예방제
KR100358084B1 (ko) 프라지콴텔과 시메티딘 합제를 이용한 어류의아가미흡충증 치료방법
Stewart et al. Milbemycin oxime as an effective preventative of heartworm (Dirofilaria immitis) infection in cats.
WO2022229784A1 (es) Mezclas de terpenos emulsionados con actividad antibacterial y antimicótica
CN107920531B (zh) 用于对抗鱼类寄生虫的试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