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796B1 -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미소스가 함유된 트위스트 핫도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미소스가 함유된 트위스트 핫도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796B1
KR101780796B1 KR1020160142386A KR20160142386A KR101780796B1 KR 101780796 B1 KR101780796 B1 KR 101780796B1 KR 1020160142386 A KR1020160142386 A KR 1020160142386A KR 20160142386 A KR20160142386 A KR 20160142386A KR 101780796 B1 KR101780796 B1 KR 101780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source
mixed
sausage
mixed d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면
김태우
임재천
최광석
배희애
Original Assignee
(주)옥두식품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옥두식품,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옥두식품
Priority to KR1020160142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7Co-extruded products, i.e. products obtained by simultaneous extrusion of the dough and the fill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2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4Discharg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Receptacles, e.g. provided with means for carrying or guiding fluids, e.g. coolan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63Applying co-extrusion, i.e. extruding two or more plastic substances simultaneously, e.g. for making filled dough products; Making products from two or more different substances supplied to the extrude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4Apparatus f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or sweeping or coating the surfaces of, pieces or sheets of dough
    • A21C9/045Laminating dough sheets combined with applying a filling in between, e.g. lasagna-typ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8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60Deep-fried products, e.g. doughnu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2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 A21D8/04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treating dough with microorganisms or enzy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미소스가 함유된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는 조미소스를 조성비에 맞게 혼합하여 하부방향으로 공급하는 소스공급부와; 조성비에 맞게 반죽된 밀가루반죽을 상기 소스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소스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기 소스공급부의 하부로 공급하는 반죽공급부와; 밀가루반죽 내부에 소스가 삽입된 상태로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혼합반죽을 이송하는 혼합반죽이송부와; 상기 소스공급부와 상기 혼합반죽이송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소스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반죽의 길이를 감지하고, 혼합반죽을 기준길이로 절단하는 혼합반죽커팅부와; 상기 혼합반죽이송부의 경로상에 배치되며, 소시지가 삽입된 지지막대를 회전 및 전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혼합반죽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혼합반죽이 상기 소시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말려지게 하는 소시지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미소스가 함유된 트위스트 핫도그의 제조방법{TWIST HOT-DOG MAKING APPARATUS AND TWIST HOT-DOG MAKING METHOD COMPRISING SEASMONING SOU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미소스가 함유된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트위스트 핫도그를 제조하는 전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트위스트 핫도그는 소시지에 일정 폭을 갖는 밀가루반죽을 감아서 튀겨낸 핫도그를 말한다. 트위스트 핫도그는 소시지를 밀가루반죽에 담구어 만들어낸 일반적인 핫도그에 비해 외관이 이쁘고 쫄깃쫄깃한 식감을 가져 많은 사람들이 찾는 간식이다.
종래 트위스트 핫도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밀가루반죽을 제조하고, 밀가루반죽을 소시지의 표면에 사선방향으로 말아주고, 기름에 튀기는 모든 과정을 판매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해야 했다.
이에 트위스트 핫도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많은 노동력이 소요된다. 또한, 밀가루반죽을 감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외관 형상에 차이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트위스트 핫도그의 제조설비는 반복적인 기름 사용과, 밀가루반죽 및 소시지에 밀가루반죽을 말아주는 과정이 한 곳에서 수행되므로 제조설비에 대한 위생상태가 청결하게 유지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 트위스트 핫도그(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시지(13)의 표면에 밀가루반죽(11)을 말아서 튀겨내고, 케찹 또는 머스타드, 설탕 등의 소스(15)를 발라먹는 형태이므로 다양한 맛을 구현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1999-0078721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12828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위스트 핫도그를 제조하는 전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일정한 품질의 트위스트 핫도그를 제조할 수 있는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가루반죽 내에 다양한 맛을 제공하는 조미소스를 포함시켜 제조하여 트위스트 핫도그의 맛을 다양화시킬 수 있는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는, 조미소스를 조성비에 맞게 혼합하여 하부방향으로 공급하는 소스공급부와; 조성비에 맞게 반죽된 밀가루반죽을 상기 소스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소스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기 소스공급부의 하부로 공급하는 반죽공급부와; 밀가루반죽 내부에 소스가 삽입된 상태로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혼합반죽을 이송하는 혼합반죽이송부와; 상기 소스공급부와 상기 혼합반죽이송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소스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반죽의 길이를 감지하고, 혼합반죽을 기준길이로 절단하는 혼합반죽커팅부와; 상기 혼합반죽이송부의 경로상에 배치되며, 소시지가 삽입된 지지막대를 회전 및 전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혼합반죽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혼합반죽이 상기 소시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말려지게 하는 소시지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반죽이송부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소시지회전지지부에서 혼합반죽이 말려진 튀겨지지 않은 트위스트 핫도그를 기준온도의 기름에 튀겨내는 유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스공급부는, 소스재료가 투입되는 소스투입호퍼와; 상기 소스투입호퍼의 하단에 구비되어 소스재료를 혼합하여 조미소스를 형성하는 소스혼합조와; 상기 소스혼합조의 하단에 결합되어 조미소스를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소스배출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반죽공급부는, 밀가루반죽이 수용되며 밀가루반죽이 배출되는 반죽배출공이 형성된 반죽수용조와; 상기 반죽수용조 내부에 구비되어 밀가루반죽을 상기 반죽배출공을 향해 배출시키는 반죽배출수단과; 상기 소스배출노즐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밀가루반죽이 상기 소스배출노즐 외부를 타고 흘러내려가도록 하는 반죽배출스크류와; 상기 반죽배출공과 상기 반죽배출스크류를 연결하여 밀가루반죽을 상기 반죽배출스크류로 공급하는 반죽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스배출노즐과 상기 혼합반죽이송부 사이에 일정길이 구비되어 상기 반죽배출스크류와 상기 소스배출노즐로부터 각각 배출되어 조미소스가 내부에 포함된 혼합반죽을 상기 혼합반죽이송부로 안내하는 혼합반죽안내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반죽이송부는 일정 길이 회전구동되는 이송벨트로 구비되고, 상기 혼합반죽커팅부는, 상기 혼합반죽안내관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이송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혼합반죽의 길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소스배출노즐과 상기 혼합반죽안내관 사이에 구비되어 혼합반죽을 기준길이로 절단하는 혼합반죽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가루반죽은 상기 밀가루반죽은 물 25 ~ 35중량%, 이스트 0.5 ~ 3중량%, 마가린 1 ~ 5중량%, 소금 0.1 ~ 3중량%, 설탕 5 ~ 15중량%, 강력분 밀가루 50 ~ 60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스는 치즈맛, 감자고로케맛, 고구마맛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치즈맛은 매운치즈맛, 상기 고구마맛은 스위트고구마맛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조미소스를 형성한 후 소스공급부를 통해 하부로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공급부로 밀가루반죽을 공급하여, 밀가루반죽의 내부로 상기 조미소스가 내장된 혼합반죽을 배출하는 단계와; 배출되는 혼합반죽의 길이를 감지하고, 혼합반죽을 소시지 전체에 말릴 수 있는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와; 절단된 혼합반죽을 이송하는 단계와; 소시지를 회전하며 전후로 이동시켜 이송되는 혼합반죽을 소시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말아주는 단계와; 혼합반죽이 말려진 소시지를 유탕부로 이동시켜 기름에 튀겨내어 트위스트 핫도그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는 트위스트 핫도그의 제조를 위한 전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작업자의 노동력을 줄일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결하고 위생적인 작업환경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는 밀가루반죽 속에 다양한 맛을 내는 조미소스가 포함된 혼합반죽을 소시지에 말아서 제조되므로, 종래 밀가루반죽만 도포된 트위스트 핫도그와 비교할 때, 다양한 맛을 낼 수 있어 다양한 입맛을 갖는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트위스트 핫도그의 외부 형상과 단면형상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의 측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의 소스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의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트위스트 핫도그를 제조하기 위한 밀가루반죽의 물성을 테스트한 결과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트위스트 핫도그를 제조하기 위한 밀가루반죽의 최적의 조성비를 나타낸 표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트위스트 핫도그를 제조하기 위한 조미소스의 조성비를 도시한 표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1)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1)의 측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1)는 지지프레임(100)과,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밀가루반죽(A)을 공급하는 반죽공급부(200)와, 다양한 맛을 내는 조미소스(B)를 밀가루반죽(A)의 공급경로로 공급하여 밀가루반죽(A) 내부에 조미소스(B)가 포함되도록 하는 소스공급부(300)와, 밀가루반죽(A) 내부에 조미소스(B)가 포함된 혼합반죽(C)을 소시지(D)에 말려질 수 있는 기준길이로 절단하는 혼합반죽커팅부(400)와, 혼합반죽커팅부(400)에서 커팅된 혼합반죽(C)을 소시지(D)로 이송하는 혼합반죽이송부(500)와, 소시지(D)의 외부에 혼합반죽이송부(500)를 통해 이송된 혼합반죽(C)이 말려지도록 소시지(D)를 지지하는 소시지회전지지부(600)와, 혼합반죽(C)이 말려진 소시지(D)를 기름에 튀겨내는 유탕부(700)와, 각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1)는 밀가루반죽(A) 내부에 조미소스(B)를 포함시켜 혼합반죽(C)을 형성하고, 혼합반죽(C)을 혼합반죽이송부(500)에 의해 이송하며 소시지(D)의 표면에 자동으로 말아준다. 그리고, 혼합반죽(C)이 말려진 소시지(D)를 기름에 튀겨 트위스트 핫도그(20)의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1)는 전 과정이 작업자의 개입없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작업시간이 짧아 트위스트 핫도그(20)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순한 밀가루반죽(A)이 아니라, 내부에 다양한 맛을 내는 조미소스(B)가 포함된 혼합반죽(C)을 사용하므로 다양한 입맛을 갖는 사람들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지지프레임(100)은 각각의 구성들이 안정적으로 구동되도록 지지한다. 지지프레임(100)의 상면을 따라 혼합반죽이송부(500)가 구비되고, 지지프레임(100)의 일측 상단부에 반죽공급부(200)와 소스공급부(300)가 일정 높이 이격되게 구비된다.
반죽공급부(200)는 밀가루반죽(A)을 혼합반죽이송부(500) 측으로 공급한다. 반죽공급부(200)는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반죽공급부(200)는 밀가루반죽(A)이 수용되는 반죽수용조(210)와, 반죽수용조(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밀가루반죽(A)이 배출되도록 하는 반죽공급수단(220)과, 반죽수용조(210)로부터 배출된 밀가루반죽(A)을 소스공급부(300)의 하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반죽공급관(230)과, 반죽공급관(230)의 밀가루반죽(A)을 외부로 배출하는 반죽배출스크류(240)을 포함한다.
반죽수용조(210)는 밀가루반죽(A)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들이 투입되고, 이들을 교반하여 밀가루반죽(A)을 형성한다. 반죽수용조(210)의 상부는 커버(미도시)에 의해 개폐되게 구비되어 작업자가 밀가루반죽(A)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들, 일례로 밀가루, 물, 이스트, 소금 등을 투입할 수 있게 한다. 반죽수용조(210)의 일측에는 반죽배출공(211)이 관통형성된다. 반죽배출공(211)은 반죽공급관(230)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반죽공급수단(220)은 반죽수용조(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반죽수용조(210) 내부의 재료를 섞어 밀가루반죽(A)을 형성하고, 형성된 밀가루반죽(A)을 밀가루반죽(A)을 반죽배출공(211) 측으로 공급한다. 반죽공급수단(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스크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스크류는 구동모터(221)에 의해 구동되며 회전하고, 밀가루반죽(A)을 반죽배출공(211) 측으로 가압하여 배출시킨다.
또한, 반죽공급수단(220)은 유압실린더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유압실린더는 반죽배출공(211)의 반대측에서 반죽배출공(211)을 향해 점점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밀가루반죽(A)을 반죽배출공(211) 측으로 가압하여 배출시킨다.
반죽공급수단(220)은 이 외에도 밀가루반죽을 반죽배출공(211)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반죽공급관(230)은 반죽배출공(211)으로부터 배출된 밀가루반죽(A)을 소스공급부(300)의 하부로 공급한다. 반죽공급관(2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배출노즐(330)을 감싸는 반죽배출스크류(240)과 연결된다.
반죽배출스크류(240)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배출노즐(330)의 외부를 감싸도록 일정길이 형성된다. 밀가루반죽(A)은 반죽배출스크류(240)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려 소스배출노즐(330)로부터 배출된 조미소스(B)의 외부를 감싸며 배출된다. 이에 의해 도 5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반죽(C)이 형성될 수 있다.
반죽배출스크류(240)는 소스배출노즐(330) 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밀가루반죽(A)이 소스배출노즐(330) 표면을 타고 흘러내려 조미소스(B)의 외부를 감싸기 용이하게 한다.
소스공급부(300)는 반죽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밀가루반죽(A) 내부로 조미소스(B)를 공급한다. 소스공급부(300)는 조미소스(B)를 공급받는 소스투입호퍼(310)와, 소스투입호퍼(3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조미소스(B)를 교반하는 소스혼합조(320)와, 소스혼합조(320)의 하부에 반죽배출스크류(240)의 내부로 연장형성되어 조미소스(B)를 배출하는 소스배출노즐(330)을 포함한다.
소스투입호퍼(310)는 작업자로부터 조미소스(B)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들을 투입받는다. 소스투입호퍼(310)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소스혼합스크류(311)가 구비되어 조미소스재료들을 혼합하여 조미소스(B)를 형성한다. 소스혼합스크류(311)는 스크류구동모터(313)에 의해 구동된다.
소스혼합조(320)는 소스투입호퍼(310)로부터 공급받은 조미소스(B)를 교반하여 조미소스(B)가 침전되거나 굳는 것을 방지한다. 소스혼합조(320) 내부에는 교반날개(미도시)가 구비되어 조미소스(B)를 연속하여 교반한다.
소스배출노즐(330)은 소스혼합조(320)의 하부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조미소스(B)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 때, 소스배출노즐(330)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배출스크류(240)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소스배출노즐(330)로부터 조미소스(B)가 배출될 때, 반죽배출스크류(240)로부터 배출된 밀가루반죽(A)이 조미소스(B)의 외부를 감싸면서 배출된다.
한편, 소스배출노즐(330)과 혼합반죽이송부(500) 사이에는 혼합반죽안내관(340)이 일정길이 구비된다. 혼합반죽안내관(340)은 점성을 갖는 혼합반죽(C)이 휘어지지 않고 수직하게 혼합반죽이송부(500)의 이송벨트(510)로 낙하되도록 안내한다.
혼합반죽안내관(340)은 소스배출노즐(330)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소스배출노즐(330)과 혼합반죽안내관(340) 사이의 이격공간에 혼합반죽커팅부(400)가 배치된다.
혼합반죽커팅부(400)는 소스배출노즐(330)과 반죽배출스크류(240)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반죽(C)을 기준길이로 절단한다.
혼합반죽커팅부(400)는 혼합반죽(C)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감지센서(410)와, 길이감지센서(410)의 감지신호에 따라 혼합반죽(C)을 절단하는 혼합반죽커터(420)를 포함한다.
길이감지센서(410)는 이송벨트(510)로 이송되는 혼합반죽(C)의 길이를 감지하여, 하나의 소시지(D)에 말려질 수 있는 기준길이의 혼합반죽(C)을 감지한다.
여기서, 길이감지센서(410)는 소스배출노즐(330)과 반죽배출스크류(240)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반죽(C)의 길이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이송벨트(510)를 통해 이송되는 혼합반죽(C)의 길이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길이감지센서(410)는 혼합반죽(C)의 시작점을 감지하면, 제어부(800)로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800)는 길이감지센서(410)의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 기준길이의 혼합반죽(C)이 배출되는 시간이 경과하면 혼합반죽커터(420)로 커팅신호를 인가한다.
혼합반죽커터(420)는 혼합반죽(C)을 커팅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원판 블레이드가 원의 형태로 가운데로 모이거나 외곽으로 벌어지는 방식으로 혼합반죽을 커팅할 수도 있다.
혼합반죽이송부(500)는 혼합반죽(C)을 소시지회전지지부(600)로 이송하고, 유탕부(700)로 순차적으로 이송한다. 혼합반죽이송부(500)는 회전구동되는 이송벨트(510)와, 이송벨트(510)의 양단에 구비되어 이송벨트(510)를 구동시키는 벨트구동수단(520)을 포함한다.
이송벨트(5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공급부(200)의 하부로부터 유탕부(700)의 선단까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이송벨트(510)로 공급된 혼합반죽(C)이 소시지(D)의 표면에 말려진 후, 유탕부(700)의 기름(O) 속으로 투입된다.
소시지회전지지부(600)는 이송벨트(510)를 통해 이송되어온 기준길이의 혼합반죽(C)이 소시지(D)의 표면에 말려지도록 소시지(D)를 지지한다.
소시지(D)는 나무젓가락과 같은 지지막대(E)에 꽂혀진 상태로 준비된다. 소시지회전지지부(600)는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막대(E)를 고정하는 막대홀더(610)와, 막대홀더(610)의 후단에 구비되어 막대홀더(610)를 회전시키는 막대회전구동부(620)와, 막대홀더(610)와 막대회전구동부(62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막대위치조절부(630)를 포함한다.
막대홀더(610)는 소시지(D)에 삽입되어 있는 지지막대(E)를 고정한다. 막대홀더(610)는 클램프의 형태로 구비되어 작업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공압에 의해 벌어지거나 좁혀지며 지지막대(E)를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막대홀더(610)의 후단부는 막대회전구동부(620)에 결합되어 소시지(D)와 함께 회전된다. 막대회전구동부(620)가 막대홀더(610)를 회전구동하는 것에 의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벨트(510)를 통해 이송되는 혼합반죽(C)이 소시지(D)의 표면에 말려진다.
막대회전구동부(620)는 스텝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80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여부 및 구동속도가 제어된다.
막대위치조절부(630)는 이송벨트(510)를 통해 이송되는 혼합반죽(C)이 소시지(D)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르게 말려지도록 소시지(D)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반죽(C)은 이송벨트(510)의 폭방향으로 특정 위치를 따라 직선형태로 공급된다.
막대위치조절부(630)는 소시지(D)의 상부가 혼합반죽(C)의 이송위치에 위치되도록 막대홀더(610)의 초기 위치를 조절하고, 천천히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시지(D)를 전진시켜 소시지(D)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혼합반죽(C)이 말려지도록 소시지(D)의 위치를 조절한다.
막대위치조절부(6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막대회전구동부(620)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위치된다. 막대위치조절부(630)의 상부에는 이동레일이 형성되고, 막대회전구동부(620)의 하부에는 이동레일에 결합되는 레일결합홈이 형성되어 막대회전구동부(620)를 좌우로 이송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이송스크류를 이용하거나 랙과 피니언 등의 기계적 수단에 의해 이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혼합반죽(C)이 소시지(D)에 말려져야할 시점과 종점에는 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혼합반죽(C)이 소시지(D) 전영역에 고르게 말려졌는지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소시지회전지지부(600)의 일측에는 혼합반죽(C)이 소시지(D)에 말려진 후 부착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시지(D) 표면에 부착된 혼합반죽(C)을 가압하는 가압수단(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가압수단(미도시)은 유압으로 구동되는 가압바의 형태로 구비되어 소시지(D)의 상부에 혼합반죽(C)이 말려지기 시작하면 혼합반죽(C)이 부착된 소시지(D)의 외부를 가압하여 혼합반죽(C)을 소시지(D)에 강하게 부착시켜 혼합반죽(C)이 소시지(D)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소시지회전지지부(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벨트(510)에 수직하게 배치되거나,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벨트(510)에 일정각도(θ)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소시지회전지지부(600)의 배치각도는 소시지(D) 표면에 말려지는 혼합반죽(C)의 형상에 영향을 준다. 일정각도 사선방향으로 혼합반죽(C)이 말려지기를 희망하는 경우 소시지회전지지부(600)의 배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송벨트(510)에 하나의 소시지회전지지부(600)가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소시지회전지지부(600)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탕부(700)는 소시지회전지지부(600)에서 혼합반죽(C)이 말려진 튀겨지지 않은 트위스트 핫도그(20)를 튀겨낸다.
유탕부(700)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벨트(510)의 단부에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이송벨트(510)를 따라 이송되어온 튀겨지지 않은 트위스트 핫도그(20)가 그대로 기름(O) 속으로 낙하되며 튀겨지게 된다.
유탕부(700)는 트위스트 핫도그(20)가 튀겨지기에 적당한 온도로 유지되며, 기름(O)에서 튀겨진 트위스트 핫도그(20)는 튀김망으로 건져진 후 기름을 제거하고 소비자에게 공급된다.
제어부(800)는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비된다. 제어부(800)의 외부에는 입력부(810)와 표시부(820)가 구비된다. 작업자는 입력부(810)를 통해 반죽공급수단(220)을 통한 밀가루반죽(A)의 배출속도, 소스배출노즐(330)을 통한 조미소스(B)의 배출속도, 이송벨트(510)의 이송속도, 소시지회전지지부(600)의 막대홀더의 회전속도, 막대위치조절부(630)의 좌우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입력부(810)와 표시부(820)는 디지털화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입력조건을 입력할 수 있으며, 현재 구동조건들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1)에 사용되는 밀가루반죽(A)은 내부에 액체상태의 조미소스(B)가 유입되므로 조미소스(B)가 유입되더라도 조미소스(B)와 혼합되지 않고 점성이 묽어지지 않는 특별한 조성비가 요구된다.
밀가루반죽(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가루에 혼합되는 물의 함량과 이스트함량 및 발효시간을 상이하게 조절하여 실험을 하였다.
밀가루반죽(A)을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1)에 접목이 가능한 물성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을 사용하였으며 결과값은 밀가루반죽의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의 수치로 설정하였다.
밀가루반죽의 물성은 Texture analyser(Brookfield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Middleboro,MA, USA)를 사용하여 물성측정실험을 도 7의 조건으로 실시하였으며 측정값은 3회 반복 시험치의 평균값으로 하였다.
도 8의 (a)~(d)는 변수간 상관관계를 등고선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최적화 조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기초로 할 때, 본 발명의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1)에 사용될 수 있는 최적의 밀가루반죽(A)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28%, 이스트 1.44%, 마가린 2.85%, 소금 0.63%, 강력분 밀가루 58.85%의 조성비로 혼합된다.
상술한 조성비로 혼합된 밀가루반죽(A)은 탄성력, 응집력, 강도, 점착성이 가장 우수하여, 내부에 액상의 조미소스(B)가 들어 있더라도 조미소스(B)와 뒤섞이지 않고 조미소스(B)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며 밀가루반죽(A)의 점성과 탄성력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 기름에 튀긴 이후 트위스트 핫도그의 맛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미소스(B)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맛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의 (a)는 조미소스(B)의 일례인 매운치즈맛 조미소스의 레시피를 나타낸 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매운치즈맛 조미소스는 감자분말, 유지분말, 소금, 설탕, 물엿, 치즈말분말, 매운양념분말, 토마토페이스트와 물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도 11의 (b)는 조미소스(B)의 다른 예로 감자고로케맛 조미소스의 레시피를 나타낸 표이고, 도 11의 (c)는 스위트 고구마맛 조미소스의 레시피를 나타낸 표이다.
상술한 예 외에도 조미소스(B)는 다양한 맛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1)를 이용한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과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작업자는 도 2에 도시된 반죽수용조(210)에 물 28%, 이스트 1.44%, 마가린 2.85%, 소금 0.63%, 강력분 밀가루 58.85%의 조성비로 혼합된 밀가루반죽(A)을 투입한다. 경우에 따라 각각의 조성물을 반죽수용조(210)에 투입하고 반죽수용조(210) 내에서 반죽공급수단(220)을 이용해 교반하여 밀가루반죽(A)을 형성할 수도 있다.
소스공급부(300)의 소스투입호퍼(310)를 통해 작업자는 해당 조미소스(B)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들을 투입한다. 각각의 재료들은 소스혼합조(320)에서 서로 혼합되어 조미소스(B)가 제조된다.
작업자가 이송벨트(510)를 구동시키고, 소시지(D)의 지지막대(E)를 막대홀더(610)에 결합시킨 뒤, 반죽공급수단(220)을 구동시키고, 반죽배출스크류(240)과 소스배출노즐(330)을 개방한다.
이에 의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배출노즐(330)을 통해 조미소스(B)가 배출되고, 소스배출노즐(330)을 감싸게 배치된 반죽배출스크류(240)의 표면을 타고 밀가루반죽(A)을 흘러내린다. 밀가루반죽(A)은 소스배출노즐(330)의 외부를 타고 흘러내리며 소스배출노즐(330)로부터 배출되는 조미소스(B)의 외부를 감싸며 하부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도 5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반죽(C)은 밀가루반죽(A) 내부에 조미소스(B)가 포함된 형태로 형성된다.
혼합반죽(C)은 하부로 낙하되면서 혼합반죽안내관(340)으로 유입되고, 혼합반죽안내관(340)을 따라 이송벨트(510)로 공급된다. 이송벨트(510)가 소시지회전지지부(600) 측으로 이동되면 길이감지센서(410)가 혼합반죽(C)의 이송을 감지한다.
길이감지센서(410)가 혼합반죽(C)의 이송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800)는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혼합반죽커터(420)가 혼합반죽(C)을 소시지(D)의 전체에 말려질 수 있는 기준길이로 절단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혼합반죽커터(420)가 혼합반죽(C)을 절단하면 기준길이의 혼합반죽(C)은 이송벨트(510)를 따라 소시지회전지지부(600) 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반죽(C)의 선단부는 소시지(D)의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시지(D)의 상부에 혼합반죽(C)이 부착되면, 막대회전구동부(620)가 막대홀더(610)를 회전시키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위치조절부(630)는 천천히 막대홀더(610)를 상부로 이동시키며 소시지(D)의 길이방향을 따라 혼합반죽(C)이 모두 말려지도록 한다. 이 때, 혼합반죽(C)의 소시지(D)의 상단부로부터 소시지(D)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막대(E)의 일정부분까지 말려 소시지(D)와 혼합반죽(C)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혼합반죽(C)이 말려진 튀겨지지 않은 트위스트 핫도그(20)는 작업자가 막대홀더(610)로부터 분리하고,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벨트(510) 상에 안착된다. 튀겨지지 않은 트위스트 핫도그(20)는 이송벨트(510)를 따라 이동된 후, 유탕부(700)의 기름(O) 속으로 낙하되고 튀겨진다.
튀겨진 트위스트 핫도그(20)는 표면에 케찹과 같은 소스가 도포된 후 소비자에게 판매될 수 있다. 이렇게 튀겨진 본 발명의 트위스트 핫도그(20)는 도 6의 (c)에 확대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소시지(D) 주변으로 밀가루반죽(A)이 있고, 밀가루반죽(A) 사이에 조미소스(B)가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소비자가 트위스트 핫도그를 먹게 되었을 때, 소시지(D)와 밀가루반죽(A) 외에 조미소스(B)를 함께 먹게 되어 기존에 먹던 트위스트 핫도그와 상이한 맛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는 트위스트 핫도그의 제조를 위한 전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작업자의 노동력을 줄일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결하고 위생적인 작업환경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는 밀가루반죽 속에 다양한 맛을 내는 조미소스가 포함된 혼합반죽을 소시지에 말아서 제조되므로, 종래 밀가루반죽만 도포된 트위스트 핫도그와 비교할 때, 다양한 맛을 낼 수 있어 다양한 입맛을 갖는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 100 : 지지프레임
200 : 반죽공급부 210 : 반죽수용조
211 : 반죽배출공 220 : 반죽공급수단
221 : 구동모터 230 : 반죽공급관
240 : 반죽배출스크류 300 : 소스공급부
310 : 소스투입호퍼 320 : 소스혼합조
330 : 소스배출노즐 340 : 혼합반죽안내관
400 : 혼합반죽커팅부 410 : 길이감지센서
420 : 혼합반죽커터 500 : 혼합반죽이송부
510 : 이송벨트 520 : 벨트구동수단
600 : 소시지회전지지부 610 : 막대홀더
620 : 막대회전구동부 630 : 막대위치조절부
700 : 유탕부 800 : 제어패널
810 : 입력부 820 : 표시부
A : 밀가루반죽
B : 조미소스
C : 혼합반죽
D : 소시지
E : 지지막대
O : 기름

Claims (8)

  1. 조미소스를 조성비에 맞게 혼합하여 하부방향으로 공급하는 소스공급부와;
    조성비에 맞게 반죽된 밀가루반죽을 상기 소스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소스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기 소스공급부의 하부로 공급하는 반죽공급부와;
    밀가루반죽 내부에 소스가 삽입된 상태로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혼합반죽을 이송하는 혼합반죽이송부와;
    상기 소스공급부와 상기 혼합반죽이송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소스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반죽의 길이를 감지하고, 혼합반죽을 기준길이로 절단하는 혼합반죽커팅부와;
    상기 혼합반죽이송부의 경로상에 배치되며, 소시지가 삽입된 지지막대를 회전 및 전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혼합반죽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혼합반죽이 상기 소시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말려지게 하는 소시지회전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스공급부는,
    소스재료가 투입되는 소스투입호퍼와;
    상기 소스투입호퍼의 하단에 구비되어 소스재료를 혼합하여 조미소스를 형성하는 소스혼합조와;
    상기 소스혼합조의 하단에 결합되어 조미소스를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소스배출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반죽공급부는,
    밀가루반죽이 수용되며 밀가루반죽이 배출되는 반죽배출공이 형성된 반죽수용조와;
    상기 반죽수용조 내부에 구비되어 밀가루반죽을 상기 반죽배출공을 향해 배출시키는 반죽배출수단과;
    상기 소스배출노즐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밀가루반죽이 상기 소스배출노즐 외부를 타고 흘러내려가도록 하는 반죽배출스크류와;
    상기 반죽배출공과 상기 반죽배출스크류를 연결하여 밀가루반죽을 상기 반죽배출스크류로 공급하는 반죽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반죽배출스크류는 소스배출노즐 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상기 소시지회전지지부는,
    지지막대를 고정하는 막대홀더와;
    상기 막대홀더의 후단에 구비되어 막대홀더를 회전시키는 막대회전구동부와;
    상기 막대홀더와 상기 막대회전구동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막대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반죽이송부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소시지회전지지부에서 혼합반죽이 말려진 튀겨지지 않은 트위스트 핫도그를 기준온도의 기름에 튀겨내는 유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배출노즐과 상기 혼합반죽이송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반죽배출스크류와 상기 소스배출노즐로부터 각각 배출되어 조미소스가 내부에 포함된 혼합반죽을 상기 혼합반죽이송부로 안내하는 혼합반죽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반죽이송부는 회전구동되는 이송벨트로 구비되고,
    상기 혼합반죽커팅부는,
    상기 혼합반죽안내관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이송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혼합반죽의 길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소스배출노즐과 상기 혼합반죽안내관 사이에 구비되어 혼합반죽을 기준길이로 절단하는 혼합반죽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
  6. 삭제
  7. 삭제
  8. 조미소스를 형성한 후 소스공급부를 통해 하부로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공급부로 밀가루반죽을 공급하여, 밀가루반죽의 내부로 상기 조미소스가 내장된 혼합반죽을 배출하는 단계와;
    배출되는 혼합반죽의 길이를 감지하고, 혼합반죽을 소시지 전체에 말릴 수 있는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와;
    절단된 혼합반죽을 이송하는 단계와;
    소시지를 회전하며 전후로 이동시켜 이송되는 혼합반죽을 소시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말아주는 단계와;
    혼합반죽이 말려진 소시지를 유탕부로 이동시켜 기름에 튀겨내어 트위스트 핫도그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밀가루반죽은 물 25 ~ 35중량%, 이스트 0.5 ~ 3중량%, 마가린 1 ~ 5중량%, 소금 0.1 ~ 3중량%, 설탕 5 ~ 15중량%, 강력분 밀가루 50 ~ 60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소스는 치즈맛, 감자고로케맛, 고구마맛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방법.
KR1020160142386A 2016-10-28 2016-10-28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미소스가 함유된 트위스트 핫도그의 제조방법 KR101780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386A KR101780796B1 (ko) 2016-10-28 2016-10-28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미소스가 함유된 트위스트 핫도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386A KR101780796B1 (ko) 2016-10-28 2016-10-28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미소스가 함유된 트위스트 핫도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796B1 true KR101780796B1 (ko) 2017-09-22

Family

ID=6003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386A KR101780796B1 (ko) 2016-10-28 2016-10-28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미소스가 함유된 트위스트 핫도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79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4480A (zh) * 2018-01-14 2018-06-01 名沙食品(江苏)有限公司 一种山药蜂蜜味小麻花及制作工艺
KR102199737B1 (ko) 2020-05-28 2021-01-08 (주)옥두식품 조미소스의 이탈이 방지된 트위스트 핫도그
CN112602745A (zh) * 2020-12-09 2021-04-06 江苏食品药品职业技术学院 一种多层夹心面包及其制备装置及使用方法
KR102281316B1 (ko) * 2020-11-10 2021-07-23 최우종 콘도그 자동제조 장치
KR20210112857A (ko) *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황금맷돌 무인 핫도그 제조장치
KR102350132B1 (ko) 2021-04-28 2022-01-12 (주)엔에스유통 식재료 제조 장치
WO2022139486A1 (ko) * 2020-12-23 2022-06-30 씨제이제일제당 (주) 스틱형 식품 제작 시스템, 스틱형 식품 성형장치 및 스틱형 식품 고명 도포장치
KR102437539B1 (ko) 2021-08-09 2022-08-29 양재원 핫도그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684B1 (ko) * 2011-10-31 2013-02-21 주식회사 동화 핫도그 손잡이바아 삽설 지지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684B1 (ko) * 2011-10-31 2013-02-21 주식회사 동화 핫도그 손잡이바아 삽설 지지 고정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4480A (zh) * 2018-01-14 2018-06-01 名沙食品(江苏)有限公司 一种山药蜂蜜味小麻花及制作工艺
KR20210112857A (ko) *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황금맷돌 무인 핫도그 제조장치
KR102356720B1 (ko) 2020-03-06 2022-01-27 주식회사 황금맷돌 무인 핫도그 제조장치
KR102199737B1 (ko) 2020-05-28 2021-01-08 (주)옥두식품 조미소스의 이탈이 방지된 트위스트 핫도그
KR102281316B1 (ko) * 2020-11-10 2021-07-23 최우종 콘도그 자동제조 장치
CN112602745A (zh) * 2020-12-09 2021-04-06 江苏食品药品职业技术学院 一种多层夹心面包及其制备装置及使用方法
CN112602745B (zh) * 2020-12-09 2022-07-01 江苏食品药品职业技术学院 一种多层夹心面包及其制备装置及使用方法
WO2022139486A1 (ko) * 2020-12-23 2022-06-30 씨제이제일제당 (주) 스틱형 식품 제작 시스템, 스틱형 식품 성형장치 및 스틱형 식품 고명 도포장치
KR102350132B1 (ko) 2021-04-28 2022-01-12 (주)엔에스유통 식재료 제조 장치
KR102437539B1 (ko) 2021-08-09 2022-08-29 양재원 핫도그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796B1 (ko) 트위스트 핫도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미소스가 함유된 트위스트 핫도그의 제조방법
AU670666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bread
WO2006023246A2 (en) Method for sheeting and processing dough
US5664489A (en) Food breading apparatus
TW201116213A (en) Donut-shaped food formation device and method
JP2004159645A (ja) フィリング入りベーカリー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700039B (zh) 芝麻薄餅機
RU2624956C2 (ru) Способ 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экструдированных закусочных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и получаемых из них продуктов
WO2010106546A1 (en) A device for continuous preparation of hot mass and a process therefor
KR100512922B1 (ko) 어묵으로 만두피를 제작한 만두 제조 시스템
CN111602693B (zh) 饺子皮擀皮机
JPH02135041A (ja) パンケーキ等の自動製造・供給装置
KR100192885B1 (ko) 냉면 자동 압출장치
KR20200015130A (ko) 또띠아용 반죽볼 성형기의 롤링 유니트
CN210094575U (zh) 一种面类食品即时制作的全自动设备
KR102543448B1 (ko) 꽈배기 이중 성형기
CN220292896U (zh) 一种自动面点包馅机
JP3447100B2 (ja) 煎餅製造のための蒸煮方法と蒸練装置
US5558007A (en) Apparatus for making thin and continuous wrapping sheets
CN114126421B (zh) 食材加工机构、食材加工方法以及食品制造方法
CN209846076U (zh) 一种糕团防粘装置
JPS6185181A (ja) 食品の連続粉付け方法及び装置
EP0667744B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king pasta, gnocchi, and the like on a continuous basis
RU102461U1 (ru) Лини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теста из пшеничной муки безопарным способом
EP1113920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ducing food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