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404B1 - 이식기의 이식컵 흙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이식기의 이식컵 흙 제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6404B1 KR101816404B1 KR1020160062693A KR20160062693A KR101816404B1 KR 101816404 B1 KR101816404 B1 KR 101816404B1 KR 1020160062693 A KR1020160062693 A KR 1020160062693A KR 20160062693 A KR20160062693 A KR 20160062693A KR 101816404 B1 KR101816404 B1 KR 1018164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graft
- scraper
- cups
- li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02—Devices for adjusting or regulating the position of tools or wheels
- A01B63/008—Vertical adjustment of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식컵 내부의 흙을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한 이식기의 흙 제거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식기는, 제1컵부분과 제2컵부분으로 구성되고, 구동기구(R)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제1컵부분과 제2컵부분의 일측이 이격되어 열린상태로 상승하는 다수의 이식컵(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스크래퍼(30,32)는 연결링크(40,42)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식컵 내부의 흙을 제거할 수 있고, 초기 상태에서는 이식컵 사이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스크래퍼(30,32)는, 연동레버(110)에 의하여 이식컵과 반대 방향으로 승하강한다. 그리고 한 쌍의 회동브라켓(60,62)에 의하여, 이식컵의 상승 시에는 스크래퍼가 이식컵의 상하 방향 중앙에 위치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식컵의 하강 시에는 이식컵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크래퍼(30,32)는 이식컵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면서 하강하여 이식컵 내부의 흙을 하방으로 제거하고, 이식컵 사이을 통하여 상승하면서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식기의 흙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종을 일정 깊이로의 땅속으로 이식하는 이식컵에 들어 붙을 수 있는 흙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식기의 이식컵 흙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기기 중에서 이식기 또는 정식기라고 하는 것은, 트레이 상에서 일정한 크기로 자란 양파 등의 작물을 재배지에 옮겨 심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이식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472498호, 한국 특허 공개 제10-2015-30580호, 그리고 한국 특허 공개 제10-2013-115972호 등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식기에서 일정한 크기로 성장한 양파 등의 모종은, 재배지에서 일정한 깊이로 싶는 식부컵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기의 이식컵은, 서로 결합되어 원뿔형상을 이루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제1컵부분(2A)과 제2컵부분(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식컵(2)은 서로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뾰족한 원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식컵(2)은, 제1컵부분(2A) 및 제2컵부분(2B)이 상단부분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 회동 운동을 함으로써,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열리게 된다. 여기서 제1컵부분(2A)과 제2컵부분(2B)을 움직임으로써 하단부를 여는 기구적 구성은, 이식기 제조사에 따라서 또는 이식기의 사양에 따라서 상이한 링크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가장 기본적으로,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컵부분(2A)와 제2컵부분(2B)이 닫힌 상태에서 트레이에서 공급되는 모종을 공급받은 다음, 이식기의 링크 기구에 의하여 일정 높이 하강한다. 그리고 이렇게 하강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이식기(2)의 하단부는 지중으로 일정 깊이 들어가게 되면서,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컵(2A,2B)의 하단부가 열리게 되고, 이렇게 열린 상태에서 다시 상부로 승강하게 된다.
상기 제1컵부분(2A)과 제2컵부분(2B)의 하단부가 열리는 것은, 각각의 이식컵(2A,2B)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동 운동을 일으키도록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그리고 예를 들면 상기 제1컵부분(2A) 및 제2컵부분(2B)의 상단부에 별도의 아암 또는 링크를 연결하여 상기 이식컵(2A,2B)를 운동시키도록 구성한다. 또는 상기 제1컵부분(2A)과 제2컵부분(2B)의 상부에 서로 연동할 수 있는 형상을 만들고, 어느 일측의 이식컵(2A 또는 2B)이 외측으로 회동함에 따라서 같이 외측으로 회동하면서, 각각의 하단부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리도록 구성하는 방식의 구성도 있다.
이와 같이 이식컵은 지중으로 일정한 깊이 들어가기 때문에 상승하면서 흙을 비롯한 이물질이 묻을 수 있다. 이렇게 이물질이 이식컵 내부에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게 되면 차회의 이식 작업에도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당연한데, 예를 들면 이식기의 기능 상 가장 치명적인 결주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가부시키가이샤쿠보다 또는 가부시키가이샤 얀마노키 등의 제조사는 이식컵 내부의 흙을 제거하는 장치를 장착한 이식기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흙 제거장치는, 실질적으로 스크래퍼는,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컵부분 및 제2컵부분 사이의 일측을 출입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 운동만을 수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식컵이 상하 운동을 수행하면서 그 내부의 흙이 스크래퍼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은 실질적으로 이식컵 주위에 충분한 공간이 있는 경우에는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이식하는 재배지가 좁아서 모종의 이식 간격이 좁아서, 이식컵 주변의 공간이 좁은 경우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의 스크래퍼는 가로 방향으로만 운동하기 때문에, 모종의 종류 및 작업 환경 등에 따라서 이식컵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적용하기 힘들다는 단점도 지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 중인 이식기에서 흙을 제거하는 흙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식하는 간격이 좁아서 실질적으로 내부 공간이 좁은 구성을 가지는 이식기에도 적용 가능한 흙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구적으로 단순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정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흙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컵부분과 제2컵부분으로 구성되고, 구동기구(R)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제1컵부분과 제2컵부분의 일측이 이격되어 열린상태로 상승하는 다수의 이식컵(2)을 구비하는 이식기의 흙 제거장치에 있어서; 연결링크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식컵 내부의 흙을 제거할 수 있고, 초기 상태에서는 이식컵 사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크래퍼; 이식컵의 상승에 대해서는 상기 스크래퍼가 하강하도록 하고, 이식컵의 하강에 대해서는 스크래퍼를 상승시키는 상하이동 연동수단; 그리고 이식컵의 상승 시에는 상기 스크래퍼가 이식컵의 상하 방향 중앙에 위치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식컵의 하강 시에는 이식컵 사이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이동 연동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스크래퍼는 이식컵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면서 하강하여 이식컵 내부의 흙을 하방으로 제거하고, 이식컵 사이을 통하여 상승하면서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하이동 연동수단에 대한 실시 예에 의하면, 중간부분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단부는 상기 이식컵과 연결되어 같이 승하강하고, 제2단부는 상기 연결링크가 연결되는 승하강블럭과 연결되어 승하강블럭을 승하강시키는 연동링크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동링크의 제1단부는 이식컵과 연동하는 이식컵 브라켓의 수평장공과 핀연결되고, 연동링크의 제2단부는 승하강블럭과 연동하는 승하강브라켓의 수평장공과 핀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좌우이동 연동수단에 대한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승하강블럭에 핀 연결되어, 상기 핀을 중심으로 가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다수의 회동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가로 방향 이동에 의하여 스크래퍼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식컵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구동링크; 그리고 상기 구동링크를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링크 이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회동브라켓은, 서로 대칭되고 접촉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각 서로를 향하여 연장된 연동돌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일측의 회동브라켓이 일정 간격 회동하면, 상기 연동돌기끼리의 접촉에 의하여 역방향으로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한 쌍의 스크래퍼가 회동브라켓을 통하여 양측으로 벌어져서 인접하는 한 쌍의 이식컵 내부를 통과하면서 흙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동링크 이동수단에 대한 실시 예에 의하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캠축에 설치된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와 접촉하는 롤러가 제1단부에 설치되고 중심축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링크를 가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와이어가 제2단부에 설치된 시소바아로 구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회동브라켓에는, 서로를 연결하여 접촉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스크래퍼가 이식컵의 중앙부분을 하방으로 통과하면서 이식컵 내부의 흙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이식컵의 상태에 따른 결주 등의 단점을 해결함으로써, 이식자 자체의 동작의 신뢰성을 높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이식컵 사이에서 한 쌍의 스크래퍼가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식기 내부에서 설치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스크래퍼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는 실질적으로는 구성 부품의 단순화를 도모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장점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식컵의 승하강에 더하여 스크래퍼 자체도 승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식컵이 긴 경우에도 그 내부의 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래퍼의 승하강을 이식컵의 승하강과 연동시킴으로써, 스크래퍼의 동작 타이밍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른 별도의 동력전달계통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정확한 스크래퍼의 승하강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도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 이식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이식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이식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것으로, (a)는 스크래퍼의 상승 상태에서의 이면도, (b)는 스크래퍼의 하강 중인 상태에서의 이면도.
도 4는 본 발명 이식기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이식기에서 스크래퍼의 동작을 보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이식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이식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것으로, (a)는 스크래퍼의 상승 상태에서의 이면도, (b)는 스크래퍼의 하강 중인 상태에서의 이면도.
도 4는 본 발명 이식기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이식기에서 스크래퍼의 동작을 보이는 측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에서 모종을 받아서 이식기에서 모종을 받아서 지중에 심는 다수의 이식컵(2)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이식컵(2)은 이식컵 구동기구(R)에 의하여 상하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있음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이식컵(2)을 일정한 행정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것은,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링크로 구성되는 구동기구(R)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공지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는 구동기구(R)는 다소 상이한 링크 구성을 기구를 가지는 것도 있다. 따라서 일정한 이식컵 구동기구(R)에 의하여, 상기 이식컵(2)을 상하 운동시키는 구성은 공지된 것이라고 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의 링크 구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흙 제거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은, 구동기구(R)에 의하여, 제1컵부분 및 제2컵부분으로 구성되는 이식컵이 승하강하면서 개폐되는 것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고, 여기서 구동기구(R)의 구성에서는 다른 구성을 가지더라도 본 발명의 적용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구(R)에 의하여 열리는 한 쌍의 컵부분은 스프링(Sc)에 의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것 자체도 공지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 운동하는 이식컵(2)의 내부에 있는 흙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식컵(2)의 상하 운동에 대하여, 그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 스크래퍼(30,32)가 필요하다. 즉, 상기 이식컵(2)의 상하 운동은, 연동기구(100)를 통하여, 스크래퍼(30,32)의 반대 방향으로 상하 운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식컵(2) 자체가 상하 운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스크래퍼(30,32)가 이식컵(2)의 상부에 위치하면 이식컵(2)의 운동 시 간섭이 발생한다. 따라서 스크래퍼(30,32)는 이식컵(2)의 직상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즉 이식컵 사이)에 설치되어야 하고, 이식컵에서 흙을 제거하는 동작이 이루어질 때,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식컵(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동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이식컵(2)에 대한 스크래퍼(30,32)의 운동을 정리하면, 대기 상태에서 스크래퍼(30,32)는 이식컵(2) 사이의 상부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식컵(2)이 하강한 상태에서는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식컵(2)이 모종의 이식 후, 상승하게 되면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식컵(2)의 정중앙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에서 이식컵(2)의 상승 동작에 대하여 하강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스크래퍼(30,32)가 중간 정도 이동한 상태가 도 3의 (b)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래퍼(30,32)의 하단부에는 다시 이식컵 사이로 가로 이동한 후, 이식컵의 하강 동작에 따라서 상승하게 된다. 즉, 스크래퍼(30,32)의 하강은 이식컵(2)의 중앙을 통과하고, 스크래퍼(30,32)의 상승은 이식컵(2) 사이의 공간으로 상승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스크래퍼(30,32)를 이식컵(2)과 반대 방향으로 상하 운동시키는 연동기구(1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연동기구(100)는, 이식컵(2)의 상승 운동을 스크래퍼(30,32)의 하강 운동으로, 그리고 이식컵(2)의 하강운동을 스크래퍼(30,32)의 상승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구이다. 이러한 연동기구(100)는, 도시하지 않은 이식기의 프레임에 지지축(11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메연동링크(1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동링크(110)의 일측(도면 상 좌측) 단부는 핀(114)을 통하여, 이식컵 브라켓(20)의 수평장공(22)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식컵브라켓(20)은 이식컵의 일측면 상단부에 고정되어 이식컵(2)과 같이 승하강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링크(110)의 티측(도면 상 우측) 단부는, 승하강블럭(142)에 설치되는 승하강브라켓(146)의 수평장공(148)에 핀(116)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승하강블럭(142)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직가이드(140)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연결구(143)에 의하여 연결되고 수직가이드(140)의 전후방에 각각 롤러에 의하여 접촉 지지되고 있는 한 쌍의 블럭(142a,142b)으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블럭(142a,142b)은, 수직가이드(140)의 전후면에 접촉하고 있는 다수의 롤러(r)에 의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승하강 하도록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블럭(142)은, 이식기의 프레임에 직립하도록 설치된 수직가이드에 지지되면서 승하강 운동하는 것이면 어떠한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승하강블럭(142)의 일측(이식컵 측)에는 회동브라켓(60)이 핀(Pa)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동브라켓(60)은 연결링크(40)를 통하여 스크래퍼(3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링크(40)는 이식컵(2) 구동기구(R)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야 할 것이고, 가로 방향 및 전후 방향에 대하여 스크래퍼(30)가 이식컵(2)과 동일한 선상에서 이식컵(2) 사이에 위치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L형의 연결링크(40)로 구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회동브라켓(60)은 수직 가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연결핀(Pa)(전후방향)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에 도시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브라켓(60)의 상단부가 구동링크(70)에 의하여 도면 상 우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회동브라켓(60)은 핀(Pa)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회동브라켓(60)의 하단부가 도면 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b)에 도시한 바와 같다.
여기서 도 3의 (a)에 도시한 상태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래퍼(30)가 이식컵(2) 사이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b)에 도시한 상태는 상기 구동링크(70)가 우측으로 당겨져서 회동브라켓(60)의 하단부가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래퍼(30)는 이식컵(2)의 중앙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래퍼(30)가 이식컵(2)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식컵(2) 내부를 통과하면서 이식컵(2) 내부의 흙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브라켓(60)의 원위치 복귀는, 그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귀스프링(Sa)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기에서의 이식컵은 다수 개로 구성되는 것은 당연하고, 제1컵부분(2a)과 제2컵부분(2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승하강 하는 것임은 공지된 바와 같다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스크래퍼(30)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식컵(2)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면서 흙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식컵(2)의 일측부분은 개방된 상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즉, 이식컵이 하강하여 모종 이식을 위하여 지중에 들어간 다음 상승하는 경우에는 제1컵부분(2a)과 제2컵부분(2b)이 벌어진 상태에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크래퍼(30)가 하강하면서, 그 내부의 흙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크래퍼(30)가 하강한 후에 가로 방향으로 이식컵(2)에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상기 이식컵(2)의 일측에는 제1컵부분(2a)및 제2컵부분(2b)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고, 이 역시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지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크래퍼(30,32) 및 연결링크(40,42)를 서로 근접하게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링크(40,42)를 각각 구동하는 회동브라켓(60,62)도 서로 결합된 상태의 한 쌍으로 구성하고 있다. 즉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스크래퍼(30,32)를 이식컵(2) 사이에 배치하고, 상술한 구동링크(70)의 동작에 의하여, 한 쌍의 스크래퍼(30,32) 및 연결링크(40,42)가 양측으로 벌어져서 인접하는 두 개의 이식컵(2) 내부의 흙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전체적인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보다 간단한 구조로 많은 스크래퍼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의 회동브라켓(60,62)과 구동링크(70)와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승하강블럭(142)의 일측면에는 한 쌍의 회동브라켓(60,62)이 각각 핀(Pa,Pb)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회동브라켓(60,62)은 서로 반대 방향(대칭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회동브라켓(60,62)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각각 서로 겹치도록 돌출 성형된 연동돌기(60a,62a)를 구비하고 있다. 연동돌기(60a,62a)는 서로를 형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상하에서 접촉하고 있고, 각각의 연결부분인 핀(Pa,Pb)을 중심으로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회동브라켓(60)의 연동돌기(60a)가 핀(Pa)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연동돌기(60a)가 연동돌기(62a)를 하방으로 누르기 때문에 회동브라켓(62)는 핀(62a)를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의 (a)에 도시한 상태에서 (b)에 도시한 상태로 되는데, (b)에서는 스크래퍼(30,32)가 각각 인접한 이식컵(2)의 중앙 부분에 위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브라켓(60,62)에 대한 구동링크(70)의 외력이 없어지면, 회동브라켓(60,62)의 이면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Sa)이 회동브라켓(60,62)를 서로 근접시켜서 접촉상태로 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는 (a)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 때 상기 스크래퍼(30,32)는 인접하는 이식컵(2) 사이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는 도 1에 도시한 상태와 같다.
이와 같이 상기 회동브라켓(60,62)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일측의 회동브라켓(60)을 회동시켜야 하는데,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구동링크(70)가 제1회동브라켓(60)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구동링크(70)가 도 3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회동브라켓(60)이 핀(P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동시에 제1회동브라켓(60)과 맞물려 있는 제2회동브라켓(62)도 연동돌기(60a,62a)의 연동 동작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은 회동브라켓(60,62)의 동작에 의하여, 연결링크(40,42) 및 그 단부에 설치된 스크래퍼(30,32)가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스크래퍼(30,32)는 인접하는 이식컵(30,32)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링크(40,42) 및 스크래퍼(30,32)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동작은, 상기 구동링크(70)가 도 3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한 것이다.
상기 구동링크(70)의 좌우 방향 움직임은 와이어(W)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3 및 도 4를 같이 참조하면, 상기 구동링크(70)는 연결핀(72)를 통하여 와이어(W)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W)의 타단부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F)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시소바아(80)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시소바아(80)는 그 중심축(88)이 프레임(F)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 결합된 롤러(86)는 캠부재(82)에 밀착되어 있다.
상기 캠부재(82)는, 엔진에서의 구동력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회전하는 캠축(84)에 의하여 회전하는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캠부재(82)의 외주부분은 캠축(84)에서의 길이가 상이하게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캠축(84)의 회전에 의하여 캠부재(82)는 접촉하고 있는 롤러(86)를 밀어낼 수 있게 된다. 상기 롤러(86)가 중심축(88)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시소바아(80)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W)는 당겨진다.
상기 와이어(W)가 당겨지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링크(70)가 화살표로 도시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링크(70)의 우측이동에 의하여, 스크래퍼(30,32)가 움직이는 것은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캠부재(82)가 계속회전하게 되면 회동브라켓(60,62)를 서로 끌어당기는 스프링(Sa)의 복원력에 의하여 롤러(86)는 지속적으로 캠부재(8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캠축(84)의 일회전은 실질적으로 이식컵(2)의 1행정(상하 1회전)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핀(72)은 구동링크(70)와 연결되어 있는 것 이외에도, 상기 승하강블럭(142)와도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링크(70) 자체도 승하강블럭(142)과 같이 승하강 하면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이식기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공지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는 이식컵의 승하강 운동, 그리고 이식컵에서의 제1컵부분(a) 및 제2컵부분(2b)이 상대적으로 멀어지면서 모종을 지중에 놓고 상승하는 운동 자체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식컵(2)이 내부에 모종을 가지고 지중에 들어간 후, 이식컵(2)이 열리면서 모종은 지중에 남겨두고 이식컵은 상승하게 된다.
이식컵(2)의 상승은, 연동링크(110)에 의하여 승하강블럭(142)의 하강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이 때 승하강블럭(142)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링크(40,42) 및 스크래퍼(30,32)가 하강하기 시작하면, 상기 와이어(W)가 구동링크(70)를, 도 3에서 우측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구동링크(70)의 이동은 제1회동브라켓(60)을 시계방향으로, 그리고 제2회동브라켓(6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연결링크(40,42)가 각각 양측으로 벌어지게 한다.
따라서 연결링크(40,42)의 하단부에 설치된 스크래퍼(30,32)도 양측으로 벌어져서 각 이식컵(2)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래퍼(30,32)는, 연동레버(110)에 의하여, 이식컵(2)과는 반대 방향인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식컵(2)의 중앙부분을 통과하면서 그 내부에 있는 흙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식컵(2)이 상승하게 되면, 트레이에서 다른 모종을 공급받은 후 다시 하강하게 되고, 이러한 이식컵의 하강과 같이 상기 스크래퍼(30,32)는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이식컵이 하시점에 이르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종을 지중에 심고 상승하게 되면, 스크래퍼(30,32)는 다시 벌어지면서 하강하게 되어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이식컵
2a ..... 제1컵부분
2b ..... 제2컵부분
20 ..... 이식컵 브라켓
22 ..... 수평장공
30, 32 ..... 스크래퍼
40, 42 ..... 연결링크
60, 62 ..... 회동브라켓
60a, 62a .....
72 ..... 연결핀
80 ,,,,, 시소바아
82 ..... 캠부재
84 ..... 캠축
86 ..... 롤러
88 ..... 중심축
110 ..... 연동링크
112 ..... 지지축
114 ..... 핀
116 ..... 핀
140 ..... 수직가이드
142 ..... 승하강블럭
143 ..... 연결구
146 ..... 승하강 브라켓
148 ..... 수평장공
F ..... 프레임
R ..... 이식컵 구동기구
r ..... 롤러
2a ..... 제1컵부분
2b ..... 제2컵부분
20 ..... 이식컵 브라켓
22 ..... 수평장공
30, 32 ..... 스크래퍼
40, 42 ..... 연결링크
60, 62 ..... 회동브라켓
60a, 62a .....
72 ..... 연결핀
80 ,,,,, 시소바아
82 ..... 캠부재
84 ..... 캠축
86 ..... 롤러
88 ..... 중심축
110 ..... 연동링크
112 ..... 지지축
114 ..... 핀
116 ..... 핀
140 ..... 수직가이드
142 ..... 승하강블럭
143 ..... 연결구
146 ..... 승하강 브라켓
148 ..... 수평장공
F ..... 프레임
R ..... 이식컵 구동기구
r ..... 롤러
Claims (5)
- 제1컵부분과 제2컵부분으로 구성되고, 구동기구(R)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제1컵부분과 제2컵부분의 일측이 이격되어 열린상태로 상승하는 다수의 이식컵(2)을 구비하는 이식기의 흙 제거장치에 있어서;
연결링크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식컵 내부의 흙을 제거할 수 있고, 초기 상태에서는 이식컵 사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크래퍼;
이식컵의 상승에 대해서는 상기 스크래퍼가 하강하도록 하고, 이식컵의 하강에 대해서는 스크래퍼를 상승시키는 상하이동 연동수단; 그리고
이식컵의 상승 시에는 상기 스크래퍼가 이식컵의 상하 방향 중앙에 위치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식컵의 하강 시에는 이식컵 사이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이동 연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래퍼는 이식컵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면서 하강하여 이식컵 내부의 흙을 하방으로 제거하고, 이식컵 사이을 통하여 상승하면서 초기 상태로 복귀하고:
상기 좌우이동 연동수단은;
승하강블럭에 핀(Pa) 연결되어 상기 핀을 중심으로 가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고, 서로 대칭되고 접촉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 서로를 향하여 연장된 연동돌기를 구비하는 다수의 회동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가로 방향 이동에 의하여 스크래퍼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식컵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구동링크; 그리고
상기 구동링크를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링크 이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일측의 회동브라켓이 일정 간격 회동하면, 상기 연동돌기끼리의 접촉에 의하여 역방향으로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한 쌍의 스크래퍼가 회동브라켓을 통하여 양측으로 벌어져서 인접하는 한 쌍의 이식컵 내부의 흙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의 흙 제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 연동수단은,
중간부분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단부는 상기 이식컵과 연결되어 같이 승하강하고, 제2단부는 상기 연결링크가 연결되는 승하강블럭과 연결되어 승하강블럭을 승하강시키는 연동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링크의 제1단부는 이식컵과 연동하는 이식컵 브라켓의 수평장공과 핀연결되고, 연동링크의 제2단부는 승하강블럭과 연동하는 승하강브라켓의 수평장공과 핀연결되는 이식기의 흙 제거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링크 이동수단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캠축에 설치된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와 접촉하는 롤러가 제1단부에 설치되고 중심축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링크를 가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와이어가 제2단부에 설치된 시소바아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회동브라켓에는, 서로를 연결하여 접촉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설치된 이식기의 흙 제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2693A KR101816404B1 (ko) | 2016-05-23 | 2016-05-23 | 이식기의 이식컵 흙 제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2693A KR101816404B1 (ko) | 2016-05-23 | 2016-05-23 | 이식기의 이식컵 흙 제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2373A KR20170132373A (ko) | 2017-12-04 |
KR101816404B1 true KR101816404B1 (ko) | 2018-01-12 |
Family
ID=6092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2693A KR101816404B1 (ko) | 2016-05-23 | 2016-05-23 | 이식기의 이식컵 흙 제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640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243685B (zh) * | 2018-02-06 | 2021-06-29 | 许昌职业技术学院 | 一种栽植机用复合鸭嘴 |
CN110476554B (zh) * | 2019-08-20 | 2020-09-01 | 山东崇师傅农业发展有限公司 | 一种小型手扶自走式大蒜播种机 |
CN113273361A (zh) * | 2021-04-15 | 2021-08-20 | 安徽皖南烟叶有限责任公司 | 栽植器清堵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10727B2 (ja) * | 2000-11-27 | 2011-11-09 | 井関農機株式会社 | 苗移植機 |
JP5793959B2 (ja) * | 2011-05-23 | 2015-10-14 | 井関農機株式会社 | 移植機 |
JP5817288B2 (ja) | 2011-07-25 | 2015-11-18 | 井関農機株式会社 | 移植機 |
-
2016
- 2016-05-23 KR KR1020160062693A patent/KR1018164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10727B2 (ja) * | 2000-11-27 | 2011-11-09 | 井関農機株式会社 | 苗移植機 |
JP5793959B2 (ja) * | 2011-05-23 | 2015-10-14 | 井関農機株式会社 | 移植機 |
JP5817288B2 (ja) | 2011-07-25 | 2015-11-18 | 井関農機株式会社 | 移植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2373A (ko) | 2017-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6404B1 (ko) | 이식기의 이식컵 흙 제거장치 | |
KR960002939B1 (ko) | 야채이식기 | |
KR101073105B1 (ko) | 모식기 | |
JP3142590U (ja) | ニンニク等の球根植え付け装置 | |
JP3142588U (ja) | ニンニク等の球根植え付け装置 | |
KR20160009809A (ko) | 다목적 이식기 | |
KR20160009810A (ko) | 다목적 이식기 | |
KR101824184B1 (ko) | 반자동 채소 이식기의 식부컵 조작유닛 | |
JP3514705B2 (ja) | 移植機の植付装置 | |
JP4810727B2 (ja) | 苗移植機 | |
JP3637293B2 (ja) | 移植機 | |
JP4167363B2 (ja) | 野菜移植機 | |
JP5609814B2 (ja) | 移植機 | |
JP2002125421A (ja) | 移植機 | |
JP4167362B2 (ja) | 野菜移植機 | |
JP2002233213A (ja) | 農作業機 | |
JP4167361B2 (ja) | 野菜移植機 | |
JP3621661B2 (ja) | 移植機 | |
KR101675636B1 (ko) | 양파 이식기의 이식컵 개폐장치 | |
JP2002017119A (ja) | 苗移植機 | |
JP2012065579A (ja) | 苗移植機 | |
JP4706116B2 (ja) | 苗移植機 | |
JP2020048489A (ja) | 移植機 | |
JP4359668B2 (ja) | 野菜移植機及び移植方法 | |
JPH11332318A (ja) | 苗植込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