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939B1 - 야채이식기 - Google Patents

야채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939B1
KR960002939B1 KR1019880016899A KR880016899A KR960002939B1 KR 960002939 B1 KR960002939 B1 KR 960002939B1 KR 1019880016899 A KR1019880016899 A KR 1019880016899A KR 880016899 A KR880016899 A KR 880016899A KR 960002939 B1 KR960002939 B1 KR 960002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port
seedlings
pot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244A (ko
Inventor
신 와다나베
에이 이찌로오 기노시다
다마끼 구보
Original Assignee
이세끼 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미즈다 사까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1193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6000293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세끼 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미즈다 사까히사 filed Critical 이세끼 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9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야채이식기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야채이식기의 전체측면도.
제2도는 그 평면도.
제3도는 그 일부를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
제4도는 그 정면도.
제5도는 주요부분의 측면도.
제6도는 그 평면도.
제7도는 그 배면도.
제8도는 종묘재치대후부의 사시도.
제9도는 그 평면도.
제10a, b, c도는 그 각기 다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11도는 이식장치의 전체단면도.
제12, 13도는 이식케이스의 단면도.
제14도는 흙파기장치의 설명도.
제15도는 그 X화살표도.
제16, 17도는 천평간의 평면도와 배면도.
제18도는 식부깊이 제어의 설명도.
제19, 20도는 수평제어용 조작레버장착부의 설명도.
제21도는 육묘기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야채이식기 3 : 주행부미션케이스
7 : 앞바퀴 11 : 이식부미션케이스
13 : 이식장치 28 : 뒤바퀴
30 : 흙파기장치 31 : 복토장치
33 : 이동틀 34 : 받침틀
35 : 종료재치대 41 : 종료재취구멍
43 : 포트호울더(pot holder) 47 : 받치막대(受杆)
50 : 브러시 60 : 가로이동장치
75 : 이식집게 76 : 종료압출체(押出體)
115 : 침상체(針狀體) 116 : 판상체
122 : 캠부착축 134 : 복토판(覆土板)
156 : 천평간(天枰杆) 170 : 식부깊이조절장치
173 : 접지체 178 : 식부깊이조절레버
190 : 수평제어장치 300 : 종묘
303 : 멀티필름(multi-film) 305 : 밭이랑
본 발명은 육묘포트에서 육성된 야채의 종료를 밭에 이식이식하는 야채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제2도는 포트형 육묘기를 나타낸 것으로, 동육묘포트(301)는 토양속에 묻어넣으면 부식된 펄프재나 천연섬유등의 재료로된 저부에 출아공(出芽孔)(3d)이 뚫린 육묘포트(301), …를 개구측 외주부에서 종횡으로 연설하여 되어 있다. 동 육묘포트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각 포트내에 흙이나 발포우레탄등이 육묘모재를 채우고 여기에 파종을 한다음 상하로 반전시켜서 출아공으로부터 싹이 나오게 하며, 일정크기로 생육시킨 야채의 종묘를 1포트분씩의 포트묘로 분할하여 밭에 이식한다.
이런종류의 포트형육묘포트를 사용하면 양호한 조건에서 발아를 하게할 수 있으나 이식함에 적합한 크기로 생육한 종묘를 능률적으로 또한 양호한 식부(植付)조건에서 농장에 식부할 수 있는 실용적인 이식장치는 아직 없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여 성취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야채이식기는, 토양속에 묻어 넣으면 부식된 펄프재나 천연섬유등이 재로로 되어 저부에 출아공이 뚫린 육묘포트를 종횡으로 병설한 육묘포트의 각 포트내에 흙이나 발포우레탄등이 육묘모재를 채우고, 여기에 파종을 한다음 상하로 반전시켜서 출아공으로부터 싹이 나오게 하고, 일정한 크기로 생육시킨 야채의 종묘를 1포트분씩 포트묘로 분할하여 농장에 이식하는 야채이식기로서, 종묘를 실어서 좌우로 왕복운동하는 이동틀과 동 이동틀의 뒤쪽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포트묘공급용의 종묘채취구멍을 지닌 받침틀등으로 구성된 종묘재치대와, 종료채취구멍에 공급된 종묘를 포트묘로 분할하여 농장에 이식하는 이식장치와, 동 이식장치에 의한 포트묘의 이식위치보다 앞쪽의 농장표면을 정지하는 접지체와, 정지한 다음의 농장표면의 종묘이식용의 구멍을 형성하는 흙파기장치와 이식된 종묘의 좌우양측 부분에 해당하는 농장표면을 위로부터 비스듬히 안쪽방향으로 꼭눌려서 포트묘의 포트부분을 흙을 덮는 복토장치등을 구비하였으며, 종묘재치대에는 받침틀위의 종묘의 포트부분을 받아멈추도록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들이워 설치된 포트받침막대와, 동 포트받이고리
Figure kpo00001
의 앞쪽에서 종묘의 잎부분을 탄력적으로 받아멈추는 브러시체등으로 설치되었고, 또 이식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지닌 좌우한쌍의 이식집게와 동 이식집게의 간격부에 설치된 종묘압출체등을 구비하여, 이것들 이식집게 및 종묘압출체는 일정한 상하운동을 하여, 이식집게가 종묘채취구멍으로 포트묘를 파악하여 이것을 농장의 토양속에 이식하며, 종묘압출체는 종묘채취구멍에서 종묘의 포트부분의 상면에 걸어서 종묘를 포트묘로 분할함과 동시에 토양속에서 아래방향으로 돌출하여 포트묘를 이식집게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접지체에 의하여 농장표면이 정지되고, 그 부분에 흙파기장치로 구멍을 뚫게된다. 이 구멍에 이식장치로 종묘는 식부되어, 복토장치가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흙을 개재하여 포트를 꼭누른다.
다음에,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려 한다.
본 야채이식기(1)는, 이식기본체의 전단부에 설치한 엔진(2)의 후부에 주행부미션케이스(3)를 배설하여, 동 미션케이스의 좌우측부에 돌출설치한 회전운동통부(5), (5)의 선단부에 앞바퀴전동케이스(6), (6)를 후방 비스듬히 아래방향으로 설치하고, 동 앞바퀴전동케이스의 하단부에 추진차륜인 앞바퀴(7), (7)를 축받침하고 있다. 좌의 앞바퀴(7), (7)는 나중에 설명하는 승강기구에 의하여 서로 연관시켜서 승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미션케이스(3)의 후부한쪽(도해예에서는 왼쪽)에는 내부에 전동축을 지닌 앞부분전동프레임(10)이 후방으로 뻗어나오게 하여 굳게 부착연결되어 있으며, 그 후단부에 이식부미션케이션(11)가 설치되어 있다. 이식부미션케이스(11)로부터는 나중에 설명하는 이식장치(13)에 전동하는 전동축을 내부에 지닌 후부전동프레임(14)이 후방으로 뻗어나왔고, 다시금 동 전동프레임(14)의 후단부에는 핸들지지프레임(15)이 뒤쪽방향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핸들지지프레임(15)와 이에 굳게 부착한 고정판(16)에 조종핸들(17)에, 각종조작레버등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앞부분 전동프레임(10)와 반대측(도해예에서는 우측)에는 이것에 대향시켜서 사이드프레임(20)이 설치되어 있다. 양 프레임(10), (20)은 우단부가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가로프레임(2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가로프레임(21)에는 평면적으로 보아서
Figure kpo00002
자형의 브래킷(22)이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동 브래킷(22)와 고정판(16) 사이에 보강프레임(23)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 주행부 및 이식부의 미션케이스(3), (11)와 각 프레임(10), (14), (15), (20), (21), (23)등으로 동 야채이식기(1)의 기체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다.
가로프레임(21)이 후방하위위치에는 브래킷(22)와 이식부미션케이스(11)에 굳게 부착한 브래킷(25)에 의하여 뒤바퀴지지축(26)이 가로로 현가되어 있다. 그리고, 동 지지축(26)의 양단부에 뒤바퀴지지아암(27), (27)이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었고, 동 아암의 하단부에 좌우의 뒤바퀴(28), (28)가 축받침되어 있다. 뒤바퀴(28), (28)도 앞바퀴(7), (7)에 연관하여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 뒤바퀴지지축(26)에는 나중에 설명하는 흙파기장치(30)와 복토장치(31)가 부착되어 있다.
기체의 상부에는 이동틀(33)가 받침틀(34)등으로된 종묘재치대(35)가 앞부분이 상위가 되도록 약간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종묘재치대(35)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동틀(33)은, 좌우의 측판(36a), (36b)과 전후의 저판사이에 형성된 저부개구부에 전후한쌍의 로울(38a), (38b)에 긴장 설치된 종묘이송벨트(38)를 전후의 저판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이식용종묘(300)로서는, 제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301a), …를 종횡으로 병설한 종이제품의 육묘포트(301)에서 육성된 포트형상의 것이 사용되고, 뒤쪽의 저판(36b)은 등면에서 보기에 포트의 폭에 상당하는 주기의 파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동 이동틀(33)은 전후의 레일(39), (40)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활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받침틀(34)은 뒤쪽레일(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저판(36c)의 후부에 인접시켜서 동 저부와 동일면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중앙부에 종묘재취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동 종묘채취구멍에는 포트의 저면을 받는 상태와 받지않는 상태로 개폐하는 개폐체(42)가 설치되어 있다.
종묘재치대(35)의 후부에는, 받침틀(34)위까지 이송되어온 종묘를 낙하시키지 않도록 받아멈추기 위한 포트호울더(43)가 설치되어 있다. 포트호울더(43)는, 갈고리형의 측판부(44a), (44a)의 후단부끼리를 횡판부(44b)로 연결한 브래킷(44)을 이동틀의 측판(36a), (36a)의 후단부상부에 핀(45), (45)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하여, 횡판부(44b)의 전면부에 피아노선등으로 형성된 포트받침막대(47), …가 포트폭의 간격으로 아래를 향하게 들이워 부착되어 있다.
각 포트받침막대(47)는 하부가 약간 앞으로 향하도록 굴곡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가 후방으로 뻗쳐나와서 그만큼 상부의 내부가 깊게 되어 있다. 그리고, 횡판부(44b)로부터 상방앞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48), (48)에 천설되어 있는 전후의 긴구멍(49), (49)에 모상체를 세워 설치한 브러시(50)가 보울트(52), (52)로 부착되어 있다.
브러시(50)는 종묘의 잎을 부드럽게 받아멈추어서 잎이 포트호울더의 후방으로 빠져서 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나중에 설명하는 이식집게(75), (75)에 의한 잎의 손상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트받침막대(47), …는 상부가 후방으로 뻗쳐나와 있으므로, 포트받침막대(47), …의 상부와 브러쉬(5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포트받침막대(47), …와 브러시(50)의 간격은, 긴구멍(49), (49)에의 보울트(52), (52)의 부착위치를 바꿈에 따라서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서, 이동틀의 측판(36a)의 바깥면에 돌출 설치된 철부(54)에 맞물리는 요부(55)를 지니고 연결봉(56)으로 상단부끼리가 연결된 갈고리(57), (57)가 브래킷의 측판부(44a), (44a)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브래킷(44)과 갈고리(57) 사이에는 스프링(58)이 개재 장착되어 있으며, 철부(54)와 요부(55)가 맞무는 방향으로 갈고리(57)가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포트호울더(43)는 포트받침막대 및 브러시가 이동틀(33)의 후단면을 폐쇄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종묘재치대(35)의 가로이동장치(60)로서, 작업부미션케이스(11)에 굳게 부착연결된 종료재치대전동케이스(62)의 선단부와 가로프레임(21)의 돌출단부에 설치된 베어링부재(63) 사이에, 외주부에 우회 및 좌회의 나선상리이드홈(65), (65′)이 형성된 리이드캠축(66)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리이드홈에 맞무는 리이드걸이를 구비한 리이드메탈(67)이 종묘재치대의 이동틀(33)에 굳게 부착되어 있으며, 리이드캠축(66)이 회전함에 따라, 이것에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도록 끼워맞춘 리이드메탈(67)을 개재하여 이동틀(33)이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하게 되어, 받침틀(34)위의 최후렬의 종묘를 순차 종료채취구멍(41)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동틀(33)이 좌우행정의 단부까지 이동하면, 구동로울(38a)의 축의 단부에 굳게 부착한 래칫레버(68)가 캠부착축(122)에 부착된 종묘이송캠(69)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되고, 종료이송벨트(38)가 작동하여 종묘를 1열분만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최후렬의 종묘(300)는, 포트부(300a)가 포트받침막대(47)의 하단부에 지지됨과 동시에 일부분(300b)이 브러시(5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받아멈추게 된다.
포트받침막대(47)의 상부가 후방으로 뻗어 나와 있기 때문에, 잎이 크게 생육한 종묘의 경우에도 잎부분이 포트받침막대에 의하여 앞쪽으로 무리하게 가압되는 일이 없다. 또, 브러시(50)가 전후에 부착위치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야채의 종류에 따라서 포트받침막대와 브러시의 간격(L)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데, 양배추와 같이 잎이 위로 뻗는 종묘의 경우에는, 제10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격(L1)을 넓게하고, 배추와 같이 잎이 옆으로 퍼지는 종묘의 경우에는, 제10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격(L2)을 좁게하는 것이 좋다.
단, L1>L2, 이와같이, 포트받침막대와 브러시의 간격(L)을 조정함에 따라, 앞에 적당한 정도의 저항이 걸리도록 설정할 수 있고, 최후렬의 종묘의 잎과 그 전열의 종묘의 잎의 휘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0c도에 있어서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갈고리(57), (57)의 상부를 앞쪽으로 넘어뜨려서 철부(54)와 요부(55)의 맞물림을 해제함에 따라 동 도면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갈고리(57), (57)의 상부를 앞쪽으로 넘어뜨려서 철부(54)와 요부(55)의 맞물림을 해제함에 따라 동 도면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을 수 있다.
이식장치(13)는 각각 여러개의 축, 기어등을 내장하는 제1회전케이스(71), 제2회전케이스(72) 및 이식케이스(73)를 구비하고, 이식케이스(73)에 한쌍의 이식집게(75), (75)와 종묘압출체(76)가 설치되어 있다. 제11도-13도는 내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회전케이스는 뒤부분 전정프레임(14)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회전통(89)에 일체로 뒷부분 전동케이스(14)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고, 또 제2회전케이스(72)는 제1회전케이스(71)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회전통(82)에 일체로 제1회전케이스(71)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다. 후부전동케이스(14)의 후단부에는 일단부를 제1회전케이스(71)내에 끼워넣게한 고정축(33)이 설치되고, 회전통(81)에 고정부착된 스프로킷(84)이 동축의 둘레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끼워맞추고 있음과 동시에, 제1회전케이스(71)내에서 기어(85)가 동축에 끼워있다. 스프로킷(84)에는 후부전동케이스(14)내의 체인(87)이 팽팽히 현가되어 있으며, 동 체인을 개재하여 전하여지는 동력에 따라서 제1회전케이스(71)가 일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또, 기어(85)는 카운B터기어(88)를 개재하여 회전통(82)의 기어(89)에 맞물어 연결되어 있고 이것들 기어렬의 작용에 따라서 제1회전케이스(71)가 회전하면 제2회전케이스(72)가 이것의 2배의 스피이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제1회전케이스(71)에도 일단부를 제2회전케이스(72)내에 끼워넣은 고정축(91)이 설치되어, 동 고정축(91)에 끼워져있는 기어(92)는 카운터기어(93)를 개재하여 제2회전케이스(72)의 선단부에 지지되어 한쪽을 그 케이스밖으로 돌출시킨 이식케이스부착축(95)의 기어(96)에 맞물려 연결되어 있다. 동 이식케이스부착축(95)은 제2회전케이스(72)에 대하여는 상대적으로 회전하지만, 기체에 대하여는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각 기어비가 설정되어 있다.
이식케이스(73)는 케이스내에 삽입된 전술한 이식케이스부착축(95)에 일체가 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회전케이스(72)에 고정부착된 부착축(95)을 밖으로싼 통축(100)에 개폐캠(101)와 압출캠(102)이 병설되어 있다. 이식케이스(73)의 내부에는, 통축(100)에 직교시켜서 개폐축(104)와 압출축(105)이 설치되어 있으며, 개폐축(104)에는 개폐캠(101)에 눌러 가압하는 캠종동자(106)가 부착되어 있으며, 압출축(105)에는 압출캠(102)에는 눌러 가압하는 캠종동자(107)가 부착되어 있다.
전술한 한쌍의 이식집게는 고정집게와 가동집게로 되어 있는데, 고정집게 75(A)는 이식케이스(73)의 측면부에 고정부착되어 있고, 가동집게 75(B)는 개폐축(104)의 하단돌출부에 부착되어 있다.
양 이식집게는 함께 아래방향으로 뻗어 있고, 하단부가 주걱형상의 협지부(75a)로 되어 있다. 또, 압출체(76)는 압출축(105)의 하단돌출부에 부착되었으며, 고정이식집게 75(A)의 내면에 미끄러지도록 접하고 있다.
다음에 이식장치(13)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회전케이스(71)는 앞바퀴(7), (7)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일정한 속도로 제1도에 있어서의 반시계둘레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2회전케이스(72)는 이것과는 반대회전(시계회전방향)으로 2배의 속도로 회전하고, 이식케이스(73)는 상하로 가늘고긴 타원궤도를 그리면서 상하운동을 한다.
기체에 대하여 이식케이스부착축(95)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식케이스(73) 및 이것에 부착되어 있는 이식집게(75), (75)와 종묘압출체(76)는 시종같은 자세를 유지한다.
제1도에 있어서의 P는 이식집게의 선단부의 체적을 나타내었으며, A점즉 종묘채취구멍(41)이 위치에서 종묘압출체(76)가 종묘(300)의 포트부 상면에 걸어둠과 동시에 가동집게 75(B)는 닫히고, 종묘채취구멍(41)에 위치하는 종묘를 1개의 포트종묘로 하여 분할하여 이것을 한쌍의 이식집게가 보유한다.
이러한 동작에 맞추어서 종묘채취구멍의 개폐체(42)가 열도록 되어 있다. B점 즉 궤적의 최하부에 가동집게 75(B)가 열려서 보유하고 있던 포트종묘를 농장에 식부하여 나아간다. 또, 이식집게 B점보다도 조금 상승한 C점에서 종묘압출체(76)가 하동하는 동작을 개시하여, 이식집게 75(A,B)에 부착한 상태에서 들어 올려진 종묘를 강제적으로 이식집게로부터 분리하므로, 종묘의 이식이 확실히 이루어지게 된다.
흙파기장치(30)는 뒤바퀴지지축(26)에 고정부착한 정면으로 보아서 게이트형의 틀본체(110)에 상하링크(111), (112)를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피벗하여, 동상하링크의 후반선단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결합한 부착판(114)에, 역 U자형태로 한쌍의 하단부가 예리하게 형성된 침상체(115)와, 좌우양단부가 약간 뒤쪽방향으로 굴곡하는 진행방향과 직각인 방향을 향한 판상체(116)가 설치되어 있다. 판상체(116)는, 침상체(115)의 후면에, 하단이 그 침상체의 하단보다도 상위에 위치하도록 고정부착되어 있다.
하부링크의 회전지지축(112a)에는 하부링크를 위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18)이 끼워져 있다.
동 흙파기장치(30)의 구동기구로서, 상부링크(111)에 설치된 축(119)에 베어링으로 만들어진 캠종동자(120)가 끼워지고, 동 캠종동자(120)에 대향시켜 캠부착축(112)에 부채꼴의 캠(123)이 설치되어 있다. 더우기, 캠부착축(122)은 이식부미션케이스(11)로부터 돌출하였고, 그 선단부가 브래킷(22)이 후방에 설치된 베어링부재(124)에 지지되어 있다.
캠부착축(122)이 구동회전함에 따라서 캠(123)이 회전하여, 동 캠이 캠종동자(120)에 맞물리면 상부링크(111)가 밀어내리워져서 침상체(115) 및 판상체(116)가 하동하고, 맞물림이 해재되면 스프링(118)의 작용으로 상동하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캠(123)에는 침상체(115) 및 판상체(116)를 최하부에서 일시정지하도록 작동시키는 캠면(123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체의 진행에 따라서 침상체(115) 및 판상체(116)가 토양속에 잠긴상태의 그대로 이동하여 농장에 이식용구멍이 형성된다. 이런경우에 침상체(115)에 의하여 손을 움직여 일으킨 다음의 흙을 판상체(116)가 파괴분쇄하여 나아가므로, 이식구멍 주위의 흙이 충분히 세분화된다. 또 멀티필름(303)이 피복되어 있을 경우에는 침상체(115)가 이것을 찔러부수어 찢어나아감에 따라 필름에 구멍(303a)이 형성된다.
동 필름구멍의 주위에는, 판상체(116)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어치워진 흙이 쌓이게 된다. 따라서, 필름의 단부가 이식한 다음의 종묘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종묘의 생육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복토장치(31)는 하부링크회전지지축(112a)의 양단부에 유니버어설 조인트(130), (130)를 개재하여 지지막대(131), (131)가 연결되어 지지막대는 바깥쪽 아래방향으로 돌출한 다음 뒤쪽방향으로 굴곡하여, 그 후단부에 좌우한쌍의 복토구(132), (132)가 밭이랑(305)의 양측에 지지되어 있다.
복토구(132)는 지지판(133)의 후단이면에 합성수지등의 가요성재료로된 복토판(134)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지지막대(131)와 복토구(132)의 부착부에 대하여 설명하면, 지지막대(131)의 후단부에 2조의 부착구멍(135a), (135a′)를 지닌 부착틀(135)이 굳게 부착되어있으며, 지지판(133)측의 장단 2개의 미끄러져 움직임축(136), (136′)이 상술한 부착구멍에 각기 미끄러져 움직이지 자유롭도록 관통시켜서 설치되었고, 또한 긴쪽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축(136)에는 선단부에 설치한 걸이판(137)과 부착틀(135) 사이에 비교적 탄성력의 약간 가압스프링(138)이 장착되어 있다. 이때문에 복토구(132)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앞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된다. 지지막대(131), (131)를 구동하는 구동기구는, 캠부착축(122)에 부착된 캠(140)와, 회전지지축(122a)과 일체인 아암(141)에 부착된 베어링으로된 캠종동자(14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140)이 회전함에 따라 캠종동자(142)가 주기적으로 밀어내리워지게 되고, 이에 따른 회전지지축(112a)의 회전운동이 유니버어설조인트(130), (130)를 개재하여 지지막대(131), (131)에 전달된다. 회전지지축(112a)에 대하여 지지막대의 기부(131a), (131a)가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지막대가 구동되면 좌우의 복토판(134), (134)은 이식된 종묘의 좌우양측의 토양을 상방으로부터 비스듬히 안쪽으로 세게 누른다.
복토판에 의하여 눌러진 흙이 종묘의 포트부(303a)의 경사측면을 양쪽으로부터 가압하므로 그 흙부분이 일정위치에 일정한 모습으로 확실하게 보존된다. 또, 좌우한쌍의 복토판이 종묘주위의 흙을 사이에 끼워 붙히도록 세게누름에 따라 흙이 상방으로 쌓여올리게 되고, 포트부(300a)의 상부에도 충분한 흙돋음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하여온 종묘재치대의 가로이동장치(종묘이송장치)(60), 흙파기장치(30) 및 복토장치(31)를 구동시키는 각 캠(69), (69), (123), (140)은 각기 공통한 캠부착축(122)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축이나 전동용부재의 수가 적고 구성이 간단함과 동시에, 이것들의 장치를 이식장치(13)에 동기하여 작동시킴에 형편이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캠부착축(122)이 이식부미션케이스(11)의 주축의 연장축이므로 캠부착을 구동하기 위한 기구가 불필요하게 되어 있다.
접지륜인 앞바퀴 및 뒤바퀴의 승강기구는 유압식이며, 주행부 미션케이스(3)의 후부에 유압펌프(150)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앞부분 전동프레임(10)와 사이드프레임(20) 사이에 가설한 지지대(151)위에 유압실린더(152)와 유압밸브(153)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실린더의 피스톤(152a)은 후방으로 돌출되어, 그 후단부에 설치된 미끄러져 움직이는 판체(155)에 천평간(156)이 수평면내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피벗되어 있다. 미끄러져 움직이는 판체(155)는 피스톤(152a)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고, 동 피스톤의 주위에 끼워진 스프링(157)으로 뒷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 천평간(156)은 상판(156a)과 하판(156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간부에 형성된 공간(160)의 중앙부에 미끄러져 움직이는 판체(155)가 삽입되어 미끄러 움직이는 판체의 상하의 핀(161), (161)의 상판과 하판의 보스(162), (162)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끼워맞춤에 따라, 미끄러 움직이는 판체(155)와 천평간(156)이 결합하고 있다.
도면중의 (163)은 미끄러져 움직이는 판체(155)의 빠져 떨어짐의 방지용 스토퍼로서 피스턴(152a)의 선단부에 끼워져 있다.
그리고 천평간(156)의 좌우 양단부는 앞바퀴 연결간(165), (165)에 의하여 회전운동통부(5), (5)의 상면에 돌출설치한 아암(166), (166)에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뒷바퀴 연결간(167), (167)에 의하여 뒷바퀴 지지축(26)의 상면에 돌출 설치한 아암(168), (168)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기구의 구동용 유압실린더(152)는 다음의 식부깊이 제어장치(170)에 의하여 제어된다.
식부깊이 제어장치(170)는 브래킷(22), (25)에 가로 설치한 회전운동축(171)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설치한 지지판(172)에 접지체(173)가 축받침(축(175))되어, 동 접지체와 일체인 아암(76)의 선단부와 유압밸브의 스푸울(Spool)(153a)이 연결로드(177)로 연결되어 있다.
접치체(173)는 기로부터 후방으로 뻗어나온 중판부(173a)와 동중판부의 양측부에 설치된 측판부(173b), (173b) 등으로부터 밭이랑(305)의 정상부를 둘러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중판부(173a)의 후부중앙에는, 이식집게(75), (75)와 침상체(115), 판상체(116)가 삽입하게 되는 노치(173c)가 형성되어 있다.
작업시에는, 중판부(173a)가 밭이랑(305)의 상면에, 또 측판부(173b), (173b)가 밭이랑(305)의 상부사면에 각기 미끄러지게 접하여, 밭이랑의 정상부를 정지 정형하면서 진행함과 동시에, 밭이랑의 고저변화에 따라서 상하동이 연결로드(177)를 개재하여서 유압밸브의 스푸울(153a)에 전달된다.
즉, 접지체(173)는, 밭이랑의 정상부를 정지정형하는 정지구로서의 역할과, 밭이랑의 높이를 검출하는 센서로서의 역할을 지니고 있다.
밭이랑의 높아져서 접지체(173)의 후부가 상동하면, 아암(176)와 로드(177)를 개재하여 스푸울(153a)이 밀어넣어져서 유압실린더(152)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유압밸브(153)가 교체된다.
유압실린더가 신장하여 천평간(156)이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것에 부착되어있는 앞바퀴 연결간(155), (155), 뒷바퀴 연결간(157), (157)을 개재하여 아암(156), (156), (158), (158)이 회전운동하게되어, 앞바퀴(7), (7) 및 뒷바퀴(28), (28)가 동시에 하등하여 기체가 들어올려지게 된다. 반대로 밭이랑이 낮아져서 접지체(173)의 후부가 하등하면 기체가 내려앉게 된다.
이와같이 식부깊이 제어장치(170)의 작용에 따라서 밭이랑의 높이변화에 따라서 기체를 적당히 승강시킴에 따라, 항상 일정한 조건 또한 일정한 식부깊이로 식부작업을 하게된다. 식부깊이의 조절은 식부깊이 조절레버(178)로 접지체의 기준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실시한다.
제18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178)를 내린 상태에서는, 기준높이(H1)가 낮고 식부깊이가 얕다. 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178)를 올린상태에서는 기준높이(H2)가 높고, 식부깊이가 깊다.
레버(178)로 식부깊이를 조절하면, 접지체(173)의 앙각(仰角)이 변화하기 때문에 식부깊이 제어용의 감도가 변화한다.
즉, 얕게 심기를 하기 위하여 레버(178)를 낮추면, 접지체(173)의 앙각이 커져서 감도가 민감하게 된다. 반대로 깊게 심기를 하기 위하여 레버(178)를 들어올리면 접지체(173)의 앙각이 작아지기 때문에 감도가 둔감하게 된다.
더우기, 로드(177)의 밸브축 갈고리 형성단부(177a)는, 핸들지지프레임(15)에 설치한 인상레버(180)에 와이어(181)에 따라서 접속되어 있는 제어전환단편(182)의 긴구멍(183)에 삽입되어 있다.
인상레버(180)가 자동제어위치(D1)인 때는, 긴구멍(183)의 중앙부에 단부(177a)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푸울(153a)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어, 승강제어를 자동적으로 할수있게 된다.
인상레버(180)를 리프트위치(D2)로 하면, 긴구멍의 단부벽면(183a)이 로드단부(177a)를 끌어당겨서, 스푸울(153a)을 강제적으로 밀어넣기 때문에 기체가 리프트 위치까지 상승한다.
또, 천평간의 공간(160)은 수평제어장치(190)이 캠기구부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미끄러져 움직이는 판체(155)에는 평면적으로 보았을때 타원형의 구멍(191)이 형성된 캠수용부(192)가 옆쪽으로 뻗어나오게 설치되어 있어, 동 캠수용부의 타원구멍(191)에 편심축(193)이 굳게 부착된 원형의 캠(194)이 끼워맞춤어 있다.
상기한 편심축(193)의 상부에는 서로 역방향으로 돌출하는 아암(196), (196)이 형성된 아암부재(197)가 키이(198)에 의하여 끼워져 있어, 그 아암(196), (196)의 선단부에 고정판(16)에 설치한 조작레벨(200)에 접속되어 있는 와이어(201)가 부착되어 있다.
더우기, 와이어아우터(202), (202)의 아암측 단부는 천평간(156)의 상판(156a)에 설치한 아우터받침판(203)에 고정지지되어 있다. 조작레버(200)의 장착부에 대하여 설명하면, 외주면에 와이어홀(205)이 형성된 원판(206)이 축(207)에 의하여 고정판(16)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그 원판에 회전지지판(209)으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통체(210)에 조작레버(200)의 기부가 굳게 부착되어, 와이어홀(205)에 와이어(201)가 감겨서 고정되어 있다.
더우기 와이어아우터(202), (202)의 원판측단부는 고정판(16)에 굳게 부착된 아우터받침판(203)에 고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레버(200)의 기부부근의 측면부에 굳게 부착시킨 걸어고정판(212)이 고정판의 입연부(立緣部)(16a)에 형성된 여러개의 걸어고정홀(213) ,…의 어느것인가에 맞물 수 있도록 되어있다. (214)는 조작레버(200)를 걸어고정홀(213) ,…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이다. 걸어고정판(212)을 걸어고정홀(213)으로부터 해제하여 조작레버(200)를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운동 조작함에 따라, 원판(206)에 감겨져 있는 와이어(201)가 이동하여, 아암부재(197)가 회전운동한다.
캠(194)이 편심회전운동하게 되어, 천평간(156)이 강제적으로 요동하게 된다. 평편으로 보아서 천평간을 왼쪽돌림으로 요동시키면, 왼쪽 앞바퀴 및 뒷바퀴가 상동하고, 또한 우측의 앞바퀴 및 뒤바퀴가 하등하기 때문에 기체는 왼쪽으로 처지게 경사한다. 반대로 천평간을 오른쪽으로 돌려 요동시키면 기체는 오른쪽으로 쳐지게 경시한다.
본 야채이식기는, 접지체에 의하여 정지된 농장지면에 구멍이 파여지고, 거기에 포트종묘가 1포트분씩 분할하여 자동적으로 식부됨과 동시에, 그 식부된 종묘의 포트부가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흙을 개재하여 꼭 눌려주게되는 것이기 때문에 성육에 적합한 양호한 조건에서 좋은 능률로 종묘의 이식을 하는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1)

  1. 토양속에 묻어넣으면 부식된 펄프재나 천연섬유등이 재료로 되어 저부에 출아구멍이 천설된 육묘로프를 종횡으로 병설한 육묘기의 각포트내에 흙이나 발포우레탄등이 육묘모재를 채우고, 이것에 파종을 한다음, 상하로 반전시켜서 아출구멍으로부터 싹이 나오게 하여, 일정한 크기로 생육시킨 야채의 종묘를 1포트분씩의 포트종묘로 분할하여 농장에 이식하는 야채이식기(1)로서, 종묘를 실어서 좌우로 왕복운동하는 이동틀(33)과 동 이동틀의 후측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포트종묘공급용의 종묘채취구멍(41)을 지닌 받침틀(34) 등으로 구성된 종묘재치대(35)와, 종묘채취구멍(41)에 공급된 종묘를 포트종묘로 분할하여 농장에 이식하는 이식장치(13)와, 동 이식장치에 의한 포트종묘의 이식위치보다 앞쪽의 농장표면을 정지하는 접지체(173)와 정지한 다음의 농장표면에 종묘이식용의 구멍을 형성하는 흙파기장치(30)와, 이식된 종묘의 좌우양측부분에 해당하는 농장표면을 위로부터 비스듬히 안쪽방향으로 꼭눌러서 포트종묘의 포트부분을 복토하는 복토장치(31) 등을 구비하고, 종묘재치대(35)에는 받침틀(34)위의 종묘의 포트부분을 받아 멈추도록 상방에서 하방으로 들이워 설치된 포트받침막대(47)와, 받침고리의 앞쪽에서 종묘의 잎부분을 탄력적으로 받아멈추는 그러시 등이 설치되고, 또 이식장치(13)는 일정한 간격을 지닌 좌우한쌍의 이식집게(75)와 동 이식집게의 간격부에 설치된 종묘압출체(76)등을 구비하여, 이것을 이식집게(75) 및 종묘압출체(76)는 일정한 상하운동을 하여, 이식집게가 종묘채취구멍(41)으로 포트종묘를 잡아쥐어 이것을 농장의 토양속에 이식하고, 종묘압출체(76)는 종묘채취구멍(41)에서 종묘의 포트부분의 상면에 걸어서 종묘를 포트종묘로 분할함과 동시에 토양속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포트종묘를 이식집게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이식기.
KR1019880016899A 1987-12-17 1988-12-17 야채이식기 KR960002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0247 1987-12-17
JP62320247A JP2697792B2 (ja) 1987-12-17 1987-12-17 歩行型苗移植機
JP62-320247 1987-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244A KR890009244A (ko) 1989-08-01
KR960002939B1 true KR960002939B1 (ko) 1996-03-02

Family

ID=1811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899A KR960002939B1 (ko) 1987-12-17 1988-12-17 야채이식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32338A (ko)
EP (1) EP0320995B1 (ko)
JP (1) JP2697792B2 (ko)
KR (1) KR960002939B1 (ko)
CN (1) CN1017955B (ko)
DE (1) DE3875707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769A (ko) * 2015-01-20 2016-07-28 최태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14685T2 (de) * 1990-09-07 1996-07-04 Forbio Ltd Automatisches zerteilungssystem für pflanzen.
FI904767A (fi) * 1990-09-27 1992-03-28 Laennen Tehtaat Oy Anordning foer oeverfoering av en planta.
JP2523285Y2 (ja) * 1990-11-05 1997-01-22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移植機における移植装置
US5215550A (en) * 1991-07-10 1993-06-01 Sylvester M. Tesch, Jr. Seedling array transplanter
DE69328782T2 (de) * 1992-08-10 2000-09-21 Williames Hi Tech Int Automatische pflanzmaschine topfballen aus einer saatkiste nehmend
US5477791A (en) * 1993-03-04 1995-12-26 Yanmar Agricultural Equipment Co., Ltd. Seedling planting apparatus
US6158362A (en) 1999-06-22 2000-12-12 Culley; Daniel A. Expandable stinger planter
US6615753B1 (en) * 1999-06-22 2003-09-09 Northwest Revegetation Expandable stinger planter
JP3845063B2 (ja) * 2003-02-27 2006-11-15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苗移植機
WO2004082365A1 (ja) * 2003-03-20 2004-09-30 Yanmar Agricultural Equipment Co., Ltd. 野菜移植機
CN100518489C (zh) * 2006-08-18 2009-07-29 浙江工业大学 种植掘坑机
CN102696318B (zh) * 2011-02-09 2015-07-08 井关农机株式会社 移植机
CN102405717B (zh) * 2011-11-18 2013-11-20 江苏大学 一种穴盘苗移栽机取苗机械手
CN102804961B (zh) * 2012-05-17 2014-06-25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一种挺水植物采集与移栽装置
CN103975676B (zh) * 2014-04-16 2016-08-24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穴盘苗移栽机械手
CN107711010B (zh) * 2017-10-14 2019-12-31 潘颍芳 小辣椒双行移栽机
CN109743932B (zh) * 2019-01-22 2020-06-26 连云港赣榆沃龙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农业科学研究用秧苗移植装置
CN111133866A (zh) * 2020-01-06 2020-05-12 河南大学 一种适用铺设有地膜的菜地上的自动种菜机器人
CN111247906B (zh) * 2020-01-20 2021-06-18 浏阳市施绿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快速刨坑种植农作物的种植小车装置
CN111296010A (zh) * 2020-03-27 2020-06-19 安徽同创现代农业投资发展有限公司 一种石斛的室内种植设备及其种植方法
CN111819953B (zh) * 2020-07-16 2021-04-23 浙江山友天然食品有限公司 一种地面开孔花苗栽种装置及使用方法
CN111837512B (zh) * 2020-07-30 2021-08-24 中国热带农业科学院环境与植物保护研究所 一种有机蔬菜种植设备及种植方法
CN112840794B (zh) * 2021-01-29 2022-03-22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自动化农业挖坑植入埋土的一体化装置
US20230380334A1 (en) * 2022-05-25 2023-11-30 Motivo Engineering, Llc Brushed slip holder and operational mechanisms
CN115885639B (zh) * 2023-01-06 2023-06-02 东北农业大学 播量精准调节水稻直播排种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2325A (en) * 1933-11-06 1934-09-04 Honorato De Dios Planter
GB937300A (en) * 1960-02-16 1963-09-18 Robot Agricultural Machinery 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ransplanters
US3872805A (en) * 1972-01-18 1975-03-25 Howard A Kolk Planting machine
JPS4943432U (ko) * 1972-07-27 1974-04-16
FR2432265A1 (fr) * 1978-08-02 1980-02-29 Mametora Agricult Mach Machine a repiquer de jeunes plants
SU895313A1 (ru) * 1980-08-05 1982-01-07 Головное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о Комплексам Машин Для Возделывания,Уборки И Послеуборочной Обработки Томатов И Табака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Молдсельмаш" Посадочна секци
JPS60145011A (ja) * 1984-01-06 1985-07-31 株式会社クボタ 苗植付装置
JPS62239909A (ja) * 1986-04-10 1987-10-20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装置
US4869637A (en) * 1986-08-27 1989-09-26 Bud Antle, Inc. Plant transfer mechanism
US4788920A (en) * 1987-02-26 1988-12-06 University Of Florida Spatial transplanter mech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769A (ko) * 2015-01-20 2016-07-28 최태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20995B1 (en) 1992-11-04
US4932338A (en) 1990-06-12
JP2697792B2 (ja) 1998-01-14
CN1017955B (zh) 1992-08-26
JPH01160410A (ja) 1989-06-23
CN1036117A (zh) 1989-10-11
KR890009244A (ko) 1989-08-01
DE3875707T2 (de) 1993-05-27
EP0320995A1 (en) 1989-06-21
DE3875707D1 (de) 199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939B1 (ko) 야채이식기
JP2000175513A (ja) 苗移植機
JP3502188B2 (ja) 野菜移植機
JPH069442B2 (ja) 苗植え付け装置
JP2508168B2 (ja) 歩行型農作業機
KR0183961B1 (ko) 육묘이식기
JP3932230B2 (ja) 苗移植機
JP3514705B2 (ja) 移植機の植付装置
JP3566411B2 (ja) 苗移植機
JPH01160408A (ja) 野菜移植機等の苗載台
JP2012065579A (ja) 苗移植機
JP3942060B2 (ja) 移植機
JP2692205B2 (ja) 苗の補植機
JP4706116B2 (ja) 苗移植機
JPH01160412A (ja) 移植機
JPH0735533Y2 (ja) 播種機の土押し装置
JP2005021060A (ja) 苗移植機
JP3757909B2 (ja) 苗植機の苗供給装置
JPH01160409A (ja) 野菜移植機における苗載台
JP2838681B2 (ja) 多条移植機
JPH09191715A (ja) 移植機
JPS6361888B2 (ko)
JP4340800B2 (ja) 苗移植機
JPH07114583B2 (ja) 苗の植付装置
JPH01132305A (ja) 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