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317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317B1
KR101662317B1 KR1020100009336A KR20100009336A KR101662317B1 KR 101662317 B1 KR101662317 B1 KR 101662317B1 KR 1020100009336 A KR1020100009336 A KR 1020100009336A KR 20100009336 A KR20100009336 A KR 20100009336A KR 101662317 B1 KR101662317 B1 KR 101662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asket assembly
compartment
cabinet
refrig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9789A (ko
Inventor
이은주
이항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009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317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0151924.6A priority patent/EP3660429B1/en
Priority to PCT/KR2011/000373 priority patent/WO2011093613A2/en
Priority to US13/391,632 priority patent/US8770682B2/en
Priority to EP11737252.4A priority patent/EP2531790B1/en
Priority to RU2011146538/13A priority patent/RU2502926C2/ru
Priority to EP22181271.2A priority patent/EP4141364A3/en
Priority to CA2760665A priority patent/CA2760665C/en
Priority to MX2011013056A priority patent/MX2011013056A/es
Priority to CN201180002569.6A priority patent/CN102472558B/zh
Priority to BR112012006215-8A priority patent/BR112012006215B1/pt
Priority to AU2011210122A priority patent/AU2011210122B2/en
Publication of KR20110089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789A/ko
Priority to US14/168,063 priority patent/US921284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전면이 개방되는 저장공간; 상기 저장공간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그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는 바스켓 어셈블리; 상기 바스켓 어셈블리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바스켓 어셈블리의 전면을 개방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바스켓 어셈블리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하는 구동부재; 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용이한 도어의 여닫힘이 가능하고, 물품의 출납과정에서의 냉기의 누설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란,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기에 의하여 저장공간의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냉동 또는 냉장시키는 가전기기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상기 도어의 이면에는 일반적으로 물품이 수납되는 바스켓이 구비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도어의 무게가 증가됨으로써,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큰 힘이 소요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바스켓의 내외부로의 물품의 출납을 위하여 상기 도어를 회동시키면, 실질적으로 상기 저장공간이 개방된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될 우려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용이하게 도어를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품의 출납과정에서의 냉기의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전면이 개방되는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저장 공간에 수용되며, 전후면이 개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프레임이 닫히면 상기 저장 공간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프레임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전후면이 개방되는 부분을 통하여 접근 가능한 하나 또는 다수의 바스켓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파지홈을 형성하는 도어 핸들을 포함하는 바스켓 어셈블리; 상기 바스켓 어셈블리의 전면에서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의 개방을 위한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전후면이 개방되는 부분을 개방하며, 상기 도어 핸들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핸들의 전면을 덮는 핸들 차폐부를 포함하는 도어; 상기 프레임이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 1 힌지; 상기 도어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 2 힌지; 상기 도어의 배면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 사이에 개입되는 제 1 가스켓; 및 상기 도어의 배면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 사이에 개입되며, 상기 제 1 가스켓의 외측에 둘러지는 제 2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용이한 도어의 여닫힘이 가능하고, 물품의 출납과정에서의 냉기의 누설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실시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바스켓 어셈블리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냉장실 및 냉동실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A부분을 보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실시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바스켓 어셈블리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냉장실 및 냉동실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A부분을 보인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저장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공간은 냉동 또는 냉장되는 물품이 수납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상하로 길게 구비되는 베리어(15)에 의하여 상기 저장공간이 냉동실(11) 및 냉장실(13)로 구획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타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1) 및 냉장실(13)은 전면이 개방되고, 상기 냉동실(11) 및 냉장실(13)의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냉동 또는 냉장을 위한 물품이 출납된다.
상기 냉동실(11) 및 냉장실(13)의 내부에는 각각 다수개의 선반(17) 및 수납박스(19)가 구비된다. 상기 선반(17)은 실질적으로 상기 냉동실(11) 및 냉장실(13)을 상하로 구획하고, 상기 선반(17)의 상면에는 냉동 또는 냉장을 위한 물품이 안착된다. 상기 수납박스(19)는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납박스(19)의 내부에는 냉동 또는 냉장을 위한 물품이 수납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11) 및 냉장실(13)의 개방된 전면을 바스켓 어셈블리(100)(200)가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바스켓 어셈블리(100)(200)는,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외부로 착탈되어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전면을 개폐한다. 따라서 상기 바스켓 어셈블리(100)(200)가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전면뿐만 아니라 상기 바스켓 어셈블리(100)(200)의 후면도 차폐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바스켓 어셈블리(100)(200)는, 상기 캐비닛(10)에 사이드 스윙(side swing) 방식, 즉 상기 캐비닛(10)의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냉동실(11)의 전면을 개폐하는 바스켓 어셈블리를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상기 냉장실(13)의 전면을 개폐하는 바스켓 어셈블리를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라 칭한다.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는 각각 바스켓 프레임(110)(210) 및 다수개의 바스켓(120)(220)을 포함한다. 상기 바스켓 프레임(110)(210)은 대략 전후면이 개방되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후면도 개방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프레임(110)(210)은 상기 캐비닛(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120)(220)은 각각 상기 바스켓 프레임(110)(2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바스켓(120)(220)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개방된 전면 또는/및 후면을 통하여 냉동 또는 냉장을 위한 물품이 수납된다.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후면 일부는 바스켓 도어(121)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바스켓 도어(121)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바스켓(120)(22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후면 일부를 개폐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바스켓 도어(121)가 상기 바스켓(120)(220)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후면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에는 도어 핸들(130)(23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도어 핸들(130)(230)은,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 일측, 실질적으로는, 상기 프레임(110)(210)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도어 핸들(130)(230)은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를 상기 캐비닛(10)에 대하여 회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하는 곳이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상기 도어 핸들(130)(230)을 파지하고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를 상기 캐비닛(10)에 대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외부로 착탈되면서, 실질적으로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전면 및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후면이 개폐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 핸들(130)(230)이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핸들(130)(230)의 내부에는, 파지홈(131)(231)이 형성된다. 상기 파지홈(131)(231)은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도어 핸들(130)(230)을 파지하기 위하여 손가락 등을 위치시키는 곳이다. 상기 파지홈(131)(231)은, 상기 도어 핸들(130)(230)의 저면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을 각각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가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도,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와 동일하게, 사이드 스윙 방식으로 상기 캐비닛(1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가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부에 장착된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을 각각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의 이면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가 각각 제1 및 제2냉동실 도어(310)(320), 제1 및 제2냉장실 도어(410)(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냉동실 도어(310)(320)는, 각각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의 전면 상부 및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냉장실 도어(410)(420)는, 각각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 상부 및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전면이 각각 1개의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또는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에 의하여 개폐되고,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또는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이 각각 2개의 도어, 즉 상기 제1 및 제2냉동실 도어(310)(320) 또는 제1 및 제2냉장실 도어(410)(420)에 선택적으로 개폐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냉동실 도어(310)의 하면 및 상기 제2냉동실 도어(320)의 상면 사이, 및 상기 제1냉장실 도어(410)의 하면 및 상기 제2냉장실 도어(420)의 하면 사이는, 각각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냉동실 도어(310)(320)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1 및 제2냉장실 도어(410)(420)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상기 도어 핸들(130)(230)을 파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냉동실 도어(310)의 하단부 및 제1냉장실 도어(410)의 하단부에는 핸들 차폐부(311)(41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핸들 차폐부(311)(411)는, 상기 제1냉동실 도어(310) 또는 제1냉장실 도어(410)의 전면에 대하여 경사 또는 만곡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 차폐부(311)(411)의 이면은, 상기 제1냉동실 도어(310) 또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410)가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을 각각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 핸들(130)(230)의 전면과 밀착될 것이다.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핸들 차폐부(311)(411)에 의하여 상기 도어 핸들(130)(230)이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410)에 투시 개구(417)가 형성된다. 상기 투시 개구(417)는 투명한 재질로 성형된다. 상기 투시 개구(417)는 선택적으로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내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후술할 냉장실 바스켓 조명원(240)에 의하여 조명되는 경우에만, 상기 투시 개구(417)를 통하여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내부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냉장실 도어(410)의 일측에는 조명 버튼(4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 버튼(418)은 냉장실 바스켓 조명원(240)이 점등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에는 냉기 공급덕트(20)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 공급덕트(20)는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냉기 공급덕트(20)는, 상기 베리어(15)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냉기 공급덕트(20)의 일단은, 냉기를 발생시키는 증발기(미도시)가 설치되는 열교환챔버(미도시)와 직접 연통되거나,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냉기를 상기 냉장실(13)로 전달하는 덕터(미도시)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15)에는 냉기 공급구(30)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공급구(30)는 상기 냉기 공급덕트(20)의 타단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 공급덕트(20)를 유동하는 냉기는 상기 냉기 공급구(30)를 통하여 토출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냉기 공급구(30)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바스켓(120)(22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와 인접되게 위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냉장용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상기 냉장실(13)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냉기 공급구(30)와 서로 인접하는 상기 바스켓(120)(220) 사이가 맞닿게 위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냉동용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내부로의 냉기의 공급을 위한 별도의 냉기 공급덕트 및 냉기 공급구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용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로의 냉기의 공급을 위한 냉기 공급덕트 및 냉기 공급구도, 실질적으로 상기 냉기 공급덕트(20) 및 냉기 공급구(30)와 유사하게 구성될 것이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는 제1 및 제2경사면(41)(43)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면(41)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테두리에 인접되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일부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즉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을 향하여 경사짐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경사면(43)은 상기 제1경사면(41)의 내측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일부가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을 향하여 경사짐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경사면(41)(43)은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41)은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 및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내부의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경사면(41) 및 후술할 돌출부(313)(413)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캐비닛(10)과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 사이의 접촉면이 증가됨으로써,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 및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내부의 냉기의 누설이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경사면(43)은, 실질적으로 후술할 제2힌지 브라켓(520)이 위치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경사면(43)과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상면 사이의 공간에 제2힌지 브라켓(520)이 위치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경사면(43)에 의하여,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이 상기 냉동실(11) 및 냉장실(13)의 내외부로 착탈되는 과정에서, 상기 캐비닛(10)과 제2힌지 브라켓(520)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의 이면에는 돌출부(313)(413)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13)(413)는,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의 이면 일부가 상기 제1경사면(4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경사면(41) 및 돌출부(313)(413)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캐비닛(10)과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됨으로써, 상기 냉동실(11), 냉장실(13) 및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내부의 냉기의 누설이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의 이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가스켓(G1)(G2)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가스켓(G1)(G2)은, 각각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 및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된다. 상기 제1 및 제2가스켓(G1)(G2)이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의 이면에 각각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스켓(G1)의 외측에 상기 제2가스켓(G2)이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가스켓(G1)(G2)이 별개로 성형되어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러나 상기 제1 및 제2가스켓(G1)(G2)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가스켓(G1)은,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가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을 차폐한 상태, 즉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의 이면이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가스켓(G1)은,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과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의 이면 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양자의 틈새를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스켓(G2)은,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가스켓(G2)은,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의 전면과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의 이면 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양자의 틈새를 차폐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가스켓(G1)(G2)으로는, 상기 캐비닛(10)과의 밀착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자성을 가지는 재질이 사용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가스켓(G1)(G2)은, 상기 캐비닛(10)과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 사이 및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와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 사이에 소정의 부착력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제2가스켓(G2)의 부착력에 의하여,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부에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과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가 서로 밀착됨으로써,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가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을 차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 및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를 상기 캐비닛(1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힌지 브라켓(510)(520)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를 상기 캐비닛(1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브라켓을 제1힌지 브라켓(510),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를 상기 캐비닛(1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브라켓을 제2힌지 브라켓(520)이라 칭한다.
상기 제1힌지 브라켓(510)은, 프레임 고정부(511), 구동부(513) 및 제1힌지 결합부(515)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고정부(511)는 상기 프레임(110)(210)의 상면 및 저면에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고정부(511)는,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경사면(43)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프레임 고정부(511)는,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구동부(513)는 상기 프레임 고정부(511)의 전단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동부(513)는 후술할 제1도어 스위치(71)를 구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부(513)는,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접촉 또는 인접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힌지 결합부(515)는, 상기 구동부(513)의 선단에서 밴딩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힌지 결합부(515)에는, 후술할 힌지축(H)이 관통하는 제1힌지공(516)이 형성된다.
상기 제2힌지 브라켓(520)은, 캐비닛 고정부(521) 및 제2힌지 결합부(523)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 고정부(521)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 또는 저면 모서리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제2힌지 결합부(523)는, 상기 캐비닛 고정부(521)의 선단에서 상기 캐비닛(10)의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힌지 결합부(523)는 상기 제1힌지 결합부(515)와 상하로 중첩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힌지 결합부(523)에는 제2힌지공(524)이 형성된다. 상기 제2힌지공(524)은 힌지축(H)이 관통하는 곳이다.
한편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를 상기 캐비닛(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2개의 힌지축(H)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축(H)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냉동실 도어(310)(320), 또는 상기 제1 및 제2냉장실 도어(410)(420)를 차례로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H)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제1냉동실 도어(310)의 상면 및 상기 제2냉동실 도어(320)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냉장실 도어(410)의 상면 및 상기 제2냉장실 도어(420)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하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 및 제2냉동실 도어(310)(320)의 상하면 및 상기 제1 및 제2냉장실 도어(410)(420)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힌지축(H)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힌지공(516)(524)을 차례로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 및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가 상기 힌지축(H)을 중심으로 상기 캐비닛(1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힌지 브라켓(520)은 힌지 커버(530)에 의하여 차폐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힌지 커버(530)는 상기 제2힌지 브라켓(520) 전부를 차폐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힌지 결합부(515)(523)가 상하로 서로 중첩되므로, 상기 힌지 커버(530)에 의하여 적어도 상기 제1힌지 결합부(515) 및 상기 제2힌지 브라켓(52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슬롯(60)이 구비된다. 상기 슬롯(60)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상하단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부에 장착된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이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냉동실 도어(310)(320) 및 상기 제1 및 제2냉장실 도어(410)(420)와 전후방으로 중첩되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롯(60)은, 각각 회동하는 상기 제1 및 제2냉동실 도어(310)(320) 및 제1 및 제2냉장실 도어(410)(420)의 선단에 비하여 상기 제1 및 제2냉동실 도어(310)(320)의 회동중심, 즉 상기 힌지축(H) 및 힌지축(H)에 상대적으로 인접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도어 열림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열림 장치는,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을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냉동실 도어(310)(320) 및 상기 제1 및 제2냉장실 도어(410)(420)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캐비닛(10)에 대하여 기설정된 개방각도만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어 열림 장치는, 입력부(315)(325)(415)(425), 도어 열림 구동원(61), 및 도어 열림 구동부재(63)를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입력부(315)(325)(415)(425)는,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의 열림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부(315)(325)(415)(425)는,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의 전면에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 방식, 즉 정전기식 또는 감압식으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입력부(315)(325)(415)(425)가 반드시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의 열림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부(315)(325)(415)(425)로는, 별도의 리모컨이나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에 구비되는 기계식 버튼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열림 구동원(61)은, 상기 입력부(315)(325)(415)(425)가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의 열림을 위한 구동력을 상기 도어 열림 구동부재(63)에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 열림 구동원(61)으로는, 예를 들면, 양방향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열림 구동원(61)은, 상기 입력부(315)(325)(415)(425)가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의 회동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으면, 일방향(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정방향'이라 칭함)으로 회전하여 기설정된 동작시간 동안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의 열림을 위한 구동력을 상기 도어 열림 구동부재(63)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도어 열림 구동원(61)의 정방향으로의 구동력은, 적어도 상기 제2가스켓(G2)의 부착력을 초과한다. 또한 상기 도어 열림 구동원(61)은, 상기 동작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정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역방향'이라 칭함)으로 회전하여 상기 도어 열림 구동부재(63)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도어 열림 구동부재(63)는, 상기 도어 열림 구동원(61)으로부터 제공받은 구동력에 의하여 구동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의 열림을 위하여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를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 열림 구동부재(63)는, 예를 들면, 기설정된 중심각을 갖는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열림 구동부재(63)는, 상기 슬롯(60)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10)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도어 열림 구동부재(63)는, 상기 도어 열림 구동원(61)의 정방향으로 회동에 의하여 상기 슬롯(60)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를 밀어준다. 그리고 상기 도어 열림 구동부재(63)는, 상기 도어 열림 구동원(61)의 역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슬롯(60)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로 수납된다.
한편 상기 도어 열림 구동부재(63)는, 실질적으로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가 상기 캐비닛(10)에 대하여 기설정된 개방각도만큼 회동하도록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를 밀어준다. 여기서 상기 개방각도는, 상기 제2가스켓(G2)의 부착력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개방각도는, 상기 도어 열림 구동원(61)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슬롯(60)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도어 열림 구동부재(63)가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를 미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2가스켓(G2)의 부착력에 의하여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가 닫힐 수 있는 각도, 즉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가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부에 장착된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을 차폐하기 위하여 회동할 수 있는 각도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각도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가스켓(G2)의 부착력에 의하여 설정되므로, 그 구체적인 수치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에는 제1 및 제2도어 스위치(71)(73)가 구비된다. 상기 제1도어 스위치(71)는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에 의한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전면의 개폐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도어 스위치(73)는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또는 냉장실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에 의한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의 개폐를 감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 스위치(71)는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결정되고, 상기 제2도어 스위치(73)는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결정될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도어 스위치(71)는 2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2도어 스위치(73)는 4개로 구성될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도어 스위치(71)는,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외부로 착탈되는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에 의하여 온/오프 동작된다. 상기 제1도어 스위치(71)는,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부(513)와 전후방으로 중첩되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일측에서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 스위치(71)는,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부에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장착되면, 상기 구동부(513)에 의하여 눌러져서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제1도어 스위치(71)는,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외부로 탈거되면, 상기 캐비닛(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도어 스위치(71)가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로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제1도어 스위치(71)가 온 동작되고, 상기 제1도어 스위치(71)가 상기 캐비닛(10)의 외부로 돌출된 경우에 상기 제1도어 스위치(71)가 오프 동작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는 후술할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에 의한 상기 제2도어 스위치(73)의 온/오프 동작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도어 스위치(73)는,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와 전후방으로 중첩되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일측에서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제2도어 스위치(73)는,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부에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을 개폐하는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에 의하여 눌러짐으로써,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온 동작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에는 상기 냉동실(11) 및 냉장실(13)에는 냉동실 조명원(81) 및 냉장실 조명원(83)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 조명원(81) 및 냉장실 조명원(83)은, 상기 제1도어 스위치(71)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서 점멸하여 상기 냉동실(11) 및 냉장실(13)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조명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냉동실 조명원(81) 및 냉장실 조명원(83)은, 상기 제1도어 스위치(71)가 온 동작, 즉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외부로 탈거되면,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을 각각 조명한다.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에는 바스켓 조명원(140)(24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바스켓 조명원(140)(240)은, 상기 제2도어 스위치(73)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서 점멸되어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내부를 각각 선택적으로 조명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바스켓 조명원(140)(240)은 상기 제2도어 스위치(73)가 온 동작, 즉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부에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 도어(310)(320) 및 냉장실 도어(410)(420)가 회동하여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이 개방되면,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내부를 조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의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원을 냉동실 바스켓 조명원(140),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원을 냉장실 바스켓 조명원(240)이라 칭한다.
이때 상기 냉동실 바스켓 조명원(140)은,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의 전면을 개폐하는 상기 제1 및 제2냉동실 도어(310)(32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의 전면 일부가 개방, 즉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의 전면의 개폐를 감지하는 2개의 상기 제2도어 스위치(73) 중 어느 하나만 온 동작되면,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의 내부를 조명한다. 상기 냉장실 바스켓 조명원(240)도, 상술한 냉동실 바스켓 조명원(140)과 동일하게 점등되어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내부를 조명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 바스켓 조명원(240)은, 상기 조명 버튼(418)이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도 점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실시예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저장공간 중 냉장실의 개폐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냉동실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물품의 출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냉장실(13)의 전면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후면이 차폐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는 상기 냉장실(13)의 내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3)의 내부에 장착된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이 냉장실 도어(410)(420), 즉 제1 및 제2냉장실 도어(410)(420)에 의하여 차폐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냉장실 도어(410)(420)의 이면,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냉장실 도어(410)(420)의 이면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가스켓(G1)(G2)이 각각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 및 캐비닛(10)의 전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13)의 내부의 냉기 및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내부의 냉기의 누설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상기 냉장실(13)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이 상기 제1 및 제2냉장실 도어(410)(420)에 의하여 차폐된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도어 스위치(71)(73)가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 및 상기 제1 및 제2냉장실 도어(410)(420)에 의하여 눌려져서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도어 스위치(71)(73)가 온 동작되고, 이에 의하여 냉장실 조명원(83) 및 냉장실 바스켓 조명원(240)은 소등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410)를 열지 않고,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식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410)가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을 차폐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명 버튼(418)에 신호를 입력하면, 냉장실 바스켓 조명원(240)이 동작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시 개구(417)를 통하여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및 제2냉장실 도어(410)(420)가 상기 캐비닛(10)에 대하여 회동하여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을 개방한다. 이때 상기 제1 및/또는 제2냉장실 도어(410)(420)가 상기 캐비닛(10)에 대하여 회동하면,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냉장실 도어(410)를 열어서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 상부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상기 제1냉장실 도어(410)에 구비되는 입력부(415)에 신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415)가 신호를 입력받으면, 도어 열림 구동원(61)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 열림 구동부재(63)가 슬롯(60)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10)의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410)가, 상기 제1 및 제2가스켓(G1)(G2)의 부착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상기 제1냉장실 도어(410)는, 상기 도어 열림 구동부재(63)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0)에 대하여 기설정된 개방각도만큼 회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1냉장실 도어(410)가 상기 개방각도만큼 회동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냉장실 도어(410)를 상기 캐비닛(10)에 대하여 회동시키면,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 상부가 개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을 통하여 상기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100)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내외부로 물품을 출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냉장실 도어(410)가 회동하여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이 개방되면, 상기 제2도어 스위치(73)를 누르는 외력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 스위치(73)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오프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제2도어 스위치(73)의 오프 동작에 의하여 냉장실 바스켓 조명원(240)이 점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내외부로 물품을 출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냉장실 도어(410)가 상기 도어 열림 구동부재(63)에 의하여 상기 개방각도만큼 회동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동작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도어 열림 구동원(61)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은 상기 도어 열림 구동부재(63)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도어 열림 구동부재(63)가 상기 슬롯(60)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410)는 상기 제1 및 제2가스켓(G1)(G2)의 부착력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0)에 대하여 회동하여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을 차폐한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13)의 전면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를 상기 캐비닛(10)에 대하여 회동시켜서,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상기 냉장실(13)의 외부로 탈거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13)의 전면이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후면도 개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냉장실(13)의 전면의 개방은, 상기 제1 또는/및 제2냉장실 도어(410)(420)에 의한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된 상태, 또는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이 차폐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도어 핸들(230)을 파지하고,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를 잡아당긴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상기 캐비닛(10)에 대하여 회동하여 상기 냉장실(13)의 외부로 탈거된다. 이때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전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차폐된 경우에는,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회동과 동시에 상기 제1 또는/및 제2냉장실 도어(410)(420)가 상기 캐비닛(10)에 대하여 회동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상기 냉장실(13)의 외부로 탈거되면, 상기 냉장실(13)의 전면 및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후면이 개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냉장실(13) 및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의 내외부로 물품을 출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200)가 상기 냉장실(13)의 외부로 탈거되면, 구동부(513)에 의하여 눌려져서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제1도어 스위치(71)가 상기 캐비닛(10)의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 스위치(71)가 오프 동작되고, 상기 제1도어 스위치(71)의 오프 동작에 의하여 냉장실 조명원(83)이 점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냉장실 조명원(83)의 점등에 의하여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상기 냉장실(13)의 내외부로 물품을 출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의 이면에 별도의 도어 바스켓과 같은 물품의 저장을 위한 구성이 삭제된다. 따라서 실질적인 상기 도어의 중량이 감소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도어를 여닫을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신호를 입력하면 도어 열림 장치에 의하여 도어가 기설정된 회동각도만큼 회동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간단하게 상기 도어를 여닫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장공간의 내외부로 착탈되는 바스켓 어셈블리의 전면 또는 후면을 통하여 상기 바스켓 어셈블리의 내외부로 사용자가 물품을 출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스켓 어셈블리의 내외부로 물품을 출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저장공간 또는/및 바스켓 어셈블리의 내부의 냉기가 누설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캐비닛과 도어 사이 및 상기 바스켓 어셈블리와 도어 사이에 각각 가스켓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공간 및 바스켓 어셈블리의 내부의 냉기의 누설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캐비닛 11: 냉동실
13: 냉장실 61: 도어 열림 구동원
63: 도어 열림 구동부재 100: 냉동실 바스켓 어셈블리
130: 도어 핸들 200: 냉장실 바스켓 어셈블리
230: 도어 핸들 310, 320: 냉동실 도어
410, 420: 냉장실 도어 G1: 제1가스켓
G2: 제2가스켓

Claims (19)

  1. 전면이 개방되는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저장 공간에 수용되며, 전후면이 개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프레임이 닫히면 상기 저장 공간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프레임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전후면이 개방되는 부분을 통하여 접근 가능한 하나 또는 다수의 바스켓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파지홈을 형성하는 도어 핸들을 포함하는 바스켓 어셈블리;
    상기 바스켓 어셈블리의 전면에서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의 개방을 위한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전후면이 개방되는 부분을 개방하며, 상기 도어 핸들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핸들의 전면을 덮는 핸들 차폐부를 포함하는 도어;
    상기 프레임이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 1 힌지;
    상기 도어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 2 힌지;
    상기 도어의 배면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 사이에 개입되는 제 1 가스켓; 및
    상기 도어의 배면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 사이에 개입되며, 상기 제 1 가스켓의 외측에 둘러지는 제 2 가스켓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핸들은,
    상기 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후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파지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후면이 개구되는 부분은, 상기 도어 핸들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핸들의 상측에서 개구되는 부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 핸들의 하측에서 개구되는 부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차폐부는,
    상기 도어 핸들의 상측에서 개구되는 부분을 개폐하는 도어의 하단부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핸들의 하측에서 개구되는 부분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 상단부는 후방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00009336A 2010-02-01 2010-02-01 냉장고 KR101662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336A KR101662317B1 (ko) 2010-02-01 2010-02-01 냉장고
MX2011013056A MX2011013056A (es) 2010-02-01 2011-01-19 Refrigerador.
US13/391,632 US8770682B2 (en) 2010-02-01 2011-01-19 Refrigerator
EP11737252.4A EP2531790B1 (en) 2010-02-01 2011-01-19 Refrigerator
RU2011146538/13A RU2502926C2 (ru) 2010-02-01 2011-01-19 Холодильник
EP22181271.2A EP4141364A3 (en) 2010-02-01 2011-01-19 Refrigerator
EP20151924.6A EP3660429B1 (en) 2010-02-01 2011-01-19 Refrigerator
PCT/KR2011/000373 WO2011093613A2 (en) 2010-02-01 2011-01-19 Refrigerator
CN201180002569.6A CN102472558B (zh) 2010-02-01 2011-01-19 冰箱
BR112012006215-8A BR112012006215B1 (pt) 2010-02-01 2011-01-19 refrigerador
AU2011210122A AU2011210122B2 (en) 2010-02-01 2011-01-19 Refrigerator
CA2760665A CA2760665C (en) 2010-02-01 2011-01-19 Refrigerator
US14/168,063 US9212846B2 (en) 2010-02-01 2014-01-30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336A KR101662317B1 (ko) 2010-02-01 2010-02-0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789A KR20110089789A (ko) 2011-08-09
KR101662317B1 true KR101662317B1 (ko) 2016-10-04

Family

ID=4492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336A KR101662317B1 (ko) 2010-02-01 2010-02-0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3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45476A1 (de) 2004-09-20 2006-03-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2682U (ko) * 1987-03-09 1988-09-20
JPH0666473A (ja) * 1992-08-15 1994-03-08 Matsumoto Sakiko 冷蔵庫・冷凍庫の二重扉
KR19990037440U (ko) * 1998-03-05 1999-10-05 윤종용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45476A1 (de) 2004-09-20 2006-03-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789A (ko)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60429B1 (en) Refrigerator
KR101602431B1 (ko) 냉장고
JP2006003063A (ja) 冷蔵庫
KR20060129664A (ko) 냉장고
CN106662392B (zh) 冰箱
KR20150018962A (ko) 냉장고
US10465977B2 (en) Refrigerator
KR101298453B1 (ko) 냉장고
KR20100022654A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200079754A (ko) 냉장고
KR101677611B1 (ko)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101662317B1 (ko) 냉장고
KR101650201B1 (ko) 냉장고
KR101346488B1 (ko) 냉장고
KR100614316B1 (ko) 냉장고
KR101621558B1 (ko) 냉장고
WO2012084498A2 (en) A refrigerator
KR100768168B1 (ko) 서랍식도어를 갖는 김치저장고의 디스플레이부 구조
KR100688659B1 (ko) 냉장고
KR102167542B1 (ko) 냉장고
KR101346518B1 (ko) 냉장고
KR100751917B1 (ko) 복합형 식품 저장고
US20220316793A1 (en) Crisper assembly with slide out shelf
KR101611610B1 (ko) 냉장고
JP2008151409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