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224Y1 - 농작물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224Y1
KR200446224Y1 KR2020090005022U KR20090005022U KR200446224Y1 KR 200446224 Y1 KR200446224 Y1 KR 200446224Y1 KR 2020090005022 U KR2020090005022 U KR 2020090005022U KR 20090005022 U KR20090005022 U KR 20090005022U KR 200446224 Y1 KR200446224 Y1 KR 200446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armland
pair
rails
trolle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인
Original Assignee
이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인 filed Critical 이해인
Priority to KR2020090005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2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22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1/00Other digging harvesters
    • A01D31/02Other digging harvesters combined with other agricultural machines, e.g. drilling, planting, hay-harves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2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벼, 마늘, 파, 씨앗 등과 같은 각종 농작물을 재배하는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농경지에 2개의 레일을 서로 평행하게 설치하고 레일을 따라 플레이트 형상의 대차를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과 구동모터를 구비하되, 상기 대차 위에 각종 농기계를 상차하여 두고 상기 대차를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농작물을 기계적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경지의 형태에 관계없이 각종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고, 또 농기계가 레일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고장이 최소화될 수 있어 획기적으로 경비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한다.
농작물, 재배장치, 레일, 농기계, 영농장치, 영농작업

Description

농작물 재배장치{The Harvest Cultivation Device}
본 고안은 벼, 마늘, 파, 씨앗 등과 같은 각종 농작물을 재배하는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경지에 2개의 레일을 평행으로 설치하고 각종 이앙기나 파종기 등과 같이 농작물 재배에 사용되는 농기계를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하는데 사용되는 농기계들은 주로 벼를 심거나 수확하는데 사용되는 이앙기나 콤바인더, 탈곡기 등이 있고, 또 파나 마늘, 상추, 씨앗 등을 기계적으로 파종하는데 사용되는 각종 파종기가 있으며, 또한 영농지에 비료나 수분 등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영농보조기 등이 있다.
따라서 농작물을 밭이나 논에 재배 하는데 있어 상기와 같은 각종 영농 농기계를 사용하여 농작물을 기계적으로 재배하여 수확함으로써 개개인의 영농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또 고령화 시대에 힘들이지 않고 영농을 영위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농작물 재배방법은 각종 이앙기나 파종기 등과 같은 농기계를 논이나 밭에서 직접 운전하면서 해당 농작물을 재배하게 되는데 이는 농경지의 지면 상태가 좋지 않거나 또는 지면이 지나치게 질게 되면 농기계 등의 운전이 매우 어려워지고 심지어는 농작물 재배가 불가능한 경우까지 발생하게 된다.
또 다른 문제는 지면의 상태가 너무 질거나 하면 농기계 등이 빠져서 운전이 어려워짐은 물론 이로 인해 농기계 고장의 원인이 되어 농작물 재배에 많은 경비가 소요되게 된다.
또한 농경지의 지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 농작물의 재배 범위가 상당히 제한적이며 거의 대부분 목초지 등으로 활용하는데 그치고 있어 경사면 농경지에서 종래의 농기계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는 데에는 효율성이나 수율이 현저하게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논이나 밭 등의 경지를 정리하여 일정 간격을 따라 평행하게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각종 이앙기나 파종기 등을 이동시키면서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고 지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농기계가 항상 레일을 따라 운전하게 됨에 따라 고장이 현저하게 줄어 경비절감이 획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경사진 농경지를 일정 간격을 따라 평행하게 레일을 설치하되 이를 한 쌍씩 경사면을 따라 계단식으로 다수대를 설치하고, 각 계단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각종 이앙기나 파종기 등을 장착하여 이동시키면서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사면의 농경지에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하여 영농 효율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 농경지의 농작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농작물 재배장치에 소요되는 각종 구성요소들을 플라스틱 제품류의 재활용품을 활용하여 제작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농작물 재배장치는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경지의 지면(11)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레일(12)과, 상기 레일(12)의 위를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13)가 구비된 플레이트 형상의 대차(14)와, 상기 레일(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지지대(15)로 구성되되,
상기 레일(12)은 "ㄴ"자 형상으로 되되 상기 지면(11)과 수직으로 되면서 상단부에 나사산 형상의 톱니부(122)가 구비되는 레일수직부(120)와 상기 지면(11)과 수평하게 된 레일수평부(121)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차(14)는 그 하부면에 동력원인 상기 구동모터(13)와 상기 대차(14)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16) 및 상기 구동수단(16)을 상기 대차(14)와 연결하는 연결수단(1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수단(16)은 상기 레일수직부(120)의 톱니부(122)와 맞물려 회동되는 회동치차부(160)와 상기 회동치차부(16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대차(14)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롤러부(161)와 상기 회동치차부(160)와 연결되어 상기 회동치차부(160)를 회동시켜주는 회동축(162)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수단(17)은 상기 대차(14)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브라켓트(170)와 상기 브라켓트(170)에 연결되면서 상기 회동축(162)이 회동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원통부(171)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축(162)에는 상기 구동모터(13)의 풀리(130)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된 구동밸트(131)가 연결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농경지에 2개의 레일을 서로 평행하게 설치하고 레일을 따라 플레이트 형상의 대차를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대차 위에 각종 농기계를 상차하여 두고 상기 대차를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농작물을 편리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경지의 상태에 관계없이 각종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 또는 수확할 수 있어 수율이 증대되고, 각종 구성부품을 환경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자원 낭비를 줄여줄 수 있으며, 또 농기계가 레일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고장이 최소화될 수 있어 경비절감이 획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재배장치가 지면에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2는 도1의 단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재배장치가 지면에 설치된 평면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재배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경지의 지면(11)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레일(12)과, 상기 레일(12)의 위를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13)가 구비된 플레이트(plate) 형상의 대차(14)와, 상기 레일(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레일지지대(15)로 구성되되,
상기 레일(12)은 "ㄴ"자 형상으로 되되 상기 지면(11)과 수직으로 되면서 상단부에 나사산 형상의 톱니부(122)가 구비되는 레일수직부(120)와 상기 지면(11)과 수평하게 된 레일수평부(121)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차(14)는 그 하부면에 동력원인 상기 구동모터(13)와 상기 대차(14)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16) 및 상기 구동수단(16)을 상기 대차(14)와 연결하는 연결수단(1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수단(16)은 상기 레일수직부(120)의 톱니부(122)와 맞물려 회동되는 회동치차부(160)와 상기 회동치차부(16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대차(14)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롤러부(161)와 상기 회동치차부(160)와 연결되어 상기 회동치차부(160)를 회동시켜주는 회동축(162)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수단(17)은 상기 대차(14)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브라켓트(170)와 상기 브라켓트(170)에 연결되면서 상기 회동축(162)이 회동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원통부(171)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축(162)에는 상기 구동모터(13)의 풀리(130)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된 구동밸트(131)가 연결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동축(162)은 축 자체를 스플라인(spline)으로 형성하고 이를 삽설하는 상기 원통부(171)의 내부도 스플라인으로 형성하여 서로 치합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12)은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상기 지지대(15)에 의해 견고하게 지면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대차(14)의 상부면에는 이앙기나 탈곡기 또는 각종 파종기 등의 농기계(18)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대차(14)의 상부면에 농기계(18)를 장착시키는 방법이나 상기 구동모터(13)를 구동시키는 방법은 일반 공지기술에 의거 이루어지게 됨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농작물 재배장치(10)는 이를 구동하여 상기 레일(12) 사이의 농작물 재배영역(110)에 해당 농작물의 씨앗 등을 파종하기 위해서 우선, 해당 농작물의 씨앗 파종에 맞는 파종기를 상기 대차(14)의 상부면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대차(14)의 하부면에 구비된 상기 구동모터(13)를 감·가속기(도시안됨)를 통해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축(162)이 회동되면서 상기 회동치차부(160)가 상기 톱니부(122)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대차(14)도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즉, 상기 회동치차부(160)와 상기 톱니부(122)는 상 호 레크와 피니언 치합으로 구동됨에 따라 상기 회동치차부(160)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동치차부(160)에 연결된 상기 지지롤러부(161)도 함께 회동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치차부(160)가 상기 톱니부(122)와 맞물리면서 상기 대차(14)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대차(14) 상부면에 구비된 농기계(18)가 상기 농작물 재배영역(110)의 상부측을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농작물을 파종 재배 또는 수확 등과 같은 영농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상기 농기계는 농약을 치는 기계 등과 같이 농작물 재배에 필요한 각종 부수장비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재배장치(10a)는 농작물을 재배하는 경사면농경지(11a)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레일(12)과, 상기 레일(12)의 위를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13)가 구비된 플레이트(plate) 형상의 대차(14)와, 상기 레일(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레일지지대(15)로 구성되되,
상기 레일(12)은 "ㄴ"자 형상으로 되되 상단부에 나사산 형상의 톱니부(122)가 구비되는 레일수직부(120)와 레일수평부(121)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차(14)는 그 하부면에 동력원인 상기 구동모터(13)와 상기 대차(14)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16) 및 상기 구동수단(16)을 상기 대차(14)와 연결하는 연결수단(1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지지대(15)는 상기 경사면농경지(11a)에 박아넣는 수직부(150)와 상기 수직부 끝단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51) 및 상기 레일지지대(15)를 견고하게 연결지지하는 레일보강부(152)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16)은 상기 레일수직부(120)의 톱니부(122)와 맞물려 회동되는 상기 회동치차부(160)와 상기 회동치차부(16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대차(14)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롤러부(161)와 상기 회동치차부(160)와 연결되어 상기 회동치차부(160)를 회동시켜주는 회동축(162)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수단(17)은 상기 대차(14)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브라켓트(170)와 상기 브라켓트(170)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축(162)이 회동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원통부(171)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축(162)에는 상기 구동모터(13)의 풀리(130)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된 구동밸트(131)가 연결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12)은 각각 한 쌍씩 상기 레일지지대(15)에 의해 견고하게 경사지면에 설치 고정되되, 한쪽은 상기 레일지지대(15)의 수직부(150)의 끝단에 다른 한쪽은 상기 레일지지대(15)의 경사부(151)의 끝단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을 이루게 되고, 상기 각 레일지지대(15)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레일보강부(152)가 서로 연결 설치되게 된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레일보강부(152)는 지중에 매립된 양측의 레일지지대(15)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레일보강부(152) 역시 지중에 매립되는데, 이를 통해 농경지가 작업 도중 쉽게 붕괴되거나 유실되지 않고, 더욱이 지상에 설치된 레일을 더욱 견고하고 안정되게 그 설치상태를 지지고정한다.
상기 한 쌍의 레일(12) 사이의 경사면은 농토를 채워 수평한 평지의 농작물 재배영역(11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레일보강부(152)와 상기 레일지지대(15)의 경사부(151)에 의해 경사면이 붕괴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대차(14)의 상부면에는 이앙기나 탈곡기 또는 각종 파종기 등의 농기계(18)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상기 농작물 재배장치(10a)는 이를 구동하여 상기 레일(12) 사이의 농작물 재배영역(110)에 해당 농작물의 씨앗 등을 파종하기 위해서 우선, 해당 농작물의 씨앗 파종에 맞는 파종기를 상기 대차(14)의 상부면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대차(14)의 하부면에 구비된 상기 구동모터(13)를 감·가속기(도시안됨)를 통해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축(122)이 회전되면서 상기 회동치차부(160)가 상기 톱니부(122)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대차(14)도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는바, 이는 본 고안의 상기 재배장치(10)와 기능이 동일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농작물 재배장치에 소요되는 각종 구성요소들을 플라스틱 제품류의 재활용품을 활용하여 제작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재배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재배장치가 지면에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2는 도1의 단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재배장치가 지면에 설치된 평면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농작물 재배장치 11:지면 12:레일 13:구동모터
14:대차 15:레일지지대 16:구동수단 17:연결수단 18:농기계
110:농작물 재배영역 120:레일수직부 121:레일수평부 122:톱니부
150:수직부 151:경사부 152:레일보강부 160:회동치차부
161:지지롤러부 162:회동축 170:브라켓트 171:원통부

Claims (4)

  1. 경사면농경지(11a)에 농작물을 재배하거나 수확하기 위한 경사지 농경지의 농작물 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농경지(11a)의 상부에 서로 평행하게 수평 설치되며, 상면에 나사산 형상의 톱니부(122)가 형성되는 레일수직부(120) 및 상기 레일수직부(120)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는 레일수평부(121)가 구비되어 있는“ㄴ”단면형상의 한 쌍의 레일(12);
    상기 경사면농경지(11a)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150), 상기 한 쌍의 수직부(150) 중 어느 하나의 수직부(150)의 상단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51) 및 지중에 매립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부(150)를 연결하는 레일보강부(152)로 이루어지되, 경사면을 따라 계단식으로 배치된 다수의 레일지지대(15);
    상기 한 쌍의 레일(12) 사이의 경사면에는 농토가 채워져 평지로 이루어진 농작물 재배영역(110);
    상기 한 쌍의 레일(12) 상부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대차(14);
    상기 대차(14)를 상기 한 쌍의 레일(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16)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16)은,
    상기 대차(14)의 하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3); 상기 한 쌍의 레일(12) 사이에 위치하는 회동축(162); 상기 구동모터(13)의 회전력을 상기 회동축(162)에 전달하는 풀리 및 구동벨트(130,131); 상기 회동축(162)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수평부(121)에 안착 지지되는 지지롤러부(161); 상기 회동축(162)에 삽입되어, 상기 톱니부(122)에 맞물림 결합되는 회동치차부(160); 상기 회동축(16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원통부(171); 상기 원통부(17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대차(14)의 하면을 지지하는 브라켓트(1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162)과 상기 원통부(171)에는 각각 서로 치합되는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장치.
  3. 삭제
  4. 삭제
KR2020090005022U 2009-04-27 2009-04-27 농작물 재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46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022U KR200446224Y1 (ko) 2009-04-27 2009-04-27 농작물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022U KR200446224Y1 (ko) 2009-04-27 2009-04-27 농작물 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224Y1 true KR200446224Y1 (ko) 2009-10-14

Family

ID=4156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02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6224Y1 (ko) 2009-04-27 2009-04-27 농작물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2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8036A (zh) * 2015-09-14 2016-01-20 贾陆军 一种多功能收获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13A (ja) * 1993-06-22 1995-01-13 Bizen Hatsujo Kk 農作業方法及び農用作業台車
KR20020030989A (ko) * 2000-10-20 2002-04-26 도삼석 농업용 다목적 이동대차의 활주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13A (ja) * 1993-06-22 1995-01-13 Bizen Hatsujo Kk 農作業方法及び農用作業台車
KR20020030989A (ko) * 2000-10-20 2002-04-26 도삼석 농업용 다목적 이동대차의 활주 이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8036A (zh) * 2015-09-14 2016-01-20 贾陆军 一种多功能收获机
CN105248036B (zh) * 2015-09-14 2017-10-10 贾陆军 一种多功能收获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5122B2 (ja) 多用途型サトウキビ栽培管理装置並びに栽培管理方法
CN103250483A (zh) 自走式马铃薯起垄施肥种植机
CN206078023U (zh) 铺膜布管秧苗栽植机
CN103636318A (zh) 振动式棉田油菜套播装置
CN103477759A (zh) 均匀播种机
KR200446224Y1 (ko) 농작물 재배장치
CN203505017U (zh) 宽陇双行马铃薯种植机
CN103999614A (zh) 开槽栽苗填土一体机
KR101425908B1 (ko) 고설재배용 베드의 배토용 쇄토장치
CN102986324B (zh) 一种离心集排式油菜籽联合直播机
CN203167554U (zh) 播种机
CN105830569A (zh) 一种盐碱地牧草种植机
KR20150079327A (ko) 감자 파종기
CN203984986U (zh) 多功能水稻施肥机引点播机
CN205082186U (zh) 一种谷子探墒播种耧
CN108617201A (zh) 小型玉米播种机
CN107950144A (zh) 一种用于播种薯类作物的带芽薯种的固定装置及用其组成的播种器
CN202210938U (zh) 一种离心式油菜籽联合直播机
CN201957422U (zh) 播种机
KR20140001553A (ko)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
CN203884183U (zh) 一种大棚蚕豆播种机
JPH11318214A (ja) 回転式集中管理栽培システム
CN201629981U (zh) 自动化大蒜播种机
CN203633100U (zh) 振动式棉田油菜套播装置
CN221768704U (zh) 一种履带式自行走双行蔬菜播种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4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07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7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9072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910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8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