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650B1 - 냉장고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650B1
KR102071650B1 KR1020180063259A KR20180063259A KR102071650B1 KR 102071650 B1 KR102071650 B1 KR 102071650B1 KR 1020180063259 A KR1020180063259 A KR 1020180063259A KR 20180063259 A KR20180063259 A KR 20180063259A KR 102071650 B1 KR102071650 B1 KR 102071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mera
user
storage spac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271A (ko
Inventor
김상오
윤준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3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65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7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06K9/00221
    • G06K9/00362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1Emotion or mood input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nsed human body parameters such as pulse, heart rate or beat, temperature of skin, facial expressions, iris, voice pitch, brain activity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된 서브 도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광원; 상기 서브 도어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된 영상에 대응되는 경우에 설정된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제어 방법{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는 냉장고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상기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도어와 함께 보조 도어 또는 홈바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는 별도의 수납공간이 제공되며 보조 도어 또는 홈바 도어만을 개방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접근할 수 있는 형태의 냉장고들도 볼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에서 도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도어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는 경우에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하는 물리적 충격은 다양하기 때문에 사용자 의도와는 달리 내부가 투시되거나, 사용자 의도와는 달리 내부가 투시되지 않는 인식 오류에 관련된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선행문헌으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2535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5971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7326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은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해서 인식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목적은 도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도어에 물리적으로 충격을 가하거나 도어에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더라도, 도어의 일부를 투명하게 변화시켜서 저장 공간에 저장된 식품을 확인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의 상측에 카메라가 장착되고,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전면에서 일정거리에 근접한 경우, 카메라를 동작하여, 사용자가 설정시간 이내 특정동작이 2회이상일 경우는 내부 식품 확인을 요청하는 의지로 판단하여 고내조명을 켜서 식품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명령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에 의해서, 사용자의 얼굴, 몸통, 발 등을 촬영해서 저장된 영상과 비교해서 사용자가 의도한 명령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의도한 명령을 수행한 경우에도, 추가적으로 카메라에서 영상을 촬영해서, 지속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명령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된 서브 도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광원; 상기 서브 도어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된 영상에 대응되는 경우에 설정된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고, 전방에서 상기 저장 공간을 투시할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된 도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광원; 상기 도어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사용자가 특정 거리까지 근접했는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및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근접 센서에서 사용자가 접근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켜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된 영상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광원을 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고, 전방에서 상기 저장 공간을 투시할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된 도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광원; 상기 도어에서 상기 도어를 좌우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등분선 보다 상기 도어의 좌측면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제1근접 센서; 상기 도어에서, 상기 이등분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등분선 보다 상기 도어의 우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2근접 센서; 및 상기 두 개의 근접 센서에서 모두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광원을 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인식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줄어들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 도어에 접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어의 청결이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지문 등이 도어에 남지 않아서, 도어가 깨끗해질 수 있다.
또한 도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다양한 명령을 냉장고에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설명한 도면.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제어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등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도면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특정의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게 도시되거나 설명될 수 있다. 이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의 본 발명의 범주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냉장고의 서브 도어(50)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40)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슬라이딩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장실(12)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서랍식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인출입 될 수도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식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동실이 하방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하나의 공간을 한쌍의 도어가 회동되어 각각 개폐되는 프렌치 타입의 도어가 적용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2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우측(도 1에서 볼 때)의 냉장실 도어(20)는 이중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40)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개구부(403)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는 어퍼 힌지(401) 및 로어 힌지(40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2)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비롯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43)이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403)를 통해서 상기 메인 도어(40)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403)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둘레 일부를 제외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스켓(43)은 제1도어 바스켓(431)만 포함하여도 무방하나, 수납공간 확보를 위해 필요에 따라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 하측에 위치한 제2도어 바스켓(43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의 하측에 위치한 제3도어 바스켓(435)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403)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통해서 외부에서 상기 개구부(403)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중앙에는 유리와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된 패널 어셈블리(54)가 구비된다. 따라서,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투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씨스루 도어(Seethrough door)라 불릴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부(403)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에는 핸들(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23)은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서로 인접한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핸들(23)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23)은 상기 냉장실 도어(20)에 접촉하는 상부와 하부 보다, 중앙 부위가 상기 냉장실 도어(20)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핸들(23)은 아치 형상으로, 중앙이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조작 버튼(231)에 의해 동작되는 록킹유닛(2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록킹유닛(232)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메인 도어의 구속부재(404)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에는 광원(26)이 구비된다. 상기 광원(26)은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저장 공간 또는 상기 도어(40, 50)를 향해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광원(26)은 가시광선을 조사해서,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12) 내부에 저장된 식품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원은 상기 냉장실(12)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측벽 또는 바닥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의 블록도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빛을 조사하는 적외선 광원(510)이 구비된다. 상기 적외선 광원(510)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방을 향해서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방에 서 있는 상태에는 상기 적외선 광원(510)은 사용자를 향해서 적외선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적외선 광원(510)은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하나의 적외선 광원(510)에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방의 넓은 공간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14)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 스위치(14)는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600)에 전달할 수 있다.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는 타이머(15)가 구비되고, 경과된 시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60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14)에서 도어가 개방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광원(26)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600)에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으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불투명하게 되었다가, 전류를 인가하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투명하게 변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영상은 상기 제어부(600)에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600)에서는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영상을 판독해서, 사용자가 설정된 동작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동작을 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근접 센서(18)를 구비해서, 사용자가 냉장고의 근처, 즉 일정 거리 내에 접근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8)에서 사용자가 접근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600)에서는 상기 카메라(520)를 켤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18)에서 사용자가 접근한 것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사용자가 멀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카메라(520)를 끌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8)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의 근접 센서(18)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사용자가 접근한 것을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600)에 관련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이 냉장실 도어가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로 구분되는 형태 이외에도,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냉장실 도어가 하나의 도어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냉장고에는 상측의 좌우측에 두 개의 냉장실 도어(20)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하나의 냉동실 도어(30)가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상기 냉동실 도어(30)은 상측과 하측의 위치가 서로 바뀌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와 같이, 좌측과 우측에 각각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특정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내측을 볼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54)가 구비된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중앙 부위에 위치해서, 사용자가 저장 공간에 수납된 식품의 종류와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좌우 폭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상하 높이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520)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방을 촬영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카메라(520)는 상기 냉장고의 전방에 사용자가 위치했을 때에,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520)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좌우폭 방향으로 중앙에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폭이 2w라고 했을 때에, 상기 카메라(520)는 좌측단 및 우측단을 기준으로 1w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520)가 중앙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중앙에 위치했을 때에,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의 중앙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 모습의 왜곡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520)에서 좌우방향으로 넓게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카메라(520)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상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520)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상측 모서리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상단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520)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520)는 일반 성인의 높이에 유사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카메라(520)가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카메라(520)는 상기 카메라(520)가 설치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바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카메라(520)는 상기 카메라(520)가 설치된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바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520)는 하방을 향해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사용자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상기 적외선 광원(510)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적외선 광원(510) 없이 상기 카메라(520)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적외선 광원(510)이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520)는 적외선이 조사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적외선 광원(510)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520)에서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면 사용자의 홍채를 명확하게 인식해서, 홍채에 따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접근했을 때에,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영상을 비교해서, 홍채에 관련된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홍채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라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사용자의 영상에 따른 해당되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홍채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사용자가 등록된 영상에 대응되는 동작이나, 상태가 있더라도 해당 영상에 따른 명령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해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설명한다.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영상은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520)는 사용자의 얼굴, 몸통, 발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카메라(520)는 사용자의 얼굴, 몸통, 발 중에 어느 하나만을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600)에서 사용자의 얼굴, 몸통, 발 중에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는 정보를 관리하는 경우에는, 영상을 저장하는 용량이 줄어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영상을 비교할 때에, 공통되는 사항을 판단할 때에 비교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600)에서 빠르게 판단하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영상을 비교할 때에 특징이 되는 부분을 더 많이 찾아내서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대응되지 않은 영상임에도 동일하게 대응되는 영상으로 판단해서, 잘못된 명령이 수행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520)에서 사용자의 얼굴만 촬영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카메라(520)가 일반적인 성인의 얼굴 높이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600)에서는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얼굴 영상을 이용해서, 해당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관련된 명령을 냉장고에서 수행할 수 있다.
얼굴에는 눈, 코, 입, 귀, 눈썹 등의 다양한 특징이 존재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비교해서,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판단해서,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명령을 찾아내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깜빡거림 없이 수 초 동안 주시한다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투명도를 증가시켜서, 사용자가 도어를 열지 않더라도 저장 공간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광원(26)을 켜서, 외부에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통해 저장 공간을 볼 수 있도록 조도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520)에서 사용자의 몸통만 촬영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카메라(520)가 일반적인 성인의 몸통 높이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600)에서는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몸통 영상을 이용해서, 해당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관련된 명령을 냉장고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통에는 어깨의 폭과 허리의 폭 비 등을 통해서 사용자를 알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520)는 사용자의 전면을 촬영해서, 사용자의 인증은 물론 사용자가 행동하는 동작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된 몸통을 촬영한 영상과 비교해서 동일하거나 유사해서 대응된다고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600)는 동작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몸통이 상기 도어의 전방을 향해서 특정 시간 동안 유지된다는 특징이 발견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600)는 저장된 영상과 비교해서 동일한 영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설정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어를 향해서 몸통의 전면을 수 초동안 멈추고 있다면, 저장 공간 내부를 확인하고 싶어하는 의지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투명도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광원(26)을 켤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520)에서 사용자의 발만 촬영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카메라(520)가 바닥을 촬영하도록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600)에서는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발 영상을 이용해서, 해당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관련된 명령을 냉장고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발이 상기 도어의 전방을 향해서 특정 시간 동안 유지된다는 특징이 발견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600)는 저장된 영상과 비교해서 동일한 영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설정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어를 향해서 발의 전면을 수 초동안 멈추고 있다면, 저장 공간 내부를 확인하고 싶어하는 의지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투명도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광원(26)을 켤 수 있다.
사용자의 발의 전방은 발가락이 표현된 경우에는 발가락이 향하는 위치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양말을 신고 있는 경우에는 발가락의 모양이 드러나지 않는다. 사람의 발은 폭보다 길이가 길다. 따라서 폭과 길이의 길이를 비교해서, 길이의 방향을 찾아낸 후에, 길이의 방향이 발의 전방이라고 유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는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발의 전방이 향해 있는 방향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특정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하면 사용자가 냉장고의 전방에 위치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사용자의 눈동자가 정지한 것으로 판독되면, 사용자가 저장 공간의 내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600)는 사용자의 동작에서 찾아낸 특징이 기존에 저장된 조건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카메라(520)에선 사용자의 몸통, 얼굴 외곽, 발 등을 촬영해서 영상처리를 통해서, 사용자가 향하고 있는 방향을 판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에서 판독한 정보를 통해서, 사용자가 냉장고를 향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얼굴선의 움직임이 정지되거나, 눈동자가 정지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지속적으로 판단해서, 하나의 조건을 만족시키명 두 번째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두 번째 조건은 판단하지 않아서, 상기 제어부(600)의 처리 부하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화면을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600)에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화면을 표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한 행동을 한 경우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에서 다양한 문자 또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에는 저장 공간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어 바스켓이 복수 개가 높이를 달리해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에 표현된 화면에서 각각의 높이에 맞도록 문자 또는 아이콘이 표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해서,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설명한다.
냉장고에는 복수 개의 근접 센서가 구비되어서, 사용자가 냉장고의 전방에 서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도어의 좌측단에 설치되는 제1근접 센서(18a)와 도어의 우측단에 설치되는 제2근접 센서(18b)를 포함한다. 상기 제1근접 센서(18a)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에서 상기 냉장실 도어(20)를 좌우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등분선 보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좌측면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근접 센서(18b)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에서 상기 이등분선을 기준으로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우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근접 센서(18a)와 상기 제2근접 센서(18b)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는 설치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근접 센서(18a)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영역은 도어의 좌측단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부채꼴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근접 센서(18b)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영역은 도어의 우측단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부채꼴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중앙에 서있게 되면, 상기 제1근접 센서(18a)와 상기 제2근접 센서(18b)에서 모두 사용자가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1근접 센서(18a)에서 사용자가 근접한 것을 감지하고, 상기 제2근접 센서(18b)에서 사용자가 근접한 것을 감지하면, 사용자가 도어의 중앙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1근접 센서와 상기 제2근접 센서에서 모두 사용자를 감지하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투명하게 하거나 상기 광원(26)을 켤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의 중앙에 위치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저장 공간을 확인하고 싶어하는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근접 센서(18a)와 상기 제2근접 센서(18b)를 구비하더라도, 카메라(520)가 냉장고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1근접 센서와 상기 제2근접 센서 중에 어느 하나만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경우 상기 카메라(520)를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상기 제1근접 센서와 상기 제2근접 센서가 모두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경우에 한해서 상기 카메라(520)를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근접 센서는 사용자가 특정 거리 내에 접근했는지만을 감지할 수 있지만, 상기 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해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상기 근접 센서(18)에서 사용자가 일정 거리에 근접했는지를 감지한다. 상기 근접 센서(18)는 상기 카메라(520)나 상기 적외선 광원(510)와는 달리, 항상 작동되어서 사용자의 접근 또는 사용자가 멀어짐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근접 센서(18)는 냉장고의 전면 또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측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근접 센서(18)에서 사용자가 접근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근접 센서(18)는 상기 적외선 광원(510)과 상기 카메라(520)를 동작시킨다. 만약 상기 적외선 광원(510)이 구비되지 않은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520)만을 동작시킨다. 즉 상기 적외선 광원(510)과 상기 카메라(520)를 켜서, 상기 적외선 광원(510)은 빛을 조사하고, 상기 카메라(520)는 영상을 촬영하도록 동작시킨다(S10). 상기 카메라(520)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접근해서, 상기 적외선 광원(510)에서 조사된 빛에 간섭을 발생시키면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영상에 변화가 발생된다. 상기 적외선 광원(510)이 구비되지 않은 실시예에서도 사용자의 동작이나 위치가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다. 통상적인 카메라는 가시광선 영역 내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촬영된 사용자의 모션을 판독한다(S20). 즉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영상이 상기 제어부(600)에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600)는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모션을 판독한다(S20). 즉 촬영된 영상이 특정 모션과 유사하거나 동일한지를 판단한다(S30). 유사여부나 동일여부는 사용자의 동작에서 두드러지는 행위가 저장되어 있는 모션과 일치하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도어를 바라고 있는 시간이 특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를 판단한다. 특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방향이 정지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도어를 계속 주시한다는 특징이 발견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해당되는 명령을 냉장고에서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행위가 모션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600)는 설정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S40).
사용자가 저장 공간 내부를 확인하고 싶다는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광원(26)을 동작시켜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방에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통해서 상기 저장 공간이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원(26)은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꺼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광원(26)이 켜진 후에 경과 시간을 측정하고,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광원(26)의 구동을 중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카메라(520)에서 지속적으로 촬영하다가 사용자의 특정한 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광원(26)의 구동을 중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장고를 바라보지 않고, 몸통을 회전시키거나 얼굴을 냉장고 도어의 바깥 쪽으로 회전하면 사용자가 저장 공간 내부를 충분히 본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영상이 관련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광원(26)을 끄고, 외부에서 저장 공간이 더 이상 안보이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투명도가 증가되도록 변화시켜서, 사용자가 상기 저장 공간을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에 전류를 인가한다거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냉장고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된 모션은 좌우 이동 또는 상하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좌우로 이동하거나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을 이용해서 다양한 형태의 도형을 그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눈동자를 정지하고 있어서, 특정 부위를 바라보고 있는 동작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타이머(15)에서 시간 경과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600)에서는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영상의 순서를 파악하거나, 영상 내에서 변화하는 사용자의 동작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행위가 냉장고 또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특정 행위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면, 두 개의 모션이 동일하다고 판단한다. 그에 따라서 냉장고의 저장 공간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저장 공간의 온도를 하강하는 등의 다양한 행위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패널 어셈블리에 다양한 화면을 제공해서, 사용자가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서 냉장고는 물론 냉장고와 관계없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에서 사용자가 하는 특정한 행위를 영상으로 촬영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해당 영상이 메모를 실행시키는 행위에 대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에서 사용자가 메모를 입력하거나, 저장된 메모를 불러오거나, 저장된 메모를 편집하는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캐비닛 20: 냉장실 도어
30: 메인 도어 50: 서브 도어
52: 제1돌출부 52: 제2돌출부
510: 적외선 광원 520: 카메라

Claims (17)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된 서브 도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광원;
    상기 서브 도어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사용자가 특정 거리까지 근접했는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및
    상기 메인 도어 및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근접 센서에서 사용자가 접근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켜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된 영상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광원을 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서브 도어의 좌측단에 설치되는 제1근접 센서와, 상기 서브 도어의 우측단에 설치되는 제2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서브 도어의 좌우폭 방향으로 중앙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서브 도어의 상측 모서리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상단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에 설치되는 적외선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적외선 광원에서 조사된 적외선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사용자의 눈동자가 설정 시간 동안 정지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사용자의 몸통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사용자의 발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사용자의 전면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광원을 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이 특정 영상에 대응되면, 상기 광원을 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고, 전방에서 상기 저장 공간을 투시할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된 도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광원;
    상기 도어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사용자가 특정 거리까지 근접했는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및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근접 센서에서 사용자가 접근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켜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된 영상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광원을 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7.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고, 전방에서 상기 저장 공간을 투시할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된 도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광원;
    상기 도어에서 상기 도어를 좌우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등분선 보다 상기 도어의 좌측면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제1근접 센서;
    상기 도어에서, 상기 이등분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등분선 보다 상기 도어의 우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2근접 센서; 및
    상기 두 개의 근접 센서에서 모두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광원을 온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80063259A 2018-06-01 2018-06-01 냉장고 및 제어 방법 KR102071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259A KR102071650B1 (ko) 2018-06-01 2018-06-01 냉장고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259A KR102071650B1 (ko) 2018-06-01 2018-06-01 냉장고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271A KR20190137271A (ko) 2019-12-11
KR102071650B1 true KR102071650B1 (ko) 2020-01-30

Family

ID=6900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259A KR102071650B1 (ko) 2018-06-01 2018-06-01 냉장고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6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925A (ko) 2020-10-06 2022-04-13 (주)엘엑스하우시스 스마트 주방 시스템
KR20220045924A (ko) 2020-10-06 2022-04-13 (주)엘엑스하우시스 스마트 주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771B1 (ko) * 2019-12-20 2021-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냉장고
KR102273192B1 (ko) * 2020-01-03 2021-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냉장고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93641B1 (ko) * 2020-06-15 2022-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의 제어 방법
KR20230053858A (ko) * 2021-10-15 202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326A (ko) * 2015-08-06 2017-02-1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를 이용하여 내부 영상을 제공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15971A (ko) * 2016-08-04 201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1892854B1 (ko) * 2017-04-11 2018-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925A (ko) 2020-10-06 2022-04-13 (주)엘엑스하우시스 스마트 주방 시스템
KR20220045924A (ko) 2020-10-06 2022-04-13 (주)엘엑스하우시스 스마트 주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271A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650B1 (ko) 냉장고 및 제어 방법
CN106796078A (zh) 冰箱和用于冰箱的控制方法
JP2017040422A (ja) 冷蔵庫
US11335010B2 (en) Methods for viewing and tracking stored items
WO2021212993A1 (zh) 制冷电器摄像头模块和用于防止镜头起雾的方法
JP2018013272A (ja) 冷蔵庫
KR10215240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08931A (ko) 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KR102152399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5326B1 (ko)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50066B1 (ko) 냉장고 및 제어 방법
KR102096959B1 (ko) 냉장고 및 제어 방법
JP7382550B2 (ja) 冷蔵庫
KR102495013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41785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11512896B2 (en)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 movable camera
US11678750B2 (en) Gesture operated refrigerated display case
JP7032026B2 (ja) 冷却貯蔵庫
KR102119000B1 (ko)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냉장고
KR102167542B1 (ko) 냉장고
US20230314063A1 (en) Refrigerator
KR102126864B1 (ko) 냉장고
KR102187339B1 (ko) 냉장고
US20230316695A1 (en) Refrigerator
KR20220030042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