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864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864B1
KR102126864B1 KR1020180063702A KR20180063702A KR102126864B1 KR 102126864 B1 KR102126864 B1 KR 102126864B1 KR 1020180063702 A KR1020180063702 A KR 1020180063702A KR 20180063702 A KR20180063702 A KR 20180063702A KR 102126864 B1 KR102126864 B1 KR 102126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opening
sub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474A (ko
Inventor
이성훈
김동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864B1/ko
Publication of KR20190137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된 서브 도어와,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장치와,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의 내부에서 상기 외부로 조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차단부와, 상기 감지장치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빛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는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별도의 수납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납 공간을 통해서 냉장고 도어 전체를 개방하지 않고 일부의 보조 도어 또는 홈바 도어를 개방하여 수납 공간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식품들은 상기 냉장고 도어에 제공되는 별도의 수납공간에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식품의 수납을 위해 상기 냉장고 도어 전체를 개방하지 않기 때문에 고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근본적으로 냉장고 도어를 열지 않으면 내부의 식품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원하는 식품이 고내의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지, 도어에 제공된 별도의 수납공간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개방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만약 보조 도어 또는 홈바의 개방시 원하는 식품이 없는 경우 다시 메인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으며, 이때 냉기의 불필요한 유출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종래에는 사용자의 입력 등 사용자의 의사가 반영되면 상기 냉장고의 도어의 전면 일부가 투명하게 가변될 수 있는 냉장고가 등장하였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거나, 보조도어 또는 홈바 등을 개방하지 않아도 상기 도어의 수납공간을 확인하면서도 냉기의 유출이 방지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 냉장고는 상기 도어의 수납공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수납공간에 구비된 조명부에서 빛이 조사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즉,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된 빛의 일부가 상기 도어의 일부를 관통해야만 사용자가 수납공간을 확인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납공간을 확인할 때마다 상기 조명부가 점등되어야 하므로 에너지의 낭비가 초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조명부에 발생된 빛이나 열에 의해 보관되는 음식물 등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냉장고는 외부에서 상기 도어 내부로 휘도가 강한 빛이나 파장이 매우 짧은 빛이 조사되면 상기 빛이 상기 도어를 투과하여 음식물에 접촉될 우려도 있었다.
또한, 종래 냉장고는 투명도가 달라질 수 있는 도어 패널 구조가 확보되지 않아 사용자가 상기 도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냉장고는 사용자의 시선이나 위치에 따라 시선각도가 달라짐으로 인해 상기 도어에 투시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는 패널구조가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선행문헌으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4538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2426호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1080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에 구비된 수납공간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점등되지 않거나, 휘도가 일정 수준 이하일지라도 상기 수납공간이 도어 외부로 투시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납공간에 조명부가 구비되지 않거나 제어되지 않아도 상기 수납공간이 도어 외부로 투시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의 수납공간이 외부에 투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나, 사용자가 도어의 수납공간을 확인하고자 하는 의사가 반영되면 상기 도어의 수납공간이 외부에서 투시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의 수납공간을 사용자가 확인할 의사가 있는 경우에도, 조명부에서 발생된 빛이나 열에 의해 수납공간에 수납된 음식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편광필름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편광필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과 위치에 따라 투명도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된 서브 도어와,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장치와,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의 내부에서 상기 외부로 조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차단부와, 상기 감지장치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빛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배면에 구비되어 제1방향의 빛만 통과시키는 제1편광부와, 상기 제1편광부의 배면에 구비되어 제1방향과 수직인 빛만 통과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편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편광부 또는 상기 제2편광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개구부의 배면으로 이동시키거나 제거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편광부의 일측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편광부가 감기어 수용 가능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제2편광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편광부를 이동시키는 회전축와,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상기 제1편광부의 너비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상기 제2편광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폐할 수 있는 복수의 블라인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블라인드의 상단 또는 하단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블라인드를 회전시켜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거나 개방하는 동력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후방에 구비되되 전면은 평평하게 구비되고 배면은 요철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굴절부와, 상기 제1굴절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전면이 상기 제1굴절부의 상기 요철형상과 맞물리도록 구비되고 배면은 평평하게 구비되는 제2굴절부와, 상기 제2굴절부를 상기 제1굴절부의 배면에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는 위치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2굴절부의 전면은 상기 제1굴절부의 배면의 요철형상과 대응되는 요철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굴절부는 강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2굴절부는 상기 제1굴절부의 배면의 요철형상과 맞물릴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배면에 구비되어 제1방향의 빛만 통과시키는 제1패턴과, 상기 제1방향에 수직된 빛만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제2패턴이 교대로 구비되는 제1판과, 상기 제1판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패턴과 상기 제2패턴이 동일하게 구비되는 제2판과, 상기 제1판 또는 상기 제2판을 상기 개구부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복원시키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패턴과 상기 제2패턴은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복원부는 상기 제1판 또는 제2판을 상기 제1패턴 또는 상기 제2패턴 간격 만큼 이동시키거나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복원부는 상기 제2판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판을 제1패턴의 간격만큼 이동시키는 푸시부와, 상기 제2판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판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된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장치; 상기 감지장치의 입력이 감지되면,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개구부의 내부에서 상기 외부로 조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도록 상기 서브도어에 구비되는 차단부; 상기 감지장치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차단부의 위치를 가변하거나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의 위치가 가변되거나 회전된 후에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차단부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작동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에 구비된 수납공간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점등되지 않거나, 휘도가 일정 수준 이하일지라도 상기 수납공간이 도어 외부로 투시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납공간에 조명부가 구비되지 않거나 제어되지 않아도 상기 수납공간이 도어 외부로 투시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의 수납공간이 외부에 투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나, 사용자가 도어의 수납공간을 확인하고자 하는 의사가 반영되면 상기 도어의 수납공간이 외부에서 투시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의 수납공간을 사용자가 확인할 의사가 있는 경우에도, 빛에 의해 수납공간에 수납된 음식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편광필름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편광필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과 위치에 따라 투명도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서브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15-15'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2의 16-16'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감지장치의 결합 구조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은 도 12의 32-32' 단면도이다.
도 13는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14는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 조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는 상기 냉장고의 노크 조작 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냉장고의 노크 조작 후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2는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장실(12)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서랍식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인출입 될 수도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식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면들은 냉동실이 하방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하나의 공간을 한쌍의 도어가 회동되어 각각 개폐되는 프렌치 타입의 도어가 적용된 냉장고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금속 소재로 외관이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1) 전체가 금속 소재의 질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에는 핸들(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23)은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서로 인접한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핸들(23)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한 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냉장실 도어(20)는 이중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40)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개구부(403)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좌측의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어퍼 힌지(401) 및 로어 힌지(40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2)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개구부(403)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비롯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43)이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403)를 통해서 상기 메인 도어(40)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403)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둘레 일부를 제외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403)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통해서도 상기 개구부(403)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는 결합된 상태가 되어 좌측에 형성된 냉장실 도어(20)와 그 크기와 형상이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에는 서브 가스켓(591)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의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중앙 또는 내부에는 유리와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된 패널 어셈블리(54)가 구비된다. 따라서,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투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씨스루 도어(Seethroughdoor)라 불릴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서브 어퍼 힌지(51)와 서브 로어 힌지(52)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부(403)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상기 조작 버튼(231)에 의해 동작되는 록킹유닛(2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록킹유닛(232)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메인 도어의 구속부재(404)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결합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수납 케이스(41)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 케이스(41)는 상기 메인 도어(40) 배면의 수납 공간을 정의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43)이 배치된다.
도3은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힌지(401)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메인 도어(40)가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는 상기 서브 도어(50)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의 힌지축(511)은 일측이 개구된 단면을 가지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면 구조는 보다 확장된 상기 힌지축(511) 내부의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에 구비되는 전장부품(아래에서 설명할 히터, 감지장치, 조명부)과 연결된 전선(L)들은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의 힌지축(511)을 통해 상기 서브 도어(50) 외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캐비닛(10) 상의 메인 제어부(2)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어퍼 힌지(401)와 서브 어퍼 힌지(51)는 메인 힌지 커버(45)와 서브 힌지 커버(53)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와 서브 힌지 커버(53)는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를 통해 외부로 안내되는 전선(L)이 상기 서브 힌지 커버(53)를 지나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의 내측을 통해 상기 메인 제어부(2)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의 내측에는 상기 서브 도어(50) 측의 전장 부품을 컨트롤하기 위한 별도의 피시비가 수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로어 힌지(40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단에는 상기 서브 도어(50)를 지지하기 위한 서브 로어 힌지(52)가 장착된다.
도 4는 상기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55)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패널 어셈블리(54)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와 이격 장착되는 도어 라이너(58)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6)와 로어 캡데코(5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5)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외관 및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의 중앙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형성되는 패널 장착구(551)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 장착구(551)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03) 내측을 투시하기 위한 공간으로 상기 개구부(403)의 크기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장착구(551)의 둘레를 따라서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플레이트 절곡부(552)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52)는 아래에서 설명할 서포트 프레임(6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절곡되며,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52)에는 일정간격으로 개구된 플레이트 홀(5521)이 연속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상기 패널 장착구(551)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전면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의 전면과 동일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상기 수납 케이스(41)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4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49)은, 상기 도어 라이너(58)에 장착되는 램프 케이스(491)와, 상기 램프 케이스(491)의 내부에 수용되며 다수의 엘이디가 배치되는 램프 피시비(492)와, 상기 램프 케이스(491)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상기 개구로 노출되는 램프 커버(49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49)은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라이너 개구(581)의 상단에 형성되는 라이팅 유닛 장착부(583)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49)는 상기 수납 케이스(43)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면 어느 곳에 구비되든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541)의 가장자리에는 빛의 투과가 불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베젤(5411)이 구비되며, 상기 베젤(5411)은 상기 단열 패널(542)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젤(5411)이 형성되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에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60)과 간봉(543)이 위치하여, 상기 서포트 프레임(60)과 간봉(543)이 상기 전면 패널(541)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어퍼 캡데코(56)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와 상기 도어 라이너(58) 상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캡데코(56)의 일단에는 상기 서브 어퍼 힌지 장착부(501)가 형성되며, 상기 서브 어퍼 힌지 장착부(501)에는 상기 어퍼 힌지(401)의 힌지축(523)이 삽입되는 어퍼 보스(501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캡데코(57)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와 상기 도어 라이너(58) 하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캡데코(57)에는 상기 서브 로어 힌지(52)가 장착되는 위치에 힌지 플레이트(571)가 장착되며, 상기 힌지 플레이트(571)에는 상기 서브 로어 힌지(52)의 힌지축(523)이 삽입되는 로어 보스(57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58)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배치되는 영역에 라이너 개구(58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둘레에는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라이너 홈(582)이 상기 라이너 개구(581)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너 홈(582)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와 상기 메인 도어(40)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서브 가스켓(591)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일측에는 상기 록킹유닛(232)이 장착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감지장치(82)와 도어 개방 보조장치(588)가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의 배면에는 상기 패널 장착구(55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고정하기 위한 서포트 프레임(60)이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60)은 어퍼 프레임(61)과 로어 프레임(63) 그리고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62)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사용자가 상기 수납 케이스(41)의 내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의사가 입력되면 투명하게 가변되어 상기 개구부(403)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별도의 외부입력이 없을때는 상기 개구부(403)의 내부가 외부에 투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납 케이스(41)의 내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의사를 사용자가 서브도어(40)를 노크하는 등의 외부입력을 감지하는 것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노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의사를 감지하는 것을 일 실시예일 뿐, 사용자가 상기 서브 도어(50)를 압박하거나,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통해 감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일실시예의 냉장고(1)는 상기 사용자의 적극적인 의사를 반영하는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장치(8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크를 통해 사용자의 상기 의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감지장치(82)는 사용자가 서브도어(40)를 노크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감지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하부에는 상기 감지장치(82)가 삽입될 수 있는 센서 개구(584)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 개구(584)는 상기 감지장치(82)를 외측에서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하부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배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감지장치(82)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케이스(58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케이스(587)에는 감지장치(82)의 전단이 삽입되는 감지장치 삽입부(587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장치 삽입부(5872)의 전면은 삽입부 홀(5873)이 개구되어 내측에 삽입된 상기 감지장치(82)는 그 전면이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 라이너(58)에는 상기 감지장치(82)의 노크 감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감지장치 피시비(83)가 장착되는 상기 인서트 커버(58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인서트 커버(585)는 상기 센서 개구(584)를 차폐하는 커버부(5851)와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가 장착된 피시비 삽입부(58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는 사용자가 패널 어셈블리(54) 전면을 복수 회 두드리는 것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 회 두드리는 것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82)는 상기 인서트 커버(585)에 삽입되어 노크 입력을 감지하는 마이크 모듈(8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은(821)는 음파의 직접적인 센싱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6은 본 발명 냉장고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나타낼 수 있는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냉장고(1)는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2)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자체 알고리즘에 따라 압축기 등을 구동하여 냉장고의 냉매사이클(C)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도어 스위치(21)와 연결되어 상기 서브도어 (50)의 개방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21)는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20) 또는 메인 도어(40)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조명부(49)과 연결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시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납 케이스(41)를 확인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의사의 입력시 상기 조명부(49)가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감지장치(82)와 연결된 상기 감지 장치 피시비(83)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디스플레이부(D)에 연결되어 냉장고의 상태 또는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거나, 상기 냉장고의 작동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외부의 조도, 습도, 온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센서부(S)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센서부(S)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냉동사이클(C)를 구동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냉장고에 구비되어 전기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감지장치(82)의 입력에 따라 상기 패널 어셈블리(40)의 투시여부를 결정하는 구동부(91)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91)는 후술한다.
도7은 상기 메인 제어부(2)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투시가능하게 구비되거나, 투시가 차단되는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7(a)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는 별도의 조작이 없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불투명한 상태로 거울면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고내의 투시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감지장치(82)는 활성화된 상태로 언제든지 사용자의 조작 입력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고내의 식품 저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냉장고의 전방에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즉, 상기 전면 패널(541)을 두드리게 되는 노크 온 조작을 하게 되면 상기 감지장치(82)에서는 이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는 노크 온 조작이 유효 조작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541)을 두드리게 되면 이때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파장이 동일 매질인 상기 전면 패널(541)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전면 패널(541)과 밀착된 마이크(8211)에서 음파를 수신하게 된다.
수신된 음파는 상기 필터와 증폭기를 지나면서 필터링 및 증폭되어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로 전달되며,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노크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수집 분석된 신호로 노크를 판단하게 된다.
즉, 고내 또는 고외측의 소음이나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의 경우 노크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와 그 특성에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노크 신호의 특성에 해당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노크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물론, 특정한 상황에서 노크 신호와 유사한 신호가 발생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조작 미숙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541)에 노크와 유사한 충격이 발생될 수도 있고, 외부 소음이 노크 신호의 파장과 유사한 신호로 인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특수 상황에서의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상기 노크 신호가 설정된 패턴에 의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지를 확인하고, 이러한 패턴이 설정시간 내에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유효한 노크 온 신호로 감지되기 위해서는 노크로 인식되는 신호가 1초 이내에 두번 발생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통상 일반적인 사용자의 노크 패턴을 분석하여 본 결과 연속 2회 노크를 실시하고 그 시간 간격은 1초 이내에 해당하므로 이와 같이 설정할 경우 특수 상황에서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노크 조작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유효 노크 온 신호로 판단되기 위한 노크 신호의 횟수와 설정시간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상기 감지장치(82)를 통해 유효 노크 온 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별도의 제어 동작을 실시하지 않고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감지장치(82)가 비활성화 되도록 하거나, 입력되는 신호를 무시하도록 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유효 노크 온 신호가 감지되어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 상기 메인 제어부(2)로 유효 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조명부(49)을 온 시키게 된다.
도7(b)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부(49)이 켜지게 되면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이 밝아지게 되고, 상기 고내측의 빛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통과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전면 패널(541)을 통과하게 되면서 상기 전면 패널(541)은 투명하게 되어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하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메인 도어(40) 내부의 수납공간 또는 고내 공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식품을 수납하기 위해 서브 도어(50)를 개방하거나 필요한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점등된 상기 조명부(49)은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0초 동안 점등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충분히 고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49)이 온 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설정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조명부(49)을 오프 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49)이 온 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유효 노크 온 조작 신호가 입력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고내를 확인하기 위해 노크 온 조작을 하여 고내를 확인한 후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설정시간이 지나기 전에 상기 조명부(49)을 오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명부(49)이 온 된 후 5초 이내에 사용자가 고내의 수납상태를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불투명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자 한다면, 다시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즉 상기 전면 패널(541)을 노크 조작하게 된다.
이때의 노크 조작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명부(49)은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오프 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49)이 온 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 되거나 유효 노크 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조명부(49)은 오프될 수 있다.
다시 도 7(a)와 같이, 상기 조명부(49)이 오프되면 고내측은 어두워지게 되고, 고 외측이 밝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고외측의 빛이 전면 패널(541)에서 반사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은 거울과 같은 상태로 내부의 투시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새로운 조작이 입력될 때까지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조명부(49)에서 발광한 빛을 통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투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 일실시예의 냉장고(1)는 상기 조명부(49)가 발광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의사가 반영되어도 상기 수납 케이스(41)가 외부에 투시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일실시예의 냉장고(1)는 상기 조명부(49)가 발광해야만 상기 패널 어셈블리(41)가 투시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조명부(49)를 점등하고 소등하는 것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상기 조명부(49)에서 조사된 빛이나 발생된 열로 인해 수납 케이스(41) 내부의 음식물이 손상될 수 있는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냉장고(1)는 상기 조명부(49)의 제어 없이도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선택적으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 서브 도어(50)에 구비된 패널 어셈블리(54)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선택적으로 빛을 완전히 차단하거나 투과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차단부(90)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냉장고(1)는 상기 서브 도어(50)에 구비되어 메인 도어(40)의 상기 개구부(403)에서 상기 외부로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차단부(90)와, 상기 감지장치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빛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차단부(90)의 위치를 가변시키거나 회전시키는 구동부(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90)가 빛을 통과할 때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통해 빛이 자유롭게 투과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수납케이스(41)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차단부(90)가 빛을 차단할 때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완전히 불투명한 것과 같은 효과가 도출되어 상기 수납 케이스(41)를 외부에서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완전히 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례로 단열이 가능한 GLASS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별도의 색조 처리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부(90)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통상적으로 단열을 위해 2중, 3중 또는 그 이상의 투명패널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고, 그 내부는 진공으로 구비되거나 열전도율이 낮은 비활성 기체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배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91)는 상기 메인 제어부(2)가 감지장치(82)에서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차단부(90)의 위치를 가변시키거나 회전시켜 상기 차단부(90)에서 통과되는 빛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상기 차단부(90)에서 통과되는 빛을 완전히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차단부(90)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 차단부(90)와 구동부(9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차단부(90)는 상기 개구부(403) 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배면에 구비되어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편광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부(92)는 제1방향의 빛만 통과시키는 제1편광부(921)와, 상기 제1편광부(921)의 배면에 구비되어 제1방향과 수직인 빛만 통과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편광부(9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편광부(921)에는 제1방향의 파장을 보유하는 빛만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의 제1패턴(921a)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편광판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편광부(922)는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의 파장을 보유하는 빛만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의 제2패턴(922a)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편광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방향은 상기 냉장고(1)의 전면을 기준으로 연직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제2방향은 수평방향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편광부(921)와 상기 제2편광부(922)가 서로 중첩되어 있을 때에는 빛이 통과하는 것이 대부분 차단되어 불투명하게 가변되고, 상기 수납 케이스(41)가 외부에서 투시되는 것이 차단된다. 반대로, 상기 제1편광부(921)와 상기 제2편광부(922) 중 어느 하나만 있을 때는 일방향의 빛은 통과될 수 있으므로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로 빛이 통과하여 상기 수납 케이스(41)가 외부에서 투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편광부(921)와 상기 제2편광부(922)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배면에서 중첩되거나 어느 하나만 존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편광부(921)와 상기 제2편광부(922)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91)는 상기 제1편광부(921)와 상기 제2편광부(922)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가변하여 상기 제1편광부(921)와 상기 제2편광부(922)를 선택적으로 중첩시키는 이동부(9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911)는 상기 제1편광부(921) 또는 상기 제2편광부(922)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개구부(403) 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배면으로 이동시키거나 제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911)는 상기 제1편광부(921)의 일측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편광부(922)가 감기어 수용 될 수 있는 수용부(923)과, 상기 수용부(923)에서 상기 제2편광부(922)의 일측에 결합되어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편광부를 이동시키는 회전축(911a), 상기 회전축(911a)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9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편광부(922)는 얇은 필름으로 구비되어 휘어지거나 펴지는 것이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며, 탄성력을 보유하여 휘어지더라도 외력이 없으면 편평하게 구비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923)는 상기 제2편광부(922)가 감기어 수용될 수 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일측에 상기 제2편광부(922)가 출입할 수 있는 슬릿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923)는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패널어셈블리(54)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911a)은 상기 수용부(923)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수용부(923)를 관통하여 상기 제2편광부(922)의 일측면과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회전모터(911)는 상기 회전축(911a)을 회전시켜 상기 제2편광부(922)를 감아 수용하거나 풀어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923)의 슬릿의 상단과 하단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제2편광부(922)의 상면과 하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2편광부(922)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9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94)는 상기 제2편광부(922)가 최대로 인출되었을때의 너비와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되는 막대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제2편광부(922)가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는 안내홈(94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911)가 구동하여 상기 회전축(911a)이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편광부(922)는 일정한 위치 및 방향으로 상기 수용부(923)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편광부(922)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편광부(921)의 배면에 위치하거나 사라지게 됨으로써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투시도,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빛의 차단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8(a)와 같이, 상기 제2편광부(922)가 I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용부(923)에 수용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배면에서 제거되면, 빛은 A방향으로 직진할 수 있다.
또한, 도8(b)와 같이, 상기 편광부(922)가 II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용부(923)에서 인출되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편광부(921)와 중첩된다. 따라서, A방향으로 직진하는 빛은 제2편광부(922에서 최종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패널어셈블리(54)는 불투명하게 보일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 차단부(9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9(a)를 참조하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빛의 투과를 허용하여 상기 수납케이스(41)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도9(b)를 참조하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에 블라인드가 생성된 것처럼, 개구부(403) 및 패널 연통구(501)로 빛이 투과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불투명하게 변화되는 효과가 발생하여 상기 수납 케이스(31)가 외부에서 확인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10을 참조하여, 상기 차단부(90)가 블라인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선택적으로 투시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차단부(90)는 상기 개구부(403) 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403)를 차폐할 수 있는 복수의 블라인드(9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블라인드 (933)는 GLASS 재질로 구비되거나, 플라스틱, 금속판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빛을 통과시키지 않는 물질이면 어떤 물질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복수의 블라인드 (933)의 간격이 작고 조밀하게 구비될수록 상기 개구부(403)의 투시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블라인드는 간격이 넓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블라인드(933)의 높이는 상기 개구부(403)의 높이와 대응되거나 더 길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블라인드(933)의 너비의 합은 상기 개구부(403)의 너비와 대응되거나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블라인드(933)는 각각 상기 개구부(403)의 너비를 N등분한 너비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403)와 나란하게 구비될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403)를 전부 차폐할 수 있도록 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구동부(91)는 상기 복수의 블라인드의 상단 또는 하단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블라인드를 회전시켜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거나 개방하는 동력모터(9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91)는 상기 복수의 블라인드(933)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어느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블라인드(933)를 회전시키는 블라인드축(932)과, 상기 블라인드 축(932)의 말단이 수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블라인드바디(931)와, 상기 블라인드바디(931)에 매설되어 상기 블라인드 축(932)의 외주면과 상기 동력모터(912)의 외주면을 서로 연결하는 밸트(912a)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모터(912)는 상기 밸트(912a)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블라인드축(93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모터(91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밸트(912a)를 III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블라인드(933)은 IV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403)가 외부에서 보이는 것이 차단될 수 있고, 상기 동력모터(912)가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밸트(912a)를 V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블라인드(933)는 상기 개구부(403)를 외부에서 보이도록 회전하여 개방할 수 있다.
도11은 상기 차단부(9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차단부(90)는 매질이 다른 것을 통과할 때 빛이 굴절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차단부(90)는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는 제1굴절부(941)와, 상기 제1굴절부(941)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2굴절부(9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굴절부(941)와 상기 제2굴절부(942)는 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일례로 일반 유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일례로 아크릴과 같은 합성 수지나 셀로판지 등과 같이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굴절부(941)는 전면은 평평하게 구비되나, 배면에는 요철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요철부(941a)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굴절부(942)는 전면이 상기 제1굴절부의 상기 요철형상과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제2요철부(942a)로 구비되고, 배면은 평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요철부(941a)는 다양한 각도를 가진 기둥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들어 삼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요철부(942a)는 상기 제1요철부(941a)와 정확히 맞물릴 수 있는 다양한 각도를 가진 기둥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11(a)와 같이, 상기 제1굴절부(941)와 상기 제2굴절부(942)가 서로 접촉하여 상기 제1요철부(941a)와 상기 제2요철부(942a)가 맞물리게 되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투과하는 빛은 A방향으로 상기 차단부(90)를 그대로 통과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통해 상기 수납케이스(41)가 외부에서 투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11(b)와 같이, 상기 제1굴절부(941)와 상기 제2굴절부(942)가 서로 이격되면, 상기 제1요철부(941a)의 제1표면(941b)과 상기 제2요철부(942a)의 제2표면(942b)는 공기 중에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1표면(941b)과 상기 제2표면(942b)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매질이 달라지게 되며, 상기 제1표면(941b)과 상기 제2표면(942b)을 통과하는 빛은 상기 제1표면(941b)과 상기 제2표면(942b)에서 굴절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투과한 빛이 A방향으로 투입되더라도 상기 상기 제1표면(941b)과 상기 제2표면(942b)에서 복수회 굴절되어 반대 방향인 B방향으로 다시 토출되거나, 상기 제1표면(941b)과 상기 제2표면(942b) 사이의 임의의 방향으로 굴절되어 상기 제2굴절부(942)를 통과하지 못한다.
이로써, 상기 패널어셈블리(54)를 통과한 빛이나, 상기 개구부(403)에서 토출된 빛은 상기 제1굴절부(941)와 상기 제2굴절부(942)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불투명하게 보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차단부(90)는 상기 제1굴절부(941)와 상기 제2굴절부(942)가 서로 붙어 있으면 빛의 통과를 허용하나, 상기 제1굴절부(941)와 상기 제2굴절부(942)가 서로 이격되면 빛의 통과를 차단하여 상기 개구부(403)를 선택적으로 투시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굴절부(941)의 전면이나, 상기 제2굴절부(942)의 배면은 연마재를 써서 작은 요철부를 만들거나, 규산염 유리를 잘 부식시키는 분말 불화수소산 등으로 처리하여 빛의 분산이나 반사도가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굴절부(941)나 상기 제2굴절부(942)가 떨어져 있을 때에는 상기 제1굴절부(941)의 전면이나 상기 제2굴절부(942)의 배면이 불투명하게 보이는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제1굴절부(941)와 상기 제2굴절부(942)가 완전히 접촉되어 내부에 빛이 굴절하는 것이 방지되면, 상기 제1굴절부(941)와 상기 제2굴절부(942)를 통과하는 빛의 양과 세기가 강해지게 되어 상기 차단부(9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통해 상기 수납케이스(41)가 외부에 투시될 수 있다.
상기 제1굴절부(941)와 상기 제2굴절부(942)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본 발명 구동부(91)는 상기 제2굴절부(942)를 상기 제1굴절부(941)의 배면에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는 위치변경부(9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변경부(913)는 상기 제2굴절부(942)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이동모터와, 상기 이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이동축(913a), 상기 이동축(913a)의 말단에 구비되는 피니언(913b)와, 상기 피니언(913b)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랙(91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913b)과 상기 랙(913c)은 복수의 기어이를 구비하고, 상기 랙(913c)상기 서브 도어(40) 내부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피니언(913b)은 상기 랙(913c)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굴절부(942)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굴절부(941)와 접촉하게 하거나 이겨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굴절부(941)은 형상이 달라지지 않는 강체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제2굴절부(942)는 상기 제1굴절부(941)의 배면의 제1요철부(941a)의 요철 형상과 맞물릴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요철부를 상기 제2굴절부(942)가 전면에 상기 제1굴절부(941)의 요철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위치변경부(913)에 의해 상기 제1굴절부(941)와 압축되어 상기 제1굴절부(941)와의 간극이 제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변경부(913)가 상기 제2굴절부(942)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굴절부(942)가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이는 일실예일 뿐, 상기 위치변경부(913)는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1굴절부(94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굴절부(941)가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12는 상기 차단부(90)의 마지막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차단부(90)는 상기 개구부(403)의 배면 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배면에 구비되어 제1방향의 빛만 통과시키는 제1패턴(95a)과, 상기 제1방향에 수직된 빛만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제2패턴(95b)이 교대로 구비되는 제1판(951)과,
상기 제1판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패턴(95a)과 상기 제2패턴(95b)이 동일하게 구비되는 제2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부(90)는 제1패턴(95a)만 구비되어 있는 상기 제1편광부(921)와 제2패턴(95b)만 구비되어 있는 상기 제2편광부(922)와 달리, 제1판(951) 및 제2판(952)각각에 모두 상기 제1패턴(95a)과 상기 제2패턴(95b)이 교대로 구비되어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로써, 도12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판에 구비된 상기 제1패턴(95a)과 상기 제2판에 구비된 제1패턴(95a)이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중첩되어 있으면 빛은 A방향과 B방향으로 상기 차단부(90)를 통과할 수 있다.
반대로, 도12 (b)를 참조하면,상기 제1판에 구비된 제1패턴(95a)과 상기 제2판에 구비된 제2패턴(95b)가 서로 중첩되어 있으면 A방향과 B방향의 빛은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패턴(95a)과 상기 제2패턴(95b)의 중첩정도에 따라 투시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도 있다.
상기 제1판(951)과 상기 제2판(952)에 상기 제1패턴(95a)과 상기 제2패턴(95b)이 구비된 간격은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패턴(95a)과 상기 제2패턴(95b)의 너비도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판(951)과 상기 제2판(95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패턴의 간격만큼 측면으로 이동하여, 빛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91)는 상기 제1판(951) 또는 상기 제2판(952)을 상기 개구부(403)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복원시키는 복원부(9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원부(914)는 상기 제1판(951) 또는 제2판(952)를 상기 제1패턴(95a) 또는 상기 제2패턴(95b) 간격 만큼 이동시키거나 복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914)는 상기 제2판(95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판(952)을 제1패턴(95a)의 간격만큼 이동시키는 푸시부(914a)와, 상기 제2판(952)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판(952)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유닛(914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부(914a)는 솔레노이트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메인 제어부(2)의 입력신호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푸쉬돌기(91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제어부(2)의 입력이 있을 때에는 상기 푸쉬돌기(941b)는 상기 푸시부(914a)를 에서 밀어진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상기 제어부(2)의 입력이 없을 때에는 당겨진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유닛(914c)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외력이 없을 때에는 인장되어 있다가, 외력이 가해지면 압축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판(951)과 제2판(952)은 제1패턴(95a)과 제2패턴(95b)이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평시에는 서로 제1패턴(95a)과 제2패턴(95b)이 엇갈리게 구비되어 빛을 차단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도어(50)는 배면에 상기 제2판(952)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5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0a)는 상기 메인도어(50)의 내측 상기 메인도어(50)의 일측에는 상기 푸쉬부(914a)가 설치될 수 있고 타측에는 상기 탄성유닛(914c)이 결합될 수 있다.
도13은 상기 차단부(90)와 상기 구동부(91)로 상기 서브도어(40)의 패널 어셈블리(54)가 선택적으로 투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상기 냉장고(1)는 별도의 조작이 없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불투명한 상태로 거울면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고내의 투시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감지장치(82)는 활성화된 상태로 언제든지 사용자의 조작 입력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S110]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고내의 식품 저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냉장고의 전방에서 상기 서브 도어(50)에 의사를 입력하면 (예를들어, 즉, 상기 전면 패널(541)을 두드리게 되는 노크 온 조작을 하게 되면) 상기 감지장치(82)에서는 이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는 상기 입력신호가 유효 조작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541)을 두드리게 되면 이때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파장이 동일 매질인 상기 전면 패널(541)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전면 패널(541)과 밀착된 마이크(8211)에서 음파를 수신하게 된다.
수신된 음파는 상기 필터와 증폭기를 지나면서 필터링 및 증폭되어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로 전달되며,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노크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수집 분석된 신호로 노크를 판단하게 된다.
즉, 고내 또는 고외측의 소음이나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의 경우 노크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와 그 특성에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노크 신호의 특성에 해당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노크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물론, 특정한 상황에서 노크 신호와 유사한 신호가 발생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조작 미숙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541)에 노크와 유사한 충격이 발생될 수도 있고, 외부 소음이 노크 신호의 파장과 유사한 신호로 인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특수 상황에서의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상기 노크 신호가 설정된 패턴에 의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지를 확인하고, 이러한 패턴이 설정시간 내에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유효한 노크 온 신호로 감지되기 위해서는 노크로 인식되는 신호가 1초 이내에 두번 발생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통상 일반적인 사용자의 노크 패턴을 분석하여 본 결과 연속 2회 노크를 실시하고 그 시간 간격은 1초 이내에 해당하므로 이와 같이 설정할 경우 특수 상황에서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노크 조작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유효 노크 온 신호로 판단되기 위한 노크 신호의 횟수와 설정시간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를 통해 유효 노크 온 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별도의 제어 동작을 실시하지 않고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감지장치(82)가 비활성화 되도록 하거나, 입력되는 신호를 무시하도록 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S120]
한편, 유효 노크 온 신호가 감지되어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 상기 메인 제어부(2)로 유효 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구동부(91)를 작동시켜 상기 차단부(90)가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차단부(90)가 개방되도록 한다는 것은 상기 차단부(90)가 빛을 통과하도록 위치변경, 회전 등이 수행된다는 의미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차단부(90)가 개방되면,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이 밝아지게 되고, 상기 고내측의 빛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통과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전면 패널(541)을 통과하게 되면서 상기 전면 패널(541)은 투명하게 되어 도 14에서와 같이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하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메인 도어(40) 내부의 수납공간 또는 고내 공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식품을 수납하기 위해 서브 도어(50)를 개방하거나 필요한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S130]
개방된 상기 차단부(90)는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0초 동안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충분히 고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S140]
한편, 상기 차단부(90)가 개방된 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유효 노크 온 조작 신호가 재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차단부(90)가 개방 된 후 5초 이내에 사용자가 고내의 수납상태를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불투명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자 한다면, 다시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즉 상기 전면 패널(541)을 노크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의 노크 조작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단부(90)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차단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이때의 노크 조작의 유효성 판단은 [S120]에서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다른 노크 입력 패턴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S150]
한편, 메인 제어부(2)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설정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차단부(90)를 차단하도록 구동부(91)를 제어한다.
상기 차단부(90)가 개방 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 되거나 유효 노크 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90)는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90)가 차단되면 고내측은 어두워지게 되고, 고 외측이 밝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고외측의 빛이 전면 패널(541)에서 반사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은 거울과 같은 상태로 내부의 투시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새로운 조작이 입력될 때까지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S160]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냉장고 2 메인 제어부
10 캐비닛 `` 20 냉장고 도어 30 냉동실 도어
40 메인 도어 49 조명부
50 서브 도어 51 서브 어퍼 힌지 53 서브 힌지 커버(53),
54 패널 어셈블리
90 차단부 91 구동장치 911 이동부
912 구동부 913 위치변경부 914 복원부
914a 푸쉬부 914b 푸쉬돌기 914c 탄성유닛
92 편광부 93 블라인드 94 굴절부 95 판형부재

Claims (11)

  1.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된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장치;
    상기 감지장치의 입력이 감지되면,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개구부의 내부에서 상기 외부로 조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도록 상기 서브도어에 구비되는 차단부;
    상기 감지장치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차단부의 위치를 가변하거나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의 위치가 가변되거나 회전된 후에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차단부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후방에 구비되되 전면은 평평하게 구비되고 배면은 요철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굴절부와, 상기 제1굴절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전면이 상기 제1굴절부의 상기 요철형상과 맞물리도록 구비되고 배면은 평평하게 구비되는 제2굴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굴절부를 상기 제1굴절부의 배면에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는 위치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굴절부의 전면은 상기 제1굴절부의 배면의 요철형상과 대응되는 요철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굴절부는 강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2굴절부는 상기 제1굴절부의 배면의 요철형상과 맞물릴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63702A 2018-06-01 2018-06-01 냉장고 KR102126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02A KR102126864B1 (ko) 2018-06-01 2018-06-0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02A KR102126864B1 (ko) 2018-06-01 2018-06-0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474A KR20190137474A (ko) 2019-12-11
KR102126864B1 true KR102126864B1 (ko) 2020-06-25

Family

ID=6900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702A KR102126864B1 (ko) 2018-06-01 2018-06-0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86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080A (ko) * 2012-03-30 2013-10-10 (주)엘지하우시스 편광 필름을 이용한 복층 유리 내장형 블라인드 장치
KR20170072426A (ko) * 2015-12-16 2017-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12462B1 (ko) * 2018-05-11 201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474A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564B1 (ko) 냉장고
KR102597666B1 (ko) 냉장고
KR20240072973A (ko) 가전기기 및 냉장고
KR102012462B1 (ko) 냉장고
KR102266800B1 (ko) 냉장고
KR102126864B1 (ko) 냉장고
KR102157878B1 (ko) 냉장고
KR102071664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87339B1 (ko) 냉장고
KR102167549B1 (ko) 냉장고
KR102206063B1 (ko) 냉장고
KR102150075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96932B1 (ko) 냉장고
KR102327579B1 (ko) 냉장고
KR102259771B1 (ko) 냉장고
KR102150066B1 (ko) 냉장고 및 제어 방법
KR20240051576A (ko) 냉장고
KR102087685B1 (ko) 냉장고
KR102126086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678738B1 (ko) 냉장고
KR20240099510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