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427B1 - 방향 전환 밸브 - Google Patents

방향 전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427B1
KR101790427B1 KR1020160009352A KR20160009352A KR101790427B1 KR 101790427 B1 KR101790427 B1 KR 101790427B1 KR 1020160009352 A KR1020160009352 A KR 1020160009352A KR 20160009352 A KR20160009352 A KR 20160009352A KR 101790427 B1 KR101790427 B1 KR 101790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unloading
pump
bridg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935A (ko
Inventor
히토시 이와사키
아키노리 아베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2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1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1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1/17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using two or more pumps

Abstract

펌프로부터 액추에이터로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통로 패턴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방향 전환 밸브를 제공한다. 방향 전환 밸브(30)의 밸브 본체(31)는, 제1 펌프에 접속되는 제1 언로드 통로(41)와, 제2 펌프에 접속되는 제2 언로드 통로(42)와, 제1 펌프에 접속 가능한 제1 공급 통로(51)와, 제2 펌프에 접속 가능한 제2 공급 통로(52)와, 액추에이터 통로와, 브리지 통로(53)와, 통로(51)와 통로(53)를 접속하는 제1 패러렐 통로(101)를 형성 가능한 영역(201)과, 통로(52)와 통로(53)를 접속하는 제2 패러렐 통로(102)를 형성 가능한 영역(202)과, 통로(41)와 통로(53)를 접속하는 제1 탠덤 통로(301)를 형성 가능한 영역(401)과, 통로(42)와 통로(53)를 접속하는 제2 탠덤 통로(302)를 형성 가능한 영역(402)을 갖는다. 스풀(80)은, 브리지 통로(53)와 액추에이터 통로의 접속 및 차단을 전환한다.

Description

방향 전환 밸브{DIRECTION CONVERTER VALVE}
본 발명은, 방향 전환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2개의 펌프로부터 1개의 액추에이터로 기름이 공급되는 유압 회로가 있다(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유압 회로는, 제1 펌프(10)의 토출유를 액추에이터에 공급 및 배출하는 제1 계통의 방향 전환 밸브(32, 34A, 34B, 34C, 34D)와, 제2 펌프(12)의 토출유를 액추에이터에 공급 및 배출하는 제2 계통의 방향 전환 밸브(42, 44A, 44B, 44C)를 구비한다. 이 유압 회로에서는, 붐용 실린더(24B)에, 제1 펌프(10) 및 제2 펌프(12)의 토출유가 공급된다. 붐용 실린더(24B)에는, 제1 계통의 방향 전환 밸브(34C)와, 제2 계통의 방향 전환 밸브(44B)가 접속된다. 또한, 아암용 실린더(24C)에는, 제1 펌프(10) 및 제2 펌프(12)의 토출유가 공급된다. 아암용 실린더(24C)에는, 제1 계통의 방향 전환 밸브(34D)와, 제2 계통의 방향 전환 밸브(44C)가 접속된다.
일본 특허공개 평10-1836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13-238291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2개의 펌프로부터 1개의 액추에이터에 기름을 공급하기 위해서, 1개의 액추에이터에 대하여 2개의 방향 전환 밸브가 접속된다. 즉, 1개의 펌프로부터 1개의 액추에이터로 기름을 공급하기 위해서, 1개의 방향 전환 밸브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어 유압 회로의 사양에 따라서는,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상기의 구성에서는, 방향 전환 밸브의 제조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2개의 펌프로부터 1개의 액추에이터로의 기름의 공급을, 하나의 방향 전환 밸브에 의해 행하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실현한 경우에는, 유압 회로 내에서 사용되는 방향 전환 밸브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유압 회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그 사양 등에 의해, 펌프로부터 액추에이터로의 기름의 공급 형태에 대한 요청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1개의 방향 전환 밸브에 있어서, 1개의 펌프로부터 1개의 액추에이터로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 패턴이나, 2개의 펌프로부터 1개의 액추에이터로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 패턴 등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면, 유압 회로의 제조를, 매우 유리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펌프로부터 액추에이터로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통로 패턴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방향 전환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향 전환 밸브는, 스풀 구멍이 형성된 밸브 본체와, 상기 스풀 구멍에 삽입된 스풀을 구비한다. 상기 밸브 본체는, 상기 스풀 구멍에 개구하고, 제1 펌프에 접속되는 제1 언로드 통로와, 상기 스풀 구멍에 개구하고, 제2 펌프에 접속되는 제2 언로드 통로와, 상기 스풀 구멍에 직접적으로 개구하지 않고, 상기 제1 펌프에 접속 가능한 제1 공급 통로와, 상기 스풀 구멍에 직접적으로 개구하지 않고, 상기 제2 펌프에 접속 가능한 제2 공급 통로와, 상기 스풀 구멍에 개구하고,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액추에이터 통로와, 상기 스풀 구멍에 개구하는 브리지 통로와, 상기 제1 공급 통로와 상기 브리지 통로를 접속하는 제1 패러렐 통로를 형성 가능한 제1 패러렐용 영역과, 상기 제2 공급 통로와 상기 브리지 통로를 접속하는 제2 패러렐 통로를 형성 가능한 제2 패러렐용 영역과, 상기 제1 언로드 통로와 상기 브리지 통로를 접속하는 제1 탠덤 통로를 형성 가능한 제1 탠덤용 영역과, 상기 제2 언로드 통로와 상기 브리지 통로를 접속하는 제2 탠덤 통로를 형성 가능한 제2 탠덤용 영역을 갖는다. 상기 스풀은, 그 위치에 따라 상기 브리지 통로와 상기 액추에이터 통로의 접속 및 차단을 전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펌프로부터 액추에이터로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통로 패턴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방향 전환 밸브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향 전환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ⅢA-Ⅲ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ⅢB-Ⅲ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Ⅳ-Ⅳ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방향 전환 밸브의 회로도이다.
도 6은, 통로 패턴이 형성된 도 1의 방향 전환 밸브가 복수 적용된 건설 기계용 유압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유압 회로에 포함되는, 도 1의 방향 전환 밸브의 일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방향 전환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ⅨA-Ⅸ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B)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ⅨB-Ⅸ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방향 전환 밸브(30)는, 스풀 구멍(33)이 형성된 밸브 본체(31)와, 스풀 구멍(33)에 삽입된 스풀(80)과, 복수의 통로[41, 42, 45, 51, 52, 53, 61, 62(이하, 41∼62라 기재함)]와, 통로(101, 102, 301, 302)를 형성 가능한 복수의 영역(201, 202, 401, 402)과, 체크 밸브 또는 블라인트 플러그를 설치하기 위한 규제 부재 설치부(701∼704)를 형성 가능한 복수의 영역(711∼714)을 구비한다.
설명의 편의상, 통로(101, 102, 301, 302)를 형성 가능한 복수의 영역(201, 202, 401, 402) 중의 영역(201, 202)은, 도 2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둘러싸여 있다. 영역(401, 402)은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둘러싸여 있다. 도 5에 있어서 영역(201, 202, 401, 402)에 대응하는 부분은, 이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규제 부재 설치부(701∼704)를 형성 가능한 복수의 영역(711∼714) 중의 영역(711, 712)은, 도 2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여 있다. 영역(713, 714)은, 도 3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방향 전환 밸브(30)는, 건설 기계용 유압 회로(도시생략)에 적용되는 방향 전환 밸브이다. 방향 전환 밸브(30)는, 건설 기계용 유압 회로에 있어서, 펌프(도시생략)와 액추에이터(도시됨)에 접속되고, 액추에이터에 대하여 기름을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밸브이다.
상기한 영역(201, 202, 401, 402)에 있어서 형성 가능한 통로(101, 102, 301, 302)는, 펌프의 토출유를, 액추에이터에 공급하기 위한 통로이다. 이 방향 전환 밸브(30)는, 복수의 영역(201, 202, 401, 4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통로(101, 102, 301, 302)가 형성된 경우에, 액추에이터에 대하여 기름을 공급 및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방향 전환 밸브(30)는, 유압 회로에 적용되어서 적절하게 기름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 밸브를 제조하기 위한 중간체(베이스체 혹은 베이스 부재)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방향 전환 밸브(30)는, 상기와 같은 복수의 영역(201, 202, 401, 402)을 구비함으로써, 펌프로부터 액추에이터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통로 패턴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방향 전환 밸브(30)가 접속되는 액추에이터는, 건설 기계를 작동시키는 유압 액추에이터이다. 이 방향 전환 밸브(30)가 접속 가능한 액추에이터의 종류에는, 유압 모터와, 유압 실린더가 있다. 방향 전환 밸브(30)가 접속되는 액추에이터는, 제1 포트와, 제2 포트를 구비하는 액추에이터이다. 제1 포트 및 제2 포트의 각각은, 액추에이터에 대한 기름의 공급구 및 배출구이다. 이와 같은 액추에이터는, 제1 포트에 기름이 공급되고 또한 제2 포트로부터 기름이 배출됨으로써, 일측으로 작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가 늘어나거나, 또한 예를 들어, 유압 모터가 일측으로 회전한다. 제2 포트에 기름이 공급되고, 또한 제1 포트로부터 기름이 배출됨으로써, 액추에이터는 타측(상기 「일측」과는 반대측)으로 작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가 줄어들거나, 또한 예를 들어, 유압 모터가 타측으로 회전한다. 방향 전환 밸브(30)는, 이와 같은 액추에이터에 후술하는 액추에이터 통로(61·62)를 통해 접속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이 방향 전환 밸브(30)는, 스풀 구멍(33)에 대한 스풀(80)의 위치(스트로크 위치)에 따라서, 기름의 방향 등을 바꾸는 스풀 밸브이다. 방향 전환 밸브(30)는, 스풀(80)의 스트로크 위치에 따라서, 전환 위치를 전환한다. 방향 전환 밸브(30)의 전환 위치에는, 중립 위치(30a)(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위치)와, 중립 위치(30a)로부터 도면 중의 우측으로 이동한 제1 작동 위치(30b)(도 5 참조)와, 중립 위치(30a)로부터 도면 중의 좌측으로 이동한 제2 작동 위치(30c)(도 5 참조)가 있다.
밸브 본체(31)는, 스풀 구멍(33), 통로(41∼62), 영역(201, 202, 401, 402) 및 영역(711∼714)이 형성되는 부분이다. 밸브 본체(31)는, 블록 형상(덩어리 형상)이다.
스풀 구멍(33)은, 밸브 본체(31)(의 내부)에 형성된다. 스풀 구멍(33)은, 스풀(80)을 삽입 가능한 구멍이다. 스풀(80)은, 착탈 가능하게 스풀 구멍(33)에 삽입된다.
복수의 통로(41∼62)의 각각은, 기름이 흐르는 유로(유로, 배관)이다. 복수의 통로(41∼62)의 각각은, 밸브 본체(31)(의 내부)에 형성된다. 복수의 통로(41∼62) 중의 통로(41, 42, 45, 53, 61, 62)는, 스풀 구멍(33)에 개구한다. 스풀 구멍(33)에 개구하는 통로(41, 42, 45, 53, 61, 62)의 스풀 구멍(33)으로의 개구는, 예를 들어 스풀 구멍(33)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통로(41∼62) 중 통로(41, 42, 45, 61, 62)는, 밸브 본체(31)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밸브 본체(31)의 표면에 개구한다. 또한, 복수의 통로(41∼62) 중의 통로(51, 52)도, 밸브 본체(31)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밸브 본체(31)의 표면에 개구한다. 복수의 통로(41∼62)에는, 언로드 통로(41·42)와, 탱크 통로(45)와, 공급 통로(51·52)와, 브리지 통로(53)와, 액추에이터 통로(61·62)가 있다.
언로드 통로(41·42)는, 펌프의 토출유를, 액추에이터에 공급하지 않고, 탱크로 복귀시키기 위한 통로(바이패스 통로)이다. 단, 예를 들어 언로드 통로(41·42)로부터 다른 통로가 분기하는 경우(도시생략)에는, 언로드 통로(41·42)로부터 액추에이터로 기름이 공급되어도 된다. 언로드 통로(41·42)는 2개 설치된다(소위 듀얼 바이패스임). 언로드 통로(41·42)는, 제1 언로드 통로(41)와, 제2 언로드 통로(42)를 구비한다.
제1 언로드 통로(41)와 제2 언로드 통로(42)는, 방향 전환 밸브(30)가 유압 회로에 적용된 경우에, 서로 다른 펌프에 접속되는 통로이다. 이하, 제1 언로드 통로(41)가 접속되는 펌프를 제1 펌프(도시생략)라 칭한다. 제2 언로드 통로(42)가 접속되는 펌프를 제2 펌프(도시생략)라 칭한다.
제1 언로드 통로(41)는, 제1 펌프에 접속되는 통로이다. 제1 언로드 통로(41)는, 탱크에 접속되는 통로이다. 제1 언로드 통로(41)는, 상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a)와, 하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b)를 구비한다. 상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a)는, 제1 언로드 통로(41) 중, 스풀 구멍(33)보다도 상류측(제1 펌프측)의 통로이다. 하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b)는, 제1 언로드 통로(41) 중, 스풀 구멍(33)보다도 하류측(탱크측)의 통로이다.
제2 언로드 통로(42)는, 제1 언로드 통로(41)가 접속하는 제1 펌프와는 다른 제2 펌프에 접속되는 통로이다. 제2 언로드 통로(42)는, 탱크에 접속되는 통로이다. 제2 언로드 통로(42)는, 상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a)와, 하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b)를 구비한다. 상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a)는, 제2 언로드 통로(42) 중, 스풀 구멍(33)보다도 상류측(제2 펌프측)의 통로이다. 하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b)는, 제2 언로드 통로(42) 중, 스풀 구멍(33)보다도 하류측(탱크측)의 통로이다.
탱크 통로(45)는, 탱크(도시생략)에 접속되는 통로이다. 탱크 통로(45)는, 액추에이터로부터 배출된 기름을 탱크로 복귀시키기 위한 통로이다.
공급 통로(51·52)는 펌프의 토출유를, 액추에이터에 공급하기 위한 통로이다. 공급 통로(51·52)는 제1 공급 통로(51)와, 제2 공급 통로(52)를 구비한다.
제1 공급 통로(51)는, 펌프에 접속 가능한 통로이다. 또한, 제1 공급 통로(51)는, 펌프에 접속되지 않아도 된다. 제1 공급 통로(51)는, 스풀 구멍(33)에 직접적으로 개구하지 않는다. 제1 공급 통로(51)는, 펌프에 접속되는 경우, 제1 언로드 통로(41)가 접속하는 제1 펌프에 접속된다. 제1 공급 통로(51)는, 제1 펌프에 접속되는 경우, 제1 펌프의 토출유를, 액추에이터에 공급하기 위해서, 받아들인다. 제1 공급 통로(51)는, 제1 펌프에 접속되는 경우, 제1 언로드 통로(41)[상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a)]에 접속되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공급 통로(51)는, 제1 언로드 통로(41)를 통해 제1 펌프에 접속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공급 통로(51)의 제1 언로드 통로(41)로의 접속은, 방향 전환 밸브(30)의 외부에서 행해진다.
제2 공급 통로(52)는, 펌프에 접속 가능한 통로이다. 또한, 제2 공급 통로(52)는, 펌프에 접속되지 않아도 된다. 제2 공급 통로(52)는, 스풀 구멍(33)에 직접적으로 개구하지 않는다. 제2 공급 통로(52)는, 펌프에 접속되는 경우, 제2 언로드 통로(42)가 접속하는 제2 펌프에 접속된다. 제2 공급 통로(52)는, 제2 펌프에 접속되는 경우, 제2 펌프의 토출유를, 액추에이터에 공급하기 위해서 받아들인다. 제2 공급 통로(52)는, 제2 펌프에 접속되는 경우, 제2 언로드 통로(42)[상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a)]에 접속되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2 공급 통로(52)는, 제2 언로드 통로(42)를 통해 제2 펌프에 접속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2 공급 통로(52)의 제2 언로드 통로(42)로의 접속은, 방향 전환 밸브(30)의 외부에서 행해진다.
브리지 통로(53)는, 복수의 영역(201, 202, 401, 4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통로(101, 102, 301, 302)가 형성된 경우에, 제1 펌프 및 제2 펌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의 토출유를, 액추에이터에 공급하기 위한 통로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리지 통로(53)는, 제1 브리지 통로(53a)와, 제2 브리지 통로(53b)를 구비한다. 제1 브리지 통로(53a)는, 제1 펌프 및 제2 펌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의 토출유를, 제1 액추에이터 통로(61)(하기함)에 공급하기 위한 통로이다. 제2 브리지 통로(53b)는, 제1 펌프 및 제2 펌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의 토출유를, 제2 액추에이터 통로(62)(하기함)에 공급하기 위한 통로이다.
액추에이터 통로(61·62)는, 복수의 영역(201, 202, 401, 4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통로(101, 102, 301, 302)가 형성된 경우에, 제1 펌프 및 제2 펌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의 토출유를, 브리지 통로(53)를 통하여, 액추에이터에 공급하기 위한 통로이다. 액추에이터 통로(61·62)는 액추에이터에 접속된다. 액추에이터 통로(61·62)는, 전술한 제1 액추에이터 통로(61)와, 제2 액추에이터 통로(62)를 구비한다.
제1 액추에이터 통로(61)는, 액추에이터의 제1 포트에 접속되는 통로이다. 제2 액추에이터 통로(62)는, 액추에이터의 제2 포트에 접속되는 통로이다.
영역(201, 202, 401, 402)은, 제1 펌프 및 제2 펌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토출유를, 액추에이터에 공급하기 위한 통로(101, 102, 301, 302)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다. 영역(201, 202, 401, 402)에는, 제1 패러렐용 영역(201), 제2 패러렐용 영역(202), 제1 탠덤용 영역(401) 및 제2 탠덤용 영역(402)이 있다.
제1 패러렐용 영역(201)은, 제1 공급 통로(51)와 브리지 통로(53)를 접속하는 제1 패러렐 통로(101)를 형성 가능한 영역이다. 제2 패러렐용 영역(202)은, 제2 공급 통로(52)와 브리지 통로(53)를 접속하는 제2 패러렐 통로(102)를 형성 가능한 영역이다.
제1 탠덤용 영역(401)은, 제1 언로드 통로(41)와 브리지 통로(53)를 접속하는 제1 탠덤 통로(301)를 형성 가능한 영역이다. 제1 탠덤 통로(301)는, 제1 언로드 통로(41)와 브리지 통로(53)를 방향 전환 밸브(30)의 내부에서 접속하는 것이어도 된다. 제1 탠덤 통로(301)는, 제1 언로드 통로(41)와 브리지 통로(53)를 방향 전환 밸브(30)의 외부에서 접속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탠덤 통로(301)는, 형성된 경우에, 제1 언로드 통로(41)와 브리지 통로(53)를 방향 전환 밸브(30)의 내부에서 접속하는 것이다. 제2 탠덤용 영역(402)은, 제2 언로드 통로(42)와 브리지 통로(53)를 접속하는 제2 탠덤 통로(302)를 형성 가능한 영역이다. 제2 탠덤 통로(302)는, 제2 언로드 통로(42)와 브리지 통로(53)를 방향 전환 밸브(30)의 내부에서 접속하는 것이어도 된다. 제2 탠덤 통로(302)는, 제2 언로드 통로(42)와 브리지 통로(53)를 방향 전환 밸브(30)의 외부에서 접속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탠덤 통로(302)는, 형성된 경우에, 제2 언로드 통로(42)와 브리지 통로(53)를 방향 전환 밸브(30)의 외부에서 접속하는 것이다.
제1 패러렐용 영역(201)에 제1 패러렐 통로(101)가 형성된 경우에, 브리지 통로(53)는, 제1 공급 통로(51)에 접속된다. 제2 패러렐용 영역(202)에 제2 패러렐 통로(102)가 형성된 경우에, 브리지 통로(53)는, 제2 공급 통로(52)에 접속된다. 제1 패러렐용 영역(201)에 제1 패러렐 통로(101)가 형성되고, 제2 패러렐용 영역(202)에 제2 패러렐 통로(102)가 형성된 경우에, 브리지 통로(53)는, 제1 공급 통로(51) 및 제2 공급 통로(52)에 접속된다.
제1 패러렐용 영역(201)에 제1 패러렐 통로(101)가 형성되고, 제1 공급 통로(51)가 제1 펌프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브리지 통로(53)에는, 제1 공급 통로(51)를 흐르는 기름이 흐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패러렐용 영역(202)에 제2 패러렐 통로(102)가 형성되고, 제2 공급 통로(52)가 제2 펌프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브리지 통로(53)에는, 제2 공급 통로(52)를 흐르는 기름이 흐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패러렐용 영역(201)에 제1 패러렐 통로(101)가 형성되고, 제1 공급 통로(51)가 제1 펌프에 접속되고, 제2 패러렐용 영역(202)에 제2 패러렐 통로(102)가 형성되고, 제2 공급 통로(52)가 제2 펌프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브리지 통로(53)에는, 제1 공급 통로(51)를 흐르는 기름과 제2 공급 통로(52)를 흐르는 기름이 합류한 기름이 흐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탠덤용 영역(401)에 제1 탠덤 통로(301)가 형성된 경우에, 브리지 통로(53)는, 제1 언로드 통로(41)에 접속된다. 제2 탠덤용 영역(402)에 제2 탠덤 통로(302)가 형성된 경우에, 브리지 통로(53)는, 제2 언로드 통로(42)에 접속된다. 제1 탠덤용 영역(401)에 제1 탠덤 통로(301)가 형성되고, 제2 탠덤용 영역(402)에 제2 탠덤 통로(302)가 형성된 경우에, 브리지 통로(53)는, 제1 언로드 통로(41) 및 제2 언로드 통로(42)에 접속된다.
제1 탠덤용 영역(401)에 제1 탠덤 통로(301)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브리지 통로(53)에는, 제1 언로드 통로(41)를 흐르는 기름이 흐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탠덤용 영역(402)에 제2 탠덤 통로(302)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브리지 통로(53)에는, 제2 언로드 통로(42)를 흐르는 기름이 흐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탠덤용 영역(401)에 제1 탠덤 통로(301)가 형성되고, 제2 탠덤용 영역(402)에 제2 탠덤 통로(302)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브리지 통로(53)에는, 제1 언로드 통로(41)를 흐르는 기름과 제2 언로드 통로(42)를 흐르는 기름이 합류한 기름이 흐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패러렐용 영역(201)에 제1 패러렐 통로(101)가 형성되고, 제1 공급 통로(51)가 제1 펌프에 접속되고, 제1 탠덤용 영역(401)에 제1 탠덤 통로(301)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브리지 통로(53)에는, 제1 공급 통로(51)를 흐르는 기름과 제1 언로드 통로(41)를 흐르는 기름이 합류한 기름이 흐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패러렐용 영역(202)에 제2 패러렐 통로(102)가 형성되고, 제2 공급 통로(52)가 제2 펌프에 접속되고, 제2 탠덤용 영역(402)에 제2 탠덤 통로(302)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브리지 통로(53)에는, 제2 공급 통로(52)를 흐르는 기름과 제2 언로드 통로(42)를 흐르는 기름이 합류한 기름이 흐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패러렐용 영역(201)에 제1 패러렐 통로(101)가 형성되고, 제1 공급 통로(51)가 제1 펌프에 접속되고, 제1 탠덤용 영역(401)에 제1 탠덤 통로(301)가 형성되고, 제2 패러렐용 영역(202)에 제2 패러렐 통로(102)가 형성되고, 제2 공급 통로(52)가 제2 펌프에 접속되고, 제2 탠덤용 영역(402)에 제2 탠덤 통로(302)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브리지 통로(53)에는, 제1 공급 통로(51)를 흐르는 기름과 제1 언로드 통로(41)를 흐르는 기름이 합류한 기름, 및 제2 공급 통로(52)를 흐르는 기름과 제2 언로드 통로(42)를 흐르는 기름이 합류한 기름이 흐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패러렐 통로(101), 제2 패러렐 통로(102), 제1 탠덤 통로(301) 및 제2 탠덤 통로(302)의 하나 이상이 형성된 경우의 브리지 통로(53)에 대한 기름의 유입 패턴은, 상기 이외의 패턴도 존재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711∼714)은, 체크 밸브 또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설치하기 위한 규제 부재 설치부(701∼704)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다. 영역(711∼714)에는, 제1 규제 부재 설치부(701)를 형성 가능한 제1 규제 부재용 영역(711), 제2 규제 부재 설치부(702)를 형성 가능한 제2 규제 부재용 영역(712), 제3 규제 부재 설치부(703)를 형성 가능한 제3 규제 부재용 영역(713) 및 제4 규제 부재 설치부(704)를 형성 가능한 제4 규제 부재용 영역(714)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규제 부재용 영역(711)은, 제1 패러렐용 영역(201)에 제1 패러렐 통로(101)가 형성된 경우에, 제1 패러렐 통로(101)와 브리지 통로(53)의 사이에 체크 밸브 또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제1 규제 부재 설치부(701)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다. 제1 규제 부재용 영역(711)에 형성되는 제1 규제 부재 설치부(701)는, 제1 패러렐용 영역(201)에 제1 패러렐 통로(101)가 형성된 경우에, 브리지 통로(53)로부터 제1 패러렐 통로(101)로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설치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제1 규제 부재 설치부(701)는, 예를 들어 제1 패러렐용 영역(201)에 형성된 제1 패러렐 통로(101)가 불필요하게 되는 경우에, 브리지 통로(53)와 제1 패러렐 통로(101)의 연통을 차단하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설치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제2 규제 부재용 영역(712)은, 제2 패러렐용 영역(202)에 제2 패러렐 통로(102)가 형성된 경우에, 제2 패러렐 통로(102)와 브리지 통로(53)의 사이에 체크 밸브 또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제2 규제 부재 설치부(702)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다. 제2 규제 부재용 영역(712)에 형성되는 제2 규제 부재 설치부(702)는, 제2 패러렐용 영역(202)에 제1 패러렐 통로(102)가 형성된 경우에, 브리지 통로(53)로부터 제2 패러렐 통로(102)로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설치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제2 규제 부재 설치부(702)는, 예를 들어 제2 패러렐용 영역(202)에 형성된 제2 패러렐 통로(102)가 불필요하게 된 경우에, 브리지 통로(53)와 제2 패러렐 통로(102)의 연통을 차단하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설치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규제 부재용 영역(713)은, 제1 탠덤용 영역(401)에 제1 탠덤 통로(301)가 형성된 경우에, 제1 탠덤 통로(301)와 브리지 통로(53)의 사이에 체크 밸브 또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제3 규제 부재 설치부(703)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다. 제3 규제 부재용 영역(713)에 형성되는 제3 규제 부재 설치부(703)는, 제1 탠덤용 영역(401)에 제1 탠덤 통로(301)가 형성된 경우에, 브리지 통로(53)로부터 제1 탠덤 통로(301)로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설치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제3 규제 부재 설치부(703)는, 예를 들어 제1 탠덤용 영역(401)에 형성된 제1 탠덤 통로(301)가 불필요하게 된 경우에, 브리지 통로(53)와 제1 탠덤 통로(301)의 연통을 차단하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설치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제4 규제 부재용 영역(714)은, 제2 탠덤용 영역(402)에 제2 탠덤 통로(302)가 형성된 경우에, 제2 탠덤 통로(302)와 브리지 통로(53)의 사이에 체크 밸브 또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제4 규제 부재 설치부(704)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다. 제4 규제 부재용 영역(714)에 형성되는 제4 규제 부재 설치부(704)는, 제2 탠덤용 영역(402)에 제2 탠덤 통로(302)가 형성된 경우에, 브리지 통로(53)로부터 제2 탠덤 통로(302)로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설치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제4 규제 부재 설치부(704)는, 예를 들어 제2 탠덤용 영역(402)에 형성된 제2 탠덤 통로(401)가 불필요하게 된 경우에, 브리지 통로(53)와 제2 탠덤 통로(302)의 연통을 차단하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설치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스풀(8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구멍(33)에 삽입된다. 스풀(80)은, 대략 원기둥 형상이다. 스풀(80)의 축 방향(대략 원기둥의 중심축 방향)을 스풀 축 방향 A라 한다. 스풀 축 방향 A에 있어서의 한쪽 측을 일측 A1, 다른쪽 측을 타측 A2라 한다. 스풀(80)은, 스풀 구멍(33)에 대하여 스풀축 방향 A에 슬라이드(스트로크) 가능하다.
스풀(80)은, 통로끼리[예를 들어, 브리지 통로(53)와 액추에이터 통로(61·62)]의 접속 및 차단을 전환한다. 이 스풀(80)은, 통로끼리의 접속의 유무, 및 접속의 개방도(밸브 개방도)를 전환한다. 더 상세하게는, 스풀(80)은, 통로끼리를 「차단 상태」와 「접속 상태」(「완전 개방 상태」및「교축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한다.
「차단 상태」는, 통로끼리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차단된 상태)이다.
「접속 상태」는, 통로끼리가 접속된 상태(연통된 상태)이다. 이 「접속 상태」에는, 「완전 개방 상태」와 「교축 상태」가 있다.
「완전 개방 상태」는, 통로끼리의 유로의 개방도가 최대 상태[스풀(80)을 일측 A1의 단부로부터 타측 A2의 단부까지 스트로크시켰을 때 개방도가 다양하게 변화하는 부분, 이 개방도가 최대 상태]이다. 예를 들어, 「완전 개방 상태」는, 통로끼리의 유로가 조여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교축 상태」는, 통로끼리의 유로가, 상기 「완전 개방 상태」보다도 조여진 상태(차단 상태를 제외함)이다.
이 스풀(80)은, 복수의 영역(201, 202, 401, 402)에 형성되는 통로(101, 102, 301, 302)의 패턴에 의해, 서로 다른 구성이 채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브리지 통로(53)에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양쪽으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도록 통로(101, 102, 301, 302)가 형성된 경우와, 브리지 통로(53)에 제1 펌프만으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도록 통로(101, 102, 301, 302)가 형성된 경우와, 브리지 통로(53)에 제2 펌프만으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도록 통로(101, 102, 301, 302)가 형성된 경우에, 서로 다른 구성의 스풀이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스풀(80)은, 브리지 통로(53)에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양쪽으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도록 통로(101, 102, 301, 302)가 형성된 경우에 사용되는 스풀을 나타내고 있다.
<브리지 통로에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양쪽으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는 구성인 경우>
이 경우, 스풀(80)에서는, 이하의 구성이 채용된다.
스풀(80)은, 브리지 통로(53)와, 액추에이터 통로(61·62)의 접속 및 차단을 전환한다.
스풀(80)은, 액추에이터 통로(61·62)와, 탱크 통로(45)의 접속 및 차단을 전환한다.
스풀(80)은, 상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a)와, 하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b)의 접속 및 차단을 전환한다.
스풀(80)은, 상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a)와, 하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b)의 접속 및 차단을 전환한다.
스풀(8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81)와, 랜드부(83)를 구비한다. 절결부(81)와 랜드부(83)는, 스풀 축 방향 A에 교대로 배치된다(형성된다).
절결부(81)는, 통로끼리(통로 사이)를 접속시킨다. 절결부(81)는, 통로의 스풀 구멍(33)으로의 개구끼리를 접속시킨다. 이하, 스풀 구멍(33)으로의 개구를, 「개구」라 한다.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복수의 통로(41∼62) 중의 통로(41, 42, 45, 53, 61, 62)가 스풀 구멍(33)에 개구한다. 절결부(81)는, 통로끼리를, 스풀 구멍(33)을 통해 접속시킨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81)는, 랜드부(83)에 대하여 스풀(80)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해지는 부분이다. 절결부(81)는, 복수 설치되고, 예를 들어 4개소 설치된다(2개소, 3개소, 또는 5개소 이상 설치되어도 됨). 절결부(81)는, 제1 언로드 통로용 절결부(81a)와, 제2 언로드 통로용 절결부(81b)를 구비한다. 제1 언로드 통로용 절결부(81a)는, 상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a)와 하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b)를 접속시킨다. 제2 언로드 통로용 절결부(81b), 상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a)와 하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b)를 접속시킨다.
랜드부(83)는, 통로끼리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차단 상태)로 한다. 랜드부(83)는, 절결부(81)에 의한 통로끼리의 접속이 행해지지 않도록 한다. 랜드부(83)는, 스풀 구멍(33)(의 내면)에 접촉한다. 랜드부(83)는, 통로(41, 42, 45, 53, 61, 62)의 개구를 막는다. 또는, 랜드부(83)는, 통로끼리 사이의 스풀 구멍(33)을 막는다. 랜드부(83)는, 통로끼리를 교축 상태로 한다. 랜드부(83)는, 통로(41, 42, 45, 53, 61, 62)의 개구를, 완전 개방 상태보다도 좁게 한다. 랜드부(83)는, 복수 설치되고, 예를 들어 5개소 설치된다(4개소 이하, 또는 6개소 이상 설치되어도 됨). 랜드부(83)는,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a∼83c)를 구비한다.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a∼83c)는, 언로드 통로(41·42)를 차단 가능하다(차단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함).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a∼83c)는, 제1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a)와, 제2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b)와, 제3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c)를 구비한다.
제1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a)는, 도 4에 도시한 중립 위치(30a)로부터 도면 중의 우측으로 이동한 제1 작동 위치(30b)(도 5 참조)일 때, 제1 언로드 통로(41)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도시생략)로 한다. 제2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b)는, 도 4에 도시한 중립 위치(30a)로부터 도면 중의 좌측으로 이동한 제2 작동 위치(30c)(도 5 참조)일 때, 제2 언로드 통로(42)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도시생략)로 한다.
제3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c)는, 제1 언로드 통로(41)를 차단 가능, 또한 제2 언로드 통로(42)를 차단 가능하다. 이 구성에서는, 제3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c)가 2가지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랜드부를 공통화할 수 있다. 제3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c)는, 제1 작동 위치(30b)일 때, 제2 언로드 통로(42)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도시생략)로 한다. 제3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c)는, 제2 작동 위치(30c)일 때, 제1 언로드 통로(41)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도시생략)로 한다. 이상이, 브리지 통로(53)에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양쪽으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는 구성인 경우의 스풀(80)의 구성이다. 브리지 통로(53)에 제1 펌프 및 제2 펌프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는 구성인 경우에는, 스풀(80)은, 이하의 구성이 채용된다.
<브리지 통로에 제1 펌프만으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는 구성인 경우>
이 경우, 스풀(80)에서는, 이하의 구성이 채용된다.
스풀(80)은, 브리지 통로(53)와, 액추에이터 통로(61·62)의 접속 및 차단을 전환한다.
스풀(80)은, 액추에이터 통로(61·62)와, 탱크 통로(45)의 접속 및 차단을 전환한다.
스풀(80)은, 상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a)와, 하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b)의 접속 및 차단을 전환한다.
스풀(80)은, 상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a)와, 하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b)를 항상, 접속 상태로 한다.
이 경우,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a∼83c)가 이하와 같이 기능한다.
제1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a)는, 도 4에 도시한 중립 위치(30a)로부터 도면 중의 우측으로 이동한 제1 작동 위치(30b)(도 5 참조)일 때, 제1 언로드 통로(41)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도시생략)로 한다. 제2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b)는, 도 4에 도시한 중립 위치(30a)로부터 도면 중의 좌측으로 이동한 제2 작동 위치(30c)(도 5 참조)일 때, 제2 언로드 통로(42)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로 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다(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함).
제3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c)는, 제1 작동 위치(30b)일 때, 제2 언로드 통로(42)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로 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다(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함). 제3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c)는, 제2 작동 위치(30c)일 때, 제1 언로드 통로(41)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도시생략)로 한다.
그 밖의 구성은, 브리지 통로(53)에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양쪽으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는 구성인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브리지 통로에 제2 펌프만으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는 구성인 경우>
이 경우, 스풀(80)에서는, 이하의 구성이 채용된다.
스풀(80)은, 브리지 통로(53)와, 액추에이터 통로(61·62)의 접속 및 차단을 전환한다.
스풀(80)은, 액추에이터 통로(61·62)와, 탱크 통로(45)의 접속 및 차단을 전환한다.
스풀(80)은, 상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a)와, 하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b)를 항상, 접속 상태로 한다.
스풀(80)은, 상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a)와, 하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b)의 접속 및 차단을 전환한다.
이 경우,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a∼83c)가 이하와 같이 기능한다.
제1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a)는, 도 4에 도시한 중립 위치(30a)로부터 도면 중의 우측으로 이동한 제1 작동 위치(30b)(도 5 참조)일 때, 제1 언로드 통로(41)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로 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다(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함). 제2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b)는, 도 4에 도시한 중립 위치(30a)로부터 도면 중의 좌측으로 이동한 제2 작동 위치(30c)(도 5 참조)일 때, 제2 언로드 통로(42)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도시생략)로 한다.
제3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c)는, 제1 작동 위치(30b)일 때, 제2 언로드 통로(42)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도시생략)로 한다. 제3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c)는, 제2 작동 위치(30c)일 때, 제1 언로드 통로(41)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로 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다(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함).
그 밖의 구성은, 브리지 통로(53)에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양쪽으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는 구성인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통로(41∼62)의 배치]
도 2에 도시한 복수의 통로(41∼62) 중의 스풀 구멍(33)에 개구하는 통로(41, 42, 45, 53, 61, 62)의 개구[스풀 구멍(33)으로의 개구]는, 스풀 축 방향 A의 일측 A1로부터 타측 A2의 순으로, 예를 들어 다음의 순서로 배열한다. 일측 A1의 탱크 통로(45), 제1 액추에이터 통로(61), 제1 브리지 통로(53a)[일측 A1의 브리지 통로(53)], 언로드 통로(41·42), 제2 브리지 통로(53b)[타측 A2의 브리지 통로(53)], 제2 액추에이터 통로(62), 타측 A2의 탱크 통로(45). 일측 A1의 탱크 통로(45)의 개구와, 타측 A2의 탱크 통로(45)의 개구는, 밸브 본체(31)의 내부에서 연통한다[밸브 본체(31)의 내부에서 연통하지 않아도 됨].
[언로드 통로(41·42)의 배치]
도 2에 도시한 언로드 통로(41·42)는 다음과 같이 배치된다. 언로드 통로(41·42)는, 스풀 축 방향 A에 있어서의 스풀 구멍(33)(도 2 참조)의 치수[스풀(80)의 치수]가 너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언로드 통로(41·42)의 배치순]
언로드 통로(41·42)는, 제1 언로드 통로(41) 및 제2 언로드 통로(42)의 양쪽의 접속 및 차단을 전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제1 언로드 통로(41) 및 제2 언로드 통로(42)에서 제3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c)의 공통화(상기함)가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언로드 통로(41)와 제2 언로드 통로(42)는, 인접하도록(스풀 축 방향 A에 인접하도록, 이하 마찬가지) 배치된다(「인접하다」에 대해서는 하기함). 예를 들어, 하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b)와 상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a)는, 인접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a)와 하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b)는, 인접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a)와 하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b)는, 인접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통로 α와 통로 β가 「인접하다」라 함은, 다음의 [배치예 1] 또는 [배치예 2]와 같이 배치되는 것이다. [배치예 1] 통로 α와 통로 β의 사이에, 다른 통로(통로 α 및 통로 β 이외의 통로)가 배치되지 않는다. 스풀 구멍(33)(도 2 참조)에서는, 통로 α의 개구[스풀 구멍(33)으로의 개구]와, 통로 β의 개구의 사이에 다른 통로의 개구가 배치되지 않는다. [배치예 2] 통로 α와 통로 β가 스풀 축 방향 A에 순서대로 배치된다. 더 상세하게는, 스풀 축 방향 A의 일측 A1로부터 타측 A2의 순으로, 통로 α의 다음에 통로 β가 배치된다(또는, 통로 β의 다음에 통로 α가 배치된다). 스풀 구멍(33)(도 2 참조)에서는, 통로 α의 개구와 통로 β의 개구가 스풀 축 방향 A에 순서대로 배치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언로드 통로(41) 및 제2 언로드 통로(42)는, 밸브 본체(31)의 일측면과 이 측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에 걸쳐서, 스풀 축 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언로드 통로(41)에서는, 상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a)가, 스풀 구멍(33)으로의 개구측으로부터 스풀 축 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밸브 본체(31)의 상기 일측면에 있어서 밸브 본체(31)의 외부에 개구한다. 하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b)는, 스풀 구멍(33)으로의 개구측으로부터, 스풀 축 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a)가 연장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고, 밸브 본체(31)의 상기 타측면에 있어서 밸브 본체(31)의 외부에 개구한다. 제2 언로드 통로(42)에서는, 상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a)가, 스풀 구멍(33)으로의 개구측으로부터 스풀 축 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밸브 본체(31)의 상기 일측면에 있어서 밸브 본체(31)의 외부로 개구한다. 하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b)는, 스풀 구멍(33)으로의 개구측으로부터, 스풀 축 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a)가 연장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고, 밸브 본체(31)의 상기 타측면에 있어서 밸브 본체(31)의 외부에 개구한다.
[공급 통로(51·52)의 배치]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통로(51·52)는 언로드 통로(41·42)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공급 통로(51·52)는, 언로드 통로(41·42)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제1 공급 통로(51)는, 제1 언로드 통로(41)[상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a)]가 개구하는 밸브 본체(31)의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타측면을 향해서 연장된다. 제1 공급 통로(51)는, 밸브 본체(31)의 상기 일측면과 상기 타측면 사이의 중간 위치에 이른다. 제2 공급 통로(52)는, 제2 언로드 통로(42)[상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a)]가 개구하는 밸브 본체(31)의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타측면을 향해서 연장된다. 제2 공급 통로(52)는, 밸브 본체(31)의 상기 일측면과 상기 타측면 사이의 중간 위치에 이른다. 제1 언로드 통로(41)와 제1 공급 통로(51)는, 서로의 적어도 일부가 직경 방향에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2 언로드 통로(42)와 제2 공급 통로(52)는, 서로의 적어도 일부가 직경 방향에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브리지 통로(53)의 배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언로드 통로(41·42) 및 공급 통로(51·52)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제1 브리지 통로(53a)는, 스풀 구멍(33)으로의 개구측으로부터 스풀 축 방향 A에 대한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그 후, 스풀 축 방향 A를 따라 제2 브리지 통로(53b)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1 브리지 통로(53a)는, 제1 공급 통로(51)의 직경 방향 외측에 이른다. 제2 브리지 통로(53b)는, 스풀 구멍(33)으로의 개구측으로부터 스풀 축 방향 A에 대한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그 후, 스풀 축 방향 A를 따라 제1 브리지 통로(53a) 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2 브리지 통로(53b)는, 제2 공급 통로(52)의 직경 방향 외측에 이른다. 그리고, 제1 브리지 통로(53a)와 제2 브리지 통로(53b)는, 제1 공급 통로(51) 및 제2 공급 통로(52)의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에서 서로 접속한다.
도 2에 도시한 단면에서 볼 때, 브리지 통로(53)는,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브리지 통로(53)는, 언로드 통로(41·42) 및 공급 통로(51·52)를 스풀 축 방향 A의 양측 및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덮여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브리지 통로(53a) 중 제2 브리지 통로(53b)의 접속부측의 부분과 제1 공급 통로(51)는, 직경 방향에서 겹쳐 있다. 제2 브리지 통로(53b) 중 제1 브리지 통로(53a)와의 접속부측의 부분과 제2 공급 통로(52)는, 직경 방향에서 겹쳐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측면에서 볼 때, 제1 브리지 통로(53a)의 중간 부분[스풀 구멍(33)으로의 개구측과 제2 브리지 통로(53b)의 접속부측의 중간 위치]과 제1 언로드 통로(41)[상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a)]는, 스풀 축 방향 및 직경 방향에서 근접하고 있다. 제2 브리지 통로(53b)의 중간 부분[스풀 구멍(33)으로의 개구측과 제1 브리지 통로(53a)의 접속부측의 중간 위치]과 제2 언로드 통로(42)[상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a)]는, 스풀 축 방향 및 직경 방향에서 근접하고 있다.
[영역(201, 202, 401, 402)의 위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러렐용 영역(201)은, 그 일부가 제1 공급 통로(51)에 면하고, 다른 일부가, 브리지 통로(53)에 면하는 위치에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패러렐용 영역(201)은, 제1 브리지 통로(53a) 중 제2 브리지 통로(53b)와의 접속부측의 부분과 제1 공급 통로(51)의 사이에 설정된다. 즉, 제1 브리지 통로(53a) 중 제2 브리지 통로(53b)와의 접속부측의 부분과, 제1 패러렐용 영역(201)과, 제1 공급 통로(51)는, 직경 방향에서 겹쳐 있다. 이에 의해, 제1 브리지 통로(53a)로부터 제1 공급 통로(51)를 향해서 직경 방향을 따라서 제1 패러렐용 영역(201)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제1 패러렐 통로(101)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패러렐용 영역(202)은, 그 일부가 제2 공급 통로(52)에 면하고, 다른 일부가, 브리지 통로(53)에 면하는 위치에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패러렐용 영역(202)은, 제2 브리지 통로(53b) 중 제1 브리지 통로(53a)와의 접속부측의 부분과 제2 공급 통로(52)의 사이에 설정된다. 즉, 제2 브리지 통로(53b) 중 제1 브리지 통로(53a)와의 접속부측의 부분과, 제2 패러렐용 영역(202)과, 제2 공급 통로(52)는, 직경 방향에서 겹쳐 있다. 이에 의해, 제2 브리지 통로(53b)로부터 제2 공급 통로(52)를 향해서 직경 방향을 따라서 제2 패러렐용 영역(202)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제2 패러렐 통로(10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탠덤용 영역(401)은, 그 일부가 제1 언로드 통로(41) 및 밸브 본체(31)의 외부에 면하고, 다른 일부가, 브리지 통로(53)에 면하는 위치에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탠덤용 영역(401)은, 제1 브리지 통로(53a)의 중간 부분과 제1 언로드 통로(41)[상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a)]의 사이에 설정된다. 이에 의해, 제1 탠덤용 영역(401)에 있어서는, 밸브 본체(31)의 일측면으로부터 제1 브리지 통로(53a)의 중간 부분과 제1 언로드 통로(41)[상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a)]의 사이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제1 탠덤 통로(301)를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탠덤 통로(301)가 밸브 본체(31)의 외부에서 제1 언로드 통로(41)에 접속되는 구성일 때에는, 제1 탠덤용 영역(401)의 일부는, 제1 언로드 통로(41)에 면하지 않아도 된다.
제2 탠덤용 영역(402)은, 그 일부가 제2 언로드 통로(42)에 면하고, 다른 일부가, 밸브 본체(31)의 외부에 면하는 위치에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탠덤용 영역(402)은, 제2 브리지 통로(53b)의 중간 부분과 제2 언로드 통로(42)[하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b)]의 사이에 설정된다. 이에 의해, 제2 탠덤용 영역(402)에 있어서는, 밸브 본체(31)의 일측면으로부터 제2 브리지 통로(53b)의 중간 부분과 제2 언로드 통로(42)[하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b)]의 사이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제2 탠덤 통로(302)를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탠덤 통로(302)가 밸브 본체(31)의 내부에서 제2 언로드 통로(42)에 접속되는 구성일 때에는, 제2 탠덤용 영역(402)의 일부는, 제2 언로드 통로(42)에 면하도록 설정된다.
[영역(711∼714)의 위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규제 부재용 영역(711)은, 제1 패러렐용 영역(201)에 제1 패러렐 통로(101)가 형성되는 경우에, 제1 규제 부재용 영역(711) 중 일부가, 제1 패러렐 통로(101)와 브리지 통로(53)의 접속 위치에 면하고, 그 밖의 일부가, 방향 전환 밸브(30)의 외부에 면하는 위치에 설정된다. 이에 의해, 제1 규제 부재 설치부(701)를, 브리지 통로(53)의 내부, 제1 패러렐 통로(101)의 내부 및 방향 전환 밸브(30)의 외부에 연통하는 구멍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향 전환 밸브(30)의 외부로부터 제1 규제 부재 설치부(701)를 통하여, 제1 패러렐 통로(101)와 브리지 통로(53)의 사이에, 체크 밸브 또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규제 부재용 영역(711)은, 제1 브리지 통로(53a) 중 제2 브리지 통로(53b)와의 접속부측의 부분과, 제1 패러렐용 영역(201)과, 제1 공급 통로(51)에, 직경 방향에서 겹치는 위치에 설정된다.
제2 규제 부재용 영역(712)은, 제2 패러렐용 영역(202)에 제2 패러렐 통로(102)가 형성되는 경우에, 제2 규제 부재용 영역(712) 중 일부가, 제2 패러렐 통로(102)와 브리지 통로(53)의 접속 위치에 면하고, 그 밖의 일부가, 방향 전환 밸브(30)의 외부에 면하는 위치에 설정된다. 이에 의해, 제2 규제 부재 설치부(702)를, 브리지 통로(53)의 내부, 제2 패러렐 통로(102)의 내부 및 방향 전환 밸브(30)의 외부에 연통하는 구멍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향 전환 밸브(30)의 외부로부터 제2 규제 부재 설치부(702)를 통하여, 제2 패러렐 통로(102)와 브리지 통로(53)의 사이에, 체크 밸브 또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규제 부재용 영역(712)은, 제2 브리지 통로(53b) 중 제1 브리지 통로(53a)의 접속부측의 부분과, 제2 패러렐용 영역(202)과, 제2 공급 통로(52)에, 직경 방향에서 겹치는 위치에 설정된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규제 부재용 영역(713)은, 제1 탠덤용 영역(401)에 제1 탠덤 통로(301)가 형성되는 경우에, 제3 규제 부재용 영역(713) 중 일부가, 제1 탠덤 통로(301)와 브리지 통로(53)의 접속 위치에 면하고, 그 밖의 일부가, 방향 전환 밸브(30)의 외부에 면하는 위치에 설정된다. 이에 의해, 제3 규제 부재 설치부(703)를, 브리지 통로(53)의 내부, 제1 탠덤 통로(301)의 내부 및 방향 전환 밸브(30)의 외부에 연통하는 구멍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향 전환 밸브(30)의 외부로부터 제3 규제 부재 설치부(703)를 통하여, 제1 탠덤 통로(301)와 브리지 통로(53)의 사이에, 체크 밸브 또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규제 부재용 영역(713)은, 언로드 통로(41·42) 및 공급 통로(51·52)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제1 탠덤용 영역(401)에 겹치는 위치에 설정된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규제 부재용 영역(714)은, 제2 탠덤용 영역(402)에 제2 탠덤 통로(302)가 형성되는 경우에, 제4 규제 부재용 영역(714) 중 일부가, 제2 탠덤 통로(302)와 브리지 통로(53)의 접속 위치에 면하고, 그 밖의 일부가, 방향 전환 밸브(30)의 외부에 면하는 위치에 설정된다. 이에 의해, 제4 규제 부재 설치부(704)를, 브리지 통로(53)의 내부, 제2 탠덤 통로(302)의 내부 및 방향 전환 밸브(30)의 외부에 연통하는 구멍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향 전환 밸브(30)의 외부로부터 제4 규제 부재 설치부(704)를 통하여, 제2 탠덤 통로(302)와 브리지 통로(53)의 사이에, 체크 밸브 또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규제 부재용 영역(714)은, 언로드 통로(41·42) 및 공급 통로(51·52)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제2 탠덤용 영역(402)에 겹치는 위치에 설정된다.
(작동)
방향 전환 밸브(30)는, 방향 전환 밸브(30)의 조작(건설 기계의 조종자에 의한 조작, 예를 들어 레버 조작)에 따라서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조작에 따라서, 방향 전환 밸브(30)는, 중립 위치(30a)와, 제1 작동 위치(30b)와, 제2 작동 위치(30c)를 전환한다. 이 조작에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스풀(80)은, 스트로크 위치를 바꾼다. 그 결과, 스풀(80)은, 통로끼리의 접속의 유무, 및 접속의 개방도(밸브 개방도)를 전환한다. 그리고, 복수의 영역(201, 202, 401, 4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통로(101, 102, 301, 302)가 형성된 경우에, 제1 펌프 및 제2 펌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의 토출유의 액추에이터로의 기름의 공급 및 배출의 유무, 및 액추에이터에 대하여 공급 및 배출하는 기름의 유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스풀(80)은, 복수의 영역(201, 202, 401, 402)에 형성되는 통로(101, 102, 301, 302)의 패턴에 의해, 서로 다른 작동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브리지 통로(53)에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양쪽으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도록 통로(101, 102, 301, 302)가 형성된 경우와, 브리지 통로(53)에 제1 펌프만으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도록 통로(101, 102, 301, 302)가 형성된 경우와, 브리지 통로(53)에 제2 펌프만으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도록 통로(101, 102, 301, 302)가 형성된 경우에, 서로 다른 작동을 실시한다. 패턴마다, 서로 다른 작동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패턴에 대응한 스풀(80)이 사용된다.
<브리지 통로에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양쪽으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는 구성인 경우>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양쪽으로부터의 토출유가, 브리지 통로(53)에 흐르도록, 영역(201, 202, 401, 402)에 있어서 통로(101, 102, 301, 302)가 형성된 경우에는, 방향 전환 밸브(30)는, 이하와 같이 작동한다.
[중립 위치(30a)]
방향 전환 밸브(30)의 전환 위치가 중립 위치(30a)일 때, 방향 전환 밸브(3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작동 1a]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1 언로드 통로(41)를 완전 개방 상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a)와 하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b)를, 제1 언로드 통로용 절결부(81a)(도 4 참조)를 개재하여, 완전 개방 상태로 한다.
[작동 1b]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2 언로드 통로(42)를 완전 개방 상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방향 전환 밸브(30)는, 상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a)와 하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b)를, 제2 언로드 통로용 절결부(81b)(도 4 참조)를 통하여, 완전 개방 상태로 한다.
[작동 1c] 방향 전환 밸브(30)는, 브리지 통로(53)[제1 브리지 통로(53a) 및 제2 브리지 통로(53b)]를 차단 상태로 한다.
[작동 1d] 방향 전환 밸브(30)는, 액추에이터 통로(61·62)를 차단 상태로 한다.
[작동 1e] 방향 전환 밸브(30)는, 탱크 통로(45)를 차단 상태로 한다.
[작동 1f] 그 결과, 언로드 통로(41·42)가 탱크에 접속되는 경우에,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토출유는, 언로드 통로(41·42)를 통과하고, 탱크로 복귀되는 상태로 된다. 액추에이터 통로(61·62)가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경우에,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토출유는, 방향 전환 밸브(30)로부터 액추에이터로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제1 작동 위치(30b)]
전환 위치가 제1 작동 위치(30b)일 때의 방향 전환 밸브(30)는, 액추에이터 통로(61·62)에 대한 기름의 공급 및 배출을 하는 상태로 된다. 방향 전환 밸브(30)의 전환 위치가 제1 작동 위치(30b)일 때, 방향 전환 밸브(3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작동 2a]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1 언로드 통로(41)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도시생략)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방향 전환 밸브(30)는, 상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a)와 하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b)를, 제1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a)(도 4 참조)에 의해,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로 한다.
[작동 2b]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2 언로드 통로(42)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도시생략)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방향 전환 밸브(30)는, 상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a)와 하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b)를, 제3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c)(도 4 참조)에 의해,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로 한다.
[작동 2c]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1 브리지 통로(53a)[브리지 통로(53)]와, 제1 액추에이터 통로(61)를 접속 상태로 한다.
[작동 2d]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2 브리지 통로(53b)를 차단 상태로 한다.
[작동 2e]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2 액추에이터 통로(62)와 탱크 통로(45)를 접속 상태로 한다.
[작동 2f] 그 결과,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토출유는, 브리지 통로(53)에 흐르는 상태로 된다.
[작동 2g] 브리지 통로(53)를 흐르는 기름은, 제1 액추에이터 통로(61)를 흐르는 상태로 된다. 제1 액추에이터 통로(61)가 액추에이터에 접속된 경우에, 제1 액추에이터 통로(61)를 흐르는 기름이,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상태로 된다. 액추에이터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은, 제2 액추에이터 통로(62)를 통하여, 탱크 통로(45)를 흐르는 상태가 된다. 탱크 통로(45)를 흐르는 기름은, 탱크로 복귀하는 상태로 된다.
[제2 작동 위치(30c)]
전환 위치가 제2 작동 위치(30c)일 때의 방향 전환 밸브(30)는, 액추에이터 통로(61·62)에 대한 기름의 공급 및 배출을 하는 상태로 된다. 방향 전환 밸브(30)의 전환 위치가 제2 작동 위치(30c)일 때, 방향 전환 밸브(3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작동 3a]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1 언로드 통로(41)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방향 전환 밸브(30)는, 상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a)와 하류측 제1 언로드 통로(41b)를, 제3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c)(도 2 참조)에 의해,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로 한다.
[작동 3b]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2 언로드 통로(42)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도시생략)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방향 전환 밸브(30)는, 상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a)와 하류측 제2 언로드 통로(42b)를, 제2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83b)(도 2 참조)에 의해,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로 한다.
[작동 3c]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2 브리지 통로(53b)[브리지 통로(53)]와, 제2 액추에이터 통로(62)를 접속 상태로 한다.
[작동 3d]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1 브리지 통로(53a)를 차단 상태로 한다.
[작동 3e]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1 액추에이터 통로(61)와 탱크 통로(45)를 접속 상태로 한다.
[작동 3f] 그 결과,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토출유는, 브리지 통로(53)에 흐르는 상태로 된다.
[작동 3g] 브리지 통로(53)를 흐르는 기름은, 제2 액추에이터 통로(62)를 흐르는 상태로 된다. 제2 액추에이터 통로(62)가 액추에이터에 접속된 경우에, 제2 액추에이터 통로(62)를 흐르는 기름이,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상태로 된다. 액추에이터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은, 제1 액추에이터 통로(61)를 통하여, 탱크 통로(45)를 흐르는 상태가 된다. 탱크 통로(45)를 흐르는 기름은, 탱크로 복귀하는 상태로 된다.
<브리지 통로에 제1 펌프만으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는 구성인 경우>
제1 펌프로부터의 토출유만이, 브리지 통로(53)에 흐르도록, 영역(201, 202, 401, 402)에 있어서 통로(101, 102, 301, 302)가 형성된 경우에는,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1 작동 위치(30b)에 있어서, 이하와 같이 작동한다.
[작동 2a-1]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1 언로드 통로(41)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도시생략)로 한다.
[작동 2b-1]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2 언로드 통로(42)를, 완전 개방 상태로 한다.
[작동 2f-1] 제1 펌프의 토출유는, 브리지 통로(53)에 흐르는 상태로 된다.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2 작동 위치(30c)에 있어서, 이하와 같이 작동한다.
[작동 3a-1]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1 언로드 통로(41)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도시생략)로 한다.
[작동 3b-1]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2 언로드 통로(42)를, 완전 개방 상태로 한다.
[작동 3f-1] 제1 펌프의 토출유는, 브리지 통로(53)에 흐르는 상태로 된다. 그 밖의 구성은, 브리지 통로(53)에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양쪽으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는 구성인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브리지 통로에 제2 펌프만으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는 구성인 경우>
제2 펌프로부터의 토출유만이, 브리지 통로(53)에 흐르도록, 영역(201, 202, 401, 402)에 있어서 통로(101, 102, 301, 302)가 형성된 경우에는,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1 작동 위치(30b)에 있어서, 이하와 같이 작동한다.
[작동 2a-2]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1 언로드 통로(41)를, 완전 개방 상태로 한다.
[작동 2b-2]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2 언로드 통로(42)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도시생략)로 한다.
[작동 2f-2] 제2 펌프의 토출유는, 브리지 통로(53)에 흐르는 상태로 된다.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2 작동 위치(30c)에 있어서, 이하와 같이 작동한다.
[작동 3a-2]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1 언로드 통로(41)를, 완전 개방 상태로 한다.
[작동 3b-2] 방향 전환 밸브(30)는, 제2 언로드 통로(42)를, 차단 상태 또는 교축 상태(도시생략)로 한다.
[작동 3f-2] 제2 펌프의 토출유는, 브리지 통로(53)에 흐르는 상태로 된다.
그 밖의 구성은, 브리지 통로(53)에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양쪽으로부터의 토출유가 흐르는 구성인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효과 1)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방향 전환 밸브(30)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 방향 전환 밸브(30)는, 스풀 구멍(33)이 형성된 밸브 본체(31)와, 스풀 구멍(33)에 삽입된 스풀(80)을 구비한다. 밸브 본체(31)는, 스풀 구멍(33)에 개구하고, 제1 펌프에 접속되는 제1 언로드 통로(41)와, 스풀 구멍(33)에 개구하고, 제2 펌프에 접속되는 제2 언로드 통로(42)와, 스풀 구멍(33)에 직접적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 펌프에 접속 가능한 제1 공급 통로(51)와, 스풀 구멍(33)에 직접적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2 펌프에 접속 가능한 제2 공급 통로(52)와, 스풀 구멍(33)에 개구하고,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액추에이터 통로(61·62)와, 스풀 구멍(33)에 개구하는 브리지 통로(53)를 갖는다. 밸브 본체(31)는 또한, 제1 공급 통로(51)와 브리지 통로(53)를 접속하는 제1 패러렐 통로(101)를 형성 가능한 제1 패러렐용 영역(201)과, 제2 공급 통로(52)와 브리지 통로(53)를 접속하는 제2 패러렐 통로(102)를 형성 가능한 제2 패러렐용 영역(202)과, 제1 언로드 통로(41)와 브리지 통로(53)를 접속하는 제1 탠덤 통로(301)를 형성 가능한 제1 탠덤용 영역(401)과, 제2 언로드 통로(302)와 브리지 통로(53)를 접속하는 제2 탠덤 통로(302)를 형성 가능한 제2 탠덤용 영역(402)을 갖는다. 스풀(80)은, 그 위치에 의해, 브리지 통로(53)와 액추에이터 통로(61·62)와 접속 및 차단을 전환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패러렐용 영역(201), 제2 패러렐용 영역(202), 제1 탠덤용 영역(401) 및 제2 탠덤용 영역(402) 중으로부터, 통로(101, 102, 301, 302)를 선택적으로 1개 또는 복수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펌프(제1 펌프, 제2 펌프)와 브리지 통로(53)를 접속하는 복수 종류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스풀(80)은, 그 위치에 따라 브리지 통로(53)와 액추에이터 통로(61·62)의 접속 및 차단을 전환한다. 이에 의해, 선택적으로 형성된 통로(101, 102, 301, 302)에 따른 복수 종류의 통로 패턴으로, 펌프로부터 브리지 통로(53)에 기름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방향 전환 밸브(30)에 의하면, 제1 패러렐용 영역(201), 제2 패러렐용 영역(202), 제1 탠덤용 영역(401) 및 제2 탠덤 영역(402) 중으로부터, 통로(101, 102, 301, 302)를 선택적으로 1개 또는 복수 형성함으로써, 펌프로부터 액추에이터로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통로 패턴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밖의 효과)
밸브 본체(31)는, 제1 규제 부재용 영역(711)과, 제2 규제 부재용 영역(712)과, 제3 규제 부재용 영역(713)과, 제4 규제 부재용 영역(714)을 갖는다. 제1 규제 부재용 영역(711)은, 제1 패러렐용 영역(201)에 제1 패러렐 통로(101)가 형성된 경우에, 제1 패러렐 통로(101)와 브리지 통로(53)의 사이에 체크 밸브 또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제1 규제 부재 설치부(701)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다. 제2 규제 부재용 영역(712)은, 제2 패러렐용 영역(202)에 제2 패러렐 통로(102)가 형성된 경우에, 제2 패러렐 통로(102)와 브리지 통로(53)의 사이에 체크 밸브 또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제2 규제 부재 설치부(702)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다. 제3 규제 부재용 영역(713)은, 제1 탠덤용 영역(401)에 제1 탠덤 통로(301)가 형성된 경우에, 제1 탠덤 통로(301)와 브리지 통로(53)의 사이에 체크 밸브 또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제3 규제 부재 설치부(703)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다. 제4 규제 부재용 영역(714)은, 제2 탠덤용 영역(402)에 제2 탠덤 통로(302)가 형성된 경우에, 제2 탠덤 통로(302)와 브리지 통로(53)의 사이에 체크 밸브 또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제4 규제 부재 설치부(704)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패러렐용 영역(201)에 제1 패러렐 통로(101)가 형성된 경우에, 브리지 통로(53)로부터 제1 패러렐 통로(101)로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압 회로에 있어서 적절하게 기름을 통류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패러렐용 영역(201)에 형성된 제1 패러렐 통로(101)가 불필요하게 되는 경우에, 브리지 통로(53)와 제1 패러렐 통로(101)의 연통을 차단하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방향 전환 밸브(30)에 있어서의, 펌프로부터 액추에이터로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 패턴을, 서로 다른 통로 패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2 규제 부재용 영역(712), 제3 규제 부재용 영역(713) 및 제4 규제 부재용 영역(714)도, 제1 규제 부재용 영역(71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방향 전환 밸브(30)에 있어서 펌프로부터 액추에이터로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통로 패턴을, 선택적으로 형성한 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6은, 통로 패턴이 형성된 도 1의 방향 전환 밸브[30(30A, 30B)]가 복수 적용된 건설 기계용 유압 회로(1)[이하, 유압 회로(1)라 기재함]를 나타내고 있다. 유압 회로(1)는, 건설 기계(도시생략)에 사용되는 유압 회로이다. 건설 기계는, 건설 작업을 행하기 위한 기계이다. 건설 기계는, 예를 들어 유압 셔블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회로(1)는, 펌프(11·12)와, 탱크(15)와, 액추에이터[20(20A, 20B)]와, 통로 패턴이 형성된 도 1 내지 도 5의 방향 전환 밸브(30) (30A, 30B)를 구비한다.
펌프(11·12)는, 기름(압유, 작동유)을 토출하는 유압 펌프이다. 펌프(11·12)는 용량 가변형이다. 펌프(11·12)에서는, 경사판의 틸팅각이 바뀜으로써 용량이 바뀌고, 용량이 바뀌면 토출량(입력축 1회전당 기름의 토출량)이 바뀐다. 펌프(11·12)는, 2개의 펌프로 구성된다. 펌프(11·12)는 제1 펌프(11)와, 제2 펌프(12)를 구비한다. 펌프(11·12)는, 예를 들어 스플릿 펌프이다. 스플릿 펌프는, 1개의 입력축에 의해, 복수의 펌프[제1 펌프(11) 및 제2 펌프(12)]가 구동되는 펌프이다. 스플릿 펌프에서는, 제1 펌프(11)와 제2 펌프(12)가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스플릿 펌프에서는, 제1 펌프(11)의 토출량과 제2 펌프(12)의 토출량이 동등하다. 또한, 펌프(11·12)는 스플릿 펌프가 아니어도 된다. 제1 펌프(11)와 제2 펌프(12)는, 별체이어도 된다. 제1 펌프(11)의 입력축과 제2 펌프(12)의 입력축은, 공통이어도 되며, 공통이지 않아도 된다. 제1 펌프(11)의 토출량과 제2 펌프(12)의 토출량은, 동일하여도 되며, 상이하여도 된다.
탱크(15)는, 기름을 저류한다. 탱크(15)는, 펌프(11·12)에 기름을 공급한다. 탱크(15)에는, 펌프(11·12)로부터 토출되고, 액추에이터(20)를 통과한 기름이 복귀된다. 탱크(15)에는, 펌프(11·12)로부터 토출되고, 액추에이터(20)를 통과하지 않은 기름이 복귀된다.
액추에이터(20)는, 건설 기계를 작동시킨다. 액추에이터(20)는, 펌프(11·12)로부터 기름이 공급됨으로써 구동하는, 유압 액추에이터이다. 액추에이터(20)는, 제1 펌프(11) 및 제2 펌프(12)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기름이 공급됨으로써 구동한다. 건설 기계가 유압 셔블의 경우, 액추에이터(20)의 용도에는, 주행용, 선회용, 버킷 회전용, 아암 기복용, 및 붐 기복용 등이 있다.
도면 중의 액추에이터(20A)는, 일례로서, 붐에 대하여 아암을 기복(상승 하강, 회전)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아암용 실린더)이다. 액추에이터(20B)는, 일례로서, 하부 주행체에 대하여 상부 선회체를 선회시키기 위한 유압 모터(선회용 모터)이다. 액추에이터(20A) 및 액추에이터(20B)의 각각은, 제1 포트(21) 및 제2 포트(22)를 갖는다. 제1 포트(21) 및 제2 포트(22)의 각각은, 액추에이터(20)에 대한 기름의 공급구 및 배출구이다. 제1 포트(21)에 기름이 공급되고, 또한 제2 포트(22)로부터 기름이 배출됨으로써, 액추에이터(20)는 일측으로 작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가 늘어나거나, 또한 예를 들어, 유압 모터(도시생략)가 일측으로 회전한다. 제2 포트(22)에 기름이 공급되고, 또한 제1 포트(21)로부터 기름이 배출됨으로써, 액추에이터(20)는 타측(상기「일측」과는 반대측)으로 작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가 줄어들거나, 또한 예를 들어, 유압 모터가 타측으로 회전한다.
유압 회로(1)에서는, 각각 서로 다른 통로 패턴이 형성된 도 1의 방향 전환 밸브[30(30A, 30B)]가 적용되어 있다. 방향 전환 밸브(30A)는, 제1 펌프(11) 및 제2 펌프(12)와 액추에이터(20A)의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 제1 펌프(11) 및 제2 펌프(12)와 액추에이터(20A)에 접속되어 있다. 방향 전환 밸브(30A)는, 탱크(15)에 접속되어 있다. 방향 전환 밸브(30B)는, 제1 펌프(11) 및 제2 펌프(12)와 액추에이터(20B)의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 제1 펌프(11) 및 제2 펌프(12)와 액추에이터(20B)에 접속되어 있다. 방향 전환 밸브(30B)는, 탱크(15)에 접속되어 있다.
방향 전환 밸브(30A)는, 제1 펌프(11) 및 제2 펌프(12)와, 탱크(15)의 사이에 있어서, 방향 전환 밸브(30B)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방향 전환 밸브(30A)는, 방향 전환 밸브(30B)의 언로드 통로(41·42)를 통해 제1 펌프(11) 및 제2 펌프(12)에 접속되어 있다. 방향 전환 밸브(30B)는, 방향 전환 밸브(30A)의 언로드 통로(41·42)를 통해 탱크(15)에 접속되어 있다.
방향 전환 밸브(30A)에서는, 제1 패러렐용 영역(201)에 제1 패러렐 통로(10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패러렐용 영역(202)에 제2 패러렐 통로(10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탠덤용 영역(401)에 제1 탠덤 통로(30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탠덤용 영역(402)에 제2 탠덤 통로(30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펌프(11) 및 제2 펌프(12)의 토출유를, 4개의 통로(101, 102, 301, 302)로부터 브리지 통로(53)를 통해 액추에이터(20A)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방향 전환 밸브(30A)에서는, 제1 규제 부재용 영역(711)에 제1 규제 부재 설치부(70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규제 부재용 영역(712)에 제2 규제 부재 설치부(702)가 형성되어 있다. 제3 규제 부재용 영역(713)에 제3 규제 부재 설치부(703)가 형성되어 있다. 제4 규제 부재용 영역(714)에 제4 규제 부재 설치부(70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규제 부재 설치부(701)에는, 브리지 통로(53)로부터 제1 패러렐 통로(101)로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71)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규제 부재 설치부(702)에는, 브리지 통로(53)로부터 제2 패러렐 통로(102)로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72)가 설치되어 있다. 제3 규제 부재 설치부(703)에는, 브리지 통로(53)로부터 제1 탠덤 통로(301)로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73)가 설치되어 있다. 제4 규제 부재 설치부(704)에는, 브리지 통로(53)로부터 제2 탠덤 통로(302)로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7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체크 밸브(71), 체크 밸브(72), 체크 밸브(73), 및 체크 밸브(74)에서는, 각각에서 교축량을 상이하게 설정함으로써, 어느 쪽의 통로(101, 102, 301, 302)로부터 브리지 통로(53)로 기름이 우선적으로 공급될지를 조정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는, 제1 패러렐 통로(101), 제2 패러렐 통로(102), 제1 탠덤 통로(301) 및 제2 탠덤 통로(302)의 형성 상태, 제1 규제 부재 설치부(701), 제2 규제 부재 설치부(702), 제3 규제 부재 설치부(703) 및 제4 규제 부재 설치부(704)의 형성 상태, 체크 밸브(71), 체크 밸브(72), 체크 밸브(73) 및 체크 밸브(74)의 배치 상태가 나타나 있다. 통로(101, 102, 301, 302)의 형성은, 예를 들어 절삭 가공에 의해 행해진다. 마찬가지로, 설치부(701∼704)의 형성은, 예를 들어 절삭 가공에 의해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제1 패러렐 통로(101) 및 제2 패러렐 통로(102)는, 제1 규제 부재 설치부(701) 및 제2 규제 부재 설치부(702)가 밸브 본체(31)의 외부로부터 공구에서 형성된 후에, 이들 제1 규제 부재 설치부(701) 및 제2 규제 부재 설치부(702)를 통과하여, 공구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 전환 밸브(30B)에서는, 제1 패러렐용 영역(201)에 제1 패러렐 통로(10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패러렐용 영역(202)에 제2 패러렐 통로(102)가 형성되지 않는다. 제1 탠덤용 영역(401)에 제1 탠덤 통로(30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탠덤용 영역(402)에 제2 탠덤 통로(302)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펌프(11)만의 토출유를, 2개의 통로(101, 301)로부터 브리지 통로(53)를 통해 액추에이터(20B)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방향 전환 밸브(30B)에서는, 제1 규제 부재용 영역(711)에 제1 규제 부재 설치부(70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규제 부재용 영역(712)에 제2 규제 부재 설치부(702)가 형성되지 않는다. 제3 규제 부재용 영역(713)에 제3 규제 부재 설치부(703)가 형성되어 있다. 제4 규제 부재용 영역(714)에 제4 규제 부재 설치부(704)가 형성되지 않는다. 제1 규제 부재 설치부(701)에는, 브리지 통로(53)로부터 제1 패러렐 통로(101)로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71)가 설치되어 있다. 제3 규제 부재 설치부(703)에는, 브리지 통로(53)로부터 제1 탠덤 통로(301)로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73)가 설치되어 있다. 통로(101, 301)의 형성은, 예를 들어 절삭 가공에 의해 행해진다. 마찬가지로, 설치부(701, 703)의 형성은, 예를 들어 절삭 가공에 의해 행해진다.
이와 같이, 도 1의 방향 전환 밸브(30)에 의하면, 제1 패러렐용 영역(201), 제2 패러렐용 영역(202), 제1 탠덤용 영역(401) 및 제2 탠덤용 영역(402) 중에서 통로(101, 102, 301, 302)를 선택적으로 1개 또는 복수 형성함으로써, 펌프로부터 액추에이터로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통로 패턴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방향 전환 밸브(30)에서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예 외에도 복수의 통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패러렐 통로(102)만을 형성한 경우에는, 제2 펌프(12)만으로부터의 토출유를, 1개의 통로로부터 브리지 통로(52)를 통해 액추에이터로 공급하는 통로 패턴이 형성 가능하다.
1: 건설 기계용 유압 회로
11: 제1 펌프
12: 제2 펌프
15: 탱크
20, 20A, 20B: 액츄에이터
21: 제1 포토
22: 제2 포토
30, 30A, 30B: 방향 전환 밸브
30a: 중립 위치
30b: 제1 작동 위치
30c: 제2 작동 위치
31: 밸브 본체
33: 스풀 구멍
41: 제1 언로드 통로
41a: 상류측 제1 언로드 통로
41b: 하류측 제1 언로드 통로
42: 제2 언로드 통로
42a: 상류측 제2 언로드 통로
42b: 하류측 제2 언로드 통로
45: 탱크 통로
51: 제1 공급 통로
52: 제2 공급 통로
53: 브리지 통로
53a: 제1 브리지 통로
53b: 제2 브리지 통로
61: 제1 액추에이터 통로
62: 제2 액추에이터 통로
71, 72, 73, 74: 체크 밸브
80: 스풀
81: 절결부
81a: 제1 언로드 통로용 절결부
81b: 제2 언로드 통로용 절결부
83: 랜브부
83a: 제1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
83b: 제2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
83c: 제3 언로드 통로용 랜드부
101: 제1 패러렐 통로
102: 제2 패러렐 통로
201: 제1 패러렐용 영역
202: 제2 패러렐용 영역
301: 제1 탠덤 통로
302: 제2 탠덤 통로
401: 제1 탠덤용 영역
402: 제2 탠덤용 영역
701: 제1 규제 부재 설치부
702: 제2 규제 부재 설치부
703: 제3 규제 부재 설치부
704: 제4 규제 부재 설치부
711: 제1 규제 부재용 영역
712: 제2 규제 부재용 영역
713: 제3 규제 부재용 영역
714: 제4 규제 부재용 영역

Claims (1)

  1. 스풀 구멍이 형성된 밸브 본체와,
    상기 스풀 구멍에 삽입된 스풀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본체는,
    상기 스풀 구멍에 개구하고, 제1 펌프에 접속되는 제1 언로드 통로와,
    상기 스풀 구멍에 개구하고, 제2 펌프에 접속되는 제2 언로드 통로와,
    상기 스풀 구멍에 직접적으로 개구하지 않고, 상기 제1 펌프에 접속 가능한 제1 공급 통로와,
    상기 스풀 구멍에 직접적으로 개구하지 않고, 상기 제2 펌프에 접속 가능한 제2 공급 통로와,
    상기 스풀 구멍에 개구하고,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액추에이터 통로와,
    상기 스풀 구멍에 개구하는 브리지 통로와,
    상기 제1 공급 통로와 상기 브리지 통로를 접속하는 제1 패러렐 통로를 형성 가능한 제1 패러렐용 영역과,
    상기 제2 공급 통로와 상기 브리지 통로를 접속하는 제2 패러렐 통로를 형성 가능한 제2 패러렐용 영역과,
    상기 제1 언로드 통로와 상기 브리지 통로를 접속하는 제1 탠덤 통로를 형성 가능한 제1 탠덤용 영역과,
    상기 제2 언로드 통로와 상기 브리지 통로를 접속하는 제2 탠덤 통로를 형성 가능한 제2 탠덤용 영역을 갖고,
    상기 스풀은, 그 위치에 따라 상기 브리지 통로와 상기 액추에이터 통로의 접속 및 차단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 밸브.
KR1020160009352A 2015-01-28 2016-01-26 방향 전환 밸브 KR101790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14773A JP6552829B2 (ja) 2015-01-28 2015-01-28 方向切換弁
JPJP-P-2015-014773 2015-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935A KR20160092935A (ko) 2016-08-05
KR101790427B1 true KR101790427B1 (ko) 2017-10-25

Family

ID=5655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352A KR101790427B1 (ko) 2015-01-28 2016-01-26 방향 전환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52829B2 (ko)
KR (1) KR101790427B1 (ko)
CN (1) CN1058227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3421B2 (ja) * 2016-02-08 2020-10-21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方向切換弁及び油圧システム
JP6755814B2 (ja) 2017-02-09 2020-09-1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方向切換弁
CN108797696A (zh) * 2018-07-06 2018-11-13 佛山信卓派思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挖掘机操作模式切换控制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8170A (ja) 2002-10-18 2004-05-13 Nabco Ltd 方向切換弁
JP3763045B2 (ja) 1995-10-03 2006-04-05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多連式方向切換弁のシャトル弁機構
JP2014037862A (ja) 2012-08-15 2014-02-27 Kayaba Ind Co Ltd 切換弁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64282C3 (de) * 1973-12-22 1983-01-13 O & K Orenstein & Koppel Ag, 1000 Berlin Schaltungsanordnung für Hydraulikmotoren
JPS5842803A (ja) * 1981-09-08 1983-03-12 Handoothe- Kogyo Kk コントロ−ルバルブとこれを使用した作業機の回路
JPS58127205U (ja) * 1982-02-22 1983-08-29 株式会社ナブコ アクチユエ−タの駆動回路
JPH08184301A (ja) * 1994-10-31 1996-07-16 Kayaba Ind Co Ltd 油圧制御装置
JP3662676B2 (ja) 1996-07-08 2005-06-22 東芝機械株式会社 油圧ショベルの油圧回路
JPH10267142A (ja) * 1997-03-26 1998-10-09 Kayaba Ind Co Ltd 4位置切換弁
JPH11257303A (ja) * 1998-03-12 1999-09-21 Kayaba Ind Co Ltd 切換弁
JP4276491B2 (ja) * 2003-08-04 2009-06-10 日立建機株式会社 方向切換弁ブロック
DE10336334B3 (de) * 2003-08-08 2005-08-04 Cnh Baumaschinen Gmbh Hydraulisches Steuersystem für Baumaschinenen, insbesondere für Bagger
JP4994051B2 (ja) * 2007-01-26 2012-08-08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油圧制御装置
JP5764217B2 (ja) * 2010-11-25 2015-08-12 ボルボ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イクイップメント アーベー 建設機械用流量制御弁
JP5916450B2 (ja) * 2012-03-15 2016-05-11 Kyb株式会社 切換バルブ
JP5975463B2 (ja) 2012-05-16 2016-08-23 Kyb株式会社 バルブ装置
CN203641577U (zh) * 2014-01-26 2014-06-11 温岭市金盾工程机械制造有限公司 多路阀中升降阀片结构
JP6522320B2 (ja) * 2014-11-11 2019-05-2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方向切換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3045B2 (ja) 1995-10-03 2006-04-05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多連式方向切換弁のシャトル弁機構
JP2004138170A (ja) 2002-10-18 2004-05-13 Nabco Ltd 方向切換弁
JP2014037862A (ja) 2012-08-15 2014-02-27 Kayaba Ind Co Ltd 切換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935A (ko) 2016-08-05
JP6552829B2 (ja) 2019-07-31
CN105822793A (zh) 2016-08-03
CN105822793B (zh) 2018-02-06
JP2016138619A (ja)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3421B2 (ja) 方向切換弁及び油圧システム
KR20170037835A (ko) 방향 전환 밸브 및 유압 시스템
JP6514522B2 (ja) アンロード弁および油圧ショベルの油圧駆動システム
KR101790427B1 (ko) 방향 전환 밸브
US20200348699A1 (en) Valve device
KR102652880B1 (ko) 유량 제어 밸브
KR20170038160A (ko) 방향 전환 밸브 및 유압 시스템
KR20180121958A (ko) 유체압 제어 장치
US10233614B2 (en)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KR101831494B1 (ko) 방향 전환 밸브
JP6423754B2 (ja) 流量制御弁
JP6822930B2 (ja) 流量制御弁
JP7026005B2 (ja) 流体圧制御装置
US11339884B2 (en) Valve device
KR102500484B1 (ko) 방향 전환 밸브
JP6505630B2 (ja) 方向制御弁
JP3741244B2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JP2020148233A (ja) 制御弁及び建設機械用油圧システム
JP7121641B2 (ja) 流体圧制御装置
WO2023189986A1 (ja) 流量制御弁
WO2023189508A1 (ja) 方向制御弁
JP7440221B2 (ja) 弁、流体制御弁、流体システムおよび建設機械
JP7332383B2 (ja) 流体制御弁、流体システムおよび建設機械
JPH08170353A (ja) 多連式方向切換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