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326B1 -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326B1
KR102025326B1 KR1020180036737A KR20180036737A KR102025326B1 KR 102025326 B1 KR102025326 B1 KR 102025326B1 KR 1020180036737 A KR1020180036737 A KR 1020180036737A KR 20180036737 A KR20180036737 A KR 20180036737A KR 102025326 B1 KR102025326 B1 KR 102025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refrigerator
displa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순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6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06K9/00221
    • G06K9/003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고내 측에 배치되는 구획 패널과,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획 패널과 나란하게 고외 측에 배치되며, 냉장고 내부의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도어를 응시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되는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위치를 변경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for door of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동 또는 냉장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특정 온도로 냉각시켜 음식물을 일정기간 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에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및 저장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가 포함된다. 저장 공간에는 음식과 같은 저장물이 저장되며 사용자는 저장물을 보관하거나 보관된 저장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냉장고의 도어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기능은 본체 내부에 형성된 저장 공간의 냉기가 냉장고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게 하면서, 저장물의 보관 또는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사항에 따라서, 종래의 냉장고 도어는 냉기 유지에는 유리하나 외부에서 냉장고 내부의 저장 공간을 볼 수 없는 불투명한 소재로 제작되어 왔다.
그런데 냉장고의 폭 넓은 보급에 따라서 전술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냉장고의 부가적인 기능에 대한 다양한 요구사항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냉장고와 관련된 각종 정보, 예컨대 냉장고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나 냉장고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도어를 갖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냉장고에는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냉장고 도어의 외부 표면에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냉장고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 예컨대 냉장고의 저장실 온도나 냉장고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한편, 최근에는 유리와 같은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는 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는 도어를 통해 사용자는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에 어떤 저장물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도어를 열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어 냉기 손실을 줄이고 저장물을 찾는 시간도 절약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132002호
본 발명은 냉장고 사용자의 정보를 감지하고, 각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및 텍스트 정보가 해당 물건과 오버랩되게 그 높이가 조절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맞춰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및 텍스트 정보가 해당 물건과 오버랩되게 그 위치가 조절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와 냉장고의 간격에 맞춰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및 텍스트 정보의 크기가 식별 가능하게 조절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여, 각 사용자에게 해당되는 정보만을 선택해서 제공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고내 측에 배치되는 구획 패널과,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획 패널과 나란하게 고외 측에 배치되며, 냉장고 내부의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도어를 응시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되는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위치를 변경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냉장고의 상단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키 및/또는 얼굴의 위치를 인식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정보가 저장된 제1저장부와, 사용자의 얼굴정보에 대응하는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표시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은, 사용자의 좌우위치 또는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수평방향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은, 사용자의 키 또는 눈높이를 감지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상하방향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은, 냉장고 도어와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정보는, 상기 냉장고의 내부에 저장된 컨텐츠와 오버랩(overlap)되게 매칭되는 아이콘, 및 상기 아이콘과 매칭된 컨텐츠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소재의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냉장고의 상단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해서, 냉장고 도어를 응시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단계와, 상기 인식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되는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위치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식단계 이전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온(on)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가 온(on)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단계 이후에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 또는 키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를 매칭하는 단계와, 상기 매칭된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만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단계에서는, 사용자의 키 또는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눈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좌우위치 또는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수평방향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단계에서는, 사용자의 키 또는 눈높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상하방향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단계에서는, 냉장고 도어와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고내 측에 배치되는 구획 패널;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획 패널과 나란하게 고외 측에 배치되며, 냉장고 내부에 보관된 컨텐츠의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도어를 응시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되는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 중 하나 이상의 위치 또는 종류를 변경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냉장고에 보관된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특정 컨텐츠와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응하는 표시정보가 사용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오버랩되도록 상기 표시정보의 위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냉장고 사용자의 정보를 감지하고, 각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및 텍스트 정보가 해당 물건과 오버랩되게 그 높이가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맞춰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및 텍스트 정보가 해당 물건과 오버랩되게 그 위치가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와 냉장고의 간격에 맞춰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및 텍스트 정보의 크기가 식별 가능하게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여, 각 사용자에게 해당되는 정보만을 선택해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냉장고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3은 사용자별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가 변경되는 상황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키가 작은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높이가 낮아지는 상황을 냉장고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키가 큰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디스프레이 되는 정보의 높이가 높아지는 상황을 냉장고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냉장고의 일측에 위치한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맞춰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위치가 일측으로 변경되는 상황을 냉장고의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냉장고의 타측에 위치한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맞춰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위치가 타측으로 변경되는 상황을 냉장고의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바라봤을때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정보와 컨텐츠가 오버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냉장고와 사용자의 거리에 맞춰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크기가 변경되는 상황을 냉장고의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11 내지 도12는 사용자 별에 맞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정보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상황을 냉장고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냉장고를 보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냉장고(10)의 도어(11)의 전면에 설치되며, 투명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투명하게 형성되면, 냉장고(10)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서, 냉장고(10) 내부에 보관된 식품 등의 컨텐츠(20)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냉장고 도어에 투명 디스프레이가 적용되면, 외부에서, 냉장고(10)에 보관된 식품 등의 컨텐츠(20)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가 냉장고(10)에 보관된 식품 등의 컨텐츠(20)를 바라볼 때, 해당 컨텐츠(20)에 대한 정보가 컨텐츠(20)와 중첩되게 표시될 수 있다. 물론, 해당 컨텐츠(20)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입력 후, 저장된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텐츠(20)의 종류, 용도, 유통기한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장고 선반에 보관중인 우유를 냉장고 외측에서 바라봤을 때, 우유에 대한 정보(유통기한, 우유 음용 예정자 등)가 우유와 오버랩(overlap)되게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키, 사용자의 시선 방향, 사용자와 냉장고의 거리 등의 각종 요인에 따라, 식품 등의 컨텐츠(20)와, 해당 컨텐츠(20)에 대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가 오버랩되지 않고, 자칫 어긋나게 보일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식품 등의 컨텐츠(20)에 대한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잘못된 정보가 제공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냉장고 사용자(user)의 정보를 감지하고, 각 사용자(user)에게 최적화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상세히, 사용자가 각종 명령 및 선택을 입력하는 버튼, 냉장고 내부에 저장된 식품 등과 매칭된 아이콘 및 텍스트 정보가 사용자의 키, 눈높이, 시선방향, 사용자와 냉장고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고내 측에 배치되는 구획 패널(110)과,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획 패널(110)과 나란하게 고외 측에 배치되며, 냉장고(10) 내부에 보관된 식품 등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상기 도어(11)를 응시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감지수단(200)과, 상기 감지수단(200)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출력되는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위치를 변경하는 조절수단(3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200)은, 상기 냉장고(10)의 상단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키 및/또는 얼굴의 위치를 인식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200)은 상기 도어(11)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최상단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냉장고의 사용을 목적으로,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하거나, 사용자가 냉장고를 응시한다.
이 때, 감지수단(200)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한다.
상세히, 카메라로 구비된 감지수단(200)에서는, 사용자의 얼굴, 키 등의 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조절수단(300)으로 영상 테이터를 보낸다.
상기, 조절수단(300)은 제어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20)는 카메라 컨트롤러(321), 프러세서(322),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2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 테이터는 상기 카메라와 연결된 카메라 컨트롤러(321)를 통해서 프로세서(322)로 획득한 영상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322)에서는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키, 눈높이, 사용자가 냉장고를 바라보는 방향, 사용자와 냉장고의 거리 등을 예측한다.
또, 상기 프로세서(322)는 상기와 같이 예측된 사용자의 키, 눈높이, 사용자가 냉장고를 바라보는 방향, 사용자와 냉장고의 거리 등과 대응하여, 각종 정보가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23)로 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23)는 프로세서(322)에서 입력된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 패널(120)로 영상을 출력한다.
또한, 조절수단(300)은, 각종 정보들이 저장되는 저장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부(310)는 사용자의 얼굴정보가 저장된 제1저장부(311)와, 사용자의 얼굴정보에 대응하는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표시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저장부(312)는 사용자별로 매칭된 컨텐츠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10)는 상기 제어부(320)와 통신하면서,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사용자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각종 정보가 다르게 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사용자별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가 변경되는 상황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키가 작은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높이가 낮아지는 상황을 냉장고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키가 큰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디스프레이 되는 정보의 높이가 높아지는 상황을 냉장고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수단(200)은, 사용자(1,2,3)의 키 또는 눈높이를 감지하고, 상기 조절수단(300)은, 상기 표시정보(131,132,133) 및 입력정보의 상하방향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먼저, 제1사용자(1)가 본인의 눈높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에 저장된 냉장고의 내부의 컨텐츠(20)를 바라봤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1)는 컨텐츠(2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1높이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사용자(1)가 컨텐츠(20)를 바라봤을 때, 컨텐츠(2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1)가 오버랩되면서 보여질 수 있다.
반면, 제1 사용자(1) 보다 키가 작거나, 눈높이가 낮는 제2사용자(2)가 본인의 눈높이보다 높은 높이에 저장된 냉장고의 내부의 컨텐츠(20)를 바라봤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2)는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사용자(2)가 컨텐츠(20)를 바라봤을 때, 컨텐츠(2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2)가 오버랩되면서 보여질 수 있다.
반면, 제1 사용자(1) 보다 키가 크거나, 눈높이가 높은 제3사용자(3)가 본인의 눈높이 보다 낮은 높이에 저장된 냉장고의 내부의 컨텐츠(20)를 바라봤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3)는 상기 제1높이보다 높은 제3높이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사용자(3)가 컨텐츠(20)를 바라봤을 때, 컨텐츠(2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3)가 오버랩되면서 보여질 수 있다.
만약, 도 4와 같은 경우, 키가 작은 사용자(1)가 선반의 맨 윗칸에 있는 식품 등의 컨텐츠(20)를 바라봤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1)가 컨텐츠(20)와 동일한 높이에 표시되면, 실제로 사용자가 컨텐츠(20)를 바라봤을 때, 컨텐츠(20) 보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1)가 상측에 보이게 되고, 컨텐츠(20)와 표시정보(131)가 중첩되지 않고, 이격되면서, 사용자(1)는 해당 컨텐츠(20)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제공받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반면, 키가 작은 사용자(1)가 선반의 맨 윗칸에 있는 식품 등의 컨텐츠(20)를 바라봤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1)가 하향 조정되면서, 보다 낮은 높이에 표시되면, 키가 작은 사용자(1)가 본인의 키보다 높은 곳에 있는 컨텐츠(20)를 바라보더라도, 컨텐츠(2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1)가 오버랩되면서 보여질 수 있어, 사용자(1)는 해당 컨텐츠(20)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1)는 사용자(1)의 눈과 해당 컨텐츠(20)를 연결한 가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키가 큰 사용자(1)가 선반의 맨 윗칸에 있는 식품 등의 컨텐츠(20)를 바라봤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1)는 컨텐츠(20)의 중심보다 높은 높이에 표시된다. 따라서, 키가 작은 사용자(1)가 본인의 키보다 높은 곳에 있는 컨텐츠(20)를 바라보더라도, 컨텐츠(2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1)가 오버랩되면서 보야질 수 있어, 사용자(1)는 해당 컨텐츠(20)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은 냉장고의 일측에 위치한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맞춰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위치가 일측으로 변경되는 상황을 냉장고의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냉장고의 타측에 위치한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맞춰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위치가 타측으로 변경되는 상황을 냉장고의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수단(300)은, 사용자(1,2)의 좌우위치 또는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조절수단(300)은, 상기 표시정보(131,132) 및 입력정보의 수평방향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1)가 냉장고(10)의 일측에서 냉장고(10)에 보관중인 식품 등의 컨텐츠(20)를 바라봤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1)가 컨텐츠(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표시되거나, 일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1)가 일측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컨텐츠(20)를 바라보더라도, 컨텐츠(2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1)가 오버랩되면서 보여지게 되고, 사용자(1)는 해당 컨텐츠(20)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1)는 사용자(1)의 눈과 해당 컨텐츠(20)를 연결한 가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2)가 냉장고(10)의 타측에서 냉장고(10)에 보관중인 식품 등의 컨텐츠(20)를 바라봤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2)가 컨텐츠(20)의 중심을 기준으로 타측에 표시되거나 타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2)가 타측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컨텐츠(20)를 바라보더라도, 컨텐츠(2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2)가 오버랩되면서 보여질 수 있고, 사용자(2)는 해당 컨텐츠(20)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제공받을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바라봤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정보와 컨텐츠가 오버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20)에는 표시정보와 입력정보가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표시정보는, 상기 냉장고(10)의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 등의 컨텐츠(20)와 오버랩(overlap)되게 매칭되는 아이콘(130), 및 상기 아이콘(130)과 매칭된 컨텐츠(20)에 대한 텍스트 정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어느 높이 또는 어느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통해서 냉장고(10)의 내부를 바라보더라도, 사용자는 냉장고(10) 내부의 컨텐츠(10)와, 그에 대응되는 아이콘(130) 및 텍스트 정보(140)가 오버랩(overlap)된 상태에서, 냉장고(10) 내부의 컨텐츠(10)를 볼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입력정보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 선택이 입력되게 각종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소재의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냉장고와 사용자의 거리에 맞춰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크기가 변경되는 상황을 냉장고의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수단(200)은, 냉장고 도어(11)와 사용자(1,2)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조절수단(300)은, 상기 표시정보(131,132) 및 입력정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1)가 냉장고(10)에 가까이(제1거리) 위치한 상태에서 냉장고(10)에 보관중인 식품 등의 컨텐츠(20)를 바라봤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1)는 사용자가 육안을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제1크기로 출력된다.
반면,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2)가 냉장고(10)에 멀리(제1거리보다 먼 제2거리) 위치한 상태에서, 냉장고(10)에 보관중인 식품 등의 컨텐츠(20)를 바라봤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2)는 상기 제1크기보다 큰 제2크기로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2)는 멀리서도, 해당 컨텐츠(20) 및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는 정보(132)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사용자(2)는 멀리서도 해당 컨텐츠(20)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제공받을 수 있다.
도11 내지 도12는 사용자 별에 맞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정보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상황을 냉장고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에 따르면, 상기 감지수단(200)은, 사용자(1,2)의 얼굴을 감지하고, 상기 조절수단(300)은, 상기 감지된 사용자 정보와 미리 매칭된 표시정보(131,132) 및 입력정보 만을 선택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할 수 있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어린이 사용자(1)의 경우, 키가 작기 때문에 선반의 낮은 칸에 식품 등의 컨텐츠(20')를 저장하게 된다.
이때, 어린이 사용자(1)가 냉장고를 바라볼 때, 이를 인식하고, 어린이 사용자(10)에게 매칭된 선반의 낮은 칸에 보관중인 컨텐츠(20)에 대한 정보(131) 만이 선택적으로 표시된다.
반면, 도 12를 참조하면, 어른 사용자(2)의 경우, 키가 크기 때문에, 선반의 높은 칸에 식품 등의 컨텐츠(20)를 저장하게 된다.
이때, 어른 사용자(2)가 냉장고를 바라볼 때, 이를 인식하고, 선방의 높은 칸에 보관중인 컨텐츠(20)에 대한 정보(132) 만이 선택적으로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여, 각 사용자에게 해당되는 정보만을 선택해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냉장고의 상단에 설치된 카메라(감지수단)를 이용해서, 냉장고 도어를 응시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단계와, 상기 인식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되는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위치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식단계 이전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온(on)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가 온(on)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단계 이후에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 또는 키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를 매칭하는 단계와, 상기 매칭된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만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단계에서는, 사용자의 키 또는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눈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좌우위치 또는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수평방향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단계에서는, 사용자의 키 또는 눈높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상하방향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단계에서는, 냉장고 도어와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단계 이후에는,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카메라가 오프(off) 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오프(off)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의 두 가지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냉장고에 전원이 공급된 대기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카메라(감지수단)는 소비전력을 낮추기 위해서, 오프(off)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장고의 사용을 위해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터치하거나, 음성 명령을 입력한다.(S11)
이후,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온(on)상태가 된다.(S12)
그리고, 카메라에도 전원이 공급되면서, 온(on)상태가 된다.(S13)
이후, 카메라에서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은 카메라 컨트롤러(321)로 입력된다.(S14)
그리고, 카메라 컨트롤러(321)에서는 카메라에서 입력된 사용자 영상의 노이즈제거 및 샘플링 작업이 진행된다.(S15)
또한, 프로페서(322)에서는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얼굴을 판단한다.(S16)
이때, 상기 S16단계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판단하지 못한 경우, S14단계로 돌아가서, 사용자의 영상을 계속해서 획득한다.
반면, 상기 S16 단계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판단한 경우, 프로세서(322)에서는 사용자 얼굴의 위치, 사용자의 키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눈위치를 추정한다.(S19)
일 예로, 프로페서(322)에서는 사용자의 눈위치를 좌표정보로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좌표정보는 사용자 눈의 수평방향 좌표(X), 수직방향 좌표(Y) 및 사용자와 냉장고 도어의 거리(d)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프로페서(322)에서는 추정된 사용자의 눈 위치와 선매칭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데이터(display layout data)를 저장부(310)로부터 로딩한다.(S20)
이후,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데이터(display layout data)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23)로 보내고,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23)는 입력받은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데이터 대로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영상을 출력한다.(S21)
이후, 타이머 등을 이용해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오프(off)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상기 S22단계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오프(off) 시간이 경과하면, 카메라가 오프(off)된다.(S23)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오프(off)된다.(S24)
만약, S22단계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오프(off) 시간이 경과하지 않을 경우, S14단계로 돌아가서, 사용자의 영상을 재획득한다.
또, 도 14를 참조하면, 냉장고에 전원이 공급된 대기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카메라(감지수단)는 소비전력을 낮추기 위해서, 오프(off)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장고의 사용을 위해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터치하거나, 음성 명령을 입력한다.(S11)
이후,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온(on)상태가 된다.(S12)
그리고, 카메라에도 전원이 공급되면서, 온(on)상태가 된다.(S13)
이후, 카메라에서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은 카메라 컨트롤러(321)로 입력된다.(S14)
그리고, 카메라 컨트롤러(321)에서는 카메라에서 입력된 사용자 영상의 노이즈제거 및 샘플링 작업이 진행된다.(S15)
또한, 프로페서(322)에서는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얼굴을 판단한다.(S16)
이때, 상기 S16단계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판단하지 못한 경우, S14단계로 돌아가서, 사용자의 영상을 계속해서 획득한다.
반면, 상기 S16 단계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얼굴을 구분한다. (S17)
상기 S17단계는 실시간으로 입력된 사용자의 얼굴영상과, 저장부(31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얼굴영상을 비교하여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S17단계에서, 사용자의 얼굴이 구분되면, 해당 사용자의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부(310)로부터 로딩한다.(S18)
즉, 해당 사용자와 매칭된 컨텐츠에 대한 표시정보만을 선택하여 로딩한다.
이후, 프로페서(322)에서는 사용자 얼굴의 위치, 사용자의 키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눈위치를 추정한다.(S19)
일 예로, 사용자의 눈위치를 좌표정보로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좌표정보는 사용자 눈의 수평방향 좌표(X), 수직방향 좌표(Y) 및 사용자와 냉장고 도어의 거리(d)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프로페서(322)에서는 추정된 사용자의 눈 위치와 매칭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데이터(display layout data)를 저장부(310)로부터 로딩한다.(S20)
이후,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데이터(display layout data)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23)로 보내고,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23)는 입력받은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데이터를 이용해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영상을 출력한다.(S21)
이후, 타이머 등을 이용해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오프(off)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상기 S22단계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오프(off) 시간이 경과하면, 카메라가 오프(off)된다.(S23)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오프(off)된다.(S24)
만약, S22단계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오프(off) 시간이 경과하지 않을 경우, S14단계로 돌아가서, 사용자의 영상을 재획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냉장고 사용자의 정보를 감지하고, 각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상세히,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및 텍스트 정보가 해당 물건과 오버랩되게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맞춰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및 텍스트 정보가 해당 물건과 오버랩되게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와 냉장고의 간격에 맞춰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및 텍스트 정보의 크기가 식별 가능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여, 각 사용자에게 해당되는 정보만을 선택해서 제공할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5)

  1. 냉장고의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고내 측에 배치되는 구획 패널;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획 패널과 나란하게 고외 측에 배치되며, 냉장고 내부에 보관된 컨텐츠의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도어를 응시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되는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 중 하나 이상의 위치 또는 종류를 변경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냉장고에 보관된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특정 컨텐츠와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응하는 표시정보가 사용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오버랩되도록 상기 표시정보의 위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냉장고의 상단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키 및/또는 얼굴의 위치를 인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얼굴정보가 저장된 제1저장부;
    사용자의 얼굴정보에 대응하는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표시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사용자의 좌우위치 또는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수평방향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사용자의 키 또는 눈높이를 감지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상하방향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냉장고 도어와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표시정보 및 입력정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정보는,
    상기 특정 컨텐츠와 오버랩(overlap)되게 매칭되는 아이콘, 및 상기 아이콘과 매칭된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소재의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9. 냉장고의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냉장고의 상단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해서, 냉장고 도어를 응시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단계;
    상기 인식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조절수단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되는 표시정보의 위치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냉장고에 보관된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특정 컨텐츠와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응하는 표시정보가 사용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오버랩되도록 상기 표시정보의 위치를 가변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 이전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온(on)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가 온(on)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 이후에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 또는 키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매칭된 표시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에서는,
    사용자의 키 또는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눈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좌우위치 또는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표시정보의 수평방향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에서는, 사용자의 키 또는 눈높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표시정보의 상하방향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에서는, 냉장고 도어와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표시정보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80036737A 2018-03-29 2018-03-29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25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737A KR102025326B1 (ko) 2018-03-29 2018-03-29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737A KR102025326B1 (ko) 2018-03-29 2018-03-29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812A Division KR102119000B1 (ko) 2019-09-18 2019-09-18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326B1 true KR102025326B1 (ko) 2019-11-04

Family

ID=6857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737A KR102025326B1 (ko) 2018-03-29 2018-03-29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3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80290A (zh) * 2019-11-29 2021-06-01 青岛海高设计制造有限公司 用于冰箱的控制方法及装置、冰箱
US11512895B2 (en) 2020-04-08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3993A (ja) * 2007-02-16 2008-09-04 Fujitsu Ltd 販売機における画面表示制御方法及び販売機
KR20150095041A (ko) * 2014-02-12 2015-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60136460A (ko) * 2012-09-25 2016-11-29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KR20170132002A (ko) 2016-05-23 2017-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3993A (ja) * 2007-02-16 2008-09-04 Fujitsu Ltd 販売機における画面表示制御方法及び販売機
KR20160136460A (ko) * 2012-09-25 2016-11-29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KR20150095041A (ko) * 2014-02-12 2015-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70132002A (ko) 2016-05-23 2017-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5041호(2015. 8. 20.)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6460호(2016. 11. 29.)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2002호(2017. 12. 1.)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203993호(2008. 9. 4.) 1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80290A (zh) * 2019-11-29 2021-06-01 青岛海高设计制造有限公司 用于冰箱的控制方法及装置、冰箱
CN112880290B (zh) * 2019-11-29 2024-01-23 青岛海高设计制造有限公司 用于冰箱的控制方法及装置、冰箱
US11512895B2 (en) 2020-04-08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698224B2 (en) 2020-04-08 2023-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6869B2 (en) Refrigerator
US20210293474A1 (en) Refrigerator with interactiv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19657B1 (ko) 냉장고와 서버 및 서버의 제어 방법
KR100819580B1 (ko) 아바타 냉장고
KR20140125105A (ko) 냉장고 및 그 동작 방법
US9656848B2 (en) Refrigerator supplying heated water based on the body temperature of a u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54626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n refrigerator,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in user terminal
JP2004085173A (ja) 冷蔵庫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071650B1 (ko) 냉장고 및 제어 방법
CN105466147A (zh) 冰箱与用于冰箱的体感探测方法
KR102025326B1 (ko)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8592514A (zh) 智能冰箱及其交互控制方法
KR20200046751A (ko) 냉장고 안의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397046B2 (en) Home appliance having a main processor to control power to a sub-processor based on a door stat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095042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10008931A (ko) 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KR102119000B1 (ko)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냉장고
JP6289829B2 (ja) 冷蔵庫
KR20170017326A (ko) 카메라를 이용하여 내부 영상을 제공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080057475A (ko)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의식품보관 관리방법
KR101446350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홈바 도어 개폐 시스템
KR2016008718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60713A (ko) 내부 투시가 가능한 냉장고
KR20080099669A (ko)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US20230316695A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