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937B1 - 유체 전동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전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937B1
KR101777937B1 KR1020157030079A KR20157030079A KR101777937B1 KR 101777937 B1 KR101777937 B1 KR 101777937B1 KR 1020157030079 A KR1020157030079 A KR 1020157030079A KR 20157030079 A KR20157030079 A KR 20157030079A KR 101777937 B1 KR101777937 B1 KR 101777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damper
clutch
flui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2869A (ko
Inventor
히로유키 아마노
유 미야하라
신고 아이지마
히로츠구 요시노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2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limi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means
    • F16F15/145Masses mounted with play with respect to driving means thus enabling free movement over a limited r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05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two chamber system, i.e. without a separated, closed chamber specially adapted for actuating a lock-up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21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with damping means
    • F16H2045/0226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with damping means comprising two or more vibration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21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with damping means
    • F16H2045/0263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with damping means the damper comprising a pendul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73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friction surface of the lock-up clutch
    • F16H2045/0278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friction surface of the lock-up clutch comprising only two co-acting friction surfaces

Abstract

커버 부재의 내부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함과 함께, 비틀림 진동을 감쇠하는 장치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는 유체 전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유체를 수용하는 커버 부재와, 펌프 임펠러와, 터빈 러너와, 유체압에 의해 동작되어 커버 부재와 출력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로크업 클러치와, 탄성 부재를 갖는 댐퍼 기구와, 출력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출력축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관성 질량체를 갖는 진자식 흡진기를 구비한 유체 전동 장치에 있어서, 커버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 출력축의 축선 방향에서, 터빈 러너, 댐퍼 기구, 로크업 클러치, 진자식 흡진기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체 전동 장치 {FLUID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커버 부재의 내부에 비틀림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유체 전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력원에서 발생시킨 토크를, 목적으로 하는 개소 혹은 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이나 기어 등의 회전체는, 입력되는 토크 자체의 변동이나 부하의 변동, 혹은 마찰 등이 원인으로 되어 불가피적으로 진동한다. 그 진동의 주파수는 회전수에 따라 변화함과 함께, 2차 진동 이상의 고차의 진동도 아울러 발생하므로, 공진에 의해 진폭이 커지고, 나아가서는 소음이나 내구성 저하 등의 원인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회전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각종 기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혹은 기구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특히, 그러한 비틀림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장치를 커버 부재의 내부에 설치한 유체 전동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 일례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2-77823호 공보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1-504986호 공보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2-53303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2-77823호 공보에는, 펌프 쉘과 터빈 러너가 대향하여 배치된 유체 전동 장치의 커버 부재의 내부에, 다이내믹 댐퍼와 원심 진자식 흡진 장치를 구비하고, 다이내믹 댐퍼가 터빈 러너와 인접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그 유체 전동 장치에는, 프론트 커버의 내면과 마찰 결합하도록 로크업 피스톤이 배치되고, 그 로크업 피스톤과 다이내믹 댐퍼 사이에 원심 진자식 흡진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1-504986호 공보에는, 원심력 진자 장치에 의해 형성된 회전수 적응형의 동 흡진기가 터빈차와 축선 방향에서 인접하도록 배치된 동력 전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 동력 전달 장치에서는, 축선 방향에서 프론트 커버에 마찰 결합하는 로크업 클러치와 회전수 적응형의 동 흡진기 사이에, 탄성 부재를 갖는 댐퍼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2-533037호 공보에는, 원심력 진자에 의해 형성된 진동 흡진기와 토셔널 바이브레이션 댐퍼가, 반경 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된 토크 전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 토크 전달 장치에서는, 축선 방향에서 터빈 러너와 컨버터 로크업 클러치 사이에, 진동 흡진기 및 토셔널 바이브레이션 댐퍼가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각 특허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의 내부에 비틀림 진동을 감쇠하는 장치를 구비한 유체 전동 장치에서는, 유체 전동 장치를 차량 내에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제약되므로, 유체 전동 장치의 커버 부재의 내부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요망된다. 즉, 그 커버 부재의 내부에서는, 비틀림 진동을 감쇠시키는 장치를 배치시키기 위한 스페이스가 제약되게 된다.
그 점,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1-504986호 공보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2-533037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반경 방향에서 터빈 러너와 커버 부재 사이의 스페이스가 유효하게 활용되고 있지 않았다. 한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2-77823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그 터빈 러너와 커버 부재 사이의 스페이스에, 다이내믹 댐퍼의 일부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2-77823호 공보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다이내믹 댐퍼와 로크업 피스톤을 연결하는 결합부가, 원심 진자식 흡진 장치의 외주측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원심 진자식 흡진기의 외경이 그 결합부에 의해 제약되어 버린다. 따라서, 펌프 임펠러 및 터빈 러너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진자 부재인 질량체까지의 거리가 짧아지고, 원심 진자식 흡진기에 의한 관성 모멘트가 부족해질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커버 부재의 내부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함과 함께, 그 커버 부재의 내부에 설치된 비틀림 진동을 감쇠하는 장치가, 진동 감쇠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유체 전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력 부재에 연결되어 유체를 수용하는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유체류를 발생시키는 구동측의 임펠러와, 회전축을 포함하는 출력 부재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유체류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측의 임펠러와, 유체압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출력 부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직결 클러치와, 상기 직결 클러치에 연결된 입력 요소와 상기 출력 부재에 연결된 출력 요소와 당해 입력 요소와 당해 출력 요소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를 갖는 댐퍼 기구와, 상기 출력 부재에 연결되고, 당해 출력 부재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당해 출력 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관성 질량체를 갖는 진자식 흡진기를 구비한 유체 전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서, 상기 종동측의 임펠러, 상기 댐퍼 기구, 상기 직결 클러치, 상기 진자식 흡진기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에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중심 축선을 향해 돌출되고, 또한 상기 직결 클러치의 결합면을 구성하는 플레이트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동 장치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축선 방향에서, 상기 직결 클러치와 상기 진자식 흡진기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동 장치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직결 클러치를 결합시킨 것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의 내부 공간이, 상기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직결 클러치에 의해, 상기 종동측의 임펠러 및 상기 댐퍼 기구를 수용하고 있는 제1 수용실과, 상기 진자식 흡진기를 수용하고 있는 제2 수용실로 구획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동 장치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진자식 흡진기의 외주측을 덮는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구동측의 임펠러와 일체화되고, 또한 상기 종동측의 임펠러의 외주측을 덮는 제2 커버 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와 일체화되고, 또한 상기 직결 클러치의 외주측을 덮는 제3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동 장치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내경은, 상기 제3 커버 부재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동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전동 장치의 커버 부재 내부에 있어서의 구조가,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서, 종동측의 임펠러, 탄성체를 갖는 댐퍼 기구, 직결 클러치, 진자식 흡진기의 순서로 배치된 것에 의해, 유체 전동 장치의 축선 방향 길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축선 방향에서, 댐퍼 기구와 진자식 흡진기 사이에, 직결 클러치의 결합면을 구성하는 플레이트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종동측의 임펠러와 커버 부재 사이의 반경 방향의 스페이스를 활용하여 댐퍼 기구를 배치시킴과 함께, 진자식 흡진기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로서, 반경 방향에서 커버 부재의 내부 스페이스를 크게 활용할 수 있다. 즉, 진자식 흡진기와 제1 커버 부재가 반경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진자식 흡진기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댐퍼 기구 혹은 직결 클러치의 구조에 의해 간섭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진자식 흡진기는, 반경 방향에서 커버 부재의 내부 스페이스를 크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진자식 흡진기의 회전 부재에 있어서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관성 질량체까지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고, 출력 부재에 작용하는 진자식 흡진기에 의한 관성 모멘트를 크게 할 수 있다. 즉, 유체 전동 장치의 내부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음과 함께, 진자식 흡진기에 의한 비틀림 진동의 감쇠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직결 클러치의 결합면의 이면측에도 작동유 등의 유체가 개재하고 있으므로, 직결 클러치의 결합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어, 직결 클러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직결 클러치를 결합시킨 경우, 제2 커버 부재에 설치된 플레이트 부재와, 직결 클러치에 포함되는 피스톤이 일체로 됨으로써, 구동측 및 종동측의 임펠러가 수용된 제1 수용실과, 진자식 흡진기가 수용된 제2 수용실이 구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그 결합 시, 진자식 흡진기에 유체압이 전해지기 어려워지고, 유체압에 의해 관성 질량체의 진자 운동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진자식 흡진기에 있어서의 비틀림 진동의 감쇠 성능이, 커버 부재 내부의 유체압에 의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 부재에 설치된 플레이트 부재가, 로크업 결합면을 구성하므로, 제1 커버 부재에 로크업 결합면이 형성된 경우에 비해, 직결 클러치가 마찰 결합할 때에 발생하는 저더를 억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유체 전동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유체 전동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유체 전동 장치는, 토크의 증폭 작용을 발생시키는 토크 컨버터라 칭해지는 것이며, 커버 부재의 내부에 토크를 전동하는 유체를 수용하고 있음과 함께 비틀림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 진동 감쇠 장치는, 소위 진자식이라 칭해지는 것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토크를 받아 회전하는 회전체에, 그 회전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유 운동할 수 있는 추에 상당하는 관성 질량체를 보유 지지시킨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 유체 전동 장치는, 종래 차량에 널리 탑재되어 있는 토크 컨버터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고, 커버 부재의 내부에 직결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체 전동 장치의 내부 구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비틀림 진동 감쇠 장치와 직결 클러치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의 유체 전동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유체 전동 장치(1)는, 동력원으로서 내연 기관, 특히 엔진을 구비한 차량에 탑재되어 있다. 도 1에는, 그 엔진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1에 도시하는 유체 전동 장치(1)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면 중의 우측을 「전방측」 혹은 「엔진측」으로 하고, 그 좌측을 「후방측」 혹은 「엔진과는 반대측」이라고 기재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체 전동 장치(1)는, 커버 부재(C)의 내부에 유체로서 오일을 수용함과 함께, 그 오일의 흐름(유체류)을 발생시키는 구동측의 회전 부재인 펌프 임펠러(2)와, 그 유체류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측의 회전 부재인 터빈 러너(3)를 구비하고 있다. 펌프 임펠러(2)는, 환상으로 형성된 펌프 쉘(2a)의 내면에, 환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펌프 블레이드(2b)를 설치하여 구성되고, 그 펌프 쉘(2a)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터빈 러너(3)는, 펌프 임펠러(2)와 대략 대칭으로 되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환상 혹은 반 도너츠 형상으로 형성된 쉘(3a)의 내면에,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터빈 블레이드(3b)를 고정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펌프 임펠러(2)와 터빈 러너(3)는, 동일 축선 상에서 축선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펌프 임펠러(2)와 터빈 러너(3)는, 펌프 임펠러(2) 및 터빈 러너(3)의 회전 중심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펌프 임펠러(2)가 전방측에 배치되고, 터빈 러너(3)가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구체예에서는, 유체 전동 장치(1)에 있어서의 커버 부재(C)는, 엔진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펌프 쉘(2a)과,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엔진측에 배치된 프론트 커버(5)와, 환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펌프 쉘(2a) 및 프론트 커버(5)에 일체로 접합된 센터 커버(4)를 구비하고 있다. 즉, 커버 부재(C)로서, 전방측에 프론트 커버(5)가 배치되고, 후방측에 펌프 쉘(2a)이 배치되고, 프론트 커버(5)와 펌프 쉘(2a) 사이에 센터 커버(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5)에 있어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원통부(51)의 내경(51a)은, 센터 커버(4)에 있어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원통부(41)의 내경(41a)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5)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커버 부재」에 상당하고, 펌프 쉘(2a)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커버 부재」에 상당하고, 센터 커버(4)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3 커버 부재」에 상당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론트 커버(5)의 원통부(51)는, 진자로서의 질량 관성체를 갖는 진자식 흡진기(12)의 외주측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프론트 커버(5)에 있어서의 바닥 부분을 구성하는 프론트 벽(52)에는, 그 외면(전방측의 측면)(5b)의 외주측에, 드라이브 플레이트(7)와 일체화된 세트 블록(71)이 접합되어 있다. 드라이브 플레이트(7)는,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6)에 설치되어 있고, 드라이브 플레이트(7)와 프론트 커버(5)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프론트 커버(5)는, 입력 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벽(52)의 내면(후방측의 벽면)(5a)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선 방향에서 펌프 쉘(3)의 배면 및 격벽 플레이트(42)에 있어서의 전방측(엔진측)의 측면(42b)과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센터 커버(4)의 원통부(41)는, 터빈 러너(3)의 외주측, 및 탄성 부재(15a)를 갖는 댐퍼 기구(15)의 외주측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센터 커버(4)는, 원통부(41)로부터 내주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격벽 플레이트(42)를 갖고, 그 격벽 플레이트(42)는, 원통부(41)에 있어서 축선 방향에서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센터 커버(4)는, 격벽 플레이트(42)에 의해 환상의 저부가 구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격벽 플레이트(42)는, 축선 방향에서 로크업 클러치(17)와 후술하는 진자식 흡진기(1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그 격벽 플레이트(42)는, 축선 방향에서 댐퍼 기구(15)보다도 전방측, 또한 진자식 흡진기(16)보다도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커버(4)는, 펌프 쉘(2a)의 외주측의 단부에 일체로 접합되어 있음과 함께, 프론트 커버(5)의 후방측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펌프 쉘(2a)은, 센터 커버(4)를 통해 프론트 커버(5)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펌프 쉘(2a)의 내주측의 단부에는, 원통축(8)이 접합되어 있다. 그 원통축(8)은, 펌프 쉘(2a)보다도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오일 펌프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펌프 쉘(2a)과 원통축(8)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펌프 쉘(2a)이 회전함으로써 오일 펌프가 구동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8)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선단부에는, 반경 방향에서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그 플랜지부와 펌프 쉘(2a)이 접합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원통축(8)의 내부에는, 원통축(8)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고, 또한 중공으로 형성된 고정축(9)이 삽입되어 있다. 그 고정축(9)에 있어서의 전방의 선단부(9a)는, 펌프 쉘(2a)과 센터 커버(4)와 프론트 커버(5)로 둘러싸인 유체 전동 장치(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축(9)은, 오일 펌프를 보유 지지하고 있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된 중공축 형상의 부재이다. 그 고정축(9)의 외주면과 원통축(8)의 내주면 사이가 유체 유로(21)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구체예에서는, 유체로서 오일을 수용하므로, 유체 유로(21)를 오일로(21)라고 기재하여 설명한다.
또한, 그 고정축(9)의 선단부(9a)는, 터빈 러너(3)의 내주측, 혹은 축선 방향에서 펌프 임펠러(2)와 터빈 러너(3)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 고정축(9)의 선단부(9a)에 있어서의 외주면에는, 일 방향 클러치(11)의 이너 레이스가 스플라인 끼워 맞춤되어 있다. 그 일 방향 클러치(11)의 아우터 레이스에는, 스테이터(12)가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터(12)는, 펌프 임펠러(2)의 내주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터빈 러너(5)의 내주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펌프 임펠러(2)와 터빈 러너(3)의 속도비가 작은 상태에서는, 터빈 러너(3)로부터 유출된 오일이 스테이터(12)에 작용해도 스테이터(12)의 회전을 일 방향 클러치(11)에 의해 저지하고, 그 결과, 오일의 유동 방향을 변화시켜 펌프 임펠러(2)에 오일을 송입하고, 또한 속도비가 커져 스테이터(12)의 소위 배면을 향해 오일이 접촉하는 상태에서는, 스테이터(12)를 회전시켜 오일의 흐름을 흐트러뜨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축(9)의 내주측에는, 유체 전동 장치(1)의 출력 부재인 출력축(13)이 고정축(9)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그 출력축(13)은, 도시하지 않은 변속 기구의 입력축으로서 구성된다. 또한, 출력축(13)의 선단부(13a)는, 축선 방향에서 고정축(9)의 선단부(9a)보다 엔진측으로 돌출되고, 프론트 커버(5)의 프론트 벽면(5a) 부근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출력축(13)의 선단부(13a)의 외주면에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허브축(14)이 스플라인 끼워 맞춤되어 있다.
허브축(14)은, 축선 방향에서 후방측에 배치되고, 또한 외주측으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 허브(14a)와, 그것보다 전방측에 형성된 원통부(14b)를 갖고 있다. 그 허브(14a)에는, 터빈 러너(3) 및 댐퍼 기구(15)가 허브(14a)와 일체로 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14b)에는, 후술하는 진자식 흡진기(16)의 일부를 구성하는 회전 부재(16a)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허브축(14)은, 댐퍼 기구(15) 및 진자식 흡진기(16)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댐퍼 기구(1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틀림 진동 감쇠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소위 토셔널 댐퍼라 칭해지는 것이며, 입력 요소(15b)와, 비틀림 진동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탄성 부재(15a)와, 출력 요소(15c)를 구비하고 있다. 그 입력 요소(15a)는, 로크업 클러치(17)의 로크업 피스톤(17a)에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탄성 부재(15a)에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 등의 회전 방향, 즉, 원주 방향에서 신축하는 부재가 포함된다. 한편, 출력 요소(15c)는, 허브축(14)의 허브(14a)에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입력 요소(15b)의 전방측의 측면과 로크업 피스톤(17a)의 후방측의 측면이 대향하고, 연결 부재(28)를 통해 입력 요소(15b)와 로크업 피스톤(17a)이 연결되어 있다. 즉, 유체 전동 장치(1)는, 댐퍼 기구(15)에 있어서의 입력 부재로서의 로크업 클러치(17)를 구비하고, 또한 출력 부재로서의 허브축(1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댐퍼 기구(15)는, 터빈 러너(3)와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특히 터빈 러너(3)의 배면(전방측의 면), 즉, 프론트 벽면(5a)에 대향하는 면을 따르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댐퍼 기구(15)는, 축선 방향에서 터빈 러너(3)와 로크업 클러치(17)의 로크업 피스톤(17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 로크업 클러치(17)는, 소위 직결 클러치이며, 종래 알려져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유체(오일)를 개재하는 일 없이 입력 부재와 출력 부재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즉, 로크업 클러치(17)는, 입력 부재인 펌프 임펠러(2)와, 출력 부재인 터빈 러너(3)를 선택적으로 연결(직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로크업 클러치(17)는, 입력 부재인 프론트 커버(5)와, 출력 부재인 출력축(13)을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로크업 클러치(17)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로크업 피스톤(17a)을 주체로 구성되어 있다. 로크업 피스톤(17a)은, 허브축(14)에, 축선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방향으로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그 로크업 피스톤(17a)의 전방측의 측면 중, 격벽 플레이트(42)의 후방측의 측면(42a)에 대향하는 개소, 즉, 가급적으로 외주측에는, 센터 커버(4)의 격벽 플레이트(42)에 압박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재(17b)가 설치되어 있다. 즉, 로크업 피스톤(17a)의 전방측의 측면은, 격벽 플레이트(42)의 후방측의 측면(42a)과, 프론트 커버(5)의 프론트 벽면(5a)과 대향하고 있다. 요컨대, 로크업 클러치(17)[로크업 피스톤(17a)]는, 축선 방향에서 댐퍼 기구(15)와 센터 커버(4)의 격벽 플레이트(4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유체 전동 장치(1)의 내부 구조는, 펌프 쉘(2a)과 센터 커버(4)와 로크업 피스톤(17a)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하여, 펌프 임펠러(2)와 터빈 러너(3)와 댐퍼 기구(15)가 수용된 제1 수용실(A)을 갖고 있다.
그 로크업 피스톤(17a)의 외주측의 단부에는, 그 원통부(41)의 내주면을 따르도록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외주부(17c)가 형성되어 있다. 그 외주부(17c)는, 원통 형상, 혹은 원주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설치된 포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업 피스톤(17a)의 외경(17d)은, 센터 커버(4)의 원통부(41)의 내경(41a)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로크업 피스톤(17)의 외주부(17c)의 외경(17d)은, 그 원통부(41)의 내경(41a)보다도 근소하게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업 피스톤(17a)은, 유체 전동 장치(1) 내의 유체압에 의해 도 1의 우측 방향으로 압박되어, 그 마찰재(17b)가 격벽 플레이트(42)의 측면(42a)에 접촉함으로써 마찰 결합하여, 센터 커버(4)와 허브축(14)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격벽 플레이트(42)의 측면(42a)은, 로크업 결합면을 구성한다. 즉, 격벽 플레이트(42)는, 로크업 클러치(17)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그 유체압에 의해 로크업 피스톤(17a)이 도 1의 좌측 방향으로 되밀림으로써, 그 마찰재(17b)가 격벽 플레이트(42)로부터 이격되어, 로크업 클러치(17)는 해방 상태로 되고, 댐퍼 기구(15)를 통한 토크의 전달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그 해방 상태에 있어서, 로크업 피스톤(17a)의 전방측의 측면과, 격벽 플레이트(42)의 측면(42a) 사이에는 근소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간극이, 유체 전동 장치(1) 내의 오일이 유통하는 유체 유로(오일로)(22)를 구성한다.
그리고, 제1 수용실(A) 내로부터 그 오일로(22)를 유통한 오일은, 진자식 흡진기(16)를 수용하고 있는 프론트 커버(5)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유체 전동 장치(1)의 내부 구조는, 프론트 커버(5)와 센터 커버(4)와 로크업 피스톤(17a)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하여, 진자식 흡진기(16)가 수용된 제2 수용실(B)을 갖고 있다. 따라서, 진자식 흡진기(16)는, 축선 방향에서 격벽 플레이트(42)의 전방측의 측면(42b)과, 프론트 커버(5)의 프론트 벽면(5a)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어 있다.
진자식 흡진기(16)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틀림 진동 감쇠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소위 다이내믹 댐퍼나 진자식이라 칭해지는 것을 포함하고, 허브축(14)의 토크를 받아 회전하는 회전체(16a)에, 그 회전체(16a)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유 운동할 수 있는 추에 상당하는 관성 질량체(16b)를 보유 지지시킨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회전체(16a)의 외주측의 부분에는, 축선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관통부가, 허브축(14)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관성 질량체(16b)를 수용하고, 또한 그 외주측의 면에 관성 질량체(16b)를 전동시키기 위한 전동실(16c)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설명에서는, 관성 질량체(16b)를 전동체(16b)라고 기재하여 설명한다.
요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진자식 흡진기(16)는, 회전체(16a) 중 가급적으로 외주측에 전동실(16c)이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그 전동실(16c)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동실(16c)의 형상으로서, 외주측의 면이, 반경 방향으로 연속하여 요철로 변화하는 곡면으로서 형성되고, 내주측의 면이 단순한 원호면으로 되어 있고, 이들 외주측의 곡면과 내주측의 곡면의 반경 방향의 간격이 좁은 부분이 원주 방향으로 복수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그 반경 방향의 간격이 좁은 부분의 사이에 의해 구획된 부분이, 전동체(16b)를 수용하는 전동실(16c)로 된다. 혹은, 회전체(16a)의 외주부에,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관통부를 구비하고, 그 관통부 단위가 전동실(16c)로 되어도 된다.
또한, 전동체(16b)는, 일례로서 원반 형상의 추이며, 그 외경은, 전동실(16c)을 형성하고 있는 외주측의 면과 내주측의 면의 최대의 간격보다 작고, 또한 전동실(16c)의 양측의 최소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전동체(16b)는, 각 전동실(16c)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도 1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전동실(16c)의 외주측의 면은, 전동체(16b)가 원심력을 받은 경우에 접촉하고, 또한 전동체(16b)를 따르게 하여 이동시키는 면, 즉, 전동면이다. 따라서, 그 전동실(16c)의 외주측의 면은, 중앙부를 기점으로 한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의 면이, 예를 들어 토로이달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구체예에 있어서의 진자식 흡진기(16)는, 전동체(16b)가 전동면을 전동할 수 있는 상태에서 그 전동실(16c)을 덮도록 형성된 하우징(16d)을 구비하고 있다. 즉, 하우징(16d)과 회전체(16a)는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6d)에 의해 전동실(16c)이 덮여 있음으로써, 프론트 커버(5) 내에 수용된 오일에 의한 유압, 특히 로크업 클러치(17)를 해방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제2 수용실(B) 내의 유압이, 전동체(16b)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자식 흡진기(16)는, 프론트 커버(5) 내부의 제2 수용실(B)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하우징(16d)의 전방측의 측면이 프론트 벽면(5a)과 대향하고, 또한 하우징(16d)의 후방측의 측면이 격벽 플레이트(42)의 전방측의 측면(42b), 즉, 격벽 플레이트(42)에 있어서의 로크업 결합면(42a)과는 반대측의 측면(42b)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출력축(13)에는, 그 중심 축선을 따라 유체 유로(오일로)(2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일로(23)는 출력축(13)의 전방측의 선단부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5)의 프론트 벽면(5a)과, 허브(14)의 전방측의 선단부 사이에는 근소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일로(23)는, 그 간극을 통해 로크업 피스톤(17a)의 전방측의 부분, 즉, 제2 수용실(B)에 연통되어 있다. 한편, 로크업 피스톤(17a)의 후방측의 부분, 즉, 제1 수용실(A)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일로(21)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이 오일로(21)를 가령 결합용 오일로(21)로 하고, 오일로(23)를 가령 해방용 오일로(23)로 하면, 결합용 오일로(21)의 유압을 해방용 오일로(23)의 유압보다 높게 함으로써, 제1 수용실(A) 내의 유압이, 로크업 피스톤(17a)과 격벽 플레이트(42) 사이의 압력, 즉, 제2 수용실(B) 내의 유압보다 높아진다. 그 결과, 로크업 피스톤(17a)이 격벽 플레이트(42)측에 압박되어 마찰재(17b)가 격벽 플레이트(42)의 후방측의 측면(42a)에 압박된다. 즉, 로크업 클러치(17)가 결합 상태로 되어, 로크업 클러치(17)의 마찰재(17b)와 격벽 플레이트(42)의 로크업 결합면(42b)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토크의 전달이 발생한다. 그 로크업 피스톤(17)은 댐퍼 기구(15)를 통해 허브축(14)에 토크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허브축(14)에 터빈 러너(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센터 커버(4)로부터 로크업 클러치(17)를 통해 터빈 러너(3) 혹은 출력축(13)에 동력이 직접 전달된다. 즉, 로크업 결합 상태에 있어서, 유체를 통하는 것에 의한 미끄러짐을 수반하는 일 없이 토크의 전달이 행해져, 토크 전달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이 구체예에서는, 로크업 클러치(17)를 결합시키면, 센터 커버(4)에 설치된 격벽 플레이트(42)와 로크업 피스톤(17a)이 마찰 결합하고 일체적으로 되므로, 유체 전동 장치(1)의 내부 공간이, 터빈 러너(3) 및 댐퍼 기구(15)가 수용된 제1 수용실(A)과, 진자식 흡진기(16)가 수용된 제2 수용실(B)로 구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것과는 반대로 결합용 오일로(21)의 유압을 해방용 오일로(23)의 유압보다 낮게 하면, 로크업 피스톤(17a)과 격벽 플레이트(42) 사이의 압력, 즉, 제2 수용실(B) 내의 유압이 제1 수용실(A) 내의 유압보다 높아진다. 그 결과, 로크업 피스톤(17a)이 격벽 플레이트(4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마찰재(17b)가 격벽 플레이트(42)의 후방측의 측면(42a)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로크업 클러치(17)가 해방 상태로 되고, 격벽 플레이트(42)와 로크업 피스톤(17a) 사이에서의 토크의 전달이 차단된다.
그 로크업 클러치(17)의 해방 상태에 있어서, 유체를 통한 동력의 전달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엔진의 토크는 드라이브 플레이트(7)를 통해 프론트 커버(5)와 센터 커버(4)와 펌프 쉘(2a)에 전달되므로, 펌프 임펠러(2)가 회전하고, 오일의 나선류를 발생시킨다. 그 나선류로 되는 오일은, 펌프 블레이드(2b)의 외주측으로부터 터빈 러너(3)에 공급되고, 그 오일이 갖는 운동 에너지에 의해 터빈 러너(3)가 회전시켜진다. 이와 같이 하여, 구동측의 임펠러인 펌프 임펠러(2)로부터 종동측의 임펠러인 터빈 러너(3)에 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터빈 러너(3)와 진자식 흡진기(16)는 허브축(14)을 통해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터빈 러너(3)로부터 출력축(13)에 동력이 전달되어 출력됨과 함께, 진자식 흡진기(16)의 회전체(16a)가 터빈 러너(3)와 함께 회전한다. 이에 의해, 출력축(13)에 전해지는 진동을 진자식 흡진기(16)에 의해 감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전동 장치(1)를 탑재한 차량의 차속이 증대되는 것 등에 의해, 엔진의 회전수 혹은 유체 전동 장치(1)의 입력 부재의 회전수[펌프 쉘(2a)의 회전수]가 고회전수로 되면, 유체 전동 장치(1)에 의한 토크의 증폭 작용보다도, 토크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해지므로, 로크업 클러치(17)가 결합된다. 한편, 유체 전동 장치(1)가 차량에 탑재되어 있고, 그 차량이 정차하고 있는 것 등에 의해 엔진의 회전수가 낮은 경우, 혹은 엔진의 출력 토크 또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큰 경우에는, 차체의 진동이나 부밍 노이즈(부밍 소음) 등을 저감시키기 위해, 로크업 클러치(17)는 해방 상태로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구체예에 있어서의 유체 전동 장치에 따르면, 유체 전동 장치의 내부 구조를, 축선 방향에서, 터빈 러너, 탄성체를 갖는 댐퍼 기구, 로크업 클러치, 로크업 결합면을 구성하는 격벽 플레이트, 진자식 흡진기의 순서로 배치시킴으로써, 유체 전동 장치의 축선 방향 길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축선 방향에서 탄성 부재를 갖는 댐퍼 기구와 진자식 흡진기 사이에, 로크업 결합면을 구성하는 격벽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터빈 러너와 커버 부재 사이의 반경 방향의 스페이스를 활용하여 탄성체를 갖는 댐퍼 기구를 배치시킨 경우라도, 진자식 흡진기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로서, 반경 방향에서 커버 부재의 내부 스페이스를 크게 활용할 수 있다. 즉, 진자식 흡진기와 프론트 커버가 반경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진자식 흡진기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댐퍼 기구 혹은 로크업 클러치의 구조에 의해 간섭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진자식 흡진기는, 반경 방향에서 커버 부재(C)의 내부 스페이스를 크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진자식 흡진기의 회전 부재에 있어서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관성 질량체까지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고, 출력축에 작용하는 진자식 흡진기에 의한 관성 모멘트를 크게 할 수 있다. 즉, 이 구체예에 따르면, 유체 전동 장치의 내부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음과 함께, 진자식 흡진기에 의한 비틀림 진동의 감쇠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로크업 클러치를 결합시킴으로써, 유체 전동 장치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제1 수용실과 제2 수용실이 구획되므로, 진자식 흡진기에 유압이 전해지기 어려워지고, 유압에 의해 관성 질량체의 진자 운동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진자식 흡진기에 있어서의 비틀림 진동의 감쇠 성능이, 커버 부재 내부의 유압에 의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격벽 플레이트에 있어서, 로크업 결합면의 이면측(전방측의 측면)에도 작동유 등의 유체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그 로크업 결합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격벽 플레이트로부터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어, 로크업 클러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에는, 세트 블록과 프론트 커버의 용접면(세트 블록 용접면)이 포함된다. 그로 인해, 프론트 커버의 내면을 로크업 결합면으로 하는 구성에서는, 프론트 커버의 외면에 구성된 세트 블록 용접면에 의해, 그 로크업 결합면의 형상이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이 구체예에 따르면, 유체 전동 장치의 커버 부재로서, 드라이브 플레이트와 일체화된 프론트 커버와, 로크업 결합면을 구성하는 격벽 플레이트가 설치된 센터 커버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로크업 클러치가 마찰 결합할 때에, 소위 저더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유체 전동 장치의 다른 구체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진자식 흡진기가 전동실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갖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상술한 구체예와는 상이하다. 도 2에는, 진자식 흡진기를 수용하는 제2 수용실에, 관성 질량체가 노출되도록 구성된 유체 전동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 변형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구체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참조 부호를 인용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유체 전동 장치(1)는, 프론트 커버(5)의 내부에, 진자식 흡진기(26)를 구비하고 있다. 진자식 흡진기(26)는, 허브축(14)의 원통부(14b)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26a)와, 그 회전체(26a)에 대해 자유 운동할 수 있는 추에 상당하는 전동체(26b)를 보유 지지시킨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전체(26a)의 외주측의 부분에는, 축선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관통부가, 허브축(14)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동체(26b)를 수용하고, 또한 그 외주측의 면에 전동체(26b)를 전동시키기 위한 전동실(26c)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자식 흡진기(26)는, 그 전동실(26c)에 수용된 전동체(26b)가, 프론트 커버(5)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수용실(B) 내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 따르면, 제2 수용실 내에 있어서 전동실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제2 수용실 내의 오일이, 전동체의 표면 및 전동면을 윤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진자식 흡진기의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유체 전동 장치는, 상술한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동실을 덮는 하우징을 구비한 진자식 흡진기에서는, 그 하우징에 비교적으로 작은 관통 구멍을 형성시키고, 프론트 커버의 내부와 하우징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을 구비한 진자식 흡진기라도, 제2 수용실 내의 오일로 전동면을 윤활시킬 수 있다.
1 : 유체 전동 장치
2 : 펌프 임펠러
2a : 펌프 쉘
3 : 터빈 러너
4 : 센터 커버
5 : 프론트 커버
5a : 프론트 벽면
6 : 크랭크 샤프트
7 : 드라이브 플레이트
8 : 중공축
9 : 고정축
11 : 일 방향 클러치
12 : 스테이터
13 : 출력축
14 : 허브축
14a : 허브
14b : 원통부
15 : 댐퍼 기구
15a : 탄성 부재
15b : 입력 요소
15c : 출력 요소
16 : 진자식 흡진기
16a : 회전 부재
16b : 전동체(관성 질량체)
17 : 로크업 클러치
17a : 로크업 피스톤
17b : 외주부
17c : 마찰재
21, 22, 23 : 유체 유로(오일로)
26 : 진자식 흡진기
41 : 원통부
42 : 격벽 플레이트(플레이트 부재)
42a : 측면(로크업 결합면)
51 : 원통부
52 : 프론트 벽
71 : 세트 블록
A : 제1 수용실
B : 제2 수용실
C : 커버 부재

Claims (7)

  1. 입력 부재에 연결되어 유체를 수용하는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유체류를 발생시키는 구동측의 임펠러와, 회전축을 포함하는 출력 부재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유체류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측의 임펠러와, 유체압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출력 부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직결 클러치와, 상기 직결 클러치에 연결된 입력 요소와 상기 출력 부재에 연결된 출력 요소와 당해 입력 요소와 당해 출력 요소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를 갖는 댐퍼 기구와, 상기 출력 부재에 연결되고, 당해 출력 부재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당해 출력 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관성 질량체를 갖는 진자식 흡진기를 구비한 유체 전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서, 상기 종동측의 임펠러, 상기 댐퍼 기구, 상기 직결 클러치, 상기 진자식 흡진기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 부재에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중심 축선을 향해 돌출되고, 또한 상기 직결 클러치의 결합면을 구성하는 플레이트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동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축선 방향에서, 상기 직결 클러치와 상기 진자식 흡진기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동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결 클러치를 결합시킨 것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의 내부 공간이, 상기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직결 클러치에 의해, 상기 종동측의 임펠러 및 상기 댐퍼 기구를 수용하고 있는 제1 수용실과, 상기 진자식 흡진기를 수용하고 있는 제2 수용실로 구획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동 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진자식 흡진기의 외주측을 덮는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구동측의 임펠러와 일체화되고, 또한 상기 종동측의 임펠러의 외주측을 덮는 제2 커버 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와 일체화되고, 또한 상기 직결 클러치의 외주측을 덮는 제3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내경은, 상기 제3 커버 부재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동 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에 입력되는 동력은, 상기 직결 클러치, 상기 댐퍼 기구, 상기 진자식 흡진기의 순서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동 장치.
KR1020157030079A 2013-04-22 2013-04-22 유체 전동 장치 KR1017779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61743 WO2014174563A1 (ja) 2013-04-22 2013-04-22 流体伝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869A KR20150132869A (ko) 2015-11-26
KR101777937B1 true KR101777937B1 (ko) 2017-09-12

Family

ID=5179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079A KR101777937B1 (ko) 2013-04-22 2013-04-22 유체 전동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82765B2 (ko)
EP (1) EP2990690B1 (ko)
JP (1) JP6202092B2 (ko)
KR (1) KR101777937B1 (ko)
CN (1) CN105121907B (ko)
BR (1) BR112015026869B1 (ko)
RU (1) RU2640938C2 (ko)
WO (1) WO2014174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8515B2 (ja) * 2014-04-04 2016-06-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捩り振動低減装置
JP5999144B2 (ja) * 2014-06-25 2016-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捩り振動低減装置
CN208935305U (zh) * 2015-03-11 2019-06-04 法雷奥离合器公司 液力联接装置
US9739358B2 (en) * 2015-04-15 2017-08-22 Valeo Embrayages Hydrokinetic torque coupling device having damper-piston lockup clutch, and related method
JP6492916B2 (ja) * 2015-04-16 2019-04-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捩り振動低減装置
KR101707804B1 (ko) * 2015-07-16 2017-02-17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진자를 이용한 진동저감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JP6361617B2 (ja) * 2015-09-14 2018-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捩り振動低減装置
WO2017079933A1 (zh) * 2015-11-12 2017-05-18 孙英 一种液力变矩器
JP6528655B2 (ja) * 2015-11-24 2019-06-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振動低減装置
JP2018009614A (ja) * 2016-07-12 2018-01-18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ダンパ装置
JP6827311B2 (ja) * 2016-12-12 2021-02-10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ダンパ装置
JP6972652B2 (ja) * 2017-05-15 2021-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トルクコンバータ
US10844940B2 (en) * 2018-09-05 2020-11-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orque converter with charge pressure compensation
US11009098B2 (en) * 2019-07-17 2021-05-18 Valeo Kapec Co., Ltd. Blade and spring damper apparatus for use with vehicle torque convert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7693A (ja) 2010-09-08 2012-03-22 Aisin Aw Industries Co Ltd 動吸振器を備えた回転駆動伝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2227A (en) * 1979-08-17 1981-02-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Torsional vibration damper and clutch assembly
JP2748511B2 (ja) 1989-03-08 1998-05-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変速機の制御装置
JPH05126230A (ja) * 1991-03-30 1993-05-21 Aisin Seiki Co Ltd 自動変速機のロツクアツプ機構
JPH08226523A (ja) * 1995-02-23 1996-09-03 Exedy Corp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
DE19804227B4 (de) * 1998-02-04 2006-03-09 Zf Sachs Ag Überbrückungskupplung mit einer Ausgleichsschwungmasse am Torsionsschwingungsdämpfer
JPH11311309A (ja) * 1998-04-30 1999-11-09 Unisia Jecs Corp トルクコンバータ
JP2002340097A (ja) 2001-03-14 2002-11-27 Toyota Industries Corp 回転体および圧縮機
JP2004332801A (ja) * 2003-05-06 2004-11-25 Toyota Motor Corp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付トルクコンバータ
RU2294469C1 (ru) * 2005-08-19 2007-02-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АТЕ"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и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крутящего момента для коробки передач
JP5078477B2 (ja) * 2007-07-20 2012-11-21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ロックアップダンパー
JP2009047272A (ja) * 2007-08-22 2009-03-05 Aisin Aw Co Ltd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付き流体伝動装置
CN101883933B (zh) 2007-11-29 2014-04-23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尤其是用于在驱动机与从动部分之间传递功率的力传递装置
DE102008060577A1 (de) * 2007-12-12 2009-06-18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Stützplattenbefestigung mit doppelter Überlappung
JP2010101345A (ja) * 2008-10-21 2010-05-06 Nissan Motor Co Ltd イナーシャ可変機構付きトルクコンバータ
JP2012533037A (ja) 2009-07-16 2012-12-20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トルク伝達装置
JP5316461B2 (ja) * 2010-03-30 2013-10-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振動低減装置
CN101832379A (zh) * 2010-04-07 2010-09-15 浙江师范大学 轿车倾斜叶片扁平液力变矩器
US8844691B2 (en) * 2010-08-22 2014-09-30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Three-pass torque converters
JP5556551B2 (ja) * 2010-09-30 2014-07-23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流体伝動装置
DE112010005938B4 (de) * 2010-10-15 2015-11-1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chwingungsdämpfvorrichtung
JP5609820B2 (ja) * 2011-08-23 2014-10-2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ダンパ装置
DE102014218743A1 (de) * 2014-09-18 2016-03-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sowie Getriebe
KR101693988B1 (ko) * 2015-05-14 201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진동 감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7693A (ja) 2010-09-08 2012-03-22 Aisin Aw Industries Co Ltd 動吸振器を備えた回転駆動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869A (ko) 2015-11-26
EP2990690A4 (en) 2017-06-07
US9982765B2 (en) 2018-05-29
RU2015145380A (ru) 2017-05-26
EP2990690A1 (en) 2016-03-02
JPWO2014174563A1 (ja) 2017-02-23
JP6202092B2 (ja) 2017-09-27
BR112015026869B1 (pt) 2021-09-28
BR112015026869A2 (pt) 2017-07-25
CN105121907A (zh) 2015-12-02
EP2990690B1 (en) 2019-12-18
US20160053878A1 (en) 2016-02-25
RU2640938C2 (ru) 2018-01-12
WO2014174563A1 (ja) 2014-10-30
CN105121907B (zh)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937B1 (ko) 유체 전동 장치
US9732824B2 (en) Damper device and starting device
US10288158B2 (en) Fluid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JP5177288B2 (ja) 振動減衰装置
JP5850132B2 (ja) 振動低減装置
US9989136B2 (en) Starting device
WO2011122130A1 (ja) 流体伝動装置
JP5522099B2 (ja) 振動減衰装置
JP2017155890A (ja) 流体伝動装置
JP6260556B2 (ja) 捩り振動低減装置
JP5767067B2 (ja) 車両用流体伝動装置
JP6277053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
JP2006162054A (ja)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JP5856419B2 (ja) 車両用流体伝動装置
JP5733390B2 (ja) 車両用トルクコンバータ
JP2013245708A (ja) スプリング固定装置
JP2018162855A (ja) クラッチ
US10591054B2 (en) Torque converter
JP2012159155A (ja) 捩り振動減衰装置
JP6636972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
JP5642647B2 (ja) 車両用流体伝動装置
WO2012144009A1 (ja) 車両用トルクコンバータ
JP2014228007A (ja) 動力伝達装置
JP2012255486A (ja) 車両用流体伝動装置
JP2020051493A (ja) 動力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