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508A - 전기 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508A
KR20200025508A KR1020180102951A KR20180102951A KR20200025508A KR 20200025508 A KR20200025508 A KR 20200025508A KR 1020180102951 A KR1020180102951 A KR 1020180102951A KR 20180102951 A KR20180102951 A KR 20180102951A KR 20200025508 A KR20200025508 A KR 20200025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eater
unit
fa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규
Original Assignee
김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규 filed Critical 김은규
Priority to KR1020180102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5508A/ko
Publication of KR20200025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47J37/0709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 구이 장치는 기체를 유동시키는 팬부; 상기 팬부가 설치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부에 얹혀지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 상에 얹혀지는 조리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상기 조리판부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구이 장치{ELECTRIC ROASTER}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를 이용해서 각종 음식물을 굽는 전기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는 다수의 유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그릴과, 그릴 하부에 구비되어 유입구멍으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로 이루어진 전기구이기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전기구이기는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그릴의 유입구멍을 통해 하부의 기름받이로 유입되기도 하지만 비교적 많은 량의 기름은 외부로 튀게 되어 전기구이기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었고,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냄새나 연기가 실내로 확산되어 실내의 공기가 오염되어 사용에 따른 불편이 초래되었으며, 고기를 구울 때 그릴의 열이 실내로 방출됨에 따라 고기 굽는 시간이 지연되었고, 그에 따른 전력 소모가 증가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743347호에는 로스터의 내부에 비치된 장형의 휀의 작동으로 로스터 내부에 균일한 공기의 유동싸이클을 형성시켜 연기가 로스터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은 상태로 열풍 산화를 이루어, 구워지는 고기류에 훈연의 효과도 낼 수 있는 로스터의 공기 순환시스템이 나타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743347호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청소가 간편하며, 연기의 발생이 적은 전기 구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 구이 장치는 기체를 유동시키는 팬부; 상기 팬부가 설치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부에 얹혀지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 상에 얹혀지는 조리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상기 조리판부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구이 장치는 모듈화된 팬부, 본체부, 가열부, 조리판부의 간단한 조립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모듈을 분리해서 세척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청소가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의 팬부는 본체부와 가열부 사이에 삽입되는 받침판부을 이용해서 조리판부 상에 생성된 연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순환되는 연기는 음식물의 풍미를 증가시키는 훈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연기는 순환되는 도중 가열부에 의해 연소될 수 있다. 연기의 연소로 인해 연기 발생량이 전체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판부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조리용 국물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히터 등의 가열부는 조리 과정 중 오염되지 않으므로, 취급 및 세척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구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 구이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 구이 장치에 대한 기체의 유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가열부 상에 얹혀진 조리판부를 밑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5는 조리판부의 밑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구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 구이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전기 구이 장치는 팬부(110), 본체부(130), 가열부(150), 조리판부(170), 받침판부(190), 받침통(101)을 포함할 수 있다.
팬부(110)는 기체를 유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팬부(110)에는 공기 유동을 유발하는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팬(fan)(113), 팬(113)을 회전시키는 모터(111), 모터(1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115)가 마련될 수 있다.
팬부(110)는 본체부(130)에 착탈 가능한 모듈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30)는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구이 장치에서 전기 에너지를 요구하는 요소는 가열부(150)와 팬부(110) 2개일 수 있다. 이때, 유지 보수 및 세척의 편의 개선, 안전 사고 방지를 위해 본체부(130)를 기준으로 가열부(150)는 본체부(130)의 상측에 설치되고, 팬부(110)는 본체부(13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가열부(150)는 본체부(130)의 상측 개구부(138)에 얹혀질 수 있다. 반면, 팬부(110)는 본체부(130)의 밑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부(130)의 밑면에는 팬부(110)가 수용되는 홈 형상의 수용부(137)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137)는 본체부(1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벽부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37)에는 공기가 소통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팬부(110)는 수용부(137)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팬부(110)가 수용부(137)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용부(137)의 출입구를 덮는 덮개(103)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덮개(103)에 따르면, 팬부(110)는 수용부(137)에 가둬지고, 팬부(110)가 원하지 않게 수용부(137)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수용부(137)에 팬부(110)가 장착된 상태에서, 팬부(110)의 단자(115)는 가열부(150)에 노출될 수 있다.
가열부(150)에는 본체부(130)에 장착될 때, 팬부(110)의 단자(1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155)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열부(150)에 대면되는 수용부(137)의 일면에는 핀 형상으로 형성된 팬부(110)의 단자(115)가 관통하는 단자 구멍(135)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55)는 단자 구멍(135)을 통과한 팬부(110)의 단자(115)에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커넥터에 접촉된 팬부(110)의 단자(115)는 커넥터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30)에 팬부(110)와 가열부(150)가 장착되면, 팬부(110)와 가열부(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팬부(110)와 가열부(150) 중 어느 하나에만 외부 전력이 인가되면, 해당 외부 전력은 팬부(110)의 단자(115) 및 가열부(150)의 커넥터를 통해 팬부(110)와 가열부(150) 중 나머지 하나에도 전파될 수 있다.
가열부(150)는 외부 전력 등의 전기 에너지에 의해 발열하며, 전기 구이의 대상이 되는 음식물이 놓여지는 조리판부(170)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부(150)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조리판부(170)를 가열하는 히터(15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150)에 의해 가열되도록, 조리판부(170)는 가열부(150) 상에 얹혀질 수 있다.
조리판부(170)는 음식물을 지지할 수 있는 판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리판부(170)에는 가열된 음식물로부터 생성된 국물 등의 액체를 배출하는 조리 구멍(179)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조리 후 세척을 위해 조리판부(170)는 손으로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조리판부(170)의 양측 각각에는 고리 형상의 손잡이(178)가 마련될 수 있다.
조리 구멍(179)을 통해 흘러내린 액체를 받는 받침판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받침판부(190)는 본체부(130)와 가열부(150) 사이에 마련되고, 조리판부(170)로부터 흘러내린 액체를 받는 통 또는 그릇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판부(190)의 가운데에는 액체가 통과하는 제1 통공(191)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판부(170)에 대면되는 받침판부(190)의 일면은 조리판부(170)로부터 흘러내린 액체를 제1 통공(191)으로 유도하는 소위, 깔대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리 구멍(179)을 통과한 액체는 제1 통공(191)으로 유도되고, 제1 통공(191)을 통과한 후 자유 낙하할 수 있다.
제1 통공(191)에 대면되는 본체부(130)의 일면에는 제1 통공(191)을 통해 자유 낙하하는 액체를 받는 받침통(101)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된 액체를 용이하게 비워낼 수 있도록, 받침통(101)은 본체부(130)와 별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별개의 받침통(101)이 액체의 낙하 위치에 배치되도록, 본체부(130)의 일면에는 받침통(101)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9)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부(139)는 받침통(101)의 바닥면이 삽입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39)는 제1 통공(191)에 대면되는 위치이면서 제1 통공(191)을 통해 액체가 자유 낙하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39)에 설치된 받침통(101)은 자유 낙하하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
수용부(137)는 본체부(130)에 형성된 벽부와 가이드부(139)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공(191)은 액체의 배출뿐만 아니라 가열된 음식물에서 발생된 연기 등의 기체를 통과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 구이 장치에 대한 기체의 유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받침판부(190)의 가장자리에는 조리판부(170)를 둘러싸는 측벽(193)이 형성될 수 있다. 측벽(193)에는 기체가 통과하는 제2 통공(19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공(191)은 가열부(15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통공(195)은 조리판부(17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공(191) 및 제2 통공(195)은 팬부(110)에 의해 순환되는 기체의 출입구가 될 수 있다.
팬부(110)에 의해 순환되는 기체는 제1 통공(191)과 조리판부(170) 사이를 유동하면서 가열부(15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본체부(130)의 벽부와 받침판부(190)의 측벽(193) 사이에는 기체가 소통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벽부와 측벽(193)은 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면, 팬부(110)는 벽부와 측벽(193) 사이의 틈으로 기체를 밀어낼 수 있다. 벽부와 측벽(193) 사이로 기체를 밀어내기 위해 모터(111)는 팬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팬부(110)에 의해 밀려난 기체는 제2 통공(195)을 통해 조리판부(170) 상의 조리 공간(109)으로 출력될 수 있다. 조리판부(170) 상에 존재하거나 조리 공간(109)에 조재하는 기체는 조리판부(170)의 제1 통공(191)을 통해 조리 공간(109)을 빠져나갈 수 있다.
제1 통공(191)을 빠져나온 기체는 다시 팬부(110)에 의해 제2 통공(195)을 향해 밀려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면 팬부(110)는 제1 통공(191)을 향해 기체를 밀어낼 수 있다.
조리판부(170)와 본체부(130) 사이에서 팬부(110)에 의해 밀려난 기체는 제1 통공(191)을 통해 조리 공간(109)으로 출력될 수 있다. 조리 공간(109) 상의 기체는 팬부(110)에 의해 제2 통공(195)을 통해 흡입될 수 있다.
기체가 제2 통공(195), 조리 공간(109), 제1 통공(191)의 순서대로 흐르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하고, 기체가 제1 통공(191), 조리 공간(109), 제2 통공(195)의 순서대로 흐르는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한다.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팬부(110)에 마련된 팬의 회전 방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 상관없이 기체는 조리 구멍(179)과 제1 통공(191) 사이에 배치된 가열부(150)를 경유하게 된다. 가열부(150)를 경유하는 기체는 가열부(15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기체가 연소 가능한 성분이 함유된 소위, 음식물 연기에 해당하는 경우 가열부(150)에 의해 연소될 수 있다. 그 결과, 음식물의 가열 과정에서 유발된 연기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도 4는 가열부(150) 상에 얹혀진 조리판부(170)를 밑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5는 조리판부(170)의 밑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가열부(150)는 본체부(130)의 일단에 장착되는 제1 장착부(151), 본체부(130)의 타단에 장착되는 제2 장착부(152), 제1 장착부(151)와 제2 장착부(152)를 연결하는 연결부(153), 연결부(153)에 지지되는 히터(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착부(151)와 제2 장착부(152)는 본체부(130)에 대해 연결부(153) 및 히터(154)를 지지하는 기능 및 가열부(150)를 잡는 손잡이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제1 장착부(151)에는 외부 전력이 흐르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소켓(159), 히터(154)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158)가 마련될 수 있다. 히터(154)는 적어도 제1 장착부(151)에 연결되며, 소켓(159)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장착부(151)에는 팬부(110)의 단자(1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조리판부(170)에는 기체 또는 액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조리 구멍(179)이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150)에 대면되는 조리판부(170)의 일면에는 히터(154)가 삽입되는 트렌치(trench) 형상의 설치부(171)가 마련될 수 있다.
조리 구멍(179)은 설치부(171)로부터 도피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부(171)로는 액체가 흘러내리지 않는다.
설치부(171)는 가열부(150)에 대면되는 조리판부(17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격벽(17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격벽(172)은 조리 구멍(179)을 통해 흘러내리는 액체로부터 히터(154)를 격리시킬 수 있다. 격벽(172)으로 인해, 히터(154)의 주변에서 액체가 흘러내리더라도 히터(154)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히터(154)는 연결부(153) 위에 적층될 수 있다. 자중 감소, 액체 및 기체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연결부(153)는 선형 테두리만 갖는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부(153)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형 테두리만 갖는 연결부(153)는 조리 구멍(179)으로부터 도피되는 경로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격벽(172)에는 연결부(153)가 삽입되는 제1 삽입 홈(173)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판부(170)는 제1 삽입 홈(173)을 통해 연결부(153)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삽입 홈(173)은 연결부(153)에 대해 조리판부(170)를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삽입 홈(173)은 연결부(153)가 삽입될 때, 히터(154)를 조리판부(170)에 밀착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다.
히터(154)는 일측과 타측이 서로 대면되게 구부러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대면되는 히터(154)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연결 봉(156)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봉(156)에 의해 히터(154)는 설정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격벽(172)에는 연결 봉(156)이 삽입되는 제2 삽입 홈(17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받침통 103...덮개
110...팬부 111...모터
113...팬 115...단자
130...본체부 138...개구부
139...가이드부 137...수용부
135...단자 구멍 150...가열부
151...제1 장착부 152...제2 장착부
153...연결부 154...히터
155...커넥터 156...연결 봉
158...입력부 159...소켓
170...조리판부 171...설치부
172...격벽 173...제1 삽입 홈
174...제2 삽입 홈 179...조리 구멍
178...손잡이 179...조리 구멍
190...받침판부 191...제1 통공
193...측벽 195...제2 통공

Claims (10)

  1. 기체를 유동시키는 팬부;
    상기 팬부가 설치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부에 얹혀지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 상에 얹혀지는 조리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상기 조리판부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전기 구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가열부 사이에는 상기 조리판부로부터 흘러내린 액체를 받는 받침판부가 마련되고,
    상기 받침판부의 가운데에는 상기 액체가 통과하는 제1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통공에 대면되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는 상기 제1 통공을 통해 자유 낙하하는 상기 액체를 받는 받침통이 마련된 전기 구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가열부 사이에는 받침판부가 마련되고,
    상기 받침판부의 가운데에는 상기 기체가 통과하는 제1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조리판부를 둘러싸는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기체가 통과하는 제2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통공은 상기 가열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통공은 상기 조리판부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통공 및 상기 제2 통공은 상기 팬부에 의해 순환되는 상기 기체의 출입구가 되며,
    상기 팬부에 의해 순환되는 기체는 상기 제1 통공과 상기 조리판부 사이를 유동하면서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전기 구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밑면에는 상기 팬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팬부는 상기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전기 구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에는 팬(fan)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에 상기 팬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는 상기 가열부에 노출되며,
    상기 가열부에는 상기 본체부에 장착될 때, 상기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가 형성된 전기 구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장착되는 제1 장착부, 상기 본체부의 타단에 장착되는 제2 장착부, 상기 제1 장착부와 상기 제2 장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지지되는 상기 히터를 포함하는 전기 구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판부에는 상기 기체 또는 액체가 통과되는 복수의 조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에 대면되는 상기 조리판부의 일면에는 상기 히터가 삽입되는 트렌치(trench) 형상의 설치부가 마련되며,
    상기 조리 구멍은 상기 설치부로부터 도피되는 위치에 형성된 전기 구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가열부에 대면되는 상기 조리판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격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조리 구멍을 통해 흘러내리는 상기 액체로부터 상기 히터를 격리시키는 전기 구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는 상기 히터, 상기 히터를 지지하는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연결부 위에 적층되며,
    상기 격벽에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 홈이 형성된 전기 구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일측과 타측이 서로 대면되게 구부러진 상태로 형성되고,
    서로 대면되는 상기 히터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연결 봉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 봉에 의해 상기 히터는 설정 형상으로 유지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연결 봉이 삽입되는 제2 삽입 홈이 형성된 전기 구이 장치.
KR1020180102951A 2018-08-30 2018-08-30 전기 구이 장치 KR20200025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951A KR20200025508A (ko) 2018-08-30 2018-08-30 전기 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951A KR20200025508A (ko) 2018-08-30 2018-08-30 전기 구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508A true KR20200025508A (ko) 2020-03-10

Family

ID=6980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951A KR20200025508A (ko) 2018-08-30 2018-08-30 전기 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55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657Y1 (ko) * 2020-08-19 2021-11-23 정평기 전기그릴
KR102401346B1 (ko) * 2021-09-16 2022-05-23 유영길 구이용 조리 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347B1 (ko) 2005-07-12 2007-07-26 강규석 로스터의 공기 순환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347B1 (ko) 2005-07-12 2007-07-26 강규석 로스터의 공기 순환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657Y1 (ko) * 2020-08-19 2021-11-23 정평기 전기그릴
KR102401346B1 (ko) * 2021-09-16 2022-05-23 유영길 구이용 조리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98106A1 (en) An air-based cooker
US5451744A (en) Rotisserie oven
KR102306328B1 (ko) 외부 드립트레이 모듈이 구비된 수직형 그릴
US20090250452A1 (en) Steam Convection Oven
JP2018015568A (ja) 空気循環式電気ロースター
KR102500573B1 (ko) 자동 튀김 장치
KR20200025508A (ko) 전기 구이 장치
KR102381053B1 (ko) 에어프라이어
KR20040016744A (ko) 전자렌지
KR101998519B1 (ko)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CN219629438U (zh) 空气炸锅
CN110678109A (zh) 用于加热和/或煨热食品的设备
US9689575B2 (en) Indoor grill
KR101236868B1 (ko) 휴대용 숯불 구이 장치
KR101117330B1 (ko) 근적외선 전기 오븐
EP4045852B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KR20160106361A (ko)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KR102208632B1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공기 순환식 로스터
KR101507277B1 (ko) 회전식 직화 구이기
KR200380806Y1 (ko) 전기오븐의 팬어셈블리
CN218074596U (zh) 一种烤箱
CN215502563U (zh) 空气炸锅
CN216652082U (zh) 一种炸篮结构及其烹饪设备
CN219629439U (zh) 空气炸锅
CN114668305A (zh) 烹饪设备及其模块化熏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