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664B1 -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664B1
KR102071664B1 KR1020180063777A KR20180063777A KR102071664B1 KR 102071664 B1 KR102071664 B1 KR 102071664B1 KR 1020180063777 A KR1020180063777 A KR 1020180063777A KR 20180063777 A KR20180063777 A KR 20180063777A KR 102071664 B1 KR102071664 B1 KR 102071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knock
signal
lighting unit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516A (ko
Inventor
김상오
윤준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3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664B1/ko
Publication of KR20190137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밝히도록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라이팅 유닛에 의해 밝아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시창을 갖는 도어;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여 노크 온 신호를 발생시키는 노크모듈;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 그리고 상기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라이팅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센서를 통해서 도어개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노크모듈의 활성화를 비활성화로 전환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는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별도의 수납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납 공간을 통해서 냉장고 도어 전체를 개방하지 않고 일부의 보조 도어 또는 홈바 도어를 개방하여 수납 공간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식품들은 상기 냉장고 도어에 제공되는 별도의 수납공간에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식품의 수납을 위해 상기 냉장고 도어 전체를 개방하지 않기 때문에 고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근본적으로 냉장고 도어를 열지 않으면 내부의 식품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원하는 식품이 고내의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지, 도어에 제공된 별도의 수납공간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개방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만약 보조 도어 또는 홈바의 개방시 원하는 식품이 없는 경우 다시 메인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으며, 이때 냉기의 불필요한 유출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일부를 투명한 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고내의 단열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내부를 투시할 수 있게 되는 경우 음식물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매우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 또는 사용자의 의지에 의해서 냉장고 외부에서 냉장고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볼 수 있는 냉장고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필요 또는 의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냉장고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투시를 원하지 않는 경우 냉장고 내부가 투시 가능한 경우 또는 사용자가 투시를 원하지만 냉장고 내부가 투시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사용자가 냉장고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사용자의 필요 또는 의지는 사용자의 행동이나 사용자의 적극적인 입력을 냉장고에서 인식할 수 있다. 즉, 투시를 위한 사용자의 적극적인 행동이나 입력을 냉장고에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투시를 위한 입력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냉장고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반면에, 투시를 위한 입력이 아닌 것을 투시를 위한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오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인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한편, 이러한 냉장고의 필요성은 복수 개의 저장실 각각을 개폐하는 복수 개의 도어를 갖는 냉장고뿐만 아니라 하나의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서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어의 저장실을 투시할 수 있는 냉장고뿐만 아니라 저장실 자체를 투시할 수 있는 냉장고에서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선행문헌으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2094호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냉장고 내부를 냉장고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의 행동이나 입력(이하 "투시 입력")에 대한 오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투시 입력이 사용자가 냉장고를 두드리는 노크 입력으로 수행되는 경우, 도어의 닫힘을 통해 발생될 수 있는 오인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노크 입력이 발생되거나 노크 입력을 인식하더라도, 투시를 위한 활성화가 수행되지 않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불필요하거나 무의미한 투시 활성화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투시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도어에 투시 입력을 가하는 냉장고에서, 도어가 개방된 경우, 투시 입력 인식에도 불구하고 투시 활성화가 수행되지 않거나 투시 입력 인식 자체가 차단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투시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도어에 투시 입력을 가하는 냉장고에서, 도어가 개방된 경우, 투시 입력에도 불구하고 투시와 연관된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제어부에서 투시 입력을 인식하더라도 이를 기반으로 하여 투시 활성화 내지는 투시 비활성화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투시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투시 도어와 다른 저장실을 개폐하는 일반 도어가 구비되는 냉장고에서, 일반 도어가 닫힐 때 발생되는 충격을 투시 입력으로 오인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일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는 일반 도어가 개방된 저장실에 집중하고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투시 도어가 활성화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밝히도록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라이팅 유닛에 의해 밝아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시창을 갖는 도어;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여 노크 온 신호를 발생시키는 노크모듈;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 상기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라이팅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센서를 통해서 도어개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노크모듈의 활성화를 비활성화로 전환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노크모듈의 비활성화 상태를 투시 제어의 비활성화 내지는 잠김 상태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강제적으로 투시 제어가 수행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크 온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투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노크 온 신호를 반영하여 투시 비활성화에서 투시 활성화로 전환하거나, 투시 활성화에서 투시 비활성화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팅 유닛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서 투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형태로 투시 제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일례로, 전류가 인가되면 투명해지는 투명창이 구비되는 경우, 전류의 인가/차단 제어를 통해서 투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라이팅 유닛은 투시 전환 유닛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노크모듈은 사용자가 투시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투시 입력을 노크 형태로 입력하는 수단이다. 그러나, 다른 형태로 투시 입력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노크모듈은 투시 입력 유닛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노크모듈(투시 입력 유닛)의 비활성화는 상기 노크모듈(투시 입력 유닛)로 공급되는 전류의 차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투시 입력 자체를 감지하는 센서 내지는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노크모듈은, 노크 온 입력을 수신하는 노크 감지장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크모듈은, 상기 노크 감지장치(센서)에서 수신된 입력이 정상적인 노크 입력(투시 입력)인지 판단하는 노크모듈 피시비(노크모듈 마이컴)를 포함할 수 있다. 노크 모듈 비활성화에서 센서에서 수신된 입력을 노크모듈 마이컴에서 정상적인 노크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노크모듈 피시비는, 정상적인 노크 입력인 경우 노크 온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크모듈의 비활성화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노크 온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라이팅 유닛을 제어하는 것이 배제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정상적으로 노크모듈이 작동하지만, 제어부에서 노크모듈의 작동 결과를 반영하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와 도어 센서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어 및 제2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2도어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투시창이 구비된 도어 외에 다른 도어들과 이들의 도어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도어 센서를 통해서 제2도어개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노크모듈의 활성화를 비활성화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노크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투시 제어가 수행되지 않게 된다. 즉, 투시 입력이 발생되더라도 투시 제어가 수행되지 않게 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밝히도록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라이팅 유닛에 의해 밝아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시창을 갖는 도어;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여 노크 온 신호를 발생시키는 노크모듈;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 그리고 상기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라이팅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개방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노크 온 신호의 수신과 무관하게 상기 제어신호를 미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유닛은 전술한 바와 같이 투시 전환 유닛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노크모듈은 투시 입력 유닛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기본적으로 투시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투시 설정 입력과 같은 별도의 입력 수단으로 투시 비활성화를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는 이상 투시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투시 활성화 상태에서 정상적인 투시 입력이 발생되고 이를 투시 입력 신호가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투시 제어가 수행되지 않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도어 개방 신호를 미수신하면,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 투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개방신호의 미수신 경과 시간이 기설정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개방신호의 미수신 경과 시간이 기설정 시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미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도어 닫힘에 의한 충격을 투시 입력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와 도어 센서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어 및 제2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2도어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도어 센서를 통해서 제2도어개방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노크 온 신호의 수신과 무관하게 상기 제어신호를 미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크 온 신호의 수신 및 상기 도어 개방 신호를 미수신하고, 상기 제2도어 센서를 통해서 제2도어개방신호의 미수신 경과 시간이 기설정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크 온 신호의 수신 및 상기 도어 개방 신호를 미수신하고, 상기 제2도어 센서를 통해서 제2도어개방신호의 미수신 경과 시간이 기설정 시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미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투시 도어뿐만 아니라 다른 도어의 닫힘에 의한 충격을 투시 입력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밝히도록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라이팅 유닛에 의해 밝아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시창을 갖는 도어;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여 노크온신호를 발생시키는 노크모듈;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도어개방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크모듈을 통해서 상기 노크온신호를 수신하는 노크온신호 단계; 상기 도어 센서를 통해서 상기 도어개방신호를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도어개방신호단계; 상기 라이팅 유닛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라이팅 유닛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팅 유닛 제어단계는, 상기 노크온신호의 수신 및 상기 도어개방신호의 미수신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라이팅 유닛은 투시 전환 유닛, 노크모듈은 투시 입력 유닛, 노크온신호는 투시 신호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라이팅 유닛을 제어하기 제어신호를 미출력하는 라이팅 유닛 비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팅 유닛 비제어단계는, 상기 노크온신호의 수신과 상기 도어개방신호의 수신인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밝히도록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라이팅 유닛에 의해 밝아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시창을 갖는 도어;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여 노크온신호를 발생시키는 노크모듈;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도어개방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크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도어 센서를 통해서 상기 도어개방신호를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도어개방신호단계; 상기 라이팅 유닛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라이팅 유닛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팅 유닛 제어단계는, 상기 노크모듈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라이팅 유닛은 투시 전환 유닛, 노크모듈은 투시 입력 유닛, 노크온신호는 투시 신호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상기 도어개방신호단계에서 상기 도어개방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노크모듈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밝히도록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라이팅 유닛에 의해 밝아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시창을 갖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와 독립적으로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여 노크 온 신호를 발생시키는 노크모듈; 상기 제1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1도어 센서; 상기 제2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2도어 센서; 그리고 상기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라이팅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도어 센서의 도어개방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노크 온 신호의 수신과 무관하게 상기 제어신호를 미출력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밝히도록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라이팅 유닛에 의해 밝아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시창을 갖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와 독립적으로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여 노크온신호를 발생시키는 노크모듈; 상기 제1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도어개방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도어 센서; 그리고 상기 제2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도어개방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도어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크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도어 센서를 통해서 상기 도어개방신호를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도어개방신호단계; 상기 라이팅 유닛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라이팅 유닛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개방신호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도어 센서 중 하나 이상의 도어개방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노크모듈이 비활성화되고, 상기 라이팅 유닛 제어단계는, 상기 노크모듈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수행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의 특징들은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냉장고 내부를 냉장고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의 행동이나 입력(이하 "투시 입력")에 대한 오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투시 입력이 사용자가 냉장고를 두드리는 노크 입력으로 수행되는 경우, 도어의 닫힘을 통해 발생될 수 있는 오인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노크 입력이 발생되거나 노크 입력을 인식하더라도, 투시를 위한 활성화가 수행되지 않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불필요하거나 무의미한 투시 활성화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투시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도어에 투시 입력을 가하는 냉장고에서, 도어가 개방된 경우, 투시 입력 인식에도 불구하고 투시 활성화가 수행되지 않거나 투시 입력 인식 자체가 차단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투시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도어에 투시 입력을 가하는 냉장고에서, 도어가 개방된 경우, 투시 입력에도 불구하고 투시와 연관된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에서 투시 입력을 인식하더라도 이를 기반으로 하여 투시 활성화 내지는 투시 비활성화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투시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투시 도어와 다른 저장실을 개폐하는 일반 도어가 구비되는 냉장고에서, 일반 도어가 닫힐 때 발생되는 충격을 투시 입력으로 오인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일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는 일반 도어가 개방된 저장실에 집중하고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투시 도어가 활성화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4는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상기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메인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상기 서브 도어의 정면도,
도 7은 상기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9는 도 6의 B-B'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노크 감지장치의 결합 구조를 상기 서브 도어의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6의 C-C'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로직을 나타낸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서, 노크 조작 전 상태와 노크 조작 후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로직을 나타낸 순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로직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등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도면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특정의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게 도시되거나 설명될 수 있다. 이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의 본 발명의 범주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냉장고의 서브 도어(50)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40)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슬라이딩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서랍식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장실(12)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냉장실 도어(20)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서랍 형태가 아닌 냉장실 도어(20)와 마찬가지로 스윙 형태의 도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냉동실은 좌우에 각각 구비되어 두 개의 냉동실 도어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냉장 하냉동 냉장고에서 냉동실이 좌우에 각각 구비되어 스윙 형태의 냉동실 도어가 한쌍 구비된 냉장고를 프렌치 타입 냉장고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인출입 될 수도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식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2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우측(도 1에서 볼 때)의 냉장실 도어(20)는 이중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40)와,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개구부(403)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는 어퍼 힌지(401) 및 로어 힌지(40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2)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비롯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43)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브 도어(50)만 개방하고 상기 메인 도어(40)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상기 개구부(403)를 통해서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403)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둘레 일부를 제외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스켓(43)은 제1도어 바스켓(431)만 포함하여도 무방하나, 수납공간 확보를 위해 필요에 따라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 하측에 위치한 제2도어 바스켓(43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의 하측에 위치한 제3도어 바스켓(435)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403)를 개폐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통해서 외부에서 상기 개구부(403)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중앙에는 유리와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된 패널 어셈블리(54)가 구비된다. 따라서,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투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씨스루 도어(see-through door) 내지는 투시 도어라 불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투시창이라 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투시창은 항상 투시할 수 있는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투시할 수 있는 상태(투시 활성화 상태)와 투시할 수 없는 상태(투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평상 시에는 투시 비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가 투시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가 더이상 투시를 수행하지 않으려고 투시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부(403)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에는 핸들(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23)은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서로 인접한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핸들(23)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23)은 상기 냉장실 도어(20)에 접촉하는 상부와 하부보다, 중앙 부위가 상기 냉장실 도어(20)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핸들(23)은 아치 형상으로, 중앙이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조작 버튼(231)에 의해 동작되는 록킹유닛(2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록킹유닛(232)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메인 도어의 구속부재(404)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23)을 잡고 메인 도어(40)를 개방할 수 있고 이때, 서브 도어(50)는 메인 도어(4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핸들(23)을 잡고 조잡 버튼(231)을 누른 상태에서 핸들(23)을 당기면, 메인 도어(40)는 고정되고 서브 도어(50)만 개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냉장고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브 도어(50)가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포개지는 형태의 냉장고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서브 도어(50)의 크기는 메인 도어(40)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같게 된다. 물론, 서브 도어(50)가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일부가 포개지는 형태의 냉장고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서브 도어(50)가 메인 도어(40) 내부로 삽입되어 닫히는 형태로 냉장고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도어(50)의 크기는 메인 도어(40)의 크기보다 작게 된다. 다시 말하면, 메인 도어(40)가 서브 도어(50)의 도어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냉장고에서는 메인 도어(40)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과 서브 도어(50)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이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어느 경우나 서브 도어(50)는 투시 도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투시 활성화되는 도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투시 입력 내지는 투시 활성화 입력에 의해서 투시 활성화가 수행되는 투시 도어임이 바람직하다.
투시 활성화는 도어를 통해서 내부를 볼 수 없는 상태에서 내부를 볼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냉장고에서 투시 활성화가 수행되는 경우 도어를 통해서 도어 후방의 저장실을 냉장고 외부에서 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힌지(401)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메인 도어(40)가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는 상기 서브 도어(50)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의 힌지축(511)은 일측이 개구된 단면을 가지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면 구조는 보다 확장된 상기 힌지축(511) 내부의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에 구비되는 전장부품(아래에서 설명할 노크 감지장치나 도어 라이팅 유닛)과 연결된 전선이나 신호선(L)들은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의 힌지축(511)을 통해 상기 서브 도어(50) 외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캐비닛(10) 상의 메인 제어부(2)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어퍼 힌지(401)와 서브 어퍼 힌지(51)는 메인 힌지 커버(45)와 서브 힌지 커버(53)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와 서브 힌지 커버(53)는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를 통해 외부로 안내되는 전선(L)이 상기 서브 힌지 커버(53)를 지나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의 내측을 통해 상기 메인 제어부(2)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의 내측에는 상기 서브 도어(50) 측의 전장 부품을 컨트롤하기 위한 별도의 피시비가 수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로어 힌지(40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단에는 상기 서브 도어(50)를 지지하기 위한 서브 로어 힌지(52)가 장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냉장실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납 케이스(41)는 전면이 개구되며, 상기 수납 케이스(41)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개구부(403)의 크기와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시 상기 개구부(403)가 노출되며, 상기 개구부(403)를 통해서 상기 수납 케이스(41) 내부의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 케이스(41)의 배면에는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케이스 도어(4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도어(42)를 개방하여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 도어(42)에는 고내의 냉기가 상기 수납 케이스(41)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 개구(432)와 도어 개구(4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 케이스(41) 내부의 온도는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온도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서브 도어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55)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의 개구에 장착되는 패널 어셈블리(54)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와 이격 장착되는 도어 라이너(58)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6)와 로어 캡데코(5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5)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외관 및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의 중앙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형성되는 패널 장착구(551)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 장착구(551)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03) 내측을 투시하기 위한 공간으로 상기 개구부(403)의 크기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장착구(551)의 둘레를 따라서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플레이트 절곡부(552)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52)는 아래에서 설명할 서포트 프레임(6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절곡되며,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52)에는 일정간격으로 개구된 플레이트 홀(5521)이 연속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상기 패널 장착구(551)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전면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의 전면과 동일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의 온/오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보일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403)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어 라이팅 유닛(49)가 온 되는 것을 투시 활성화라 할 수 있고 도어 라이팅 유닛(49)가 오프 되는 것을 투시 비활성화라 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투시 비활성화가 유지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541)의 가장자리에는 빛의 투과가 불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베젤(5411)이 구비되며, 상기 베젤(5411)은 상기 단열 패널(542)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젤(5411)이 형성되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에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60)과 간봉(543, 도 8참조)이 위치하여, 상기 서포트 프레임(60)과 간봉(543)이 상기 전면 패널(541)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어퍼 캡데코(56)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와 상기 도어 라이너(58)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캡데코(56)의 일단에는 상기 서브 어퍼 힌지 장착부(501)가 형성되며, 상기 서브 어퍼 힌지 장착부(501)에는 상기 어퍼 힌지(401)의 힌지축(523)이 삽입되는 어퍼 보스(501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캡데코(57)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와 상기 도어 라이너(58) 하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캡데코(57)에는 상기 서브 로어 힌지(52)가 장착되는 위치에 힌지 플레이트(571)가 장착되며, 상기 힌지 플레이트(571)에는 상기 서브 로어 힌지(52)의 힌지축(523)이 삽입되는 로어 보스(57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58)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배치되는 영역에 라이너 개구(58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둘레에는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라이너 홈(582)이 상기 라이너 개구(581)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너 홈(582)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와 상기 메인 도어(40)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서브 가스켓(591, 도 8 참조)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내측의 저장 공간 내부의 빛이 메인 도어의 개구부(403), 라이너 개구(581) 그리고 패널 어셈블리(54)를 통과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도어 외부에서 도어 내측의 저장 공간을 볼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일측에는 상기 록킹유닛(232)이 장착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노크 감지장치(82)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의 배면에는 상기 패널 장착구(55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고정하기 위한 서포트 프레임(60)이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60)은 어퍼 프레임(61)과 로어 프레임(63)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62)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상기 메인 도어(40)에 장착되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43)이 배치되는 부분을 밝힐 수 있으며, 고내측이 고외측보다 더 밝게 보이도록 하여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투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상기 도어 라이너(58)에 장착되는 램프 케이스(491)와, 상기 램프 케이스(491)의 내부에 수용되며 다수의 엘이디(4921)가 배치되는 램프 피시비(492)와, 상기 램프 케이스(491)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상기 개구로 노출되는 램프 커버(49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라이너 개구(581)의 상단에 형성되는 라이팅 유닛 장착부(583)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램프 커버(493)는 내부에 상기 램프 피시비(49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4912)를 포함한다. 상기 함몰부(4912)는 상기 램프 피시비(492)에서 조사되는 빛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라운드면(4913)을 통해 반사되어 상기 램프 케이스(491)로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램프 피시비 장착부(4914)의 일측에는 상기 램프 피시비(492)와 연결되는 전선(L)이 출입되는 전선 출입구(49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출입구(4915)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의 힌지축(523)을 통해 출입될 수 있다.
한편, 서브 도어(50)를 통해 투시할 수 있는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41)의 내부 영역 내지는 메인 도어의 개구부(403) 인근에 구비되는 바스켓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에 대응되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에는 저장실 라이팅 유닛이 구비된다. 즉, 메인 도어를 통해 개폐되는 저장실 내부에 저장실 라이팅 유닛이 구비된다. 따라서, 도어 라이팅 유닛(49)과 함께 저장실 라이팅 유닛이 온 됨으로써 투시 밝기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실과 바스켓 영역을 일정 부분 가로막는 수납 케이스 도어(42, 도 5 참조)는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저장실 라이팅 유닛을 통해서 충분한 투시 밝기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투시 활성화는 저장실 라이팅 유닛과 도어 라이팅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온 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B-B' 단면도로,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전면 패널(541)과 상기 전면 패널(54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 패널(542)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 및 복수의 단열 패널(542) 사이를 지지하는 간봉(5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간봉(543)은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을 서로 이격시키게 되며,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며, 그 사이가 밀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간봉(543)은 복수의 상기 단열 패널(542)의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 사이의 밀폐된 공간(S) 및 복수의 단열 패널(542) 사이의 밀폐된 공간(S) 사이에는 단열을 위한 아르곤 가스와 같은 비활성 기체가 충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541)의 좌우 폭은 단열 패널(542)의 좌우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단열 패널(542)의 좌우 폭은 라이너 개구(581)의 좌우폭 보다 클 수 있다. 투시 활성화가 되는 경우 외부에서 상기 라이너 개구(581) 내측 영역(저장실 투시 영역)뿐만 아니라 간봉(543)까지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간봉이 외부에서 투시되지 않도록 전편 패널(541)의 테두리 부분에 베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젤(5411)은 전면패널(541)에 인쇄된 인쇄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불투명 필름 코팅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젤 부분에 후술하는 노크 감지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노크 감지장치는 간봉(543)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와 전면 패널(541)의 밀착이 유지되기 위해서 노크 감지장치와 전면 패널 사이에 인쇄층이나 코팅층이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노크 감지장치와 전면 패널(541)이 밀착된 부분을 제외하고 베젤 부분에 인쇄층이나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젤(5411) 부분에는 히터(5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59)는 열선 형태로 형성되며 패널 어셈블리(54)의 테두리 부분을 둘러싼 폐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전면 패널(541)의 베젤 부분에는 단열 패널(542)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상기 히터(59)를 통해서 베젤 부분 전방에서 수분이 응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541)의 상하폭은 단열 패널(542)의 상하폭보다 클 수 있다. 즉, 전면 패널(541)은 단열 패널보다 상부 및/또는 하부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 부분은 상부와 하부 베젤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노크 감지장치의 결합 구조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에는 서브 도어(50)의 아웃 플레이트(55)와 패널 어셈블리(54)가 생략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하부에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삽입될 수 있는 센서 개구(584)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 개구(584)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를 외측에서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하부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배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케이스(58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케이스(587)에는 노크 감지장치(82)의 전단이 삽입되는 감지장치 삽입부(587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장치 삽입부(5872)의 전면은 삽입부 홀(5873)이 개구되어 내측에 삽입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그 전면이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 라이너(58)에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노크 감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감지장치 피시비(83)가 장착되는 인서트 커버(58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인서트 커버(585)는 상기 센서 개구(584)를 차폐하는 커버부(5851)와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가 장착된 피시비 삽입부(58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는 사용자가 패널 어셈블리(54) 전면을 복수 회 두드리는 것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 회 두드리는 것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면 노크 온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노크 온 신호는 냉장고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전달된다. 이러한 제어부를 냉장고의 메인 제어부라 할 수 있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와 감지장치 피시비(83)는 하나의 노크 모듈(8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노크 감지장치에서 감지한 노크 입력을 메인 제어부(2)가 아닌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 정상적인 노크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장치 피시비는 노크모듈 마이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노크 감지장치(82)에서 감지된 입력 신호들이 메인 제어부(2)로 전달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메인 제어부(2)는 노크 모듈(80)을 통해서 노크 온 신호를 받고 투시 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으로 족할 수 있다. 이러한 노크 모듈의 구성 및 제어 특성에 대해서 도 12를 통해서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도 10에서는 전면패널(541)이 단열패널보다 하부로 더욱 연장된 부분에 노크 감지장치(82)가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서브 도어(50)의 하부에 노크 감지장치(82)가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달리 노크 감지장치(82)는 전면패널(541)이 단열패널보다 상부로 더욱 연장된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브 도어(50)의 상부에 노크 감지장치(82)가 구비될 것이다.
도 6의C-C' 단면도인 도 11를 참조하여 노크 감지장치(82)의 구성 및 장착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노크 온 신호를 감지하는 마이크 모듈(821)과, 상기 마이크 모듈(821)이 수용되는 홀더(823) 그리고 상기 홀더(823) 및 마이크 모듈(821)을 상기 전면 패널(541)측으로 가압 밀착시키는 탄성부재(824)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824) 및 상기 홀더(823)를 지지하는 지지부재(8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821)은 음파를 직접 센싱하는 마이크(8211)와 상기 마이크(8211)를 수용하는 마이크 수용부(8212)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8211)는 음파의 직접적인 센싱을 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 모듈(821)의 내부에 고정 장착된다.
전면패널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을 마이크 모듈(821)이 감지하며, 감지된 노크 입력이 정상적인 노크 입력인지 여부를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 판단하게 된다. 정상적인 노크 입력인 경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메인 제어부(2)에 노크 온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 제어부(2)에서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면 투시 활성화를 수행하게 된다. 일례로, 도어 라이팅 유닛(49)을 온시켜 투시 활성화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2)에서 투시 활성화 상태에서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면 투시 비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13은 상기 냉장고의 투시 활성화/투시 비활성화 제어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냉장고의 노크 조작 전 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제어부(2) 외에 기타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마이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나 통신을 위한 마이컴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술한 감지장치 피씨비 또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마이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를 냉장고의 메인 제어부라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도어 스위치(2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21)는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20) 또는 메인 도어(40)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감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과 연결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 시 또는 노크 온 신호의 입력 시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와 연결된 상기 감지 장치 피시비(83)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1)는 별도의 조작이 없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불투명한 상태로 거울면과 같은 상태 내지는 블랙패널면과 같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고내의 투시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투시 비활성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투시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활성화된 상태로 언제든지 사용자의 투시 입력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110).
투시 비활성화 상태에서, 고내의 식품 저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냉장고의 전방에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즉 상기 전면 패널(541)을 두드리게 되는 노크 온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노크 입력을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에서 감지하게 되고,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는 노크 온 조작이 유효 조작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정상적인 노크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상세히,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541)을 두드리게 되면 이때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파장이 동일 매질인 상기 전면 패널(541)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전면 패널(541)과 밀착된 마이크(8211)에서 음파를 수신하게 된다.
수신된 음파는 필터와 증폭기를 지나면서 필터링 및 증폭되어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노크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수집 분석된 신호로 정상적인 노크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고내 또는 고외측의 소음이나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의 경우 노크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와 그 특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노크 신호의 특성에 해당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노크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물론, 특정한 상황에서 노크 신호와 유사한 신호가 발생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조작 미숙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541)에 노크와 유사한 충격이 발생될 수도 있고, 외부 소음이 노크 신호의 파장과 유사한 신호로 인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특수 상황에서의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상기 노크 신호가 설정된 패턴에 의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지를 확인하고, 이러한 패턴이 설정시간 내에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한 노크 온 신호로 감지되기 위해서는 노크로 인식되는 신호가 1초 이내에 두번 발생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통상 일반적인 사용자의 노크 패턴을 분석하여 본 결과 연속 2회 노크를 실시하고 그 시간 간격은 1초 이내에 해당하므로 이와 같이 설정할 경우 특수 상황에서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노크 조작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유효 노크 온 신호로 판단되기 위한 노크 신호의 횟수와 설정시간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를 통해 유효 노크 온 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별도의 제어 동작을 실시하지 않는다. 즉 투시 비활성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즉, 메인 제어부(2)는 노크 모듈(80)에서 유효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이상 이에 따라 투시와 관련된 제어를 수행하지 않게 된다.
한편, 유효 노크 입력이 감지되어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 상기 메인 제어부(2)로 유효 노크 온 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정상적인 투시와 관련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즉, 투시 활성화 제어 내지는 투시 비활성화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일례로, 투시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는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을 온 시키게 된다. 그리고, 투시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을 오프 시키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켜지게 되면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이 밝아지게 되고, 상기 고내측의 빛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통과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전면 패널(541)을 통과하게 되면서 상기 전면 패널(541)은 투명하게 되어, 도 14에서와 같이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게 된다(S130).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하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메인 도어(40) 내부의 수납공간 또는 고내 공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식품을 수납하기 위해 서브 도어(50)를 개방하거나 필요한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점등된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0초 동안 점등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충분히 고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온 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었는지를 판단하여(S140), 설정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을 오프 시키게 된다(S160).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온 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사용자의 노크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고내를 확인하기 위해 노크 온 조작을 하여 고내를 확인한 후, 설정시간이 지나기 전에 도어 라이팅 유닛(49)를 오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온 된 후 5초 이내에 사용자가 고내의 수납상태를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불투명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자 한다면, 다시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즉 상기 전면 패널(541)을 노크 조작하게 된다.
이때의 노크 조작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S150)되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오프 될 수 있다(S160). 물론, 이때의 노크 조작의 유효성 판단은 상기 S120 단계에서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다른 노크 입력 패턴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온 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 되거나 유효 노크 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투시 활성화/투시 비활성화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는 도어 라이팅 유닛(49)과 같은 조명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오프되면 고내측은 어두워지게 되고, 고 외측이 밝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고외측의 빛이 전면 패널(541)에서 반사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은 거울과 같은 상태로 내부의 투시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새로운 조작이 입력될 때까지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16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노크 감지장치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즉, 전면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노크 입력을 음파 내지는 진동으로 감지하게 된다. 그러나, 외부 소음이나 외부 충격이 냉장고에 전달될 수 있으며, 냉장고 자체에서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크 감지장치는 입력된 정상 노크 입력뿐만 아니라 비정상 입력을 감지하고 정상적인 노크 입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정상적인 노크 입력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외부 입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오인식에 의해서 불필요하게 투시 활성화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투시 활성화가 불필요한 상태거나 투시 활성화가 배제되어야 하는 상태에서 투시 활성화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당연히 불필요하게 노크 입력을 수신하고 정상적인 노크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스도 수행된다.
노크 입력은 투시창이 구비된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도어 후방의 저장실 내부를 보기 위해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투시창이 구비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투시 활성화 제어가 불필요하게 된다. 만약 투시창이 구비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투시 활성화 제어가 어떠한 이유로 수행되는 경우, 이는 에너지 낭비 및 사용자의 혼동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투시창이 구비된 도어뿐만 아니라 냉장고의 다른 도어가 개방된 후 닫힐 때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서랍 형태의 냉동실 도어가 닫히는 경우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충격은 음파 내지 진동으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에서 수신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가 도어를 닫는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 사용자라 하더라도 도어를 닫는 형태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닫힘에 의해서 발생되는 충격이 정상적인 노크 입력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정상적인 입력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오인식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를 닫았을 때 투시창이 구비된 도어에서 투시 활성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냉장고가 똑똑하지 못하구나 하는 생각을 하거나 제품 고장 내지는 이상을 의심하게 되어 제품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투시 활성화도 불필요한 투시 활성화이므로 에너지 낭비가 초래된다. 본 실시예는 도어의 개방과 관련되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특징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에서도 본 실시예에 동일 또는 유사한 제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는 노크 모듈(80)로부터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비된다. 노크 온 신호가 수신되면, 도어 라이팅 유닛(49) 및/또는 투시되는 도어의 후방의 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을 온시켜 투시 활성화를 수행한다.
투시창이 구비된 도어(투시창 도어)가 냉장실(냉동실) 도어인 경우, 사용자는 냉장실(냉동실) 도어에 노크 입력을 한다. 이러한 형태는 단일 도어를 갖는 냉장고 내지는 냉동고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생략될 수 있으며 냉장실(냉동실) 내부의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가 온 됨으로써 투시 활성화가 수행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는 투시창 도어 스위치(21a)를 통해서 투시창 도어가 개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투시창 도어가 개방되면, 메인 제어부(2)는 사용자가 저장실 내부를 잘 볼 수 있도록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을 온 시킨다. 이때는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의 온은 투시 활성화와 무관하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노크 입력에 의해서 투시 비활성화가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투시창 도어가 개방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이 오프될 수 있다. 즉, 비정상적인 입력을 정상적인 입력으로 오인식하여 불필요하게 투시 비활성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냉장고의 고장을 의심할 수 있으며, 사용이 매우 불편하게 된다.
아울러, 투시창 도어가 개방되고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가 온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정상적인 노크 입력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이 오프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냉장고가 똑똑하지 못하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투시창 도어를 개방하고 세게 닫는 경우,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오인식되어 투시 활성화가 수행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투시 활성화 및 투시 비활성화가 노크 모듈(80)과 메인 제어부(2)에만 연관된 것이 아니라 투시창 도어 스위치(21a)와도 연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투시창 도어는 냉장실 도어 내지는 냉동실 도어인 메인 도어에 구비되는 서브 도어일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냉장실의 메인 도어(40)에 구비된 서브 도어(50)가 투시창 도어일 수 있다. 이 경우, 투시창 도어 스위치(21a)는 서브 도어 스위치라 할 수 있으며, 메인 도어 스위치(21b)는 메인 도어 후방의 저장실에 구비되는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라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메인 도어 라이팅 유닛이라 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는 메인 도어 스위치(21b)를 통해서 메인 도어가 개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메인 도어가 개방되면, 메인 제어부(2)는 사용자가 저장실 내부를 잘 볼 수 있도록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을 온 시킨다. 이때는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의 온은 투시 활성화 제어와 무관하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노크 입력에 의해서 투시 비활성화가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인 도어가 개방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이 오프될 수 있다. 물론,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이 투시 활성화에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투시 밝기를 더욱 키우기 위해서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이 온되는 경우, 사용자가 저장실 내부를 보고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이 오프될 수 있다. 즉, 비정상적인 입력을 정상적인 입력으로 오인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냉장고의 고장을 의심할 수 있으며, 사용이 매우 불편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도어가 개방되고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가 온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서브 도어에 정상적인 노크 입력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이 오프되거나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온 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냉장고가 똑똑하지 못하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메인 도어를 개방하고 세게 닫는 경우,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오인식되어 투시 활성화가 수행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투시창 활성화 및 투시창 비활성화가 노크 모듈(80)과 메인 제어부(2)에만 연관된 것이 아니라 투시 도어가 구비된 메인 도어의 메인 도어 스위치(21b)와도 연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메인 제어부(2)는 투시창 도어 스위치(21a)를 통해서 서브 도어(40)가 개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서브 도어가 개방되면, 메인 제어부(2)는 사용자가 메인 도어에 구비되는 저장 영역 내부를 잘 볼 수 있도록 도어 라이팅 유닛(49)을 온 시킨다. 이때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의 온은 투시창 활성화 제와 무관하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노크 입력에 의해서 투시 비활성화가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서브 도어가 개방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오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서브 도어를 열어서 메인 도어의 저장 영역을 보고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오프될 수 있다. 즉, 비정상적인 입력을 정상적인 입력으로 오인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냉장고의 고장을 의심할 수 있으며, 사용이 매우 불편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서브 도어(50)가 개방되고 도어 라이팅 유닛(49)가 온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서브 도어에 정상적인 노크 입력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오프 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냉장고가 똑똑하지 못하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서브 도어를 개방하고 세게 닫는 경우,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오인식되어 투시 활성화가 수행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투시창 활성화 및 투시창 비활성화가 노크 모듈(80)과 메인 제어부(2)에만 연관된 것이 아니라 투시창 도어 스위치(21b)와도 연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투시창 도어는 냉장실 도어 내지는 냉동실 도어인 메인 도어에 구비되는 서브 도어일 수 있다. 물론, 투시창 도어는 메인 도어 자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냉동실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편의상 투시창 도어와 무관한 도어를 냉동실 도어라 한다.
메인 제어부(2)는 냉동실 도어 스위치(21c)를 통해서 냉동실 도어가 개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냉동실 도어는 투시창 도어와 무관하며 투시 활성화를 위한 라이팅 유닛들(49, 49a)와도 무관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를 개방하고 닫기까지는 사용자의 시선은 냉동실을 향하게 된다.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를 세게 닫는 경우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오인식될 수 있다. 이 경우, 불필요하게 투시 활성화가 수행되며, 이 경우, 사용자는 냉장고의 고장을 의심할 수 있으며, 사용이 매우 불편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투시창 활성화 및 투시창 비활성화가 노크 모듈(80)과 메인 제어부(2)에만 연관된 것이 아니라 냉동실 도어 스위치(21c)와도 연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투시 도어와 무관한 다른 도어의 도어 스위치(21)와도 연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도어 내지는 복수 개의 도어를 갖고 투시창이 구비되는 냉장고에서, 투시 활성화 및 투시 비활성화를 도어 스위치와 연관되어 제어함으로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즉,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에서 메인 제어부(2)가 노크 모듈(80)뿐만 아니라 도어 스위치들(21a, 21b, 21c)와 연계되어 투시 제어를 수행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도 16을 통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투시 제어와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오인식 및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투시 제어와 관련된 비상식적인 작동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와 관련된 오인식, 오작동 그리고 비상식적인 작동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도어 센서 내지는 도어 스위치를 이용하여 이러한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노크 입력의 수신, 정상적인 노크 입력 여부 판단, 노크 신호 발생 및 노크 신호 수신은 투시 활성화를 위한 일련의 절차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절차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지 않거나 수행을 차단하는 경우 투시 활성화가 수행되지 않게 된다. 물론, 이러한 일련의 절차는 투시 활성화에서 투시 비활성화로 전환하기 위해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투시 활성화 또는 투시 활성화의 전환은 도어가 닫힘을 전제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어 개방 여부를 도어 스위치 등을 통해서 판단하고(S201)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 노크 모듈 활성화(S21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노크 모듈 활성화는 전술한 일련의 절차를 모두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어 개방 여부는 도어 스위치에서 도어 개방 시 발생시키는 도어개방신호를 통해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가 개방된 경우, 노크 모듈 비활성화를 수행(S205)하여 상기 일련의 절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노크 모듈 비활성화의 일례들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일례로, 메인 제어부(2)는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도어가 개방된 경우, 노크 모듈(80)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노크 입력 수신 자체가 수행되지 않게 된다. 또한, 노크 모듈에서 정상적인 노크 입력 여부를 판단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노크 온 신호의 발생도 수행되지 않는다.
일례로, 노크 감지장치(82)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즉, 감지장치 피씨비(83) 또는 메인 제어부(2)를 통해서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일례로, 감지장치 피씨비(83)에서 도어가 개방된 경우, 노크 감지장치(8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무시하거나 노크 입력 판단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피씨비(83)는 상기 메인 제어부(2)를 통해서 도어의 개방 여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감지장치 피씨비(83)에서 도어가 개방된 경우, 노크 온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피씨비(83)는 상기 메인 제어부(2)를 통해서 도어의 개방 여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메인 제어부(2)는 노크 모듈(80)로부터 노크 신호의 수신을 차단하거나 수신되는 노크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도어가 개방된 경우, 투시 제어와 관련되어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 스위치는 도 15를 통해 설명한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에만 적용되거나 모든 스위치들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메인 도어(40), 서브 도어(50) 등이 닫힐 때의 충격이 정상적인 노크 입력과 매우 동떨어진 경우, 이들 도어 스위치와 노크 모듈 활성화 여부는 무관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냉동실 도어(30)가 닫힐 때의 충격이 정상적인 노크 입력과 혼동될 수 있는 경우, 냉동실 도어 스위치만 노크 모듈 활성화 여부와 관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도어 스위치 내지는 도어 센서를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오인식 및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냉장고의 경우 도어의 개방 빈도 높다. 따라서, 도어가 개방될 때마다 노크 모듈 활성화를 비활성화로 전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도어가 개방될 때마다 노크 감지장치(81)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거나 노크 모듈(80)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전원이 꺼져 있거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노크 모듈(80)은 항상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특별한 사정이란, 별도의 사용자 입력 수단을 통해서 투시 기능 자체를 오프 시키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 개방과 관련하여 오인식 및 오작동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7을 통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를 복합적으로 구현할 실시예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노크 모듈 활성화를 전제로 할 수 있다.
노크 모듈 활성화 상태(S310)에서 유효 노크 온 신호가 감지(S320)될 수 있다. 즉, 메인 제어부(2)는 노크 모듈(80)을 통해서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노크 모듈 활성화 상태에서, 노크 모듈(80)은 노크 입력을 감지하고, 노크 입력 여부인지 판단하고, 노크 온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에 노크 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곧바로 투시 활성화 내지는 투시 전환이 수행되지 않고, 도어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25)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메인 제어부(2)에서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한 후 도어 개방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어가 개방된 경우, 메인 제어부(2)는 수신된 노크 온 신호를 무시(S326)하게 된다. 즉, 제어 로직에서 노크 온 신호의 수신을 무시하게 된다. 이는 전기적 스위칭 내지는 기계적 스위칭과는 다른 제어 알고리즘 영역으로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노크 온 신호를 무시하는 경우, 노크 온 신호의 수신 여부와 관련된 후속 조치를 전혀 취하지 않게 된다. 즉, 노크 온 신호를 기반으로 한 투시 제어를 수행하지 않게 된다. 일례로, 도어 라이팅 유닛(49)을 온 시키거나 도어 라이팅 유닛(49)를 오프 시키는 후속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 도어 라이팅 유닛(49)의 온/오프 제어는 노크 온 신호 여부와 무관하게 도어 스위치에 의한 도어 개폐 여부에 오로지 의존하게 될 것이다.
노크 온 신호가 발생하고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 노크 온 신호가 도어 닫힘에 의해서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327)할 수 있다. 즉, 도어의 닫힘에 의한 충격에 의해서 노크 온 신호가 발생된 경우, 마찬가지로 노크 온 신호를 무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메인 제어부(2)는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도어의 개폐 여부를 알 수 있다. 물론, 메인 제어부(2)는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도어의 개방이 지속된 시간 및/또는 도어의 닫힘이 지속된 시간 또한 알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 도어가 닫힌 후 설정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를 닫고 노크 입력을 수행하는 데는 일정 시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도어의 닫힘에 의한 충격이 완화되기 위해서도 일정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일정 시간들을 고려하여 상기 설정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시간은 대략 1초 내외 일 수 있다. 너무 짧은 경우, 도어의 닫힘 충격을 노크 온 신호로 인식하고 이를 반영할 수 있다. 너무 긴 경우,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노크 입력을 하여 노크 온 신호가 발생되었는데 이를 무시할 수 있다.
도어가 닫힌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노크 온 신호를 반영하여 투시 제어를 수행(S330)할 수 있다. 일례로, 도어 라이팅 유닛(49)의 온/오프 제어 조건으로서 노크 온 신호를 반영하게 된다. 투시 활성화 상태에서는 투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투시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투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투시 활성화가 된 상태에서 투시 활성화 시작 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경과(S340)인 경우 투시 비활성화로 전환(S360)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의 개폐 여부는 도어 스위치 또는 도어 센서를 통해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 또는 도어 센서는 도어가 개방됨을 감지하여 도어개방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는 도어 스위치 또는 도어 센서를 통해서 도어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어 스위치는 도 15를 통해 설명한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에만 적용되거나, 일부 스위치들에 적용하거나, 모든 스위치들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메인 도어(40), 서브 도어(50) 등이 닫힐 때의 충격이 정상적인 노크 입력과 매우 동떨어진 경우, 이들 도어 스위치와 노크 모듈 활성화 여부는 무관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냉동실 도어(30)가 닫힐 때의 충격이 정상적인 노크 입력과 혼동될 수 있는 경우, 냉동실 도어 스위치만 노크 모듈 활성화 여부와 관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S325 단계에서의 도어 조건과 S327 단계에서의 도어 조건은 갖거나 다를 수 있다. 복수 개의 도어가 구비되는 경우 도어 조건이 중복될 수 있다. 즉, 어느 도어가 개방되었는지와 어느 도어가 닫힘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에 대한 것이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S327 단계에서는 모든 도어들에 대해서 도어 닫힘이 오인식 유발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S327 단계에서는 도어는 모든 도어일 수 있다. 물론, S327 단계에서 특정 도어의 경우에만 오인식 유발 우려가 있는 경우, 특정 도어의 닫힘 경과 시간만 판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특정 도어는 냉동실 도어(30)일 수 있다. 특히 서랍형 도어인 경우 냉동실 영역 자체가 이동되어 닫힘으로 상대적으로 큰 충격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S325 단계에서의 도어도 모든 도어일 수 있다. 즉, 투시 도어, 투시 도어와 연관된 도어 그리고 투시 도어와 무관한 도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투시 도어와 무관한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사용자는 다른 도어와 연관된 저장실에 관심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노크 온 신호가 반영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사용자가 동시에 복수 개의 저장 영역에 관심을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S325 단계에서의 도어는 투시 도어 또는 투시 도어와 연관된 도어(투시 도어가 서브 도어일 때의 메인 도어)임이 바람직하다. 투시 도어 또는 투시 도어와 관련된 도어(투시 도어가 서브 도어일 때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경우, 노크 온 신호를 반영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오히려 혼동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라이팅 유닛은 투시 전환 유닛의 일례이며, 노크모듈은 투시 입력 유닛의 일례이며, 노크온신호는 투시온신호의 일례일 수 있다. 따라서, 투시 전환 유닛과 투시 입력 유닛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통해서, 사용이 편리하고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10 : 캐비닛 20 : 냉장실 도어
30 : 냉동실 도어 40 : 메인 도어
50 : 서브 도어(투시 도어) 80 : 노크 모듈

Claims (20)

  1.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밝히도록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라이팅 유닛에 의해 밝아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시창을 갖는 도어;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여 노크 온 신호를 발생시키는 노크모듈;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 그리고
    상기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라이팅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센서를 통해서 도어개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노크모듈의 활성화를 비활성화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도어 센서의 도어 개방 신호를 설정 시간 동안 미수신하면, 상기 라이팅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모듈의 비활성화는 상기 노크모듈로 공급되는 전류의 차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모듈은, 노크 온 입력을 수신하는 노크 감지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모듈은, 상기 노크 감지장치에서 수신된 노크 온 입력이 정상적인 노크 입력인지 판단하는 노크모듈 피시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모듈 피시비는, 정상적인 노크 입력인 경우 노크 온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모듈의 비활성화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노크 온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라이팅 유닛을 제어하는 것이 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도어 센서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어 및 제2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2도어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도어는 상기 도어와 독립적으로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도어 센서를 통해서 제2도어개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노크모듈의 활성화를 비활성화로 전환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밝히도록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라이팅 유닛에 의해 밝아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시창을 갖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와 독립적으로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여 노크 온 신호를 발생시키는 노크모듈;
    상기 제1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1도어 센서;
    상기 제2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2도어 센서; 그리고
    상기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라이팅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도어 센서의 도어개방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노크 온 신호의 수신과 무관하게 상기 제어신호를 미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도어 센서의 도어 개방 신호를 미수신하면,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도어 센서의 도어개방신호의 미수신 경과 시간이 기설정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도어 센서의 도어개방신호의 미수신 경과 시간이 기설정 시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미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밝히도록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라이팅 유닛에 의해 밝아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시창을 갖는 도어;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여 노크온신호를 발생시키는 노크모듈;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도어개방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크모듈을 통해서 상기 노크온신호를 수신하는 노크온신호 단계;
    상기 도어 센서를 통해서 상기 도어개방신호를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도어개방신호단계;
    상기 라이팅 유닛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라이팅 유닛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팅 유닛 제어단계는, 상기 노크온신호의 수신 및 상기 도어개방신호의 설정 시간 동안의 미수신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유닛을 제어하기 제어신호를 미출력하는 라이팅 유닛 비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팅 유닛 비제어단계는, 상기 노크온신호의 수신과 상기 도어개방신호의 수신인 경우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9.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밝히도록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라이팅 유닛에 의해 밝아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시창을 갖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와 독립적으로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여 노크온신호를 발생시키는 노크모듈;
    상기 제1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도어개방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도어 센서; 그리고
    상기 제2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도어개방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도어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크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도어 센서를 통해서 상기 도어개방신호를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도어개방신호단계;
    상기 라이팅 유닛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라이팅 유닛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개방신호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도어 센서 중 하나 이상의 도어개방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노크모듈이 비활성화되고,
    상기 라이팅 유닛 제어단계는, 상기 노크모듈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0. 삭제
KR1020180063777A 2018-06-01 2018-06-01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71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77A KR102071664B1 (ko) 2018-06-01 2018-06-01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77A KR102071664B1 (ko) 2018-06-01 2018-06-01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516A KR20190137516A (ko) 2019-12-11
KR102071664B1 true KR102071664B1 (ko) 2020-01-30

Family

ID=69003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777A KR102071664B1 (ko) 2018-06-01 2018-06-01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429A1 (ko) * 2019-12-19 2021-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613968B1 (ko) * 2019-12-19 2023-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835B1 (ko) * 2016-01-05 2018-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516A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564B1 (ko) 냉장고
KR102095452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623105B1 (ko) 냉장고
KR102071664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12462B1 (ko) 냉장고
KR102067743B1 (ko) 냉장고
KR102645864B1 (ko) 가전기기 및 냉장고
KR102096957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09107A (ko) 냉장고
KR20190137473A (ko) 냉장고
KR102167549B1 (ko) 냉장고
KR102206063B1 (ko) 냉장고
KR102126086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50075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87339B1 (ko) 냉장고
KR102087685B1 (ko) 냉장고
US20240125539A1 (en) Refrigerator
KR20190137480A (ko) 냉장고
KR20040105177A (ko) 냉장고의 홈바
KR102126864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