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403B1 -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403B1
KR101816403B1 KR1020160062691A KR20160062691A KR101816403B1 KR 101816403 B1 KR101816403 B1 KR 101816403B1 KR 1020160062691 A KR1020160062691 A KR 1020160062691A KR 20160062691 A KR20160062691 A KR 20160062691A KR 101816403 B1 KR101816403 B1 KR 101816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eedling
seedling tray
transferring
r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372A (ko
Inventor
강영선
신종필
신익환
윤석수
임송수
김상규
성대모
조민영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지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지엠티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2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40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종 트레이(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이송할 수 있는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는 모종을 재배지에 이식하기 위한 출력을 제공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식기에 장착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모종 트레이(1)가 공급 및 배출되는 트레이 공급부(10)와, 상기 트레이 공급부(10)에 설치되어 공급된 모종 트레이(1)를 이송할 수 있는 하부이송부(20)와 상기 하부이송부(20)에서 이송 중인 모종 트레이(1)에 후행하여 공급되는 모종 트레이(1)를 이송하는 상부이송부(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공급부(10)에는 모종 트레이(1)를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4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이송부(20) 및 상부이송부(30) 그리고 스토퍼(40)는, 엔진으로부터의 출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0)에 의하여 동작하는 연결링크기구(50)를 통하여 동시에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Device for supplying pot tray for transplanter}
본 발명은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식기를 구동중인 상태에서 모종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공급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종의 이식은 수잡업으로 실시하기도 하지만 작물의 재배가 대규모화 됨에 따라 작업의 능률향상과 균일성 등을 목적으로 기계식 모종 이식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식기는 예를 들면, 트레이에서 육묘된 양파 묘종을 재배지의 두둑에 이식(정식)할 때 사용되는 양파 이식기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식기는, 트레이 상에서 일정 크기로 성장한 고구마·양배추·상추·양파 등의 식물을 분리한 후, 재배지에 정해진 깊이로 심을 수 있는 기기에 대한 총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식기는, 모종이 있는 트레이에서, 모종을 두둑에 이식하기 위한 이식컵과 이식컵으로 모종을 전달하는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식컵은, 엔진의 동력에 기초하여 상하운동하여 공급장치에서 전달받은 모종을 재배지의 두둑에 심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모종의 이식 작업 시 다수의 트레이를 올려서 지지하는 다수의 트레이 지지부를 구비하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두둑을 고려하여, 이식기가 승하강할 수 있는 기구적 구성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구적 구성은 현재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시판 중이다.
이러한 종래의 이식기의 구성에서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는, 기계를 정지 후 새로운 모종 트레이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증가하여 효율성이 떨어지고, 사용자가 작업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모종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종 트레이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모종을 공급할 수 있는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엔진으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는, 모종을 재배지에 이식하기 위한 출력을 제공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식기에 장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모종 트레이가 공급 및 배출되는 트레이 공급부와, 상기 트레이 공급부에 설치되어 공급된 모종 트레이를 이송할 수 있는 하부이송부 및 상기 하부이송부에서 이송 중인 모종 트레이에 후행하여 공급되는 모종 트레이를 이송하는 상부이송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공급부에는 모종 트레이를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이송부 및 상부이송부 그리고 스토퍼는, 엔진으로부터의 출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에 의하여 동작하는 연결링크기구를 통하여 동시에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모종 트레이를 일정 간격 이송시킨 후, 상기 하부이송부 및 상부이송부를 차회의 모종 트레이 이송을 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의 하부이송부 및 상부이송부는, 모종 트레이의 걸림공에 삽입되어 모종 트레이를 끌어내리는 상하부 이송라쳇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의 연결링크기구에 대한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이송라쳇을 동작시키기 위한 하부구동축이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하부연결축과, 상기 직선 왕복운동기구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연결된 하부구동축(54a)을 반복되는 원호 운동시키는 하부연동부재, 상기 하부연동부재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연동부재의 동작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연결링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이송라쳇을 동작시키기 위한 하부구동축이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부연결축과, 상기 연결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정 범위 내에서 연결된 상부구동축을 반복되는 원호 운동시키는 상부연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이송라쳇 및 상부이송라쳇은, 하부구동축 및 상부구동축의 외측단부에 설치된 하부 및 상부 동력전달링크에 각각 설치되거나, 하부구동축 및 상부구동축의 외측단부에 설치된 하부 및 상부 동력전달링크와 하부구동축 및 상부구동축의 내측단부에 설치된 하부 및 상부 연동부재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의 연결링크기구에 대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하부연동부재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연결링크기구를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레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의 복귀수단은, 프레임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하부 동력전달링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하부 및 상부 이송라쳇을 모종 트레이의 걸림공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모종 트레이가 공급되고 모종 트레이를 지지하는 트레이 공급부와, 공급된 모종 트레이를 하방으로 끌어내리는 하부이송라쳇과, 하부이송라쳇이 이송 중인 트레이와 연속되어 공급되는 트레이를 끌어당기기 위한 상부이송라쳇이 구비되어 다수의 모종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이송가능한 장점이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에 의하면, 하부이송라쳇 및 상부이송라쳇이 모종 트레이를 이송 중이 아닌 상태에서 모종 트레이를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가 구비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모종을 공급할 수 있는 정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에 의하면, 하부이송라쳇 및 상부이송라쳇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이 연결링크기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이송라쳇 및 상부이송라쳇, 그리고 스토퍼를 동시에 작동하여 동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여기서 연결링크기구에는 레버가 장착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를 수동으로 작동하는 것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의 동력전달 구성을 나타낸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 측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는, 모종을 재배지에 이식하기 위한 출력을 제공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식기에 장착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프레임이라고 함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엔진 및 주행을 위한 휠을 지지함과 같이,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지지하는 부품의 총칭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모종 트레이(1)가 공급 및 배출되는 트레이 공급부(10)와, 상기 트레이 공급부(10)에 설치되어 공급된 모종 트레이(1)를 이송할 수 있는 하부이송부(20), 그리고 상기 하부이송부(20)에서 이송 중인 모종 트레이(1)에 연속하여 공급되는 모종 트레이(1)를 이송하기 위한 및 상부이송부(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공급부(10)에는, 모종 트레이(1)에서 모종을 식부침으로 이송하는 작업을 위하여 모종 트레이(1)를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4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이송부(20)와 상부이송부(30) 그리고 스토퍼(40)는, 엔진으로부터의 출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0)에 의하여 동작하는 연결링크기구(50)를 통하여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는, 상기 하부이송부(20) 및 상부이송부(30)를 차회의 모종 트레이(1) 이송을 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14a)이 구비된다.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트레이 공급부(10)는, 상기 모종 트레이(1)가 공급되고, 모종 트레이(1)를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트레이 지지대(12)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트레이 지지대(12)는 전방을 향하여 낮은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되고 있고,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트레이 지지대(12)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지지대(12)의 가로방향 양측면에는,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트레이 지지대(12)를 지지하기 위한 측면판(13)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트레이 지지대(12)는 만곡형으로 성형되어 있으나, 모종 트레이(1)를 안정적으로 지지 가능하고 모종 트레이(1)를 배출하기 용이한 구조라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측면판(13)은, 트레이 지지대(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면판(13)의 하부에는 각각 판 형상의 고정판(14)이 장착되고, 상기 고정판(14)의 사이에는 고정축(16)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14) 및 측면판(13) 등은 실질적으로 이식기의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축(16)에는, 모종 트레이(1)가 상기 트레이 공급부(10)의 외부로 벗어나는 않고, 트레이 지지대(12)에 근접한 상태로 피딩되도록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재(18)가 다수 개 구비된다. 도 1 및 도 3에서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18)는, 상기 트레이 지지대(12)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트레이 지지대(12)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18)와의 사이에서 트레이(1)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2가이드부재(19)가 구비된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18)와 제2가이드부재(19)는, 모종 트레이(1)를 안내하여 일정한 경로로 모종 트레이(1)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트레이 지지대(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18)와 제2가이드부재(19) 사이로 모종 트레이(1)가 이송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18)와 제2가이드부재(19)는 만곡형으로 성형되어 있으나, 상기 트레이 지지대(1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모종 트레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용이하다면 어떠한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18) 및 제2가이드부재(19)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상기 트레이 공급부(10)에 설치되고, 공급된 모종 트레이(1)를 이송하기 위한 하부이송부(2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하부이송부(20)는, 왕복운동을 통하여 모종 트레이(1)를 끌어내림으로써 모종 트레이(1)를 이송하는 하부이송라쳇(22)(ratchet)과, 상기 하부이송라쳇(22)과 연결되고 하부이송라쳇(22)을 왕복운동시키는 하부 동력전달링크(2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이송라쳇(22)은, 모종 트레이(1)와 접촉하는 단부에 갈고리부(22a)가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갈고리부(22a)는 모종 트레이(1)는 양측 가장자리에 복수 개 성형되는 걸림공(1a)에 접촉하여 모종 트레이(1)를 이송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걸림공(1a)은 사각형으로 중공되어 있으나, 상기 하부이송라쳇(22)에 의하여 끌어 내려질 수만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하부이송라쳇(22)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동력전달링크(26)에 예를 들면 핀(24) 연결 등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 2에서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여 한 쌍의 하부이송부(20A,20B)가 나란하게 설치된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실시 예는 하나의 모종 트레이(1)에 대하여 제1하부이송부(20A) 및 제2하부이송부(20B)가 설치되어 양측에서 모종 트레이(1)를 이송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이송부(20A)는 트레이 공급부(10)의 외측방향(도면에서 우측)의 측면판(13)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하부이송부(20B)는 트레이 공급부(10)의 내측(도면에서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하부이송부(20A,20B)는 연결링크기구(50)의 하부구동축(54a)에 의하여 연결되어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
먼저 상기 제1하부이송부(20A)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동력전달링크(26)와 하부이송라쳇(22)으로 구성된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이송라쳇(22)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동력전달링크(26)에 예를 들면 핀(24) 연결 등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이송라쳇(22)의 갈고리부(22a)를 모종 트레이(1)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S)이 상기 하부이송라쳇(22)과 하부 동력전달링크(26)의 연결부분인 핀(24)에 설치된다.
이러한 스프링(S)은 예를 들면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S)은 일단이 하부이송라쳇(22)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부이송라쳇(22)의 갈고리부(22a)가 모종 트레이(1)를 향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갈고리부(22a)는 하방으로 당기는 방향으로만 모종 트레이(1)를 피딩시킬 수 있고, 상방으로는 피딩시키지 못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13)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이송라쳇(22)의 갈고리 부분(22a)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하부이송라쳇(22)이 왕복운동 하면서 모종 트레이(1)를 이송할 수 있도록 중공된 제1개방부(10a)가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제1개방부(10a)는, 트레이 공급부(10)의 외부에 위치한 하부이송라쳇(22)의 갈고리부(22a)가 트레이 공급부(10)에 지지되는 모종 트레이(1)를 끌어내리기 위하여 삽입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 제1하부이송부(20A)와 한 쌍으로 구성되어 모종 트레이(1)를 이송하게 되는 제2하부이송부(20B)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2하부이송부(20B)는 하부이송라쳇(22)과 하부연동부재(52)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연동부재(52)는, 상술한 하부동력전달링크(26)의 역활을 하는 것으로써, 상기 하부이송라쳇(22)의 하단부가 예를 들면 핀(24) 연결 등을 통하여 하부연동부재(52)의 선단(52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이송라쳇(22)의 갈고리부(22a)를 모종 트레이(1)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S)이 상기 하부이송라쳇(22)과 하부연동부재(52)의 연결부분인 핀(24)에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실시 예에서 제1하부이송부(20A) 및 제2하부이송부(20B)는 트레이 지지대(12)의 양측을 동시에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하부이송부(20A) 및 제2하부이송부(20B)로 동력을 전달하는 하부구동축(54a)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연결축(54)이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트레이 지지대(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판(13)이 하부연결축(54)을 고정된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상기 하부연결축(54)은 중공형으로 성형되고, 내부에 상기 하부 동력전달링크(26)와 하부연동부재(52)를 연결하는 하부구동축(54a)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구동축(54a)은, 후술할 동력전달부(60)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원호운동하는 하부연동부재(52)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하부연동부재(52)가 원호운동 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구동축(54a)의 타단은 상기 하부 동력전달링크(26)에 연결되기 때문에, 하부 동력전달링크(26)는 하부연동부재(52)와 함께 동작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하부구동축(54a)에 의하여 좌우측에 각각 배열되는 한 쌍의 하부이송라쳇(22)이 동시에 모종 트레이(1)를 끌어내리는 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연동부재(52)에는, 하부구동축(54a)이 연결된 부분의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연장부(52a)가 성형된다. 이러한 상부연장부(52a)는 동력전달부(60)의 후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하부연동부재(52)를 하부구동축(54a)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원호운동시키게 된다.
다음에는 상술한 하부이송라쳇(20A,20B)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6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60)는 엔진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 하부연동부재(52)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동력전달부(60)는, 엔진의 구동력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캠구동축(70)과, 상기 캠구동축(70)에 설치된 캠(7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캠(72)에는, 롤러를 통하여 제1동력축(64)의 선단이 접촉하는 상태로 지지되고 있다. 상기 제1동력축(64)은, 캠구동축(70)과 트레이 공급부(10) 사이를 지지하는 가이드축(62)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연결판(65)을 통하여 제2동력축(66)과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축(66)은, 트레이가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고려하여 한 쌍으로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캠구동축(70)의 회전에 의하여, 그것과 접촉하고 있는 롤러를 통하여 상기 제1동력축(64) 및 제2동력축(66)은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동력축(64), 연결판(65), 그리고 제2동력축(66)은, 캠(72)을 이용한 직선 왕복운동 기구(63)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직선 왕복운동 기구(63)의 후단부 즉 제2동력축(66)의 후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연동부재(52)의 상부연장부(52a)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캠구동축(70)의 회전에 의하여 캠(72)에 의하여 상기 직선 왕복운동 기구(63)는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하부연동부재(52)는 하부구동축(54a)를 중심으로 일정 간격 반복되는 원호 운동을 하게 된다.
즉, 하부구동축(54a)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 각도 회전은, 도면 상의 우측(이식기의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직선 왕복운동기구(63)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그 반대 방향으로의 복귀는 복귀스프링(14a)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반복되는 원호 운동을 한다. 복귀스프링(14a)의 기능 및 주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에는 상기 하부이송부(20)가 이송 중인 모종 트레이(1)에 후행하는 모종 트레이(1)를 이송시키기 위한 상부이송부(3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상부이송부(30)는, 하부이송부(20)보다 상부의 측면판(13)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이송부(30)는, 반복되는 왕복운동을 통하여 모종 트레이(1)를 끌어내림으로써 모종 트레이(1)를 이송하는 상부이송라쳇(32)과, 상기 상부이송라쳇(32)에 연결되는 는 상부 동력전달링크(36)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이송라쳇(32)은, 상기 상부 동력전달링크(36)에 핀(34)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핀(34)에는 토션스프링(S)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이송라쳇(32)은 트레이(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이송라쳇(32)은, 하부이송라쳇(22)과 마찬가지로 끝 부분이 첨예한 갈고리 형상(32a)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측면판(13)의 상부에는, 상부이송라쳇(32)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이송라쳇(32)이 왕복 운동하면서 모종 트레이(1)를 이송할 수 있도록 중공된 제2개방부(10b)가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이송라쳇(32)의 갈고리부(32a)이 상기 제2개방부(10b)를 통과하여 상술한 모종 트레이(1)의 걸림공(1a)을 끌어내림으로써, 모종 트레이(1)를 하방으로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 동력전달링크(36)에는, 상부 동력전달링크(36)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상부구동축(58a)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부 동력전달링크(36)에 일단이 연결되는 상부구동축(58a)은, 그 타단이 상부연동부재(56)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부 동력전달링크(36) 및 상부연동부재(56)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부구동축(58a)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연결축(58)이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트레이 지지대(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판(13)이 상부연결축(58)을 고정된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연동부재(56)는 상술한 상부 동력전달링크(36)의 역활을 하는 것으로써, 상부연동부재(56)의 선단(56a)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이송라쳇(3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이송라쳇(32)은 상부연동부재(56)에 핀(34)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핀(34)에는 토션스프링(S)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이송라쳇(32)은 트레이(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상부연동부재(56)는 상부구동축(58a)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 각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으며, 그 후단부(56b)는 연결링크(55)에 의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연동부재(52)의 후단부(52c)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연동부재(56)는 하부 연동부재(52)와 연동하여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상부연결축(58)의 일측(외측)에는 상부 동력전달링크(36)를 통하여 상부이송라쳇(32)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연결축(58)의 타측(내측)에는 상부연동부재(56)를 통하여 상부이동라켓(32)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이송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이송부(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부이송부(20)에서 이송 중인 모종 트레이(1)에 연속하여 공급되는 후행(後行)의 모종 트레이(1)를 이송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연결축(54,58)은 동축 상으로 배열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인접한 위치에서 피딩(공급)되는 한 쌍의 모종 트레이(1)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하나의 모종 트레이(1)를 피딩하는 한 쌍의 이송라쳇(22,32)이 하나의 연결축(54 또는 58)의 양측 단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한 쌍의 모종 트레이(1)를 동시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이식기에 있어서는, 내측(트레이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상부이송라쳇(32) 및 하부이송라쳇(22)은 상부연동부재(56) 및 하부연동부재(52)에 설치되어 있고, 외측(양측 트레이의 외측 부분)에 설치되는 상부이송라쳇(32) 및 하부이송라쳇(22)은 상부동력전달링크(36) 및 하부동력전달링크(26)에 각각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로서 하나의 트레이만을 이송(공급)시키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축으로 배열된 연결축(54 또는 58)에 설치되는 이송라쳇(22 또는 32)을 한 쌍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 예의 구성에서, 이송라쳇(22 또는 32)을 한 쌍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고, 이 때 이송라쳇(22 또는 32)은 전체가 동력전달링크(26 또는 36)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동력전달링크(26 또는 36) 및 연동부재(52 또는 56)에 각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한 쌍의 트레이가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연동부재(52) 및 상부연동부재(56)를 각각 한 쌍으로 구성하고 이들이 연동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예를 들면, 한 쌍의 하부연동부재(52)가 연결부재(57)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부(57)에는 연결링크기구(50)를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레버(59)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하부연동부재(52) 및 상부연동부재(56)를 연결하는 연결링크(55)는, 바(Bar)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나 상기 하부연동부재(52)와 상부 연동부재(56) 사이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한 상기 연결링크기구(50)에 의하여, 하부이송부(20)와 상부이송부(20)가 연동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가 연속적으로 모종 트레이(1)를 이송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은 작업시간 단축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에는 상기 연결링크기구(50)에 의하여 모종 트레이(1)의 걸림공(1a)을 끌어내리도록 동작하는 하부이송라쳇(22) 및 상부이송라쳇(32)을 제자리로 복귀 시키는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하부 동력전달링크(26)는, 일단이 하부 동력전달링크(26)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판(14)에 고정되는 복귀 스프링(14a)과, 일단이 하부 동력전달링크(26)에 고정되고 타단이 트레이 공급부(10)의 어느 한 부분에 고정되는 복귀 스프링(14a)을 구비한다.
이러한 복귀 스프링(14)은, 상기 연결링크기구(50)에 의하여 상기 하부이송라쳇(22)이 동작하였을 때, 다시 제자리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상기 하부이송라쳇(22)은 연결링크기구(50)에 의하여 상기 상부이송라쳇(32)과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함께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하부 동력전달링크(26)의 역활을 하는 하부연동부재(52)와 고정판(14) 사이에도 복귀 스프링(14a)이 구비되는 것은 당연하다.
다음에는 상기 트레이 공급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모종 트레이(1)를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4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스토퍼(40)는 모종을 식부침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모종 트레이(1)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스토퍼(40)는, 그 상단부가 상기 측면판(13)에 핀(46)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핀(46)에는 토션스프링(S)이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S)은 일단이 스토퍼(40)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40)가 트레이의 걸림공(1a)에 걸리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스토퍼(40)는, 끝 부분이 첨예한 돌출부(42)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42)는 모종 트레이(1)의 걸림공(1a)에 걸림으로써, 모종 트레이(1)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S)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스토퍼(40)의 후면(44)은 실질적으로 상기 핀(24)에 대응하는 위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핀(24)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40)도 연동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후면(44)은, 하부이송라쳇(22)의 핀(24)에 탄성적으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하부 동력전달링크(26)의 회동에 따라서 핀(24)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스토퍼(40)의 하단부는 상방으로 회동하면서 돌출부(42)는 트레이의 걸림공(1a)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동력전달링크(26)가 회동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모종 트레이(1)가 하방으로 일정 간격 이송된다는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상기 스토퍼(40)가 모종 트레이(1)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면서 이송라쳇(22,32)에 의하여 모종 트레이(1)가 하방으로 일정 간격 이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하부이송라쳇(22) 및 상부이송라쳇(32)이 상기 복귀스프링(14a)에 의하여 제자리로 복귀하게되면, 상기 핀(24)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스토퍼(40)의 하단부가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40)의 돌출부(42)가 모종 트레이(1)의 걸림공(1a)에 걸림으로써, 모종 트레이(1)를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40)가 모종 트레이(1)를 고정한 상태는, 안정적으로 모종을 식부침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캠구동축(70)의 회전에 의하여, 그것과 접촉하고 있는 롤러를 통하여 상기 직선 왕복운동기구(63)가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연동부재(52)가 직선 왕복운동기구(63)의 후단부와 연결되는 상부연장부(52a)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부연결축(54)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연동부재(52)가 회전하게 되면 하부연동부재(52)의 선단(52b)에 설치되는 하부이송라쳇(22)이 모종 트레이(1)를 끌어내리게 되고, 동시에 하부연동부재(52)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하부구동축(54a)에 연결된 하부 동력전달링크(26)가 일정 범위 내에서 원호 운동하게 된다. 여기서 하부 동력전달링크(26)에 설치된 하부이송라쳇(22)이 동시에 모종 트레이(1)를 끌어내리는 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연동부재(52)의 후단부(52c)에 고정되는 연결링크(55)에 의하여 상기 상부연동부재(56)가 상부구동축(58a)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상부연동부재(56)의 선단부(56a)에 설치된 상부이송라쳇(32)이 모종 트레이(1)를 끌어내리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연동부재(56)에 연결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상부구동축(58a)에 의하여, 상부 동력전달링크(36)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동력전달링크(36)에 설치된 상부이송라쳇(32)이 동시에 모종 트레이(1)를 끌어내리는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S)에 의하여 상기 하부이송라쳇(22)의 핀(24)에 접촉한 상태에서 모종 트레이(1)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이송라쳇(22)이 걸림공(1a)에 삽입되어 모종 트레이(1)를 끌어내릴 시, 상기 돌출부(42)가 걸림공(1a)에서 해제되어 모종 트레이(1)가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로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라쳇(22,32)은 모종 트레이를 끌어내린 후, 상기 복귀스프링에 의하여 제자리로 복귀하게 된다. 이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이송라쳇(22) 및 상부이송라쳇(32)은, 모종 트레이(1)의 걸림공(1a)에서 떨어지게 되고, 모종 트레이(1)를 하방으로 이송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복귀 스프링(14a)은 연결링크기구(50)를 제자리로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하부이송라쳇(22) 및 상부이송라쳇(32)을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이송부(20)의 핀(24)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공(1a)에 돌출부(42)가 삽입되어 모종 트레이(1)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모종 트레이(1)의 모종을 식부침으로 이송함으로써, 모종을 재배지에 이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모종 트레이(1)가 공급되고 모종 트레이(1)를 지지하는 트레이 공급부(10)와, 공급된 모종 트레이(1)를 하방으로 끌어당기는 하부이송라쳇(22)과, 후행하는 모종 트레이(1)를 끌어당기기 위한 상부이송라쳇(32)이 구비되어 다수의 모종 트레이(1)를 연속적으로 이송 가능한 장점이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에 의하면, 모종 트레이(1)를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40)가 구비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모종 트레이(1)의 모종을 식부침으로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에 의하면, 상기 연결링크기구(50)에 의하여, 하부이송부(20)와 상부이송부(20)가 연동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가 연속적으로 모종 트레이(1)를 이송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은 작업시간 단축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서 연결링크기구(50)에는 레버(59)가 장착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를 수동으로 작동하는 것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모종 트레이 1a ..... 걸림공
10 ..... 트레이 공급부 12 ..... 트레이 지지대
14 ..... 고정판 16 ..... 고정축
18 ..... 제1가이드부재 19 ..... 제2가이드부재재
20 ..... 하부이송부 22 ..... 하부이송라쳇
24 ..... 핀 26 ..... 하부 동력전달링크
30 ..... 상부이송부 32 ..... 상부이송라쳇
34 ..... 핀 36 ..... 상부 동력전달링크
40 ..... 스토퍼 42 ..... 돌출부
50 ..... 연결링크기구 52 ..... 하부연동부재
52a ..... 상부연장부 54 ..... 하부연결축
54a ..... 부구동축 55 ..... 연결링크
56 ..... 상부연동부재 56a ..... 선단부
56b ..... 후단부 58 ..... 상부연결축
58a ..... 상부구동축 60 ..... 동력전달부
62 ..... 가이드축 64 ..... 제1동력축
66 ..... 제2동력축 70 ..... 캠구동축

Claims (5)

  1. 모종을 재배지에 이식하기 위한 출력을 제공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모종 트레이(1)가 공급 및 배출되는 트레이 공급부(10)와;
    상기 트레이 공급부(10)의 하부에 설치되고, 공급된 모종 트레이(1)를 이송하는 하부이송부(20);
    상기 하부이송부(20)보다 상부의 트레이 공급부(10)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이송부(20)가 이송 중인 모종 트레이(1)에 후행하여 공급되는 모종 트레이(1)를 이송하는 상부이송부(30);
    상단부가 상기 트레이 공급부(10)에 설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이송부(20)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하부이송부(20)의 동작에 의하여 모종 트레이(1)를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40);
    엔진의 구동력에 기초하여 회전하고, 캠(72)을 구비하는 캠구동축(70);
    상기 캠(72)에 의하여 왕복 운동하는 직선 왕복운동기구(63)에 의하여, 상기 하부이송부(20) 및 상부이송부(30)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연결링크기구(50); 그리고
    모종 트레이(1)를 일정 간격 이송시킨 후, 상기 하부이송부(20) 및 상부이송부(30)를 차회의 모종 트레이(1) 이송을 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링크기구(50)는;
    하부이송라쳇(22)을 동작시키기 위한 하부구동축(54a)이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하부연결축(54)과;
    상기 직선 왕복운동기구(63)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연결된 하부구동축(54a)을 반복되는 원호 운동시키는 하부연동부재(52);
    상기 하부연동부재(52)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연동부재(52)의 동작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연결링크(55);
    상부이송라쳇(32)을 동작시키기 위한 하부구동축(58a)이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부연결축(58); 그리고
    상기 연결링크(55)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정 범위 내에서 연결된 상부구동축(58a)을 반복되는 원호 운동시키는 상부연동부재(56)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이송라쳇(22) 및 상부이송라쳇(32)은, 하부구동축(54a) 및 상부구동축(58a)의 외측단부에 설치된 하부 및 상부 동력전달링크(26,36)에 각각 설치되거나, 하부구동축(54a) 및 상부구동축(58a)의 외측단부에 설치된 하부 및 상부 동력전달링크(26,36)와 하부구동축(54a) 및 상부구동축(58a)의 내측단부에 설치된 하부 및 상부 연동부재(52,56)에 각각 설치되는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이송부(20) 및 상부이송부(30)는,
    모종 트레이(1)의 걸림공(1a)에 삽입되어 모종 트레이(1)를 끌어내리는 상하부이송라쳇(22,32)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기구(50)는, 상기 하부연동부재(52)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연결링크기구(50)를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레버(5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은, 프레임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하부 동력전달링크(26)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14a)과, 하부 및 상부 이송라쳇(22,32)을 모종 트레이(1)의 걸림공(1a)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S)을 포함하는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KR1020160062691A 2016-05-23 2016-05-23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KR101816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691A KR101816403B1 (ko) 2016-05-23 2016-05-23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691A KR101816403B1 (ko) 2016-05-23 2016-05-23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372A KR20170132372A (ko) 2017-12-04
KR101816403B1 true KR101816403B1 (ko) 2018-01-12

Family

ID=6092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691A KR101816403B1 (ko) 2016-05-23 2016-05-23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3534B (zh) * 2022-05-13 2024-03-15 杭州赛得林智能装备有限公司 水稻育秧播种自动供盘装置及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5061A (ja) * 2004-09-08 2006-03-23 Seirei Ind Co Ltd 移植機の苗トレイ縦送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5061A (ja) * 2004-09-08 2006-03-23 Seirei Ind Co Ltd 移植機の苗トレイ縦送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372A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685B1 (ko) 모종 이식기
US10004174B2 (en) Transplanter for a walk-behind tractor
KR101816403B1 (ko)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KR20190042258A (ko) 육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식기
KR101889269B1 (ko) 이식기
KR20160009809A (ko) 다목적 이식기
KR101883828B1 (ko) 모종 픽업 장치를 포함한 작물 정식기
KR200487958Y1 (ko) 트레이에 배치된 모종을 픽업하여 이식하는 작물 정식기
KR20180122694A (ko) 이식기
JP4542879B2 (ja) 移植機
JP3870077B2 (ja) 甘薯苗の移植機
JP2006304696A (ja) 苗移植機
JP7523804B2 (ja) 移植装置
KR102080277B1 (ko)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
KR101675650B1 (ko) 양파이식기의 멀칭 비닐 유지장치
JP2014158425A (ja) 苗移植機
JP2012070658A (ja) 苗移植機
JP4864467B2 (ja) 移植機
JP4470004B2 (ja) 移植機
JP2023020439A (ja) 苗移植機
JP2000209909A (ja) 苗移植機
JP4016677B2 (ja) 苗移植機
JP4047828B2 (ja) 移植機
JP4047829B2 (ja) 移植機
JP2005278476A (ja) 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