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072Y1 - 전기튀김기 - Google Patents

전기튀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072Y1
KR200468072Y1 KR2020110007569U KR20110007569U KR200468072Y1 KR 200468072 Y1 KR200468072 Y1 KR 200468072Y1 KR 2020110007569 U KR2020110007569 U KR 2020110007569U KR 20110007569 U KR20110007569 U KR 20110007569U KR 200468072 Y1 KR200468072 Y1 KR 200468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oil
heater
oil tank
f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388U (ko
Inventor
김영도
Original Assignee
김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도 filed Critical 김영도
Priority to KR2020110007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07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13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3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0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57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electrically heated
    • A47J37/1261Details of the heating elements; Fixation of the heating elements to the frying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튀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정량의 튀김물을 튀기기 위한 튀김기 유조 내의 기름의 온도가 적정온도로 설정된 상태에서 냉장상태의 튀김물이 과다하게 투입되어 유조 내의 튀김기름의 온도가 급강하하게 되었을 때, 유조 내의 튀김기름의 급강하 된 온도를 인지하여 즉시 부가 가열함으로써 본래의 설정온도를 신속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2히터가 구비된 개량된 전기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1)는, 튀김기름이 수용되는 함체형상의 유조(100); 상기 유조(100)를 거치하기 위한 유조거치대(200); 상기 유조(100)의 기름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300); 상기 유조(10) 내의 기름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센서(400); 온오프스위치(510)와 입력부(521), 제어부(522), 기억부(523), 구동부(524) 및 표시부(525)가 마이컴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수단(520)으로 이루어져 전원의 인가/차단 및 전반적으로 전자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장치(500); 튀김물이 상기 히터(300)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튀김물의 출납이 용이하도록 상기 유조(100) 내에 비고정 방식으로 구비되는 튀김망(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튀김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300)는, 제1히터(310)와 상기 제1히터(310)의 중앙하부영역에 설치되는 제2히터(320)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22)는, 상기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이르게 되면 동시에 상기 제2히터(320)가 대기모드에 진입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온도검출센서(400)에 의해 상기 유조(100) 내의 기름의 현재온도가 기 설정된 급강하온도 이하로 급강하 된 것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22)의 제어에 따라 즉시 상기 제2히터(320)가 가동되어 유조(100) 내의 기름을 원래의 설정온도까지 부가 가열하고,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원래의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2히터(320)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에 의하면, 짧은 시간 안에 다량의 튀김물을 튀겨내기 위해 유조 내에 튀김물을 초과 투입함으로써 유조 내 기름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급강하하는 경우에도, 즉각적으로 제2히터가 가동되며 유조 내의 기름의 온도를 본래의 설정온도까지 빠르게 상승시키고, 유조 내의 기름의 온도가 본래의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다시 제2히터의 가동을 자동적으로 정지시켜 줌으로써 유조 내의 기름의 온도를 최적의 튀김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절약에 기여하는 한편 항상 튀김물이 바삭한 맛을 가지도록 튀김물의 튀김품질을 높일 수 있는 전기튀김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튀김기{Electric fryer}
본 고안은 전기튀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정량의 튀김물을 튀기기 위한 튀김기 유조 내의 기름의 온도가 적정온도로 설정된 상태에서 냉장상태의 튀김물이 과다하게 투입되어 유조 내의 튀김기름의 온도가 급강하하게 되었을 때, 유조 내의 튀김기름의 급강하 된 온도를 인지하여 즉시 부가 가열함으로써 본래의 설정온도를 신속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2히터가 구비된 개량된 전기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튀김요리하는 닭튀김용 전기튀김기는,
튀김기름이 수용되는 함체형상의 유조와; 상기 유조를 거치하기 위한 유조거치대와; 상기 유조 내의 기름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상기 유조 내의 기름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와; 전원의 인가/차단 및 전반적으로 전자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기튀김기에 전원을 인가한 후 유조내의 기름을 튀김요리에 적합한 최적의 온도조건인 170도 내외를 유지하도록 가열한 후 가열된 유조 내의 기름 속에 튀김물을 내입하여 튀김요리를 하고 있다.
현재 닭튀김용 전기튀김기는 다양한 제원으로 출시되고 있으나, 유조용량 18L~22L의 전기튀김기를 사용하여 유조내의 튀김유의 온도를 170도 내외까지 올리고 1회에 냉장 닭 3마리 정도를 튀겨내고 있으나, 보편적으로 업소에서는 유조에 담유된 유량을 고려하여 1회 튀김량을 늘려서 튀김요리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유조내에 냉장닭 1마리를 초과 투입하는 경우 유조내 기름의 온도는 5~6도 급강하하게 되며, 이와 같이 급강하한 기름의 온도를 튀김 적정온도인 170도까지 다시 상승시키는 데에는 약 2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바, 이때 유조내의 기름의 온도가 낮아지면 유조내의 튀김물은 기름을 머금게 되어 튀김물이 바삭하게 튀겨지지 않고 진득거리게 되어 튀김물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짧은 시간 안에 다량의 튀김물을 튀겨내기 위해 유조 내에 튀김물을 초과 투입함으로써 유조 내 기름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급강하하는 경우에도 즉각적으로 제2히터가 가동되며 유조 내의 기름의 온도를 본래의 설정온도까지 빠르게 상승시키고 유조 내의 기름의 온도가 본래의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다시 제2히터의 가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써 유조 내의 기름의 온도를 최적의 튀김온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튀김물이 바삭한 맛을 가지도록 튀겨져 튀김물의 튀김품질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1)는,
튀김기름이 수용되는 함체형상의 유조(100); 상기 유조(100)를 거치하기 위한 유조거치대(200); 상기 유조(100)의 기름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300); 상기 유조(10) 내의 기름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센서(400); 온오프스위치(510)와 입력부(521), 제어부(522), 기억부(523), 구동부(524) 및 표시부(525)가 마이컴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수단(520)으로 이루어져 전원의 인가/차단 및 전반적으로 전자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장치(500); 튀김물이 상기 히터(300)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튀김물의 출납이 용이하도록 상기 유조(100) 내에 비고정 방식으로 구비되는 튀김망(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튀김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300)는, 제1히터(310)와 상기 제1히터(310)의 중앙하부영역에 설치되는 제2히터(320)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22)는, 상기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이르게 되면 동시에 상기 제2히터(320)가 대기모드에 진입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온도검출센서(400)에 의해 상기 유조(100) 내의 기름의 현재온도가 기 설정된 급강하온도 이하로 급강하 된 것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22)의 제어에 따라 즉시 상기 제2히터(320)가 가동되어 유조(100) 내의 기름을 원래의 설정온도까지 부가 가열하고,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원래의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2히터(320)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에 의하면,
짧은 시간 안에 다량의 튀김물을 튀겨내기 위해 유조 내에 튀김물을 초과 투입함으로써 유조 내 기름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급강하하는 경우에도, 즉각적으로 제2히터가 가동되며 유조 내의 기름의 온도를 본래의 설정온도까지 빠르게 상승시키고, 유조 내의 기름의 온도가 본래의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다시 제2히터의 가동을 자동적으로 정지시켜 줌으로써 유조 내의 기름의 온도를 최적의 튀김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절약에 기여하는 한편 항상 튀김물이 바삭한 맛을 가지도록 튀김물의 튀김품질을 높일 수 있는 전기튀김기가 제공된다.
도1은,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의 유조의 측단면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의 튀김망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의 제1히터와 제2히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의 제1히터와 제2히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의 배면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8은,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의 유조의 측단면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의 튀김망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의 제1히터와 제2히터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의 제1히터와 제2히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7은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의 배면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8은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1 내지 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1)는,
튀김기름이 수용되는 함체형상의 유조(100); 상기 유조(100)를 거치하기 위한 유조거치대(200); 상기 유조(100) 내의 기름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300); 상기 유조(10) 내의 기름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센서(400); 온오프스위치(510)와 입력부(521), 제어부(522), 기억부(523), 구동부(524) 및 표시부(525)가 마이컴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수단(520)으로 이루어져 전원의 인가/차단 및 전반적으로 전자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장치(500); 튀김물이 상기 히터(300)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튀김물의 출납이 용이하도록 상기 유조(100) 내에 비고정 방식으로 구비되는 튀김망(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튀김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300)는, 제1히터(310)와 상기 제1히터(310)의 중앙하부영역에 설치되는 제2히터(320)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22)는, 상기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이르게 되면 동시에 상기 제2히터(320)가 대기모드에 진입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온도검출센서(400)에 의해 상기 유조(100) 내의 기름의 현재온도가 기 설정된 급강하온도 이하로 급강하 된 것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22)의 제어에 따라 즉시 상기 제2히터(320)가 가동되어 유조(100) 내의 기름을 원래의 설정온도까지 부가 가열하고,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원래의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2히터(320)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유조(100)는, 도1 및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가 개구된 함체로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부에는 배유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배유공(110)에는 배유파이프(120)가 결합되어 퇴유를 배유한다.
상기 배유파이프(120)에는 배유량 조절을 위한 배유밸브(130)가 구비되고 상기 배유밸브(130)의 손잡이(140)는 유조거치대(200) 전면부에 돌출 설치된다.
상기 유조(100)에는 튀김물이 히터(30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튀김후 튀김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은 튀김물을 담는 튀김망(600)이 비고정 방식으로 구비된다.
상기 유조(100)를 거치하기 위한 유조거치대(200)는, 네 개의 포스트(210) 상단부와 하부 영역에 각각 사각철틀(220)이 용접결합되어 일체로써 형성되고 상하 사각철틀(220)의 전면부와 좌우측면부는 철판(230)으로 된 벽체가 용접 등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되어 내부에는 중공부를 형성하며, 배면부에는 도7과 같이 여닫을 수 있는 도어(240)가 구비되고 도어(240)의 상부는 상기 유조거치대(200)에 힌지결합 된다.
상기 유조거치대(200)의 상부 사각철틀(220)은 일측에 치우치게 가로대(미도시)를 용접결합하여 칸을 형성하고 넓은 칸의 내부에 상기 유조(100)가 거치되어 용접 등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된다.
상기 네 개의 포스트(210)의 하단부에는 이동 편의를 위해 캐스터(25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유조거치대(200)의 배면부 상부에는 본 전기튀김기 구성부재 설치의 편의를 위해 중공의 보조함(260)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함(260)의 전면에는 튀김망걸이대(261)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뒷면은 개구되되 개구부에는 도7과 같이 여닫을 수 있도록 하단부가 상기 유조거치대(200)에 힌지결합 되는 보조함도어(262)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함(260)의 전면부에는 히터(300) 및 온도감지센서(400)를 결합하기 위한 제1히터결합공(263), 제2히터결합공(263') 및 센서결합공(264)이 통공 된다.
또한 상기 히터(300)는, 도4 및 도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1히터(310)와 상기 제1히터(310) 중앙하부영역에 설치되는 제2히터(3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히터(310)는, 상기 보조함(260)의 정면 양 가장자리부의 제1히터결합공(263)에 결합되어 유조(100)의 내벽면과 바닥면을 따라 이격되어 절곡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히터(310)의 결합부에는 단열재(미도시)가 개재된다.
상기 제1히터(310)는 제어수단(5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22)의 제어에 따라 유조(100) 내의 기름을 설정된 튀김 적정온도로 가열한다.
또한 상기 제2히터(320)는, 상기 보조함(260)의 정면 중앙부의 제2히터결합공(263')에 결합되어 유조(10)의 내벽면과 바닥면을 따라 이격되어 절곡 설치되되 상기 제1히터(310)의 중앙하부영역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히터(320)의 결합부에도 단열재(미도시)가 개재된다.
상기 제2히터(320)는, 제어수단(5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유조(100) 내의 온도감지센서(400)가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522)에 송출하였을 때 송출값이 기 설정된 급강하온도에 해당 되면 상기 제어부(522)의 제어에 따라 유조(200) 내의 기름을 즉시 부가 가열하고, 유조(2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다시 기 설정된 튀김적정온도에 이르게 되면 상기 제어부(522)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부가 가열을 중단한다.
또한 본 고안자는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튀김온도의 적정온도인 170도로 가열할 수 있는 상기 제1히터(310)의 히터용량은 7Kw 용량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급강하하였을 때 튀김온도의 적정온도인 170도로 즉시 부가 가열하기 위한 상기 제2히터(320)의 히터용량은 3Kw 용량을 설치하는 것이 전력소모가 가장 경제적이어서 바람직함을 알게 되었다.
상기 제1히터(310)의 히터용량이 7Kw를 넘게 되면 전력의 손실이 컸으며 3Kw미만일 때에는 튀김적정온도까지 가열하는 시간이 오래 걸려 튀김물이 바삭하게 튀겨지지 않는 단점이 있고, 상기 제2히터(320)의 히터용량이 3Kw이상일 때에는 필요이상의 전력소모가 많았으며 3Kw미만이 되는 경우에는 기 설정된 튀김적정온도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오래걸려 튀김물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제1히터(310) 및 제2히터(320)의 발열부는 유조(100) 바닥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제2히터(320)의 발열부는 상기 제1히터(310)의 발열부의 중앙하부영역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도검출센서(400)는, 상기 보조함(260)의 정면 중앙영역의 쎈서결합공(264)에 결합되어 상기 유조(100) 내의 일측 내벽면 중앙부에 내벽면과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온도검출센서(400)는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를 실시간 검출하여 제어부(522)에 송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500)는,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유조거치대(200) 하부영역에 결합 된 사각철틀(220) 상부에 철판을 용접 결합하여 형성한 선반(270) 위에 구비된다.
도7은, 본고안인 전기튀김기(1) 제어장치(500)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제어장치(500)는, 온오프스위치(510)와; 입력부(521), 제어부(522), 기억부(523), 구동부(524) 및 표시부(525)가 마이컴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수단(5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5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의 인가/차단 및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의 전반적인 전자적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수단(520)의 입력부(521)에는, 튀김적정온도 설정값 및 튀김적정시간 설정값이 입력되어 제어부(522)의 제어에 따라 기억부(523)에 기억되고 표시부(525)에 표시된다.
상기 제어부(522)는, 상기 입력부(521)의 입력값을 기초로 기억부(523)에 기억시키고 상기 입력부(521)의 입력값에 따라 구동부(524) 및 표시부(525)를 종합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22)는,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온오프스위치(510)를 차단하고 설정온도 이하이면 온오프스위치(510)를 다시 인가하는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22)는, 상기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이르게 되면 동시에 상기 제2히터(320)는 대기모드에 진입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온도검출센서(400)에 의해 송출된 상기 유조(100) 내의 기름의 현재온도가 기 설정된 급강하온도(설정값) 이하로 급강하 된 것이 검출되는 경우, 즉시 상기 제2히터(320)를 구동하여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를 원래의 설정온도까지 부가 가열하고, 상기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다시 원래의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2히터(320)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기억부(523)는, 튀김적정온도 설정값, 튀김적정시간 설정값 및 급강하온도 설정값 등이 기억된다.
상기 구동부(524)는, 상기 기억부(523)에 기억된 튀김적정온도 설정값, 튀김적정시간 설정값에 따른 제어부(522)의 제어에 따라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를 튀김 적정온도까지 가열하도록 제1히터(310)를 구동한다.
또한 상기 온도검출센서(400)에 의해 송출된 상기 유조(100) 내의 기름의 현재온도가 기 설정된 급강하온도(설정값) 이하로 급강하 된 것이 검출되는 경우, 즉시 상기 제2히터(320)를 구동하여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를 원래의 설정온도까지 부가 가열한다.
이때, 상기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다시 원래의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2히터(320)의 구동을 멈추고 중단된다.
또한 상기 표시부(525)는 상기 유조거치대(200)의 정면 하부영역에 구비되어, 전원의 인가/차단, 히터의 구동여부 표시, 제어부(522)의 제어내용 등의 표시를 위해 온오프스위치, 온도/시간 입력버튼(미도시), 히터구동표시 램프 및 제어부(522)의 제어내용 표시 램프(미도시) 등이 공지의 방법에 따라 구비된다.
즉 상기 표시부(525)에는 전원램프, 제1히터발열표시램프, 제2히터발열표시램프 등에 의해 전원 및 히터 구동상태가 표시될 수 있고, 설정된 튀김적정온도 표시, 설정된 튀김적정시간 표시, 현재 유조내의 기름의 온도표시 등이 공지의 세븐세그먼트소자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원을 인가하고, 튀김적정온도와 튀김적정시간을 입력하면 제어부(522)는 표시부(525)를 제어하여 튀김적정온도와 튀김적정시간을 표시하고 기억부(523)에 설정값이 기억되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제1히터(310)를 구동하여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가열한다.
이때 상기 제1히터(310)의 히터용량이 7Kw 히터용량일 때 유조(100) 내의 기름은 설정온도(170도)까지 가열되어 튀김적정온도를 유지하는 최적의 히터용량이 되며, 또한 제어부(522)는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설정온도이상이면 온오프스위치(510)를 차단하고 설정온도 이하이면 온오프스위치(510)를 인가하는 과정이 반복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522)는, 상기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이르게 되면 동시에 상기 제2히터(320)는 대기모드에 진입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조(100) 내에 냉장상태의 튀김물이 과다 투입되어 상기 온도검출센서(400)에 의해 상기 유조(100) 내의 기름의 현재온도가 기 설정된 급강하온도(설정값) 이하로 급강하 된 것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22)의 제어에 따라 즉시 상기 제2히터(320)가 가동되어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를 원래의 설정온도까지 부가 가열하고, 상기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다시 원래의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2히터(320)의 가동은 중단된다.
예를 들면, 튀김물의 튀김 적정온도가 170℃로 설정되고, 급강하온도가 5℃로 설정된 경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522)의 제어에 따라 제1히터(310)가 발열하여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는 설정온도인 170℃로 가열되며, 이때 상기 제어부(522)는,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설정온도인 170℃에 이르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2히터(320)는 대기모드에 진입되어, 상기 온도검출센서(400)에 의해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설정된 급강하온도인 165℃(급강하온도 : 5℃ 설정) 이하로 급강하 된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제어부(522)의 제어에 따라 즉시 상기 제2히터(320)가 부가 가동되어 유조(100) 내의 기름을 부가 가열함으로써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를 원래 설정온도인 170℃에 도달되도록 가열하고,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원래 설정온도인 170℃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2히터(320)의 가동은 중단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에 의하면, 짧은 시간 안에 다량의 튀김물을 튀겨내기 위해 유조 내에 튀김물을 초과 투입하여 유조 내의 기름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급강하하는 경우에도, 즉각적으로 제2히터가 가동되며 유조 내의 기름의 온도를 본래의 설정온도까지 빠르게 상승시키고, 유조 내의 기름의 온도가 본래의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다시 제2히터의 가동을 자동적으로 정지시켜 줌으로써 유조 내의 기름의 온도를 최적의 튀김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튀김물이 바삭한 맛을 가지도록 튀김물을 튀길 수 있게 된다.
이상 비록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인 전기튀김기(1)의 구성과 작용 및 그 탁월한 효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은 항상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하는 것임은 극히 자명한 것이다.
1 전기튀김기
100 유조 110 배유공 120 배유파이프 130 배유밸브 140 배유밸브손잡이
200 유조거치대 210 포스트 220 사각철틀 230 철판 240 도어 250 굽
260 보조함 261 튀김망걸이대 262 보조함도어
263 제1히터결합공 263' 제1히터결합공 264 쎈서결합공
270 선반
300 히터 310 제1히터 320 제2히터
400 온도감지쎈서
500 제어장치
510 온오프스위치
520 제어수단 521 입력부 522 제어부 523 기억부 524 구동부
525 표시부
600 튀김망

Claims (2)

  1. 튀김기름이 수용되는 함체형상의 유조(100); 상기 유조(100)를 거치하기 위한 유조거치대(200); 상기 유조(100)의 기름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300); 상기 유조(10) 내의 기름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센서(400); 온오프스위치(510)와 입력부(521), 제어부(522), 기억부(523), 구동부(524) 및 표시부(525)가 마이컴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수단(520)으로 이루어져 전원의 인가/차단 및 전반적으로 전자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장치(500); 튀김물이 상기 히터(300)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튀김물의 출납이 용이하도록 상기 유조(100) 내에 비고정 방식으로 구비되는 튀김망(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튀김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300)는, 제1히터(310)와 상기 제1히터(310) 발열부의 중앙하부영역에 설치되는 제2히터(320)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22)는, 상기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이르게 되면 동시에 상기 제2히터(320)가 대기모드에 진입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온도검출센서(400)에 의해 상기 유조(100) 내의 기름의 현재온도가 기 설정된 급강하온도 이하로 급강하 된 것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22)의 제어에 따라 즉시 상기 제2히터(320)가 가동되어 유조(100) 내의 기름을 원래의 설정온도까지 부가 가열하고, 유조(100) 내의 기름의 온도가 원래의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2히터(320)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튀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히터(310)의 히터용량은 7Kw이고, 상기 제2히터(320)의 히터용량은 3K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튀김기
KR2020110007569U 2011-08-22 2011-08-22 전기튀김기 KR200468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569U KR200468072Y1 (ko) 2011-08-22 2011-08-22 전기튀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569U KR200468072Y1 (ko) 2011-08-22 2011-08-22 전기튀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388U KR20130001388U (ko) 2013-03-05
KR200468072Y1 true KR200468072Y1 (ko) 2013-07-24

Family

ID=5139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569U KR200468072Y1 (ko) 2011-08-22 2011-08-22 전기튀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07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145Y1 (ko) * 2013-09-12 2015-05-11 김종명 열선 분리형 튀김기
KR102046256B1 (ko) 2018-06-25 2019-11-18 주식회사 그린원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식 튀김장치
KR20200018026A (ko) 2018-08-10 2020-02-19 김은정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방식 다용도 가열장치
KR102439967B1 (ko) 2021-03-26 2022-09-05 주식회사 제이텍 튀김기
KR20230043424A (ko) 2021-09-24 2023-03-31 주식회사 로보테크 침지형 튀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044B1 (ko) 2019-11-27 2021-05-27 윤태연 유조 하부영역의 식용유 냉각 기능을 갖는 전기 튀김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156Y1 (ko) 2004-02-25 2004-05-12 안문국 다단 튀김기.
KR20040058605A (ko) * 2002-12-27 2004-07-05 조남기 멀티프라이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8605A (ko) * 2002-12-27 2004-07-05 조남기 멀티프라이어
KR200350156Y1 (ko) 2004-02-25 2004-05-12 안문국 다단 튀김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145Y1 (ko) * 2013-09-12 2015-05-11 김종명 열선 분리형 튀김기
KR102046256B1 (ko) 2018-06-25 2019-11-18 주식회사 그린원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식 튀김장치
KR20200018026A (ko) 2018-08-10 2020-02-19 김은정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방식 다용도 가열장치
KR102439967B1 (ko) 2021-03-26 2022-09-05 주식회사 제이텍 튀김기
KR20230043424A (ko) 2021-09-24 2023-03-31 주식회사 로보테크 침지형 튀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388U (ko) 201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072Y1 (ko) 전기튀김기
CN104640484B (zh) 真空低温烹饪装置
CN103672988B (zh) 烹饪设备
US9226609B2 (en) Multi-purpose cooking device through heating of a water bath
US6121583A (en) Food warming unit with humidity control
CN108523681A (zh) 加热液体的装置和方法
GB2520768A (en) Tea-steeping appliances
CN105030080A (zh) 烤箱
CN212546678U (zh) 一种多功能炸锅
KR200398917Y1 (ko) 증기 찜 장치
KR200456048Y1 (ko) 전기튀김기
JP2005348990A (ja) 炊飯器
KR20100004317U (ko) 전기튀김기
WO2011096830A1 (en) Deep fryer
KR200456047Y1 (ko) 전기튀김기
KR101955849B1 (ko) 수유식 튀김기
KR101272672B1 (ko) 포트 장착형 정수기
US20040079353A1 (en) Roaster with cover
CN112484385B (zh) 具有煮蛋装置的制冷电器
CN216166856U (zh) 一种防止干烧的蒸包柜
CN209121963U (zh) 一种烤肉用电烤器的电热管安放结构
CN209121962U (zh) 一种烤肉用电烤器
JP6262489B2 (ja) フライヤ
CN210077400U (zh) 一种开水机外壳结构
JP5759694B2 (ja) 店頭での実演販売用食品調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