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856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856A
KR20210060856A KR1020190148354A KR20190148354A KR20210060856A KR 20210060856 A KR20210060856 A KR 20210060856A KR 1020190148354 A KR1020190148354 A KR 1020190148354A KR 20190148354 A KR20190148354 A KR 20190148354A KR 20210060856 A KR20210060856 A KR 20210060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owner
refrigerator
external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8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0856A/ko
Priority to EP20889630.8A priority patent/EP4063770A4/en
Priority to PCT/KR2020/012837 priority patent/WO2021101056A1/ko
Priority to US17/777,587 priority patent/US20220412640A1/en
Publication of KR20210060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G06K9/0088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8Food, e.g. fruit or vegetab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공유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케이스 또는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개인을 인식하는 인증부; 상기 저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아이템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인식된 아이템과 상기 인증부를 통해 인식된 개인과의 사이에서 소유 관계를 매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이를 포함하는 공유 냉장고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공유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물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기 위한 장치로 가정이나 업소 등에 사용된다. 일반적인 냉장고의 경우에는 가족 구성원이나 업소 구성원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사용하는 공간, 일례로 사무실, 병원, 기숙사, 다중 숙소 또는 학교와 같은 공간(이하 "공용 공간"이라 한다)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냉장고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하나의 냉장고에 복수 개의 저장실이 구비되고 각각의 저장실마다 개별적으로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저장실마다 복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공유 냉장고의 경우에는 저장물(이하 '아이템"이라 한다)마다 소유자가 정해져 있으나, 아이템들이 소유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다른 소유자가 사용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저장물이 방치되는 경우 이를 폐기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소유자의 승인을 받지 못해서 폐기가 어려워 냉장고 사용이 불편한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 공유 냉장고 시스템 그리고 이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냉장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복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간에 신뢰성이 인정될 수 있는 냉장고, 공유 냉장고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아이템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는 냉장고, 공유 냉장고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아이템에 대한 소유자, 공유자, 처분 권한자를 용이하게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냉장고, 공유 냉장고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비권한자의 아이템 사용에 대한 알림 기능을 부여하여 비권한자의 아이템 사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공유 냉장고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케이스 또는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개인을 인식하는 인증부; 상기 저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아이템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인식된 아이템과 상기 인증부를 통해 인식된 개인과의 사이에서 소유 관계를 매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공유 냉장고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저장된 아이템의 변화를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닫힌 후 상기 저장실 내부를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이미지와 현재 이미지를 비교하여 아이템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템별로 소유자 및 사용자를 매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매칭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아이템 목록과 같은 매칭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된 아이템에 대한 소유자와 사용자의 불일치 시,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 불일치를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아이템의 소유자는 누구에 의해 자신의 아이템이 사용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한편, 해당 아이템의 무단 사용이 발생되는 경우, 냉장고는 누구에 의한 무단 사용임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는 해당 아이템의 누구의 아이템인지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무단 사용자 또한 냉장고의 인증 사용자일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는 무단 사용자의 외부 단말기로 무단 사용자의 해당 아이템 무단 사용 사실을 해당 아이템의 소유자에게 통지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일치 통지 시 해당 아이템과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 통지할 수 있고, 무단 사용자의 외부 단말기로도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아이템의 소유자 변경 또는 공유자 추가 정보를 수신하여, 아이템별로 소유자 또는 공유자를 재매칭할 수 있다. 즉, 아이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권한 요청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아이템에 대한 권한 요청 정보와 상기 아이템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권한 승인 정보를 수신하여, 아이템별로 소유자와 권한자를 재매칭할 수 있다. 즉, 아이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에는 아이템의 하중을 감지하기 위한 무게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센서에서 감지되는 무게 변화를 기반으로 아이템과 아이템의 하중을 매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게 센서는 아이템 내용물을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의 사용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증부를 통해 도어를 개폐하는 개인을 인식하는 인식단계; 저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아이템의 종류와 수량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실 내부를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하는 촬영단계;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인식된 아이템과 상기 인증부를 통해 인식된 개인과의 사이에서 소유 관계를 매칭하여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매칭단계; 그리고 상기 매칭정보와 상이한 불일치 발생 시, 아이템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 불일치를 통지하는 통지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매칭단계에서 기존의 매칭정보와 현재의 매칭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통지단계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칭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로 상기 매칭정보를 송신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에서 매칭 정보 내지는 아이템 목록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이템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아이템의 소유자 변경 또는 공유자 추가 정보를 수신하여, 아이템별로 소유자 또는 공유자를 재매칭하는 재매칭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소유자 등의 적극적은 의사를 반영하여 아이템 목록이 갱신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한 권한 요청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아이템에 대한 권한 요청 정보와 상기 아이템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권한 승인 정보를 수신하여, 아이템별로 소유자와 권한자를 재매칭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아이템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권한 승인 거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권한 승인 요청자의 외부 단말기로 권한 승인 거부를 통지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공유 냉장고와 상기 다수의 사용자 소유의 외부 단말기를 포함하는 공유 냉장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유 냉장고에서 아이템 인식과 사용자 인식을 통해, 아이템과 소유자가 매칭되어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매칭단계; 상기 매칭정보와 상이한 불일치 발생 시, 상기 공유 냉장고에서 아이템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 불일치를 통지하는 통지단계; 그리고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공유 냉장고로부터 불일치를 통지 받아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냉장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매칭정보를 상기 냉장고로 요청하고 상기 냉장고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매칭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단계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에서 아이템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아이템의 소유자 변경 또는 공유자 추가 정보를 수신하여, 아이템별로 소유자 또는 공유자를 재매칭하는 재매칭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에서 아이템에 대한 권한 요청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아이템에 대한 권한 요청 정보와 상기 아이템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권한 승인 정보를 수신하여, 아이템별로 소유자와 권한자를 재매칭하는 재매칭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아이템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권한 승인 거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권한 승인 요청자의 외부 단말기로 권한 승인 거부를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복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간에 신뢰성이 인정될 수 있는 냉장고, 공유 냉장고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아이템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는 냉장고, 공유 냉장고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아이템에 대한 소유자, 공유자, 처분 권한자를 용이하게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냉장고, 공유 냉장고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비권한자의 아이템 사용에 대한 알림 기능을 부여하여 비권한자의 아이템 사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공유 냉장고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사용자가 인증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저장실에 수용된 복수 개의 아이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장고의 저장실에서 특정 아이템이 사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이를 포함하는 공유 냉장고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며,
도 5는 아이템에 대한 매칭정보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6은 외부 단말기에서 아이템에 대한 매칭정보가 표시된 일례를 도시하고,
도 7은 외부 단말기에서 냉장고로부터 통지된 불일치 정보가 표시된 일례를 도시하고,
도 8은 냉장고의 제어 플로우를 도시하고,
도 9는 아이템에 대한 소유자 변경/공유자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플로우를 도시하고,
도 10은 아이템에 대한 사용 권한자 요청/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플로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다수의 이용자가 사용하는 공유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인 냉장고의 형태와 기능은 일반적인 냉장고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1),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104) 그리고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도어(102)가 하나의 저장실(104)과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102)의 배면에도 별도의 저장 공간(10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04)과 저장 공간(103)을 모두 하나의 도어(102)와 대응되는 저장실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장실 내부에는 각종 저장물 즉 아이템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아이템들은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카메라를 통해서 복수 개의 아이템들이 각각 구분되어 인식될 수 있다. 도 2에는 편의상 각 아이템들을 a 내지 f로 표시하였다.
아이템의 구분은 아이템마다 소유자를 매칭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냉장고는 특정 아이템이 누구의 아이템인지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기능과 아이템을 인식하기 위한 기능이 냉장고에 탑재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에서는 a 아이템이 사용되어 제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냉장고는 도 2에 도시된 저장실의 상태와 도 3에 도시된 저장실의 상태를 비교하여 어떠한 아이템이 새로 추가되었는지 또는 어떠한 아이템이 사용되어 제거되었는지를 인식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카메라 모듈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누구의 아이템이 추가되거나 사용되었는지 또한 인식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 인식센서가 구비될 필요가 있다.
도 1에는 사용자 인식을 위해 지문을 인식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즉,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의 일례로 지문센서가 사용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 인식을 위하여 지문센서뿐만 아니라 다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만약 지문이 사용되는 경우, 지문센서는 케이스의 전면이나 도어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에 구비되는 손잡이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례로, 카메라가 구비되어 냉장고의 전면에서 냉장고를 사용하는 개인을 촬영하여 개인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의 홍채를 인식하여 개인마다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개인 정보가 입력됨으로써 개인을 인식할 수 있다. 각 개인마다 고유의 ID 또는 패스워드를 가질 수 있고, 입력된 개인 정보를 토대로 냉장고는 어느 사용자가 냉장고를 사용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냉장고는 권한이 부여된 특정 사용자들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개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알림이 수행되거나 도어의 개방이 거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미도시된 도어 잠금 장치가 부가적으로 구비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 권한이 부여된 복수의 사용자들이 냉장고를 공유 사용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아이템마다 소유자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소유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가 다른 소유자의 아이템을 사용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었을 때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냉장고에 저장되는 아이템은 아이템 전체의 추가 및 전체의 제거뿐만 아니라 일부의 제거 또한 인식될 필요가 있다. 일례로, 병에 담긴 내용물은 병 전체가 제거되어 전체 아이템이 제거될 수 있지만, 내용물의 일부만 사용될 수도 있다. 물론, 카메라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통해서 아이템의 일부만 사용되는 것을 인식할 수 도 있지만, 일부의 경우에는 이미지를 통한 아이템의 일부 사용을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일례로, 종이팩이나 불투명 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일부분만 사용된 경우에는 이미지를 통해서 아이템의 일부 사용 여부를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게 센서가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공유 냉장고 시스템의 제어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냉장고(100)은 기본적으로 냉장고 기능을 수행하므로, 냉각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냉각유닛(120)은 제어부(110)의 제어를 통해서 구동될 수 있다. 냉각유닛(120)은 압축기, 증발기, 냉각팬 등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00)는 카메라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40)은 저장실 내를 촬영하여 아이템들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를 통해서 각각의 아이템이 어떠한 아이템인지 구분할 수 있다. 이미지를 통해서 아이템을 구분하는 기술은 많이 상용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140)은 하나의 저장실 내에서 저장실 영역 전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이를 구현할 수도 있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이를 구현할 수도 있다.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서 저장실 영역을 구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어떠한 영역에 어떠한 아이템이 위치하고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아이템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인식될 수 있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저장실 모습을 촬영한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여 a 아이템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가 닫히면 도 3에 도시된 저장실 모습을 촬영한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이미지와 신규 이미지를 비교하여 a 아이템이 제거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이미지가 도 3에 도시된 이미지인 경우, 사용자가 ehdjfmf 개방하여 a 아이템을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가 닫히면 도 2에 도시된 저장실 모습을 촬영한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이미지와 신규 이미지를 비교하여 a 아이템이 추가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인식 센서(130) 즉 인식부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 내지는 제어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식부(130)을 통해서 사용자를 인식하고 a 아이템이 추가됨을 카메라 모듈을 통해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a 아이템은 사용자 A의 소유임을 인식하여 a 아이템과 A 사용자를 소유자로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부(130)을 통해서 사용자를 인식하고 a 아이템이 제거됨을 카메라 모듈을 통햇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a 아이템은 사용자 A에 의해서 사용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A가 실제 소유자와 상이한 경우, 즉, 아이템과 소유자 사이의 매칭정보와 아이템과 사용자 사이의 매칭정보가 서로 불일치한 경우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일치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낟.
한편, 상기 냉장고는 통신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외부 단말기나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와이파이 모듈일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300)를 소유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300)에는 통신 모듈(1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외부 단말기(300)는 냉장고와 직접 통신하거나 서버(20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300)가 서버(200)와 직접 통신함으로써 상기 냉장고와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300)는 일반적인 스마트 폰일 수 있으며, 상기 외부 단말기에는 상기 냉장고의 원격제어, 모니터링, 원격진단 등 다양한 원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외부 단말기(300)의 제어부(330)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원격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300)에는 터치디스플레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320)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UI를 통해서 냉장고의 원격제어, 모니터링, 원격진단 등 다양한 원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단말기(300)를 통해서 냉장고 내에 저장된 아이템별 소유자의 매칭 정보, 아이템별 저장 정보(아이템의 이름, 아이템의 저장 위치, 아이템의 무게 정보, 아이템의 개수 정보 등)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냉장고는 이러한 정보들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외부 단말기에서 이러한 정보를 요청하면 냉장고는 외부 단말기로 이러한 정보들을 송신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더 나아가, 아이템별 사용 권한자의 정보을 파악할 수 있고, 공유자의 변경이나 사용 권한의 변경 등 다양한 원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 5는 냉장고에서 생성하는 아이템 정보의 데이터 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아이템 정보는 아이템 일련 번호, 아이템 이름, 아이템 개수, 아이템의 무게, 아이템의 저장 위치, 아이템의 소유자 그리고 아이템의 사용 권한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의 사용 권한자는 아이템의 소유자는 아니지만 해당 아이템의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 개인일 수 있다. 권한 부여의 요청 및 권한 부여에 대한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특정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도 5에 도시된 전체의 아이템 정보를 요청하여 이를 외부 단말기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물론, 전체의 아이템 정보 중 본인 소유의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만 요청하여 외부 단말기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또한, 본인에게 사용 권한이 있는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만 요청하여 외부 단말기에서 확인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아이템 정보 또는 매칭 정보를 통해서, 현재 냉장고 내에 b 아이템이 위치하고 있으며, b 아이템의 소유자는 A 그리고 b 아이템의 사용 권한자는 B임을 알 수 있다.
소유자는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자신 소유의 b 아이템의 사용 권한을 B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일례로, 외부 단말기는 아이템 권한 부여가 가능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소유자인 b 아이템에 대해서 새로원 권한자인 B에게 b 아이템의 사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해당 화면, 즉 소유자 A의 외부 단말기의 해당 화면에서 소유자 A는 권한 부여 부분을 터치함으로써 권한을 부여하고자 하는 다른 사용자 B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화면을 통해서 권한 부여가 수행되면, 냉장고는 이를 수신하여 최종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매칭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일례로, b 아이템에 대한 권한 부여가 공란이었던 것에서 B 사용자를 추가하여 아이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b 아이템에 대해서는 소유자 A 그리고 권한자 B 상태일 수 있으며, 소유자가 아니면서도 권한자도 아닌 C 사용자가 b 아이템을 무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C 사용자가 냉장고에서 b 아이템을 제거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냉장고는 인식부와 카메라 모듈을 통해서 C 사용자가 b 아이템을 사용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유자 또는 권한자는 b 아이템이 무단으로 사용되었음을 본인의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냉장고가 이러한 무단 사용 내용을 외부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7은 아이템의 사용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아이템의 추가 내지는 제거가 발생할 때마다 외부 단말기에서 이러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인이 본인 소유의 아이템을 사용하는 경우까지 일일이 이러한 화면을 확인하는 것은 불필요하고 무의미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권한이 없는 사용자의 무단 아이템 사용을 인식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도 7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될 필요가 있다.
b 아이템의 소유자 A 또는 권한자 B는 도 7에 도시된 화면을 통해서 아이템 b가 사용자 C에 의해서 제거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제거 일시 또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냉장고 및 공유 냉장고 시스템을 통해서 아이템의 무단 사용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무단 사용 시 무단 사용자와 무단 사용 일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복수의 사용자 모두가 신뢰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공유 냉장고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특정 아이템에 대한 소유자가 특정 아이템의 권한자를 능동적으로 부여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가 특정 아이템의 권한 부여를 소유자에게 능동적으로 요청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소유자의 특정 아이템이 장기간 방치되는 경우 그리고 특정 소유자가 특정 아이템을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냉장고의 관리자 내지는 다른 사용자는 변질이 우려되는 아이템을 냉장고에서 제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관리자 내지는 다른 사용자는 특정 소유자에게 특정 아이템의 처분 권한을 능동적으로 요청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플로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냉장고에 접근하여 도어를 개방하여 아이템을 투입하거나 꺼내려는 시도를 하게 된다(S10).
냉장고에서는 인식부를 통해서 해당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S20)하게 된다. 만약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접근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S30). 접근 불허용은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잠금을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도어의 개방을 허용(S40)하여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냉장고의 사용을 종료하는 것은 도어의 개방 후 아이템의 투입 또는 회수를 하고 다시 도어를 닫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를 닫으면 카메라 모듈에서는 저장실 내부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따라서, 사용 전 기생성된 이미지와 사용 후 신규 생성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아이템이 추가되었는지 여부(S50) 그리고 아이템이 제거되었는지 여부(S60)를 판단하게 된다.
아이템이 추가되지도 않고 제거되지도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냉장고에서는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게 된다(S70). 일례로 이러한 상황은 인증된 사용자가 단순히 도어를 개방한 후 도어를 닫은 상태일 수 있다.
아이템이 추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어떠한 아이템이 추가되었는지 인식(S80)하게 된다. 즉, 신규 이미지에서 새로 추가된 아이템에 대한 이미지를 추출하여 새로 추가된 아이템이 어떠한 아이템인지 인식하게 된다. 이미지와 아이템을 매칭하는 것은 인공지능이 활용될 수 있고, 아이템 이미지들과 아이템 사이의 데이터 베이스가 기구축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의 구축 및 확장은 서버를 통해서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냉장고에서는, 새로운 아이템이 추가되기 직전 냉장고 도어를 개방한 사용자를 소유자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아이템이 해당 소유자의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아이템과 소유자를 매칭하는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이를 추가하게 된다.
A 사용자의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인식하고, A 사용자가 도어를 닫은 후 a 아이템이 추가된 것으로 인식되면, 냉장고는 a 아이템이 A 사용자의 것임을 매칭하여 아이템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아이템의 소유자, 공유자 또는 처분 권한자가 아닌 비권한자의 아이템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 플로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이템이 추가되거나 제거됨을 인식할 수 있고, 어떠한 사용자가 아이템을 추가하였는지 또는 제거하였는지, 냉장고의 제어부는 이를 인식할 수 있다.
냉장고에서 현재의 아이템 정보에서 해당 아이템과 소유자의 목록을 조회할 수 있다. 즉, 사용자와 실소유자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S120)하게 된다. 록에서 소유자가 사용자가 일치하는 경우, 정상적인 냉장고의 사용이므로 냉장고에서는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물론, 해당 아이템이 제거되었다는 정보는 저장하게 될 것이다(S130).
반면에, 조회된 목록에서 소유자와 사용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유자에게 이러한 사실의 발생을 통지(S140)할 수 있다. 이러한 통지는 실 소유자뿐만 아니라 해당 아이템의 공유자 또는 처분 권한자에게도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아이템의 소유자, 공유자 또는 처분 권한자는 해당 아이템을 비권한자가 처분하였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권한자 또한 해당 냉장고의 사용 권한을 가진 자이다. 다만 해당 아이템의 처분 권한을 가지지 않은 자이다. 따라서, 상기 비권한자의 외부 단말기에도 비권한자에 의한 아이템 처분이 발생되어, 해당 아이템의 소유자, 공유자 또는 권한자에게 이러한 상황을 통지하였음을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비권한자는 자신의 비권한 사실을 해당 아이템의 소유자 등이 인식하게 됨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비권한자의 아이템 무단 사용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다수의 공유자가 서로 신뢰를 갖고 해당 냉장고를 공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특정 아이템의 소유 양도, 공유 설정 또는 처분 권한 양도 등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냉장고의 저장실 공간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과도한 아이템이 축적되는 것은 방지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냉장고에 저장된 아이템의 특성 상 장기간 보관으로 인해 부폐가 우려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절한 시긴에 해당 아이템을 제거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인 소유의 우유 등 신선 식품을 단기간에 섭취할 수 없는 경우, 실제 다른 사용자 소유의 아이템들을 다른 사용자를 대신해서 냉장고에 투입한 경우, 실제 소유자와 해당 아이템들을 정확하게 매칭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이템 정보 또는 매칭 정보를 용이하게 그리고 정상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현재 아이템 목록에서 본인 소유로 기록된 아이템의 소유권을 다른 사용자에게 양도하거나, 공유 지분을 부여하거나 또는 처분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제어 플로우(S200)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공유 냉장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아이템 양도와 관련된 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 플로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본인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서 냉장고에 접속(S210)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냉장고에 접속할 수 있다. 물론, 휴대 단말기와 냉장고 사이의 직접 통신에 의해 이러한 접속이 수행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에서 서버를 거쳐서 해당 냉장고에 접속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본인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서 본인 소유의 아이템 목록을 요청하고, 이를 수신할 수 있다(S220). 수신된 아이템 목론은 소유자 별, 아이템 별로 상세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UI를 통해서 이를 조회할 수 있다(S230).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서 본인 소유의 특정 아이템을 다른 사용자에게 양도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을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S240)하면, 냉장고는 이를 적용(S250)하게 된다. 일례로, A 사용자가 본인 소유의 a 아이템을 B에게 양도함을 휴대 단말기를 통해서 명령하면, 냉장고는 이를 수용하여 a 아이템의 소유자를 A에서 B로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아이템 정보 또는 매칭 정보를 업데이트한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아이템과 소유자(권한자, 공유자) 사이의 관계를 재매칭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아이템의 소유자에 의한 능동적인 아이템 처분 권한의 위임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가 다른 소유자 소유의 아이템에 대한 처분 권한을 요청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장기간 방지된 부폐 아이템에 대해서 해당 소유자는 간과하고 있으나, 냉장고의 관리자 또는 다른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여 부폐 아이템을 대신 제거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 10에서는 현재 아이템 목록에서 타인 소유로 기록된 아이템의 처분 권한을 본인에게 부여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제어 플로우(S230)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공유 냉장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아이템 처분 권한을 소유자 등에게 요청하는 플로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처분 권한을 위임받고자 하는 자는 본인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서 냉장고에 접속(S310)하고 아이템 목록을 조회(S320)하고, 처분 권한을 받고자 하는 아이템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조회(S330)할 수 있다. 이러한 플로우들은 도 9에 도시된 플로우와 동일 유사할 수 있다.
해당 아이템에 대한 처분 권한을 위임받고자 하는 자는, 아이템 정보 내에서 해당 아이템을 선택하여 해당 아이템에 대한 공유 요청 또는 처분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은 냉장고를 통해 해당 아이템의 소유자의 휴대 단말기로 송신될 수 있다(S350).
해당 아이템의 소유자는 휴대 단말기를 통해 해당 요청을 승인하거나 거부(S360)할 수 있다. 아이템에 대한 권한 승인을 하는 경우, 냉장고에서는 해당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물론, 업데이트되었다는 사항 또는 아이템에 대한 권한이 승인되었음을 권한 요청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아이템에 대한 권한 승인이 거부되는 경우, 냉장고는 이를 권한 요청자에게 알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냉장고를 공유 사용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여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 공유 냉장고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00 : 냉장고 101 : 케이스
102 : 도어 103 : 도어 저장실
104 : 저장실

Claims (20)

  1. 저장실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케이스 또는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개인을 인식하는 인증부;
    상기 저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아이템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인식된 아이템과 상기 인증부를 통해 인식된 개인과의 사이에서 소유 관계를 매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저장된 아이템의 변화를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닫힌 후 상기 저장실 내부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템별로 소유자 및 사용자를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된 아이템에 대한 소유자와 사용자의 불일치 시,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 불일치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일치 통지 시 해당 아이템과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아이템의 소유자 변경 또는 공유자 추가 정보를 수신하여, 아이템별로 소유자 또는 공유자를 재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권한 요청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아이템에 대한 권한 요청 정보와 상기 아이템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권한 승인 정보를 수신하여, 아이템별로 소유자와 권한자를 재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에는 아이템의 하중을 감지하기 위한 무게 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센서에서 감지되는 무게 변화를 기반으로 아이템과 아이템의 하중을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인증부를 통해 도어를 개폐하는 개인을 인식하는 인식단계;
    저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아이템의 종류와 수량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실 내부를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하는 촬영단계;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인식된 아이템과 상기 인증부를 통해 인식된 개인과의 사이에서 소유 관계를 매칭하여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매칭단계; 그리고
    상기 매칭정보와 상이한 불일치 발생 시, 아이템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 불일치를 통지하는 통지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단계에서 기존의 매칭정보와 현재의 매칭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통지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칭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로 상기 매칭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아이템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아이템의 소유자 변경 또는 공유자 추가 정보를 수신하여, 아이템별로 소유자 또는 공유자를 재매칭하는 재매칭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아이템에 대한 권한 요청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아이템에 대한 권한 요청 정보와 상기 아이템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권한 승인 정보를 수신하여, 아이템별로 소유자와 권한자를 재매칭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권한 승인 거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권한 승인 요청자의 외부 단말기로 권한 승인 거부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6.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공유 냉장고와 상기 다수의 사용자 소유의 외부 단말기를 포함하는 공유 냉장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유 냉장고에서 아이템 인식과 사용자 인식을 통해, 아이템과 소유자가 매칭되어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매칭단계;
    상기 매칭정보와 상이한 불일치 발생 시, 상기 공유 냉장고에서 아이템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 불일치를 통지하는 통지단계; 그리고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공유 냉장고로부터 불일치를 통지 받아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냉장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매칭정보를 상기 냉장고로 요청하고 상기 냉장고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매칭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냉장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에서 아이템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아이템의 소유자 변경 또는 공유자 추가 정보를 수신하여, 아이템별로 소유자 또는 공유자를 재매칭하는 재매칭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냉장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에서 아이템에 대한 권한 요청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아이템에 대한 권한 요청 정보와 상기 아이템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권한 승인 정보를 수신하여, 아이템별로 소유자와 권한자를 재매칭하는 재매칭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냉장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소유자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권한 승인 거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권한 승인 요청자의 외부 단말기로 권한 승인 거부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90148354A 2019-11-19 2019-11-19 냉장고 KR20210060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354A KR20210060856A (ko) 2019-11-19 2019-11-19 냉장고
EP20889630.8A EP4063770A4 (en) 2019-11-19 2020-09-23 REFRIGERATOR
PCT/KR2020/012837 WO2021101056A1 (ko) 2019-11-19 2020-09-23 냉장고
US17/777,587 US20220412640A1 (en) 2019-11-19 2020-09-23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354A KR20210060856A (ko) 2019-11-19 2019-11-19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856A true KR20210060856A (ko) 2021-05-27

Family

ID=7598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354A KR20210060856A (ko) 2019-11-19 2019-11-19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412640A1 (ko)
EP (1) EP4063770A4 (ko)
KR (1) KR20210060856A (ko)
WO (1) WO2021101056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9408B2 (ja) * 1997-05-21 2005-04-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保管庫
JP6139837B2 (ja) * 2012-09-25 2017-05-3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6298983B2 (ja) * 2013-09-27 2018-03-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在庫管理システム
DE102015210899A1 (de) * 2015-06-15 2016-12-15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aushaltsgeräts sowie entsprechendes Haushaltsgerät und System mit Haushaltsgerät
CN204757536U (zh) * 2015-06-30 2015-11-11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一种具有人脸识别功能的冰箱
KR102446635B1 (ko) * 2015-09-08 2022-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품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U2016415984B2 (en) * 2016-07-21 2019-10-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frigerator system
EP3957938A4 (en) * 2019-04-15 2022-06-15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FOOD STORAG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63770A1 (en) 2022-09-28
WO2021101056A1 (ko) 2021-05-27
EP4063770A4 (en) 2023-12-13
US20220412640A1 (en)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7468B1 (ko) 태그 인증과 결합된 생체 인식을 사용한 자동화된 물리적 액세스 제어 시스템에 대한 방법 및 시스템
US11551499B2 (en) Secure container for package delivery
US9230380B2 (en) Lockable enclosure having improved access system
US201100508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ehavior in a monitoring system
WO20180055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anagement of service industry and for-hire resources
BR102018075586A2 (pt) Sistema de gerenciamento de bagagem e método de gerenciamento de bagagem
US20210390810A1 (en) Biometric enabled access control
US20230214807A1 (en) Proximity Detection System for Request Processing
KR101809994B1 (ko) 분산 제어 시스템의 컨센서스 로스
US11861946B2 (en) Locking system with a lock operable in different modes for allowing access using a sharable digital key
JP2019085761A (ja) 開閉制御システム
JP5186879B2 (ja) 入退出管理システムおよび集積回路搭載入退出管理タグ
CN106203161A (zh) 数据访问控制方法及服务器
US20220383680A1 (en) Touchless smart storage box with face recognition system
US20080150680A1 (en) Remote Portable Access System
KR20210060856A (ko) 냉장고
JP2004246553A (ja) 管理機器及び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JP5443924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7023526A (ja) 入退室管理装置
WO2020162550A1 (ja) 電子解錠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3206659A (ja) 入退室管理装置
EP433292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a person
KR102573957B1 (ko) 공유 사물함 시스템
KR100666008B1 (ko) 인텔리전트 도어록 시스템
US20230100623A1 (en) Safe Delivery T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