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093A -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조리방법 - Google Patents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조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093A
KR20220166093A KR1020210074986A KR20210074986A KR20220166093A KR 20220166093 A KR20220166093 A KR 20220166093A KR 1020210074986 A KR1020210074986 A KR 1020210074986A KR 20210074986 A KR20210074986 A KR 20210074986A KR 20220166093 A KR20220166093 A KR 20220166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heating
temperature
cooking
unit
frequency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0580B1 (ko
Inventor
이재철
Original Assignee
이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철 filed Critical 이재철
Priority to KR1020210074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580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16H1/16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with members rotating around axes on the worm or worm-whe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종류와 가열 부위를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가열하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와 그 조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가 오픈되어 음식물이 담겨지는 조리도구를 유도가열을 통해 가열을 하되, 선택적으로 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조리하는 음식이 타지 않게 조리할 수 있으며, 특히 튀김 요리 시에 적은 양의 기름으로도 솥 안쪽이 타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와 그 조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와 그 조리방법{Rotational cooking equipment with selective induction heat function and coo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리 종류와 가열 부위를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가열하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가 오픈되어 음식물이 담겨지는 조리도구를 유도가열을 통해 가열을 하되, 선택적으로 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조리하는 음식이 타지 않게 조리할 수 있으며, 특히 튀김 요리 시에 적은 양의 기름으로도 솥 안쪽이 타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밥을 짓거나 물과 국 그리고 찌개를 끓이는 데 사용되는 취사용구로서 솥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솥을 이용해 다양한 종류의 조리가 이루어지고 있고, 조리의 종류에 따라서 솥을 가열하는 방법이 가스 또는 유도가열 등으로 하고 있으며,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전통적인 방식은 아궁이에 불을 지펴 사용하였으며, 더 나아가 가스 불을 이용하여 솥의 하부를 가열하는 방식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솥을 가열하는 등의 방법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로는 하이라이트 및 인덕션 등이 출시되어,밥솥 뿐만 아니라 가정에 가스레인지 대용으로 교체되는 상태이다. 이렇게 많은 분야에서 친환경 적이고 편리한 방법들을 선호하고 있다.
그런데, 대식 업소 또는 식품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형 솥을 가열하는 방법 또한 거의 가스를 이용하여 솥 하부를 가열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가열시 발생하는 높은 온도를 지닌 솥을 이용해 조리하는 것은 주변의 고열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단점 또한 지니고 있었다.
그러므로 열손실이 없으며 열효율이 탁월하고 가열시 고열이 발생하지 않는 인덕션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가스와 동일하게 솥 하부에서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가열하는 방식으로 가열을 하다 보니 적은 양의 음식을 할 때에 화력을 적게 하면 조리가 안 되고, 화력을 크게 하면 음식물이 담겨진 부분은 타지 않지만 담겨지지 않은 부분이 고열에 의해 음식물이 묻은 솥 안쪽 표면이 타게 되고 열 손실도 발생한다. 따라서 열손실을 줄이고 가열시 발생되는 열이 없게 하고, 소비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타지 않게 된다면,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충분하다 할 것이다.
KR 10-1173245 B1 (등록일 2012.08.06.) KR 10-2153496 B1 (등록일 2018.01.02.) KR 10-1815964 B1 (등록일 2020.09.02.)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안된 발명으로서, 고주파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유도가열로 솥을 가열시키되, 가열되는 솥의 부분을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효율적으로 조리가 가능하며, 조리 종류를 선택하고, 종류에 따라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여 출력을 비례제어하여 열손실을 줄이고 열효율은 높이어, 음식의 맛은 더욱 좋게 하고, 가열시 발생되는 열은 없게 하고 소비 에너지를 절약하는 효과와 유도가열코일 파손과 화재를 막고 IGBT소자 파손 막아 견고하고 고장이 없는 친환경 장치를 통해 솥의 가열을 선택적으로 유도가열이 가능한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유도가열의 원리를 이용하여 식품을 가열·조리하는 조리장치에 있어서, 솥, 냄비, 포트와 같은 식재료 가열용 조리도구로 형성되는 조리도구, 상부 방향을 제외한 상기 조리도구의 외부 둘레를 감싸는 외피, 상기 조리도구 및 상기 외피를 결합한 결합체, 상부 방향이 개방되며, 상기 결합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외피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도구의 하부 방향에 상기 조리도구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유도가열부, 상기 유도가열부는, 유도가열코일, 상기 유도가열코일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 상기 유도가열코일의 훼손 및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 상기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에서 감지 된 온도 데이터가 설정온도와 동일하거나 더 큰 경우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자동제어부,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는 IGBT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IGBT소자의 온도를 검출하는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 상기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로부터 검출한 IGBT소자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의 동작을 제동하기 위한 IGBT소자 냉각자동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제1가열부로부터 제n가열부까지의 복수 개의 가열부로 형성되며 1≤n≤10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코일,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 상기 IGBT소자 및 상기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는 제1가열부로부터 제n가열부의 복수 개의 가열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의 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유도가열코일의 온도와 IGBT 온도를 제어하고, 과전류 및 과전압 보호, 과부하 보호를 하기 위한 제어부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체를 양쪽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 상기 결합체의 외측 일측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하여 상기 결합체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측과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회전축 일측에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회전축베어링, 상기 회전축과 상기 고정 브라켓을 결합한 회전축 결합체, 상기 회전축 결합체는 중앙이 관통되되, 상기 외피 일측에 홀을 생성하여 상기 회전축 결합체를 결합 구성하며, 각종 전선과 유도가열코일을 통과시키기 위한 회전축홀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가열코일을 고정 권선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하우징, 상기 유도가열코일 하우징을 고정 하기 위한 고정홀, 상기 고정홀을 상기 케이스의 상부 일측에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고정볼트, 상기 외피와 상기 유도가열코일과 거리를 60mm이상 유지하기 위한 거리띠기, 상기 케이스 일측에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에서 발생한 열을 배출하기 위한 열배출구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가열부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차폐를 위해 페라이트를 부착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유도가열코일이 외부의 물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훼손 및 에러를 유발시킬 수 있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제1차단커버, 상기 외피의 내측 하단 타단에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과 같은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제2차단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커버는, 상기 외피의 하단부 내측 상단 일측에 결합되며, 중앙에 흡입홀과, 외측으로 1개 이상의 열기배출홀을 가지며, 상기 제1차단커버의 흡입홀에 형성되는 냉각팬고정부, 상기 냉각팬고정부에 고정되는 회전팬인 냉각팬, 상기 제1차단커버에 형성되는 열기배출팬고정부, 상기 열기배출팬고정부에 고정되는 회전팬인 1개 내지 복수 개의 열기배출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2차단커버는, 상기 제2차단커버의 중앙에 외부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홀과, 외측으로 1개 이상의 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커버의 중앙의 흡입홀과 상기 제2차단커버의 중앙의 유입홀은 결합되며, 상기 열기배출팬에서 배출하는 열기가 상기 제2차단커버의 유입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유입차단플레이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의 동작 주파수가 가변적으로 5KHz에서 40KHz에서 작동하며, 동작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주파수설정수단, 유도가열효율을 설정하기 위한 가열효율 설정수단, IGBT소자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IGBT온도설정수단, 상기 유도가열코일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유도가열코일온도설정수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도구의 내부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음식물 온도센서, 상기 음식물 온도센서로부터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온도데이터수신부,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 상기 냉각팬 및 상기 열기배출팬을 On/Off 하며, 상기 조리도구에 담긴 음식물 온도 표시,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의 On/Off 상태 표시, 알람 및 조리시간과 남은 시간 및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 선택 상태 등을 표시하고 조작하기 위한 표시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조작부 및 상기 음식물 온도센서는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조작부에서 튀김 또는 국, 각종 조림 요리와 같은 조리 종류를 선택 할 수 있으며, 튀김을 선택하면, 상기 음식물 온도센서가 음식물에 담겨져 온도 데이터가 수신될 때,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에 의해 기름온도를 1℃단위로 자동 제어가 가능한 것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조작부는 상기 제1가열부로부터 상기 제n가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선택수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식물 온도센서의 고정 구성위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되, 상기 음식물 온도센서를 필요시에 상기 조리도구에 담긴 음식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Flexible)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체를 회전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회전축 결합체가 고정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 결합체는 상기 결합체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 결합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베어링을 구성하여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 결합체에 일측에 웜휠기어가 구성되고, 상기 웜휠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기 위한 웜기어, 상기 웜기어가 고정되어 상기 웜휠기어를 회전하기 위한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샤프트베어링, 상기 샤프트베어링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의 일측 끝단에 수동으로 회전을 할 수 있는 핸들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으로, 솥, 냄비, 포트와 같은 식재료 가열용 조리도구로 형성되는 조리장치, 상부 방향을 제외한 상기 조리장치의 외부 둘레를 감싸는 외피, 상기 조리장치 및 상기 외피를 결합한 결합체, 상부 방향이 개방되며, 상기 결합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외피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장치의 하부 방향에 상기 조리장치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유도가열부, 상기 유도가열부는, 유도가열코일, 상기 유도가열코일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 상기 유도가열코일의 훼손 및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 상기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에서 감지 된 온도 데이터가 설정온도와 동일하거나 크면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자동제어부,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는 IGBT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IGBT소자의 온도를 검출하는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 상기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로부터 검출한 IGBT소자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의 동작을 제동하기 위한 IGBT소자 냉각자동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제1가열부로부터 제n가열부까지의 복수 개의 가열부로 형성되며 1≤n≤10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코일,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 상기 IGBT소자 및 상기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는 제1가열부로부터 제n가열부의 복수 개의 가열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의 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유도가열코일의 온도와 IGBT 온도를 제어하고, 과전류 및 과전압 보호, 과부하 보호를 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되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의 조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리도구에 물 또는 기름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에서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복수 개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가열하는 단계, 복수 개의 상기 유도가열부의 동작 방식을 자동 또는 수동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는 단계, 복수 개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복수 개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조작할 수 있는 표시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조작부를 통해 상기 조리도구의 내부에서 물 또는 기름이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단계, 상기 조리도구의 내부에 식자재를 투입하고 조리를 마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조리도구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입력된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온도센서에서 전달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조리도구의 물 또는 기름이 위치하는 부분과 위치하지 않는 부분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리도구의 물 또는 기름이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on 상태로 유지하고, 물 또는 기름이 위치하지 않는 부분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off 상태로 자동조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는, 유도가열코일이 복수 개의 가열장치로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유도가열이 가능함으로써, 효과적인 사용을 통해 에너지 절약 및 사용의 편리함과 음식의 맛을 향상시키고 친환경적인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고주파 유도가열 방식은 유도가열코일이 권선된 부분의 솥만 가열하기 때문에 가열시 발생하는 고열이 발생하지 않고 열효율이 뛰어나 경제적이며, 친환경인 효과가 있다.
또한, 튀김을 할 때는 복수 개의 가열장치를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어 전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특히 선택적으로 온도센서를 기름에 투입하여 기름온도를 검출하여 화력조절을 1℃단위로 비례제어하여 튀김 할 수 있어 전용 튀김기와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순간 가열능력이 탁월하여 튀김의 맛을 더욱 좋게 하는 고효율 친환경 하이브리드 절전형이라 할 것이며, 뿐만 아니라 기름을 소량으로 채워도 상기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기름은 1/2정도(70리터에서 30리터)만 기름 붓고 튀김을 하여도 솥 안쪽 주변이 타지 않는 효과를 가져 온다.
또한, 유도가열 효율 설정과, 유도가열코일 과열로 화재 및 파손을 막기 위해 코일온도제어와,IGBT소자 과열로 파손을 막기 위한 온도제어를 통해 제품의 내구성과 안정성 그리고 견고성을 보장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유도가열 동작 시 동작하는 동작 주파수가 15KHz~20KHz에서 작동하여 최대의 에너지 효율을 발생시키며, 솥에 고정된 유도가열코일과 솥과 결합된 외피와 거리를 60mm이상 두어 유도전류가 발생할 때 오직 솥만 가열하고 다른 주변을 가열하지 않아 에너지 낭비가 없는 고효율 친환경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에 연결되어 솥을 가열하는 유도가열코일과 각 온도센서 연결선과, 각 전선과 유도가열코일을 회전축 결합체의 중앙을 관통하는 홀을 통해 통과 하므로 솥을 회전할 때 주변의 돌출물들에 간섭을 받지 않아 선이 물에 접촉될 염려가 없고 선 피복이 훼손되어 쇼트로 인하여 화재 및 파손에 노출되지 않아 장치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유도가열이 가능한 회전식 조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유도가열이 가능한 회전식 조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유도가열이 가능한 회전식 조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솥과 외피와 회전축 결합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솥과 외피와, 외피 하단 상부에 제1차단커버에 구성된 제1가열부냉각팬과 열기배출팬이 구성되고, 외피 하단 타단에 제2차단커버와 유입차단플레이트를 구성하고 공기 유입과 배출을 할 수 있는 홀을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솥과 유도가열코일하우징에 유도가열코일(300)이 권선된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본 발명인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의 조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조리 종류와 가열 부위를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가열하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와 그 조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가 오픈되어 음식물이 담겨지는 조리도구를 유도가열을 통해 가열을 하되, 선택적으로 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그리고 조리하는 음식이 타지 않고 조리하게 되며, 특히 튀김을 할 때 적은 양의 기름으로도 튀김을 할 때 솥 안쪽이 타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와 그 조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음을 일러둔다.
본 발명은 유도가열의 원리를 이용하여 식품을 가열·조리하는 조리장치에 있어서, 솥, 냄비, 포트와 같은 식재료 가열용 조리도구로 형성되는 조리도구(100), 상부 방향을 제외한 상기 조리도구(100)의 외부 둘레를 감싸는 외피(110), 상기 조리도구(100) 및 상기 외피(110)를 결합한 결합체(111), 상부 방향이 개방되며, 상기 결합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600), 상기 외피(110)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도구(100)의 하부 방향에 상기 조리도구(100)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유도가열부, 상기 유도가열부는 유도가열코일(300), 상기 유도가열코일(300)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 상기 유도가열코일의 훼손 및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700), 상기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700)에서 감지 된 온도 데이터가 설정온도와 동일하거나 크면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자동제어부(701),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는 IGBT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IGBT소자의 온도를 검출하는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702), 상기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702)로부터 검출한 IGBT소자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의 동작을 제동하기 위한 IGBT소자 냉각자동제어부(70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제1가열부(800)로부터 제n가열부까지의 복수 개의 가열부로 형성되며 1≤n≤10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코일(300),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 상기 IGBT소자 및 상기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702)는 제1가열부(800)로부터 제n가열부의 복수 개의 가열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의 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유도가열코일(300)의 온도와 IGBT 온도를 제어하고, 과전류 및 과전압 보호, 과부하 보호를 하기 위한 제어부(1500)로 구성된다.
이하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가열부로 형성되는 유도가열부는 복수 개의 가열부가 제1가열(800)부와 제2가열부(810)로 구성되도록 설계한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를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도구(100) 및 외피(110)가 결합한 결합체(11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피(110) 하단 상부에 냉각팬(1004)과 열기배출팬(1006)을 더 포함하고, 외피(110) 하단 타단에 제2차단커버(1100)와 유입차단플레이트(1200)를 포함하여 공기 유입과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흡입홀(1001), 열기배출홀(1002), 유입홀(1101) 및 배출홀(1102)을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도구(100)와 유도가열코일하우징(301)에 유도가열코일(300)이 권선된 것을 나타낸 확대한 평면도이다. 상기 유도가열코일 하우징(301)은 이를 고정 하기 위한 고정홀(302)을 더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조리 종류와 가열 부위를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가열하는 유도가열 회전식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오픈되어 음식물이 담겨지는 조리도구(100)와 상기 조리장치 상부와 결합되는 외피(110)와 외피(110)를 용접으로 결합한 결합체(111)로 이루어지며, 결합체(111)를 양쪽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20)과 결합체(111) 외측 일측과 지지프레임(120)에 고정하여 결합체(111)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축(200)으로 구성되며, 회전축(200) 일측과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201)과 회전축(200) 일측에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회전축베어링(202)과 회전축(200)과 고정 브라켓(201)을 결합한 회전축 결합체(203)로 결합되고, 회전축 결합체(203)는 중앙이 관통되되, 결합체(111) 일측에 홀을 생성하여 상기 회전축 결합체(203)를 결합 구성하여 각종 전선과 유도가열코일(300)을 통과시키기 위한 회전축 홀(204)을 형성한다. 솥 바깥쪽 면과 20~25mm간격을 띠워 유도가열을 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300)과 유도가열코일(300)을 고정하고 권선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하우징(301)을 갖추고, 외피(110)와 유도가열코일(300)과 거리를 60mm이상 유지하여 유도가열시 외피(110)를 가열하지 않게 하여 필요 없는 곳으로 열이 누설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케이스(600) 일측에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에서 발생한 열을 배출하기 위한 열배출구(601)와 유도가열코일(300)의 훼손 및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700)에서 감지 된 온도 데이터가 설정온도와 동일하거나 크면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자동제어부(701)와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에 구성된 IGBT소자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IGBT소자 냉각자동제어부(703)를 구성한다.
제1가열부(80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차폐를 위해 페라이트를 부착하며, 유도가열코일(300)이 외부의 물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훼손 및 에러를 유발시킬 수 있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1차단커버(1000)를 구성하며, 제1차단커버(1000)는, 외피(110) 하단부 내측 상부 일측에 결합하고 중앙에 흡입홀(1001)과, 외측으로 1개 이상의 열기배출홀(1002)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제1차단커버(1000) 흡입홀(1001)에 냉각팬(1004)을 고정하기 위한 냉각팬고정부(1003)에 냉각팬(1004)을 고정하고 유도가열로 인하여 솥 겉 표면과 유도가열코일(300)에서 발생한 열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1차단커버(1000)에 형성되는 열기배출팬고정부(1005)에 1개 이상의 열기배출팬(1006)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외피(110) 안쪽 하단 타단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과 같은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제2차단커버(1100)를 구성하고 제2차단커버(1100) 중앙에 외부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홀(1101)과, 외측으로 1개 이상의 배출홀(1102)을 구성하고 제1차단커버(1000) 중앙에 흡입홀(1001)과 제2차단커버(1100) 유입홀(1101)과 결합하여 열기배출팬(1006)에서 배출하는 열기가 제2차단커버(1100) 유입홀(1101)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유입차단플레이트(1200)를 구성한다. 조리도구(100)에 담긴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여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의 화력 즉, 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음식물 온도센서(1300)와 온도센서로부터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온도 데이터 수신부(1301)를 가진다.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를 통해 유도가열코일(300)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가열하되, 제1가열부(800) 또는 제2가열부(810)와 조리 종류를 표시조작부(1400)에서 선택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선택수단(1600)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구성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적 유도가열이 가능한 회전식 조리 장치는 그 구성을 크게, 조리도구(100)와, 외피(110), 지지프레임(120), 회전축홀(204), 유도가열코일(300), 거리띠기(410),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 케이스(600), 열배출구(601),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700), 제1가열부(800), 제2가열부(810), 차폐부(900), 제1차단커버(1000), 냉각팬(1004), 제2차단커버(1100), 열기배출팬(1006), 유입차단플레이트(1200), 음식물 온도센서(1300), 표시조작부(1400),제어부(1500), 가열부선택수단(1600), 핸들(20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리도구(100)를 가열하는 가열부는 제1가열부(800)와 제2가열부(810)로 구분되며, 제1가열부(800)에 유도가열을 제어하는 제1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1)와 제2가열부(810)에 유도가열을 제어하는 제2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2)로 구성된다. 유도가열코일(300) 및 IGBT소자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703)는 효율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모든 처리 과정을 전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최초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솥은 상부가 오픈되어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솥과 외피(110)를 결합한 결합체(111)를 지지하기 위해서 지지프레임(120)을 구성하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하고, 좌측은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를 구비하게 되고, 우측은 솥을 회전하기 위한 구성들과 회전축(200)과 회전축 결합체(203)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 결합체(2003)는 상기 회전축 결합체(203)를 회전시키기 위해 베어링(2000)을 구성하여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 결합체(203)에 일측에 웜휠기어(2010)가 구성되고, 상기 웜휠기어(2010)와 맞물려 회전하기 위한 웜기어(2020), 상기 웜기어(2020)가 고정되어 상기 웜휠기어(2010)를 회전하기 위한 샤프트(2030), 상기 샤프트(2030)의 양단에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샤프트베어링(2040), 상기 샤프트베어링(2040)은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2030)의 일측 끝단에 수동으로 회전을 할 수 있는 핸들(20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20)을 감싸고,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와 회전을 위한 구성들이 구비된 케이스(600)를 구성하고 있으며, 케이스(600)는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 지으며, 좌측 정면에는 표시조작부(1400)를 구성할 수 있도록 홀이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솥은 덮는 덮개를 구성함에 있어서, 케이스(600) 좌측 상부 일측에 고정하여 솥을 덮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조리도구(100)를 유도가열로 가열하기 위하여 제1가열부(800)와 제2가열부(810)로 구분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가열부를 구성하기 위해서 유도가열코일(300)을 권선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하우징(301)이 구성되고, 유도가열코일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한 홀과 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볼트와 너트를 구성한다. 이때, 하우징 고정 볼트(303) 타단은 조리도구(100) 또는 외피(110)에 용접 고정된다.
상기 솥과 유도가열코일 하우징 사이에, 조리도구(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그 열기로 인하여 유도가열코일(300)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도 하고, 솥 단열효과를 가지는 단열재(304)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도가열코일(300)과 조리도구(100) 간격은 20mm ~ 25mm를 띄워 유도가열의 효율이 최적화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와 같은 거리를 지키지 않으면 유도가열은 이루어지지만 전기 에너지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유도가열코일(300)과 조리도구(100) 겉 표면과 거리를 정확하게 지켜서 최대의 에너지 효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리도구(100)와 결합되는 외피(110)와 거리는 60mm이상 유지를 해야 한다. 그 이유로는 특히 제2가열부(810)가 동작될 때 유도전류가 발생하는데, 이 때 발생하는 유도전류가 유도가열코일(300)과 외피(110)와 거리가 일정 간격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솥에도 유도전류가 발생되지만 외피(110)에도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유도전류가 분산되어 에너지 효율 즉, 조리도구(100)를 가열하는 열효율이 떨어지므로,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간격 유지는 필수적이다.
다시 말하면,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에서는 전기 에너지 출력을 25kwh로 가열을 하고 있으나, 조리도구(100)를 가열하는 에너지는 20kwh만 이루어지고 5kwh는 주변의 저항체로 유실되므로, 유도가열코일(300)과 외피(110)가 이격되어 간격을 유지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상기 조리도구(100)를 회전하기 위해서는 회전축(200)이 있어야 하고, 유도가열을 하기 위해서는 유도가열코일(300)이 있어야 하는데, 솥이 회전이 될 때나, 가열을 할 때 유도가열코일(300) 및 각종 제어 선들이 노출도어 있게 되면 피복이 손상되어 쇼트로 인하여 화재 및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코일과 각종 선들을 회전축(200)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과 하도록 구성하여 상기와 같은 위험에서 벗어 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00)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고정 브라켓(201)을 구성하고, 본 고정 브라켓(201)을 외피(110)에 홀이 형성된 부분에 용접으로 부착을 하고, 회전축(200)을 볼트로 고정을 하면 보다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서비스를 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한다.
상기 외피(110) 내에는 유도가열코일(300)과, 유도가열코일하우징(301), 단열재(304), 유도가열코일온도검출센서(700)와, 제1차단커버(1000), 제2차단커버(1100) 및 유입차단플레이트(120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차단커버(1000)에는 제1가열부(800)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1004)이 구성되어 제1가열부(800)를 향해 에어를 발생하고, 외측으로는 1개 이상의 열기배출팬(1006)이 구성되어 열기를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가열부(80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차폐를 위해 페라이트를 부착하는 차폐부(900)를 구성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유도전류를 차단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가열코일(300)의 훼손 및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700)를 각각 구성하고, 여기에서 검출된 온도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냉각팬(1004)의 동작 시간을 제어하므로 보다 나은 내구성과 안전성을 보장한다.
또한, 상기 제2차단커버(1100)는 2차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과 오염물질은 차단하고, 상기 외피(110) 내에 포집된 열기를 배출되도록 배출홀(1102)과 열기배출팬(1006)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유입차단플레이트(1200)로 차단을 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 공기만 들어가도록 성능이 더욱 향상됨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유도가열코일(300)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는 제1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1)와 제2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2)로 구분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동작을 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좌측 지지프레임(120)에 구성된 케이스(600)에 열기배출홀(1002)을 구성하여 동작 시 발생하는 열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에 구성된 IGBT소자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IGBT소자 냉각자동제어부(703)를 구성하여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가 고장 나지 않도록 자동제어를 하는 구성을 가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리도구(100)에 담긴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여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의 화력 즉,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음식물 온도센서(1300)를 구성하되, 그 구성 요소는 필요시 사람이 솥에 담긴 음식물의 온도를 용이하게 검출 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구성요소를 제공한다.
상기 유도가열코일(300)을 구성하여 선택적 유도가열을 하기 위하여 조리도구(100) 하단부에 구성되는 제1가열부(800)와 솥 중.상단에 구성되는 제2가열부(810)로 구성하고,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를 제1가열부(800)를 제어하기 위한 제1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1)와 제2가열부(810)를 제어하기 위한 제2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2)를 구성하고, 상기 표시조작부(1400)에서 조리 종류와 가열부를 선택 가열하기 위한 조작 버튼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500)는 표시조작부(1400)와 통신하며, 음식물 온도센서(1300)의 온도정보를 수신하여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의 출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며, 유도가열코일(300)의 온도와 IGBT 온도를 제어하고, 과전류 및 과전압 보호, 과부하 보호를 제공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조리시간, 조리온도를 표시하며, 제1가열부(800)가 선택되면 제2가열부(810)를 선택할 수 있고, 제1가열부(800)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제2가열부(810)가 선택되지 않는 가열부선택수단(1600)을 제공한다.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가 동작할 때 주파수가 가변적으로 동작을 하는데, 5KHz에서 40KHz에서 동작하며, 동작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주파수설정수단(1900)과 유도가열효율을 설정하기 위한 가열효율 설정수단(1910)과 IGBT소자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IGBT온도설정수단(1920)과 유도가열코일(30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유도가열코일온도설정수단(1930)을 제공하여 보다 나은 효과를 얻게 된다.
제어부(1500)는 온도컨트롤러(1810)와 음식물 온도센서(1300)와 통신을 하도록 제어를 하고, 또한, 온도컨트롤러(1810)가 온도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500)에 전송하면 제어부(1500)는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를 제어하여 음식물의 온도를 1℃단위로 자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많은 종류의 음식을 타거나 눌지 않게 할 수가 있을 것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030) 일측 끝단에 형성된 핸들(2050)을 이용하여 조리도구(100)를 회전시켜 조리도구(100)에 담긴 음식물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옮길 수 있도록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회전기능은 조리도구(100)의 내부를 세척할 때 용이함과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702)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는, IGBT소자 내에 1개 내지 2개의 다이오드를 집적하고, 상기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를 때 다이오드의 양단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아날로그 전압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엔코더, 상기 엔코더와 절연 가능하게 연결되어 엔코더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다이오드의 양단 전압값을 계측하는 디코더, 상기 엔코더의 출력단과 상기 디코더의 입력단 간의 절연 및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하는 포토 커플러, 상기 디코더로부터 보내어진 다이어드의 양단 전압값을 온도로 환산하는 연산장치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에 포함되는 IGBT소자를 대체하여 MOSFET소자를 사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리도구(100)의 열기를 냉각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차단커버(1000) 및 상기 제2차단커버(1100)에 형성되는 상기 흡입홀(1001), 상기 열기배출홀(1002), 상기 유입홀(1101) 및 상기 배출홀(1102)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커버(100)에는 상기 흡입홀(1001)만을 형성하고, 상기 제2차단커버(1100)에는 상기 유입홀(1101)만을 형성한다. 더불어 상기 제1차단커버에는 상기 냉각팬(1004)만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기배출홀(1002)은 상기 외피(11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600)의 내부로 통하며, 상기 냉각팬(1004)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흡입홀(1001) 및 상기 유입홀(1101)을 통해 들어온 외부의 공기를 상기 케이스(600)의 내부공간으로 흘려보낸다. 상기한 외부의 공기는 상기 흡입홀(1001)로부터 상기 열기배출홀(1002)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조리도구(100)의 하부면 및 측면을 지나게 되고 발생하는 열기를 흡수하게 된다. 상기 열기배출홀(1002)을 통해 상기 케이스(600)의 내부공간으로 들어간 공기는 상기 케이스(6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홀(1102) 및 상기 열기배출팬(100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조리도구(100)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표면온도측정부(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면온도측정부(130)는 상기 조리도구(100)의 하부면에 일측이 부착되되 1개 내지 복수 개의 봉 형태로 형성되는 표면온도측정센서(131), 상기 표면온도측정센서(131)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표면온도측정센서(131)의 온도를 측정하는 표면온도콘트롤러(132)로 구성된다. 상기 표면온도콘트롤러(132)는 상기 제어부(1500)에 위치하는데, 이는 유도전류가 발생하는 상기 유도가열코일(300)에서 전자파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해 이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상기 표면온도측정센서(131)는 열전도도도 높은 물질인 구리(열전도도 400W/mK) 또는 메탈 하이브리드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메탈 하이브리드 소재는 구리-흑연 또는 은-흑연으로 형성되며, 구리-흑연 및 은-흑연 소재 메탈 하이브리드의 열전도도는 500W/mK 내지 600W/mK이다. 상기한 구리-흑연 메탈 하이브리드 소재는 혼합비 3:7 내지 7:3으로 구리 분말과 흑연 분말을 혼합하여 다축혼합장비를 통해 형성되며, 상기한 은-흑연 메탈 하이브리드 소재는 혼합비 3:7 내지 7:3으로 은 분말과 흑연 분말을 혼합하여 다축혼합장비를 통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온도측정부(13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표면온도콘트롤러(132)에서 표면온도정보를 수신하고 표면온도정보에 따라 복수 개의 가열부를 제어하는 표면온도제어부(1510)를 더 포함한다.
복수 개의 가열부가 가열하는 상기 조리도구(100)의 각 부위에 부착된 상기 표면온도측정센서(131)에서 전달되어 상기 표면온도콘트롤러(132)를 통해 온도가 측정되고, 상기 표면온도제어부(1510)는 상기 표면온도콘트롤러(132)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통해 각 가열부의 온도를 파악하여 온도가 과열된 부분의 가열부에 대한 가열을 중지한다. 상기 조리도구(100)에는 유탕(油湯)을 위해 기름이 들어가는데, 상기 조리도구(100)에서 기름이 표면에 닿지 않은 부분은 가열 시에 과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의 과정을 통해 상기 조리도구(100)가 과열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도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0)에 정보송수신제어부(1520)를 더 포함하여 외부와의 정보 송수신을 통해 본 발명인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정보송수신제어부(1520)는 외부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송신장치(1521),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장치(1522)로 형성된다.
상기 정보송수신제어부(15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넷 서버에 연결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송신장치에서 정보를 송신받은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상기 온도데이터수신부(1301), 상기 표면온도제어부(1510)에서 측정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 또는 유도가열코일(300)에 공급되는 전원을 on/off 하거나, 상기 표시조작부(1400)의 조리 선택 패널을 선택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전열기구 사용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본 발명인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었을 경우 원격으로 조작하는 것을 시스템 상에서 금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일정 거리는 10m 내지 10km 이내로 사용자가 변경이 가능하거나 가능하지 않은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와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송신제어부(1520)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송신하는 위치정보모듈(1523)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본 발명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솥, 냄비, 포트와 같은 식재료 가열용 조리도구로 형성되는 조리장치, 상부 방향을 제외한 상기 조리장치의 외부 둘레를 감싸는 외피, 상기 조리장치 및 상기 외피를 결합한 결합체, 상부 방향이 개방되며, 상기 결합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외피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장치의 하부 방향에 상기 조리장치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유도가열부, 상기 유도가열부는, 유도가열코일, 상기 유도가열코일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 상기 유도가열코일의 훼손 및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 상기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에서 감지 된 온도 데이터가 설정온도와 동일하거나 크면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자동제어부,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는 IGBT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IGBT소자의 온도를 검출하는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 상기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로부터 검출한 IGBT소자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의 동작을 제동하기 위한 IGBT소자 냉각자동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제1가열부로부터 제n가열부까지의 복수 개의 가열부로 형성되며 1≤n≤10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코일,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 상기 IGBT소자 및 상기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는 제1가열부로부터 제n가열부의 복수 개의 가열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의 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유도가열코일의 온도와 IGBT 온도를 제어하고, 과전류 및 과전압 보호, 과부하 보호를 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되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의 조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리도구에 물 또는 기름을 투입하는 단계(S100),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에서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복수 개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가열하는 단계(S110), 복수 개의 상기 유도가열부의 조작 방법을 자동 조작 또는 수동 조작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는 단계(S120), 복수 개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복수 개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조작할 수 있는 표시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조작부를 통해 상기 조리도구 내부의 물 또는 기름이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단계(S130), 상기 조리도구 내부에 식자재를 투입하고 조리를 마치는 단계(S160)로 구성된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의 조리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유도가열부의 동작 방식을 자동 또는 수동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는 단계(S120)에서 복수 개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조리도구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입력된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온도센서에서 전달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조리도구의 물 또는 기름이 위치하는 부분과 위치하지 않는 부분을 파악하는 단계(S140),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리도구의 물 또는 기름이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on 상태로 유지하고, 물 또는 기름이 위치하지 않는 부분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off 상태로 자동조작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리도구의 물 또는 기름이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on 상태로 유지하고, 물 또는 기름이 위치하지 않는 부분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off 상태로 자동조작하는 단계(S150)는 상기 조리도구 내부에 식자재를 투입하고 조리를 마치는 단계(S160)로 이어진다.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알고리즘은 상기 유도가열부가 가열된 이후, 상기 온도센서에서 전달받은 상기 조리도구 각 부분의 온도를 분석하여, 온도상승곡선 기울기가 낮은 부분을 물 또는 기름이 위치하는 부분으로 파악하고, 온도상승곡선 기울기가 높은 부분을 물 또는 기름이 위치하지 않는 부분으로 파악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한 정보를 통해 물 또는 기름이 위치하지 않는 상기 조리도구 부분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off 상태로 조작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전기 에너지 절약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조리를 할 수가 있어서 가열 시간을 최소화 하며, 사용자에 대한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A: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
100: 조리도구
110: 외피
111: 결합체
120: 지지프레임
130: 표면온도측정부
131: 표면온도측정센서
132: 표면온도콘트롤러
200: 회전축
201:고정브라켓
202: 회전축베어링
203: 회전축 결합체
204: 회전축홀
300: 유도가열코일
301: 유도가열코일하우징
302: 고정홀
303: 하우징고정볼트
304: 단열재
305: 단열재채움부
410: 거리띠기
500: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
501: 제1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
502: 제2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
600: 케이스
601: 열배출구
700: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
701: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자동제어부
702: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
703: IGBT소자 냉각자동제어부
800: 제1가열부
810: 제2가열부
900: 차폐부
1000: 제1차단커버
1001: 흡입홀
1002: 열기배출홀
1003: 냉각팬고정부
1004: 냉각팬
1005: 열기배출팬고정부
1006: 열기배출팬
1100: 제2차단커버
1101: 유입홀
1102: 배출홀
1200: 유입차단플레이트
1300: 음식물 온도센서
1301: 온도데이터수신부
1400: 표시조작부
1500: 제어부
1510: 표면온도제어부
1520: 정보송수신제어부
1521: 정보송신장치
1522: 정보수신장치
1523: 위치정보모듈
1600: 가열부선택수단
1700: 조리시간표시부
1800: 조리온도표시부
1810: 온도컨트롤러
1900: 동작주파수설정수단
1910: 가열효율 설정수단
1920: IGBT온도설정수단
1930: 유도가열코일온도설정수단
2000: 베어링
2010: 웜휠기어
2020: 웜기어
2030: 샤프트
2040: 샤프트베어링
2050: 핸들

Claims (9)

  1. 유도가열의 원리를 이용하여 식품을 가열·조리하는 조리장치에 있어서,
    솥, 냄비, 포트와 같은 식재료 가열용 조리도구로 형성되는 조리도구(100);
    상부 방향을 제외한 상기 조리도구의 외부 둘레를 감싸는 외피(110);
    상기 조리도구(100) 및 상기 외피(110)를 결합한 결합체(111);
    상부 방향이 개방되며, 상기 결합체(111)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600);
    상기 외피(110)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도구(100)의 하부 방향에 상기 조리도구(100)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유도가열부;
    상기 유도가열부는,
    유도가열코일(300);
    상기 유도가열코일(300)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
    상기 유도가열코일(300)의 훼손 및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700);
    상기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700)에서 감지 된 온도 데이터가 설정온도와 동일하거나 더 큰 경우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자동제어부(701);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는 IGBT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IGBT소자의 온도를 검출하는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702);
    상기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702)로부터 검출한 IGBT소자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의 동작을 제동하기 위한 IGBT소자 냉각자동제어부(70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제1가열부(800)로부터 제n가열부까지의 복수 개의 가열부로 형성되며 1≤n≤10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코일(300),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 상기 IGBT소자 및 상기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702)는 제1가열부(800)로부터 제n가열부의 복수 개의 가열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의 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유도가열코일(300)의 온도와 IGBT 온도를 제어하고, 과전류 및 과전압 보호, 과부하 보호를 하기 위한 제어부(1500);를 더 포함하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111)를 양쪽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20);
    상기 결합체(111)의 외측 일측과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고정하여 상기 결합체(111)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축(200);
    상기 회전축(200)의 일측과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201);
    상기 회전축(200) 일측에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회전축베어링(202);
    상기 회전축(200)과 상기 고정 브라켓(201)을 결합한 회전축 결합체(203);
    상기 회전축 결합체(203)는 중앙이 관통되되,
    상기 외피(110) 일측에 홀을 생성하여 상기 회전축 결합체(203)를 결합 구성하며, 각종 전선과 유도가열코일을 통과시키기 위한 회전축홀(204);을 더 포함하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코일(300)을 고정 권선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하우징(301);
    상기 유도가열코일 하우징(301)을 고정 하기 위한 고정홀(302);
    상기 고정홀(302)을 상기 케이스(600)의 상부 일측에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고정볼트(303);
    상기 외피(110)와 상기 유도가열코일(300)과 거리를 60mm이상 유지하기 위한 거리띠기(410);
    상기 케이스(600) 일측에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에서 발생한 열을 배출하기 위한 열배출구(601);를 포함하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코일(300)이 외부의 물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훼손 및 에러를 유발시킬 수 있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제1차단커버(1000);
    상기 외피(110)의 내측 하단 타단에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과 같은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제2차단커버(1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커버(1000)는,
    상기 외피(110)의 하단부 내측 상단 일측에 결합되며, 중앙에 흡입홀(1001)과, 외측으로 1개 이상의 열기배출홀(1002)을 가지며,
    상기 제1차단커버(1000)의 상기 흡입홀(1001)에 형성되는 냉각팬고정부(1003);
    상기 냉각팬고정부(1003)에 고정되는 회전팬인 냉각팬(1004);
    상기 제1차단커버(1000)에 형성되는 열기배출팬고정부(1005);
    상기 열기배출팬고정부(1005)에 고정되는 회전팬인 1개 내지 복수 개의 열기배출팬(1006);을 포함하고,
    상기 제2차단커버(1100)는,
    상기 제2차단커버(1100)의 중앙에 외부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홀(1101)과, 외측으로 1개 이상의 배출홀(1102)을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커버(1000)의 상기 흡입홀(1001)과 상기 제2차단커버(1100)의 중앙의 유입홀(1101)은 결합되며, 상기 열기배출팬(1006)에서 배출하는 열기가 상기 제2차단커버(1100)의 유입홀(110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유입차단플레이트(1200);를 더 포함하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의 동작 주파수가 가변적으로 5KHz에서 40KHz에서 작동하며, 동작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주파수설정수단(1900);
    유도가열효율을 설정하기 위한 가열효율 설정수단(1910);
    IGBT소자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IGBT온도설정수단(1920);
    상기 유도가열코일(30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유도가열코일온도설정수단(1930);을 더 포함하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도구(100)의 내부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음식물 온도센서(1300);
    상기 음식물 온도센서(1300)로부터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온도데이터수신부(1301);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 상기 냉각팬(1004) 및 상기 열기배출팬(1006)을 On/Off 하며, 상기 조리도구(100)에 담긴 음식물 온도 표시,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의 On/Off 상태 표시, 알람 및 조리시간과 남은 시간 및 제1가열부(800)와 제2가열부(810) 선택 상태 등을 표시하고 조작하기 위한 표시조작부(1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조작부(1400) 및 상기 음식물 온도센서(1300)는 상기 제어부(1500)와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조작부(1400)에서 튀김 또는 국, 각종 조림 요리와 같은 조리 종류를 선택 할 수 있으며, 튀김을 선택하면, 상기 음식물 온도센서(1300)가 음식물에 담겨져 온도 데이터가 수신될 때,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500)에 의해 기름온도를 1℃단위로 자동 제어가 가능한 것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조작부(1400)는 상기 제1가열부(800)로부터 상기 제n가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선택수단(1600)을 더 포함하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111)를 회전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상기 회전축 결합체(203)가 고정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 결합체(203)는 상기 결합체(111)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 결합체(203)를 회전시키기 위해 베어링(2000)을 구성하여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 결합체(203)에 일측에 웜휠기어(2010)가 구성되고,
    상기 웜휠기어(2010)와 맞물려 회전하기 위한 웜기어(2020);
    상기 웜기어(2020)가 고정되어 상기 웜휠기어(2010)를 회전하기 위한 샤프트(2030);
    상기 샤프트(2030)의 양단에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샤프트베어링(2040);
    상기 샤프트베어링(2040)은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2030)의 일측 끝단에 수동으로 회전을 할 수 있는 핸들(2050);을 더 포함하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
  8. 솥, 냄비, 포트와 같은 식재료 가열용 조리도구로 형성되는 조리장치, 상부 방향을 제외한 상기 조리장치의 외부 둘레를 감싸는 외피, 상기 조리장치 및 상기 외피를 결합한 결합체, 상부 방향이 개방되며, 상기 결합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외피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장치의 하부 방향에 상기 조리장치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유도가열부, 상기 유도가열부는, 유도가열코일, 상기 유도가열코일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 상기 유도가열코일의 훼손 및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 상기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에서 감지 된 온도 데이터가 설정온도와 동일하거나 크면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유도가열코일 온도검출센서자동제어부,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는 IGBT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IGBT소자의 온도를 검출하는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 상기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로부터 검출한 IGBT소자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의 동작을 제동하기 위한 IGBT소자 냉각자동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제1가열부로부터 제n가열부까지의 복수 개의 가열부로 형성되며 1≤n≤10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코일,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 상기 IGBT소자 및 상기 IGBT소자 온도검출센서는 제1가열부로부터 제n가열부의 복수 개의 가열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의 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유도가열코일의 온도와 IGBT 온도를 제어하고, 과전류 및 과전압 보호, 과부하 보호를 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되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의 조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리도구에 물 또는 기름을 투입하는 단계(S100);
    상기 유도가열 고주파발생장치에서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복수 개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가열하는 단계(S110);
    복수 개의 상기 유도가열부의 동작 방식을 자동 또는 수동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는 단계(S120);
    복수 개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복수 개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조작할 수 있는 표시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조작부를 통해 상기 조리도구의 내부에서 물 또는 기름이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단계(S130);
    상기 조리도구의 내부에 식자재를 투입하고 조리를 마치는 단계(S160);를 포함하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의 조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조리도구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입력된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온도센서에서 전달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조리도구의 물 또는 기름이 위치하는 부분과 위치하지 않는 부분을 파악하는 단계(S140);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리도구의 물 또는 기름이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on 상태로 유지하고, 물 또는 기름이 위치하지 않는 부분의 상기 유도가열부를 off 상태로 자동조작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의 조리방법.
KR1020210074986A 2021-06-09 2021-06-09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조리방법 KR102500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986A KR102500580B1 (ko) 2021-06-09 2021-06-09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조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986A KR102500580B1 (ko) 2021-06-09 2021-06-09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조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093A true KR20220166093A (ko) 2022-12-16
KR102500580B1 KR102500580B1 (ko) 2023-02-16

Family

ID=8453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986A KR102500580B1 (ko) 2021-06-09 2021-06-09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조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5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319A (ja) * 1999-03-31 2000-10-10 Toshiba Corp 炊飯器
KR101173245B1 (ko) 2010-05-28 2012-08-10 쿠쿠전자주식회사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
KR101703676B1 (ko) * 2015-12-01 2017-02-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튀김기용 온도조절장치
KR101815964B1 (ko) 2016-10-24 2018-02-21 범일산업 주식회사 인덕션 튀김기
KR20200082649A (ko) * 2018-12-31 2020-07-08 이재철 유도가열 코일이 유조의 중하단 기름가열부에 장착된 고주파 유도가열튀김장치
KR102153496B1 (ko) 2018-02-23 2020-09-08 (주)쿠첸 선택된 조리 유형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가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319A (ja) * 1999-03-31 2000-10-10 Toshiba Corp 炊飯器
KR101173245B1 (ko) 2010-05-28 2012-08-10 쿠쿠전자주식회사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
KR101703676B1 (ko) * 2015-12-01 2017-02-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튀김기용 온도조절장치
KR101815964B1 (ko) 2016-10-24 2018-02-21 범일산업 주식회사 인덕션 튀김기
KR102153496B1 (ko) 2018-02-23 2020-09-08 (주)쿠첸 선택된 조리 유형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가열 장치
KR20200082649A (ko) * 2018-12-31 2020-07-08 이재철 유도가열 코일이 유조의 중하단 기름가열부에 장착된 고주파 유도가열튀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580B1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80128B (zh) 一种非接触式测温方法及利用该测温方法的装置
KR101240108B1 (ko) 가열 조리기
EP3280223B1 (en) Induction cooking system
JP2008027601A (ja) 誘導加熱調理器
JP5854890B2 (ja) 家電機器の電力制御システム
US5283412A (en) Temperature-measuring device for an induction-type cooking appliance and appliance having such a device
JPH05326126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
EP2775783A2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er with increased heating range
JP4982282B2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120111854A1 (en) Device for induction heating
JP2008293888A (ja) 誘導加熱調理器
CN106610038B (zh) 电磁炉的烹饪控制方法、装置和电磁炉
KR102500580B1 (ko)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조리방법
JP2011155022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442642B1 (ko) 무선에너지 전송 장치를 구비한 전기레인지
JP5846935B2 (ja) 誘導加熱調理器及び家電機器の電力制御システム
CN102448203A (zh) 加热容器和底座之间的无绳连接
EP2731403B1 (en) Induction-heating cooker and program therefor
JP2004319350A (ja) 加熱調理器
KR102016764B1 (ko) 다열 인덕션 레인지
JP2006079916A (ja) 誘導加熱調理器
CN204722868U (zh) 烹饪器具
JP2003083543A (ja) 加熱調理器具の安全装置
JP6270906B2 (ja) 温度検知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JP5040133B2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