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669A -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669A
KR20080099669A KR1020070045519A KR20070045519A KR20080099669A KR 20080099669 A KR20080099669 A KR 20080099669A KR 1020070045519 A KR1020070045519 A KR 1020070045519A KR 20070045519 A KR20070045519 A KR 20070045519A KR 20080099669 A KR20080099669 A KR 20080099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creen
touch
screen
touch scree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7004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9669A/ko
Publication of KR20080099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냉장고는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이 저장되고, 상기 메뉴화면의 표시위치를 지정하는 기준점이 설정되는 메모리부;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접촉점의 좌표를 상기 기준점의 좌표로 인식하여, 상기 접촉점에 대한 상기 메뉴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접촉위치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제한되지 않고 냉장고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Method for touch screen display and refrigerator of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 메뉴화면이 이동되어 표시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냉장고 110 : 도어
130 : 터치스크린 150 : 메모리부
170 : 제어부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 욱 상세하게는 접촉점에 따라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신호를 입력받기 수단으로는 키보드, 키패드 등이 사용되어 왔으며,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표시 해주는 수단으로는 CRT, LCD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정보통신 단말기의 소형화에 따라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을 하나로 통합한 것으로, 터치스크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표시되는 정보를 화면을 통해 확인하며, 이 화면에 직접 손가락, 펜 등을 접촉시켜,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PDA, 네비게이션과 같은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뿐만 아니라, 관공서의 문서발급기나 냉장고와 같은 댁내 가전기기로 그 사용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한편, 냉장고는 주로 식료품을 신선하기 위한 댁내 가전기기로써, 그 도어의 전면부에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출력부가 설치되어, 냉장고의 기능을 조작하도록 하며, 냉장고에 관한 정보를 표시 하도록 한다.
그러나 냉장고에 설치되는 입/출력부는 사용이 빈번한 성인의 눈높이에 한정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일반 성인이 아닌 예를 들어, 어린이, 장애인과 같은 사용자는 냉장고에 설치된 입/출력부에 손이 닿지 않아 냉장고 사용에 제한이 따르며, 냉장고의 상태를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제한되지 않고 냉장고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냉장고는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이 저장되고, 상기 메뉴화면의 표시위치를 지정하는 기준점이 설정되는 메모리부;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접촉점의 좌표를 상기 기준점의 좌표로 인식하여, 상기 접촉점에 대한 상기 메뉴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에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접촉하여 접촉신호가 발생되는 시점부터 상기 접촉신호가 유지되어 상기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시점까지의 설정시간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신호가 상기 설정시간 이상 유지될 때, 상기 메뉴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위치 이외의 상기 접촉점에서 설정시간 이상접촉이 이루어지면, 상기 메뉴화면을 상기 설정시간 이상 접촉되는 위치로 옮겨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메뉴화면 내에 포함되는 어느 한 지점이 접촉되고, 상기 접촉을 유지하며 끌어놓는 위치로 상기 메뉴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은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접촉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 단계;상기 접촉신호가 발생되는 접촉점을 메뉴화면의 기준점으로 인식하는 기준점 인식 단계;상기 접촉점을 기준으로 상기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접촉신호가 설정시간 이상 유지될 때, 상기 메뉴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단계 이후에는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메뉴화면이 표시 되고 있는 위치 이외의 상기 접촉점에서 설정시간 이상 접촉이 이루어지면, 상기 메뉴화면을 설정시간 이상 접촉되는 위치로 옮겨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단계 이후에는 표시되는 상기 메뉴화면 내에 포함되는 어느 한 지점이 접촉되고, 상기 접촉을 유지하며 끌어놓는 위치로 상기 메뉴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도어(110)와, 터치스크린(130)과, 메모리부(150)와, 제어부(170)를 구비한다.
도어(110)는 냉장고(100)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신선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냉 장고(100) 내부를 밀폐시킨다. 도 1에서 냉장고(100)의 도어(110)는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분하며 좌우 양문형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냉장고(100)의 도어(110)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구분에 따라 설치 위치 및 그 개수는 얼마든지 변형되어 실시 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우 양문형 냉장고(100)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좌우 양문형 냉장고(100)는 제1 도어(110a)와 제2 도어(110b)를 구비한다. 제1 도어(110a) 및 제2 도어(110b)의 전면에는 도어(110)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손잡이(101)가 각각 결합된다.
제1 도어(110a)에는 냉장고(100)에 저장되는 내용물 중 출입이 빈번한 내용물, 예를 들어 음료수, 물, 우유와 같은 식품의 출입의 편의를 제공하며, 소비전력의 절약을 위해 홈 바(103)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도어(110b)에는 냉장고(100)의 기능 조작을 위한 신호의 입력수단 및 냉장고(100)에 대한 정보의 표시수단으로 터치스크린(130)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1 도어(110a)에 홈 바(103)가 구비되고, 제2 도어(110b)에 터치스크린(130)이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제1 도어(110a)에 터치스크린(130)이 설치되고 제2 도어(110b)에 홈 바가 설치 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30)에 표시되는 냉장고의 기능조작을 위한 메뉴화면(131)에 손가락, 펜 등을 접촉하여 신호를 입력시킴으로써, 냉장고(100)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냉장고(100)의 사용자는 성인, 어린이, 장애인 등으로 각각의 신체조건이 다르다. 이에 따라 신호의 입력높이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130)은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다양한 입력높이를 제공하기 위해 제2 도어(110b)의 전면, 전반에 걸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 도어(110b)의 전반에 걸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130)은 평상 시, 터치스크린(130)의 반사면(미도시)를 이용해 사용자의 전신을 비출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용모를 살펴볼 수 있는 거울로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부(150)에는 터치스크린(130)에 표시되는 메뉴화면(131)이 저장되고, 메뉴화면(131)의 표시위치를 지정하는 기준점(M1)(도 3 참조)이 설정된다. 이때, 기준점(M1)은 메뉴화면(131)의 중심부가 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기준점(M1)은 메뉴화면(131) 내에 포함되는 어느 한 지점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터치스크린(130)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접촉신호를 감지한다. 제어부(170)는 감지되는 접촉신호에 따라, 접촉점(P1)(도 3 참조)을 취득하며, 이 접촉점(P1)은 메뉴화면(131)의 표시위치를 지정하는 기준점(M1)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100)는 주로 댁내 주방이나 거실과 같이 사용자의 왕래가 빈번한 장소에 설치되므로, 터치스크린(130)에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접촉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냉장고(100)의 기능조작 중 쪼그려 앉는 등의 상황변화에 따라 터치스크린(130)을 접촉하는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메모리부(150)에는 접촉신호가 발생되는 시점으로부터 접속신호가 유지되어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시점까지의 설정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접촉신호가 설정시간 이상으로 유지될 때, 접촉신호가 유지되는 접촉점(P1)으로 메뉴화면(131)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접촉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메뉴화면(131)이 터치스크린(130)에서 표시되는 위치 이외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현재 표시 되고 있는 위치 이외의 접촉점(P1')(도 4 참조)에서 설정시간 이상 접촉을 유지하면, 메뉴화면(131)을 설정시간 이상 접촉되는 접촉점(P1')로 옮겨 표시 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메뉴화면(131) 내에 포함되는 어느 한 접촉점(P1)이 접촉되고, 그 접촉을 유지하며 끌어놓는 접촉점(P1')으로 메뉴화면(131)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부(170)는 메뉴화면(131) 내에 포함되는 어느 한 접촉점(P1)의 좌표로부터 그 접촉을 유지하며 끌어놓는 접촉점(P1')의 좌표까지 방향, 속도, 길이 및 각도를 계산하여 메뉴화면(131)을 이동시켜 터치스크린(130)에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메모리부(150)에는 냉장고(100)의 각 기능에 따른 실행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제어부(170)는 소정 메뉴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접촉신호에 따라 해당 메뉴의 기능이 선택 및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인식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2 내지 도 3a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30)에는 기능조작을 위한 최초 접촉이 이루어진다. 터치스크린(130)에 최초 접촉이 이루어지면, 접촉점(P1)로부터 접촉신호가 발생된다. 제어부(170)는 접촉신호를 감지한다(S10).
제어부(170)는 최초 접촉신호가 감지된 접촉점(P1)의 좌표를 메뉴화면(131)의 표시위치를 지정하는 기준점(M1)의 좌표로 인식하여(S20), 접촉점(P1)에 대한 메뉴화면(131a)이 터치스크린(130)에 표시되도록 한다(S30).
이때, 제어부(170)는 최초 접촉신호가 설정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에 메뉴화면(131a)을 터치스크린(130)에 표시 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시간이 3초라고 가정하면, 제어부(170)는 터치스크린(130)에 최초 접촉신호가 3초 이상 유지될 때에만 메뉴화면(131a)이 터치스크린(130)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접촉에 의해 메뉴화면(131a)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130)에 메뉴화면(131a)이 표시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접촉위치 변동에 따라 메뉴화면(131a)의 위치를 옮길 수 있도록 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 메뉴화면이 이동되어 표시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현재 메뉴화면(131a)이 표시되고 있는 위치 이외의 접촉점(P1')에서 설정시간 이상 접촉을 유지하면, 메뉴화면(131a)을 설정시간 이상 접촉되는 접촉점(P1')로 옮길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부(170)는 현재 메뉴화면(131a)이 표시되고 있는 위치 이외의 접촉점(P1')에서의 메뉴화 면(131b)이 표시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메뉴화면(131a) 내에 포함되는 어느 한 접촉점(P1)이 접촉되고, 그 접촉을 유지하며 끌어놓는 접촉점(P1')으로 메뉴화면(131b)이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메뉴의 하위메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메뉴를 접속할 때, 그 하위 메뉴를 터치스크린(130)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각 메뉴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접촉신호를 감지하며, 각 신호에 따른 기능을 선택 및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은 다양한 접촉위치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제한되지 않고 냉장고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이 저장되고, 상기 메뉴화면의 표시위치를 지정하는 기준점이 설정되는 메모리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접촉점의 좌표를 상기 기준점의 좌표로 인식하여, 상기 접촉점에 대한 상기 메뉴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냉장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접촉되어 접촉신호가 발생되는 시점부터 상기 접촉신호가 유지되어 상기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시점까지의 설정시간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냉장고.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신호가 상기 설정시간 이상 유지될 때, 상기 메뉴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냉장고.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메뉴화면이 표시위치 이외의 상기 접촉점에서 설 정시간 이상 접촉이 이루어지면,
    상기 메뉴화면을 상기 설정시간 이상 접촉되는 위치로 옮겨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냉장고.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메뉴화면 내에 포함되는 어느 한 지점이 접촉되고, 상기 접촉을 유지하며 끌어놓는 위치로 상기 메뉴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냉장고.
  6.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접촉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 단계;
    상기 접촉신호가 발생되는 접촉점을 메뉴화면의 기준점으로 인식하는 기준점 인식 단계;
    상기 접촉점을 기준으로 상기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접촉신호가 설정시간 이상 유지될 때, 상기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 이후에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메뉴화면이 표시 되고 있는 위치 이외의 상기 접촉점에서 설정시간 이상 접촉이 이루어지면,
    상기 메뉴화면을 설정시간 이상 접촉되는 위치로 옮겨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 이후에는
    표시되는 상기 메뉴화면 내에 포함되는 어느 한 지점이 접촉되고, 상기 접촉을 유지하며 끌어놓는 위치로 상기 메뉴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KR1020070045519A 2007-05-10 2007-05-10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KR20080099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519A KR20080099669A (ko) 2007-05-10 2007-05-10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519A KR20080099669A (ko) 2007-05-10 2007-05-10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669A true KR20080099669A (ko) 2008-11-13

Family

ID=40286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519A KR20080099669A (ko) 2007-05-10 2007-05-10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96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369B1 (ko) * 2013-04-10 2015-02-12 한국필립모리스 주식회사 광고판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벤딩머신
KR20180025042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369B1 (ko) * 2013-04-10 2015-02-12 한국필립모리스 주식회사 광고판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벤딩머신
KR20180025042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16891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household appliance and household appliance
KR10113402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오염을 방지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JP6110857B2 (ja) ユーザフィードバックを伴うジェスチャベース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
US9348421B2 (en) Gesture and touch-based interactivity with objects using 3D zones in an interactive system
CN104731496B (zh) 解锁方法与电子装置
JP2007507782A (ja) ディスプレイ上のコンテンツウィンドウの位置、サイズ及び/又はコンテンツを規定するためのジェスチャ
US20130300704A1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CN105531646A (zh) 手势驱动的范围和值的同时选择
JP2017062709A (ja) ジェスチャー操作装置
US20140265805A1 (en) Appliance with automatic door opener
JP6966629B2 (ja) 仮想制御装置及びシステム
CN106052289B (zh) 冰箱
US20140310621A1 (en)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9736416B2 (en) Key informatio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body keys of display, television set
KR20110020642A (ko) 사용자 접근을 인식하여 반응하는 gui제공 장치 및 방법
US11847010B2 (en) Appliance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in a safety-critical operation
CN113874818A (zh) 交互式厨房显示器
JP2017110832A (ja) 冷蔵庫
US10324584B2 (en) Touch screen display having an external physical element for association with screen icons
JP2013232062A (ja) タッチパネル誤操作防止入出力装置
KR20080099669A (ko)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KR20090076124A (ko) 가전 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JP2020119105A (ja) 操作装置
JP2004013736A (ja) 操作表示装置
KR10138747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