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764B1 - 다열 인덕션 레인지 - Google Patents

다열 인덕션 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764B1
KR102016764B1 KR1020170025154A KR20170025154A KR102016764B1 KR 102016764 B1 KR102016764 B1 KR 102016764B1 KR 1020170025154 A KR1020170025154 A KR 1020170025154A KR 20170025154 A KR20170025154 A KR 20170025154A KR 102016764 B1 KR102016764 B1 KR 102016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range
pedestal
induction
row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8470A (ko
Inventor
신선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디엠인덕션
신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디엠인덕션, 신선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디엠인덕션
Priority to KR102017002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7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8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27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for wok pans and wok pans supports for induction cooking 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다열 인덕션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다리; 다수의 인덕션 레인지가 설치되도록 상기 다리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전면에 상기 인덕션 레인지를 온/오프시키도록 상기 상판의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식 조절스위치;를 마련하여 회전식 조절스위치에 의해 인덕션 레인지를 초기 가열 시 최고온도로 작동시켜 인덕션 레인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피가열체를 최고 온도로 가열시킴에 따라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인덕션 레인지에 받침대를 사용하여 바닥면이 불규칙한 형태의 피가열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가열체의 형상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다열 인덕션 레인지{Mutiple Induction Range}
본 발명은 다열 인덕션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상판에 다수의 인덕션 레인지를 설치하여 다수의 조리용기를 동시에 사용되게 함은 물론 인덕션 레인지를 고온에서 저온으로 낮추어 조절하는 다열 인덕션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레인지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에 속하는 것으로 전자기력으로 열을 발생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세히, 자력선의 방향이 변화되는 자계 안에 자성체 금속을 놓으면 금속 자체가 전자기 유도에 의해 발생되는 소용돌이 모양의 전류를 통해 자체적으로 발열되는 원리가 적용되는 것이다.
한편 인덕션 레인지는 사용 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불꽃이 없어 화재의 위험이 없으며, 특히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하는 장점으로 인하여 요식업계에서 많이 사용되고, 일반 가정에서도 안전성이 좋고, 친환경적인 인덕션레인지를 선호하고 사용함에 따라 그에 알맞은 조리용기의 수요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인덕션 레인지에 사용할 수 있는 조리용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조리용기의 경량화를 위하여 조리용기는 비교적 가벼운 비도전성 금속재질인 알루미늄으로 구성하면서 조리용기의 밑면에는 조리용기의 내용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인덕션레인지로부터의 자장과 감응하는 도전성 금속재질인 철이나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판재의 테두리가 조리용기의 밑면에 심어지는 형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 있다.
그런데 조리용기의 밑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도전판재의 테두리만 심어지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력이 부족하여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도전판재가 조리용기로부터 분리되되거나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를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100)는 냄비 등의 피가열체가 놓여지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 탑플레이트(1), 상기 탑플레이트(1)의 하측에서 고주파 자장을 발생시켜 피가열체에 유도전류를 생성시켜 발열시키는 워킹코일(2)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상세히 전원이 공급됨과 함께 상기 워킹코일(2)에 자력선의 변화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피가열체 내의 유도전류가 형성되어 열이 발생되며, 발생된 열이 피가열체 전체에 퍼져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탑플레이트(1)의 하측에는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3)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센서(3)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피가열체 용기 내부에 수용된 조리대상물의 조리상태를 제어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100)는 피가열체의 온도를 측정할 때, 상기 피가열체에서 상기 탑플레이트(1)의 하부로 전도되는 열을 측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탑플레이트(1)는 피가열체의 가열 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이 좋은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탑플레이트(1)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3~4mm이다.
따라서 상기 탑플레이트(1)는 온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으므로 온도센서(3)에 의한 피가열체의 간접적인 온도측정이 부정확하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인덕션 레인지의 회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교류 자속을 발생시켜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구리 코일(10)이 구비된다. 구리 코일(10)은 교류 자속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기 회로(20)와 연결된다. 다음으로 자기 회로(20)는 정류기(30) 및 EMI 필터(40)를 포함하는 전력회로와 연결되고, 전력회로는 교류 전원(50) 공급 장치와 연결된다.
여기서 인덕션 레인지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구리 코일(10)은 인덕터(Inductor)라고도 하며, 여러 가닥의 구리선(에나멜선)이 나선형으로 감긴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인덕션 레인지는 피가열체(냄비)를 가열시키는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장은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피가열체는 암페어의 법칙에 의해 구리 코일에 전기장이 인가되면 구리 코일은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자기장은 구리 코일 상부에 위치하는 피가열체의 내부에 와류 전류를 발생시킨다.
피가열체가 철 또는 니켈과 같은 도체라면 다음의 패러데이-렌츠 법칙에 의해 구리 코일에서 생성된 자기장에 의해 피가열체의 내부에 와전류(Eddy current)가 생성된다.
또한 패러데이-렌츠 법칙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장은 도체에 기전력(EMF, Electro Motive Force)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와전류는 다른 말로 맴돌이 전류라고 하는데, 도체 내부를 지나는 자기력선속의 변화로 인해서 생기는 전류이다. 그런데 전류는 도체 내부에서 소용돌이 모양으로(닫힌 경로) 흐르기 때문에 맴돌이 전류라고 하며, 피가열체 내에 존재하는 자체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 줄 열(Joule's Heat)은 저항이 큰 도선에 전류를 흘리면 열이 발생하며, 이에 의해 피가열체가 가열되어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인덕션레인지'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는 피가열체를 지지하되, 센싱홀이 형성된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되, 중앙부에 결합홀이 형성되며 워킹코일이 권취되는 워킹코일베이스,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도록 하부에 중공형 가이드부가 연장 형성된 센서베이스, 상기 센싱홀을 관통하여 상단부가 돌출되도록 배치되되,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센서몸체와 상기 센서몸체 외주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하단부에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의 단부에 구속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걸림날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형 센서부 상단은 상기 센서몸체 외주 일측에 구속되며, 하단은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에서 내주측으로 절곡되게 연장하며, 상기 센서몸체의 하부가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관부에 구속되어 탄발지지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워킹코일베이스 하측에 배치되되 내측에 회로부가 설치되며 배수부가 구비된 본체케이스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인덕션 레인지'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는 피가열체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워킹코일이 권취되는 워킹코일베이스,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워킹코일베이스 중앙부에 배치되는 메인센서, 상기 워킹코일베이스의 중앙부에 권취된 워킹코일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편심온도센서 및 상기 메인센서 및 상기 편심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워킹코일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29655호(2014년 8월 13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124106호(2014년 10월 24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는 가열 에너지가 저온으로 점화되어 가열 에너지를 높이도록 점화스위치를 조절해야 되는 불편이 있고, 인덕션 레인지가 2~3개로 이루어져 식당 등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덕션 레인지의 점화 시 가열 에너지가 최대로 점화되게 하는 다열 인덕션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인덕션 레인지를 배열시켜 동시에 다수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다열 인덕션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열 인덕션 레인지는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다리; 다수의 인덕션 레인지가 설치되도록 상기 다리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전면에 상기 인덕션 레인지를 온/오프시키도록 상기 상판의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식 조절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식 조절스위치는 상기 인덕션 레인지의 점화 시 최고온도로 가열되도록 상기 인덕션 레인지를 최대 고주파로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식 조절스위치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인덕션 레인지의 고주파를 낮추어 상기 인덕션 레인지의 가열 온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덕션 레인지는 상기 상판의 전면측에 다수로 설치되는 제1열 인덕션 레인지; 상기 상판의 후면측에 다수로 설치되는 제2열 인덕션 레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덕션 레인지는 바닥면이 불규칙한 피가열체를 안정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인덕션 레인지의 상면에 안정되게 놓이도록 일정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 제1 받침대; 상기 제1 받침대의 내면과 상면에 안착되게 형성된 제2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받침대는 상기 제1 받침대에 안착되게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피가열체가 안정되게 놓여지도록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열 인덕션 레인지에 의하면, 회전식 조절스위치에 의해 인덕션 레인지를 초기 가열 시 최고온도로 작동시켜 인덕션 레인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피가열체를 최고 온도로 가열시킴에 따라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인덕션 레인지에 받침대를 사용하여 바닥면이 불규칙한 형태의 피가열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가열체의 형상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를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인덕션 레인지의 회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열 인덕션 레인지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열 인덕션 레인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열 인덕션 레인지를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열 인덕션 레인지의 받침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열 인덕션 레인지의 받침대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열 인덕션 레인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열 인덕션 레인지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열 인덕션 레인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열 인덕션 레인지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열 인덕션 레인지는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다리(60), 다수의 인덕션 레인지(80)가 설치되도록 상기 다리(60)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판(70), 상기 상판(70)의 전면에 상기 인덕션 레인지(80)를 온/오프시키도록 상기 상판(70)의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식 조절스위치(7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열 인덕션 레인지는 인덕션 레인지를 다열로 배열시켜 일시에 다수의 조리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인덕션 레인지의 점화 시 인덕션 레인지를 최고 온도로 점화시켜 고열로 피가열체를 가열시키도록 한다.
아울러 피가열체(미도시)는 인덕션 레인지에 의해 가열되는 전용 냄비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냄비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인덕션 레인지는 인덕션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형성되면서 자성을 띄는 조리용기와 코일 주위의 자기장이나 만나 반응해 조리용기 자체에 열을 발생시키는 것이므로, 인덕션 레인지에 사용되는 조리용기 등의 피가열체는 철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야 한다.
즉, 자석이 붙는 조리용기만이 인덕션 레인지에 사용 가능하고, 자성이 없는 조리용기는 인덕션 레인지에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철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뚝배기, 유리용기, 양은냄비, 테프콘 코팅이 이루어진 테팔 후라이팬 등은 인덕션 레인지에 사용할 수 없게 되는데, 이러한 뚝배기, 유리용기 등을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도록 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80)는 다수의 인덕션 레인지가 설치되며, 이에 따라 다수의 피가열체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리(60)는 상판(70)을 지지하는 것으로, 4개의 다리(60)가 마련되며, 이들 다리(60)의 하부에는 높이를 조절하는 수평높이조절구(61)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높이조절구(61)는 다리(6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판(70)의 수평으로 조절함은 물론 상판(70)을 소정 높이만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판(70)은 대략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피가열체를 안정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평평한 판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판(70)에는 인덕션 레인지(80)가 설치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장착홈부(71)가 형성되며, 이러한 장착홈부(71)는 제1열과 제2열로 배치되고, 장착홈부(71)는 인덕션 레인지(80)가 설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판(70)의 하부 전면에는 전면판(72)이 설치되고, 상판(70)의 하부 측면에는 측면판(73)이 설치되며, 상판(70)의 하부 배면에는 배면판(미도시)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전면판(72)에는 장착홈부(71)에 설치된 인덕션 레인지(80)를 온/오프시키는 회전식 조절스위치(75)가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식 조절스위치(75)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식 조절스위치(75)는 상기 인덕션 레인지(80)의 점화 시 최고 온도로 가열하도록 상기 인덕션 레인지(80)를 최대 고주파로 가열시킨다. 즉, 회전식 조절스위치(75)는 인덕션 레인지(80)를 최고 온도로 가열되도록 작동된다. 이는 인덕션 레인지(80)가 최고 온도로 가열시켜 줌으로써 조리용기 등의 피가열체를 고온으로 가열시켜 조리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한다.
상기 회전식 조절스위치(7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인덕션 레인지(80)의 고주파를 낮추어 상기 인덕션 레인지(80)의 가열 온도를 낮추게 된다.
아울러 회전식 조절스위치(7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인덕션 레인지(80)의 가열 온도를 낮추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열 인덕션 레인지의 받침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열 인덕션 레인지의 받침대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덕션 레인지(80)는 통상의 것을 사용하며, 상기 인덕션 레인지(8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뙨다
상기 인덕션 레인지(80)는 비정형 피가열체를 안정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81)를 포함한다. 즉, 상기 인덕션 레인지(80)는 바닥면이 불규칙한 피가열체를 안정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받침대(81)를 더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받침대(81)는 상기 인덕션 레인지(80)의 상면에 안정되게 놓이도록 일정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 제1 받침대(82)와 상기 제1 받침대(82)의 내면과 상면에 안착되게 형성된 제2 받침대(83)를 포함한다.
아울러 인덕션 레인지(80)는 상기 상판(70)의 전면측에 다수로 설치되는 제1열 인덕션 레인지(84)와 상기 상판(70)의 배면측에 다수로 설치되는 제2열 인덕션 레인지(85)를 포함한다.
즉, 상판(70)에는 다수의 인덕션 레인지(80)가 설치되는데, 다수의 조리용기인 피가열체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제1열 레인지(84)와 제2열 레인지(85)가 배치된다.
상기 제1열 레인지(84)는 상판(70)의 전면판(72)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열 레인지(85)는 상판(70)의 배면판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열 인덕션 레인지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열 인덕션 레인지는 일정 크기를 갖는 상판(70)과 상기 상판(70)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리(60)와 상기 상판(70)에 다열로 배치되는 다수의 인덕션 레인지(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70)의 저면에는 다수의 다리(60)를 설치하며, 상기 다리(60)의 저면에는 상판(70)을 수평으로 조절하는 수평높이조절구(61)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아울러 수평높이조절구(61)는 다리(6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판(70)을 수평 상태로 높이 조절함은 물론 상판(70)을 수평으로 안정되게 유지되게 한다.
또 상판(70)은 인덕션 레인지(80)를 설치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장착홈부(71)를 형성하며, 상기 장착홈부(71)는 제1열과 제2열로 이루어져 소정 간격으로 유지되게 형성한다.
상기 상판(70)의 하부 전면에는 전면판(72)을 고정하고, 상판(70)의 양 측면에는 각각 측면판(73)을 고정하며, 상판(70)의 하부 배면에는 배면판(미도시)을 고정한다.
상기 전면판(71)에는 인덕션 레인지(80)를 작동시키는 회전식 조절스위치(75)를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하며, 회전식 조절스위치(75)는 인덕션 레인지(80)의 초기 작동 시 최고 온도로 작동되도록 가열되도록 한다.
즉, 회전식 조절스위치(75)는 초기 작동 시 인덕션 레인지(80)를 최고 온도로 가열되도록 하며, 인덕션 레인지(8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한다.
이에 따라 회전식 조절스위치(7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인덕션 레인지(80)는 초기 작동 시 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된다.
상기 장착홈부(71)에는 인덕션 레인지(80)를 설치하며, 인덕션 레인지(80)는 전면판(71)에 인접한 장착홈부(71)에 제1열 레인지(84)를 설치하며, 배면판에 인접한 장착홈부(71)에 제2열 레인지(85)를 설치한다.
아울러 인덕션 레인지(80)는 바닥면이 평평하지 않은 뚝배기 등을 안정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받침대(81)를 구비한다. 상기 받침판(81)은 인덕션 레인지(80)의 상면에 안정되게 놓이도록 하는 제1 받침대(82)와 상기 제1 받침대(82)의 내면 및 상면에 안착되는 제2 받침대(8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받침대(83)는 제1 받침대(82)의 내면 및 상면에 안착되게 단면상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안착부(83a)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83a)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반원형으로 돌출되는 돌출부(83b)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83b)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83c)을 형성한다.
다음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열 인덕션 레인지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열 인덕션 레인지는 조리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냄비 등에 담아 인덕션 레인지(80) 상면에 올려놓게 된다.
이러한 인덕션 레인지(80)는 제1열 레인지(84) 및 제2열 레인지(85)에 다수의 피가열체를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인덕션 레인지(80)는 전면판(72)에 설치된 회전식 조절스위치(75)에 의해 가열된다.
이때 회전식 조절스위치(75)는 암페어 법칙에 따라 전류밀도(J)를 높이거나 변위전류(D)를 높여 인덕션 레인지(80)의 초기 가열 시 최고 온도로 가열되게 한다. 즉, 전류밀도를 높이거나 변위전류를 높인 상태로 가열되어 초기 가열 시 최고 온도로 가열시킨다.
이러한 회전식 조절스위치(7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변위전류를 낮추거나 변위전류를 낮추어 인덕션 레인지(80)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이에 따라 피가열체의 가열 온도는 낮아지게 된다.
아울러 상판(70)에는 제1열 레인지(84) 및 제2열 레인지(85)에 다수의 피가열체를 가열시킴에 따라 일시에 다수의 피가열체를 가열시켜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덕션 레인지(80)는 피가열체의 바닥면이 울통불퉁한 피가열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덕션 레인지(80)의 상면에는 받침대(81)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바닥면이 불규칙한 피가열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올려놓은 상태에서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60: 다리 61: 수평높이조절구
70: 상판 71: 장착홈부
72: 전면판 73: 측면판
75: 회전식 조절스위치
80: 인덕션 레인지 81: 받침대
82: 제1 받침대 83: 제2 받침대
84: 제1열 레인지 85: 제2열 레인지

Claims (7)

  1.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하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수평높이조절구(61)가 설치된 다수의 다리(60);
    다수의 인덕션 레인지(80)가 설치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장착홈부(71)가 형성되고, 하부 전면에는 전면판(72)이 형성되며, 하부 측면에는 측면판(73)이 형성되어 다리(60)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판(70);
    상기 상판(70)의 전면판(72)에는 장착홈부(71)에 설치된 인덕션 레인지(80)를 온/오프시키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식 조절스위치(75)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레인지(80)는
    상판(70)의 전면측에 다수로 설치되는 제1열 인덕션 레인지(84);
    상기 상판(70)의 후면측에 다수로 설치되는 제2열 인덕션 레인지(85);
    바닥면이 불규칙한 피가열체를 안정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받침대(81)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81)는 인덕션 레인지(80)의 상면에 안정되게 놓이도록 일정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 제1 받침대(82);
    상기 제1 받침대(82)의 내면과 상면에 안착되게 형성된 제2 받침대(83)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식 조절스위치(75)는 상기 인덕션 레인지(80)의 점화 시 최고온도로 가열되도록 상기 인덕션 레인지(80)를 최대 고주파로 가열시키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인덕션 레인지(80)의 고주파를 낮추어 인덕션 레인지(80)의 가열 온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열 인덕션 레인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받침대(83)는 제1 받침대(82)에 안착되게 단면상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안착부(83a)를 형성하고, 상기 피가열체가 안정되게 놓여지도록 상기 안착부(83a)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반원형으로 돌출되는 돌출부(83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열 인덕션 레인지.
KR1020170025154A 2017-02-25 2017-02-25 다열 인덕션 레인지 KR102016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154A KR102016764B1 (ko) 2017-02-25 2017-02-25 다열 인덕션 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154A KR102016764B1 (ko) 2017-02-25 2017-02-25 다열 인덕션 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470A KR20180098470A (ko) 2018-09-04
KR102016764B1 true KR102016764B1 (ko) 2019-09-02

Family

ID=6359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154A KR102016764B1 (ko) 2017-02-25 2017-02-25 다열 인덕션 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7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823B1 (ko) 2021-01-15 2022-04-2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 가열식 인덕션레인지
KR20230134727A (ko) 2022-03-15 2023-09-22 주식회사 에코위더스 인덕션 레인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4669A (ja) * 2014-06-16 2016-01-12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電力管理システム
KR101637918B1 (ko) * 2015-10-28 2016-07-13 김학규 인덕션 레인지 및 인덕션 레인지 유니트
KR101671014B1 (ko) * 2016-01-19 2016-10-31 주식회사 지디엠인덕션 뚝배기용 전기 다열 렌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655B1 (ko) 2013-03-18 2014-08-13 쿠쿠전자주식회사 인덕션레인지
KR102026770B1 (ko) 2013-04-16 2019-09-30 쿠쿠전자 주식회사 인덕션레인지
KR102208568B1 (ko) * 2014-05-30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4669A (ja) * 2014-06-16 2016-01-12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電力管理システム
KR101637918B1 (ko) * 2015-10-28 2016-07-13 김학규 인덕션 레인지 및 인덕션 레인지 유니트
KR101671014B1 (ko) * 2016-01-19 2016-10-31 주식회사 지디엠인덕션 뚝배기용 전기 다열 렌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823B1 (ko) 2021-01-15 2022-04-2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 가열식 인덕션레인지
KR20230134727A (ko) 2022-03-15 2023-09-22 주식회사 에코위더스 인덕션 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470A (ko)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80128B (zh) 一种非接触式测温方法及利用该测温方法的装置
US6894255B2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JP5254966B2 (ja) 調理器具の温度検出を可能にするホブ
EP3422808B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JP2010073384A (ja) 誘導加熱調理器
US11202345B2 (en) Loaded-object sensor and induction heating device including loaded-object sensor
US5283412A (en) Temperature-measuring device for an induction-type cooking appliance and appliance having such a device
US8231269B2 (en) Culinary article that allows the detection of its temperature via a cooking plate
WO2008054070A1 (en) A heating apparatus and luminous apparatus using induction heating
KR102016764B1 (ko) 다열 인덕션 레인지
KR20150136893A (ko) 인덕션 조리기
KR101710297B1 (ko) 유도가열식 조리기 및 그의 온도센서
JP5340479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148750B1 (ko) 밥솥 내부를 균일하게 가열하는 취반기
US11006485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JP2018004151A (ja) ガスコンロ
EP3422810B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11873U (ko) 원형 세라믹 히터를 구비한 전기 레인지
JP2006079916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5334351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鍋
KR102500580B1 (ko) 선택적 유도가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조리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조리방법
JP525754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1249187A (ja) 電磁調理器
JP2013140815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181618B1 (ko) 가열위치 가이드부를 구비한 가열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