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277B1 -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277B1
KR102080277B1 KR1020180125120A KR20180125120A KR102080277B1 KR 102080277 B1 KR102080277 B1 KR 102080277B1 KR 1020180125120 A KR1020180125120 A KR 1020180125120A KR 20180125120 A KR20180125120 A KR 20180125120A KR 102080277 B1 KR102080277 B1 KR 102080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mesh
dummy
mesh n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준
Original Assignee
(주)헬퍼로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헬퍼로보텍 filed Critical (주)헬퍼로보텍
Priority to KR1020180125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2001/048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Soil Sciences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채소류 육묘용 그물망컵 복수 개가 겹쳐져 형성된 더미로부터 말단에 위치한 그물망컵을 분리하여 트레이에 단위셀(Cell)로 자동 공급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한궤도로 회전하여 복수의 셀(C)을 구비한 트레이(T)를 수평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0); 상기 컨베이어(10) 상측에 설치되며, 채소류 육묘용 그물망컵 복수 개가 겹쳐져 형성된 더미(200)를 정렬하는 그물망컵정렬부(20);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하측에 위치하며,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더미(200)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롤러가 설치된 이송롤러부(30);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전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부(30)에 의해 이송된 상기 더미(200)가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긴 막대 형상의 정지봉(42)이 구비된 그물망컵정지부(40); 및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전방에 설치되어 수평 왕복 운동하며, 상기 더미(200) 말단에 위치한 상기 그물망컵 내벽면에 밀착하여 후퇴함과 동시에 상기 그물망컵을 끌어내어 상기 더미(200)에서 분리시킨 후, 상기 트레이(T)의 셀(C) 안으로 자유낙하시키는 핑거부(50);를 포함하는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Dispenser of Cup for Vegetable Seedling}
본 발명은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채소류 육묘용 그물망컵 복수 개가 겹쳐져 형성된 더미로부터 말단에 위치한 그물망컵을 분리하여 트레이에 단위셀(Cell)로 자동 공급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육묘는 종자나 영양체로 파종 또는 기타 방법에 의하여 일정기간 동안 정식하기에 가장 적합한 양질의 묘를 키우기 위한 제반작업과정을 일컬으며, 일반적으로 수박, 오이, 토마토, 고추 등 채소류의 육묘는 복수의 단위셀(Cell)로 이루어진 트레이(Tray)라는 묘판 위에 진행되며, 셀 마다 상토를 채워 파종한 후 생육시키므로써 셀 단위의 독립적인 육묘가 이루어진다.
육모공정은 생력화, 효율화, 안정화 및 연중계획 생산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육묘 시, 질이 균일하고 규격화된 묘를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며, 채소류 육묘 시, 우량묘 생산을 위해 기구·장치 및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식물체의 성장과정에서 뿌리 쪽에 산소공급이 원활하면 생육이 촉진되는 점을 고려할 때, 사방이 벽면체로 둘러싸여 있으며, 배수를 위한 구멍이 관통 형성된 바닥면으로 이루어진 트레이의 셀은 육묘 시, 통기성 제고가 반드시 요구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의 클라스만-데일만(Klasmann-deilmann)社는 자회사인 Mann Biobased Products B.V.에서 개발한 식물체의 생육을 도와주는 보조기구인 'GROWCOON'을 시판 중이다.
'GROWCOON'(이하, '그물망컵'으로 칭함.)은 고분자 물질을 가는 실처럼 뽑아 컵 형상의 그물망으로 제조한 것으로, 육묘용 트레이를 구성하는 단위 셀에 끼워서 사용된다.
그물망컵을 트레이 셀에 삽입 고정시켜 내부에 상토를 담아 파종할 경우, 셀 내벽과 상토 사이에 격막(Air gap)이 형성되어 통기성 확보가 가능하며, 관수 시 식물체가 필요한 물만 흡수하고 잉여분은 배수되므로 배수성 또한 향상시켜 우량묘 생산이 가능하다.더나아가 본토에 옮겨 심을 경우, 그물망컵에 의해 근군(Root system) 보호가 가능하므로 정식작업으로 인해 식물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채소류 육묘공정에 있어서, 종래에 사용되는 트레이는 1장에 수백개의 셀로 구성되어 있으며, 육묘 시즌에 1개소의 육묘장 기준으로 수 만장의 트레이가 사용됨을 고려할 때, 파종 직전에 그물망컵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트레이의 셀에 담아주는 작업을 진행할 경우,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네덜란드 등록특허 제2016641호는 적층가능한 콘을 하나씩 분리하여 식물트레이에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나, 종래의 트레이의 셀 및 이에 사용되는 콘은 작물의 종류에 따라 크기나 형상이 상이한 점으로 고려할 때, 콘을 파지하여 분리하는 헤드를 콘의 크기 혹은 형상별로 추가로 구비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이며, 사용되는 콘에 적합한 헤드로 매번 교체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작업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NL2016641B1(2017.11.0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채소류 육묘용 그물망컵 복수 개가 겹쳐져 형성된 더미로부터 말단에 위치한 그물망컵을 하나씩 분리하여 트레이의 셀 내에 배치되도록 자동으로 공급 가능한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되는 채소류 육묘용 그물망컵의 크기 및 형상과 관계없이 추가부품으로 교체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무한궤도로 회전하여 복수의 셀을 구비한 트레이를 수평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 상측에 설치되며, 채소류 육묘용 그물망컵 복수 개가 겹쳐져 형성된 더미를 정렬하는 그물망컵정렬부; 상기 그물망컵정렬부 하측에 위치하며,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더미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롤러가 설치된 이송롤러부; 상기 그물망컵정렬부 전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더미가 상기 그물망컵정렬부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긴 막대 형상의 정지봉이 구비된 그물망컵정지부; 및 상기 그물망컵정렬부 전방에 설치되어 수평 왕복 운동하며, 상기 더미 말단에 위치한 상기 그물망컵 내벽면에 밀착하여 후퇴함과 동시에 상기 그물망컵을 끌어내어 상기 더미에서 분리시킨 후, 상기 트레이의 셀 안으로 자유낙하시키는 핑거부;를 포함하는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핑거부는, 긴 막대형상을 가지며, 하단에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더미 말단에 위치한 상기 그물망컵을 끄집어내는 톱니부와, 상기 톱니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핑거부가 상기 그물망컵을 향해 전진함에 따라 상기 정지봉에 누름작용을 가하여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톱니부에 의해 상기 더미에서 분리되어 나온 말단의 상기 그물망컵의 자유낙하가 용이하도록 하는 간섭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그물망컵정렬부 상에서 상기 이송롤러부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더미의 상호 겹쳐진 어느 한 부분이 상방으로 솟아오르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부누름부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상부누름부는, 그물망컵정렬부 양측에 각각 수직 설치된 지지대와, 양단부가 상기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그물망컵정렬부 상측에 설치되며, U형상의 곡면을 이루어 상기 더미를 하방으로 누르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호퍼형상을 가지며, 상기 그물망컵정렬부 전측에 장착되어 자유낙하하는 상기 그물망컵이 상기 트레이의 셀 내에 정자세로 배치되도록 유도하는 복수의 드롭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그물망컵정렬부 후측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트레이 상측에서 회전하여 요동을 가함으로써 상기 셀에 불량한 자세로 담겨진 상기 그물망컵을 정자세로 바로잡는 롤러형상의 프리롤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채소류 육묘용 그물망컵 복수 개가 겹쳐져 형성된 더미로부터 말단에 위치한 그물망컵을 하나씩 분리하여 트레이의 셀 내에 배치되도록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작업의 생력화를 도모하며 비용적 및 시간적 측면에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채소류 육묘용 그물망컵의 크기 및 형상과 관계없이 별도의 추가부품으로 교체하지 않고도 사용 가능하므로 디스펜서의 사용상에 편이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추가부품 구매를 위한 부대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컵정지부 및 상부누름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핑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롤러의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는 컨베이어(10), 그물망컵정렬부(20), 이송롤러(30), 그물망컵정지부(40) 및 핑거부(50)을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10)는 트레이(T)를 수평이송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무한궤도로 회전하여 상기 컨베이어(10) 전방에서 투입된 상기 트레이(T)를 상기 컨베이어(20) 후방으로 진출시킨다.
이때, 사용되는 상기 트레이(T)는 육묘공정에 통상 사용되는 것으로 복수의 셀(C)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트레이(T)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셀(C)의 크기, 개수 및 형상이 상이한 트레이(T)를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10) 상측에는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가 설치되어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복수 개가 겹쳐져 만들어진 더미(200)를 정렬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베이어(10) 상측에 상기 디스펜서 전방을 향하는 측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외곽프레임(22)이 설치되며, 상기 외곽프레임(22) 내측에는 복수의 정렬판(24)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복수의 상기 더미(200)가 병렬로 정렬되도록 한다.
상기 정렬판(24)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그물망컵이 담겨질 상기 셀(C)의 크기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T)의 종류에 따라 상기 셀(C)의 크기 및 개수 등의 특성이 달라지는 점을 고려하여 작업자가 상기 정렬판(24)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에 의해 정렬된 상기 더미(200)는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하측에 위치한 상기 이송롤러부(30)에 의해 전방을 향해 이송된다.
상기 이송롤러부(30)는 복수의 롤러가 상기 정렬판(24)에 수직되게 설치되며, 모터(미도시)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함으로써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에 정렬배치된 상기 더미(200)를 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부(30)에 설치된 상기 롤러의 회전 속도는 상기 디스펜서 하부에 마련된 제어반(9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롤러의 회전 속도는 상기 그물망컵이 상기 셀(C)에 공급되는 속도에 비례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이송롤러부(30)에 의해 이송된 상기 더미(200)는 말단에 위치한 상기 그물망컵(202)이 상기 핑거부(50)에 의해 상기 더미(200)에서 완전히 분리되기 전까지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에서 대기상태 머물러야하므로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전측에는 상기 그물망컵정지부(40)가 설치된다.
상기 그물망컵정지부(40)는 상기 외곽프레임(22) 개방된 측면의 전단에 위치한 막대 형상의 정지봉(42)을 구비하여 상기 더미(200)가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정지봉(42)은 상기 핑거부(50)의 작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게 설치되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이송롤러부(30)에 의해 전방을 향해 이송되는 상기 더미(200)는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및 상기 그물망컵정지부(40)에 의해 이동범위가 제한되므로 상기 이송롤러부(30)의 상기 롤러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상기 더미(200)의 일부분에 힘이 누적되어 한계에 도달할 경우, 자유상태인 상기 더미(200)의 상방으로 발산된다.
다시 말해, 상기 이송롤러부(30)가 계속 작동함에 따라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더미(200)이 전방을 향해 계속 이동하려고 하나, 상기 그물망컵정지부(40)에 가로막혀 더는 전방으로의 이동할 수 없어지므로 앞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상기 더미(200) 일부분에 점차 누적되다가 한계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정렬판(24)에 의해 제한된 상기 더미(200)의 양측방향과 상기 이송롤러부(30)에 의해 제한된 상기 더미(200)의 하측방향이 아닌 자유상태인 상기 더미(200)의 상측방향으로 발산되어 상기 더미(200)의 일부분이 튀어오름으로써 대열이 무너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양측에 각각 수직 설치된 지지대(62)와 양단부가 상기 지지대(62)에 의해 고정된 누름판(64)을 구비하는 상부누름부(60)가 추가로 설치된다.
상기 누름판(64)는 상기 지지대(62)에 의해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상측에 장착되며, U형상의 곡면을 이루어 상기 더미(200)를 상측에서 하방으로 누름작용을 함으로써, 상기 이송롤러부(3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더미(200) 중 상호 겹쳐진 어느 한 부분이 상방으로 솟아오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핑거부(50)는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전방에 설치되어 수평 왕복 운동하며, 상기 더미(200)로부터 말단에 위치한 상기 그물망컵(202)을 끄집어내어 분리시키는 것으로, 전단부가 상기 더미(200) 말단에 위치한 상기 그물망컵(202) 내에 진입하여 상기 그물망컵 내벽면에 밀착고정되며, 상기 핑거부(50)가 후퇴함과 동시에 상기 그물망컵을 끌어내어 상기 더미(200)에서 분리시킨 후, 상기 트레이(T)의 셀(C) 안으로 자유낙하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핑거부(50)에 의해 상기 더미(200)에서 분리되어 자유낙하되는 상기 그물망컵(202)이 상기 트레이(T)의 셀(C) 내에 정자세로 배치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전측에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호퍼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드롭가이드(70)이 장착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드롭가이드(70)에 의해 상기 그물망컵(202)이 상기 트레이(T)의 상기 셀(C) 안에 정자세로 배치되도록 유도되나, 상기 그물망컵(202)이 상기 셀(C) 내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거나 상기 셀(C)에 불량한 자세로 담길 수 있으므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후측에 설치되어 상기 그물망컵(202)를 정자세로 바로잡아주는 프리롤러(8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컵정지부 및 상부누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물망컵정지부(40)와 상부누름부(60)는 상호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그물망컵정지부(40)의 상기 정지봉(42)는 양단부가 절곡 연장되어 상기 상부누름부(60)의 상기 지지대(62)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는 상기 정지봉(42)이 상기 핑거부(50)에 의해 위치가 쉽게 바뀌도록 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정지봉(42)의 절곡연장부 하단에는 무게추(44)가 추가로 장착되어 상기 무게추(44)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정지봉(42)이 상기 무게추(44)보다 높게 위치되므로써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전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반면, 상기 상부누름부(60)의 상기 누름판(64)은 양단부에 상기 지지대(62)가 관통설치되며, 이때, 상기 누름판(64)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대(62)상에 상기 누름판(64) 하면을 받쳐주는 집게 혹은 너트형상의 클램프(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누름판(64)의 고정 및 높이 가변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핑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핑거부(50)는 직육면체형상의 핑거지지대(56) 전측면에 설치된 톱니부(52)와 상기 톱니부(52) 일측에 구비된 간섭구(54)를 포함한다.
상기 톱니부(52)는 그물망컵의 크기나 형상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긴 막대형상을 가지며, 하단에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더미(200) 말단에 위치한 상기 그물망컵(202)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면, 상기 간섭구(54)는 전단이 구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핑거부(50)가 상기 그물망컵(202)을 향해 전방으로 전진함에 따라 상기 정지봉(42)에 접촉하여 누름작용을 가함으로써 상기 정지봉(42)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톱니부(52)에 의해 상기 더미(200)에서 분리되어 나온 말단의 상기 그물망컵(202)의 자유낙하가 용이하도록 한다.
다시 정리하면,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핑거부(50)가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를 향해 전진시, 상기 간섭구(54)는 상기 정지봉(42)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정지봉(42)가 상기 간섭구(54)의 외면을 따라 하방으로 밀려나게 되며, 동시에 상기 톱니부(52)는 상기 더미(200) 말단에 위치한 상기 그물망컵(202) 내측에 삽입된다.
상기 그물망컵(202) 내측에 삽입된 상기 톱니부(52)는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가 상기 그물망컵(202) 내벽면에 밀착되며, 이때 상기 간섭구(54)는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의 개방된 전측방향으로 상기 그물망컵(202)이 빠져나올 수 있게끔 상기 정지봉(42)이 하방으로의 누름작용을 유지한다.
상기 톱니부(52)가 상기 그물망컵(202) 내측에 완전히 삽입된 이후, 상기 핑거부(50)은 후방을 향해 후퇴하면서 상기 톱니부(52)의 복수의 톱니가 상기 그물망컵(202) 내측 하면의 그물망 틈 사이에 걸려 상기 핑거부(50)의 후퇴함에 따라 상기 그물망컵(202)도 따라 움직이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그물망컵(202)은 상기 더미(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더미(200)로부터 분리된 상기 그물망컵(202)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톱니는 상기 그물망컵(202) 내측 하면의 그물망 틈에서 분리되고, 상기 그물망컵(202) 내측 상면이 상기 톱니부(52) 상단에 걸쳐지게 상태가 되며, 상기 그물망컵(202)의 개방된 측의 단부가 상기 드롭가이드(70) 내측면에 닿으면 상기 그물망컵(202)은 상기 핑거부(50)로부터 분리되어 하방으로 자유낙하하게 된다.
상기 그물망컵(202)은 상기 드롭가이드(70) 내벽면을 따라 낙하하며, 상기 드롭가이드(70)를 통과한 상기 그물망컵(202)은 상기 트레이(T)의 상기 셀(C) 안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핑거부(50)의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는 직선왕복운동은 액추에이터 등의 통상의 구동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롤러의 사시도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프리롤러(80)는 상기 그물망컵(202)이 상기 트레이(T)의 상기 셀(C) 안에 정자세로 배치되도록 바로잡아주는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후측에 설치된다.
상기 프리롤러(80)는 원통형의 롤러(86)와 상기 롤러(86)의 중앙을 관통하여 샤프트(84)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84)의 양단은 서로 대향하는 롤러지지대(82)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롤러지지대(82) 사이에 상기 롤러(86)가 설치된다.
상기 프리롤러(80)는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롤러(86)는 외주면이 상기 트레이(T)의 상면이 맞닿는 높이에 설치되어야 하며, 상기 컨베이어(10)에 의한 상기 트레이(T)의 수평이동을 따라 상기 롤러(86)가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롤러(86)가 회전하여 상기 트레이(T)에 요동을 가함으로써 상기 셀(C) 내에 정자세로 안착되지 못한 상기 그물망컵(202)이 정자세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86)는 상기 트레이(T) 및 상기 그물망컵(202)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폴리우레탄폼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컨베이어
20 : 그물망컵정렬부
22 : 외곽프레임
24 : 정렬판
30 : 이송롤러부
40 : 그물망컵정지부
42 : 정지봉
44 : 무게추
50 : 핑거부
52 : 톱니부
54 : 간섭구
56 : 핑거지지대
60 : 상부누름부
62 : 지지대
64 : 누름판
70 : 드롭가이드
80 : 프리롤러
82 : 롤러지지대
84 : 샤프트
86 : 롤러

Claims (5)

  1. 무한궤도로 회전하여 복수의 셀(C)을 구비한 트레이(T)를 수평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0);
    상기 컨베이어(10) 상측에 설치되며, 채소류 육묘용 그물망컵 복수 개가 겹쳐져 형성된 더미(200)를 정렬하는 그물망컵정렬부(20);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하측에 위치하며,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더미(200)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롤러가 설치된 이송롤러부(30);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전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부(30)에 의해 이송된 상기 더미(200)가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긴 막대 형상의 정지봉(42)이 구비된 그물망컵정지부(40);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전방에 설치되어 수평 왕복 운동하며, 상기 더미(200) 말단에 위치한 상기 그물망컵 내벽면에 밀착하여 후퇴함과 동시에 상기 그물망컵을 끌어내어 상기 더미(200)에서 분리시킨 후, 상기 트레이(T)의 셀(C) 안으로 자유낙하시키는 핑거부(50); 및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상에서 상기 이송롤러부(3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더미(200)의 상호 겹쳐진 어느 한 부분이 상방으로 솟아오르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부누름부(6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누름부(60)는, 그물망컵정렬부(20) 양측에 각각 수직 설치된 지지대(62)와, 양단부가 상기 지지대(62)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상측에 설치되며, U형상의 곡면을 이루어 상기 더미(200)를 하방으로 누르는 누름판(6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부(50)는,
    긴 막대형상을 가지며, 하단에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더미(200) 말단에 위치한 상기 그물망컵을 끄집어내는 톱니부(52)와,
    상기 톱니부(52)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핑거부(50)가 상기 그물망컵을 향해 전진함에 따라 상기 정지봉(42)에 누름작용을 가하여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톱니부(52)에 의해 상기 더미(200)에서 분리되어 나온 말단의 상기 그물망컵의 자유낙하가 용이하도록 하는 간섭구(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호퍼형상을 가지며,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전측에 장착되어 자유낙하하는 상기 그물망컵이 상기 트레이(T)의 셀(C) 내에 정자세로 배치되도록 유도하는 복수의 드롭가이드(7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컵정렬부(20) 후측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트레이(T) 상측에서 회전하여 요동을 가함으로써 상기 셀(C)에 불량한 자세로 담겨진 상기 그물망컵을 정자세로 바로잡는 롤러형상의 프리롤러(8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
KR1020180125120A 2018-10-19 2018-10-19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 KR102080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120A KR102080277B1 (ko) 2018-10-19 2018-10-19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120A KR102080277B1 (ko) 2018-10-19 2018-10-19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277B1 true KR102080277B1 (ko) 2020-02-21

Family

ID=6967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120A KR102080277B1 (ko) 2018-10-19 2018-10-19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2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828A (ja) * 1997-03-19 1998-09-2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ポットトレー充填装置
KR200428905Y1 (ko) * 2006-05-29 2006-10-17 이기영 토양분배기의 포트 공급장치
KR20090001467U (ko) * 2007-08-09 2009-02-12 이기영 토양분배기의 자동 포트 공급장치
KR20110004609A (ko) * 2009-07-08 2011-01-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상토충전용 연질포트 공급장치
NL2016641B1 (nl) 2016-04-20 2017-11-07 Hortiquip Holding B V Werkwijze voor het van nestbare conussen voorzien van een planten-tray, alsmede een inrichting daarvo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828A (ja) * 1997-03-19 1998-09-2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ポットトレー充填装置
KR200428905Y1 (ko) * 2006-05-29 2006-10-17 이기영 토양분배기의 포트 공급장치
KR20090001467U (ko) * 2007-08-09 2009-02-12 이기영 토양분배기의 자동 포트 공급장치
KR20110004609A (ko) * 2009-07-08 2011-01-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상토충전용 연질포트 공급장치
NL2016641B1 (nl) 2016-04-20 2017-11-07 Hortiquip Holding B V Werkwijze voor het van nestbare conussen voorzien van een planten-tray, alsmede een inrichting daarv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1800B2 (en) Independently automated mechanical transplanter
US10772271B2 (en) Rapid transplanting system
CN102960101A (zh) 育苗播种机及育苗播种方法
KR20140051176A (ko) 식물의 재배를 위한 시스템, 방법 및 트로프
KR101762498B1 (ko) 스마트 종자파종기
CN104704961A (zh) 一种烟草育苗播种的方法及设备
US4355588A (en) Transplanting machine
KR20190042258A (ko) 육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식기
KR102080277B1 (ko)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
EP3826452B1 (en) Plant cultivation system and apparatuses therefor
JP2011142902A (ja) 水耕栽培法
FI65154C (fi) Planteringsmaskin foer plantor
JP2013110984A (ja) 播種機
US20220192077A1 (en) Vertical farm seeding apparatus and method
RU2697498C1 (ru) Сеялка для посева зерновых культур колосьями
KR101816403B1 (ko)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KR101158634B1 (ko) 밭작물 씨앗의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JP2010193863A (ja) 播種機
JPS63279725A (ja) 定植装置
JP4600213B2 (ja) 苗移植機
JPS6224419Y2 (ko)
JP3275244B2 (ja) 仮植装置
Lee et al. An improved seedling block transplanter
JPH09121627A (ja) 苗植機
JP2532608Y2 (ja) プラグ苗のポットへの移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