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916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916B1
KR101790916B1 KR1020167032020A KR20167032020A KR101790916B1 KR 101790916 B1 KR101790916 B1 KR 101790916B1 KR 1020167032020 A KR1020167032020 A KR 1020167032020A KR 20167032020 A KR20167032020 A KR 20167032020A KR 101790916 B1 KR101790916 B1 KR 101790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person
information
refrigerator
ad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2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460A (ko
Inventor
가즈히로 후루타
유우키 마루타니
다쿠야 마시모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92Nutr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ublic Health (AREA)
  • Fina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실시형태에 의한 냉장고는 사람의 생체정보를 취득하는 생체정보 취득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식재료를 저장하는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하여 섭취 칼로리를 조정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 그런데,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섭취 칼로리를 조정할 뿐만 아니라, 그 사람의 건강상태를 추측 가능한 예를 들어 체중이나 혈압, 안색 등의 생체정보를 관리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체중계나 혈압계 등의 측정기를 의식적으로 사용하여 생체정보를 관리하는 것은 계속하기 어려워, 장기간 이어가기 어렵다는 것이 실정이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164054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12738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람이 의식하지 않고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고, 생체정보의 관리를 계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실시형태에 의한 냉장고는 사람의 생체정보를 취득하는 생체정보 취득수단을 구비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전기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의한 측정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생체정보의 알림형태를 도시한 도면 중 그 1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생체정보의 알림형태를 도시한 도면 중 그 2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의한 어드바이스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의 어드바이스의 알림형태를 도시한 도면 중 그 1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의 어드바이스의 알림형태를 도시한 도면 중 그 2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의한 측정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의한 어드바이스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복수의 실시형태에 의한 냉장고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 공통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1)의 본체(2)의 내부에는 상부로부터 차례로, 식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인 냉장실(3), 야채실(4), 제빙실(5)과 상부 냉동실(6), 및 하부 냉동실(7)이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3) 및 야채실(4)과, 제빙실(5) 및 상부 냉동실(6) 사이는 단열 칸막이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냉장실(3)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위 양쪽 개방식 문(3a)에 의해 좌우 한쪽씩 개폐되고, 야채실(4), 제빙실(5), 상부 냉동실(6) 및 하부 냉동실(7)은 서랍식 문(4a), 문(5a), 문(6a) 및 문(7a)에 의해 각각 개폐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예를 들어 키친 등, 사람이 생활할 때 반드시 이용하는 장소(통과하는 장소)인 소위 생활동선내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3)의 후방에는 냉장실(3)이나 야채실(4)을 냉각하기 위한 냉장용 냉각기(8)와, 상기 냉장용 냉각기(8)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냉장용 팬(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빙실(5)의 후방에는 제빙실(5), 상부 냉동실(6) 및 하부 냉동실(7) 등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용 냉각기(10)와, 상기 냉동용 냉각기(10)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냉동용 팬(11)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냉장용 냉각기(8) 및 냉동용 냉각기(10)는 하부 냉동실(7)의 후방의 기계실(12)에 배치되어 있는 컴프레서(13)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컴프레서(13)는 냉장용 냉각기(8) 및 냉동용 냉각기(10)와 함께, 주지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냉장고(1)의 구성은 일례이고, 예를 들어 상부 냉동실(6)이 냉장과 냉동을 전환 가능한 전환실이거나, 야채실(4)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등, 각 저장실의 배치순 등이 달라도 좋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3)의 좌측의 문(3a)에는 조작패널(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패널(14)은 표시부(15) 및 조작 스위치(16)를 갖고 있다. 표시부(15)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기나 유기EL표시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냉장고(1)에 관한 각종 정보를 문자나 그래프 등을 사용하여 표시한다. 조작 스위치(16)는 기계식 스위치나 터치패널식 스위치 등의 복수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고, 사람(본 실시형태의 경우, 냉장고(1)가 설치되어 있는 주택의 주인)으로부터의 냉장고(1)에 대한 각종 설정조작이 입력된다. 또한, 조작패널(14)의 표시부(15)는 후술한 바와 같이, 건강상태를 추측 가능한 예를 들어 체중이나 혈압, 안색 등의 생체정보를 알리기 위한 알림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냉장실(3)의 우측 문(3a)에는 사람감지센서(17)(사람검지수단을 구성함), 촬상 카메라(18)(생체정보 취득수단, 식별수단, 사람검지수단을 구성함), 비접촉 체온 센서(19)(생체정보 취득수단을 구성함)가 설치되어 있다. 사람감지센서(17)는 예를 들어 적외선이나 가시광, 초음파 등을 검출하는 검출기(또는, 그 검출기를 조합한 것)를 갖고 있고, 냉장고(1)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람을 검지한다. 사람감지센서(17)는 예를 들어 일정시간 연속하여 검지한 경우(즉, 사람을 복수회 검지한 경우)에 사람을 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거리를 계측 가능하게 하여, 냉장고(1)에 접근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사람을 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촬상 카메라(18)는 예를 들어 CCD나 CMOS 등의 촬상소자를 갖고 있고, 사람의 얼굴 화상을 촬상한다. 얼굴 화상은 안색으로부터 혈류상태를 추측하거나, 표정으로부터 스트레스를 추측하거나, 형상(얼굴 윤곽의 변화나 부종의 유무)의 변화로부터 컨디션의 변화나 비만도 등을 추측하는 등, 건강상태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취득 가능한 생체정보이다. 또한, 촬상 카메라(18)는 촬상한 화상을 화상처리함으로써 개인을 식별하거나, 사람의 신장의 측정에도 사용된다. 사람의 신장은 얼굴 화상을 촬상할 때, 미리 정해져 있는 촬상 카메라(18)의 위치와, 상기 위치에 대한 화상처리에 의해 구한 사람의 머리 위치와의 비교 등에 의해 측정된다. 이 때문에, 촬상 카메라(18)는 사람의 신장 차에 어느 정도 대응하기 위해, 그 시야 방향을 상하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비접촉 체온센서(19)는 사람의 체온을 비접촉으로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접촉 체온센서(19)는 적외선 검출기를 갖고 있고, 촬상 카메라(18)의 촬상대상이 되는 사람의 이마부분을 측정 포인트로 하여 체온을 검출한다. 또한, 비접촉 체온센서(19)는 촬상 카메라(18)에 맞추어 그 측정 포인트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람감지센서(17), 촬상 카메라(18) 및 비접촉 체온센서(19)를 개별적으로 설치했지만, 예를 들어 사람감지센서(17)와 비접촉 체온센서(19)를 겸용하는 구성이나, 촬상 카메라(18)와 사람감지센서(18)를 겸용하여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사람을 검지하는 구성, 또는 소위 적외선 카메라를 채용하여 비접촉 체온센서(19)와 겸용하는 구성 등이어도 좋다. 또는, 조작패널(14)에 대하여 조작이 실시되었을 때 사람을 검지했다고 판정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냉장실(3)의 문(3a)의 하단측의 부위, 즉 사람이 문(3a)의 개폐조작을 실시할 때 손을 접촉하는 손잡이가 되는 부위에는 개폐조작이 실시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개폐센서(20)(도 3 참조. 개폐조작 검지수단, 사람검지수단을 구성함)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문에 대한 개폐조작」이라는 것은 본 실시형태의 경우, 문(3a)을 열기 위해 문(3a)의 손잡이에 접촉된 상태를 상정하고 있다. 즉, 개폐센서(20)는 사람이 문(3a)에 접촉된 것, 즉 냉장고(1) 앞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검지 가능해져 있다. 즉, 개폐센서(20)는 사람검지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이 개폐센서(20)는 예를 들어 손잡이에 설치된 정전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3)의 우측 문(3a)에는 복합센서 상위기기(21)가 설치되고, 좌측 문(3a)에는 복합센서 하위기기(2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복합센서 상위기기(21) 및 복합센서 하위기기(22)는 모두 문(3a)의 손잡이 가 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합센서 상위기기(21) 및 복합센서 하위기기(22)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람이 문을 조작할 때 접촉하는 위치이면, 야채실(4)의 문(4a) 등, 다른 위치에 설치해도 좋다. 복합센서 상위기기(2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압센서(23), 혈류센서(24), 심박수 센서(25), 접촉식 체온센서(26) 및 체지방률 센서(27)의 제1 전극(모두 생체정보 취득수단을 구성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복합센서 상위기기(21)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사람의 손 형태에 적합한 형상, 또한 문(3a)의 개폐조작을 실시할 때 예를 들어 가운데 손가락을 삽입 가능한 구멍부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혈압센서(23)는 구멍부에 손가락끝이 삽입되면, 구멍부에 설치되어 있는 벨트(소위 커프)로 혈관을 압박한 후에 개방하고, 벨트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에서 압력(커프압)을 계측함으로써 혈압을 간접적으로 측정한다. 혈류센서(24)는 주지의 레이저식이나 초음파식 또는 적외선 방식 등의 혈류계이고, 손가락끝에서의 혈류를 계측한다. 심박수 센서(25)는 손잡이에 설치되어 있는 전극에 손가락끝이 접촉되었을 때, 소위 심전도를 계측함으로써 심박수를 계측한다. 또한, 적외선식 혈류센서(24)와 겸용하여, 혈류 및 심박수를 동시에 계측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손가락 끝이 아니라 손잡이에 접촉되어 있는 손바닥을 계측대상으로 하는 구성 등이어도 좋다.
접촉식 체온센서(26)는 예를 들어 서미스터를 갖고 있고, 손잡이에 접촉하고 있는 손가락끝의 온도를 계측함으로써 사람의 체온을 측정한다. 또한, 접촉식 체온센서(26)를 적외선 검출기로 구성하고, 손가락끝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체온을 측정하는 것이어도 물론 좋다. 체지방률 센서(27)는 복합센서 상위기기(21)측의 제1 전극과, 복합센서 하위기기(22)의 제2 전극을 갖고 있고, 사람이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쌍방에 접촉되었을 때, 전극간에 미약한 전류를 흘려 생체 임피던스를 계측함으로써 체지방률을 측정한다. 냉장고(1)의 전방측의 바닥면, 즉 냉장고(1)를 이용하는 사람이 선 위치에 대응하여, 체중센서(28)(소위 체중계. 생체정보 취득수단을 구성함)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1)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내를 촬상하는 제1 고내 카메라(29) 및 제2 고내 카메라(30)(모두 식재료 정보 취득수단을 구성함)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고내 카메라(29)는 냉장실(3) 내를 촬상하고, 제2 고내 카메라(30)는 야채실(4) 내를 촬상한다. 이들 제1 고내 카메라(29) 및 제2 고내 카메라(30)에서 촬상된 화상은 식재료 판별부(52)(도 3 참조)에서 해석되고, 저장되어 있는 식품의 종류나 저장량 등의 식재료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카메라의 수나 배치, 및 촬상대상의 저장실은 도 2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야채실(4)이 없는 경우에는 제2 고내 카메라(30)를 설치하는 대신 냉장실(3)내에 복수의 카메라를 설치하거나, 냉동실을 촬상하는 카메라를 설치하는 등, 냉장고(1)의 구성에 맞추어 적절하게 선택하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의 냉장고(1)는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제어부(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41), ROM(42) 및 RAM(43)을 갖는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ROM(42) 등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서 냉장고(1)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부(40)는 계시수단으로서의 실시간 클럭(이하, RTC(44)라고 부름)을 갖고 있고, 시각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취득 가능한 시각정보에는 시간, 날짜, 요일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제어부(40)는 기억부(45) 및 통신부(46)에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45)는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나 HDD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생체정보 취득수단에서 취득한(측정한) 생체정보를 기억한다. 상기 기억부(45)는 생체정보와, 상기 생체정보를 측정한 시각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기억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통신부(46)는 외부의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위 무선 LAN에 의한 무선통신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통신부(46)는 도시하지 않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등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상당하는 소위 인터넷(47)에 접속한다. 또한, 통신부(46)는 유선통신방식이어도 좋다. 인터넷(47)에는 외부의 장치에 상당하는 서버(48)가 접속되어 있고, 냉장고(1)는 통신부(46)를 통하여 서버(48)와의 사이에서 각종 정보의 통신을 실시한다. 상기 서버(48)는 예를 들어 병원이나 가정의 또는 복지서비스회사 등, 생체정보를 개선하기 위한 지식을 가진 사람이나 조직, 또는 스포츠센터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등, 생체정보를 계속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응원 또는 지원하는 사람이나 조직 등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40)는 개인 식별부(50)(개인식별수단을 구성함), 생체정보 해석부(51)(생체정보 해석수단을 구성함), 식재료 판별부(52)(식재료 정보 취득수단을 구성함), 어드바이스 생성부(53)(어드바이스 생성수단을 구성함), 및 측정 설정부(54)를 갖고 있다. 이들 각 부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CPU(41)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되어 있다. 또한, 하드웨어적으로 실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냉장고(1)의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수단과, 생체정보의 측정이나 외부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따로따로 설치하는 구성(예를 들어, 생체정보의 측정기능을 냉장고(1)의 옵션기능으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개인 식별부(50)는 촬상 카메라(18)로 촬상한 얼굴 화상을 화상처리하고, 소위 얼굴 인증을 실시함으로써 개인을 식별한다. 또한, 얼굴 인증에는 주지 또는 공지의 기술을 채용하면 좋지만, 예를 들어 촬상한 얼굴 화상으로부터 눈, 코, 입 등의 위치나 크기, 얼굴 윤곽 등의 각 부위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미리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대조 확인하는 등에 의해, 개인을 식별하는 것 등이 생각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예를 들어 「어머니」나 「아버지」등 개인의 명칭이나 연령 등, 및 일상의 운동강도나 스포츠 이력 등, 생체정보를 해석·평가하는 때에 참조하기 위한 정보(이하, 식별정보라고 부름)가 등록되어 있다. 상기 식별정보의 등록은 예를 들어 조작패널(14)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실시된다.
생체정보 해석부(51)는 취득한 생체정보와 등록되어 있는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생체정보를 해석한다. 구체적으로는 생체정보 해석부(51)는 예를 들어 신장과 체중의 비율(BMI 지수 등)이나 체중의 변화율, 혈압 등으로부터, 생체정보가 당사자에게 있어 적절한 값이나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지 등을 해석한다. 또한, 생체정보의 해석은 생체정보를 참조한 의사나 인스트럭터 등에 의해, 서버(48)측에서 실시해도 좋다.
식재료 판별부(52)는 제1 고내 카메라(29) 및 제2 고내 카메라(30)에서 촬상한 고내의 화상에 기초하여 식재료 정보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식재료 판별부(52)는 취득한 화상으로부터 식재료에 기재되어 있는 명칭을 추출하거나, 식재료가 보존되어 있는 용기의 내용량을 계측함으로써, 식재료의 종류나 저장량 등의 식재료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카메라 대신 식재료의 중량을 계측하는 센서나, 소정의 위치에 식재료가 수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센서 등을 설치하고, 이 센서의 검지결과에 기초하여 식재료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어드바이스 생성부(53)는 생체정보의 해석결과에 기초하여, 또한 식재료 정보를 참조하여 생체정보를 개선하기 위한 어드바이스, 즉 건강관리를 위한 어드바이스를 생성한다. 어드바이스 생성부(53)는 예를 들어 혈압이 높다는 해석결과가 얻어진 경우, 예를 들어 혈압의 상승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염분을 절제하고, 단백질, 칼륨, 마그네슘, 칼슘 등을 균형있게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는 점에서, 단백질, 칼륨, 마그네슘, 칼슘, 염분에 대해서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계수 Pt, Kt, Mgt, Cat, St에 의해 정하고, 또한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은 계산식에 기초하여, 혈압상승 억제효과값을 구하고 있다. 또한, 염분은 혈압을 상승시키므로 다음의 식 (1)에서는 염분에 대해서는 감산하도록 하고 있다.
[혈압상승 억제효과 값 = (함유 단백질량 - 단백질량의 표준값) x Pt + (함유 칼륨량 - 칼륨량의 표준값) x Kt + (함유 마그네슘량 - 마그네슘량의 표준값) x Mgt + (함유 칼슘량 - 칼슘량의 표준값) x Cat - (함유 염분량 - 염분량의 표준값) x St] ..............................................................(1)
또한, 안색이 나쁘고 빈혈기미가 있다는 해석결과가 얻어진 경우, 어드바이스 생성부(53)는 빈혈을 예방하기 위한 어드바이스를 생성한다. 빈혈의 예방에는 철분을 섭취하는 것이 효과적인 한편, 철분의 인체에 대한 흡수를 돕는 성분과 방해하는 성분이 있으므로, 식재료에 따라서는 예방효과가 감소되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C나 단백질은 철분의 흡수를 돕는 한편, 탄닌은 철분의 흡수를 방해하는 작용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어드바이스 생성부(53)는 철분, 비타민C, 단백질, 탄닌에 대해서, 빈혈방지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계수 Feh, Vch, Ph, Th를 정하고, 또한 다음의 식 (2)와 같은 계산식에 기초하여 빈혈예방 효과값을 구하고 있다.
[빈혈예방 효과값 = 함유 철분량 x Feh + 함유 철분량 x (함유 비타민 C량 - 비타민 C량의 표준값) x Vch + 함유 철분량 x (함유 단백질량 - 단백질량 표준값) x Ph - 함유 철분량 x (함유 탄닌량 - 탄닌량의 표준값) x Th] .........(2)
그리고, 어드바이스 생성부(53)는 구한 혈압억제효과값이나 빈혈예방효과값을 달성 가능한 식재료의 종류나 사용량, 또는 이를 사용한 요리의 레시피 등을 식생활에 관한 어드바이스로서 생성한다. 또한, 어드바이스 생성부(53)는 예를 들어, 「염분을 절제합시다」, 「철분을 취합시다」, 「체중이 증가 경향에 있으므로 운동에 유의합시다」라는 직접적으로는 식재료를 포함하지 않는 정보의 제시나, 「철분은 간에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차는 철분의 섭취를 저해할 우려가 있습니다」라는 식재료 그자체의 제시, 또는 후술한 바와 같이 「간이 없으므로 구입합시다」라는 현시점에서는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은 생체정보를 개선하기 위해 도움이 되는 식재료를 구입하는 제안 등도, 본 실시형태에서 상정하고 있는 어드바이스에 물론 포함되어 있다. 생성된 어드바이스는 표시패널의 표시부(15)에 표시되어 사람에게 알린다.
측정설정부(54)는 생체정보를 측정할 때의 측정조건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혈압센서(23), 혈류센서(24), 심박수 센서(25), 접촉식 체온센서(26) 및 체지방률 센서(27)로 복합센서를 구성하고 있지만, 혈압센서(23)가 항상 작동하면, 문을 조작할 때마다 매회 벨트에 의해 조여져, 번거로움을 느끼는 것도 상정된다. 그 때문에, 측정 설정부(54)는 측정대상이 되는 생체정보의 측정조건을 설정한다.
측정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 측정대상이 되는 생체정보를 각자 설정한다.
- 얼굴 화상이나 비접촉 체온센서(19) 등과 같이 측정에 사람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나, 접촉식 체온센서(26) 등과 같이 즉석에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매회 측정한다.
- 측정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 혈압센서(23)나 체지방률 센서(27) 등과 같이, 사람의 동작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것에 대해서는 사람의 지시에 기초하여 측정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조작패널(14)에 측정 스위치 등을 설치하고, 사람이 측정 스위치를 조작했을 때 측정을 개시하는 것 등이 생각된다.
- 측정하는 시각을 생활패턴에 맞춘 특정 범위나 특정 요일 등으로 한다.
- 식사 준비중 등 냉장고(1)를 복수 회 이용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전회의 측정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측정하지 않고, 또는 최초의 측정결과를 채용한다.
등이 생각된다. 또한, 상기한 측정조건은 일례이고,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냉장고(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냉장고(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실을 갖고 있으므로, 조리를 실시할 때 매일 이용하는 것이고, 일상생활에서 거의 반드시 들러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사람의 생활사이클은 대개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되는 점에서, 사람은 매일 거의 동일한 시각에 냉장고(1)를 이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예를 들어 냉장고(1)의 문을 개폐하는 경우, 냉장고(1)가 설치되어 있는 방의 배치나 문의 개폐방향 등에 따라서, 사람은 대개 동일한 자세가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거의 매일, 어느 정도 정해진 시각에, 거의 동일한 자세로 사람이 냉장고(1)의 부근에 존재한다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생활동선내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1)에서 생체정보를 측정 가능하게 하는 것은 그 자체가 생활정보를 계속적으로 측정하는 동기부여가 된다.
이하, 생체정보의 측정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처리는 상기한 각 부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지만,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냉장고(1)를 주체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식별정보 등의 등록은 이미 실시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측정설정부(54)에서 상기에 예시한 모든 생체정보를 측정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냉장고(1)는 도 4에 도시한 측정처리를 실행하고 있고, 냉장실(3)의 문에 대한 개폐조작이 실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A1). 본 실시형태에서 냉장실(3)의 문을 검지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은 냉장실(3)의 문에 대한 개폐조작이면 사람이 거의 정면을 향하고 있는 상태, 즉 얼굴이 촬상 카메라(18)측을 향하고 있고, 얼굴 화상을 정면으로부터 촬상 가능한 상태이며, 또한 사람이 선 위치 및 그 자세가 거의 동일해진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즉, 개폐센서(20)는 사람검지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개폐센서(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손잡이에 접촉된 것을 검지하고 있으므로, 개폐조작이 실시되었을 때 사람은 냉장고(1)의 정면측에 서 있는 것이 된다.
계속해서, 냉장고(1)는 사람의 얼굴 화상을 취득한다(A2). 상기 단계(A2)에서는 얼굴 화상의 취득은, 안색이나 부종 등의 생체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또한 얼굴인증에 의해 개인을 식별하기 위해 실시되고 있다. 그 때문에, 얼굴 화상을 취득하면 얼굴인증에 의해 개인을 식별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A3). 이 때, 개인을 식별할 수 있으면(A3: 예), 측정조건을 기억부(45) 등으로부터 판독한 후(A4), 시각정보를 취득한다(A5). 한편, 개인을 식별할 수 있으면(A3: 아니오), 직접 단계(A5)로 이행한다. 이는 등록이 이루어져 있지 않아도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개인을 식별할 수 있었던 것으로 한다.
시각정보를 취득하면, 냉장고(1)는 생체정보를 측정한다(A6). 이 단계(A6)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체온, 혈압, 혈류, 심박수, 체지방률의 측정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단계(A6)에서 다시 얼굴 화상을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이때, 체지방률과 같은 복수 부분(제1 전극과 제2 전극)에의 접촉을 필요로 하는 측정을 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그 항목에 대해서는 미측정으로 해도 좋고, 표시나 음성에 의해 접촉을 재촉하도록 해도 좋다.
생체정보의 측정이 끝나면, 냉장고(1)는 측정결과를 알린다(A7). 구체적으로는 냉장고(1)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결과를 표시부(15)에 표시하여 알린다. 도 5의 경우, 표시부(15)에는 명칭(「어머니」)이나 연령 등의 식별정보, 신장, 체중, 체지방률, 혈압, 체온 등의 생체정보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결과표시영역(M1), 전날의 측정결과와의 비교 등의 해석결과를 나타내는 비교표시영역(M2)이 설치되어 있다. 비교표시영역(M2)에서는 전날과의 비교로서, 상방향의 화살표(↑)는 전날과 비교하여 상승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우측방향의 화살표(→)는 전날과 비교하여 변화가 없는 것을 나타내며, 하방향의 화살표(↓)가 전날과 비교하여 하강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시부(15)에는 생체정보를 해석한 결과에 기초하는 전반적인 건강상태에 대한 코멘트(도 5의 경우, 「양호」)를 표시하는 코멘트 영역(M3)도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번과 같이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래프 표시 버튼(M4)이 조작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과표시영역(M1)이, 예를 들어 주간의 생체정보의 이력을 표시하는 이력표시영역(M7)으로 전환된다. 또한, 이력표시영역(M7)에 표시하는 생체정보는, 체중이나 체지방률에 한정되지 않고, 기초체온의 변화그래프나 한달전의 얼굴 화상과의 비교 등, 다른 항목도 표시 가능하다. 이 때, 표시하는 항목은 사람이 설정 가능한 것으로 해도 좋다. 이 이력표시영역(M7)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되돌아가기 버튼(M6)이 조작되면, 도 5에 도시한 표시형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냉장고(1)는 측정한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린다.
계속해서, 냉장고(1)는 단계(A3)에서 개인식별을 마치면(A8: 예), 측정결과를 단계(A5)에서 취득한 시각정보에 대응지어 기억부(45)에 기억한다(A9). 또한, 개인의 식별이 완료되지 않았으면(A8: 아니오), 그대로 측정처리를 종료한다.
그런데, 냉장고(1)는 본래, 식재료를 저장하는 것이다. 그리고, 식재료 중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생체 정보에 영향을 주는 것이 수많이 존재한다. 그래서, 냉장고(1)는 저장되어 있는 식재료에 기초하여 이하와 같이 생체정보를 개선하기 위한 어드바이스를 생성 및 알린다.
냉장고(1)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드바이스 버튼(M5)이 조작되면, 도 7에 도시한 어드바이스 처리를 실행하고, 우선 생체정보를 해석한다(B1). 이 단계(B1)에서는 당일의 생체정보뿐만 아니라, 과거의 이력도 포함하여 생체정보를 해석하고 있다. 계속해서, 제1 고내 카메라(29) 및 제2 고내 카메라(30)로 촬상한 고내의 화상에 기초하여, 식재료 정보를 취득하고(B2), 생체정보를 개선 가능한 식재료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B3). 그리고, 생체정보를 개선 가능한 식재료가 있는 경우에는(B3: 예), 식재료나 그 식재료를 사용한 레시피 등의 어드바이스를 생성하고(B4), 어드바이스를 알린다(B5). 예를 들어, 냉장고(1)는 제2 고내 카메라(30)에서 야채실(4)내에 저장되어 있는 야채를 파악하고, 야채를 충분히 사용한 레시피 등을 어드바이스로서 생성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드바이스 표시 영역(M8)에 생체정보의 해석결과로서 빈혈기미가 있는 것이나, 그것을 개선하기 위해 철분의 취득을 재촉하는 메세지, 저장되어 있는 식자재를 사용한 레시피 등을 표시함으로써 어드바이스를 알린다.
한편, 생체정보를 개선 가능한 식재료가 없는 경우에는(B3: 아니오), 생체정보의 개선에 기여하는 식재료의 정보 등, 식재료 구입의 어드바이스를 생성하고(B6) 어드바이스를 알린다(B5). 구체적으로는 냉장고(1)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드바이스 표시영역(B8)에, 철분을 많이 포함하는 식재료로서 간, 톳, 바지락 등을 표시함으로써, 어드바이스를 알리고 있다.
이와 같이, 냉장고(1)는 생체정보의 측정 및 알림을 실시함으로써 계속적인 생체정보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어드바이스를 알림으로써 생체정보의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생활동선내에 설치되고, 매일 이용하는 냉장고(1)에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류를 설치함으로써, 사람은 의식하지 않아도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장소에 들르게 되고, 반드시 눈으로 보게 되므로, 측정을 깜빡 잊는 경우도 없다. 따라서, 사람이 의식하지 않고 계속적인 생체정보의 측정을 재촉할 수 있고, 생체정보의 관리를 계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 때, 사람의 생활 패턴은 거의 일정한 경우가 많고, 동일한 시간대에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냉장고(1)를 이용할 때에는 사람의 자세가 대개 일정해지므로, 동일한 조건하에서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어, 측정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알림수단을 냉장고(1)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바로 측정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를 측정한 이력도 표시 가능하므로, 자신의 식생활의 개선상황 등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생체정보의 계속적인 관리가 장기간 계속되지 않는 하나의 원인으로서, 측정은 실시해도 그 측정결과를 자신이 관리하는 것에 번거로움을 느낀다는 점을 들 수 있지만, 냉장고(1)는 생체정보를 시각정보에 대응지어 시계열로 기억한다. 즉, 냉장고(1)측에서 측정 및 측정결과의 관리까지 실시하므로, 사람이 번거로움을 느끼지 않고 계속적인 생체정보의 측정을 재촉할 수 있다. 그리고, 당일의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거의 생체정보의 이력도 관리대상으로 함으로써 생체정보의 일시적인 값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생체정보의 변화(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그래프 등)도 파악 가능해지고, 보다 건강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소위 스케쥴 관리기능을 갖게 하고, 또는 외부의 스케줄러와 연계하여 주목해야 할 사상(예를 들어, 운동회에 참가했다, 트레이닝을 실시했다, 외식을 했다 등)을 그래프와 함께 표시함으로써, 그 전후의 생체정보의 변화를 비교 가능하게 하면, 각각의 사상의 영향이나 효과를 파악할 수 있다.
개폐센서(20)에 의해 문(3a)에 대한 개폐조작을 검지했을 때 자동으로 생체정보를 측정하므로, 사람이 인식하지 않아도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사람이 실시하는 동작은 기본적으로는 냉장고(1)를 이용하기 위한 동작(냉장고(1) 앞에 서기, 문(3a)에 손을 접촉하는 등)이므로, 냉장고(1)를 이용할 때마다 자동으로 생체정보가 측정되고, 생체정보의 측정을 잊어버리지 않게 된다.
생체정보의 측정결과를 알리므로, 컨디션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개인을 식별하여 생체정보를 개인별, 또한 시계열로 관리하므로, 복수의 사람이 냉장고(1)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등록된 사람 이외의 측정도 가능하게 했지만, 식별할 수 없었던 사람(등록되어 있지 않은 사람)에게는 측정을 실시하지 않는 등, 측정대상을 제한하는 프로텍트 제어 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
건강관리의 기본이 되는 체온을 측정하여 기억부(45)에 시계열로 기억하므로, 체온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사람에 따라 기초체온은 다르지만, 개인을 식별하여 체온을 기억함으로써, 과거의 변화로부터 그날의 컨디션을 파악할 수 있다.
얼굴 화상을 촬상하므로, 건강상태에 관한 여러가지 정보가 추측 가능해진다. 또한, 얼굴 화상도 기억하므로, 예를 들어 과거의 얼굴 화상과 비교함으로써 현재와의 차이(즉, 살이 쪘는지 말랐는지)를 인식하기 쉬워지므로, 현시점에서 건강도의 척도가 된다. 또한, 살이 쪘다고 느끼면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을 유의하게 되는 등, 건강의식의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체지방률을 측정하므로, 예를 들어 체중이 감소해도 체지방률이 증가하면 별로 건강적으로는 좋지 않은 등의 판단을 할 수 있다.
체중은 건강관리의 기본적인 항목이고, 그 체중을 매일 측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날의 컨디션 관리뿐만 아니라, 체중이 증가 경향에 있는 경우에는 절제에 유의하게 되는 등, 장기적인 건강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측정은 냉장고(1) 앞에 설 뿐이므로, 간단하고 부담없이 측정할 수 있으므로, 단기간의 변화, 예를 들어 식사의 전후에 측정하여 식사에 의한 영향을 수치화하여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에서 체중이나 체지방률 등을 측정하여 알림으로써, 예를 들어 조리에 사용하는 식재료나 섭취량을 변경하거나, 목욕 후에 「맥주라도 한 잔」하고 생각했을 때 절제하게 되는 등, 장기적으로 본 경우의 건강의식의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혈압을 측정함으로써 건강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손잡이에 혈압센서(23)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심장의 위치에 대한 손가락끝(검지부위)의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고정되므로 안정된 측정, 즉 장기적인 비교대상으로서 정확도 높은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혈류를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를 시계열로 기억함으로써, 나날의 변화로부터 혈류가 약해져 왔다는 등의 징후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혈관계의 질병을 추측할 수 있다. 이는 정기적으로 계수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를 시계열로 기억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에 혈류센서(24)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혈압과 동일하게 안정된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심박수를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를 시계열로 측정함으로써, 건강상태를 추측할 수 있다. 그런데, 심박수는 측정시의 상황이나 운동상태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거의 동일한 환경에서의 측정을 장기간 계속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심박수가 올라갈 기미가 있는지 내려갈 기미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장기적으로 계속하여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를 시계열로 기억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신장을 측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아동의 성장상태를 수치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또한 계속적으로 측정을 실시할 수 있으면, 나날의 성장기록을 대신할 수도 있다.
생체정보를 해석하고, 그 해석결과에 기초하여 생체정보를 개선하기 위한 어드바이스를 생성하여 알리므로,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동기 부여가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체중에 대한 목표값을 설정하고, 목표값에 도달하기 위한 어드바이스를 알리도록 하면, 한층 더 격려가 된다. 이 때, 냉장고(1)에 저장되어 있는 식재료에 관한 식재료 정보를 취득하고 식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므로, 식재료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면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를 개선하는 데에 유용한 식재료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용한 식재료를 제시하는 어드바이스를 실시하므로, 건강유지에 공헌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대해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냉장고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공통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냉장고(1)는 도 10에 도시한 측정처리로 사람을 검지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C1). 이 때, 냉장고(1)는 사람이 냉장고(1)의 부근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즉, 제1 실시형태에서는 사람이 냉장고(1)에 접촉한 것을 검지하고 있었지만, 제2 실시형태에서는 냉장고(1)의 부근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고 있다. 이는, 상기한 비접촉 체온센서(19)나 촬상 카메라(18)는 사람이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이 생체정보를 냉장고(1)가 이용되지 않을 때에도 측정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람의 검지는 사람감지센서(17)나 체중센서(28) 등으로 검지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사람을 검지하면(C1: 예),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시각정보를 취득하고(C2), 생체정보를 판정하며(C3), 측정결과를 알린다(C5). 그리고, 얼굴 화상 등으로부터 개인을 식별할 수 있으면, 측정결과를 시각정보에 대응지어 기억한다(C6). 한편, 개인을 식별할 수 없으면(C5: 아니오),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계속해서, 냉장고(1)는 도 11에 도시한 어드바이스 처리를 실행하고, 식자재 정보를 취득한 후(D1), 생체정보 및 식자재 정보를 서버(48)에 송신한다(D2). 그리고, 서버(48)측에서 생성된 어드바이스를 도 8 등과 같이 알린다(D3). 이 때, 서버(48)측에서는 예를 들어 의사나 어드바이져 등의 제3자 또는 서버(48) 자신에 의해, 생체정보를 개선하기 위한 어드바이스가 생성된다. 또한, 어드바이스 처리는 개인을 식별할 수 있지 않아도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드바이스 생성수단을 외부의 서버(48)측에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냉장고(1)는 측정한 생체정보를 서버(48)측에 송신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서버(48)측에서 생성된 어드바이스를 알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냉장고(1)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효과를 물론 나타내고 또한, 예를 들어 기억 가능한 정보에 한정이 있는 등 대응 가능한 상황에 제한이 가해지는 경우 등을 고려하여, 생체정보를 서버(48)측에 송신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판단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의사 등 전문적인 지식을 갖는 제3 자에 의해 생체정보의 해석·판단을 실시하게 하고, 제3자로부터 어드바이스를 받음으로써, 여러가지 상황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더 적절하게 어드바이스를 알릴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냉장고가 가정에서 장기간 이용되는 것을 고려한다면, 서버와 접속 가능하게 함으로써, 최신의 생체정보의 해석방법 등을 차례로 도입할 수 있고, 생체정보로부터 질병의 예방이나, 건강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대응안(운동처방이나 식사요법 등), 건강관리를 위한 새로운 레시피의 제안 등, 외부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한 건강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과 정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떨어져 지내는 가족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거나, 소위 독거노인의 건강상태를 원격지에서 지켜볼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사람을 검지함으로써 측정을 개시하고 있으므로, 냉장고(1)를 이용하지 않아도, 생활동선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1) 부근을 지나는 것만으로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횟수가 증가하고, 즉 비교대상이 되는 샘플수가 증가하여 보다 세밀하고 또한 적절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보다 적절한 어드바이스를 알릴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각 실시형태에서는 냉장고(1) 본체(2)에 각종 센서(생체정보 취득수단)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냉장고(1) 부근에 외장센서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는 상기와 같이, 매일 이용하는 냉장고(1) 부근에 센서가 있는 것만으로도 생체정보의 취득을 계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재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생체정보의 종류는 각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시하고 있지 않은 다른 생체정보를 취득 가능하게 해도 좋다.
서버(48)측에 외부 기억수단을 설치하고, 측정한 생체정보를 서버(48)측에 기억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 경우, 기억부(45)의 용량이 충분하지 않게 되는 상황에도 대응할 수 있고, 냉장고(1)측의 기억부(45)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저소비전력화 및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알림수단을 냉장고(1)에 설치했지만, 알림수단을 외부 장치에 설치하고, 외부의 장치측에서 알리도록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냉장고(1)와 외부의 장치를 통신에 의해 접속하고, 냉장고(1)에서 생체정보의 측정을 실시하고, 그 측정결과를 외부의 장치측에서 알리는 생체정보 취득 시스템을 구축해도 좋다. 이 경우, 외부의 장치로서는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주택내에서 냉장고(1)와 무선방식이나 유선방식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소위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통신단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사람으로부터 냉장고(1)에서 어느 사이엔가 측정되어 있던 생체정보가, 자동으로 외부의 장치나 퍼스널컴퓨터 등에 기억되어, 한층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예를 들어 냉장고(1)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다른 생체정보 취득수단에서 측정한 생체정보와 조합되어 측정결과를 비교하거나, 퍼스널컴퓨터의 표계산 소프트웨어나 전용 소프트웨어 등으로 보다 전문적인 해석을 실시하거나 소위 다이어트 블로그 등에서 생체정보를 용이하게 공유 가능해지는 등, 목적을 가지고 생체정보를 취득하게 되어 생체정보의 취득을 계속하는 동기부여가 된다. 따라서, 한층 더 건강유지의 목적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장치측에서 알림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기의 대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외부의 장치에 의한 생체정보의 「참조」의 경우, 외부의 장치측에서 어떤 액션이 일어났을 때 생체정보를 볼 수는 있지만, 외부의 장치측에서 액션이 일어나지 않으면 생체정보가 참조되지 않는 것이 된다. 한편, 외부의 장치측에 대해서 「알림」하면, 외부의 장치측에서 액션을 일으키지 않아도, 생체정보를 외부의 장치측에 알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체정보와 조합하여 알리도록 하면 좋다. 예를 들어, 고혈압 기미가 있는 사람의 혈압이 이상값을 나타낸 경우 등, 측정한 본인이 이상을 자각하지 않았다고 해도 긴급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예상될 때에는, 수동적으로 「참조」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능동적으로 「알림」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가족의 휴대전화 등에 알리도록 해 두면, 정기적으로 생체정보가 알려지므로, 예를 들어 「오늘도 건강하다」 등, 원격지로부터 대상이 되는 사람의 건강상태를 지켜볼 수도 있게 된다.
식재료 판별부(52)는 각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식품에 무선태그를 붙여 그 종류나 저장량을 검지하는 등, 다른 구성이어도 좋다.
각 실시형태에서는 혈압센서(23), 혈류센서(24), 심박수 센서(25), 접촉식 체온센서(26) 및 체지방률 센서(27)로 복합센서를 구성하고, 설정에 의해 그 작동을 제어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접촉식 체온센서(26)와 같이 손이 접촉되면 즉석에서 측정결과가 얻어지는 것과, 혈압센서(23)와 체지방률 센서(27)와 같이 측정결과를 얻기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을 별체로 구성하고, 사람의 의사에 따라 즉, 혈압센서(23)나 체지방률 센서(27) 등을 이용하는 의사가 표시될 때 작동을 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사람이 조작패널(14)에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조작을 입력했을 때 체지방률의 측정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 등이 생각된다.
조작패널(14)의 표시부(15)를 알림수단으로서 채용했지만, 전용 표시기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각 실시형태에서는 개폐센서(20)를 독립적으로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생체정보 취득부를 개폐센서(20)와 겸용하여 접촉식 생체정보 취득부에 접촉했을 때에 개폐조작을 검지하도록 해도 좋다.
각 실시형태에서는 개폐센서(20)에 의해 사람이 손잡이에 접촉된 것을 검지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문의 개폐상태를 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예를 들어 문이 개방상태가 된 것이나 폐쇄상태가 된 것을 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각 실시형태와 같이 냉장실(3)이 양쪽 개방식 문(3a)으로 개폐되고, 좌측문(3a)에 촬상 카메라(18)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좌측문(3a)이 개방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바로 얼굴 화상을 촬상하고, 우측문(3a)이 개방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우측문(3a)이 폐쇄될 때까지 대기하고, 폐쇄된 것을 검지했을 때 얼굴화상을 촬상하도록 하면, 문(3a)의 개방중에 촬상되어 얼굴 화상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실시형태에서는 촬상 카메라(18)의 시야방향을 상하로 변경 가능하게 한 예를 나타냈지만, 광각 렌즈를 설치하여 시야를 확대하거나 복수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예를 들어 대인이나 아동의 신장차에 대응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촬상 카메라(18)의 시야방향을 좌우로 변경 가능하게 해도 좋다. 이는 냉장실(3)의 문(3a)을 개방할 때, 사람은 문(3a)의 완전한 정면이 아니라, 문(3A)이 개방되는 측에 서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리 촬상 카메라(18)의 시야가 문(3a)이 개방하는 측을 향하고 있어도 좋다. 비접촉 체온센서의 측정 포인트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촬상 카메라(18)의 전면에 하프미러를 설치하고, 사람이 자신의 얼굴 화상을 보면서 적절한 위치에서 얼굴 화상을 촬상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촬상 카메라(18)에서 사람을 검지하는 구성, 즉 촬상 카메라(18)를 사람검지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고내에 촬상 카메라(18)를 설치하고, 문이 개방되었을 때 사람의 얼굴 화상을 촬상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고내의 조명 등의 광원에 의해 비추어진 상태, 즉 사람의 얼굴이 동일한 밝기로 비추어져 있는 상태에서 얼굴 화상을 촬상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얼굴 화상으로부터 컨디션 등을 추측할 때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각 실시형태에서는 기본적으로 상반신의 체지방률을 측정하고 있지만, 체중센서(28)측에 체지방 센서를 설치하고, 몸 전체의 체지방률을 측정하도록 해도 좋다.
각 실시형태에서는 얼굴 화상에 의해 개인을 식별했지만, 예를 들어 지문인증, 성문인증, 키워드에 의한 음성인증, 동공인증, 등록마친 정보의 선택이나 패스워드의 입력에 의한 인증 등, 다른 어떠한 방식으로 개인을 식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사람이 접촉된 것에 기초하여 생체정보의 측정을 개시하고, 제2 실시형태에서는 냉장고(1)의 부근에 사람이 존재할 때 생체정보의 측정을 개시했지만, 그것을 조합하여 사람이 부근에 존재하고 있을 때에는 비접촉계의 센서로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그 후 냉장고(1)를 이용하기 위해 접촉된 경우에 접촉계의 센서로 생체정보를 측정하도록 해도 좋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사람을 검지하면 생체정보의 측정을 개시했지만, 사람을 검지했을 때 생체정보의 측정을 재촉하는 메세지 등을 표시 또는 음성으로 출력해도 좋다. 이에 의해, 적극적으로 생체정보의 측정을 실시하게 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알림수단으로서 표시부(15)를 나타냈지만, 생체정보의 측정결과나 어드바이스를 음성으로 알리는 음성출력수단을 설치하고, 음성으로 알리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따르면 생체정보를 취득하는 생체정보 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냉장고는 식재료를 저장하는 것인 점에서 매일 이용되는 것과 함께, 일반적으로 생활동선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 냉장고에 생체정보 취득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사람은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체중계가 놓여있는 장소에 일부러 이동하지 않아도, 매일 들르는 장소에서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람이 의식하지 않고 계속적인 생체정보의 측정을 재촉할 수 있어, 생체정보의 관리를 계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냉장고
3: 냉장실(저장실)
4: 야채실(저장실)
5: 제빙실(저장실)
6: 상부 냉동실(저장실)
7: 하부 냉동실(저장실)
15: 표시부(알림수단)
17: 사람감지센서(사람검지수단)
18: 촬상 카메라(사람검지수단, 생체정보 취득수단, 식별수단)
19: 비접촉 체온센서(생체정보 취득수단)
20: 개폐센서(사람검지수단, 개폐조작 검지수단)
21: 복합센서 상위기기(생체정보 취득수단)
22: 복합센서 하위기기(생체정보 취득수단)
23: 혈압센서(생체정보 취득수단)
24:혈류센서(생체정보 취득수단)
25: 심박수 센서(생체정보 취득수단)
26: 접촉식 체온센서(생체정보 취득수단)
27: 체지방률 센서(생체정보 취득수단)
28: 체중센서(생체정보 취득수단)
29: 제1 고내 카메라(식재료 정보 취득수단)
30: 제2 고내 카메라(식재료 정보 취득수단)
45: 기억부(기억수단)
46: 통신부(통신수단)
47: 인터넷(네트워크)
48: 서버(외부의 장치, 외부기억수단, 알림수단, 어드바이스 생성수단)
50: 개인 식별부(식별수단)
51: 생체정보 해석부(생체정보 해석수단)
52: 식재료 판별부(식재료 정보 취득수단)
53: 어드바이스 생성부(어드바이스 생성수단)

Claims (20)

  1. 식재료를 저장하는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로서,
    냉장고를 이용하는 사람이 서 있는 위치 또는 냉장고를 이용하는 사람이 접촉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냉장고를 이용하는 사람이 의식하지 않아도 계측하는 것에 의해 생체정보를 취득하는 생체정보 취득수단,
    상기 생체정보를 해석하는 생체정보 해석수단,
    상기 생체정보 해석수단에 의한 해석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정보를 개선하기 위한 어드바이스로서, 직접적으로 영양소와 관계가 있는 식재료를 포함한 어드바이스와, 직접적으로는 식재료를 포함하지 않고 영양소만을 포함한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는 어드바이스 생성수단, 및,
    상기 저장실에 생체정보를 개선하기 위한 식재료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저장실에 저장되어 있는 식재료에 관한 정보인 식재료 정보를 취득하는 식재료 정보 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수단은 상기 저장실내에 상기 생체정보를 개선하기 위한 식재료가 있을 때는, 상기 식재료 정보 취득수단에 의하여 취득된 상기 식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정보를 개선하기 위한 식생활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체정보를 개선하기 위한 식재료가 없을 때는, 해당 식재료의 구입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를 알리는 알림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냉장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생체정보를, 상기 생체정보를 취득한 시각정보와 대응지어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냉장고.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문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조작을 검지하는 개폐조작 검지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생체정보 취득수단은 상기 개폐조작 검지수단에 의해 상기 개폐조작이 검지되었을 때, 상기 생체정보의 취득을 개시하는, 냉장고.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람을 검지하는 사람검지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생체정보 취득수단은 상기 사람검지수단에 의해 사람이 검지되었을 때, 상기 생체정보의 취득을 개시하는, 냉장고.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취득수단은 상기 생체정보로서 사람의 체온을 취득하는, 냉장고.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취득수단은 상기 생체정보로서 사람의 얼굴 화상을 취득하는, 냉장고.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취득수단은 상기 생체정보로서 사람의 체지방률을 취득하는, 냉장고.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취득수단은 상기 생체정보로서 사람의 체중을 취득하는, 냉장고.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취득수단은 상기 생체정보로서 사람의 혈압을 취득하는, 냉장고.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취득수단은 상기 생체정보로서 사람의 혈류상태를 취득하는, 냉장고.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취득수단은 상기 생체정보로서 사람의 심박수를 취득하는, 냉장고.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취득수단은 상기 생체정보로서 사람의 신장을 취득하는, 냉장고.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람을 식별하는 식별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생체정보 취득수단은 상기 생체정보를, 상기 식별수단에 의해 식별된 사람마다 구분지어 취득하는, 냉장고.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외부의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시하고, 상기 외부의 장치측에서 상기 생체정보를 참조 가능하게 하는 통신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수단은 상기 생체정보를 참조한 상기 외부의 장치측에서 생성된 상기 생체정보를 개선하기 위한 어드바이스를 추가로 알리는, 냉장고.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상기 생체정보를, 상기 외부의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기억수단에 상기 생체정보를 취득한 시각정보와 대응지어 기억하는, 냉장고.
KR1020167032020A 2012-09-25 2013-09-04 냉장고 KR101790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10849A JP6139837B2 (ja) 2012-09-25 2012-09-25 冷蔵庫
JPJP-P-2012-210849 2012-09-25
PCT/JP2013/073800 WO2014050470A1 (ja) 2012-09-25 2013-09-04 冷蔵庫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044A Division KR20150036387A (ko) 2012-09-25 2013-09-04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460A KR20160136460A (ko) 2016-11-29
KR101790916B1 true KR101790916B1 (ko) 2017-10-26

Family

ID=503878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044A KR20150036387A (ko) 2012-09-25 2013-09-04 냉장고
KR1020167032020A KR101790916B1 (ko) 2012-09-25 2013-09-04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044A KR20150036387A (ko) 2012-09-25 2013-09-04 냉장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65033B2 (ko)
EP (1) EP2902731A4 (ko)
JP (1) JP6139837B2 (ko)
KR (2) KR20150036387A (ko)
CN (2) CN109373664A (ko)
TW (1) TWI612264B (ko)
WO (1) WO20140504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8866B2 (ja) * 2013-03-12 2019-04-1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カメラ装置
JP6391943B2 (ja) 2013-03-12 2018-09-1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カメラ装置、庫内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102212064B1 (ko) * 2013-12-06 2021-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에 의해 헬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냉장고
JP2015210539A (ja) * 2014-04-23 2015-11-24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健康支援システム及び健康支援方法
JP6336816B2 (ja) * 2014-04-30 2018-06-0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US10759442B2 (en) * 2014-05-30 2020-09-01 Here Global B.V. Dangerous driving event reporting
JP2016012247A (ja) * 2014-06-30 2016-01-21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献立作成システム
JP6584292B2 (ja) * 2015-02-04 2019-10-0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情報提供方法、サーバ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6148997A (ja) * 2015-02-12 2016-08-18 三菱電機株式会社 調理支援装置、調理支援システムおよび調理支援方法
JP6598020B2 (ja) * 2015-04-16 2019-10-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通知方法及び音声出力装置
US20160358508A1 (en) * 2015-06-05 2016-12-08 Elwha Llc Smart refrigerator
US10027866B2 (en) 2015-08-05 2018-07-17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s having internal content camera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EP4043819A1 (en) * 2015-09-03 2022-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05205323A (zh) * 2015-09-19 2015-12-30 深圳市前海安测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用户体征数据的健康饮食指导系统及方法
JP6664190B2 (ja) * 2015-11-02 2020-03-13 三菱電機株式会社 健康管理システム、炊飯器、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571238B (zh) * 2016-02-25 2018-05-11 合肥美的智能科技有限公司 冰箱
JP6745872B2 (ja) * 2016-04-15 2020-08-26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及びそれを含む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6894671B2 (ja) * 2016-05-12 2021-06-30 シャープ株式会社 家電機器システム
JP2017211168A (ja) * 2016-05-27 2017-11-30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および広告表示プログラム
CN105832322B (zh) * 2016-05-31 2019-03-1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基于冰箱的人体特征检测方法与装置
CN109416219B (zh) * 2016-06-20 2021-11-05 开利公司 冷链质量评价反馈管理器
JP2018035983A (ja) * 2016-08-30 2018-03-08 シャープ株式会社 食品貯蔵庫、庫内撮影システム
KR101929098B1 (ko) * 2016-08-31 2018-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갖는 냉장고
JP6202698B1 (ja) * 2016-09-28 2017-09-27 Boeジャパン株式会社 筐体及びシステム
CN106440610A (zh) * 2016-10-27 2017-02-22 安徽融数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云端的智能冰箱监控系统
KR101897356B1 (ko) 2016-11-03 2018-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JP6831740B2 (ja) * 2017-04-10 2021-02-17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食生活推定システム
CN107133471A (zh) * 2017-05-08 2017-09-05 合肥美的智能科技有限公司 冰箱和用户数据的处理方法
CN107270605B (zh) * 2017-06-12 2019-12-06 青岛海尔特种电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及其控制方法
JP6999293B2 (ja) * 2017-06-13 2022-01-1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2019053457A (ja) * 2017-09-14 2019-04-04 グローリー株式会社 候補メニュー提示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候補メニュー提示方法
JP6967725B2 (ja) * 2017-10-06 2021-11-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及び冷蔵庫の制御方法
WO2019095518A1 (zh) * 2017-11-20 2019-05-23 上海绿联软件股份有限公司 基于服务器大数据分析的智能冰箱、健康管理方法及系统
KR102025326B1 (ko) * 2018-03-29 201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629912B2 (ja) * 2018-04-26 2020-01-1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6521143B1 (ja) * 2018-04-26 2019-05-29 日本電気株式会社 体調管理装置、体調管理方法、プログラム
CN108758986B (zh) * 2018-06-15 2020-09-25 重庆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和空调器
CN109028392B (zh) * 2018-06-15 2020-09-25 重庆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和空调器的控制方法
JP7172394B2 (ja) * 2018-10-01 2022-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及び生体情報解析システム
WO2020232932A1 (zh) * 2019-05-17 2020-11-26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制冷设备的控制系统、控制方法、制冷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60856A (ko) * 2019-11-19 2021-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645521B2 (en) 2020-01-31 2023-05-09 Kpn Innov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biologically determined artificial intelligence selection guida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8494A (ja) * 2001-07-30 2003-02-12 Denso Corp 生体情報検出方法
US20110021140A1 (en) * 2009-07-22 2011-01-27 Boston Life Lab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ome healthcare services using a sensor network
US20120166210A1 (en) * 2010-12-27 2012-06-28 Ho'okele Health Technologies, LLC Living assistanc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1337A (en) * 1979-03-29 1980-12-23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door position sensor arrangement
JP2003235829A (ja) * 2002-02-15 2003-08-26 Oki Electric Ind Co Ltd 健康検査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健康検査装置と健康検査システム
KR20040017978A (ko) * 2002-08-23 2004-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2004164442A (ja) * 2002-11-15 2004-06-10 Hitachi Hometec Ltd 宅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5241215A (ja) * 2004-02-27 2005-09-0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機器、冷蔵庫、冷蔵庫の操作方法
US20050240444A1 (en) * 2004-04-26 2005-10-27 Richard Wooten System and method of individualized mass diagnosis and treatment of obesity
US20060217600A1 (en) * 2005-03-22 2006-09-28 Lee Ik K Refrigerator for health management
KR100819580B1 (ko) * 2005-03-30 2008-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바타 냉장고
AU2006234670B2 (en) * 2005-03-30 2010-08-12 Lg Electronics Inc. Avatar refrigerator
US20060224050A1 (en) * 2005-03-30 2006-10-05 Lee Ik K Refrigerator for health care
KR100827894B1 (ko) * 2005-05-13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체지방 측정형 냉장고
KR100673782B1 (ko) 2005-05-13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건강관리시스템
US8027822B2 (en) * 2005-06-20 2011-09-27 Virgin Healthmiles, Inc. Interactive, internet supported health and fitness management system
KR101167729B1 (ko) * 2005-06-23 2012-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냉장고
ITPN20050075A1 (it) * 2005-10-20 2007-04-21 Electrolux Professional Spa Metodo per monitorare articoli in un frigo
US8149209B1 (en) * 2005-12-16 2012-04-03 Eric Leebow Computer interface system
CN101071014A (zh) * 2006-05-12 2007-11-14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健康管理型电冰箱
US8226414B2 (en) * 2006-08-25 2012-07-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nerating policy driven meal plans
CN101210758A (zh) * 2006-12-27 2008-07-02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卡通冰箱
US7861542B2 (en) * 2007-04-10 2011-01-04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including food product management system
JP2009087072A (ja) * 2007-09-28 2009-04-23 Fujifilm Corp トレーニング支援装置、トレーニング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3315958B1 (en) * 2008-11-04 2021-09-15 PHC Holdings Corporation Measurement device
WO2012011919A1 (en) * 2010-07-23 2012-01-26 Tai And Tseng Investments, Llc Medication usage monitoring and reminding device and method
CN102645083A (zh) * 2012-05-24 2012-08-22 南京大学 一种基于射频识别技术的智能冰箱及其工作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8494A (ja) * 2001-07-30 2003-02-12 Denso Corp 生体情報検出方法
US20110021140A1 (en) * 2009-07-22 2011-01-27 Boston Life Lab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ome healthcare services using a sensor network
US20120166210A1 (en) * 2010-12-27 2012-06-28 Ho'okele Health Technologies, LLC Living assistan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460A (ko) 2016-11-29
JP6139837B2 (ja) 2017-05-31
US20150260449A1 (en) 2015-09-17
WO2014050470A1 (ja) 2014-04-03
CN104662382A (zh) 2015-05-27
KR20150036387A (ko) 2015-04-07
EP2902731A1 (en) 2015-08-05
CN109373664A (zh) 2019-02-22
JP2014066407A (ja) 2014-04-17
TWI612264B (zh) 2018-01-21
TW201413201A (zh) 2014-04-01
EP2902731A4 (en) 2016-12-07
US10365033B2 (en) 201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916B1 (ko) 냉장고
CN109068983B (zh) 用于跟踪食物摄入和其它行为并提供相关反馈的方法和设备
CN110274355B (zh) 传感方法、传感系统及包含它们的空调设备
EP3148435B1 (en) System for monitoring health related information for individuals
US20180204638A1 (en) Dynamic scale and accurate food measuring
US20190108769A1 (en) Comprehensive Management of Human Health
CN112889114A (zh) 身体行为事件的自动化检测和药物分配系统的对应调节
US9314206B2 (en) Diet and calories measurements and control
KR20140099539A (ko) 행동 추적 및 수정 시스템
US20140172313A1 (en) Health, lifestyle and fitness management system
JP2015225460A (ja) 食事管理方法、食事管理システム及び食事管理端末
KR20220158477A (ko) 식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클라이언트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
CN114616627A (zh) 身体行为事件的自动检测和药物分配系统的对应调整
JP6748601B2 (ja) 冷蔵庫
JP2019152431A (ja) 冷蔵庫
EP4084006A1 (en) Dietary habits estimation device
CN109643414A (zh) 用于食物、饮料或药品跟踪和消耗阈值的方法和系统
WO20180369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food and beverage tracking and consumption recommendations
JP6664190B2 (ja) 健康管理システム、炊飯器、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Doga et al.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on improving people's quality of life: global experience
CN114446419A (zh) 健康管理促进系统、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22147290A (ja) 飲食物の温度に基づいた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食行動モニタ装置、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