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650B1 - 양파이식기의 멀칭 비닐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양파이식기의 멀칭 비닐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650B1
KR101675650B1 KR1020140188278A KR20140188278A KR101675650B1 KR 101675650 B1 KR101675650 B1 KR 101675650B1 KR 1020140188278 A KR1020140188278 A KR 1020140188278A KR 20140188278 A KR20140188278 A KR 20140188278A KR 101675650 B1 KR101675650 B1 KR 101675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ion
frame
roller
supported
driven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7854A (ko
Inventor
강영선
신종필
신익환
윤석수
임송수
김상규
조민영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8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650B1/ko
Priority to CN201521013864.3U priority patent/CN205305394U/zh
Publication of KR20160077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파이식기의 이식 작업 시, 두둑의 멀칭 비닐이 주행에 따라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양파이식기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엔진, 상기 엔진에서의 출력을 변속하여 출력하는 트랜스미션(64), 그리고 상기 프레임(F)에 지지되고 엔진에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하 운동하면서 양파묘종을 지면에 이식하는 이식컵(34)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이식컵의 전방 위치에서 지면의 멀칭비닐에 접촉하는 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평탄롤러(70)와; 상기 이식컵의 후방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지면의 멀칭비닐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다수의 복토용롤러(36); 그리고 상기 엔진 또는 트랜스미션의 회전동력을 상기 평탄롤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동력전달수단은 체인기구(Ca,Cb)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양파이식기의 멀칭 비닐 유지장치{Device for maintaining mulching vynil for onion transplanter}
본 발명은 양파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파를 재배하는 두둑의 표면에 설치되는 멀칭비닐이 양파이식기의 주행에 의하여 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효율적인 양파 이식이 가능한 양파이식기의 멀칭 비닐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파는 트레이에서 싹을 틔어서 일정한 크기로 성장시킨 후, 재배지에 이를 다시 이식하는 것에 의하여 재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트레이에서 육묘된 양파 묘종은, 재배지의 두둑에 양파이식기에 의하여 심어지는데, 이러한 양파 묘종을 이식(정식)할 때 양파이식기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양파이식기는 보행식과 주행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주행식은 사용자가 이식기 자체에 탑승한 상태로 주행하면서 양파를 이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보행식은 사용자는 지면을 보행하는 상태에서, 양파이식기 자체만 내장된 구동원에 의하여 주행하면서 양파를 이식하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특허 공개 10-2013-0045460호에서 제안된 양파이식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형태의 양파이식기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석(103)이 설치되어 있어서, 위에서 설명한 주행식 양파이식기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파이식기에는 엔진의 출력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주행휠(102)과, 상기 주행휠(102) 보다 전방에 설치되는 보조휠(101)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주행휠(102) 및 보조휠(101)에 의하여 주행하는 양파이식기는, 상기 주행휠(102) 및 보조휠(101)이 고랑을 주행하면서, 두둑에 양파 묘종을 이식하게 된다. 양파 묘종을 이식하기 위한 두둑에는 비닐이 멀칭(mulching)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앙파이식기에서 양파묘종의 이식은, 상하 운동하는 이식컵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때 이식컵은 멀칭 비닐을 뚫고 지중으로 일정 깊이 들어가서, 이식컵의 하단부가 벌어져서 양파묘종을 자유상태로 한 후,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식컵이 상승할 때, 실제로 이식컵은 벌어진 상태로 올라오게 되는데, 이 때 두둑의 상면을 덮고 있는 멀칭 비닐이 따라 올라오게 된다. 멀칭 비닐이 양파이식기의 이식컵을 따라 올라온다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종래 기술에 의한 양파이식기는 이와 같은 멀칭 비닐의 상향 이동 또는 정해진 위치에서의 이탈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에 대해서는 어떠한 기술적 제안도 찾아볼 수 없다.
그리고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에 의하면, 이식컵이 멀칭비닐을 뚫고 양파묘종을 이식한 후, 다수의 복토용 롤러가 양파묘종의 양측 옆으로 지나가도록 구성하면서 이식되면서 파헤쳐진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토용 롤러는 실질적으로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멀칭비닐을 주행 방향으로 미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즉, 복토용 롤러가 멀칭 비닐을 밀고 있는 상태에서 이식컵이 양파 묘종을 이식하는 동작이 수행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양파묘종과 멀칭 비닐이 정확하게 매칭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파 이식 작업 중에, 멀칭 비닐이 양파이식기의 주행방향을 따라 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식컵이 이식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멀칭비닐이 정확하게 두둑 상에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양파 묘종 이식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크기로 자란 양파 묘종이 이식되는 과정에서, 이식컵의 전후에서 비닐을 정확하여 잡아주는 것에 의하여 두둑을 덮고 있는 멀칭비닐을 정위치(수평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효율적인 양파 이식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배지의 두둑에 이식되는 양파 묘종의 보다 정확한 이식을 위하여, 양파 묘종의 이식이 수행되기 직전에 두둑의 평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파 이식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엔진, 상기 엔진에서의 출력을 변속하여 출력하는 트랜스미션,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엔진에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하 운동하면서 양파묘종을 지면에 이식하는 이식컵을 구비하는 양파이식기의 멀칭비닐 유지장치이고, 상기 이식컵의 전방 위치에서 지면의 멀칭비닐에 접촉하는 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평탄롤러와; 상기 이식컵의 후방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지면의 멀칭비닐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다수의 복토용롤러; 그리고 상기 엔진 또는 트랜스미션의 회전동력을 상기 평탄롤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평탄롤러는, 지지축를 통하여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아암의 선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동력전달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트랜스미션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지지축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 그리고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체인을 포함하는 제1체인기구와; 상기 종동스프라켓과 같이 회전하는 롤러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평탄롤러에 결합되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롤러 종동스프라켓, 그리고 상기 롤러구동스프라켓과 롤러 종동스프라켓 사이에 걸치되는 체인을 포함하는 제2체인기구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평탄롤러를 한 쌍으로 구성하는 경우, 하나의 회전축의 좌우 양측에서 한 쌍의 평탄롤러가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아암과 프레임과의 사이에는 스프링부재를 설치하여, 높이차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양파 이식컵에 의하여 이식되는 양파 묘종의 전후에 위치하는 멀칭비닐은 복토용 롤러 및 평탄롤러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러지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멀칭 비닐이 밀리지 않는 상태에서 양파 이식컵이 정확한 양파 이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평탄롤러는, 멀칭 비닐의 선단부(양파 묘종의 이식 작업이 수행되기 전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멀칭 비닐을 하방으로 누르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두둑의 평탄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양파 이식이 실제로 수행되기 전의 두둑에 대한 평탄화 작업을 통하여, 양파 이식의 효율을 더욱 높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작용효과는 특히 평탄롤러를, 이식되는 양파 묘종의 수에 대응하도록 다수 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더욱 효율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종래의 양파이식기를 도시한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양파이식기의 전체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양파이식기의 부분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 체인을 보인 부분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양파이식기의 동력전달구조를 보인 예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파이식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시의 편의 상 본원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부분 등의 구성은 일부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도,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실시예의 양파이식기는 보행식 양파이식기로써, 사용자가 잡고 운전하는 핸들(10)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행식 양파이식기에서도, 주행휠(22) 및 보조휠(24)이 좌우측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주행휠(22)에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도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엔진, 주행휠(22), 보조휠(24), 그리고 핸들(10) 등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프레임(F)에 지지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프레임(F)이라고 함은, 주행을 위한 모든 부품, 이식을 위한 모든 부품 등을 지지하는 것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양파이식기는, 양파 묘종이 있는 트레이(32)에서, 양파 묘종을 두둑에 이식하기 위한 이식컵(34)으로 전달하는 기구적 구성을 구비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이식컵(34)은 상술한 엔진의 동력에 기초하여 전달된 양파 묘종을 두둑(지면)에 심도록 일정한 행정을 가지면서 상하로 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F)은, 이와 같은 모든 부품을 지지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상기 이식컵(34)에 의하여 양파의 묘종이 두둑이 심어진 후, 이식컵(34)에 의하여 파여진 부분을 복토하기 위한 복토용 롤러(36)도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양파의 이식 작업 시 다수의 트레이(32)를 올려서 지지하는 다수의 트레이 지지부(38)도 프레임(F)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두둑을 고려하여, 상기 프레임(F)이 승하강할 수 있는 기구적 구성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구적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시판 중에 있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이식컵(34)이 승하강 하면서 양파를 이식하는 동작도 엔진에서의 동력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부분에 대한 것도 실질적으로 공지된 것이고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현재 출시되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에는 도 3을 같이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멀칭비닐 유지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양파의 묘종을 이식하기 위한 이식컵(34)은 전체적으로 원뿔형상을 가지고 있고, 대칭인 형상의 두 개의 부재(34a,34b)로 구성된다. 즉, 상술한 두 개의 부재(34a,34b)가 합쳐져서 원뿔 형상의 이식컵(34)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두 개의 부재(34a,34b)는, 그 상단부에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이식컵(34)을 구성하는 두 개의 부재(34a,34b)는, 그 하단부가 열려서 그 내부에 있는 양파 묘종을 하방으로 떨어뜨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양파 이식컵 자체의 구조 및 동작은 공지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엔진에서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식컵(34)를 상하 운동시키는 기구적 구성 역시 공지된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식컵(34) 전방의 프레임(F)에는 멀칭 비닐을 두둑 상에 유지하기 위한 평탄롤러(7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평탄롤러(70)는 멀칭비닐을 하방으로 누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멀칭비닐을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소정의 평탄작업도 같이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평탄롤러(70)는, 프레임(F)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음과 동시에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평탄롤러(70)는, 프레임(F)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아암(72)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평탄롤러(70) 자체도 상기 지지아암(7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평탄롤러(70)는 엔진에서의 동력에 기초하여 회전하면서, 두둑 상에 있는 멀칭비닐을 누르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러한 평탄롤러(70)는, 예를 들면 진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하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좌우에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식컵(34)의 후방에는 다수의 복토용롤러(36)가 프레임(F)에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복토용롤러(36)의 구성은 종래부터 사용하고 있는 공지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토용롤러(36)는 다수 개로 구성되며, 양파 묘종의 이식이 완료된 후 흙을 덮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고, 프레임(F)에 대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 스프링기구(37)를 이용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복토용롤러(36) 및 그 지지를 위한 구성 등은 공지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양파이식기가 두둑을 따라서 주행할 때, 평탄롤러(70)는 이식컵(34)의 전방에서 멀칭비닐을 누르고, 복토용롤러(36)는 이식컵(34)의 후방에서 멀칭비닐을 누르게 된다. 따라서 두둑 상을 덮고 있는 멀칭비닐은 실질적으로 평탄롤러(70) 및 복토용롤러(36)에 의하여, 그 사이에서 밀리지 않도록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평탄롤러(70) 및 복토용롤러(36)에 의하여, 멀칭비닐은 두둑의 상면에 눌러지면서 지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식컵(34)에 의한 양파 묘종의 이식 작업이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복토용롤러(36)는 실질적으로 양파이식기의 주행과 같이 지면(두둑)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것이어서,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 평탄롤러(70)는 엔진에서의 동력이 전달되어 자체적으로 회전하면서 멀칭비닐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평탄롤러(70)에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는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다음에는 상기 평탄롤러(70)로의 동력 전달을 위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평탄롤러(70)로의 동력의 전달은 트랜스미션(64)을 이용하고 있다. 즉, 트랜스미션(64)의 출력은 출력축(62)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출력축(62)에 구동스프라켓(S1)을 설치하여 트랜스미션(64)의 출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평탄롤러(70)를 지지하는 지지아암(72)이 프레임(F)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72a)에 종동스프라켓(S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스프라켓(S1)과 종동스프라켓(S2) 사이에는 체인(Ca)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에서 상기 트랜스미션(64)으로 전달된 동력은 출력축(62)을 통하여 상기 종동스프라켓(S2)으로 전달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참고로 상기 트랜스미션(64)은 이식부 트랜스미션이다. 양파이식기에서는 주행휠(22)의 전후진 및 속도를 결정하는 주행계 트랜스미션과, 상술한 이식컵(34) 및 주변 부품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이식부 트랜스미션이 같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이식부 트랜스미션(64)을 이용하여, 평탄롤러(70)로 동력을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평탄롤러(70)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은 이러한 이식부 트랜스미션(64)에 한정될 수 없음은 당연하다.
다음에는 상기 종동스프라켓(S2)에서 평탄롤러(70)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실시예어서는, 다른 하나의 체인(Cb)을 이용하여 종동스프라켓(S2)에서 상기 평탄롤러(70)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종동스프라켓(S2)은 지지축(72a)에 지지되고 있는데, 여기서 상기 종동스프라켓(S2)은 베어링(Ba)(도 3 및 도 4 참조)을 통하여 상기 지지축(72a)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동스프라켓(S2)과 같이 회전할 수 있는 롤러 구동스프라켓(S3)이 상기 지지축(72a)에 지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종동스프라켓(S2)과 롤러 구동스프라켓(S3)은 일체화되거나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스프라켓으로 구성하여 같이 회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탄롤러(70)의 회전축(78)에는 롤러 종동스프라켓(S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롤러 구동스프라켓(S3)과 롤러 종동 스프라켓(S4) 사이에는 체인(Cb)dl 걸려 있다. 따라서 상술한 종동스프라켓(S2)에서, 롤러구동스프라켓(S3) 및 롤러 종동스프라켓(S4)을 통하여 상기 평탄롤러(7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평탄롤러(70)의 회전축(78)은, 한 쌍의 평탄롤러(70)를 양측에서 같이 지지하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롤러 종동스프라켓(S4)은 회전축(78)에 설치되어 같이 연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평탄롤러(70)를 한 쌍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회전축(78)에 평탄롤러(70)를 같이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78)에 롤러 종동스프라켓(S4)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동력전달의 구성을 보다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체적인 동력 전달 계통은, 트랜스미션(64)의 출력축(62)을 통하여, 제1체인(Ca) 및 제2체인(Cb)을 이용하여 평탄롤러(70)에 동력을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동력 전달에 대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기 평탄롤러(70)는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평탄롤러(70)에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양파이식기의 주행에 따라서 상기 평탄롤러(70)와 접촉하는 멀칭비닐이 주행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탄롤러(70)의 회전속도는 실질적으로 주행하는 주행휠(22)의 회전속도와 동기화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주행휠(22)의 회전속도에 비하여 평탄롤러(70)의 회전속도가 느리거나 빠르면, 평탄롤러(70)와 접촉상태의 멀칭비닐이 정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밀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속도와 같이 평탄롤러(70)의 회전속도는 동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두 개의 체인(Ca,Cb)을 이용하여 평탄롤러(70)에 동력을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체인기구를 이용하여 평탄롤러(70)에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각각의 체인(Ca,Cb)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각각의 스프라켓(S1,S2,S3,S4)의 크기(잇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평탄롤러(70)에 전달되는 동력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 또는 트랜스미션(64)에서의 동력을 이용하여 평탄롤러(70)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체인(Ca,Cb)에 의하여 한정될 수 없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의 체인에 대신하여 벨트기구를 통하여 평탄롤러(7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로닝다. 이와 같이 벨트기구를 통하여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경우에는, 벨트가 감아걸리는 풀리의 크기(직경)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평탄롤러(70)의 최종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평탄롤러(70)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아암(72)의 선단부분은, 스프링(76)을 통하여 프레임(Fa)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76)은 상기 평판롤러(70)의 높낮이를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두둑의 지면의 높이가 변하거나, 양파이식기의 프레임(F)의 높이가 지면에 대하여 변화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평탄롤러(70)의 상하 위치가 변하게 되는데, 상기 스프링(76)은 이를 흡수하면서 실질적으로 멀칭비닐을 정확하게 또는 안정적으로 눌러줄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양파이식기가 주행하면서 실제 양파 묘종의 이식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이식컵(34)의 전방에서는 평탄롤러(70)가 멀칭비닐을 누르고 있음과 동시에, 이식컵(34)의 후방에서는 복토용롤러(36)가 멀칭비닐을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평탄롤러(70)와 복토용롤러(36) 사이의 멀칭비닐은, 상기 두 개의 롤러(70,36)에 의하여 지면에 지지되어 대략 수평 상태로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식컵(34)에 의한 이식 작업 시 멀칭비닐이 주행 방향의 전후로 밀리거나 이동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롤러에 의하여 멀칭비닐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도 방지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임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평탄롤러(70)는 실질적으로 두둑에 대한 평탄작업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식컵(34)에 의한 이식 작업이 수행되기 전에 그 부분을 평탄화시키는 기능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F ..... 프레임
Fa ..... 체결공
Fb ..... 장착공
10 ..... 핸들
22 ..... 주행휠
24 ..... 보조휠
34 ..... 이식컵
36 ..... 복토용 롤러
62 .... 트랜스미션의 출력축
64 ..... 트랜스미션
70 ...... 평탄롤러
72 ..... 지지아암
72a ..... 지지축
76 ..... 스프링
78 ..... 회전축

Claims (5)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엔진, 상기 엔진에서의 출력을 변속하여 출력하는 트랜스미션,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엔진에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하 운동하면서 양파묘종을 지면에 이식하는 이식컵을 구비하는 양파이식기의 멀칭비닐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식컵의 전방 위치에서 지면의 멀칭비닐에 접촉하는 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평탄롤러와;
    상기 이식컵의 후방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지면의 멀칭비닐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다수의 복토용롤러; 그리고
    상기 엔진 또는 트랜스미션의 회전동력을 상기 평탄롤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파이식기의 멀칭비닐 유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롤러는, 지지축(72a)를 통하여 프레임(F)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아암(72)의 선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양파이식기의 멀칭비닐 유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트랜스미션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지지축(72a)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 그리고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체인(Ca)을 포함하는 제1체인기구와;
    상기 종동스프라켓과 같이 회전하는 롤러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평탄롤러에 결합되는 회전축(78)에 설치되는 롤러 종동스프라켓, 그리고 상기 롤러구동스프라켓과 롤러 종동스프라켓 사이에 걸치되는 체인(Cb)을 포함하는 제2체인기구로 구성되는 양파이식기의 멀칭비닐 유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78)은, 좌우 양측에서 한 쌍의 평탄롤러와 연결되는 양파이식기의 멀칭비닐 유지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아암(72)과 프레임(F)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파이식기의 멀칭비닐 유지장치.







KR1020140188278A 2014-12-11 2014-12-24 양파이식기의 멀칭 비닐 유지장치 KR101675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278A KR101675650B1 (ko) 2014-12-24 2014-12-24 양파이식기의 멀칭 비닐 유지장치
CN201521013864.3U CN205305394U (zh) 2014-12-11 2015-12-08 洋葱移栽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278A KR101675650B1 (ko) 2014-12-24 2014-12-24 양파이식기의 멀칭 비닐 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854A KR20160077854A (ko) 2016-07-04
KR101675650B1 true KR101675650B1 (ko) 2016-11-14

Family

ID=56501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278A KR101675650B1 (ko) 2014-12-11 2014-12-24 양파이식기의 멀칭 비닐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087A (ko) 2020-11-11 2022-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모빌리티의 공냉식 배터리 냉각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143B1 (ko) 1996-12-31 1999-11-15 서상기 파종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143Y1 (ko) * 1994-09-22 1997-02-19 주식회사 엘그린 인공토 산포장치
JP2692644B2 (ja) * 1995-04-26 1997-12-17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ラーレン薄膜製造方法
KR20120126291A (ko) * 2011-05-11 2012-11-21 손두호 농업용 친환경 동력 비닐도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143B1 (ko) 1996-12-31 1999-11-15 서상기 파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087A (ko) 2020-11-11 2022-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모빌리티의 공냉식 배터리 냉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854A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4174B2 (en) Transplanter for a walk-behind tractor
KR101675650B1 (ko) 양파이식기의 멀칭 비닐 유지장치
KR20180042609A (ko)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586851B1 (ko) 보행형 양파 자동정식기
CN212813270U (zh) 茶叶育种用远距离幼苗搬运装置
JP5303780B2 (ja) ニンニク等の球根植付け装置
JP5358783B2 (ja) ニンニク等の球根植付け装置
KR101905965B1 (ko) 이식 깊이 조절 및 조간 조절이 가능한 이식기
KR101905964B1 (ko) 이식 깊이 조절이 가능한 이식기
KR200472391Y1 (ko) 기구식 묘삼식부장치
KR101723716B1 (ko) 양파 이식기 멀칭 비닐 유지장치
JP2004016176A (ja) 野菜移植機及び野菜移植機における苗供給方法
JP4191629B2 (ja) 農用苗移植機
JP3870077B2 (ja) 甘薯苗の移植機
JP2006304696A (ja) 苗移植機
JP3566411B2 (ja) 苗移植機
KR101186431B1 (ko) 잔디 이식장치
JP3410927B2 (ja) 移植機
JP2011050264A (ja) 苗移植機
JP2002125421A (ja) 移植機
KR101945853B1 (ko)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0446224Y1 (ko) 농작물 재배장치
JP4600213B2 (ja) 苗移植機
JP2005021060A (ja) 苗移植機
Mitrache et al. Study on the evolution of seedlings planting equip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