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716B1 - 양파 이식기 멀칭 비닐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양파 이식기 멀칭 비닐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716B1
KR101723716B1 KR1020140178504A KR20140178504A KR101723716B1 KR 101723716 B1 KR101723716 B1 KR 101723716B1 KR 1020140178504 A KR1020140178504 A KR 1020140178504A KR 20140178504 A KR20140178504 A KR 20140178504A KR 101723716 B1 KR101723716 B1 KR 101723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ion
frame
mulching
holding membe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1150A (ko
Inventor
강영선
신종필
신익환
윤석수
임송수
김상규
조민영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8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716B1/ko
Priority to CN201521013864.3U priority patent/CN205305394U/zh
Publication of KR20160071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파 이식기의 이식 작업 시, 두둑의 멀칭 비닐이 위로 따라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과, 상기 엔진의 출력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휠, 그리고 상기 엔진 및 주행휠을 지지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엔진의 출력에 의하여 상하 운동하면서 양파 묘종을 두둑에 이식하는 양파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이식컵 전방의 프레임에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탄성유지부재(50)는, 그 상단부가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고, 상단부분(52)은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상단부분(52)에서 연장되는 하단부분(54)은 상기 상단부분(52)에 비하여 낮은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두둑의 상면에 설치된 멀칭 비닐이 이식컵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양파 이식기 멀칭 비닐 유지장치{Device for maintaining mulching vynil for onion transplanter}
본 발명은 양파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파를 재배하는 두둑의 표면에 설치되는 멀칭비닐이 양파 이식기의 이식컵을 따라 올라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효율적인 양파 이식이 가능한 양파이식기의 멀칭 비닐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파는 트레이에서 싹을 틔어서 일정한 크기로 성장시킨 후, 재배지에 이를 다시 이식하는 것에 의하여 재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트레이에서 육묘된 양파 묘종은, 재배지의 두둑에 양파 이식기에 의하여 심어지는데, 이러한 양파 묘종을 이식(정식)할 때 양파 이식기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양파 이식기는 보행식과 주행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주행식은 사용자가 이식기 자체에 탑승한 상태로 주행하면서 양파를 이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보행식은 사용자는 지면을 보행하는 상태에서, 양파 이식기 자체만 내장된 구동원에 의하여 주행하면서 양파를 이식하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특허 공개 10-2013-0045460호에서 제안된 양파 이식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형태의 양파 이식기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석(103)이 설치되어 있어서, 위에서 설명한 주행식 양파 이식기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파 이식기에는 엔진의 출력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주행휠(102)과, 상기 주행휠(102) 보다 전방에 설치되는 보조휠(101)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주행휠(102) 및 보조휠(101)에 의하여 주행하는 양파이식기는, 상기 주행휠(102) 및 보조휠(101)이 고랑을 주행하면서, 두둑에 양파 묘종을 이식하게 된다. 양파 묘종을 이식하기 위한 두둑에는 비닐이 멀칭(mulching)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앙파이식기에서 양파묘종의 이식은, 상하 운동하는 이식컵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때 이식컵은 멀칭 비닐을 뚫고 지중으로 일정 깊이 들어가서, 이식컵의 하단부가 벌어져서 양파묘종을 자유상태로 한 후,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식컵이 상승할 때, 실제로 이식컵은 벌어진 상태로 올라오게 되는데, 이 때 두둑의 상면을 덮고 있는 멀칭 비닐이 따라 올라오게 된다. 멀칭 비닐이 양파이식기의 이식컵을 따라 올라온다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종래 기술에 의한 양파 이식기는 이와 같은 멀칭 비닐의 상향 이동 또는 정해진 위치에서의 이탈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에 대해서는 어떠한 기술적 제안도 찾아볼 수 없다.
본 발명은 양파 이식 작업 중에, 멀칭 비닐이 이식컵을 따라 상방으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멀칭 비닐이 두둑의 상면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멀칭비닐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크기로 자란 양파 묘종이 이식된 후, 두둑을 덮고 있는 멀칭비닐을 정위치로 유지함으로써, 효율적인 양파 이식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과, 상기 엔진의 출력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휠, 그리고 상기 엔진 및 주행휠을 지지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엔진의 출력에 의하여 상하 운동하면서 양파 묘종을 두둑에 이식하는 양파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이식컵 전방의 프레임에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탄성유지부재는, 그 상단부가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고, 상단부분은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상단부분에서 연장되는 하단부분은 상기 상단부분에 비하여 낮은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두둑의 상면에 설치된 멀칭 비닐이 이식컵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탄성유지부재가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유지부재의 상부는 U자형으로 벤딩되어 볼트에 의하여 프레임의 체결공에 체결되어 유지되고, 탄성유지부재의 상단부는 프레임의 장착공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양파 묘종의 이식 시, 탄성유지부재가 두둑의 상면에 있는 비닐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양파 묘종이 이식된 후, 비닐이 정해진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멀칭 비닐이 원래의 기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양파의 이식이 가능하게 되는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양파 이식기를 도시한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양파 이식기 전체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양파 이식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탄성유지부재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탄성유지부재의 조립 예를 보인 예시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파 이식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시의 편의 상 본원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부분 등의 구성은 일부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도,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실시예의 양파 이식기는 보행식 양파 이식기로써, 사용자가 잡고 운전하는 핸들(10)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행식 양파 이식기에서도, 주행휠(22) 및 보조휠(24)이 좌우측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주행휠(22)에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도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엔진, 주행휠(22), 보조휠(24), 그리고 핸들(10) 등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프레임(F)에 지지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프레임(F)이라고 함은, 주행을 위한 모든 부품, 이식을 위한 모든 부품 등을 지지하는 것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양파 이식기는, 양파 묘종이 있는 트레이(32)에서, 양파 묘종을 두둑에 이식하기 위한 이식컵(34)으로 전달하는 기구적 구성을 구비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이식컵(34)은 상술한 엔진의 동력에 기초하여 전달된 양파 묘종을 두둑(지면)에 심도록 일정한 행정을 가지면서 상하로 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F)은, 이와 같은 모든 부품을 지지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상기 이식컵(34)에 의하여 양파의 묘종이 두둑이 심어진 후, 이식컵(34)에 의하여 파여진 부분을 복토하기 위한 복토용 롤러(36)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양파의 이식 작업 시 다수의 트레이(32)를 올려서 지지하는 다수의 트레이 지지부(38)도 프레임(F)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두둑을 고려하여, 상기 프레임(F)이 승하강할 수 있는 기구적 구성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구적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시판 중에 있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에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멀칭비닐 유지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양파의 묘종을 이식하기 위한 이식컵(34)은 전체적으로 원뿔형상을 가지고 있고, 대칭인 형상의 두 개의 부재(34a,34b)로 구성된다. 즉, 상술한 두 개의 부재(34a,34b)가 합쳐져서 원뿔 형상의 이식컵(34)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두 개의 부재(34a,34b)는, 그 상단부에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이식컵(34)을 구성하는 두 개의 부재(34a,34b)는, 그 하단부가 열려서 그 내부에 있는 양파 묘종을 하방으로 떨어뜨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양파 이식컵 자체의 구조 및 동작은 공지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식컵(34) 전방의 프레임(F)에는 멀칭 비닐을 두둑 상에 유지하기 위한 탄성유지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유지부재(50)는, 상기 이식컵(34)의 상하 동작에 따라서 멀칭 비닐이 따라서 상방으로 올라오지 않고, 정해진 위치(두둑의 상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성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유지부재(50)는, 프레임(F)에 의하여 상단부가 지지되고 있으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로 성형된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유지부재(50)는, 볼트(B)에 의하여 프레임(F)에 결합되는 상단부에서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태로 성형되는데, 중간부분(52)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할 때 경사도가 더 크게 형성되고, 하단부분(54)은 상기 중간부분(52)에 비하여 경사도가 작게 성형된다. 상기 중간부분(52)에 의하여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일정한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고, 상기 하단부분(54)은 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멀칭 비닐과 접촉할 때 비닐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멀칭 비닐이 원래의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성형하고 있다.
즉, 양파 이식기가 주행하면서, 상기 탄성유지부재(50)가 멀칭 비닐과 접촉할 때, 경사도가 상당히 완만한 하단부분(54)이 멀칭 비닐과 접촉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유지부재(50)의 하단부분(54)은 실질적으로 자유단을 가지게 되면서, 멀칭 비닐과 접촉하게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유지부재(50)는 예를 들면 일정한 굵기를 가지는 와이어 등으로 성형함으로써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두둑의 상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면서 멀칭 비닐을 누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탄성유지부재(50)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봉형상의 금속재 이외에도, 일정한 탄성이 부여된 금속 판 형태로 성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5에 기초하면서 상기 탄성유지부재(50)를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탄성유지부재(50)는, 양파 이식기의 작업 시, 멀칭 비닐을 위에서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실제 작업 시, 두둑의 상면과 접촉하는 등 반복되는 피로 하중을 받기 때문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유지부재(50)의 교환 및 수리가 편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탄성유지부재(50)의 상부(56)는 U자 형상으로 벤딩되도록 성형하고 있으며, 상부(56)의 상단부(58)는 후방으로 연장하여, 프레임(F)의 장착공(Fb)에 끼워질 수 있도록 성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상단부(58)를 프레임(F)의 장착공(Fb)에 삽입한 후, 볼트(B)가 상기 U자 형상의 상부(56)를 통과하면서 체결공(Fa)에 체결시키는 것으로, 탄성유지부재(50)를 프레임(F)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여 탄성유지부재(50)를 프레임(F)에 고정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교환 및 수리 등이 용이하게 됨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유지부재(50)는 상하에 있는 두 개의 부분에서 프레임(F)에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공(Fa)은 장착공(F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유지부재(50)는, 상하에서 각각 볼트(B)에 의한 체결 및 상단부(58)의 장착공에 결합이라는 두 가지 지지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유지부재(50)를 상하의 두 개 부분에서 프레임(F)과 결합시키게 되면, 양파의 이식 작업 중 멀칭 비닐을 눌러주는 탄성유지부재(50)가 상하 방향의 반력을 받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게 탄성유지부재(50)를 프레임(F)에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유지부재(50)의 하단부분(54)은 실질적으로 멀칭 비닐을 두둑 상으로 눌러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를 고려하면 상기 하단부분(54)은 실제 두둑의 높이 보다 근소하게 상부에 위치하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멀칭 비닐 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양파 이식기를 이용하여 실제 양파 묘종의 이식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탄성유지부재(50)는, 이식컵(34)의 상하 운동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고 있음과 같이, 상대적으로 경사도가 아주 낮은 하단부분(54)이 멀칭 비닐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도록 눌러주게 될 것이다. 따라서 두둑의 상면을 덮고 있는 멀칭 비닐은 실제로 양파 묘종의 이식 작업 시에도 정해진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인 이식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F ..... 프레임
Fa ..... 체결공
Fb ..... 장착공
10 ..... 핸들
22 ..... 주행휠
24 ..... 보조휠
34 ..... 이식컵
36 ..... 복토용 롤러
50 ..... 탄성유지부재
52 ..... 중간부분
54 ..... 하단부분
56 ..... 상부
58 ..... 상단부

Claims (2)

  1. 엔진과, 상기 엔진의 출력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휠, 그리고 상기 엔진 및 주행휠을 지지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엔진의 출력에 의하여 상하 운동하면서 양파 묘종을 두둑에 이식하는 양파 이식기의 멀칭 비닐 유지장치에 있어서;
    이식컵 전방의 프레임에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탄성유지부재(50)는,
    그 상부(56)가 U자형으로 벤딩되어 볼트(B)에 의하여 프레임(F)의 체결공(Fa)에 체결되어 유지되고, 상부(56)의 상단부(58)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공(F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프레임의 장착공(Fb)에 끼워질 수 있도록 성형되어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고,
    중간부분(52)은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중간부분(52)에서 연장되는 하단부분(54)은 상기 중간부분(52)에 비하여 낮은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두둑의 상면에 설치된 멀칭 비닐이 이식컵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이식기 멀칭 비닐 유지장치.







  2. 삭제
KR1020140178504A 2014-12-11 2014-12-11 양파 이식기 멀칭 비닐 유지장치 KR101723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504A KR101723716B1 (ko) 2014-12-11 2014-12-11 양파 이식기 멀칭 비닐 유지장치
CN201521013864.3U CN205305394U (zh) 2014-12-11 2015-12-08 洋葱移栽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504A KR101723716B1 (ko) 2014-12-11 2014-12-11 양파 이식기 멀칭 비닐 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150A KR20160071150A (ko) 2016-06-21
KR101723716B1 true KR101723716B1 (ko) 2017-04-05

Family

ID=5635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504A KR101723716B1 (ko) 2014-12-11 2014-12-11 양파 이식기 멀칭 비닐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7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2755A (ja) * 2013-04-26 2014-11-17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7743Y2 (ja) * 1993-12-10 2002-07-08 三菱農機株式会社 稲作用マルチ移植機におけるシート押さ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2755A (ja) * 2013-04-26 2014-11-17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150A (ko)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147692A (ja) 苗移植機
JP3829988B2 (ja) 温室内に於ける植物の高設栽培用のキャスター付き栽培棚
KR101723716B1 (ko) 양파 이식기 멀칭 비닐 유지장치
KR101323862B1 (ko) 모종 이식기
KR20130053557A (ko) 시금치 수확기
KR101423992B1 (ko) 수경재배판 및 이를 적용한 수경재배 시스템
KR101675650B1 (ko) 양파이식기의 멀칭 비닐 유지장치
KR20080102816A (ko) 이동식 작업차
KR101896472B1 (ko) 농업용 다목적 작업보조장비
KR101905964B1 (ko) 이식 깊이 조절이 가능한 이식기
KR101905965B1 (ko) 이식 깊이 조절 및 조간 조절이 가능한 이식기
JP3637293B2 (ja) 移植機
JP3870077B2 (ja) 甘薯苗の移植機
JP2002125421A (ja) 移植機
JP4191629B2 (ja) 農用苗移植機
CA2124930A1 (en) Method and device for harvesting useful plants
CN205305394U (zh) 洋葱移栽机
CN218353548U (zh) 一种园林绿化种植及养护辅助装置
CN103733912A (zh) 一种水稻苗培育运输装置的培育盆
JP3621661B2 (ja) 移植機
CN203860128U (zh) 一种水稻苗培育运输装置的培育盆
CN217116890U (zh) 农作物幼苗栽种机
KR101186431B1 (ko) 잔디 이식장치
KR102047839B1 (ko) 뿌리 식물 재배용 베드 장치
KR200289014Y1 (ko) 농기계에 연결이 가능한 마늘 수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