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112B1 -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112B1
KR101800112B1 KR1020160024827A KR20160024827A KR101800112B1 KR 101800112 B1 KR101800112 B1 KR 101800112B1 KR 1020160024827 A KR1020160024827 A KR 1020160024827A KR 20160024827 A KR20160024827 A KR 20160024827A KR 101800112 B1 KR101800112 B1 KR 101800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clination
preloading
senso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2592A (ko
Inventor
강영선
김수경
이병용
최진수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4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112B1/ko
Publication of KR20170102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24Lifting devices for the cutter-bar
    • A01D34/243Mechanical lif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01D41/145Header l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확 시 흙이 유입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예취부제어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구동원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되는 주행부, 좌우 방향의 경사 및 전후 방향의 경사를 측정하기 위한 수평센서, 상기 수평센서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본체프레임의 수평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본체수평제어장치,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에서 예취부 승하강장치를 통하여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를 구비하는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취부제어장치는, 상기 예취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예취부 자체의 좌우 방향의 경사 및 전방 오르막 경사를 감지할 수 있는 예취부 감지수단;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에서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본체프레임의 수평조절 및 예취부의 높이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예취부의 좌우 경사에 대하여 본체프레임도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본체수평제어장치를 제어하고, 예취부의 전방 오르막 경사에 대하여 예취프레임이 상승하도록 예취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Device for control cutting portion of full feed type combine}
본 발명은 보통(풀피드)형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의 상태에 따라서 예취부를 승하강시키거나 예취부에서 감지되는 지면 상태에 기초하여 본체의 수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은 풀피드형과 하프피드형 콤바인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여기서 풀피드형 콤바인은, 보통형 콤바인이라고도 불려지는 것으로, 예취된 곡간 전체를 탈곡장치 내부로 제공하여, 탈곡 장치 내부에서의 탈곡처리를 통하여 곡립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하프피드형 콤바인은 예취된 곡간의 일부만을 탈곡장치의 내부로 공급하여 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태의 콤바인을 말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기초하면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39980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종래의 풀피드형 콤바인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풀피드형 콤바인은, 본체프레임(4)의 하부에 설치된 한 쌍의 크롤러 주행부(1)에 의하여 주행하면서, 대상물을 예취하고 예취된 곡간에서 곡립을 분리하는 탈곡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콤바인은, 주행 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위치하는 예취부(10)와, 상기 예취부(10)에 의하여 예취된 곡간에서 곡립을 탈곡하는 탈곡장치(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예취부(10)에서 예취된 곡간은 피더(11)를 통하여 탈곡장치(5)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예취부(10)는, 피더(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실린더를 통하여 일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예취부(10)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예취부(10)는, 전방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디바이더(15)에 의하여, 예취할 작물과 예취하지 않을 작물을 분리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디바이더(15)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작물은, 회전하는 레이크릴(17)에 의하여 후방으로 잡아 당겨지면서 예취날(16)에 의하여 예취된다. 이렇게 예취된 곡간은, 예취오거(18)에 의하여 피더(11)의 전방측으로 이송되고, 상기 피더(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피더컨베어(11a)에 의하여 그 후방에 위치하는 탈곡장치(5)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탈곡장치(5)의 내부에는 원통형상의 탈곡통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러한 탈곡통의 회전에 의하여 공급되는 곡간에서 곡립을 분리하는 탈곡이 수행된다.
이러한 탈곡장치(5)에서 분리된 곡립은, 도시하지 않은 스크류컨베어를 통하여 곡물탱크(6)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곡물탱크(6)은 이렇게 저장되는 곡물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반출 기구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부분은 본원과 직접 관련이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콤바인의 주행 및 예취, 그리고 탈곡은 운전석(2)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레버 등의 조작장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보통형 콤바인은 수평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본체프레임(4)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평제어장치는,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의 수평을 각각 감지하기 위한 수평감지센서와, 상기 수평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감지값에 기초하여 본체프레임(4)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보통형 콤바인에서 상술한 예취부(10)의 높이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일반적이다. 즉 한 쌍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예취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물의 예취 높이를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작물의 예취높이를 적정하게 설정해 놓더라도, 지면 상태에 따라서 예취부를 통하여 수확물과 같이 흙이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작업이 진행되는 전방에 높은 경사 부분이 있어서 예취부가 접촉하게 되거나, 좌우 방향으로 심한 경사 지역에서 예취부의 일부분이 지면과 접촉할 우려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확 시 수확물과 같이 흙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취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예취 작업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보통형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원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되는 주행부, 좌우 방향의 경사 및 전후 방향의 경사를 측정하기 위한 수평센서, 상기 수평센서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본체프레임의 수평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본체수평제어장치,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에서 예취부 승하강장치를 통하여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를 구비하는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취부제어장치는, 상기 예취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예취부 자체의 좌우 방향의 경사 및 전방 오르막 또는 내리막 경사를 감지할 수 있는 예취부 감지수단;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에서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본체프레임의 수평조절 및 예취부의 높이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예취부의 좌우 경사에 대하여 본체프레임도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본체수평제어장치를 제어하고, 예취부의 전방 오르막 또는 내리막 경사에 대하여 예취프레임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예취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예취부 감지수단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단부가 예취부의 저면에 지지축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는 지면에 접촉하는 한 쌍의 센서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센서플레이트가 지면에 대하여 회동함에 따르는 지지축의 회동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예취작업이 진행 중인 지면이 좌우 경사인 경우, 본체프레임을 이에 대응하도록 높이 조절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인 높이에서 예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면과 평행 상태로 예취부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예취부의 조작 작업에 의하여, 예취 작업 시 흙이 콤바인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플레이트에 의하여 감지되는 감지값을 기초로 하여, 예취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 전방에서 높은 경사지역으로 진입하는 경우에은는 이와 같이 예취부를 상방으로 올리는 것에 의하여, 예취부가 지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렇게 예취부의 지면 접촉을 방지하는 것은 지면과의 접촉에 의하여 흙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예취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콤바인의 기본적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콤바인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보통(풀피드)형 콤바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콤바인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엔진 등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면에 설치되어 엔진의 동력에 의하여 주행하는 주행부(예를 들면 크롤러 주행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콤바인은 주행부에 대한 본체프레임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수평센서(전후 방향의 경사를 감지하는 센서와 좌우 방향의 경사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수평센서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다수의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본체수평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콤바인의 수평제어는 실질적으로 현재의 많은 제품에 적용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어서, 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취부(100)는 주행부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도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다. 예를 들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예취부(100)는 지면에 대하여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이러한 부분은 오래 전부터 공지된 것임과 동시에 현재 대부분의 콤바인에 적용되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콤바인의 본체수평 제어장치라고 함은, 종래부터 콤바인에 적용되는 다수의 수평센서에서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다수의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으로, 지면에 접촉상태로 지지되는 주행부에 대하여 본체프레임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예취부의 승하강장치라고 함은, 예취부에 설치되어 본체프레임에 대하여 예취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장치로 정의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콤바인의 예취부(100)는, 작물의 줄기를 절단하기 위한 예취날(110)과, 상기 예취날(110)에 의하여 절단된 작물을 피더(180)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예취오거(도시 없음)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예취부(100)는 작물을 잡아당기기 위한 레이크릴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예취날(110)은 레이크릴에 의하여 당겨진 작물의 줄기를 절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취날(110)은 물론이고, 도시하지 않은 예취오거 및 레이크릴 등도 예취프레임(120)에 의하여 지지된다. 여기서 예취프레임(120)이라고 함은, 선단에 디바이더(124)가 설치되어 있는 측벽(122)과 상기 측벽을 연결하는 연결부분 등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예취날(110)도 실질적으로는 예취프레임(120)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동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예취프레임(120)의 저면에는 스키드(15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스키드(150)는 실질적으로 예취부(100)의 하한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취부(10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스키드(150)가 가장 빨리 하강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스키드(150)가 예취부의 가장 하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콤바인에서의 예취부(100)는,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풀피드형 콤바인에서는, 예취날(110)에 의한 작물의 예취 시 그 높이를 정하기 위하여, 예취부(100) 자체를 본체프레임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예취부 승하강장치를 구비하고 있음도 상술한 바와 같은데, 여기서 예취부(100)가 예취부 승하강장치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면, 상기 스키드(150)가 가장 먼저 지면에 접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취프레임(120)의 하부에 예취되는 작물이 있는 지면의 경사도를 측정하기 위한 한 쌍의 센서플레이트(Sa,S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서플레이트(Sa,Sb)는, 예취프레임(120)의 저면에 지지되는 지지축(Ss)에 연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Ss)에는 센서브라켓(138)이 연결되어 있어서, 지지축(Ss)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센서브라켓(138)도 회전 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브라켓(138)에는 센서레버(136)가 접촉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지지축(Ss)의 회전은 센서브라켓(138)을 통하여 센서레버(136)에 전달된다. 그리고 센서레버(136)는 센서(13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센서레버(136)의 회동 각도는 센서(130)에 의하여 측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정리하면, 상기 센서(130)는, 센서레버(136), 센서브라켓(138)을 통하여, 센서플레이트(Sa,Sb)에 의한 지지축(Ss)의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센서플레이트(Sa,Sb)의 상단부는 지지축(Ss)과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센서플레이트(Sa,Sb)의 하단부는 지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예취작업이 진행되면 상기 센서플레이트(Sa,Sb)는 실질적으로 예취작업이 진행 중인 재배지의 좌우 경사도 및 전후 방향 경사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Ss)을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센서플레이트(Sa,Sb)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 즉 상부로 회동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플레이트(Sa,Sb)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별도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센서플레이트(Sa,Sb)를 지지축(Ss)을 중심으로 하단부를 상방으로 회동 시켜서 그 상태로 다른 작업 또는 주행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 3 및 도 4를 같이 참조하면서, 상기 센서플레이트(Sa,Sb)의 기능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센서플레이트(Sa,Sb)를 한 쌍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좌우 방향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각각의 센서플레이트(Sa,Sb)는 각각 별도의 센서(138,139)(도 4 참조)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 예취 작업이 진행 중인 지면의 좌우 경사도를 충분히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취프레임(120)의 지지축(Ss)에 연동하는 센서플레이트(Sa,Sb)는, 각각 지면과의 접촉에 의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게 되는데, 좌우측의 센서플레이트(Sa,Sb)가 들리는 각도의 차이가 있으면 이에 기초하여 센서(138,139)의 감지값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실질적으로 좌우 방향의 경사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센서(138,139)의 감지값의 차이가 크면 좌우 경사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감지값의 차이가 작으면 좌우 경사의 차이가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플레이트(Sb) 및 센서(138)과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플레이트(Sa) 및 센서(139)에서 각각 감지하는 감지값의 차이에 기초하면, 실질적으로 예취작업이 진행 중인 재배지의 좌우 경사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센서플레이트(Sa,Sb) 및 센서(138,139)를 이용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 경사도를 파악하는 것 이외에도, 진행 방향에 대하여 오르막 및 내리막 경사도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두 개의 센서플레이트(Sa,Sb)가 동일하게 들려 올라가게 되고, 이를 센서(138,139)에서 감지하게 되면 현재 예초부(120)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이 전방으로 높아지는 경사지역임을 알 수 있고, 그 반대인 경우에는 전방이 낮아지는 경사 지역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 쌍의 센서플레이트(Sa,Sb)와 관련된 콤바인의 제어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한 쌍의 센서플레이트(Sa,Sb)에서 감지되는 각각의 감지값은, 센서(138,139)에 각각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138,139)에서의 감지값을 전송 받은 제어부(180)는, 현재의 재배지의 경사 상태에 따라서 콤바인의 본체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종래부터 콤바인에 장착되어 있던 수평센서(좌우 경사센서 및 전후 경사센서로 구성)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콤바인의 본체수평 제어장치(192)를 제어함으로써 본체의 수평유지 제어도 가능하다.
먼저 예취작업이 수행되는 장소가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경우, 두 개의 센서플레이트(Sa,Sb)는 각각 다른 값을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예취부(100)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주행부의 위치와는 엄격하게 구분된다)이 경사진 상태임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예취부(120)가 위치하는 예취 지역이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지역인 경우, 본체프레임을 예취부(120)와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수평 방향에서의 제어가 필요하다.
여기서의 수평제어는 실질적으로 예취부(100)를 기준으로 하여 예취 작업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수평제어를 의미하는 것이다. 즉, 상기 한 쌍의 센서플레이트(Sa,Sb)에 의하여 감지되는 것은 주행부의 위치가 아니라 예취작업을 수행하는 예취부의 위치하고, 이러한 예취부의 좌우 경사에 대하여 본체프레임도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좌우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의 예취부에 대응하도록, 본체프레임도 본체수평제어장치(192)를 통하여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체수평제어장치(192)는, 주행부에 대하여 본체프레임의 수평 방향으로의 경사 조절을 위하여, 다수 개의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예취부(100)에서 감지되는 좌우 경사도에 기초하여, 본체를 예취부의 경사도와 동일하게 경사지게 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예취부(100)는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예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록 지면은 경사진 상태라고 하더라도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예취부(100)를 유지하면서 작업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예취 시 지면과의 접촉 및 이로 인하여 흙이 수확물에 혼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예취프레임(120)의 저면에서 지지축(Ss)와 같이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한 쌍의 센서플레이트(Sa,Sb)의 동작(감지)에 기초하여, 본체프레임의 경사를 예취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상기 센서플레이트(Sa,Sb) 및 센서(138,139)의 기본적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은, 실질적으로 흙이 수확물에 포함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인 예취 효율을 향상시키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플레이트(Sa,Sb)의 두 번째 기능은, 주행하고 있는 콤바인이 높아지는 경사지역인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주행 방향에 대하여, 점점 높아지는 경사지역에 들어서게 되면, 한 쌍의 센서플레이트(Sa,Sb)는 같이 지면과 접촉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센서(138,139)는, 이러한 센서플레이트(Sa,Sb)에 대응하는 감지값을 제어부(180)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이 높은 경사임을 인지하고, 예취부 승하강장치(190)를 제어하여 예취부를 가능하면 높은 위치로 상승시킨다. 이렇게 예취부를 상승시키는 것은, 예취부(120)가 높아지는 지면과 접촉하여 흙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센서플레이트(Sa,Sb)의 두 번째 기능은 전방에서 높아지는 경사면이 있음을 감지하여 제업(180)에 알리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낮아지는 경사면에 대해서도 동일한 기능을 가질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센서플레이트(Sa,Sb)와 관련된 본 발명의 제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센서플레이트(Sa)와 관련된 제어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어부(180)는 수평센서(182)에서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본체수평 제어장치(192)를 구동시킴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한 쌍의 센서플레이트(Sa,Sb) 및 센서(138,139)를 이용하여 예취부의 수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실질적으로는 수평센서(182)를 이용한 본체프레임의 수평제어를 오프한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플레이트(Sa,Sb)의 동작에 시작되거나 이에 의한 예취부 수평제어가 시작되기 전에, 수평센서(182)를 이용한 본체프레임의 수평제어 기능은 오프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취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센서플레이트 및 센서를 이용하여, 수확 시 흙이 유입되지 않도록 예취부를 제어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예취부
110 ..... 예취날
120 ..... 예취프레임
122 ..... 측벽
124 ..... 디바이더
130 ..... 예취오거
136 ..... 센서브라켓
138 ..... 센서레버
139, 138 ..... 센서
150 ..... 스키드
180 ..... 제어부
182 ..... 수평센서
190 ..... 예취부 승하강장치
192 ..... 본체수평 제어장치

Claims (2)

  1. 구동원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되는 주행부, 좌우 방향의 경사 및 전후 방향의 경사를 측정하기 위한 수평센서, 상기 수평센서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본체프레임의 수평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본체수평제어장치,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에서 예취부 승하강장치를 통하여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를 구비하는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예취부 자체의 좌우 방향의 경사 및 전방 오르막 또는 내리막 경사를 감지할 수 있는 예취부 감지수단;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에서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본체프레임의 수평조절 및 예취부의 높이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예취부의 좌우 경사에 대하여 본체프레임도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본체수평제어장치를 제어하고, 예취부의 전방 오르막 또는 내리막 경사에 대하여 예취프레임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예취부를 제어하고;
    상기 예취부 감지수단은, 상단부가 예취부의 저면에 지지축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는 지면에 접촉하는 좌우 한 쌍의 센서플레이트와, 상기 센서플레이트가 지면에 대하여 회동함에 따르는 지지축의 회동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는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





  2. 삭제
KR1020160024827A 2016-03-02 2016-03-02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 KR101800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827A KR101800112B1 (ko) 2016-03-02 2016-03-02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827A KR101800112B1 (ko) 2016-03-02 2016-03-02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592A KR20170102592A (ko) 2017-09-12
KR101800112B1 true KR101800112B1 (ko) 2017-11-21

Family

ID=5992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827A KR101800112B1 (ko) 2016-03-02 2016-03-02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1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714B1 (ko) 2019-11-01 2020-03-06 함영철 콤바인용 왕복동 예취날 수평제어장치
KR20210049315A (ko) * 2019-10-25 2021-05-06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추수확기용 시뮬레이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1676B2 (ja) 2009-12-01 2014-02-12 株式会社クボタ 作物収穫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1676B2 (ja) 2009-12-01 2014-02-12 株式会社クボタ 作物収穫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315A (ko) * 2019-10-25 2021-05-06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추수확기용 시뮬레이터
KR102349098B1 (ko) 2019-10-25 2022-01-1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추수확기용 시뮬레이터
KR102085714B1 (ko) 2019-11-01 2020-03-06 함영철 콤바인용 왕복동 예취날 수평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592A (ko) 201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112B1 (ko)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
JP2005304399A (ja) コンバインの走行車台制御装置
JP5756070B2 (ja) コンバイン
JP2012010680A (ja) コンバイン
KR0127879B1 (ko) 콤바인의 곡물줄기 운송구조
JP5962685B2 (ja) コンバイン
JP3347979B2 (ja) コンバインのローリング制御装置
JP7386410B2 (ja) コンバイン
JP2014054188A (ja) 作業車両
JP3518924B2 (ja) コンバインのセカンドモア昇降制御装置
JP2006075113A (ja) コンバイン
JP3316672B2 (ja) コンバイン
JP2021052631A (ja) コンバイン
JP5954478B2 (ja) コンバイン
JPH0711561Y2 (ja) コンバインの姿勢制御装置
JP2023033981A (ja) 収穫機械の制御方法、収穫機械用制御プログラム、収穫機械用制御システム及び収穫機械
JP2004135585A (ja) コンバイン
JP2010075125A (ja) コンバインの刈取昇降制御装置
JP2004135584A (ja) コンバイン
JP6032194B2 (ja) コンバイン
JP2758293B2 (ja) コンバインの刈高制御装置
JP2000220486A (ja)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17099298A (ja) コンバイン
JPH11346536A (ja) コンバイン等の扱深さ制御装置
JP2019129724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