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365B1 -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 그 가황물 및 성형체 - Google Patents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 그 가황물 및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365B1
KR101779365B1 KR1020137016159A KR20137016159A KR101779365B1 KR 101779365 B1 KR101779365 B1 KR 101779365B1 KR 1020137016159 A KR1020137016159 A KR 1020137016159A KR 20137016159 A KR20137016159 A KR 20137016159A KR 101779365 B1 KR101779365 B1 KR 101779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oprene rubber
mass
parts
butadiene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491A (ko
Inventor
우이치로 야마기시
야스시 아베
Original Assignee
덴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덴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20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hlorop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5/00Compositions of rubber derivatives
    • C08L15/02Rubber derivative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9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dithiocarbamates
    • C08K5/40Thiurams, i.e. compounds 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9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dithiocarbamates
    • C08K5/405Thiourea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압축영구왜곡이 양호하고 기계적 강도도 우수한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 그 가황물 및 성형체를 제공한다. 클로로프렌 고무 및 천연고무 : 합계 100질량부와,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 : 0.1∼10질량부와, 에틸렌티오우레아 : 0.1∼3.0질량부와,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트라설피드 : 0.1∼3.0질량부를 함유하는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을 성형후 또는 성형시에 가황하여 가황 성형체로 한다.

Description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 그 가황물 및 성형체{CHLOROPRENE RUBBER COMPOSITION, AND VULCANIZATE AND MOLDING THEREOF}
본 발명은,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chloroprene rubber 組成物), 그 가황물(加黃物) 및 이들을 사용한 성형체(成形體)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나 방진재(防振材) 등의 고무 성형체에 사용되는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클로로프렌 고무는, 내열성(耐熱性), 내후성(耐候性), 내오존성(耐ozone性) 및 내약품성(耐藥品性) 등이 우수하여, 일반적 공업용 고무제품, 자동차용 부품 및 접착제 등의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클로로프렌 고무 성형품은, 일반적으로 클로로프렌 고무에 가황제, 가황촉진제 및 충전제 등을 배합한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을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후에 가황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때 사용되는 가황촉진제로서는, 예를 들면 티오우레아계 가황촉진제(thiourea系 加黃促進劑), 티아졸계 가황촉진제(thiazole系 加黃促進劑), 티우람계 가황촉진제(thiuram系 加黃促進劑) 및 구아니딘계 가황촉진제(guanidine系 加黃促進劑) 등을 들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에서는, 티오우레아계 가황촉진제와 티우람계 가황촉진제를 병용함으로써 스코치 안정성(scorch安定性)과 압축영구왜곡 특성의 양방의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천연고무와 클로로프렌 고무를 블렌드하고 천연고무만을 가황 시킴으로써, 감쇠 특성(減衰特性)을 개선한 고감쇠 고무 조성물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2 참조). 또한 종래의 가황물의 내열성 및 압축영구왜곡을 개선하기 위하여, 비유황변성(非硫黃變性) 타입의 클로로프렌 고무를 유기과산화물(有機過酸化物)과 공가교제(共架橋劑)를 사용하여 가황하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3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6-279621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1-153169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7-145269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에는, 저온 또는 고온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압축영구왜곡이 뒤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저온영역에서부터 고온영역의 폭넓은 온도범위에 걸쳐서 압축영구왜곡이 양호하고 또한 기계적 강도도 우수한 클로로프렌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압축영구왜곡이 양호하고 기계적 강도도 우수한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 그 가황물 및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은, 클로로프렌 고무 및 천연고무 : 합계 100질량부와,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 : 0.1∼10질량부와, 에틸렌티오우레아 : 0.1∼3.0질량부와,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트라설피드 : 0.1∼3.0질량부를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용화제로서 작용하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를 특정량 배합하고 있기 때문에, 클로로프렌중에 천연고무가 미분산(微分散)된 상태에서 이들을 공가황(共加黃)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저온하 또는 고온하에 있어서 압축영구왜곡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조성물에서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로서,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질량비(스티렌/부타디엔)가 25/75∼45/55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클로로프렌 고무에는 2,3-디클로로부타디엔 단위를 5∼20질량%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클로로프렌 고무와 천연고무의 배합비(클로로프렌 고무/천연고무)를, 예를 들면 질량비로 60/40∼95/5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가황물은, 상기한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을 가황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를 특정량 배합한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고, 클로로프렌 고무와 천연고무를 공가황하고 있기 때문에, 고온하에서의 압축영구왜곡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관한 성형체는, 상기한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을 성형후 또는 성형시에 가황하여 얻은 것이다.
이 성형체는, 예를 들면 와이퍼 블레이드 또는 방진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로로프렌 고무와 천연고무의 블렌드 고무에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를 특정량 배합하고 있기 때문에, 저온영역에서부터 고온영역의 폭넓은 온도범위에 있어서 압축영구왜곡이 양호하고 기계적 강도도 우수한 가황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도1(a)는 실시예2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의 SPM측정결과이며, 도1(b)는 비교예8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의 SPM측정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실시형태)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은, 고무 성분으로서, 클로로프렌 고무와 천연고무를 함유하는 블렌드 고무 조성물이다. 그리고 이들 고무 성분(클로로프렌 고무 및 천연고무) 100질량부에 대하여, 스티렌(styrene)과 부타디엔(butadiene)의 공중합체를 0.1∼10질량부, 에틸렌티오우레아(ethylenethiourea)를 0.1∼3.0질량부,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트라설피드(dipentamethylenethiuram tetrasulfide)를 0.1∼3.0질량부 함유하고 있다.
[고무 성분]
본 실시형태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에 배합되는 클로로프렌 고무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클로로프렌 고무(2-클로로-1,3-부타디엔)와 2,3-디클로로부타디엔(2,3-dichlrobutadiene)과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경우에, 클로로프렌중의 2,3-디클로로부타디엔 단위가 5∼20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클로로프렌 고무중의 2,3-디클로로부타디엔 단위의 양은,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을 가황하여 가황물이나 성형체로 하였을 때에, 그 내결정성(耐結晶性)이나 취화온도(脆化溫度)에 영향을 준다. 그리고 2,3-디클로로부타디엔 단위가 5∼20질량%인 클로로프렌을 사용함으로써 내열성뿐만 아니라 저온특성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저온영역에서부터 고온영역에 걸쳐서 폭넓은 온도에서 특성이 우수한 가황물 및 가황 성형체가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로 사용하는 클로로프렌 고무에는 상기한 2,3-디클로로부타디엔 이외의 단량체가 공중합 되어 있더라도 좋다. 클로로프렌에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등의 아크릴산의 에스테르류나,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등의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류나,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류나, 2,3-디클로로-1,3-부타디엔, 1-클로로-1,3-부타디엔, 부타디엔, 이소프렌, 에틸렌,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에 배합되는 천연고무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로로프렌 고무에 천연고무를 블렌드 함으로써 저온특성의 개선, 특히 저온하에서의 압축영구왜곡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에 클로로프렌 고무와 천연고무의 배합비(클로로프렌 고무/천연고무)는, 질량비로 60/40∼95/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저온특성에 더하여 내열성 및 고온하에서의 압축영구왜곡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 : 0.1∼10질량부]
스티렌과 부타디엔과의 공중합체는 상용화제(相溶化劑)로서, 고무 성분인 클로로프렌 고무와 천연고무로 형성되는 해도구조(海島構造)의 계면에 작용하여, 매트릭스측인 클로로프렌 고무에 대하여 천연고무를 미분산(微分散)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의 배합량이 고무 성분 100질량부당 0.1질량부 미만인 경우에, 클로로프렌 고무와 천연고무의 계면에 대하여 지나치게 적어 충분한 분산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 압축영구왜곡이나 기계적 강도가 저하한다. 이것은 클로로프렌 고무와 천연고무와의 계면이 감소하면 공가황(共加黃)이 양호하게 진행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한편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의 배합량이 고무 성분 100질량부당 10질량부를 넘으면, 클로로프렌 고무와 천연고무의 계면에 대하여 지나치게 많아져 저온특성 및 기계적 강도가 저하한다. 이것은,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가, 클로로프렌 고무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중에 천연고무와는 별도로 섬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따라서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의 배합량은, 고무 성분 100질량부당 0.1∼10질량부로 한다. 이에 따라 압축영구왜곡 및 기계적 특성의 양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에 배합되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질량비(스티렌/부타디엔)가 25/75∼45/55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질량비가 이 범위로부터 벗어나면, 클로로프렌 고무 및 천연고무의 상용화제로서의 효과가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에 있어서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질량비의 더 바람직한 범위는 30/70∼40/60이며, 이에 따라 매트릭스측인 클로로프렌 고무에 대하여 천연고무를 미분산시키는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에 배합되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의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이들 크로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및 블록 랜덤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공중합체 중에서도 특히,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에틸렌티오우레아 : 0.1∼3.0질량부]
에틸렌티오우레아는 가황촉진제로서, 클로로프렌 고무의 가황밀도를 높이고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에틸렌티오우레아 첨가량이 고무 성분 100질량부당 0.1질량부 미만인 경우에, 충분한 가교 밀도가 얻어지지 않아 압축영구왜곡이나 기계적 강도가 저하한다.
한편 에틸렌티오우레아 첨가량이 고무 성분 100질량부당 3.0질량부를 넘으면, 가황속도가 빨라져 성형시에 있어서의 가공특성이 저하한다. 여기에서 가공특성이란, 「가공 안전성」이라고도 하며, 스코치 타임에 의하여 평가된다. 가공특성은 불량발생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예를 들면 스코치 타임이 짧으면 고온에서의 성형중에 미가황 배합물이 가황되어서 성형불량이 발생하는 빈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에틸렌티오우레아 첨가량은, 고무 성분 100질량부당 0.1∼3.0질량부로 한다.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트라설피드 : 0.1∼3.0질량부]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트라설피드도 가황촉진제로서, 클로로프렌과 천연고무를 공가황 시켜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저온하에 있어서 압축영구왜곡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트라설피드 첨가량이 고무 성분 100질량부당 0.1질량부 미만인 경우에, 충분한 가교 밀도가 얻어지지 않아 압축영구왜곡이나 기계적 강도가 저하한다. 또 3.0질량부를 넘으면, 가황속도가 빨라져 충분한 가공특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트라설피드 첨가량은, 고무 성분 100질량부당 0.1∼3.0질량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에서는, 클로로프렌 고무에 천연고무를 배합하고 있기 때문에, 저온특성이 향상한다. 또한 이들의 고무 성분(클로로프렌 고무, 천연고무) 100질량부에 대하여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를 0.1∼10질량부 배합하고 있기 때문에, 클로로프렌 고무중에 천연고무를 미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가황촉진제로서, 에틸렌티오우레아와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트라설피드를 병용하고, 그 첨가량을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각각 0.1∼3.0질량부로 하고 있기 때문에, 분산 상태를 유지하면서 클로로프렌 고무와 천연고무를 공가황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가황촉진제를 사용함으로써 가공특성도 향상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은, 저온영역에서부터 고온영역에 걸쳐 폭넓은 온도범위에서 압축영구왜곡이 양호하고 또한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가공특성이 얻어진다. 또 상기한 특허문헌2에 기재되어 있는 조성물에도 천연고무가 배합되어 있지만, 이 조성물의 구성으로는 클로로프렌 매트릭스중에 천연고무를 미분산시킬 수는 없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에 비하여 압축영구왜곡 및 기계적 강도가 뒤떨어진다.
(제2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가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가황물은, 상기한 제1실시형태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에 가황제를 배합하고, 가황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혼련(混練)한 후에 가황한 것이다. 이때의 가황온도는,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의 조성이나 가황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보통은 140∼190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50∼180도의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에 첨가 가능한 가황제로서는, 예를 들면 베릴륨, 마그네슘, 아연, 칼슘, 바륨, 게르마늄, 티타늄, 주석, 지르코늄, 안티몬, 바나듐, 비스무트, 몰리브덴, 텅스텐, 텔루르, 셀렌, 철, 니켈, 코발트, 오스뮴 등의 금속 단체(金屬單體) 및 이들 산화물이나 수산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금속화합물 중에서도 특히, 산화칼슘이나 산화아연, 이산화안티몬, 3산화안티몬, 산화마그네슘이 가황효과가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이들의 가황제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가황물에는, 필요에 따라 연화제, 충전제, 보강제, 가소제, 가공조제, 윤활제, 노화방지제, 안정제, 실란 커플링제 등이 배합되어 있더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가황물에 배합되는 충전제 및 보강제는, 통상의 클로로프렌 고무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카본블랙, 실리카, 클레이(clay), 탤크(talc), 탄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소제도 통상의 클로로프렌 고무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디옥틸프탈레이트, 디옥틸아디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노화방지제로서는, 통상의 클로로프렌 고무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노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민계 노화방지제, 이미다졸계 노화방지제, 카르밤산 금속염, 페놀계 노화방지제, 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뿐만 아니라 병용할 수도 있다. 특히, 이들의 노화방지제 중에서도 아민계 노화방지제인 4,4'-비스(α,α-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 옥틸화디페닐아민 등을 사용하면, 폴리클로로프렌 엘라스토머 조성물(polychloroprene elastomer 組成物)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화제로서는, 통상의 클로로프렌 고무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연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윤활유, 프로세스 오일, 파라핀, 유동 파라핀, 바셀린, 석유 아스팔트 등의 석유계 연화제, 유채씨유, 아마인유, 피마자유, 야자유 등의 식물유계 연화제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 단독으로뿐만 아니라 병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가황물은, 상기한 제1실시형태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저온영역에서부터 고온영역의 폭넓은 온도범위에 있어서 압축영구왜곡이 양호하고 기계적 강도도 우수하다.
(제3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성형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체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을 성형후 또는 성형과 동시에 가황하여 얻은 것이다. 그 성형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프레스성형, 사출성형 및 압출성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성형체가 와이퍼 블레이드 또는 자동차용 방진고무나 산업용 방진고무 등의 방진재인 경우에는, 프레스성형이나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체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내열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클로로프렌 고무와 천연고무를 공가황 할 수 있고, 저온하 및 고온하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압축영구왜곡이 양호하고 또한 기계적 강도도 우수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용화제(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로서 아사히화성주식회사 제품 「터프프렌A(TUFPRENE A)(등록상표)」를 사용하고, 하기 표1 및 표2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실시예1∼4 및 비교예1∼7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을 제작하여, 그 특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Figure 112013055472900-pct00001
Figure 112013055472900-pct00002
다음에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을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 및 조건으로 평가하였다.
(경도)
JIS K 6250에 의거하여 테스트 피스를 제작하고(가황조건 : 160도×10분간), JIS K 6253에 의거하여 각 가황물(가황고무)의 경도를 측정하였다.
(가공특성)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에 대하여, JIS K 6300에 의거하여 125도에 있어서의 스코치 타임을 측정하였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코치 타임이 7분 이상인 것을 가공특성이 양호라고 하였다.
(인장강도)
JIS K 6250에 의거하여 테스트 피스를 제작하고(가황조건 : 160도×10분간), JIS K 6253에 의거하여 인장시험을 하여 각 가황물(가황고무)의 강도 및 신장을 측정하였다.
(압축영구왜곡)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을 160도로 15분간 가황한 것에 대하여, JIS K 6262에 의거하여 120도의 온도조건하에서 70시간 시험하였을 때의 압축영구왜곡을 측정하였다.
(저온압축영구왜곡)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을 160도로 15분간 가황한 것에 대하여, JIS K 6262에 의거하여 -10도의 온도조건하에서 70시간 시험하였을 때의 압축영구왜곡을 측정하였다.
(게만T10)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폴리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을 160도로 10분간 가황한 것에 대하여, JIS K 6261에 의거하여 게만 비틀림 시험(Gehman's torsion test)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상온에 있어서 180도 비틀기 모듈러스의 10배가 되는 온도(T10)를 구하고, 이 값에 의하여 각 폴리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의 저온특성을 평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하기 표3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Figure 112013055472900-pct00003
상기 표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가 0.1질량부 미만인 비교예1은, 저온특성이 뒤떨어졌다. 한편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의 배합량이 10질량부가 넘는 비교예2는, 기계적 강도와 압축영구왜곡이 뒤떨어졌다.
또한 에틸렌티오우레아를 첨가하지 않고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트라설피드만 첨가한 비교예3 및 에틸렌티오우레아 첨가량이 0.1질량부 미만인 비교예4는, 어느 것이나 모두 압축영구왜곡과 기계적 강도가 뒤떨어졌다. 한편 에틸렌티오우레아의 첨가량이 3.0질량부가 넘는 비교예5는, 가공특성이 현저하게 저하하고 또한 신장도 충분하지 않는 등 기계적 강도도 뒤떨어졌다.
또한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트라설피드의 첨가량이 0.1질량부 미만인 비교예6은, 저온하에 있어서 압축영구왜곡과 기계적 강도가 뒤떨어졌다. 한편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트라설피드의 첨가량이 3.0질량부가 넘는 비교예7은, 충분한 가공특성이 얻어지지 않고 또한 압축영구왜곡 및 기계적 강도도 뒤떨어졌다.
이에 비하여,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를 0.1∼10질량부, 에틸렌티오우레아를 0.1∼3.0질량부,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트라설피드를 0.1∼3.0질량부 배합한 실시예1∼4에서는, 충분한 가공특성하에, 우수한 압축영구왜곡 및 기계적 강도가 얻어지고, 또한 천연고무를 배합함으로써 저온특성의 개량효과도 발현되었다.
또한 실시예2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 및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를 첨가하지 않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작한 비교예8의 클로로프렌 조성물의 몰폴로지(morphology) 관찰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JIS K 6250에 의거하여 제작한 각 폴리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테스트 피스(가황조건 : 160도×10분간)로부터 관찰용 시료를 잘라내어, 주사형 프로브 현미경(Scanning Probe Microscope : SP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1(a)는 실시예2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의 SPM측정결과이며, 도1(b)는 비교예8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의 SPM측정결과이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를 첨가한 실시예2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에서는, 비교예8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에 비하여, 클로로프렌 고무중에 천연고무가 보다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저온영역에서부터 고온영역의 폭넓은 온도범위에 있어서 압축영구왜곡이 양호하고 기계적 강도도 우수한 가황 성형체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7)

  1. 클로로프렌 고무(chloroprene rubber) 및 천연고무(天然rubber) 합계 100질량부와,
    스티렌(styrene)과 부타디엔(butadiene)의 블록 공중합체(block 共重合體) 0.1∼10질량부와,
    에틸렌티오우레아(ethylenethiourea) 0.1∼3.0질량부와,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트라설피드(dipentamethylenethiuram tetrasulfide) 0.1∼3.0질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와 상기 천연고무와의 배합비(클로로프렌 고무/천연고무)가 질량비로 60/40∼95/5인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chloroprene rubber 組成物).
  2. 제1항에 있어서,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질량비(스티렌/부타디엔)가 25/75∼45/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는, 2,3-디클로로부타디엔(2,3-dichlrobutadiene) 단위를 5∼20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을 가황(加黃)한 가황물(加黃物).
  5. 제1항 또는 제2항의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을 성형후 또는 성형시에 가황하여 얻은 성형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가,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 또는 방진재(防振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7. 삭제
KR1020137016159A 2010-11-26 2011-06-21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 그 가황물 및 성형체 KR101779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3795 2010-11-26
JP2010263795A JP5690120B2 (ja) 2010-11-26 2010-11-26 クロロプレンゴム組成物及びその加硫物並びに成形体
PCT/JP2011/064120 WO2012070270A1 (ja) 2010-11-26 2011-06-21 クロロプレンゴム組成物及びその加硫物並びに成形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491A KR20130120491A (ko) 2013-11-04
KR101779365B1 true KR101779365B1 (ko) 2017-09-18

Family

ID=4614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159A KR101779365B1 (ko) 2010-11-26 2011-06-21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 그 가황물 및 성형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05918B2 (ko)
EP (1) EP2644651B1 (ko)
JP (1) JP5690120B2 (ko)
KR (1) KR101779365B1 (ko)
CN (1) CN103221474B (ko)
TW (1) TWI516534B (ko)
WO (1) WO20120702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191B1 (ko) * 2010-11-12 2017-12-21 덴카 주식회사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 그 가황물 및 성형체
KR102187515B1 (ko) 2013-06-03 2020-12-07 덴카 주식회사 고무 조성물 및 그의 가황 성형체
JP5885131B2 (ja) * 2013-12-27 2016-03-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耐寒性ゴム組成物
US10253170B2 (en) * 2014-03-25 2019-04-09 Ansell Limited Polyisoprene/polychloroprene compositions
CN104212014A (zh) * 2014-09-10 2014-12-17 安徽弘毅电缆集团有限公司 一种耐老化高减震性能改性橡胶
CN105384998A (zh) * 2015-11-24 2016-03-09 丹阳镇威汽配有限公司 用于雨刷的氯化橡胶及其制备方法
JP2017141369A (ja) * 2016-02-10 2017-08-17 デンカ株式会社 ゴム組成物、その加硫物及び成形体
FR3051168B1 (fr) * 2016-05-13 2019-05-10 Valeo Systemes D'essuyage Lame d'essuyage pour balai d'essuie-glace
EP3715409B1 (en) 2017-11-24 2021-10-06 Denka Company Limited Sulfur-modified chloroprene rubber composition, vulcanized product, molded article using said vulcanized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sulfur-modified chloroprene rubber composition
WO2020189517A1 (ja) 2019-03-20 2020-09-24 デンカ株式会社 硫黄変性クロロプレンゴム及びその製造方法、硫黄変性クロロプレンゴム組成物、加硫物、並びに、成形品
WO2020189516A1 (ja) 2019-03-20 2020-09-24 デンカ株式会社 硫黄変性クロロプレンゴム及びその製造方法、硫黄変性クロロプレンゴム組成物、加硫物、並びに、成形品
WO2020189515A1 (ja) 2019-03-20 2020-09-24 デンカ株式会社 硫黄変性クロロプレンゴム及びその製造方法、硫黄変性クロロプレンゴム組成物、加硫物、並びに、成形品
CN113166300B (zh) 2019-03-20 2023-09-15 电化株式会社 硫改性氯丁橡胶及其制造方法、硫改性氯丁橡胶组合物、硫化物以及成型品
CN113661181B (zh) 2019-05-13 2023-03-14 电化株式会社 硫改性氯丁橡胶及其制造方法、硫改性氯丁橡胶组合物、硫化物以及成型品
JP7438226B2 (ja) 2019-08-23 2024-02-26 デンカ株式会社 ゴム組成物、加硫物及び加硫成形体
JP7360882B2 (ja) * 2019-09-30 2023-10-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組成物、複合体、ホース、コンベヤベルト、クローラおよびタイヤ
JP2023072101A (ja) 2020-04-07 2023-05-24 デンカ株式会社 ゴム組成物、該ゴム組成物の加硫物及び成形品
JP2023075373A (ja) 2020-04-21 2023-05-31 デンカ株式会社 ゴム組成物、該ゴム組成物の加硫物及び加硫成形体
EP4223837A4 (en) 2020-10-23 2024-04-03 Denka Company Ltd RUBBER COMPOSITION, VULCANIZED PRODUCT AND VULCANIZED MOLDED ARTICLE
CN116323784A (zh) 2020-10-26 2023-06-23 电化株式会社 橡胶组合物、硫化物及硫化成型体
WO2023042728A1 (ja) 2021-09-14 2023-03-23 デンカ株式会社 ゴム組成物、加硫物、及び加硫成形体
WO2023042727A1 (ja) 2021-09-14 2023-03-23 デンカ株式会社 ゴム組成物、加硫物、及び加硫成形体
CN113929991B (zh) * 2021-11-03 2023-05-30 株洲时代瑞唯减振装备有限公司 一种防焦烧的在室温下长期储存的cr未硫化胶及其制备方法以及防焦剂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2907A (ja) 2001-02-23 2004-10-28 ザ ゲイツ コーポレイション ゴムと少なくとも一つの第二基質とを直接結合する方法および該方法により得られる物品
JP2008195870A (ja) * 2007-02-14 2008-08-28 Denki Kagaku Kogyo Kk ゴム組成物、並びにこれを加硫成形したホース剤及び支承ゴム材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7235B2 (ko) * 1974-05-02 1976-10-14
DE4236218C2 (de) * 1991-12-19 2001-08-16 Degussa Vulkanisierbare EPDM-Kautschukmischungen
JPH06279621A (ja) 1993-03-29 1994-10-04 Oouchi Shinko Kagaku Kogyo Kk クロロプレンゴム組成物
JPH07145269A (ja) 1993-11-25 1995-06-06 Kureha Elastomer- Kk クロロプレンゴム組成物
JP3587587B2 (ja) * 1995-05-26 2004-11-10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イパーブレードゴム
JPH09278946A (ja) * 1996-04-17 1997-10-28 Sanshin Chem Ind Co Ltd ゴム薬品マスターバッチ
JPH10101850A (ja) 1996-09-30 1998-04-21 Saitama Gomme Kogyo Kk 急速水膨張性ゴム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H11153169A (ja) 1997-11-21 1999-06-08 Nitta Ind Corp 高減衰ゴム組成物
JP3669874B2 (ja) * 1999-08-10 2005-07-13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防振ゴム組成物及び防振部材
JP2001288431A (ja) * 2000-04-04 2001-10-16 Sony Chem Corp 印刷媒体
ES2234780T3 (es) * 2000-09-01 2005-07-01 Bridgestone Corporation Composicion de caucho y cubierta neumatica robusta que utiliza la composicion de caucho.
EP1323777A1 (en) * 2001-12-28 2003-07-02 JSR Corporation Rubber composition, vibration-isolating rubber and vibration-isolating mount
US7052642B2 (en) 2003-06-11 2006-05-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ion for forming an elastomeric article
CN101353453B (zh) * 2007-07-27 2012-10-10 中国铁道科学研究院金属及化学研究所 一种用于铁道机车车辆的耐寒氯丁橡胶组合物
CN102325837A (zh) * 2009-02-18 2012-01-18 电气化学工业株式会社 聚氯丁二烯弹性体组合物及其制造方法、硫化物以及成型体
KR101811191B1 (ko) * 2010-11-12 2017-12-21 덴카 주식회사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 그 가황물 및 성형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2907A (ja) 2001-02-23 2004-10-28 ザ ゲイツ コーポレイション ゴムと少なくとも一つの第二基質とを直接結合する方法および該方法により得られる物品
JP2008195870A (ja) * 2007-02-14 2008-08-28 Denki Kagaku Kogyo Kk ゴム組成物、並びにこれを加硫成形したホース剤及び支承ゴム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OMPATIBILIZATION EFFECT OF STYRENIC THERMOPLASTIC ELASTOMER ON IR/CR", China Synthetic Rubber Industry, 1997(abstr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21474B (zh) 2015-09-30
EP2644651B1 (en) 2015-10-28
US20130253138A1 (en) 2013-09-26
KR20130120491A (ko) 2013-11-04
CN103221474A (zh) 2013-07-24
EP2644651A4 (en) 2014-05-07
US9505918B2 (en) 2016-11-29
JP2012111899A (ja) 2012-06-14
TWI516534B (zh) 2016-01-11
EP2644651A1 (en) 2013-10-02
WO2012070270A1 (ja) 2012-05-31
JP5690120B2 (ja) 2015-03-25
BR112013013009A8 (pt) 2022-08-16
BR112013013009A2 (pt) 2016-08-09
TW201224034A (en) 201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365B1 (ko)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 그 가황물 및 성형체
KR101811191B1 (ko)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 그 가황물 및 성형체
KR101666362B1 (ko) 폴리클로로프렌 엘라스토머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가황물 및 성형체
JP2011052200A (ja) 防振ゴム組成物
KR20170074918A (ko)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 가황 성형체 및 방진 고무
JP6351586B2 (ja) ゴム組成物及びその加硫成形体
JP2007291295A (ja) 耐水性ニトリルゴム組成物
JP5949820B2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JP2011057768A (ja) アクリルゴム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WO2019117155A1 (ja) 防振ゴム組成物及び防振ゴム
JP6960086B2 (ja) 防舷材用ゴム組成物
KR101694146B1 (ko) 사이드월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KR20240032535A (ko)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타이어
JP2010144068A (ja) タイヤリムクッション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JP2009084426A (ja) 防振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振ゴ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