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489B1 -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음식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음식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489B1
KR101783489B1 KR1020117029725A KR20117029725A KR101783489B1 KR 101783489 B1 KR101783489 B1 KR 101783489B1 KR 1020117029725 A KR1020117029725 A KR 1020117029725A KR 20117029725 A KR20117029725 A KR 20117029725A KR 101783489 B1 KR101783489 B1 KR 101783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ne
leaves
tea
extraction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2756A (ko
Inventor
에미코 후나카와
도모노리 안도
게이시로 요시다
스스무 시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ublication of KR20120042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1/48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6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4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10Securing foodstuffs on a non-edible supporting memb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하고 기호성에 문제가 없는 폴리아민 함유 음식품, 또한 동식물 소재 또는 Camellia 속의 차 나무의 잎, 줄기에 염 용액을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염이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및 염화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동식물 소재가 연어 어백, 돼지의 간장, 맥아, 대두, 낫토, 우롱차잎, 홍차잎, 기석차잎, 검은 콩, 감잎, 및 녹차잎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다.

Description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음식품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POLYAMINE-CONTAINING FOOD OR DRINK}
본 발명은 간편하고, 기호성에 문제가 없는 폴리아민 함유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민은 저분자 생리 활성 물질이고, 세포 내에 다량으로 존재하고, 그 염기성과 간편함 때문에 세포 내의 DNA·RNA 등 여러 산성 물질과 상호 작용하여, 세포 증식·분화에 다양한 매우 흥미로운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최근 폴리아민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폴리아민은 제 1 급 아미노기를 2 개 이상 갖는 직사슬형의 지방족 탄화수소의 총칭이며, 대표적인 폴리아민으로서 푸트레신, 스페르미딘, 스페르민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민이 생리 작용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농도는 푸트레신 > 스페르미딘 > 스페르민의 순서이고, 그 생리 작용에 관해서는 각각에 4 ∼ 8 배의 차이가 있고, 스페르민이 가장 저농도로 효과를 발휘한다 (신비의 생명 물질 - 폴리아민 - 미래의 생물 과학 시리즈 28, 쿄리츠 출판 1993 p46-48, 78-80).
폴리아민의 생리 작용으로는, (1) 세포 증식 작용, (2) 세포 분화 촉진 작용, (3) 면역 필수 인자, (4) 항알레르기 작용, (5) 단백질 합성 촉진 작용, (6) 핵산과의 상호 작용에 의한 구조의 안정화, (7) 효소 활성 조절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급성의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 (J Exp Med. May 19 ; 185 (10) : 1759-1768. 1997, Lancet. Sep 20 ; 350 (9081) : 861-862 1997.) 과 함께, 만성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 (재공표 공보 2004/073701호, J Immunol. Jul 1 ; 175(1) : 237-245. 2005.) 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만성 염증에서 유발되는 가령 (加齡) 에 수반되는 질환의 진행을 억제하는 작용이 기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폴리아민이 갖는 여러 효과가 밝혀짐에 따라, 폴리아민을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게 되었다. 음식 중의 폴리아민은 장관 (腸管) 으로부터 신속하게 흡수되고, 단시간에 몸의 각 조직의 세포 내로 이행되는 것이 밝혀져 있다. 폴리아민의 1 일 섭취량은 성인에서 거의 350 - 550 μ㏖ 로 생각되고 있지만, 음식에 따라 폴리아민 함량의 편향이 심하다. 예를 들어 콩류나 버섯류에 스페르미딘이나 스페르민이 많지만, 지역의 식생활 차이에 따라, 섭취하는 폴리아민의 종류와 양에 차이가 크다. 따라서, 간편하게 폴리아민을 섭취할 수 있는 제품이 있으면, 여러 생리 작용을 갖는 폴리아민을 양, 질 모두 보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리아민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종래부터 여러 폴리아민을 추출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95483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8663호는 유(乳), 유 소재로부터의 폴리아민의 제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이온 교환 수지, 합성 흡착제의 사용 및, 그 탈착에 염산, 황산 등의 무기산, 카티온을 함유하는 무기산을 사용하는 방법, 또는 pH 5.5 이하에서 한외 여과하는 방법과 같은, 복잡한 추출 방법이다. 따라서 산을 사용하거나 pH 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추출 후의 폴리아민의 정제도 곤란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45493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52291호는 효모 균체로부터의 폴리아민의 제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뉴클레아제 처리, 알칼리 가수분해 또는 산성 조건하에서의 처리를 실시하고 있고, 산이나 알칼리로 추출하고 있기 때문에, 추출 후의 폴리아민의 정제가 곤란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06025호는 동물 장기로부터의 폴리아민의 제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산 용액을 첨가하는 것에 의한 폴리아민의 추출이기 때문에, 추출 후의 폴리아민의 정제가 곤란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38094호는 백자(白子)로부터의 폴리아민의 제조를 개시 하고 있다. 이 방법은 단백질 분해 효소나 핵산 분해 효소를 사용하는 방법, 혹은 광산을 첨가하여 산성 조건하에서 폴리아민을 추출하는 방법이고, 효소나 산을 사용하기 위해 처리의 수고, 비용이 들고, 또한 추출 후의 폴리아민의 정제가 곤란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01624호는 차류로부터의 폴리아민의 제조를 개시 하고 있다. 이 방법도 산성 조건하에서 추출하고 있기 때문에 추출 후의 폴리아민의 정제가 곤란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폴리아민의 추출 방법에 있어서는, 복잡한 추출 공정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드는 것과 함께, 산이나 알칼리를 사용한 처리를 포함하기 때문에, 음식품에 사용하기에는 반드시 정제 공정이 필요해진다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따라서, 폴리아민을 섭취할 수 있는 음식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비용이 들지 않는 새로운 폴리아민의 추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추출 공정, 정제 공정을 거치지 않고, 안전하고 간편하게 동식물 소재로부터 폴리아민을 추출하고, 그것을 함유하는, 기호성에 문제가 없는 음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종 폴리아민 추출 방법을 검토한 결과, 산, 염기의 사용 또는 산, 알칼리로의 pH 조정, 이온 교환 수지 등을 사용하지 않고, 매우 간편한 염만을 사용한 추출에 의해 폴리아민이 동식물 소재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은 동식물 소재에 염을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민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식품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민 추출물을 추가로 정제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민 제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폴리아민 제제를 함유하는 음식품이다.
본 발명품은 츄잉껌, 캔디, 정과, 구미 젤리, 초콜릿, 비스켓 등의 과자, 아이스크림, 샤벳, 빙과 등의 냉과 (冷菓), 음료, 스프 그리고 잼 등의 음식품에 배합, 혹은 음식품 원재료로부터 직접 추출함으로써 배합할 수 있어 일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 은 폴리아민차의 제 1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 는 폴리아민차의 제 2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동식물 소재에 염을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민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풍미의 면에서 중성염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과 같은 염을 들 수 있다. 특히 추출력이 높고, 또 영양면에서 생각해도 바람직한 염으로서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을 들 수 있다.
종래의 폴리아민의 추출에는 산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음식품으로 하려면 맛에 영향이 크고 반드시 정제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염에 의해 동식물 소재로부터 폴리아민이 효율적으로 추출되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고, 본 발명의 폴리아민의 추출 방법은, 염만의 사용이기 때문에, 음식품 첨가시에 희석되어 제품으로서 문제가 없는 염 농도로 조정할 수 있고, 음식품에 대한 사용이 용이하고, 한층 더 간편한 제법이기 때문에 비용도 억제되는 획기적인 추출법이다.
동식물 소재로부터의 폴리아민의 추출 효과를, 물, 산, 및 염을 사용하여 검토한 예를 이하의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98504260-pct00001
상기 표 1 중에 있어서, Put 는 푸트레신, Spd 는 스페르미딘, Spm 은 스페르민을 의미한다.
상기 표 1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폴리아민은 수추출로는 추출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산을 사용하여 추출되지만, 염을 사용해도 추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한 동식물 소재는 연어 어백, 돼지의 간장, 맥아, 대두, 낫토, 우롱차잎, 홍차잎, 기석차잎, 검은 콩, 엽차, 감잎, 및 녹차잎이지만, 특히, 동식물 소재 중에서도, 찻잎에는 높은 농도로 폴리아민이 존재하고, 또한 생리 활성이 높은 스페르민이 풍부하게 함유되는, 매우 좋은 소재이다. 폴리아민의 생리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현시키기 위해서, 녹차는 용이하게 섭취하기 쉬운 음료 형태이며, 기호성, 시장성으로부터 바람직하다.
그러나, 통상적인 녹차 음료 제법에서는 녹차 중에 폴리아민은 추출되지 않는 것이 밝혀져 있다 (J Biochem. Jan ; 139 (1) : 81-90. 2006, Biosci Biotechnol Biochem. Sep ; 61 (9) : 1582-1584. 1997.). 이 문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법을 찻잎의 추출에 사용함으로써, 폴리아민을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새로운 녹차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법에 의하면, 찻잎 1 g 으로부터 푸트레신 1 ∼ 1000 n㏖, 스페르미딘 1 ∼ 1000 n㏖, 스페르민 1 ∼ 1000 n㏖ 을 추출할 수 있고, 찻잎 사용량에 따라 녹차 중에 1 n㏖ ∼ 1000 μ㏖ 의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완전히 신규한 기능성 음료가 얻어진다.
또, 이하의 실시예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동식물 소재가 Camellia 속의 식물인 차 나무의 잎 및/또는 줄기로부터 취할 수 있는 녹차잎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동식물 소재에 염을 첨가하여 추출하는 폴리아민 추출물의 제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민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식품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츄잉껌, 캔디, 정과, 구미 젤리, 초콜릿, 비스켓 등의 과자, 아이스크림, 샤벳, 빙과 등의 냉과, 음료, 스프 그리고 잼 등의 음식품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식품에 있어서의 폴리아민의 함유량은 음식품의 종류에 따라 바뀔 수 있는데, 폴리아민을 한끼분에 0.2 ∼ 500 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식품으로서 녹차 음료도 들 수 있고, 이 녹차 음료에 있어서의 폴리아민의 함유량은 폴리아민을 0.2 ∼ 500 μ㏖/ℓ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차의 염에 의한 폴리아민의 추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시료로는 상기의 염에 의한 폴리아민 추출예로 나타낸 녹차잎 (전차) 을 사용하였다. 차는 Camellia 속의 식물인 차 나무의 잎 및/또는 줄기로부터 취할 수 있는 것으로서, 날 것이어도 가공한 것이어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차 그 자체이어도 열수 추출 후의 차 찌꺼기이어도 사용할 수 있고, 분말 등 형태는 구애되지 않는다.
또한, 구체적인 폴리아민차의 제조 방법은 도 1, 2 에 나타냈다.
실시예 1
추출예 1
추출 용액 : 물 및 각종 5 % 염 용액, 핵산 용액, 아미노산 용액, 유기산 용액, 당 용액
추출 조건 : 1 g 찻잎에 대해 추출 용액 5 ㎖ 를 첨가하고, 80 ℃ 5 분 추출
시험 결과를 이하의 표 2 에 나타낸다 :
Figure 112011098504260-pct00002
표 2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사용한 염 중, 특히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에서 폴리아민이 잘 추출되고, 그 중에서도 염화칼슘이 가장 바람직한 것을 알았다.
실시예 2
추출예 2
추출 용액 : 1 ∼ 30 % 의 식염수
추출 조건 : 1 g 의 찻잎에 대해 추출 용액 2 ∼ 5 ㎖ 첨가하고, 80 ℃ 5 분 추출
시험 결과를 이하의 표 3, 4 에 나타낸다 :
Figure 112011098504260-pct00003
Figure 112011098504260-pct00004
표 3, 4 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염화나트륨 추출에서는 5 ∼ 10 % 용액의 사용으로 폴리아민은 충분히 추출되고, 또한 농도, 용량 의존적으로 폴리아민 추출률은 향상되었다.
실시예 3
추출예 3
추출 용액 : 1 ∼ 5 % MgCl2, CaCl2 용액
추출 조건 : 1 g 의 찻잎에 대해 추출 용액 5 ㎖ 첨가하고, 80 ℃ 5 분 추출
시험 결과를 이하의 표 5 에 나타낸다 :
Figure 112011098504260-pct00005
표 5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추출 용액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의 염의 농도 의존적으로 폴리아민의 추출률은 향상되었다.
실시예 4
추출예 4
추출 용액 : 3 % CaCl2 용액
추출 조건 : 1 g 의 찻잎에 대해 추출 용액 5 ㎖ 첨가하고, 60 ∼ 100 ℃ 에서 1 ∼ 30 분 추출
시험 결과를 이하의 표 6 에 나타낸다 :
Figure 112011098504260-pct00006
표 6 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5 ∼ 10 분의 추출 시간으로 폴리아민은 충분히 추출되고, 또한 추출 온도가 높을수록 추출에 양호한 것을 알았다.
실시예 5
추출예 5
추출 용액 : 1 ∼ 4 % CaCl2 용액
추출 조건 : 찻잎 1 g 에 추출 용액 3 ∼ 10 ㎖ 를 첨가하고, 80 ℃ 5 분 추출
시험 결과를 이하의 표 7 에 나타낸다 :
Figure 112011098504260-pct00007
표 7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염화칼슘의 염의 농도가 저농도이어도, 추출 용액량을 증량함으로써 양호하게 폴리아민을 추출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6
추출예 6
추출 용액 : 시판되는 간수 ( 「카메야마도의 천연 간수」100 ㎖ 당, MgCl2 24.2 g, CaCl2 10.0 g, KCl 4.7 g, Na 1.4 g, 아연 0.2 mg) 의 4 ∼ 20 배 희석액
추출 조건 : 1 g 의 찻잎에 대해 추출 용액 5 ㎖ 첨가하고, 80 ℃ 5 분 추출
시험 결과를 이하의 표 8 에 나타낸다 :
Figure 112011098504260-pct00008
표 8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을 주로 함유하는 간수를 사용해도 양호하게 폴리아민이 추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7
녹차잎의 종류에 따라, 함유되는 폴리아민량은 상이하기 때문에, 여러 녹차에 대해 함유 폴리아민량을 검토하였다. 첫 번째로 산지별 녹차의 함유 폴리아민량을 검토하고, 두 번째로 신아 (新芽) 신차와 통상 신차의 함유 폴리아민량을 검토하고, 세 번째로 생엽, 황차, 전차의 함유 폴리아민량을 검토하였다.
추출 용액 : 5 % 트리클로로아세트산 용액
추출 조건 : 1 g 찻잎에 대해 추출 용액 5 ㎖ 를 첨가하고, 80 ℃ 5 분 추출
시험 결과를 이하의 표 9, 10, 11 에 나타낸다 :
Figure 112011098504260-pct00009
Figure 112011098504260-pct00010
Figure 112011098504260-pct00011
표 9, 10, 11 의 결과로부터 이하의 점이 판명되었다.
산지별 녹차의 검토 결과로부터, 사용하는 찻잎은 깊이 볶지 않은 시즈오카차나 가고시마차가 보다 바람직하다. 신아 신차와 통상 신차의 검토 결과로부터, 보다 어린 신아의 쪽이 추출 효율, 폴리아민량 모두 양호한 경향이 있지만, 일반적인 녹차이면 충분히 폴리아민 함량이 높은 녹차를 조제할 수 있다. 생엽, 황차, 전차의 검토 결과로부터, 생엽은 폴리아민이 감소하기 쉬워 채취 후, 조기에 가공할 필요가 있지만, 황차, 전차에서는 큰 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8
차의 염에 의한 폴리아민 추출물 중에 함유되는 카페인,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 (EGCg) 의 양을 검토하였다. 또한, EGCg 는 건조 찻잎에 가장 많이 검출되는 폴리페놀이다.
사용 찻잎은 사야마차 B 를 채용하고, 추출 용액, 추출 조건 및 시험 결과를 표 12, 13 에 나타냈다.
Figure 112011098504260-pct00012
Figure 112011098504260-pct00013
표 12, 13 의 결과로부터 이하의 점이 판명되었다.
통상적인 녹차 중의 카페인량은 약 0.20 mg/㎖, 녹차 중의 카테킨량은 약 0.36 mg/㎖ 정도이고, 폴리아민차도 거의 동일한 함량을 갖고 있다.
염화칼슘 추출액에서는, 차 찌꺼기보다 녹차잎을 사용하는 쪽이 카페인, 카테킨량이 많은 추출물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차 찌꺼기로부터의 추출에 있어서도, 특히 카테킨량은 조건에 따라 고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카페인, EGCg 량은 염화칼슘 농도가 낮을수록, 추출 온도가 높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분말화했을 경우, 카페인, 카테킨량이 많은 것에서 적은 것까지 추출 조건에 따라 조제할 수 있다.
이 출원은 2009년 5월 1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번호 2009-116672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그 내용을 인용하여 이 출원의 일부로 하는 것이다.

Claims (14)

  1. 동식물 소재에 염 용액을 첨가하여 폴리아민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민 추출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및 염화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폴리아민 추출물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염화칼슘인 폴리아민 추출물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식물 소재가 연어 어백, 돼지의 간장, 맥아, 대두, 낫토, 우롱차잎, 홍차잎, 기석차잎, 검은 콩, 감잎, 및 녹차잎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폴리아민 추출물의 제조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식물 소재가 연어 어백, 돼지의 간장, 맥아, 대두, 낫토, 우롱차잎, 홍차잎, 기석차잎, 검은 콩, 감잎, 및 녹차잎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폴리아민 추출물의 제조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식물 소재가 연어 어백, 돼지의 간장, 맥아, 대두, 낫토, 우롱차잎, 홍차잎, 기석차잎, 검은 콩, 감잎, 및 녹차잎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폴리아민 추출물의 제조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식물 소재가 Camellia 속의 식물인 차 나무의 잎 및/또는 줄기로부터 취할 수 있는 녹차잎인 폴리아민 추출물의 제조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식물 소재가 Camellia 속의 식물인 차 나무의 잎 및/또는 줄기로부터 취할 수 있는 녹차잎인 폴리아민 추출물의 제조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식물 소재가 Camellia 속의 식물인 차 나무의 잎 및/또는 줄기로부터 취할 수 있는 녹차잎인 폴리아민 추출물의 제조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17029725A 2009-05-13 2010-04-23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음식품의 제조 방법 KR101783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16672 2009-05-13
JP2009116672A JP5620650B2 (ja) 2009-05-13 2009-05-13 ポリアミンを含有する飲食品の製造方法
PCT/JP2010/057733 WO2010131591A1 (ja) 2009-05-13 2010-04-23 ポリアミンを含有する飲食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756A KR20120042756A (ko) 2012-05-03
KR101783489B1 true KR101783489B1 (ko) 2017-09-29

Family

ID=4308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725A KR101783489B1 (ko) 2009-05-13 2010-04-23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음식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20650B2 (ko)
KR (1) KR101783489B1 (ko)
CN (1) CN102421305B (ko)
WO (1) WO20101315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8487B2 (ja) * 2011-05-13 2016-03-22 東洋紡株式会社 植物からポリアミン組成物を製造する方法
WO2013051483A1 (ja) * 2011-10-04 2013-04-11 東洋紡株式会社 植物からポリアミン組成物を製造する方法
JP5927833B2 (ja) * 2011-10-04 2016-06-01 東洋紡株式会社 植物からポリアミン組成物を製造する方法
WO2013094494A1 (ja) * 2011-12-21 2013-06-27 花王株式会社 精製茶抽出物の製造方法
JP6322580B2 (ja) * 2012-12-11 2018-05-09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豆乳発酵エキスおよび胚軸発酵エキス
JP6479768B2 (ja) 2014-03-24 2019-03-06 大塚製薬株式会社 新規ラクトバチラス・パラカゼイ株
JP6663598B2 (ja) 2017-03-17 2020-03-1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アミン高含有酵母及びそれを含む飲食品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99576A (en) * 1978-03-23 1981-04-21 Chester D. Myers Improved process for isolation of proteins
JP3690820B2 (ja) * 1993-02-25 2005-08-31 雪印乳業株式会社 乳児用栄養組成物
JP2963343B2 (ja) * 1994-07-18 1999-10-18 アサヒ飲料株式会社 ミルク入り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101624A (ja) * 1996-10-01 1998-04-21 Juzo Udaka ポリアミンの製造法
CN1079011C (zh) * 1998-06-05 2002-02-13 杨廉德 抗衰老保健食品及其制备工艺
JP3842936B2 (ja) * 1999-10-28 2006-11-08 株式会社井上天極堂 保存用柿の葉の製造方法、及び保存用柿の葉
ITMI20031570A1 (it) * 2003-07-31 2005-02-01 Giuliani Spa Composizione per uso dietetico, farmaceutico o cosmetico
JP2008239548A (ja) * 2007-03-27 2008-10-09 Toyobo Co Ltd 細胞賦活化剤
CN101357935B (zh) * 2008-09-03 2011-07-20 河北科技大学 一种利用反胶团法分离纯化鱼精蛋白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21305B (zh) 2014-06-25
CN102421305A (zh) 2012-04-18
KR20120042756A (ko) 2012-05-03
JP2010263816A (ja) 2010-11-25
JP5620650B2 (ja) 2014-11-05
WO2010131591A1 (ja)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489B1 (ko)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음식품의 제조 방법
JP4589212B2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食品及びその製造法
KR20050057127A (ko) 정제 로얄 젤리
KR102127911B1 (ko) 면역 증진용 발효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289875A (zh) 一种淡水鱼蛋白肽酒的制备方法
KR20170090618A (ko) 떫은맛이 저감된 아로니아원액과 l-아르기닌을 주원료로하는 젤리 또는 음료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67040B1 (ko) 항치주병균 조성물, 상기 항치주병균 조성물을 함유하는항치주병용 음식물 및 구강용 세정제
TWI430754B (zh) 高γ-胺基丁酸含有物之製造方法
JP6552097B2 (ja) 飲食品の苦味改善剤、飲食品の苦味改善方法、及び飲食用組成物
KR101302652B1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물질 및 맥주효모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7495050A (zh) 一种蜂蜜饮料
JP2006327979A (ja) 関節軟骨損傷治癒促進剤及び腱損傷治癒促進剤、並びにそれらを含有する飲食品
KR101322282B1 (ko) 젤라틴 유래 효소분해물을 함유하는 골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0899556B1 (ko) 모자반 추출물을 첨가한 기능성 식품
KR100540498B1 (ko) 아스타잔틴 및 아스파라긴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JP6872375B2 (ja) テアニンの吸収性が改善された組成物
JP7060062B2 (ja) 経口液体組成物
KR101555751B1 (ko) 떫은맛이 저감된 떫은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0520985B1 (ko) 아스타잔틴 및 아스파라긴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KR102324337B1 (ko) 로열젤리 함유 토마토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40189386A1 (en) Composition for anti-fatigue comprising green tea peptide composition
JP2010057483A (ja) 内臓知覚過敏改善食品
KR20010035542A (ko) 프로폴리스 추출물과 모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JP5835877B2 (ja) 唾液分泌促進剤
KR100505764B1 (ko)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숙취해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