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808B1 - 센서 디바이스 및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센서 디바이스 및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808B1
KR101810808B1 KR1020167022395A KR20167022395A KR101810808B1 KR 101810808 B1 KR101810808 B1 KR 101810808B1 KR 1020167022395 A KR1020167022395 A KR 1020167022395A KR 20167022395 A KR20167022395 A KR 20167022395A KR 101810808 B1 KR101810808 B1 KR 101810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drive sleeve
profile
drive
sens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0480A (ko
Inventor
크리스티안 슈타알
미카엘 블레싱
Original Assignee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10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16D65/56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 F16D65/567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for mounting on a disc brake
    • F16D65/568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for mounting on a disc brake for synchronous adjustment of actuator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5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pivo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16D65/183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with force-transmitting members arranged side by side acting on a spot type force-apply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66/02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 F16D66/021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using electrical detection or indication means
    • F16D66/026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using electrical detection or indication means indicating different degrees of lining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4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22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transversely to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26Cr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0Cables or chains, e.g. Bowden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4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특히 차량을 위한 디스크 브레이크(1)의 브레이크 라이닝(3)과 브레이크 디스크(2)의 마모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디바이스는 센서 장치(14)와 전달 유닛(16)을 포함하고, 이 경우 센서 장치(14)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듀서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듀서에 결합된 센서 트랜스미션(14b)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트랜스미션은 트랜스미션 입력부를 포함하고, 이 경우 전달 유닛(16)은 트랜스미션 입력부에 결합되고, 검출할 마모에 관련된 회전 운동의 전달을 위해 관련될 디스크 브레이크(1)의 나사산 스핀들(6')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전달 유닛(16)은 나사산 스핀들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을 위한 구동 슬리브(17), 구동 슬리브(17)에 결합된 출력 슬리브(18),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재(19) 및 출력 슬리브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며 트랜스미션 입력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을 위한 종동부(20)를 포함한다. 디스크 브레이크(1)는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센서 디바이스 및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SENSOR DEVICE AND DISK BRAKE HAVING A SENSOR DEVICE}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특히 차량을 위한 디스크 브레이크의 센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센서 디바이스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라이닝과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모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여러 다양한 방법들이 공개되어 있다. 간행물 DE 4212387 B4호는 설명을 위해 예들을 언급한다. 상기 간행물은 압축 공기 작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검출기를 기술한다.
센서 디바이스는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상태와 작동 행정을 검출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크 브레이크들은 일반적으로 압축 공기 작동식이고, 자동으로 작용하는 기계적 마모 조정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마모 조정 장치는 매우 신뢰적으로 작용하고, 너무 커지는 에어 갭을 축소한다. 상기 장치의 다양한 구현들, 예를 들어 마찰점을 자동 조절하는 기계적 조정기가 공개되어 있다. 이 경우 브레이크 작동 시마다 조절 장치는 예를 들어 디스크 브레이크의 체결 장치의 작동 부재에 의해 활성화된다. 브레이크 라이닝과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모 시 라이닝의 자동 조정은 마모 조정 장치를 이용해서, 예를 들어 위치 가변적인 나사산 스핀들의 조절 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간행물 DE 10 2004 037 771 A1호는 조정 장치의 예를 기술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볼 램프(ball ramp)를 포함하는 회전 모멘트 제한 장치의 구동 회전 운동은 연속해서 작용하는 클러치(슬립 클러치)에 의해 나사산 스핀들에 전달된다.
부품 개수 및 비용 절감의 요구가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개선된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상응하는 필요성이 생기고, 이 경우 동시에 품질과 유용성을 유지하는 것만이 아니라 다양한 이용 조건에서 상이하며 더 큰 공차에도 불구하고 높은 정확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개선된 센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과제는 개선된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해결된다.
또한 상기 과제는 청구범위 제 24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의해 해결된다.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라이닝과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모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이 경우 구동 슬리브, 출력 슬리브, 스프링 부재 및 종동부를 포함하는 전달 유닛이 제공된다. 전달 유닛은 선행기술에 비해 증가한 정확도로 센서 디바이스로 검출될 마모의 크기의 전달을 제공한다.
특히 차량을 위한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라이닝과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모를 검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디바이스는 센서 장치와 전달 유닛을 포함하고, 이 경우 센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듀서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듀서에 결합된 센서 트랜스미션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트랜스미션은 트랜스미션 입력부를 포함하며, 이 경우 전달 유닛은 트랜스미션 입력부에 결합되고, 검출할 마모에 관련된 회전 운동의 전달을 위해 관련될 디스크 브레이크의 나사산 스핀들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전달 유닛은 나사산 스핀들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을 위한 구동 슬리브, 구동 슬리브에 결합된 출력 슬리브,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재 및 출력 슬리브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며 트랜스미션 입력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종동부를 포함한다.
특히 차량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는 각각의 나사산 스핀들을 가진 적어도 2개의 스핀들 유닛, 스프래딩 메커니즘, 바람직하게는 나사산 스핀들이 돌려 넣어지는 브리지와 함께 작용하는 브레이크 회전 레버를 가진 체결 장치 및, 바람직하게 나사산 스핀들에 연결되어 상기 나사산 스핀들 둘레에 배치되며 스프래딩 메커니즘, 바람직하게 브레이크 회전 레버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조정 수단을 포함하고 동기 유닛을 가진 마모 조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 유닛은 동기휠들 및 동기휠들을 결합하는 동기 수단을 포함하고, 이 경우 각각의 나사산 스핀들은 동기휠들 중 각각 하나의 동기휠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전달 유닛의 구동 슬리브의 단부는 상기 나사산 스핀들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동기휠에 의해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부품에 의해 간접적으로 나사산 스핀들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나사산 스핀들에 구동 슬리브의 상대 회전 불가능한 결합은 직접 형성될 수 있다. 결합은 또한 간접적으로 하나 이상의 중간 부품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전달 유닛의 구동 슬리브는 이 경우 나사산 스핀들 위로 슬라이딩하여 동기휠에 결합된다. 나사산 스핀들의 회전 운동은 구동 슬리브에, 상기 구동 슬리브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출력 슬리브에 그리고 상기 출력 슬리브로부터 종동부에 의해 센서 장치에 유격 없이 전달된다. 전달 유닛은, 나사산 스핀들(들)의 다양한 운동과 브레이크의 작동 시 브리지의 틸팅을 간단하게 보상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 출력 슬리브는 구동 슬리브 상에서 상기 구동 슬리브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 슬리브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구동 슬리브의 회전은 스핀들의 회전에 의해 출력 슬리브에 전달될 수 있고, 이 경우 동시에 구동 슬리브에 대한 출력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슬리브는 중공 실린더형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외부면에 외부 프로파일이 배치되고, 상기 외부 프로파일은 상기 외부 프로파일에 상응하는 출력 샤프트의 내부 프로파일에 결합을 위한 샤프트-허브 연결부의 맞물림부로서 제공된다. 구동 슬리브의 외부 프로파일과 출력 샤프트의 내부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노치 맞물림부, 톱니 샤프트 맞물림부, 스플라인 샤프트 맞물림부 또는 다각형 프로파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파일은 일반적인 샤프트-허브 연결부이고, 작은 유격을 갖는다.
또한, 구동 슬리브의 단부 섹션은 나사산 스핀들에 대한 직접 결합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부품에 의한 간접 결합을 위해 구동 프로파일을 가진 구동 섹션을 포함하고, 이 경우 구동 프로파일은 샤프트-허브 연결부의 맞물림부로서 형성되고, 단부 섹션의 해당 단부에서 플랜지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구동 프로파일은 또한 외부 프로파일이고, 예를 들어 노치 맞물림부, 톱니 샤프트 맞물림부, 스플라인 샤프트 맞물림부 또는 다각형 프로파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는, 그것에 의해 예를 들어 내부 홈에 구동 슬리브의 축방향 고정이 가능해지는 장점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섹션은 숄더에 의해 구동 슬리브의 바디에 연결되고, 바디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따라서 간단한 조립이 가능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슬리브의 숄더와 출력 슬리브의 림(rim)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재가 배치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재는 구동 슬리브의 단부면과 출력 슬리브의 림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간단하게, 출력 슬리브에 항상 예비 응력이 작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예비 응력은 출력 슬리브를 종동부와 함께 항상 센서 장치의 트랜스미션 입력부 내로 가압한다.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재는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또는 다수의 스프링 부재들의 조합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슬리브로부터 떨어져 있는 출력 슬리브의 단부는 베이스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베이스는 개구 프로파일을 갖는 개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개구 프로파일도 샤프트-허브 연결부, 예를 들어 노치 맞물림부일 수 있다. 따라서 종동부에 간단한 결합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종동부는 입력 섹션과 출력 섹션에 연결된 바디를 포함하고, 이 경우 입력 섹션은 출력 슬리브의 개구 프로파일에의 결합을 위해 외부 프로파일을 갖고, 상기 외부 프로파일은 개구 프로파일에 상응하고, 이 경우 출력 섹션은 센서 장치의 트랜스미션 입력부에의 결합을 위해 외부 프로파일을 갖고, 상기 외부 프로파일은 트랜스미션 입력부의 내부 프로파일에 상응한다. 종동부는 전달 유닛의 조립 시 이와 같이 간단하게 출력 슬리브와 트랜스미션 입력부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종동부는 그 바디의 특수한 형성 시 센서 장치의 하우징처럼 브레이크 캘리퍼 내에 고정 배치된 트랜스미션 입력부의 센서축과 출력 슬리브의 중심축 사이의 축 오프셋을 보상할 수 있다. 축 오프셋의 기능은 출력 슬리브 및/또는 센서 트랜스미션에 통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슬리브는 나사산 스핀들에의 결합을 위해 제공된 단부에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갖고, 상기 슬롯은 구동 슬리브의 바디 내에 리세스로서 성형된다.
대안으로서 구동 슬리브는 나사산 스핀들에 결합을 위해 제공된 단부에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슬롯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슬롯들은 구동 슬리브의 바디 내에 리세스로서 성형되고, 그 사이에 2개의 지지 섹션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바람직하게, 나사산 스핀들에 직접 또는 간접적인 결합을 위해 제공된 구동 슬리브의 단부 영역은, 조립 시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간단하게 압축될 수 있다.
구동 슬리브와 출력 슬리브가 탄성 및 연성 물질로 제조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전달 유닛의 슬리브는 구동 슬리브 내로 회전 도입부와 트랜스미션 입력부 사이의 카르단 연결부처럼 작용할 수 있다.
디스크 브레이크의 동기휠은 링형 전달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 섹션은 그 내벽에 배치된 출력 프로파일을 갖고, 상기 출력 프로파일은 전달 유닛의 구동 슬리브의 단부의 구동 프로파일에 상응하며 결합한다. 이로 인해 트랜스미션 스핀들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동기휠에 의한 구동 슬리브의 간접적인 결합이 가능하다. 나사산 스핀들은 따라서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동기휠만이 전달 유닛과의 상기 결합을 위해 조정된다.
동기휠의 출력 프로파일과 구동 슬리브의 구동 프로파일은 노치 맞물림부, 톱니 샤프트 맞물림부, 스플라인 샤프트 맞물림부 또는 다각형 프로파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달 섹션 내에, 출력 프로파일 후방의 라이닝측 상기 섹션의 내부 단부에 전달 유닛의 구동 슬리브의 플랜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홈이 성형되고, 이 경우 내부 홈의 내경은 전달 섹션의 내경보다 크다. 플랜지를 갖는 압축된 단부 영역은 따라서 간단하게 동기휠의 전달 섹션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이 경우 릴리스 시 플랜지는 내부 홈에 수용되고, 동기휠 내에서 구동 슬리브의 축방향 고정을 형성한다. 동시에 동기휠의 출력 프로파일과 구동 슬리브의 구동 프로파일이 결합하고, 이로써 구동 슬리브는 동기휠에 의해 나사산 스핀들에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홈은 구동 슬리브의 플랜지보다 큰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이로써, 구동 슬리브의 중심축 및 동기휠의 중심축과 나사산 스핀들 사이에 각도가 형성되고 또는 보상되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 장치의 대안 실시예에서, 출력 샤프트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구동 슬리브에 회전 강성으로 결합되고, 스프링 부재에 의해 구동 슬리브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간단한 구조가 이루어진다.
실시예에서 출력 슬리브와 구동 슬리브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축방향 예비 응력 하에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이로써 스프링 부재는 2개의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 부재는 스프링 아암과 스프링 아암 커넥터를 포함하고, 스프링 부재의 각각의 단부에서 스프링 아암 홀더에 의해 각각 구동 슬리브와 출력 슬리브에 연결된다. 이는 간단한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아암, 스프링 아암 커넥터 및 스프링 아암 홀더는 스프링 부재의 중심축 둘레에 링을 형성하고, 이 경우 링들은 스프링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스프링 아암 커넥터와 스프링 아암 홀더는 원주를 따라, 즉 접선 방향으로 링의 스프링 아암들을 서로 연결하고, 링들을 축방향으로 연결한다. 이로써 회전 강성 구조뿐만이 아니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예비 응력을 가할 수 있는 구조가 가능하다.
종동부는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립된 상태로 선회 가능하게 출력 슬리브와 함께 연결 섹션에 결합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동부는 한편으로 소실되지 않게 제공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강제적인 조립이 가능하고, 이 경우 오장착이 방지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구동 슬리브, 출력 슬리브, 스프링 부재 및 종동부는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이로써 바람직하게 유격이 거의 없고 회전 강성인 전달 유닛이 제공된다. 따라서 전달 유닛은 길이방향 축을 중심의 회전을 전달하는 동시에 부품들의 축 오프셋, 각도 변위 및 축방향 행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연결될 부품들 사이의 축방향 예비 응력이 보장된다.
디스크 브레이크는 압축 공기 작동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센서 디바이스의 전달 유닛의 분해도를 포함한 도 1에 따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구동 슬리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 및 도 7a는 출력 슬리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3의 영역 VII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9 내지 도 9c는 전달 유닛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d 및 도 9e는 도 9 내지 도 9c에 따른 변형예의 스프링 부재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 1에 따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3은 다른 시각에서 도 1에 따른 실시예의 다른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디스크 브레이크(1)는 여기에서 소위 2-플런저 브레이크로서 도시된다. 디스크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캘리퍼(4)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는 브레이크 디스크(2)를 덮는다. 브레이크 디스크(2)는 브레이크 디스크 축(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이 경우 브레이크 디스크(2)의 양측으로 브레이크 라이닝 캐리어(3a) 상에 각각 브레이크 라이닝(3)이 배치된다. 또한 디스크 브레이크(1)의 체결을 위해, 여기에서 브레이크 회전 레버(8)에 의해 구현된 체결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1)가 형성된다. 브레이크 회전 레버(8)는 스프래드 메커니즘이라고도 하고, 체결 장치의 부분이며, 예를 들어 압축 공기 브레이크 실린더에 의해 작동 가능한 레버 아암(8a)을 갖는다. 브레이크 회전 레버(8)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 롤러에 의해 브레이크 캘리퍼(4)에 레버 선회축(8b)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은 소위 라이닝측에서 본 사시도인 한편, 도 3은 소위 체결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라이닝측"이란,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라이닝(3)을 향한 측면이다. "체결측"은 체결 장치를 향한 또는 라이닝측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반대 측면이다.
브리지(7)는 브레이크 회전 레버(8)와 접촉하고, 브레이크의 체결 및 해제 시 상기 브레이크 회전 레버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 축(2a)을 향해 브레이크 디스크(2) 위로 왕복 작동될 수 있다. 브레이크의 해제 시 브리지(7)는 복귀 스프링(7a)에 의해 출발 위치로 복귀된다. 브리지(7)의 단부들은 각각 나사산 스핀들(6, 6')에 의해 스핀들 유닛(5, 5')에 결합된다. 각각의 나사산 스핀들(6, 6')은 외부 나사산을 갖고, 상기 나사산에 의해 각각의 나사산 스핀들(6, 6')은 브리지(7)의 관련된 내부 나사산 내로 돌려 넣어진다. 각각의 스핀들 유닛(5, 5')은 축(5a, 5'a)을 갖고, 이 경우 스핀들 유닛(5)의 축(5a)은 조정기 축(5a)이라고 하고, 스핀들 유닛(5')의 축(5'a)은 종동부 축(5'a)이라고 한다. 조정기 축(5a)과 종동부 축(5'a)은 평행하게 연장되고, 브레이크 디스크 축(2a)에 대해 평행하다. 레버 선회축(9a)은 브레이크 디스크 축(2a)에 대해 수직이고, 조정기 축(5a) 및 종동부 축(5'a)에 대해 수직이다.
도 1 및 도 3에서 좌측에 배치되며 브레이크 디스크(2)를 향한 스핀들 유닛(5, 5')의 단부들은 각각 가압 피스(6, 6')를 갖는다. 가압 피스(6, 6')는 체결측 브레이크 라이닝(3)의 브레이크 라이닝 캐리어(3a)와 접촉하고,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은 디스크 브레이크(1)의 브레이크 디스크(2)의 하나의 측면에 배치된다. 브레이크 디스크(2)의 다른 측면에서 다른 브레이크 라이닝(3)은 브레이크 라이닝 캐리어(3a)와 함께 브레이크 캘리퍼(4) 내에 고정된다.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3)은 반응측 브레이크 라이닝(3)이라고도 한다. 이는 도 2에 도시된다. 브레이크 캘리퍼(4)는 예를 들어 슬라이딩 캘리퍼일 수 있다.
브레이크 라이닝(3)과 브레이크 디스크(2) 사이의 간격은 에어 갭이라고 한다. 브레이크 라이닝(3)은 브레이크 레버(9)에 의해 작동되는 브리지(7)에 의해 디스크 브레이크(1)의 브레이크 디스크(2)에 대해 조절됨으로써, 브레이크 과정 시 디스크 브레이크(1)가 작동하는 경우 먼저 에어 갭이 조정된다. 브레이크 라이닝(3)과 브레이크 디스크(2)의 마모로 인해 에어 갭이 커진다.
"마찰점"이란, 브레이크 라이닝(3)이 디스크 브레이크(1)의 브레이크 디스크(2)에 접촉하는 지점이다. 마찰점은 체결 시 에어 갭의 조정 후에 달성된다. 추가 체결은 브레이크 디스크(2)에 대한 브레이크 라이닝(3)의 조정에 의해 브레이킹을 야기한다. 이는 물론 반응측 브레이크 라이닝(3)에도 적용된다. 체결 장치의 릴리스는 전술한 과정의 반대로 실시된다.
디스크 브레이크(1)는 또한 마모 조정 장치(9)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마모 시 브레이크 라이닝(3)의 조정을 위해 이용되므로, 처음의 에어 갭을 복원할 수 있다.
마모 조정 장치(9)는 조정 수단(10), 종동 수단(11) 및 조정 수단(10)과 종동 수단(11)의 결합을 위한 동기 유닛(12)을 포함한다.
조정 수단(10)은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고, 상기 조정 수단은 외부에서 나사산 스핀들(6) 둘레를 따라 파지하여 상기 스핀들에 결합된다. 조정 수단(10)의 길이방향 축은 조정기 축(5a)을 형성한다.
동기 유닛(12)에 의해 나사산 스핀들(6)은 종동 수단(11)의 나사산 스핀들(6')에 결합되므로, 조정 수단(10)에 의해 야기되는 나사산 스핀들(6)의 회전이 동기식으로 종동 수단(11) 및 여기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나사산 스핀들(6')에 전달된다. 나사산 스핀들(6)은 동기 유닛(12)의 동기휠(12a), 여기에서 체인휠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동기휠(12a)은 동기 수단(12b)에 의해, 여기에서 체인에 의해 다른 동기휠(12'a)에 연결되고, 상기 다른 동기휠은 종동부(1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및 나사산 스핀들(6')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체인은 동기 수단(12b)으로서 길이방향 측면으로 브리지(7)에 안내되어 배치된다.
브레이크 회전 레버(8)가 레버 선회축(8b)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도 2)으로 선회되는 브레이크 회전 레버(8)의 각각의 체결 운동에 의해 조정 수단(10)이 구동된다. 이는 조정기 드라이브(13)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드라이브는 브레이크 회전 레버(8)에 고정 연결된 액추에이터(13a) 및 조정 수단(10)에 결합된 조정기 드라이브 부재(13b)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13a)와 조정기 드라이브 부재(13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한다.
브레이크 회전 레버(8)의 체결 운동 시 (아직) 마모가 발생하지 않으면, 예를 들어 조정 수단(10)의 오버로드 클러치(overload clutch)로 인해 나사산 스핀들(6)에 구동 운동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마모가 발생하면, 브레이크 라이닝(3)을 조정하기 위해, 조정 수단(10)에 의해 나사산 스핀들(6)에 구동 운동이 전달되고, 이로써 에어 갭은 초기 값으로 조절된다. 동기 유닛(12)에 의해 나사산 스핀들(6)의 이러한 구동 운동이 종동 수단(11)의 나사산 스핀들(6')에 동기식으로 전달된다. 브리지(7)의 각각의 나사산에서 나사산 스핀들(6, 6')의 회전에 의해 나사산 스핀들(6, 6')이 축방향으로 조절되고, 따라서 회전 운동이 선형 운동으로 전환된다.
디스크 브레이크(1)에 센서 디바이스가 설치된다. 센서 디바이스는 센서 장치(14)와 전달 유닛(16)을 포함한다. 센서 장치(14)는 브레이크 디스크(2)를 포함해서 브레이크 라이닝(3)의 마모를 검출하는 데 이용된다. 마모의 검출은 나사산 스핀들(6) 또는 동기 유닛(12)에 의해 거기에 결합된 나사산 스핀들(6')의 조정 운동의 검출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달 유닛(16)은 센서 장치(14)로 나사산 스핀들(6')의 회전 운동의 전달을 위해 제공된다. 센서 장치(14)는 도시되지 않은 트랜스듀서, 예를 들어 홀 센서, 포텐셔미터(Potentiometer), 유도성, 및/또는 광학 및/또는 음향 트랜스듀서 부재로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상기 트랜스듀서는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모니터링 시스템의 평가 유닛에 연결된다.
센서 장치(14)는 여기에서 스핀들 유닛(5')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고, 센서 하우징(14a)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 하우징은 여기에서 부분적으로만 도시된다. 센서 하우징(14a)과 함께 센서 장치(14)는 체결측에서부터 브레이크 캘리퍼(4)에 고정 설치되며, 이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는다. 센서 하우징(14a) 내에 센서 트랜스미션(14b)이 배치된다. 센서 트랜스미션(14b)은 체결측에서 도시되지 않은 트랜스듀서에 결합된다. 라이닝측에서 센서 트랜스미션(14b)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미션 입력부(14c; 도 4 참조)를 갖고, 상기 트랜스미션 입력부는 센서 드라이브(15)에 의해 전달 유닛(16)에 결합된다.
전달 유닛(16)은 구동 슬리브(17), 출력 슬리브(18), 스프링 부재(19) 및 종동부(20)를 포함한다(도 4 및 도 5 참조).
전달 유닛(16)의 구동 슬리브(17)는 나사산 스핀들(6') 위로 슬라이딩되어 동기휠(12')에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방식으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출력 슬리브(18)는 구동 슬리브(17) 위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슬리브에 또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경우 출력 슬리브(18)는 구동 슬리브(17)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출력 슬리브(18)의 라이닝측 단부와 구동 슬리브(17)의 라이닝측 단부 사이에 스프링 부재(19)가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이 경우 압축 스프링으로서 형성되고, 출력 슬리브(18)에 축방향 예비 응력을 가하고, 상기 출력 슬리브를 센서 장치(14)를 향해 가압한다. 출력 슬리브(18)의 체결측 단부는 종동부(20; 도 4 및 도 5)에 의해 센서 장치(14)에 결합된다.
이는 도 4 및 도 5와 관련해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4에 전달 유닛(16)의 분해도를 포함해서 도 1에 따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면은 라이닝측에서 본 관점이다. 또한 도 5는 전달 유닛(16)의 분해도와 함께 체결측에서 본 이에 대한 다른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브리지(7) 내에 지지되는 동기휠(12'a)을 통해 브리지(7)로부터 체결측으로 돌출하는 나사산 스핀들(6')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나사산 스핀들(6, 6')은 중실 샤프트로서 형성된다.
구동 슬리브(17)는 원형 중공 실린더형 바디(17a)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외부면에 외부 프로파일(17b)이 배치된다. 외부 프로파일(17b)은 샤프트-허브 연결부의 맞물림부, 예를 들어 노치 맞물림부이다. 물론 다른 종류의 맞물림부, 예를 들어 톱니 샤프트 맞물림부, 스플라인 샤프트 맞물림부 또는 다각형 프로파일 및 그와 같은 것도 가능하다.
라이닝측 단부 섹션에서 구동 슬리브는 구동 프로파일(17c)을 갖고, 상기 구동 프로파일은 샤프트-허브 연결부의 맞물림부로서도 형성된다. 상기 구동 프로파일(17c)은 라이닝측 단부를 향해 플랜지(17d)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플랜지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구동 프로파일(17c)보다 높게 연장된다. 구동 프로파일(17c)은 구동 섹션(17e) 위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섹션은 바디(17a)에 연결되며, 바디(17a)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구동 슬리브(17)의 라이닝측 단부에서부터 구동 슬리브(17)는 이 경우 슬롯(17i)을 갖고, 이는 계속해서 설명된다.
구동 슬리브(17)의 체결측 단부는 단부면(17f)을 갖는다. 프로파일을 포함하지 않는 단부 섹션(17g)은 외부 프로파일(17b)의 단부와 단부면(17f) 사이에 배치된다.
전달 유닛(16)의 구동 슬리브(17)는 조립된 상태에서, 라이닝측 플랜지(17d)가 동기휠(12'a)의 내부 홈(112c; 도 8 참조)에 위치하도록 그리고 구동 프로파일(17c)은 출력 프로파일(21; 도 8 참조)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나사산 스핀들(6')의 돌출하는 체결측 섹션 위로 슬라이딩된다. 이는 계속해서 도 8과 관련해서 더 상세히 기술된다.
출력 슬리브(18)는 내부 프로파일(18b)을 가진 바디(18a)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프로파일은 샤프트-허브 연결부의 맞물림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부는 구동 슬리브(17)의 외부 프로파일(17b)의 맞물림부에 상응한다. 출력 슬리브(18)의 라이닝측 단부에 플랜지형 림(18c)이 제공되고, 상기 림은 방사방향 외측으로 바디(18a)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라이닝측 단부면과 함께 스프링 부재(19)를 위한 지지부를 형성한다. 구동 슬리브(17)로부터 떨어져 있는 출력 슬리브(18)의 체결측 단부는 베이스(18d)로 폐쇄되고, 상기 베이스는 개구 프로파일(18e)을 갖는 개구를 포함한다.
종동부(20)는, 축 오프셋을 보상할 수 있고 따라서 여기에서 상세히 기재되지 않는 상응하는 탄성 구조를 갖는 바디(20a)로 형성된다. 이러한 축 오프셋은 출력 슬리브(18; 도 7 및 도 7a 참조)의 중심축(118)과 센서 장치(14)의 기어 트랜스미션(14c)의 센서축(14d)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바디(20a)는 라이닝측에서 패그 형태의 입력 섹션(20b)에 연결되고, 이 경우 패그 형태의 다른 출력 섹션(20c)은 체결측에서 바디(20a)에 연결된다. 입력 섹션(20b)은 축방향으로 라이닝측을 향해 연장되고, 외부 프로파일, 예를 들어 노치 맞물림부가 제공되고, 상기 외부 프로파일은 출력 슬리브(18)의 베이스(18d)의 개구의 개구 프로파일(18e)에 상응한다.
출력 섹션(20c)은 체결측에서 축방향으로 센서 장치(14)를 향해 연장되고, 외부 프로파일, 예를 들어 노치 맞물림부를 갖고, 상기 외부 프로파일은 센서 장치(14)의 센서 트랜스미션(14b)의 트랜스미션 입력부(14c)의 내부 프로파일에 상응한다.
종동부(20)의 입력 섹션(20b)은 전달 유닛(16)의 조립된 상태에서 출력 슬리브(18)의 개구 프로파일(18e)을 갖는 개구에 삽입되어 출력 슬리브(18)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지만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종동부(20)의 출력 섹션(20c)은 센서 장치(14)의 트랜스미션 입력부(14c)의 내부 프로파일에 삽입되고, 이 경우 종동부(20) 및 전달 유닛(16)과 센서 장치의 센서 트랜스미션(14b) 사이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지만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결합이 형성된다.
도 6에 구동 슬리브(17)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된다.
구동 슬리브(17)는 위에서 이미 설명하였다. 도 6에 도시된 확대도에 보완적으로 설명되어야 하는 다른 세부 사항들이 더 잘 도시된다.
외부 프로파일(17b)은 단부 섹션(17g)에 체결측으로 라운드된 프로파일링의 단부를 갖고, 상기 단부들은 용이한 조립, 즉 구동 슬리브(17) 위로 출력 슬리브(18)의 슬라이딩 시 출력 슬리브(18)의 내부 프로파일(18b)의 간단한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외부 프로파일(17b)은 라이닝측으로 숄더(17h)에서 끝나고, 상기 숄더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구동 섹션(17e)에 연결된다.
슬롯(17i)은 평면으로 투영 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 측면은 구동 슬리브(17)의 중심축(117)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길이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길이는 구동 슬리브(17)의 전체 길이의 대략 절반을 차지한다. 슬롯(17i)(또한 평면으로 투영 시)의 폭은 슬롯(17i)의 길이의 대략 절반에 상응한다. 예를 들어 3개의 슬롯(17i)이 제공되고, 상기 슬롯들은 구동 슬리브(17)의 바디(17a) 내에 리세스로서 성형되고, 구동 슬리브(17)의 라이닝측 절반부를 3개의 지지 섹션(17j)으로 세분한다. 외부 프로파일(17b)은 슬롯(17i)의 범위 내의 슬롯(17i)의 좁은 측면에서 끝난다.
적어도 3개의 슬롯(17i)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3개의 슬롯(17i)이다.
도 7은 라이닝측에서 본 출력 슬리브(18)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이 경우 도 7a는 체결측에서 본 출력 슬리브(18)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출력 슬리브(18)는 위에서 이미 설명하였다. 도 7 및 도 7a에 따른 확대도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바디(18a)는 베이스(18d)를 가진 원형 중공 실린더로서 포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심축(118)을 갖는다. 내부 프로파일(18b)은 출력 슬리브(18)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내벽에 배치된다. 베이스(18d)에, 중심축(118)에 대해 동심의 개구가 제공된다. 개구의 개구 프로파일(18e)은 개구의 림에 형성되고, 예를 들어 노치 맞물림부로 형성된다.
구동 슬리브(17)와 출력 슬리브(18)는 탄성 및 연성 물질로 제조되고, 따라서 동기휠(12'a)과 센서 장치(14)의 센서 트랜스미션(14b)의 트랜스미션 입력부(14c) 사이의 상대 운동이 보상될 수 있다.
또한 도 8은 도 3의 영역 VIII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에 종동 수단(11)과 나사산 스핀들(6')에 관련된 동기휠(12'a) 내에서 구동 슬리브(17)의 라이닝측 단부의 고정이 확대 도시된다.
동기휠(12'a)은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나사산 스핀들(6')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경우 동시에 조정 시 나사산 스핀들(6')의 회전에 의해 브리지(7) 내에 형성되는 축방향 상대 운동이 가능해진다.
동기휠(12'a)은 동기휠 바디(112)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외부면에 맞물림부(112a), 여기에서 동기 수단(12b), 즉 체인과 함께 작용을 위한 체인 맞물림부가 형성된다. 맞물림부(112a)는 그 아래에 체결측으로 배치된 링형 전달 섹션(112b)에 연결되고, 상기 섹션은 내벽에 샤프트-허브 연결부로서, 예를 들어 노치 맞물림부로서 출력 프로파일(21)을 갖는다. 출력 프로파일(21)은 구동 슬리브(17)의 구동 프로파일(17c)에 상응한다.
또한 전달 섹션(112b)과 맞물림부(112a) 사이의 연결 섹션 내에, 즉 출력 프로파일(21) 후방의 전달 섹션(112b)의 라이닝측 내부 단부에 내부 홈(112c)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경은 전달 섹션(112b)의 내경보다 크다.
구동 슬리브(17) 내의 슬롯(17i)으로 인해 지지 섹션들(17j)은 전달 유닛(16)의 조립 시 구동 슬리브(17)가 삽입될 때 압축될 수 있고, 따라서 구동 슬리브(17)는 나사산 스핀들(6')의 체결측으로 돌출하는 섹션 위로 슬라이딩 시 라이닝측 단부들에 의해 동기휠(12'a)의 전달 섹션(112b) 및 내부 홈(112c)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구동 슬리브(17)의 라이닝측 단부의 플랜지(17d)가 전달 섹션(112b)의 라이닝측 내부 단부에 도달하는 즉시, 지지 섹션들(17j)은 다시 릴리스된다. 이때 지지 섹션들(17j)은 다시 출발 위치로 탄성 이동되고, 이 경우 플랜지(17d)는 내부 홈(112c)에 수용되고, 구동 슬리브(17)의 구동 프로파일(17c)은 동기휠(12'a)의 출력 프로파일(21)에 결합한다. 플랜지(17d)는 내부 홈(112c) 내의 위치에서 구동 슬리브(17)의 축방향 지지를 실시하여 구동 슬리브(17)를 동기휠(12'a)에 연결한다. 동기휠(12'a)의 출력 프로파일(21)에 결합하는 출력 프로파일(17c)은 동기휠(12'a)에 대한 구동 슬리브(17)의 상대 회전 불가능한 연결을 형성한다.
내부 홈(112c)은 구동 슬리브(17)의 플랜지(17d)보다 큰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구동 슬리브(17)의 중심축(117)과 여기에서 종동부 축(5'a)인 동기휠(12'a)의 중심축 사이의 각도가 가능해질 수 있다.
플랜지(17d)의 전방 에지는 챔퍼를 갖는다. 또한 전달 섹션(112b)의 체결측 원주는 마찬가지로 챔퍼로 형성된다. 상기 2개의 챔퍼는 동기휠(12'a) 내로 구동 슬리브(17)의 라이닝측 단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스프링 부재(19)는 이 경우 구동 슬리브(17)의 숄더(17h)에 지지된다.
예를 들어 조정으로 인한 나사산 스핀들(6)의 회전은 동기 유닛(12)에 의해 나사산 스핀들(6')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동기휠(12'a)에 전달된다. 동기휠(12'a)의 출력 프로파일(21)에 결합하는 구동 프로파일(17c)은 상기 회전 운동을 구동 슬리브(17)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 슬리브는 그것의 외부 프로파일(17b)을 통해 외부 프로파일(17b)에 결합하는 출력 슬리브(18)의 내부 프로파일(18b)에 및 출력 슬리브(18)에 회전 운동을 전달한다. 따라서 회전 운동은 출력 슬리브(18)로부터 개구 프로파일(18c)을 지나 종동부(20)에 전달되고, 상기 종동부는 회전 운동을 센서 장치(14)의 트랜스미션 입력부(14c)에 전달한다.
전달 유닛(16)은 동기휠(12'a)과 센서 장치(14)의 센서 트랜스미션(14b) 사이의 카르단 연결부처럼 구동 슬리브(17) 및 출력 슬리브(18)와 함께 작용한다. 이로써 전달 유닛(16)은 하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 나사산 스핀들(6, 6')은 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해, 즉 체결 및 해제 시 선형 운동을 한다.
이는 스프링 부재(19)의 예비 응력을 포함한 구동 슬리브(17)와 출력 슬리브(18)의 축방향 이동 가능성에 의해 보상된다.
- 나사산 스핀들(6, 6')은 소위 브리지 틸팅으로 인해 브리지(7)의 안내점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실시한다.
동기휠(12'a)의 내부 홈(112c)과 거기에 배치된 구동 슬리브(17)의 플랜지(17d)의 치수 설계에 따라 구동 슬리브(17)의 중심축(117)과 여기에서 종동부 축(5'a)인 동기휠(12'a)의 중심축 사이의 각도가 보상될 수 있다.
- 센서 장치(14)의 하우징(14a)이 브레이크 캘리퍼(4)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센서 장치(14)의 트랜스미션 입력부(14c)는 위치 고정된다.
- 종동부(20)는 축 오프셋 및 각도 오류를 보상한다.
- 위치 공차로 인해 트랜스미션 입력부(14c)의 센서축(14d)과 나사산 스핀들(6')의 종동부 축(5'a) 사이의 축 오프셋 및 각도 오프셋이 주어진다.
이러한 축 오프셋은 종동부(20)의 형상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9c는 전달 유닛(16)의 변형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즉, 도 9 및 도 9a는 다른 시각에서 조립되지 않은 상태의 전달 유닛을 도시하는 한편, 도 9b 및 도 9c는 다른 시각에서 조립된 상태의 전달 유닛(16)을 도시한다. 도 9d 및 도 9e는 도 9 내지 도 9c의 변형예의 스프링 부재(190)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변형예의 전달 유닛(16)은 구동 슬리브(170), 출력 슬리브(180), 스프링 부재(190) 및 종동부(200)를 포함한다.
전달 유닛(16)의 이러한 변형예는 한편으로는, 구동 슬리브(170), 출력 슬리브(180), 스프링 부재(190) 및 종동부(2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도 3 내지 도 8에 따른 전달 유닛(16)과 다르다. 이 경우 종동부(200)는 마운팅 부품으로서 소실되지 않게 출력 슬리브(180)에 설치된다. 도 9 및 도 9a는 조립되지 않은 이러한 상태를 도시한다. 구동 슬리브(170), 스프링 부재(190) 및 출력 샤프트(180)는 여기에서 공통의 중심축(180a)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 기능 부품들(170, 180, 190, 200)의 형상들이 다양하게 구현된다. 즉 구동 슬리브(170)는 원형 중공 실린더형 바디(171)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라이닝측 단부 섹션에 이 경우 원주에 균일하게 분포된 3개의 돌출부(17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들은 축방향으로 라이닝측을 향해 연장된다. 돌출부들(172)은 이 경우 직사각형이고, 이 경우 상기 돌출부의 자유 모서리들은 챔퍼를 갖는다. 전달 유닛(16)이 완전히 스핀들 나사산(6') 위로 슬라이딩되는 경우에, 돌출부들(172)은 동기휠(12'a)에 구동 슬리브(170) 및 전달 유닛(16)의 상대 회전 불가능한 연결을 위해 이용된다. 물론, 돌출부(172) 대신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갖는 리세스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동기휠(12'a)은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상응하는 슬롯 또는 돌출부를 갖고, 이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슬리브(170)는 각각 2개의 돌출부들(172) 사이에 리세스(173)를 갖고, 상기 리세스 내에 각각 록킹 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록킹 수단에 의해 전달 장치(16)는 동기휠(12'a)에 축방향으로 록킹될 수 있다. 이러한 록킹 수단들은 각각 노우즈(175)를 가진 2개의 지지 아암(174)을 갖는다. 이 경우 원주 방향으로 관련 리세스(173) 내에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된 각각 2개의 지지 아암(174)은 라이닝측을 향해 축방향으로 구동 슬리브(170)의 라이닝측 단부 섹션을 지나서 연장된다. 지지 아암(174)의 자유 단부에 있는 노우즈들(175)은 거울 대칭으로 배치되고, 이 경우 상기 노우즈는 록킹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록킹 후크의 록킹 에지들은 각각 돌출부(172)를 향한다.
노우즈(175) 및 상기 노우즈의 록킹 에지와 함께 작용을 위해 동기휠(12'a)은 도시되지 않지만 간단하게 고려할 수 있는 상응하는 수용부를 갖는다.
지지 아암들(174)은 리세스(173) 상부의 구동 슬리브(170)의 단부 섹션에 배치된 단부에서 함께 연결되고, 구동 슬리브(170)의 바디(171)의 외벽에 배치되고, 모두 함께 칼라 섹션(176)에서 끝난다. 칼라 섹션(176)은 바디(171)의 원주에 대략 각각의 관련된 리세스(173)의 원주에 걸쳐 연장되고, 방사방향으로 구동 슬리브(170)의 바디(171)의 외벽으로부터 돌출하고, 이 경우 칼라 섹션들(176)은 구동 슬리브(17)의 플랜지(17d; 도 6)와 유사하게 플랜지 섹션을 형성한다.
돌출부들(172) 사이의 영역에 있는 지지 아암(174)의 칼라 섹션들(176)은 축방향 마운팅력의 전달을 위한 (도시되지 않은) 마운팅 슬리브의 지지면으로서 이용되고, 따라서 지지 아암(174)은 (후크형이라고 할 수도 있는) 그것의 노우즈(175)에 의해 해당하는 대응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172)를 포함하는 영역들은 이 경우 각각 구동 슬리브(170)의 바디(171)의 관련된 내벽에 설치된 웹(210)을 포함한다(도 9a, 도 9c 참조). 웹들(210)은 축방향으로 구동 슬리브(170) 및 스프링 부재(190)를 통해서 출력 슬리브(180) 내로 연장된다. 이 경우 스프링 부재(190)의 영역에서 웹들(120)은 개별 섹션들로 축방향으로 분리되고, 이는 계속해서 설명되며, 도 9c에 가장 잘 도시된다. 웹(210)의 기능은, 관련된 나사산 스핀들(6')의 축방향 홈에 결합하는 축방향 가이드 웹으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구동 슬리브(170)의 체결측 단부는 스프링 부재(190)에 연결된다.
스프링 부재(190)는 스프링 아암 홀더(191), 스프링 아암(192, 194) 및 스프링 아암 커넥터(193, 193a)를 포함한다. 스프링 부재(190)의 가상의 쉘 형태는 중심축(180a)을 가진 원형 중공 실린더이고, 이 경우 스프링 아암(192, 194)은 각각 링을 형성하고, 상기 링들은 축방향으로 나란히 이 경우 각각 서로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링들은 이 경우 원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원형 링은 이 경우 6개의 스프링 아암(192, 194)으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아암 커넥터(193, 193a)는, 아래에 설명되는 특정한 방식으로 서로 교대로 각각의 원형 링과 그 옆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원형 링의 스프링 아암들(192, 194)을 연결하고, 이로 인해 원형 링들의 간격이 정해진다. 스프링 부재(190)는 이 경우 11개의 원형 링을 갖는다. 각각의 스프링 아암(192, 194)은 원형 링 섹션으로서 형성된다.
도 9d는 중심축(180a)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도 9에 따른 스프링 부재(190)의 횡단면을(구동 슬리브(170)의 단부면을 향해 본) 제 1 원형 링의 부분 단면의 평면도에 도시한다. 상기 제 1 원형 링은 여기에서 구동 슬리브(170)의 원주에 분포된 3개의 스프링 아암 홀더(191)에 의해 구동 슬리브(170)에 스프링 부재(190)의 연결을 위해 이용된다. 각각의 스프링 아암 홀더(191)는 구동 슬리브(170)의 체결측 단부에 돌출부(172)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정해진 치수만큼 중심축(180a)에 대해 평행하게 돌출한다. 각각의 스프링 아암 홀더(191)의 내측면에 각각 웹(210)이 바디(171)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성형된다.
구동 슬리브(170)에 스프링 부재(190)의 연결을 위한 제 1 원형 링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9d의 상부에 도시된 스프링 아암 홀더(191; 12시 방향)에서 시작해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프링 아암 홀더(191)의 자유 단부에 스프링 아암(192)의 하나의 단부가 배치된다. 스프링 아암(192)의 다른 단부는 스프링 아암 커넥터(193)에 의해 다른 스프링 아암(192)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 아암의 다른 단부는 또한 다른 스프링 아암 홀더(191)(8시 방향)에 고정된다. 스프링 아암 홀더(191)와 스프링 아암 커넥터(193) 사이의 각도 α는 이 경우 60°이고, 2개의 스프링 아암 홀더(191) 사이 또는 2개의 스프링 아암 커넥터(192) 사이의 각도 2α= 120°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스프링 아암 홀더(191)(8시 방향)는 스프링 아암 커넥터(193)에 연결된 2개의 스프링 아암(192)에 의해 다음 스프링 아암 홀더(191)(4시 방향)에 연결된다. 상기 다음 스프링 아암 홀더(191)(4시 방향)도 또한 스프링 아암 커넥터(193)에 연결된 2개의 스프링 아암(192)에 의해 스프링 아암 홀더(191)(12시 방향)에 연결된다.
스프링 아암 홀더(193a)는 이 경우 웹(210)을 포함하지 않고, 중심축(180a)에 대해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다음 원형 링까지 연장되고, 상기 원형 링과 함께 스프링 아암 홀더는 축방향 연결부를 형성한다.
다음 원형 링은 도 9e에 도시된다. 상기 원형 링은 이 경우에도 6개의 스프링 아암(194)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원형 링(도 9d)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도 9e의 상기 원형 링 평면 내로 돌출하는 스프링 아암 커넥터(193a)(10시 방향)에서부터 시계 반대 방향으로 스프링 아암(194)의 하나의 단부가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 아암(194)의 다른 단부는 스프링 아암 커넥터(193)(8시 방향)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 아암 커넥터의 내측면은 웹(210)에 의해 보강되고, 도 9e의 도면 평면 위에 위치한 다음 원형 링에 대한 축방향 연결을 형성한다. 상기 웹(210)은 제 1 원형 링의 웹(210)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웹으로부터 분리되지만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웹(210)을 가진 스프링 아암 커넥터(193)(8시 방향)는 스프링 아암 커넥터(193a)(6시 방향)에 배치된 스프링 아암(194)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 아암 커넥터는 제 1 원형 링에 대한 축방향 연결을 형성하고, 다른 스프링 아암(194)에 대해 접선 방향 연결을 형성한다. 다른 스프링 아암(194)은 다음 스프링 아암 커넥터(193)(4시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아암 커넥터는 다음 원형 링에 대한 축방향 연결을 형성하고, 다음 스프링 아암(194)에 대한 접선 방향 연결을 형성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다른 스프링 아암 커넥터(193a)는 제 1 원형 링에 대한 축방향 연결을 형성하고, 다른 스프링 아암 커넥터(193)는 다음 원형 링에 대한 축방향 연결 및 다른 스프링 아암에 대한 접선 방향 연결을 형성하고, 이는 도 9e에 명확하게 도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 부재(190)는 중심축(180a)의 축방향으로 이에 대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원형 링들에 의해 형성된다. 마지막 원형 링은 출력 슬리브(180)와 스프링 부재(190)의 연결을 형성하고, 제 1 원형 링처럼 스프링 아암(192)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아암들은 교대로 스프링 아암 홀더(191)에 의해 출력 슬리브(180)의 바디(181)에 연결되고, 스프링 아암 커넥터(193a)에 의해 스프링 부재(190)의 끝에서 두 번째 원형 링에 연결된다(도 9d 참조).
스프링 아암들(192, 194)은 그 접선 방향 배치 및 상기 스프링 아암에 의해 형성된 원형 링들을 상기 스프링 아암들의 축방향 연결에 의해, 중심축(180a)을 중심으로 구동 슬리브(170)의 회전이 출력 슬리브(180)에 유격 없이 확실하게 전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스프링 아암들(192, 194)은 축방향으로 탄성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될 부품들의 축방향 행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결될 부품들 사이의 축방향 예비 응력도 보장된다. 다른 방향으로 스프링 아암들(192, 194)은 또한 탄성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동시에 연결될 부품들의 축 오프셋 및/또는 각도 변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출력 슬리브(180)의 바디(181)는 이 경우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라이닝측 단부면에 스프링 아암 커넥터(191)를 갖고, 상기 스프링 아암 커넥터는 내측면에 웹(210)을 가지며, 이 경우 웹들(210)은 출력 슬리브(180)의 바디(181)의 내벽에서도 중심축(180a)에 대해 평행하게 계속해서 연장된다. 바디(181)의 단부면(182)은 부분적으로 플레이트와 유사한 단부면 섹션(183)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섹션은 중앙에서 비스듬하게 개구(184a)를 갖는 링형 단부면 섹션(184)으로 이행한 후에, 다른 더 좁은 단부면 섹션(185)에서 단부면(182)의 대향 배치된 림까지 연장되며, 상기 림에 상기 단부면 섹션(185)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섹션에 의해 연결된다.
플레이트와 유사한 단부면 섹션(183)의 하나의 측면에 체결측에 대해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베어링 돌출부(186)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아래에서 계속 설명되는 종동부(200)가 배치된다. 플레이트와 유사한 단부면 섹션(183)의 반대 측면에 커버 섹션(187)이 배치되고, 상기 섹션은 원형으로 형성된 자유 단부 섹션(188)을 포함한다. 커버 섹션(187)은 바디(181)의 원주에 일정한 각도 섹션에 걸쳐 연장되고, 이 경우 커버 섹션(187)의 림의 하부면과 바디(181)의 단부면(182) 사이에 슬롯(189)이 고정된다. 상기 슬롯(189)은, 단부 섹션(188)을 갖는 커버 섹션(187)의 평면이 체결측을 향해 축방향으로 숄더를 지나 플레이트와 유사한 단부면 섹션(183)에 대해 오프셋되어 형성됨으로써 형성된다. 슬롯(189)은 조립된 상태에서 종동부(200)의 아암(205)을 수용하고, 상기 아암을 축방향으로 고정한다. 원형 단부 섹션(188)은 커버 섹션(187)의 보강 및 슬롯(189)의 수용 기능의 확장을 위해 이용된다.
종동부(200)는 텅(203)을 가진 바디(20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바디는 출력 슬리브(180)의 플레이트형 단부면 섹션(183)과 유사하게 형성되며, 외부 림에서 반경을 갖는다. 바디(201)는 중앙에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돔(202)을 갖고, 상기 돔은 전술한 프로파일을 가진 출력 섹션(204)을 포함한다. 출력 섹션(204)과 돔(202)은 중심축(200a)을 갖는다.
도 9 및 도 9a에 따라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력 슬리브(180)를 향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바디(201)의 측면에서 라이닝측을 향해 돌출하는 베어링 돌출부(207)(베어링 돌출부(186)와 유사하게)가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돌출부에 연결 섹션(209)의 단부가 베어링(208)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다. 연결 섹션(209)의 다른 단부는 출력 슬리브(180)의 베어링 돌출부(186)에 마찬가지로 베어링(208a)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베어링(208, 208a)의 선회축들은 중심축(180a)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연결 섹션(209)은 원형 실린더 섹션 형태의 벽(209a)을 갖고, 상기 섹션은 플레이트 섹션(209b) 위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베어링(208, 208a)은 예를 들어 필름 힌지일 수 있다.
베어링 돌출부(207)에 대향 배치된 종동부(200)의 플레이트형 바디(201)의 측면에서 숄더 형태의 연결부(206) 위에 아암(205)이 배치되고, 따라서 상기 아암(205)은 플레이트형 바디(201)에 대해 축방향으로 라이닝측을 향해 오프셋 된다. 아암(205)은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돔(202)은 하부면(도 9a 참조)에서부터 중공 형태로 라이닝측을 향해 돌출하는 관형 돔 섹션(202a)을 갖고, 상기 섹션은 플레이트형 바디(201)의 하부면에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한다. 돔 섹션(202a)은 중심축(200a)을 갖는 돔(202)에 대해 동축이고, 돔(202)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종동부(20)는 전달 유닛(16)의 조립된 상태에서 (도 9b 및 도 9c) 2개의 베어링(208, 208a)을 중심으로 출력 슬리브(180) 위로 선회되고, 이 경우 그 중심축(200a)과 전달 유닛(16)의 중심축(180a)은 서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이 경우 종동부(200)의 플레이트형 바디(201)의 하부면은 출력 슬리브(180)의 단부면 섹션(184, 185)의 상부면의 섹션 위에 놓인다. 또한 텅(203)의 하부면은 출력 슬리브(180)의 단부면 섹션(183) 위에 놓인다.
도 9c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돔 섹션(202a)은 전달 유닛(16)의 조립된 상태에서 원형 개구(184a) 내에 위치한다. 종동부(200)의 아치형 아암(205)은 단부면(182)과 출력 슬리브(180)의 원형 단부 섹션(188)을 포함한 커버 섹션(187)의 하부면 사이의 슬롯(189) 내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종동부(200)의 플레이트형 바디(201)의 아치형 림은 연결 섹션(209)의 아치형 벽(209a)으로 이행하여 출력 슬리브(180)와 종동부(200) 사이의 모멘트 전달을 형성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중심축(200a, 180a) 사이의 축 오프셋이 보상될 수 있다.
전달 유닛(16)은 이러한 변형예에서 예를 들어 일체형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일 수 있다. 물론 엘라스토머, 금속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구현도 가능할 수 있고, 이 경우 예를 들어 삽입부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와 관련해서 변경 가능하다.
종동부(20)에 의해 제공되는 축 오프셋의 보상 가능성의 기능은 전달 유닛(16)의 출력 슬리브(18) 및/또는 센서 장치(14)의 센서 트랜스미션(14b)에 통합되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스프링 부재(19)는 출력 슬리브(18) 및/또는 구동 슬리브(17) 내에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전달 유닛(16), 슬리브(170, 180) 및 스프링 부재(190)의 횡단면은 원형이 아니라 예를 들어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현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1 : 디스크 브레이크 2 : 브레이크 디스크
2a : 브레이크 디스크 축 3 : 브레이크 라이닝
3a : 브레이크 라이닝 캐리어 4 : 브레이크 캘리퍼
5, 5' : 스핀들 유닛 5a : 조정기 축
5'a : 종동부 축 6, 6' : 나사산 스핀들
6a, 6'a : 가압 피스 7 : 브리지
7a : 복귀 스프링 8 : 브레이크 회전 레버
8a : 레버 아암 8b : 레버 선회 축
9 : 마모 조정 장치 10 : 조정 수단
11 : 종동 수단 12 : 동기 유닛
12a, 12'a : 동기휠 12b : 동기 수단
13 : 조정기 드라이브 13a : 액추에이터
13b : 조정기 드라이브 부재 14 : 센서 장치
14a : 센서 하우징 14b : 센서 트랜스미션
14c : 트랜스미션 입력부 14d : 센서 축
15 : 센서 드라이브 16 : 전달 유닛
17 : 구동 슬리브 17a : 바디
17b : 외부 프로파일 17c : 구동 프로파일
17d : 플랜지 17e : 구동 섹션
17f : 단부면 17g : 단부 섹션
17h : 숄더 17i : 슬롯
17j : 지지 섹션 18 : 출력 슬리브
18a : 바디 18b : 내부 프로파일
18c : 림 18d : 베이스
18e : 개구 프로파일 19 : 스프링 부재
20 : 종동부 20a : 바디
20b : 입력 섹션 20c : 출력 섹션
21 : 내부 프로파일 21a : 챔퍼
112 : 동기휠 바디 112a : 맞물림부
112b : 전달 섹션 112c : 내부 홈
117, 118 : 중심축 170 : 구동 슬리브
171 : 바디 172 : 돌출부
173 : 리세스 174 : 지지 아암
175 : 노우즈 176 : 칼라 섹션
180 : 출력 슬리브 180a : 중심축
181 : 바디 182 : 단부면
183, 184, 185 : 단부면 섹션 184a : 개구
186 : 베어링 돌출부 187 : 커버 섹션
188 : 단부 섹션 189 : 슬롯
190 : 스프링 부재 191 : 스프링 아암 홀더
192 : 스프링 아암 193, 193a : 스프링 아암 커넥터
194 : 스프링 아암 200 : 종동부
200a : 중심축 201 : 바디
202 : 돔 202a : 돔 섹션
203 : 텅 204 : 출력 섹션
205 : 아암 206 : 연결부
207 : 베어링 돌출부 208, 208a : 베어링
209 : 연결 섹션 209a : 벽
209b : 플레이트 섹션 210 : 웹
α: 각도

Claims (29)

  1. 디스크 브레이크(1)의 브레이크 라이닝(3)과 브레이크 디스크(2)의 마모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디바이스로서, 센서 장치(14)와 전달 유닛(16)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장치(14)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듀서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듀서에 결합된 센서 트랜스미션(14b)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트랜스미션은 트랜스미션 입력부(14c)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유닛(16)은 상기 트랜스미션 입력부(14c)에 결합되고, 검출할 마모에 관련된 회전 운동의 전달을 위해 관련되는 디스크 브레이크(1)의 나사산 스핀들(6')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센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달 유닛(16)은 상기 나사산 스핀들(6')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을 위한 구동 슬리브(17; 170), 상기 구동 슬리브(17; 170)에 결합된 출력 슬리브(18; 180),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재(19; 190) 및 상기 출력 슬리브(18; 180)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트랜스미션 입력부(14c)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종동부(20; 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 스핀들(6')에 대한 상기 구동 슬리브(17, 170)의 상대 회전 불가능한 결합은 직접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중간 부품에 의해 간접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슬리브(18)는 상기 구동 슬리브(17) 상에서 상기 구동 슬리브(17)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 슬리브(17)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슬리브(17)는 중공 실린더형 바디(17a)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외부면에 외부 프로파일(17b)이 배치되고, 상기 외부 프로파일은 상기 외부 프로파일(17b)에 상응하는 상기 출력 슬리브(18)의 내부 프로파일(18b)에 결합을 위한 샤프트-허브 연결부의 맞물림부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슬리브(17)의 외부 프로파일(17b)과 상기 출력 슬리브(18)의 내부 프로파일(18b)은 노치 맞물림부, 톱니 샤프트 맞물림부, 스플라인 샤프트 맞물림부 또는 다각형 프로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슬리브(17)의 단부 섹션은 상기 나사산 스핀들(6')에 대한 직접 결합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부품을 통한 간접 결합을 위해 구동 프로파일(17c)을 가진 구동 섹션(17e)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프로파일(17c)은 샤프트-허브 연결부의 맞물림부로서 형성되고, 단부 섹션의 해당 단부에서 플랜지(17d)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슬리브(17)의 구동 프로파일(17c)은 노치 맞물림부, 톱니 샤프트 맞물림부, 스플라인 샤프트 맞물림부 또는 다각형 프로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섹션(17e)은 숄더(17h)를 통해 상기 구동 슬리브(17)의 바디(17a)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17a)보다 큰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슬리브(17)의 상기 숄더(17h)와 상기 출력 슬리브(18)의 림(18c)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재(19)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슬리브(17)의 단부면(17f)과 상기 출력 슬리브(18)의 베이스(18d)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재(19)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재(19)는 압축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슬리브(17)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출력 슬리브(18)의 단부는 베이스(18d)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베이스는 개구 프로파일(18e)을 갖는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20)는 입력 섹션(20b)과 출력 섹션(20c)에 연결된 바디(20a)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섹션(20b)은 상기 출력 슬리브(18)의 개구 프로파일(18e)에의 결합을 위해 외부 프로파일을 갖고, 상기 외부 프로파일은 개구 프로파일(18e)에 상응하고, 상기 출력 섹션(20c)은 상기 센서 장치(14)의 트랜스미션 입력부(14c)에의 결합을 위해 외부 프로파일을 갖고, 상기 외부 프로파일은 상기 트랜스미션 입력부(14c)의 내부 프로파일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슬리브(17)는 나사산 스핀들(6')에의 결합을 위해 제공된 단부에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17i)을 갖고, 상기 슬롯은 상기 구동 슬리브(17)의 상기 바디(17a) 내에 리세스로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슬리브(17)는 나사산 스핀들(6')에의 결합을 위해 제공된 단부에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슬롯(17i)을 갖고, 상기 슬롯들은 상기 구동 슬리브(17)의 바디(17a) 내에 리세스로서 성형되고, 그 사이에 2개의 지지 섹션들(17j)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슬리브(17)와 상기 출력 슬리브(18)는 탄성 및 연성 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슬리브(180)는 상기 스프링 부재(190)에 의해 상기 구동 슬리브(170)에 회전 강성으로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190)에 의해 상기 구동 슬리브(17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슬리브(180)와 상기 구동 슬리브(170)는 상기 스프링 부재(190)에 의해 축방향 예비 응력 하에 서로 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190)는 스프링 아암(192, 194)과 스프링 아암 커넥터(193, 193a)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190)의 단부에서 스프링 아암 홀더(191)에 의해 각각 상기 구동 슬리브(170)와 상기 출력 슬리브(18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190)의 상기 스프링 아암(192, 194), 상기 스프링 아암 커넥터(193, 193a) 및 스프링 아암 홀더(191)는 상기 스프링 부재(190)의 중심축 둘레에 링을 형성하고, 상기 링들은 상기 스프링 부재(19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아암 커넥터(193, 193a)와 상기 스프링 아암 홀더(191)는 접선 방향으로 링의 스프링 아암들(192, 194)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링들을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200)는 조립되지 않은 상태로부터 조립된 상태로 선회 가능하게 상기 출력 슬리브(180)와 함께 연결 섹션(209)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23. 제 17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슬리브(170), 상기 출력 슬리브(180), 상기 스프링 부재(190) 및 상기 종동부(200)는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디바이스.
  24. 디스크 브레이크(1)로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는 각각의 나사산 스핀들(6, 6')을 가진 적어도 2개의 스핀들 유닛(5, 5'), 스프래딩 메커니즘을 가진 체결 장치 및, 상기 나사산 스핀들(6)에 결합되어 상기 나사산 스핀들 둘레에 배치되며 스프래딩 메커니즘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조정 수단(10)을 포함하고 동기 유닛(12)을 가진 마모 조정 장치(9)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 유닛은 동기휠들(12a, 12'a) 및 상기 동기휠들(12a, 12'a)을 연결하는 동기 수단(12b)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나사산 스핀들(6, 6')은 상기 동기휠들(12a, 12'a) 중 각각 하나의 동기휠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크 브레이크(1)에 있어서,
    상기 전달 유닛(16)의 상기 구동 슬리브(17, 170)의 단부는 나사산 스핀들(6')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동기휠(12'a)에 의해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부품에 의해 간접적으로 상기 나사산 스핀들(6')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휠(12'a)은 링형 전달 섹션(112b)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은 내벽에 배치된 출력 프로파일(21)을 갖고, 상기 출력 프로파일은 상기 전달 유닛(16)의 상기 구동 슬리브(17)의 단부의 구동 프로파일(17c)에 상응하며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휠(12'a)의 상기 출력 프로파일(21)과 상기 구동 슬리브(17)의 구동 프로파일(17c)은 노치 맞물림부, 톱니 샤프트 맞물림부, 스플라인 샤프트 맞물림부 또는 다각형 프로파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섹션(112b) 내에, 상기 출력 프로파일(21) 후방의 라이닝측 상기 섹션의 내부 단부에 상기 전달 유닛(16)의 상기 구동 슬리브(17)의 플랜지(17d)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홈(112c)이 성형되고, 상기 내부 홈(112c)의 내경은 상기 전달 섹션(112b)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홈(112c)은 상기 구동 슬리브(17)의 상기 플랜지(17d)보다 큰 축방향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 는 압축 공기 작동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KR1020167022395A 2014-01-20 2015-01-16 센서 디바이스 및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KR101810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00562.7A DE102014100562B4 (de) 2014-01-20 2014-01-20 Sensorvorrichtung und Scheibenbremse mit einer Sensorvorrichtung
DE102014100562.7 2014-01-20
PCT/EP2015/050735 WO2015107135A1 (de) 2014-01-20 2015-01-16 Sensorvorrichtung und scheibenbremse mit einer sensor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480A KR20160110480A (ko) 2016-09-21
KR101810808B1 true KR101810808B1 (ko) 2018-01-25

Family

ID=5235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395A KR101810808B1 (ko) 2014-01-20 2015-01-16 센서 디바이스 및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801570B2 (ko)
EP (1) EP3097319B1 (ko)
JP (1) JP6216075B2 (ko)
KR (1) KR101810808B1 (ko)
CN (1) CN106062407B (ko)
DE (1) DE102014100562B4 (ko)
ES (1) ES2673606T3 (ko)
MX (1) MX2016009380A (ko)
RU (1) RU2643323C1 (ko)
TR (1) TR201807372T4 (ko)
WO (1) WO20151071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2641B (en) * 2014-01-30 2016-03-09 Newbridge Brake Ltd Brake caliper
CN105465248B (zh) * 2015-12-22 2019-03-19 武汉元丰汽车零部件有限公司 制动器间隙调整装置以及气压盘式制动器
WO2018137009A1 (en) * 2017-01-25 2018-08-02 Volvo Truck Corporation Brake lining wear sensor
DE102017128594A1 (de) 2017-12-01 2019-06-0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Kombinierter Verschleiß- und Brückenhubsensor einer Scheibenbremse und eine entsprechende Scheibenbremse
DE102018104231A1 (de) 2018-02-26 2019-08-29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ensorvorrichtung und Scheibenbremse mit einer Sensorvorrichtung
DE102018120477A1 (de) * 2018-08-22 2020-02-27 Wabco Gmbh Elektronisches Bremssystem
EP3751167B1 (de) * 2019-06-11 2022-12-28 ZF CV Systems Europe BV Scheibenbremse mit einer rückstell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einer scheibenbremse
WO2020253955A1 (de) * 2019-06-19 2020-12-24 Wabco Europe Bvba Fahrzeugbremse, insbesondere nutzfahrzeug-druckluftscheibenbremse sowie druckstück für selbige
KR102644871B1 (ko) * 2019-07-16 2024-03-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US11460083B2 (en) 2020-02-03 2022-10-04 Haldex Brake Product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ing a brake component with an acoustic sensor
CN112727964B (zh) * 2021-02-24 2022-10-18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间隙自调装置及鼓式制动器
WO2023052304A1 (de) * 2021-09-28 2023-04-0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Radial-scheibenbremse für ein nutzfahrzeug
DE102021126280A1 (de) * 2021-10-11 2023-04-13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mit einer Synchronisationsmechani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4813A (ja) 1996-02-07 2000-04-18 ルーカス・インダストリーズ・パブリック・リミテッド・カンパニー ブレーキ摩耗センサ
JP2005326013A (ja) 2004-05-13 2005-11-24 Meritor Heavy Vehicle Braking Systems (Uk) Ltd ブレーキパッドの摩耗表示器
DE102012102582A1 (de) 2012-03-26 2013-09-2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mit einer senso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ermitteln von verschleiss und betätigungshub einer entsprechenden scheibenbrems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17951A1 (de) * 1990-06-05 1991-12-12 Wabco Westinghouse Fahrzeug Bremsbetaetigungseinrichtung mit einer einrichtung zum nachstellen einer bremse
DE4212387B4 (de) 1992-04-13 2004-08-26 Knorr-Bremse Ag Belagverschleißdetektor für eine druckluftbetätigte Scheibenbremse
WO1997029297A1 (en) * 1996-02-07 1997-08-14 Luca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Brake wear sensor
SE516513C2 (sv) * 2000-05-31 2002-01-22 Haldex Brake Prod Ab Skivbroms innefattande en bromsmekanism
AU2003206297A1 (en) * 2002-02-06 2003-09-02 Haldex Brake Products Ab Digital sensor
RU2265144C1 (ru) * 2004-04-28 2005-11-27 Красноя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КГТУ) Дисковый тормоз
DE102004037771A1 (de) 2004-08-04 2006-03-1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Nachstellvorrichtung für eine pneumatisch betätigte Scheibenbremse
DE102006003748B4 (de) 2006-01-26 2017-01-2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ein Nutzfahrzeug
DE102006042777B3 (de) 2006-09-12 2007-10-18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ein Nutzfahrzeug
JP2008075799A (ja) * 2006-09-22 2008-04-03 Aisin Seiki Co Ltd 直動アクチュエータ
BRPI0722118A2 (pt) * 2007-09-24 2014-04-08 Knorr Bremse Systeme Freio a disco, em particular, para um veículo utilitário
DE102010032515A1 (de) * 2010-07-28 2012-02-02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Bremsverschleisssensor einer Scheibenbremse
DE202012001863U1 (de) * 2012-02-22 2012-03-19 Haldex Brake Products Ab Scheibenbremse und Sensoreinrichtung hierfür
DE102012009900A1 (de) * 2012-05-18 2013-11-21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Verschleißnachstellvorrichtung einer Scheibenbremse und entsprechende Scheibenbremse
DE102012108672B3 (de) * 2012-09-17 2014-02-0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Nachstelleinrichtung einer Scheibenbremse, eine entsprechende Scheibenbrems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Verschleißnachstellvorrichtung einer Scheibenbrem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4813A (ja) 1996-02-07 2000-04-18 ルーカス・インダストリーズ・パブリック・リミテッド・カンパニー ブレーキ摩耗センサ
JP2005326013A (ja) 2004-05-13 2005-11-24 Meritor Heavy Vehicle Braking Systems (Uk) Ltd ブレーキパッドの摩耗表示器
DE102012102582A1 (de) 2012-03-26 2013-09-2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mit einer senso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ermitteln von verschleiss und betätigungshub einer entsprechenden scheibenbrem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03129A (ja) 2017-01-26
MX2016009380A (es) 2016-09-16
EP3097319B1 (de) 2018-03-14
CN106062407A (zh) 2016-10-26
ES2673606T3 (es) 2018-06-25
CN106062407B (zh) 2018-11-02
US20160327109A1 (en) 2016-11-10
JP6216075B2 (ja) 2017-10-18
DE102014100562B4 (de) 2019-12-19
DE102014100562A1 (de) 2015-07-23
US10801570B2 (en) 2020-10-13
WO2015107135A1 (de) 2015-07-23
TR201807372T4 (tr) 2018-06-21
RU2643323C1 (ru) 2018-01-31
EP3097319A1 (de) 2016-11-30
KR20160110480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808B1 (ko) 센서 디바이스 및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US10323707B2 (en) Vehicle disk brake
US6213255B1 (en) Adjusting device for disk brakes
CN109424676B (zh) 盘式制动器
KR101518529B1 (ko) 중심 동기화된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작동 장치
KR960001531A (ko) 자동조정 마찰토크장치
US5029687A (en) Self adjuster for pull-type clutch
CN108026994B (zh) 制动装置
US7389858B2 (en) Disk brake with adjustment device
US5350043A (en) Automatic slack adjuster
CN110410439B (zh) 致动机构
RU2743242C1 (ru) Компенсатор износа для барабанного тормоза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тормозной систем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200057784A (ko) 마모 행정 조정을 포함하는 드럼 브레이크용 스프레더 장치, 및 드럼 브레이크
KR102268683B1 (ko) 드럼 브레이크 장치
US4790413A (en) Multiple disc brake
US10663025B2 (en) Bushing assembly for a spring brake actuator of a vehicle air braking system
JP3016194B2 (ja) 自動車用摩擦クラッチのための摩耗自動補償式プレッシャプレート装置
JP3297706B2 (ja) 車両ブレーキ用自動調整機構を有するアクチュエータ
US11384807B2 (en) Brake caliper for a vehicle brake, adjuster unit, gearwheel and adjuster nut for a brake caliper
EP3676507A2 (en) Clutch cover assembly with adjustment mechanism
JPH04500847A (ja) 急速着脱式ヨーク組立体
JP3623519B2 (ja) 巻取り軸のピンと駆動軸のピンとを連結する装置
KR890002675Y1 (ko)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JP4837639B2 (ja) ブレーキ装置
SU1056374A1 (ru)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со встроенным тормоз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