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964B1 - 인덕션 튀김기 - Google Patents

인덕션 튀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964B1
KR101815964B1 KR1020160138471A KR20160138471A KR101815964B1 KR 101815964 B1 KR101815964 B1 KR 101815964B1 KR 1020160138471 A KR1020160138471 A KR 1020160138471A KR 20160138471 A KR20160138471 A KR 20160138471A KR 101815964 B1 KR101815964 B1 KR 101815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ntainer
frying
fry
f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석
Original Assignee
범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범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8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964B1/ko
Priority to EP17187817.6A priority patent/EP3311714B8/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57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electrically heated
    • A47J37/1261Details of the heating elements; Fixation of the heating elements to the frying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57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8Integrated 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820); 상기 케이스(820) 상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뚜껑부(810); 상기 케이스(820)내에 설치되는 튀김용기(860); 상기 튀김용기(860) 내에 설치되는 튀김바구니(880); 상기 뚜껑부(81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튀김바구니(880)를 개폐하는 바구니덮개(815); 튀김용기(860) 외주면에 설치하는 유도가열부(865)를 포함하는 인덕션 튀김기로서, 튀김용기(860)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된 배출관(850)에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870)이 형성되어 있어, 튀김용기(860)에 기름을 공급할 때 기름이 튀김용기(860) 외부로 튀거나, 실수로 기름을 흘리는 경우를 방지한다.

Description

인덕션 튀김기{Induction Fryer}
본 발명은 인덕션(전자유도가열)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튀김통 내부에 기름을 공급하는 공급관이 튀김용기 하부의 배출관에 장착되어 있는 인덕션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유도가열 튀김기의 균일튀김장치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15002호(이하 ‘선행발명 1’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위 전자유도가열 튀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유도가열 튀김기는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이 설치된 전자유도가열수단(A)과 상기 유도가열수단(A)의 열원에 의해 튀김물이 튀기는 튀김수단(B)이 각각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튀김수단(B)은 외곽을 이루는 튀김수단케이스(1)와, 상기 튀김수단케이스(1)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기름이 일정량 채워지는 튀김용기(2)와, 망으로 형성되며 상기 튀김용기(2)의 내부에 장착되어 튀김물이 놓이는 튀김바구니(3)와 상기 튀김수단케이스(1)에 설치되어 튀김용기(2)를 덮는 뚜껑(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자유도가열수단(A)은 외곽을 이루는 가열수단케이스(5)와, 상기 가열수단케이스(5)의 내측 상면에 장착되는 상부세라믹판(6)과, 상기 상부세라믹판(6)의 하부에 설치되는 자력선 발생코일(7)과, 상기 자력선 발생 코일(7)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8)와, 상기 상부세라믹판(6)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부세라믹판(6)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9)와, 상기 온도센서(9)의 감지에 의해 전원공급부(8)의 전류공급을 조절하는 기능을 겸하는 마이콤(10)과, 내부의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팬(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는 상부세라믹판(6)의 상부에 튀김용기(2)가 위치되도록 전자유도 가열수단(A) 위에 튀김수단(B)을 올려놓은 다음, 식용류와 같은 튀김 기름을 튀김용기(2)에 붓고 전원공급부(8)에서 자력선 발생코일(7)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게 되면 자력선 발생코일(7)에서 자력선이 발생하여 상부세라믹판(6)과 튀김용기의 밑면을 통과하면서 내부에 와전류(Eddy Current)가 유도되어 열을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열이 튀김용기(2)에 채워진 기름을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기름이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면 뚜껑을 열고 튀김바구니(3)에 튀김물을 넣어 가열된 기름에 의해 튀겨지게 된다. 기름의 온도는 온도센서(9)의 감지와 마이콤(10)의 제어에 의해 자력선 발생코일(7)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설정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자력선 발생코일(7)이 튀김바구니(3)의 하방향 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름을 가열할 때 자력선이 고르게 퍼지지 못하므로 튀김용기(2) 내부 온도가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튀김용기의 내부 온도가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튀김물을 튀길 때 고르게 튀겨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전압을 이용한 인덕션 튀김기가 한국 등록특허 제10-1652023호(선행발명 2)에 개시되었다. 선행발명 2는, 튀김용기 표면 가까이에서 와전류의 발생 및 전자 유도를 통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되도록 튀김용기 외주면에 설치하는 유도가열부를 가지는 튀김기이다. 도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발명 2에 의한 고전압을 이용한 인덕션 튀김기는 케이스(100), 뚜껑(200), 튀김용기(300), 튀김바구니(400), 유도가열부(500), 승하강부(600) 및 컨트롤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몸체(110)를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몸체(110)의 전면에는 튀김용기(300)에 담긴 튀김 기름을 배출하여 이를 받아 처리할 수 있도록 기름회수구(120)를 형성하고, 상기 기름회수구(120)에는 기름을 담을 수 있도록 회수서랍(130)을 입출 가능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기름회수구(120) 바닥면에는 복수의 가이드레일(121)을 설치하여 상기 회수서랍(130)의 입출 시에 마찰력을 최소화한다.
상기 뚜껑(200)은 승하강부(600)와 연동작용이 일어나도록 결합하여 튀김바구니(400)를 승, 하강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100) 상부에 경첩(21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또한, 뚜껑(200)의 내측 모서리부분에는 'ㄱ'자 형 연결부재(220)를 복수로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220)에는 연결편(221)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승하강부(600)가 결합하여 뚜껑(200)을 오픈하였을 때 튀김바구니(400)를 연동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튀김용기(300)는 케이스(100) 상부에 설치되어 튀김 기름이 담길 수 있도록 내측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튀김용기(300)의 내측 바닥면에는 배출공(301)을 형성하고, 배출공(301)을 형성한 부분에 밸브가 설치된 배출관(320)을 설치하여 튀김 기름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밸브에는 밸브레버를 연결하여 케이스몸체(110) 전면에 형성한 보조커버(미부호) 쪽으로 연설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밸브를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튀김바구니(400)는 승하강부(600)와 연결하여 승, 하강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바구니몸체(410)를 구성하여 튀김용기(300) 내측에 설치한다.
상기 튀김바구니(400) 상부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바구니덮개(420)를 뚜껑(200)의 저부에 설치하고, 상기 바구니덮개(420)의 외주연에는 복수의 덮개편(421)을 형성하여 탄성력에 의해 튀김바구니(400)의 상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절곡 형성한다.
상기 유도가열부(500)는, 튀김용기(300) 표면 가까이에서 전자 유도를 통한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도록 튀김용기(300) 외주면에 설치된 절연부재와, 상기 튀김용기(300) 표면 가까이에서 전자 유도를 통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되도록 절연부재 일면에 설치된 코일 및, 상기 튀김용기(300) 외주면에 코일을 고정할 수 있도록 코일 일면에 복수로 설치된 코일고정체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튀김용기 표면 가까이에서 와전류의 발생 및 전자 유도를 통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되도록 튀김용기 외주면에 설치하는 유도가열부(500)에 의하여 튀김 기름 온도가 조절된다.
한편, 튀김기는 여러 차례 튀김을 함에 따라, 튀김용기에서 사용되는 기름이 산패된다. 기름의 산패는 음식물에 기픔 특유의 기름 쩐내를 발생하게 함으로 일정한 기간 또는 사용 회수가 경과한 후, 튀김용기에 있는 기름을 교체하거나, 기름에 섞이어 있는 튀김 찌꺼기를 제거하여야 한다.
튀김용기에 있는 기름을 교체하기 위하여 튀김용기(300)의 내측 바닥면에는 설치된 배출관(320)의 밸브를 열어 기름을 배출한다. 튀김용기(300)의 내부에 있는 기름을 모두 배출한 후, 배출관(320)의 밸브를 닫고 튀김용기(300)의 상부 개폐부로 기름을 붇는다.
튀김용기에 있는 기름에 섞이어 있는 튀김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튀김용기(300)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된 배출관(320)의 밸브를 열어 기름을 회수서랍(130)에 받아 튀김용기(300)의 내부에 있는 기름을 모두 배출한 후, 회수서랍(130)에 있는 기름을 그물망 등을 투과하게 하여 끼꺼기를 제거하고, 정제된 기름을 튀김용기(300)의 상부 개폐부로 붇는다.
그러나, 튀김용기(300)에 기름을 공급하는 과정은 기름통 또는 회수서랍에 있는 기름을 튀김용기 상부 개폐부에 사람이 투입하게 되어 있어 기름이 튀김용기(300) 외부로 튀거나, 실수로 기름을 흘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튀김용기(300)에 기름을 공급하는 공급관을 설치하여 기름 공급을 자동화할 필요가 있다.
튀김용기에 기름 공급을 자동화한 튀김기로서, 정제기능을 갖는 튀김기가 한국 등록특허 제10-1594041호(선행발명 3)에 개시되어 있다.(이하 도면 번호는 도4, 5에 도시된 번호이다).
선행발명 3의 실시 예에 따른 튀김기(100)는 도 4및 도 5를 참조하면, 튀김 기름을 수용하고 수용된 기름을 가열하거나 정제할 수 있는 탱크 본체(120)로 구성된다. 튀김과 정제는 하나의 탱크 본체(120)를 통해 수행된다. 탱크 본체(120)에서 튀김을 수행하고 튀김 중에 기름을 직접 정제하여 다시 탱크 본체(120) 안으로 보내거나 외부로 내보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탱크 본체(120) 안의 바닥 또는 그 바닥과 대면하도록 필터링 장치(200)가 구성된다. 필터링 장치(200)는 탱크 본체(120) 안의 튀김 기름 중 찌꺼기를 걸러 낼 수 있는 필터 또는 여과부재를 포함하는 장치이다. 도면에는 필터링 장치(200)가 탱크 본체(120) 바닥면을 따라 설치된 예로 나타나 있다. 히팅 장치(300)는 필터링 장치(200)와 구분되도록 탱크 본체(120) 안에 놓인다. 히팅 장치(300)는 전기 유도 발열식 히터 또는 다른 면상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링 장치(200)를 통과하면서 걸러진 정제 기름을 탱크 본체(120) 안으로 공급하는 한 개 이상의 리턴 튜브(410)를 포함하는 순환 유로(400)가 구성된다. 그리고, 순환 유로(400)를 따라 유동하는 기름을 탱크 본체(120)로 순환시키는 펌프(420)로 구성된다.
한편 기름을 튀김용기의 일측면에 형성된 기름 재공급부를 통하여 튀김용기에 공급하는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가 한국 등록특허 제10-1522812호(선행발명 4)에 개시되어 있다.(이하 도면 번호는 도6, 7에 도시된 번호이다).
자동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10)는 제어부(미도시)가 장착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장착되고 기름이 수용되는 튀김통(40)과, 상기 튀김통(40)에 수용되는 기름을 가열하는 히터부(50)와, 상기 본체(20)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튀김통(40)에서 전달되는 기름을 정제한 후 상기 튀김통(40)에 재공급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정제수단(60)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튀김통(4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기름을 정제수단(6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기름 배출공(41)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상기 정제수단(60)을 통해 공급되는 기름을 튀김통(40)의 내부에 공급하는 기름 재공급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기름 배출공(41)의 하부에 장착되는 기름 배출부(8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수직으로 장착되는 기름 배출관(81)과 상기 기름 배출관(81)의 도중에 장착되는 개폐 밸브(8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의 수용공간(22)에 장착되는 정제수단(60)은 튀김통(40)의 기름 배출공(41)과 연결되는 기름 배출부(80)에서 공급되는 튀김통(40)의 기름을 정제하여 상기 튀김통(40)의 기름 재공급부(42)에 공급하거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즉 상기 기름 배출부(80)는 기름 배출공(41)을 통해 전달되는 기름을 개폐 밸브(82)의 작동에 따라 기름 배출관(81)을 통해 정제수단(60)에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정제수단(60)은 기름 배출부(80)를 통해 공급되는 기름을 정제통(62)의 여과망으로 일차적으로 정제한 후, 상기 여과망을 통해 정제된 기름을 여과필터를 통해 이차적으로 정제한 다음, 상기 펌프(61)의 작동에 따라 정제 배출부(65)를 통해 튀김통(40)의 기름 재공급부(42)나 외부로 배출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15002호(선행발명 1) 한국 등록특허 제10-1652023호(선행발명 2) 한국 등록특허 제10-1652023호(선행발명 3) 한국 등록특허 제10-1522812호(선행발명 4)
선행발명 2는 전자기유도가열 구조의 튀김기이나, 기름을 자동으로 정제하는 작용을 하지 못하였다.
또한 선행발명 3은 튀김용기에 기름을 공급하는 과정을 자동화하여 기름이 튀김용기 외부로 튀거나, 실수로 기름을 흘리는 경우를 방지하였으나, 튀김용기 상부에 별도의 기름공급관이 설치될 필요가 있어 구조가 복잡하였다.
한편 선행발명 4는 자동 정제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기름 재공급관이 튀김용기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전자유도가열 시에 코일이 튀김용기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튀김용기의 기름을 전자기유도가열하고, 또한 기름을 튀김용기에 공급하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자동정제 기능을 가지는 튀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상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뚜껑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튀김용기; 상기 튀김용기 내에 설치되는 튀김바구니; 상기 뚜껑부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튀김바구니를 개폐하는 바구니덮개; 튀김용기 외주면에 설치하는 유도가열부를 포함하는 인덕션 튀김기로서, 튀김용기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된 배출관에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공급관은 배출관으로부터 돌출되어 지면으로부터 상향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공급관에 체크밸브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을 받는 기름 회수용기; 상기 기름 회수용기에서 기름을 상기 공급관에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배출관의 몸체 내부에 하부로 경사진 패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상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뚜껑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튀김용기; 상기 튀김용기 내에 설치되는 튀김바구니; 상기 뚜껑부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튀김바구니를 개폐하는 바구니덮개; 튀김용기 외주면에 설치하는 유도가열부를 포함하는 인덕션 튀김기로서, 튀김용기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된 배출관에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이 형성되어 있어, 튀김용기에 기름을 공급할 때 기름이 튀김용기 외부로 튀거나, 실수로 기름을 흘리는 경우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공급관은 배출관으로부터 돌출되어 지면으로부터 상향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튀김 찌꺼기가 공급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공급관에 체크밸브가 더 설치되어 있어, 튀김용기로부터 기름이 공급관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을 받는 기름 회수용기; 상기 기름 회수용기에서 기름을 상기 공급관에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여, 기름 회수용기로부터 상기 공급관으로 펌프를 가동하여 자동으로 기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배출관의 몸체 내부에 하부로 경사진 패널이 더 설치되어 튀김용기의 바닥으로부터 배출관 하부로 모여진 튀김 찌꺼기가 다시 튀김용기의 기름과 섞이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선행발명 1의 전자유도가열 튀김기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선행발명 2의 전자유도가열 튀김기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도2에 개시된 개략도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선행발명 3의 전자유도가열 튀김기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선행발명 2의 전자유도가열 튀김기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선행발명 2의 전자유도가열 튀김기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선행발명 2의 전자유도가열 튀김기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뚜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배출관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배출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인덕션 튀김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뚜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배출관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배출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820); 상기 케이스(820) 상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뚜껑부(810); 상기 케이스(820)내에 설치되는 튀김용기(860); 상기 튀김용기(860) 내에 설치되는 튀김바구니(880); 상기 뚜껑부(81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튀김바구니(880)를 개폐하는 바구니덮개(815); 튀김용기(860) 외주면에 설치하는 유도가열부(865)를 포함하는 인덕션 튀김기로서, 튀김용기(860)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된 배출관(850)에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87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820)는 튀김기의 용량에 따라 소정의 크기를 가진다. 상기 케이스(820)는 전면-상면판(821), 하면-측면판(822), 후면판(823), 2개의 장착공 형성 플레이트(825)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상면판(821)에는 상면에 장착공이 형성되어, 튀김용기(86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하면-측면판(822)의 하면에는 사각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케이스(820) 하부에 설치되는 자동 정제 장치(840)와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후면판(823)은 전면-상면판(821)의 후면 모서리와 하면-측면판(822)의 후면의 볼트 구멍을 통하여 볼트로 체결되어 상기 전면-상면판(821), 하면-측면판(822)과 결합되며, 슬롯이 중앙에 다수개 형성된다.
뚜껑부(810)는 상기 케이스(820)의 일측 모서리에 경첩(816)으로 연결되어, 경첩(816)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뚜껑부(810)는 뚜껑(811), 뚜껑 하부 플레이트(812),뚜껑부(810)의 전면에 장착되는 손잡이(814), 덮개고정편(813), 바구니덮개(815)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814)를 잡고 상기 뚜껑부(81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바구니덮개(815)는 상기 덮개고정편(813)에 의하여 상기 뚜껑 하부 플레이트(812)에 고정되며, 상기 뚜껑 하부 플레이트(812)는 2개의 플레이트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덮개고정편(813)은 대략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볼트 등을 삽입할 수 있는 장공 형태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구니덮개(815)는 상기 슬롯에 의하여 튀김바구니(880)의 상부면과 일치하도록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고정편(813)은 탄성을 가지어 바구니덮개(815)가 튀김바구니(880)를 덮을 때, 탄성에 의하여 상기 바구니덮개(815)가 튀김바구니(880)에 빈틈없이 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도가열부(865)는 튀김용기 표면 가까이에서 와전류의 발생 및 전자 유도를 통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되도록 튀김용기(860) 외주면에 설치된다.
상기 튀김용기(860)의 일측면에는 튀김용기(860) 내의 기름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튀김용기(860)의 내측 바닥면에는 배출관(850)이 설치된다. 튀김 찌꺼기가 상기 배출관(850)이 설치되는 중앙부근에 모이도록 상기 튀김용기(860)의 내측 바닥면은 중앙부근이 낮은 약간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앙부근에 배출관(850)과 연통되는 구멍(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850)은 튀김용기(860)의 내측 바닥면의 구멍과 연결되는 내관(851)과, 내관(851)의 외면을 감싸고 있는 제1 외관(852), 제1 외관(852)의 하측 단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몸체(874, 877), 상기 몸체(874, 877)의 하부와 연통되는 제2 외관(858), 상기 제2 외관(858)과 연결되는 밸브(859). 상기 몸체(874, 877)의 일측에 협성되는 공급관(870)을 포함한다.
삼기 몸체(874, 877)는 직육면체 형태이나, 원통 형태 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출관(850)의 몸체 내부에 하부로 경사진 패널(871, 872)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다. 상기 패널(871, 872)은,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876)에 삽입되어 용접될 수 있도록, 패널(871, 872)의 양 측면에 돌기부(87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널(871, 872)은 몸체의 슬롯(876)에 용접하여 몸체 내부의 기름이 몸체 외부로 새어나오지 못한다. 또한 상부 패널(871)의 일단은 몸체(874, 877)의 좌측면에 밀착되어 경사지게 몸체 내에 장착되며, 하부 패널(872)는 상부 패널(871)의 아래에서 몸체(874, 877)의 우측면에 밀착되어 경사지게 몸체 내에 장착된다.
상기 공급관(870)과 상기 몸체(874, 877)가 연결되는 구멍은 상기 몸체(874, 877)의 우측면에 상기 상부 패널(871)의 하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공급관(870)은 배출관(850)의 몸체(874, 877)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지면으로부터 상향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874, 877) 내에 있을 수 있는 튀김 찌꺼기가 공급관(87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급관(870)은 지면으로부터 10도 이상의 각도를 가지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공급관(870)에 체크밸브가 더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튀김용기(860)로부터 공급관(870)을 통하여 기름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자동 정제 장치(840)는 상기 배출관(850)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을 받는 기름 회수용기(845); 상기 기름 회수용기(845)에서 기름을 상기 공급관(870)에 공급하는 펌프(84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펌프(846)를 작동하여 상기 기름회수용기(845)로부터 상기 공급관(870)으로 자동으로 기름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펌프(846)는 상기 기름 회수용기(845)와 연결되는 유입관(미도시)과 토출구를 가진다. 상기 토출구에는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기름을 차단할 수 있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자동 정제 장치(840)는 직육면체 형태의 정제 케이스(842), 상기 정제 케이스(842)의 전방에 장착되는 전방개폐문(841), 정제케이스(842) 하부에 부착되는 바퀴(843)를 포함한다. 상기 기름 회수용기(845) 및 펌프는 정제케이스(842) 내부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 위에 장착되어 있어, 필요 시에 상기 전방개폐문(841)을 열고, 상기 정제 케이스(842)의 전방측으로 꺼낼 수 있다. 또한 자동정제 장치(84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정제케이스(842) 하부에 부착되는 바퀴(843)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자동 정제 장치(840)가 장착된 상기 정제케이스(842) 만을 튀김용기(860)이 설치된 케이스(820) 및 컨트롤부(830)로부터 분리하여 이동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제케이스(842) 내에 자동 정제 장치(84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개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자동 정제 장치(840)는 정제케이스(842) 내에서 분리가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기존의 사용하던 자동 정제 장치를 상기 정제케이스(842) 내에 넣고 상기 공급관(870) 및 상기 배출관(850)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기름 회수용기(845) 내에서 튀김 찌꺼기를 정제하는 방법은 여러 공지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기름 회수용기(845)의 상부 개폐부에 튀김 찌꺼기를 걸러 낼 수 있는 그물망(미도시)을 설치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케이스(842) 상부에 상기 케이스(820)와 상기 컨트롤부(830)를 분리가능하도록 장착한다. 컨트롤부(830)는 튀김기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며 케이스 일측에 설치하는 컨트롤박스와; 유도가열부(865)의 제어를 할 수 있도록 복수의 버튼을 가지며 컨트롤박스의 전면에 설치하는 조작판과; 전원 제어, 튀김 온도 설정, 튀김 시간 설정, 유도가열부(865)에 의한 와전류 발생 및 차단하는 회로와 MCU를 포함하며, 조작판 뒷면에 설치하는 컨트롤보드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판에는 온도와 시간, 및 조작 상태 등을 문자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버튼으로 용이하게 튀김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작판으로 자동정제 장치(840)를 제어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펌프(846)의 가동 및 정지 등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튀김기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출관(850)의 밸브(859)를 잠근 후에, 튀김용기(860)에 기름을 넣는다.
튀김용기(860)에 기름을 넣은 후에, 일정 시간 동안 음식을 튀긴 후에는 기름을 교체 또는 정제하여야 한다.
기름 교체/정제 시에 상기 밸브(859)를 열면, 튀김용기(860)에 있는 기름과 배출관(850)에 모여있던 튀김 찌꺼기가 배출관(850)을 통하여 기름 회수용기(845)로 전부 배출된다.
기름을 교체할 때에는 상기 전방개폐문(841)을 열고, 정제케이스(842) 내부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 위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기름 회수용기(845)를 상기 정제 케이스(842)의 전방측으로 꺼내어, 정제 케이스(842) 외부에서 기름을 교체할 수 있다.
한편 기름 회수용기(845) 내에서 그물망 등을 사용하여 튀김 찌꺼기가 제거된 기름을 튀김용기에 공급할 때에는, 상기 밸브(859)를 잠근 후에 상기 펌프(846)를 가동한다. 기름 회수용기(846)에서 정제된 기름은 이와 연결되는 유입관(미도시)과 펌프(846), 토출관을 거치어 플렉시블 호스(미도시)를 거치어 공급관(870)로 유입된다. 상기 공급관(870)에 공급된 기름은 배출관(850)을 지나 튀김용기(860)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튀김용기(860)의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도가열부(865)가 튀김용기(860)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인덕션 튀김기에서, 기름을 튀김용기(860)의 배출관(850) 일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급관(870) 및 펌프(846)를 통하여 공급함으로써, 전자기유도가열 방식을 사용하고, 기름을 튀김용기(860)에 공급하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자동정제 기능을 가진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를 설명함에 있어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810: 뚜껑부 811: 뚜껑
812: 뚜껑 하부 플레이트 813: 덮개고정편
814: 손잡이 815: 바구니덮개
816: 경첩 820: 케이스
821: 전면-상면판 822: 하면-측면판
823: 후면판 824: 지지바
825: 장착공 형성 플레이트 830: 콘트롤부
840: 자동 정제 장치 841: 전방개폐문
842: 정제 케이스 843: 바퀴
845: 기름 회수용기 846: 펌프
850: 배출관 851: 내관
852: 제1 외관 858: 제2 외관
859: 밸브 860: 튀김용기
865: 유도가열부 870: 공급관
873: 돌기부 876: 슬롯
871: 상부 패널 872: 하부 패널
874, 877: 몸체 880: 튀김바구니

Claims (5)

  1. 케이스(820); 상기 케이스(820) 상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뚜껑부(810); 상기 케이스(820)내에 설치되는 튀김용기(860); 상기 튀김용기(860) 내에 설치되는 튀김바구니(880); 상기 뚜껑부(81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튀김바구니(880)를 개폐하는 바구니덮개(815); 튀김용기(860) 외주면에 설치하는 유도가열부(865)를 포함하는 인덕션 튀김기로서, 튀김용기(860)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된 배출관(850)에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8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관(870)은 상기 배출관(850)의 몸체(874, 877)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874, 877)로부터 돌출되어 지면으로부터 상향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850)의 몸체(874, 877) 내부에 하부로 경사진 상부 패널(871) 및 하부패널(872)이 더 설치되고, 상기 상부 패널(871)의 일단은 상기 몸체(874, 877)의 좌측면에 밀착되어 장착되며, 상기 하부 패널(872)는 상기 상부 패널(871)의 아래에서 상기 몸체(874, 877)의 우측면에 밀착되어 장착되며, 상기 공급관(870)과 상기 몸체(874, 877)가 연결되는 구멍은 상기 몸체(874, 877)의 우측면에 상기 상부 패널(871)의 하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튀김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870)에 체크밸브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튀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850)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을 받는 기름 회수용기(845); 상기 기름 회수용기(845)에서 기름을 상기 공급관(870)에 공급하는 펌프(84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튀김기.
  5. 삭제
KR1020160138471A 2016-10-24 2016-10-24 인덕션 튀김기 KR101815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471A KR101815964B1 (ko) 2016-10-24 2016-10-24 인덕션 튀김기
EP17187817.6A EP3311714B8 (en) 2016-10-24 2017-08-24 Induction heating f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471A KR101815964B1 (ko) 2016-10-24 2016-10-24 인덕션 튀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964B1 true KR101815964B1 (ko) 2018-02-21

Family

ID=5969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471A KR101815964B1 (ko) 2016-10-24 2016-10-24 인덕션 튀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311714B8 (ko)
KR (1) KR1018159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093A (ko) 2021-06-09 2022-12-16 이재철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조리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100Y1 (ko) * 2004-07-30 2004-10-15 조점섭 전기 튀김기
CN202173290U (zh) * 2011-01-28 2012-03-28 上海名谷机械制造有限公司 燃气压力炸鸡炉
KR101652023B1 (ko) * 2015-09-04 2016-08-29 범일산업 주식회사 고전압을 이용한 인덕션 튀김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002U (ko) 1996-09-05 1998-06-25 조윤제 통전,통전차단 작업화
KR101522812B1 (ko) * 2014-02-18 2015-05-26 최환섭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
KR101594041B1 (ko) * 2014-06-30 2016-02-1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정제기능을 갖는 튀김기
KR101664344B1 (ko) * 2016-01-12 2016-10-10 주식회사 코트랜 업소용 전자기 유도가열 튀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100Y1 (ko) * 2004-07-30 2004-10-15 조점섭 전기 튀김기
CN202173290U (zh) * 2011-01-28 2012-03-28 上海名谷机械制造有限公司 燃气压力炸鸡炉
KR101652023B1 (ko) * 2015-09-04 2016-08-29 범일산업 주식회사 고전압을 이용한 인덕션 튀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093A (ko) 2021-06-09 2022-12-16 이재철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조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11714A3 (en) 2018-07-25
EP3311714B1 (en) 2019-08-28
EP3311714A2 (en) 2018-04-25
EP3311714B8 (en)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390B1 (ko) 조리기기
CN1333203C (zh) 烹饪用加热设备及其控制方法
EP1550828A1 (en) Heating cooker having a steam generating unit
KR101522812B1 (ko)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
KR101528937B1 (ko) 조리기기
WO2009109920A1 (en) A multi-purpose cooking device through heating of a water bath
KR101886364B1 (ko) 정제기가 설치된 인덕션 튀김기
US20170150846A1 (en) Frying machine using induction heating method
JP2004205201A (ja) 電子レンジ
KR101815964B1 (ko) 인덕션 튀김기
KR101664344B1 (ko) 업소용 전자기 유도가열 튀김기
KR20160009219A (ko) 튀김장치
KR200468072Y1 (ko) 전기튀김기
CN113163986A (zh) 油炸器
KR101636037B1 (ko) 전기가열식 튀김기
US6960742B2 (en) Electrical oven with detachable liners
KR101072355B1 (ko) 수유식 튀김장치
KR102360637B1 (ko) 인덕션 조리기
RU2335098C2 (ru) Микроволновая печь с кофеваркой
JP2015136577A (ja) 調理器およびその調理方法
JP6072420B2 (ja) フライヤー
KR20200025508A (ko) 전기 구이 장치
KR20100009994U (ko) 전기튀김기
KR20210101096A (ko) 환경 오염이 적게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 방법이 도입된 수유식 튀김기
JP2016073487A (ja) フライヤ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