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809B1 -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809B1
KR101810809B1 KR1020167026168A KR20167026168A KR101810809B1 KR 101810809 B1 KR101810809 B1 KR 101810809B1 KR 1020167026168 A KR1020167026168 A KR 1020167026168A KR 20167026168 A KR20167026168 A KR 20167026168A KR 101810809 B1 KR101810809 B1 KR 101810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valve
heat exchanger
gas
by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1581A (ko
Inventor
코스케 타나카
히로아키 마키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1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7Resuming operation, e.g. after power outages; Emergency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15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recei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6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9Pumping down refrigerant from one part of the cycle to another part of the cycle, e.g. when the cycle is changed from cooling to heating, or before a defrost cycle is sta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3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5Control issues during shut 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9On-of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23Receive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3Pressures of the compressor
    • F25B2700/1931Discharge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3Pressures of the compressor
    • F25B2700/1933Suction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2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at the discharge side of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냉매 회로에 충전하는 냉매량을 증가시키는 일 없이 냉동 능력의 저하를 억제함과 함께, 펌프 다운 운전시에는 알맞게 냉매를 저류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얻는다. 팽창 밸브(7)와 이용측 열교환기(6) 사이의 배관에 마련된 제1 개폐 밸브(11)와, 팽창 밸브(7)와 제1 개폐 밸브(11) 사이의 배관을 분기하고, 압축기(3)의 흡입측의 배관에 접속하는 바이패스 회로(20)와, 바이패스 회로(20)를 유통한 냉매를 저류하는 냉매 저류 수단을 구비하고, 제1 개폐 밸브(11)가 닫힘 상태이고, 압축기(3)를 운전시키는 펌프 다운 운전에서, 열원측 열교환기(9)를 유출한 냉매가 바이패스 회로(20)에 유입하고, 그 냉매가 냉매 저류 수단에 저류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AIR CONDITIONING DEVICE}
본 발명은, 압축기, 열원측 열교환기, 팽창 밸브 및 이용측(利用側) 열교환기가 배관으로 접속되어,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 회로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냉동 장치는, 열원측 유닛과 이용측 유닛과 제어부를 구비한다. 열원측 유닛은, 압축기, 열원측 열교환기, 팽창 밸브, 대경관(大徑管), 액냉매측 폐쇄 밸브 및 가스 냉매측 폐쇄 밸브를 가지며, 이들이 냉매 배관으로 이어진다. 이용측 유닛은, 이용측 열교환기를 가지며, 이용측 열교환기는, 일단이 액냉매 연락 배관을 통하여 액냉매측 폐쇄 밸브와 이어지고, 타단이 가스 냉매 연락 배관을 통하여 가스 냉매측 폐쇄 밸브와 이어진다. 제어부는, 냉매를 열원측 유닛에 모으는 펌프 다운 운전을 실행한다. 이 냉동 장치에서는, 펌프 다운 운전에서, 열원측 열교환기와 액냉매측 폐쇄 밸브와의 사이에 마련한 대경관에, 냉매를 저류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5212537호 공보(청구항 1)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과 같이, 펌프 다운 운전에서의 냉매의 저류를 고려하여, 열원측 열교환기(응축기)의 출구에 대경관을 배치한 경우,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즉, 냉방 운전에 응축기로서 작용하는 열원측 열교환기의 출구에 대경관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펌프 다운 운전시만이 아니라 냉방 운전시에도 대경관에 냉매가 저류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냉매 회로를 순환하는 냉매량이 감소하여 냉동 능력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과제가 있다.
한편, 대경관에 냉매가 저류되는 냉매량을 고려하여 냉매의 충전량을 증가시키면, 이에 수반하여 제조 비용이 증가하여 버린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냉매 회로에 충전하는 냉매량을 많게 하면, 냉매의 누설시에 있어서의 환경에의 영향이 커져 버린다는 과제가 있다. 특히, 미연성(R32, HFO1234yf, HFO1234ze 등) 및 가연성(HC)의 냉매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냉매 회로에 충전할 수 있는 허용 냉매량이 IEC 규격(극제 전기 표준 규격)에 의해 제약되어 있고, 충전 냉매량을 많게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상기한 과제는 현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배경에 이루어진 것으로, 냉매 회로에 충전하는 냉매량을 증가시키는 일 없이 냉동 능력의 저하를 억제함과 함께, 펌프 다운 운전시에는 알맞게 냉매를 저류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는, 압축기, 열원측 열교환기, 팽창 밸브 및 이용측 열교환기가 배관으로 접속되어,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 회로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로서, 상기 팽창 밸브와 상기 이용측 열교환기 사이의 상기 배관에 마련된 제1 개폐 밸브와, 상기 팽창 밸브와 상기 제1 개폐 밸브 사이의 상기 배관, 또는 상기 열원측 열교환기와 상기 팽창 밸브 사이의 상기 배관을 분기하고,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의 상기 배관에 접속하는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바이패스 회로를 유통한 상기 냉매를 저류하는 냉매 저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개폐 밸브가 닫힘 상태이고, 상기 압축기를 운전시키는 펌프 다운 운전에서, 상기 열원측 열교환기를 유출한 상기 냉매가 상기 바이패스 회로에 유입하고, 그 냉매가 상기 냉매 저류 수단에 저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냉매 회로에 충전하는 냉매량을 증가시키는 일 없이 냉동 능력의 저하를 억제함과 함께, 펌프 다운 운전시에는 알맞게 냉매를 저류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의 냉매 회로도.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의 펌프 다운 운전시의 p-h선도.
도 3은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의 냉매 회로도.
도 4는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의 펌프 다운 운전시의 p-h선도.
도 5는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의 냉매 회로도.
도 6은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의 냉방 운전시의 p-h선도.
도 7은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의 냉매 회로도.
도 8은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의 난방 운전시의 p-h선도.
실시의 형태 1.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의 냉매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100)는, 실외기(1)와 실내기(2)를 구비하고, 실외기(1)와 실내기(2)가 액 배관(8) 및 가스 배관(5)으로 접속되어 있다.
실외기(1)는, 압축기(3), 4방 밸브(4), 열원측 열교환기(9), 팽창 밸브(7), 열원측 열교환기(9)에 공기를 송풍하는 열원측 송풍기(91), 공기 조화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40)를 구비하고 있다.
실내기(2)는, 이용측 열교환기(6) 및 이용측 열교환기(6)에 공기를 송풍하는 이용측 송풍기(61)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0)는, 압축기(3), 4방 밸브(4), 열원측 열교환기(9), 팽창 밸브(7), 이용측 열교환기(6)가, 순차적으로 배관으로 접속되어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 회로를 형성한다.
실외기(1)는 또한, 팽창 밸브(7)와 제1 개폐 밸브(11) 사이의 배관을 분기하고, 압축기(3)의 흡입측의 배관에 접속하는 바이패스 회로(20)를 구비하고 있다. 바이패스 회로(20)에는, 제1 바이패스 개폐 밸브(21), 제2 바이패스 개폐 밸브(22), 냉매를 저류하는 용기(30)가 마련되어 있다.
압축기(3)는, 예를 들면 인버터에 의해 회전수가 제어되어 용량 제어되는 타입이다.
팽창 밸브(7)는, 예를 들면 개방도(開度)가 가변으로 제어되는 전자 팽창 밸브이다.
열원측 열교환기(9)는, 열원측 송풍기(91)에 의해 송풍되는 외기와 열교환한다.
이용측 열교환기(6)는, 이용측 송풍기(61)에 의해 송풍되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한다.
제1 바이패스 개폐 밸브(21)는, 바이패스 회로(20)의 냉매의 유입측(팽창 밸브(7)와 제1 개폐 밸브(11) 사이의 배관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2 바이패스 개폐 밸브(22)는, 바이패스 회로(20)의 냉매의 유출측(압축기(3)의 흡입측의 배관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1 바이패스 개폐 밸브(21) 및 제2 바이패스 개폐 밸브(22)는, 바이패스 회로(20)의 냉매의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 밸브이다.
용기(30)는, 냉매를 저류하는 용기이다.
또한, 용기(30)는, 본 발명에서의 「냉매 저류 수단」에 상당한다.
가스 배관(5) 및 액 배관(8)은, 실외기(1)와 실내기(2)를 접속하는 접속 배관이다. 제1 개폐 밸브(11) 및 제2 개폐 밸브(12)는, 각각, 액 배관(8) 및 가스 배관(5)에 접속되어 있다. 액 배관(8)은, 실내기(2)의 이용측 열교환기(6)와 실외기(1)의 제1 개폐 밸브(11)와의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가스 배관(5)은, 실내기(2)의 이용측 열교환기(6)와 실외기(1)의 제2 개폐 밸브(12)와의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제1 개폐 밸브(11), 제2 개폐 밸브(12), 제1 바이패스 개폐 밸브(21) 및 제2 바이패스 개폐 밸브(22)는, 수동으로 개폐하는 수동 밸브라도 좋고, 제어 장치(40)에 의해 개폐의 상태가 제어되는 전자 밸브라도 좋다.
실외기(1)는 또한, 토출 온도 센서(41)와, 토출 압력 센서(51)와, 흡입 압력 센서(52)를 구비하고 있다.
토출 온도 센서(41)는, 압축기(3)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온도를 검출한다.
토출 압력 센서(51)는, 압축기(3)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압력을 검출한다.
흡입 압력 센서(52)는, 압축기(3)에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을 검출한다.
또한, 냉매 회로를 순환하는 냉매의 압력은, 압축기(3)의 흡입측이 가장 낮고, 압축기(3)의 배출측이 가장 높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압축기(3)의 흡입측의 압력을 저압, 압축기(3)의 배출측의 압력을 고압으로 한다.
공기 조화 장치(100)의 냉동 사이클(냉매 회로)에 사용하는 냉매로서, 미연성(R32, HFO1234yf, HFO1234ze 등) 및 가연성(HC)의 냉매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혼합 냉매를 생성시키기 위해 혼합시키는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인 HFO1234yf, 1,3,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펜인 HFO1234ze 등), 디플루오로메탄(HFC32) 등이 사용되지만, 이들로 한하는 것이 아니고, HC290(프로판) 등을 혼합시켜도 좋고, 냉동 사이클(냉매 회로)의 냉매로서 사용할 수 있는 열(熱)성능을 갖는 물질이라면,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좋고, 어떤 혼합비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한 냉매는 상기의 냉매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R410A 등의 냉매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 조화 장치(100)는, 4방 밸브(4)의 전환에 의해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00)는, 실내기(2) 내의 냉매를 실외기(1)에 회수한 펌프 다운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00)는 적어도 냉방 운전 및 펌프 다운 운전이 가능하면 좋다. 따라서, 4방 밸브(4)는 반드시 필수의 구성은 아니고, 생략 가능하다.
다음에, 공기 조화 장치(100)의 냉동 사이클의 운전 동작에 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실선이 냉방시의 흐름을 나타내고, 점선이 난방시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냉방 운전)
우선, 통상 운전에서의 냉방 운전에 관해 설명한다.
냉방 운전시에 있어서, 4방 밸브(4)는 냉방측(실선으로 도시하는 상태)으로 전환된다. 또한, 제1 개폐 밸브(11), 제2 개폐 밸브(12), 제2 바이패스 개폐 밸브(22)는, 열림 상태이다. 제1 바이패스 개폐 밸브(21)는 닫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3)로부터 고압 고온의 가스 냉매가 토출되면, 그 고압 고온의 가스 냉매는, 4방 밸브(4)를 통하여 열원측 열교환기(9)에 유입하고, 실외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방열함으로써 고압 액냉매가 되어 유출한다. 열원측 열교환기(9)로부터 유출한 고압 액냉매는, 팽창 밸브(7)에 유입하고, 저압의 2상(二相) 냉매가 된다.
팽창 밸브(7)를 유출한 저압 2상 냉매는, 액 배관(8)을 통과하여 실내기(2)에 유입하고, 이용측 열교환기(6)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하고, 저압 가스 냉매가 되어 유출한다. 이용측 열교환기(6)를 유출한 저압 가스 냉매는, 가스 배관(5)을 통과하여 실외기(1)에 유입하고, 4방 밸브(4)를 통하여, 압축기(3)로 되돌아온다.
또한, 냉방 운전시, 제1 바이패스 개폐 밸브(21)는 닫힘 상태이기 때문에, 바이패스 회로(20)에 냉매가 유입하는 일은 없다. 또한, 제2 바이패스 개폐 밸브(22)를 열림 상태로 함으로써, 용기(30)의 액봉(液封)을 방지할 수 있다.
(난방 운전)
다음에, 통상 운전에서의 난방 운전에 관해 설명한다.
난방 운전시에 있어서, 4방 밸브(4)는 난방측(점선으로 도시하는 상태)으로 전환된다. 또한, 제1 개폐 밸브(11), 제2 개폐 밸브(12), 제2 바이패스 개폐 밸브(22)는, 열림 상태이다. 제1 바이패스 개폐 밸브(21)는 닫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3)로부터 고압 고온의 가스 냉매가 토출되면, 그 고압 고온의 가스 냉매는, 4방 밸브(4) 및 가스 배관(5)을 통하여 실내기(2)의 이용측 열교환기(6)에 유입하고, 실내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방열함으로써 고압 액냉매가 되어 유출한다. 이용측 열교환기(6)로부터 유출한 고압 액냉매는, 액 배관(8)을 통과하여 팽창 밸브(7)에 유입하고, 저압의 2상 냉매가 된다.
팽창 밸브(7)를 유출한 저압 2상 냉매는, 열원측 열교환기(9)에 유입하고, 실외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증발함으로써 저압 가스 냉매가 되어 유출한다. 열원측 열교환기(9)를 유출한 저압 가스 냉매는, 4방 밸브(4)를 통하여, 압축기(3)로 되돌아온다.
또한, 난방 운전시, 제1 바이패스 개폐 밸브(21)는 닫힘 상태이기 때문에, 바이패스 회로(20)에 냉매가 유입하는 일은 없다. 또한, 제2 바이패스 개폐 밸브(22)를 열림 상태로 함으로써, 용기(30)의 액봉을 방지할 수 있다.
(펌프 다운 운전)
다음에, 펌프 다운 운전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의 펌프 다운 운전시의 p-h선도이다. 도 2의 횡축은 냉매의 비(比)엔탈피를 나타내고, 종축은 압력을 나타낸다. 또한, 도 5 내의 점(a)∼점(c)는, 도 1에 도시하는 위치에서의 냉매 상태를 나타낸다.
펌프 다운 운전시에 있어서, 4방 밸브(4)는 냉방측(실선으로 도시하는 상태)으로 전환된다. 또한, 제2 개폐 밸브(12), 제1 바이패스 개폐 밸브(21)는 열림 상태이다. 제1 개폐 밸브(11), 제2 바이패스 개폐 밸브(22)는, 닫힘 상태이다. 또한, 제어 장치(40)는, 팽창 밸브(7)의 개방도를 전개(全開)로 한다. 또한, 제어 장치(40)는, 열원측 송풍기(91) 및 이용측 송풍기(61)를 운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3)가 기동되면, 저압의 가스 냉매(상태(a))가 압축기(3)에서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상태(b))가 되어 토출된다. 압축기(3)로부터 토출된 고압 고온의 가스 냉매는, 4방 밸브(4)를 통하여 열원측 열교환기(9)에 유입하고, 실외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방열함으로써 고압 액냉매(상태(c))가 되어 유출한다. 열원측 열교환기(9)로부터 유출한 고압 액냉매는, 팽창 밸브(7)를 통과하고, 바이패스 회로(20)에 유입한다.
바이패스 회로(20)에 유입한 고압 액냉매(상태(c))는, 제1 바이패스 개폐 밸브(21)를 통과하여, 용기(30)에 유입한다. 제2 바이패스 개폐 밸브(22)는 닫힘 상태이기 때문에, 바이패스 회로(20)에 유입한 고압 액냉매(상태(c))는, 용기(30) 내에 저류된다.
이용측 열교환기(6), 액 배관(8) 및 가스 배관(5) 내의 냉매는, 압축기(3)의 운전에 의해 흡인되고, 압축기(3)로부터 토출된 후, 상기 동작에 의해, 용기(30) 내에 저류된다.
이와 같은 펌프 다운 운전에 의해, 실내기(2) 내의 냉매가 실외기(1)측으로 회수된다. 펌프 다운 운전의 후에, 제2 개폐 밸브(12)가 닫혀지고, 예를 들면 실내기(2)의 분리 등이 행하여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펌프 다운 운전시에, 열원측 열교환기(9)를 유출한 냉매를 바이패스 회로(20)에 유입시키고, 이 냉매를 용기(30)에 저류시킨다.
이 때문에, 펌프 다운 운전시에는 알맞게 냉매를 실외기(1)에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열원측 열교환기(9)(응축기)의 출구측에 대경관 등의 저류 용기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냉매 회로에 충전하는 냉매량을 증가시키는 일 없이 냉동 능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매 회로에 충전하는 냉매량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고, 냉매의 누설시에 있어서의 환경에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변형례)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바이패스 회로(20)는, 팽창 밸브(7)와 제1 개폐 밸브(11) 사이의 배관을 분기하고, 압축기(3)의 흡입측의 배관에 접속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열원측 열교환기(9)와 팽창 밸브(7) 사이의 배관을 분기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실시의 형태 1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의 냉매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는, 압축기(3)의 흡입측에, 잉여 냉매를 모으는 어큐뮬레이터(10)가 마련되어 있다. 바이패스 회로(20)는, 어큐뮬레이터(10)의 흡입측의 배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바이패스 회로(20)에는,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제1 바이패스 개폐 밸브(21), 제2 바이패스 개폐 밸브(22) 및 용기(30)를 마련하지 않는다.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는, 바이패스 회로(20)의 유로를 개폐함과 함께, 통과하는 냉매를 팽창(감압)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의 하류측(어큐뮬레이터(10)측)에서의 바이패스 회로(20)의 배관경(配管徑)을 상류측보다도 가늘게 한 것으로,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킨다. 또한,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로서, 개방도가 가변으로 제어되는 전자 팽창 밸브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2방밸브와 캐피럴리 튜브를 직렬로 접속하여도 좋다. 즉, 바이패스 회로(20)에서 냉매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고, 통과한 냉매를 팽창(감압)시키는 구성이라면, 임의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는, 본 발명에서의 「제2 팽창 밸브」에 상당한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공기 조화 장치(100)의 운전 동작에 관해, 실시의 형태 1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냉방 운전, 난방 운전)
냉방 운전시 및 난방 운전에서,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는 닫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 냉방 운전, 난방 운전이 행하여진다.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는 닫힘 상태이기 때문에, 바이패스 회로(20)에 냉매가 유입하는 일은 없다.
또한, 증발기로부터 습한 가스 냉매(2상 냉매)가 유출된 경우, 어큐뮬레이터(10)에 의해, 가스 냉매와 액상 냉매로 분리되어, 가스 냉매가 압축기(3)에 흡입된다.
(펌프 다운 운전)
다음에, 펌프 다운 운전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의 펌프 다운 운전시의 p-h선도이다. 도 4의 횡축은 냉매의 비엔탈피를 나타내고, 종축은 압력을 나타낸다. 또한, 도 4 내의 점(a)∼점(e)은, 도 3에 도시하는 위치에서의 냉매 상태를 나타낸다.
펌프 다운 운전시에 있어서, 4방 밸브(4)는 냉방측(실선으로 도시하는 상태)으로 전환된다. 또한, 제2 개폐 밸브(12),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는 열림 상태이다. 제1 개폐 밸브(11)는, 닫힘 상태이다. 또한, 제어 장치(40)는, 팽창 밸브(7)의 개방도를 전개로 한다. 또한, 제어 장치(40)는, 열원측 송풍기(91) 및 이용측 송풍기(61)를 운전시킨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열원측 송풍기(91)를 정지 또는 송풍량을 저하시켜, 열원측 열교환기(9)의 열교환량을 적게 하여도 좋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3)가 기동되면, 저압의 가스 냉매(상태(a))가 압축기(3)에서 압축되고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상태(b))가 되어 토출된다. 압축기(3)로부터 토출된 고압 고온의 가스 냉매는, 4방 밸브(4)를 통하여 열원측 열교환기(9)에 유입하고, 실외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방열함으로써 고압 2상 냉매(상태(c))가 되어 유출한다. 열원측 열교환기(9)로부터 유출한 고압 2상 냉매는, 팽창 밸브(7)를 통과하여, 바이패스 회로(20)에 유입한다.
바이패스 회로(20)에 유입한 고압 액냉매(상태(c))는,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를 통과할 때에 팽창(감압)되어, 저압의 2상 냉매(상태(d))가 된다. 이 저압의 2상 냉매는, 바이패스 회로(20)로부터 어큐뮬레이터(10)에 유입하고, 가스 냉매(상태(a))와 액냉매(상태(e))로 분리된다. 어큐뮬레이터(10) 내의 가스 냉매는, 압축기(3)에 흡입된다. 한편, 액냉매는 어큐뮬레이터(10) 내에 저류된다.
이용측 열교환기(6), 액 배관(8) 및 가스 배관(5) 내의 냉매는, 압축기(3)의 운전에 의해 흡인되어, 어큐뮬레이터(10)에 유입하고, 가스 냉매와 액냉매로 분리되어, 액냉매가 어큐뮬레이터(10)에 저류된다.
이와 같은 펌프 다운 운전에 의해, 실내기(2) 내의 냉매가 실외기(1)측으로 회수된다. 펌프 다운 운전의 후에, 제2 개폐 밸브(12)가 닫혀져, 예를 들면 실내기(2)의 분리 등이 행하여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바이패스 회로(20)에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를 마련하고, 바이패스 회로(20)에 유입한 냉매를 팽창(감압)하고, 이 냉매를 어큐뮬레이터(10)에 저류시킨다.
이 때문에, 상기 실시의 형태 1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가 있다. 즉, 어큐뮬레이터(10)에 저류되는 냉매는, 팽창(감압)된 저압의 액냉매(도 4의 TACC 참조)이다. 이 때문에, 고압의 냉매(도 4의 TC 참조)를 저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냉매의 온도가 낮아져서, 냉매 밀도를 크게할 수 있다. 따라서, 펌프 다운 운전에서의 냉매를 저류하는 냉매 저류 수단(어큐뮬레이터(10))의 용량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변형례)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바이패스 회로(20)는, 팽창 밸브(7)와 제1 개폐 밸브(11) 사이의 배관을 분기하고, 압축기(3)의 흡입측의 배관에 접속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열원측 열교환기(9)와 팽창 밸브(7) 사이의 배관을 분기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본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실시의 형태 2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실시의 형태 2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의 냉매 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는, 상기 실시의 형태 2의 구성에 더하여, 기액 분리기(32)를 또한 구비하고 있다.
기액 분리기(32)는, 팽창 밸브(7)와 제1 개폐 밸브(11) 사이의 배관에 마련되어 있다. 기액 분리기(32)는, 유입한 냉매를, 가스 냉매와 액상 냉매로 분리한다.
바이패스 회로(20)는, 기액 분리기(32)의 가스측의 접속구와 압축기(3)의 흡입측의 배관을 접속한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 3에서의 공기 조화 장치(100)의 운전 동작에 관해, 실시의 형태 2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냉방 운전)
도 6은,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의 냉방 운전시의 p-h선도이다. 도 6의 횡축은 냉매의 비(比)엔탈피를 나타내고, 종축은 압력을 나타낸다. 또한, 도 6 내의 점(a)∼점(f)은, 도 5에 도시하는 위치에서의 냉매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시의 사정상, 도 6의 상태(e)와 상태(a)에 압력차를 생기게 하도록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냉매 유로에서의 압력 손실에 의한 저하 정도이다.
냉방 운전시에 있어서, 4방 밸브(4)는 냉방측(실선으로 도시하는 상태)으로 전환된다. 또한, 제1 개폐 밸브(11), 제2 개폐 밸브(12),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는, 열림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3)가 기동되면, 저압의 가스 냉매(상태(a))가 압축기(3)에서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상태(b))가 되어 토출된다. 압축기(3)로부터 토출된 고압 고온의 가스 냉매는, 4방 밸브(4)를 통하여 열원측 열교환기(9)에 유입하고, 실외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방열함으로써 고압 액냉매(상태(c))가 되어 유출한다. 열원측 열교환기(9)로부터 유출한 고압 액냉매는, 팽창 밸브(7)에 유입하고, 저압의 2상 냉매(상태(d))가 된다.
팽창 밸브(7)를 유출한 저압 2상 냉매는, 기액 분리기(32)에 유입하고, 가스 냉매(상태(f))와 액냉매(상태(e))로 분리된다. 기액 분리기(32)로부터 바이패스 회로(20)에 유입한 가스 냉매는,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를 통과하여 어큐뮬레이터(10)에 유입한다.
한편, 기액 분리기(32)에 의해 분리된 액냉매(상태(e))는, 액 배관(8)을 통과하여 실내기(2)에 유입하고, 이용측 열교환기(6)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하고, 저압 가스 냉매가 되어 유출한다. 이용측 열교환기(6)를 유출한 저압 가스 냉매는, 가스 배관(5)을 통과하여 실외기(1)에 유입하고, 4방 밸브(4), 어큐뮬레이터(10)를 통하여, 압축기(3)로 되돌아온다.
(난방 운전)
난방 운전에서,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는 닫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실시의 형태 2와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 난방 운전이 행하여진다.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는 닫힘 상태이기 때문에, 바이패스 회로(20)에 냉매가 유입하는 일은 없다.
(펌프 다운 운전)
펌프 다운 운전시에 있어서,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는 열림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실시의 형태 2와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 펌프 다운 운전이 행하여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 3에서는, 냉방 운전에서, 기액 분리기(32)에서 분리된 가스 상태의 냉매가, 바이패스 회로(20)에 유입한다.
이 때문에, 상기 실시의 형태 1, 2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가 있다. 즉, 냉방 운전시에 있어서, 기액 분리기(32)에서 분리한 가스 냉매를 바이패스 회로(20)에 유입시키기 때문에, 증발기로서 작용하는 이용측 열교환기(6)에 유입하는 냉매의 건조도가 저하되어, 냉매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에의 기여가 작은 가스 냉매를 바이패스함으로써, 냉동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냉방 운전시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변형례)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실시의 형태 2의 구성에 더하여, 기액 분리기(32)를 구비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실시의 형태 1의 구성에 더하여 기액 분리기(32)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냉방 운전시에, 제1 바이패스 개폐 밸브(21) 및 제2 바이패스 개폐 밸브(22)를 열림 상태로 함으로써, 기액 분리기(32)에 의해 분리된 저압의 가스 냉매를, 용기(30)를 통과시켜, 압축기(3)의 흡입측에 합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본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실시의 형태 2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실시의 형태 2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의 냉매 회로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는, 상기 실시의 형태 2의 구성에 더하여, 기액 분리기(32)를 또한 구비하고 있다.
기액 분리기(32)는, 열원측 열교환기(9)와 팽창 밸브(7) 사이의 배관에 마련되어 있다. 기액 분리기(32)는, 유입한 냉매를, 가스 냉매와 액상 냉매로 분리한다.
바이패스 회로(20)는, 기액 분리기(32)의 가스측의 접속구와 압축기(3)의 흡입측의 배관을 접속한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 3에서의 공기 조화 장치(100)의 운전 동작에 관해, 실시의 형태 2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냉방 운전)
냉방 운전에서,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는 닫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실시의 형태 2와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 냉방 운전이 행하여진다.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는 닫힘 상태이기 때문에, 바이패스 회로(20)에 냉매가 유입하는 일은 없다.
(난방 운전)
도 8은,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00)의 난방 운전시의 p-h선도이다. 도 8의 횡축은 냉매의 비엔탈피를 나타내고, 종축은 압력을 나타낸다. 또한, 도 8 내의 점(a)∼점(f)은, 도 7에 도시하는 위치에서의 냉매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시의 사정상, 도 8의 상태(c)와 상태(a)에 압력차를 생기게 하도록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냉매 유로에서의 압력 손실에 의한 저하 정도이다.
난방 운전시에 있어서, 4방 밸브(4)는 난방측(점선으로 도시하는 상태)으로 전환된다. 또한, 제1 개폐 밸브(11), 제2 개폐 밸브(12),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는, 열림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3)가 기동되면, 저압의 가스 냉매(상태(a))가 압축기(3)에서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상태(b))가 되어 토출된다. 압축기(3)로부터 토출된 고압 고온의 가스 냉매는, 4방 밸브(4) 및 가스 배관(5)을 통하여 실내기(2)의 이용측 열교환기(6)에 유입하고, 실내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방열함으로써 고압 액냉매(상태(e))가 되어 유출한다. 이용측 열교환기(6)로부터 유출한 고압 액냉매는, 액 배관(8)을 통과하여 팽창 밸브(7)에 유입하고, 저압의 2상 냉매(상태(d))가 된다.
팽창 밸브(7)를 유출한 저압 2상 냉매는, 기액 분리기(32)에 유입하고, 가스 냉매(상태(f))와 액냉매(상태(c))에 분리된다. 기액 분리기(32)로부터 바이패스 회로(20)에 유입한 가스 냉매는,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를 통과하여 어큐뮬레이터(10)에 유입한다.
한편, 기액 분리기(32)에 의해 분리된 액냉매(상태(c))는, 열원측 열교환기(9)에 유입하고, 실외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증발함으로써 저압 가스 냉매(상태(f))가 되어 유출한다. 열원측 열교환기(9)를 유출한 저압 가스 냉매는, 4방 밸브(4)를 통하여, 압축기(3)로 되돌아온다.
(펌프 다운 운전)
펌프 다운 운전시에 있어서,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23)는 열림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실시의 형태 2와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 펌프 다운 운전이 행하여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 4에서는, 난방 운전에서, 기액 분리기(32)에서 분리된 가스 상태의 냉매가, 바이패스 회로(20)에 유입한다.
이 때문에, 상기 실시의 형태 1, 2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가 있다. 즉, 난방 운전시에 있어서, 기액 분리기(32)에서 분리한 가스 냉매를 바이패스 회로(20)에 유입시키기 때문에, 증발기로서 작용하는 열원측 열교환기(9)에 유입하는 냉매의 건조도가 저하되고, 냉매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에의 기여가 작은 가스 냉매를 바이패스함으로써, 냉동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난방 운전시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변형례)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실시의 형태 2의 구성에 더하여, 기액 분리기(32)를 구비한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실시의 형태 1의 구성에 더하여 기액 분리기(32)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난방 운전시에, 제1 바이패스 개폐 밸브(21) 및 제2 바이패스 개폐 밸브(22)를 열림 상태로 함으로써, 기액 분리기(32)에 의해 분리된 저압의 가스 냉매를, 용기(30)를 통과시켜, 압축기(3)의 흡입측에 합류시킬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 실외기 2 : 실내기
3 : 압축기 4 : 4방 밸브
5 : 가스 배관 6 : 이용측 열교환기
7 : 팽창 밸브 8 : 액 배관
9 : 열원측 열교환기 10 : 어큐뮬레이터
11 : 제1 개폐 밸브 12 : 제2 개폐 밸브
20 : 바이패스 회로 21 : 제1 바이패스 개폐 밸브
22 : 제2 바이패스 개폐 밸브 23 : 제3 바이패스 개폐 밸브
30 : 용기 32 : 기액 분리기
40 : 제어 장치 41 : 토출 온도 센서
51 : 토출 압력 센서의 52 : 흡입 압력 센서
61 : 이용측 송풍기 91 : 열원측 송풍기
100 : 공기 조화 장치

Claims (5)

  1. 압축기, 열원측 열교환기, 팽창 밸브, 및 이용측 열교환기가 배관으로 접속되어,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 회로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로서,
    상기 팽창 밸브와 상기 이용측 열교환기와의 사이의 상기 배관에 마련된 제1 개폐 밸브와,
    상기 팽창 밸브와 상기 제1 개폐 밸브와의 사이의 상기 배관, 또는 상기 열원측 열교환기와 상기 팽창 밸브와의 사이의 상기 배관을 분기하고,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의 상기 배관에 접속하는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바이패스 회로의 상기 냉매의 유입측에 마련된 제1 바이패스 개폐 밸브와,
    상기 바이패스 회로를 유통한 상기 냉매를 저류하는 냉매 저류 수단과,
    상기 바이패스 회로의 상기 냉매의 유출측에 마련된 제2 바이패스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냉매 저류 수단은, 상기 냉매를 저류하는 용기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1 바이패스 개폐 밸브와 상기 제2 바이패스 개폐 밸브와의 사이의 상기 바이패스 회로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개폐 밸브가 닫힘 상태, 상기 제1 바이패스 개폐 밸브가 열림 상태, 및 상기 제2 바이패스 개폐 밸브가 닫힘 상태이고, 상기 압축기를 운전시키는 펌프 다운 운전에 있어서,
    상기 열원측 열교환기를 유출한 상기 냉매가 상기 바이패스 회로에 유입하고, 상기 바이패스 회로에 유입한 상기 냉매가 상기 냉매 저류 수단에 저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밸브와 상기 제1 개폐 밸브와의 사이의 상기 배관에 마련된 기액 분리기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바이패스 회로는, 상기 기액 분리기의 가스측과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의 상기 배관을 접속하고,
    상기 열원측 열교환기가 응축기로서 작용하고, 상기 이용측 열교환기가 증발기로서 작용하는 냉방 운전에서,
    상기 기액 분리기에서 분리된 가스 상태의 상기 냉매가, 상기 바이패스 회로에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측 열교환기와 상기 팽창 밸브와의 사이의 상기 배관에 마련된 기액 분리기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바이패스회 로는, 상기 기액 분리기의 가스측과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의 상기 배관을 접속하고,
    상기 열원측 열교환기가 증발기로서 작용하고, 상기 이용측 열교환기가 응축기로서 작용하는 난방 운전에 있어서,
    상기 기액 분리기에서 분리된 가스 상태의 상기 냉매가, 상기 바이패스 회로에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67026168A 2014-03-07 2014-03-07 공기 조화 장치 KR101810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55982 WO2015132959A1 (ja) 2014-03-07 2014-03-07 空気調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581A KR20160121581A (ko) 2016-10-19
KR101810809B1 true KR101810809B1 (ko) 2017-12-19

Family

ID=5405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168A KR101810809B1 (ko) 2014-03-07 2014-03-07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70010030A1 (ko)
EP (1) EP3115714B1 (ko)
JP (1) JP5797354B1 (ko)
KR (1) KR101810809B1 (ko)
CN (1) CN106062490A (ko)
AU (1) AU2014385084B2 (ko)
WO (1) WO20151329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4604B (zh) * 2014-03-17 2019-01-22 三菱电机株式会社 空气调节装置
JP6081033B1 (ja) * 2016-05-24 2017-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6636151B2 (ja) * 2016-06-30 2020-01-2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EP3543624B1 (en) * 2016-11-21 2020-08-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er
EP3584521A4 (en) * 2017-02-14 2020-12-30 Daikin Industries, Ltd. REFRIGERATION DEVICE
WO2018167820A1 (ja) * 2017-03-13 2018-09-20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JP6935720B2 (ja) * 2017-10-12 2021-09-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DE102017128702A1 (de) 2017-12-04 2019-06-06 Vaillant Gmbh Sicherheitsbehälter für Arbeitsfluid
US11441827B2 (en) 2018-02-27 2022-09-13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nt lea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DE102018127205A1 (de) 2018-10-31 2020-04-30 Vaillant Gmbh Sicherheitszone im Kondensator
DE102018127232A1 (de) 2018-10-31 2020-04-30 Vaillant Gmbh Segmentierung des Fluidumlaufs
DE102018129131A1 (de) 2018-11-20 2020-06-04 Vaillant Gmbh Arbeitsfluid-Management
CN110411082B (zh) * 2019-07-23 2020-10-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冷媒回收系统及其控制方法、装置、控制器和空调系统
JP6849036B1 (ja) * 2019-09-30 2021-03-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源ユニットおよび冷凍装置
JP6881538B2 (ja) * 2019-09-30 2021-06-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EP3816542A1 (en) * 2019-10-29 2021-05-05 Daikin Industries, Ltd. Refrigerant system
EP3913303B1 (en) 2020-05-20 2022-11-02 Daikin Industries, Ltd. Heat pump system a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EP3913302B1 (en) 2020-05-20 2022-11-23 Daikin Industries, Ltd. Heat pump system a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CN112197455B (zh) * 2020-10-16 2024-04-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可回收冷媒的空调机组及其控制方法
JP2022115492A (ja) * 2021-01-28 2022-08-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WO2023199511A1 (ja) * 2022-04-15 2023-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7018B2 (ja) 1992-07-16 2002-05-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ヒータの交換方法
JP3719246B2 (ja) 2003-01-10 2005-11-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及び冷凍装置の冷媒量検出方法
JP2011122767A (ja) 2009-12-10 2011-06-23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冷媒量検出方法
JP2013113498A (ja) * 2011-11-29 2013-06-10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JP2013122364A (ja) * 2011-11-07 2013-06-20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空調装置及び冷凍空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7933A (en) * 1991-06-27 1992-10-27 Carrier Corporation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having means for achieving and maintaining increased heating capacity
JPH05248717A (ja) * 1992-03-05 1993-09-24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ポンプダウン運転方法
KR0159238B1 (ko) 1996-03-28 1999-01-15 구자홍 에어컨의 어큐물레이터를 이용한 2단팽창냉동장치
JP2002081767A (ja) * 2000-09-07 2002-03-22 Hitachi Ltd 空気調和装置
JP2003028542A (ja) * 2001-07-16 2003-01-29 Daikin Ind Ltd 冷凍装置
JP3984257B2 (ja) * 2004-10-28 2007-10-03 三星電子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7228696B2 (en) * 2005-06-27 2007-06-12 Geofurnace Development Inc. Hybrid heating and cooling system
EP2478099B1 (en) * 2009-09-18 2019-06-05 Chase Pharmaceuticals Corporation Combination for treating alzheimer-type dementia
KR101201567B1 (ko) * 2010-09-27 2012-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JP2012077983A (ja) 2010-09-30 2012-04-19 Daikin Industries Ltd 冷凍回路
KR101369568B1 (ko) * 2011-09-09 2014-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5212537B1 (ja) * 2011-12-13 2013-06-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US9062903B2 (en) * 2012-01-09 2015-06-23 Thermo King Corporation Economizer combined with a heat of compression system
JP5617860B2 (ja) * 2012-03-28 2014-11-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5932971B2 (ja) 2012-03-30 2016-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7018B2 (ja) 1992-07-16 2002-05-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ヒータの交換方法
JP3719246B2 (ja) 2003-01-10 2005-11-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及び冷凍装置の冷媒量検出方法
JP2011122767A (ja) 2009-12-10 2011-06-23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冷媒量検出方法
JP2013122364A (ja) * 2011-11-07 2013-06-20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空調装置及び冷凍空調システム
JP2013113498A (ja) * 2011-11-29 2013-06-10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5714A4 (en) 2017-11-08
AU2014385084B2 (en) 2017-08-03
US20170010030A1 (en) 2017-01-12
CN106062490A (zh) 2016-10-26
US20190212044A1 (en) 2019-07-11
EP3115714A1 (en) 2017-01-11
KR20160121581A (ko) 2016-10-19
US10655900B2 (en) 2020-05-19
WO2015132959A1 (ja) 2015-09-11
AU2014385084A1 (en) 2016-09-29
EP3115714B1 (en) 2018-11-28
JPWO2015132959A1 (ja) 2017-03-30
JP5797354B1 (ja)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809B1 (ko) 공기 조화 장치
US10451306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US9709304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US10415861B2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US9523520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JP5992089B2 (ja) 空気調和装置
JP6266089B2 (ja) 空気調和装置
JP5992088B2 (ja) 空気調和装置
JPWO2014192140A1 (ja) 空気調和装置
KR101901540B1 (ko) 공기 조화 장치
WO2014141373A1 (ja) 空気調和装置
JPWO2014054120A1 (ja) 空気調和装置
JP6017048B2 (ja) 空気調和装置
WO2015132967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6017049B2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