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809A - 다목적 이식기 - Google Patents

다목적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809A
KR20160009809A KR1020140090050A KR20140090050A KR20160009809A KR 20160009809 A KR20160009809 A KR 20160009809A KR 1020140090050 A KR1020140090050 A KR 1020140090050A KR 20140090050 A KR20140090050 A KR 20140090050A KR 20160009809 A KR20160009809 A KR 20160009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hopper
cup
pai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선
소진환
권행주
임승진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9809A/ko
Priority to CN201420603954.7U priority patent/CN204362561U/zh
Publication of KR20160009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묘종을 재배지에 이식할 수 있는 다목적 이식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목적 이식기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10)와; 상기 구동원에서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한 쌍의 구동휠(20a,20b); 상기 프레임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1유압실린더; 상기 프레임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2유압실린더;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동작을, 상기 한 쌍의 구동휠을 같이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도록 변환하는 구동휠 승하강수단; 그리고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동작을, 상기 한 쌍의 구동휠 중에서 일측의 구동휠은 상승시키고 타측의 구동휠은 하강시키는 경사 보정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휠(20)의 전방에는 한 쌍의 안내휠(30)이 설치된다. 이러한 다목적 이식기는, 묘종이 이식되는 재배지의 환경에 따라서 본체(10)의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도 경사진 지면에 대해서는 본체의 좌우 높이를 변경하여 효율적인 이식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다목적 이식기{Multi-purspse transpla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목적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을 이용하여 자체 주행이 가능하고 전후 좌우의 경사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기체 자체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목적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목적 이식기는 일정한 크기로 묘종을 실제 논에 이식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고추, 배추, 브로컬리, 토마토, 가지, 옥수수 등과 같은 작물은, 먼저 씨앗을 발아시켜 일정한 크기까지 재배한 후, 실제 재배지에 이식시키는 것에 의하여 재배된다. 이와 같이 씨앗에서 발아한 후 일정한 크기로 성장한 묘종을 실제 재배지에 옮겨 심는 것을 이식이라고 한다.
지금까지 사용되는 다목적 이식기에 대해서는 대한 민국 특허 공개 2000-0028464 또는 특허 공개 1997-0073306 등에서 여러 가지 사양의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묘종의 이식에 있어서, 실제 재배지(예를 들면 일정한 높이의 두둑이 형성되어 있는 밭)는 평편한 부분도 있지만, 주행하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또는 주행 방향에 대한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고 있는 영역도 많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다목적 이식기를, 전후 또는 좌우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는 부분에서 주행시키면서 이식하는 것을 아주 힘들기 때문에 전후 또는 좌우 방향의 경사에 대한 보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다목적 이식기에서 전후 또는 좌우 방향의 경사를 보정하기 위한 장치가 거의 대부분 수동으로 조작할 수밖에 없었다. 예를 들면 일정한 경사를 가지는 재배지에 이르게 되면,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레버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통하여 이식기의 어느 일측을 높이는 동작이 수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동으로 다목적 이식기의 주행 기체의 방향을 보정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주행 기체의 하중에 더하여 이식기에 실려 있는 이식 대상물(묘종)의 하중을 고려할 때, 매우 힘든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이식 대상물이 다목적 이식기에 적재될 때, 주행 기체 전체에 대하여 주로 후방에 집중으로 적재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식대상물의 하중과 이식기 자체의 하중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것은 손쉬운 작업이 아님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압을 이용하여 전후 및 좌우 방향의 경사를 보정함으로써, 안정적인 주행 및 이식 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적으로 안정된 주행과 더불어 묘종의 이식 작업 자체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목적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다른 부수적인 목적도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이식기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구동원에서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한 쌍의 구동휠; 상기 프레임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1유압실린더; 상기 프레임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2유압실린더;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동작을, 상기 한 쌍의 구동휠을 같이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도록 변환하는 구동휠 승하강수단; 그리고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동작을, 상기 한 쌍의 구동휠 중에서 일측의 구동휠은 상승시키고 타측의 구동휠은 하강시키는 경사 보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주제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목적 이식기는, 상기 구동휠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어 구동휠에 의한 주행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휠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안내휠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내휠을 구동휠과 같이 승하강 시키는 연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휠 승하강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휠과 연결되는 구동축을 하단부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높낮이케이싱과, 상기 높낮이케이싱의 상단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회전지지축, 상기 상기 한 쌍의 회전지지축의 내측단부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한 쌍의 연결링크,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를 연결하면서, 연결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유압실린더가 동작하여, 제1피스톤로드가 연결축(44)을 밀어서 발생하는 연결링크의 회전이, 회전지지축 및 높낮이케이싱을 통하여 구동휠을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구동휠의 높낮이가 같이 변하도록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경사보정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축과 제1피스톤로드가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연결축이 중심점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연결축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연결축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한 쌍의 연결링크가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러한 회동이 회전지지축 및 높낮이케이싱을 통하여 구동휠에 전달되어, 하나의 구동휠은 상부로 다른 구동휠은 하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일측의 구동휠은 상부로 이동하고 타측의 구동휠은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경사진 지면에서도 본체는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연동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안내휠지지축과, 상기 안내휠지지축에 연결되고, 단부에는 한 쌍의 안내휠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안내휠지지바아, 그리고 상기 회전축지지축의 회전을, 상기 지지축의 역방향 회전으로 변경하는 링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식할 묘종을 그 사이에서 담을 수 있고 적어도 어느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개폐관과 제2개폐관을 포함하는 호퍼(H)와, 엔진에서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호퍼를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를 왕복 운동시키는 링크기구와; 상기 호퍼가 하사점에서는 열려서 내부의 묘종을 지중으로 낙하시키고, 상사점에서는 닫혀서 그 내부에 묘종을 받을 수 있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호퍼로 묘종을 공급할 수 있는 묘종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묘종 공급수단은 호퍼가 상사점에 위치할 때, 호퍼로 묘종을 낙하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링크기구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엔진의 출력에 의하여 링크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링크와; 외측단부가 호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 상기 제2링크의 외측단부와 같이, 외측단부가 호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5링크; 그리고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력을, 상기 제2링크 및 제5링크의 상하 방향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연결링크군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2링크 및 제5링크의 외측단부는, 호퍼의 측면에서 상하에서 연결되어 호퍼의 상하 운동을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호퍼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닫힌 상태에서 하단부가 예리한 콘 형상을 이루고, 양측으로 각각 개폐 가능하며, 상부에는 각각 플랜지부가 형성된 제1개폐관 및 제2개폐관과; 상기 제1개폐관 및 제2개폐관과 내부가 연결되는 안내관; 그리고 상기 제1개폐관 및 제2개폐관을 외측으로 열리도록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플랜지부를 지지하는 힌지연결축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를 가지는 호퍼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은, 상기 각각의 플랜지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각각 관통공을 구비하는 회동용브라켓과;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축부재를 지지하는 조작브라켓; 상기 조작브라켓을 상방으로 당겨서 제1개폐관 및 제2개폐관이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 내측단부가 상기 링크기구에 연결되고 외측단부가 일측의 플랜지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브라켓과 연결되며, 최소한의 길이까지 수축되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이중링크를 포함한다. 그리고 링크기구의 동작에 의하여 이중링크가 연동하면서 최소한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연장브라켓을 누렀을 경우 상기 제1개폐관 및 제2개폐관이 같이 열리고, 상기 이중링크가 연장브라켓에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힘에 의하여 제1개폐관 및 제2개폐관이 닫히도록 동작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묘종공급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원통상의 컵바디와, 상기 컵바디의 저면을 형성하고 탄성부재에 의하여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컵커버로 구성되며, 원형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로 구성되는 이식컵과; 상기 이식컵을 지지하는 컵프레임; 상기 이식컵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호퍼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방부분을 구비하여, 개방부분 상부의 이식컵 내부의 묘종은 하방으로 낙하시킬 수 있는 링형상의 멈춤판; 제3링크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제3링크의 운동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피딩링크; 상기 이식컵의 하부에서 컵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이식컵의 갯수에 대응하는 캠홈이 외측면에 형성된 컵회전자; 그리고 상기 피딩링크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캠홈을 이용하여 컵회전자를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회전시키며, 호퍼의 한 싸이클에 대하여 캠홈을 한 번 밀게 되는 래치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목적 이식기는, 묘종을 이식하는 재배지의 여건에 따라서 전체적인 높이를 상승시키거나 좌우 방향의 경사를 보정함으로써, 본체를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식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목적 이식기에 의하면, 하나의 엔진에서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본체의 주행 및 이식작업을 위한 호퍼의 승하강을 가장 효율적으로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최적화된 구조는 다목적 이식기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목적 이식기에 의하면, 묘종을 이식컵에서 호퍼로 가장 효율적으로 낙하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호퍼는 묘종을 지중으로 가장 효율적으로 심을 수 있어서, 실제 이식기의 동작에서도 충분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작용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부분적인 작용효과를 비롯한 특징은 이하의 설명에서 보다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다목적 이식기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다목적 이식기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다목적 이식기의 측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 다목적 이식기의 저면 예시도.
도 5A는 호퍼가 상사점에 위치할 때의 링크기구를 보인 측면 예시도.
도 5B는 호퍼가 하사점에 위치할 때의 링크기구를 보인 측면 예시도.
도 5C는 도 5A의 이면을 보인 측면 예시도.
도 5D는 도 5B의 이면을 보인 측면 예시도.
도 6A는 호퍼가 상사점에 위치할 때의 호퍼 부근의 확대 사시도.
도 6B는 호퍼가 하사점에 위치할 때의 호퍼 부근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이식컵 어셈블리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8은 이식컵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해당 요부만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9는 이식컵 어셈블리의 저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의 다목적 이식기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다목적 이식기의 전체적인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 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목적 이식기는, 엔진 및 트랜스미션을 포함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서 발생하는 출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휠(2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본체(10)라고 함은, 구동원이라고 할 수 있는 엔진과, 상기 엔진에서의 출력을 요구되는 부분으로 출력을 조절하여 전달하는 트랜스미션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프레임(F)이 포함되는데, 본 명세서에서 프레임(F)은 엔진 및 트랜스미션을 지지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목적 이식기의 구성부품을 지지하는 것의 총칭을 정의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F)에는, 다수의 묘종을 올려놓기 위한 묘종지지판(12)이 지지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이식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핸들(14) 등도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14) 또는 핸들과 인접한 프레임(F)에는 다목적 이식기의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주행레버(16)가 설치된다. 그외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엔진 및 트랜스미션 등을 지지하는 요부 뿐만 아니라, 구동휠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것은 모두 프레임으로 칭하기로 정의한다.
본 발명 다목적 이식기에 장착된 한 쌍의 구동휠(20)은, 엔진(E)(도 2 참조)에서 트랜스미션을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휠(20)의 전방의 좌우 부분에는 한 쌍의 안내휠(30:30a,30b)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안내휠(30) 역시 상술한 프레임(F)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휠(30)은 동력은 전달되지 않는 상태에서 단순히 지면과 접촉하면서, 구동휠(20)의 회전력에 따라서 주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식기는, 상기 한 쌍의 구동휠(20)에 의하여 본체(10)의 전체적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우 한 쌍의 구동휠(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동휠(20a 또는 20b)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면, 본체(10)는 좌우 중의 어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여기서 본체(10)가 경사지게 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는 경사진 재배지에 대하여 그 경사를 보정하여 본체(10)가 수평 방향으로 보정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구동휠(20)은 한 쌍의 높낮이케이싱(22)과 연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한 쌍의 높낮이케이싱(22)이 회전지지축(24:24a,24b)을 중심으로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한 쌍의 구동휠(20)에 대하여 프레임(F)을 포함하는 본체(10)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본체(10)의 전체적인 높이의 변화 및 좌우 방향으로의 경사 변화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다목적 이식기의 본체(10)가 전체적으로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구동휠(20:20a,20b)은 각각 높낮이케이싱(22:22a,22b)의 외측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높낮이케이싱(22a,22b)의 내측단부는 회전지지축(24:24a,24b)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지지축(24a,24b)이 어느 일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높낮이케이싱(22a,22b)도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지지축(24a,24b) 및 높낮이케이싱(22a,22b)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높낮이케이싱(22a,22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구동휠(20a,20b)은 더욱 낮아지게 된다. 여기서 구동휠(20a,20b)이 지면에 접촉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구동휠(20a,20b)이 더욱 낮아진다는 것은 실질적으로는 본체(10)가 높아진다는 것과 같은 의미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식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한 쌍의 구동휠(20a,20b)과, 상기 구동휠 보다 전방에 배치된 한 쌍의 안내휠(30a,30b)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주행하는 것을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안내휠(30a,30b)은 비록 동력의 전달은 없지만, 지면에 접촉하면서 주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위에서와 같이 구동휠(20a,20b)과 동일하게 높이에 대하여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낮이케이싱(22a,22b)의 전방측에는 제1링크(La)가 고정되어 있어서, 높낮이케이싱(22a,22b)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서 같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La)는 제2링크(Lb)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제1링크(La)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하여 제2링크(Lb)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동 방향은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제2링크(Lb)는 제3링크(Lc)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제3링크(Lc)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도 1을 같이 참조하면, 상기 제3링크(Lc)는, 육각형의 안내휠지지축(36) 외측에 삽입되어 있는 육각형 연결구(33a)와 연결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상기 안내휠지지축(36)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육각형연결구(33a) 및 안내휠지지축(36)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실질적으로 안내휠지지바아(32a,32b)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안내휠(30a,30b)이 상술한 구동휠(20a,20b)과 동일하게 높낮이 변화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육각형의 안내휠지지축(36) 및 연결구(33a)는 예시적인 구성이라고 할 수 있고, 안내휠지지축(36)이 제3링크(Lc)에 의하여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이 안내휠지지바아(32a,32b)을 회전시켜서 안내휠(30a,30b)의 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상기 안내휠지지축(36)은 프레임(F)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데, 예를 들면 원통상의 지지구(37)에 의하여 프레임(F)에 회전 가능하도록 횡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33a)는 상기 안내휠지지축(36)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하는 위치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연결구(33a)에 결합된 고정볼트를 조임으로써 그 위치에 연결구(33a)를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연결구(33a)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한 쌍의 안내휠(3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의미이고, 이는 이식하고자 하는 재배지의 두둑의 폭에 적절하게 대응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이식이 가능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를 전체적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것에 의한 높이조절은, 회전지지축(24a,24b)에 의하여 높낮이케이싱(22a,22b)이 동시에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진행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것은, 상기 회전지지축(24)의 일방향 회전을, 상술한 다수의 링크(La,Lb,Lc) 기구가, 안내휠지지축(36)을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체(10)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회전지지축(24)과 안내휠지지축(36)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안내휠지지바아(32a) 및 높낮이케이싱(22)가 각각 안내휠지지축(36) 및 회전지지축(2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서로 근접하게 된다. 안내휠지지바아(32a)와 높낮이케이싱(22)이 회동하여 서로 근접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안내휠(30) 및 구동휠(20)은 하방으로 내려가게 되어, 궁극적으로 본체(10)는 상승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한 쌍의 회전지지축(24a,24b)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지지축(24a,24b)의 각각의 내측에는 연결링크(42a,42b)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42a,42b)의 단부는 연결축(4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축(44)이 회전지지축(24a,24b)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연결링크(42a,42b)에 의하여 회전지지축(24a,24b)이 회전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지축(24a,24b)이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구동휠(20a,20b)이 회전지지축(24a,24b)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연결축(44)에는 제1유압실린더(46)의 제1피스톤로드(46a)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F)에 지지되어 있는 제1유압실린더(46)에 유압이 출입하게 되면 상기 제1피스톤로드(46a)가 전후진하는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피스톤로드(46a)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연결축(44)은 연결링크(42a,42b)를 통하여 회전지지축(24a,24b)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동작은 한 쌍의 회전지지축(24a,24b)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동휠(20a,20b)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구동휠은 이러한 회전에 따라서 하방 또는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회전에 의한 구동휠(20a,20b)의 상하 이동은, 상대적으로 본체(10)를 하방 또는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었다.
다음에는 상기 한 쌍의 회전지지축(24a,24b)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일측의 회전지지축(24a)이 다른 회전지지축(24b)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하나의 구동휠(24a)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다른 구동휠(24b)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휠(24a,24b)과 안내휠(30a,30b)은 같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제1피스톤로드(46a)는 상기 연결축(44)에 상하방향으로 핀연결되어 있어서, 수평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제1피스톤로드(46a)는 상기 연결축(44)의 중심에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46)의 일측에는 제2유압실린더(4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유압실린더(48)의 후단부는 연결구(48b)에 의하여 제1유압실린더(46)과 같이 지지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후단부는 고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유압실린더(48)가 동작하면, 그 피스톤로드(도면에서는 피스톤로드가 유압실린더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라고 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연결축(44)을 밀거나 당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축(44)은 제1유압실린더(46)와 연결된 중심점(O)을 중심으로 도 4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좌우 방향으로 일정 범위 회동하게 된다.
상기 연결축(44)이 수평면 상에서 회동할 때, 예를 들면 도 2를 기준으로 하면 연결축(44)의 좌측부분이 후방으로 당겨진다고 가정하면, 일측(좌측)의 연결링크(42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지지축(24a) 및 높낮이케이싱(22a)를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좌측의 구동휠(20a)은 높낮이케이싱(22a)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휠(20a)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안내휠(30a)도 같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됨은 상술한 바와 같고, 구동휠(20a) 및 안내휠(30a)의 상향 이동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본체(10)의 좌측부분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축(44)의 우측부분은 전방으로 밀어지게 되는데, 우측의 연결링크(42b)는 회전지지축(24b)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회전지지축(24b)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우측의 회전지지축(24b)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는 것은 구동휠(20b)이 하강하는 결과로 나타나게 되고, 구동휠(20b)은 실질적으로 우측의 안내휠(30b)와 같이 움직이기 때문에, 구동휠(20b)과 안내휠(30b)이 같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우측의 구동휠 및 안내휠(30b)의 하향 이동에 따라서 본체의 우측부분은 높아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유압실린더(46)가 연결축(44)을 전방으로 밀게 되면 한 쌍의 회전지지축(24a,24b)이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서 높낮이케이싱(22a,22b)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휠(20a,20b) 및 안내휠(30a,30b)을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본체(10)는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의 상승동작은 본 발명의 다목적 이식기가 작동하는 도중에, 묘종을 이식하고자 하는 두둑의 높이가 높아지면, 이러한 높이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묘종을 이식하고자 하는 두둑의 높이가 낮아지면 상술한 바와 같은 반대 방향의 동작에 의하여 본체(10)의 높이를 낮출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2유압실린더(48)는, 상기 연결축(44)을 수평면 상에서 중심(O)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일정 범위내에서 회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축(44)의 회동 동작은, 일측의 회전지지축(24a) 및 높낮이케이싱(22a)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타측의 회전지지축(24b) 및 높낮이케이싱(22b)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일측의 구동휠(20a) 및 안내휠(30a)은 낮아져서 본체의 일측(좌측)은 높아지게 되고, 타측의 구동휠(20b) 및 안내휠(30a)은 높아져서 본체의 타측(우측)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주행하는 다목적 이식기가 주행 방향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일측으로 경사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이와 같은 제2유압실린더(48)의 조작에 의하여 이러한 경사를 보정하여 수평상태로 다목적 이식기를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묘종의 이식이 더욱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지지축(24a,24b)의 내부에는, 엔진에서의 동력이 전달되는 동력전달축이 내장되어 있다. 즉 엔진에서의 동력은 벨트 및 다른 동력전달요소를 통하여 회전지지축(24a) 내부의 동력전달축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높낮이케이싱(22a,22b)의 내부에는 체인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술한 동력전달축과 구동휠20a,20b)의 구동축(27)(도 1 및 도 2 참조)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한다. 즉 상술한 동력전달축 및 구동축(27)에 각각 설치된 스프라켓이, 엔진에서의 동력이 전달되는 동력전달축에서 상기 구동휠(20a,20b)로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축(27)은 높낮이케이싱(22)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높낮이케이싱(22)의 상승 또는 하강동작에 연동하면서, 구동휠(20)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구동휠(20)은 엔진에서의 동력에 기초하여, 회전하면서 본체(10)를 주행시키는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안내휠(30)은 상기 구동휠(20)의 전방에 설치되어, 묘종을 이식하는 두둔의 양측면에 접촉하면서 주행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안내휠(30)의 내측에는 경사진 두둑의 양측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경사면(30k)이 성형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주행장치를 통하여 주행하면서, 묘종을 이식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휠(20)의 주행 동력은 엔진에서 전달되는 것은 당연하고, 후술하는 이식을 위한 동력도 엔진에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휠(20)로의 동력의 전달과 후술하는 이식부로의 동력의 전달은, 각각 상이한 변속비를 가지는 트랜스미션을 통하여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목적 이식기의 프레임(F)에는, 다수의 링크로 구성되는 링크기구(L)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링크기구(L)의 단부에는 호퍼(H)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호퍼(H)는, 이식컵(C)에서 묘종을 받아서, 지중에 이식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식컵(C)으로의 묘종의 공급은, 묘종지지판(12)에 있는 묘종을 작업자가 상기 이식컵(C)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진행된다.
먼저 상기 링크기구(L)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링크기구(L)는 호퍼(H)를 승하강 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호퍼(H)를 승하강시키는 것에 의하여, 호퍼(H)의 상사점에서는 상기 이식컵(C)에서 떨어지는 묘종을 호퍼(H)의 내부에 공급받아서, 하방으로 이동한 후 호퍼(H)의 하사점에서는 지중으로 묘종을 이식하게 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기구(L)는, 링크회전축(S)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링크(52)와, 상기 회전링크(52)의 하단부에, 내측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54), 그리고 상기 제1링크(54)의 외측단부에, 내측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5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링크(56)의 외측단부는 호퍼(H)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내측단부 또는 외측단부는 상기 회전링크(52)를 중심으로 가까운 부분을 내측, 그리고 먼 부분을 외측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54)의 중간부분에는 제3링크(66)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제3링크(66)의 상단부는 지지점(Pa)에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제4링크(64)도 프레임(F)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제3링크(66)가 지지되는 부근 또는 동일한 지지점(Pa)에서 프레임(F)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상기 제4링크(64)의 상단부(64a)는 상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단부(64a)는 상술한 이식컵(C)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4링크(64)의 하단부에는 제2링크(56)의 중간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예를 들면 지지점(Pb)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점(Pb)에는, 제5링크(58)의 내측단부와 연결되는 연결링크(69)(도 5C 및 도 B 참조)의 중간 부분도 연결된다. 참고로 도 5C는 도 5A의 이면에 대응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링크(69)는 L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간부분이 상술한 제5링크(58)의 하단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링크(69)의 내측단부(하단부)는 제5링크(58)의 내측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연결링크(69)의 외측단부(상단부)는 호퍼개폐링크(62)의 내측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5링크(58)의 외측단부는 호퍼(H)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호퍼(H)는 제2링크(56) 및 제5링크(58)의 각각의 외측단부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2링크(56)의 외측단부는 제5링크(58)의 외측단부 보다 상부에서 호퍼(H)를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상기 제2링크(56) 및 제5링크(58)의 외측단부는, 호퍼(H)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브라켓(71)에 상하로 각각 연결(이점 연결)되어 있어서, 호퍼(H)의 승하강을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링크기구(L)는, 엔진의 출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링크회전축(S)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링크(52)와, 호퍼(H)를 지지하는 제2링크(56) 및 제5링크(58), 그리고 상기 회전링크(52)와 제2링크(56) 및 제5링크(58)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링크(54,64,66,69)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링크(54,64,66,69)는 실질적으로 회전링크(52)의 회전운동을, 제2링크(56) 및 제5링크(58)의 외측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연결링크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링크군(54,64,66,69)의 구성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당연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지지되는 호퍼(H)는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링크(66)는 스프링(55)에 의하여 프레임(F)과 연결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어느 일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스프링(55)은 회전링크(52)에 의하여 링크기구(L)가 전체적으로 동작할 때, 예를 들면 제3링크(66)를 일측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것에 의하여 링크기구(L)의 전체적인 동작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55) 이외에도,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스프링(55a)이 제6링크(66)와 호퍼개폐링크(62)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탄성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한 상태는 호퍼(H)가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이고, 도 5B에 도시한 상태는 호퍼(H)가 하사점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엔진에서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링크회전축(S)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에 의하여 진행되는데, 링크회전축(S)의 일회전은, 호퍼(H)의 1싸이클을 형성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링크회전축(S)이 일회전하게 되면, 다시 도 5에 도시한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도 5B의 상태는 호퍼(H)가 하사점에 위치한 상태이고, 이는 상기 링크회전축(S)이 180도 회전한 상태이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회전축(S)에 의하여 회전링크(52)가 180도 회전하면, 제1링크(54)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3링크(66)는 지지점(P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제4링크(64)도 같이 프레임(F)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3링크(66) 및 제4링크(64)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서 제2링크(56) 및 제5링크(58)는, 내측단부에 대하여 외측단부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링크(56) 및 제5링크(58)의 외측단부에 지지되어 있는 호퍼(H)는 하강하게 되고,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하사점 위치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연결링크(69)의 중간부분은 지지점(Pa)에서 제4링크(64)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있고, 내측단부 및 외측단부는 각각 호퍼개폐링크(62) 및 제5링크(58)와 연결되어 있어서, 각 링크들의 움직임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호퍼(H)는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를 반복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호퍼(H)가 상사점과 하사점을 반복하여 이동할 때, 호퍼(H)의 상하 운동은 직선 운동이 아니고, 본체(10)의 정지상태에서 볼 때 타원형과 유사한 곡선이라고 할 수 있고, 본체(10)가 주행하는 상태에서는 싸이클로이드 곡선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사점에서의 호퍼(H)는 닫힌 상태를 가지고 있고, 하사점에서의 호퍼(H)는 열린 상태를 가지고 있다. 즉 상사점 부근에서 상기 호퍼(H)에는 이식컵(C)에서 떨어지는 묘종을 받아서 내부에 가지고 있다고, 하사점 부근에 왔을 때 호퍼(H)가 열리면서 묘종을 지중에 이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호퍼(H)가 하사점 부근에 왔을 때, 호퍼(H)의 선단부가 땅속으로 들어가면서 열리게 되고, 이를 위하여 상기 호퍼(H)의 하단부는 예리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는 도 5A 및 5B, 그리고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서 상기 호퍼(H)의 개폐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5A 및 5B를 참고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호퍼개폐링크(62)의 상단부는 프레임(F)에 지지점(Pc)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호퍼개폐링크(62)의 하단부는, 이중링크(70)의 내측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중링크(70)의 외측단부는 호퍼(H)에 연결된다. 상기 이중링크(70)는 직선형으로 두개의 원통상의 링크로 구성되는데, 일측의 원통상의 링크가 타측의 원통상의 링크 내부로 삽입되어 있어서, 전체적인 길이가 늘어나거나 축소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서 호퍼(H)의 구조와 호퍼(H)를 개폐하기 위한 동작을 상기 호퍼개폐링크(62) 및 이중링크(70)와 관련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호퍼(H)는 제2링크(56) 및 제5링크(58)의 외측단부에서 같이 지지되는데, 예를 들면 호퍼(H)에 고정되어 있는 ㄷ자형의 고정브라켓(7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호퍼(H)는 상부에서 묘종을 받기 위한 원통형의 안내관(72)과, 상기 안내관(72)의 하부에 설치되는 개폐관(74,76)으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71)은 안내관(72)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관(72)의 상단부에는 묘종의 안내를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가 점진적으로 넓게 형성된 안내관입구(72a)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안내관(72) 하부에 연결되는 개폐관(74,76)은, 상술한 바와 같이, 뾰족한 하단부를 가지면서, 서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지중에 들어가면서 열려서 내부의 묘종을 낙하시키고, 상부로 올라가면서 닫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개폐관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개폐관(74)과 제2개폐관(76)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관(74,76)의 상단부는 반 링형상으로 성형되는 플랜지부(74a,76a)가 연결되거나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관(74,76)은 상기 플랜지부(74a,76a)와의 연결구조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개폐관(74,76)은 힌지연결축(82a,82b)에 의하여 각각 외측으로 열릴 수 있도록 지지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안내관(72)에 고정된 부착브라켓(83a,83b)에 각각의 힌지연결축(82a,82b)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연결축(82a,82b)은 각각의 개폐관(74,76)에 연결되는데, 예를 들면 각각의 플랜지부(74a,76a)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85a,85b)을 통하여 개폐관(74,76)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74a,76a)의 양측에는 각각 한쌍의 회동용브라켓(74b,76b)이 돌출 성형되어 있다. 도 6A에서는 일측의 회동용브라켓(74b,76b)이 보이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 회동용브라켓(74b,76b)은 서로 중복되도록 겹쳐지면서, 축부재(Pe)가 관통하면서 지지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Pe)는 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축부재(Pe)의 내측단부는, 상기 회동용브라켓(74b,76b)을 사이에 두고 조작브라켓(78)과 나사결합되는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축부재(Pe)가 회동용브라켓(74b,76b)를 관통하는 관통공은, 도 6A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하 방향의 힘에 대해서는 축부재(Pe)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고, 좌우방향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개폐관(74)과 제2개폐관(76)이 열리는 방향으로는 회동용브라켓(74b,76a)가 힌지연결축(82a,82b)을 중심으로 각각 열리는 방향을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호형 슬롯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작브라켓(78)은 상기 안내관(72)의 외측에 상단부가 지지되고 있는 스프링(79)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스프링(79)의 복원력에 의하여 항상 상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79)이 조작브라켓(78)을 상방으로 당기는 힘은, 한 쌍의 회동용브라켓(74b,76b)을 상방으로 당기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제1개폐관(74) 및 제2개폐관(76)은 힌지연결축(82a,82b)을 중심으로 서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축부재(Pe)는 상하방향으로 일정 구간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링(79)에 의하여 상방으로 당겨지면 제1개폐관(74) 및 제2개폐관(76)은 닫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호퍼(H)의 상승위치에서는 호퍼(H)와 호퍼개폐링크(62)의 하단부와는 멀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이중링크(70)은 길게 연장된 상태이다. 그리고 호퍼(H)가 하사점에 위치하면 호퍼(H)와 호퍼개폐링크(62)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이중링크(70)의 길이는 단축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이중링크(70)는 두개의 원통형관으로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호퍼(H)의 위치에 따라서 그 길이가 가변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링크(70)의 길이가 긴 상태에서, 호퍼(H)가 하강함에 따라서 이중링크(70)의 길이는 점점 축소되어 간다. 그리고 이렇게 하강하는 과정에서도 상기 스프링(79)의 힘에 의하여 제1개폐관(74) 및 제2개폐관(74)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호퍼(H)가 하강하여 하사점 부근에 이르게 되면, 상기 이중링크(70)은 완전히 축소되어 더 이상 축소될 수 없는 최소한의 길이를 가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이중링크(70)의 외측단부는, 제1개폐관(74)의 플랜지부(74a) 상부로 연장된 연장브라켓(92)을 연결축(93)을 통하여 밀게 된다. 상기 연결축(93)은 힌지연결축(82b) 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축(93)이 이중링크(70)에 의하여 밀리게 되면 상기 힌지연결축(82b)를 중심으로 제1개폐관(74)는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렇게 제1개폐관(74)이 열리게 되면, 상기 플랜지부(74b) 및 회동용브라켓(74b)도 같이 열리는 방향을 회동하게 되어, 상기 축부재(Pe)를 하방으로 누르게 된다.
상기 축부재(Pe)가 하방으로 일정 간격 이동하게 되면 제2개폐관(76)의 회동용브라켓(76b)도 외측으로 열리게 된다. 즉, 상기 이중링크(74)가 제1개폐관(74)을 외측으로 열게 되면, 제2개폐관(76)도 같이 열리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호퍼(H)가 열린 상태가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도 6B에서는, 축부재(Pe)가 회동용브라켓(74b,76b)을 관통하는 관통공(77)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공(77)은 축부재(Pe)의 상하 방향 운동은 가능하면서, 회동용브라켓(74b,76b)가 열리는 방향으로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좌우방향(호퍼가 닫힌 상태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일장한 길이를 가지거나 원호형으로 성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개폐관(74) 및 제2개폐관(76)이 열리는 것은, 실질적으로 호퍼(H)의 예리한 하단부가 지면을 파고 들어가면서 하사점에 도달하는 순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이중링크(70)의 길이는 최소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때 상기 스프링(79)은 늘어난 상태[이중링크(70)가 미는 힘에 의하여 늘어난 상태]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렇게 하여 호퍼(H)가 열리게 되면 그 내부에 들어있는 묘종이 지중에 심어지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주행과 같이 상술한 링크기구(L)에 의하여 호퍼(H)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중링크(70)의 길이는 일정 구간은 최단 길이를 유지하다가 점점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호퍼(H)가 상승하면서, 이중링크(7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스프링(79)을 신장시킨 힘이 제거되면서, 스프링(79)의 탄성복원력은 상기 축부재(Pe)를 상방으로 당기게 된다. 이러한 축부재(Pe)의 상방 이동에 따라서 회동용브라켓(74b,76b)이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서 제1개폐관(74) 및 제2개폐관(76)은 스프링(79)의 힘에 의하여 닫히게 된다.
그리고 호퍼(H)는 이와 같이 제1개폐관(74) 및 제2개폐관(76)이 닫힌 상태에서 상승하게 되어, 도 5A 및 도 6A에 도시한 상사점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링크기구(L)의 동작에 의하여 위와 같은 싸이클을 반복하면서 묘종을 지중에 이식하게 될 것이다. 이상까지의 설명에 의하면, 본체(10)가 주행하면서 호퍼(H)는 묘종을 하나씩 지중에 이식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 호퍼(H)에 이식하기 위한 묘종을 하나씩 공급하는 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4링크(64)의 상단부(64a)는 다른 링크에 비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제4링크(64)가 지지점(Pa)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동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상단부(64a)는 도면 상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4링크(64)의 상단부(64a)의 좌우 이동(실제로는 본체의 주행 방향에 대한 전후 이동)에 기초하여 이식컵(C)이 회전하게 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식컵(C)은 다수 개가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식컵(C)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있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다수 개의 이식컵(C)은, 컵프레임(102)에 의하여 원형으로 배열되어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이식컵(C)은 원통상의 컵바디(Cb)와, 컵바디(Cb)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컵커버(Cc)로 구성된다. 상기 컵커버(Cc)는 컵바디(Cb)의 하단부 일측에서 힌지(104)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힌지(104)의 회동 동작에 의하여 컵바디(Cb)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104)의 외측은, 상단부가 컵바디(Cb)에 연결된 컵스프링(101)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컵스프링(101)은 상기 힌지(104)를 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어서, 실질적으로 컵커버(Cc)는 컵스프링(101)에 의하여 항상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컵프레임(102)에 의하여 다수의 이식컵(C)이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컵프레임(102)은 하부의 컵지지플레이트(102a)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컵프레임(102)은 다수의 이식컵(C)을 원형으로 배열하여 지지하는 것이면 어떠한 구조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컵지지플레이트(102a)의 저면에는 컵회전자(10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컵회전자(103)는 중심축(103b)을 통하여 컵프레임(102)과 연결되어 있어서, 컵회전자(103)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컵프레임(102)이 회전하게 되면서 이식컵(C)이 연동하게 회전하게 된다. 상기 컵회전자(103)에는, 이식컵(C)의 갯수에 대응하는 캠홈(10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홈(103a)은 일방향으로는 완만한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면이 형성됨으로써, 래치(95)의 동작에 의하여 일방향으로만 회전한다.
그리고 상술한 제4링크(64)의 상단부(64a)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딩링크(96)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딩링크(96)의 타단부는 래치(95)와 연결핀(95b)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95)의 내측단부에는 걸림부재(95a)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부재(95a)는, 그 단부가 상기 컵회전자(103)에 밀착되도록, 예를 들면 토션스프링(95s)(도 7 참조)에 의하여 걸림부재(95a)의 단부가 컵회전자(103)으로 밀착되어 있다.
상기 제4링크(64)의 상단부(64a)가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수행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이러한 상단부(64a)의 전후 방향 왕복 운동은 피딩링크(96)의 왕복이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상기 피딩링크(96)의 왕복 이동은, 상기 래치(95)가 지지점(95c)를 중심으로 하는 반복 원호 운동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95)의 반복되는 원호 운동은 걸림부재(95a)의 운동으로 이어지는데, 이때 상기 걸림부재(95a)의 단부는 컵회전자(103)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래치(95)에 연결된 걸림부재(95a)가 움직이게 되면, 그 단부가 상술한 캠홈(103a)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컵회전자(103)를 도 9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4링크(64)의 상단부(64a)와 연결된 피딩링크(96)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싸이클에서, 상기 래치(95)는 지지점을 중심으로 반복되는 원호운동을 수행하게 되고, 래치(95)의 단부에 설치되는 걸림부재(95a)가 캠홈(103a)에 걸려서 컵회전자(C)를 일정 구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재(95a)는 래치(95)의 반대 방향 이동시에는 캠홈(103a)의 완만한 부분을 타고 넘어서 다음 번의 캠홈(103a)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95a)는, 래치(95)의 한 싸이클에 대하여 하나의 캠홈(103a)에 걸려서 컵회전자(103)를 회전시키는데, 이때 컵회전자(103)의 회전각도는 360도에서 캠홈(103a) 및 이식컵(C)의 갯수를 나눈 각도이다. 따라서 피딩링크(96)의 한 싸이클에 대하여 캠홈(103a)의 사이의 각도 만큼 상기 컵회전자(103)를 회전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95a)가 어느 하나의 캠홈(103a)에 접촉하여 컵회전자(103)를 이송시킨 후, 상기 걸림부재(95a)는 상기 캠홈(103a)의 다음 번의 캠홈에 걸리게 되고, 피딩링크(96)의 동작에 따라서 컵회전자(103)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식컵(C)의 하단부에는 링형상의 멈춤판(9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멈춤판(97)은 이식컵(C)의 바로 하부에 설치되어, 이식컵(C)의 컵커버(Cc)가 스프링(101)에 의하여 열리는 것을 막고 있다. 상기 멈춤판(97)의 일부분에는 개방부분(97a)가 형성되는데, 이 개방부분(97a)은 실질적으로 컵커버(Cc)가 열릴 수 있도록 비어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부분(97a)는 상술한 호퍼(H)의 직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컵회전자(103)에 의하여 회전하는 이식컵(C)은 상기 호퍼(H)의 직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개방부분(97a)에 의하여 컵커버(Cc)가 열리게 된다. 상기 컵커버(Cc)가 열리게 되면, 그 내부에 있는 묘종이 하부로 떨어져서 호퍼(H)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호퍼(H) 내부에서의 묘종이 지중에 이식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유압실린더(46)는 본체(10)의 전체적인 승하강을 제어하고, 제2유압실린더(48)는 본체(10)의 좌우측 경사를 보정하기 위한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46) 및 제2유압실린더(48)에 유압의 출입을 제어하는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유압펌프는 본체(10)의 어디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체(10)의 핸들(14)에 가까운 곳에 조작레버(17)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레버(17)의 근처에 유압펌프(13)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조작레버(17)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유압실린더(46) 및 제2유압실린더(48)로의 유압의 출입이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유압펌프(13) 자체의 구성은 공지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고, 구동원 및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조작레버(17)의 조작에 의하여, 제1유압실린더(46) 및 제2유압실린더(48)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이식기에 의하면, 엔진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기초하여, 구동휠(20)이 회전하면서 주행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호퍼(H)에 의한 묘종의 이식 작업이 진행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묘종을 이식하고자 하는 재배지의 두둑의 높이에 대응하여 본체(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재배지의 경사에 대응하여 본체(1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함은 알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묘종지지판
13 ..... 유압펌프
14 ..... 핸들
16 ..... 주행레버
17 ..... 조작레버
20, 20a, 20b ..... 구동휠
22, 22a, 22b ..... 높낮이케이싱
24, 24a, 24b ..... 회전지지축
30, 30a, 30b ..... 안내휠
30k ..... 경사면
32a ....
36 ..... 육각형 지지축
37 ..... 지지구
42, 42a, 42b ..... 연결링크
44 ..... 연결축
46 ..... 제1유압실린더
46a ..... 제1피스톤로드
48 ..... 제2유압실린더
52 ..... 회전링크
54 ..... 제1링크
55 ..... 스프링
56 ..... 제2링크
58 ..... 제5링크
62 ..... 호퍼개폐링크
64 ..... 제4링크
66 ..... 제3링크
70 ..... 이중링크
72 ..... 안내관
72a ..... 안내관입구
74 ..... 제1개폐관
74a, 76a ..... 플랜지부
74b, 76b ..... 회동용 브라켓
76 ..... 제2개폐관
78 ..... 조작브라켓
79 ..... 스프링
82a, 82b ..... 힌지연결축
83a, 83b ..... 부착브라켓
85a, 85b ..... 고정브라켓
92 .... 연장브라켓
95 ..... 래치
95a ..... 걸림부재
95b ..... 연결핀
95c ..... 지지점
96 ..... 피딩링크
97 ..... 멈춤판
97a ..... 개방부분
102 ..... 컵프레임
103 ..... 컵회전자
103a ..... 캠홈
103b ..... 중심축
C ..... 이식컵
Ca ..... 컵바디
Cb ..... 컵커버
F ..... 프레임
H ..... 호퍼
L ..... 링크기구

Claims (12)

  1.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10)와;
    상기 구동원에서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한 쌍의 구동휠(20a,20b);
    상기 프레임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1유압실린더;
    상기 프레임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2유압실린더;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동작을, 상기 한 쌍의 구동휠을 같이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도록 변환하는 구동휠 승하강수단; 그리고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동작을, 상기 한 쌍의 구동휠 중에서 일측의 구동휠은 상승시키고 타측의 구동휠은 하강시키는 경사 보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목적 이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어 구동휠에 의한 주행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휠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목적 이식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휠을 구동휠과 같이 승하강 시키는 연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목적 이식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 승하강수단은,
    상기 구동휠과 연결되는 구동축(27)을 하단부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높낮이케이싱(20)과, 상기 높낮이케이싱의 상단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회전지지축(24), 상기 상기 한 쌍의 회전지지축의 내측단부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한 쌍의 연결링크,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를 연결하면서, 연결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축(4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가 동작하여, 제1피스톤로드가 연결축(44)을 밀어서 발생하는 연결링크의 회전이, 회전지지축 및 높낮이케이싱을 통하여 구동휠을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구동휠의 높낮이가 같이 변하게 되는 다목적 이식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보정수단은,
    상기 연결축과 제1피스톤로드가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연결축이 중심점(O)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연결축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연결축은 중심점(O)을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한 쌍의 연결링크(42a,42b)가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러한 회동이 회전지지축 및 높낮이케이싱을 통하여 구동휠에 전달되어, 하나의 구동휠은 상부로 다른 구동휠은 하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다목적 이식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안내휠지지축(36)과,
    상기 지지축에 연결되고, 단부에는 한 쌍의 안내휠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안내휠지지바아(32a), 그리고
    상기 회전축지지축(24)의 회전을, 상기 안내휠지지축(36)의 역방향 회전으로 변경하는 링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목적 이식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이식할 묘종을 그 사이에서 담을 수 있고 적어도 어느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개폐관과 제2개폐관을 포함하는 호퍼(H)와, 엔진에서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호퍼를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를 왕복 운동시키는 링크기구(L)와;
    상기 호퍼가 하사점에서는 열려서 내부의 묘종을 지중으로 낙하시키고, 상사점에서는 닫혀서 그 내부에 묘종을 받을 수 있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목적 이식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로 묘종을 공급할 수 있는 묘종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묘종 공급수단은 호퍼가 상사점에 위치할 때, 호퍼로 묘종을 낙하시키는 다목적 이식기.
  9.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엔진의 출력에 의하여 링크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링크(52)와;
    외측단부가 호퍼(H)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56);
    상기 제2링크의 외측단부와 같이, 외측단부가 호퍼(H)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5링크(58); 그리고
    상기 회전링크(52)의 회전력을, 상기 제2링크(56) 및 제5링크(58)의 상하 방향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연결링크군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링크 및 제5링크의 외측단부는, 호퍼의 측면에서 상하에서 연결되어 호퍼의 상하 운동을 지지하는 다목적 이식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닫힌 상태에서 하단부가 예리한 콘 형상을 이루고, 양측으로 각각 개폐 가능하며, 상부에는 각각 플랜지부(74a,76a)가 형성된 제1개폐관 및 제2개폐관과;
    상기 제1개폐관 및 제2개폐관과 내부가 연결되는 안내관(72); 그리고
    상기 제1개폐관 및 제2개폐관을 외측으로 열리도록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플랜지부를 지지하는 힌지연결축(82a,82b)으로 구성되는 다목적 이식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각각의 플랜지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각각 관통공을 구비하는 회동용브라켓(74b,76b)과;
    상기 관통공(74b,76b)을 통과한 축부재(Pe)를 지지하는 조작브라켓(78);
    상기 조작브라켓(78)을 상방으로 당겨서 제1개폐관 및 제2개폐관이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79);
    내측단부가 상기 링크기구(L)에 연결되고 외측단부가 일측의 플랜지부(74a)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브라켓(92)과 연결되며, 최소한의 길이까지 수축되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이중링크(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기구(L)의 동작에 의하여 이중링크가 연동하면서 최소한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연장브라켓을 누렀을 경우 상기 제1개폐관 및 제2개폐관이 같이 열리고, 상기 이중링크가 연장브라켓에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힘에 의하여 제1개폐관 및 제2개폐관이 닫히도록 구성되는 다목적 이식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묘종 공급수단은,
    원통상의 컵바디와, 상기 컵바디의 저면을 형성하고 탄성부재에 의하여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컵커버로 구성되며, 원형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로 구성되는 이식컵과;
    상기 이식컵을 지지하는 컵프레임;
    상기 이식컵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호퍼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방부분(97a)을 구비하여, 개방부분 상부의 이식컵 내부의 묘종은 하방으로 낙하시킬 수 있는 링형상의 멈춤판(97);
    제3링크(64)의 상단부(64a)와 연결되어, 제3링크의 운동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피딩링크(96);
    상기 이식컵의 하부에서 컵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이식컵의 갯수에 대응하는 캠홈이 외측면에 형성된 컵회전자(103); 그리고
    상기 피딩링크(96)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캠홈을 이용하여 컵회전자를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회전시키며, 호퍼의 한 싸이클에 대하여 캠홈을 한 번 밀게 되는 래치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목적 이식기.





KR1020140090050A 2014-07-16 2014-07-16 다목적 이식기 KR2016000980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050A KR20160009809A (ko) 2014-07-16 2014-07-16 다목적 이식기
CN201420603954.7U CN204362561U (zh) 2014-07-16 2014-10-17 多用途移栽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050A KR20160009809A (ko) 2014-07-16 2014-07-16 다목적 이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809A true KR20160009809A (ko) 2016-01-27

Family

ID=5331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050A KR20160009809A (ko) 2014-07-16 2014-07-16 다목적 이식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09809A (ko)
CN (1) CN204362561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4314A (zh) * 2017-11-15 2018-01-26 河南科技大学 一种育苗移栽机用苗盘自动输送装置
CN109644637A (zh) * 2019-02-22 2019-04-19 东莞职业技术学院 一种幼苗栽培机
JP2019097455A (ja) * 2017-11-30 2019-06-24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CN112243655A (zh) * 2020-10-21 2021-01-22 高淑兰 一种生态修复边坡绿化用无人自动移栽设备及其移栽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4314A (zh) * 2017-11-15 2018-01-26 河南科技大学 一种育苗移栽机用苗盘自动输送装置
CN107624314B (zh) * 2017-11-15 2023-10-20 河南科技大学 一种育苗移栽机用苗盘自动输送装置
JP2019097455A (ja) * 2017-11-30 2019-06-24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CN109644637A (zh) * 2019-02-22 2019-04-19 东莞职业技术学院 一种幼苗栽培机
CN109644637B (zh) * 2019-02-22 2023-12-08 东莞职业技术学院 一种幼苗栽培机
CN112243655A (zh) * 2020-10-21 2021-01-22 高淑兰 一种生态修复边坡绿化用无人自动移栽设备及其移栽方法
CN112243655B (zh) * 2020-10-21 2022-02-18 高淑兰 一种生态修复边坡绿化用无人自动移栽设备及其移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362561U (zh)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9809A (ko) 다목적 이식기
KR20160009810A (ko) 다목적 이식기
US10004174B2 (en) Transplanter for a walk-behind tractor
KR101982338B1 (ko) 모종이식기의 강제식부장치
KR101176089B1 (ko) 식물 이식장치
JP2006333722A5 (ko)
JP2009089712A (ja) 苗移植機
JP2013128425A (ja) 移植機
KR101883828B1 (ko) 모종 픽업 장치를 포함한 작물 정식기
JP3940637B2 (ja) 野菜移植機
JP4018043B2 (ja) 移植機
JP5652677B2 (ja) 移植機
JP2004016176A (ja) 野菜移植機及び野菜移植機における苗供給方法
KR101816403B1 (ko)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KR20180017246A (ko) 이식 깊이 조절이 가능한 이식기
KR101824184B1 (ko) 반자동 채소 이식기의 식부컵 조작유닛
KR101905965B1 (ko) 이식 깊이 조절 및 조간 조절이 가능한 이식기
JP2007312674A (ja) 苗植機
JP2016116529A (ja) 苗移植機
KR101675650B1 (ko) 양파이식기의 멀칭 비닐 유지장치
JP3942749B2 (ja) 野菜移植機の移植装置
JP3870077B2 (ja) 甘薯苗の移植機
JP2014158425A (ja) 苗移植機
KR101982339B1 (ko) 모종 이식기용 호퍼구동장치
KR100486956B1 (ko) 모 이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710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220

Effective date: 2017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