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475A -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의식품보관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의식품보관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475A
KR20080057475A KR1020060130813A KR20060130813A KR20080057475A KR 20080057475 A KR20080057475 A KR 20080057475A KR 1020060130813 A KR1020060130813 A KR 1020060130813A KR 20060130813 A KR20060130813 A KR 20060130813A KR 20080057475 A KR20080057475 A KR 20080057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voice
information
refrigerator
storag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의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0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7475A/ko
Publication of KR2008005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4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음성명령에 해당되는 식품의 저장위치 및 관련정보를 화면, 램프, 스피커 등을 통해 알려주는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은 음성 입력부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 수신된 음성 신호를 해석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와, 상기 음성 신호 처리부에 의하여 해석된 저장 식품 관련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해석된 음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되는 알림부 및 상기 음성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가 포함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식품보관 관리방법은 식품 보관 관리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와, 식품 보관 관리 알고리즘이 구동하는 단계와, 음성 입력부가 활성화되어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입력된 음성 신호에 따른 식품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관련 정보가 출력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에 저장되는 식품의 관리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도어, 디스플레이, 신호처리부, 알림부, 메모리, 음성인식

Description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방법{A food-charge management system for refrigerator and the method of using the same}
도 1 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냉동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의 동작신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식품을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식품을 인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100..... 냉동실
110..... 힌지 120..... 냉동실도어
122..... 도어바스켓 124..... 가스캣
130..... 베리어 132..... 도어개방 감지센서
140..... 디스펜서 220..... 냉장실도어
222..... 도어핸들 240..... 홈바
300..... 컨트롤패널 320..... 디스플레이
340..... 조작버튼 400..... 내부마이크
500..... 외부마이크 600..... 음성입력장치
700..... 제어부 710..... 음성입력부
720..... 음성신호처리부 730..... 도어개방 감지부
740..... 기능선택부 750..... 메모리
800..... 알림부 L....... 발광장치
S....... 스피커
본 발명은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음성명령에 해당되는 식품의 저장위치 및 관련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 램프, 스피커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의 상태에 따라서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게 된다.
냉장고의 내부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되며,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사이클(Cycle)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지속적으로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식품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일반적인 냉장고의 구성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냉장고의 본체(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식품의 저장을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 내측의 저장공간은 좌/우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10)과 냉장실(20)을 형성하며, 상기 냉동실(10)과 냉장실(20)은 상기 본체(1)의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0)과 냉장실(20)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본체(1)에 각각 좌우 양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냉동실도어(12)와 냉장실도어(2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한편, 냉장고의 형태에 따라 상기 냉동실(10)과 냉장실(20)의 구성 및 상기 냉동실도어(12)와 냉장실도어(22)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상기 냉장실도어(22)와 냉동실도어(12)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디스펜서(14)와 홈바(24)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14)는 냉장고의 내부에서 제빙된 얼음 및/또는 정수 된 물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취출 가능한 것으로, 상기 냉동실도어(12)의 전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24)는 상기 냉장실도어(22)의 이면에 저장된 식품을 용이하게 꺼내거나,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냉장실도어(22)의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홈바도어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에 저장되는 품목은 음식냄새로 인하여 기밀용기에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다수개의 품목이 기밀용기에 밀폐된 상태로 고내(庫內)에 보관되면 보관위치의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최근 개발되고 있는 냉장고에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이를 다수개의 버튼을 통해 조작하도록 하였으나, 조작능력이 떨어지는 노약자들은 이의 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입력을 통하여 고내(庫內)에 저장되는 식품의 보관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고의 외부 및 내부에 음성인식을 위한 음성입력 부를 구비하여,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와 도어를 차폐하였을 때, 음성인식부가 다르게 활성화되는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장고 내부에 식품을 저장할 때와 인출할 때, 상기와 같은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식품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은 음성입력부와, 상기 음성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 수신된 음성 신호를 해석하는 음성신호처리부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의하여 해석된 저장 식품 관련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해석된 음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되는 알림부 및 상기 음성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입력부를 통하여 식품의 정보 및 저장 위치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정보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림부에는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스피커 또는 발광 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식품 관련 정보가 문자 또는 영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품 관련 정보에는 식품의 종류 정보와, 식품의 유통 기한 정보와, 식품의 보관일자 정보 및 식품의 보관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식품보관 관리 기능의 선택 및 해제를 위한 기능 선택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기능 선택부의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음성입력부의 활성화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입력부는 도어의 개방 여부에 따라 개별 작동하는 복수개의 마이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방법은, 식품보관 관리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와, 식품 보관 관리 알고리즘이 구동하는 단계와, 음성입력부가 활성화되어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입력된 음성 신호에 따른 식품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관련 정보가 출력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입력부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는 식품의 종류 정보와, 식품의 유통 기한 정보와, 식품의 보관일자 정보 및 식품의 보관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입력부에는 도어에 제공되는 외부 마이크와, 본체에 제공되는 내부 마이크가 포함되고, 도어의 개방 여부에 따라 활성화되는 음성 입력부가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품보관 관리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음성입력부로 입력된 신호의 유효성 판단과정과, 입력된 신호해석과정과, 신호 해석을 통하여 도출된 정보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비교판단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효성 판단과정에서는 유효하지 않은 음성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음성 명령의 재입력을 유도하는 과정이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련 정보가 출력되는 단계에는 관련된 식품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를 통한 출력과, 스피커를 통한 출력 및 램프 점등을 통한 저장 위치 표시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품 보관관리 기능의 해제명령 입력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에 저장되는 식품의 보관 및 관리가 보다 용이 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냉동실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내부공간을 좌/우측으로 구획하는 베리어(130)에 의해 좌측은 저장물을 냉동보관하는 냉동실(100)을 이루고, 우측은 저장물을 냉장보관하는 냉장실(미도시)을 이루어 본체(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내부공간 즉, 상기 냉동실(100) 및 냉장실(미도시)은 냉동실도어(120) 및 냉장실도어(22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동실도어(120)와 냉장실도어(220)는 힌지(110)에 의해 상기 본체(1)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와 같이 장착된 도어(120,220) 전면에는 도어핸들(222)이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핸들(222)을 파지한 상태로 상 기 도어(120,220)를 회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장착된 도어(120,220)의 후면에는 다수개의 도어바스켓(122)이 구비되어 저장물의 수납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 냉동실도어(120)의 후면에는 외부에서 상기 냉동실도어(120)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얼음 또는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14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도어바스켓(122)과 상기 냉동실(100) 및 냉장실(미도시)의 내부공간은 선반 또는 바스켓에 의해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구획된 각 공간에는 개별적으로 발광장치(L)가 구비되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식품보관 관리시스템에 의해 동작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도어(220)에는 홈바(2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홈바(240)는 사용자가 음료나 식수 등을 상기 냉장실도어(220)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취출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냉장실도어(220)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고내(庫內)와 연통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저장공간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홈바도어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240)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300)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패널(300)은 냉장고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조작명령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컨트롤패널(300)을 통한 사용자 명령입력은 다수개의 조작버튼(340)과 디스플레이(320)의 터치스크린 및 음성입력장치(600)를 통해 수행되며, 아래에서는 상기 음성입력장치(600)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300)의 좌측에는 스피커(S)가 더 구비되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식품보관 관리시스템에 의해 동작된다.
한편, 상기 음성입력장치(600)는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감지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음성입력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주파수 분석한 뒤 모음을 특징짓는 음역 또는 그것과 등가인 특징을 추출해서 분리하는 방법과, 소나그램(Sonagram) 즉, 음성이나 소리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시간에 대한 각 주파수의 에너지 변화가 도시된 그래프를 이용함으로써 음성을 인식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한 방법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음성입력장치(600)는 사용자가 음식명 즉, 단어로 된 음성명령 말하였을 때 이를 해석하는 단어인식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음성입력장치(600)는 상기 컨트롤패널(3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외부마이크(500)와 상기 베리어(130)의 일측에 구비되는 내부마이크(400)로 나뉜다.
상기와 같이 음성입력장치(600)가 상기 컨트롤패널(300)에 구비되는 외부마이크(500)와, 상기 베리어(130)의 일측에 구비되는 내부마이크(400)로 나뉘는 이유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120,220)를 개방시키지 않고 음성명령을 입력하는 것은 물론, 도어(120,220)를 개방한 상태에도 음성명령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시스템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음성입력부(710)와, 상기 도어(120,220)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방 감지부(730), 그리고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의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선택부(74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음성입력부(710)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720) 및 상기 음성신호처리부(720)에서 분석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750) 그리고, 상기 음성신호처리부(720)에서 분석된 정보와 상기 메모리(750)에 저장된 정보의 비교분석 결과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디스플레이(320) 및 알림부(800)가 더 구성되며, 전술한 각 부분들은 제어부(700)를 통해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음성입력부(710)는 전술한 음성입력장치(600) 즉, 내부마이크(400)와 외부마이크(500)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마이크(400)와 외부마이크(500)는 상기 도어개방 감지부(7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서로 다르게 활성화된다.
즉, 상기 도어개방 감지부(730)에서 도어(도 2 에서 도면부호 120,220)가 개방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내부마이크(400)가 활성화되고 외부마이크(500)는 비활성화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개방 감지부(730)에서 도어(120,220)가 차폐된 것으로 감 지신호를 보내면 상기 외부마이크(500)가 활성화되고 내부마이크(400)는 비활성화된다.
이에 관한 추가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도 4 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기능선택부(740)는, 다수개의 조작버튼(34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320)에 구비되는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다수개의 조작버튼(340) 및 터치패널 중에는 상기 음성입력부(710)의 동작 기능을 선택 및 해제하기 위한 기능선택버튼이 스위치 형태 또는 아이콘 형식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음성신호처리부(72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음성입력부(710)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상기 메모리(75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데이터와 비교판단하는 것으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음성신호의 주파수에 포함된 특정 코드를 추출하여 상기 메모리(750)에 기(旣) 저장된 데이터코드와 비교한 뒤 동일데이터가 검출되면 이에 해당하는 동작명령코드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오류명령코드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에서는 상기와 같이 전송된 명령코드에 해당하는 동작 수행부로 수행명령을 전달하게 되고, 수행명령을 전달받은 동작 수행부에서는 해당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700)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320)와 발광장치(L) 그리고, 스피커(S)로 동작명령을 전달하게 되고, 동작명령을 전달받은 디스플레이(320)에서 는 냉장고의 내부공간과 이러한 내부공간 중 원하는 식품이 저장된 공간이 드러나도록 화면에 도시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장치(L)는 동작명령이 수신되면 냉장고의 구획된 내부공간에 개별적으로 장착되어, 원하는 식품이 저장된 공간의 발광장치(L)가 주위와 구별되는 빛을 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피커(S)는 동작명령이 수신되면 식품이 저장된 위치를 음성메시지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메모리(750)는 냉장고에 저장가능한 식품의 기본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기본정보를 바탕으로 고내(庫內)에 저장되는 식품의 보관정보를 선택적으로 기록 및 삭제할 수 있도록 이피롬(Erasable and programmable-read only memory, eprom)으로 구성되며, 데이터의 기록 및 소거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다면 다른 종류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도 무방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동작순서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보관식품 관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의 동작신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할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방법은, 상기 기능선택부(740)를 조작하여 식품보관위치 관리기능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시작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식품보관위치 관리기능이 선택되면, 도어개폐 여 부에 따라 음성입력부(710)가 활성화된다.
즉,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내부마이크(400)가 활성화되고, 도어가 차폐되면 상기 외부마이크(500)가 활성화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라 음성입력부(710)가 활성화되면 상기 메모리(750)에 저장된 식품보관 관리 알고리즘이 구동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식품보관 관리 알고리즘이 구동되는 단계는 식품을 저장하는 알고리즘과 식품을 인출하는 알고리즘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알고리즘에 관한 설명은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식품보관 관리 알고리즘이 구동되는 단계가 수행되면, 활성화된 음성입력부(710)를 통해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가 수행되고 나면, 상기 제어부(700)에서 수신된 신호를 상기 음성신호처리부(720)로 전달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상기 식품보관 관리 알고리즘을 통해 유효성 판단과정과 입력된 신호의 해석과정 및 신호 해석을 통하여 도출된 정보와 메모리에 기(旣) 저장된 정보를 비교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유효성 판단과정에서는 유효하지 않은 음성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상기 스피커(S)나 디스플레이(320)를 통해 음성명령의 재입력을 유도하는 과정이 더 수행되며, 유효한 음성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신호의 해석과정 및 정보의 비교판단 과정을 거친 뒤 해당식품의 관련정보가 출력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즉, 상기 관련정보가 출력되는 단계에서는 관련된 식품의 정보를 상기 디스 플레이(320), 스피커(S), 발광장치(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하여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관련정보가 출력되는 단계가 수행되고 나면, 설정된 식품보관 관리기능을 해제하는 식품보관 관리기능의 해제명령 입력단계가 수행되고, 식품보관 관리기능의 해제명령이 입력되면 음성인식을 통한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이 종료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동작순서에 의해 구현되는 식품보관 관리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식품을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사용자가 고내(庫內)에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도어(120,220)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120,220)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음식물(도 1 에서 도면부호 F)을 고내(庫內)의 일정공간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F)을 저장한 뒤에 사용자는 도어(120,220)를 차폐한다.
상기와 같이 도어(120,220)를 차폐한 뒤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패널(300)에 구비되는 음식물 정보저장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 음식물 정보저장메뉴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조작버튼(340)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버튼 중에 하나이거나, 상기 디스플레이(320)의 터치스크린에 구성되는 하나의 아이콘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음식물 정보저장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음식물(F)의 명칭과, 저장위치, 저장일자 등의 저장정보를 음성으로 입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음식물(F)의 저장정보를 음성으로 입력하게 되면 입력된 음성이 상기 음성신호처리부(720)을 통해 해독되어 상기 메모리(750)로 해독된 정보를 저장하게 됨으로써 음성 입력을 통한 음식물의 저장이 완료된다.
한편, 음식물을 저장하는 방법은 상기한 방법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가능하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120,220)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내부마이크(400)가 활성화된다.
상기와 같이 내부마이크(4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음식물(F)을 내부공간 일측에 저장하고 음식물 정보저장 메뉴를 선택한 뒤 음성입력을 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도어(120,220)를 차폐하여 외부마이크(500)를 통한 음성입력을 하는 방법과 도어(120,220)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마이크(400)를 통한 음성입력 방법이 모두 사용가능하며 이는 프로그램상으로 조작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음성입력을 통해 저장된 음식물(F)을 인출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식품을 인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사용자가 고내(庫內)에 보관된 음식물(F)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컨트롤패널(300)에 구비된 조작버튼(340) 중에 음식물 보관 위치확인 메뉴를 선택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 보관위치확인 메뉴를 선택한 뒤, 사용자는 상기 외부마이크(500)를 통해 인출하고자 하는 음식물(F)의 명칭을 입력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음식물(F)의 명칭이 입력되면 상기 음성신호처리부(720)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메모리(750)에 기(旣) 저장된 음식물(F)의 정보과 비교한 뒤 해당데이터 즉, 사용자가 인출하고자 하는 음식물(F)의 위치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320) 또는 상기 알림부(800)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출력되는 해당 음식물(F)의 위치정보를 살펴보면, 상기 디스플레이(320)에는 냉장고 고내(庫內)의 이미지가 도시되고, 도시된 고내(庫內)의 이미지에는 사용자가 인출하고자 하는 음식물(F)이 저장된 공간이 주위와 구별되는 이미지로 도시된다.
한편, 상기 알림부(800)는 스피커(S)를 통해 사용자가 인출하고자 하는 음식물(F)의 정보를 음성메시지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320) 또는 스피커(S)를 통해 인출하고자 하는 음식물(F)이 저장된 위치를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120,220)를 개방하게 되면, 인출하고자 하는 음식물(F)이 저장된 공간의 발광장치(L)가 주위와 구별되는 색으로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발광장치(L) 및 디스플레이(320)에 도시된 이미지 화면 그리고, 스피커(S)의 음성메시지를 통해 인출하고자 하는 음식물(F)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음식물(F)을 인출한 뒤 도어(120,220)를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보관된 음식물(F)을 인출하게 되면, 기(旣) 저장된 음식물(F)의 저장정보는 변경되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외부마이크(500)를 통한 음성명령 입력 또는 상기 컨트롤패널(300)에 구비된 조작버튼(340)을 이용하여 변경된 음식물의 보관위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음성명령을 통한 음식물(F)의 인출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실시 예로 설명한 음성입력을 통한 음식물의 인/출입과정은 프로그램상의 변경을 통해 수행 순서를 변경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나 이는 단순한 프로그램 조작으로 인한 수행순서의 변경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음성입력을 통하여 고내(庫內)에 저장되는 식품의 보관 및 관리를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냉장고의 외부 및 내부에 음성인식을 위한 음성입력부를 구비하여,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와 도어를 차폐하였을 때 음성인식부가 다르게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음성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밀용기에 저장되는 음식물의 저장위치를 디스플레이 또는 알림부를 통해 사용자가 시각 또는 청각을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중인 식품의 인출이 보다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성입력을 통해 상기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게 됨으로써, 조작능력이 떨어지는 노약자들도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식품의 기본적인 정보 및 이와 관련되는 식품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함께 도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저장된 식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점으로 인하여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상승하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14)

  1. 음성입력부;
    상기 음성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 수신된 음성 신호를 해석하는 음성신호처리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의하여 해석된 저장 식품 관련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해석된 음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되는 알림부; 및
    상기 음성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력부를 통하여 식품의 정보 및 저장 위치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정보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에는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스피커 또는 발광 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식품 관련 정보가 문자 또는 영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관련 정보에는 식품의 종류 정보와, 식품의 유통 기한 정보와, 식품의 보관일자 정보 및 식품의 보관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식품보관 관리 기능의 선택 및 해제를 위한 기능 선택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기능 선택부의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음성입력부의 활성화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력부는 도어의 개방 여부에 따라 개별 작동하는 복수개의 마이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8. 식품보관 관리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식품 보관 관리 알고리즘이 구동하는 단계;
    음성입력부가 활성화되어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음성 신호에 따른 식품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관련 정보가 출력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력부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는 식품의 종류 정보와, 식품의 유통 기한 정보와, 식품의 보관일자 정보 및 식품의 보관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력부에는 도어에 제공되는 외부 마이크와,
    본체에 제공되는 내부 마이크가 포함되고,
    도어의 개방 여부에 따라 활성화되는 음성 입력부가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보관 관리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음성입력부로 입력된 신호의 유효성 판단과정과,
    입력된 신호해석과정과,
    신호 해석을 통하여 도출된 정보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비교판단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판단과정에서는,
    유효하지 않은 음성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음성명령의 재입력을 유도하는 과정이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가 출력되는 단계에는, 관련된 식품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를 통한 출력과, 스피커를 통한 출력 및 램프 점등을 통한 저장 위치 표시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식품 보관관리 기능의 해제명령 입력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방법.
KR1020060130813A 2006-12-20 2006-12-20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의식품보관 관리방법 KR20080057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813A KR20080057475A (ko) 2006-12-20 2006-12-20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의식품보관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813A KR20080057475A (ko) 2006-12-20 2006-12-20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의식품보관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475A true KR20080057475A (ko) 2008-06-25

Family

ID=3980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813A KR20080057475A (ko) 2006-12-20 2006-12-20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의식품보관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747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7337A (ko) * 2010-02-25 201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055117B2 (en) 2010-02-23 2018-08-2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a terminal to provide content related to the refrigerator
CN113251737A (zh) * 2020-02-13 2021-08-13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信息处理系统
CN114508895A (zh) * 2019-03-13 2022-05-17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的数据交互方法及交互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5117B2 (en) 2010-02-23 2018-08-2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a terminal to provide content related to the refrigerator
KR20110097337A (ko) * 2010-02-25 201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4508895A (zh) * 2019-03-13 2022-05-17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的数据交互方法及交互系统
CN113251737A (zh) * 2020-02-13 2021-08-13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信息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600B1 (ko) 냉장고
KR102023013B1 (ko) 냉장고 및 그 동작 방법
US9719720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110209493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hidden user interface
WO2021027655A1 (zh) 查看和跟踪储存物品的方法
KR20080057475A (ko)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의식품보관 관리방법
KR100705767B1 (ko) 김치 냉장고의 냉각 제어 방법
KR20040094453A (ko) 김치냉장고
KR20160006832A (ko)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2071664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8066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1257514B1 (ko) 냉장고
US11421932B2 (en) Displ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650746B1 (ko) 김치 냉장고의 냉각 제어 방법
JP2017129283A (ja) 冷蔵庫
KR20190137481A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654804B1 (ko) 김치냉장고
KR20000051675A (ko) 김치저장고의 냉장보관장치 및 방법
KR20170105707A (ko) 감지거리 설정 방법
KR20080061687A (ko) 냉장고
KR101384237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299944B1 (ko) 제빙완료 예상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719248B1 (ko) 김치의 보관 관리 기능을 갖는 김치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036405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000059585A (ko) 김치저장고의 운전코스 선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