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480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480A
KR20190137480A KR1020180063709A KR20180063709A KR20190137480A KR 20190137480 A KR20190137480 A KR 20190137480A KR 1020180063709 A KR1020180063709 A KR 1020180063709A KR 20180063709 A KR20180063709 A KR 20180063709A KR 20190137480 A KR20190137480 A KR 20190137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elf
door basket
basket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7542B1 (ko
Inventor
이희준
조승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3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542B1/ko
Publication of KR20190137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선반,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는 도어 바스켓,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된 서브 도어 및 상기 선반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 바스켓을 조명하는 선반 라이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상기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도어와 함께 보조 도어 또는 홈바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는 별도의 수납공간이 제공되며 보조 도어 또는 홈바 도어만을 개방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접근할 수 있는 형태의 냉장고들도 볼 수 있다.
또한, 고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조 도어 또는 홈바 도어의 전면 일부에 투시창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도어나 보조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식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들 역시 선보이고 있다.
이 경우, 도어와 보조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 고내의 조명은 꺼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사용자가 상기 투시창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식품을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조명이 구비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도어 내부에 조명을 설치하여 상기 수납공간을 비추는 방법을 사용해왔으나, 도어 조명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어하기 위해 많은 수의 전선이 도어의 힌지를 통해 캐비닛에서 도어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도어 힌지의 부피가 불가피하게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도어 힌지의 회전수가 누적됨에 따라, 상기 도어 힌지에 구비된 전선에 뒤틀림이 발생하여 단선되거나 전선 연결부가 마모로 인해 파손될 수 있어 내구성이 저하 문제가 대두되며, 도어 자체를 본체에서 분리해서 정비해야 하는 번거로움 역시 상존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도어가 아닌 캐비닛 내부에 구비된 램프로 도어 바스켓을 조명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도어 바스켓 내부에 빛을 고르게 조사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복수 개의 도어 바스켓 각각을 고르게 조명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하면서 상기 도어 바스켓을 조명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선반,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는 도어 바스켓,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된 서브 도어 및 상기 선반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 바스켓을 조명하는 선반 라이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어에 조명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도어 힌지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라이팅 유닛에 연결된 전선이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캐비닛 내부에 장착된 선반의 전면에 별도 LED를 설치하고, 메인도어 후방에 조명용 피난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투명화 요청 시 선반의 전면 LED를 발광하여 도어 바스켓을 조명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선반 라이팅 유닛은 상기 선반의 전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선반에 거치된 식품에 의해 빛이 차단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바스켓은 제1 도어 바스켓과 상기 제1도어 바스켓 하측에 위치한 제2도어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제1도어 바스켓 보다 낮고 상기 제2도어 바스켓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주 접근하는 제2도어 바스켓을 보다 환하게 조명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선반 라이팅 유닛은 상기 제1선반에 구비된 제1선반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주 접근하는 제2도어 바스켓을 보다 환하게 조명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반 램프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향하여 조사하도록 발광면이 전방을 바라보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제2도어 바스켓 상측 보다 환하게 조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상기 제1선반 하측에 위치한 제2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반 라이팅 유닛은 상기 제2선반에 구비되며, 발광면이 정면을 바라보도록 구비된 제2선반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제2도어 바스켓을 보다 환하게 조명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 후벽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비추는 냉장실 조명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도어 또는 상기 서브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상기 선반 라이팅 유닛은 오프되고 상기 냉장실 조명은 온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로 이루어진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는 도어 바스켓,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된 서브 도어 및, 상기 이너 케이스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바스켓을 조명하는 캐비닛 라이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어에 조명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도어 힌지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라이팅 유닛에 연결된 전선이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냉장실 천정에 복수개의 LED를 각각 다른 조사 각도로 설치하고 도어 바스켓 상부에 조명용 피난부를 형성하여, 상부 도어 바스켓과 하부 도어 바스켓 각각에 LED가 별도로 조명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라이팅 유닛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천장에 구비된 천장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상기 도어 바스켓을 보다 환하게 조명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천장 램프는 상기 이너 케이스 천장의 전방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천장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과 상기 선반에 거치된 식품 또는 식품 케이스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바스켓은 제1 도어 바스켓과 상기 제1도어 바스켓 하측에 위치한 제2도어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천장 램프는 상기 제1도어 바스켓을 비추도록 발광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구비된 제1 천장 램프 및 상기 제2 도어 바스켓을 비추도록 발광면이 상기 1천장 램프의 발광면 보다 더 큰 각도로 기울어지게 구비된 제2천장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제1도어 바스켓과 상기 제2도어 바스켓 모두를 고르게 조명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 바스켓은 상기 선반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2천장 램프는 상기 선반과 상기 제1도어 바스켓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제2도어 바스켓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제2도어 바스켓을 보다 환하게 조명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라이팅 유닛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측벽에 구비된 측벽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상기 도어 바스켓을 보다 환하게 조명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측벽 램프는 상기 이너 케이스 측벽의 전방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측벽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과 상기 선반에 거치된 식품 또는 식품 케이스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측벽 램프는 상기 도어 바스켓의 중앙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도록 발광면이 상기 저장공간 내측으로 치우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도어 바스켓을 보다 고르게 조명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바스켓은 제1 도어 바스켓과 상기 제1도어 바스켓 하측에 위치한 제2도어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도어 바스켓 보다 낮은 높이로 배치된 제3 선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 라이팅 유닛은 상기 제3선반에 구비된 하부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식품 입출에 따라 램프가 손상되는 확률을 낮출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3선반의 상측에 구비된 제2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램프는 상기 제3 선반의 전방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선반과 상기 제2도어 바스켓 사이 공간을 통해 빛을 조사하도록 발광면이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하부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과 상기 제2 선반이 간섭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3선반은 상기 이너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저장공간 내부를 밝히는 냉장실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 후벽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비추는 냉장실 조명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도어 또는 상기 서브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상기 캐비닛 라이팅 유닛은 오프되고 상기 냉장실 조명은 온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가 아닌 캐비닛 내부에 구비된 램프로 도어 바스켓을 조명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 바스켓 내부에 빛을 고르게 조사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도어 바스켓 각각을 고르게 조명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하면서 상기 도어 바스켓을 조명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라이팅 유닛의 온오프 전후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노크 감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노크 감지장치의 상단면도이다.
도 7은 제어 신호의 흐름은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라이팅 유닛의 조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라이팅 유닛에 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라이팅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라이팅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선반 라이팅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상기 선반 라이팅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이너 케이스에 구비된 라이팅 유닛에 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램프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천장 램프의 일 구성인 제1천장 램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상기 천장 램프의 일 구성인 제2천장 램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16은 이너 케이스에 구비된 라이팅 유닛에 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벽 램프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이너 케이스에 구비된 라이팅 유닛에 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램프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램프의 각도조절구조에 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도어의 개폐에 따른 도어 라이팅 유닛과 냉장실 조명의 제어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2는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50)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40)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03)와 내부에 식품이 보관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05)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3)과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냉기가 순환되는 통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장실(12)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서랍식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내부에는 다양한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수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을 일례로 설명하면, 상기 냉장실(12) 내부에는 상기 냉장실(12) 측벽과 수직하게 구비되어 식품을 거치시킬 수 있는 선반(12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은 제1선반(1251)과, 상기 제1선반(1251) 하측에 위치한 제2선반(1253) 및, 상기 제2선반(1253)의 하측에 위치한 제3선반(12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1251)과 제2선반(1253)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인출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선반(1255)은 상기 이너 케이스(105)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이너 케이스(105)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선반(1255)의 하측 공간에는 냉장실 도어(20)의 개폐에 따른 냉기 유출을 감소시켜 식품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이른바 신선실(12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선실(128)은 드로워 타입의 바스켓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냉장실(12) 측벽 또는 상기 제3선반(1255) 전방에 힌지 결합된 신선실 커버에 의해 구성되어 냉기의 유출입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20)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이 개방되면, 사용자가 식품을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저장공간 내부를 밝히는 냉장실 조명(12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내지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 조명(121)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후벽에 구비될 수 있으며, 측벽에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동실이 하방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하나의 공간을 한쌍의 도어가 회동되어 각각 개폐되는 프렌치 타입의 도어가 적용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2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우측(도 1에서 볼 때)의 냉장실 도어(20)는 이중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40)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개구부(403)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는 어퍼 힌지(401) 및 로어 힌지(40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2)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비롯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43)이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403)를 통해서 상기 메인 도어(40)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403)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둘레 일부를 제외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스켓(43)은 제1도어 바스켓(431)만 포함하여도 무방하나, 수납공간 확보를 위해 필요에 따라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 하측에 위치한 제2도어 바스켓(43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의 하측에 위치한 제3도어 바스켓(435)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403)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통해서 외부에서 상기 개구부(403)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중앙에는 유리와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된 패널 어셈블리(54)가 구비된다. 따라서,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투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씨스루 도어(Seethrough door)라 불릴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부(403)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에는 핸들(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23)은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서로 인접한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핸들(23)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조작 버튼(231)에 의해 동작되는 록킹유닛(2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록킹유닛(232)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메인 도어의 구속부재(404)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가 상기 캐비닛(10)에 연결된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어퍼 힌지(401)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메인 도어(40)가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는 상기 서브 도어(50)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로어 힌지(40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단에는 상기 서브 도어(50)를 지지하기 위한 서브 로어 힌지(52)가 장착된다.
도 4는 상기 도어 바스켓(43)을 비추는 도어 라이팅 유닛(L)의 온오프 전후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 이너 케이스(105) 내부 공간에는 상기 도어 바스켓(43)을 비추는 도어 라이팅 유닛(L)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도어 바스켓(43)을 확인하려는 경우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이 On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의 세부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사용자의 도어 바스켓(43) 확인 의지를 감지하는 방법으로는 일례로 사용자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노크하는 행위를 감지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크 감지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확인 의지가 감지될 수 있다.
평소에는 도 4의 좌측 상태와 같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유지되다가, 냉장고가 사용자의 도어 바스켓(43) 확인 의지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이 On되면서 도 4의 우측 상태와 같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이 밝아지게 되면,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도어 바스켓(43) 내부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식품을 수납하기 위해 서브 도어(50)를 개방하게 된다.
도 5는 노크 감지장치의 결합 구조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 라이너(58)의 하부에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삽입될 수 있는 센서 개구(584)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 개구(584)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를 외측에서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하부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배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케이스(58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케이스(587)에는 노크 감지장치(82)의 전단이 삽입되는 감지장치 삽입부(587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장치 삽입부(5872)의 전면은 삽입부 홀(5873)이 개구되어 내측에 삽입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그 전면이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 라이너(58)에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노크 감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감지장치 피시비(83)가 장착되는 상기 인서트 커버(58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인서트 커버(585)는 상기 센서 개구(584)를 차폐하는 커버부(5851)와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가 장착된 피시비 삽입부(58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는 사용자가 패널 어셈블리(54) 전면을 복수 회 두드리는 것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 회 두드리는 것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상단면도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노크 온 신호를 감지하는 마이크 모듈(821)과, 상기 마이크 모듈(821)이 수용되는 홀더(823) 그리고 상기 홀더(823) 및 마이크 모듈(821)을 상기 전면 패널(541)측으로 가압 밀착시키는 탄성부재(824)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824) 및 상기 홀더(823)를 지지하는 지지부재(8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821)은 음파를 직접 센싱하는 마이크(8211)와 상기 마이크(8211)를 수용하는 마이크 수용부(8212)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8211)는 음파의 직접적인 센싱을 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 모듈(821)의 내부에 고정 장착된다.
도 7은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의 조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 냉장고(1)는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2)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자체 알고리즘에 따라 압축기 등을 구동하여 냉장고의 냉매사이클(C)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과 연결되어 노크 온 신호의 입력시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와 연결된 상기 감지 장치 피시비(83)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활성화된 상태로 언제든지 사용자의 조작 입력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S110]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고내의 식품 저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냉장고의 전방에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즉, 상기 전면 패널(541)을 두드리게 되는 노크 온 조작을 하게 되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에서는 이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는 노크 온 조작이 유효 조작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세히,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541)을 두드리게 되면 이때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파장이 동일 매질인 상기 전면 패널(541)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전면 패널(541)과 밀착된 마이크(8211)에서 음파를 수신하게 된다.
수신된 음파는 상기 필터와 증폭기를 지나면서 필터링 및 증폭되어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로 전달되며,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노크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수집 분석된 신호로 노크를 판단하게 된다.
즉, 고내 또는 고외측의 소음이나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의 경우 노크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와 그 특성에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노크 신호의 특성에 해당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노크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물론, 특정한 상황에서 노크 신호와 유사한 신호가 발생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조작 미숙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541)에 노크와 유사한 충격이 발생될 수도 있고, 외부 소음이 노크 신호의 파장과 유사한 신호로 인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특수 상황에서의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상기 노크 신호가 설정된 패턴에 의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지를 확인하고, 이러한 패턴이 설정시간 내에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유효한 노크 온 신호로 감지되기 위해서는 노크로 인식되는 신호가 1초 이내에 두번 발생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통상 일반적인 사용자의 노크 패턴을 분석하여 본 결과 연속 2회 노크를 실시하고 그 시간 간격은 1초 이내에 해당하므로 이와 같이 설정할 경우 특수 상황에서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노크 조작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유효 노크 온 신호로 판단되기 위한 노크 신호의 횟수와 설정시간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를 통해 유효 노크 온 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별도의 제어 동작을 실시하지 않고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노크 감지장치(82)가 비활성화 되도록 하거나, 입력되는 신호를 무시하도록 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S120]
한편, 유효 노크 온 신호가 감지되어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 상기 메인 제어부(2)로 유효 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을 온 시키게 된다. [S130]
점등된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은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0초 동안 점등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충분히 고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이 온 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설정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을 오프 시키게 된다. [S140]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이 온 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유효 노크 온 조작 신호가 입력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고내를 확인하기 위해 노크 온 조작을 하여 고내를 확인한 후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설정시간이 지나기 전에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을 오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이 온 된 후 5초 이내에 사용자가 고내의 수납상태를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을 오프하고자 한다면, 다시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즉 상기 전면 패널(541)을 노크 조작하게 된다.
이때의 노크 조작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은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오프 될 수 있다. 물론, 이때의 노크 조작의 유효성 판단은 [S120]에서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다른 노크 입력 패턴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S150]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이 온 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 되거나 유효 노크 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은 오프될 수 있다.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이 도어에 구비될 경우, 도어(20)를 캐비닛(10)에 고정하는 힌지들의 부피가 커질 수 있으며 전선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은 도어(20)가 아닌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캐비닛(10)의 상기 냉장실(12) 내부에는 저장공간(고내)를 밝히는 상기 냉장실 조명(121)이 구비될 수는 있으며, 상기 냉장실 조명(121)의 빛의 일부가 상기 도어 바스켓(43)에 도달할 수는 있다.
그러나, 상기 선반(125)에 다수개의 식품 또는 식품 케이스가 거치된 경우, 상기 냉장실 조명(121)의 빛이 식품 또는 식품 케이스에 의해 가려져 상기 도어 바스켓(43)에 도달하기 어렵게 되며, 이러한 문제를 상기 선반 라이팅 유닛(126)은 원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에 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은 상기 선반(125)에 구비된 선반 라이팅 유닛(12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유닛(126)은 LED로 구비되어 상기 도어 바스켓(431)을 조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상기 서브 도어(50)에 별도의 조명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도어에 연결되는 전선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선반(125)과 상기 이너 케이스(105)을 통해 연결된 전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어 전선의 비틀림에 의한 내구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반 라이팅 유닛(126)은 상기 선반(125)의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선반(125)에 거치된 식품에 의해 빛이 차단되는 문제를 방지하여 상기 도어 바스켓(43)을 한층 더 환하게 조명할 수 있다.
상기 선반 라이팅 유닛(126)은 LED로 이루어져 상기 선반(125)의 전단에서 특정 위치에만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선반(125)의 전단을 따라 연이어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선반(125)의 전단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막대 조명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 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선반(1251)은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보다 낮고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 라이팅 유닛(126)은 상기 제1선반(1251)에 구비된 제1선반 램프(126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음료 등을 비치하여 가장 자주 접근하여 확인하는 도어 바스켓(43)은 상기 제2 도어 바스켓(433)이다. 즉, 상기 제2 도어 바스켓(433)은 상기 제1 도어 바스켓(431)과 상기 제3도어 바스켓(435) 중간 지점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 앞에 서있으면 정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을 다른 도어 바스켓 보다 더 환하게 조명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상기 제1선반 램프(1261)는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을 상측 공간을 조명하여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의 외면이나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의 후방측에 비치된 식품 등에 의해 빛이 가려지지 않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선반 램프(1261)는 발광면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향하도록 전방을 바라보게 구비되어,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의 상측 공간을 조명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12를 참조하여 상기 제1선반 램프(1261)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제1선반 램프(1261)은 발광면이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을 향하도록 전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패널 어셈블리(54) 정면을 향해 빛이 조사되지 않으므로 도어 바스켓(43)을 확인하는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선반(125)이 상기 제1선반(1251) 하측에 위치한 상기 제2선반(1253)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면, 상기 선반 라이팅 유닛(126)은 상기 제2선반(1253)에 구비된 제2선반 램프(12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선반 램프(1261)의 발광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해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제2선반 램프(1263)은 정면을 바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제2선반 램프(1263)는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과 의 높이 차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의 후면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식품 또는 식품 케이스를 향해 곧바로 빛을 조사해야만 조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더 많은 수의 선반(125)이 구비된 경우, 모든 선반(125)에 상기 선반 라이팅 유닛(126)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특정 선반(125)에만 선반 라이팅 유닛(126)이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선반 라이팅 유닛(126)은 상기 선반(125)과 상기 도어 바스켓(43)의 변화된 높이에 따라 상기 도어 바스켓(43)을 유연하게 조명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은 상기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내면에 구비된 캐비닛 라이팅 유닛(10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내지 15을 참조하여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의 다른 실시예인 상기 캐비닛 라이팅 유닛(106)에 관한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면, 상기 캐비닛 라이팅 유닛(106)은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천장에 구비된 천장 램프(10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천장 램프(107)는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내면 중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 바스켓(43)을 상측에서 조명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천장 램프(107)는 상기 도어 바스켓(43)을 조명하기 위해 발광면이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 정면을 향해 빛이 조사되지 않아 도어 바스켓(43)을 확인하는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기 도어 바스켓(43)이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과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을 포함하여 다층적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천장 램프(107)가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과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 중 어느 하나만 조명하게 되어 나머지 도어 바스켓이 어둡게 유지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램프(107)는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을 비추는 제1천장 램프(1071)와,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을 비추기 위해 상기 제1천장 램프(1071)와는 별도로 구비된 제2천장 램프(10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천장 램프(1073)는 상기 제1천장 램프(1071) 보다 발광면이 전방으로 더 많이 기울어지게 구비되어, 조사된 빛이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과 간섭되지 않고 곧바로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으로 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천장 램프(1073)는 상기 선반(125)과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즉, 도 1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은 상기 제1선반(1251)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므로, 상기 제2천장 램프(1073)가 상기 제1선반(1251)과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 사이 공간으로 빛을 조사하면, 장애물 없이 곧바로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으로 빛이 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천장 램프(107)는 상기 이너 케이스(105) 천장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천장 램프(1071)는 상기 선반(125)의 전단에 수직하게 접하는 가상의 접면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선반(125)의 전단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천장램프(1073)는 조사각도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선반(125)의 전단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선반(125)에 거치된 식품 또는 식품 케이스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천장 램프(107)에서 조사된 빛은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 온전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 바스켓(43)이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 하측에 위치한 상기 제3도어 바스켓(435)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천장 램프(1071) 상기 제2천장 램프(1073) 보다 발광면이 한층 더 기울어진 제3천장 램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천장 램프(107)는 발광면의 기울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조사 각도가 상이한 복수 개의 램프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도어 바스켓(435) 각각을 개별적으로 조명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천장 램프(1071)와 상기 제2천장 램프(1073) 각각은 역시 상기 선반(125)과 상기 도어 바스켓(43)의 변화된 높이에 따라 상기 도어 바스켓(43)을 유연하게 조명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캐비닛 라이팅 유닛(106)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캐비닛 라이팅 유닛(106)은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측벽에 구비된 측벽 램프(1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 램프(108)는 상기 이너 케이스(105) 측벽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반(125)의 전단에 수직하게 접하는 가상의 접면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선반(125)의 전단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 램프(108)는 상기 도어 바스켓(43)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도어 바스켓(43)을 상측에서 조명하도록 발광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벽 램프(108)에서 조사된 빛은 상기 선반(125)에 거치된 식품 또는 식품 케이스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곧바로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 향하게 되는 한편, 상기 도어 바스켓(43)을 상측에서 조명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도어 바스켓(43)을 보다 고르게 조명할 수 있다.
상기 측벽 램프(108)는 필요에 따라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좌측 내벽 또는 우측 내벽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 있고, 양측벽 모두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측벽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 바스켓(43)의 중앙부를 조명하기 위해서는 발광면이 상기 저장공간 내측으로 소정각도 치우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도어 바스켓(43)이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과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을 포함하여 다층적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측벽 램프(108)가 하나만 구비될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도어 바스켓(43)을 고르게 조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벽 램프(108)는 상기 제1 도어 바스켓(431)을 조명하는 상부 측벽 램프(1081)와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을 조명하는 하부 측벽 램프(108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측벽 램프(1081)는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측벽 램프(1083)는 상기 상부 측벽 램프(1081)의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도어 바스켓(43)들을 고르게 조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측벽 램프(1083)는 상기 제1선반(125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을 향하는 빛이 상기 제1선반(1251)에 의해 가려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측벽 램프(108)는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램프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도어 바스켓(435) 각각을 개별적으로 조명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측벽 램프(1081)와 상기 하부 측벽 램프(1083) 각각은 역시 상기 선반(125)과 상기 도어 바스켓(43)의 변화된 높이에 따라 상기 도어 바스켓(43)을 유연하게 조명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캐비닛 라이팅 유닛(106)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캐비닛 라이팅 유닛(106)은 상기 제3선반(1255)에 구비된 하부 램프(10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선반(1251, 1253, 1255) 중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식품 입출이 가장 활발한 선반은 중간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뛰어난 제2선반(1253)이며, 그 다음으로는 허리를 굽히는 수고로움 없이 식품을 입출시킬 수 있는 상기 제1선반1251)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식품 입출 빈도가 가장 낮은 제3선반(1255)에 하부 램프(109)를 배치함으로써, 잦은 식품 입출에 따라 식품이 램프와 충돌하게 되어 램프가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하부 램프(109)를 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 및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을 하측에서 조명하게 되며, 이를 위해 발광면이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 및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명하기 위해 상기 제2선반(1253)과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 사이 공간을 통해 빛을 조사하도록 기울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램프(109) 역시 상기 제3선반(1255)에 거치되는 식품 또는 식품 케이스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3 선반(1255)의 전방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때 조사각도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3선반(1255)의 전단 보다 후방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3선반(1255)은 상기 이너 케이스(105)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바닥면 또는 상기 신선실(128)의 상면을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제1ㆍ2선반(1251, 1253)과 같이 상기 이너 케이스(105)과 별개의 부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측벽 램프(1081)와 상기 하부 측벽 램프(1083) 각각은 역시 상기 선반(125)과 상기 도어 바스켓(43)의 변화된 높이에 따라 상기 도어 바스켓(43)을 유연하게 조명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램프(L1)의 각도조절구조를 설명하면, 램프(L1)는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선반(125) 또는 상기 이너 케이스(105)에 힌지(H)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램프(L1)는 상기 선반(125) 또는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힌지 결합될 수도 있으나, 상술한 실시예들의 경우 램프(L1)가 모두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저장공간 내측으로 돌출될 경우 입출되는 식품과 부딪힐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선반(125) 또는 상기 이너 케이스(105)에는 상기 램프(L1)를 수용하기 위한 램프 수용홈(G)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램프(L1)는 상기 램프 수용홈(G)의 내주면 상에 힌지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 식품이 입출되는 경로상에 상기 램프(L1)가 돌출되는 문제를 방지함을 물론, 상기 선반(125) 또는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램프(L1)의 각도조절구조는 필요에 따라 위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8에 도시된 구조와 달리 각각의 세부 구조에 따라 상기 램프(L1)가 하나의 힌지에만 결합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도어 라이팅 유닛(L)은 모두 각기 다른 위치에 구비되므로 서로 유기적 결합을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복합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도어 바스켓(43)을 보다 더 환하게 조명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든 도어 라이팅 유닛(L)은 상기 냉장실 조명(121)과 함께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냉장실 조명(121)과 독립적으로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모든 도어 라이팅 유닛(L)은 전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게 되므로,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이 On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가 개방되면 도어 라이팅 유닛(L)의 빛이 모두 사용자를 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눈부심으로 인해 상기 저장공간 내부를 확인하기가 어려우며, 불필요한 조명으로 인해 전력소비가 증대될 수 있어 이를 적절히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의 개폐에 따른 상기 냉장실 조명과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의 구체적인 온오프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의 개폐를 감지(S30)하여,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S60)되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은 전술한 도 8에서의 제어방식과 동일하게 제어(S110~160)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가 열린 것으로 판단(S60)되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이 On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0)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이 On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을 Off하는 단계(S220)와 상기 냉장실 조명(121)을 On하는 단계(S230)가 수행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이 Off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곧바로 상기 냉장실 조명을 On하는 단계(S23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냉장실 조명(121)과 도어 라이팅 유닛(L)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L)으로 인한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가 닫힌 것으로 판단(S240)되면 상기 냉장실 조명(121)을 Off(S250)하게 되고,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가 계속 열려있는 것으로 판단(S240)되면 상기 냉장실 조명(121)을 On상태로 유지(S230)시키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과 다른 새로운 효과를 가지고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캐비닛 10 냉장실 도어 20
메인 도어 40 서브 도어 50
선반 라이팅 유닛 126 캐비닛 라이팅 유닛 106
측벽 램프 108 하부 램프 109

Claims (17)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선반;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는 도어 바스켓;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된 서브 도어; 및
    상기 선반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 바스켓을 조명하는 선반 라이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라이팅 유닛은 상기 선반의 전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바스켓은 제1도어 바스켓과 상기 제1도어 바스켓 하측에 위치한 제2도어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제2도어 바스켓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 제1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 라이팅 유닛은
    상기 제1선반에 구비된 제1선반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반 램프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향하여 조사하도록 발광면이 정면을 바라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상기 제1선반 하측에 위치한 제2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반 라이팅 유닛은
    상기 제2선반에 구비되며, 발광면이 정면을 바라보도록 구비된 제2선반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 후벽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비추는 냉장실 조명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도어 또는 상기 서브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상기 선반 라이팅 유닛은 오프되고 상기 냉장실 조명은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로 이루어진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는 도어 바스켓;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된 서브 도어; 및
    상기 이너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 바스켓을 조명하는 캐비닛 라이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라이팅 유닛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천장에 구비된 천장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천장 램프는
    상기 이너 케이스 천장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바스켓은 제1도어 바스켓과 상기 제1도어 바스켓 하측에 위치한 제2도어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천장 램프는
    상기 제1도어 바스켓을 비추도록 발광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구비된 제1천장 램프; 및
    상기 제2도어 바스켓을 비추도록 발광면이 상기 1천장 램프의 발광면 보다 더 큰 각도로 기울어지게 구비된 제2천장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 바스켓은 상기 선반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2천장 램프는
    상기 선반과 상기 제1도어 바스켓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제2도어 바스켓에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라이팅 유닛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측벽에 구비된 측벽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램프는
    상기 이너 케이스 측벽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램프는
    상기 도어 바스켓의 중앙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도록 발광면이 상기 저장공간 내측으로 치우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바스켓은 제1도어 바스켓과 상기 제1도어 바스켓 하측에 위치한 제2도어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도어 바스켓 보다 낮은 높이로 배치된 제3선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 라이팅 유닛은
    상기 제3선반에 구비된 하부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선반의 상측에 구비된 제2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램프는
    상기 제3 선반의 전방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선반과 상기 제2도어 바스켓 사이 공간을 통해 빛을 조사하도록 발광면이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 후벽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비추는 냉장실 조명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도어 또는 상기 서브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상기 캐비닛 라이팅 유닛은 오프되고 상기 냉장실 조명은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80063709A 2018-06-01 2018-06-01 냉장고 KR102167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09A KR102167542B1 (ko) 2018-06-01 2018-06-0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09A KR102167542B1 (ko) 2018-06-01 2018-06-0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480A true KR20190137480A (ko) 2019-12-11
KR102167542B1 KR102167542B1 (ko) 2020-10-19

Family

ID=69003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709A KR102167542B1 (ko) 2018-06-01 2018-06-0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5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2921A1 (zh) * 2021-05-31 2022-12-08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投影与照明集成组件、制冷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1670A (ja) * 2008-05-23 2009-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JP2010065921A (ja) * 2008-09-10 2010-03-25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JP2013019657A (ja) * 2011-07-14 2013-01-31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KR20170110486A (ko) * 2016-03-23 2017-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1670A (ja) * 2008-05-23 2009-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JP2010065921A (ja) * 2008-09-10 2010-03-25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JP2013019657A (ja) * 2011-07-14 2013-01-31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KR20170110486A (ko) * 2016-03-23 2017-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2921A1 (zh) * 2021-05-31 2022-12-08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投影与照明集成组件、制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542B1 (ko) 202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564B1 (ko) 냉장고
AU2021204974B2 (en) Refrigerator
KR102597666B1 (ko) 냉장고
KR102458160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KR102012462B1 (ko) 냉장고
KR102167542B1 (ko) 냉장고
KR102157878B1 (ko) 냉장고
KR102071664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99951A (ko) 냉장고
KR20190098119A (ko) 냉장고
KR102386577B1 (ko) 냉장고
KR102096932B1 (ko) 냉장고
KR102187339B1 (ko) 냉장고
KR20190137481A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US20240125539A1 (en) Refrigerator
KR102126864B1 (ko) 냉장고
EP4220048A1 (en) Refrigerator
KR20240000148A (ko) 가전 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90098120A (ko) 냉장고
KR101650201B1 (ko) 냉장고
KR101662317B1 (ko) 냉장고
KR20190137739A (ko) 냉장고
KR20190137517A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90137477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