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574B1 - 장척상의 점착 필름 - Google Patents

장척상의 점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574B1
KR101766574B1 KR1020157036668A KR20157036668A KR101766574B1 KR 101766574 B1 KR101766574 B1 KR 101766574B1 KR 1020157036668 A KR1020157036668 A KR 1020157036668A KR 20157036668 A KR20157036668 A KR 20157036668A KR 101766574 B1 KR101766574 B1 KR 101766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arizer
sensitive adhesive
pressure
adhes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217A (ko
Inventor
다이스케 오고미
마사히로 야에가시
유키 나카노
고타 나카이
유키 오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39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09J7/02
    • C09J7/0257
    • C09J7/0264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characterized by perforations in the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장척상 필름의 소정 부분을 처리할 때의 표면 보호 필름 또는 마스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척상의 점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
본 발명의 장척상의 점착 필름은, 장척상의 수지 필름과 그 수지 필름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고, 장척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수지 필름 및 점착제층을 일체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는다.

Description

장척상의 점착 필름{LONG ADHESIVE FILM}
본 발명은, 장척상 (長尺狀) 의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된 관통공을 갖는 장척상의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PC)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는, 카메라 등의 내부 전자 부품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 성능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 7). 그러나, 스마트폰, 터치 패널식의 정보 처리 장치의 급속한 보급에 의해, 카메라 성능 등의 추가적인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또, 화상 표시 장치의 형상의 다양화 및 고기능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편광 성능을 갖는 편광판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망을 공업적 및 상업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허용 가능한 비용으로 화상 표시 장치 및/또는 그 부품을 제조하는 것이 요망되므로, 그러한 기술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검토 사항이 남아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8131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41314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0212555호 명세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8205호 한국 특허공보 제10-129321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37738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4/0118826호 명세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장척상 필름의 소정 부분을 처리할 때의 표면 보호 필름 또는 마스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척상의 점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장척상의 수지 필름과 그 수지 필름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고, 장척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그 수지 필름 및 그 점착제층을 일체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관통공은, 상기 장척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관통공은, 적어도 상기 장척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관통공은, 상기 장척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상기 관통공을 연결하는 직선의 방향이, 상기 장척 방향 및/또는 상기 폭 방향에 대하여 ±10°의 범위 내에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관통공은 도트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관통공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대략 원형상 또는 대략 사각형상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 필름은,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가착 (假着) 된 장척상의 세퍼레이터를 추가로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관통공은, 상기 세퍼레이터, 상기 수지 필름 및 상기 점착제층을 일체로 관통하고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 필름은, 롤상으로 권회 (卷回) 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 필름은, 서로의 장척 방향을 맞추도록 하여 장척상의 필름에 첩합 (貼合) 되고, 이 필름의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부분에 선택적으로 처리를 실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 필름은, 비편광부를 갖는 장척상 편광자의 제조에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관통공의 점착제층측의 둘레 가장자리가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척상이고, 장척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즉,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된 관통공을 갖는 점착 필름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점착 필름은, 예를 들어, 필름 (대표적으로는, 장척상의 필름) 의 소정 부분을 선택적으로 처리할 때의 표면 보호 필름 또는 마스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착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롤 반송하면서 연속적 처리가 가능해지므로, 각종 선택적인 처리의 처리 효율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점착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장척상 필름의 전체에 걸쳐서 선택적으로 처리되는 부분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장척상의 필름으로부터 소정 사이즈의 최종 제품을 재단했을 경우에, 최종 제품마다의 품질의 편차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점착 필름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a 는 도 1 의 점착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점착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점착 필름에 있어서의 관통공의 배치 패턴의 일례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b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점착 필름에 있어서의 관통공의 배치 패턴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c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점착 필름에 있어서의 관통공의 배치 패턴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점착 필름을 사용한 편광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점착 필름과 편광자의 첩합을 설명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점착 필름을 사용한 편광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비편광부의 형성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 은 실시예의 점착 필름을 편광자에 첩합한 상태의 관찰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A. 점착 필름
A-1. 점착 필름의 전체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점착 필름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a 는 그 단면도이다. 점착 필름 (100) 은, 장척상이고, 대표적으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상으로 권회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장척상」 이란, 폭에 대하여 길이가 충분히 긴 가늘고 긴 형상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폭에 대하여 길이가 10 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배 이상의 가늘고 긴 형상을 포함한다. 점착 필름 (100) 은, 장척상의 수지 필름 (10) 과 수지 필름 (10) 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 (20) 을 갖는다. 점착 필름 (100) 은, 장척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즉,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된 수지 필름 (10) 및 점착제층 (20) 을 일체로 관통하는 관통공 (30) 을 갖는다. 관통공 (30) 의 배치 패턴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공 (30)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장척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실질적으로 등간격」 이란, 장척 방향의 간격이 등간격이고, 또한 폭 방향의 간격이 등간격인 것을 의미하고, 장척 방향의 간격과 폭 방향의 간격이 동등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장척 방향의 간격을 L1 로 하고, 폭 방향의 간격을 L2 로 했을 때, L1 = L2 여도 되고, L1 ≠ L2 여도 된다. 혹은, 관통공 (30) 은, 장척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또한 폭 방향으로 상이한 간격으로 배치되어도 되고 ; 장척 방향으로 상이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또한 폭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모두 도시 생략). 장척 방향 또는 폭 방향에 있어서 관통공이 상이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 인접하는 관통공의 간격은 모두 상이해도 되고, 일부 (특정 인접하는 관통공의 간격) 만이 상이해도 된다. 또, 점착 필름 (100) 의 장척 방향에 복수의 영역을 규정하고, 각각의 영역마다 장척 방향 및/또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관통공 (30) 의 간격을 설정해도 된다.
실용적으로는,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제층 (20) 에는, 장척상의 세퍼레이터 (22) 가 박리 가능하게 가착되어, 실제의 사용까지 점착제층을 보호함과 함께, 롤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경우, 관통공 (30) 은,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 (22), 점착제층 (20) 및 수지 필름 (10) 을 일체로 관통하고 있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점착 필름에 있어서의 관통공의 배치 패턴의 일례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3b 는 관통공의 배치 패턴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3c 는 관통공의 배치 패턴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통공 (30) 은,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통공을 연결하는 직선이 장척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그리고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통공을 연결하는 직선이 폭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는, 도 1 에 나타내는 점착 필름에 있어서의 관통공의 배치 패턴에 대응한다 (도 3a 는 도 1 의 평면도에 대응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통공 (30) 은,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통공을 연결하는 직선이 장척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그리고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통공을 연결하는 직선이 폭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θW) 를 갖도록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통공 (30) 은,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통공을 연결하는 직선이 장척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θL) 를 갖고, 그리고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통공을 연결하는 직선이 폭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θW) 를 갖도록 배치된다. θL 및/또는 θW 는, 바람직하게는 0°를 초과하고 ±10°이하이다. 여기서, 「±」 는, 기준 방향 (장척 방향 또는 폭 방향) 에 대하여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방향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b 및 도 3c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용도의 하나로서,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장척상의 편광자를 롤 반송하면서 원하는 패턴으로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장척상 편광자의 전체에 걸쳐서 배치 패턴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 표시 장치에 따라서는 표시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편광자의 흡수축을 당해 장치의 장변 또는 단변에 대하여 최대 10°정도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편광자의 흡수축은 장척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발현되므로, 도 3b 및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패턴의 점착 필름을 사용하여 비편광부를 형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비편광부와 흡수축의 위치 관계를 장척상의 편광자 전체에 있어서 통일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축 정밀도가 우수한 (따라서, 광학 특성이 우수한) 최종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재단 (예를 들어, 장척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의 절단, 타발) 된 매엽 (枚葉) 의 편광자의 흡수축의 방향을 원하는 각도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또한 편광자마다의 흡수축의 방향의 편차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통공의 배치 패턴이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관통공 (30) 은, 장척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통공을 연결하는 직선이 장척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θL) 를 갖고, 그리고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통공을 연결하는 직선이 폭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또, 점착 필름 (100) 의 장척 방향에 복수의 영역을 규정하고, 각각의 영역마다 θL 및/또는 θW 를 설정해도 된다.
관통공 (30) 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는, 원형, 타원형, 정방형, 사각형, 능형을 들 수 있다.
관통공 (30) 은, 예를 들어, 절단 또는 점착 필름의 소정 부분의 제거 (예를 들어, 레이저 어블레이션 또는 화학적 용해) 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절단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톰슨 칼날, 피크날 칼날 등의 절단 칼날 (타발형), 워터 제트 등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절단하는 방법,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절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절단 칼날에 의한 절단은, 임의의 적절한 양식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절단 칼날을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한 타발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해도 되고, XY 플로터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절단 칼날을 이동시켜 실시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절단 칼날을 점착 필름의 소정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이동시켜 절단할 수 있으므로, 점착 필름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밀도로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절단 칼날에 의한 절단은, 장척상의 점착 필름을 롤 반송하면서, 당해 반송과 적절히 연동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의 타이밍 및/또는 절단 칼날의 이동 속도를 점착 필름의 반송 속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점착 필름의 원하는 위치에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발 장치는, 레시프로 방식 (플랫) 이어도 되고, 로터리 방식 (회전) 이어도 된다.
절단에 사용되는 레이저로는, 점착 필름을 절단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레이저가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93 ㎚ ∼ 10.6 ㎛ 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을 방사할 수 있는 레이저가 사용된다. 구체예로는, CO2 레이저, 엑시머 레이저 등의 기체 레이저 ; YAG 레이저 등의 고체 레이저 ; 반도체 레이저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O2 레이저가 사용된다. 절단시에, 레이저광의 조사 조건은, 예를 들어, 사용하는 레이저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출력 조건은, CO2 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0.1 W ∼ 250 W 이다.
상기 레이저 어블레이션은 임의의 적절한 양식에 의해 실시된다. 레이저 어블레이션에 사용되는 레이저로는, 임의의 적절한 레이저를 채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는, 상기 절단시에 사용되는 레이저와 동일한 레이저를 들 수 있다. 레이저 어블레이션시에, 레이저광의 조사 조건 (출력 조건, 이동 속도, 횟수) 은, 점착 필름 (실질적으로는, 수지 필름 및 점착제층) 의 형성 재료, 점착 필름의 두께, 관통공의 평면에서 본 형상, 관통공의 면적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점착 필름을 절단할 때, 점착 필름의 편측에는 보호재를 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절단 방향 종단측의 점착 필름 표면에 보호재를 댄다. 보호재를 사용함으로써, 절단 후에 점착 필름으로부터 보호재를 박리할 때, 천공 찌꺼기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천공 찌꺼기가 보호재에 부착된 상태로, 보호재를 점착 필름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그 결과, 생산성이 현격히 향상될 수 있다. 또, 보호재를 사용함으로써, 절단에 의한 점착 필름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 칼날로 절단하는 경우, 특히 점착제층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점착 필름 표면으로부터 보호재의 도중까지 절입하여 상기 관통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하면, 상기 수지 필름 및 점착제층 (및 존재하는 경우에는 세퍼레이터) 을 일체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보호재를 점착 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 천공 찌꺼기를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재로는,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필름이 사용된다. 고분자 필름으로는, 상기 수지 필름과 동일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은 부드러운 (예를 들어, 탄성률이 낮은)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분자 필름으로서, 경도 (예를 들어, 탄성률) 가 높은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절단에 의한 점착 필름의 변형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분자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 ∼ 100 ㎛ 이다.
바람직하게는, 보호재는, 점착 필름에 점착제로 첩합된다. 보호재를 점착 필름에 첩합함으로써, 절단시에 보호재가 어긋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보호재를 점착 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 천공 찌꺼기를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보호재를 첩합하는 점착제로는, 절단 후에 점착 필름으로부터 보호재를 박리 가능한 점착력을 갖는 한,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미리 보호재에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재에 형성된 점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 ∼ 50 ㎛ 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호재의 형상을 점착 필름의 형상에 대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장척상의 점착 필름에 대하여, 장척상의 보호재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하면, 보호재를 점착 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 천공 찌꺼기를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 천공 찌꺼기를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현격히 향상될 수 있다.
관통공의 형성시에, 점착 필름의 세퍼레이터측으로부터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측으로부터 절단함으로써, 절단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 필름의 첩합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단 칼날로 절단하는 경우,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이 절단 칼날에 추종하여 변형될 수 있다. 수지 필름측으로부터 절단하면, 얻어지는 점착 필름의 점착면측에 점착제층이 부풀어 올라, 관통공의 둘레 가장자리에 팽출부가 형성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얻어지는 점착 필름을 피착체에 첩합하면 관통공의 주변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세퍼레이터측으로부터 절단하면, 절단 칼날에 추종하여 점착제층은 변형될 수 있지만, 얻어지는 점착 필름의 관통공의 점착면측의 둘레 가장자리는 매끄러운 상태 (예를 들어, 원호면) 이고, 피착체에 첩합해도 기포의 발생은 방지될 수 있다. 또, 세퍼레이터측으로부터 절단함으로써, 보호재를 사용한 경우, 절단 후에 점착 필름으로부터 보호재를 박리할 때, 천공 찌꺼기를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공 찌꺼기의 일부 (대표적으로는, 세퍼레이터 부분) 만이 제거된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A-2. 수지 필름
수지 필름 (10) 은, 점착 필름 (100) 의 기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은, 경도 (예를 들어, 탄성률) 가 높은 필름이 바람직하다. 반송 및/또는 첩합시의 관통공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지 필름의 형성 재료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에스테르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계 수지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이다. 이와 같은 재료이면, 탄성률이 충분히 높고, 반송 및/또는 첩합시에 장력을 가해도 관통공의 변형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수지 필름의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20 ㎛ ∼ 250 ㎛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 ∼ 150 ㎛ 이다. 이와 같은 두께이면, 반송 및/또는 첩합시에 장력을 가해도 관통공의 변형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수지 필름의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2.2 kN/㎟ ∼ 4.8 kN/㎟ 이다. 수지 필름의 탄성률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반송 및/또는 첩합시에 장력을 가해도 관통공의 변형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탄성률은, JIS K 6781 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수지 필름의 인장 신도는, 바람직하게는 90 % ∼ 170 % 이다. 수지 필름의 인장 신도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반송 중에 잘 파단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인장 신도는, JIS K 6781 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A-3. 점착제층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는,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가 채용될 수 있다. 점착제의 베이스 수지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내약품성, 침지시에 있어서의 처리액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밀착성, 피착체에 대한 자유도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에 함유될 수 있는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점착제는, 예를 들어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점착제의 배합 처방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 ∼ 6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 30 ㎛ 이다.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점착성이 불충분해져, 점착 계면에 기포 등이 비집고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점착제가 비어져 나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A-4.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 (22) 는, 실용에 제공할 때까지 점착 필름 (점착제층) 을 보호하는 보호재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 세퍼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점착 필름을 양호하게 롤상으로 권취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박리제, 불소계 박리제, 장사슬 알킬아크릴레이트계 박리제 등의 박리제에 의해 표면 코트된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필름, 부직포 또는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두께를 채용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 ∼ 100 ㎛ 이다.
B. 점착 필름의 용도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예를 들어, 필름 (대표적으로는, 장척상의 필름) 의 소정 부분을 선택적으로 처리할 때의 표면 보호 필름 또는 마스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당해 선택적인 처리의 구체예로는, 탈색, 착색, 천공, 현상, 에칭, 패터닝 (예를 들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층의 형성), 화학적 변성, 열처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롤 반송하면서 연속적 처리가 가능해지므로, 각종 선택적인 처리의 처리 효율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장척상 필름의 전체에 걸쳐서 선택적으로 처리되는 부분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장척상의 필름으로부터 소정 사이즈의 최종 제품을 재단했을 경우에, 최종 제품마다의 품질의 편차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 (대표적으로는, 장척상의 편광자) 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을 당해 용도에 사용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 등의 전자 디바이스의 다기능화 및 고기능화에 적합한 편광자의 저비용·고수율·고생산성으로의 제조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선택적 처리의 대표예로서,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의 제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C.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의 제조
C-1. 편광자
비편광부가 형성될 수 있는 편광자로는,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가 채용될 수 있다. 편광자는, 대표적으로는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수지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이색성 물질을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이하, 「PVA 계 수지」 라고 칭한다) 필름이다. 편광자는 단일 필름이어도 되고, 수지 기재 상에 형성된 수지층 (대표적으로는, PVA 계 수지층) 이어도 된다. 수지 기재와 수지층의 적층체는, 예를 들어, 상기 수지 필름의 형성 재료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수지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 수지 기재에 수지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이색성 물질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 유기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요오드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을 사용한 화학 처리에 의한 탈색에 의해 비편광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수지 필름 (편광자) 에 함유되는 요오드 착물이 적절히 환원되므로, 적절한 특성을 갖는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PVA 계 수지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은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PVA 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적으로 85 몰% ∼ 100 몰% 이고, 바람직하게는 95.0 몰% ∼ 99.95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0 몰% ∼ 99.93 몰% 이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 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누화도의 PVA 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비누화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겔화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PVA 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평균 중합도는, 통상적으로 1000 ∼ 10000 이고, 바람직하게는 1200 ∼ 4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 4300 이다. 또한,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1994 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편광자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 ㎚ ∼ 780 ㎚ 중 어느 파장에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 (비편광부를 제외한다) 의 단체 투과율 (Ts) 은, 바람직하게는 39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9.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5 % 이상이다. 또한, 단체 투과율의 이론상의 상한은 50 % 이고, 실용적인 상한은 46 % 이다. 또, 단체 투과율 (Ts) 은, JIS Z8701 의 2 도 시야 (C 광원) 에 의해 측정하여 시감도 보정을 실시한 Y 값이고, 예를 들어, 현미 분광 시스템 (람다비전 제조, LVmicro) 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편광자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9.9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3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5 % 이상이다.
편광자의 두께는,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미만이다. 한편으로,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다. 이와 같은 두께이면, 우수한 내구성과 광학 특성을 갖는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또, 두께가 얇을수록 비편광부가 양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 처리에 의한 탈색에 의해 비편광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처리액과 수지 필름 (편광자) 의 접촉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편광자의 흡수축은,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방향에 설정될 수 있다. 흡수축의 방향은, 예를 들어, 장척 방향이어도 되고 폭 방향이어도 된다. 장척 방향에 흡수축을 갖는 편광자는, 제조 효율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폭 방향에 흡수축을 갖는 편광자는, 예를 들어 장척 방향에 지상축을 갖는 위상차 필름과 이른바 롤 투 롤로 적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편광자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편광자가 단일 PVA 계 수지 필름인 경우에는, 편광자는 당업계에서 주지 관용되고 있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편광자가 수지 기재 상에 형성된 PVA 계 수지층인 경우에는, 편광자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73580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당해 공보는, 그 전체의 기재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편광자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후술하는 비편광부의 형성에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비편광부의 형성에 제공되는 편광자는, 단일 PVA 계 수지 필름이어도 되고, 수지 기재/PVA 계 수지층의 적층체여도 되고, PVA 계 수지 필름 또는 PVA 계 수지층의 편측 또는 양측에 보호 필름이 배치된 적층체 (즉, 편광판) 여도 된다. 비편광부의 형성에 제공되는 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에 첩부 (貼付) 가능해지도록 점착제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편광판은,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광학 기능층을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 광학 기능층의 대표예로는, 위상차 필름 (광학 보상 필름), 표면 처리층을 들 수 있다. 이하, 일례로서, 편광자/보호층의 구성을 갖는 편광판의 편광자에 비편광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C-2. 비편광부의 형성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판 (200) 의 편광자측의 면에 점착 필름 (100) 을 롤 투 롤에 의해 첩합한다. 점착 필름 (100) 은, 상기 A 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이다. 도시예에서는, 점착 필름에 있어서의 관통공의 배치 패턴은, 도 1 및 도 3a 의 배치 패턴에 대응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롤 투 롤」 이란, 롤상의 필름을 반송하면서 서로의 장척 방향을 맞춰 적층하는 것을 말한다. 점착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편광자에 박리 가능하게 첩합된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탈색액에 대한 침지에 의한 탈색 처리에 의한 비편광부의 형성이 가능해지므로, 매우 높은 제조 효율로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탈색 처리에 있어서의 편광판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기능할 수 있으므로, 편의상,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을 제 1 표면 보호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표면 보호 필름이란, 작업시에 편광판을 일시적으로 보호하고, 임의의 적절한 시점에서 박리되는 필름이고, 간단히 보호 필름이라고 칭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과는 상이한 것이다.
편광자와 점착 필름을 롤 투 롤로 적층하는 경우, 장척상의 점착 필름이 롤상으로 권취된 점착 필름 롤로부터 점착 필름을 권출 (卷出) 하여 편광자에 적층해도 되고, 점착 필름에 관통공을 형성한 후, 연속적으로 (일단, 점착 필름을 권취하지 않고) 편광자에 적층해도 된다.
한편, 편광판의 보호 필름측의 면에 표면 보호 필름 (제 2 표면 보호 필름) 을 롤 투 롤에 의해 첩합한다 (도시 생략). 제 2 표면 보호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를 개재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에 박리 가능하게 첩합된다. 제 2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침지에 의한 탈색 처리에 있어서 편광판 (편광자/보호 필름) 이 적절히 보호될 수 있다. 제 2 표면 보호 필름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에는 본 발명의 점착 필름 (제 1 표면 보호 필름) 과 동일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2 표면 보호 필름으로는,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은 부드러운 (예를 들어, 탄성률이 낮은)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제 2 표면 보호 필름은, 제 1 표면 보호 필름과 동시에 첩합해도 되고, 제 1 표면 보호 필름을 첩합하기 전에 첩합해도 되고, 제 1 표면 보호 필름을 첩합한 후에 첩합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표면 보호 필름은, 제 1 표면 보호 필름을 첩합하기 전에 첩합된다. 이와 같은 순서이면, 보호 필름의 흠집의 발생이 방지되고, 및 권취시에 있어서 점착 필름의 관통공이 자국으로서 보호 필름에 전사되는 것이 방지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제 1 표면 보호 필름을 첩합하기 전에 제 2 표면 보호 필름을 첩합하는 양태는, 예를 들어, 편광자가 수지 기재 상에 형성된 PVA 계 수지층인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편광자 보호 필름과 제 2 표면 보호 필름의 적층체를 제조하고, 당해 적층체를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에 첩합한 후 수지 기재를 박리하고, 당해 박리면에 제 1 표면 보호 필름을 첩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 필름 (제 1 표면 보호 필름)/편광자/보호 필름/제 2 표면 보호 필름의 적층체를 화학적 탈색 처리에 제공한다. 화학적 탈색 처리는, 대표적으로는, 적층체를 탈색액 (예를 들어, 염기성 용액) 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화학적 탈색 처리는, 필요에 따라, 염기성 용액을 제거하는 것, 적층체를 산성 용액과 접촉시키는 것, 및 산성 용액을 제거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적층체와 염기성 용액의 접촉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대표예로는, 적층체의 염기성 용액에 대한 침지, 혹은 염기성 용액의 적층체에 대한 도포 또는 분무를 들 수 있다. 침지가 바람직하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를 반송하면서 탈색 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제조 효율이 현저하게 높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표면 보호 필름 (및 필요에 따라 제 2 표면 보호 필름) 을 사용함으로써 침지가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염기성 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편광자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점착 필름 (제 1 표면 보호 필름) 의 관통공에 대응하는 부분만이 염기성 용액과 접촉한다. 예를 들어, 편광자가 이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함유하는 경우, 편광자와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킴으로써, 편광자의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 부분의 요오드 농도를 저감시켜, 결과적으로, 당해 접촉 부분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의 관통공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에만 선택적으로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잡한 조작을 수반하지 않고 매우 높은 제조 효율로, 편광자의 소정 부분에 선택적으로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에 요오드가 잔존하고 있는 경우, 요오드 착물을 파괴하여 비편광부를 형성했다고 하더라도, 편광자의 사용에 수반하여 다시 요오드 착물이 형성되어, 비편광부가 원하는 특성을 갖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염기성 용액의 제거에 의해, 요오드 자체가 편광자 (실질적으로는, 비편광부) 로부터 제거된다. 그 결과, 편광자의 사용에 수반하는 비편광부의 특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염기성 용액에 의한 비편광부의 형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편광자의 소정 부분과의 접촉 후, 염기성 용액은 당해 소정 부분 내부로 침투한다. 당해 소정 부분에 함유되는 요오드 착물은 염기성 용액에 함유되는 염기에 의해 환원되어 요오드 이온이 된다. 요오드 착물이 요오드 이온으로 환원됨으로써, 당해 부분의 편광 성능이 실질적으로 소실되어, 당해 부분에 비편광부가 형성된다. 또, 요오드 착물의 환원에 의해, 당해 부분의 투과율이 향상된다. 요오드 이온이 된 요오드는, 당해 부분으로부터 염기성 용액의 용매 중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후술하는 염기성 용액의 제거에 의해, 염기성 용액과 함께 요오드 이온도 당해 부분으로부터 제거된다. 이와 같이 하여, 편광자의 소정 부분에 선택적으로 비편광부가 형성되고, 또한 당해 비편광부는 시간 경과적 변화가 없는 안정적인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필름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필름 및 점착제층) 의 재료, 두께 및 기계적 특성, 염기성 용액의 농도, 그리고 적층체의 염기성 용액에 대한 침지 시간 등을 조정함으로써, 염기성 용액이 원하지 않는 부분까지 침투하는 것 (결과적으로, 원하지 않는 부분에 비편광부가 형성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염기성 용액에 함유되는 염기성 화합물로는, 임의의 적절한 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염기성 화합물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탄산나트륨 등의 무기 알칼리 금속염, 아세트산나트륨 등의 유기 알칼리 금속염, 암모니아수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용액에 함유되는 염기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이다.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염기성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요오드 착물을 효율적으로 이온화할 수 있어, 보다 간편하게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염기성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염기성 용액의 용매로는, 임의의 적절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등의 알코올,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요오드 이온이 양호하게 용매로 이행하여, 나중의 염기성 용액의 제거에 있어서 용이하게 요오드 이온을 제거할 수 있는 점에서, 용매는 물,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기성 용액의 농도는, 예를 들어, 0.01 N ∼ 5 N 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N ∼ 3 N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N ∼ 2.5 N 이다. 염기성 용액의 농도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효율적으로 편광자 내부의 요오드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소정 부분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요오드 착물의 이온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염기성 용액의 액온은, 예를 들어, 20 ℃ ∼ 50 ℃ 이다. 적층체 (실질적으로는, 편광자의 소정 부분) 와 염기성 용액의 접촉 시간은, 편광자의 두께나, 사용하는 염기성 용액에 함유되는 염기성 화합물의 종류, 및 염기성 화합물의 농도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5 초간 ∼ 30 분간이다.
상기 염기성 용액은, 편광자의 소정 부분과 접촉 후, 필요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염기성 용액의 제거 방법의 구체예로는, 세정, 웨이스트 등에 의한 닦아내기 제거, 흡인 제거, 자연 건조, 가열 건조, 송풍 건조, 감압 건조 등을 들 수 있다. 세정이 바람직하다. 염기성 용액의 제거 성능이 우수하고, 복잡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제조 효율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세정에 사용하는 액은, 예를 들어, 물 (순수),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 산성 수용액,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세정은, 대표적으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를 반송하면서 실시된다. 세정은 복수회 실시해도 된다. 염기성 용액을 건조에 의해 제거하는 경우의 건조 온도는, 예를 들어, 20 ℃ ∼ 100 ℃ 이다.
필요에 따라, 염기성 용액과 접촉한 적층체 (실질적으로는, 편광자의 소정 부분) 를 산성 용액과 추가로 접촉시킬 수 있다. 적층체와 산성 용액의 접촉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의 경우와 동일하게, 침지가 바람직하다. 산성 용액과 접촉시킴으로써, 비편광부에 잔존하는 염기성 용액을 더욱 양호한 레벨까지 제거할 수 있다. 또, 산성 용액과 접촉시킴으로써, 비편광부의 치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산성 용액과의 접촉은, 염기성 용액의 제거를 실시한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기성 용액을 제거하지 않고 실시해도 된다.
상기 산성 용액에 함유되는 산성 화합물로는, 임의의 적절한 산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산성 화합물로는, 염산, 황산, 질산, 불화수소 등의 무기산, 포름산, 옥살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벤조산 등의 유기산 등을 들 수 있다. 산성 용액에 함유되는 산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무기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산, 황산, 질산이다. 이들 산성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산성 용액의 용매로는, 상기 염기성 용액의 용매로서 예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성 용액의 농도는, 예를 들어, 0.01 N ∼ 5 N 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N ∼ 3 N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N ∼ 2.5 N 이다.
상기 산성 용액의 액온은, 예를 들어, 20 ℃ ∼ 50 ℃ 이다. 적층체 (실질적으로는, 편광자의 소정 부분) 와 산성 용액의 접촉 시간은, 수지 필름 (편광자) 의 두께나, 사용하는 산성 용액에 함유되는 산성 화합물의 종류, 및 산성 화합물의 농도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5 초간 ∼ 30 분간이다. 필요에 따라, 적층체와 산성 용액을 접촉시킨 후, 즉시 닦아내기 등에 의해 제거해도 된다.
상기 산성 용액은, 편광자의 소정 부분과 접촉 후, 필요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염기성 용액의 제거의 경우와 동일하게, 세정이 바람직하다. 세정에 사용하는 액은, 예를 들어, 물 (순수),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 산성 수용액,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세정은, 대표적으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를 반송하면서 실시된다. 세정은 복수회 실시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산성 용액을 세정에 의해 제거하는 경우, 산성 용액 제거 후의 적층체는, 필요에 따라, 세정액 제거 및 건조에 제공된다 (도시 생략). 세정액 (대표적으로는, 물) 제거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구체예로는, 블로어에 의한 비산, 적층체를 스펀지 롤에 통과시키는 것,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세정액 제거에 의해, 제 1 표면 보호 필름의 관통공 부분에 잔존하는 세정액을 더욱 양호한 레벨까지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잔존 세정액에 의한 편광자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건조는, 예를 들어 적층체를 오븐 내에서 반송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예를 들어 20 ℃ ∼ 100 ℃ 이고, 건조 시간은 예를 들어 5 초 ∼ 600 초이다.
대표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하여 비편광부가 형성된 후, 본 발명의 점착 필름 (제 1 표면 보호 필름) 및 제 2 표면 보호 필름은 박리 제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의 관통공의 배치 패턴을 설정함으로써, 장척상 편광자의 소정의 위치에 소정의 배치 패턴으로 비편광부가 형성될 수 있다.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는, 예를 들어, 카메라부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비편광부는, 대표적으로는, 편광자를 소정 사이즈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장착하기 위하여 소정 사이즈로 재단했을 때, 그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장척상 편광자로부터 한 사이즈의 편광자만을 재단하는 경우에는, 비편광부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화상 표시 장치의 사이즈에 맞춘 편광자의 소정 사이즈로의 재단의 제어가 용이하여,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편광부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얻어지는 소정 사이즈의 편광자에 있어서의 비편광부의 위치도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얻어지는 소정 사이즈의 편광자마다의 비편광부의 위치의 편차가 작아지므로, 품질에 편차가 없는 소정 사이즈의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하나의 장척상 편광자로부터 복수 사이즈의 편광자를 재단하는 경우에는, 장척 방향 및/또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비편광부의 간격을 재단해야 할 편광자의 사이즈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 있어서의 관통공의 배치 패턴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배치 패턴으로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비편광부의 투과율 (예를 들어, 23 ℃ 에 있어서의 파장 550 ㎚ 의 광으로 측정한 투과율) 은,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다. 이와 같은 투과율이면, 비편광부로서의 원하는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비편광부가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부에 대응하도록 편광자를 배치했을 경우에, 카메라의 촬영 성능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비편광부의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하이다. 비편광부의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상기 투과율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비편광부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편광자가 사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임의의 적절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 있어서의 관통공의 형상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평면에서 본 형상을 갖는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까지,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을 사용한 장척상 필름의 소정 부분의 선택적인 처리의 일례로서 장척상의 편광자에 있어서의 비편광부의 형성에 대하여 서술해 왔지만,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다른 선택적 처리에도 유사한 순서로 적용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실시예
[실시예 1]
에스테르계 필름 (두께 38 ㎛)/점착제층 (두께 5 ㎛)/세퍼레이터 (두께 25 ㎛) 의 구성을 갖는 장척상의 적층체 (폭 : 1200 ㎜, 길이 : 43 m) 를 준비하였다. 이 적층체의 에스테르계 필름면에, 에스테르계 필름 (두께 38 ㎛)/점착제층 (두께 5 ㎛) 의 구성을 갖는 캐리어 필름 (폭 : 1200 ㎜, 길이 : 43 m) 을 롤 투 롤로 첩합하여, 캐리어 필름이 부착된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타발 장치를 사용하여 캐리어 필름이 부착된 적층체에 대하여 세퍼레이터면으로부터 깊이 80 ㎛ 의 절단 칼날을 넣고, 캐리어 필름이 관통하지 않게 직경 2.4 ㎜ 의 원형으로 하프 컷하였다. 하프 컷은, 장척 방향으로 250 ㎜ 간격으로, 폭 방향으로 400 ㎜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계속해서, 적층체로부터 캐리어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타발 장치 대신에, 레이저 절단기 (CO2 레이저, 파장 : 9.4 ㎛, 출력 : 10 W) 를 사용하여 하프 컷 (절단 깊이 : 80 ㎛)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필름을 얻었다.
각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1. 천공 찌꺼기
절단에 의한 천공 찌꺼기가 캐리어 필름의 박리시에 제거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2. 점착 필름의 첩합 외관
세퍼레이터를 박리하여 점착 필름을 시판되는 편광자에 첩합하고, 그 외관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각 실시예에서는, 캐리어 필름을 박리할 때, 하프 컷에 의해 생긴 천공 찌꺼기가 완전히 제거되었다.
얻어진 점착 필름을 편광자에 첩합하고, 편광자와 점착 필름의 첩합 상태를 관찰한 결과,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와 점착 필름 사이에 기포의 혼입은 확인되지 않았다.
Figure 112015127074540-pct00001
[편광판의 제조]
기재로서, 장척상이고, 흡수율 0.75 %, Tg 75 ℃ 의 비정질의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IPA 공중합 PET) 필름 (두께 : 100 ㎛) 을 사용하였다. 기재의 편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이 코로나 처리면에, 폴리비닐알코올 (중합도 4200, 비누화도 99.2 몰%) 및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중합도 1200,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 %, 비누화도 99.0 몰% 이상, 닛폰 합성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Z200」) 를 9 : 1 의 비로 함유하는 수용액을 25 ℃ 에서 도포 및 건조시켜, 두께 11 ㎛ 의 PVA 계 수지층을 형성하고,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120 ℃ 의 오븐 내에서 주속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세로 방향 (길이 방향) 으로 2.0 배로 자유단 1 축 연신하였다 (공중 보조 연신).
이어서, 적층체를 액온 30 ℃ 의 불용화욕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4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 에 30 초간 침지시켰다 (불용화 처리).
이어서, 액온 30 ℃ 의 염색욕에, 편광판이 소정의 투과율이 되도록 요오드 농도, 침지 시간을 조정하면서 침지시켰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를 0.2 중량부 배합하고, 요오드화칼륨을 1.5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요오드 수용액에 60 초간 침지시켰다 (염색 처리).
이어서, 액온 30 ℃ 의 가교욕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칼륨을 3 중량부 배합하고, 붕산을 3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 에 30 초간 침지시켰다 (가교 처리).
그 후, 적층체를 액온 70 ℃ 의 붕산 수용액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4 중량부 배합하고, 요오드화칼륨을 5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용액) 에 침지시키면서, 주속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세로 방향 (길이 방향) 으로 총연신 배율이 5.5 배가 되도록 1 축 연신을 실시하였다 (수중 연신).
그 후, 적층체를 액온 30 ℃ 의 세정욕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칼륨을 4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용액) 에 침지시켰다 (세정 처리).
계속해서, 적층체의 PVA 계 수지층 표면에, PVA 계 수지 수용액 (닛폰 합성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등록상표) Z-200」, 수지 농도 : 3 중량%) 을 도포하여 보호 필름 (두께 25 ㎛) 을 첩합하고, 이것을 60 ℃ 로 유지한 오븐에서 5 분간 가열하였다. 그 후, 기재를 PVA 계 수지층으로부터 박리하여, 투과율 42.3 %, 두께 5 ㎛ 의 편광자를 갖는 편광판 (폭 : 1200 ㎜, 길이 : 43 m) 을 얻었다.
[투명부의 형성]
얻어진 편광판의 편광자측에,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점착 필름을 세퍼레이터를 박리하여 롤 투 롤로 첩합하여, 편광 필름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편광 필름 적층체의 점착 필름으로부터 편광자가 노출된 부분에, 상온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 ㏖/ℓ (1.0 N)) 을 적하하고, 60 초간 방치하였다. 그 후, 적하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웨이스트로 제거하고 나서 점착 필름을 박리하여, 투명부가 형성된 편광판 (편광자) 을 얻었다.
각 실시예의 점착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한 투명부에 대해 이하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1. 투과율 (Ts)
분광 광도계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주) 제조 제품명 「DOT-3」)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투과율 (T) 은, JlS Z 8701-1982 의 2 도 시야 (C 광원) 에 의해, 시감도 보정을 실시한 Y 값이다.
2. 요오드 함유량
형광 X 선 분석에 의해, 편광자의 투명부에 있어서의 요오드 함유량을 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조건에 의해 측정한 X 선 강도로부터, 미리 표준 시료를 사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에 의해 편광자의 요오드 함유량을 구하였다.
·분석 장치 : 리가쿠 전기 공업 제조 형광 X 선 분석 장치 (XRF), 제품명 「ZSX100e」
·카운터 음극 : 로듐
·분광 결정 : 불화리튬
·여기광 에너지 : 40 ㎸-90 ㎃
·요오드 측정선 : I-LA
·정량법 : FP 법
·2θ 각 피크 : 103.078 deg (요오드)
·측정 시간 : 40 초
어느 것에 있어서도 투과율이 93 % ∼ 94 %, 요오드 함유량 0.15 중량% 이하의 투명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은 비편광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 비편광부는 점착 필름의 관통공의 형상에 대응하여 직경 2.4 ㎜ 의 원형이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필름 (대표적으로는, 장척상의 필름) 의 소정 부분을 선택적으로 처리할 때의 표면 보호 필름 또는 마스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10 수지 필름
20 점착제층
30 관통공
100 점착 필름
200 편광판

Claims (13)

  1. 장척상(長尺狀)의 수지 필름과 그 수지 필름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가착된 장척상의 세퍼레이터를 갖고,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상기 수지 필름, 상기 점착제층 및 상기 세퍼레이터를 일체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고,
    서로의 길이 방향을 맞추도록 하여 장척상의 필름에 첩합되고, 그 필름의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부분에 탈색 처리를 실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점착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점착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이 적어도 상기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점착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이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점착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관통공을 연결하는 직선의 방향이, 상기 길이 방향 및/또는 상기 폭 방향에 대하여 ±10°의 범위 내에 있는, 점착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이 도트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점착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평면에서 본 형상이 원형상 또는 사각형상인, 점착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롤상으로 권회되어 있는, 점착 필름.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비편광부를 갖는 장척상 편광자의 제조에 사용되는, 점착 필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평면에서 본 형상이 원형상이며,
    상기 관통공의 점착제층측의 둘레 가장자리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착 필름.
  12. 삭제
  13. 삭제
KR1020157036668A 2014-06-27 2015-06-26 장척상의 점착 필름 KR101766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32577 2014-06-27
JP2014132577 2014-06-27
JPJP-P-2015-127641 2015-06-25
JP2015127641A JP6154856B2 (ja) 2014-06-27 2015-06-25 長尺状の粘着フィルム
PCT/JP2015/068501 WO2015199214A1 (ja) 2014-06-27 2015-06-26 長尺状の粘着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217A KR20160011217A (ko) 2016-01-29
KR101766574B1 true KR101766574B1 (ko) 2017-08-08

Family

ID=5493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668A KR101766574B1 (ko) 2014-06-27 2015-06-26 장척상의 점착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137671A1 (ko)
JP (1) JP6154856B2 (ko)
KR (1) KR101766574B1 (ko)
CN (1) CN106471082B (ko)
TW (1) TWI670352B (ko)
WO (1) WO201519921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333A (ko) *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제조장치
KR20200021335A (ko) *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제조장치
KR20200021332A (ko) *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3674B2 (en) 2014-05-06 2017-10-31 The Patent Well LLC Thin gel gasket and a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MX2018004264A (es) * 2015-10-06 2018-11-09 Inst Basic Science Metodo para producir plantas completas a partir de protoplastos.
MX2020011670A (es) 2018-05-03 2021-02-15 Avery Dennison Corp Laminados adhesivos y método de fabricación de laminados adhesivos.
US20210292604A1 (en) * 2018-08-22 2021-09-23 Lg Chem, Ltd. Mask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by using same
KR102239441B1 (ko) * 2018-08-22 2021-04-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스크 필름을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그 편광판
JP7298161B2 (ja) * 2019-01-18 2023-06-27 Agc株式会社 機能層付き基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49160B2 (ja) * 2019-01-29 2023-03-30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
US20220041895A1 (en) * 2020-08-04 2022-02-10 Albion Engineering Company Adhesive tape having perforations for applying to a ribbon bead nozzle
JP2022112802A (ja) * 2021-01-22 2022-08-0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膜の透過率の調整方法
JP2022190301A (ja) * 2021-06-14 2022-12-26 株式会社ブイ・テクノロジー リペア用テープ、そのリペア用テープ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WO2023022076A1 (ja) * 2021-08-16 2023-02-23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巻回体、並びに、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CN114958222A (zh) * 2022-06-22 2022-08-30 东莞澳中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异形胶带及其制造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0317A (ja) 2007-11-28 2009-06-11 Seiko Epson Corp フィルム状接着剤及びその搬送方法
JP7000770B2 (ja) 2017-09-26 2022-01-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7285A (en) * 1990-06-11 1994-07-05 Faris Sadeg M Methods for manufacturing micropolarizers
US5374477A (en) * 1993-02-09 1994-12-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arrier laminate and method for sealing gaps in building construction
JPH09241594A (ja) * 1996-03-09 1997-09-16 Nitto Denko Corp ロール状粘着テープ
US6258429B1 (en) * 1997-03-11 2001-07-10 Stephen G. Nelson One-way see-thru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04061031A1 (ja) * 2002-12-27 2004-07-22 Lintec Corporation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0347260C (zh) * 2002-12-27 2007-11-07 琳得科株式会社 压敏粘合剂片材及其生产方法
US20040212555A1 (en) 2003-04-23 2004-10-28 Falco Mark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display and camera and method therefore
JP2005089782A (ja) * 2003-09-12 2005-04-07 Tdk Corp 板状体のエッチング方法
JP2005089783A (ja) * 2003-09-12 2005-04-07 Tdk Corp 薄板のエッチング方法
JP2005336249A (ja) * 2004-05-25 2005-12-08 Lintec Corp 易貼付性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810165B2 (ja) * 2005-09-06 2011-11-0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貫通孔形成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46951B2 (ja) 2007-06-06 2011-03-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センサ付き表示装置
JP5434457B2 (ja) 2009-10-09 2014-03-05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CA2792037A1 (en) * 2010-03-04 2011-09-09 Lintec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8467177B2 (en) * 2010-10-29 2013-06-18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KR101293210B1 (ko) 2010-12-15 2013-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기기용 편광판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
KR101495759B1 (ko) 2011-04-18 2015-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장치용 편광판, 이를 이용한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9075199B2 (en) 2012-10-30 2015-07-07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0317A (ja) 2007-11-28 2009-06-11 Seiko Epson Corp フィルム状接着剤及びその搬送方法
JP7000770B2 (ja) 2017-09-26 2022-01-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333A (ko) *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제조장치
KR20200021335A (ko) *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제조장치
KR20200021332A (ko) *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제조장치
KR102161885B1 (ko) 2018-08-20 2020-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제조장치
KR102161887B1 (ko) 2018-08-20 2020-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제조장치
KR102161886B1 (ko) 2018-08-20 2020-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37671A1 (en) 2017-05-18
WO2015199214A1 (ja) 2015-12-30
CN106471082A (zh) 2017-03-01
JP6154856B2 (ja) 2017-06-28
JP2016027136A (ja) 2016-02-18
TW201610078A (zh) 2016-03-16
TWI670352B (zh) 2019-09-01
KR20160011217A (ko) 2016-01-29
CN106471082B (zh)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574B1 (ko) 장척상의 점착 필름
KR101766575B1 (ko) 장척상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TWI686295B (zh) 長條狀偏光件、長條狀偏光板及影像顯示裝置
KR101848987B1 (ko) 장척상 편광자의 제조 방법
KR101827074B1 (ko) 장척상의 편광 필름 적층체
JP6142045B2 (ja) 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子の製造方法
JP2018028563A (ja)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WO2016208464A1 (ja) 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子の製造方法
JP7128228B2 (ja) 長尺状の偏光フィルム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