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655B1 - 코밍 요소 - Google Patents

코밍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655B1
KR101769655B1 KR1020137013093A KR20137013093A KR101769655B1 KR 101769655 B1 KR101769655 B1 KR 101769655B1 KR 1020137013093 A KR1020137013093 A KR 1020137013093A KR 20137013093 A KR20137013093 A KR 20137013093A KR 101769655 B1 KR101769655 B1 KR 101769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sion rod
pivot lever
locking
base body
profiled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352A (ko
Inventor
에르윈 도르
프레드리흐 헨닌거
Original Assignee
스테틀러 + 율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테틀러 + 율 카게 filed Critical 스테틀러 + 율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032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9/00Combing machines
    • D01G19/06Details
    • D01G19/10Construction, mounting, or operating features of combing elements
    • D01G19/105Combing cylind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9/00Combing machines
    • D01G19/06Details
    • D01G19/10Construction, mounting, or operating features of comb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직물을 코밍하는 코밍기를 위한 코밍 요소는 중앙 길이방향 축(3), 래이트럴 에리어(4) 및 두 끝면(5)을 구비한 베이스 바디(2)와, 상기 베이스 바디(2)의 상기 래이트럴 에리어(4)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바 택(10)과, 상기 베이스 바디(2)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 택(10)을 연결하는 프로파일드 스트립(9)과, 상기 베이스 바디(2)에 대해 상기 프로파일드 스트립(9)을 로킹 및 언로킹하는 토션 로드(16)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드 스트립(9)은 상기 베이스 바디(2)의 수용 그루브(14)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 길이방향 축(3)에 평행하게 배치된 피봇 축(20)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프로파일드 스트립(9)을 피봇 운동시킬 수 있는 피봇 레버(19)를 포함하며, 상기 토션 로드(16)는, 상기 중앙 길이방향 축(3)에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수용 그루브(14)에 배치되고, 상기 토션 로드(16)는 상기 코밍 영역 외부로부터, 특히 상기 끝면(5)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접근가능하고, 상기 토션 로드(16)는 상기 회전축(17)에 수직으로 배향된 둥글지 않은 단면을 갖고, 상기 토션 로드(16)는, 상기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당해 토션 로드(16)가 상기 베이스 바디(2)에 대해 상기 프로파일드 스트립(9)을 로킹하는 로킹 위치와, 상기 베이스 바디(2)에 대해 상기 프로파일드 스트립(9)을 언로킹하는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도록, 상기 피봇 레버(19)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코밍 요소{COMBING ELEMENT}
본 발명은, 직물을 코밍하는 코밍기를 위한 코밍 요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지공용의 기술에서, 베이스 바디에 적어도 하나의 코밍 세그먼트가 배치되어 있는 둥근 빗(comb) 형태의, 코밍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빗이 알려져 있다. 이 코밍 세그먼트는 코밍하려는 직물과 맞물린다. 그 전체 주위를 따라 복수의 코밍 세그먼트를 갖는 빗을, 원형 빗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활성 코밍 영역은, 예컨대 빗의 표면 라인의 크기의 78°, 90°, 111°, 180°일 수 있다. 또한, 니들, 니들 스트립, 톱니 와이어부, 빗살(comb teeth) 또는 톱니 펀칭형 부분들과 같은 코밍 세그먼트에 의해 전체 표면 라인이 점유되어 있는 원형 빗도 알려져 있다. 또한, 그 자체로 사전 조립되어진 이들 코밍 세그먼트들은 일반적으로 바 택(bar tack)이라고도 불린다.
따라서 바 택은, 베이스 바디의 중앙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전후로 배치된 복수의 톱니 펀치형 부분 또는 이를 구비한 톱니 바퀴를 갖는다. 이들 이는 코밍하려는 직물들과의 그들의 기계적 맞물림으로 인해 마모되고, 따라서 바 택을 교체가능할 것이 필요하다.
DE 43 26 203 C1, EP 0 091 986 A1 및 EP 0 322 472 A1에는, 카딩기의 레벨 커버를 위한 카드 클로딩(card clothing)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카드 클로딩은, 원형 빗의 바 택과 유사하게,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의 톱니 와이어 스트립으로 이루어진다. 개별 톱니 와이어 스트립은 베이스 바디에 일렬로 배열되며 포지티브 로킹에 의해 제한하는 패스닝 스트립에 의해 유지된다. 베이스 바디에 대한 톱니 와이어 스트립의 측방향 패스닝은 또한, 클램핑에 의해, 환언하면 논-포지티브 로킹에 의해 일어날 수도 있다. EP 0 322 472 A1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개별 톱니 와이어 스트립은 배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구부려질 수 있다. 카드 클로딩은 또한, 카딩기의 리드(lid)에, 당해 리드에 대해 눌려지는 패스닝 스트립에 의해 패스닝될 수 있다.
원형 빗의 바 택에 대한 톱니 바퀴의 유사한 패스닝 시스템이 DE 25 03 976 C3로부터 알려져 있는데, 바 택의 개별 톱니 바퀴는 로드 섹션에 스프링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된다. 전체 바 택은 원형 빗의 베이스 바디에 나사결합된다. 베이스 바디에 대한 바 택의 이 형태의 패스닝은 또한, 원리적으로 GB 274 698 및 DE 30 05 399 A1로부터 알려져 있으며, 이들이 클램핑 스트립을 추가적으로 가지며 이들에 의해 그에 대응하는 베이스 바디의 리세스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 바디에 대한 바 택의 개선된 장착이 후자에 따라 얻어진다.
또한, 클램핑 스트립의 구성이 DE 30 07 245 A1, EP 0 249 706 A2, EP 0 179 158 B1, EP 1 533 404 A1 및 EP 0 839 934 A1으로부터 알려져 있는데, 클램핑 스트립의 나사 결합이, 동작 상태에 있어서, 환언하면, 바 택이 눌려질 때 중공의 원통형 베이스 바디의 내벽으로부터 접근가능하다. 이 베이스 바디의 내벽으로부터의 나사 결합의 접근가능성은 제한되어 있다. 한편, EP 1 523 591 B1에 따른 클램핑 스트립은 베이스 바디에서와 바 택에서의 양방에서 포지티브 로킹에 의해 유지된다. 이 빗의 조립 및 분해는 매우 수고스럽다.
US 4 716 629에 따르면, 베이스 바디에서의 바 택의 패스닝은, 예컨대 슬로형태 슬리브로서 구성될 수 있는 회복성있는 클램핑 요소에 의해 일어난다. 클램핑 요소는 베이스 바디와 바 택에 의해 형성되고 베이스 바디의 중앙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그루브에 삽입된다. 이 형태의 클램핑 요소에 의한 클램핑의 홀딩력은 작다. 또한, 의도하지않은 릴리즈에 대항하는 클램핑의 추가적인 고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원형 빗의 베이스 바디에 대한 바 택의 조립 및 분해가 수고스러운 조립 및 새로 장착하는 조작에 의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은 위에 언급한 모든 패스닝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클램핑 및 패스닝 스트립의 수많은 나사 결합 조작에 의해서, 및/또는 그들을 베이스 바디의 중앙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밀어넣음에 의해 일어나며, 따라서 오랜 준비 그리고 따라서 코밍기에 대한 연장 시간이 유발된다.
원형 빗의 베이스 바디에 강체적으로 연결되고, 바 택이 놓이며 그 바 택을 회복력있는 스프링력의 결과로 유지시키는 스프링과 같은 고정 부품이 EP 0 253 071 A2로부터 알려져 있다. 바 택과 베이스 바디 사이의 감소된 기계적 홀딩력이 간소화된 조립 프로세스를 방해한다.
DE 10 2006 005 605 A1은 카더 상의 장치를 개시하는데, 클로딩은 자석에 의해 유지된다. 코밍기에서의 종래의 원형 빗의 회전 속도와 비교하여 카더의 직선 운동 속도는 현저히 감소되고, 따라서 원형 빗의 바 택에 작용하는, 회전 속도에 2차식으로 의존하는 원심력은, 카더에 작용하는 무시할 수 있는 원심력보다 현저히 크다. 카더의 클로딩에 대한 자석 홀딩력은 클로딩에 대한 프로세스 관련된 힘의 효과를 견디도록 설계되며, 이들 힘의 효과는, 그 프로세스로 인해 직물을 코밍할 때 원형 빗의 바 택에 작용하는 힘의 효과보다 적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베이스 바디에 대한 바 택의 조립 및 분해가 간략화되고, 고하중이더라도 코밍 프로세스 중에 베이스 바디로부터의 바 택의 릴리즈가 불가능하도록, 코밍기의 원형 빗을 위한 코밍 요소를 설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개시된 특징을 갖는 코밍 요소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바디의 수용 그루브에 배치된 프로파일드 스트립에 의해 코밍 요소의 베이스 바디에 바 택이 유지될 수 있음이 인식되었는데, 상기 프로파일드 스트립은 베이스 바디에 대해 역시 수용 그루브에 배치된 토션 로드에 의해 로킹가능하고 또한 언로킹가능하다. 이를 위해, 프로파일드 스트립은 피봇 축을 중심으로 하여 피봇가능하게 배치된 피봇 레버를 구비한다. 피봇 축은 베이스 바디의 중앙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특히, 그 길이방향 축(=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로드인 토션 로드는, 당해 토션 로드가 베이스 바디에 대해 프로파일드 스트립을 로킹하는 로킹 위치와, 베이스 바디에 대해 프로파일드 스트립을 언로킹하는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변위가능하도록, 피봇 레버 상에 배치된다. 그 결과, 바 택과 함께 프로파일드 스트립을 베이스 바디에 대해 번잡하지 않고 또한 신속하게 조립하고 다시 분해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마모된 바 택 또는 톱니 바퀴의 교환 등의 메인테넌스 및/또는 수리 작업을 간소화한다. 토션 로드의 회전 운동에 의해 베이스 바디에 대한 프로파일드 스트립의 로킹 및 언로킹이 일어나므로, 베이스 바디에 대한 바 택의 릴리즈와 패스닝을 안전하게 그리고 직접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가 마모된 바 택의 교환에 관한 특별한 전문가적 지식을 갖출 필요가 없다.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의 토션 로드의 회전 덕분에, 바 택의 조립 및 분해는 잘못에 대해 매우 민감하지 않다. 따라서, 코밍 프로세스 중에, 부적절한 조립으로 인해, 코밍 결과의 장애를 초래할 수도 있는 프로파일드 스트립의 의도하지 않은 릴리즈를 회피가능하다. 또한, 부적절한 조립의 결과로서, 코밍 프로세스 중에 바 택이 베이스 바디로부터 릴리즈되어 코밍기에 데미지를 가져올 위험도 감소될 수 있다.
제2항에 따른 코밍 요소에서는, 토션 로드가 의도하지 않게 로킹 위치로부터 언로킹 위치로 변위됨으로 인한 베이스 바디에 대한 프로파일드 스트립의 로킹의 의도하지 않은 릴리즈가 추가적으로 보다 곤란하게 만드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특히, 코밍 프로세스 도중의 바 택의 의도하지 않은 언로킹이 방지된다. 이 형태의 코밍 요소는 향상된 고정 기능을 갖는다.
제3항 및 제4항에 따른 코밍 요소는, 로킹 위치에서 토션 로드의 향상된 셀프-로킹을 갖는다. 토션 로드의 기계적인 셀프-로킹은, 토션 로드의 둥글지 않은 지오메트리의 구성, 및 피봇 레버에 의해 토션 로드의 로딩시에, 피봇 레버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한 피봇 레버에 대한 토션 로드의 배치에 기인한다.
제5항에 따른 코밍 요소에 있어서는, 두 개의 접촉 라인에 의해 한정되는 로킹 서포트면이 최대이므로, 피봇 레버에 대한 토션 로드의 평탄한 접촉이 가능하게 된다.
제6항에 따른 코밍 요소는, 스프링력에 의해 수용 그루브에서 프로파일드 스트립의 추가적인 클램핑을 허용한다. 이 형태의 코밍 요소에서는, 프로파일드 스트립이 수용 그루브에 추가적으로 고정된다. 스프링 요소는 접촉면 반대쪽의 피봇 레버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따라서 피봇 레버, 그리고 따라서 프로파일드 스트립이 토션 로드에 대해 압박된다. 베이스 바디의 중앙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복수, 특히 2개의 스프링 요소가 수용 그루브에 제공되어, 프로파일드 스트립을 클램프할 수 있다. 따라서, 구체적으로는, 프로파일드 스트립에 인가되는 스프링력을 균일하게 분배시킬 수 있어서, 힘을 일방에 치우치게 인가한 결과로서의 수용 그루브에서의 프로파일드 스트립의 팁핑(tipping) 또는 틸팅(tilting)을 회피가능하다.
제7항에 따른 코밍 요소는 바 택의 조립 및 분해를 위한 토션 로드의 취급을 간소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토션 로드가 베이스 바디의 일 끝면에서 돌출하고, 또한 예를 들어 포크(fork) 렌치 혹은 육각 키(hexagon key) 등의 스탠다드 공구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토션 로드의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토션 로드에 공구 부착부를 배치할 수 있게 하여, 공구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제8항에 따른 코밍 요소에 있어서는,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의 토션 로드의 변위가 개선된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바디의 수용 그루브에서 토션 로드에 대해 제공된 리세스가 또한 원통형이어서, 토션 로드는 그 리세스에서 이상적으로 구를 수 있다.
제9항에 따른 코밍 요소는, 언로킹 위치에서 피봇 레버에 추가적으로 고정된다. 이것은, 토션 로드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언로킹 위치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릴리즈되지 않음을 보장한다.
제10항에 따른 코밍 요소에 있어서는,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의 토션 로드의 변위가 간소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언급된 두 위치 사이에서 둥근 에지부의 영역에 있어서의 데드 센터의 초과가 따라서 가능하게 된다.
제11항에 따른 코밍 요소는 바 택의 의도하지 않은 릴리즈의 방지에 있어서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마찰(friction) 요소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에 의해 토션 로드가 고정되므로, 토션 로드의 의도하지 않은 변위, 즉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추가적으로 보다 곤란하게 된다.
제12항에 따른 코밍 요소는, 프로파일드 스트립에 의해 베이스 바디에 대한 바 택의 복잡하지 않고 또한 강건한 패스닝을 허용한다.
제13항에 따른 코밍 요소는 증대된 고정 기능을 갖는다. 이것은, 코밍 프로세스 중에 베이스 바디로부터 바 택이 의도하지 않게 릴리즈될 수 있는 것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베이스 바디에 대해 바 택을 패스닝하는 모든 다른 고정 메커니즘이 실패하는 경우에도, 모든 사고의 위험, 또는 사용자나 기계에 대한 데미지를 방지한다. 제공된 포지티브 로킹 연결은 코밍 요소의 베이스 바디에 대한 바 택의 기계적 고정이다.
제14항에 따른 코밍 요소에 있어서, 베이스 바디에 대한 바 택의 패스닝은 시큐어링 포지티브 로킹 연결(securing positive locking connection)에 의존한다. 이것은, 심각한 사건 동안에, 즉 베이스 바디로부터 바 택의 의도하지 않은 릴리즈 중에 포지티브 로킹 시큐어링 연결이 먼저 활성화되고, 바 택이 베이스 바디에 추가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패스닝 앵커와 바 택 사이에, 중앙 길이방향 축에 관해 로킹 위치에서 반경방향 간극 및/또는 접선방향 간극이 제공된다. 원형 빗의 작동 중에, 바 택에 작용하는 코밍력(combing force) 때문에 이들 두 간극 중 적어도 하나가 폐쇄될 수 있고, 따라서 바 택은 패스닝 앵커에 직접적으로 놓이고, 프로파일드 스트립의 팁핑 또는 틸팅에 의해 수용 그루브에서 그것을 가이드한다. 이 추가적인 틸팅 및/또는 팁핑은 수용 그루브에서의 프로파일드 스트립, 그리고 따라서 또한 바 택의 향상된 패스닝으로 이어진다.
제15항에 따른 코밍 요소에 있어서는, 베이스 바디에 대한 바 택의 패스닝이 추가적으로 향상된다.
제16항에 따른 코밍 요소는, 홀딩력의 복잡하지 않고 또한 강건한 인가를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 택과 함께 프로파일드 스트립을 베이스 바디에 대해 번잡하지 않고 또한 신속하게 조립하고 다시 분해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마모된 바 택 또는 톱니 바퀴의 교환 등의 메인테넌스 및/또는 수리 작업을 간소화한다. 토션 로드의 회전 운동에 의해 베이스 바디에 대한 프로파일드 스트립의 로킹 및 언로킹이 일어나므로, 베이스 바디에 대한 바 택의 릴리즈와 패스닝을 안전하게 그리고 직접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가 마모된 바 택의 교환에 관한 특별한 전문가적 지식을 갖출 필요가 없다.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의 토션 로드의 회전 덕분에, 바 택의 조립 및 분해는 잘못에 대해 매우 민감하지 않다. 따라서, 코밍 프로세스 중에, 부적절한 조립으로 인해, 코밍 결과의 장애를 초래할 수도 있는 프로파일드 스트립의 의도하지 않은 릴리즈를 회피가능하다. 또한, 부적절한 조립의 결과로서, 코밍 프로세스 중에 바 택이 베이스 바디로부터 릴리즈되어 코밍기에 데미지를 가져올 위험도 감소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원형 빗에 대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코밍 요소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바 택이 패스닝되어 있는 상태의, 도 1에 따른 코밍 세그먼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토션 로드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로킹 위치에 있어서의 토션 로드를 보여주기 위해, 도 2의 IV-IV 단면선을 따른 코밍 요소의 중앙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단면을 확대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데드 센터 위치에 토션 로드가 있는 상태의,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도 6은, 언로킹 위치에 토션 로드가 있는 상태의, 도 4 및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도 7은, 코밍력의 작용의 결과로 프로파일드 스트립이 틸팅된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도 8은, 코밍 요소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단면도의 도 4에 대응하는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코밍 요소의 제2 실시형태의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도 10은, 코밍 요소의 제2 실시형태의 도 6에 대응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10에서, 상호 대응하는 부분들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실시형태의 상세는 본래 발명을 나타내거나, 또는 발명의 요지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코밍 요소(7)는, 실질적으로 부분적으로 원통형이며 중앙 길이방향 축(3)을 갖는 베이스 바디(2)와, 아웃터 래이트럴 에리어(4)와, 두 끝면(5)을 갖는다. 여기서, 아웃터 래이트럴 에리어(4)는, 당해 아웃터 래이트럴 에리어(4)의 외주를 따른 부분들에서 중단되어 있는 부분 래이트럴 에리어(52)를 포함한다. 중앙 길이방향 축(3)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후방 끝면(5)은 스톱 벽(stop wall)으로서 구성된다.
도 1에 따른 코밍 요소(7)는 90°의 코밍 영역을 갖는다. 코밍 요소(7)는 도시하지 않은 로터리 드럼에 패스닝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복수의 보어 구멍(53)이 제공된다. 코밍 요소(7)는 원형 빗(comb)을 형성한다. 로터리 드럼은 드라이브 샤프트에 놓일 수 있다. 또한, 로터리 드럼이, 직접적으로, 즉 추가적인 드라이브 샤프트없이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로터리 드럼은 중공이면서 또한 솔리드한 샤프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프로파일드 스트립(9)에 의해 각각의 경우에 패스닝된 4개의 바 택(10)이 회전 구동 방향(8)으로 전후로 코밍 요소(7)에 부착된다. 그들 축방향 연장이 중앙 길이방향 축(3)에 평행한 바 택(10)들이 코밍 요소(7)의 코밍 영역을 고정한다. 또한, 4개보다 많거나 4개보다 적은 바 택(10)들이 제공되어서, 구체적으로는 코밍 영역이 90°보다 크거나 90°보다 작다.
각각의 바 택(10)은 복수의 펀치형 톱니 바퀴를 포함하는데, 이들 톱니 바퀴는 중앙 길이방향 축(3)의 방향으로 전후 일렬로 배치되며 또한 서로 연결된다. 각각의 톱니 바퀴는 복수의 이(11)를 가지며, 이들 이가 코밍하려는 직물에 맞물린다. 바 택(10)들은, 각각의 바 택(10)이 코밍기의 도시하지 않는 기계 벽으로부터 반경방향 간극을 갖도록 코밍 요소(7)에 패스닝된다. 톱니 바퀴는, 그들 톱니 바퀴 길이방향이 회전 구동 방향(=코밍 방향)(8)에 정확히 평행하게 또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최대 7°의 약간 각도의 틸팅 각도로 배향되도록, 바 택(10)에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프로파일드 스트립(9)은 코밍 요소(7)의 수용 그루브(14)에 배치된다. 수용 그루브(14)는, 프로파일드 스트립(9)이 베이스 바디(2)의 중앙 길이방향 축(3)과 관련하여 반경방향으로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제1 언더컷(undercut) 영역(15)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파일드 스트립(9)은 수용 그루브(14)에서 토션 로드(16)에 의해 유지된다. 토션 로드(16)는 또한 코밍 요소(7)의 수용 그루브(14), 즉 수용 그루브(14)의 제2 언더컷 영역(15a)에 수용된다. 두 언더컷 영역(15, 15a)은 상호 대향하는 길이방향 측벽들, 즉 수용 그루브(14)의 중앙 길이방향 축(3)의 방향으로 뻗는 측벽들에 배열된다. 토션 로드(16)는 중앙 길이방향 축(3)에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17)을 가지며, 토션 로드(16)는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수용 그루브(14)에 배치된다. 토션 로드(16)는, 회전축(17)에 수직하게, 둥글지 않은 단면을 갖는다.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프로파일드 스트립(9)은, 코밍 요소(7) 상에서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코밍 요소(7)의 사전 조립(preassembly)은, 프로파일드 스트립(9)을 그를 위해 제공된 수용 그루브(14)에 중앙 길이방향 축(3)을 따라 삽입함으로써 일어난다. 이어서, 토션 로드(16)들도 중앙 길이방향 축(3)을 따라 수용 그루브(14)에 삽입되며, 그리고나서 바 택(10)들이 언로킹 상태의 프로파일드 스트립(9)에 대해 압박된다. 베이스 바디(2)의 후방 단부에서 스탑 벽으로서 구성된 끝면(5)이 여기서 조립 보조체로서 이용된다. 상기 스탑 벽에 접합으로써, 프로파일드 스트립(9)들, 토션 로드(16)들 및 바 택(10)들이, 베이스 바디(2)에 정확하게 그리고 분명하게 위치된다.
프로파일드 스트립(9)과 코밍 요소(7) 또는 베이스 바디(2)는 압축 프로파일로서, 특히, 예컨대 알루미늄 압출에 의하는 등의 압출 프로파일로서 생산된다. 토션 로드(16)는 예를 들어 롤 성형에 의해 도입될 수도 있다.
토션 로드(16)는, 중앙 길이방향 축(3)에 관해서, 코밍 요소(7)의 베이스 바디(2)보다 길이가 길어서, 도 2의 전방에 나타낸 끝면(5)에서 베이스 바디(2)를 넘어 돌출한다. 토션 로드(16)는 끝면(5)으로부터 접근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공구 부착부(18)는 토션 로드(16)를 구동하는데, 즉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하여 토션 로드(16)를 회전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공구 부착부(18)는, 렌치 형태의 스탠다드 공구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외부에 팔각형 형상을 갖는 프로파일드 로드로서 구성된다. 공구 부착부(18)는 토션 로드(16)의 외부 윤곽(contour)에 상응하는 중앙 개구부를 갖는다. 토션 로드(16)를 구동하기 위해서, 공구 부착부(18)가 베이스 바디(2)의 끝면(5) 너머로 돌출하는 토션 로드(16)의 부분에 놓이고나서,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하여 스탠다드 공구에 의해 회전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코밍 요소(7)에서의 바 택(10)의 배치, 그리고 특히 프로파일드 스트립(9)과 토션 로드(16)에 의한 패스닝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위치에 있어서, 토션 로드는 로킹 위치, 즉 프로파일드 스트립(9)이 코밍 요소(7)에 바 택(10)을 고정시켜 로킹되는 위치에 있다. 프로파일드 스트립(9)은, 중앙 길이방향 축(3)에 수직인 실질적으로 T자형 단면으로 구성되고, 그 "T"자의 머리부는 수용 그루브(14)에 유지되어 있다. 프로파일드 스트립(9)은 피봇 레버(19)를 가지며, 중앙 길이방향 축(3)에 평행하게 배치된 피봇 축(20)을 중심으로 하여 피봇 레버(19)에 의해 피봇 운동가능하도록, 수용 그루브(14)에 배치된다. 피봇 레버(19)는, 토션 로드(16)와 면하는 접촉면(21)과, 이 접촉면(21) 반대쪽의, 당해 피봇 레버(19)에 배치된 하부측(22)을 갖는다. 수용 그루브(14)에서의 프로파일드 스트립(9)의 배치, 구체적으로는, 수용 그루브(14)의 제1 언더컷 영역(15)에서의 피봇 축(20)의 배치 덕분에, 프로파일드 스트립(9)은 중앙 길이방향 축(3)에 대해 반경방향(51)으로 고정되고, 동시에 피봇 축(20)을 중심으로 한 피봇 운동을 허용한다. 프로파일드 스트립(9)의 피봇 운동은, 한편으로는 피봇 레버(19)의 접촉면(21)에 접하게 되는 토션 로드(16)에 의해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피봇 레버(19)의 하부측(22)에 접하게 되는 수용 그루브(14)의 베이스(23)에 의해 제한된다. 피봇 레버(19)는, 토션 로드(16)의 로킹 위치에서, 하부측(22)이 피봇 축(20)으로부터 원격인 피봇 레버(19)의 적어도 단부 영역에서 베이스(23)로부터 이격되도록, 수용 그루브(14)에 배치된다.
프로파일드 스트립(9)의 실질적으로 "T"자의 풋(foot)인 패스닝 앵커(24)는, 피봇 레버(19)로부터 떨어져 연장한다. 패스닝 앵커(24)는, 피봇 레버(19)와 면하는 아치형의 리세스(25)를 가져서, 수용 그루브(14)에 있어서의 프로파일드 스트립(9)의 배치와는 독립적으로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한 토션 로드(16)의 충돌없는 회전을 허용한다. 피봇 레버(19) 반대쪽에 배치된 일단부에서, 패스닝 앵커(24)는 포지티브 로킹 시큐어링 웨브(26)를 가지며, 이것은 바 택(10)의 언더컷 바 택 돌출부(27) 뒤에서 맞물린다. 로킹 위치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도 4에 나타낸 코밍 요소의 배치에 있어서, 포지티브 로킹 시큐어링 웨브(26) 및 바 택 돌출부(27)는, 중앙 길이방향 축(3)과 관련하여, 패스닝 앵커(24)와 바 택(10) 사이에 반경방향 간극(28)과 접선방향 간극(29)이 제공되도록, 서로에 대해 배열된다. 이것은, 포지티브 로킹 시큐어링 웨브(26)와 바 택 돌출부(27), 즉 패스닝 앵커(24)와 바 택(10)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로킹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간극(28) 및 간극(29)의 폭, 즉 프로파일드 스트립(9)의 표면과 바 택(10)의 표면 사이의 수직 간극은, 매우 작을 수 있으며, 특히 최대한으로 100 μm이고, 특히 최대한으로 50 μm이고, 특히 최대한으로 20 μm일 수 있다. 패스닝 앵커(24)는, 프로파일드 스트립(9)과 바 택(10) 사이의 시큐어링 포지티브(=tight fit) 로킹 연결로서 이용된다.
토션 로드(16)는 로킹 접촉면(30)과, 언로킹 접촉면(31)과, 이들 두 접촉면(30, 31)을 서로 연결하는 둥근 에지부(32)를 갖는다. 또한, 토션 로드(1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부(41)도 갖는다. 가이드부(41)에 의해, 토션 로드(16)는, 원통 부분의 형태로 역시 상응하여 구성되며 수용 그루브(14)의 제2 언더컷 영역(15a)의 부분인 가이드 리세스(42)에서,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의 당해 토션 로드(16)의 변위 중에, 가이드되면서 변위될 수 있다. 토션 로드(16)는 언로킹 접촉면(31) 반대쪽에 배치된 스톱면(46)을 갖는다. 스톱면(46)은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구성되며 토션 로드(16)의 가이드부(41)의 일부가 된다. 스톱면(46)을 갖는 토션 로드(16)가 수용 그루브(14)의 가이드 리세스(42) 너머로 돌출하므로, 회전 언로킹 방향(44)을 따른 토션 로드(16)의 의도하지 않은 극단적인 회전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예컨대, 미숙련 사용자에 의한 로킹 메커니즘의 잘못된 취급이 배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토션 로드(16)는 피봇 레버(19)의 접촉면(21) 상에 로킹 접촉면(30)에 의해 놓여있다. 토션 로드(16)는, 두 개의 접촉 라인(33, 34)을 가지며, 이들 접촉 라인은, 자동적인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로킹 위치로부터의 토션 로드(16)의 원하지 않는 변위가 토션 로드(16)의 셀프-로킹에 의해 방지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로킹 위치에서 피봇 레버(19)의 접촉면(21) 상에 배열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토션 로드(16)에 있어서, 로킹 접촉면은 평평하고, 따라서 토션 로드(16)는 피봇 레버(19)의 접촉면(21) 상에 로킹 접촉면(30)에 의해 평탄하게 놓여 있다. 이것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토션 로드(16)는 무한한 개수의 접촉 라인을 가짐을 의미한다. 로킹 접촉면(30)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촉 라인(33, 34) 사이에 적어도 배치된다. 그러나, 로킹 접촉면(30)이 평평하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오목하게 되어서, 토션 로드(16)가 피봇 레버(19)의 접촉면(21) 상에 오로지 두 개의 접촉 라인(33, 34)에 의해 놓일 수도 있다. 피봇 레버(19)로부터 토션 로드(16)에의 접촉력(35, 36)은 접촉 라인(33, 34)에서 작용한다. 접촉 라인(33, 34)에서의 접촉력(35, 36)의 작용에 의해, 토션 로드(16)의 회전축(17)에 관해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토크 M35와 토크 M36가 발생하고, 상기 토크들은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양(amount)의 측면에서 동일한 사이즈이다. 또한, 토크 M35가 토크 M36보다 크도록, 접촉 라인(33, 34) 및/또는 접촉력(35, 36)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결과, 토션 로드(16)가 로킹 위치에 추가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로킹 위치로부터의 토션 로드(16)의 의도하지 않은 릴리즈가 추가적으로 보다 곤란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되고 또한 당해 도면의 평면에 직각으로 배치된 수직 평면(37)은 회전축(17)을 포함하며 피봇 레버(19)의 접촉면(21)에 직각으로 배치된다. 수직 평면(37)은 접촉면(21) 상의 접촉 라인(33, 34) 사이에 배치된 수직 라인(38)에서 접촉면(21)을 가로질러 둘로 분할한다. 접촉 라인(33)과 수직 라인(38) 사이 및 접촉 라인(34)과 수직 라인(38) 사이의 제 각각의 수직 간격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이며, 도 4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동일하다.
또한, 베이스(23) 상의 수용 그루브(14)는, 스프링 요소(40)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만입부(indentation)(39)를 구비한다.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한 도시의 목적에서, 만입부(39) 및 스프링 요소(40)는 오로지 도 5에만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만입부(39) 및 스프링 요소(40)는 또한, 도 4에 따른 로킹 위치에 있어서, 도 6에 따른 언로킹 위치에 있어서 그리고 도 7에 따른 틸팅된 위치에 있어서 토션 로드(16)의 배치에 동등하게 제공된다. 스프링 요소는, 수용 그루브(14) 내의 프로파일드 스트립(9)이 스프링력에 의해 토션 로드(16)에 대해 압박되도록, 피봇 레버(19)의 하부측(22)에 스프링력을 인가한다. 각 수용 그루브(14)에서 중앙 길이방향 축(3)에 평행한 라인을 따라 복수의 스프링 요소(40)가 제공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2개의 만입부(39)가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프로파일드 스트립(9)의 피봇 레버(19)에 클램핑 총 스프링력이 동등하게 인가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40)는, 예를 들어 헬리컬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 그루브(14)에 토션 로드(16)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요소(43)가 코밍 요소(7) 상의 수용 그루브(14)에 제공될 수 있다. 고정 요소(43) 또한 명확성을 기하기 위한 이유에서 오로지 도 5에만 도시되어 있다. 고정 요소(43)는, 예컨대 스프링-마찰 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요소(43)는,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언로킹 방향(44)으로의 토션 로드(16)의 자동적인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로킹 위치에서, 고정 요소(43)는 토션 로드(16)의 셀프-로킹을 추가적으로 증대시킨다. 고정 요소(43)는 수용 그루브(14)에서의 대응하는 리세스에 배치된다. 고정 요소(43)는, 예를 들어, 서스펜션 요소로서의 코일 스프링과, 이 코일 스프링과 토션 로드(16) 사이에 배치된 마찰(friction)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 그루브(14)에서의 토션 로드(16)의 고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 요소(43)가 중앙 길이방향 축(3)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코밍 요소(7)의 수용 그루브(14)에서의 프로파일드 스트립(9)의 로킹 및 언로킹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서는 언로킹 위치, 즉 토션 로드(16)가 피봇 레버(19)의 접촉면(21) 상에 언로킹 접촉면(31)이 평탄한 상태로 놓인 위치에서의 토션 로드(16)가 도시되어 있다. 동시에, 토션 로드(16)는 수용 그루브(14)의 가이드 리세스(42)에서 가이드부(41)에 의해 평탄한 접촉을 갖는다. 도시된 언로킹 위치에 있어서, 피봇 레버(19)는, 수용 그루브(14)의 베이스(23)로부터 당해 피봇 레버(19)의 하부측(22)의 간극이 최대가 되도록, 언로킹 위치에서의 피봇 축(20)과 관련하여 최대한 피봇 운동된다. 이에 따라, 피봇 레버(19)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프로파일드 스트립(9)의 패스닝 앵커(24)가, 상측 위치, 즉 베이스 바디(2)의 중앙 길이방향 축(3)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떨어져 피봇 운동된 위치에 배치된다. 그 결과, 구체적으로, 바 택(10)과 프로파일드 스트립(9) 사이의 반경방향 간극(28)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중앙 길이방향 축(3)을 따라 바 택(10)을 끌어냄으로써 베이스 바디(2)의 래이트럴 에리어(4)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바 택(10)을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바 택(10)은 언로킹 위치에서 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언로킹 위치로부터 진행하여, 조작자는 회전 언로킹 방향(44)에 반대되는 회전 로킹 방향(54)으로 토션 로드(16)를 회전시키도록, 토션 로드(16)의 구동을 실시할 것이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토션 로드(1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토션 로드(16)는 가이드 리세스(42)에서 가이드부(41)에 의해 가이드되고, 가이드부(41)와 가이드 리세스(42) 양방이 회전축(17)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된 반지름을 가지므로, 회전축(17)은 코밍 요소(7)의 베이스 바디(2) 상에서 토션 로드(16)를 회전시킴으로써 제자리걸음을 한다. 대응하는 가이드부(41)의 구성 및/또는 가이드 리세스(42)의 구성에서, 토션 로드(16)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17)이 공간적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 로킹 방향(54)으로 토션 로드(16)를 회전시킴으로써, 피봇 레버(19)의 접촉면(21)에 대한 회전축(17)의 수직 간격이 증가된다. 이것은, 피봇 레버(19)가 피봇 축(20)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즉 수용 그루브(14)의 베이스(23)의 방향으로 피봇 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파일드 스트립(9)의 언로킹 및 로킹 중에 토션 로드(16)의 구동시에 일어날 수 있는 피봇 레버(19)의 가장 낮은 위치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피봇 레버(19)의 이 가장 낮은 위치는, 언로킹 접촉면(31)과 로킹 접촉면(30) 사이의 둥근 에지부(32)로부터 회전축(17)의 최대 간격이 원인이다. 그러므로, 도 5에 도시된 바는 토션 로드(16)의 구동 중의 데드 센터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상태가 고작 약간 지나가자마자, 토션 로드(16)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한 추가의 도움을 주는 회전없이 데스 센터가 지나친 회전 방향 (44, 54)에 따라 언로킹 위치 또는 로킹 위치로 회전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데드 센터 위치에 있어서, 피봇 레버(19) 그리고 따라서 또한 프로파일드 스트립(9)의 패스닝 앵커(24)는 중앙 길이방향 축(3) 쪽으로 최대한 눌려졌으므로, 포지티브 로킹 시큐어링 웨브(26)와 바 택 돌출부(27) 사이에 일시적으로 접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접촉에 의해 적어도 반경방향(51)으로 간극없이 잠깐 바 택(10)이 프로파일드 스트립(9) 상에 유지된다. 이 접촉은 로킹 위치에서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토션 로드(16)의 로킹 위치에서, 토션 로드(16)는, 도 5에서 보는 것과 관련하여 회전 로킹 방향(54)으로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하여 더욱 회전되고, 따라서 토션 로드(16)는 피봇 레버(19)의 접촉면(21) 상에 로킹 접촉면(30)이 평탄한 상태로 놓인다.
에지부(32)가 둥글게 되어 있으므로, 언로킹 위치와 로킹 위치 사이의 변위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패스닝 앵커(24)가 리세스(25)를 가지므로, 프로파일드 스트립(9)에 상대적인 토션 로드(16)의 회전이 충돌없이 가능하다.
도 4에 따른 로킹 위치에서, 그리고 도 6에 따른 언로킹 위치에서, 피봇 레버(19) 상의 토션 로드(16)에 대한 접촉면으로서, 각각의 경우, 로킹 접촉면(30) 및 언로킹 접촉면(31)이 사용된다. 이에 따라, 언급된 접촉면(30)들이 피봇 레버(19) 상의 토션 로드(16)에 대한 엔드 스톱들로서 이용되고, 따라서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의 변위가 배타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언급된 두 위치 사이에 데드 센터 위치가 제공되기에,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가 토션 로드(16)에 의해 자동적으로 찾아지므로,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에 위치되는 원치않는 위치에서 토션 로드(16)가 구동되는 것이 회피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코밍 요소를 로킹 및 언로킹하기 위한 절차는 번잡하지 않으며, 특히 잘못에 크게 예민하지 않다. 동시에, 코밍 요소, 그리고 로킹 및 언로킹 메커니즘이 강건하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코밍 요소(7)에 있어서의 프로파일드 스트립(9)의 리세팅, 그리고 특히 코밍 프로세스 동안에 바 택(10)의 이(11)에 반력으로서 작용하는 코밍력(47)의 결과로 패스닝 앵커(24)의 리세팅을 보여준다. 코밍력(47)은 중앙 길이방향 축(3)에 대해 실질적으로 접선방향으로 그리고 회전 구동 방향(8)과 반대로 작용한다. 힘의 작용으로 인해, 바 택(10)이 피봇된 패스닝 앵커(24)에 바 택 돌출부(27)에 의해 놓이고 적어도 하나의 접촉 라인(48)을 형성하므로 접선방향 간극(29)이 극복된다. 또한,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측(22)을 갖는 피봇 레버(19)가 수용 그루브(14)의 베이스(23)에 가깝게 가져가 지도록, 프로파일드 스트립(9)이 피봇 축(20)을 중심으로 피봇 운동된다. 패스닝 앵커(24)의 지오메트리에 따라 하부측(22)이 베이스(23)에 평탄하게 놓일 수 있다. 이 피봇된 위치에서, 패스닝 앵커(24)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라인에 놓이는데, 즉, 바 택 돌출부(27)와 패스닝 앵커(24) 사이의 접촉 라인(48)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라인에 놓인다. 이 추가적인 라인(49)은, 예를 들어 패스닝 앵커(24)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라인(49)이 포지티브 로킹 시큐어링 웨브(26) 반대쪽의, 패스닝 앵커(24)의 한쪽에 배치됨을 의미한다. 패스닝 앵커(24)의 후방측에 접촉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패스닝 앵커(24)는, 그 설명된 바 택(10)에서의 비스듬한 위치 때문에 틸팅된다. 이 틸팅은, 접촉 라인(48)과는 별도로, 포지티브 로킹 시큐어링 웨브(26)의 상부측에 추가적인 라인(50)이 제공되므로 대응하여 일어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라인(50)은, 바 택(10)에 대한 패스닝 앵커(24)의 어떠한 틸팅도 초래하지 않는다. 라인(50)은 바 택(1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패스닝 앵커(24) 그리고, 특히 인터로킹 시큐어링 웨브의 지오메트리에 따라서, 바 택(10)에 대한 패스닝 앵커(24)의 틸팅이, 라인(49) 및/또는 라인(50)과의 접촉 라인(48)의 조합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바 택(10) 상의 패스닝 앵커(24)의 위에서 설명한 틸팅은, 베이스 바디(2)에 대한 바 택의 추가적인 고정을 가져온다. 이 추가적인 고정은 코밍 프로세스 동안에 일어나므로, 이것은 자기 고정 시스템(self-securing system)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코밍 요소(7)에 바 택(10)을 로킹 및 언로킹하기 위한 코밍 요소(7)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제2 실시형태의 중요한 차이점은, 중앙 길이방향 축(3)에 대해 반경방향(51)으로,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축소된 크기를 갖는 패스닝 앵커(24a)의 구성이다. 그 결과, 포지티브 로킹 시큐어링 웨브(26a)가 중앙 길이방향 축(3)에 관해서 상대적으로 축소된 간극에 배치되어서, 도 8에 나타낸 로킹 위치에서, 바 택(10)과 패스닝 앵커(24a) 사이에, 구체적으로는 포지티브 로킹 시큐어링 웨브(26a)와 바 택 돌출부(27) 사이에 반경방향 간극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상관없이, 접선 방향 간극이 제공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포지티브 로킹 시큐어링 웨브(26a)는, 프로파일드 스트립(9)과 바 택(10) 사이의 포지티브(=tight fit) 로킹 시큐어링 연결에 더하여, 추가적인 논-포지티브(=force fit) 로킹 연결이, 포지티브 로킹 시큐어링 웨브(26a)와 바 택 돌출부(27) 사이에 존재하도록, 여기서 스프링 레그로서 구성된 바 택 돌출부(27) 뒤에 맞물린다. 포지티브 로킹 시큐어링 웨브(26a)는 바 택 돌출부(27)를 중앙 길이방향 축(3)에 대해 코밍 요소(7) 상의 반경방향(51)으로 당긴다. 이것은, 코밍 요소(7) 상의 바 택(10)의 홀딩력에 있어서의 증가로 이어진다.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의 변위는, 제2 실시형태에서 제1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일어나므로 이를 참조한다.

Claims (20)

  1. 직물을 코밍하는 코밍기(combing machine)를 위한 코밍 요소로서,
    a. 중앙 길이방향 축(3), 래이트럴 에리어(4) 및 두 끝면(5)을 구비한 베이스 바디(2)와,
    b. 상기 베이스 바디(2)의 상기 래이트럴 에리어(4)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바 택(10)과,
    c. 상기 베이스 바디(2)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 택(10)을 연결하는 프로파일드 스트립(9)과,
    d. 상기 베이스 바디(2)에 대해 상기 프로파일드 스트립(9)을 로킹 및 언로킹하는 토션 로드(16)를 포함하고,
    e. 상기 프로파일드 스트립(9)은 상기 베이스 바디(2)의 수용 그루브(14)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 길이방향 축(3)에 평행하게 배치된 피봇 축(20)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프로파일드 스트립(9)을 피봇 운동시킬 수 있는 피봇 레버(19)를 포함하며,
    f. 상기 토션 로드(16)는, 상기 중앙 길이방향 축(3)에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수용 그루브(14)에 배치되고,
    g. 상기 토션 로드(16)는 코밍하려는 직물과 맞물리는 코밍 요소(7)의 활성 코밍 영역의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하고, 상기 활성 코밍 영역은 상기 코밍 요소(7)의 표면 라인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코밍 요소(7)의 활성 코밍 영역은 중앙 길이방향 축(3)에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바 택(10)의 축방향 연장에 의해 고정되고,
    h. 상기 토션 로드(16)는 상기 회전축(17)에 수직으로 배향된 둥글지 않은 단면을 갖고,
    i. 상기 토션 로드(16)는, 상기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당해 토션 로드(16)가 상기 베이스 바디(2)에 대해 상기 프로파일드 스트립(9)을 로킹하는 로킹 위치와, 상기 베이스 바디(2)에 대해 상기 프로파일드 스트립(9)을 언로킹하는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도록, 상기 피봇 레버(19)에 배치되는,
    코밍 요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로드(16)는 상기 끝면(5)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접근가능한 코밍 요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로드(16)는 적어도 2개의 접촉 라인(33, 34)을 가지며, 이들 접촉 라인은, 셀프-로킹에 의해, 로킹 위치로부터 상기 토션 로드(16)의 자동적인 변위가 방지되도록, 로킹 위치에서 피봇 레버(19)의 접촉면(21)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밍 요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로드(16)에 대한 상기 피봇 레버(19)의 접촉력(35, 36)은, 상기 토션 로드(16)의 상기 회전축(17)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지향하는 토크(M35, M36)가 존재하도록, 상기 접촉 라인(33, 34) 상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밍 요소.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로드(16)에 대한 상기 피봇 레버(19)의 접촉력(35, 36)은, 상기 토션 로드(16)의 상기 회전축(17)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지향하는 토크(M35, M36)가 양(amount)의 측면에서 동일한 사이즈이도록, 상기 접촉 라인(33, 34) 상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밍 요소.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7)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 레버(19)의 상기 접촉면(21)에 직각으로 배치된 수직 평면(37)이, 수직 라인(38)에서 상기 접촉면(21)을 가로질러 둘로 분할하고, 상기 수직 라인(38)은 상기 접촉 라인(33, 3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접촉 라인(33)과 상기 수직 라인(38) 사이 및 상기 제2 접촉 라인(34)과 상기 수직 라인(38) 사이의 수직 간극은, 각각의 경우에, 동일한 사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밍 요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로드(16)는 평평한 로킹 접촉면(30)을 갖고, 이 로킹 접촉면(30)에 의해, 로킹 위치에서 상기 토션 로드(16)는 상기 피봇 레버(19) 상에 평탄하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밍 요소.
  8.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수용 그루브(14)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드 스트립(9)을 클램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40)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요소(40)는 상기 토션 로드(16)에 대한 상기 피봇 레버(19)의 접촉면(21) 반대쪽의 상기 피봇 레버(19)의 하부측(2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밍 요소.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로드(16)는, 상기 끝면(5)으로부터 접근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공구에 의해 상기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토션 로드(16)를 회전시키는 공구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밍 요소.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로드(16)의 상기 둥글지 않은 단면은, 회전축(17)에 대해 부분적으로 원통형이며, 상기 토션 로드(16)의 회전 중에 상기 수용 그루브(14)의 가이드 리세스(42)에서 상기 토션 로드(16)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밍 요소.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로드(16)는 평평한 언로킹 접촉면(31)을 갖고, 이 언로킹 접촉면(31)에 의해, 언로킹 위치에서 상기 토션 로드(16)는 상기 피봇 레버(19) 상에 평탄하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밍 요소.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로드(16)는 평평한 로킹 접촉면(30)을 갖고, 이 로킹 접촉면(30)에 의해, 로킹 위치에서 상기 토션 로드(16)는 상기 피봇 레버(19) 상에 평탄하게 놓이고, 상기 토션 로드(16)는 평평한 언로킹 접촉면(31)을 갖고, 이 언로킹 접촉면(31)에 의해, 언로킹 위치에서 상기 토션 로드(16)는 상기 피봇 레버(19) 상에 평탄하게 놓이고, 상기 로킹 접촉면(30)과 상기 언로킹 접촉면(31)은 둥근 에지부(32)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밍 요소.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44; 54)으로의 상기 토션 로드(16)의 자동적인 변위에 대항하여 상기 수용 그루브(14)에서 상기 토션 로드(16)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밍 요소.
  14. 제 1 항에 있어서,
    로킹 위치에서, 상기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44; 54)으로의 상기 토션 로드(16)의 자동적인 변위에 대항하여 상기 수용 그루브(14)에서 상기 토션 로드(16)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밍 요소.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드 스트립(9)은, 상기 베이스 바디(2)에 상기 바 택(10)을 연결하도록, 상기 피봇 레버(19)로부터 떨어져 연장하는 패스닝 앵커(24; 24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밍 요소.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앵커(24; 24a)는 상기 프로파일드 스트립(9)과 상기 바 택(10) 사이의 시큐어링 포지티브 로킹 연결(securing positive locking connection)로서 이용되고, 상기 패스닝 앵커(24)는 상기 바 택(10)의 언더컷 바 택 돌출부(27) 뒤에서 맞물리는 포지티브 로킹 시큐어링 웨브(positive locking securing web)(26, 26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밍 요소.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길이방향 축(3)과 관련하여, 로킹 위치에서 상기 패스닝 앵커(24)와 상기 바 택(10) 사이에 반경방향 간극(28) 및 접선방향 간극(29)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밍 요소.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앵커(24a)는 상기 프로파일드 스트립(9)과 상기 바 택(10) 사이의 추가적인 논-포지티브(non-positive) 로킹 연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밍 요소.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로킹 시큐어링 웨브(26a)는, 상기 바 택(10)이, 상기 중앙 길이방향 축(3)에 대해 반경방향(51)으로 유지되고, 또한 간극없이 접하도록, 로킹 위치에서 상기 바 택 돌출부(27)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밍 요소.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로킹 시큐어링 웨브(26a)는, 상기 바 택(10)이, 상기 중앙 길이방향 축(3)에 대해 반경방향(51)으로 간극없이 접하도록, 로킹 위치에서 상기 바 택 돌출부(27)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밍 요소.
KR1020137013093A 2010-10-28 2011-10-24 코밍 요소 KR101769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43064.1 2010-10-28
DE102010043064A DE102010043064B4 (de) 2010-10-28 2010-10-28 Kämmelement
PCT/EP2011/068500 WO2012055799A1 (de) 2010-10-28 2011-10-24 Kämm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352A KR20140032352A (ko) 2014-03-14
KR101769655B1 true KR101769655B1 (ko) 2017-08-18

Family

ID=4486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093A KR101769655B1 (ko) 2010-10-28 2011-10-24 코밍 요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633107B1 (ko)
JP (1) JP5793573B2 (ko)
KR (1) KR101769655B1 (ko)
CN (1) CN103180498B (ko)
DE (1) DE102010043064B4 (ko)
EG (1) EG27093A (ko)
WO (1) WO20120557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80371B1 (de) * 2014-05-02 2023-02-22 Staedtler + Uhl KG Kreiskammeinheiten mit einem an einer welle befestigten kreiskamm
DE102015221410A1 (de) * 2015-11-02 2017-05-04 Staedtler + Uhl Kg Kreiskamm mit Kämmriegeln und Grundkörper
DE102017201678B4 (de) * 2017-02-02 2019-05-09 Staedtler + Uhl Kg Kreiskamm mit Kämmsegment und Ausrichtsegment
CN111820120B (zh) * 2020-07-27 2022-09-30 夏文进 一种水培苗木盆栽花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4789A (en) 1980-02-27 1983-07-26 Staedtler & Uhl Toothed edging means for textile machinery
EP0839934B1 (de) 1996-11-05 2002-06-19 v.d. Krone, Manfred Kämmgarnitur aus Sägezahnstanzteilen für Walzen und Tragsegmente von Textilmaschinen
WO2010121736A1 (de) 2009-04-21 2010-10-28 Staedtler+Uhl Kg Kreiskam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74698A (en) * 1926-11-22 1927-07-28 James Kelly Lanning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comb segments of the comb cylinders of cotton and the like combing machines
FR2260637B1 (ko) * 1974-02-07 1977-03-04 Schlumberger Cie N
JPS6026846B2 (ja) * 1979-06-11 1985-06-26 宏之 金井 針板積層体
CH635137A5 (de) * 1979-02-16 1983-03-15 Burckhardt Christoph Ag Zirkularkamm fuer baumwoll- oder wollkaemmaschine.
CH655521B (ko) * 1982-04-16 1986-04-30
DE3336876A1 (de) * 1983-10-11 1985-04-25 Staedtler & Uhl, 8540 Schwabach Kaemmsegment fuer eine kaemm-maschine
US4716629A (en) * 1985-08-15 1988-01-05 Kanai Juyo Kogyo Co., Ltd. Combining cylinder of a comber in spinning machinery
DE3620702A1 (de) * 1986-06-20 1987-12-23 Staedtler & Uhl Garnitur fuer textilvorbereitungsmaschinen, insbesondere kaemm-maschinen, karden od.dgl.
DE3624292A1 (de) * 1986-07-18 1988-01-28 Staedtler & Uhl Vorrichtung zur befestigung von saegezahnstanzteilen auf einem tragekoerper einer textilen vorbereitungsmaschine
DE3786925T2 (de) * 1987-12-27 1993-11-11 Graf & Co Ag Kardiergarnitur für Kardendeckel.
DE4326203C1 (de) * 1993-08-04 1995-02-02 Graf & Co Ag Kratzenbeschlag für Deckel einer Krempelmaschine
DE10232435A1 (de) * 2002-07-18 2004-02-05 Staedtler + Uhl Kg Zahnbesatz für Walzen und Tragsegmente von Textilmaschinen
EP1533404B1 (de) * 2003-11-14 2008-03-26 Maschinenfabrik Rieter Ag Rundkamm mit Garniturelementen
WO2006039829A1 (de) * 2004-10-13 2006-04-20 Maschinenfabrik Rieter Ag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s garniturstreifens an einem deckelstab, garniturclip sowie presswerkzeug zum bearbeiten eines garniturclips.
DE102006005605A1 (de) * 2005-06-24 2007-01-04 TRüTZSCHLER GMBH & CO. KG Vorrichtung an einer Karde für Baumwolle, Chemiefasern u. dgl., bei der mindestens ein Deckelstab mit einer Deckelgarnitur vorhanden is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4789A (en) 1980-02-27 1983-07-26 Staedtler & Uhl Toothed edging means for textile machinery
EP0839934B1 (de) 1996-11-05 2002-06-19 v.d. Krone, Manfred Kämmgarnitur aus Sägezahnstanzteilen für Walzen und Tragsegmente von Textilmaschinen
WO2010121736A1 (de) 2009-04-21 2010-10-28 Staedtler+Uhl Kg Kreiskam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33107A1 (de) 2013-09-04
WO2012055799A1 (de) 2012-05-03
EG27093A (en) 2015-05-25
EP2633107B1 (de) 2014-10-15
CN103180498B (zh) 2015-11-25
DE102010043064A1 (de) 2012-05-03
CN103180498A (zh) 2013-06-26
DE102010043064B4 (de) 2012-10-04
JP5793573B2 (ja) 2015-10-14
JP2013544980A (ja) 2013-12-19
KR20140032352A (ko) 201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655B1 (ko) 코밍 요소
JP5593681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388554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 시스템
US10160475B2 (en) Steering column device
JP5484563B2 (ja) 円形コーム
US8881618B2 (en) Adjustable steering column lock
JP3512366B2 (ja) 不可逆的調節機構
JP5326930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9481270B2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KR20140044331A (ko) 내부 판 스프링을 구비한 디스크 리클라이너
JP5905609B2 (ja) 車両シート用継手及び車両シート
EP2167280A1 (en) Attachment mechanism
JP5830789B2 (ja) ロック装置
CN103619660B (zh) 包括控制齿部的带卷收器
JP4727970B2 (ja) 装備エレメントを備えた円型コーム
JPH02293417A (ja) 繊維機械用のワーキングポイントを有するシリンダローラ
JP6796939B2 (ja) 作業機
KR20180101563A (ko)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RU2705864C1 (ru) Дисковый тормоз и комплект тормозных колодок
JP4802632B2 (ja) 継手装置
US20180237973A1 (en) Washing machine
KR20180112020A (ko) 동력 제한 장치를 구비한 벨트 리트랙터
KR20170031612A (ko) 원형 콤 상의 콤 요소들을 위한 고정 장치
CN109476279B (zh) 用于机动车的安全带卷收器
JP2016023473A (ja) 跳ね上がり防止機構付きグレーチ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