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026B1 -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pi3k 억제제로서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의 다형체 및 염 - Google Patents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pi3k 억제제로서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의 다형체 및 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026B1
KR101774026B1 KR1020137013540A KR20137013540A KR101774026B1 KR 101774026 B1 KR101774026 B1 KR 101774026B1 KR 1020137013540 A KR1020137013540 A KR 1020137013540A KR 20137013540 A KR20137013540 A KR 20137013540A KR 101774026 B1 KR101774026 B1 KR 101774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orph
salt
methyl
compound
sal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197A (ko
Inventor
줄리 니콜 함브린
파울 스펜서 존스
수잔느 일레인 킬링
조엘 레
니겔 제임스 파르
로버트 데이비드 윌러시
Original Assignee
글락소 그룹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락소 그룹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글락소 그룹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33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61K31/422Oxazoles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or sparflox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Vir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docri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I3-키나아제 활성 억제제인 하기 화학식(II)의 화합물의 다형체, 및 이의 염 및 다형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PI3K 억제제로서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의 다형체 및 염{POLYMORPHS AND SALTS OF 6­(1H­INDOL-4-YL)­4­(5­{[4­(1­METHYLETHYL)­1­PIPERAZINYL]METHYL}­1,3­OXAZOL­2­YL)­1H­INDAZOLE AS PI3K INHIBITOR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E.G. RESPIRATORY DISORDERS}
본 발명은 키나아제 활성의 억제제인 화합물의 다형체, 및 그러한 화합물의 염 및 이의 다형체, 더욱 특히, 포스포이노시티드 3'OH 키나아제 이소폼 델타(이하, PI3Kδ)의 활성 또는 기능의 억제제인 화합물, 이들의 제조 방법, 이들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서의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세포막은 다양한 시그널 전달 경로에 협력할 수 있는 제2 메신저의 큰 저장부를 나타낸다. 인지질 시그널링 경로에서 이펙터 효소의 기능 및 조절과 관련하여, 클래스 I PI3-키나아제 (예를 들어, PI3Kδ)는 막 인지질 풀(pool)로부터 제2 메신저를 생산한다. 클래스 I PI3K는 막 인지질 PI(4,5)P2를 제2 메신저로서 기능하는 PI(3,4,5)P3으로 전환시킨다. PI 및 PI(4)P는 또한 PI3K의 기질이고, 인산화되어 PI3P 및 PI(3,4)P2로 각각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포스포이노시티드는 5'-특이적 및 3'-특이적 포스파타제에 의해 다른 포스포이노시티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PI3K 효소적 활성은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세포내 시그널 전달 경로에서 제2 메신저로서 기능하는 2개의 3'-포스포이노시티드 아형을 생산한다 (Trends Biochem. Sci. 22(7) p. 267-72 (1997) by Vanhaesebroeck et al.; Chem. Rev. 101 (8) p. 2365-80 (2001) by Leslie et al.; Annu. Rev. Cell Dev. Biol. 17 p. 615-75 (2001) by Katso et al.; and Cell. MoI. Life Sci. 59(5) p. 761-79 (2002) by Toker). 지금까지, 8개의 포유동물 PI3K가 단리되었고, 서열 상동성, 구조, 결합 파트너, 활성화 방식, 및 기질 선호도에 기초하여 세 개의 주 부류로 분류되었다 (I, II, 및 III). 시험관내에서, 클래스 I PI3K는 포스파티딜이노시톨(PI), 포스파티딜이노시톨-4-포스페이트 (PI4P),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4,5-비스포스페이트 (PI(4,5)P2)를 인산화시켜 포스파디틸이노시톨-3-포스페이트 (PI3P), 포스파티딜이노시톨-3,4-비스포스페이트 (PI(3,4)P2),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3,4,5-트리포스페이트 (PI(3,4,5)P3)를 각각 생산할 수 있다. 클래스 II PI3K은 PI 및 PI4P를 인산화시킬 수 있다. 클래스 III PI3K은 PI만을 인산화시킬 수 있다 (Vanhaesebroeck et al. (1997), 상기 기재됨; Vanhaesebroeck et al. Exp. Cell Res. 253(1) p. 239-54 (1999); and Leslie et al. (2001), 상기 기재됨).
클래스 I PI3K는 p110 촉매 서브유닛 및 조절 서브유닛으로 구성된 헤테로다이머이고, 상기 패밀리는 조절 파트너 및 조절 메카니즘에 기초하여 클래스 Ia 및 클래스 Ib 효소로 추가로 분류된다. 클래스 Ia 효소는 5개의 별개의 조절 서브유닛 (p85α, p55α, p50α, p85β, 및 p55γ)과 이합체화되는 3개의 다른 촉매 서브유닛 (p110α, p110β, 및 p110δ)으로 구성되며, 모든 촉매 서브유닛은 모든 조절 서브유닛과 상호작용하여 다양한 헤테로다이머를 형성할 수 있다. 클래스 Ia PI3K은 일반적으로, 조절 서브유닛 SH2 도메인과 IRS-1과 같은 어댑터 단백질 또는 활성화된 수용체의 특이적 포스포-티로신 잔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의 성장 인자-자극에 반응하여 활성화된다. 작은 GTPase (예로서 ras)가 또한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활성화와 함께 PI3K의 활성화에 관여한다. p110α 및 p110β 둘 모두는 모든 세포 유형에서 항시적으로 발현되는 반면, p110δ 발현은 백혈구 집단 및 일부 상피 세포로 더욱 제한된다. 대조적으로, 단일 클래스 Ib 효소는 p101 조절 서브유닛과 상호작용하는 p110γ 촉매 서브유닛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클래스 Ib 효소는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GPCR) 시스템에 반응하여 활성화되고 그 발현은 백혈구에 제한되는 것으로 보인다.
반응식 A: PI(4,5)P2의 PI(3,4,5)P3으로의 전환
Figure 112013046845409-pct00001
상기 반응식 A에 도시된 대로, 포스포이노시티드 3-키나아제 (PI3K)는 이노시톨 고리의 세 번째 탄소의 히드록실기를 인산화시킨다. PtdIns(3,4,5)P3, PtdIns(3,4)P2 및 PtdIns(3)P를 생산하는 포스포이노시티드의 인산화는 세포 증식, 세포 분화, 세포 성장, 세포 크기, 세포 생존, 아폽토시스, 유착, 세포 운동성, 세포 이동, 화학주성, 침습, 세포골격 재정렬, 세포 형태 변화, 소포 트래피킹(trafficking) 및 대사 경로에 필수적인 것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시그널 전달 경로를 위한 제2 메신저를 생산한다 (Katso et al. (2001), 상기 기재됨; and Mol. Med. Today 6(9) p. 347-57 (2000) by Stein et al.).
이러한 인산화된 시그널링 생성물을 생산하는데 기여하는 PI3-키나아제의 활성은 원래 이노시톨 고리의 3'-히드록실에서 포스파티딜이노시톨(PI) 및 이의 인산화된 유도체를 인산화시키는 성장 인자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및 바이러스 종양단백질과 관련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Panayotou et al. Trends Cell Biol. 2 p. 358-60 (1992)). 그러나, 보다 최근의 생화학 연구로부터 클래스 I PI3-키나아제 (예를 들어, 클래스 IA 아이소형 PI3Kδ)가 이중-특이적 키나아제 효소임이 발견되었고, 이는 이들이 단백질 키나아제 활성 뿐만 아니라 지질 키나아제 활성 (포스포이노시티드의 인산화)도 나타냄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들은 분자내 조절 메카니즘으로서의 자가-인산화를 포함하여, 다른 단백질을 기질로서 인산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MBO J. 18(5) p. 1292-302 (1999) by Vanhaesebroeck et al.). PI3K가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세포의 과정들로는 아폽토시스의 억제, 액틴 골격의 재편성, 심장근육 성장, 인슐린에 의한 글리코겐 합성효소 자극, TNFα-매개된 뉴트로필 프라이밍(priming) 및 슈퍼옥사이드 생산, 및 백혈구 이동 및 내피 세포에의 부착이 있다.
PI3-키나아제 활성화는 세포 성장, 분화, 및 아폽토시스를 포함하는 광범한 범위의 세포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Parker, Current Biology 5(6) p. 577-79 (1995); and Yao et al. Science 267(5206) p. 2003-06 (1995)). PI3-키나아제는 수많은 측면의 백혈구 활성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p85-결합된 PI3-키나아제는 항원에 반응하는 T-세포의 활성화에 중요한 공자극 분자인 CD28의 세포질 도메인과 물리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s et al. Nature 369 p. 327-29 (1994); and Rudd, Immunity 4 p. 527-34 (1996)). CD28을 통한 T 세포의 활성화는 항원에 의한 활성화에 대한 역치를 낮추고 증식 반응의 크기 및 기간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결과는 중요한 T 세포 성장 인자인 인터류킨-2 (IL2)를 포함하는 다수의 유전자의 전사에 있어서의 증가와 연관된다 (Fraser et al. Science 251 (4991) p. 313-16 (1991)).
PI3Kγ는 JNK 활성의 G 베타-감마-의존성 조절의 매개체로서 확인되었고, G 베타-감마는 헤테로트리머 G 단백질의 서브유닛이다 (Lopez-llasaca et al. J. Biol. Chem. 273(5) p. 2505-8 (1998)). 최근에, 문헌(Laffargue et al. Immunity 16(3) p. 441-51 (2002))에서는, PI3Kγ가 다양한 G(i)-커플링된 수용체를 통해 염증 시그널을 중계하고, 비만 세포 기능, 백혈구와 관련된 자극, 및 예를 들어 시토킨, 케모킨, 아데노신, 항체, 인테그린, 응집 인자, 성장 인자, 바이러스 또는 호르몬을 포함하는 면역학에서 중심이 된다고 기술되었다 (J. Cell Sci. 114 (Pt 16) p. 2903-10 (2001) by Lawlor et al.; Laffargue et al. (2002), 상기 기재됨; and Curr. Opinion Cell Biol. 14(2) p. 203-13 (2002) by Stephens et al.).
효소 패밀리의 개개 구성원에 대한 특이적 억제제는 각 효소의 기능을 판독하기 위한 매우 귀중한 툴을 제공한다. 두 화합물, LY294002 및 wortmannin (이하)이 PI3-키나아제 억제제로서 광범하게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화합물은 비-특이적 PI3K 억제제인데, 그 이유는 이들이 클래스 I PI3-키나아제의 4개의 구성원 을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다양한 클래스 I PI3-키나아제 각각에 대한 wortmannin의 IC50 값은 1-10 nM의 범위이다. 유사하게, 이러한 PI3-키나아제 각각에 대한 LY294002의 IC50 값은 약 15-20 μM이고 (Fruman et al. Ann. Rev. Biochem. 67 p. 481-507 (1998)), 또한 CK2 단백질 키나아제에 대해 5-10 μM이며 포스포리파제에 대해 약간의 억제 활성이 있다. wortmannin은 상기 효소의 촉매 도메인에 공유적으로 결합함에 의해 PI3K 활성을 비가역적으로 억제하는 진균 대사산물이다. wortmannin에 의한 PI3K 활성의 억제는 세포외 인자에 대한 후속적인 세포 반응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뉴트로필은 PI3K를 자극하여 PtdIns (3,4,5)P3를 합성함에 의해 케모킨 fMet-Leu-Phe (fMLP)에 반응한다. 이러한 합성은 침습성 미생물의 뉴트로필 파괴에 관여하는 호흡 버스트(bust)의 활성화와 관련된다. wortmannin으로 뉴트로필을 처리하여 fMLP-유도된 호흡 버스트 반응을 방해한다 (Thele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1 p. 4960-64 (1994)). 실제로, wortmannin을 이용한 이러한 실험 및 그 밖의 실험적인 증거들은 조혈 계통, 특히 뉴트로필, 단핵구, 및 다른 유형의 백혈구의 세포에서의 PI3K 활성이 급성 및 만성 염증과 관련된 다수의 비-기억 면역 반응에 관여함을 나타낸다.
Figure 112013046845409-pct00002
wortmannin을 이용한 연구에 기초하여, PI3-키나아제 기능이 또한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를 통한 백혈구 시그널링의 몇몇 측면에 요구된다는 증거가 있다 (Thelen et al. (1994), 상기 기재됨). 더욱이, wortmannin 및 LY294002는 뉴트로필 이동 및 슈퍼옥사이드 방출을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종양유전자 및 종양 억제 유전자의 탈조절이, 예를 들어 증가된 세포 성장 및 증식 또는 증가된 세포 생존에 의해, 악성 종양의 형성에 기여하는 것이 잘 이해된다. 또한 PI3K 패밀리에 의해 매개된 시그널링 경로가 증식 및 생존을 포함하는 다수의 세포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이러한 경로들의 탈조절이 광범한 범위의 사람 암 및 그 밖의 질병에서 원인이 되는 인자임이 인지된다 (Katso et al. Annual Rev. Cell Dev. Biol. (2001) 17 p. 615-675 and Foster et al. J. Cell Science (2003) 116(15) p. 3037-3040). PI3K 이펙터 단백질은 PtdIns(3,4,5)P3과 특이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보존된 플렉스트린 상동성 (PH) 도메인을 통해 형질막으로의 전위에 의해 시그널링 경로 및 네트워크를 개시한다 (Vanhaesebroeck et al. Annu. Rev. Biochem. (2001) 70 p. 535-602). PtdIns(3,4,5)P3 및 PH 도메인을 통한 이펙터 단백질 시그널링은 세린/트레오닌 (Ser/Thr) 키나아제, 티로신 키나아제, Rac 또는 Arf GEF (구아닌 뉴클레오티드 교환 인자) 및 Arf GAP (GTPase 활성화 단백질)을 포함한다.
B 및 T 세포에서, PI3K는 B 세포에서의 브루톤(Bruton's) 티로신 키나아제 (BTK) 및 T 세포에서의 인터류킨-2-유도가능한 T-세포 키나아제 (ITK)를 포함하는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의 Tec 패밀리의 활성화를 통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PI3K 활성화시에, BTK 또는 ITK는 형질막으로 전위되는데, 여기서 이들은 Src 키나아제에 의해 후속하여 인산화된다. 활성화된 ITK의 주요 표적들 중의 하나는 포스포리파제 C-감마 (PLCγ1)이며, 이것은 PtdIns(4,5)P2를 lns(3,4,5)P3으로 가수분해하고 활성화된 T 세포에서 단백질 키나아제 C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디아실글리세롤 (DAG) 및 칼슘 수준의 세포내 증가를 개시한다.
클래스 IA p110α 및 p110β와 달리, p110δ는 조직 제한적인 양상으로 발현된다. 림프구 및 림포이드 조직에서의 이의 높은 발현 수준은 면역 시스템에서 PI3K-매개된 시그널링의 역할을 제안한다. p110δ 키나아제가 없는 녹-인(knock-in) 마우스가 또한 생육가능하며 이들의 표현형은 면역 시그널링에서의 결함으로 제한된다 (Okkenhaug et al. Science (2002) 297 p. 1031-4). 이러한 유전자삽입 마우스에서 B-세포 및 T-세포 시그널링에서의 PI3Kδ의 기능이 간파되었다. 특히, p110δ는 CD28의 다운스트림에서의 PtdIns(3,4,5)P3 형성 및/또는 T 세포 수용체 (TCR) 시그널링이 필요하다. TCR의 시그널링 다운스트림에서의 PI3K의 중요한 효과는 Akt의 활성화인데, 이것은 시토킨 생산을 위한 다양한 전사 인자 뿐만 아니라 항-아폽토틱 인자를 인산화시킨다. 결과적으로, 불활성 p110δ를 지니는 T 세포는 증식과 Th1 및 Th2 시토킨 분비에서 결함을 지닌다. CD28을 통한 T 세포의 활성화는 항원에 의한 TCR 활성화에 대한 역치를 낮추고 증식 반응의 크기 및 기간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효과는 중요한 T 세포 성장 인자인 IL2를 포함하는 다수의 유전자의 전사에서 PI3Kδ-의존성 증가에 의해 매개된다.
따라서, PI3K 억제제는 천식, COPD 및 낭성 섬유증과 같은 호흡기 질환과 관련된 T-세포 매개된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이의 역할을 통해 치료적 이익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T-세포 유도된 치료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절약(sparing)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는데 (Alexander et al. Lancet (1992) 339 p. 324-8), 이는 이것이 호흡기 질환에서 단독으로 또는 흡입용 또는 경구용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함께 유용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음을 제안하는 것이다. PI3K 억제제는 또한 천식에서 장기 작용성 베타-효능제 (LABA)와 같은 다른 통상적인 치료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혈관구조에서, PI3Kδ는 내피 세포에 의해 발현되며 TNF알파에 반응하는 이러한 세포들의 부착전 상태를 조절함에 의해 뉴트로필 트래피킹에 관여한다. (Puri et al. Blood (2004) 103(9) p. 3448-56.). 내피 세포의 TNF알파-유도된 시그널링에서 PI3Kδ의 역할은 Akt 인산화 및 PDK1 활성의 약리적 억제에 의해 입증된다. 또한, PI3Kδ는 VEGF 경로를 통해 혈관 침투성 및 기도 조직 부종에 관련된다 (Lee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2006) 118(2) p. 403-9). 이러한 관찰은 천식과 관련된 혈관 침투성 및 백혈구 혈관밖유출의 조합된 감소에 의해 천식에서 PI3Kδ 억제의 추가의 이익을 제안한다. 또한, PI3Kδ 활성은 시험관내 및 생체내 둘 모두에서 비만 세포 기능에 필요한데 (Ali et al. Nature (2004) 431 p. 1007-11; and AIi et al. J. Immunol. (2008) 180(4) p. 2538-44), 이것은 PI3K 억제가 천식, 알레르기 비염 및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알레르기 적응증에 치료적 이익을 제공할 것임을 추가로 제안하는 것이다.
B 세포 증식, 항체 분비, B-세포 항원 및 IL-4 수용체 시그널링, B-세포 항원 제시 기능에서 PI3Kδ의 역할이 또한 널리 확립되어 있고 (Okkenhaug et al. (2002), 상기 기재됨; Al-Alwan et al. J. Immunol. (2007) 178(4) p. 2328-35; and Bilancio et al. Blood (2006) 107(2) p. 642-50), 그러한 역할은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전신홍반루푸스와 같은 자가면역 질환에서의 역할을 나타낸다. 따라서, PI3K 억제제는 또한 이러한 적응증에 이익이 될 수 있다.
PI3Kδ의 약리적 억제는 ICAM 코팅된 아가로스 매트릭스 인테그린-의존성 바이어싱된 시스템상에서 fMLP-의존성 뉴트로필 화학주성을 억제한다 (Sadhu et al., J. Immunol. (2003) 170(5) p. 2647-54.). PI3Kδ의 억제는, 뉴트로필 매개된 포식작용 및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살균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뉴트로필 활성화, 부착 및 이동을 조절한다 (Sadhu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3) 308(4) p. 764-9). 전반적으로, 데이터는 PI3Kδ 억제가 선천적인 면역 방어에 필요한 뉴트로필 기능을 총체적으로 억제하지 않을 것임을 제안한다. 뉴트로필에서 PI3Kδ의 역할은 COPD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조직 리모델링을 수반하는 염증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추가 영역을 제공한다.
또한, 클래스 Ia PI3K 효소가 광범한 범위의 사람 암에서 종양발생에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기여한다는 확실한 증거가 또한 존재한다 (Vivanco and Sawyers, Nature Reviews Cancer (2002) 2(7) p. 489-501). 예를 들어, PI3Kδ의 억제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과 같은 악성 혈액 질병의 치료에 치료 임무를 지닐 수 있다 (Billottet et al. Oncogene (2006) 25(50) p. 6648-59). 더욱이, p110α내 활성화 돌연변이 (PIK3CA 유전자)는 결장 및 유방과 폐의 종양과 같은 다양한 다른 종양과 관련이 있었다 (Samuels et al. Science (2004) 304(5670) p. 554).
PI3K는 통증 염증 질환에서 중추 민감화의 확립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ezet et al. The J. of Neuroscience (2008) 28 (16) p. 4261-4270).
광범한 범위의 레트로바이러스 및 DNA 기반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감염 동안 숙주 세포 치사를 막고 궁극적으로 이의 복제를 위해 숙주 세포 합성 기구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PI3K 경로를 활성화시킨다 (Virology 344(1) p. 131-8 (2006) by Vogt et al.; and Nat. Rev. Microbiol. 6(4) p. 265-75 (2008) by Buchkovich et al.). 따라서, PI3K 억제제는 한층 더 확립된 종양용해 및 항-염증 적응증 외에 항-바이러스 특성을 지닐 수 있다. 이러한 항바이러스 효과는 바이러스 유도된 염증 악화에서 흥미로운 전망을 제기하였다. 예를 들어, 보통의 사람 감기 리노바이러스 (HRV)는 50%를 초과하는 호흡기 감염의 원인이 되나 이러한 감염의 합병증은 특정 집단에서 심각할 수 있다. 특히 천식 또는 만성폐쇄폐병 (COPD)와 같은 호흡기 질환에서의 경우에 그러하다. 상피 조직의 리노바이러스 감염은 PI3K 의존성 시토킨 및 케모킨 분비를 초래한다 (J. Biol. Chem. (2005) 280(44) p. 36952 by Newcomb et al.). 이러한 염증 반응은 감염 동안 호흡기 증상의 악화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PI3K 억제제는 다른 양성 바이러스에 대해 악화된 면역 반응을 약화시킬 수 있다. HRV 균주의 대부분은 먼저 ICAM-1 수용체에 결합함에 의해 기관지 상피 세포를 감염시킨다. 그 후, HRV-ICAM-1 복합체가 엔도시토시스에 의해 추가로 내재화되는데, 이러한 사건은 PI3K 활성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J. Immunol. (2008) 180(2) p. 870-880 by Lau et al.). 따라서, PI3K 억제제는 또한 숙주 세포로의 바이러스 진입을 억제함에 의해 바이러스 감염을 차단할 수 있다.
PI3K 억제제는 진균 감염 아스페르길루스증을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호흡기 감염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Mucosal Immunol. (2010) 3(2) p. 193-205 by Bonifazi et al.). 또한, PI3Kδ 결함 마우스는 원충 기생충 큰리슈만편모충에 의한 감염에 더욱 내성이다 (J. Immunol. (2009) 183(3) p. 1921-1933 by Liu et a/.).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효과들을 고려할 때, 이러한 보고들은 PI3K 억제제가 광범한 범위의 감염 치료에 유용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PI3K 억제는 또한 조절 T 세포 분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Proc. Natl. Acad. Sci. U S A (2008) 105(22) p. 7797-7802 by Sauer et al.) 이는 PI3K 억제제가 자가 항원 또는 알레르겐에 대한 면역-내성을 유도함에 의해 자가면역 또는 알레르기 적응증에 치료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최근에, PI3Kδ 아이소형은 또한 담배 유도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불감성과 관련되었다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9) 179(7) p. 542-548 by Marwick et al.). 이러한 관찰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에 달리 불충분하게 반응하는 COPD 환자가 PI3K 억제제와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조합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PI3K은 또한 특발성 폐섬유화증 (IPF)과 같은 다른 호흡기 질병에 관여하였다. IPF는 폐 기능의 점진적인 쇠약 및 호흡부전에 의한 증가된 사망률을 지니는 섬유화 질병이다. IPF에서, 순환하는 섬유세포는 케모킨 수용체 CXCR4를 통해 폐로 유도된다. PI3K는 CXCR4의 시그널링 및 발현 둘 모두에 필요하다 (Int. J. Biochem. and Cell Biol. (2009) 41 p.1708-1718 by Mehrad et al.). 따라서, CXCR4 발현을 감소시키고 이의 이펙터 기능을 차단시킴에 의해, PI3K 억제제는 폐로의 섬유세포의 동원(recruitment)을 억제하고, 결과적으로 높은 미충족 의료를 지니는 질병인 IPF의 기초가 되는 섬유화 과정을 늦출 것이다.
따라서, PI3-키나아제 억제제인 화합물은 부적절한 키나아제 활성, 특히, 부적절한 PI3-키나아제 활성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 예를 들어, PI3-키나아제 기전에 의해서 매개된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할 수 있다. 그러한 질환은 천식, 만성폐쇄폐병 (COPD) 및 특발성 폐섬유화증 (IPF)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바이러스 기도 감염 및 천식 및 COPD와 같은 호흡기 질환의 바이러스 악화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아스페르길루스증 및 리슈만편모충증을 포함하는 비-바이러스 호흡기 감염; 알레르기 비염 및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및 다발성 경화증을 포함하는 자가면역 질환; 염증성 장질환을 포함하는 염증 질병; 혈전증 및 죽상동맥경화증을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혈액암; 신경변성 질환; 췌장염; 다장기 기능부전; 신장 질환; 혈소판 응집; 암; 정자 운동성; 이식 거부; 이식편 거부; 폐 손상; 및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골관절염과 관련된 통증, 등통증, 일반적인 염증성 통증, 포진후 신경통(post hepatic neuralgia), 당뇨병 신경병증, 염증성 신경병증 통증 (트라우마), 삼차 신경통 및 중추통증을 포함하는 통증을 포함한다.
PI3-키나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고, 많은 그러한 화합물이 본 기술분야에서 개시되어 있다.
국제특허출원 PCT/EP2010/055666호(공개 번호 WO2010/125082호)는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을 기재하고 있다:
Figure 112013046845409-pct00003
국제특허출원 PCT/EP2010/055666호(공개 번호 WO2010/125082호)의 예는, 이하 "화합물 A"로 일컬어지는, 화학식(II)로 표시될 수 있는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 및 이의 염산염의 제법을 기재하고 있다:
Figure 112013046845409-pct00004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화합물 A의 다형체 및 화합물 A의 염 및 이의 다형체를 발견하였다.
일 구체예에서, 화합물 A의 염은 이들을, 예를 들어, 흡입에 의해서, 약물로서 투여하기에 특히 적합하게 하는 성질을 지닐 수 있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화합물 A의 헤미 석시네이트 염은, 예를 들어, 부형제, 예컨대, 락토오스를 함유하는 제형에서, 안정성을 지닐 수 있으며, 이를 흡입에 의해서 투여하기에 특히 적합하게 하는 용해성을 지닐 수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화합물 A의 다형체, 및 화합물 A의 염 및 이의 다형체(이하, "본 발명의 다형체 및 염")에 관한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화합물 A의 다형체에 대한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화합물 A의 토실레이트 염의 다형체에 대한 XRPD 패턴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화합물 A의 헤미 푸마레이트 염의 다형체에 대한 XRPD 패턴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화합물 A의 헤미 석시네이트 염의 다형체에 대한 XRPD 패턴를 나타내고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합물 A의 다형체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은 약 9.0, 약 9.6, 약 10.4 및/또는 약 12.5에서의 피크(°2θ)를 포함하는 XRPD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A의 다형체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로, 본 발명은 표 1에 기재된 피크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XRPD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A의 다형체를 제공한다.
추가의 구체예로, 본 발명은 도 1에 따른 XRPD 패턴을 실질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A의 다형체를 제공한다.
추가의 양태로, 본 발명은 화합물 A의 염 및 이의 다형체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은 토실레이트, 헤미 푸마레이트(hemi fumarate) 및 헤미 석시네이트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A의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로, 본 발명은 헤미 푸마레이트 및 헤미 석시네이트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A의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로, 본 발명은 화합물 A의 헤미 푸마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추가의 구체예로, 본 발명은 화합물 A의 헤미 석시네이트 염을 제공한다.
화합물 A의 토실레이트 염은 약 1:1의 화학양론적 비의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과 p-톨루엔설폰산 사이에서 형성된 모노 토실레이트 염이다. 화합물 A의 헤미 푸마레이트 염은 약 2:1의 화학양론적 비의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과 푸마르산 사이에서 형성된 염이다. 화합물 A의 헤미 석시네이트 염은 약 2:1의 화학양론적 비의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과 석신산 사이에서 형성된 염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염의 어떠한 용매화물, 예를 들어, 수화물, 복합체 및 다형체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염은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결정질 형태의 본 발명의 염의 경우, 당업자는 용매 분자가 결정화 동안 결정 격자로 혼입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화물이 형성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용매화물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DMSO, 아세트산, 에탄올아민, 및 EtOAc와 같은 비수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들은 결정 격자로 혼입되는 용매로서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물이 결정 격자로 혼입된 용매인 용매화물은 전형적으로 "수화물"로서 언급된다. 수화물은 가변적인 양의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물론이고 화학량론적 수화물도 포함한다. 당업자가 인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물의 양은 조건, 예를 들어, 습도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도가 감소함에 따라서 물의 양은 감소할 수 있고,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물의 양은 증가할 수 있다. 물의 양에 있어서의 그러한 변화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화합물 A의 헤미 석시네이트 염의 수화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화합물 A의 헤미 석시네이트 염의 수화물은 화합물 A:석신산:물의 화학양론적 비가 약 2:1:1인 일수화물(monohydrate)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화합물 A의 헤미 푸마레이트 염의 수화물을 제공한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화합물 A의 헤미 푸마레이트 염의 수화물은 화합물 A:무마르산:물의 화학양론적 비가 2:1:2인 이수화물(dihydrate)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약 6.3, 약 9.3, 약 11.3 및/또는 약 12.7에서의 피크(°2θ)를 포함하는 XRPD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A의 토실레이트 염의 다형체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표 2에 기재된 피크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XRPD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A의 토실레이트 염의 다형체를 제공한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도 2에 따른 XRPD 패턴을 실질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A의 토실레이트 염의 다형체를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약 6.9, 약 13.8 및/또는 약 14.4에서의 피크(°2θ)를 포함하는 XRPD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A의 헤미 푸마레이트 염의 다형체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표 3에 기재된 피크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XRPD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A의 헤미 푸마레이트 염의 다형체를 제공한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도 3에 따른 XRPD 패턴을 실질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A의 헤미 푸마레이트 염의 다형체를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약 7.2, 약 13.2 및/또는 약 14.0에서의 피크(°2θ)를 포함하는 XRPD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A의 헤미 석시네이트 염의 다형체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표 4에 기재된 피크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XRPD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A의 헤미 석시네이트 염의 다형체를 제공한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도 4에 따른 XRPD 패턴을 실질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A의 헤미 석시네이트 염의 다형체를 제공한다.
주어진 값에서의 XRPD 패턴의 피크가 존재하는 것을 본원에서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 전형적으로는, 피크가 제시된 값의 ± 0.2 내에, 예를 들어, 제시된 값의 ± 0.1 내에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순수한 형태로 분리된 화합물 A의 다형체 및 화합물 A의 염 및 이의 다형체, 또는 다른 물질, 예를 들어, 화합물 A의 다른 다형체, 또는 이의 염 또는 용매화물(이들의 다형체를 포함함), 또는 어떠한 다른 물질과 혼합된 상기 화합물 A의 다형체 및 화합물 A의 염 및 이의 다형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 양태로, 분리된 또는 순수한 형태로의 화합물 A의 다형체 또는 화합물 A의 염 또는 이의 다형체가 제공된다. "분리된" 또는 "순수한" 형태는 화합물 A의 다형체 또는 화합물 A의 염 또는 이의 다형체가 샘플에 존재할 수 있는 다른 물질에 대해서 >75%, 특히, >90%, 더욱 특히, >95%, 및 더욱 특히, >99%의 양으로 존재하는 샘플을 나타낸다.
용어 및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이러한 공정들, 반응식 및 실시예에 사용된 부호 및 규칙은 동시대 과학 문헌, 예를 들어 문헌[the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or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에서 사용된 것들과 일치한다. 아미노산 잔기를 표시하기 위해 표준 단문자 또는 3-문자 약어들을 일반적으로 사용하였고, 이들은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L-형태인 것으로 가정된다.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모든 출발 물질은 상업적 공급처로부터 수득하여 추가 정제 없이 이용되었다. 특히, 하기 약어들을 실시예와 본 명세서 전체에 이용할 수 있다.
DCM 디클로로메탄
DMPU 1,3-디메틸-3,4,5,6-테트라하이드로-2-(1H)-피리미디논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g 그램
h 시간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IMS 공업용 변성 알콜(Industrial methylated spirit)
IPA 이소프로필 알콜
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광분석
L 리터
M 몰
MDAP 질량 유도된 자동화 분취용 HPLC
Me 메틸
MeCN 아세토니트릴
MeOH 메탄올
mg 밀리그램
mins 분
ml 밀리리터
mmol 밀리몰
Rt 체류 시간
RT 실온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하이드로푸란
UPLC 초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UV 자외선
XRPD X-선 분말 회절
염수라 함은 모두 NaCl 포화 수용액이다.
다형체 및 염의 제조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다형체 및 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화합물 A를 정제하고 정제된 분획으로부터 다형체를 결정화시킴을 포함하는, 화합물 A의 다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적합한 용매, 예컨대, 공업용 변성 알콜(IMS), 아세토니트릴 또는 DMSO의 존재하에, 화합물 A를 적합한 산, 예컨대, p-톨루엔설폰산, 푸마르산 또는 석신산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화합물 A의 염 또는 이의 다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합물 A는 공지된 방법, 예컨대, 국제특허출원 PCT/EP2010/055666호(공개번호 WO2010/125082호)에 개시된 방법 및 이하 실시예에 따라서 제조될 수 있다. 국제특허출원 PCT/EP2010/055666호(공개번호 WO2010/125082호)의 개시내용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사용 방법
본 발명의 다형체 및 염은, 근원적인 병인이 부적절한 PI3-키나아제 활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인하는 질병, 예를 들어 천식 및 만성폐쇄폐병(COPD)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부적절한 PI3-키나아제 활성"은 특정 환자에서 예상되는 정상적인 PI3-키나아제 활성을 벗어난 임의의 PI3-키나아제 활성이다. 부적절한 PI3-키나아제는, 예를 들어, 비정상적인 활성의 증가, 또는 PI3-키나아제 활성의 타이밍 및/또는 제어에 있어서의 이상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러한 부적절한 활성은, 예를 들어, 부적절하거나 비제어된 활성화를 야기하는 단백질 키나아제의 과발현 또는 돌연변이로부터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그러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질병에는 천식, 만성폐쇄폐병 (COPD) 및 특발성 폐섬유화증 (IPF)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바이러스 기도 감염 및 천식 및 COPD와 같은 호흡기 질환의 바이러스 악화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아스페르길루스증 및 리슈만편모충증을 포함하는 비-바이러스 호흡기 감염; 알레르기 비염 및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및 다발성 경화증을 포함하는 자가면역 질환; 염증성 장질환을 포함하는 염증 질병; 혈전증 및 죽상동맥경화증을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혈액암; 신경변성 질환; 췌장염; 다장기 기능부전; 신장 질환; 혈소판 응집; 암; 정자 운동성; 이식 거부; 이식편 거부; 폐 손상; 및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골관절염과 관련된 통증, 등통증, 일반적인 염증성 통증, 포진후 신경통(post hepatic neuralgia), 당뇨병 신경병증, 염증성 신경병증 통증 (트라우마), 삼차 신경통 및 중추통증을 포함하는 통증이 있다. 일 구체예에서, 그러한 질병에는 천식 및 만성폐쇄폐병 (COPD)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알레르기 비염 및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및 다발성 경화증을 포함하는 자가면역 질환; 염증성 장질환을 포함하는 염증 질병; 혈전증 및 죽상동맥경화증을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혈액암; 신경변성 질환; 췌장염; 다장기 기능부전; 신장 질환; 혈소판 응집; 암; 정자 운동성; 이식 거부; 이식편 거부; 폐 손상; 및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골관절염과 관련된 통증, 등통증, 일반적인 염증성 통증, 포진후 신경통, 당뇨병 신경병증, 염증성 신경병증 통증 (트라우마), 삼차 신경통 및 중추통증을 포함하는 통증이 있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개 구체예는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투여함에 의해 상기 언급된 질병 중의 어느 하나를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질병에 관한 "치료"는 (1) 질병 또는 질병의 생물학적 증상들 중의 하나 이상을 개선 또는 예방하거나, (2) (a) 질병을 초래하거나 질병의 원인이 되는 생물학적 캐스캐이드 중의 하나 이상의 포인트 또는 (b) 질병의 생물학적 증상들 중의 하나 이상을 방해하거나, (3) 질병과 관련된 징후들 또는 결과들 중의 하나 이상을 완화시키거나, (4) 질병 또는 질병의 생물학적 증상들 중의 하나 이상의 진행을 늦추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언급된 질병의 "치료"는 질병의 예방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예방"이 절대적인 용어가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의학에서, "예방"은 질병 또는 이의 생물학적 증상의 가능성 또는 중증도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그러한 질병 또는 이의 생물학적 증상의 개시를 지연시키기 위한 약물의 예방적 투여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대로,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 또는 다른 약제학적-활성제와 관련하여 "안전하고 유효한 양"은 환자의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나 타당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심각한 부작용을 피하기에 충분히 낮은 (합당한 이익/위험 비) 양을 의미한다. 화합물의 안전하고 유효한 양은 선택된 특정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합물의 역가, 효능 및 반감기 고려); 선택된 투여 경로; 치료하려는 질병; 치료하려는 질병의 중증도; 치료되는 환자의 연령, 사이즈, 체중 및 신체적 조건; 치료되는 환자의 의학적 개인력; 치료 지속기간; 동반 치료의 특성; 요망되는 치료 효과; 및 기타 인자들에 따라 다양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업자에 의해 일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환자"는 사람 (성인 및 아동 포함) 또는 다른 동물을 지칭한다. 일 구체예에서, "환자"는 사람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다형체 및 염은 전신 투여 및 국소 투여 둘 모두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투여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전신 투여는 경구 투여, 비경구 투여, 경피 투여 및 직장 투여를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는 장관 또는 경피 이외의 투여 경로를 지칭하고, 통상적으로 주사 또는 주입에 의해서이다. 비경구 투여는 정맥내, 근내, 및 피하 주사 또는 주입을 포함한다. 국소 투여는 안내, 귀, 질내, 흡입 및 비내 투여 뿐 아니라 피부로의 도포를 포함한다. 흡입은 입을 통하든지 코 경로를 통해 흡입되든지 간에 환자의 폐로의 투여를 지칭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다형체 및 염은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다형체 및 염은 흡입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다형체 및 염은 비내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형체 및 염은 한 번 투여되거나, 많은 용량이 주어진 기간 동안 다양한 시간 간격으로 투여되는 투여 계획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량들은 하루에 한 번, 두 번, 세 번 또는 네 번 투여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용량은 하루에 한 번 투여된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용량은 하루에 두 번 투여된다. 용량들은 요망되는 치료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투여될 수 있거나, 요망되는 치료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무기한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형체 및 염에 적합한 투여 계획은 그러한 다형체 및 염의 약동학적 특성, 예를 들어 흡수, 분배 및 반감기에 의존적이고, 이것은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형체 및 염에 대해, 그러한 계획이 적용되는 지속기간을 포함하는 적합한 투여 계획은 당업자의 지식 및 판단 내에서 치료하려는 질병, 치료하려는 질병의 중증도, 치료되는 환자의 연령 및 신체적 조건, 치료되는 환자의 의학적 개인력, 동반 치료의 특성, 요망되는 치료 효과 및 기타 인자들에 의존적이다. 적합한 투여 계획은 투여 계획에 대한 개개 환자의 반응이 주어지거나 개개 환자가 변화를 필요로 함에 따라 경시적으로 조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서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전형적인 매일의 투여량은 선택된 특정 투여 경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형적인 경구 투여용 매일 투여량은 총 체중의 1kg 당 0.001 mg 내지 50 mg의 범위이고, 예를 들어 총 체중의 1kg 당 1 mg 내지 10 mg이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용 매일 투여량은 환자 당 0.5mg 내지 2g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환자 당 10mg 내지 1g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부적절한 PI3-키나아제 활성에 의해 매개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부적절한 PI3-키나아제 활성에 의해 매개된 질병은 호흡기 질환 (천식, 만성폐쇄폐병 (COPD) 및 특발성 폐섬유화증 (IPF) 포함); 바이러스 감염 (바이러스 기도 감염 및 천식 및 COPD와 같은 호흡기 질환의 바이러스 악화 포함); 비-바이러스 호흡기 감염 (아스페르길루스증 및 리슈만편모충증 포함); 알레르기 질환 (알레르기 비염 및 아토피 피부염 포함); 자가면역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및 다발성 경화증 포함); 염증 질병 (염증성 장질환 포함); 심혈관 질환 (혈전증 및 죽상동맥경화증 포함); 혈액암; 신경변성 질환; 췌장염; 다장기 기능부전; 신장 질환; 혈소판 응집; 암; 정자 운동성; 이식 거부; 이식편 거부; 폐 손상; 및 통증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골관절염과 관련된 통증, 등통증, 일반적인 염증성 통증, 포진후 신경통(post hepatic neuralgia), 당뇨병 신경병증, 염증성 신경병증 통증 (트라우마), 삼차 신경통 및 중추통증 포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체예에서, 부적절한 PI3-키나아제 활성에 의해 매개된 질병은 호흡기 질환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부적절한 PI3-키나아제 활성에 의해 매개된 질병은 천식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부적절한 PI3-키나아제 활성에 의해 매개된 질병은 만성폐쇄폐병 (COPD)이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부적절한 PI3-키나아제 활성에 의해 매개된 질병은 특발성 폐섬유화증 (IPF)이다.
일 구체예에서, 부적절한 PI3-키나아제 활성에 의해 매개된 질병은 통증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본 발명의 다형체 및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본 발명의 다형체 및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의학적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부적절한 PI3-키나아제 활성에 의해 매개된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제공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부적절한 PI3-키나아제 활성에 의해 매개된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약제의 제조에서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조성물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투여되기 전에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형화될 것이다.
따라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0.05 내지 1000mg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 및 0.1 내지 2g의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포함하는, 부적절한 PI3-키나아제 활성에 의해 매개된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벌크(bulk) 형태로 제조되고 패키징될 수 있는데, 여기서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추출한 후 환자에게 예컨대 분말 또는 시럽으로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단위 투여 형태로 제조되고 패키징될 수 있는데, 여기서 각각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단위는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단위 투여 형태로 제조될 때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0.5mg 내지 1g, 또는 1mg 내지 700mg, 또는 5mg 내지 100mg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함유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형태와 주도(consistency)를 제공하는데 관여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물질, 조성물 또는 비히클을 의미한다. 각 부형제는 환자에게 투여될 때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의 효능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상호작용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초래할 상호작용을 피할 수 있도록, 혼합시에 약제학적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과 양립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각 부형제는 당연히 약제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어야 하며, 예컨대 충분히 고순도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부형제들은 통상적으로 요망되는 투여 경로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해 구성된 투여 형태로 제형화될 것이다. 예를 들어, 투여 형태로는 (1) 정제, 캡슐, 캐플릿, 알약, 트로키, 분말, 시럽, 엘릭서, 현탁액, 용액, 에멀젼, 샤쉐 및 카세와 같은 경구 투여용; (2) 무균 용액, 현탁액, 및 재구성용 분말과 같은 비경구 투여용; (3) 경피 패치와 같은 경피 투여용; (4) 좌제와 같은 직장 투여용; (5) 에어로졸, 용액, 및 건조 분말과 같은 흡입용; 및 (6) 크림, 연고, 로션, 용액, 페이스트, 스프레이, 포움 및 겔과 같은 국소 투여용으로 구성된 것들이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선택된 특정 투여 형태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또한,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조성물에서 소용될 수 있는 특정 기능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특정 부형제는 균일한 투여 형태의 생산을 촉진하는 능력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특정 부형제는 안정한 투여 형태의 생산을 촉진하는 능력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특정 부형제는 일단 환자에게 투여된 다음 하나의 기관, 또는 몸의 일부로부터 또 다른 기관, 또는 몸의 일부로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의 운반 또는 수송을 촉진하는 능력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특정 부형제는 환자 순응성을 개선시키는 능력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합한 부형제로는 하기 유형의 부형제들이 있다: 희석제, 충전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활택제, 과립화제, 코팅제, 습윤제, 용매, 보조-용매, 현탁화제, 에멀젼화제, 감미제, 풍미제, 맛 차단제, 착색제, 해산제(anticaking agent), 휴멕턴트(hemectant), 킬레이팅제, 가소화제, 점도 증가제, 항산화제, 보존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및 완충제. 당업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특정 부형제가 하나 이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얼마나 많은 부형제가 제형에 존재하는지 그리고 어떠한 다른 부형제가 제형에 존재하는지에 따라 대안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양의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선택할 수 있는 당 분야의 지식 및 기술을 소유한다.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기술하고 있고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선택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당업자가 이용가능한 수많은 자원이 존재한다. 예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mpany), The Handbook of Pharmaceutical Additives (Gower Publishing Limited), and The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the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and the Pharmaceutical Press)]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 및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들 중 일부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mpany)]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성분들을 혼합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주위 온도 및 대기압에서, 예를 들어 혼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은 경구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은 흡입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것이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은 비내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 및 희석제 또는 충전제를 포함하는 정제 또는 캡슐과 같은 고형 경구 투여 형태에 관한 것이다. 적합한 희석제 및 충전제로는 락토스, 수크로스, 덱스트로스, 만니톨, 소르비톨, 전분 (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및 사전-호화된 전분), 셀룰로스 및 이의 유도체 (예컨대,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황산칼슘, 및 이염기성 인산칼슘이 있다. 고형 경구 투여 형태는 결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로는 전분 (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및 사전-호화된 전분), 젤라틴, 아카시아, 소듐 알기네이트, 알긴산, 트라가칸트, 구아르 검, 포비돈 및 셀룰로스 및 이의 유도체 (예컨대, 미세결정질 셀룰로스)가 있다. 고형 경구 투여 형태는 붕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붕해제로는 크로스포비돈, 소듐 전분 글리콜레이트, 크로스카멜로스, 알긴산, 및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가 있다. 고형 경구 투여 형태는 윤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윤활제로는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 탈크가 있다.
적합한 경우, 경구 투여용 투여 단위 조성물은 미세캡슐화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방출을 연장하거나 계속하도록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미립자 물질을 폴리머, 또는 왁스 등으로 코팅하거나 임베딩(embedding)함에 의해서이다.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은 또한 표적화될 수 있는 약물 담체로서 가용성 폴리머와 커플링될 수 있다. 그러한 폴리머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피란 코폴리머, 폴리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페놀, 폴리히드록시에틸아스파르트아미드페놀, 또는 팔미토일 잔기로 치환된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리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다형체 또는 염은 약물의 제어된 방출을 달성하는데 유용한 부류의 생분해가능한 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 폴엡실론(polepsilon) 카프로락톤, 폴리히드록시 부티르산,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디히드로피란,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로겔의 가교되거나 친양쪽성 블록 코폴리머에 커플링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액체 경구 투여 형태에 관한 것이다. 주어진 양이 소정량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함유하도록 용액, 시럽 및 엘릭서와 같은 경구용 액체를 투여 단위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시럽은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적합하게 맛을 낸 수용액에 용해시켜 제조될 수 있는 한편, 엘릭서는 무독성 알코올성 비히클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현탁액은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무독성 비히클에 분산시킴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에톡실화된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및 폴리옥시 에틸렌 소르비톨 에테르와 같은 에멀젼화제 및 용해제, 보존제, 페퍼민트 오일 또는 천연 감미제 또는 사카린 또는 다른 인공 감미제와 같은 풍미 첨가제 등을 또한 첨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흡입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되도록 구성된 투여 형태, 예를 들어 건조 분말, 에어로졸, 현탁액 또는 용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건조 분말로서 흡입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되도록 구성된 투여 형태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네뷸라이저를 통한 흡입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되도록 구성된 투여 형태에 관한 것이다.
흡입에 의해 폐로 전달되는 건조 분말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미세하게 분할된 분말로서의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미세하게 분할된 분말로서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포함한다. 건조 분말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락토스, 전분, 만니톨, 및 모노-, 디- 및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한다. 미세하게 분할된 분말은, 예를 들어 미크론화(micronisation) 및 밀링(milling)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크기-감소된 (예를 들어, 미크론화된) 화합물은 약 1 내지 약 10 미크론의 D50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회절에 의해 측정됨).
건조 분말은 건조 분말 형태의 복합(multiple)(비-계량된 용량) 약제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저장소를 지니는 저장소 건조 분말 흡입기(RDPI)를 통해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RDPI는 전형적으로 저장소로부터 전달 위치로 각 약제 용량을 계량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계량 수단은 계량 컵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컵이 저장소로부터의 약제로 충전될 수 있는 제1 위치에서 계량된 약제 용량이 흡입을 위해 환자에게 이용가능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건조 분말은 다중-용량 건조 분말 흡입기 (MDPI)에서 캡슐 (예를 들어, 젤라틴 또는 플라스틱), 카트리지, 또는 블리스터 팩으로 제공될 수 있다. MDPI는 다수의 규정된 용량 (또는 그 일부)의 약제를 함유하는 (또는 달리 운반하는) 다중-용량 팩내에 약제가 포함되어 있는 흡입기이다. 건조 분말이 블리스터 팩으로서 제공될 때, 이것은 건조 분말 형태의 약제 포함용의 다수의 블리스터를 포함한다. 블리스터는 전형적으로 그로부터 약제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는 규칙적인 양상으로 정렬된다. 예를 들어, 블리스터는 디스크형 블리스터 팩상에 일반적으로 원형으로 정렬될 수 있거나, 블리스터는, 예를 들어 스트립 또는 테입을 포함하는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각 캡슐, 카트리지, 또는 블리스터는, 예를 들어 20㎍ 내지 10mg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함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은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액화된 추진제에 현탁 또는 용해시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추진제로는 할로탄소, 탄화수소, 및 그 밖의 액화된 가스가 있다. 대표적인 추진제로는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추진제 11),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추진제 12),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추진제 114), 테트라플루오로에탄 (HFA-134a), 1,1-디플루오로에탄 (HFA-152a), 디플루오로메탄 (HFA-32), 펜타플루오로에탄 (HFA-12), 헵타플루오로프로판 (HFA-227a), 퍼플루오로프로판, 퍼플루오로부탄, 퍼플루오로펜탄, 부탄, 이소부탄, 및 펜탄이 있다.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은 전형적으로 계량 흡입기(MDI)를 통해 환자에게 투여될 것이다. 그러한 장치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에어로졸은 MDI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가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 윤활제, 보조용매 및 다른 부형제를 함유하여 제형의 물리적 안전성을 개선시키거나, 밸브 성능을 개선시키거나, 용해성을 개선시키거나, 맛을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임의로 계면활성제 및/또는 보조용매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 및 추진제로서의 플루오로카본 또는 수소-함유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에어로졸 제형이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으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추진제가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1,1,1,2,3,3,3-헵타플루오로-n-프로판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약제학적 에오로졸 제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형은 적합한 완충제의 첨가에 의해 완충될 수 있다.
흡입기 또는 취입기(insufflator)에 사용되는, 예를 들어 젤라틴의 캡슐 및 카트리지는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 및 적합한 분말 기재, 예를 들어 락토스 또는 전분의 흡입용 분말 믹스를 함유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캡슐 또는 카트리지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10mg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함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은 락토스와 같은 부형제 없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국소 조성물에서 활성인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의 비율은 제조하려는 정확한 유형의 제형에 의존적이나,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중량%의 범위내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제조 유형에서, 사용된 비율은 0.005 내지 1%, 예를 들어, 0.01 내지 0.5%의 범위내일 것이다. 그러나, 흡입 또는 취입용 분말에서, 사용된 비율은 보통 0.1 내지 5%의 범위내일 것이다.
에어로졸 제형은 에어로졸의 각 계량된 용량 또는 "퍼프(puff)"가 20㎍ 내지 10mg,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500㎍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함유하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또는 하루에 여러 번, 예를 들어 2회, 3회, 4회 또는 8회일 수 있고, 각 회에 1, 2 또는 3 용량을 제공한다. 에어로졸을 이용한 전체적인 하루 용량은 100㎍ 내지 10mg,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000㎍의 범위내일 것이다.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서 캡슐 및 카트리지에 의해 전달되는 전체적인 하루 용량 및 계량된 용량은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제형으로 전달되는 양의 두 배일 것이다.
현탁 에어로졸 제형의 경우, 미립자 (예를 들어, 미크론화된) 약물의 입자 크기는 에어로졸 제형의 투여시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모든 약물을 폐로 흡입시킬 수 있는 크기여야 하므로, 100 미크론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미크론 이하, 및 특히 1 내지 10 미크론의 범위, 예를 들어 1 내지 5 미크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미크론일 것이다.
본 발명의 제형은 적합한 컨테이너에서 선택된 추진제로, 예를 들어 초음파분해 또는 고속-전단 믹서의 도움을 받아 약제 및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분산 또는 용해시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제어된 습도 조건하에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제형의 화학적 및 물리적 안정성 및 약제학적 허용성(acceptability)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기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성분들의 화학적 안정성은, 예를 들어 생성물의 연장된 저장 후에 HPLC 검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물리적 안정성 데이터는, 예를 들어 누수 시험, 밸브 전달 검정 (동작 당 평균 사출량), 용량 재현성 검정 (동작 당 활성 성분) 및 스프레이 분배 분석과 같은 그 밖의 통상적인 분석 기술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탁 에어로졸 제형의 안정성은, 예를 들어 백라이트 산란 기계를 이용한 응집 크기 분포를 측정함에 의해서나 캐스캐이드 밀착 또는 "트윈 임핀저(twin impinger)" 분석 공정에 의해 입자 크기 분포를 측정함에 의해서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트윈 임핀저" 검정이라 함은 영국 약전 (1988년, A204-207면, 부록 XVII C)에 정의된 바와 같은 "장치 A를 이용하여 가압된 흡입으로 방출된 용량의 증착 측정"을 의미한다. 그러한 기술로부터 에어로졸 제형의 "호흡할 수 있는 분획"을 산출할 수 있다. "호흡할 수 있는 분획"을 산출하는데 사용된 한 가지 방법은 "미세 입자 분획"을 참조하는 것인데, 미세 입자 분획은 상기 기술된 트윈 임핀저 방법을 이용하여 동작 당 전달된 활성 성분의 총 양의 백분율로서 표시되는, 동작 당 하부 임핀지먼트 챔버내에 수집되는 활성 성분의 양이다.
용어 "계량된 용량 흡입기" 또는 MDI는 캔, 캔을 덮고 있는 안전 마개 및 마개에 위치한 제형 계량 밸브를 포함하는 유닛을 의미한다. MDI 시스템은 적합한 채널링 장치를 포함한다. 적합한 채널링 장치는, 예를 들어 밸브 작동기, 및 약제가 충전된 캐니스터로부터 계량 밸브를 통해 환자의 코나 입으로 전달될 수 있는 원통형 또는 원뿔형 통로,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 작동기를 포함한다.
MDI 캐니스터는 일반적으로 사용된 추진제의 증기압을 견딜 수 있는 컨테이너,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코팅된 유리병 또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캔, 예를 들어 임의로 양극 산화, 락커-코팅 및/또는 플라스틱-코팅될 수 있는 알루미늄 또는 이의 합금 (예를 들어, 내부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임의로 하나 이상의 비-플루오로카본 폴리머와 함께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카본 폴리머로 코팅된 WO96/32099호를 참조로 하여 본원에 포함된)을 포함하며, 그 컨테이너는 계량 밸브로 닫혀 있다. 마개는 초음파 용접, 스크류 피팅 또는 크림핑을 통해 캔상에 고정될 수 있다. 본원에 교시된 MDI는 종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yron, 상기 기재됨 및 WO96/32099호 참조). 바람직하게는, 캐니스터에 마개 어셈블리를 장착하는데, 이 때 약물-계량 밸브는 마개에 위치하고, 상기 마개는 제 위치에 크림핑된다.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서, 캔의 금속성 내부 표면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플루오로폴리머와 블렌딩된 플루오로폴리머로 코팅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캔의 금속성 내부 표면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및 폴리에테르설폰 (PES)의 폴리머 블렌드로 코팅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구체예에서, 캔의 금속성 내부 표면 전체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및 폴리에테르설폰 (PES)의 폴리머 블렌드로 코팅된다.
계량 밸브는 동작 당 계량된 양의 제형을 전달하도록 설계되며 밸브를 통한 추진제의 누수를 막기 위해 개스킷을 포함한다. 개스킷은 임의의 적합한 엘라스토머 물질,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클로로부틸, 브로모부틸, EPDM, 블랙 앤 화이트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및 네오프렌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밸브는 에어로졸 산업에서 널리 공지된 제조사로부터, 예를 들어 Valois, 프랑스 (예를 들어, DF10, DF30, DF60), Bespak pic, 영국 (예를 들어, BK300, BK357) 및 3M-Neotechnic Ltd, 영국 (예를 들어, Spraymiser™)로부터 시판된다.
다양한 구체예에서, MDI는 또한 그 밖의 구조들,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미국특허 6,119,853; 6,179,118; 6,315,112; 6,352,152; 6,390,291; 및 6,679,374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는 MDI를 저장하고 함유하기 위한 오버랩 패키지 뿐만 아니라 비제한적으로 미국특허 6,360,739 및 6,431,168에 기재된 것들과 같은 용량 카운터 유닛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약제학적 에어로졸 제조 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통상적인 벌크(bulk) 제조 방법 및 기계를 충전된 캐니스터의 상업적 생산을 위한 대규모 회분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현탁 에어로졸 제형을 제조하기 위한 하나의 벌크 제조 방법에서, 계량 밸브는 알루미늄 캔상에 크림핑되어 빈 캐니스터를 형성한다. 미립자 약제를 충전 용기(charge vessel)에 첨가하고 임의의 부형제와 함께 액화된 추진제를 충전 용기를 통해 제조 용기로 가압 충전한다. 약물 현탁액을 혼합시킨 후에 충전 기계로 재순환시킨 다음 일정부분의 약물 현탁액을 계량 밸브를 통해 캐니스터내로 충전시킨다. 용액 에어로졸 제형을 제조하는 벌크 제조 방법의 한 실시예에서, 계량 밸브를 알루미늄 캔상에 크림핑하여 빈 캐니스터를 형성한다. 임의의 부형제 및 용해된 약제와 함께 액화된 추진제를 충전 용기를 통해 제조 용기내로 가압 충전시킨다.
대안적인 공정에서, 일정부분의 액화된 제형을, 제형이 기화되지 않을 것을 보장하는 충분히 찬 조건하에 열린 캐니스터에 첨가한 다음, 계량 밸브를 캐니스터상에 크림핑한다.
전형적으로, 약제학적 용도로 제조된 회분에서, 각 충전된 캐니스터는 검량되고, 회분 번호로 표시되고, 방출 시험 전에 저장을 위해 트레이에 패킹된다.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포함하는 현탁액 및 용액은 또한 네뷸라이저를 통해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네뷸라이제이션에 사용된 용매 또는 현탁화제는 물, 수성 염수, 알코올 또는 글리콜,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어떠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액체일 수 있다. 염수 용액은 투여 후에 약리적 활성을 거의 또는 전혀 나타내지 않는 염을 사용한다. 유기염, 예컨대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암모늄 할로겐 염, 예를 들어 소듐 클로라이드, 포타슘 클로라이드 또는 유기염, 예를 들어 칼륨, 나트륨 및 암모늄염 둘 모두 또는 유기산,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등을 이를 위해 이용할 수 있다.
그 밖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현탁액 또는 용액에 첨가할 수 있다. 무기산, 예를 들어 염산, 질산, 황산 및/또는 인산; 유기산,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및 타르타르산 등, 착화제, 예를 들어 EDTA 또는 시트르산 및 이들의 염; 또는 항산화제, 예를 들어 비타민 E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를 첨가함에 의해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함께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또는 벤조산 및 이들의 염과 같은 보존제를 첨가할 수 있다. 특히 현탁액의 물리적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에는 레시틴, 디소듐 디옥틸설포숙시네이트, 올레산 및 소르비탄 에스테르가 있다.
추가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비내 투여용으로 구성된 투여 형태에 관한 것이다.
코로 투여하기 위한 제형은 가압된 에어로졸 제형 및 가압 펌프에 의해 코로 투여되는 수성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비강으로의 국소 투여를 위해 구성되고 비가압되는 제형이 특히 흥미롭다. 적합한 제형은 이를 위해 희석제 또는 담체로서 물을 함유한다. 폐 또는 코로 투여되는 수성 제형에는 완충제, 긴장성 변형제 등과 같은 통상적인 부형제가 제공될 수 있다. 수성 제형은 또한 네뷸라이제이션에 의해 코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은 유체 디스펜서, 예를 들어 유체 디스펜서의 펌프 메커니즘에 사용자가 적용시킨 힘이 가해질 때 유체 제형의 계량된 용량이 분배되는 분배용 노즐 또는 분배용 오리피스를 지니는 유체 디스펜서로부터 전달되는 유체 제형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그러한 유체 디스펜서에는 일반적으로 유체 제형의 다수의 계량된 용량의 저장소가 제공되며, 그 용량들은 일련의 펌프 작동시 분배될 수 있다. 분배용 노즐 또는 오리피스는 유체 제형을 비강내로 분무 분배하기 위해 사용자의 콧구멍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유형의 유체 디스펜서가 WO05/044354호에 기술 및 예시되어 있고, 이의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디스펜서는 유체 제형을 함유하기 위해 컨테이너상에 장착된 압축 펌프를 지니는 유체 방출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지닌다. 하우징은 하우징에 대해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컨테이너를 하우징에서 위쪽으로 왕복운동(cam)시킴으로써 펌프를 압착하고 펌프 대 밖으로 하우징의 비내용 노즐을 통해 제형의 계량된 용량을 펌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동작가능한 측면 레버를 지닌다. 일 구체예에서, 유체 디스펜서는 WO05/044354호의 도 30-40에 도시된 일반적인 유형을 지닌다.
담체가 고체인 비내 투여용으로 구성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20 내지 500 미크론 범위의 입자 크기를 지니는 거친 분말을 포함하며, 이것은 코에 가까이 고정된 분말 컨테이너로부터 비내용 통로를 통해 신속한 흡입에 의해 투여된다. 비내 스프레이 또는 점비제로서 투여하기 위한, 담체가 액체인 적합한 조성물로는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의 수성 또는 오일 용액이 있다.
경피 투여용으로 구성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연장된 기간 동안 환자의 표피와 긴밀하게 접촉한 채로 유지되는 분리된 패치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은 문헌[Pharmaceutical Research, 3(6), 318 (1986)]에 일반적으로 기재된 이온삼투요법에 의해 패치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국소 투여용으로 구성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연고, 크림, 현탁액, 로션, 분말, 용액, 페이스트, 겔, 스프레이, 에어로졸 또는 오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연고, 크림 및 젤은, 예를 들어 적합한 증점제 및/또는 겔화제 및/또는 용매를 첨가시켜 수성 또는 지성 기재로 제형화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기재는, 예를 들어 물 및/또는 오일, 예를 들어 액체 파라핀 또는 식물성유, 예를 들어 아라키스유 또는 피마자유,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의 특성에 따라 이용될 수 있는 증점제 및 겔화제로는 연질 파라핀,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울팻(woolfat), 비스왁스, 카르복시폴리메틸렌 및 셀룰로스 유도체, 및/또는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및/또는 비이온성 에멀젼화제가 있다.
로션은 수성 또는 지성 기재로 제형화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또한 하나 이상의 에멀젼화제, 안정화제, 분산제, 현탁화제 또는 증점제를 함유할 것이다.
외용 분말은 임의의 적합한 분말 기재, 예를 들어 탈크, 락토스 또는 전분의 도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점적제는 또한 하나 이상의 분산제, 용해제, 현탁화제 또는 보존제를 포함하는 수성 또는 비-수성 기재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국소 제조물은 하루에 1회 이상의 도포에 의해 감염된 이환부에 투여될 수 있고; 피부 부위상에 밀봉 드레싱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지속적이거나 연장된 전달은 접착식 저장소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눈 또는 그 밖의 외부 조직, 예를 들어 입 및 피부를 치료하기 위해, 조성물은 국소용 연고 또는 크림으로서 도포될 수 있다. 연고로 제형화될 때,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은 파라핀성 또는 수-혼화성 연고 기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은 수중유 크림 기재 또는 유중수 기재와 함께 크림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으로 구성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항산화제, 완충제, 정균제 및 제형이 소기의 수용체의 혈액과 등장성이 되게 하는 용질을 함유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살균 주사 용액; 및 현탁화제 및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살균 현탁액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단위-용량 또는 다중-용량 컨테이너, 예를 들어 밀봉된 앰플 및 바이알로 제공될 수 있고, 사용 직전에 살균 액체 담체, 예를 들어 주사용 물의 첨가만을 요구하며 냉동-건조된 (동결건조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즉석 주사 용액 및 현탁액을 살균 분말, 과립 및 정제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형체 및 염 및 약제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항-염증제, 항콜린성제 (특히, M1/M2/M3 수용체 길항제), β2-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 항감염제, 예를 들어 항생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또는 항히스타민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와 함께 이용될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예를 들어 항-염증제, 예를 들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NSAID, 항콜린성제, β2-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 항감염제, 예를 들어 항생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또는 항히스타민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그 밖의 치료적 활성제와 함께 포함하는 조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β2-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 및/또는 항콜린성제, 및/또는 PDE-4 억제제, 및/또는 항히스타민제와 함께 포함하는 조합물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하나 이상의 치료적 활성제와 함께 포함하는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조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부적절한 PI3-키나아제 활성에 의해 매개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추가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PI3Kδ에 선택적인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또 다른 PI3-키나아제, 예를 들어 PI3Kγ에 선택적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함께 포함하는 조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하나 또는 2개의 다른 치료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포함한다.
적절한 경우, 치료 성분의 활성 및/또는 안정성 및/또는 용해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그 밖의 치료 성분(들)이,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아민 염 또는 산 부가염과 같은 염, 또는 프로드러그, 또는 에스테르, 예를 들어 저급 알킬 에스테르, 또는 용매화물, 예를 들어 수화물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적절한 경우, 치료 성분들이 광학적으로 순수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음이 또한 명백할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β2-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와 함께 포함하는 조합물을 포함한다.
β2-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의 예로는 살메테롤 (라세미체 또는 R-거울상이성질체와 같은 단일 거울상이성질체일 수 있다), 살부타몰 (라세미체 또는 R-거울상이성질체와 같은 단일 거울상이성질체일 수 있다), 포르모테롤 (라세미체 또는 R,R-부분입체이성질체와 같은 단일 부분입체이성질체일 수 있다), 살메파몰, 페노테롤, 카르모테롤, 에탄테롤, 나민테롤, 클렌부테롤, 피르부테롤, 플레르부테롤, 레프로테롤, 밤부테롤, 인다카테롤, 테르부탈린 및 이들의 염, 예를 들어 살메테롤의 시나포에이트 (1-히드록시-2-나프탈렌카르복실레이트) 염, 살부타몰의 설페이트 염 또는 유리 염기 또는 포르모테롤의 푸마레이트 염이 있다. 일 구체예에서, 장기-작용성 β2-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 예를 들어 약 12시간 이상 효과적인 기관지확장을 제공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β2-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로는 WO 02/066422, WO 02/070490, WO 02/076933, WO 03/024439, WO 03/072539, WO 03/091204, WO 04/016578, WO 2004/022547, WO 2004/037807, WO 2004/037773, WO 2004/037768, WO 2004/039762, WO 2004/039766, WO01/42193 및 WO03/042160에 기재된 것들이 있다.
β2-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의 예로는 3-(4-{[6-({(2R)-2-히드록시-2-[4-히드록시-3-(히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헥실]옥시}부틸)벤젠설폰아미드;
3-(3-{[7-({(2R)-2-히드록시-2-[4-히드록시-3-히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헵틸]옥시}프로필)벤젠설폰아미드;
4-{(1R)-2-[(6-{2-[(2,6-디클로로벤질)옥시]에톡시}헥실)아미노]-1-히드록시에틸}-2-(히드록시메틸)페놀;
4-{(1R)-2-[(6-{4-[3-(시클로펜틸설포닐)페닐]부톡시}헥실)아미노]-1-히드록시에틸}-2-(히드록시메틸)페놀;
N-[2-히드록시l-5-[(1R)-1-히드록시-2-[[2-4-[[(2R)-2-히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페닐]에틸]아미노]에틸]페닐]포름아미드;
N-2{2-[4-(3-페닐-4-메톡시페닐)아미노페닐]에틸}-2-히드록시-2-(8-히드록시-2(1H)-퀴놀리논-5-일)에틸아민; 및
5-[(R)-2-(2-{4-[4-(2-아미노-2-메틸-프로폭시)-페닐아미노]-페닐}-에틸아미노)-1-히드록시-에틸]-8-히드록시-1H-퀴놀린-2-온이 포함된다.
β2-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는 황산, 염산, 푸마르산, 히드록시나프토산 (예를 들어, 1- 또는 3-히드록시-2-나프토산), 신남산, 치환된 신남산, 트리페닐아세트산, 설팜산, 설파닐산, 나프탈렌아크릴산, 벤조산, 4-메톡시벤조산, 2- 또는 4-히드록시벤조산, 4-클로로벤조산 및 4-페닐벤조산으로부터 선택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으로 형성된 염의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항염증제로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경구 및 흡입되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항염증 활성을 지니는 이들의 프로드러그이다. 예로는 메틸 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6α,9α-디플루오로-11β-히드록시-16α-메틸-17α-[(4-메틸-1,3-티아졸-5-카르보닐)옥시]-3-옥소-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르보티오산 S-플루오로메틸 에스테르, 6α,9α-디플루오로-17α-[(2-푸라닐카르보닐)옥시]-11β-히드록시-16α-메틸-3-옥소-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르보티오산 S-플루오로메틸 에스테르 (플루티카손 푸로에이트), 6α,9α-디플루오로-11β-히드록시-16α-메틸-3-옥소-17α-프로피오닐옥시-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르보티오산 S-(2-옥소-테트라히드로-푸란-3S-일)에스테르, 6α,9α-디플루오로-11β-히드록시-16α-메틸-3-옥소-17α-(2,2,3,3-테트라메틸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옥시-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르보티오산 S-시아노메틸 에스테르 및 6α,9α-디플루오로-11β- 히드록시-16α-메틸-17α-(1-메틸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옥시-3-옥소-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르보티오산 S-플루오로메틸 에스테르, 베클로메타손 에스테르 (예를 들어, 17-프로피오네이트 에스테르 또는 17,21-디프로피오네이트 에스테르), 부데소나이드, 플루니솔리드, 모메타손 에스테르 (예를 들어, 모메타손 푸로에이트),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로플레포나이드, 시클레소나이드 (16α,17-[[(R)-시클로헥실메틸렌]비스(옥시)]-11β,21-디히드록시-프레그나-1,4-디엔-3,20-디온), 부틱소코르트 프로피오네이트, RPR-106541, 및 ST-126이 있다. 바람직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6α,9α-디플루오로-11β-히드록시-16α-메틸-17α-[(4-메틸-1,3-티아졸-5-카르보닐)옥시]-3-옥소-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르보티오산 S-플루오로메틸 에스테르, 6α,9α-디플루오로-17α-[(2-푸라닐카르보닐)옥시]-11β-히드록시-16α-메틸-3-옥소-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르보티오산 S-플루오로메틸 에스테르, 6α,9α-디플루오로-11β-히드록시-16α-메틸-3-옥소-17α-(2,2,3,3-테트라메틸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옥시-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르보티오산 S-시아노메틸 에스테르 및 6α,9α-디플루오로-11β-히드록시-16α-메틸-17α-(1-메틸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옥시-3-옥소-안드로스타-1,4-디엔-17β- 카르보티오산 S-플루오로메틸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6α,9α-디플루오로-17α-[(2-푸라닐카르보닐)옥시]-11β-히드록시-16α-메틸-3-옥소-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르보티오산 S-플루오로메틸 에스테르이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예는 WO2002/088167, WO2002/100879, WO2002/12265, WO2002/12266, WO2005/005451, WO2005/005452, WO2006/072599 및 WO2006/072600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액티베이션(transactivation)에 비해 트랜스리프레션(transrepression)에 선택성을 지닐 수 있고 병용 치료에 유용할 수 있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효능을 지니는 비스테로이드 화합물로는 하기 특허에서 커버되는 것들이 있다: WO03/082827, WO98/54159, WO04/005229, WO04/009017, WO04/018429, WO03/104195, WO03/082787, WO03/082280, WO03/059899, WO03/101932, WO02/02565, WO01/16128, WO00/66590, WO03/086294, WO04/026248, WO03/061651 및 WO03/08277. 추가의 비스테로이드 화합물은 WO2006/000401, WO2006/000398 및 WO2006/015870에서 커버된다.
항-염증제의 예로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증 약물 (NSAID's)이 있다.
NSAID의 예로는 소듐 크로모글리케이트, 네도크로밀 소듐, 포스포다이에스테라제 (PDE) 억제제 (예를 들어, 테오필린, PDE4 억제제 또는 혼합된 PDE3/PDE4 억제제), 류코트리엔 길항제, 류코트리엔 합성의 억제제 (예를 들어, 몬테루카스트), iNOS 억제제, 트립타제 및 엘라스타제 억제제, 베타-2 인테그린 길항제 및 아데노신 수용체 효능제 또는 길항제 (예를 들어, 아데노신 2a 효능제), 시토킨 길항제 (예를 들어, 케모킨 길항제, 예컨대 CCR3 길항제) 또는 시토킨 합성의 억제제, 또는 5-리폭시게나제 억제제가 있다. iNOS (유도가능한 산화질소 합성효소 억제제)는 경구 투여용으로 바람직하다. iNOS 억제제의 예는 WO93/13055, WO98/30537, WO02/50021, WO95/34534 및 WO99/62875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한다. CCR3 억제제의 예는 WO02/26722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특히 흡입용으로 구성된 제형의 경우, 포스포다이에스테라제 4 (PDE4) 억제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및 염의 이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 유용한 PDE4-특이적 억제제는 PDE4 효소를 억제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고 PDE4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발견되며, PDE4 뿐만 아니라 PDE3 및 PDE5와 같은 PDE 패밀리의 다른 구성원을 억제하는 화합물이 아니라 오로지 PDE4 억제제인 어떠한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합물은 시스-4-시아노-4-(3-시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시클로헥산-1-카르복실산, 2-카르보메톡시-4-시아노-4-(3-시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시클로헥산-1-온 및 시스-[4-시아노-4-(3-시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시클로헥산-1-올]을 포함한다. 또한, 1996년 9월 3일 허여된 미국특허 5,552,438호에 기재된 시스-4-시아노-4-[3-(시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시클로헥산-1-카르복실산 (실로밀라스트로도 알려짐) 및 이의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물리적 형태; 상기 특허 및 여기에 기재된 화합물들은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다른 화합물은 Elbion으로부터의 AWD-12-281 (Hofgen, N. et al. 15th EFMC lnt Symp Med Chem (Sept 6-10, Edinburgh) 1998, Abst P.98; CAS reference No. 247584020-9); NCS-613 (INSERM)으로 명명된 9-벤질아데닌 유도체; Chiroscience and Schering-Plough로부터의 D-4418; CI-1018 (PD-168787)로서 확인되고 Pfizer의 제품인 벤조디아제핀 PDE4 억제제; WO99/16766에서 Kyowa Hakko에 의해 기재된 벤조디옥솔 유도체; Kyowa Hakko로부터의 K-34; Napp로부터의 V-11294A (Landells, LJ. et al. Eur Resp J [Annu Cong Eur Resp Soc (Sept 19-23, Geneva) 1998] 1998, 12 (Suppl. 28): Abst P2393); Byk-Gulden으로부터의 로플루밀라스트 (CAS reference No 162401-32-3) 및 프탈라지논 (WO99/47505, 이의 기재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Byk-Gulden에 의해 제조되고 공개되었으며, 현재는 Altana의 제품인 혼합된 PDE3/PDE4 억제제로서 푸마펜트린, (-)-p-[(4aR*,10bS*)-9-에톡시-1,2,3,4,4a,10b-헥사히드로-8-메톡시-2-메틸벤조[c][1,6]나프티리딘-6-일]-N,N-디이소프로필벤즈아미드; Almirall-Prodesfarma에 의해 개발 중인 아로필린; Vernalis로부터의 VM554/UM565; 또는 T-440 (Tanabe Seiyaku; Fuji, K. et al. J Pharmacol Exp Ther,1998, 284(1): 162), 및 T2585를 포함한다.
추가의 화합물이 공개된 국제특허출원 WO04/024728 (Glaxo Group Ltd), WO04/056823 (Glaxo Group Ltd) 및 WO04/103998 (Glaxo Group Ltd)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 399 또는 544)에 기재되어 있다. 추가의 화합물이 또한 모두 Glaxo Group Limited의 이름으로 출원된 WO2005/058892, WO2005/090348, WO2005/090353, 및 WO2005/090354에 기재되어 있다.
항콜린성제의 예는 무스카린 수용체에서 길항제로서 작용하는 화합물, 특히 M1 또는 M3 수용체의 길항제, M1/M3 또는 M2/M3 수용체의 이중 길항제 또는 M1/M2/M3 수용체의 판(pan) 길항제인 화합물을 포함한다. 흡입을 통해 투여되는 예시적인 화합물로는 이프라트로피움 (예를 들어, 브로마이드로서, CAS 22254-24-6, 상품명 Atrovent하에 판매됨), 옥시트로피움 (예를 들어, 브로마이드로서, CAS 30286-75-0) 및 티오트로피움 (예를 들어, 브로마이드로서, CAS 136310-93-5, 상품명 Spiriva하에 판매됨)이 포함된다. WO01/04118에 기재된 레바트로페이트 (예를 들어, 히드로브로마이드로서, CAS 262586-79-8) 및 LAS-34273이 또한 흥미롭다. 예시적인 경구 투여용 화합물로는 피렌제핀 (CAS 28797-61-7), 다리페나신 (CAS 133099-04-4, 또는 히드로브로마이드의 경우 상품명 Enablex하에 판매되는 CAS 133099-07-7), 옥시부티닌 (CAS 5633-20-5, 상품명 Ditropan하에 판매됨), 테로딜린 (CAS 15793-40-5), 톨테로딘 (CAS 124937-51-5, 또는 타르트레이트의 경우 CAS 124937-52-6, 상품명 Detrol하에 판매됨), 오틸로늄 (예를 들어, 브로마이드로서, CAS 26095-59-0, 상품명 Spasmomen하에 판매됨), 트로스피움 클로라이드 (CAS 10405-02-4) 및 솔리페나신 (CAS 242478-37-1, 또는 숙시네이트의 경우 YM-905로도 알려져 있고 상품명 Vesicare하에 판매되는 CAS 242478-38-2).
추가의 화합물이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 WO 2005/037280호, WO 2005/046586호 및 WO 2005/104745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조합물은 비제한적으로 하기를 포함한다:
(3-엔도)-3-(2,2-디-2-티에닐에테닐)-8,8-디메틸-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아이오다이드;
(3-엔도)-3-(2-시아노-2,2-디페닐에틸)-8,8-디메틸-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브로마이드;
4-[히드록시(디페닐)메틸]-1-{2-[(페닐메틸)옥시]에틸}-1-아조니아바이시클로[2.2.2]옥탄 브로마이드; 및
(1R,5S)-3-(2-시아노-2,2-디페닐에틸)-8-메틸-8-{2-[(페닐메틸)옥시]에틸}-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브로마이드.
다른 항콜린성제로는 예를 들어 하기를 포함하는 미국 특허출원 60/487981호에 기재된 화합물이 있다:
(3-엔도)-3-(2,2-디-2-티에닐에테닐)-8,8-디메틸-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브로마이드;
(3-엔도)-3-(2,2-디페닐에테닐)-8,8-디메틸-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브로마이드;
(3-엔도)-3-(2,2-디페닐에테닐)-8,8-디메틸-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3-엔도)-8,8-디메틸-3-[2-페닐-2-(2-티에닐)에테닐]-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브로마이드; 및/또는
(3-엔도)-8,8-디메틸-3-[2-페닐-2-(2-피리디닐)에테닐]-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브로마이드.
추가의 항콜린성제로는 예를 들어 하기를 포함하는 미국 특허출원 60/511009호에 기재된 화합물이 포함된다:
(엔도)-3-(2-메톡시-2,2-디-티오펜-2-일-에틸)-8,8-디메틸-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아이오다이드;
3-((엔도)-8-메틸-8-아자-바이시클로[3.2.1]옥트-3-일)-2,2-디페닐-프로피오니트릴;
(엔도)-8-메틸-3-(2,2,2-트리페닐-에틸)-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
3-((엔도)-8-메틸-8-아자-바이시클로[3.2.1]옥트-3-일)-2,2-디페닐-프로피온아미드;
3-((엔도)-8-메틸-8-아자-바이시클로[3.2.1]옥트-3-일)-2,2-디페닐-프로피온산;
(엔도)-3-(2-시아노-2,2-디페닐-에틸)-8,8-디메틸-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아이오다이드;
(엔도)-3-(2-시아노-2,2-디페닐-에틸)-8,8-디메틸-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브로마이드;
3-((엔도)-8-메틸-8-아자-바이시클로[3.2.1]옥트-3-일)-2,2-디페닐-프로판-1-올;
N-벤질-3-((엔도)-8-메틸-8-아자-바이시클로[3.2.1]옥트-3-일)-2,2-디페닐-프로피온아미드;
(엔도)-3-(2-카르바모일-2,2-디페닐-에틸)-8,8-디메틸-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아이오다이드;
1-벤질-3-[3-((엔도)-8-메틸-8-아자-바이시클로[3.2.1]옥트-3-일)-2,2-디페닐-프로필]-우레아;
1-에틸-3-[3-((엔도)-8-메틸-8-아자-바이시클로[3.2.1]옥트-3-일)-2,2-디페닐-프로필]-우레아;
N-[3-((엔도)-8-메틸-8-아자-바이시클로[3.2.1]옥트-3-일)-2,2-디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
N-[3-((엔도)-8-메틸-8-아자-바이시클로[3.2.1]옥트-3-일)-2,2-디페닐-프로필]-벤즈아미드;
3-((엔도)-8-메틸-8-아자-바이시클로[3.2.1]옥트-3-일)-2,2-디-티오펜-2-일-프로피온니트릴;
(엔도)-3-(2-시아노-2,2-디-티오펜-2-일-에틸)-8,8-디메틸-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아이오다이드;
N-[3-((엔도)-8-메틸-8-아자-바이시클로[3.2.1]옥트-3-일)-2,2-디페닐-프로필]-벤젠설폰아미드;
[3-((엔도)-8-메틸-8-아자-바이시클로[3.2.1]옥트-3-일)-2,2-디페닐-프로필]-우레아;
N-[3-((엔도)-8-메틸-8-아자-바이시클로[3.2.1]옥트-3-일)-2,2-디페닐-프로필]-메탄설폰아미드; 및/또는
(엔도)-3-{2,2-디페닐-3-[(1-페닐-메타노일)-아미노]-프로필}-8,8-디메틸-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브로마이드.
추가의 화합물로는 다음 화합물이 포함된다:
(엔도)-3-(2-메톡시-2,2-디-티오펜-2-일-에틸)-8,8-디메틸-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아이오다이드;
(엔도)-3-(2-시아노-2,2-디페닐-에틸)-8,8-디메틸-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아이오다이드;
(엔도)-3-(2-시아노-2,2-디페닐-에틸)-8,8-디메틸-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브로마이드;
(엔도)-3-(2-카르바모일-2,2-디페닐-에틸)-8,8-디메틸-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아이오다이드;
(엔도)-3-(2-시아노-2,2-디-티오펜-2-일-에틸)-8,8-디메틸-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아이오다이드; 및/또는
(엔도)-3-{2,2-디페닐-3-[(1-페닐-메타노일)-아미노]-프로필}-8,8-디메틸-8-아조니아-바이시클로[3.2.1]옥탄 브로아미드.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H1 길항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포함하는 조합물을 제공한다. H1 길항제의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아멜레사녹스(amelexanox), 아스테미졸(astemizole), 아자타딘(azatadine), 아젤라스틴(azelastine), 아크리바스틴(acrivastine), 브롬페니라민(brompheniramine), 세티리진(cetirizine), 레보세티리진(levocetirizine), 에플레티리진(efletirizine), 클로르페니라민(chlorpheniramine), 클레마스틴(clemastine), 시클리진(cyclizine), 카레바스틴(carebastine), 시프로헵타딘(cyproheptadine), 카르비녹사민(carbinoxamine), 데스카르보에톡시로라타딘(descarboethoxyloratadine), 독실아민(doxylamine), 디메틴덴(dimethindene), 에바스틴(ebastine), 에피나스틴(epinastine), 에플레티리진(efletirizine), 펙소페나딘(fexofenadine), 히드록시진(hydroxyzine), 케토티펜(ketotifen), 로라타딘(loratadine), 레보카바스틴(levocabastine), 미졸라스틴(mizolastine), 메퀴타진(mequitazine), 미안세린(mianserin), 노베라스틴(noberastine), 메클리진(meclizine), 노라스테미졸(norastemizole), 올로파타딘(olopatadine), 피쿠마스트(picumast), 피릴아민(pyrilamine), 프로메타진(promethazine), 테르페나딘(terfenadine), 트리펠렌아민(tripelennamine), 테멜라스틴(temelastine), 트리메프라진(trimeprazine) 및 트리프롤리딘(triprolidine)이 있고, 특히 세티리진, 레보세티리진, 에플레티리진 및 펙소페나딘이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H3 길항제 (및/또는 역 효능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포함하는 조합물을 제공한다. H3 길항제의 예로는 예를 들어 WO2004/035556호 및 WO2006/045416호에 기재된 화합물들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함께 사용된 수 있는 다른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는 H4 수용체의 길항제 (및/또는 역 효능제), 예를 들어 문헌[Jablonowski et al., J. Med. Chem. 46:3957-3960 (2003)]에 기재된 화합물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PDE4 억제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포함하는 조합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β2-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포함하는 조합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포함하는 조합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비스테로이드 GR 효능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포함하는 조합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항콜린성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포함하는 조합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항히스타민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포함하는 조합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PDE-4 억제제 및 β2-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포함하는 조합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항콜린성제 및 PDE-4 억제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을 포함하는 조합물을 제공한다.
상기 언급된 조합물들은 사용을 위해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편리하게 제공될 수 있으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상기 정의된 조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을 나타낸다.
그러한 조합물의 개개 화합물은 분리된 또는 조합된 약제학적 제형으로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개개 화합물은 조합된 약제학적 제형으로 동시에 투여될 것이다. 공지된 치료제의 적합한 용량들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인지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또 다른 치료적 활성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PDE4 억제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β2-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비스테로이드 GR 효능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항콜린성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항히스타민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PDE4 억제제 및 β2-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측면에서 항콜린성제 및 PDE4 억제제와 함께 본 발명의 다형체 또는 염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제 본 발명을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다형체, 염, 조성물 및 방법을 준비하고 사용하기 위한 안내를 당업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는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며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상업적인 공급처의 명칭이 화합물 또는 시약의 명칭 뒤에 "화합물 X (Aldrich)" 또는 "화합물 X/Aldrich"와 같이 제공될 때, 이것은 화합물 X가 지명된 상업적 공급처와 같은 상업적인 공급처로부터 수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되지 않은 경우, 화합물 또는 시약은 Sigma Aldrich, Lancaster, Fluorochem, TCI 등과 같은 널리 알려진 공급처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실시예의 명칭은 구조를 명칭에 매칭시키는 화합물 명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득되었다 (예컨대, ACD/Name Batch v 9.0).
일반적인 실험 세부사항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광법 ( LCMS )
하기 나열된 방법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LCMS 분석을 수행하였다.
방법 A:
LCMS 기계는 하기로 구성된다:
컬럼: Acquity UPLC BEH C18 1.7㎛ 2.1 mm x 50mm. 컬럼 오븐은 40℃로 설정된다.
용매 A: 물 0.1% 포름산 + 1OmM 암모늄 아세테이트
용매 B: MeCN: 물 95:5 + 0.05% 포름산
주입 부피: 0.5㎕
주입 기술: 부분 루프 오버필 (partial loop overfill)
UV 검출: 220 내지 330 nm
UV 샘플링 속도: 초당 40 포인트
MS 스캔 범위: 100 내지 1000 amu
MS 스캐닝 속도: 0.1초 인터 스캔 딜레이를 지니는 0.2초 스캔
MS 스캔 기능: pos neg 스위칭을 구비한 전기분무
사이클 시간: 2분 30초
구배:
Figure 112013046845409-pct00005
방법 B:
HPLC 분석을 Sunfire C18 컬럼 (30mm x 4.6mm i.d. 3.5㎛ 패킹 직경) 상에서 30℃에서 수행하였다.
용매 A = 물 중 포름산의 0.1 % v/v 용액.
용매 B = 아세토니트릴 중 포름산의 0.1 % v/v 용액.
하기 구배를 이용하였다:
Figure 112013046845409-pct00006
UV 검출은 210 nm 내지 350 nm의 파장으로부터의 평균 시그널이었고, 질량 스펙트럼을 교대-스캔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방식 전기분무 이온화를 이용하여 질량 분광계 상에 기록하였다.
방법 C:
HPLC 분석을 Phenomenex Luma C18(2) (50mm x 2mm i.d. 3㎛ 패킹 직경, 또는 유효하게 동등한 것) 상에서 40℃에서 수행하였다.
용매 A = 물 중 TFA의 0.05% v/v 용액.
용매 B = 아세토니트릴 중 TFA의 0.05% v/v 용액.
하기 구배를 이용하였다:
Figure 112013046845409-pct00007
UV 검출 파장은 분석물 의존적이었고, 질량 스펙트럼을 포지티브 이온 전기분무를 이용하여 질량 분광계 상에 기록하였다.
방법 D:
HPLC 분석을 Phenomenex Luma C18(2) (50mm x 2mm i.d. 3㎛ 패킹 직경, 또는 유효하게 동등한 것) 상에서 60℃에서 수행하였다.
용매 A = 물 중 TFA의 0.05% v/v 용액.
용매 B = 아세토니트릴 중 TFA의 0.05% v/v 용액.
하기 구배를 이용하였다:
Figure 112013046845409-pct00008
UV 검출 파장은 분석물 의존적이었고, 질량 스펙트럼을 포지티브 이온 전기분무를 이용하여 질량 분광계 상에 기록하였다.
질량 유도된 자동화 분취용 HPLC 방법
화합물의 정제에 이용된 질량 유도된 자동화 분취용 HPLC 방법을 하기에 기술한다.
방법 A - 고 pH
컬럼 세부사항: Waters_XBRIDGE Prep C18 컬럼 5um OBD (30 x 150 mm)
하기 용매를 이용하였다:
A=암모니아 수용액으로 pH 10으로 조정된 물 중의 10 mM 중탄산암모늄
B=아세토니트릴 + 0.1% 수성 암모니아
uv, ms 또는 둘을 조합시켜 수집을 수행하였다. UV 검출은 210 nm 내지 350 nm의 파장으로부터의 평균 시그널이었다. 질량 스펙트럼을 교대-스캔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방식 전기분무 이온화를 이용하여 질량 분광계 상에 기록하였다.
화합물 A의 제조
중간체 및 실시예
중간체 1
6- 클로로 -4- 아이오도 -1-( 페닐설포닐 )-1H- 인다졸
Figure 112013046845409-pct00009
방법 A
6-클로로-4-아이오도-1H-인다졸 (30 g, 108 mmol, Sinova로부터 이용가능)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300 ml)에 용해시키고 아이스 워터 배스에서 질소하에 냉각시켰다. 수소화나트륨 (5.17 g, 129 mmol)을 분획으로 첨가하였고, 이 때 온도를 1O℃ 아래로 유지하였다. 완전한 첨가 후에, 반응 혼합물을 20분간 교반한 다음 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 (16.5 ml, 129 mmol)를 1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물이 밤새 실온으로 가온되게 둔 다음 아이스 워터 (2L) 상에 부었다.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 (약 400 ml)로 세척하고,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43.3 g)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Rt 1.38분, MH+ 419.
방법 B
THF (5.7L) 중의 6-클로로-4-아이오도-1H-인다졸 (633.6 g)의 교반된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227.4 g)에 이어 테트라-n-부틸암모늄 바이설페이트 (38.0 g)를 20±3℃에서 질소 대기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3℃에서 1시간 3분 동안 교반한 다음, 내부 온도가 25℃ 미만을 유지하는 속도로 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 (319 ml)를 첨가하였다. 남아있는 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를 THF (630 mL)를 이용하여 용기내로 세정한 다음, 혼합물을 1시간 10분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5℃ 미만으로 냉각하고 내부 온도가 5±3℃ 이하를 유지하는 속도로 물 (12.7 L)을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0-5℃에서 1시간 20분간 교반하였다. 고형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2 x 1.9 L), 흡입 건조시킨 다음, 진공하에 질소를 흘리면서(bleed) 40℃±3℃에서 밤새 추가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780.8 g)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C): Rt 6.28분, MH+ 419.
방법 C
모든 중량, 부피 및 당량은 6-클로로-4-아이오도-1H-인다졸과 관련된 중량, 부피 및 당량이다.
6-클로로-4-아이오도-1H-인다졸(1.0 eq., 1 wt, 50 g), 소듐 하이드록사이드(2.25 eq., 0.324 wt, 16.16 g)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로겐설페이트(0.05 eq., 0.061 wt, 3.05 g)를 1시간 동안 질소 대기하에 20±3℃에서 THF(9.5 vol, 475 ml)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5±3℃로 냉각시키고, 반응 온도를 <25℃로 유지시키면서 벤질설포닐 클로라이드(1.10 eq., 0.51 vol, 25.5 ml)를 20분에 걸쳐서 적가하고, THF (0.5 vol, 25 ml)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HPLC에 의한 완료를 검사하기 전에, 생성되는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에 20±3℃에서 1 시간 이상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수성 현탁액의 온도를 <20℃에서 유지시키면서, 반응 혼합물을 0±3℃로 냉각된 0.25 M 염산 용액((18 vol, 900 ml)에 15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이를 0.25M 염산 용액(2 vol, 100 ml)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생성되는 오랜지색 현탁액을 1 시간 이상 동안 2±3℃에서 교반하였다. 고형물을 여과하고, 물(2 x 3 vol, 2 x 150 ml)로 세척하고, 20분 동안 흡인 건조시킨 다음, 고진공하에 40℃(±3℃)에서 일정한 탐침 온도로 건조시켜서 6-클로로-4-아이오도-1-(페닐설포닐)-1H-인다졸을 오랜지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2
6- 클로로 -1-( 페닐설포닐 )-4-( 트리메틸스탄나닐 )-1H- 인다졸
Figure 112013046845409-pct00010
6-클로로-4-아이오도-1-(페닐설포닐)-1H-인다졸 (30 g, 71.7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8.1 g, 7.01 mmol), 크실렌 (200 ml), 트리에틸아민 (19.98 ml, 143 mmol) 및 헥사메틸디틴 (21.8 ml, 105 mmol)을 15O℃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를 통해 고온 여과하고, 추가의 크실렌으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시클로헥산으로 분말화하고,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14.4 g)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Rt 1.51분, MH+ 457.
중간체 3a
에틸 2-[6- 클로로 -1-( 페닐설포닐 )-1H- 인다졸 -4-일]-1,3- 옥사졸 -5- 카르복실레이트
Figure 112013046845409-pct00011
4개의 회분에서,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3.37 g, 2.92 mmol), 에틸 2-클로로-1,3-옥사졸-5-카르복실레이트 (6.65 g, 37.9 mmol, Apollo Scientific으로부터 이용가능) 및 구리(I) 아이오다이드 (1.11 g, 5.83 mmol)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 (52 ml) 중의 6-클로로-1-(페닐설포닐)-4-(트리메틸스탄나닐)-1H-인다졸 (13.28 g, 29.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그 중 3개의 회분에서,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1.03 g, 0.89 mmol), 에틸 2-클로로-1,3-옥사졸-5-카르복실레이트 (2.03 g, 11.59 mmol) 및 구리(I) 아이오다이드 (0.34 g, 1.78 mmol)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 (16 ml) 중의 6-클로로-1-(페닐설포닐)-4-(트리메틸스탄나닐)-1H-인다졸 (4.06 g, 8.9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네 번째 회분에서,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28 g, 0.24 mmol), 에틸 2-클로로-1,3-옥사졸-5-카르복실레이트 (0.55 g, 3.14 mmol) 및 구리(I) 아이오다이드 (0.09 g, 0.48 mmol)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 (4 ml) 중의 6-클로로-1-(페닐설포닐)-4-(트리메틸스탄나닐)-1H-인다졸 (1.10 g, 2.4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각 회분을 가열하고 100℃에서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30분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이 실온으로 냉각되게 하고, 합친 침전된 생성물을 디에틸 에테르에 현탁시키고,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추가의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한 다음, 진공 오븐에서 7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대략 5.2 g의 생성된 고형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Celite를 통해 통과시키고, 추가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용리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옅은 오렌지색 고형물 (4.95 g)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Rt 1.38분, MH+ 432.
중간체 3b
메틸 2-[6- 클로로 -1-( 페닐설포닐 )-1H- 인다졸 -4-일]-1,3- 옥사졸 -5- 카르복실레이트
Figure 112013046845409-pct00012
톨루엔 (1.43 L) 중의 6-클로로-4-아이오도-1-(페닐설포닐)-1H-인다졸 (549.8 g)의 교반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380 ml)을 20±3℃에서 질소 대기하에 첨가하였다. 톨루엔 (825 ml) 중의 헥사메틸디틴 (385 ml)을 첨가하고, 톨루엔 (275 ml)에 이어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0) (154.7 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O℃로 가열시키고, 이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이 20±3℃로 냉각되게 하고, 여과한 다음, 톨루엔 (4.95 L)으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5㎛ Dominick hunter in-line 필터를 통해 깨끗한 용기로 옮기고, 추가의 톨루엔 (550 ml)으로 세정하였다. 그 후 회분을 50% KF 수용액 (5.5 L)으로 세척하고, 수성 슬러리를 여과하고, 여액을 유기상과 다시 합쳤다. 수성물을 분리시키고, 유기물을 50% 수성 KF (5.5 L)에 이어 물 (5.5 L)로 연속하여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DMPU (2.75 L)로 희석한 다음 진공 증류에 의해 약 5.4vol로 농축시켰다. 생성된 용액에 구리 (I) 아이오다이드 (25.5 g)에 이어 메틸 2-클로로-1,3-옥사졸-5-카르복실레이트 (279 g, Apollo Scientific으로부터 이용가능)를 20±3℃에서 첨가하였다. 용액을 진공을 통해 탈기시키고, 질소를 퍼징하였다 (x3).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0) (78 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탈기시킨 다음 (x3) 85-9O℃로 1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DMSO (13.75 L)로 희석시키고 20±3℃로 냉각한 다음, 결정화가 시작될 때까지 물 (2.75 L)을 약 15분에 걸쳐 약 1vol 부분들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20℃±3℃에서 1.5h 동안 에이징하였다. 고형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2x 2.75 L), 흡입 건조시킨 다음, 추가로 진공에서 질소를 흘리면서 45℃±5℃에서 밤새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341.1 g)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C): Rt 6.08분, MH+ 418
중간체 4
{2-[6- 클로로 -1-( 페닐설포닐 )-1H- 인다졸 -4-일]-1,3- 옥사졸 -5-일}메탄올
Figure 112013046845409-pct00013
방법 A
오븐 건조된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디클로로메탄 (80 ml) 중의 에틸 2-[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1,3-옥사졸-5-카르복실레이트 (5.11 g, 11.8 mmol)의 용액을 -25℃로 냉각하였다.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히드라이드 (25 ml, 37.5 mmol, 톨루엔 중 1.5M 용액)를 적가하고, 반응물을 -2O℃에서 3h 동안 교반하였다. 포타슘 소듐 타르트레이트의 10% 수용액 (80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분간 교반하였다. 침전된 고형물을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0 ml)와 물 (500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층들을 분리하고, 수성물을 추가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3x 150 ml). 합친 유기물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형물 (1.1 g)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Rt 1.09분, MH+ 390.
남아 있는 여액을 진공에서 충분히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0 ml)와 물 (500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층들을 분리하고, 수성물을 추가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3 x 150 ml). 합친 유기물을 물로 세척하고 (2x 150 ml),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1.9 g).
LCMS (방법 A): Rt 1.09분, MH+ 390.
방법 B
아이스 배스에서 질소하에 교반된 THF (17.25 ml) 중의 에틸 2-[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1,3-옥사졸-5-카르복실레이트 (1.15 g)의 용액에 톨루엔 중의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히드라이드 (5.08 ml, 5.64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O℃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소듐 설페이트 데카히드레이트 (2.5 g)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RT에서 1h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고, THF (2 x 5 vol)로 세척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98 g).
LCMS (방법 D): Rt 2.20분, MH+ 390.
방법 C
0±3℃에서 질소하에 교반된 THF(8.7 L)중의 에틸 2-[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1,3-옥사졸-5-카르복실레이트(604.5 g)의 용액에 톨루엔 중의 대체로 1.3M의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1.8 k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3℃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THF(3 L)로 희석시켰다. 5℃ 미만의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소듐 설페이트 데카하이드레이트(1.3 kg)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3℃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20±3℃로 가온하고, 그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유지시켰자. 현탁액을 여과하고, THF (4 x 3 L)로 세척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529.6 g)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C): Rt 5.18 min, MH+ 390.
방법 D
모든 중량, 부피 및 당량은 6-클로로-4-아이오도-1-(페닐설포닐)-1H-인다졸과 관련된 중량, 부피 및 당량이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vol, 225 ml) 중의 징크 클로라이드(3.6 eq, 1.17 wt, 52.7 g)을 0 내지 5℃로 냉각시켰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vol, 225 ml) 중의 에틸 옥사졸-5-카르복실레이트(1.1 eq, 0.37 wt, 18.1 g, 92 wt% 검정에 대해서 보정됨)의 용액을 용기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질소 대기하에 -10℃(+/-5℃)로 냉각시키고, -10℃(+/-5℃)의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80 eq, 4.30 vol, 193 ml)중의 비스-(트리메틸실릴)-리튬아미드의 1M 용액을 15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10℃(+/-5℃)에서 1 시간 동안 질소 하에 교반하였다. 용액에 6-클로로-4-아이오도-1-(페닐설포닐)-1H-인다졸(1.0 eq, 1.0 wt, 45.0 g) 및 테트라키스 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0.03 eq, 0.083 wt, 3.73 g)을 첨가하고(혼합물은 진공/질소에 의해서 3회 탈기(degass)된다), 이어서, 6 시간 이상 동안 60℃(+/-3℃)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HPLC에 의해서 반응의 완료에 대해서 검사하였다. 반응 용액을 0℃(+/-3℃)로 냉각시키고, 온도를 <5℃로 유지시키면서, 톨루엔(4.0 eq, 6.4 vol, 288 ml)중의 25% w/w 디이소부틸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생성되는 반응 용액을 0℃(+/-3℃)에서 1 시간 이상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HPLC(generic)에 의해서 반응의 완료에 대해서 검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1 시간에 걸쳐서 0℃(+/-5℃)의 물(10 vol, 450 ml) 중의 시트르산(4.0 eq, 2.0 wt, 90 g)의 용액에 분획으로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20℃에서 15분 동안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 vol, 450 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2 x 3 vol, 2 x 135 ml)로 세척하고, 다공도 4 신터(porosity 4 sinter)를 통해서 여과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감압(45℃, 100mbar) 하에 2 내지 3 용적으로 증발시키고, 디메틸 설폭사이드(10 vol, 450 ml)를 첨가하고, 용액을 감압(45℃, 50mbar) 하에 증발시켜 모든 미량의 다른 용매를 제거하였다. 45℃의 용액에 물(5 vol, 225 ml)을 30분에 걸쳐서 적가하고, 생성되는 반응 혼합물을 20℃로 3 시간에 걸쳐서 냉각시키고, 20℃에서 15 시간 이상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여과하고, 디메틸설폭사이드:물(1:2)(2 vol, 90 ml)의 용액으로 세척하고, 이어서, 물(3 vol, 135 ml)로 세척한 다음, 60℃(±3℃)에서 고진공 하에 일정한 탐침 온도로 건조시켜서 (2-(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옥사졸-5-일)메탄올을 베이지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5
4-[5-( 브로모메틸 )-1,3- 옥사졸 -2-일]-6- 클로로 -1-( 페닐설포닐 )-1H- 인다졸
Figure 112013046845409-pct00014
방법 A
{2-[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1,3-옥사졸-5-일}메탄올(1.626 g, 4.17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20 ml)에 용해시키고, 카본 테트라브로마이드 (2.77 g, 8.3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O℃로 냉각하고, 디클로로메탄 (20 ml) 중의 트리페닐포스핀 (2.188 g, 8.34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RT로 가온시키고, 추가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용매를 진공에서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용액을 디클로로메탄 중의 0-10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직접 정제시켰다. 적합한 분획들을 합쳐 표제 화합물을 크림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1.16 g).
LCMS (방법 B): Rt 3.70분, MH+ 454.
방법 B
트리페닐포스핀 디브로마이드 (20.60 g, 48.8 mmol)를 디클로로메탄 (181 ml) 중의 {2-[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1,3-옥사졸-5-일}메탄올 (9.06 g, 23.2 mmol)의 현탁액에 O℃에서 첨가하였다. 완료시까지 반응 혼합물을 O℃에서 교반하였다. 물 (91 ml)과 포화된 중탄산나트륨 용액 (91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한 다음, 분리시켰다. 수성층을 추가의 디클로로메탄 (45 ml)으로 추출하고, 유기물을 합치고, 물 (91 ml)로 세척하였다. 층들을 분리시키고, 유기물을 농축 건조시킨 다음 메탄올 (136 ml)에 재용해시켰다. 30분간 교반시킨 후, 생성된 백색 현탁액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진공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오프-화이트(off-white)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9.58 g). LCMS (방법 D): Rt 2.57분, MH+ 452/454.
방법 C
트리페닐포스핀 디브로마이드(1.2 kg)를 10±3℃에서 질소 하에 교반된 디클로로메탄(3.8 L)중의 {2-[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1,3-옥사졸-5-일}메탄올(544.7 g)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3℃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물(2.7L) 및 중탄산나트륨 포화용액(5.4 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고, 이어서,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추가의 디클로로메탄(2.7 L)으로 추출하고, 유기물을 합하고, 물(2.7 L)로 세척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물을 건조한 상태로 농축시킨 다음, 메탄올 (6.5 L)에 다시 용해시켰다. 5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생성되는 백색 현탁액을 여과하고, 메탄올 (2 x 1.1 L)로 세척하고, 고형물을 진공하에 40±5℃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오프-화이트 고형물(514.0 g)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C): Rt 6.40 분, MH+ 453/455.
방법 D
모든 중량, 부피 및 당량은 (2-(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옥사졸-5-일)메탄올과 관련된 중량, 부피 및 당량이다.
(2-(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옥사졸-5-일)메탄올(1.0 eq., 1 wt, 34.0 g) 및 트리페닐포스핀 디브로마이드(1.3 eq., 1.32 wt, 45.0 g)를 질소 대기하에 1 시간 동안 20 (±3℃)에서 디클로로메탄 (15 vol, 510 ml)중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HPLC에 의해서 반응의 완료에 대해서 검사하였다. 반응이 완료되자마자,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메탄올(0.8 vol, 27.2 ml)을 반응물에 첨가하고, 8%w/w 탄산수소나트륨 용액(10 vol, 340 ml)을 15분에 걸쳐서 적가하였다(수용액은 pH >7로 검사됨). 혼합물을 30℃(±3℃)로 가열하고, 10 분 동안 함께 교반한 다음, 분리하고, 수성층을 디클로로메탄 (5 vol, 170 ml)으로 역추출하고, 합한 디클로로메탄 층을 물(5 vol, 170 ml)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감압하에 약 4 vol의 용적으로 증발시켰다. 그러한 용액에 메탄올 (15 vol, 510 ml)을 첨가하고, 용액을 260mbar, 20℃에서 감압 하에 증발시켜서 약 15 vol로 잔류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현탁액을 20℃에서 6 시간 이상 동안 교반하였다. 고형물을 여과하고, 메탄올(2 x 1 vol, 2 x 34 ml)로 세척하고, 20분 동안 흡인 건조시킨 다음, 고진공 하에 30℃(±3℃)에서 일정한 탐침 온도로 건조시켜서 5-(브로모메틸)-2-(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옥사졸을 베이지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6a
6- 클로로 -4-(5-{[(2R,6S)-2,6-디메틸-4- 모르폴리닐 ] 메틸 }-1,3- 옥사졸 -2-일)-1-(페 닐설포 닐)-1H- 인다졸
Figure 112013046845409-pct00015
4-[5-(브로모메틸)-1,3-옥사졸-2-일]-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0.580 g, 1.28 mmol)을 디클로로메탄 (5 ml)에 용해시키고 (2R,6S)-2,6-디메틸모르폴린 (0.317 ml, 2.5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3h 동안 교반한 다음 용매를 질소 스트림하에 제거하였다. 생성된 황색 고형물을 디클로로메탄 (5 ml)에 용해시키고 물로 세척하였다 (2 x 2.5 ml). 층들을 분리하고 (소수성 프릿) 유기물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옅은 황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0.60 g).
LCMS (방법 A): Rt 0.86분, MH+ 487.
Figure 112013046845409-pct00016
적합한 아민을 이용하여 유사하게 하기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3046845409-pct00017
중간체 6b
방법 B
이소프로필피페라진(165ml)을 22±3℃에서 질소 하에 교반된 디클로로메탄 (2.5 L) 중의 4-[5-(브로모메틸)-1,3-옥사졸-2-일]-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250.1 g)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2±3℃에서 1.25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물(2.5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고, 이어서,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추가의 디클로로메탄(0.5L)로 추출하고, 유기물을 합하고, 물(2.5 L)로 세척하였다. 층들을 분리하고, 유기물을 진공하에 건조한 상태로 농축시켜서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형물(274.6 g)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B): Rt 3.33 분, MH+ 500.
방법 C
모든 중량, 부피 및 당량은 5-(브로모메틸)-2-(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옥사졸과 관련된 중량, 부피 및 당량이다(검정을 위해서 보정됨).
DMSO (7 vol, 70 ml) 및 이소프로필피페라진(1 .5 eq, 0.387 wt, 0.431 vol, 4.31 ml, 3.87 g)을 깨끗한 용기에 충전시켰다. 5-(브로모메틸)-2-(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옥사졸(1.0 eq, 10 g (9.13 g, 검정을 위해서 보정됨), 1 wt)을 20℃에서 1 시간에 걸쳐서 5개의 분획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50℃로 가열하고, 1 시간 동안 에이징하고, 이어서, HPLC에 의해서 출발물질의 소모에 대해서 검사하였다. 트리에틸아민(1.2 eq, 0.244 wt, 0.336 vol, 2.44 g, 3.36 ml)을 10분에 걸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에이징하고, 이어서, 1 시간에 걸쳐서 20℃로 냉각시키고, 2 시간 동안 추가로 에이징하였다. 걸쭉한 슬러리를 여과하고, DMSO (2 x 1.5 vol, 2 x 15 ml)로 세척한 다음, 아세톤:물(3 x 2 vol, 3 x 20 ml)로 세척하였다. 생성되는 고형물을 필터 상에서 송풍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60℃에서 항량/항온으로 건조시켜서 2-(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5-((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옥사졸을 오프-화이트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재결정-모든 중량, 부피 및 당량은 2-(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5-((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옥사졸과 관련된 중량, 부피 및 당량이다. DMSO (7.7 wt, 231 g)를 깨끗한 용기에 충전한 다음, 2-(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5-((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옥사졸(1wt, 30 g)을 충전하였다. 완전한 용해가 관찰될 때까지 그러한 회분을 75℃로 가열하고, 혼합물을 여과하고, DMSO (1.1 wt, 33 g, 75℃로 예열됨)로 라인(line)-세척하였다. 혼합물을 2 시간에 걸쳐서 20℃로 냉각시키고, 추가의 2 시간 동안 에이징하고, 여과하였다. 케이크를 DMSO (2.2 wt, 66 g)로 세척한 다음, 3:1의 물:아세톤(3 x 2 vol, 3 x 60 ml)으로 세척하였다. 생성물을 필터상에서 송풍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60℃에서 항량/항온으로 건조시켜서 2-(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5-((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옥사졸을 오프-화이트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7
6-(1H-인돌-4-일)-4-(5-{[4-(1- 메틸에틸 )-1- 피페라지닐 ] 메틸 }-1,3- 옥사졸 -2-일)-1-( 페닐설포닐 )-1H- 인다졸
Figure 112013046845409-pct00018
방법 A
물(2.7 L)중의 중탄산나트륨(228.0 g)의 용액을, 주위 온도에서 질소 하에 교반된 이소프로판올(2.7L) 중의, 6-클로로-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페닐설포닐)-1H-인다졸 (271.2 g) 및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인돌(263.2 g, Apollo Scientific Limited로부터 입수가능)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이배큐에이션(evacuation) 및 질소에 의한 세정을 통한 탈기 후에, 2'-(디메틸아미노)-2-바이페닐릴-팔라듐(II) 클로라이드 디노르보르닐포스핀 복합체(29.83 g)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다시 탈기시키고, 이어서, 90±3℃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혼합물을 20±5℃로 25분에 걸쳐서 냉각시키고 그 온도에서 밤새 에이징하였다. 생성되는 현탁액을 여과하고, 물(1.35L)로 세척하고, 이어서, 톨루엔(4 x 1.35 L)으로 슬러리화시켰다. 고형물을 진공하에 50℃에서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을 회색 고형물(302.7 g)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B): Rt 3.20 분, MH+ 581 .
방법 B
모든 중량, 부피 및 당량은 2-(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5-((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옥사졸과 관련된 중량, 부피 및 당량이다.
2-(6-클로로-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5-((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옥사졸(1.0 eq., 1 wt, 10.0 g),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인돌(1.1 eq., 0.535 wt, 5.35 g) 및 K3P04(1.2 eq., 0.509 wt, 5.09 g)의 혼합물을 IPA(5 vol, 50 ml) 및 물(5 vol, 50 ml)을 함유하는 교반된 용기에 순차적으로 충전하였다. 이어서, KHF2 (2.2 eq., 0.344 wt, 3.44 g)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N2의 흐름 하에 1 시간 이상 동안 75-80℃로 가열하여 탈기시켰다. 한편, IPA (5 vol, 50 ml)를 별도의 용기에 충전시키고, N2의 스트림 하에 1 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켜서 탈기시켰다. IPA를 20℃로 냉각시키고, Pd(OAc)2(0.02 eq., 0.0090 wt, 90.0 mg) 및 트리사이클로헥실포스핀(0.04 eq., 0.0224 wt, 224 mg)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황색 용액이 관찰될 때까지 1 시간 동안 에이징하였다.. 이어서, 75 내지 80℃의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황색 용액을 제 1 용기에 10분에 걸쳐서 첨가하고, 4 시간 이상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20℃로 냉각하고, 1 시간 이상 동안 에이징하였다.. 이어서, 슬러리를 여과하고, 1:1 IPA:물(2 vol, 20 ml)로 세척한 다음, 물(2 x 2 vol, 2 x 20 ml)로 세척하고, 60±3℃의 진공중에서 항온으로 건조시켜서 2-(6-(1H-인돌-4-일)-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5-((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옥사졸을 황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8
에틸 옥사졸 -5- 카르복실레이트
Figure 112013046845409-pct00019
모든 중량, 부피 및 당량은 톨루엔설포닐메틸 이소시아나이드와 관련된 중량, 부피 및 당량이다.
톨루엔설포닐메틸 이소시아나이드(TosMIc) (12.31 g, 1 wt, 1 eq)를 N2하에 0℃에서 DCM (61.6 ml, 5 vols)에 용해시켰다. 별도의 용기에서, 에틸 글리옥살레이트(톨루엔 중의 50wt% 용액, 20.6 g, 20.0 ml, 1.67 wt)를 N2하에 DCM (61.6 ml, 5 vols)으로 희석시키고, DBU(12.48 g, 12.35 ml, 1.3 eq, 1.01 wt)를 첨가하여 자주색 용액을 생성시켰다. 0℃의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두 번째 용액을 TosMIc 용액에 첨가하고, 이어서, 추가의 20분 후에 HPLC에 의해서 반응의 완료에 대해서 검사하였다. 반응물을 2M HCl (10 vol, 123 ml)의 완만한 첨가에 의해서 켄칭시키고, DCM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DCM (5 vol, 61.6 ml)으로 재추출하고, 합한 유기물을 Na2S04로 건조시킨 다음, Buchi, 25℃, 100 mbar상에서 증발시켜서 DCM 및 톨루엔을 제거하였다. 12mbar, 재킷 온도 105℃, 증기 온도 60-80℃에서 증류시켜서 에틸 옥사졸-5-카르복실레이트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9
4-(4,4,5,5- 테트라메틸 -1,3,2- 디옥사보롤란 -2-일)-1H-인돌
Figure 112013046845409-pct00020
모든 중량, 부피 및 당량은 4-브로모인돌과 관련된 중량, 부피 및 당량이다.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1.555 wt, 1.20 eq, 31.1 g), 포타슘 아세테이트(1.00 wt, 2.0 eq, 20.0 g) 및 4-브로모인돌(1.00 wt, 0.64 vol, 1.00 eq, 20.0 g)을 톨루엔(5 vol, 100 ml)을 함유하는 깨끗하고 건조한 용기에 N2하에 순차적으로 충전시키고, 톨루엔(2 vol, 40 ml)으로 세척하였다. 혼합물을 3회의 진공/N2 퍼지에 의해서 탈기시키고, 100℃로 가열하였다. 별도의 깨끗하고 건조한 용기에서, 트리스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0234 wt, 0.005 eq, 0.467 g) 및 트리사이클로헥실포스핀(0.0286 wt, 0.02 eq, 0.572 g)을 N2하에 합하고, 톨루엔(1 vol, 20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회의 진공/N2 퍼지에 의해서 탈기시키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용액을 반응 용기에 첨가하고, 모든 4-브로모인돌이 HPLC 분석에 의해서 소모된 것으로 나타낼 때까지, 혼합물을 3 시간 이상 동안 95 내지 10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60℃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무기물을 제거하였다. 케이크를 톨루엔(2 x 2 vol, 2 x 40 ml)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어두운 용액을 진공(50-60℃, 100 mbar) 하에 4 vol(80ml)로 증류시키고, 60℃에서 1 시간 동안 에이징하였다. 생성되는 슬러리를 2 시간에 걸쳐서 20℃로 냉각시키고 헵탄(12 vol, 240 ml)을 1 시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 시간 이상 동안 에이징시키고, 여과하였다. 케이크를 톨루엔:헵탄(1:4, 2 vol, 40 ml)으로 세척한 다음, 헵탄(2 vol, 40 ml)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50 내지 60℃에서 일정한 탐침 온도로 건조시켜서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인돌을 베이지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재결정-모든 중량, 부피 및 당량은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인돌과 관련된 중량, 부피 및 당량이다.
이소프로판올(6 vol, 4.72 wts, 54.3 Kg)을 깨끗한 용기에 충전한 다음,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인돌(1 wt, 11.5 Kg)을 충전하고, 혼합물을 교반하고, 40분 동안 가열 환류(82℃)시켰다. 회분을 70 ± 3℃로 냉각시키고, 70 ± 3℃의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물(6 vol, 6 wts, 69 Kg)을 연동 펌프 물을 통해서 1 시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함유물을 70 ± 3℃에서 60분 동안 에이징시키고, 2 시간에 걸쳐서 20℃로 냉각시켰다. 슬러리를 20℃에서 6 시간 이상 동안 에이징시키고 여과하였다. 케이크를 1:1 IPA:물(2 vol, 23 L) 및 1:3 IPA:물(2 vol, 23 L)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60℃에서 항온으로 건조시켜서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인돌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
6-(1H-인돌-4-일)-4-(5-{[4-(1- 메틸에틸 )-1- 피페라지닐 ] 메틸 }-1,3- 옥사졸 -2-일)-1H- 인다졸
Figure 112013046845409-pct00021
방법 A
6-클로로-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페닐설포닐)-1H-인다졸(97 mg, 0.194 mmol),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인돌(61.3 mg, 0.252 mmol, Frontier Scientific Europe로부터 입수 가능), 클로로[2'-(디메틸아미노)-2-바이페닐릴]팔라듐-(1R,4S)-바이사이클로[2.2.1]헵트-2-일[(1S,4R)-바이사이클로[2.2.1]헵트-2-일]포스판(10.87 mg, 0.019 mmol) 및 제3인산칼륨(124 mg, 0.582 mmol)을 1,4-디옥산(1ml) 및 물(0.1ml)에 용해시키고, 100℃에서 30분 동안 Biotage Initiator microwave에서 가열하였다. 추가의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인돌(61.3 mg, 0.252 mmol) 및 클로로[2'-(디메틸아미노)-2-바이페닐릴]팔라듐-(1R,4S)-바이사이클로[2.2.1]헵타-2-일[(1S,4R)-바이사이클로[2.2.1]헵타-2-일]포스판(5 mg)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11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14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의 0 내지 25% 메탄올로 용리시키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합하고, 농축시켜서 갈색 고형물을 수득하고, 이를 MeOH:DMSO(1 ml, 1:1 , v/v)에 용해시키고, MDAP (방법 A)에 의해서 정제시켰다. 적절한 분획을 진공하에 농축시켜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형물(30mg)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Rt 0.57 분, MH+ 441.
방법 B
6-클로로-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페닐설포닐)-1H-인다졸(75.17 g, 150 mmol),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인돌(73.1 g, 301 mmol), 중탄산나트륨(37.9 g, 451 mmol), 및 클로로[2'-(디메틸아미노)-2-바이페닐릴]팔라듐-(1R,4S)-바이사이클로[2.2.1]헵트-2-일[(1S,4R)-바이사이클로[2.2.1]헵트-2-일]포스판(8.43 g, 15.03 mmol)을 질소 퍼징된 1,4-디옥산(1200 mL) 및 물(300 mL)에 현탁시켰다. 반응 용기를 오버헤드 교반과 함께 5회의 진공과 질소의 교대 하에 두고, 이어서, 마지막으로, 질소 대기하게 두고, 2.5 시간 동안 120℃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5℃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2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376 mL, 752 mmol)으로 처리하였다. 45℃에서 밤새(약 13 시간) 교반한 후에, 혼합물을 실온(RT)으로 냉각시키고, DCM(600 ml) 및 물(400 ml)을 첨가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DCM:1,4-디옥산(1:1)으로 재추출하였다. 염수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셀라이트(Celite)를 통해서 여과하고, DCM:1,4-디옥산(1:1)으로 세척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2M HCl(1000ml)를 유기층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다시 셀라이트를 통해서 여과하고, 500ml의 2M HCl로 세척하고, 세척물을 분리 유지시켰다. 이어서, 여액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셀라이트로부터 산 세척액으로 세척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산성 수용액을 합하였다. 이어서, 합한 수용액을 2x500 ml의 DCM으로 역세척하는데; 각각의 세척은 셀라이트 여과를 필요로 하였다. 이어서, 산성 수용액을 셀라이트를 통해서 최종 여과하고, 셀라이트 패드를 150ml의 2M HCl로 세척하였다.
산성 수용액을 비이커(5000ml)에 옮기고,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2M NaOH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pH 10 내지 11로 염기성화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1,4-디옥산:DCM(1:1)(5 x 500 ml)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서, 갈색 포말을 수득하고, 이를 진공중에서 50℃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이러한 물질을 3개의 회분으로 분할하고, 각각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3x 1.9 kg C18 column)에 의해서 정제하는데, DMF/TFA(1:1, 30 ml)를 로딩시키고, 이어서, 물 + 0.25% TFA중의 3 내지 40% MeCN으로 용리시켰다(주의: 컬럼 2와 3을 10% MeCN으로 출발하여 상이한 구배로 용리시켰다).
적절한 분획을 합하고, 아세토니트릴을 진공 중에서 제거하고, 포화된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교반된 용액에 첨가함으로써 산성 수용액을 pH 10으로 염기성화시켰다. 생성되는 고형물을 여과에 의해서 수거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65℃의 진공 중에서 밤새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28.82g)을 엷은 갈색 포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Rt 0.68 분, MH+ 441.
Figure 112013046845409-pct00022
방법 C
수산화칼륨(145.6 g)을, 주위 온도에서 질소하에 교반하면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6.0 L) 및 물(30 ml)중의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페닐설포닐)-1H-인다졸 (300.7 g) 및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9.3 g)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7 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고, 이어서, 20 내지 25℃로 냉각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3.0 L) 및 물(3.0 L)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염산(1 M, 1 x 3.0 L, 2 x 1.5L)으로 추출하고, 산성 추출물을 합하고, 탄산나트륨 포화용액(2.1 L)을 첨가함으로써 pH 약 8로 염기성화시켰다. 30분 동안 에이징시킨 후에, 생성되는 현탁액을 여과하고, 물(300ml)로 세척하고, 고형물을 65℃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을 엷은 황색 고형물(127.9 g)로서 수득하였다.
LCMS(방법 B): Rt 2.44 분, MH+ 441.
방법 D
모든 중량, 부피 및 당량은 2-(6-(1H-인돌-4-일)-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5-((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옥사졸과 관련된 중량, 부피 및 당량이다.
수산화칼륨(0.483 wt, 5 eq, 242 g)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 vol, 5.01 L)중의 2-(6-(1H-인돌-4-일)-1-(페닐설포닐)-1H-인다졸-4-일)-5-((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옥사졸(1 wt, 1 eq, 501 g), 및 CTAB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0.031 wt, 0.05 eq, 15.5 g)의 현탁액에 첨가하고, 이어서,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4 시간 이상 동안 환류(79℃)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50℃로 냉각시키고, 50℃에서 물(2 x 10 vol, 2 x 5 L)로 세척하였다. 용액을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vol, 2.5 L)으로 희석시키고, 50℃인 동안 여과하여 침전된 팔라듐 잔류물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유기 용액을 2 vol(1L)로 증류(100 mbar, 20℃)시키고,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1 vol, 0.5 L) 및 3-펜타논(3 vol, 1.5 L)으로 희석시키고, 2 vol(1L)로 증류(100 mbar, 30℃)시켰다. 용액을 다시 3-펜타논(3 vol, 1.5 L)로 희석시키고, 2 vol(1.5L)로 증류(80 mbar, 30℃)시켰다. 용액을 다시 3-펜타논(3 vol, 1.5 L)로 희석시키고, 3 vol(1.5L)로 증류(100 mbar, 30℃)시켰다. 현탁액을 1 시간에 걸쳐서 20℃로 냉각시키고, 2 시간 이상 동안 20℃에서 에이징시켰다. 생성물을 진공하에 여과하고, 3-펜타논(3 vol, 1.5 L)으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60℃에서 건조시켜서 2-(6-(1H-인돌-4-일)-1H-인다졸-4-일)-5-((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옥사졸을 황갈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화합물 A의 다형체의 제조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25g)을 디메틸포름아미드(DMF, 240ml)에 용해시키고, 여과(다공도 4 필터)하였다. DMF (10ml)를 라인 린스(line rinse)로서 사용하여 유리 제품을 세척하고 여과하였다. 물질을 14 x 17-18ml 주입 및 약 10ml의 최종 주입으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을 함유하는 분획을 최대 40℃까지의 온도에서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생성되는 고형물을 여과하고, 물(100ml)로 세척하고, 60℃에서 진공하에 밤새 건조시켰다.
크로마토그래피 조건:
HPLC system Varian SD-1
컬럼: Phenomenex Luna C18(ll), 50x243mm
용리액 A: 0.88 암모니아에 의해서 pH 8.0으로 조정된 0.1M 암모늄 아세테이트
용리액 B: 아세토니트릴
검출기: 350nm range 12
주입: DMF중의 약 17-18ml의 용액(10ml DMF 당 1g)
예상된 스팩트럼과 조화된 NMR:
Figure 112013046845409-pct00023
2.45ppm에서의 광역 단일선은 약간의 잔류 지방족 양성자를 함유하는 듯하지만; 적분값은 DMSO (d5) 피크와의 중첩으로 인해서 정확할 것 같지 않다. 잔류 지방족 양성자는 DMSO (d5) 피크에 덮이는 듯하다.
화합물 A의 염 및 이의 다형체의 제조
토실레이트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1.5013g)을 아세토니트릴(10ml)에 현탁시키고 교반하였다. 별도로, p-톨루엔설폰산 모노하이드레이트(679.5mg, 1 .05eq)를 아세토니트릴(5ml)에 용해시키고, 첨가하였다. 즉각적으로, 점착성의 침전물이 형성되었으며, 이를 음파파쇄하고, 분쇄하여 고형 물질을 동원(mobilize)시켰다. 현탁액을 결정상 토실레이트 염으로 씨딩하고, 밤새 교반시켰다. 고형물을 분리하고, 진공하에 50℃에서 건조시켰다.
예상된 스팩트럼과 조화된 NMR:
Figure 112013046845409-pct00024
여기에서 보이지 않는 지방족 양성자는 DMSO (d5) 피크 속에 있는 듯하다.
결정상 토실레이트 염 씨드(seed)는 하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0.1003g)을 아세토니트릴(1.5ml)에 현탁시키고, 교반하였다. 별도로, 톨루엔설폰산 모노하이드레이트(45.6mg, 1.05eq)를 아세토니트릴(0.5ml)에 용해시키고,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점착성의 침전물이 형성되었으며, 이를 10분 동안 교반시켰다. 샘플을 약 50℃로 가열하고, 시각효과 거의 없이 음파파쇄하였다. 고형물을 스파듈라로 수작업으로 진탕시켜서 그러한 고형물을 동원시키고, 실온에서 4 일 동안 교반하였다. 고형물을 여과하고 흡인 건조시켰다.
헤미 푸마레이트( Hemi fumarate )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1.5014g) 및 푸마르산(217.2mg, 0.56eq)을 IMS(15ml)에 현탁시키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슬러리를 여과하고, 흡인 건조시킨 후에, 진공하에 50℃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예상된 스팩트럼과 조화된 NMR:
Figure 112013046845409-pct00025
2.58ppm에서의 광역 단일선은 잔류 지방족 양성자를 함유하는 듯하지만; 적분값은 DMSO (d5) 피크와의 중첩으로 인해서 정확할 것 같지 않다.
헤미 석시네이트
방법 A
공업용 변성 알콜(IMS, 1 ml)을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0.1006g)에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별도로, 석신산(28.3mg, 1 .05eq)을 IMS(1 ml)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 현탁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주말 내내(약 72 시간) 교반하였다. 고형물을 여과에 의해서 분리하고, IMS (약 1 ml)로 세척한 후에, 진공하에 50℃에서 건조시켰다.
예상된 스팩트럼과 조화된 NMR:
Figure 112013046845409-pct00026
여기에서 보이지 않는 지방족 양성자는 DMSO (d5) 피크 속에 있는 듯하다.
방법 B
모든 중량, 부피 및 당량은 2-(6-(1H-인돌-4-일)-1H-인다졸-4-일)-5-((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옥사졸과 관련된 중량, 부피 및 당량이다.
2-(6-(1H-인돌-4-일)-1H-인다졸-4-일)-5-((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옥사졸(1 wt, 440 g) 및 석신산(0.14 wt, 0.52 eq, 61.6 g)의 혼합물을 20 내지 25℃의 DMSO(2.9 vol, 1 .28 L)중에서 교반시켰다. 생성되는 투명한 용액을 5㎛ 돔닉 헌터 인-라인 필터(Domnick hunter in-line filter)를 통해서 결정화 용기에 옮기고, 이어서, 라인을 추가의 DMSO(0.1 vol, 44 ml)로 세척하였다. 그러한 용액에 앞선 필터를 통해서 10분에 걸쳐서 메탄올(1 vol, 440 ml)을 첨가한 다음, 메탄올 (0.05 vol, 22 ml)중의 2-(6-(1H-인돌-4-일)-1H-인다졸-4-일)-5-((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옥사졸 헤미 석시네이트(0.005 wt, 2.2 g)의 슬러리를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20 내지 25℃에서 3 시간 동안 에이징시키고, 이어서, 메탄올 (3 vol, 1.32 L)을 약 1 시간에 걸쳐서 앞선 필터를 통해서 첨가하고, 슬러리를 그러한 온도에서 16 시간 이상 동안 추가로 에이징시켰다. 생성되는 고형물을 여과하고, 사전-여과된 메탄올(2 x 10 vol, 2 x 4.4 L)로 세척한 후에, 0.5 시간 동안 흡인 건조시켰다. 회분을 진공중에서 50 내지 55℃에서 일정한 탐침 온도로 건조시켜서, 2-(6-(1H-인돌-4-일)-1H-인다졸-4-일)-5-((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옥사졸, 헤미 석신산 염을 오프-화이트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물 함량
헤미 석시네이트 염의 물 함량을, USP <921 > Water Determination (Method 1 c), BP Determination of Water (Method III), Ph. Eur. Water: Micro Determination (Method 2.5.32) 및 JP Water Determination (Karl Fischer Method)에 맞추어 조정된 Karl Fischer 전기량 적정 방법(coulometric Karl Fischer titration method)에 의해서 측정하였다. 2회 측정의 평균을 기준으로 하여, 1.8% w/w의 물 함량이 Hydranal Coulomat AK 시약 및 110℃로 설정된 오븐 온도로 전기량 솔리드 (오븐) 기술(coulometric solid (oven) technique)을 이용하여 관찰되었다.
화합물 A의 다형체 및 화합물 A의 염의 다형체에 대한 X-선 분말 회절( XRPD )
엑셀러레이터(X'Celerator) 검출기를 이용하는 PANalytical X'Pert Pro 분말 회절계, 모델 PW3040/60 상에서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획득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방사선: Cu Kα, 발생기 텐션: 40 kV, 발생기 전류: 45 mA, 출발각: 2.0 °2θ, 종료각: 40.0 °2θ, 단계 크기: 0.0167 °2θ, 단계당 시간: 31.75초. 샘플을 규소 웨이퍼 (제로 백그라운드)상에 수 밀리그램의 샘플을 탑재시켜 제조하여, 분말의 박막을 얻었다.
화합물 A의 다형체
XRPD 데이터를 도 1에 도시하였다.
고체 상태 형태에 대한 특징적인 XRPD 각도 및 d-간격을 표 1에 요약하였다. 피크 위치를 하이스코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112013046845409-pct00027
화합물 A의 토실레이트 염의 다형체
XRPD 데이터를 도 2에 도시하였다.
고체 상태 형태에 대한 특징적인 XRPD 각도 및 d-간격을 표 2에 요약하였다. 피크 위치를 하이스코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2
Figure 112013046845409-pct00028
화합물 A의 헤미 푸마레이트 염의 다형체
XRPD 데이터를 도 3에 도시하였다.
고체 상태 형태에 대한 특징적인 XRPD 각도 및 d-간격을 표 3에 요약하였다. 피크 위치를 하이스코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3
Figure 112013046845409-pct00029
화합물 A의 헤미 석시네이트 염의 다형체
XRPD 데이터를 도 4에 도시하였다.
고체 상태 형태에 대한 특징적인 XRPD 각도 및 d-간격을 표 4에 요약하였다. 피크 위치를 하이스코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4
Figure 112013046845409-pct00030

Claims (15)

  1. 9.0, 9.6, 10.4 및 12.5에서의 피크(°2θ)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의 다형체.
  2.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표 1에 기재된 피크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XRPD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표 1
    Figure 112017073777148-pct00036
    .
  3. 토실레이트, 헤미 푸마레이트(hemi fumarate) 및 헤미 석시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의 염.
  4.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 헤미 석시네이트.
  5. 6.3, 9.3, 11.3 및 12.7에서의 피크(°2θ)를 포함하는 XRPD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의 토실레이트 염의 다형체.
  6. 제 5항에 있어서, 하기 표 2에 기재된 피크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XRPD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표 2
    Figure 112017073777148-pct00037
    .
  7. 6.9, 13.8 및 14.4에서의 피크(°2θ)를 포함하는 XRPD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의 헤미 푸마레이트 염의 다형체.
  8. 제 7항에 있어서, 하기 표 3에 기재된 피크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XRPD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표 3
    Figure 112017073777148-pct00038
    .
  9. 7.2, 13.2 및 14.0에서의 피크(°2θ)를 포함하는 XRPD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의 헤미 석시네이트 염의 다형체.
  10. 제 9항에 있어서, 하기 표 4에 기재된 피크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XRPD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표 4
    Figure 112017073777148-pct00039
    .
  11. 삭제
  12. 약물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다형체 또는 염.
  13.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다형체 또는 염.
  14. 삭제
  15. 삭제
KR1020137013540A 2010-10-27 2011-10-25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pi3k 억제제로서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의 다형체 및 염 KR101774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018124.6A GB201018124D0 (en) 2010-10-27 2010-10-27 Polymorphs and salts
GB1018124.6 2010-10-27
PCT/EP2011/068604 WO2012055846A1 (en) 2010-10-27 2011-10-25 Polymorphs and salts of 6-(1h-indol-4-yl)-4-(5- { [4-(1-methylethyl)-1-pi perazinyl] methyl} -1,3-oxazol-2-yl)-1h-indazole as pi3k inhibitor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e.g. respiratory disord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197A KR20130133197A (ko) 2013-12-06
KR101774026B1 true KR101774026B1 (ko) 2017-09-01

Family

ID=4336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540A KR101774026B1 (ko) 2010-10-27 2011-10-25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pi3k 억제제로서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의 다형체 및 염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8993576B2 (ko)
EP (2) EP2632921B1 (ko)
JP (1) JP5894603B2 (ko)
KR (1) KR101774026B1 (ko)
CN (1) CN103270037B (ko)
AU (1) AU2011322649B2 (ko)
BR (1) BR112013010126B1 (ko)
CA (1) CA2814436C (ko)
CY (1) CY1121248T1 (ko)
DK (1) DK2632921T3 (ko)
EA (1) EA022872B1 (ko)
ES (1) ES2703716T3 (ko)
GB (1) GB201018124D0 (ko)
HR (1) HRP20182059T1 (ko)
HU (1) HUE042754T2 (ko)
IL (1) IL225704A (ko)
LT (1) LT2632921T (ko)
MX (1) MX347619B (ko)
PL (1) PL2632921T3 (ko)
PT (1) PT2632921T (ko)
RS (1) RS58072B1 (ko)
SG (1) SG189179A1 (ko)
SI (1) SI2632921T1 (ko)
TR (1) TR201819939T4 (ko)
WO (1) WO2012055846A1 (ko)
ZA (1) ZA2013024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26966T3 (es) 2008-06-05 2015-01-19 Glaxo Group Limited Compuestos novedosos
ATE552255T1 (de) 2008-06-05 2012-04-15 Glaxo Group Ltd 4-aminoindazole
WO2009147188A1 (en) 2008-06-05 2009-12-10 Glaxo Group Limited Benzpyrazol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pi3 kinases
JP5656880B2 (ja) 2009-03-09 2015-01-21 グラクソ グループ リミテッドGlaxo Group Limited Pi3キナーゼの阻害剤としての4−オキサジアゾール−2−イル−インダゾール
AU2010243613B2 (en) 2009-04-30 2015-05-07 Glaxo Group Limited Oxazole substituted indazoles as PI3-kinase inhibitors
US9326987B2 (en) * 2010-09-08 2016-05-03 Glaxo Group Limited Indazole derivative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influenza virus infection
GB201018124D0 (en) 2010-10-27 2010-12-08 Glaxo Group Ltd Polymorphs and salts
JP5965484B2 (ja) * 2012-07-27 2016-08-03 佐藤製薬株式会社 ジフルオロメチレン化合物
US9737521B2 (en) 2012-11-08 2017-08-22 Rhizen Pharmaceuticals Sa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a PDE4 inhibitor and a PI3 delta or dual PI3 delta-gamma kinase inhibitor
AU2014336251A1 (en) * 2013-10-17 2016-04-14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PI3K inhibitor for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
RU2016112268A (ru) 2013-10-17 2017-11-22 Глаксосмитклайн Интеллекчуал Проперти Дивелопмент Лимитед Ингибитор PI3K для лечения респираторного заболевания
GB201509492D0 (en) * 2015-06-02 2015-07-15 Glaxosmithkline Ip Dev Ltd Novel process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7189A1 (en) 2008-06-05 2009-12-10 Glaxo Group Limited Novel compounds
WO2010102958A1 (en) 2009-03-09 2010-09-16 Glaxo Group Limited 4-oxadiazol-2 -yl- indazoles as inhibitors of p13 kinases

Family Cites Families (1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27376D0 (en) 1991-12-24 1992-02-19 Wellcome Found Amidino derivatives
AU677776B2 (en) 1992-04-02 1997-05-08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Compounds useful for treating allergic and inflammatory diseases
DE69529101T2 (de) 1994-06-15 2003-11-13 Wellcome Found Zwischenprodukte verwendbar in der Herstellung von Enzym-Inhibitoren
TR199701167T1 (xx) 1995-04-14 1998-03-21 Glaxo Wellcome Inc. Albuterol i�in �l��lm�� doz inhaleri.
MY117948A (en) 1997-01-13 2004-08-30 Glaxo Group Ltd Nitride oxide synthase inhibitors.
DE19723722A1 (de) 1997-05-30 1998-12-10 Schering Ag Nichtsteroidale Gestagene
TW533865U (en) 1997-06-10 2003-05-21 Glaxo Group Ltd Dispenser for dispensing medicament and actuation indicating device
AU9281298A (en) 1997-10-01 1999-04-23 Kyowa Hakko Kogyo Co. Ltd. Benzodioxole derivatives
US6506766B1 (en) 1998-02-13 2003-01-14 Abbott Laboratories Glucocortiocoid-selective antinflammatory agents
DE69918422T2 (de) 1998-03-14 2005-08-11 Altana Pharma Ag Phthalazinone als PDE3/4 Inhibitoren
GB9811599D0 (en) 1998-05-30 1998-07-29 Glaxo Group Ltd Nitric oxide synthase inhibitors
US6390291B1 (en) 1998-12-18 2002-05-21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Method and package for storing a pressurized container containing a drug
US6352152B1 (en) 1998-12-18 2002-03-05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Method and package for storing a pressurized container containing a drug
US6315112B1 (en) 1998-12-18 2001-11-13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Method and package for storing a pressurized container containing a drug
US6119853A (en) 1998-12-18 2000-09-19 Glaxo Wellcome Inc. Method and package for storing a pressurized container containing a drug
CN1353717A (zh) 1999-05-04 2002-06-12 莱加制药公司 四环黄体酮受体调节剂化合物及其方法
ES2165768B1 (es) 1999-07-14 2003-04-01 Almirall Prodesfarma Sa Nuevos derivados de quinuclidina y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los contienen.
CO5180649A1 (es) 1999-09-01 2002-07-30 Abbott Lab Antagonistas de los receptores de los glucocorticoides para el tratamiento de la diabetes para el tratamiento de la diabetes
OA11558A (en) 1999-12-08 2004-06-03 Advanced Medicine Inc Beta 2-adrenergic receptor agonists.
IL154175A0 (en) 2000-08-05 2003-07-31 Glaxo Group Ltd 17. beta.-carbothioate 17. alpha-arylcarbonyloxyloxy androstane derivatives as anti-inflammatory agents
AR035205A1 (es) 2000-09-29 2004-05-05 Glaxo Group Ltd Compuestos utiles en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inflamatorias, proceso para su preparacion, intermediarios y composiciones farmaceuticas
GB0031179D0 (en) 2000-12-21 2001-01-31 Glaxo Group Ltd Nitric oxide synthase inhibitors
US6484903B2 (en) 2001-01-09 2002-11-26 Riverwood International Corporation Carton with an improved dispensing feature in combination with a unique handle
GB0103630D0 (en) 2001-02-14 2001-03-28 Glaxo Group Ltd Chemical compounds
WO2002067683A1 (en) 2001-02-26 2002-09-06 Merck & Co., Inc. Hiv protease inhibitors supported on cation exchange resins for oral administration
DE60220887T2 (de) 2001-03-08 2008-02-28 Glaxo Group Ltd., Greenford Agonisten von beta-adrenorezeptoren
WO2002076933A1 (en) 2001-03-22 2002-10-03 Glaxo Group Limited Formailide derivatives as beta2-adrenoreceptor agonists
AU2002246397B2 (en) 2001-04-16 2005-03-24 Tanabe Seiyaku Co., Ltd. Imidazole, thiazole and oxazole derivatives and their use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pollakiuria or urinary incontinence
AU2002253342B2 (en) 2001-04-30 2007-01-04 Glaxo Group Limited Novel anti-inflammatory androstane derivatives
ATE399174T1 (de) 2001-06-12 2008-07-15 Glaxo Group Ltd Neue anti inflammatorische 17.alpha.- heterozyklische ester von 17.beta.-carbothioat androstan derivativen
CA2452114C (en) 2001-06-26 2010-11-16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Tgf-.beta. superfamily production/secretion promoter
CA2458534C (en) 2001-09-14 2011-11-01 Glaxo Group Limited Phenethanolamine derivatives for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WO2003042160A1 (en) 2001-11-13 2003-05-22 Theravance, Inc. Aryl aniline beta-2 adrenergic receptor agonists
WO2003051847A1 (en) 2001-12-19 2003-06-26 Smithkline Beecham P.L.C. (1-h-indazol-3-yl) -amide derivatives as gsk-3 inhibitors
AU2003202216A1 (en) 2002-01-14 2003-07-30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Glucocorticoid mimetics, methods of making them, pharmaceutical formulations containing them and uses thereof
EP1467730A4 (en) 2002-01-22 2010-03-10 Univ California Non-steroid ligands for the glucocorticoid receptor,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TW200306819A (en) 2002-01-25 2003-12-01 Vertex Pharma Indazole compounds useful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GB0204719D0 (en) 2002-02-28 2002-04-17 Glaxo Group Ltd Medicinal compounds
DK1490062T3 (da) 2002-03-26 2008-04-2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lukokortikoidmimetika, fremgangsmåder til fremstilling deraf, farmaceutiske sammensætninger og anvendelser deraf
EP1490317A1 (en) 2002-03-26 2004-12-29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Glucocorticoid mimetics, methods of making them,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DE10215316C1 (de) 2002-04-02 2003-12-18 Schering Ag Chinolin- und Isochinolin-Derivate, ein pharmazeutisches Mittel und ihre Verwendung als Entzündungshemmer
WO2003086294A2 (en) 2002-04-11 2003-10-23 Merck & Co., Inc. 1h-benzo[f]indazol-5-yl derivatives as selective glucocorticoid receptor modulators
ATE381535T1 (de) 2002-04-25 2008-01-15 Glaxo Group Ltd Phenethanolaminderivate
US7186864B2 (en) 2002-05-29 2007-03-06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Glucocorticoid mimetics, methods of making them,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7074806B2 (en) 2002-06-06 2006-07-11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Glucocorticoid mimetics, methods of making them,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EP1519723A1 (en) 2002-06-27 2005-04-06 Novo Nordisk A/S Novel glucagon antagonists/inverse agonists
EP1521733B1 (en) 2002-07-08 2014-08-20 Pfizer Products Inc. Modulators of the glucocorticoid receptor
PL375442A1 (en) 2002-07-18 2005-11-2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odulators of the glucocorticoid receptor and method
GB0217225D0 (en) 2002-07-25 2002-09-04 Glaxo Group Ltd Medicinal compounds
AU2003259068B2 (en) 2002-08-09 2009-07-02 Astrazeneca Ab "1,2,4"oxadiazoles as modulators of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5
CA2495179A1 (en) 2002-08-09 2004-02-19 Astrazeneca Ab Compounds having an activity at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s
CN1691944A (zh) 2002-08-09 2005-11-02 阿斯利康(瑞典)有限公司 作为代谢型谷氨酸受体-5调节剂的噁二唑
US20040224986A1 (en) 2002-08-16 2004-11-11 Bart De Corte Piperidinyl targeting compounds that selectively bind integrins
US6858627B2 (en) 2002-08-21 2005-02-22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Glucocorticoid mimetics, methods of making them,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GB0220730D0 (en) 2002-09-06 2002-10-16 Glaxo Group Ltd Medicinal compounds
GB0230045D0 (en) 2002-12-23 2003-01-29 Glaxo Group Ltd Compounds
WO2004024728A2 (en) 2002-09-16 2004-03-25 Glaxo Group Limited Pyrazolo[3,4-b]pyridine compounds, and their use as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JP4520309B2 (ja) 2002-09-20 2010-08-04 メルク・シャープ・エンド・ドーム・コーポレイション 選択的糖質コルチコイド受容体調節剤としてのオクタヒドロ−2−H−ナフト[1,2−f]インドール−4−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
GB0224084D0 (en) 2002-10-16 2002-11-27 Glaxo Group Ltd Novel compounds
WO2004037807A2 (en) 2002-10-22 2004-05-06 Glaxo Group Limited Medicinal arylethanolamine compounds
PT1556342E (pt) 2002-10-28 2008-04-28 Glaxo Group Ltd Derivado de fenetanolamina para o tratamento de doenças respiratórias
GB0225030D0 (en) 2002-10-28 2002-12-04 Glaxo Group Ltd Medicinal compounds
GB0225540D0 (en) 2002-11-01 2002-12-11 Glaxo Group Ltd Medicinal compounds
GB0225535D0 (en) 2002-11-01 2002-12-11 Glaxo Group Ltd Medicinal compounds
US7202257B2 (en) 2003-12-24 2007-04-10 Deciphera Pharmaceuticals, Llc Anti-inflammatory medicaments
TWI328009B (en) 2003-05-21 2010-08-01 Glaxo Group Ltd Quinoline derivatives as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KR20060070486A (ko) 2003-06-13 2006-06-23 젠타리스 게엠베하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의 억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및 이의 사용 방법
GB0316290D0 (en) 2003-07-11 2003-08-13 Glaxo Group Ltd Novel compounds
US20050090529A1 (en) 2003-07-31 2005-04-28 Pfizer Inc 3,5 Disubstituted indazole compounds with nitrogen-bearing 5-membered heterocycl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ediating or inhibiting cell proliferation
GB0320197D0 (en) 2003-08-28 2003-10-01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TW200811172A (en) 2003-10-14 2008-03-01 Glaxo Group Ltd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antagonists
ES2426288T3 (es) 2003-10-15 2013-10-22 Ube Industries, Ltd. Novedoso derivado de imidazol
PL1699512T3 (pl) 2003-11-03 2012-11-30 Glaxo Group Ltd Urządzenie do dozowania płynów
AR046225A1 (es) 2003-11-04 2005-11-30 Glaxo Group Ltd Compuesto de 8-azoniabiciclo(3.2.1)octano, composicion farmaceutica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mediadas por receptores de acetilcolina muscarinicos que lo comprende y uso del compuesto para preparar dicha composicion
CA2557004A1 (en) 2003-12-19 2005-06-30 Glaxo Group Limited Pyrazolo [3,4-b] pyridine compounds, and their use as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WO2005077345A1 (en) 2004-02-03 2005-08-25 Astrazeneca Ab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WO2005077373A2 (en) 2004-02-03 2005-08-25 Astrazeneca Ab Treat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WO2005077368A2 (en) 2004-02-03 2005-08-25 Astrazeneca Ab Treat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CN100432075C (zh) 2004-02-04 2008-11-12 神经研究公司 作为烟碱样乙酰胆碱受体配体的二氮杂双环芳基衍生物
GB0405933D0 (en) 2004-03-16 2004-04-21 Glaxo Group Ltd Compounds
WO2005090352A1 (en) 2004-03-16 2005-09-29 Glaxo Group Limited Pyrazolo[3,4-b]pyridine compound, and its use as a pde4 inhibitor
GB0405937D0 (en) 2004-03-16 2004-04-21 Glaxo Group Ltd Compounds
UY28871A1 (es) 2004-04-27 2005-11-30 Glaxo Group Ltd Antagonistas del receptor de acetilcolina muscarinico
EP1758580A4 (en) 2004-06-24 2008-01-16 Incyte Corp N-SUBSTITUTED PIPERIDINE AND ITS USE AS A MEDICAMENT
WO2006000398A1 (en) 2004-06-28 2006-01-05 Glaxo Group Limited 2,3-benzoxazin derivatives as non-steroidal glucocorticoid receptor modulators
WO2006000401A1 (en) 2004-06-28 2006-01-05 Glaxo Group Limited Substituted oxazines as glucocorticoid receptor modulators
GB0418045D0 (en) 2004-08-12 2004-09-15 Glaxo Group Ltd Compounds
CA2584318A1 (en) 2004-10-19 2006-05-04 F. Hoffmann-La Roche Ag Quinoline derivatives
JP2008520700A (ja) 2004-11-18 2008-06-19 インサイト・コーポレイション 11−βヒドロキシルステロイドデヒドロゲナーゼタイプIの阻害剤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060135540A1 (en) 2004-11-30 2006-06-22 Jack Lin PPAR active compounds
ATE517908T1 (de) 2005-01-10 2011-08-15 Glaxo Group Ltd Androstan-17-alpha-carbonat-derivate zur verwendung bei der behandlung allergischer und entzündlicher zustände
US20090124588A1 (en) 2005-01-10 2009-05-14 Glaxo Group Limited Androstane 17-Alpha-Carbonate for Use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and Allergic Conditions
WO2006089076A2 (en) 2005-02-18 2006-08-24 Neurogen Corporation Thiazole amides, imidazole amides and related analogues
US20060264433A1 (en) 2005-05-23 2006-11-23 Backes Bradley J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s inhibitors of dipeptidyl peptidase-IV (DPP-IV)
WO2007011759A2 (en) 2005-07-15 2007-01-25 Kalypsys, Inc. Inhibitors of mitotic kinesin
TW200800946A (en) 2005-08-15 2008-01-01 Astrazeneca Ab Substituted piperazines as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 antagonists
CA2619881A1 (en) 2005-08-16 2007-02-22 Genzyme Corporation Chemokine receptor binding compounds
CA2644368A1 (en) 2006-03-10 2007-09-20 Ono Pharmaceutical Co., Ltd. Nitrogenated heterocyclic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agent comprising the derivative as active ingredient
CN101460161A (zh) 2006-03-29 2009-06-17 弗尔德里克斯制药股份有限公司 α-突触核蛋白毒性的抑制
US7585868B2 (en) 2006-04-04 2009-09-0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ubstituted pyrazolo[3,4-D]pyrimidines as kinase antagonists
GB0608820D0 (en) 2006-05-04 2006-06-14 Piramed Ltd Pharmaceutical compounds
WO2008016123A1 (fr) 2006-08-03 2008-02-07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INHIBITEUR DE LA GSK-3β
WO2008020229A2 (en) 2006-08-17 2008-02-21 Astrazeneca Ab Antibacterial pyrrolecarboxamides
EP2054390B1 (en) 2006-08-25 2012-04-11 Abbott Laboratories Indazole derivatives that inhibit trpv1 and uses thereof
US20100022541A1 (en) 2006-09-25 2010-01-28 Sonia Escaich Chemical inhibitors of bacterial heptose synthesis,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biological applications of said inhibitors
BRPI0717564A2 (pt) 2006-09-29 2013-10-22 Novartis Ag Pirazolopirimidinas como inibidores de pi3k lipídeo cinase
TWI404532B (zh) 2006-11-02 2013-08-11 Targacept Inc 菸鹼乙醯膽鹼受體亞型選擇性之二氮雜雙環烷類醯胺
GB0701426D0 (en) 2007-01-25 2007-03-07 Univ Sheffield Compounds and their use
US8450348B2 (en) 2007-02-21 2013-05-28 Forma Tm, Llc Derivatives of squaric acid with anti-proliferative activity
JP2010116389A (ja) 2008-10-17 2010-05-27 Bayer Cropscience Ag 殺虫性アリールピロリジン類
US8648069B2 (en) 2007-06-08 2014-02-11 Abbvie Inc. 5-substituted indazoles as kinase inhibitors
EP2170884A2 (en) 2007-06-25 2010-04-0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Chemical compounds
ES2395081T3 (es) 2007-07-26 2013-02-08 Vitae Pharmaceuticals, Inc. Síntesis de inhibidores de la 11beta-hidroxiesteroide deshidrogenasa de tipo 1
US8242111B2 (en) 2008-05-01 2012-08-14 Vitae Pharmaceuticals, Inc. Cyclic inhibitors of 11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1
US8569292B2 (en) 2008-05-01 2013-10-29 Vitae Pharmaceuticals, Inc. Cyclic inhibitors of 11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1
JP5538365B2 (ja) 2008-05-01 2014-07-02 ヴァイティー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11β−ヒドロキシステロイドデヒドロゲナーゼ1の環状阻害剤
ES2421537T3 (es) 2008-05-01 2013-09-03 Vitae Pharmaceuticals Inc Inhibidores cíclicos de la 11beta-hidroxiesteroide deshidrogenasa 1
WO2009147188A1 (en) 2008-06-05 2009-12-10 Glaxo Group Limited Benzpyrazol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pi3 kinases
ATE552255T1 (de) 2008-06-05 2012-04-15 Glaxo Group Ltd 4-aminoindazole
JP5502858B2 (ja) 2008-06-05 2014-05-28 グラクソ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Pi3キナーゼの阻害剤として有用な4−カルボキサミドインダゾール誘導体
US10322469B2 (en) 2008-06-11 2019-06-18 Hamamatsu Photonics K.K. Fusion bonding process for glass
PL2324018T3 (pl) 2008-07-25 2014-02-28 Boehringer Ingelheim Int Cykliczne inhibitory dehydrogenazy 11 beta-hydroksysteroidowej typu 1
WO2010068287A2 (en) 2008-12-11 2010-06-17 Angion Biomedica Corp. Small molecule modulators of hepatocyte growth factor (scatter factor) activity
EP2963116B1 (en) 2009-03-04 2020-11-11 CuRNA, Inc. Treatment of sirtuin 1 (sirt1) related diseases by inhibition of natural antisense transcript to sirt 1
US8343959B2 (en) 2009-04-30 2013-01-01 Abbott Gmbh & Co. Kg N-phenyl-(piperazinyl or homopiperazinyl)-benzenesulfonamide or benzenesulfonyl-phenyl-(piperazine or homopiperazine) compounds suitable for treating disorders that respond to modulation of the serotonin 5-HT6 receptor
PE20120881A1 (es) 2009-04-30 2012-08-24 AbbVie Deutschland GmbH and Co KG Compuestos de n-fenil-(piperazinil u homopiperazinil)-bencensulfonamida o bencensulfonil-fenil-(piperazina u homopiperazina) como moduladores del receptor de serotonina 5-ht6
WO2010124845A1 (en) 2009-04-30 2010-11-04 Bayer Cropscience Ag Pesticidal arylpyrrolidines
UA109255C2 (ru) 2009-04-30 2015-08-10 Берінгер Інгельхайм Інтернешнл Гмбх Циклические ингибиторы 11бета-гидроксистероиддегидрогеназы 1
GEP20156309B (en) 2009-04-30 2015-07-10 Vitae Pharmaceuticals Inc Cyclic inhibitors of 11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1
AU2010243613B2 (en) * 2009-04-30 2015-05-07 Glaxo Group Limited Oxazole substituted indazoles as PI3-kinase inhibitors
US20120245171A1 (en) 2009-12-03 2012-09-27 Glaxo Group Limited Benzpyrazol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pi3 kinases
WO2011067366A1 (en) 2009-12-03 2011-06-09 Glaxo Group Limited Indazole derivatives as pi 3 - kinase inhibitors
US20120238559A1 (en) 2009-12-03 2012-09-20 Glaxo Group Limited Novel compounds
HUE026059T2 (en) 2010-09-08 2016-05-30 Glaxosmithkline Ip Dev Ltd N- [5- [4- (5 - {[(2R, 6S) -2,6-dimethyl-4-morpholinyl] methyl} -1,3-oxazol-2-yl) -1H-indazol-6-yl ] Polymorphs and salts of 2 - (methyloxy) -3-pyridinyl] methanesulfonamide
US9326987B2 (en) * 2010-09-08 2016-05-03 Glaxo Group Limited Indazole derivative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influenza virus infection
GB201018124D0 (en) 2010-10-27 2010-12-08 Glaxo Group Ltd Polymorphs and sal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7189A1 (en) 2008-06-05 2009-12-10 Glaxo Group Limited Novel compounds
WO2010102958A1 (en) 2009-03-09 2010-09-16 Glaxo Group Limited 4-oxadiazol-2 -yl- indazoles as inhibitors of p13 kina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5846A1 (en) 2012-05-03
CN103270037B (zh) 2015-10-21
EP2632921A1 (en) 2013-09-04
ZA201302480B (en) 2016-01-27
DK2632921T3 (en) 2019-01-21
MX347619B (es) 2017-05-04
SG189179A1 (en) 2013-05-31
BR112013010126A8 (pt) 2018-01-23
EP3447055A1 (en) 2019-02-27
GB201018124D0 (en) 2010-12-08
AU2011322649A1 (en) 2013-05-02
CY1121248T1 (el) 2020-05-29
ES2703716T3 (es) 2019-03-12
KR20130133197A (ko) 2013-12-06
PL2632921T3 (pl) 2019-04-30
HRP20182059T1 (hr) 2019-02-08
US20130203772A1 (en) 2013-08-08
LT2632921T (lt) 2018-12-27
IL225704A0 (en) 2013-06-27
BR112013010126B1 (pt) 2021-05-25
EA201390457A1 (ru) 2013-11-29
CA2814436A1 (en) 2012-05-03
JP5894603B2 (ja) 2016-03-30
BR112013010126A2 (pt) 2016-09-06
RS58072B1 (sr) 2019-02-28
PT2632921T (pt) 2019-01-17
IL225704A (en) 2015-11-30
US8993576B2 (en) 2015-03-31
CN103270037A (zh) 2013-08-28
EP2632921B1 (en) 2018-10-17
CA2814436C (en) 2019-03-19
TR201819939T4 (tr) 2019-02-21
EA022872B1 (ru) 2016-03-31
SI2632921T1 (sl) 2019-01-31
JP2013540790A (ja) 2013-11-07
AU2011322649B2 (en) 2015-11-19
HUE042754T2 (hu) 2019-07-29
MX2013004783A (es) 201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3879B2 (en) Compounds
KR101774026B1 (ko)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pi3k 억제제로서 6­(1h­인돌­4­일)­4­(5­{[4­(1­메틸에틸)­1­피페라지닐]메틸}­1,3­옥사졸­2­일)­1h­인다졸의 다형체 및 염
US8735390B2 (en) Polymorphs and salts
US9353098B2 (en) Polymorphs and sa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